barunlab의 등록된 링크

 barunlab로 등록된 네이버 블로그 포스트 수는 970건입니다.

[기본통증진료매뉴얼] 급성 발목 염좌(Acute ankle sprain) - 개요/진단/치료 - 외측/내측 발목 염좌, 외측 인대, 전 거비, 종비, 후 거비 인대, 인대파열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올해 신간도서 SMART 기본통증진료매뉴얼 콘텐츠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출간일: 23년 03월 24일) 기본 통증진료매뉴얼 SMART 기본통증진료매뉴얼에 대해 보다 자세히 알고 싶으신 분은 블로그 글 하단에 있는 링크를 확인해주세요! (전체 목차 및 샘플 미리보기)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SMART 기본통증진료매뉴얼 2권. 부위별 접근 > 발목/발 > 발통증/전족부 질환/중족부 질환 에 있는 급성 발목 염좌(Acute ankle sprain) 입니다. 메타메딕 > BOOK > SMART 기본통증진료매뉴얼: 부위별 접근 1/e(2023) > 급성 발목 염좌(Acute ankle sprain) 급성 발목 염좌(Acute ankle sprain) 1 발목 염좌: 개요 1. 발목염좌(ankle sprain)이란? • 발목 염좌는 관절 주위에 있는 다양한 인대의 손상을 야기 • 해부학적으로 크게 다음과 같이 분류 1. 외측 발목 염좌(lateral

[신간소식] 통증 및 근골격 진료도서 2종 출간(기본통증진료매뉴얼, 응급진료매뉴얼: 근골격편) - 23.03.27(월)부터 배송가능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사전예약 이벤트를 진행했던 통증 및 근골격 진료도서 2종 (SMART 기본통증진료매뉴얼, SMART 응급진료매뉴얼: 근골격편)이 드디어 출간되었습니다. 신간 도서 관련 자세한 내용은 아래 포스트를 확인해주세요! https://blog.naver.com/barunlab/223036136875 [사전예약 이벤트(진행중)] 통증 및 근골격 진료도서 2종 동시 출간 (SMART 기본통증진료매뉴얼, SMART 응급진료매뉴얼: 근골격편)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많은 분들이 기다려주셨던 통증 및 근골격 진료도서 2종 (SMART ... blog.naver.com 현재 물류센터에 도서 입고된 상태이고, 포장 중에 있습니다. 배송은 2023년 03월 27일(월)부터 가능합니다. 사전예약 구매자분들께는 다음주 월요일에 일괄적으로 주문하신 도서를 배송해드리겠습니다. 출간 전에 저희 도서를 믿고 구매해주신 분들께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메타메딕 사이트에서 도

[응급진료매뉴얼: 근골격편] 반달 연골 손상(Meniscus Injury)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SMART 기본 일차진료매뉴얼 3판의 "근골격" 파트를 따로 떼어내 통증 및 근골격 진료 영역에 초점을 맞춘 "SMART 기본 통증진료매뉴얼" 과 응급실 내원 및 외상(골절, 인대손상 등)에 의한 경우 등 응급한 평가 및 조치가 필요한 근골격 질환을 다룬 “SMART 응급 진료매뉴얼: 근골격편" 을 동시 출간하게 되었습니다. 현재 신간도서 사전예약 이벤트 진행 중! (아래 포스트를 확인해주세요!) (이벤트 기한: 2023년 03월 26일(일)까지) https://blog.naver.com/barunlab/223036136875 [사전예약 이벤트(진행중)] 통증 및 근골격 진료도서 2종 동시 출간 (SMART 기본통증진료매뉴얼, SMART 응급진료매뉴얼: 근골격편)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많은 분들이 기다려주셨던 통증 및 근골격 진료도서 2종 (SMART ... blog.naver.com 오늘은 2023.03.24(금) 출간 예정 도서인 S

[응급진료매뉴얼: 근골격편] 측부 인대 손상(Injury of collateral ligament): 내측 측부인대 손상(내측 측부 인대 파열)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SMART 기본 일차진료매뉴얼 3판의 "근골격" 파트를 따로 떼어내 통증 및 근골격 진료 영역에 초점을 맞춘 "SMART 기본 통증진료매뉴얼" 과 응급실 내원 및 외상(골절, 인대손상 등)에 의한 경우 등 응급한 평가 및 조치가 필요한 근골격 질환을 다룬 “SMART 응급 진료매뉴얼: 근골격편" 을 동시 출간하게 되었습니다. 현재 신간도서 사전예약 이벤트 진행 중! (아래 포스트를 확인해주세요!) (이벤트 기한: 2023년 03월 26일(일)까지) https://blog.naver.com/barunlab/223036136875 [사전예약 이벤트(진행중)] 통증 및 근골격 진료도서 2종 동시 출간 (SMART 기본통증진료매뉴얼, SMART 응급진료매뉴얼: 근골격편)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많은 분들이 기다려주셨던 통증 및 근골격 진료도서 2종 (SMART ... blog.naver.com 오늘은 2023.03.24(금) 출간 예정 도서인 S

[기본통증진료매뉴얼] 전족부 발변형: 소족지 변형(Lesser toe deformity) - 망치, 추, 갈퀴 족지, 만곡지, 굴지증 - 정의 / 원인 / 진단 / 치료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2023.03.24(금) 출간 예정 도서인 SMART 기본통증진료매뉴얼 콘텐츠를 미리 소개해드리겠습니다. "SMART 기본 통증진료매뉴얼" 은 통증 및 근골격 진료 영역에 초점을 맞춘 도서입니다. 현재 신간도서 사전예약 이벤트 진행 중! (아래 포스트를 확인해주세요!) (이벤트 기한: 2023년 03월 26일(일)까지) https://blog.naver.com/barunlab/223036136875 [사전예약 이벤트(진행중)] 통증 및 근골격 진료도서 2종 동시 출간 (SMART 기본통증진료매뉴얼, SMART 응급진료매뉴얼: 근골격편)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많은 분들이 기다려주셨던 통증 및 근골격 진료도서 2종 (SMART ... blog.naver.com SMART 기본통증진료매뉴얼에 대해 보다 자세히 알고 싶으신 분은 블로그 글 하단에 있는 링크를 확인해주세요! (전체 목차 및 샘플 미리보기)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SMAR

[응급진료매뉴얼: 근골격편] 주상월상 인대 손상(Scapholunate ligament injuries)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SMART 기본 일차진료매뉴얼 3판의 "근골격" 파트를 따로 떼어내 통증 및 근골격 진료 영역에 초점을 맞춘 "SMART 기본 통증진료매뉴얼" 과 응급실 내원 및 외상(골절, 인대손상 등)에 의한 경우 등 응급한 평가 및 조치가 필요한 근골격 질환을 다룬 “SMART 응급 진료매뉴얼: 근골격편" 을 동시 출간하게 되었습니다. 현재 신간도서 사전예약 이벤트 진행 중! (아래 포스트를 확인해주세요!) (이벤트 기한: 2023년 03월 26일(일)까지) https://blog.naver.com/barunlab/223036136875 [사전예약 이벤트(진행중)] 통증 및 근골격 진료도서 2종 동시 출간 (SMART 기본통증진료매뉴얼, SMART 응급진료매뉴얼: 근골격편)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많은 분들이 기다려주셨던 통증 및 근골격 진료도서 2종 (SMART ... blog.naver.com 오늘은 2023.03.24(금) 출간 예정 도서인 S

[응급진료매뉴얼: 근골격편] 삼각 섬유연골 복합체 손상(Triangular fibrocartilage complex tear)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SMART 기본 일차진료매뉴얼 3판의 "근골격" 파트를 따로 떼어내 통증 및 근골격 진료 영역에 초점을 맞춘 "SMART 기본 통증진료매뉴얼" 과 응급실 내원 및 외상(골절, 인대손상 등)에 의한 경우 등 응급한 평가 및 조치가 필요한 근골격 질환을 다룬 “SMART 응급 진료매뉴얼: 근골격편" 을 동시 출간하게 되었습니다. 현재 신간도서 사전예약 이벤트 진행 중! (아래 포스트를 확인해주세요!) (이벤트 기한: 2023년 03월 26일(일)까지) https://blog.naver.com/barunlab/223036136875 [사전예약 이벤트(진행중)] 통증 및 근골격 진료도서 2종 동시 출간 (SMART 기본통증진료매뉴얼, SMART 응급진료매뉴얼: 근골격편)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많은 분들이 기다려주셨던 통증 및 근골격 진료도서 2종 (SMART ... blog.naver.com 오늘은 2023.03.24(금) 출간 예정 도서인 S

[응급진료매뉴얼: 근골격편] 근위 척골 골절(Proximal ulnar fracture): Olecranon fracture, Coronoid process fracture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SMART 기본 일차진료매뉴얼 3판의 "근골격" 파트를 따로 떼어내 통증 및 근골격 진료 영역에 초점을 맞춘 "SMART 기본 통증진료매뉴얼" 과 응급실 내원 및 외상(골절, 인대손상 등)에 의한 경우 등 응급한 평가 및 조치가 필요한 근골격 질환을 다룬 “SMART 응급 진료매뉴얼: 근골격편" 을 동시 출간하게 되었습니다. 현재 신간도서 사전예약 이벤트 진행 중! (아래 포스트를 확인해주세요!) (이벤트 기한: 2023년 03월 26일(일)까지) https://blog.naver.com/barunlab/223036136875 [사전예약 이벤트(진행중)] 통증 및 근골격 진료도서 2종 동시 출간 (SMART 기본통증진료매뉴얼, SMART 응급진료매뉴얼: 근골격편)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많은 분들이 기다려주셨던 통증 및 근골격 진료도서 2종 (SMART ... blog.naver.com 오늘은 2023.03.24(금) 출간 예정 도서인 S

[기본통증진료매뉴얼] 활막 추벽 증후군(Synovial plica syndrome, medial plica syndrome) - 개요 / 진단 / 치료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SMART 기본 일차진료매뉴얼 3판의 "근골격" 파트를 따로 떼어내 통증 및 근골격 진료 영역에 초점을 맞춘 "SMART 기본 통증진료매뉴얼" 과 응급실 내원 및 외상(골절, 인대손상 등)에 의한 경우 등 응급한 평가 및 조치가 필요한 근골격 질환을 다룬 “SMART 응급 진료매뉴얼: 근골격편" 을 동시 출간하게 되었습니다. 현재 신간도서 사전예약 이벤트 진행 중! (아래 포스트를 확인해주세요!) (이벤트 기한: 2023년 03월 26일(일)까지) https://blog.naver.com/barunlab/223036136875 [사전예약 이벤트(진행중)] 통증 및 근골격 진료도서 2종 동시 출간 (SMART 기본통증진료매뉴얼, SMART 응급진료매뉴얼: 근골격편)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많은 분들이 기다려주셨던 통증 및 근골격 진료도서 2종 (SMART ... blog.naver.com 오늘은 2023.03.24(금) 출간 예정 도서인 S

[기본통증진료매뉴얼] 근막통증 증후군(Myofascial pain syndrome) - 개요 / 진단 / 치료 - 통증유발점(Trigger Point, TrP), 누르기/집게 촉진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많은 분들이 기다려주셨던 통증 및 근골격 진료 도서인 SMART 기본통증진료매뉴얼, SMART 응급진료매뉴얼: 근골격편이 곧 출간됩니다! 현재 신간도서 사전예약 이벤트를 진행 중입니다. 이벤트 참여하실 분은 아래 포스트를 확인해주세요! (이벤트 기한: 2023년 03월 26일(일)까지) https://blog.naver.com/barunlab/223036136875 [사전예약 이벤트(진행중)] 통증 및 근골격 진료도서 2종 동시 출간 (SMART 기본통증진료매뉴얼, SMART 응급진료매뉴얼: 근골격편)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많은 분들이 기다려주셨던 통증 및 근골격 진료도서 2종 (SMART ... blog.naver.com 오늘은 출간 예정 도서인 SMART 기본통증진료매뉴얼 콘텐츠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SMART 기본통증진료매뉴얼에 대해 보다 자세히 알고 싶으신 분은 블로그 글 하단에 있는 링크를 확인해주세요! (전체 목차 및 샘플 미

[사전예약 이벤트(~23.03.26)] 통증 및 근골격 진료도서 2종 동시 출간 (SMART 기본통증진료매뉴얼, SMART 응급진료매뉴얼: 근골격편)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많은 분들이 기다려주셨던 통증 및 근골격 진료도서 2종 (SMART 기본통증진료매뉴얼 세트(전2권), SMART 응급진료매뉴얼: 근골격편)이 곧 인쇄에 들어가게 되어 사전 예약 이벤트를 진행합니다. 본 이벤트는 기한이 정해진 한정 이벤트로, 이벤트 기한은 23년 3월 26일(일요일)까지입니다. (출간 예정일: 23년 3월 24일) - 인쇄 및 제본 일정에 따라 출간일이 변경될 수 있는 점 참고 부탁드립니다. 배송은 도서 출간되는 대로 순차적으로배송해드립니다. 바른의학연구소 기존 애독자분들께 드리는 특별한 혜택! 오직 신간도서 사전예약 구매자에게만 적용해드리는 이벤트입니다. 오래 기다려주신 만큼 파격적인 혜택을 가지고 왔으니 이번 이벤트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아래에 해당하는 분들께 사전예약 이벤트 안내 메일을 보내드립니다. 신간도서 사전예약 이벤트 안내 메일 대상자 1. 신간도서 이벤트 안내 메일을 받고 있던 기존 애독자분들(구매자분들 또는 메일수신

[메타메딕] 구독 콘텐츠 무료 구독방법 안내 (대상: 기본일차진료매뉴얼 3판, 응급진료매뉴얼, 기본통증진료매뉴얼, 응급진료매뉴얼: 근골격편)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메타메딕(www.metamedic.co.kr) 사이트에서 구독하기 기능이 추가되어 소개해드립니다. 그동안 구독하기 기능이 없어, 콘텐츠를 업로드 하고도 발행을 하지 못하고 있었는데요. 이번에 구독하기 기능이 추가되면서 SMART 기본일차진료매뉴얼 3판 종이책 전체 콘텐츠가 발행되었습니다. 그럼 메타메딕 구독 콘텐츠 구독 방법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콘텐츠 공개설정: 전체공개 / 회원공개 / 구독공개 구독공개 콘텐츠 구독방법 ※ 위치: 로그인 > 내 서재 > 구독 > 구독하기 ※ 구독공개 콘텐츠: 콘텐츠 업로드가 일정부분 진행된 도서를 대상으로 구독 서비스를 진행합니다. 1 도서 구매 전 - 1일 무료 구독 도서 전체 콘텐츠를 1일 동안 무료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도서 구매 전에 도서 내용을 미리 확인해 보실 수 있습니다. (1일 무료구독 신청은 각 도서별 1번만 가능합니다.) 대상도서: SMART 기본일차진료매뉴얼 3/e(2022), S

점액작용제(거담제)(Mucoactive agents)- Expectorant, 점액용해제 Mucolytics, Guaifenesin, ipratropium, marcrolide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바른의학연구소 대표도서 SMART 기본일차진료매뉴얼 3판 콘텐츠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기본일차진료매뉴얼은 SMART 일차진료매뉴얼(근거편) 2판의 개정판입니다. 일차진료에 관한 기본적이고 전체적인 뼈대를 구축하는 바른의학연구소 일차진료매뉴얼 시리즈의 대표도서 SMART 기본일차진료매뉴얼 3판에 대해 보다 자세히 알고 싶으신 분은 블로그 글 하단에 있는 링크를 확인해주세요!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SMART 기본일차진료매뉴얼 3/e(2022) > 호흡기/알레르기 > 호흡기/알레르기에 흔히 사용되는 약물 에 있는 점액작용제(거담제)(Mucoactive agents) 입니다. 메타메딕 > BOOK > 책별 > SMART 기본일차진료매뉴얼 3/e(2022) > 호흡기/알레르기 메타메딕 - 점액작용제(거담제)(Mucoactive agents) 목차 점액작용제(거담제)(Mucoactive agents) 1 점액작용제(거담제): Overview 1. 거

정신상태/의식 변화(Altered mental status, AMS)에 대한 접근: 의식수준 상태, 감별진단, 혼수(Coma), 의식 혼미/섬망(confusion/delirium)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SMART 응급진료매뉴얼 세트 콘텐츠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SMART 응급진료매뉴얼은 지방 2차병원급 응급실(특히 일반의, 가정의학과 전문의 등이 응급진료를 담당하고 있는 응급실)로 내원하는 환자 진료에 필요한 내용을 다뤘습니다. SMART 응급진료매뉴얼에 대해 보다 자세히 알고 싶으신 분은 블로그 글 하단에 있는 링크를 확인해주세요!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SMART 응급진료매뉴얼 > V/S을 안정화시키자! > 정신상태변화(Altered mental status), 의식저하 에 있는 정신상태/의식 변화(Altered mental status)에 대한 접근 입니다. 메타메딕 > BOOK > 책별 > SMART 응급진료매뉴얼 1/e(2022) > V/S을 안정화시키자! metamedic - 정신상태/의식 변화(Altered mental status)에 대한 접근 목차 정신상태/의식 변화(Altered mental status, AMS)에 대한

심부전(Heart failure) - 치료, 약물, 처방예시, ARNI, Torsemide, Furosemide, Spironolactone, Spironolactone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SMART 일차진료매뉴얼 시리즈의 한 축인 SMART 일차진료매뉴얼: 실전편 (향후 SMART 실전일차진료매뉴얼 로 도서명 변경 예정) 콘텐츠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SMART 일차진료매뉴얼: 실전편에 대해 보다 자세히 알고 싶으신 분은 블로그 글 하단에 있는 링크를 확인해주세요!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SMART 일차진료매뉴얼: 실전편 > 심혈관 에 있는 심부전(Heart failure) 입니다. 메타메딕 > BOOK > 책별 > SMART 일차진료매뉴얼: 실전편 1/e(2019) > 심혈관 Metamedic - 심부전(Heart failure) 목차 심부전(Heart failure) 1. Core review 2. Practical guide: 진단/평가 내용은 Metamedic 사이트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포스트 하단 링크 참조) 1 Core review 1. 개요 1) “박출률 저하 심부전(heart failure with re

쉰소리/발성장애 Hoarseness, dysphonia- 원인/질환/유발약물, Vocal nodule, polyp, Sulcus vocalis, 후두경 검사 Laryngoscopy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일차진료에 관한 기본적이고 전체적인 뼈대를 구축하는 바른의학연구소 일차진료매뉴얼 시리즈의 대표도서인 SMART 기본일차진료매뉴얼 3판 콘텐츠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SMART 기본일차진료매뉴얼 3판에 대해 보다 자세히 알고 싶으신 분은 블로그 글 하단에 있는 링크를 확인해주세요! (전체 목차 및 샘플 미리보기)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SMART 기본일차진료매뉴얼 3판 > 귀,코,두경부 > 두경부 증상/질환 > 인후두 증상 및 질환 에 있는 쉰소리/발성장애(Hoarseness, dysphonia) 입니다. 메타메딕 > BOOK > 책별 > SMART 기본일차진료매뉴얼 3/e(2022) > 귀,코두경부 쉰소리/발성장애(Hoarseness, dysphonia) 1 쉰소리/발성장애: 원인 및 감별진단 1. 쉰소리와 연관된 질환 • Acute/chronic laryngitis (42.1%/9.7%) • Functional dysphonia (30%)

용혈요독증후군(Hemolytic-uremic syndrome) - 개요(미세혈관병증 용혈 빈혈, 혈소판감소증), 진단, 치료(Plasmapheresis, eculizumab 등)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SMART 소아진료매뉴얼 3판 콘텐츠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SMART 소아진료매뉴얼 3판에 대해 보다 자세히 알고 싶으신 분은 블로그 글 하단에 있는 링크를 확인해주세요!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SMART 소아진료매뉴얼 3판 > 신장/비뇨기 > [Online] [신·요로질환] 전신 질환 연관 신질환 에 있는 [Online] 용혈요독증후군(Hemolytic-uremic syndrome) 입니다. 해당 콘텐츠는 종이책에는 수록되지 않은 Online 콘텐츠로 메타메딕 사이트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포스트 하단 링크 참조) 메타메딕 > BOOK > 책별 > SAMRT 소아진료매뉴얼 3/e(2022) > 신장/비뇨기 용혈요독증후군(Hemolytic-uremic syndrome) 목차 용혈요독증후군(Hemolytic-uremic syndrome) 개정포인트 새로 추가된 항목 1 Core review 1. 개요 1) 특징(triad) 1. 미세혈관

망막박리 (Retinal detachment): 개요, 임상양상, 진단, 치료 - 망막열공, 열공 망막박리 Rhegmatogenous, 비열공, 일차, 속발, 견인, 삼출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바른의학연구소 대표도서인 SMART 기본 일차진료매뉴얼 3판 (SMART 일차진료매뉴얼 2판(근거편)의 개정판) 콘텐츠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SMART 기본 일차진료매뉴얼 3판에 대해 보다 자세히 알고 싶으신 분은 블로그 글 하단에 있는 링크를 확인해주세요!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SMART 기본 일차진료매뉴얼 3판 > 눈 > 주요 눈 증상 및 질환 > [Online] 망막질환 에 있는 망막박리(Retinal detachment) 입니다. 해당 콘텐츠는 종이책에는 수록되지 않은 Online 콘텐츠입니다. (메타메딕 사이트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블로그 포스트 하단 링크 참조) 메타메딕 > BOOK > 책별 > SMART 기본 일차진료매뉴얼 3/e(2022) > 눈 메타메딕 - 망막박리(Retinal detachment) 목차 망막박리(Retinal detachment) 1 개요 • 태생기에 눈소포(optic vesicle)가 함입(i

금연의 약물요법 - 니코틴 대체치료(니코틴 패치, 껌, 트로키 TROCHE), 부프로피온 Bupropion, 바레니클린, 병합 - 개요 / 종류 / 사용법 / 부작용 / 주의사항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바른의학연구소 대표 도서인 SMART 기본 일차진료매뉴얼 3판 콘텐츠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SMART 기본 일차진료매뉴얼 3판에 대해 보다 자세히 알고 싶으신 분은 블로그 글 하단에 있는 링크를 확인해주세요!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SMART 기본 일차진료매뉴얼 3/e(2022) > 질병예방/건강증진/건강검진 > 금연 클리닉 에 있는 금연의 약물요법 입니다. 메타메딕 > BOOK > 책별 > SMART 기본 일차진료매뉴얼 3/e(2022) > 질병예방/건강증진/건강검진 메타메딕 > 금연의 약물요법 목차 금연의 약물요법 1 니코틴 대체치료 1. 니코틴 대체치료(nicotine replacement therapy)란? • 니코틴 의존을 근본적으로 치료하기 보다는 금연으로 유발된 니코틴 금단증상을 경감시키기 위해, 흡연이 아닌 다른 방법으로 니코틴을 대체 공급하여 니코틴의 혈중농도를 유지시키는 치료 • 니코틴을 대체 공급하는 투입경로에 따라 패치

[실전진료] 고혈압(Hypertension) - 치료, 1차 치료제(약제, 약물), 베타차단제, ACEi, ARB, CCB, diuretics, BB, Lipitor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바른의학연구소 대표시리즈 일차진료매뉴얼 시리즈의 한 축인 SMART 일차진료매뉴얼: 실전편 콘텐츠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SMART 일차진료매뉴얼: 실전편에 대해 보다 자세히 알고 싶으신 분은 블로그 글 하단에 있는 링크를 확인해주세요!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SMART 일차진료매뉴얼: 실전편 > 심혈관 고혈압(Hypertension) 입니다. 메타메딕 > BOOK > 책별 > SMART 일차진료매뉴얼: 실전편 1/e(2019) > 심혈관 메타메딕 > BOOK > 책별 > SMART 일차진료매뉴얼: 실전편 1/e(2019) > 심혈관 > 고혈압(Hypertension) 목차 고혈압(Hypertension) 추가내용 및 Reference • Whelton PK, Carey RM, Aronow WS, Casey DE Jr, Collins KJ, Dennison Himmelfarb C, DePalma SM, Gidding S, Jamerson KA

고칼륨혈증이란? Hyperkalemia - 원인, 진단(전해질 검사, 심전도), 치료(Calcium gluconate, Sodium bicarbonate, furosemide 등)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도 어제에 이어 바른의학연구소 대표도서인 SMART 기본일차진료매뉴얼 3판 콘텐츠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SMART 기본일차진료매뉴얼 3판에 대해 보다 자세히 알고 싶으신 분은 블로그 글 하단에 있는 링크를 확인해주세요!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SMART 기본일차진료매뉴얼 3판 > 신장비뇨기 > 신장/비뇨기 진료를 위한 기초 > [Online] 전해질 검사의 해석 에 있는 칼륨: 저칼륨혈증(Hypokalemia), 고칼륨혈증(Hyperkalemia) 입니다. 해당 콘텐츠는 종이책에는 수록되지 않은 Online으로만 제공되는 콘텐츠입니다. (블로그 포스트 하단 링크 잠조) 메타메딕 > BOOK > 책별 > SMART 기본일차진료매뉴얼 3/e(2022) > 신장비뇨기 메타메딕 > 기본일차진료매뉴얼 > 칼륨: 저칼륨혈증(Hypokalemia), 고칼륨혈증(Hyperkalemia) 목차 칼륨: 저칼륨혈증(Hypokalemia), 고칼륨혈증(Hyperka

고나트륨혈증이란? (Hypernatremia) - 원인, 임상양상, 진단적 접근, 치료(수분결핍 계산법, Water deficit, 교정 속도, 수액의 종류)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바른의학연구소 대표도서인 SMART 기본일차진료매뉴얼 3판 (구 SMART 일차진료매뉴얼(근거편) 2판) 콘텐츠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SMART 기본일차진료매뉴얼 3판에 대해 보다 자세히 알고 싶으신 분은 블로그 글 하단에 있는 링크를 확인해주세요! (전체 목차 및 샘플 미리보기)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SMART 기본일차진료매뉴얼 3/e(2022) > 신장비뇨기 > 신장/비뇨기 진료를 위한 기초 > [Online] 전해질 검사의 해석 > 나트륨: 저나트륨혈증, 고나트륨혈증 에 있는 고나트륨혈증(Hypernatremia) 입니다. 해당 콘텐츠는 종이책에 수록되지 않은 Online supplement 콘텐츠입니다. (해당 콘텐츠는 메타메딕 사이트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블로그 하단 링크 참조) 메타메딕 > BOOK > 책별 > SMART 기본일차진료매뉴얼 3/e(2022) > 신장비뇨기 나트륨: 저나트륨혈증(Hyponatremia), 고나

허혈성 심질환: 안정형 (SIHD) - 진단(검사), 치료, 약물, SCAD, OMT, 이형성협심증, aspirin, Nifedipine, rosuvastatin 등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바른의학연구소 대표도서 중 하나인 SMART 일차진료매뉴얼: 실전편 콘텐츠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실전편에 대해 보다 자세히 알고 싶으신 분은 블로그 글 하단에 있는 링크를 확인해주세요! (전체 목차 및 샘플 미리보기)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SMART 일차진료매뉴얼: 실전편 > 심혈관 > 가슴통증(흉통)/허혈성심질환 에 있는 허혈성 심질환: 안정형 허혈성 심질환 (Stable ischemic heart disease, SIHD) 입니다. 메타메딕 > BOOK > 책별 > SMART 일차진료매뉴얼: 실전편 1/e(2019) > 심혈관 메타메딕 > 실전편 > 허혈성 심질환: 안정형 허혈성 심질환 (Stable ischemic heart disease, SIHD) 목차 허혈성 심질환: 안정형 허혈성 심질환 (Stable ischemic heart disease, SIHD) 1 Core review 1. 개요 2. 진단 3. 치료 허혈성 심질환:안

그람음성균에 의한 질환 - Neisseria 감염(수막알균,임균), 녹농균, 에시네토박터, 살모넬라, 시겔라, 비브리오, 그람음성 장내세균, Campylobacter, 레지오넬라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도 바른의학연구소 대표 도서 중 하나인 SMART 기본일차진료매뉴얼 3판 콘텐츠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SMART 기본일차진료매뉴얼 3판에 대해 보다 자세히 알고 싶으신 분은 블로그 글 하단에 있는 링크를 확인해주세요! (전체 목차 및 샘플 미리보기)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SMART 기본일차진료매뉴얼 3판 > 전신/감염 > 주요 감염질환 진료 > 주요 세균감염(NEW, 3판) 에 있는 [Online] 그람음성균에 의한 질환 입니다. 해당 콘텐츠는 종이책에는 수록되지 않은 Online 콘텐츠입니다. (Online 콘텐츠는 메타메딕 사이트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메타메딕 > BOOK > 책별 > 기본일차진료매뉴얼 3판 > 전신/감염 메타메딕 > BOOK > 책별 > 기본일차진료매뉴얼 3판 >[Online] 그람음성균에 의한 질환 목차 그람음성균에 의한 질환 1 Neisseria 감염: 수막알균(Meningococcus) 감염 1. 개요 1)

항레트로바이러스제(Anti-retroviral agent) - HIV 생활사, 역사, HIV 치료제, 약제(NRTI, NNRTI, PI, Ritonavir 등)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도 어제에 이어 약처방 시리즈 중 하나인 항생제 처방의 정석: 기본편 콘텐츠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항생제 처방의 정석: 기본편에 대해 보다 자세히 알고 싶으신 분은 블로그 글 하단에 있는 링크를 확인해주세요! (전체 목차 및 샘플 미리보기)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항생제 처방의 정석: 기본편 > 지피지기 감염병 진료전략: 바이러스 vs 항바이러스제 > 아군을 알자! 주요 항바이러스제 에 있는 항레트로바이러스제(Anti-retroviral agent) 입니다. 어제 업로드한 포스트를 확인 못하신 분은 이전 포스트도 함께 확인해주세요^^ [블로그글] 항바이러스제 Antiviral agents: Acyclovir(ACV), Valacyclovir, Ganciclovir, FCV, PCV, Ribavirin, Tenofovir 등 메타메딕 > BOOK > 책별 > 항생제 처방의 정석: 기본편 1/e > 지피지기 감염병 진료전략: 바이러스 vs 항바이러

항바이러스제 Antiviral agents: Acyclovir(ACV), Valacyclovir, Ganciclovir, FCV, PCV, Ribavirin, Tenofovir 등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약처방 시리즈 중 하나인 항생제 처방의 정석: 기본편 콘텐츠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항생제 처방의 정석: 기본편에 대해 보다 자세히 알고 싶으신 분은 블로그 글 하단에 있는 링크를 확인해주세요! (전체 목차 및 샘플 미리보기)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항생제 처방의 정석: 기본편 > 지피지기 감염병 진료전략: 바이러스 vs 항바이러스제 > 아군을 알자! 주요 항바이러스제 에 있는 항바이러스제(Antiviral agents) 입니다. 메타메딕 > BOOK > 책별 > 항생제 처방의 정석: 기본편 1/e > 지피지기 감염병 진료전략: 바이러스 vs 항바이러스제 메타메딕 > BOOK > 책별 > 항생제 처방의 정석: 기본편 1/e > 항바이러스제 목차 항바이러스제(Antiviral agents) 1 개요 1. 항바이러스제의 개발 • 바이러스는 세포 내에 기생하므로 바이러스의 증식은 세포의 대사과정과 연관됨→ 항바이러스 효과를 가지는 약물이 세포에도

[실전] 기침(만성기침 중심)(Chronic cough) - 진단, 원인: 상기도기침증후군(UACS), 천식, 위식도역류질환(GERD), 비천식성 호산구 기관지염(NAEB), 치료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바른의학연구소 대표 시리즈 일차진료매뉴얼 시리즈의 큰 축인 SMART 일차진료매뉴얼: 실전편 콘텐츠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SMART 일차진료매뉴얼: 실전편에 대해 보다 자세히 알고 싶으신 분은 블로그 글 하단에 있는 링크를 확인해주세요! (전체 목차 및 샘플 미리보기)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SMART 일차진료매뉴얼 : 실전편 > 호흡기/알레르기 에 있는 [실전진료] 기침(만성기침을 중심으로)(Cough/Chronic cough) 입니다. 메타메딕 > BOOK > 책별 > SMART 일차진료매뉴얼: 실전편 1/e(2019) > 호흡기/알레르기 메타메딕 > 실전편 > 기침(만성기침을 중심으로)(Cough/Chronic cough) 목차 기침(만성기침을 중심으로)(Cough/Chronic cough) 1 Core review Core review 내용은 메타메딕 사이트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블로그 하단 링크 참조) 2 Practical

항진균제(Antifungal agents): Nystatin - 개요, 작용기전, 부작용, Taro Nystatin Syrup, PMS-Nystatin Syrup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약처방 시리즈 중 하나인 항생제 처방의 정석: 기본편 콘텐츠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항생제 처방의 정석: 기본편에 대해 보다 자세히 알고 싶으신 분은 블로그 글 하단에 있는 링크를 확인해주세요!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항생제 처방의 정석: 기본편 > 지피지기 감염병 진료전략: 진균/기생충 vs 항진균제/항기생충제 > 아군을 알자! 주요 항진균제/항기생충제 > 항진균제(Antifungal agents) 에 있는 항진균제(Antifungal agents): Nystatin 입니다. 메타메딕 > BOOK > 책별 > 항생제 처방의 정석: 기본편 1/e > 항진균제 목차 항진균제(Antifungal agents): Nystatin 1 개요 • amphotericin B와 유사한 구조를 갖는 polyene 계열의 항진균제 • 주사제로는 사용할 수 없고, 경구투여 시 흡수가 안 되어 구인두, 식도, 소화관 등의 점막 칸디다증 치료에 국소도포제로 사용 2

[신간도서] 사전예약 이벤트 안내(Mail 및 SMS 발송) 신청방법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신간도서가 출간되기 전에 사전예약 이벤트를 진행합니다. 수신동의하신 분들에 한해 이메일로 이벤트 안내 메일이 발송됩니다. (아래에 있는 이메일 수신 대상자를 확인해보시고, 해당하지 않으실 경우 구글설문지로 신청해주세요.) 2023년 신간도서 사전예약 이벤트 소개(진행예정) - 자세한 내용은 이벤트 진행 시 메타메딕 및 블로그를 통해 다시 안내해드리겠습니다. (2023년 첫 신간도서 출간기념으로 파격적인 혜택을 제공할 예정입니다. 기대하셔도 좋습니다^^) 신간도서 전체 내용을 미리 확인해보고, 결정하세요! 메타메딕 사이트(metamedic.co.kr)에서 기본통증진료매뉴얼 전체 내용을 1일 동안 무료로 확인하실 수 있도록 1일 무료 구독 신청 기능을 추가할 예정입니다. (자세한 사항은 추후 다시 안내해드리겠습니다.) 이벤트 안내 기간: 2022년 12월 중~1월 신간도서 출간예정일: 2023년 1월 중 신간도서 SMART 기본 통증진료매뉴얼: 기본개념

[실전진료]눈꺼풀 발적/부종/동통: 다래끼(Hordeolum, stye) - 임상양상, 진단, 치료 - 바깥다래끼, 속다래끼, 콩다래끼(chalazion)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일차진료매뉴얼 시리즈의 큰 축 중 하나인 SMART 일차진료매뉴얼: 실전편 도서 콘텐츠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자세한 도서 소개 및 샘플 미리보기를 확인하실 분은 공식 쇼핑몰 상세페이지를 확인해주세요. (아래 이미지 클릭 시 이동)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SMART 일차진료매뉴얼: 실전편 > 눈/귀/코/입/두경부 에 있는 눈꺼풀 발적/부종/동통: 다래끼(Hordeolum) 입니다. 메타메딕 사이트(metamedic.co.kr)에서도 전체 목차 및 샘플 콘텐츠들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메타메딕>BOOK>책별>SMART 일차진료매뉴얼: 실전편 1/e(2019) - 다래끼 목차 눈꺼풀 발적/부종/동통: 다래끼(Hordeolum) 1 Core review 1. 다래끼(hordeolum, stye) 1) 임상양상 바깥다래끼(external hordeolum) 속다래끼(internal hordeolum) 개요 속눈썹선(lash line)의 바로 앞에

[실전] 변비 · 완하제(Laxative) - 팽창성 완하제(Bulking), 삼투성 완하제(Osmotic), 자극성 완하제(Stimulant), 대변 연화제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SMART 기본일차진료매뉴얼 3판 Online Supplement 콘텐츠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오늘 올려드릴 콘텐츠는 SMART 기본일차진료매뉴얼 3판 > 소화기 > 소화기 진료를 위한 기초 > [Online] 소화기에 주로 사용되는 약물 > 변비완하제(Laxatives) 에 있는 [실전진료] 변비· 완하제(Laxative) 입니다. 메타메딕 > BOOK > 책별 > SMART 기본일차진료매뉴얼 3/e(2022) > 변비완하제(Laxatives) 목차 해당 콘텐츠는 종이책에는 수록되지 않은 콘텐츠입니다. 전체 콘텐츠는 메타메딕 사이트(metamedic.co.kr)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블로그 포스트 하단 링크 참조) [실전진료] 변비· 완하제(Laxative) 참조. [실전진료] 변비(Constipation) [실전진료] 변비(Constipation) 1 주요 약물 1. 팽창성 완하제(Bulking laxative) Psyllium,

불면증 Insomnia 약물 - Benzodiazepine BDZ, alprazolam(xanax), zolpidem, Eszopiclone, Trazodone, Melatonin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바른의학연구소 대표도서 중 하나인 SMART 일차진료매뉴얼: 실전편 콘텐츠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실전편은 기존 근거편과 상호보완 관계를 갖는 일차진료매뉴얼 시리즈의 핵심 두 축입니다. (근거편은 올해 개정판이 나오면서 기본일차진료매뉴얼로 명칭이 변경됨) 자세한 내용은 아래 출간연혁을 확인해주세요. 실전편이 궁금하신 분들은 실전편 샘플 미리보기를 확인해보세요! (이미지 클릭 시 쇼핑몰 상세페이지로 이동됩니다.) 오늘 소개해드리는 콘텐츠는 SMART 일차진료매뉴얼: 실전편 > 신경/정신 > 수면장애(불면증)[Sleep disorder(insomnia)] 에 토픽에 속하는 [실전진료] 불면증(Insomnia) 입니다. 해당 콘텐츠는 online supplement로 종이책에는 수록되어있지 않습니다. 콘텐츠는 메타메딕(metamedic.co.kr) 사이트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블로그 글 하단 링크 참조) 메타메딕 > BOOK > 책별 > SM

황달(Jaundice, 고빌리루빈혈증) - 원인 및 감별진단: 결합/비결합, 빌리루빈 Bilirubin, hepatocellular, ALP, AST, ALT, 간세포, 담즙정체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감별진단의 정석 도서 콘텐츠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감별진단의 정석은 Main Conditions를 중심으로 임상적으로 흔히 발생하는 원인 질환의 감별진단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습니다. 임상의학 전반에 걸친 진단과 검사를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임상 의사, 임상 한의사, 의과대학생, 한의과대학생, 보건소 등 모든 보건의료인이 활용할 수 있는 임상지침서입니다. 감별진단의 정석 전체 목차 및 샘플 미리보기를 확인하실 분은 아래 이미지를 클릭해주세요! (공식 쇼핑몰 감별진단의 정석 페이지로 이동됩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감별진단의 정석 > 소화기 문제 (Gastrointestinal problems) > 황달(Jaundice) 에 있는 황달(Jaundice): Possible conditions 와 황달(Jaundice): Approach to the patient 입니다. Metamedic > BOOK > 책별 > 감별진단의

만성 C형간염(hepatitis C): 진단, 치료, 급여기준 - 혈청검사, HCV, Ab, RNA, genotype, 간생검, 간섬유화검사, DAA, 경구제, 리바비린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바른의학연구소 대표 시리즈인 일차진료매뉴얼 시리즈에 속하는 SMART 일차진료매뉴얼: 실전편 도서 콘텐츠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SMART 일차진료매뉴얼: 실전편 > 소화기 에 있는 만성 C형간염(Chronic hepatitis C) 입니다. Metamedic > BOOK > 책별 > 실전일차진료매뉴얼 1/e(2019) > 만성 C형 간염(Chronic hepatitis C) 목차 만성 C형 간염(Chronic hepatitis C) 1 Core review 추가내용 및 Reference • 대한간학회. 만성B형간염 진료 가이드라인. 2017 • EASL guideline(2018) 1. 진단 • HCV 선별검사 대상: 고위험군 + HCV 유병률이 증가하는 40대 이상 • 급성 또는 만성간염이 의심되는 경우 → HCV 감염여부 확인을 위해 HCV 항체검사 시행 HCV 항체 양성: 혈중 HCV RNA 검사 → HCV 감

리스테리아(Listeria)균 감염 - 개요(병원체, 병원소, 전파경로), 임상 증상, 진단, 치료(항생제, 치료 기간)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SMART 내과 1권: 바이탈, 감염, 종양, 류마티스(개정2판) 콘텐츠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SMART 내과(개정 2판)는 Basic 시리즈 도서로 내과 진료 및 일차진료의 기본기를 다지는 데 유용한 도서입니다. 내과에 중점을 두고 일차진료뿐 아니라, 3차 병원 외래 진료, 입원진료와 연관된 전문진료영역까지 망라한 책입니다. SMART 내과 1권 전체 목차 및 미리보기 샘플을 확인해보세요! (아래 이미지 클릭 시 쇼핑몰 상세페이지로 이동) SMART 내과는 총 4권으로 구성됩니다. 현재는 1권. 바이탈, 감염, 종양, 류마티스만 종이책으로 출간되었습니다. 2권. 소화기(위장관, 간담췌) 3권. 심혈관, 혈액 4권. 호흡기/알레르기, 내분비, 신장비뇨기 는 추후 종이책으로 출간 또는 Metamedic 사이트를 통해 Online 콘텐츠로 발행될 예정입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SMART 내과 1권: 바이탈, 감염, 종양, 류마티스(개정 2

[약물 리뷰] Clonazepam 클로나제팜 (Rivotril 리보트릴정) - 급여기준, 용법/용량, 처방 (뇌전증, 불안장애, 공황장애, 렘수면행동장애, 불면증, 우울증)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알라딘 의학분야 주간 베스트 1위, 의약학간호계열 전체 5위에도 올랐었던 약처방의 정석 도서 콘텐츠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약처방의 정석 > 신경/정신 > 신경/정신계에 주로 사용되는 약물 >GABA 및 Glutamate성 신경전달 관련약물 > Benzodiazepine 에 있는 [Online supplement][다용도 약물 리뷰] Clonazepam 클로나제팜 (Rivotril 리보트릴정) 입니다. 해당 콘텐츠는 online supplement로, 종이책 도서에는 포함되지 않은 내용입니다. 해당 내용은 의학서적 사후 관리를 위한 공간인 메타메딕 사이트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블로그 포스트 하단 링크를 참조해주세요.) 메타메딕 > BOOK > 책별 > 약처방의 정석 1/e > 신경/정신 메타메딕 > 약처방의 정석 > benzodiazepine 목차 [다용도 약물 리뷰] Clonazepam 클로나제팜 (Rivotr

비만(Obesity): 약물 치료 - Phentermine, Orlistat, Liraglutide, Bupropion / Naltrexone, Topiramate (Qsymia)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바른의학연구소 대표도서인 SMART 기본일차진료매뉴얼 3판 콘텐츠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기본일차진료매뉴얼 3판 출간연혁> 2011년 - 근거중심의 외래진료매뉴얼 2013년 - SMART 일차진료매뉴얼 1판: 성인편 2017년 - SMART 일차진료매뉴얼 2판(근거편으로 불림) 2022년 - SMART 기본일차진료매뉴얼 3판 일차진료매뉴얼 시리즈 전체 출간연혁은 아래 내용을 참고해주세요!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SMART 기본일차진료매뉴얼 3판 > 질병예방/건강증진/건강검진 > 비만 클리닉 > 비만의 약물치료 에 있는 [Online supplement] 비만(Obesity): 약물 치료 (1) 메인 약물 입니다. 해당 콘텐츠는 종이책에는 없는 online supplement 콘텐츠로, 메타메딕 사이트에서 해당 내용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블로그 포스트 하단 링크 참조) 메타메딕 > BOOK > 책별 > SMART 기본일차진료매뉴얼 3/e

[메타메딕] 신규 콘텐츠 목록 메일링 서비스(Weekly Newsletter)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메타메딕 사이트(metamedic.co.kr)에서 진행하는 신규 서비스 소개를 해드리겠습니다. 메타메딕 사이트_홈화면 소개해드릴 서비스는 주간 신규 콘텐츠 목록 메일링 서비스 (Weekly Newsletter) 입니다. Weekly Newsletter - 메타메딕 사이트(metamedic.co.kr) 메일링 수신동의해주신 회원분들에 한해서 한 주 동안 업로드된 신규 콘텐츠 목록을 메일로 안내해드립니다. 1 뉴스레터 발송 시간 - 매주 월요일 오전 8시 2 뉴스레터 콘텐츠 목록 - 전주 월요일~일요일 신규 발행된 콘텐츠 3 뉴스레터 수신 동의 설정 - 로그인 > 내정보 수정 > 메일링 체크 메일링 동의하신 분들께는 신간도서 사전판매 할인 이벤트 안내 메일도 보내드립니다. 곧 출간될(23년 1월 중 출간 예정) "기본통증진료매뉴얼: 기본개념 및 전략", "기본통증진료매뉴얼: 부위별 접근" 도서 사전판매 이벤트(할인 이벤트) 안내 메일을 받길 희망

편두통(Migraine) 치료 - Triptan (sumatriptan), propranolol, amitriptyline, aspirin, acetaminophen(AAP)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바른의학연구소 대표 시리즈인 SMART 일차진료매뉴얼 시리즈 도서 콘텐츠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SMART 기본일차진료매뉴얼 3판 > 신경/정신 > 증상/징후/질환별 접근 > 두통(Headache) > 편두통(Migraine) 메타메딕 > BOOK > 책별 > 기본일차진료매뉴얼 3/e(2022) > 편두통(Migraine) 목차 그리고 SMART 실전일차진료매뉴얼 1판 > 신경/정신 > 두통(Headache) >편두통(Migraine) 메타메딕 > BOOK > 책별 > 실전일차진료매뉴얼 1/e(2019) > 편두통(Migraine) 목차 에 있는 [실전진료] 편두통(Migraine) 치료 콘텐츠입니다. 해당 콘텐츠는 Online supplement 콘텐츠로 종이책 도서에는 포함되지 않은 보충 내용입니다. Online supplement 콘텐츠들은 메타메딕 사이트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블로그 포스트 하단 링크를 참조

[실전진료] 급성충수염(Acute appendicitis) - 치료, abdominal pain, Cefaclor, Metronidazole, Acetaminophen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SMART 기본 일차진료매뉴얼 3판과 함께 일차진료매뉴얼 시리즈를 구성하고 있는 SMART 일차진료매뉴얼: 실전편 (추후 SMART 실전일차진료매뉴얼로 도서명 변경 예정) 콘텐츠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오늘 소개해드리는 콘텐츠는 SMART 일차진료매뉴얼: 실전편 > 소화기 에 있는 급성충수염(Acute appendicitis) 입니다. 메타메딕(metamedic.co.kr) > BOOK > 책별 > 실전일차진료매뉴얼 1/e(2019) > 소화기 Metamedic > BOOK > 책별 > 실전일차진료매뉴얼 1/e(2019) > 급성충수염(Acute appendicitis) 목차 급성충수염(Acute appendicitis) Core review와 Practical guide: 진단/평가는 메타메딕 사이트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블로그 포스트 하단 링크 참조) 1 Core review 1. 병력/신체검사 급성충수돌기염을 진단하는 데 도움이 되

뇌수막염(Meningitis) - 원인, 진단 (증상, 뇌척수액 검사 : 적응증, 검사해석), 치료 (항생제 : Ampicillin, cefotaxime, Vancomycin 등)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SMART 소아진료매뉴얼 3판 도서 콘텐츠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SMART 소아진료매뉴얼 3판 > 신경/정신 에 있는 중추신경계감염(CNS infection): 뇌수막염(Meningitis) 입니다. 메타메딕(metamedic.co.kr) > BOOK > 소아진료매뉴얼 3/e(2022) > 신경/정신 Metamedic > BOOK > 소아진료매뉴얼 3/e(2022) > 신경/정신 > 뇌수막염(Meningitis) 목차 뇌수막염(Meningitis) 개정포인트 key reference update 1 Core review 1. 개요 표. 세균 수막염의 원인 병원체: 연령별 세균 연령 <1개월 1-<3개월 >3-35개월 3-9세 10-18세 Streptococcus pneumoniae 1-4% 14% 45% 47% 21% Neisseria meningitidis 1-3% 12% 34% 32% 55% Group B Stre

[실전] 과민대장증후군 치료 -약물, Trimebutine, Tiropramide, Lactobacillus, Etizolam, probiotics, Butylscopolamine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SMART 일차진료매뉴얼 시리즈 중 하나인 SMART 일차진료매뉴얼: 실전편 도서 콘텐츠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실전편은 토픽별로 Core review Practical guide Case based approach 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실전편 활용가이드를 참고해주세요. 실전편 - 활용가이드 1 실전편 - 활용가이드 2 실전편 - 활용가이드 3 실전편 - 활용가이드 4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SMART 일차진료매뉴얼: 실전편 > 소화기 > 기능성 위장장애 에 있는 과민대장증후군(Irritable bowel disease) 입니다. 메타메딕 사이트(metamedic.co.kr)에서 전체 목차 및 샘플 콘텐츠들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메타메딕 > BOOK > 책별 > 실전일차진료매뉴얼 1/e(2019) > 과민대장증후군 목차 [실전진료] 과민대장증후군(Irritable bowel disease) 아래에 있는 Core review

대사성 산증(Metabolic acidosis): 원인, 진단, 치료 - 고음이온차, Anion Gap (AG), 요 음이온차, Serum Osmolal gap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SMART 응급진료매뉴얼 도서 콘텐츠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응급진료매뉴얼은 올해 5월 출간된 신간도서로 1,2권 세트 도서입니다. 1권: 응급진료 기초, 외상, 환경응급, 중독 2권: 계통별 응급진료 로 구성되어있습니다. SMART 응급진료매뉴얼 목차 전체 목차 및 샘플 미리보기를 확인하실 분들은 바른의학연구소 공식 쇼핑몰를 확인해주세요! (포스트 하단 링크 참조)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SMART 응급진료매뉴얼 > 응급진료를 위한 기본기 다지기 > 수액요법 > 산염기 장애 에 있는 대사성 산증(Metabolic acidosis) 입니다. 메타메딕(Metamedic.co.kr) 사이트에서도 전체 목차 및 샘플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메타메딕 > BOOK > 책별 > 응급진료매뉴얼 1/e(2022) > 대사성 산증 목차 화면 대사성 산증(Metabolic acidosis) 1 대사성 산증이란? • 혈중 중탄산염 농도(HCO3-) 감소와 이에

다뇨증(Polyuria) - Case, 원인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약처방의 정석과 함께 바른의학연구소 Review 시리즈의 핵심인 감별진단의 정석 도서 콘텐츠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감별진단의 정석은 Main Conditions를 중심으로 임상적으로 흔히 발생하는 원인질환의 감별진단을 상세하게 설명하고 있습니다. 임상의학 전반에 걸친 진단과 검사를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임상 의사, 임상 한의사, 의과대학생, 한의과대학생, 보건소 등 모든 보건의료인이 활용할 수 있는 임상 지침서입니다. 더 자세히 알아보고 싶으신 분은 아래 포스트를 확인해주세요. [도서 소개] 감별진단의 정석: Differential Diagnosis in Primary Care 감별진단의 정석 전체 목차 및 샘플 미리보기를 확인하시고 싶으신 분은 아래 이미지를 클릭해주세요. (쇼핑몰 상세페이지 이동)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감별진단의 정석 > 신장/비뇨생식기 문제(Renal/Genitourinary problems) 에 있

[실전진료] 외이도염(Otitis externa) - 진단/평가, 치료, 약물, 처방 예시, 급여기준, 상병명, 증례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SMART 기본 일차진료매뉴얼 3판(구. 근거편)과 함께 일차진료매뉴얼 시리즈의 핵심 도서인 SMART 일차진료매뉴얼: 실전편 (향후 실전 일차진료매뉴얼로 도서명 변경 예정) 콘텐츠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도서명이 헷갈리시는 분은 아래 일차진료매뉴얼 시리즈 출간연혁을 확인해주세요! SMART 일차진료매뉴얼 시리즈 출간 연혁 SMART 일차진료매뉴얼: 실전편 전체 목차 및 샘플미리보기 링크는 블로그 포스트 하단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SMART 일차진료매뉴얼: 실전편 > 눈/귀/코/입/두경부 에 있는 외이도염(Otitis externa) 입니다. 메타메딕 사이트에서도 도서 전체 목차 및 샘플 콘텐츠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메타메딕 > BOOK > 책별 > 실전일차진료매뉴얼 1/e(2019) - 외이도염(Otitis externa) 목차 [실전진료] 외이도염(Otitis externa) [실전진료] 외이도염(Otiti

노카르디아증(Nocardiosis)- 개요(병원체, 원인균, 발생현황), 임상양상(감염), 진단(염색법), 치료(Bactrim, TMP/SMX, Linezolid)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약처방의 정석, 스테로이드 처방의 정석(향후 출간예정) 등과 함께 임상에서 흔히 사용되는 약물 처방을 소개하는 약처방 시리즈 중 하나인 항생제 처방의 정석(기본편): 지피지기 처방전략 도서 콘텐츠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항생제 처방의 정석: 기본편은 적을 알자!와 아군을 알자 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적: 감염질환(세균 감염, 바이러스 감염, 진균 감염, 기생충 감염 등) * 아군: 항생제(항균제, 항바이러스제, 항진균제, 항기생충제 등)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항생제 처방의 정석: 기본편 > 지피지기 감염병 진료전략: 세균 vs 항균제 > 적을 알자! 주요 세균 감염 > 비정형 세균/기타 세균 감염 에 있는 노카르디아증(Nocardiosis) 입니다. 메타메딕 사이트(metamedic.co.kr)에서도 도서 전체 목차 및 샘플 미리보기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메타메딕 > BOOK > 책별 > 항생제 처방의 정석 1/e 노카르디아증(Noc

종양 표지자(Tumor marker)란? - 종류(β-hCG, Calcitonin, Catecholamines, AFP, CEA, PAP, NSE, LDH, PSA), 활용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SMART 내과 1권. 바이탈, 감염, 종양, 류마티스 콘텐츠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SMART 내과는 바른의학연구소 도서 중 Basic 시리즈 중 하나입니다. 내과에 중점을 두고 일차진료뿐 아니라 3차 병원 외래 진료, 입원진료와 연관된 전문진료영역까지 망라한 책입니다. 내과 진료 및 일차진료의 기본기를 다지는 데 유용한 도서입니다. SMART 내과는 Qbook, 스마트 내과진료매뉴얼(추후 출간예정)과 트로이카를 이루는 책이기도 합니다. 1. 스마트 내과: 보다 기본적인 내용에 초점을 맞춘 책 2. 스마트 내과진료매뉴얼: 보다 실전적인 내용에 초점을 맞춘 책 3. Q book: 증례 중심으로 이론을 실전에 접목시켜 주는 책 SMART 내과는 총 4권으로 구성됩니다. 현재는 1권. 바이탈, 감염, 종양, 류마티스만 종이책으로 출간되었습니다. 2권. 소화기(위장관, 간담췌) 3권. 심혈관, 혈액 4권. 호흡기/알레르기, 내분비, 신장비뇨기 는 추

[실전진료] 골다공증(Osteoporosis)- 진단(골밀도 검사, 골표지자), 치료제(약물 - Bisphosphonate, Alendronate, Denosumab, SERM)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알라딘 의학분야 주간 베스트 1위에도 올랐었던 약처방의 정석 콘텐츠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약처방의 정석 전체 목차 및 샘플 미리보기를 확인하실 분은 위 이미지를 클릭해주세요! (공식 쇼핑몰 상세페이지로 이동)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약처방의 정석 > 내분비 > 증상/질환별 약처방의 정석 > 골다공증 에 있는 [실전진료] 골다공증(Osteoporosis) 입니다. 해당 콘텐츠는 Online supplement 콘텐츠로 약처방의 정석 도서에는 미포함되어 있는 콘텐츠입니다. 해당 콘텐츠는 메타메딕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포스트 하단 링크를 확인해주세요!) 메타메딕(metamedic.co.kr) 사이트에서 약처방의 정석 전체 목차 및 샘플 콘텐츠들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메타메딕 > BOOK > 책별 > 약처방의 정석 1/e > 내분비 [실전진료] 골다공증(Osteoporosis) 1 실전진료: 진단 1. 골밀도 검사(Dexa bone den

대상포진(Herpes zoster): 백신 - 생백신(조스타박스) vs 사백신(싱그릭스)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많은 사랑을 받고 있는 바른의학연구소 대표도서 SMART 기본 일차진료매뉴얼 3판 콘텐츠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SMART 기본 일차진료매뉴얼 3판은 기존에 "SMART 일차진료매뉴얼 2판"의 개정판입니다. 일차진료매뉴얼 시리즈에 대해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 일차진료매뉴얼 출간연혁 이미지를 확인해주세요! SMART 일차진료매뉴얼 시리즈 출간 연혁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SMART 기본 일차진료매뉴얼 3판 > 전신/감염 > 예방접종 클리닉 > [Online] 예방 가능한 주요 감염병의 예방전략: 예방접종, 환자관리, 접촉자관리(노출 후 예방) > 수두 및 대상포진 에 있는 대상포진(Herpes zoster): 백신 - 생백신(조스타박스) vs 사백신(싱그릭스) 입니다. 이번 콘텐츠는 기본 일차진료매뉴얼 3판 도서에는 미포함된 내용이며, Online(메타메딕 사이트)을 통해서만 제공되는 콘텐츠입니다. 메타메딕(metamedic.co.kr) 사이트에

[소아] 야뇨증(Nocturia) - 개요/진단/치료 - 항이뇨호르몬 약물, desmopressin, oxybutynin, tolterodine, imipramine, 야뇨경보기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많은 사랑을 받고 개정 3판까지 나온 SMART 소아진료매뉴얼 3판 도서 콘텐츠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소아진료매뉴얼 3판 전체 목차 및 50p 샘플 미리보기를 확인하실 분은 아래 이미지를 클릭해주세요! (공식 쇼핑몰 상세페이지로 이동)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SMART 소아진료매뉴얼 3판 > 신장/비뇨기 에 있는 [주요 증상/징후] 야뇨증(Nocturia) 입니다. 메타메딕 사이트(metamedic.co.kr)에서도 전체 목차 및 샘플 콘텐츠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메타메딕 > BOOK > 책별 > SMART 소아진료매뉴얼 3/e(2022) > 신장/비뇨기 > 야뇨증(Nocturia) Metamedic > 소아진료매뉴얼 3판 > 신장/비뇨기 > 야뇨증(Nocturia) 목차 [소아] 야뇨증(Nocturia) 1 개정포인트 & KEY reference 새로 추가된 항목 • Lee ST, Kim SH. Pharmacological therap

동맥혈가스분석검사(ABGA) - 개요 (ABGA 검사란?, 검사항목) / 해석 (산소화(Oxygenation) 평가, PaO2, SaO2, CaO2)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SMART 응급진료매뉴얼 도서 콘텐츠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응급진료매뉴얼 목차 및 미리보기 샘플을 확인하실 분은 아래 이미지를 클릭해주세요! (쇼핑몰 상세페이지로 이동) 오늘 소개해드리는 콘텐츠는 SMART 응급진료매뉴얼 > V/S을 안정화시키자! > 호흡이 불안정한 경우: 기도 및 환기관리 > 호흡곤란/저산소혈증(Hypoxemia)의 접근 에 있는 동맥혈가스분석검사(ABGA) 입니다. 메타메딕(Metamedic.co.kr) 사이트에서 전체 목차를 한눈에 확인해보세요. 메타메딕 > BOOK > 책별 > SMART 응급진료매뉴얼 1/e(2022) > V/S을 안정화시키자! > 동맥혈가스분석검사(ABGA) 메타메딕 > SMART 응급진료매뉴얼 > 동맥혈가스분석검사(ABGA) 목차 동맥혈가스분석검사(ABGA) 1 개요 1. ABGA 검사란? • 호흡곤란을 호소하는 환자에서 기본적으로 흔히 시행하는 검사 • 호흡곤란 환자의 감별 진단, 중증도 판단,

칸디다증(Candidiasis) - 병원체, 임상양상(점막감염: 아구창, 식도, 위장관, 외음질염)(피부: 전신, 지간 미란증, 모낭염, 귀두포피염, 간찰진 등), 심부 장기 감염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항생제 처방의 정석: 기본편 콘텐츠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항생제 처방의 정석은 이미 출간된 "약처방의 정석", 향후 출간될 "스테로이드 처방의 정석" 등과 더불어 임상에서 흔히 사용되는 약물 처방을 소개하고 있는 일명 약처방 시리즈 서적입니다. 항생제는 임상에서 자신 있게 처방하기가 쉽지 않은 대표적인 약물로서 다뤄야 할 내용이 상당한지라 "약처방의 정석"의 한 파트로 편성할 수 없어 "항생제 처방의 정석"으로 따로 펴내게 되었습니다. 항생제는 약물군에 속한 약물의 종류가 무척이나 다양하고 병원체와의 상성도 항생제마다 제각각입니다. 아울러 항생제의 타겟이 되는 감염질환은 거의 모든 계통을 침범하면서 다양한 임상상황을 보입니다. 항생제도 복잡하고 타겟질환인 감염질환은 그 이상으로 복잡하기 때문에 이런 방대한 내용을 한 권의 책에 담아내기 만만치 않았습니다. 이왕이면 충실히 담고 싶어 기본편, 실전편 2권으로 내용을 구성하였습니다. (2권 실전편

협착음(Stridor) - 개요/진단/치료 - 협착음이란, 기도폐쇄(해부학적 위치에 따른 분류, 흉곽외/내 기도폐쇄), 발생 부위, airflow obstruction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감별진단의 정석 도서 콘텐츠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감별진단의 정석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 싶으신 분은 아래 포스트를 확인해주세요! [도서 소개] 감별진단의 정석: Differential Diagnosis in Primary Care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감별진단의 정석 > 호흡기/알레르기 문제 > 호흡음의 이상(Abnormal breath sound) > 협착음(Stridor) 에 있는 협착음(Stridor): Case study와 협착음(Stridor): Warming-up 입니다. 감별진단의 정석 토픽 구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협착음(Stridor) 목차를 확인해보세요. 메타메딕 > BOOK > 책별 > 감별진단의 정석 1/e > 호흡기/알레르기 문제 협착음(Stridor): Case study 1 Introducing Case Case Study 11개월 남아가 숨쉬기 힘들어서 병원에 왔다. 2일 전에 콧물과 기침이 있었고 1일 전부

Borrelia 감염: 라임병(Lyme Borelliosis) 등 - 병원체 및 역학, 임상양상, 1,2,3기 (국소, 파종, 후기 지속 감염), 진단, 치료, 치료제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약처방 시리즈 중 하나인 항생제 처방의 정석: 기본편 콘텐츠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항생제 처방의 정석: 기본편에 대해 보다 자세히 알고 싶으신 분은 블로그 글 하단에 있는 링크를 확인해주세요! (전체 목차 및 샘플 미리보기)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항생제 처방의 정석: 기본편 > 지피지기 감염병 진료전략: 세균 vs 항균제 > 나선균(Spirochetes) 감염 에 있는 Borrelia 감염: 라임병(Lyme Borelliosis) 등 입니다. 메타메딕 > BOOK > 책별 > 항생제 처방의 정석 1/e > Borrelia 감염: 라임병(Lyme Borelliosis) 등 목차 Borrelia 감염: 라임병(Lyme Borelliosis) 등 • 참진드기에 의해서 매개되는 spirochete 전신 감염증 1 병원체 및 역학 • Borrelia burgdorferi • 전파 경로 : 진드기가 사람을 무는 과정에서 균이 침범함 • 호발지역: 북

손발톱 백선의 실전처방 - 진단/치료, KOH(염화칼륨용액), Wood lamp(우드등), Dermoscopy(피부확대경) 검사, Terbinafine, Itraconazole 등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바른의학연구소 대표 시리즈인 Manual 시리즈의 메인 도서 중 하나인 SMART 일차진료매뉴얼: 실전편 - Case based approach 콘텐츠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SMART 일차진료매뉴얼 2판이 SMART 기본일차진료매뉴얼 3판으로 도서명이 변경되면서 실전편은 향후 SMART 실전일차진료매뉴얼로 도서명이 변경될 예정입니다. 실전편 샘플 미리보기를 확인하실 분은 아래 이미지를 클릭해주세요. (바른의학연구소 공식 쇼핑몰 상세페이지로 이동) 공식 쇼핑몰(barunlab.com)에서는 보다 많은 샘플 미리보기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SMART 일차진료매뉴얼: 실전편 > 피부 > 감염 피부질환(Infectious skin diseases) > 백선/손발톱진균증(Dermatophytosis/Onychomychosis) 에 있는 [Online supplement]손발톱 백선의 실전처방 입니다. 본 콘텐츠는 메타메딕 사

브루셀라증(Brucellosis)이란? - 정의, 질병 분류, 병원체, 병원소, 임상양상, 진단, 진단기준, 검사, 치료, 예방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약처방의 정석과 함께 약처방 시리즈 중 하나인 항생제 처방의 정석: 기본편 콘텐츠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항생제와 감염질환과의 싸움은 마치 전쟁과 흡사합니다. 체내에 침입한 병원체를 살상무기인 항생제를 투입해서 제압하는 형국에 비할 수 있습니다. "지피지기 백전불태"라는 필승전략이 떠오르더군요. 항생제 처방에 있어 우선 나(항생제)를 알고 적(병원체)을 알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여 "지피지기 처방전략" 컨셉으로 기본편을 구성하였습니다. 항생제 처방의 정석: 기본편 전체 목차 및 샘플 미리보기를 확인하실 분은 블로그 글 하단 링크를 확인해주세요!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항생제 처방의 정석: 기본편 > 지피지기 감염병 진료전략: 세균 vs 항균제 > 적을 알자! 주요 세균 감염 > 그람음성균 감염 에 있는 브루셀라증(Brucellosis) 입니다. Metamedic > BOOK > 책별 > 항생제 처방의 정석 (1/e) - 브루셀라증 목차 브루셀라

항혈전제 - 항혈소판제(Antiplatelet agents): Aspirin - 개요(기전/PK/PD), 치료 용도, 용량, 종류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바른의학연구소 대표도서 SMART 기본일차진료매뉴얼 3판 콘텐츠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바른의학연구소 공식 쇼핑몰에서 기본일차진료매뉴얼 3판 54p 분량의 샘플 미리보기를 하실 수 있습니다. (공식 쇼핑몰 주소는 블로그 포스트 하단에서 확인해주세요!)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SMART 기본일차진료매뉴얼 3판 > 심뇌혈관 질환의 치료: 심혈관에 주로 사용되는 약물 에 있는 항혈전제 종류 중 하나인 > 항혈소판제(Antiplatelet agents) [Online] 항혈소판제: Aspirin 입니다. 해당 콘텐츠는 Metamedic(metamedic.co.kr) 사이트에서 Online으로만 제공되는 콘텐츠입니다. (도서 미포함 콘텐츠) 메타메딕 사이트에서 도서 전체 목차를 한눈에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Metamedic > Book > 책별 > SMART 기본일차진료매뉴얼 3/e(2022) 기본일차진료매뉴얼 > 항혈전제 종류 > 항혈소판제(Ant

제산제 : 개요 - 종류, 분류, 약리, 특성, 이상반응, 부작용, Alginate-antacid, 국내에서 처방가능한 약물, 단일제제, 복합제제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알라딘 약학분야 주간 베스트셀러 1위, 의약학간호계열 5위에도 올랐었던 약처방의 정석 도서 콘텐츠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약처방의 정석_소개 약처방의 정석에 대해 자세히 알고 싶으신 분은 아래 포스트를 확인해주세요. (저자 인터뷰도 있답니다.) [도서 소개] 약처방의 정석: Drug class review & Real world prescription 약처방의 정석_소개2 오늘 올려드리는 콘텐츠는 약처방의 정석 > 소화기 > 소화기에 주로 사용되는 약물 > 위식도역류질환/소화성 궤양 치료제 에 있는 제산제 입니다. 메타메딕(metamedic.co.kr) 사이트에서 약처방의 정석 전체 목차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아래는 메타메딕 - BOOK > 책별 > 약처방의 정석 1/e > 소화기 화면입니다. 메타메딕 - BOOK > 책별 > 약처방의 정석 1/e > 제산제 목차 화면 제산제 : 개요 1 종류 1. 성분에 따른 분류 1. 알루미늄류: 인산알

일본뇌염 바이러스(Japanese encephalitis virus) - 개요 / 임상양상 / 진단 / 치료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바른의학연구소 도서 시리즈 중 Basic series에 속하는 SMART 내과 1권: 바이탈, 감염, 종양, 류마티스(개정 2판) 콘텐츠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SMART 내과 1권: 바이탈, 감염, 종양, 류마티스(개정 2판) 세트 구성 1권: 바이탈, 감염, 종양, 류마티스 2권: 소화기(위장관, 간담췌) (추후 출간) 3권: 심혈관, 혈액 (추후 출간) 4권: 호흡기·알레르기, 내분비, 신장비뇨기 (추후 출간) SMART 내과 개정 2판 2,3,4권은 추후 Metamedic을 통해 Online 콘텐츠로 발행될 수도 있습니다. (출간 계획이 확정될 경우, 다시 한번 공지해드리겠습니다.) • 스마트 내과는 Strategy III: Primary care to Specialized care에서 Specialized care에 해당하는 책입니다. 내과에 중점을 두고 일차진료뿐 아니라 3차병원 외래진료, 입원진료와 연관된 전문진료영역까지 망라한 책

[도서 소개] 약처방의 정석: Drug class review & Real world prescription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지난번 감별진단의 정석 도서 소개글에 이어 도서 소개를 해드리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감별진단의 정석 도서 소개 포스트를 아직 못 보신 분은 아래 링크를 확인해주세요! [도서 소개] 감별진단의 정석: Differential Diagnosis in Primary Care 오늘 소개해드릴 도서는 알라딘 약학분야 주간 베스트셀러 1위, 의약학간호계열 5위에도 올랐었던 약처방의 정석: Drug class review & Real world prescription 입니다. 약처방의 정석 - 소개1 약처방의 정석은 처방에 대한 다양한 접근 방법을 통해 처방에 대한 실전지침을 제공합니다. 약처방의 정석 - 소개2 Drug class review & Real world prescription + Drug class review 약의 작용기전이나 사용 목적에 따라 특정 약물군(Drug class)으로 분류하였고 각 약물군의 특징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습니다

변이(이형) 협심증(Variant angina)이란? - 병태생리(Vasospasm), 임상양상, 진단(Resting pain + transient ST-elevation), 치료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기본 일차진료매뉴얼 3판 콘텐츠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SMART 기본일차진료매뉴얼 도서 전체 목차 및 샘플 미리보기(54p)를 보실 분은 아래 이미지를 클릭해주세요! (쇼핑몰 상세페이지로 이동) 샘플 미리보기는 바른의학연구소 공식 쇼핑몰에서만 54p 분량으로 보실 수 있습니다! (타 대형 유통사에는 분량의 한계로 인해 20p 내외만 제공되었습니다.) 바른의학연구소 쇼핑몰 - 기본 일차진료매뉴얼 상세페이지 화면 오늘 올려드리는 콘텐츠는 SMART 기본 일차진료매뉴얼 3판 > 심뇌혈관 질환의 통합관리 > 주요 심뇌혈관 질환 > 허혈심질환(관상동맥질환) 에 있는 변이(이형) 협심증(Variant angina) 입니다. 해당 콘텐츠는 도서 분량의 제한으로 인해 도서에는 수록되지 않고 메타메딕(metamedic.co.kr) 사이트를 통해 Online로만 제공되는 콘텐츠입니다. 변이(이형) 협심증(Variant angina) 1 변이 협심증이란? • 1

B형간염 - 예방접종/접촉자 관리(노출 후 예방): 접종대상/시기, 접종용량, 접종방법, 이상반응, 금기사항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항생제 처방의 정석(기본편): 지피지기 처방전략 도서 콘텐츠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항생제 처방의 정석 도서 전체 목차 및 샘플 미리보기를 확인하실 분은 아래 이미지를 클릭해주세요! (쇼핑몰 상세페이지 이동) 미리보기는 페이지 하단에 있습니다! 쇼핑몰 - 항생제 처방의 정석 미리보기 페이지 화면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항생제 처방의 정석(기본편): 지피지기 처방전략 > 감염병 예방 및 치료의 모든 것 > 예방 가능한 주요 감염병의 예방전략: 예방접종, 환자 관리, 접촉자 관리(노출 후 예방) 에 있는 B형간염 - 예방접종/접촉자 관리(노출 후 예방) 입니다. 메타메딕 사이트 - 항생제 처방의 정석 > B형간염 목차 B형간염 - 예방접종/접촉자 관리(노출 후 예방) 1 예방접종 1. 접종대상/시기 모든 신생아 및 영유아, 과거 B형간염의 감염 증거와 백신 접종력이 없는 소아청소년 및 성인 1. 모든 신생아 • 산모가 HBsAg 양성인 경우: 출

국소 마취(Local Anesthesia): 종류/tip - Amides/Esters, Procaine/Lidocaine, Sodium bicarbonate, Epinephrine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바른의학연구소 신간도서인 SMART 응급진료매뉴얼 도서 콘텐츠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응급진료매뉴얼은 1권: 응급진료 기초, 외상, 환경응급, 중독 2권: 개통별 응급진료 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전체 목차 및 샘플 미리보기 페이지를 보시려면 아래 이미지를 클릭해주세요. (바른의학연구소 공식 쇼핑몰 상세페이지 화면으로 이동됩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SMART 응급진료매뉴얼 > 응급진료를 위한 기본기 다지기 > 응급실에서의 기본 술기 및 약물요법 > 국소 및 부위 마취 에 있는 국소 마취(Local Anesthesia) 입니다. 국소 마취(Local Anesthesia) 1 국소 마취제에 대한 이해 1. 종류 1) 성분에 따른 분류: 크게 2가지 종류 존재 Amides(-caine) vs. Esters Bupivacaine, Lidocaine, Levobupivacaine, Mepivacaine, Prilocaine, Popivacaine

볼거리(유행 귀밑샘염, 멈프스, Mumps) - 개요, 임상양상, 합병증, 진단, 치료, 질병관리본부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바른의학연구소 대표 도서 중 하나인 SMART 소아진료매뉴얼 3판 콘텐츠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SMART 소아진료매뉴얼 3판 > 감염/전신 > [바이러스감염] 볼거리(유행 귀밑샘염, 멈프스, Mumps) 카테고리에 있는 볼거리(유행 귀밑샘염, 멈프스, Mumps) 입니다. 바른의학연구소 공식 쇼핑몰에서 SMART 소아진료매뉴얼 3판 도서 소개 / 전체 목차 /50p 샘플 미리보기 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블로그 글 하단 링크 참조) 볼거리(유행 귀밑샘염, 멈프스, Mumps) 1 개정포인트 최신 국내 지침 반영 • 질병관리본부. 예방접종 대상 감염병 관리지침 2020 • 질병관리본부. 예방접종 대상 감염병의 역학과 관리: 예방접종 실시 기준 및 방법. 2017 2 Core review 1. 임상양상 • 약 20%에서 불현성 감염 • 증상이 있는 경우 침샘 비대와 동통이 특징적인 소견 잠복기 • 약 16-18일(12

[Metamedic] 22년 10월 2~4주차 신규 등록콘텐츠 안내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Metamedic 사이트(metamedic.co.kr) 리뉴얼 후 회원가입해주시고 이용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메타메딕 신규 콘텐츠들을 쉽게 확인하실 수 있도록 주 또는 월 단위로 1. 블로그 포스트로 신규 목록을 소개해드리고, 2. 이메일 수신 동의하신 Metamedic 회원분들께는 Metamedic에 업로드된 신규 콘텐츠 목록을 이메일로 안내해드릴 예정입니다. 이메일 안내를 받으시길 원하시는 분들은 메타메딕 > 로그인 > 내정보 수정 > 메일링 "동의" 체크해주세요! 10월 2주~4주차(10월 4일 ~ 10월 21일) 등록 콘텐츠 10월 2~4주차 업로드된 콘텐츠들을 확인해보세요. [전체 콘텐츠(최신순) 보기] 1. 부종 (2022-10-05) 2. 소아 전문 심폐소생술 (2022-10-06) 3. 녹내장(glaucoma): 치료: overview (2022-10-07) 4. 녹내장(glaucoma): 약물요법 (2022-10-07) 5. 녹내장(

근이완제(Skeletal muscle relaxant) - 개요, Spasticity, spasm, 분류, 항근연축제(Anti-Spasmodic Agents), 항경직제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알라딘 약학분야 주간 베스트셀러 1위에도 올랐었던 약처방의 정석: Drug class review & Real world prescription 도서 콘텐츠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약처방의 정석 약처방의 정석 부제 Drug class review & Real world prescription 에 대해 간단히 설명해드리고 콘텐츠 시작하겠습니다! Drug class review 약의 작용기전이나 사용 목적에 따라 특정 약물 군(Drug class)으로 분류하였고 각 약물군의 특징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습니다. Real world prescription 국내에서 처방 가능한 약물을 중심으로 약처방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습니다. 또한 질환의 근거에 기반한 처방 실전 지침으로 모든 임상 현장에서 참고할 수 있습니다. 약처방의 정석 - 소개1 약처방의 정석 - 소개2 약처방의 정석 - 소개3(저자 한마디)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약처방의 정석 > 근골

고혈압(Hypertension) - 신성(만성 콩팥병), 신혈관성(renovascular), 알도스테론증(Mineralocorticoid Excess), 갈색세포종(크롬친화세포종)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감별진단의 정석 콘텐츠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감별진단의 정석은 Main Conditions를 중심으로 임상적으로 흔히 발생하는 원인질환의 감별진단을 상세하게 설명하고 있습니다. 감별진단의 정석 전체 목차 및 샘플 미리보기를 하실 분은 아래 이미지를 클릭해주세요! (쇼핑몰 링크 이동)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감별진단의 정석 > 심혈관/혈액 문제 (Cardiovascular/Hematologic problems) > 고혈압(Hypertension) 에 있는 고혈압(Hypertension): Main conditions 입니다. 감별진단의 정석에 있는 Main condition은 Possible conditions의 원인질환 중 다빈도 핵심 임상 질환을 설명하는 부분입니다. 나머지 토픽 구성은 아래 이미지를 참고해주세요! Memamedic 사이트(metamedic.co.kr)에서 고혈압(Hypertension): Main conditions 외

고혈압(Hypertension) - 정의/기준(미국 고혈압 진료지침, ACC/AHA, ESC/ESH), 분류(진성, 수축기, 확장기, 백의, 가면,아침, dipper, riser)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도 어제에 이어 감별진단의 정석 콘텐츠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감별진단의 정석 감별진단의 정석은 Main Conditions를 중심으로 임상적으로 흔히 발생하는 원인질환의 감별진단을 상세하게 설명하고 있습니다. 감별진단의 정석_소개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감별진단의 정석 > 심혈관/혈액 문제(Cardiovascular/Hematologic problems) 에 있는 고혈압(Hypertension): Warming-up 입니다. 감별진단의 정석 토픽 구성은 아래와 같습니다. 어제 올려드린 고혈압(Hypertension): Main conditions 포스트를 확인하지 못하신 분은 아래 링크를 확인해주세요! 고혈압(Hypertension) - 신성(만성 콩팥병), 신혈관성(renovascular), 알도스테론증(Mineralocorticoid Excess), 갈색세포종(크롬친화세포종) 고혈압(Hypertension): Warming-up 1 고혈압의

관절통/관절부기(Arthralgia/Joint swelling) - 관절통(articular pain) vs. 관절주위통(periarticular pain)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감별진단의 정석: Differential Diagnosis in Primary Care 콘텐츠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감별진단의 정석 도서 샘플 미리보기는 바른의학연구소 공식 쇼핑몰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아래 이미지 클릭 시 이동) 감별진단의 정석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감별진단의 정석 통증/근골격 문제(Pain/Musculoskeletal problems) 파트에 있는 [전신/관절] 관절통/관절부기(Arthralgia/Joint swelling): Approach to the patient 입니다. 메타메딕 사이트(metamedic.co.kr)에서 전체 목차를 확인하실 분은 아래 이미지를 클릭해주세요! 메타메딕 - 감별진단의 정석 > 관절통/관절부기 목차 화면 관절통/관절부기(Arthralgia/Joint swelling): Approach to the patient 관절의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에서 먼저 다음과 같은 점을 감별해야 한

털곰팡이증(Mucormycosis) - 병원체, Mucormycotina, Entomophthoromycotina, 임상양상, 비-뇌 털곰팡이증 (rhinocerebral)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항생제 처방의 정석: 기본편 - 지피지기 처방전략 도서 콘텐츠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항생제 처방의 정석 - 쇼핑몰 배너 항생제 처방의 정석 전체 목차 및 샘플 미리보기를 하실 분은 아래 이미지를 클릭해주세요! (쇼핑몰 상세페이지 링크 이동) 항생제 처방의 정석: 기본편 - 지피지기 처방전략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항생제 처방의 정석: 기본편 - 지피지기 처방전략 > 지피지기 감염병 진료전략: 진균/기생충 vs 항진균제/항기생충제 > 아군을 알자! 주요 항진균제/항기생충제 > 적을 알자! 주요 진균 에 있는 털곰팡이증(Mucormycosis) 입니다. 메타메딕 사이트(metamedic.co.kr)에서도 항생제 처방의 정석 목차 및 전체 공개 콘텐츠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아래 이미지 클릭 시 링크 이동) 메타메딕 - 항생제 처방의 정석: 기본편 > 털곰팡이증(Mucormycosis) 목차 화면 털곰팡이증(Mucormycosis) • 매우

급성 창상: 치료 - 전처치(마취, 고압/저압 세척 irrigation), 봉합 suture (봉합사, 봉합기 Staples, 피부 봉합 테이프, 조직 접착제), 평가, 드레싱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올해 신간도서인 응급진료매뉴얼 도서 콘텐츠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도서 콘텐츠 소개에 앞서 매뉴얼 시리즈 및 응급진료매뉴얼에 대해 간단히 소개해드리겠습니다~ 매뉴얼 시리즈는 바른의학연구소 대표도서 시리즈입니다! (기본 일차진료 매뉴얼, 실전 일차진료 매뉴얼, 소아진료 매뉴얼) 메타메딕 - Manual Series 목록 화면 이번에 응급진료 매뉴얼이 출간되면서 매뉴얼 시리즈가 추가되었고, 통증 관련 매뉴얼 시리즈로 기본 통증진료 매뉴얼과 실전 통증진료 매뉴얼도 현재 준비 중입니다. 신규 매뉴얼 시리즈들도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바른의학연구소 공식 쇼핑몰 - 응급진료매뉴얼 배너 응급진료매뉴얼은 지방 2차병원급 응급실 (특히 응급의학과 전문의가 아닌 일반의, 가정의학과 전문의 등이 응급진료를 담당하고 있는 응급실) 로 내원하는 환자 진료에 필요한 내용을 다뤘습니다. 도서명: SMART 응급진료매뉴얼 부제: 응급진료 기초, 외상, 환경응급, 중독

백선증(Tinea infection) - 종류(capitis 머리백선, corporis 몸백선, faciale, pedis, cruris, unguium 등), 치료(1/2/3차)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매뉴얼 시리즈" 중 하나인 SMART 소아진료매뉴얼 3판 도서 콘텐츠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SMART 소아진료매뉴얼 3판 - 쇼핑몰 배너 소아진료매뉴얼 3판에 대해 궁금하신 분은 바른의학연구소 공식 쇼핑몰에서 50페이지 분량의 샘플 미리보기를 확인해보세요! (아래 이미지 클릭 시 이동) 바른의학연구소 공식 쇼핑몰 - 소아진료매뉴얼 3판 상세페이지 화면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SMART 소아진료매뉴얼 3판 > 피부 > 피부감염질환(Skin infections) 에 있는 백선종(Tinea infection) 입니다! 소아진료매뉴얼 3판 전체 목차를 확인하시고 싶으신 분은 아래 이미지를 클릭해주세요! (Metamedic > BOOK > 소아진료매뉴얼 3판) Metamedic - 소아진료매뉴얼 3판 > 백선종 목차 화면 백선증(Tinea infection) 1 종류 종류 발생부위 임상양상 감별진단 Tinea capitis Scalp • Scali

게실 질환(Diverticular disease): 게실염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바른의학연구소 대표 도서인 SMART 기본 일차진료매뉴얼 3판 (전 SMART 일차진료매뉴얼 2판 - 근거편) 콘텐츠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바른의학연구소 쇼핑몰 - SMART 기본 일차진료매뉴얼 3판 배너 콘텐츠 소개에 앞서 "SMART 일차진료매뉴얼: 실전편"이 출간되면서 기존 "SMART 일차진료매뉴얼 2판"을 근거편으로 부르게 되었고, 올해 3판에서는 "SMART 기본 일차진료매뉴얼"으로 명칭이 다시 변경되면서 도서명을 헷갈려 하시는 분들이 있으신 듯하여 출간 연혁을 간략히 소개해드리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기본 일차진료매뉴얼 3판 - 표지 <SMART 일차진료매뉴얼 시리즈 출간연혁> • 일차진료매뉴얼 시리즈의 모태 2011년 - 근거중심의 외래진료매뉴얼 • 성인편 + 소아편 2013년 - SMART 일차진료매뉴얼 1판: 성인편 2015년 - SMART 일차진료매뉴얼 1판: 소아편 (소아편은 이후 SMART 소아진료매뉴얼 2판

소아 전문 심폐소생술 - AHA/국내 가이드라인, 소아 전문 심폐소생술(PALS pulseless arrest) 알고리즘, 병원/현장 전문소생술 팀용 심장정지 전문소생술 순서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 올려드리는 콘텐츠는 올해 신간도서인 응급진료매뉴얼과 소아진료매뉴얼3판에 모두 수록되어 있는 콘텐츠입니다. 응급진료매뉴얼 및 소아진료매뉴얼 3판 상세 정보(전체 목차 및 미리보기 샘플파일)는 바른의학연구소 쇼핑몰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아래 이미지를 클릭해주세요!) 바른의학연구소 쇼핑몰 - manual series 목록 바로가기 오늘 소개해드리는 콘텐츠는 소아 전문 심폐소생술 입니다. 목차는 아래와 같습니다. <응급진료매뉴얼 목차> V/S을 안정화시키자! > 흔히 시행하는 검사에 대한 이해 > 심폐소생술: 소아/신생아 > 소아 전문 심폐소생술 Metamedic - 응급진료매뉴얼 > 소아 전문 심폐소생술 목차 바로가기 <소아진료매뉴얼 3판 목차> 소아진료의 기본 > V/S 다루기 > 심폐소생술을 시행하자: 소아 전문 심폐소생술 Metamedic - 소아진료매뉴얼 3판 > 소아 전문 심폐소생술 목차 바로가기 소아 전문 심폐소생술 1 AHA 가이

녹내장(glaucoma): 약물요법 - 치료, 종류, 점안제, 베타차단제, 프로스타글란딘제제, α2 작용제, 점안용 탄산탈수효소 억제제, 부교감신경작용제, 안압 하강제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알라딘 - 약학분야 주간 베스트셀러 1위에도 선정되었었던 "약처방의 정석: Drug class review & Real world prescription" 도서 콘텐츠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약처방의 정석 전체 목차 및 샘플 미리보기를 확인해보세요! (아래 이미지 클릭 시 쇼핑몰 상세페이지 이동) 약처방의 정석 세트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약처방의 정석에 있는 PART. 눈 ∙ 귀 ∙ 코 ∙ 두경부 CHAPTER. 증상/질환별 약처방의 정석 TOPIC. 녹내장 콘텐츠입니다. Metamedic 사이트(metamedic.co.kr)에서 약처방의 정석 > 녹내장 목차를 확인해보세요! (아래 화면 클릭 시 링크 이동) Metamedic - 약처방의 정석 > 녹내장 목차 화면 녹내장(glaucoma): 약물요법 1 녹내장(glaucoma)의 약물치료 1. 약물치료 원칙 • 방수 유출을 증가시키거나 방수 생성을 감소시키는 약물 사용 • 대부분의 경우 약

[실전편] 구역/구토(Vomiting) - 진단, 치료 - 편두통, 전정 구토(Vestibular nausea), 급성위장염(acute gastroenteritis)에 의한 구토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바른의학연구소 대표 도서 SMART 기본 일차진료매뉴얼 3판과 함께 일차진료매뉴얼 시리즈 중 하나인 SMART 일차진료매뉴얼: 실전편 (추후 SMART 실전 일차진료매뉴얼로 도서명 변경 예정) 콘텐츠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실전편 전체 목차 및 샘플 미리보기를 확인해보세요! (아래 링크 클릭 시 쇼핑몰 상세페이지 이동) SMART 일차진료매뉴얼: 실전편 실전편 도서에 대한 소개 포스트도 남겨드릴게요!!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 알아보기] "근거편"과 "실전편"으로 구성된 이유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 실전편 - Case based approach의 구성 [일차진료매뉴얼(실전편)] 책 구성 및 특징 소개(with 발열편 콘텐츠 전체 링크정리)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SMART 일차진료매뉴얼: 실전편 소화기 PART에 있는 구역/구토(Vomiting) 입니다! (아래 화면 클릭 시 메타메딕 사이트 실전편 구역/구토 목차를 보실 수 있습니다!) 메타메

주요 예방접종: b형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 - 접종대상, 접종시기, 백신종류(PRP-T 또는 HbOC, DTaP-IPV/Hib), 접종용량/방법, 이상반응, 금기사항, 접촉자 관리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항생제 처방의 정석: 기본편 도서 콘텐츠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항생제 처방의 정석 전체 목차 및 샘플 미리보기를 확인해보세요. (아래 이미지 클릭 시 쇼핑몰 상세페이지로 이동됩니다.) 항생제 처방의 정석: 기본편 오늘 소개해드리는 콘텐츠는 항생제 처방의 정석: 기본편 > 감염병 예방 및 치료의 모든 것 > 예방 가능한 주요 감염병의 예방전략: 환자 관리, 접촉자 관리(노출 후 예방) 에 있는 B형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 입니다. 메타메딕metamedic.co.kr)에서도 항생제 처방의 정석 > B형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 목차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아래 이미지 클릭 시 링크 이동) Metamedic - 항생제 처방의 정석 > B형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 목차 화면 주요 예방접종: b형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 1 예방접종 1. 접종대상 • 생후 2개월부터 5세 미만의 모든 소아 • 5세 이상으로서 다음에 해당하는 경우: 기능적 또는 해부학적 무비

[도서 소개] 감별진단의 정석: Differential Diagnosis in Primary Care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도서 소개를 해드리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도서는 감별진단의 정석: Differential Diagnosis in Primary Care 입니다. 감별진단의 정석 - 쇼핑몰 배너 감별진단의 정석 “치료의 첫걸음은 진단입니다.” 감별진단의 정석은 Main Conditions를 중심으로 임상적으로 흔히 발생하는 원인질환의 감별진단을 상세하게 설명하고 있습니다. 1. Backbone plus Supplement Strategy 관점에서 Backbone이기도 한 동시에 Supplement이기도 한 Interactively 기능으로 구성되었습니다. - Backbone: 향후 출간예정인 진단 관련 책들(검사실검사 교재, 영상검사 교재, 심전도검사 교재 등)의 Backbone 교재 - Supplement: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기본편, 실전편), 스마트 내과진료매뉴얼(출간예정), 스마트 응급진료매뉴얼(출간예정) 등의 Supplemen

메타메딕(metamedic.co.kr) - 모바일 "pc화면 보기 " 기능 추가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콘텐츠 소개가 아닌 메타메딕(metamedic.co.kr) 사이트에 추가된 기능을 소개해드리고자 합니다. 메타메딕 사이트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 싶으신 분은 아래 포스트를 확인해주세요! (리뉴얼 오픈 후에 웹 디자인 등이 변경된 부분이 있는 점 참고 부탁드려요!) [블로그 포스트] 메타메딕(metamedic) 사이트 리뉴얼 오픈 Metamedic - 홈 화면 오늘 소개해드릴 메타메딕 사이트 추가 기능은 모바일 - PC 화면 보기 입니다. 도서 콘텐츠에 표로 된 내용이 다수 포함되어 있어 그동안 모바일 디바이스로 콘텐츠 화면을 볼 때 가독성이 다소 떨어지는 부분이 있었습니다. (표에서 열이 많거나, 표 안에 내용이 많이 있을 경우 모바일에서 가로스크롤이 생김) 그래서 모바일 디바이스로 콘텐츠 화면 접속 시 목차 화면을 지나 콘텐츠 내용 시작 부분까지 아래로 스크롤 할 경우 목차 버튼 옆에 "PC화면" 버튼을 추가하였습니다. 모바일에서 표가 보기

예방접종의 원칙: 백신 접종 후 주요 이슈: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항생제 처방의 정석(기본편): 지피지기 처방전략 콘텐츠 중 일부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항생제 처방의 정석: 기본편 항생제 처방의 정석 목차 및 미리보기 등 자세한 정보를 보시려면 위 이미지를 클릭해주세요. (바른의학연구소 공식 쇼핑몰 상세페이지로 이동) 오늘의 콘텐츠는 항생제 처방의 정석(기본편) > 감염병 예방 및 치료의 모든 것 > 감염병 관리 및 예방: 면역력으로 대비하자! 예방접종 > 예방접종의 원칙 카테고리에 있는 예방접종의 원칙: 백신 접종 후 주요 이슈: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 입니다. 예방접종의 원칙: 백신 접종 후 주요 이슈: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 1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이란? • 백신반응(adverse reaction): 백신 접종 후 면역생성이라는 백신의 1차적 목적과는 별개로 원하지 않은 효과를 나타내는 경우 • 백신 접종의 이상반응(adverse event) 예방접종 후 발생하는 모든 원하지 않는 이상 증상 또는 질병

[SMART 기본일차진료매뉴얼] 백선/손발톱 진균증: 손발톱 진균증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SMART 기본일차진료매뉴얼의 콘텐츠는 다음과 같습니다. <SMART 기본일차진료매뉴얼> PART 16. 피부 CHAPTER 2. 주요 피부 증상•질환 TOPIC 8. 피부 감염질환 - 백선/손발톱 진균증(Dermatophytosis/onychomycosis) PART 5 / CHAPER 4 목차 확인하기 피부 감염질환 - 백선/손발톱 진균증(Dermatophytosis/onychomycosis) 1 개요 1. 손발톱 진균증이란? • ‘Toenail Onychomycosis’ • 손발톱의 각질층을 침범하는 진균에 의한 질환 • 조갑 관련 질환이 있는 경우(예. Nail trauma) 면역학적 문제가 있는 경우(예. 당뇨), 말초혈관질환, 다운 증후군에서 더 흔함 • 1/3 정도에서 Tinea pedia와 관련(+) 2. 원인병원체 크게 피부사상균, 피부사상균 이외의 사상균에 의해 발생한다. 피부사상균(Dermatophytes) 피

[SMART 소아진료매뉴얼(3판)] PFAPA 증후군[Periodic fever, Aphthous-stomatitis, Pharyngitis, Adenitis Syndrome]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SMART 소아진료매뉴얼의 콘텐츠는 다음과 같습니다. <SMART 소아진료매뉴얼> PART 4. 감염·전신 CHAPTER 2. 바이러스 감염 TOPIC 10-1.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 Overview CHAPTER 2 목차 확인하기 • 사람 코로나 바이러스(Human coronavirus) 감염에 의한 급성호흡기감염증 Topic 10-1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 Overview 1. 병원체 1 코로나 바이러스(coronavirus) • 코로나 바이러스과(Coronaviridae)에 속하는 사람 코로나 바이러스(Human Coronavirus) 니도 바이러스목(Nidovirus family) → 코로나 바이러스과(Coronaviridae) → 코로나 바이러스아과(Coronavirinae) → 코로나바이러스(Coronavirus, CoV) • 코로나 바이러스아과(Coronavirinae)에 속하는 코로나 바이러스 속(genus) 서

장바이러스(엔테로바이러스) 감염: 비폴리오바이러스(Nonpoliovirus)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항생제 처방의 정석(기본편): 지피지기 처방전략 콘텐츠 중 하나를 소개해드릴게요! 항생제 처방의 정석 전체 목차와 미리보기 등 자세한 정보확인을 하시려면 위 이미지를 클릭해주세요! (바른의학연구소 공식 쇼핑몰 항생제 처방의 정석 상세페이지로 이동) 오늘 올려드린 콘텐츠는 항생제 처방의 정석(기본편) > 지피지기 감염병 진료전략: 바이러스 vs 항바이러스제 > 적을 알자! 주요 바이러스 감염 > 장바이러스(엔테로바이러스) 감염 > 비폴리오바이러스(Nonpoliovirus) 에 있는 콘텐츠 중 장바이러스(엔테로바이러스) 감염: 비폴리오바이러스(Nonpoliovirus) 입니다! 메타메딕 사이트에 업로드된 항생제 처방의 정석 장바이러스(엔테로바이러스) 감염 전체 콘텐츠 목록을 보실 분은 아래 이미지를 클릭해주세요! 메타메딕(Metamedic) 사이트 - 장바이러스(엔테로바이러스) 감염 콘텐츠 목록 장바이러스(엔테로바이러스) 감염: 비폴리오바이러스(

[신·요로질환] 신증후군(Nephrotic syndrome) - 개요(분류, 병태생리), 임상양상, 진단, 치료(보존적 치료, 면역억제 요법, 기타 면역억제제), 경과 및 예후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SMART 소아진료매뉴얼 3판 콘텐츠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SMART 소아진료매뉴얼 3판에 대해 궁금하신 분은 아래 이미지를 클릭하셔서 도서 상세설명을 확인해보세요! (전체 목차 및 샘플 미리보기 페이지 제공) SMART 소아진료매뉴얼 3판 오늘 소개해드리는 콘텐츠는 신장/비뇨기 파트의 [신·요로질환] 신증후군(Nephrotic syndrome) 입니다. 해당 콘텐츠는 online으로 제공되는 콘텐츠로 메타메딕 사이트(metamedic.co.kr)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아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메타메딕 사이트 SMART 소아진료매뉴얼 3판 신장/비뇨기 파트 목차 화면으로 이동하실 수 있습니다. 신증후군(Nephrotic syndrome) 개정포인트 & KEY Reference 새로 추가된 항목 Core review 1. 개요 1) 신증후군(Nephrotic syndrome)이란? 1. 저알부민혈증: 혈청 알부민 ≤2.5 g/dL 2. 심

[실전편] 부종(Edema) - 원인(전신/국소 부종), 발생기전, 임상양상, 감별 진단, 평가, 검사 , 치료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기본 일차진료매뉴얼 3판(기존 근거편 2판)과 함께 일차진료매뉴얼 시리즈 중 하나인 SMART 일차진료매뉴얼: 실전편(Case based approach) (추후 SMART 실전 일차진료매뉴얼로 도서명을 변경할 예정) 콘텐츠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실전편 전체 목차 및 미리보기를 보실 분은 아래 이미지를 클릭해주세요! (쇼핑몰 상세페이지로 이동) SMART 일차진료매뉴얼: 실전편 SMART 일차진료매뉴얼: 실전편에 대한 자세한 소개 포스트를 확인해보세요 [일차진료매뉴얼(실전편)] 책 구성 및 특징 소개(with 발열편 콘텐츠 전체 링크정리) 오늘 소개해드리는 콘텐츠는 SMART 일차진료매뉴얼: 실전편 전신·감염 파트에 있는 부종(Edema) 입니다. 메타메딕 - 실전일차진료매뉴얼 부종(Edema) 목차 화면 부종(Edema) Key reference • Trayes KP, Studdiford JS, Pickle S, Tully AS. Edema

[SMART 응급진료 매뉴얼] 익사(Drowning)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올해 5월에 나온 신간도서 <SMART 응급진료 매뉴얼> 맛보기 콘텐츠를 공유해드리겠습니다. SMART 응급진료매뉴얼은 바른의학연구소 쇼핑몰에서 구매하실 수 있으니 많은 관심과 방문 부탁드려요!실 수 있으니 많은 관심과 방문 부탁드려요! 신간도서 구매하러 가기 https://barunlab.com/product/detail.html?product_no=88&cate_no=47&display_group=1 바른의학연구소 바르고 똑똑한 의학 컨텐츠로 세상과 소통합니다. barunlab.com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다음과 같습니다. <SMART 응급진료 매뉴얼> PART 4. 환경응급 TOPIC 5-1. 익사(Drowning) PART 4 목차 확인하기 Topic 3-1 익사(Drowning) 1. 개요 1 정의 과거 정의 익사(Drowning) 익수(Near drowning) 24시간이내에사망에이르는침수손상(Submersion inju

[SMART 응급진료 매뉴얼] 발열에 대한 접근 및 조치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올해 5월에 나온 신간도서 <SMART 응급진료 매뉴얼> 맛보기 콘텐츠를 공유해드리겠습니다. SMART 응급진료 매뉴얼 SMART 응급진료매뉴얼은 바른의학연구소 쇼핑몰에서 구매하실 수 있으니 많은 관심과 방문 부탁드려요! 신간도서 구매하러 가기 https://barunlab.com/product/detail.html?product_no=88&cate_no=47&display_group=1 바른의학연구소 바르고 똑똑한 의학 컨텐츠로 세상과 소통합니다. barunlab.com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다음과 같습니다. <SMART 응급진료 매뉴얼> PART 4. V/S을 안정화시키자! TOPIC 11. 발열에 대한 접근 및 조치 PART 4 목차 확인하기 Topic 6 발열에 대한 접근 및 조치 발열: 개요 1 체온의 측정 • 심부체온(core temperature)와 표면체온(surfacetemperature)로 구분 1. 심부체온: 내

[SMART 응급진료 매뉴얼] 알코올(Alcohol): ethanol, isopropanol, methanol, ethylene glycol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올해 5월에 나온 신간도서 <SMART 응급진료 매뉴얼> 맛보기 콘텐츠를 공유해드리겠습니다. SMART 응급진료매뉴얼은 바른의학연구소 쇼핑몰에서 구매하실 수 있으니 많은 관심과 방문 부탁드려요! 구매하러 가기 https://barunlab.com/product/detail.html?product_no=88&cate_no=47&display_group=1 바른의학연구소 바르고 똑똑한 의학 컨텐츠로 세상과 소통합니다. barunlab.com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다음과 같습니다. <SMART 응급진료 매뉴얼> PART 5. 중독/독성 CHAPTER 4. 기호식품, 알코올, 마약류(불법약물) TOPIC 16. 알코올(Alcohol): ethanol, isopropanol, methanol, ethylene glycol PART 5 / CHAPER 4 목차 확인하기 Topic 1 알코올(Alcohol): ethanol, isopropano

[SMART 응급진료 매뉴얼] 응급실에서 통증치료(통증은 제5의 V/S)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올해 5월에 나온 신간도서 <SMART 응급진료 매뉴얼> 맛보기 콘텐츠를 공유해드리겠습니다. SMART 응급진료매뉴얼은 바른의학연구소 쇼핑몰에서 구매하실 수 있으니 많은 관심과 방문 부탁드려요! 신간도서 구매하러 가기 https://barunlab.com/product/detail.html?product_no=88&cate_no=47&display_group=1 바른의학연구소 바르고 똑똑한 의학 컨텐츠로 세상과 소통합니다. barunlab.com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다음과 같습니다. <SMART 응급진료 매뉴얼> PART 1. V/S을 안정화시키자! TOPIC 12. 일응급실에서 통증치료(통증은 제5의 V/S) PART 4 목차 확인하기 Topic 12 응급실에서 통증치료(통증은 제5의 V/S) 1. 응급실에서의 통증 현황 1 통증은 매우 흔한 증상 • 급성 통증은 응급실에 내원하는 원인 중 40-70%까지 차지하는 흔한 증상 표

림프절 종대(Lymphadenopathy): 진단적 접근 - 크기, 성상, 위치, 병력, 동반증상, 검사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많은 사랑을 받고 있는 올해 출간 도서인 SMART 소아진료매뉴얼 3판 콘텐츠 중 일부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SMART 소아진료매뉴얼 목차 및 미리보기 등 자세한 정보를 보시려면 위 이미지를 클릭해주세요. (바른의학연구소 공식 쇼핑몰 상세페이지로 이동) 오늘의 콘텐츠는 감염/전신 > [증상] 림프절 종대(Lymphadenopathy) 카테고리에 있는 림프절 종대: 진단적 접근 입니다. Metamedic - 림프절 종대(Lymphadenopathy): 진단적 접근 림프절 종대(Lymphadenopathy): 진단적 접근 • 양성질환과 악성질환의 감별이 가장 중요한 포인트!! • 질환의 이해에 기초한 자세한 병력청취와 진찰을 통해 진단에 필요한 검사를 잘 선택할 것 • 병력이나 신체검사에서 악성질환이나 전신적 질환의 증거가 없는 경우 특별한 검사 없이 적절한 간격의 경과관찰을 시행할 것 1 병력/신체검사 1. 림프절 종대(Lymphadenopat

[감별진단의 정석] 손발저림(Numbness and Tingling on Hands and Feet)/손발터널 증후군/말초신경병증/ 압박성 신경병증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감별진단의 정석 PART 9. 신경-정신 문제 Neuro-Psychiatric problems Topic 7 손발저림(Numbness and Tingling on Hands and Feet)의 내용입니다. PART 9 목차 먼저 확인해보겠습니다! Topic 7. 손발저림(Numbness and Tingling on Hands and Feet) DDX Possible conditions 1. 손발저림의 원인 » 손발저림을 초래하는 신경병증 통증은 중추신경계 장애 혹은 말초신경계 장애에 의해 나타나게 되므로 손발저림을 유발할 수 있는 병소위치는 매우 다양합니다. » 크게 말초신경병증(peripheral neuropathy)과 비말초신경병증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비말초신경병증은 중추신경계 침범 질환 외에 말초혈관질환 및 기타 원인으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1) 말초신경계 원인(Peripheral Nervous System C

[약처방의 정석] 내분비-남성갱년기 증후군/male climacteric/male menopause/andropause/TDS/테스토스테론/성선부전증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약처방의 정석 2권 PART 6. 내분비 Chapter 02. 증상/질환별 약처방의 정석 Topic 9 남성갱년기 증후군: 치료 Overview의 내용입니다. Chapter 02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Topic 9. 남성갱년기 증후군: 치료 Overview 01 남성갱년기 증후군 치료를 이해하기 위한 기초 1) 정의 (1) 남성갱년기란? • 남성에서 연령이 증가하면서 경험하게 되는 발기력 감퇴, 성욕저하, 수동적 태도, 골다공증 등의 전형적인 증상들과 혈청 테스토스테론 결핍을 동반하는 임상적, 생화학적 증후군을 의미한다. (2) 남성갱년기를 지칭하는 용어 male climacteric 남성갱년기는 1939년 Werner가 50대 남성에서 쉬운 피로감, 성기능 소실, 안면 홍조, 우울증, 기억력 감퇴 등의 복합 증상을 ‘male climacteric’이라고 칭한 데서 유래하였다. male menopause 혹은 andro

[신간소식] SMART 응급진료 매뉴얼(5월 18일 출고 예정)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바른의학연구소에서 출간하는 책에 늘 관심을 가져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바른의학연구소의 신간도서 SMART 응급진료 매뉴얼이 출간될 예정입니다. SMART 응급지료 매뉴얼 2022년 5월 18일 (수) 출고예정 ( ※ 인쇄 및 제본 진행 상황에 따라 출고일은 달라 질 수 있습니다.) 신간도서가 언제 나오는지 너무나 많은 분들께서 문의 주시고 오래 기다려 주셨는데, 이제 출간일이 몇 일 남지 않았으니 정말 출간을 코 앞에 두고 있습니다. 바른의학연구소 쇼핑몰(barunlab.com)을 통해서 사전 예약 구매를 하실 수 있습니다. SMART 응급진료 매뉴얼 출간 예정일: 5월 18일 저자: 이상봉 간략한 책 소개 (자세한 책 소개는 조만간 별도의 포스팅으로 다룰 예정입니다) SMART 응급진료 매뉴얼은 1권은 심폐소생술, 외상, 환경응급 등 응급진료에서 특별하게 취급하는 주제를 포함하였고 2권은 심혈관, 호흡기, 소화기 등 계통별로 분류하여 접근하였습니다

[SMART 응급진료 매뉴얼] 일산화탄소(Carbon monoxide) 중독 / 환경 응급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두 권의 신간도서 중 <SMART 응급진료 매뉴얼> 맛보기 콘텐츠를 공유해 드릴게요! 신간도서는 바른의학연구소 쇼핑몰에서 구매하실 수 있으니 많은 관심과 방문 부탁드려요! 신간도서 구매하러 가기 https://barunlab.com/product/detail.html?product_no=88&cate_no=47&display_group=1 바른의학연구소 바르고 똑똑한 의학 컨텐츠로 세상과 소통합니다. barunlab.com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다음과 같습니다. <SMART 응급진료 매뉴얼> PART 4. 환경응급 TOPIC 6. 일산화탄소(Carbon monoxide) 중독 PART 4 목차 확인하기 Topic 6 일산화탄소(Carbon monoxide) 중독 1. 개요 1 발생 원인 • 화석연료의 연소(석탄, 석유, 천연가스), 화재로 인한 연기, 철주물, 제지공장 등에서 나오는 증기 • 연탄에 의한 원인이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SMART 응급진료 매뉴얼] 외상 환자의 초기 평가 및 치료 - Trauma Systems 및 Timely Triage, 외상 환자 접근 흐름도, 일차 조사, 이차 평가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올해 5월에 나온 신간도서 <SMART 응급진료 매뉴얼> 맛보기 콘텐츠를 공유해드리겠습니다. SMART 응급진료 매뉴얼 SMART 응급진료매뉴얼은 바른의학연구소 쇼핑몰에서 구매하실 수 있으니 많은 관심과 방문 부탁드려요! 구매하러 가기 https://barunlab.com/product/detail.html?product_no=88&cate_no=47&display_group=1 바른의학연구소 바르고 똑똑한 의학 컨텐츠로 세상과 소통합니다. barunlab.com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다음과 같습니다. <SMART 응급진료 매뉴얼> PART 3. 손상/외상 CHAPTER 1. 손상/외상: 개요 TOPIC 1. 외상 환자의 초기 평가 및 치료 PART 3 목차 확인하기 Topic 1 외상 환자의 초기 평가 및 치료 • 외상 환자의 초기치료는 일차평가(primary survey), 소생술, 이차평가(secondary survey), 진

[SMART 응급진료 매뉴얼] 코카인(Cocaine)/암페타민(Amphetamine)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올해 5월에 나온 신간도서 <SMART 응급진료 매뉴얼> 맛보기 콘텐츠를 공유해드리겠습니다. SMART 응급진료매뉴얼은 바른의학연구소 쇼핑몰에서 구매하실 수 있으니 많은 관심과 방문 부탁드려요! 신간도서 구매하러 가기 https://barunlab.com/product/detail.html?product_no=88&cate_no=47&display_group=1 바른의학연구소 바르고 똑똑한 의학 컨텐츠로 세상과 소통합니다. barunlab.com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다음과 같습니다. <SMART 응급진료 매뉴얼> PART 5. 중독/독성 TOPIC 18. 코카인(Cocaine)/암페타민(Amphetamine) PART 5 / CHPTER 4 목차 확인하기 Topic 18 코카인(Cocaine)/암페타민(Amphetamine) 1. 개요 • 교감신경계를 흥분시켜 독성을 일으키는 약제 Cocaine • 국소 마취 효과: 세포막에서 빠

혈뇨(Hematuria) - 구별, 소변 색깔 이상 원인, Dipstick, 현미경 관찰법, 일과성 (미세) 혈뇨, 사구체/비사구체 혈뇨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21년 3월 출간된 감별진단의 정석 도서 콘텐츠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본 책은 일차진료, 내과진료, 응급진료 등 진단 및 치료를 포괄적으로 다룬 교재와 비교할 때 진단 쪽에 초점을 맞춰 상세하게 기술한 책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즉, 진단 쪽을 보충(supplement)하는 책입니다! 본 책은 아래와 같이 토픽별로 크게 6가지 요소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 Introducing Case 2. Warming-up 3. Possible conditions 4. Main conditions 5. Approach to the patient 6. Back to the Case 토픽 구성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 블로그 포스트를 통해 확인해주세요. 감별진단의 정석: 활용가이드 포스트 오늘은 혈뇨(Hematuria) 콘텐츠 중 Approach to the patient 부분을 소개해드리겠습니다. 본 포스트는 지난번에 올려드린 포스트에 이어지는 내용입니

소아 장겹침증 (장중첩증)(Intussusception) - PLP, focal masses, colicky pain, currant jelly, sausage-shaped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올해 개정 3판이 출간된 SMART 소아진료매뉴얼 3판 콘텐츠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SMART 소아진료매뉴얼 3판 PART 07. 소화기 CHAPTER 02. 주요 질환 7. 소장·대장질환 에 있는 7.2 장겹침증(Intussusception) 콘텐츠입니다!! SMART 소아진료매뉴얼 3판 장겹침증(장중첩증, Intussusception) 목차 7.2 장겹침증(장중첩증, Intussusception) 개정포인트 & KEY Reference key reference update •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대한소아영상의학회/대한소아외과학회/대한소아응급의학회. 어린이 장겹침증 환자의 응급실 진료지침. 2019 • Core review • SMART 실전진료 Point 위 Core review와 실전진료 Point는 SMART 소아진료매뉴얼 3판 PART 7. 소화기 7.2 장겹침증(Intussusception) 에서 확인하실

유치도뇨관 관련 감염(CA-UTI)- Ciprofloxacin, Levofloxacin, Nitrofurantoin, Ertapenem, Piperacillin-tazobactam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항생제 처방의 정석(기본편): 지피지기 처방전략 에 있는 PART 01. 감염병에 대한 지피지기 Chapter 2. 감염경로를 이해하자! 감염경로별 주요 감염병 05. 의료 관련 감염 5-1. 삽입기구 관련 감염: 중심정맥관 관련 감염, 유치도뇨관 관련 감염 2. 유치도뇨관 관련 감염(Catheter-Related UTI, CA-UTI) 입니다. 항생제 처방의 정석 - 감염병에 대한 지피지기 목차 1 항생제 처방의 정석 - 감염병에 대한 지피지기 목차 2 항생제 처방의 정석에 대해 자세히 알고 싶으신 분은 도서 소개 영상을 확인해주세요! https://youtu.be/Apd6nQnGIHA 유치도뇨관 관련 감염(Catheter-Related UTI, CA-UTI) 1 개요 1. 유치도뇨관 관련 요로 감염이란? • 입원한 성인 환자에서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의료 관련 감염 • 유치도뇨관 삽입 시 세균뇨 발생 위험: 매일 3-10

외이 질환/외이도염(Otitis externa)/외이도/중이염염/귀진균증/canal inflammation/귀통증/이루(otorrhea)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SMART 기본일차진료매뉴얼의 콘텐츠는 다음과 같습니다. <SMART 기본일차진료매뉴얼> PART 14. 귀, 코, 두경부 CHAPTER 1. 귀증상·질환 TOPIC 4. 외이도염(Otitis externa) CHAPTER 1 목차 확인하기 Topic 15-1. 외이도염: 개요 및 진단 1 급성 외이도염(Acute otitis externa, AOE)이란? • 외이의 미만 염증(diffuse inflammation). 귓바퀴(pinna)나 고막 또한 침범 가능 • ‘swimmer’s ear’ 혹은 ‘tropical ear’로도 알려져 있음 • 역학: 외이도염은 전 인구의 3-5%를 차지하는 질환 2 원인: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 가능 1. 미생물학적 원인 세균 • 췌급성 외이도염의 가장 흔한 원인 • 가장 흔한 병원체: Pseudomonas aeruginosa (20-60%), Staphylococcus aureus (10-70

군발두통(Cluster headache) - 개요 / 진단 / 치료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도 Metamedic에 업로드 된 콘텐츠 중 하나를 소개해드립니다. www.metamedic.co.kr Metamedic - 홈화면 오늘의 콘텐츠는 SMART 기본일차진료매뉴얼 3판 온라인 제공 콘텐츠 중 하나인 군발두통(Cluster headache) 입니다. Metamedic - 군발두통(Cluster headache) 군발두통(Cluster headache) 1 개요 1. 군발두통이란? • 삼차자율두통 중 가장 흔한 형태. 크게 다음과 같이 분류 삽화성 군발두통 (episodic cluster headache) vs. 만성 군발두통 (chronic cluster headache) 완화시기가 1개월 이상인 경우 완화시기가 1개월 이하인 경우 2. 삼차자율신경두통 • ICHD-2판에서는 군발두통과 삼차자율신경두통이었으나, 군발두통도 삼차자율신경두통에 속하기 때문에 ICHD-3판에서는 제목이 삼차자율신경두통으로 변경됨 • 3판에서는 지속반두통(h

PFAPA 증후군[Periodic fever, Aphthous-stomatitis, Pharyngitis, Adenitis (PFAPA) Syndrome]- 개요 / 진단 / 치료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많은 관심을 가져주시는 올해 신간도서 SMART 소아진료매뉴얼 3판 온라인 콘텐츠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SMART 소아진료매뉴얼 3판 목차 및 미리보기를 확인하실 분은 아래 이미지를 클릭해주세요 바른의학연구소 공식 쇼핑몰 - SMART 소아진료매뉴얼 3판 이미지 오늘의 콘텐츠는 감염/전신 > [증상] 발열[Fever] 카테고리에 있는 PFAPA 증후군[Periodic fever, Aphthous-stomatitis, Pharyngitis, Adenitis (PFAPA) Syndrome] 콘텐츠 입니다. 메타메딕(Metamedic) - PFAPA 증후군 콘텐츠 화면 PFAPA 증후군[Periodic fever, Aphthous-stomatitis, Pharyngitis, Adenitis (PFAPA) Syndrome] 1 개요 1. PFAPA (periodic fever, aphthous stomatitis, pharyngitis, and ad

체중증가/비만 (Weight gain/Obesity) - 쿠싱증후군(Cushing syndrome) 개요 / 임상양상 / 진단 / 치료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감별진단의 정석 도서 콘텐츠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감별진단의 정석 오늘 소개해드리는 콘텐츠는 체중증가/비만 (Weight gain/Obesity) Main conditions: 쿠싱증후군(Cushing syndrome) 입니다. 이전 콘텐츠와 이어지는 내용입니다. 이전 콘텐츠를 못보신 분은 아래 링크를 먼저 확인해주세요!! [감별진단의 정석] 체중증가/비만/Obesity/과체중/고도비만/일차성비만/이차성비만/갑상샘기능저하증/쿠싱증후군/비만의 원인 메타메딕(Metamedic) - 쿠싱증후군(Cushing syndrome) 콘텐츠 화면 체중증가/비만 (Weight gain/Obesity) Main conditions: 쿠싱증후군(Cushing syndrome) 1 개요 1. 쿠싱증후군이란? 만성적인 당질코르티코이드 과다(cortisol 과다)로 인해 생기는 여러 임상증상과 징후의 집합 cortisol은 부신겉질에서 분비되지만, 그 분비조절은 뇌하

공수병 - 예방접종 (접종대상/시기, 접종용량/방법, 이상반응, 금기사항), 접촉자 관리: 노출 후 예방조치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SMART 기본 일차진료매뉴얼 3판 (SMART 일차진료매뉴얼 2판(근거편)의 개정판입니다.) Online(metamedic.co.kr) 제공 콘텐츠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SMART 기본 일차진료매뉴얼 3판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바른의학연구소 공식 쇼핑몰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기본일차진료매뉴얼 3판 목차 및 미리보기 링크 오늘의 콘텐츠는 SMART 기본일차진료매뉴얼 3판 PART 3. 전신·감염 CHAPTER 4. 예방접종 클리닉 TOPIC 17. [online] 예방 가능한 주요 감염병의 예방전략: 예방접종, 환자관리, 접촉자관리(노출 후 예방)(항생제 처방의 정석 참조) 에 있는 공수병 콘텐츠입니다. 공수병 전체 콘텐츠를 확인하실 분은 아래 이미지를 클릭해주세요! 메타메딕 - 공수병 콘텐츠 화면 공수병 1 예방접종 1. 접종대상/시기 • 고위험 직업군에 속한 사람(수의사와 동물병원 근무자, 사냥터 관리인, 사냥꾼, 삼림감시원, 도축업

췌담도 검사 - 췌장효소(Pancreatic enzyme): Amylase/Lipase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SMART 기본일차진료매뉴얼 3판 온라인 콘텐츠 중 하나를 소개해 드립니다. (온라인 콘텐츠는 메타메딕 사이트를 통해서 제공합니다.) (https://metamedic.co.kr) 카테고리 먼저 소개해드릴게요~ SMART 기본일차진료매뉴얼 3판 소화기 소화기 진료를 위한 기초 [Only online] 소화기 검사실 검사(New) 췌담도 검사 입니다. 메타메딕 (Metamedic) - 췌담도 검사 카테고리 화면 오늘의 콘텐츠는 췌담도 검사 췌장효소(Pancreatic enzyme): Amylase/Lipase 입니다. 메타메딕 (Metamedic) - 췌장효소 콘텐츠 화면 췌장효소(Pancreatic enzyme): Amylase/Lipase 1 Amylase / lipase의 생성과 대사 amylase(아밀라아제) lipase(리파아제) 개요 • 알파-1,4-글리코시드 결합을 가수분해 → 전분을 작은 탄수화물 그룹으로 분해하고 최종적으로 이당

Carbapenem - 작용기전, 내성기전, PK/PD, 부작용, 종류, 항균범위, Imipenem/Cilastatin, Meropenem, Doripenem, Ertapenem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2021년 5월 출간된 항생제 처방의 정석(기본편) : 지피지기 처방전략 도서 콘텐츠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항생제 처방의 정석 (기본편) : 지피지기 처방전략 본 책은 이미 출간된 "약처방의 정석", 향후 출간될 "스테로이드 처방의 정석" 등과 더불어 임상에서 흔히 사용되는 약물 처방을 소개하고 있는 일명 약처방 시리즈 서적입니다. 항생제는 임상에서 자신 있게 처방하기가 쉽지 않은 대표적인 약물로서 다뤄야 할 내용이 상당한지라 "약처방의 정석"의 한 파트로 편성할 수 없어 "항생제 처방의 정석"으로 따로 펴내게 되었습니다. 항생제 처방의 정석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해주세요! 항생제 처방의 정석 목차 및 미리보기 링크 바른의학연구소 공식 쇼핑몰 - 항생제 처방의 정석(기본편) 상세페이지 화면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항생제 처방의 정석(기본편) PART 03. 지피지기 감염병 진료 전략: 세균 vs 항균제 CHAPTER

[SMART 기본일차진료매뉴얼(3판)] 불면증(Insomnia)/수면이상/급성불면증/정신생리 불면증/부적절 수면위생/만성불면장애/일차 불면증/불면증 모델/수면다원검사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바른의학연구소의 신간도서 SMART 기본일차진료매뉴얼(3판)은 기존에 출간되었던 SMART일차진료매뉴얼이 개정된 도서입니다. 실제적인 지침을 제시하기 때문에 소위 '근거편'이라는 별칭을 가지고 있는 도서이지요. 오늘 소개해드릴 SMART 기본일차진료매뉴얼(3판)의 콘텐츠는 다음과 같습니다. <SMART 기본일차진료매뉴얼> PART 12. 신경 정신 CHAPTER 3. 수면장애 클리닉 TOPIC 14. 불면증(Insomnia) CHAPTER 3 목차 확인하기 Topic 14. 불면증(Insomnia) 1 불면증(Insomnia): 개요 1. 불면증의 정의 • 불면증(insomnia)이란? 수면을 취할 수 있는 적절한 기회와 환경에도 불구하고 수면이상을 호소하는 것 • 수면이상이란? (1) 잠이 들기 어렵다(initiating sleep) (2) 수면을 유지하기 어렵다(maintaining sleep) (3) 너무 일찍 깬다(early wakenin

[신간소식] SMART 기본일차진료매뉴얼(3판) 출고 예정일 재연기 안내(1월 14일 출고 예정)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SMART 기본일차진료매뉴얼 3판의 신간도서의 출고 예정일이 기존에 안내 드렸던 1월 7일에서 1월 14일로 미루어진 점 말씀드립니다. 도서 인쇄 작업은 모두 마무리되었으나 두 권 세트 구성이다 보니 케이스 제작 시간이 추가적으로 필요하여 출고가 부득이하게 지연된 상황입니다. 또한 연말 연초에는 제본소 작업이 더욱이 많아 출고가 늦어지게 된 점 조금만 양해 부탁드립니다. 해당 도서는 제본과 케이스 제작이 마무리되고 입고되는대로 빠른 시일 내에 출고해드릴 예정입니다. ※ 제본 상황에 따라 예상 날짜보다 출간일이 앞당겨질 수 있습니다. ※ SMART 소아진료매뉴얼 3판은 이미 출간되어 배송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그럼 출간일 전에는 SMART 기본일차진료매뉴얼과 SMART 소아진료매뉴얼 두 신간도서의 맛보기 콘텐츠를 블로그에 꾸준히 업로드 해드리며 찾아뵙겠습니다. 이해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SMART 기본일차진료매뉴얼(3판)] 비알코올 지방간질환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NAFDL/FFA/단순지방증/간섬유증/간경변증/인슐린저항성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바른의학연구소의 신간도서 SMART 기본일차진료매뉴얼(3판)은 기존에 출간되었던 SMART일차진료매뉴얼이 개정된 도서입니다. 실제적인 지침을 제시하기 때문에 소위 '근거편'이라는 별칭을 가지고 있는 도서이지요. 오늘 소개해드릴 SMART 기본일차진료매뉴얼(3판)의 콘텐츠는 다음과 같습니다. <SMART 기본일차진료매뉴얼> PART 8. 소화기 CHAPTER 3. 소화기 증상·징후·질환(간담췌) TOPIC 20. 비알코올 지방간질환(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CHAPTER 3 목차 확인하기 Topic 20. 당뇨병: 비알코올 지방간질환(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1 비알코올 지방간 질환(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이하 NAFLD): 개요 1. 정의 • 비알코올 지방간질환(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AFLD)을

신간도서 &lt;SMART 소아진료매뉴얼(3판)&gt; 책 구성 및 특징 소개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신간도서 출간 작업을 하는 동안 많은 구독자분들로부터 책에 대한 문의가 쏟아졌습니다. 기존에 '근거편'이라는 별칭을 가진 SMART 기본일차진료매뉴얼에 대한 문의도 많았지만 SMART 소아진료매뉴얼에 대한 관심도 끊이지 않았지요! 소아과 개원을 앞두고 계신 구독자님, 학생들을 가르치시는 구독자님, 의대를 열심히 다니고 계시는 의대생 구독자님 등등 저마다 가지각색의 다양한 이유로 소아진료매뉴얼을 찾아주시고 기다려 주셔서 감사한 마음이었답니다. 지난 번에는 두 권의 신간도서 중 SMART 기본일차진료매뉴얼에 대해 알아봤는데 오늘은 SMART 소아진료매뉴얼에 대해 소개해 드릴게요 :) 출간 예정일 : 2022년 1월 7일(금요일) 도서명: SMART 소아진료매뉴얼(3판) 부제: Evidence based & Practical approach 정가: 120,000원 저자: 이상봉 / 판 유형: 개정 3판 / 권수: 1권 크기: 188*257 (mm) / 제본

[SMART 소아진료매뉴얼(3판)] 홍역(Measles)/홍역 증상/발진양상/홍반 구진성 발진/불현성 홍역 감염/비정형 홍역/홍역 합병증/기본혈액검사/혈청검사/바이러스 분리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SMART 기본일차진료매뉴얼의 콘텐츠는 다음과 같습니다. <SMART 소아진료매뉴얼> PART 4. 감염·전신 CHAPTER 2. 바이러스감염 TOPIC 5. 홍역(Measles) CHAPTER 2 목차 확인하기 Topic 4 홍역(Measles) Ⅰ 홍역(Measles): 임상양상 및 진단 1 임상양상 1. 홍역의 증상은 어떠한가? 1) 전형적인 홍역 증상 감염 • 비말 등의 공기매개감염, 환자의 비·인두 분비물과 직접 접촉 • 전염성이 매우 높음 • 전염기간: 발진이 나타나기 4일 전부터 발진이 나타난 후 4일까지 ↓ 잠복기 • 노출기: 발진 발생(D-day) 약 14일 전(D-7일~D-21일) • 전염기: 발진 발생(D-day) 전 4일부터 발생 후 4일(D-4일~D+4일) • 잠복기: 10-12일 ↓ 전구기 (prodromal stage) • 전염력이 가장 강한 시기(3-5일간 지속) • 발열, 기침, 콧물, 결막염(Thr

[SMART 기본일차진료매뉴얼(3판)] 당뇨병(Diabetes)/심뇌혈관 질환/공복혈장포도당/당화혈색소/임신당뇨병/정상혈당/당화혈색소/당뇨병 환자/자가 혈당 점검/혈당조절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위의 도서 이미지는 SMART 기본일차진료매뉴얼로 기존에 바른의학연구소에서 출간되었던 SMART 일차진료매뉴얼이 업그레이드 되어 이번에 새롭게 출간될 책이랍니다. 근거편이라는 별칭을 가진 책이지요!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이번 신간도서 SMART 기본일차진료매뉴얼의 일부를 발췌했습니다. 책 구성을 살펴보시는데 도움이 되시기 바라며 오늘 소개해드릴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SMART 기본일차진료매뉴얼> PART 5. 심뇌혈관 질환의 통합관리 CHAPTER 3. 심뇌혈관 질환 위험인자로서의 주요 만성질환 TOPIC 15. 당뇨병(Diabetes) CHAPTER 2 목차 확인하기 Topic 15-1. 당뇨병: 진단 및 치료 1 당뇨병: 개요 1. 당뇨병의 분류 • 다음과 같이 분류 가능 제1형 당뇨병 • 췌장 베타세포 파괴에 의한 인슐린 결핍으로 발생한 당뇨병 • 자가항체 유무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 (1) 면역 매개성 (2) 특발성 제2형 당뇨

[1차진료 아카데미 처방가이드] 산전관리/임신/임신검사/임신확인/무월경/보험급여/임산부/산전질환/초음파검사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일차진료 아카데미 처방가이드는 13년 초판 이후 매우 뜨거운 반응을 받은 실전진료 현장의 실제의학실무를 담은 서적입니다. 저희 바른의학연구소에서는 일차진료에 필요한 진료지식과, 병의원 경영 및 운영 전반에 이르는 필수지식을 꼼꼼히 담아내려 노력했습니다. 일차진료 아카데미 처방가이드 1진료 Chapter 11. 여성의학 Topic 3 산전관리의 내용입니다. Chapter 11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Topic 3. 산전관리 ① 산전 평가 위장관염은 위와 장의 염증을 의미하나, 급성 위장관계 감염증 대부분이 급성 설사 양상으로 나타난다.설사는 대변의 수분, 양, 그리고 횟수의 증가로 보통 하루 3회 이상이고 묽은 변 이상의 수분이 함유된 변을 말하는데 감염원에 의해 발생하고 구역, 구토, 복통 등이 수반될 때 감염성 설사라고 한다. 그러나 감염원인 미생물이 임상에서 확인되는 경우는 흔하지 않다. 1-1 임신에 대한 평가: 임신 검사(Pregnancy

[기본통증진료학] 허리/허리통증/Backpain/척추기립근/추간관절증/대요근/좌골신경+늑골신경/척추신경후지차단술/천장관절블록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기본통증진료학 PART 8. 허리 Topic 1 “허리가 아파서 왔어요" 허리통증(Back pain) 의 내용입니다. PART 8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 Topic 1."허리가 아파서 왔어요(허리 통증)" JX999 명세서 기재사항 Psoas compartment block 시행 시 명세서 기재사항 환자가 vas score 7점 및 허리 통증을 주소로 내원하여 환자를 (복와위/측와위/좌위)로 하여 블록을 시행할 부위를 촉진하여 확인한 후, 포비돈으로 자입부위를 소독한 후, 국소마취제로 자입점을 피부침윤한 후 22G의 자침으로 피부 및 피하조직 이하를 guiding하였으며, 22G 바늘을 이용하여 식염수를 채운 주사기에 저항을 주면서 피부면에 수직으로 조심스럽게 진입하였는데, 저항이 소실되는 공간을 확인하게 되면 C-ARM 투시하에 조영제를 주입하여 바늘의 위치를 확인하여 혈관 내 주입이 안 되는지를, 근육으로 빠져나가는지를 확인한 후에

[기본통증진료학] 손목-수근관증후군:평가/치료/계획/약물치료/통증치료/건초 내 주사/신경차단술/식이요법/운동요법/테이핑요법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기본통증진료학 PART 7. 손목 Topic 3 “손가락이 저리고 무디면서 아프다(심지어 손가락 위축도 일부에서는 있다)” 수근관증후군(Median nerve entrapment) 의 내용입니다. PART 7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 Topic 3. "손가락이 저리고 무디면서 아프다(심지어 손가락 위축도 일부에서는 있다)" 수근관증후군(Median nerve entrapment) JX999 명세서 기재사항 손목터널증후군 시의 액와하부신경차단술 시행 후 환자가 vas score 7점 및 손목관절의 심한 통증과 운동제한을 주소로 내원하였으며, 손목운동 제한 flexion [ ] 도 / extension [ ] 도 도수근력검사상 좌/우였다. 환자를 앙와위자세를 시키고, 주사를 시행할 부위를 촉진하여 확인한 후, 포비 돈으로 자입부위를 소독한 후, 좌측 상지 또는 우측 상지의 [ ] 부위에 주사를 시행함 JX999 명세서 기재사항 손목터널증후군

[감별진단의 정석] 피부 문제-건조한 피부/Dry skin/주요 요인/유발 질환/약물/건성 습진/비늘증/어린선/증상/병력/신체검사/진단검사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감별진단의 정석 PART 11. 피부 문제 Topic 2 건조한 피부(Dry skin)의 내용입니다. Part 11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Topic 2. 건조한 피부(Dry skin) DDX Possible conditions I. 건조 피부의 주요 요인 원인은 크게 외인성과 내인성으로 나눠볼 수 있습니다. II. 건조피부를 유발할 수 있는 질환/약물 건조 피부를 유발하는 질환은 크게 피부 질환, 전신질환, 정신질환 등으로 구분해볼 수 있습니다. 표 건조피부를 유발할 수 있는 질환 피부질환 염증피부질환 • atopic dermatitis • allergic contact eczema, irritant contact dermatitis • 만성습진:dyshidrotic eczema, nummular eczema, seborrheic dermatitis, perioral dermatitis • drug eruption •

[1차진료 아카데미 처방가이드] 감염-인플루엔자:Influenza/독감/진단/감염경로/발생/유행/임상소견/합병증/진단검사/치료/보조요법/급여기준/예방/백신/항바이러스제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일차진료 아카데미 처방가이드는 13년 초판 이후 매우 뜨거운 반응을 받은 실전진료 현장의 실제의학실무를 담은 서적입니다. 저희 바른의학연구소에서는 일차진료에 필요한 진료지식과, 병의원 경영 및 운영 전반에 이르는 필수지식을 꼼꼼히 담아내려 노력했습니다. 일차진료 아카데미 처방가이드 진료1 Chapter 9. 감염 Topic 4 인플루엔자(Influenza)(=독감)의 내용입니다. Chapter 9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Topic 4. 인플루엔자(Influenza)(=독감) ① 인플루엔자(influenza)(=독감): 진단 코드 명칭 진료과 좌 우 수술 특정코드 J10 기타 확인된 인플루엔자 바러스에 의한 인플루엔자 01 J110 바이러스가 확인되지 않은, 폐렴을 동반한 인플루엔자 01 코드 명칭 용량 진료과 SID 신종플루진단키트 1 1 C6095006 실시간역전사종합효소연쇄반응법-인플루엔자바이러스 A(진단검사의학) 1 1 C5968

[약처방의 정석] 호흡기/알레르기-만성 기침:기침의 분류/급성 및 아급성 기침/만성 기침 접근전략/ACCP guideline/국내 가이드라인/약물요법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약처방의 정석 1권 PART 4. 호흡기/알레르기 Chapter 02. 증상/질환별 약처방의 정석 Topic 4 만성 기침의 내용입니다. Chapter 02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Topic 4. 만성 기침 01 만성 기침: 치료 Overview 1) 기침에 대한 이해 (1) 기침의 분류 • 기침은 지속기간에 따라 급성, 아급성 및 만성 기침으로 분류한다. • 지속기간에 따른 기침의 분류는 원인을 감별하는 데 유용하다. 표 가슴 X선 소견이 정상인 환자에서 고려해야 할 감별 질환 급성 기침(3주 미만) 아급성 기침(3~8주) 만성 기침(8주 이상) • 급성 호흡기 감염 바이러스: respiratory syncytial virus, rhinovirus, influenza, parainfluenza, adenovirus, respiratory corona virus, metapneumovirus. 세균 • 독성 가스 흡인

[감별진단의 정석] 통증/근골격문제-목/등/허리/가슴:목통증/Neck pain/원인/경부축성통증/임상양상/진단적접근/경추긴장/염좌/편타성질환/경추신경병증/신체검사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많이 기다려주셨던 <감별진단의 정석>이 오늘 출간되었습니다! 바른의학연구소 쇼핑몰을 비롯한 여러 사이트를 통해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이어서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감별진단의 정석 PART 3. 통증/근골격 문제 Chapter 3. 목/등/허리/가슴 Topic 5 목 통증(Neck pain)의 내용입니다. Chapter 3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Topic 5. 목 통증(Neck pain) DDX Possible conditions I. 목 통증의 원인 • 목 통증의 원인은 다음과 같이 매우 다양 • 분류방법 :원인에 따른 분류; 중증도와 빈도에 따른 분류 • 다음과 같은 원인이 가장 흔하다. ⑴ 축성 목 통증(axial neck pain) ⑵ 편타성 질환(whiplash associated disorder, WAD) ⑶ 경추 신경근병증(cervical radiculopathy) 생역학적 원인들 (biomechanical causes) • 축성

[SMART 일차진료 매뉴얼 실전편] 질병예방·건강증진:비만/진단적접근/치료/개요/식사요법/운동요법/행동요법/약물요법/진단기준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SMART 일차진료 매뉴얼 실전편 1 PART 1. 질병예방·건강증진 Topic 1 비만의 내용입니다. PART 1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 Topic 1. 비만 추가내용 및 REFERENCE • 대한비만학회. 비만치료지침. 2018 • 이선영. 비만약물치료의 현재와 미래. 대한비만학회 2017년 제34회 춘계 연수강좌 • 이지원. 새로운 비만치료 약물-실전에서 적용하기. Korean J Fam Pract. Vol. 8, No. 1 Suppl 2018; S263-S266 진단적 접근 • 선별:모든 초진 및 재진 환자에서 1년에 한 번 체중과 허리둘레를 측정 • 한국인의 비만 진단 기준:“Practical guide” 참조 • 비만의 평가:⑴ 체지방측정; ⑵ 체성분분석기기:생체전기저항법(bioimpedance analysis, BIA) 치료/개요 • 비만의 주요 치료방법 • 식이요법(Diet) • 행동요법(Behavior) • 운동요법(E

[1차진료 아카데미 처방가이드] 내분비-당뇨:Diabetes mellitus/당뇨병/정의/진단기준/심사기준/치료/혈당조절/당뇨치료제/주사제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일차진료 아카데미 처방가이드는 13년 초판 이후 매우 뜨거운 반응을 받은 실전진료 현장의 실제의학실무를 담은 서적입니다. 저희 바른의학연구소에서는 일차진료에 필요한 진료지식과, 병의원 경영 및 운영 전반에 이르는 필수지식을 꼼꼼히 담아내려 노력했습니다. 일차진료 아카데미 처방가이드 진료1 Chapter 8. 내분비 Topic 1 당뇨(Diabetes mellitus)의 내용입니다. Chapter 8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Topic 1. 당뇨(Diabetes mellitus) ① 당뇨(diabetes mellitus): 평가 및 치료 코드 명칭 진료과 e119 합병증을 동반하지 않은 인슐린-비의존 당뇨병 01 e109 합병증을 동반하지 않은 인슐린-의존 당뇨병 01 1-1 개요 정의: 유전적 감수성을 가진 개체에서 다양한 환경인자가 작용하여 인슐린의 결핍 혹은 저항성의 증가를 유발시키고, 이 로 인해 지속적인 고혈당이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탄수화물

[약처방의 정석] 소화기-만성B형간염:치료Overview/가이드라인 기준/분류(KASL)/치료목표/치료대상 및 전략/약물요법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약처방의 정석 1권 PART 5. 소화기 Chapter 02. 증상/질환별 약처방의 정석 Topic 12 만성 B형 간염의 내용입니다. Chapter 02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Topic 12. 만성 B형 간염 01 만성 B형 간염: 치료 Overview 1) 치료를 이해하기 위한 기초 (1) 만성 B형 간염이란? • HBV의 감염으로 인하여 혈청 HBsAg이 6개월 이상 양성인 경우 (2) B형 간염의 자연경과(natural history) • 만성 B형 간염의 자연경과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 임상의에게 항바이러스 치료 필요성 및 적절한 개시시점을 결정하 는 데 지침이 되기 때문 • 자연 경과에 대한 분류 및 용어가 가이드라인이 개정되면서 달라진 부분이 있다. 치료를 하고 있지 않은 상황에서 체내 HBV 바이러스가 검출되는 상황은 급성 또는 만성 감염이 있는 상황이며, 검출되지 않는 상황은 치유가 된 것으로 평가되므로

[신간도서] 감별진단의정석: 활용가이드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독자 여러분!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지난주에 말씀드린대로 감별진단의정석: 활용가이드로 찾아왔습니다! 감별진단의 정석 Overview 때 말씀드린 것처럼 본 책은 Backbone plus Supplement Strategy 관점에서 Backbone이기도 한 동시에 Supplement이기도 한 책입니다. 활용가이드 안내에 앞서 우선, 감별진단의 정석 Strategy에 대해 안내드리겠습니다. 아래 표를 통해 간단하고 쉽게 이해하실 수 있으실 겁니다. Strategy I Backbone plus supplement Strategy: 중심축(뼈대) + Supplement 전략 중심축(뼈대): 일차진료에 관한 기본적이고 전체적인 뼈대 구축 Supplement: 추가적으로 필요한 세부적인 부분 보충 Strategy II Basic to Bedside Strategy or Principle to Practice 기초의학에서 습득한 내용을 임상에 적절하게 접목하고 활용할 수 있

[Q book] 혈액:급성백혈병-백혈병/정의/발생률/원인/감별진단/치료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Q book 7권 (구 MASTER KMLE) 과목 2. 혈액 Topic 7 급성 백혈병의 내용입니다. 과목 2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 Topic 7. 급성 백혈병 리뷰01. 급성 백혈병 급성 백혈병을 공부하기 전에, 백혈병의 정의와 역학 등에 대해 먼저 살펴보고 나서, 급성백혈병과 만성백혈병의 감별진단 포인트를 보고, 각론으로 넘어가도록 하겠습니다. 01. 백혈병(Leukemia) 1. 정의 • Immature myeloid/lymphoid precursor (=blast)의 증식(20% 이상)에 의하여 조혈기능 장애와 여러 조직에 백혈병 세포의 침윤을 특징으로 하는 조혈 조직의 악성 종양 2. 발생률 • 전체 Acute leukemia (87%): AML (70%) > ALL (30%) - 성인: AML(80%), ALL(20%) - 소아: AML(20%), ALL(80%) chronic leukemia (13%): CML (9

[1차진료 아카데미 처방가이드] 일차진료처방기초-수액요법:탈수/단위/전해질/표준방울/수액제제/장단점/정질용액/교질용액/소아수액요법/구성/임상양상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일차진료 아카데미 처방가이드는 13년 초판 이후 매우 뜨거운 반응을 받은 실전진료 현장의 실제의학실무를 담은 서적입니다. 저희 바른의학연구소에서는 일차진료에 필요한 진료지식과, 병의원 경영 및 운영 전반에 이르는 필수지식을 꼼꼼히 담아내려 노력했습니다. 일차진료 아카데미 처방가이드 진료1 Chapter 1. 일차진료 처방 기초 Topic 3 수액요법의 내용입니다. Chapter 1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Topic 3. 수액요법 ① 수액요법의 기본적인 이해 수액요법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우선 maintenance와 replacement의 개념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특별한 문제가 없는 상황에서도 생존을 위해서 기본적으로 필요한 수분, 전해질을 공급하는 개념이 maintenance이고 문제가 있는 상황(예. 탈수)에서 이를 보충해 주는 개념이 replacement의 개념이다. 1-1 maintenance: Minimum water & elecroly

[신간도서] 감별진단의 정석: 목차소개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독자 여러분!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어제 소개해드렸던 감별진단의 정석 Overview에 이어 목차를 소개해드리고자 합니다! 그럼 목차에 대해 알아볼까요? 본 책의 목차는 크게 Part 11개로 구성되어있습니다. Part 1. 생체징후 관련 문제 Part 2. 전신/내분비 문제 Part 3. 통증/근골격 문제 Part 4. 호흡기/알레르기 문제 Part 5. 심혈관/혈액 문제 Part 6. 소화기 문제 Part 7. 신장/비뇨생식기 문제 Part 8. 산과/부인과/유방 문제 Part 9. 신경-정신 문제 Part 10. 눈/귀/코/두경부 문제 Part 11. 피부 문제 자세한 내용은 아래 사진을 참고해주세요~!! 지금까지 간단하게 목차에 대해 안내드렸는데 독자님들은 어떠셨나요? 다음에는 감별진단의정석: 활용가이드로 찾아오겠습니다! "감별진단의 정석"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약처방의 정석] 내분비-비만/치료Overview/진단기준/주요치료방법/일반치료원칙/NHLBI가이드라인/약물치료/약물종류/교감신경작용제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약처방의 정석 2권 PART 6. 내분비 Chapter 02. 증상/질환별 약처방의 정석 Topic 6 비만의 내용입니다. Chapter 02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Topic 6. 비만 01 비만(Obesity): 치료 Overview 1) 비만 치료를 이해하기 위한 기초 비만 진단기준 • 2018년 대한비만학회가 비만진단기준을 새롭게 변경하였다. '과체중' 단계 → '비만 전 단계' 비만 단계 변경: (변경 전) 비만, 고도비만 → (변경 후) 1단계 비만, 2단계 비만, 3단계 비만(고도비만) BMI 기준 2012년 기준 2018년 기준 허리둘레에 따른 동반질환의 위험도 < 90cm(남자), < 85cm(여자) ≥ 90cm(남자), ≥ 85cm(여자) <18.5 저체중 낮음 보통 18.5-22.9 정상 정상 보통 약간 높음 23-24.9 과체중 '비만 전 단계' 약간 높음 높음 25.0-29.9 비만 1단계 비만

[신간도서] 감별진단의 정석 Overview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독자 여러분!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앞서 소개해드렸던 SMART 내과 1권에 이어 2021년 두 번째 출간도서 소식을 가져왔습니다! 이번에 출간되는 도서는 감별진단의 정석 입니다. 감별진단의 정석은 Backbone plus Supplement Strategy 관점에서 Backbone이기도 한 동시에 Supplement이기도 한 책입니다. 본 책은 일차진료, 내과진료, 응급진료 등 진단 및 치료를 포괄적으로 다룬 교재와 비교할 때 진단 쪽에 초점을 맞춰 상세하게 기술한 책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즉, 진단 쪽을 보충(supplement)하는 책입니다! 본 책은 아래와 같이 토픽별로 크게 6가지 요소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 Introducing Case 2. Warming-up 3. Possible conditions 4. Main conditions 5. Approach to the patient 6. Back to the Case 자세한 내용은 추후 다른 포스팅을 통

[Q book] 위장관:구토/구역/역류/식욕부진/거식증/조기포만감/구역질/되새김/원인/감별진단/진단적접근/치료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Q book 2권 (구 MASTER KMLE) 과목. 위장관 Topic 1-2 구토의 내용입니다. 과목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 Topic 1-2. 구토 리뷰01. 구토 01. 정의 구역, 구토 및 이와 유사한 증상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구토(vomiting) 복벽 및 흉벽 근육의 수축에 의해 위내용물을 입으로 강하게 배출하는 것을 말한다. 구역(nausea) 구토가 곧 발생할 것 같은 불쾌한 감각을 의미하며 대개 인두 혹은 명치부위로 전해진다 . 구역은 결국 구토로 이어질 수도 있고 아닐 수 있다. 역류(regurgitation) 구토에 특징적인 복부 및 횡격막 근육의 작용없이 음식물이 입으로 다시 올라오는 것 식욕부진(anorexia) 먹고자 하는 욕구의 상실(식욕의 진정한 상실) 거식증(sitophobia) 먹은 후에 일어나는 복부불쾌감 때문에 먹는 것을 두려워하는 것 조기포만감(early satiety) 음식을 조금만 섭취해도

죽상경화증(Atherosclerosis) - 정상 혈관조직의 구조, 혈관의 구조, 동맥경화증, 발생기전 등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올해 신간 도서인 1) SMART 기본일차진료매뉴얼 3판(SMART 일차진료매뉴얼 2판의 개정판입니다.) 2)SMART 소아진료매뉴얼 3판 에 많은 관심 보여주셔서 감사의 말씀드립니다. 도서 앞부속에도 적혀 있지만, 도서 분량의 한계로 SMART 기본일차진료매뉴얼 3판 도서에 담지 못한 콘텐츠들은 Metamedic 사이트를 통해서 제공해드리고 있습니다. 꾸준히 콘텐츠들을 업로드하고 있으니,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오늘은 Metamedic에서 제공하고 있는 콘텐츠 일부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죽상경화증 콘텐츠 입니다. Metamedic- 죽상경화증(Atherosclerosis) 콘텐츠 화면 죽상경화증(Atherosclerosis) 1 정상 혈관조직의 구조 • 혈관의 기본 구조를 이루는 세포는 내피세포이며, 혈관계의 말단에 위치하면서 가장 미세한 구조인 모세혈관은 단층의 내피세포로 구성되어 있음 •말단인 모세혈관에서 시작하여 중심부인 심장으로 갈수록

뇌졸중(Stroke)에 대한 이해 - 허혈 뇌졸중, 중대뇌동맥 경색, 전대뇌동맥 경색, 후대뇌동맥 경색, 뇌기저동맥 경색, 중뇌경색, 교뇌경색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Metamedic 사이트에서 제공하고 있는 콘텐츠를 소개해드립니다. (www.metamedic.co.kr) 오늘의 콘텐츠는 SMART 기본일차진료매뉴얼 3판에 있는 온라인 제공 콘텐츠로 뇌졸중(Stroke)에 대한 이해 입니다. SMART 기본일차진료매뉴얼 3판 (SMART 일차진료매뉴얼 2판의 개정판) Metamedic - "뇌졸중(Stroke)에 대한 이해" 콘텐츠 화면 뇌졸중(Stroke)에 대한 이해 뇌혈관질환의 병태로는 1. 혈전이나 색전 등으로 인한 허혈 또는 경색 질환과 2. 출혈 질환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 허혈성/경색성: 일과성 허혈증상(TIA), 뇌경색 • 출혈성: 고혈압성인 뇌출혈, 동맥류가 파열된 거미막하 출혈 1 허혈 뇌졸중(ischemic stroke) = 허혈뇌졸중의 증상은 허혈로 인한 뇌의 손상(뇌경색)의 위치와 크기에 따라 결정된다. = 각 주요 뇌혈관 별로 침범시에 나타나는 중요 임상 증상들을 알고 있으며, 거꾸

신염 증후군(Nephritic syndrome): 개요, 사슬알균 감염 후 급성 사구체 신염 (APSGN)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올해 신간도서 SMART 소아진료매뉴얼 3판 온라인 제공 콘텐츠 중 하나인 신염 증후군(Nephritic syndrome) 콘텐츠를 소개해드립니다! 쇼핑몰(barunlab.com) - 신간도서 SMART 소아진료매뉴얼 3판 신염 증후군(Nephritic syndrome): 개요, 사슬알균 감염 후 급성 사구체 신염 (APSGN) 참고 신염 증후군이란? • 혈뇨, 부종, 고혈압, 신부전 등의 증상을 초래하는 질환군 • 대부분 감염 후에 초래: 사슬알균, 포도알균, 폐렴사슬알균, 그람 음성세균, 리케차, 곰팡이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파르보 바이러스 등 • 막증식 사구체 신염(MPGN), IgA 신병증, 급속 진행 사구체 신염, 유전 신염, Henoch-Schӧnlein 자반병 신염(IgA 혈관염 신염), 전신 홍반 루푸스 등에서도 발생 가능 1 개요 신염 증후군 중 대표적인 질환 = 이 질환을 이해하면 신염 증후군을 이해하였다고 할 수 있습니

갑상샘 기능 검사(Thyroid function test) - 혈청 TSH, free T4, T3, 갑상샘 항체 검사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일차진료 매뉴얼 시리즈의 큰 두개 축 중 하나인 SMART 일차진료매뉴얼: 실전편(Case based approach) 콘텐츠 1개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SMART 일차진료매뉴얼: 실전편(Case based approach) 표지 SMART 일차진료매뉴얼: 실전편은 SMART 기본일차진료매뉴얼 3판(이전 근거편의 개정판)이 출간되면서 향후 실전일차진료매뉴얼로 도서명을 변경할 예정이랍니다! 바른의학연구소 공식 쇼핑몰(barunlab.com) 실전편 상세 페이지에서 샘플 미리보기를 확인해보세요! (이미지 클릭!) SMART 일차진료매뉴얼: 실전편 - 상세페이지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SMART 일차진료매뉴얼: 실전편 > 내분비 > 갑상샘 질환(Thyroid disease) 에 있는 갑상샘 기능 검사(Thyroid function test) 입니다. 메타메딕(metamedic.co.kr)에서도 실전편 전체 목차를 확인해보실 수 있습니다! 메타메딕

[SMART 기본일차진료매뉴얼(3판)] 요로결석(Urinary stone)/결석 형성/loop of Henle/요로결석 위험인자/칼슘결석/Struvite 결석/요산결석/시스틴 결석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SMART 기본일차진료매뉴얼(3판)의 맛보기 콘텐츠는 다음과 같습니다. <SMART 기본일차진료매뉴얼(3판)> PART 10. 신장·비뇨기 CHAPTER 2. 주요 증상·질환별 접근 TOPIC 9. 요로결석(Urinary stone) CHAPTER 2 목차 확인하기 Topic 9. 요로결석(Urinary stone) 1 요로결석(Urinary stone, calculi): 개요 1. 요로결석이란? • 신장, 요관, 방광, 요도 등의 요로계에서 발견되는 결석 • 요로에 발생하는 질환 증 가장 흔한 질병 중의 하나 2. 병태생리 1) 결석 형성 • 신장결석은 loop of Henle, distal tubule, collecting duct에 있는 microscopic crystals로부터 발생 • 결석 형성의 과정(process)은 다음에 좌우됨 (1) 소변양 (2) 칼슘, 인산염(phosphate), 옥살산염(oxalate), 나트

[SMART 소아진료매뉴얼(3판)] 소아청소년의 성장발달, 식이영양, 수면-영양 평가 및 영양 상담/생화학적 영양지표 평가/식이 섭취 조사/영유아 건강검진/검진시기별 영양상담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두 권의 신간도서 중 <SMART 소아진료매뉴얼> 맛보기 콘텐츠를 공유해 드릴게요! 신간도서는 바른의학연구소 쇼핑몰에서 구매하실 수 있으니 많은 관심과 방문 부탁드립니다. 신간도서 구매하러 가기 https://barunlab.com/product/detail.html?product_no=87&cate_no=47&display_group=1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다음과 같습니다. <SMART 소아진료매뉴얼> PART 2. 소아청소년의 성장발달, 식이영양, 수면 CHAPTER 2. 소아청소년의 평가: 식이영양상태 평가 "제대로 먹고 있으며, 영양상태는 괜찮은가?" TOPIC 6. 영양 평가 및 영양 상담 CHAPTER 2 목차 확인하기 Topic 6 영양 평가 및 영양 상담 Ⅰ 영양 평가 • 영양 상태는 신체 계측, 임상적 평가, 식이 평가와 생화학적 영양지표들에 기초하여 종합적으로 평가 • 영양 평가는 다음과 같은 요소를 종합적으로

[SMART 기본일차진료매뉴얼(3판)] 발열(Fever)/급성 발열/심부체온/표면체온/고체온증(Hyperthermia)/내인 발열원/발열 시토카인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SMART 기본일차진료매뉴얼의 콘텐츠는 다음과 같습니다. <SMART 기본일차진료매뉴얼> PART 3. 전신·감염 CHAPTER 1. 주요 증상·징후 TOPIC 1-1. 급성 발열의 접근(Approach to the patient with acute fever) CHAPTER 1 목차 확인하기 Topic 1-1. 급성 발열의 접근(Approach to the patient with acute fever) 1 발열: 개요 1. 체온의 측정 • 심부체온(core temperature)와 표면체온(surface temperature)로 구분 (1) 심부체온: 내부장기나 근육에서의 체온. 침습적인 방법에 의해서만 측정가능. 임상에서 손쉬운 이용이 어려움 (2) 표면체온: 피부나 점막에서의 체온. 비교적 측정이 용이. 심부체온과 차이 존재 • 체온은 다양한 신체부위에서 여러 방법 및 기술로 측정가능 • 보통 신체의 일부분에 측정하지만 신체

[SMART 소아진료매뉴얼(3판)] 신생아 황달(Neonatal jaundice)/빌리루빈 유형/용혈유무/생리적 황달/병적 황달/활모양강직/광선 요법/교환 수혈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도 바른의학연구소의 신간도서 맛보기 콘텐츠를 보여드리기 위해 찾아왔습니다 :) 평소에 도서의 구성이 어떻게 되어 있는지 궁금해 하시는 분들이 많으셔서 맛보기 콘텐츠가 궁금증 해결에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오늘은 두 권의 신간도서 중 SMART 소아진료매뉴얼(3판) 맛보기 콘텐츠를 공유해 드릴게요!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다음과 같습니다. <SMART 소아진료매뉴얼> PART 3. 신생아 CHAPTER 2. 신생아 질환 TOPIC 4. 신생아 황달(Neonatal jaundice) CHAPTER 2 목차 확인하기 Topic 4 신생아 황달(Neonatal jaundice) Ⅰ 신생아 황달: 원인 및 진단적 접근 1 원인 및 감별진단 1. 빌리루빈 유형 및 용혈유무에 따른 감별진단 흔한 원인 드문 원인 비포합 빌리루빈이 상승하는 경우 용혈이 존재하는 경우 • ABO-나 Rh-혈액형 부적합으로 인한 태아 적아구증 • 감염 • 지중해빈혈(Th

[SMART 소아진료매뉴얼(3판)] 예방접종에 대한 이해/수동면역/능동면역/예방접종의 분류/국가예방접종/기타예방접종/추가접종/약독화 생백신/불활성화 백신/다당 백신/재조합 백신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바른의학연구소 신간도서의 맛보기 콘텐츠를 보여드리기 위해 찾아왔습니다. 오늘은 두 권의 신간도서 중 <SMART 소아진료매뉴얼> 맛보기 콘텐츠를 공유해 드릴게요! 신간도서는 바른의학연구소 쇼핑몰에서 판매 중에 있으니 많은 관심과 방문 부탁 드립니다. 신간도서 구매하러 가기 https://barunlab.com/product/detail.html?product_no=87&cate_no=47&display_group=1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다음과 같습니다. <SMART 소아진료매뉴얼> PART 1. 소아진료의 기본 CHAPTER 3. 예방접종 TOPIC 7. 예방접종에 대한 이해 CHAPTE 3 목차 확인하기 Topic 7 예방접종에 대한 이해 Ⅰ 세기관지염: 개요 및 진단 1 예방접종의 원리 1. 수동면역 vs. 능동면역 수동면역 VS 능동면역 특징 • 다른 사람이나 동물에서 이미 만들어진 항체를 투여받아 얻게 되는 면역 • 항체를

[감별진단의 정석] 설사/Diarrhea/급성설사/만성설사/염증성/비염증성/허혈대장염/설사발생부위/바이러스감염/회결장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감별진단의 정석 PART 6. 소화기 문제(Gastrointestinal problems) Topic 6 설사(Diarrhea)의 내용입니다. PART 6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Topic 4-1. 급성설사(Acute diarrhea) Introducing Case Case Study 30세 여자가 설사로 병원에 왔다. 오늘 체육대회에서 점심으로 김밥을 먹었고, 오후부터 구토, 복통, 설사가 났다고 하였다. 김밥을 같이 먹은 동료들도 같은 증상을 보였다고 하였다. 혈압 100/60 mmHg, 맥박 90회/분, 호흡 18회/분, 체온 36.2였다. Warming-up ① 정의 보통 환자입장에는 주로 대변의 유동성이 증가할 때 설사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존재합니다. ② 기간에 따른 설사의 분류 • 기간에 따라 급성 설사, 만성설사로 분류 가능 급성 설사(Acute diarrhea) 만성 설사(Chronic diarrhea) 정

[약처방의 정석] 여러 계통에 두루 사용되는 약물-스테로이드:glucocorticoid/생리/스테로이드 약물 Overview/분류/작용기전/기본약리/제형/부작용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약처방의 정석 1권 PART 1. 여러 계통에 두루 사용되는 약물 Chapter 02. 항염증제/오타코이드류 Topic 6 스테로이드의 내용입니다. Chapter 02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Topic 6. 스테로이드 01 스테로이드 약물을 이해하기 위한 기초 스테로이드제는 임상에서 다양한 계통에 걸쳐 가장 널리 사용되는 약물군 중 하나입니다. "스테로이드 처방의 정 석"이라는 책으로 따로 펴낼 예정으로 본 책에서는 기본적인 내용만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1) 스테로이드(glucocorticoid, GC)란? • 강력한 항염증 효과와 면역조절 효과를 가진 약제 • 류마티스 질환을 포함한 다양한 질환에서 사용되고 있다. • 스테로이드 : 콜레스테롤 호르몬과 성 호르몬(sex hormone)을 포함하는 다중고리 구조의 화합물을 의미하는 용어 2) 스테로이드 생리 체내에서 합성되고 있는 스테로이드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스테로

[Q book] 뇌하수체 전엽 종양 증후군/안장의종괴/시상하부/전두엽/말단비대증/프로락틴분비샘종/쿠싱병/경접형동수술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Q book 6권 (구 MASTER KMLE) 과목 내분비 Topic 2-2 뇌하수체 전엽 종양 증후군의 내용입니다. 과목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 Topic 2-2. 뇌하수체 종양 증후군 리뷰01. 안장의 종괴(Sellar Masses) - 시상하부, 뇌하수체 및 기타 종양 01. 임상양상 1. 안장 부위의 병변에 의한 임상증상 • 종괴의 위치나 확장 방향에 따라 다양함 • 등쪽의 안장막(dorsal sellar diaphragm)이 저항성이 약하기에 안장 위쪽으로(suprasellar direction)의 확 대가 가장 흔히 일어나며 뼈로도 침범 • 안장내 종괴에서 두통이 흔히 동반(두통은 안장 상부로 침범하지 않아도 나타날 수 있다.) • 시력소실: 안장상부로의 종괴 확장으로 시력 소실을 초래 시각교차의 압박이 가장 흔한 기전이다. 시신경의 직접 압박에 의해 발생하기도 함. 뇌척수액의 흐름을 막아서 2차적으로 시력 이상이 발생

[SMART 일차진료 매뉴얼 실전편] 심혈관/가슴통증(흉통)/허혈성심질환/근골격계흉벽통증/소화기원인/정신적원인/CAD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SMART 일차진료 매뉴얼 실전편 1 PART 4. 심질환 Topic 3 가슴통증(흉통)/허혈성심질환의 내용입니다. PART 4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 Topic 2. 가슴통증(흉통)/허혈성심질환 1. 기침 : 개요 • 심인성 흉통(Cardiac chest pain), 비심인성 흉통(Noncardiac chest pain, NCCP) 심인성 흉통(cardiac chest pain) 비심인성 흉통(noncardiac chest pain, NCCP) • 급성 관상동맥증후군:비외상성, 심인성 흉통 중 가장 중요하고 흔한 원인 • 그 밖에 심인성 흉통을 유발하는 치명적인 질환:대동맥박리증, 급성 폐색전증 ⑴ 소화기 원인 ⑵ 연부조직 원인 ⑶ 근골격계 원인 ⑷ 호흡기 원인 ⑸ 정신과적 원인 2. 원인 및 감별 진단 • 근골격질환(m/c) • 그 외 위장관질환, 심혈관질환, 폐 질환 등이 대부분의 원인을 차지한다. 심혈관 • 심장:관상동맥질환(안

[감별진단의 정석] 신장/비뇨생식기문제/Renal/Genitourinary problems/혈뇨(Hematuria)/발생위치/원인/혈뇨구분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감별진단의 정석 PART 7. 신장/비뇨생식시 문제 Topic 1 혈뇨(Hematuria)의 내용입니다. Part 11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Topic 1. 혈뇨(Hematuria) DDX Possible conditions I. 단독 현미경적(미세)혈뇨의 원인 표 건조피부를 유발할 수 있는 질환 원인 50세 미만 50세 이상 사구체성 (Glomerular) • IgA 신장병 • 얇은 기저막병(Thin basement membrane disease) (benign familial hematuria) • 유전 신염(Hereditary nephritis):Alport’s syndro • IgA 신장병 • 유전 신염(Hereditary nephritis):Alport’s syndrome • 초점 사구체신염(Focal glomerulonephritis) 비사구체성(Non-flumerular) 상부요로계 • 신장결석증 • 신우신

[신간소식] SMART 내과(Pathophysiology to Practice) 2판 1권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독자 여러분!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많은 분들이 기다리시던 SMART내과 2판 1권이 출간되었습니다!! 지난 2월에 SMART내과의 표지와 뒷표지에 대해 설명을 드렸는데요! 오늘은 목차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그럼 목차에 대해 알아볼까요? 본 책의 목차는 크게 4개의 파트로 구성되어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사진들을 참고해주세요~! SMART내과 2판 1권은 초판의 부족한 부분을 크게 개선했고 가독성이 좋은 디자인으로 출간되었으니 독자분들께 전보다 더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SMART내과 2판 1권은 오늘부터 구매가 가능하니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바른의학연구소 바르고 똑똑한 의학 컨텐츠로 세상과 소통합니다. www.barunlab.com

[1차진료 아카데미 처방가이드] 알코올사용장애/알코올/남용(abuse)/중독(addiction)/관련장애/원인/금단/증상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일차진료 아카데미 처방가이드는 13년 초판 이후 매우 뜨거운 반응을 받은 실전진료 현장의 실제의학실무를 담은 서적입니다. 저희 바른의학연구소에서는 일차진료에 필요한 진료지식과, 병의원 경영 및 운영 전반에 이르는 필수지식을 꼼꼼히 담아내려 노력했습니다. 일차진료 아카데미 처방가이드 3 클리닉/운영 Chapter 2. 알코올 클리닉 Topic 1 알코올 사용장애에 대한 이해의 내용입니다. Chapter 2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Topic 1. 알코올 사용장애에 대한 이해 일단 물질사용장애에 대한 개념과 용어를 정리해둘 필요가 있다. ⑴ 남용(abuse) • 의학적 사용과는 상관없이 약물이나 물질을 과잉으로 지속적으로 사용 • 그 약물에 의존함으로써 개인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을 해치고 사회적 기능장애를 초래 ⑵ 중독(addiction) • 1회성이 아니라 심리적 의존이 있어 습관적으로 중독(intoxication) 상태에 있음 • 약물효과를 갈망

[약처방의 정석] 신경/정신-우울장애:depression/치료/약물요법/진단기준/원인/병태생리/신경전달물질/경과별 치료전략/항우울제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약처방의 정석 2권 PART 8. 신경/정신 Chapter 02. 증상/질환별 약처방의 정석 Topic 11 우울장애의 내용입니다. Chapter 02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Topic 11. 우울장애 01 우울증(depression): 치료 및 약물요법 1) 우울증 치료를 이해하기 위한 기초 (1) 우울장애란? DSM-5에서는 기분장애라는 분류 대신 '양극성 및 관련장애'와 '우울장애'로 각각 다른 범주가 만들어졌습니 다. 교 대로 나타나는 조증이 없는 우울증들의 개념을 통합하여 따로 우울장애(depressive disorders)로 분류 한 것입니다. ___ ① DSM-5에서의 Depressive Disorders __ _⑴ 새로 추가되거나 변화된 개념 ___ _ ① Persistent Depressive Disorder(지속적 우울장애, PDD): 감정부전장애(Dysthymic disorder)가 만성 ___ ___

[Q book] 심혈관:알기 쉽게 이해하는 심전도/심전도를 이해하기 위한 기초/심장해부/심장생리/개념/측정원리/EKG leads/측정/기록/정상 심전도 분석/심전도 판독의 기본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Q book 4권 (구 MASTER KMLE) 과목. 심혈관 Topic 4 알기 쉽게 이해하는 심전도의 내용입니다. 과목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 Topic 4. 알기 쉽게 이해하는 심전도 리뷰01. 심전도를 이해하기 위한 기초 01. 심전도를 이해하기 위한 기초:심장 해부 • 심장이 전흉부와 가장 가까운 곳은 심첨부 • 첨부에서 느껴지는 박동 → 심첨 박동 02. 심전도를 이해하기 위한 기초:심장 생리생리 1. 심장의 전기생리:탈분극 탈분극은 순식간에 일어난다. 재분극은 탈분극에 비해 긴 시간이 소요된다. [관련 도식 Qbook 4권 p80 참고] 2. 심장세포에서 활동전압의 phase Phase 0 빠른 탈분극(inflow of Na+) Phase 1 부분적 재분극(inward Na+ current deactivated, outflow of K+) Phase 2 유지기(slow inward calcium current) Phase 3

[SMART 일차진료 매뉴얼 실전편] 소화기/항문직장질환/외치핵/내치핵/치핵의종류/치핵의단계/치료방침/증상완화/수술적응증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SMART 일차진료 매뉴얼 실전편 1 PART 5. 소화기 Topic 13 항문직장질환의 내용입니다. PART 5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 Topic 13. 항문직장질환 1. 항문직장질환항문직장질환 : 개요 외치핵 내치핵 개요 • 치상선 하부에 위치 • Inferior venous plexus의 울혈(편평상피세포로 덮임) • 심한 통증, 항문 열창(anal fissure)동반 가능 • 급성기:혈전(thrombosis)으로 인해 통증 호소 • 만성기:항문연에 피부 덩어리(skin tag)로 남아 있게 된다. • 치상선 상부에 위치 • Superior venous plexus의 울혈(점막층에 덮임) • 배변 시 무통성 직장 출혈 유발 진단 • 치핵의 단계:내치핵의 경우 1도 배변 시 항문쿠션이 항문관 내에서 약간 내려오지만 밖으로의 탈출은 없고 출혈만이 유일한 증상인 경우 2도 배변 시 항문관 밖으로 일시적인 탈출이 있으나 저절로 항문관 내

[Q book] 류마티스:감염관절염-급성 세균 관절염/임균 관절염/인공관절 감염/개요/임상양상/진단/치료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Q book 6권 (구 MASTER KMLE) 과목 2. 류마티스 Topic 10 감염관절염의 내용입니다. 과목 2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 Topic 10. 감염관절염 리뷰01. 감염관절염 01. 급성 세균 관절염 1. 개요 (1) 발생원인 ① 혈류 (m/c) ② 인접한 뼈, 결합조직의 감염 ③ 수술, 주사, 물린 상처, 외상에 의한 직접 접종을 통해 감염된다. (2) 발생기전 ① 관절에 세균이 침입하면 수 시간내 활막에 호중구 침윤이 발생 ② 호중구와 세균이 관절강으로 유출되고 그 후 세균이 관절연골에 부착 ③ 관절내 압력 증가, 연골세포와 대식 세포로부터 단백질분해효소와 시토카인(cytokine) 유리, 세균과 염증세포 의 연골 침범으로 48시간 내에 연골의 분해가 일어남 (3) 조직학적 소견 ① 윤활막과 연골 표면을 덮고 있는 세균 뿐만 아니라 윤활막, 연골, 심하면 연골하골까지 침범하는 농양이 발견 ② 윤활막 증식으로 연골에 판

[감별진단의 정석] 생체징후 관련 문제-두근거림/Palpitation/감별진단/원인/부정맥/불안장애/공황장애/병력/신체검사/진단검사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감별진단의 정석 PART 1. 생체징후 관련 문제 Topic 2-1 두근거림(Palpitation)의 내용입니다. PART 1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Topic 2-1. 두근거림(Palpitation) DDX Possible conditions 정의:심박수가 증가하거나 심박동에 이상을 느끼는 경우 • 대부분의 두근거림은 양성이지만 생명에 위협이 되는 부정맥의 증상일 수 있음 • 하지만 실제 일차의료현장에서는 두근거림이 있는 군은 없는 군에 비해 사망률(mortality)과 이환율 (morbidity)에 차이가 없음 • 두근거림의 70% 이상은 부정맥과 불안, 공황장애가 원인 • 두근거림을 호소하는 19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1년간 관찰한 전향코호트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년 후 원인 추적 결과 ⑴ 43% → 심장 원인(40%:부정맥, 3%:다른 심장 원인) ⑵ 31% → 불안장애 혹은 공황장애 ⑶ 6% → 약물 ⑷ 4

[1차진료 아카데미 처방가이드] 정신-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역학/유전적요인/뇌손상/신경화학적요인/임상양상/진단기준/경과/치료원칙/약물요법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일차진료 아카데미 처방가이드는 13년 초판 이후 매우 뜨거운 반응을 받은 실전진료 현장의 실제의학실무를 담은 서적입니다. 저희 바른의학연구소에서는 일차진료에 필요한 진료지식과, 병의원 경영 및 운영 전반에 이르는 필수지식을 꼼꼼히 담아내려 노력했습니다. 일차진료 아카데미 처방가이드 진료2 Chapter 13. 정신 Topic 11 주의력 결핍-과잉 행동장애 (ADHD,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의 내용입니다. Chapter 13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Topic 2. 주의력 결핍-과잉 행동장애 (ADHD,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① 개요 • 개념: 특징적 증상: 짧은 주의집중 기간, 충동성 및 과다활동 1-1 역학 • 학령기 아동의 6~7%(가장 빈번한 소아정신질환) • 성인 ADHD는 약 5%로 최근 보고됨 • 혼합형이나 부주의형이 과다활동-충동

[약처방의 정석] 혈액-지혈제제:약물/전신지혈제/Aminocaproic acid/tranexamic acid/Protamine sulfate/비타민 K/Aprotinin/국소지혈제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약처방의 정석 1권 PART 3. 혈액 Chapter 01. [Drug Class Review] 혈액계에 주로 사용되는 약물 Topic 2 지혈제제의 내용입니다. Chapter 01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Topic 2. 지혈제제 지혈은 국소적인 부분과 전신적인 부분으로 나눠서 생각해보아야 한다. 01 출혈치료에 사용하는 약물: 전신지혈제 1) Aminocaproic acid & tranexamic acid 개요 • Amino acid lysine의 합성 유도체: aminocaproic acid, tranexamic acid • 출혈이 있는 환자나 수술 중에 사용하는 지혈제로 사용하는 약제 • tranexamic acid는 aminocaproic acid보다 10배 강력하다. 기전 • 항섬유소용해 약제로 섬유소 용해를 막아주며 섬유성 응괴(fibrin clot)를 안정화시킨다. • plasminogen 활성화 억제: ly

[Q book] 정신:조현병/역사/역학/생물학적원인/정신사회적요인/전구증상/양성증상/음성증상/임상양상분류/진단기준/아형분류/감별진단/약물치료/정신사회적치료/경과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Q book 8권 (구 MASTER KMLE) 과목 1. 정신 Topic 8 조현병의 내용입니다. 과목 1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 Topic 8. 조현병 리뷰01. 조현병 개요 01. 역사 경과에서는 크레펠린, 증상에서는 슈나이더의 특정 망상과 환각을 강조 하였고, 블로일러의 핵심 증상은 음성증상(negative symptom)으로 재개념화하였다. 1. E. Kraepelin ⑴ 정신질환을 신체질병과 같은 방식으로 기술하여 정신질환의 과학적 접근에 큰 공헌을 한 인물 ⑵ 조발성 치매(dementia praecox) • 비교적 어린 나이에 발병하고, 만성화/황폐화 되어 가는 경과에 주목 • 아형으로 긴장증(catatonia), 파과증(hebephrenia), 망상치매(dementia paranoids) 등이 있음 2. Eugen Bleuler(1857~1939, Swiss) ⑴ 1911년, Schizophrenia라는 용어를 만들어내어

[SMART 일차진료 매뉴얼 실전편] 신경·정신-발작/뇌적증/유형/분류/원인/유사상황/접근방법/생활습관개선/행동규제/약물치료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SMART 일차진료 매뉴얼 실전편 2 PART 9. 신경·정신 Topic 5 발작/뇌전증의 내용입니다. PART 9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 Topic 5. 발작/뇌전증 추가내용 및 REFERENCE • Glauser T, Shinnar S, Gloss D, Alldredge B, Arya R, Bainbridge J, et al. Evidence-based guideline:Treatment of convulsive status epilepticus in children and adults:Report of the guideline committee of the american epilepsy society. Epilepsy Curr 2016;16:48-61. • Lee GH, Jung DS. Treatment of Status Epilepticus. J Neurocrit Care 2016;9(1) :1-6 1. 개요 • 발작(seiz

[1차진료 아카데미 처방가이드] 이비인후과-난청/Hearing loss/귀증상/질환/감별질환/평가/청력검사/돌발난청/고막파열/보청기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일차진료 아카데미 처방가이드는 13년 초판 이후 매우 뜨거운 반응을 받은 실전진료 현장의 실제의학실무를 담은 서적입니다. 저희 바른의학연구소에서는 일차진료에 필요한 진료지식과, 병의원 경영 및 운영 전반에 이르는 필수지식을 꼼꼼히 담아내려 노력했습니다. 일차진료 아카데미 처방가이드 진료1 Chapter 5. 이비인후과 Topic 1-2 난청(Hearing loss): “귀가 안 들려요”의 내용입니다. Chapter 5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Topic 1-2. 난청(Hearing loss): "귀가 안 들려요" ① 난청(Hearing loss): 일반적 접근 1-1 감별질환 ⑴ 돌발 난청(sudden deafness, sudden sensory neural hearing loss) ⑵ 중이염에 의한 난청 ⑶ 내이염(Labyrinthitis)에 의한 난청: 바이러스 내이염, 화농성 내이염 ⑷ 노인성 난청(presbycusis): 나이가 들어감에 따

[약처방의 정석] 신경/정신-기분조절제:주요 기분조절제/Lithium/항뇌전증제/Lamotrigine의 용법/기타 약물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약처방의 정석 2권 PART 8. 신경/정신 Chapter 01. 신경/정신계에 주로 사용되는 약물 Topic 3-2 기분조절제의 내용입니다. Chapter 01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Topic 3-2. 기분조절제 01 기본조절제란? • Lithium carbonate • 항경련제(항뇌전증제, anticonvulsants ) : Sodium valproate(valproic acid ), Carbamazepine, Lamotrigine cf. 비전형 항정신병제(atypical antipsychotics)①: Olanzapine, Risperidone, Quetiapine, Aripiprazole, ziprasidone ① 기분안정제로 불려지지는 않지만 양극성 정동장애에 사용될 수 있다. » 보통 기분안정제(mood stabilizers, mood stabilizing drug)이라고 하면 lithium과 항뇌전증제까지를

[Q book] 내분비:저혈당증-hypoglycemia/정의/저혈당에 대한 방어기전/원인/증상/진단적 접근/치료/저혈당 재발에 대한 예방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Q book 6권 (구 MASTER KMLE) 과목 1. 내분비 Topic 5-3 저혈당증의 내용입니다. 과목 1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 Topic 5-3. 저혈당증 리뷰01. 저혈당 hypoglycemia 저혈당은 plasma glucose가 55 mg/dL 이하로 낮을 때입니다. 주로 당뇨병 치료의 합병증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많지만 그 외의 여러 원인들에 의해 발생 가능하며 특징적인 임상증상과 기전, 그리고 가장 우선적인 처치에 대해 꼭 알고 넘어가야합니다. 01. 정의 plasma glucose < 55 mg/dL➊ + 혈당이 올라가면 바로 완화되는 여러 증상들(그러나 환자에 따라 증상이 발생하는 최저 혈당치는 다양하므로 혈당치 보다는 Whipple’s triad를 진단에 이용한다.) ➊ 공복 혈당의 정상 하한선은 70 mg/dL (3.9 mmol/L) • Whipple’s triad 1) 저혈당과 일치하는 증상들 2) 정확한 장

[SMART 일차진료 매뉴얼 실전편] 소화기:복통/급성복통/만성복통/진단적접근/원인별비교/충수염/담낭염/췌장염/위장염/골반염증/진단적검사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SMART 일차진료 매뉴얼 실전편 1 PART 5. 소화기 Topic 4 복통의 내용입니다. PART 5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 Topic 4. 복통 추가내용 및 REFERENCE • Natesan S, Lee J, Volkamer H, Thoureen T. Evidence-Based Medicine Approach to Abdominal Pain. Emerg Med Clin North Am 2016; 34(2) :165–90. 스마트일차진료매뉴얼 3판에서 개정방향 복통에 대해서 내용을 대폭 보강하려고 한다. • 급성 복통과 만성 복통으로 나눈다. • 복통의 발생부위가 중요한 만큼 발생부위별로 세분해서 접근방식을 좀 더 구체적으로 기술 ⑴ epigastric pain ⑵ 상복부 통증(RUQ pain을 중심으로) ⑶ lower abdominal pain ⑷ 골반통/직장항문통 여기에서는 위 개정될 내용에 대해 맛보기 정도로만 ‘practi

[SMART 일차진료 매뉴얼 실전편] 피부-가려움증/가려움피부병:피부과적 원인/전신적인 원인/진단적 접근/국소적 치료/전신적 치료/진단/평가/치료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SMART 일차진료 매뉴얼 실전편 2 PART 12. 피부 Topic 2 가려움증/가려움피부병의 내용입니다. PART 12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 Topic 2. 기침(만성기침을 중심으로) 추가내용 및 REFERENCE • Won CH, Hong SP. Pathophysiology and Therapy of Pruritus in Allergic and Atopic Diseases. Korean J Asthma Allergy Clin Immunol 2010;30:184-192 1. 원인/감별진단 표 가려움증의 피부과적 원인 • 건조증(xerosis) • 아토피피부염(atopic dermatitis) • 알레르기접촉피부염(allergic contact dermatitis) • 두드러기(urticaria) • 백선증(dermatophytosis) • 편평태선(lichen planus) • 건선(psoriasis) • PUPPP(Pruriti

[SMART 일차진료 매뉴얼 실전편] 피부:두드러기/팽진/혈관부종/자발두드러기/물리두드러기/기타두드러기/치료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SMART 일차진료 매뉴얼 실전편 2 PART 12. 피부 Topic 1 두드러기의 내용입니다. PART 12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 Topic 1. 두드러기 추가내용 및 REFERENCE • Ye YM et al. KAAACI Work Group report on the management of chronic urticaria. Allergy Asthma Respir Dis 3(1) :3- 14, January 2015 1. 개요 두드러기는 팽진(wheals) 또는 혈관부종(angioedema)의 갑작스런 발생을 특징으로 한다. 팽진(Wheals)의 특징:3가지 전형적인 특징 혈관부종(Angioedema)의 특징 ⑴ 중심부에 다양한 크기의 부종이 발생한다. 대개 반응성 발적 (reflex erythema)으로 둘러싸인다. ⑵ 가려움증이 동반될 수 있고 때로는 타는 듯한 느낌(burning sensation)이 발생할 수 있다. ⑶ 병

[1차진료 아카데미 처방가이드] 이비인후과-구취증:입안에서 냄새가 나요/Halitosis/Fetor oris/정의/원인/평가방법/치료/Zilo-Pop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일차진료 아카데미 처방가이드는 13년 초판 이후 매우 뜨거운 반응을 받은 실전진료 현장의 실제의학실무를 담은 서적입니다. 저희 바른의학연구소에서는 일차진료에 필요한 진료지식과, 병의원 경영 및 운영 전반에 이르는 필수지식을 꼼꼼히 담아내려 노력했습니다. 일차진료 아카데미 처방가이드 진료1 Chapter 5. 이비인후과 Topic 3-10 구취증(Halitosis, Fetor oris): "입안에서 냄새가 나요"의 내용입니다. Chapter 5의 Topic 3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Topic 3-10. 구취증(Halitosis, Fetor oris): "입안에서 냄새가 나요" 코드 명칭 진료과 좌 우 수술 R196 구취증 01 ① 개요 1-1 정의 : 원인에 상관없이 입에서 호기 시 불쾌한 냄새가 나는 것 1-2 원인 ⑴ 타액의 감소로 인한 점막의 건조로 인해 생기는 경우(Hyposalivation): 쇼그렌증후군(Sjogren syndro

[신간소식] SMART 내과 1권 (개정판) II. 표지 편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 입니다. 따뜻한 새 해가 찾아온듯한 맑은 날 입니다. 오늘은 지난 포스팅에 이어 신간도서 "SMART 내과 1권(개정판)"의 소개를 이어 표지에 대해 이야기하려 합니다. 아직 못보신 분들은 이전 포스팅을 먼저 읽으시는걸 추천드려요! [신간소식] SMART 내과 1권 (개정판) 안녕하세요. 독자 여러분!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2021년 첫 번째 출간도서 소식을 전해드립니다!!이번에... blog.naver.com 바른의학연구소는 2020년 말 부터 '바른 컨텐츠 유니버스'(이하 BCU)라는 세계관을 정립하여 출간하는 도서마다 각각의 컨셉을 부여하고 있습니다. SMART 내과의 경우 아래 표지를 보시는 바와 같이 QBook , SMART 내과진료매뉴얼 과 연관이 되어있는걸 알 수 있습니다! 그럼, 앞·뒤표지를 통해 세 도서간의 관계성을 살펴보겠습니다!! [앞표지] 가장 먼저 눈에 띄는 것은 화려한 포인트의 "SMART 내과" 타이틀과 중앙부의 우주선입니다. 먼저

[기본통증진료학] 고관절-대퇴골두무혈성괴사/평가/진단/검사/Partick test/Sacroiliac Joint 병변검사/Febere test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기본통증진료학 PART 9. 고관절 Topic 1 “별다른 외상없이 고관절 통증을 호소하면서 절뚝거리는 경우(특히 평소 술을 많이 마시는 남성)” 대퇴 골두 무혈성 괴사 (Avascular necrosis of femoral head) 의 내용입니다. PART 9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 Topic 1. "별다른 외상없이 고관절 통증을 호소하면서 절뚝거리는 경우(특히 평소 술을 많이 마시는 남성)" 대퇴 골두 무혈성 괴사 (Avascular necrosis of femoral head) • 평가 • 우리나라 고관절 질환의 70%를 차지할 만큼 발병률이 높은 고관절 질환으로, 대퇴골두로 가는 혈류가 차단되어 뼈 조직이 괴사하는 질환이다. • 원인 : 과다한 음주, 스테로이드의 과다사용, 신장 질환, 또는 대퇴부 골절이나 고관절 탈구 등 외상 • 활동에 의해 악화되는 서혜부통증, 또는 둔부, 대퇴부 혹은 슬관절 통증 호소 • 파행, 고관절

[약처방의 정석] 소화기-기능성 소화불량증/치료/병태생리/생활습관/식이/정신치료/약물요법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약처방의 정석 1권 PART 5. 소화기 Chapter 02. 증상/질환별 약처방의 정석 Topic 10-1 기능성 소화불량증의 내용입니다. Chapter 02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Topic 10-1. 기능성 소화불량증 01 기능성 소화불량증 : 치료 Overview 1) 기능성 소화불량증 치료를 이해하기 위한 기초 (1) 기능성 소화불량증이란? • 소화불량증: 상복부에서 시작하는 위장 증상 • 기능성 소화불량증: 소화성궤양, 위장관 악성 종양, 위식도역류질환, 췌담도 질환 등 그 인과관계가 뚜렷한 기질적 질 환이 없으면서 증상을 유발하는 경우 • 용어(동의어) : 비궤양성 소화불량증(non-ulcer dyspepsia), essential dyspepsia, idiopathic dyspepsia (2) 병태 생리 ① Gastric sensorimotor dysfunction • 위전정부와 십이지장의 운동 기능에 이상

[신간소식] SMART 내과 1권 (개정판)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독자 여러분! 2021년 첫 번째 출간도서 소식을 전해드립니다!! 이번에 출간되는 도서는 이상봉 대표님의 SMART 내과 1권 개정판 입니다. 많이 기다려주신 SMART 내과 개정판! 2017년 이후 드뎌 약 3년 반만에 돌아왔습니다. 그럼 개정판의 구성과 출간 예정일에 대해 알아볼까요? 이번 개정판은 총 4권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권 바이탈, 감염, 종양, 류마티스 2권 소화기(위장관, 간담췌) 3권 심혈관, 혈액 4권 호흡기·알레르기, 내분비, 신장비뇨기 4권 중 1권이 우선 출간될 예정입니다. 1권은 2021년 출간 예정입니다! 출간일이 확정되면 다시 안내드리겠습니다. SMART 내과는 basic concept, pathophysiology에 중점을 두고자 했습니다. "SMART 내과"의 무게중심은 내과의 기본적인 컨셉, 병태생리를 다지고 진단, 치료의 전반적인 흐름을 파악하는데 두고 있습니다. 기본적인 컨셉, 병태생리에 대한 이해로부터 출발해서 임상에 대한 마

[Q book] 호흡기:폐기능검사/종류/구성/폐용적/폐활량/확산능/해석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Q book 5권 (구 MASTER KMLE) 과목 1. 호흡기 Topic 2 폐기능검사의 내용입니다. 과목 1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 Topic 2. 폐기능검사 • 폐 기능검사는 특히 유병률이 높은 천식, COPD 등의 진단을 위해서는 필수적인 검사입니다. ① 기본적인 폐기능 검사에 대한 이해 ② 폐기능 검사로 나타나는 FEV1, FVC, DLco, Flow Volume Curve 등의 다양한 폐기능 지표의 변화에 따른 감별 질환을 숙지하고 있어야 합니다. 핵심 포인트 1. spirometer를 보고 각각의 폐용적과 의미를 알아야 합니다. TLC = IC(= IRV + TV) + FRC(= ERV + RV) = VC + RV = (ERV + IC) + RV 2. 폐기능 검사를 보고 Obstructive vs Restrictive DDx 검사 폐쇄성 제한성 FEV1(L) ↓ N or ↓ FEV1/FVC(%) ↓ N or ↑ TLC(L)

[SMART 일차진료 매뉴얼 실전편] 내분비:폐경/호르몬대체요법/임상양상/진단/치료/갱년기치료/호르몬요법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SMART 일차진료 매뉴얼 실전편 1 PART 6. 내분비 Topic 6 폐경/호르몬 대체요법의 내용입니다. PART 6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 Topic 6. 폐경/호르몬 대체요법 추가내용 및 REFERENCE • 대한폐경학회. 폐경호르몬요법 치료지침 2016 임상양상/진단 단기간 증상(0-5년) 중등도로 지속되는 증상(3-10년) 장기간 지속되는 증상( >10년) • 혈관운동증상:열성홍조(안면홍조), 야간발한 • 정신 증상:불안정한 기분 변화, 불안 • 집중력 저하, 기억력 저하 • 관절통 • 건조하고 가려운 피부 • 모발 변화 • 성욕 감소 • 질 건조, 자극증상 • 빈뇨 • 재발성 요로감염 • 요로생식기 탈출(Urogenital prolapse) • 골다공증 • 심혈관계 질환 • 치매 치료 • 갱년기치료의 우선적인 치료는 호르몬요법이다. 호르몬요법의 주적응증 • 에스트로겐 결핍에 의한 증상 및 신체적 변화 • 폐경과 관련된 혈관

[1차진료 아카데미 처방가이드] 응급상황에 대한 대처-약물중독/Drug intoxication/음독/농약중독/독극물제거/장세척/보존적치료/혈액투석치료/안정제사용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일차진료 아카데미 처방가이드는 13년 초판 이후 매우 뜨거운 반응을 받은 실전진료 현장의 실제의학실무를 담은 서적입니다. 저희 바른의학연구소에서는 일차진료에 필요한 진료지식과, 병의원 경영 및 운영 전반에 이르는 필수지식을 꼼꼼히 담아내려 노력했습니다. 일차진료 아카데미 처방가이드1 진료 Chapter 2. 응급상황에 대한 대처 Topic 4 약물 중독(Drug intoxication)/음독의 내용입니다. Chapter 2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Topic 4. 약물 중독(Drug intoxication)/음독 ① 약물 중독(Drug intoxication)/음독 코드 명칭 진료과 t499 상세불명의 국소성 약물에 의한 중독 01 t459 상세불명의 일차적으로 전신 및 혈액학적 약물에 의한 중독 01 t479 상세불명의 위장계통에 일차적으로 영향을 주는 약물에 의한 중독 01 t487 호흡계통에 일차적으로 작용하는 기타 및 상세불명의 약물에 의한

[기본통증진료학] 팔꿈치/전완-팔꿈치통증:테니스엘보/외측상과염/골프엘보/내측상과염/치료/약물치료/통증치료/건초내주사/신경차단술/식이요법/운동요법/테이핑요법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기본통증진료학 PART 6. 팔꿈치, 전완 Topic 1 “팔꿈치의 바깥쪽 혹은 안쪽이 아파요” : 테니스엘보[외측 상과염(Lateral epicondylitis)], 골프엘보[내측 상과염(Medial epicondylitis)] 의 내용입니다. PART 6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 Topic 1. "팔꿈치의 바깥쪽 혹은 안쪽이 아파요" 테니스엘보[외측 상과염(Lateral epicondylitis)], 골프엘보[내측 상과염(Medial epicondylitis)] JX999 명세서 기재사항 Forearm 등의 신경말초지 차단술로 액와하부신경차단술 또는 신경간내주사 청구 시 환자가 vas score 7점 및 forearm 통증을 주소로 내원하여 환자를 앙와위자세를 시키고 블록을 시행할 부위를 촉진하여 확인한 후, 포비돈으로 자입부위를 소독한 후, 좌측 상지 또는 우측 상지의 [ ] 신경의 신경차단술을 시행함 주관절 상과염 테니스엘보우(

[약처방의 정석] 피부-여드름/치료/약물요법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약처방의 정석 2권 PART 11. 피부 Chapter 02. 증상/질환별 약처방의 정석 Topic 6 여드름의 내용입니다. Chapter 02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Topic 6. 여드름 01 여드름(acne) : 치료 Overview 1) 여드름 치료를 이해하기 위한 기초 (1) 여드름이란? • 털피지샘단위(pilosebaceous unit)의 만성 염증질환 • 면포, 구진, 고름물집, 결절, 거짓낭(pseudocyst)등 다양한 병변 출현 • 활동병변의 후유증: 오목흉터(pitted scar), 비대흉터(hypertrophic scar) (2) 병태생리 • 여드름의 치료는 발병과 관련되는 병태생리를 이해하는 데서 시작하므로 병태생리에 대해서 잘 알아둘 필요가 있다. • 여드름의 발생에는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데 가장 핵심적인 부분은 다음과 같다. 사춘기에 피지선 증대 및 활성화 → 피지(seborrhea

[Q book] 간담췌:간농양-화농성 간농양/아메바성 간농양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Q book 3권 (구 MASTER KMLE) 과목. 간담췌 Topic 9 간농양의 내용입니다. 과목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 Topic 9. 간농양 • 간농양은 크게 화농성 간농양과 아메바성 간농양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핵심 포인트 • 간농양의 특징적인 임상양상 • 복부 CT에서 간농양 소견 • 적절한 항생제 선택을 위해 간농양의 흔한 원인균 패턴 파악 • 간농양의 치료원칙:항균요법 + 적절한 배액 리뷰01. 간농양 01. 개요 1. 간농양이란? 간은 세망내피계(reticuloendothelial system)의 하나로서 인체에 침입한 미생물을 제거하는 중요한 기능을 하고 있다. 하지만 이에 실패하면서 간의 감염 병소에서 인체의 방어기전의 결과로서 만들어지는 것이 간농양이다. 2. 분류 간농양은 화농성 간농양과 아메바성 간농양으로 나눌 수 있다. 화농성(pyogenic) 간농양 아메바(amebic) 간농양 감염 경로 * 담도를 통한

[SMART 일차진료 매뉴얼 실전편] 소화기-복통/급성복통/만성복통/원인/진단적접근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SMART 일차진료 매뉴얼 실전편 1 PART 5. 소화기 Topic 4 복통의 내용입니다. PART 5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 Topic 4. 복통 추가내용 및 REFERENCE • Natesan S, Lee J, Volkamer H, Thoureen T. Evidence-Based Medicine Approach to Abdominal Pain. Emerg Med Clin North Am 2016; 34(2) :165–90. 스마트일차진료매뉴얼 3판에서 개정방향 복통에 대해서 내용을 대폭 보강하려고 한다. • 급성 복통과 만성 복통으로 나눈다. • 복통의 발생부위가 중요한 만큼 발생부위별로 세분해서 접근방식을 좀 더 구체적으로 기술 ⑴ epigastric pain ⑵ 상복부 통증(RUQ pain을 중심으로) ⑶ lower abdominal pain ⑷ 골반통/직장항문통 여기에서는 위 개정될 내용에 대해 맛보기 정도로만 ‘practi

[1차진료 아카데미 처방가이드] 알레르기/아토피클리닉-알레르기비염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일차진료 아카데미 처방가이드는 13년 초판 이후 매우 뜨거운 반응을 받은 실전진료 현장의 실제의학실무를 담은 서적입니다. 저희 바른의학연구소에서는 일차진료에 필요한 진료지식과, 병의원 경영 및 운영 전반에 이르는 필수지식을 꼼꼼히 담아내려 노력했습니다. 일차진료 아카데미 처방가이드3 클리닉/운영 Chapter 5. 알레르기/아토피 클리닉 Topic 3 알레르기 비염의 내용입니다. Chapter 5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Topic 3. 알레르기 비염 ① 알레르기 비염 : 개요 ⑴ 1~2주 이상의 코 막힘이 있으며 IgE가 100 IU 이상, Eosinophil이 500개 이상 ⑵ 코막힘에는 스테로이드 비액이 좋으며 재치기와 가려움증에는 항히스타민 비액(리보스텐, 이젭텐)이 좋다. ⑶ 스테로이드 비액을 비중격을 향해 계속 뿌리면 코피가 잘 발생하며 아주 드물게는 비중격 천공이 보고되어 있다 ⑷ 생후 6개월 이전의 비염은 감염을 먼저 생각하는 것이

[기본통증진료학] 가슴/등-근골격계흉통환자:평가/치료/약물치료/통증치료/식이요법/운동요법/테이핑요법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기본통증진료학 PART 5. 가슴/등 Topic 1 “가슴이 아파요”: 근골격계 흉통환자 의 내용입니다. PART 5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 Topic 1. "가슴이 아파요" 근골격계 흉통환자 JX999 명세서 기재사항 늑간신경차단 및 반창고부착술 환자가 vas score 7점 및 가슴부위에 찌르는 통증을 주소로 내원하여 환자를 (복와위/측와위/좌위)로 하여 블록을 시행할 우측(좌측)의 제 ( )째 늑골을 후액와선으로부터 주행을 따라 촉진하여 확인한후, 포비돈으로 자입부위를 소독한후, 한손의 2,3번째 손가락으로 바늘삽입위치의 늑골위에 놓은 다음 손가락으로 늑골하연의 피부를 늑골위까지 밀어올린후 22G 3 cm바늘을 주사기에 연결하여 밀어올린 손가락사이의 피부에 자입하여 늑골에 바늘이 닿도록 전진하여, 1.5cm~2cm정도 전진해서 늑골에 닿으면 늑골의 하연으로 이동하여 혈액이나 공기흡입확인후 3~5ml의 국소마취제를 주입하였다. 근골

[약처방의 정석] 근골격계/류마티스-근이완제:근육신경차단제/진경제/Spasticity/spasms/골격근이완제/항근연축제/항경직제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약처방의 정석 2권 PART 10. 근골격계/류마티스 Chapter 01. [Drug Class Review] 근골격에 주로 사용되는 약물 Topic 1 근이완제의 내용입니다. Chapter 01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Topic 1. 근이완제 01 근이완제(skeletal muscle relaxant) : 개요 골격근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약물은 크게 두 가지 약물군으로 나눌 수 있다. 근육신경차단제(neuromuscular blockers) 진경제(spasmolytics) 수술 동안이나 중환자실(ICU)에서 근육마비를 유도하는 약물군 • 다양한 통증상황에서 강직을 감소시키기 위해 쓰이는 약물군 • '중추작용성 근이완제' 중추신경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신경근육종말판(neuromuscular end plate)에서의 신경전달을 방해 신경근육차단제는 마취제에서 다루었고, 여기에서는 진경제에 초점을 맞추어서 기술하고자

[Q book] 정신:우울장애/애도/우울증/주요우울장애/지속적우울장애/진단/치료/DSM-5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Q book 8권 (구 MASTER KMLE) 과목 1. 정신 Topic 11 우울 장애의 내용입니다. 과목 1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 Topic 11. 우울 장애 리뷰01. 우울 장애 » 앞서 양극성 및 관련장에서 언급한 것처럼 DSM-5에서는 기분장애라는 분류 대신 ‘양극성 및 관련장애’와 ‘우울 장애’로 각각 다른 범주가 만들어졌습니다. 교대로 나타나는 조증이 없는 우울증들의 개념을 통합하여 따로 우울 장애(depressive disorders)로 분류한 것입니다. 01. DSM-5에서의 Depressive Disorders ⑴ 새로 추가되거나 변화된 개념 ① Persistent Depressive Disorder(지속적 우울장애, PDD) :감정부전장애(Dysthymic disorder)가 만성 주요 우울증과 합쳐져 명칭이 변경됨 ② Premenstrual Dysphoric Disorder(월경전 불쾌장애, PMDD) : 새로

[SMART 일차진료 매뉴얼 실전편] 피부:화상/화상손상의3구역/화상의분류/치료/냉각요법/최초드레싱/수포제거/통증의진통및진정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SMART 일차진료 매뉴얼 실전편 2 PART 12. 피부 Topic 6 화상의 내용입니다. PART 12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 Topic 6. 화상 1. 개요 우리나라 : 화염 화상(flame burn) > 열탕 화상(scalding burn) > 접촉 화상(contact burn) > 화학 화상(chemical burn) 1) 화상 손상의 3구역 ⑴ 응고대(zone of coagulation/ zone of tissue necrosis) : 비가역적 세포 손상 부위 ⑵ 정체대(zone of stasis/ zone of tissue injury) : 24-48시간 내에 특별할 처치 없이는 세포괴사가 진행되는 지역, 지속적인 피브린 침착, 혈관수축, 혈전 등으로 허혈을 초래하여 세포가 파괴되는 부위 ⑶ 울혈대(zone of hyperemia) : 적은 세포 손상이 발생된 부위로 침윤성 감염이나 심한 염증 반응이 없으면 수일 후 회복이

[1차진료 아카데미 처방가이드] 여성의학-피임상담:피임제/피임법/호르몬피임법/먹는피임약/복용방법/비호르몬피임법/무월경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일차진료 아카데미 처방가이드는 13년 초판 이후 매우 뜨거운 반응을 받은 실전진료 현장의 실제의학실무를 담은 서적입니다. 저희 바른의학연구소에서는 일차진료에 필요한 진료지식과, 병의원 경영 및 운영 전반에 이르는 필수지식을 꼼꼼히 담아내려 노력했습니다. 일차진료 아카데미 처방가이드 진료1 Chapter 11. 여성의학 Topic 6 피임 상담의 내용입니다. Chapter 11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Topic 6. 피임 상담 ① 피임제에 대한 이해 1-1 이상적인 피임법이란? • 높은 피임효과 • 최소한의 부작용 • 부가적 이점 • 사용의 간편성 • 효과의 지속성 • 가임 능력의 회복 여부 • 성생활에 영향이 없음 1-2 피임 방법에 따른 피임제의 분류 호르몬 피임법 비호르몬 피임법 • 먹는 피임약 • 콘돔 • 응급 피임약 • 구리 루프 • 호르몬 루프(미레나,제이디스) • 살정제 • 피하 이식형 피임제(임플라논) • 피임 패치 / 링(누바링)

[기본통증진료학] 대퇴부(허벅지=넓적다리):이상지각성 대퇴신경통/외측 대퇴피신경차단술/치료/약물치료/통증치료/식이요법/운동요법/테이핑요법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기본통증진료학 PART 10. 대퇴부(허벅지=넓적다리) Topic 2 “허벅지 바깥쪽이 아픈데 찌릿한 저린감이 있어요” 이상지각성 대퇴신경통(Meralgia paresthetica) 의 내용입니다. PART 10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 Topic 2. "허벅지 바깥쪽이 아픈데 찌릿한 저린감이 있어요" 이상지각성 대퇴신경통(Meralgia paresthetica) JX999 명세서 기재사항 외측 대퇴피신경차단술 환자가 vas score 7점 및 허벅지 바깥쪽 저린감을 주소로 내원하여 환자를 앙와위로 하게 한 후에 ASIS와 서혜인대를 확인하고, 포비돈으로 자입부위를 소독한 후, ASIS(전상장골극)에서 2.5-3cm 내 하방에서 서혜인대 직하의 압통이 가장 명료한 곳을 우측 2번째 손가락으로 찾아 이 압통점에서 국소마취제로 자입하여 피부침윤을 하였고, 피부에 수직으로 26G바늘을 자입하여 needle이 대퇴근막의 저항에 부딪힐 때까지 천

[약처방의 정석] 신경/정신-불안장애/분류(DSM-5)/공황장애/범불안장애/약물요법(항불안제)/진단/치료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약처방의 정석 2권 PART 8. 신경/정신 Chapter 02. 증상/질환별 약처방의 정석 Topic 10 불안장애의 내용입니다. Chapter 02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Topic 10. 불안장애 01 불안장애 : 치료 Overview 1) 불안장애의 분류(DSM-5) >> DSM-5로 바뀌면서 불안장애의 분류가 대폭 변경되었습니다. >> 무엇보다도 강박 및 관련 장애(Obsessive–compulsive disorder), 외상 및 스트레스 관련 장애(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cute stress disorder) 등이 별도의 분류로 독립되었습니다. 2) 공황장애 (1) 진단 [표] Diagnostic criteria of panic disorder(DSM-5) ⑴ 반복적이고 예측되지 않는 공황발작. 공황발작은 다음 중 4개 이상 ① 심계항진 ② 땀을 흘림 ③ 몸의 떨림 또는 흔들거

[Q book] 내분비:골다공증/정의/골다공증의병인/위험인자/유전적요인/생활습관/질병/약물/발병기전/분류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Q book 6권 (구 MASTER KMLE) 과목 1. 내분비 Topic 6-3 골다공증의 내용입니다. 과목 1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 Topic 6-3. 골다공증 • 골다공증의 진단기준, 골절의 위험인자를 알고 있어야 합니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 것은 골다공증의 약물치료 부분 입니다. 각각의 약물이 어떠한 기전인지 파악하고 있어야 합니다. 1. 골다공증 진단기준 2. 골다공증에 의한 골절 위험인자 3. 골다공증 약물치료 원칙 리뷰01. 골다공증(osteoporosis) : 기초 01. 정의 세계보건기구(WHO) 골량의 감소와 미세구조의 이상을 특징으로 하는 전신적인 골격계질환으로, 결과적으로 뼈가 약해져서 부러지기 쉬운 상태가 되는 질환 미국국립보건원(NIH) 골강도의 약화로 골절의 위험성이 증가되는 골격계 질환 02. 골다공증의 병인 1. 골다공증의 위험인자 골다공증 발생의 중요한 두 가지 위험요인 1) 성장기 동안 충분한 골량

[SMART 일차진료 매뉴얼 실전편] 호흡기:천식/진단/치료/급성악화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SMART 일차진료 매뉴얼 실전편 1 PART 3. 호흡기·알레르기 Topic 11 천식의 내용입니다. PART 3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 Topic 11. 천식 추가내용 및 REFERENCE • GINA guideline. GINA Report, Global Strategy for Asthma Management and Prevention(updated 2018). www.ginasthma.org. 1. 개요 • 천식이란? ⑴ 임상적: 반복적인 호흡곤란, 천명음, 기침 ⑵ 생리적: 기도과민증, 가역적인 기도폐쇄 ⑶ 기도의 만성적인 알레르기 염증 • 병태생리: 기도염증, 기도과민성, 기도협착 2. 진단 천식을 의심할 수 있는 경우 다른 질병의 가능성도 고려해야 하는 경우 • 전형적 증상 (호흡곤란, 천명, 가슴답답함, 기침)이 두 가지 이상 동시에 존재 • 증상의 강도가 시간에 따라 변화하며 주로 밤이나 이른 아침에 악화 • 다음과 같

[1차진료 아카데미 처방가이드] 심혈관/혈액:빈혈(Anemia)/필요검사/빈혈치료제보험기준/철결핍빈혈/철분제제/만성질환에의한빈혈/처방예시 [내부링크]

일차진료 아카데미 처방가이드는 13년 초판 이후 매우 뜨거운 반응을 받은 실전진료 현장의 실제의학실무를 담은 서적입니다. 저희 바른의학연구소에서는 일차진료에 필요한 진료지식과, 병의원 경영 및 운영 전반에 이르는 필수지식을 꼼꼼히 담아내려 노력했습니다. 일차진료 아카데미 처방가이드 진료1 Chapter 7. 심혈관/혈액 Topic 6 빈혈(Anemia)의 내용입니다. Chapter 7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Topic 6. 빈혈(Anemia) ① 평가 필요검사 : CBC(일반혈액검사) , MCV(평균적혈구용적),Reticulocyte count (망상구수), Peripheral blood smear (말초혈액도말), serum Ferritin (혈청페리틴) 1차적으로 검사 코드 명칭 진료과 좌 우 d649 상세불명의 빈혈 01 코드 명칭 용량 일투수 일수 용법 원외 예외 B1050000 백혈구수 1 1 1 B1091000 백혈구백분율(혈액) 1 1 1 B1091000 적혈

[기본통증진료학] 하퇴(장딴지):장딴지뒤(하퇴부뒤)근경련통증/종아리/종아리쥐/약물치료/통증치료/식이요법/운동요법/테이핑요법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기본통증진료학 PART 12. 하퇴(장딴지) Topic 2 “종아리에 쥐가 나요” 장딴지 뒤(하퇴부 뒤) 근경련 통증 의 내용입니다. PART 12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 Topic 2. "종아리에 쥐가 나요" 장딴지 뒤(하퇴부 뒤) 근경련 통증 • 평가 • VAS score 몇 점 체크 • 체크 : Gastrocnemius m.과 flexor digitiorium longus m.의 muscle fiber의 반복된 injury로 cramp 발생 • 치료 1) 계획 • 내원 1일째 : 약물과 통증치료 1번 방법만 일단 시행한다. • 내원 2일째 : 효과 있었다고 하면 - 약물처방을 하고 해당부위에 InfraRed Tx 2) 약물치료 ⑴ Acetaminophen 3T #3 PO + 근이완제 ⑵ Magnesium 제제 약물 : 판토마그 6T #3 PO 복용. ⑶ neuropathic pain에는 NSAID + Gabapentin + Car

[약처방의 정석] 내분비-폐경(여성갱년기 증후군)/호르몬요법/폐경치료/호르몬치료/자연폐경/조기폐경/생식주기와폐경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약처방의 정석 2권 PART 6. 내분비 Chapter 02. 증상/질환별 약처방의 정석 Topic 8 폐경(여성갱년기 증후군)의 내용입니다. Chapter 02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Topic 8. 폐경(여성갱년기 증후군) 01 폐경/호르몬요법 : 치료 Overview 폐경 치료를 이해하기 위한 기초 폐경이란? • 폐경이란? 난포의 소실과 이로 인한 난소의 기능부전에 의해 나타나는 현상으로, 12개월 동안 연속적인 무월경이 관 찰되고, 그것을 유발할 수 있는 명확한 원인이 없는 경우. • 자연폐경이란? 병적인 요인 없이 연속적으로 12개월간 생리가 없는 경우 NAMS Menopause Terminology 자발/자연폐경 (Spontaneous/ natural menopause) • 폐경(menopause) = meno(month) + pause(cessation) • 특별한 (병적) 원인없이 12개월 이상 월경이 없는

[Q book] 신장요로:결석 질환-요로결석/결석종류/결석원인/위험인자/결석진단/결석치료/결석예방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Q book 7권 (구 MASTER KMLE) 과목 1. 신장요로 Topic 11 결석 질환의 내용입니다. 과목 1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 Topic 11. 결석 질환 • 비뇨기과 질환이라고 생각했으나 최근에는 내과적 질환으로 주목 받는 질환입니다. 특히 대사성 증후군 환자들이 늘 어나면서 환자들도 많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 단순히 결석의 진단과 치료 뿐 아니라 재발을 막기 위한 생활습관 개선 등에 대해서 잘 알아두시기 바랍니다. 리뷰01. 요로결석(Nephrolithiasis) 01. 원인 및 병태생리 1. 결석의 종류와 원인 ① Calcium Oxalate Stone ( m / c , 75%) 원인 : high urine calcium, low urine citrate, high urine oxalate ② Calcium Phosphate Stone (15%) 원인 : high urine calcium, low urine ci

[SMART 일차진료 매뉴얼 실전편] 눈·귀·코·입·두경부:안구건조증/안구건조증원인/안구건조증진단/안구건조증치료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SMART 일차진료 매뉴얼 실전편 2 PART 10 눈·귀·코·입·두경부 Topic 3 안구건조증의 내용입니다. PART 10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 Topic 3. 안구건조증 1. 원인/감별진단 2007년 국제 건조안 위크샵 보고에 따르면 건성안 증후군을 병인에 따라 크게 두 가지로 분류 ⑴ aqueous-deficient ⑵ evaporative 2. 진단적 접근 • 몇몇 진단적 검사와 증상/징후를 종합하여 진단에 이르게 된다. • 흔한 증상 • 간지럽고 긁히는 듯하고 모래가 끼인 듯한 느낌 • 눈부심 (photophobia) • 이물질이 있는 듯한 느낌 • 시력 흐려짐 (blurry vision) • 아프거나 쏘는 듯한 느낌 • 충혈 • 찌르는 듯하거나 타는 듯한 느낌 • 점액성 분비물 • 간지러움 • 컨택트 렌즈를 착용할 수 없음 • 눈을 자주 깜빡거림 • 눈물 과다 • 눈 피로감 • 진단적 검사 : Visual acuity m

[1차진료 아카데미 처방가이드] 외과-화상:화상범위/화상치료/화상연고/가정응급처치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일차진료 아카데미 처방가이드는 13년 초판 이후 매우 뜨거운 반응을 받은 실전진료 현장의 실제의학실무를 담은 서적입니다. 저희 바른의학연구소에서는 일차진료에 필요한 진료지식과, 병의원 경영 및 운영 전반에 이르는 필수지식을 꼼꼼히 담아내려 노력했습니다. 일차진료 아카데미 처방가이드 진료1 Chapter 3. 외과 Topic 2 화상(Burn)의 내용입니다. Chapter 3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Topic 2. 화상(Burn) • 치료 기간 3주 이내 : 표재성 2도 화상으로 진단 • 치료 기간 3주 이상 : 심재성 2도 화상으로 진단 ① 화상의 범위결정 : Rule of nice ⑴ adult ( 9-9-18-18-1) ① 두부 : 9% ② 양쪽 팔 : 9 × 2 = 18% ③ 몸 양면 : 18 × 2 = 36% ④ 양 다리 : 18 × 2 = 36% ⑤ 회음부 : 1% ⑵ infant ( 20-10-20-10 ) ① 두부 : 20% ② 양쪽

[약처방의 정석] 진통제/통증치료:암성 통증의 약물요법/침해수용통증/신경병증통증/통증병력/숫자통증등급/얼굴통증등급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약처방의 정석 1권 PART 1. 여러 계통에 두루 사용되는 약물 Chapter 04. 진통제/통증치료 Topic 12 암성 통증의 약물요법의 내용입니다. Chapter 04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Topic 12. 암성 통증의 약물요법 01 암성 통증 : 평가 1) 개요 (1) 암성 통증의 종류 암과 연관된 분류 ⑴ 암 자체와 관련된 암성 통증 ① 뼈, 연부조직, 근육, 신경 조직 내로의 침범 ② Lymphedema, 장폐쇄, 뇌압 상승 ⑵ 치료 관련 통증: Postsurgical, postchemotherapy, postradiation, phantom pain ⑶ 암의 진행에 의한 전신쇠약에 따른 통증: 변비, 욕창 ⑷ 기타 : 편두통, 허리통증, 관절염 생리학적 기전에 따른 분류 침해수용통증 신경병증통증 정의 • 장기 손상에 의해 침해수용체가 자극되어 생기는 통증 • 2가지 종류 : 체성 통증, 내장성 통증 • 중

[Q book] 알레르기:두드러기/혈관부종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Q book 5권 (구 MASTER KMLE) 과목 2. 알레르기 Topic 3 두드러기/혈관부종의 내용입니다. 과목 2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 Topic 3. 두드러기/혈관부종 • 다양한 종류의 두드러기를 임상양상에 따라 분류하고 또한 비슷한 질환을 감별하는 방법을 잘 파악해두어야 합니다. 특정 두드러기로 진단할 수 있는 검사법을 잘 숙지해 두세요. 또한 두드러기와 혈관부종은 동시에 나타날 수도 있고 서로 별개로 발생할 수 있는데 이 두가지의 병리적, 임상적인 차이점을 이해하고 있어야 합니다. 하지만 치료법은 대부분 차이가 없습니다. 핵심 포인트 개요 두드러기와 혈관부종 •국소적인 비함요부종의 피부병변(localized non-pitting edema)으로 별개로 혹은 같이 나타날 수 있다. 두드러기 혈관부종 호발부위 전신 눈 주변, 입술 병변 상부진피 하부진피, 피하조직 증상 • 가려움 • 다양한 모양과 크기의 wheal • 가려

[SMART 일차진료 매뉴얼 실전편] 신경·정신:긴장형두통/두통/치료/급성기치료/약물치료/예방적치료/비약물적치료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오늘은 SMART 일차진료 매뉴얼 실전편 2 PART 9. 신경·정신 Topic 1-2 긴장형 두통의 내용입니다. PART 9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 Topic 1-2. 긴장형 두통 Core Review 1. 진단기준 : ICHD-3 베타 • 긴장형 두통은 객관적으로 확진할 수 있는 영상학적 또는 임상병리적 검사가 없기 때문에 임상 소견으로 진단된다. 참조 “스마트일차진료매뉴얼: “Evidence-based approach” 혹은 “Practical guide” 참조 2. 치료 1) 급성기 치료 : 약물치료 • 단순히 한 가지 진통제를 복용하는 것에서부터 다른 약제와의 복합치료까지 다양하다. • 일반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 ⑴ 편두통처럼 긴장형 두통의 급성기 치료도 빨리 시작할수록 효과가 좋다. ⑵ 처음부터 충분한 용량의 진통제를 투여하는 방법은 근거가 아직 미약하다. 두통의 재발을 막기 위해 고용량을 쓰는 경우가 있는데, 일부 환자들은 저용량에서도 반응이 좋다.

[1차진료 아카데미 처방가이드] 신경-치매:치매증상/치매진단/치매검사/치매치료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일차진료 아카데미 처방가이드는 13년 초판 이후 매우 뜨거운 반응을 받은 실전진료 현장의 실제의학실무를 담은 서적입니다. 저희 바른의학연구소에서는 일차진료에 필요한 진료지식과, 병의원 경영 및 운영 전반에 이르는 필수지식을 꼼꼼히 담아내려 노력했습니다. 일차진료 아카데미 처방가이드 Vol.2 진료② Chapter 12. 신경 Topic 5 치매의 내용입니다. Chapter 12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Topic 5. 치매 ① 치매 : 진단 코드 명칭 진료과 f03 상세불명의 치매 03 f00 알츠하이머병에서의 치매 03 f019 상세불명의 혈관성 치매 03 f023 파킨슨병에서의 치매 03 f020 피크병에서의 치매 03 f022 헌팅톤병에서의 치매 03 1-1 개요 1) 치매의 의학적 정의 • 퇴행성 뇌질환 또는 뇌혈관계 질환 등에 의해 기억력, 언어능력, 지남력, 판단력 및 수행능력 등의 기능저하를 일으켜 일상생활에 지장을 초래하는 후천적인 다발성 장애 • 인지기

[기본통증진료학] 어깨-동결견(오십견) vs 회전근개 감별:동결견(오십견)/어깨통증/어깨치료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기본통증진료학 PART 4. 어깨 Topic 1-1 “어깨가 아파요” 동결견(오십견) vs 회전근개 감별:동결견(오십견) 의 내용입니다. PART 4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 Topic 1-1. "어깨가 아파요" 동결견(오십견) vs 회전근개 감별:동결견(오십견) • 동결견이란? 1) 원인 상완와관절(superior glenohumeral joint)과 주위 관절낭의 염증의 결과로 glenohumeral joint space가 좁아져서 모든 방향의 운동제한과 통증유발 즉, glenohumeral joint를 둘러싼 capsule에 염증이 원인이다. •내인(견관절자체원인) : 수술 혹은 외상, 석회성 극상근건염, 회전근개 부분파열, 상완이두염 •외인 : 경추의 추간판탈출증, 심근경색증, CVA(cerebrovascular accident), Reflex sympathetic dystrophy(RSD, 반사성 교감신경 이영양증) 2) 단계

[약처방의 정석] 눈·귀·코·두경부-외이도염/급성외이도염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약처방의 정석 2권 PART 9. 눈·귀·코·두경부 Chapter 02. 증상/질환별 약처방의 정석 Topic 3 외이도염의 내용입니다. Chapter 02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Topic 3. 외이도염 외이도염(Otitis externa) : 약물요법 1) 외이도염 치료를 이해하기 위한 기초 (1) 급성 외이도염(Acute otitis externa, AOE)이란? • 외이의 미만성 염증(diffuse inflammation). 귓바퀴(pinna)나 고막 또한 침범할 수 있다. • 'swimmer’s ear’ 혹은 ‘tropical ear’로도 알려져 있다. (2) 원인 :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 가능 ___① 미생물학적 원인 세균 • 급성 외이도염의 가장 흔한 원인 • 가장 흔한 병원체: Pseudomonas aeruginosa (20~60%), Staphylococcus aureus (10~70%) → 여러 균에

[Q book] 정신-방어기제:스트레스/자아/이드/초자아/프로이트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Q book 8 (구 MASTER KMLE) 과목 1. 정신 Topic 3-1 방어기제의 내용입니다. 과목 1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 Topic 3-1. 방어기제 정신병리학은 정신질환의 원인과 양상을 탐구하는 학문입니다. 이번 장에서는 적절하지 못한 방어기제가 정신질환의 원인이 될 수 있음을 살펴볼 것입니다. 주요 방어기제의 개념을 실제적인 예시와 함께 익혀주시고요. 주요 정신과 질환에서 특징적으로 발현되는 방어기제를 알아두시길 바랍니다. ‘방어기제(defense mechanism)’가 주로 다루어집니다. 방어기제는 인간이 외∙내적 자극으로부터 스스로를 보호하기 위해 무의식적으로 동원하는 도구들입니다. 각 방어기제의 이름을 예시를 통해 익혀보세요. 그리하여 방어기제가 익숙해지면, 몇몇 주요 질환에서 특징적으로 사용되는 방어기제를 외워봅시다. 리뷰01. 정신병리학:방어기제 01. 정신 질환의 원인 특정 소인(유전, 성, 나이, 기질적 뇌

[SMART 일차진료 매뉴얼 실전편] 전신·감염:피로/지속성피로/만성피로/급성피로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SMART 일차진료 매뉴얼 실전편 1 PART 2. 전신·감염 Topic 4 피로의 내용입니다. PART 2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 Topic 4. 피로 1. 개요 • 피로의 정의 및 분류 (1) 증상의 기간에 따른 분류 증상의 기간에 따른 분류 정의 및 특징 지속성 (prolonged) 피로 • 1개월 이상 지속되는 경우 만성 (chronic) 피로 • 6개월 이상 지속되거나 반복되는 경우 급성 피로 • 1개월 미만 지속되는 피로 • 저절로 회복되는(self-limited) 일과성 피로를 가리키는 것으로 임상적으로 흔히 사용되는 용어는 아니다. (2) 피로를 유발하는 원인에 따른 분류 : 신체적 피로, 정신적 피로 (3) 증상의 특징에 따른 분류 : 말초성 (peripheral) 피로, 중추성 (central) 피로 (4) 증상의 발생부위에 따른 분류 : 국소성 (focal), 전신성(general) (5) 기타 분류 : 이차성 피로

[1차진료 아카데미 처방가이드] 소아청소년: 소아발열/감염질환/소아감기 상담/유아 돌연사 증후군(SIDS)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일차진료 아카데미 처방가이드 2진료 Chapter 18. 소아청소년 Topic 8 소아 발열/감염질환의 내용입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내용은 진료를 보시는 의료진보다는 가정에서 아이를 키우는 부모님들께 도움이 되는 것들로 가져왔습니다. 추운 겨울 모두 아프지않고 건강하게 보내시길 바랍니다^^ Chapter 18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Topic 8. 소아 발열/감염질환 ① 발열(Fever)(-10kg기준) 코드 명칭 진료과 r509 상세불명의 열 01 코드 명칭 용량 일투수 일수 용법 114.3 어린이타이레놀현탁액(내복) 1 3 1 114.21 어린이용타이레놀정80mg(내복) 1 3 1 114.801 타이레놀정160mg(내복) 1 3 1 114.1 타이레놀이알서방정325mg(내복) 1 3 1 114.6502 이브듀오시럽(내복) 1 3 1 • 3개월 미만 아기인 경우로 다음 조건일 경우 → Neonatal Sepsis 의심해 본다. 생후 1개월 이

[기본통증진료학] 허리-좌골신경통(Sciatica) vs 이상근증후군(Piriformis syndrome):다리저림/엉덩이, 허벅지, 다리부위 통증, 저림, 당김, 마비, 감각이상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기본통증진료학 PART 8. 허리 Topic 3 “다리가 저리다” 구체적으로 기술하면 “(허리통증은 없고) 엉덩이, 허벅지, 다리부위에 통증, 저림, 당김, 마비, 감각이상이 있다” 좌골신경통(Sciatica) vs 이상근증후군(Piriformis syndrome) 의 내용입니다. PART 8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 Topic 3."다리가 저리다" 구체적으로 기술하면 "(허리통증은 없고) 엉덩이, 허벅지, 다리부위에 통증, 저림, 당김, 마비, 감각이상이 있다" 좌골신경통(Sciatica) vs 이상근증후군(Pififormis syndrome) JX999 명세서 기재사항 천정관절 블록 시 환자가 vas score 7점 및 왼쪽 고관절 및 엉덩이부근 통증으로 내원하여 환자를 복와 위/측와위/좌위로 블록을 시행할 부위를 촉진하여 확인을 한 후, 포비돈으로 자입부위를 소독한 후, 국소마취제로 자입점을 피부침윤한 후 22G의 자침으로 피부 및

[약처방의 정석] 신경/정신-항정신병제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약처방의 정석 2권 PART 8. 신경/정신 Chapter 01. [Drug Class Review] 신경/정신계에 주로 사용되는 약물 Topic 2-1 항정신병제의 내용입니다. Chapter 01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Topic 02 도파민 신경전달 관련약물 Topic 2-1 항정신병제 01 항정신병제 : 개요 1) 항정신병제의 분류 • 정형 항정신병 약물은 1950년대 이후 정신분열병의 치료에 사용되어 왔으며, 1990년대 이후에는 비정형 항정신병 약물이 사용되기 시작 (1) 1세대[정형(전형) 항정신병 약물] •전형적 항정신병 약물은 구조에 따라 phenothiazine, butyrophenone, thioxanthenes계로 분류 되며, 대부분이 phenothiazine, butyrophenone 계열이다. (2) 2세대[비정형(비전형) 항정신병 약물] •Amisulpride •clozapine •olanzapi

[Q book] 알레르기-음식알레르기: 병력/진단/음식 일지/음식유발검사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Q book 3권 (구 MASTER KMLE) 과목 2. 알레르기 Topic 4 음식알레르기의 내용입니다. 과목 2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 Topic 4. 음식알레르기 리뷰02. 음식물 알레르기:진단 01. 음식물 알레르기의 임상양상 Mild to moderate symptoms • 두드러기 • 입술 부종, 얼굴이나 눈 주변의 혈관부종, 발진 • 복통, 구토, 설사 • 섭취 후 대개 30분 정도면 발생 • 대부분 IgE매개 반응이므로 skin test 에서 양성 severe allergic reaction • 호흡곤란 • 혀의 종창 / 인두의 종창이나 답답함 • 쉰목소리 혹은 말하기가 곤란함 • 천명, 지속적인 기침 • 지속적인 어지럼, 쓰러짐 • (소아의 경우) 창백, 축 늘어짐. Delayed hypersensitivity • 섭취 후 1-2일 후, 관절통, 근육통, 피로, 중이염 등으로 발현 • Skin test 음성이며 IgG가

[SMART 일차진료 매뉴얼 실전편] 소화기:변비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SMART 일차진료 매뉴얼 실전편 1 PART 5. 소화기 Topic 6 변비의 내용입니다. PART 5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 Topic 6. 변비 원인 및 감별진단 진단적 접근 - 변비증상/배변상태 평가 - 동반증상 - 기타병력 - 진단적 검사 : 대장통과시간측정/직장항문 내압검사/풍선배출검사/배변조영술 치료 - 약물치료 - 행동치료-바이오피드백 치료 - 수술치료 이전 내용은 SMART 일차진료 매뉴얼 실전편 1권 p.309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SMART Practical Guide Practical Guide 진단/평가 핵심포인트 1 이차성 변비 가능성을 우선 배제해보자!! • 가이드라인에서는 변비의 접근에 있어 보통 3가지 아형으로 분류해서 접근하는 방식을 제안하고 있다. 이는 1차성 변비에 해당하는 것으로 이런 접근을 위해서는 먼저 2차성 변비의 가능성을 배제하는 것이 필요하다. • 정확한 병력 청취를 통해 과거 병력,

[1차진료 아카데미 처방가이드] 신장요로생식-요로감염(UTI):소변감기라 불리는 "급성 방광염"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일차진료 아카데미 처방가이드는 13년 초판 이후 매우 뜨거운 반응을 받은 실전진료 현장의 실제의학실무를 담은 서적입니다. 저희 바른의학연구소에서는 일차진료에 필요한 진료지식과, 병의원 경영 및 운영 전반에 이르는 필수지식을 꼼꼼히 담아내려 노력했습니다. 일차진료 아카데미 처방가이드 1진료 Chapter 10. 신장요로생식 Topic 5 요로감염(Urinary Tract Infection, UTI): 소변감기라 불리는 “급성 방광염” 의 내용입니다. Chapter 10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Topic 2. 요로감염(Urinary Tract Infection, UTI):소변감기라 불리는 "급성 방광염" 코드 명칭 진료과 n390 부위가 명시되지 않은 요로 감염 15 t831 기타 요로장치 및 삽입물의 기계적 합병증 01 n137 방관요관 역류와 관련된 요로병증 15 p393 신생아 요로감염 11 o862 분만에 따른 요로감염 10 o234 임신중 요

[기본통증진료학] 발목-발:족저근막염:Plantar fascitis/장지굴근 텐션/InfraRed Tx/신경간내주사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기본통증진료학 PART 13. 발/발목 Topic 4 “발바닥이 아파요” 족저근막염 의 내용입니다. PART 13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 Topic 3. "발바닥이 아파요" 족저근막염 JX999 명세서 기재사항 발바닥이 아파요(족저근막염): 신경간내주사 환자가 vas score 7점 및 도보 시 발생하는 sharp한 발바닥 통증을 주소로 내원하여 환자를 복와위/측와위/좌위로 하였으며, 포비돈으로 해당부위를 소독하고 이어서 해당 발바닥 내측면에서 골극부위로 needle를 자입하여 국소마취제 및 기타약물 주사를 시행하였음 • 평가 • VAS score 몇 점 체크 •X-ray 판단:Calcaneal spur •족저근막염(Plantar fascitis):노인에 호발, 발뒤꿈치에 수분과 교원질 감소해서 신축성이 약화되어 발생 •장딴지 뒤에 있는 extensor digitorum longus m.의 belly에 숨어있던 유발점이 activatio

[약처방의 정석] 심혈관-신장:항응고제(Anticoagulants)/응고경로/응고인자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약처방의 정석 1권 PART 2. 심혈관/신장 Chapter 01. [Drug Class Review] 심혈관/신장에 주로 사용되는 약물 Topic 5-2 항응고제(Anticoagulants)의 내용입니다. Chapter 01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Topic 5-2. 항응고제(Anticoagulants) 01 항응고제(Anticagulants): Overview 1) 응고경로(coagulation pathway) 고전적인 모델 (cascade system) : since 1964년 내인성 경로(intrinsic pathway) + 외인성 경로(extrinsic pathway) ⑴ 내인성 경로: 접촉인자(contact factor)에 의해 XII인자의 활성화가 이루어져서 순차적으로 XI인자, IX인자, VIII인자, X인자가 활성화되어 thrombin을 생성한다. ⑵ 외인성 경로: 혈관 내 피하 세포막 단백(subendo

[Q book] 심혈관-서맥부정맥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Q book 2 (구 MASTER KMLE4) 과목 2. 심혈관 Section2. 주요 심혈관계 질환:리듬장애 Topic 6 부정맥:서맥부정맥의 내용입니다. 과목 2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 Topic 6. 부정맥:서맥부정맥 리뷰02 서맥부정맥:동기능 부전(SA node dysfuncion) SA node dysfunction은 간단합니다. 일단 Beta blocker, CCB를 끊어보고 안 되면 pacemaker를 씁니다. 혈 역학적으로 unstable한 급성환자에서는 Temporary percutaneous pacemaker 혹은 atropine(vagolytics) 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EKG의 변화와 증상과의 correlation이 중요하다는 것을 기억하세요. 01. 동기능 부전(SA node dysfunction), 동방결절질환(SA node disease) •정의:SA node의 기능 이상, 전도 이상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

[SMART 일차진료 매뉴얼 실전편] 소화기-소화불량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SMART 일차진료 매뉴얼 실전편 1 PART 5. 소화기 Topic 2 소화불량의 내용입니다. PART 5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 Topic 2. 소화불량 1. 원인 및 감별진단 •주요 원인(4가지) ⑴ 기능성소화불량(functional dyspepsia) ⑵ 소화성 궤양(peptic ulcer disease) ⑶ 위식도역류질환(GERD) ⑷ 위 및 식도 악성종양(Gastric & esophageal malignancy) 2. 진단적 접근 •4가지 주요 전략 Prompt endoscopy 증상을 가진 모든 환자에게 우선 내시경을 시행하는 전략 Test and scope 헬리코박터 검사를 하고 검사사 양성이면 내시경을 시행하는 전략 Test and treat 우선 헬리코박터 검사를 시행한 후 헬리코박터 양성인 경우 제균치료를 시행하는 전략 Empirical PPI trial 검사없이 경험적으로 PPI 투여하여 증상호전여부를 관찰하는 전

[기본통증진료학] 허벅지-대퇴신경통(Femoral neuralgia):퇴행성 고관절염/대퇴골두 무혈성 괴사/고관절 충돌증후군/ VAS score/Acetaminophen 3T-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기본통증진료학 PART 10. 대퇴부(허벅지=넓적다리) Topic 1 “허벅지(=넓적다리=대퇴 Thigh) 앞쪽이 저리며 무릎 통증과 무릎 부종으로 물도 빼요” 대퇴신경통(Femoral neuralgia) 의 내용입니다. PART 10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 Topic 1. “허벅지(=넓적다리=대퇴 Thigh) 앞쪽이 저리며 무릎 통증과 무릎 부종으로 물도 빼요” 대퇴신경통(Femoral neuralgia) JX999 명세서 기재사항 대퇴신경 차단술 시 환자가 vas score 7점 및 허벅지 앞쪽이 저리고 무릎 통증을 주소로 내원하여 환자를 앙와위로 하게 한 후에 서혜인대와 대퇴동맥의 박동을 좌측 제2지로 확인하고 나서 포비돈으로 자입부위를 소독한 후, 치골결합의 상연높이, 서혜인대에서부터 2.5cm하방에서 인대의 밑을 달리고 있는 대퇴동맥을 촉지하고 그 외측을 바늘의 자입점으로 하였다. 26G needle로 대퇴동맥의 박동을 촉지하

[약처방의 정석] 내분비-골다공증:약물요법: Denosumab(RANKL 단일클론항체)/골다공증/골형성/MRONJ/골흡수억제제/골밀도/GERD//bisphosphonate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약처방의 정석 2권 PART 6. 내분비 Chapter 02. 증상/질환별 약처방의 정석 Topic 7골다공증:약물요법: Denosumab(RANKL 단일클론 항체)의 내용입니다. Chapter 02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Real world prescription 약처방을 위한 핵심포인트 핵심포인트 1 1차 약제로 어떤 약물을 선택할 것인가? 골다공증 치료는 평생 이루어져야 하며, 환자의 상태, 약물 순응도, 치료 결과, 합병증 등에 따라 사용되는 약물이 바꿀 수 있다. 포인트 가장 많이 처방되고 있는 약제는 Bisphosphonate이다. 비스포스포네이트는 비교적 독성이 없는 약물이지만 경구 투여하는 경우에 식도 및 위장 에 장애가 올 수 있다. 또한 비스포스포네이트를 장기간 투여한 환자에서 드물게 턱뼈괴사나 비전형 대퇴골절이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포인트 가장 많이 처방되고 있는 약제는 Bisphosphon

[Q book] 호흡기:폐기능검사-폐확산능/심폐운동검사/기관지 유발/호기 곡선/주요 폐활량 지표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Q book 5권 (구 MASTER KMLE) 과목 1. 호흡기 Topic 2 폐기능검사의 내용입니다. 과목 1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 Topic 2. 폐기능검사 • 폐 기능검사는 특히 유병률이 높은 천식, COPD 등의 진단을 위해서는 필수적인 검사입니다. ① 기본적인 폐기능 검사에 대한 이해 ② 폐기능 검사로 나타나는 FEV1, FVC, DLco, Flow Volume Curve 등의 다양한 폐기능 지표의 변화에 따른 감별질환을 숙지하고 있어야 합니다. 핵심 포인트 1. spirometer를 보고 각각의 폐용적과 의미를 알아야 합니다. TLC = IC(= IRV + TV) + FRC(= ERV + RV) = VC + RV = (ERV + IC) + RV 2. 폐기능 검사를 보고 Obstructive vs Restrictive DDx 검사 폐쇄성 제한성 FEV1(L) ↓ N or ↓ FEV1/FVC(%) ↓ N or ↑ TLC(L)

[SMART 일차진료 매뉴얼 실전편] 신경·정신-두통:병력청취/신체검사/거미막하출혈/뇌종양/뇌막염/소뇌출혈/위험소견(Red flags)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SMART 일차진료 매뉴얼 실전편 2 PART 9. 신경·정신 Topic 1 두통의 내용입니다. PART 9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 Topic 1. 두통 1. 원인 및 감별진단 두통질환의 분류:국제두통질환분류(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Headache Disorders, ICHD) 3판(2013년) ⑴ 원발두통(primary headache) ⑵ 이차두통(secondary headache) ⑶ 뇌신경통과 기타 안면통 [+ 부록(appendix)] 2. 진단적 접근 • 대부분의 두통은 구조적인 원인질환에 의한 경우보다 두통 자체가 질환인 경우가 흔하다. • 병력청취, 신체검사, 신경학적 검사를 바탕으로 두통의 분류체계에 적합한 진단을 내리는 것이 중요하며, 이차성 두통 가능성도 염두에 둘 것 1) 병력 • 두통의 진단의 90% 이상은 병력청취에 의하여 이루어져 뇌 영상진단이나, 실험실적 검사에 의하여 두통의

[1차진료 아카데미 처방가이드] 응급상황:쇼크&아나필락시스-혈량감소성/심장성/균혈증(bacteremia)/전신염증반응 증후군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일차진료 아카데미 처방가이드는 13년 초판 이후 매우 뜨거운 반응을 받은 실전진료 현장의 실제의학실무를 담은 서적입니다. 저희 바른의학연구소에서는 일차진료에 필요한 진료지식과, 병의원 경영 및 운영 전반에 이르는 필수지식을 꼼꼼히 담아내려 노력했습니다. 일차진료 아카데미 처방가이드 1 진료 Chapter 2 응급상황에 대한 대처 Topic 3 쇼크&아나필락시스의 내용입니다. Chapter 2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Topic 3 쇼크&아나필락시스 ① 쇼크에 대한 조치 코드 명칭 진료과 r579 상세불명의 쇼크 01 r571 혈량감소성 쇼크 01 r570 심장성 쇼크 01 t782 상세불명의 아나필락시스 쇼크 01 r57 달리 분류되지 않은 쇼크 01 1-1 초기 오더 • 저혈압( 95/65 이하) 시: NS 1000 mL full drop하며, 30분 간격으로 혈압( 100/70 ) 이상, 맥박100 이하가 되도록 한다. 그 뒤 30 gtt/mi

[약처방의 정석] 저자인터뷰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지난번 약처방의 정석이 알라딘 약학분야 주간 베스트 셀러 1위로 올라 간략한 도서 소개 포스팅을 올려드린 것에 이어 오늘은 약처방의 정석에 대해 보다 더 정확한 설명을 드리고자 저자분께 직접 도서 소개 관련 답변을 받아 안내해드립니다. 집필 계기 “본 책의 서문에도 적어두었지만 전문의학서적을 처음 집필할 당시부터 로드맵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근거중심적인 최신지견을 정확하게 반영하면서도 실제 진료에 바로 적용이 가능한, 당장 써먹을 수 있는 콘텐츠를 만들겠다는 비전 가운데 여러 가지 책을 구상하고 라인업을 구성했습니다. 주요 전략 중 하나가 뼈대 및 supplement 전략인 데요. 뼈대에 해당하는 책이 바로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입니다. 진료를 진단과 치료로 세분해서 진단을 더욱 디테일하게 보충해주는 책, 치료 쪽을 강화해주는 책 라인업을 구상했습니다.” 진단: 감별진단의 정석, 검사실검사의 해석과 적용, 영상검사의 판독과 적용 등 치료: 약처방

[약처방의 정석] 약학분야 베스트셀러 1위 감사합니다!(의약학간호계열 전체 5위)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기쁜 소식이 있어 여러분께도 알려드리고자 포스트를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2020년 6월 출간된 약처방의 정석 : Drug class review & Real world prescription (저자: 이상봉) 이 알라딘 약학 분야 11월 4주차 주간 베스트셀러 1위 (의약학간호계열 전체 5위) 를 달성했답니다~~~ 약처방의 정석 - 11월 4주차 약학 분야 주간 베스트셀러 1위 약처방의 정석 - 11월 4주차 의약학간호계열 주간 베스트셀러 5위 약처방의 정석에 대해 많은 성원 보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약처방의 정석에 대해 궁금하신 분들을 위해 간단하게 도서 소개해드리고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약처방의 정석 : Drug class review & Real world prescription 약처방의 정석 세트(전 2권) 출간일 : 2020년 6월 26일 도서명: 약처방의 정석 부제: Drug class review & Real world pr

[약처방의 정석] 신경/정신:치매-알츠하이머 원인/약물 /Donepezil/Donepezil/Galantamine/Memantine/치료/부작용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약처방의 정석 2권 PART 8. 신경/정신 Chapter 02. 증상/질환별 약처방의 정석 Topic 9 치매의 내용입니다. Chapter 02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Topic 9. 치매 01 치매(dementia) : 치료 Overview 1) 치매 치료를 이해하기 위한 기초 (1) 원인 가역적인 원인 비가역적인 원인 흔한 원인 •Alzheimer's disease •Vascular dementia 기타 원인 •Lewy body disease •Pick's disease (dementia of the frontal lobe type) •Parkinson's disease with dementia •Endocrine disease •Metabolic disease •Nutritional deficiency •Drug toxicity (1) 병태생리 : 알츠하이머병 •알츠하이머병은 바로 베타아밀로이드 단백질 (β-amy

[Q book] 류마티스:혈관염-Wegner’s granulomatosis /Takayasu’s arteritis/Churg-Strausss/면역복합체 질환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Q book 6권 (구 MASTER KMLE) 과목 2. 류마티스 Topic 5 혈관염의 내용입니다. 과목 2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 Topic 5. 혈관염 • 혈관염 증후군으로 분류되는 질환들은 증상의 범위가 광범위하고 다른 질환과 중복되는 부분이 많아서 이해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또한 발병빈도가 높지않은 드문 질환들입니다. 따라서 혈관염으로 분류되는 각 질환들을 다 이해하려고 하는것 보다는 주요 질환들을 몇 가지 선택적으로 공부하는 것이 전략적입 니다. • 해당 질환을 의심할 수 있는 특징적인 임상양상을 파악하고 있다면 크게 어렵지 않을 것입니다. 핵심 포인트 Wegner’s granulomatosis(베게너 육아종증) 개요 •상부, 하부 호흡기의 육아종성 혈관염과 사구체 신염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 •소동맥과 정맥을 모두 침범 가능, 다양한 정도의 미만성 혈관염이 동반 임상양상 및 진단 임상양상 상부호흡기 병변(95%) •부비동의

[SMART 일차진료 매뉴얼 실전편] 호흡기:만성기침원인/급성기침/아급성기침/흡입성 inpratropium/유발요인/ACEi/폐기능검사/가슴 X선(±부비동 X선)/치료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SMART 일차진료 매뉴얼 실전편 1 PART 3. 호흡기·알레르기 Topic 2 기침(만성기침을 중심으로)의 내용입니다. PART 3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 Topic 2. 기침(만성기침을 중심으로) • 추가내용 및 REFERENCE Irwin RS, French CL, Chang AB, Altman KW, CHEST Expert Cough Panel*. Classification of Cough as a Symptom in Adults and Management Algorithms:CHEST Guideline and Expert Panel Report. Chest 2018; 153(1) :196–209. • 대한천식알레르기학회. 만성기침 진료지침. 2018 1. 기침 : 개요 • 기침의 분류 기침은 지속기간에 따라 급성, 아급성 및 만성기침으로 분류한다. 지속기간에 따른 기침의 분류는 원인을 감별하는 데 유용하다. 표 가슴X선

[1차진료 아카데미 처방가이드] 운영:병의원 개업자리 필수조건/일상(일반상업지구)/근생(근린생가)1종/1.2종 근린생활시설/장애인 편의시설/인구통계 등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일차진료 아카데미 처방가이드는 13년 초판 이후 매우 뜨거운 반응을 받은 실전진료 현장의 실제의학실무를 담은 서적입니다. 저희 바른의학연구소에서는 일차진료에 필요한 진료지식과, 병의원 경영 및 운영 전반에 이르는 필수지식을 꼼꼼히 담아내려 노력했습니다. 일차진료 아카데미 처방가이드 3운영 Chapter 1. 개업준비 Topic 1 병의원 개업자리의 필수조건 7가지의 내용입니다. 개원을 계획하시는 분들에게 정말 도움이 되는 내용이 될 것 같습니다^^ Chapter 1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Topic 1. 병의원 개업자리의 필수조건 7가지 병의원인가는 일반상업지구나 근린1종상가에만 허가가 난다. 보통 부동산에서 나누어주는 아래와 같은 도면을 참고해보자. 일반적으로 빨간색으로 표시되어 있는 구역이 일상(일반상업지구)이고 주황색으로 칠해져있는 곳이 근생(근린생가)1종만 병원인허가 나온다. 문화복합지구라든가 택지 등에는 병의원 인허가가 나오질 않는다.

[기본통증진료학] 얼굴:안면신경마비-중추성 얼굴마비(central type palsy)/말초성 얼굴마비(peripheral type palsy, Bell's palsy)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기본통증진료학 PART 2. 머리 및 얼굴 Topic 3 “얼굴 한쪽이 마비가 된 것 같아요” 안면신경마비(Bell’s palsy) 의 내용입니다. PART 2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 Topic 2."얼굴 한쪽이 마비가 된 것 같아요" 안면신경마비(Bell's palsy) 1. 평가 •VAS score 몇 점 체크 •체크근육 : 뇌졸중과의 감별에서 가장 중요한 포인트는 이마 부위 근육의 마비 유무이다. 안면신경마비는 이마의 주름을 잡을 수 없지만, 뇌졸중에 의한 중추성 안면신경마비는 이마에 주름을 잡을 수 있다. 즉, 눈 아래의 안면근육은 마비되어서 입도 돌아가고 침도 흐르고 식사 때 불편하지만, 눈 위의 안면근육은 정상이라는 것이다. • 4장의 사진을 찍는다. ⑴ 그냥 사진 ⑵ “이~~해보세요.”하고 찍은 사진 ⑶ “천장을 바라보세요.”하고 찍은 사진 ⑷ “혀를 내밀어보세요.”하고 찍은 사진 추가로 혀의 맛과 감각에 이상이 있는지 물어

[약처방의 정석] 내분비-당뇨병:치료/제2형 당뇨병/혈당조절/KDA2019/자가혈당측정/당화혈색소/지속혈감시장치/인슐린/주사제/병합요법/metformiin/추가약제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약처방의 정석 2권 PART 6. 내분비 Chapter 02. 증상/질환별 약처방의 정석 Topic 4-1 당뇨병:치료 및 약물요법 Overview의 내용입니다. Chapter 02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Topic 4-1. 당뇨병:치료 및 약물요법 Overview 01 당뇨병 : 치료 1) 제2형 당뇨병의 치료 • 제1형 당뇨병 환자는 인슐린 혈당 조절만으로 관리할 수 있지만, 제2형 당뇨병인 사람은 비만, 고혈압, 이상지질혈증, 혈관 질환 등 제2형 당뇨병과 관계된 상태의 치료와 그에 따른 합병증의 발견과 관리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 당뇨병 관리는 MNT (medical nutritional treatment)로 시작해야 한다. • 인슐린 감수성을 증가시키고 체중 감량을 증진시키는 운동 처방을 실시한다. • 제2형 당뇨병의 관리를 위한 약물학적 접근은 경구 혈당강하제와 인슐린 모두를 포함하며 대부분 처음에는 경구

[Q book] 위장관-대장의 종양:대장 폴립(epithelial origin) /adenomatous polyps/폴립증(polyposis)/폴립증후군/대장암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Q book 2권 위장관 과목 (구 MASTER KMLE) Section 1 위장관 Topic 12.2 대장의 종양의 내용입니다. Section 1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 Topic 12.2 대장의 종양 01. 리뷰 01. 대장폴립에 대한 고찰 • polyp이란 육안적으로 돌출된 점막 표면의 병변(grossly visible protrusion)을 의미한다. 1. 대장 폴립(epithelial origin)의 분류 • 조직학적으로는 inflammatory, hyperplastic, hamartomatous, adenomatous polyps으로 분류한다. • 이를 크게 1) 종양성(neoplastic)과 2) 비종양성(non-neoplastic)으로 분류할 수도 있다. 1) 종양성 폴립: 크게 양성인 ① 전암성 폴립(premalignant polyp) :샘종(adenoma)과 악성인 ② 암(carcinoma)으로 분류됩니다. (1) 전

[SMART 일차진료 매뉴얼 실전편] 소화기:급성충수염-진단소견/통증위치의 이동/흔한징후/진단점수제/병력/통증양상/Psoas sign/obturator sign/상병명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SMART 일차진료 매뉴얼 실전편 1 PART 5. 소화기 Topic 11 급성충수염 내용입니다. PART 5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 Topic 11. 급성충수염 Core review 추가내용 및 REFERENCE • Wagner M, Tubre DJ, Asensio JA. Evolution and Current Trends in the Management of Acute Appendicitis. Surg Clin North Am 2018; 98(5) :1005–23. • Brook I. Treating appendicitis with antibiotics. Am J Emerg Med 2016; 34(3) :609–10. • Kim KH. A Review of Acute Appendicitis. J Acute Care Surg 2015; 5:10-14 병력/신체검사 급성충수염을 진단하는 데 도움이 되는 소견 급성 충수염을 배재하는데 도

[1차진료 아카데미 처방가이드] 소화기-급성위장염:바이러스성/세균성/원충/위장염원인/병원체추정/음식/노출,접촉/증상/검사시기,방법/치료/대증요법/항생제/경구용수액제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일차진료 아카데미 처방가이드는 13년 초판 이후 매우 뜨거운 반응을 받은 실전진료 현장의 실제의학실무를 담은 서적입니다. 저희 바른의학연구소에서는 일차진료에 필요한 진료지식과, 병의원 경영 및 운영 전반에 이르는 필수지식을 꼼꼼히 담아내려 노력했습니다. 일차진료 아카데미 처방가이드 2진료 Chapter 6. 소화기 Topic 2 급성위장염(Acute gastroenterities, AGE)/ 급성 감염성 설사의 내용입니다. Chapter 6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Topic 2. 급성 위장염(Acute gastroenteritis, AGE)/ 급성 감염성 설사 코드 명칭 진료과 k529 상세불명의 비감염성 위장염 및 결장염 01 a09 염성 및 상세불명 기원의 기타 위장염 및 결장염 01 k528 기타 명시된 비감염성 위장염 및 결장염 01 k52 기타 비감염성 위장염 및 결장염 01 k522 알레르기성 또는 식사성의 위장염 및 결장염 01 k5

[기본통증진료학] 발-발뒤꿈치:아킬레스건병증/테니스선수/발뒤축/후경골건염/농구선수/축구선수/족저근막염/다족지 소견/약물치료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기본통증진료학 PART 13. 발/발목 Topic 3 “발뒤꿈치가 아파요(아킬레스건병증)”:테니스선수 치료하기 vs “발 뒤축이 아파요(후경골건염)”:농구선수, 축구선수 치료하기 의 내용입니다. PART 13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 Topic 3."발뒤꿈치가 아파요(아킬레스건병증)" 테니스선수 치료하기 "발 뒤축이 아파요(후경골건염)" 농구선수, 축구선수 치료하기 JX999 명세서 기재사항 건초내 주사 또는 경골신경차단술(좌골신경*0.25) JX999 환자가 vas score 7점 및 발뒤꿈치가 아파요(또는 발뒤축이 아파요)를 주소로 내원하여 이학적 검사상 아킬레스 건염(또는 후경골 건염)으로 진단되어 환자를 복와위/측와위/좌위로 하여 포비돈으로 자입부위를 소독한 후 needle을 자입하여 건초내주사 또는 경골신경차단술을 시행하였음 • 평가 • VAS score 몇 점 체크 •우선 발뒤꿈치라고 하면 “아킬레스 건(achilles tend

[약처방의 정석] 혈액-철결핍빈혈:Hepcidin 호르몬/철항상성/철결핍원인/치료전략/경구철분제/적혈구수혈/주사철분제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약처방의 정석 1권 PART 3. 혈액 Chapter 02. 증상/질활별 약처방의 정석 Topic 3 철결핍빈혈의 내용입니다. Chapter 02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Topic 14. 철결핍빈혈 01 철결핍빈혈: 치료 Overview 1) 철결핍빈혈 치료를 이해하기 위한 기초 철 역동학 및 대사(iron kinetics & iron metabolism) ① 철의 체내에서의 기능 • 철은 전자(electrons)를 쉽게 주고받을 수 있는 성질이 있다. [ferric (Fe2+)form ↔ ferrous (Fe3+) forms] • 이런 성질 때문에 철은 cytochromes, oxygen-binding molecules ( hemoglobin, myoglobin) 및 여러 효소의 중요구성요소로 체내에서 활용된다. ② 체내 철분량 및 분포양상 • 대부분의 성인은 체내에 적어도 3,000 mg(45 mg/Kg)의 원소철을

[Q book] 골무기질대사-골다공증:유전적요인/생활습관/질병/골의형성/재형성/폐경후/노인성/일차성/원발성/이차성/골밀도측정/에스트로겐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Q book 6권 내분비 과목 (구 MASTER KMLE) Topic 6-3 골다공증의 내용입니다. 내분비 과목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 Topic 36-3. 골다공증 1. 골다공증(osteporosis):기초 01. 정의 세계보건기구(WHO) 골량의 감소와 미세구조의 이상을 특징으로 하는 전신적인 골격계 질환으로, 결과적으로 뼈가 약해져서 부러지기 쉬운 상태가 되는 질환 미국국림보건원(NIH) 골강도의 약화로 골절의 위험성이 증가되는 골격계 질환 02. 골다골증의 병인 골다골증의 병인 모식도 1. 골다골증의 위험인자 골다공증 발생의 중요한 두 가지 위험요인 1) 성장기 동안 충분한 골량 형성의 실패로 인한 낮은 최대 골량 2) 폐경 등으로 인한 빠른 골소실 (1) 유전적요인/생활습관 유전적 요인 생활습관 및 영양 • 백인 또는 아시아인 • 어머니의 골절 병력 • 작은체구 • 45세 이하의 조기 폐경 • 지속되는 이차 무월경 • 흡연 •

[SMART 일차진료 매뉴얼 실전편] 피부-아토피 피부염:유아형/소아형/성인형/아토피진단/아토피치료/스테로이드/항히스타민/국소 칼시뉴린 억제제(TCI)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SMART 일차진료 매뉴얼 실전편 2 PART 12. 피부 Topic 3-2 아토피 피부염의 내용입니다. PART 12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 Topic 3-2. 아토피 피부염 (Atopic dermatitis) 1. 개요 용어 정의 아토피 피부염 특징 유아형 아토피피부염 (생후 2개월-2세) • 얼굴(이마, 빰, 턱, 귓바퀴 뒤), 두피 • 몸통 • 신전 부위(extensor surfaces) • 침범하지 않는 부위:코, 기저귀 부위 • 대개 두피나 얼굴(특히 양 볼)에서부터 증상이 시작 • 점차 목과 체간을 거쳐 사지로 퍼져나가는 경향을 보여 특정한 호발부위가 없다. 소아형 아토피피부염 (2세-사춘기) • 접히는 부위:전와부(antecubital fossa), 슬배부(popliteal fossa) • 손목, 발목, 목, 엉덩이 아래 접히는 부위 (infragluteal folds) • 주로 굽힘 부위에 습진이 발생하는 경향 • 삼출

[1차진료 아카데미 처방가이드] 외과:욕창(Bed Sore)관리-염증성처치/욕창예방 매트리스/에너지 요구/압창의 병기별 특성/예방과 치료/제품과 치료/마데카솔vs후시딘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일차진료 아카데미 처방가이드는 13년 초판 이후 매우 뜨거운 반응을 받은 실전진료 현장의 실제의학실무를 담은 서적입니다. 저희 바른의학연구소에서는 일차진료에 필요한 진료지식과, 병의원 경영 및 운영 전반에 이르는 필수지식을 꼼꼼히 담아내려 노력했습니다. 일차진료 아카데미 처방가이드 1진료 Chapter 3. 외과 Topic 4 "욕창(Bed Sore)관리"의 내용입니다. Chapter 3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Topic 4. 욕창(Bed Sore)관리 코드 명칭 진료과 좌 우 수술 I89 욕창궤양 및 압박부위 14 코드 명칭 용량 일투수 일수 M0121000 염증성처치(1일당) (심한욕창, 염증이 심한 상처, 수술창) 1 1 1 20373000 욕창예방 매트리스(교대부양형) 1 1 1 20375000 욕창예방 매트리스(고무제-공기격자형) 1 1 1 20374000 욕창예방 방석(고무제-공기격자형) 1 1 1 ① BED SORE admiss

[기본통증진료학] 손목통증-드퀘르벵vs결절종:요골경상건초염/Ganglion/건초내주사/단무지신근/장무지외전근/VAS score/phalen test/Acetaminophen/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기본통증진료학 PART 7. 손목 Topic 4 "드퀘르벵 병 vs 결절종"의 내용입니다. PART 7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 Topic 4. 드퀘르벵 병(요골경상건초염에 의한 통증) vs 결절종(Ganglion) JX999 명세서 기재사항 손의 건초내주사 시 환자가 vas score 7점 및 손목, 손등의 통증을 주소로 내원하여 환자를 앙와위자세를 시키고, 건초내주사를 시행할 부위를 촉진하여 확인한 후, 포비돈으로 자입부위를 소독한 후, 좌측 상지 또는 우측 상지의 00부위에 건초내부사를 시행함. 1. 평가 •VAS score 몇 점 체크 •체크근육 단무지신근(extensor pollicis brevis m.) 장무지외전근(abductor pollicis longus m.) •Finkelstein test : 환자의 thumb(무지)를 flexion한 위치에서 wrist를 강하게 척측으로 내전(adduct)시키면 이환된 건들이 긴

[약처방의 정석] 여러계통에 두루 사용되는 약물:아드레날린-작용제/ catecholamine/noncatecholamines/작용/치료용도/부작용/직접작용성/간접작용성/혼합작용성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약처방의 정석 1권 PART 1. 여러계통에 두루 사용되는 약물 Chapter 01. 자율신경계에 작용하는 약물 Topic 3-1 아드레날린 작용제의 내용입니다. Chapter 01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Topic 03. 아드레날린 약물 3-1 아드레날린 작용제 01 개요 1) 아드레날린 작용제(Adrenergic agonists) catecholamine vs noncatecholamines catecholamine non-catecholamines 경구투여 불가능 경구투여 가능 BBB 통과 불가 BBB 통과 가능 반감기가 짧다. 반감기가 길다 • 내인성 Norepinephrine Epinephrine Dopamine • 합성 Isoproteronol Dobutamine • Ephedrine • Phenylephrine • terbutaline • amphetamine • phenylephedrine • me

BCU 필진 캐릭터 소개 - 1 : 바른의학연구소의 마스코트 닥터쌤!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지난 3번의 포스팅으로 BCU의 소개를 마쳤습니다. 오늘부터는 BCU 세계관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역대 필진들의 캐릭터'를 소개해 드리려 합니다. BCU 세계관이 마블의 MCU를 오마주했다는 건 다들 아시죠?^^ 때문에, 캐릭터들 역시 "하나의 행성을 지키는 Hero" 라는 컨셉으로 제작되었답니다. 한명 한명의 개성에 맞게 제작된 캐릭터인 만큼 이해하기도 쉽고 보는 재미도 있을 것 같습니다^^ 지난번 포스트들을 아직 못 보신 분들은 아래 링크를 먼저 확인해주세요! BCU(Barunlab Contents Universe) 소개 - 1 : BCU란? BCU(Barunlab Contents Universe) 소개 - 2 : 두 번째 BCU 이미지 BCU(Barunlab Contents Universe) 소개 - 3 : Objective, Strategy, Concept "닥터쌤" -바른의학연구소 저자 이상봉- 가장 먼저 소개해 드릴 분은 바른의학연구소 대

[Q book] 간:알코올 간질환-지방간/ 지방가염/간경변/위험음주/알코올사용장애/CAGE 설문검사/AUDIT-K/검사실검사/영상검사/치료/약물치료/간이식 [내부링크]

2020 개정판 contents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Q book 2권 간담췌 과목 (구 MASTER KMLE) Section 2. 간 Topic 19 알코올 간질환의 내용입니다. Section 2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2019버전 contents로, 개정판과 차이가 있습니다. | Topic 19. 알코올 간질환 1. 개요 01. 알코올 간질환이란? 단순 지방간, 지방간염, 간경변 등 다양한 간질환을 포괄한다. 02. 위험음주와 알코올 사용장애 1. 위험음주 • 주로 사용하는 기준 미국 국립 알코올남용 및 중독연구소(National Institute on Alcohol Abuse and Alcoholism, NIAAA) 기준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기준 • 음주량과 음주 습관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 ⑴ 적정음주(moderate drinking) ⑵ 과음(heavy drinking) ⑶ 폭음(binge dri

[SMART 일차진료 매뉴얼 실전편] 입-입냄새:구취/불쾌한 호흡/진성구취/가성구취/구취공포증/생리적/병적/주관적,객관적 평가/구취치료법/구취식생활/구취원인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SMART 일차진료 매뉴얼 실전편 2 PART 10. 눈·귀·코·입·두경부 Topic 12 입냄새의 내용입니다. PART 10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 Topic 12. 입냄새 1. 개요 1) 정의 용어 정의 구취(Halitosis) • 기원에 상관없이 호기 시 불쾌한 냄새가 나는 것을 의미 불쾌한 호흡(Bad breath) • halitosis의 일반적인 용어 진성 구취(Genuine halitosis) • 불쾌한 입냄새가 객관적으로 규명된 경우 생리적 구취(일시적 구취) (예:아침 입냄새) 병적 구취 • 구강 입냄새와 구강 외 입냄새로 분류 가성구취(Pseudo-halitosis) • 입냄새의 객관적인 증거가 없지만 본인은 입냄새가 난다고 생각하는 경우 구취공포증(Halitophobia) • 입냄새의 객관적인 증거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입냄새가 난다고 지속적으로 믿고 있는 경우 2) 구취의 분류 3) 구취의 주요 원인 구취의 주요

BCU(Barunlab Contents Universe) 소개 - 3 : Objective, Strategy, Concept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지난번 포스트에서 BCU 이미지에 대해 간단히 소개해 드린 것에 이어 오늘은 바른의학연구소의 BCU 목표, 전략, 콘셉트 에 대해 자세히 소개해드리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지난번 포스트들을 아직 못 보신 분들은 아래 링크를 먼저 확인해주세요! BCU(Barunlab Contents Universe) 소개 - 1 : BCU란? BCU(Barunlab Contents Universe) 소개 - 2 : 두 번째 BCU 이미지 BCU(Barunlab Contents Universe) 바른의학연구소는 의학콘텐츠에 관한 전체적인 로드맵(BCU)을 설계하여 일차진료에 관련된 대부분의 이슈를 총 망라하는 콘텐츠를 제공합니다. 1. Objective Primary care total package 바른의학연구소는 일차진료에 대한 total solution 제시를 목표로 합니다. 의대생부터 수련의(인턴, 레지던트), 공보의/군의관, 개원의/봉직의까지 각 시기

[1차진료 아카데미 처방가이드] 정신:우울증-진단/흥미상실/우울감/체중변화/불면/수면과다/삽화(Episode)/간이선별검사/치료/항우울제처방/약물효과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일차진료 아카데미 처방가이드는 13년 초판 이후 매우 뜨거운 반응을 받은 실전진료 현장의 실제의학실무를 담은 서적입니다. 저희 바른의학연구소에서는 일차진료에 필요한 진료지식과, 병의원 경영 및 운영 전반에 이르는 필수지식을 꼼꼼히 담아내려 노력했습니다. 일차진료 아카데미 처방가이드 2진료 Chapter 13. 정신 Topic 7 마음의 감기 "우울증(Depression)"의 내용입니다. Chapter 13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Topic 1. 의사진료 지시서 작성 요령(order 내리기) ① 개요 기분의 정상적인 범위를 벗어나는 정도를 episode(삽화)라고 하는데. 이런 비정상적인 기분상태(삽화)는 자율신경계와 뇌의 활성도를 벗어나기때문에, 우리의 몸에 구체적인 증상으로 일정기간동안에 드러내게 됩니다. 따라서 Episode(삽화)는 증상과 기간이라는 조건이 있어야 합니다. 그림 | Episode(삽화)의 기준 • 우울증의 급성기 회복과정 ①

[기본통증진료학] 무릎통증 - 퇴행성 관절염/인대파열/화농성관절염/방사선소견/연골주사/히루안/무릎주사처방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기본통증진료학 PART 11. 무릎 Topic 2 "퇴행성 관절염"의 내용입니다. PART 11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퇴행성 관절염에 앞서, [기초] 주요 무릎질환 가볍게 훑어보기! 1. 내측 측부 인대손상(medial collateral lig. injury) • 평가 : valgus stress test(외반 검사) cf. 내측 측부 인대 염좌 및 점액낭염(medial collateral lig. sprain & bursitis) 슬관절의 과도한 외반(valgus) 긴장에 의해 발생. 특히 수영의 평형에서의 발차기동작(whip kick)이 잘못되었을 때 잘 발생한다. 이것을 “swimmer’s knee”라고 한다. • 치료 내측 측부 인대는 superficial layer와 deep layer의 두 층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들 사이에 bursa가 위치하여 염증이 일어나는데 실제로 내측 측부 인대의 염좌나 파열, 점액낭염은 구별이

BCU(Barunlab Contents Universe) 소개 - 2 : 두 번째 BCU 이미지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BCU(Barunlab Contents Universe) 소개 2편으로 새로운 BCU 이미지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텍스트로만 설명해 드리는 것보다 이미지로 보여드리는 것이 시각적으로 의미가 더 잘 전달될 것 같아 BCU 이미지를 하나 더 준비했습니다^^ 시작하기에 앞서 혹시 이전 포스트를 확인하지 못하신 분은 BCU 소개 1편을 먼저 확인해주세요^^ BCU(Barunlab Contents Universe) 소개 - 1 : BCU란? 1편 BCU 이미지와 레이아웃은 다소 달라졌지만 의미와 콘셉트는 동일합니다. 크게 4가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 목표(우주) : Real World Practice (실제 진료 현장) 2. 증례(중간 지대 - 해, 구름) : Qbook (임상지식이 실전에 잘 접목될 수 있도록 증례집과 연계) 3. 실전(나무) : 진료매뉴얼 영역 콘텐츠(Evidence based approach + Practical app

[Q book] 소화기 췌담도 : 담관염-담도폐쇄/세균감염/결석/종양/기생충/임상증상/치료원칙/담도배액술(Biliary drainage, bile pus drainage)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Q book 3 (구 MASTER KMLE) Section 2. 췌담도 Topic 12.2 담관염의 내용입니다. Section 2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 Topic 12.2 담관염 1. 개요 01. 담관염이란? • 대개 담도폐쇄(biliary obstruction)에 의해 유발되는 세균감염에 의해 발생하는 담도계의 염증 • 다른 용어:ascending cholangitis, suppurative cholangitis, toxic cholangitis 02. 병태생리 • 급성 담관염의 발생에는 2가지 요소가 중요하다. 1. 담도폐쇄(biliary obstruction) 2. 세균감염(bacterial infection)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담도가 페쇄되고 이로 인해 담즙이 정체되면 고인 물은 썩는다는 말처럼 정체된 담즙에 세균 감염이 생기면서 급성 담관염이 발생하는 것입니다. 담즙의 경로가 막혀 있기 때문에 고인 담즙은 상행성으로 역

BCU(Barunlab Contents Universe) 소개 1 : BCU란?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블로그 메인 화면이 변경되었는데 다들 확인해 보셨나요? ^^ 블로그 홈으로 이동하시면 BCU라고 큼지막한 로고와 함께 바른의학연구소 출간도서 및 출간예정도서들이 배치되어 있는 이미지를 보실 수 있을 겁니다. 이 이미지가 어떤 의미인지 궁금해하시는 분들이 있을 것 같아 오늘은 BCU 에 대해 소개해드리는 포스트를 진행해보겠습니다! B C U Barunlab Contents Universe 바른의학연구소는 장기계획 없이 단순히 그때 그때 판단하여 도서를 출간하는 게 아닌 일차진료에 관련된 Total solution을 제공하기 위해 전체적인 계획을 미리 세우고, 거기에 맞춰 체계적으로 콘텐츠를 제작하고 있습니다. 오랜 고민 끝에 일차진료에 관한 대부분의 이슈를 총 망라하는 콘텐츠 로드맵을 만들었고, 이를 저희가 BCU라고 이름 지었답니다^^ 사실, 이전 포스팅에서 바른의학연구소 출판 로드맵에 대해 한번 소개해드린 적이 있는데요. 못 보신 분들은 한번 참고

[일차진료 매뉴얼 (실전편)] 내분비-갑상샘기능항진증:갑상샘중독증/그레이브스병/TSH, fT4/항갑상샘제/방사성요오드/증상/진단/치료/부작용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SMART 일차진료 매뉴얼 실전편 PART 6. 내분비 Topic 1-2 갑상샘기능항진증의 내용입니다. PART 6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 Sub Topic 1-2. 갑상샘기능항진증 1. 개요 • 갑상샘중독증: 말초 혈액 및 조직에 갑상샘호르몬이 과잉 공급되어 나타나는 모든 임상 상태를 의미, 갑상 샘기능항진증에 의한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로 분류된다. • 갑상샘중독증의 흔한 원인: 그레이브스병, 무통성 갑상샘염, 아급성 갑상샘염, 중독성 결절 • 갑상샘기능항진증:갑상샘에서 갑상샘호르몬이 과다하게 생산되어 갑상샘중독증이 나타나는 상태 • 병태생리(그레이브스병) :TSH 수용체에 대한 자가항체 2. 진단 1) 임상양상 (1) 갑상샘중독증(Thyrotoxicosis)의 임상증상 • 혈청 유리 T4 또는 T3치의 상승 정도에 비례하지 않는다. • 연령과 반비례한다. 고령의 환자에서는 갑상샘중독증의 증상 및 징후가 잘 나타나지 않으므로 특히

[1차진료 아카데미 처방가이드] 안과;눈의 운동과 시력이상-원시/근시/난시/노시(노안)/황반변성/사시/약시/복시/안진/안경처방전 해석/시력측정 방법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김갑성 박사님의 일차진료 아카데미 처방가이드 컨텐츠 소개 두번 째 입니다. 일차진료 아카데미 처방가이드(이하 처방가이드)는 13년 초판 이후 매우 뜨거운 반응을 받은 실전진료 현장의 실제의학실무를 담은 서적입니다. 저희 바른의학연구소에서는 일차진료에 필요한 진료지식과, 병의원 경영 및 운영 전반에 이르는 필수지식을 꼼꼼히 담아내려 노력했습니다. 앞으로 꾸준히 업로드 될 예정이니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일차진료 아카데미 처방가이드 2 CHAPTER 14. 안과 Topic 1 눈의 운동과 시력이상의 내용입니다. CHAPTE 14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Topic 1. 눈의 운동과 시력이상 표 EYE MOVEMENT 눈의 운동 눈운동 눈운동조절장소 단속성(명령) 눈운동 전두엽 추적 눈운동 후두엽 전정 - 위치 눈운동 소뇌, 전정핵 집중 눈운동 중뇌 • Saccadic단속성 눈운동: 한쪽을 오랫동안 바라보다가 다른곳으로의 빠른 운동 ex)

[약처방의 정석] 여러계통에 두루 사용되는 약물 :항생제-분류/ Penicillin/Cephalosporin/Monobactam/Glycopeptide /Macrolide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약처방의 정석 1권 PART 1. 여러계통에 두루 사용되는 약물 Chapter 05. 항생제/항암제/면역억제제 Topic 14 항생제의 내용입니다. Chapter 05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Topic 14. 항생제 01 항생제의 작용기전과 분류 표 항생제의 작용기전에 의한 분류 작용기전 분류 세포벽 합성억제 • D-ananyl-D-alanine synthetase:Cycloserine • Lipid carrier의 활성화 억제:Bacitracin, fosfomycin • Disaccharide pentapeptide유리 억제:Vancomycin • Cross-linking of peptidoglycan:β-lactam 항생제 세포막 투과의 변화 / 세포막 터뜨리기 • Polymyxin, lipopeptide(daptomycin), amphotericin B, azole, nystatin 단백 합성 억제 30S 리보솜에서

[기본통증진료학] 허리 통증 - 척추기립근/최장근/척추후관절증후군/천장관절증후군/약물치료/통증치료/식이요법/테이핑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기본통증진료학 PART 8. 허리 Topic 1 "허리 통증(Back pain)"의 내용입니다. PART 8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 Topic 1."허리가 아파서 왔어요" 허리 통증(Back pain) 본문 p.245에서 JX999 명세서 기재 사항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1. 평가 • VAS score 몇 점 체크 ⑴ 척추기립근 중 최장근(longissimus m.)의 긴장에 의한 요통:주로 장늑근(iliocostalis m.), 극근(interspinalis m.)과 병합적으로 온다. “허리를 곧바로 펴거나 뒤로 젖힐 때 아프다.” ⑵ 추간관절증(facet joint syndrome)에 의한 요통 “허리를 뒤로 젖히거나 옆으로 구부릴 때 예리한 통증(sharp pain)이 있으며 허리에서 연발음(click)이 느껴진다.” ⑶ 대요근(psoas major m.)에 의한 요통 “군인 자세처럼 똑바로 서있거나 다리를 쭉 뻗거나 방 천장

[Q book] 호흡기/알레르기-폐렴-지역사회획득/병원획득/전형(정형, 특이성, typical) vs. 비전형(비정형, 비특이성, atypical)/폐렴증상/폐렴진단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Q book 5권 (구 MASTER KMLE) Section 2. 주요 호흡기 질환 Topic 10 폐렴의 내용입니다. Section 2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 Topic 10. 폐렴 1. 개요 01. 폐렴이란? 폐렴은 폐 실질의 감염이다(infection of the pulmonary parenchyma. 02. 폐렴의 분류 1. 역학적인 상황에 따른 분류 •지역사회획득 폐렴(community-acquired pneumonia, CAP) •병원획득 폐렴(hospital-acquired pneumonia, HAP) •인공호흡기연관 폐렴(ventilator- associated pneumonia, VAP) •의료기관관련 폐렴(healthcare-associated pneumonia, HCAP) • 폐렴은 크게 지역사회획득 폐렴(community-acquired pneumonia, CAP)과 병원획득 폐렴(hospital-acquired

[일차진료 매뉴얼 (실전편)] 혈액-만성형빈혈/cytokine/트랜스페린(transferrin)/철보충/진단/치료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SMART 일차진료 매뉴얼 실전편 PART 7. 혈액(CBC 검사의 해석) Topic 2-4 만성병 빈혈의 내용입니다. PART 7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 Topic 2-4. 만성형 빈혈 1. 개요 빈혈발생기전:여러 cytokine이 관여 2. 진단 • 빈혈의 다른 원인을 배제한 후 진단이 이루어진다. • 특징적인 소견:전신질환, 특히 염증 질환이 있으면서 혈청철과 트랜스페린(transferrin) 농도가 낮고, 그물 적혈구(reticulocyte) 지수가 낮은 경우 검사소견 ACD IDA ACD & IDA Iron 감소 감소 감소 Transferrin 감소 내지 정상 증가 감소 Transferrin saturation 감소 감소 감소 Ferritin 정상 내지 증가 감소 감소 내지 정상 Soluble transferrin receptor 정상 증가 정상 내지 증가 Ratio of soluble transferrin receptor t

[1차진료 아카데미 처방가이드] 일차진료 처방 기초 : 의사진료 지시서 작성 요령(order내리기)/V/S/vital sign check/투약처방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부터 김갑성 박사님의 일차진료 아카데미 처방가이드에 수록된 컨텐츠를 소개해 드리려 합니다. 일차진료 아카데미 처방가이드(이하 처방가이드)는 13년 초판 이후 매우 뜨거운 반응을 받은 실전진료 현장의 실제의학실무를 담은 서적입니다. 저희 바른의학연구소에서는 일차진료에 필요한 진료지식과, 병의원 경영 및 운영 전반에 이르는 필수지식을 꼼꼼히 담아내려 노력했습니다. 앞으로 꾸준히 업로드 될 예정이니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일차진료 아카데미 처방가이드 1 CHAPTER 1. 일차진료 처방 기초 Topic 1 의사진료 지시서 작성 요령의 내용입니다. CHAPTE 1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Topic 1. 의사진료 지시서 작성 요령(order 내리기) ① 의사진료 지시서 작성 순서 외래에서의 오더는 크게 1. 검사, 2. 약 처방, 3. 기타로 구성된다. 입원실을 운영하는 경우 필요한 입원 오더에 대해서 살펴보자. 1-1 입원 오더 기본 기본 틀은

[기본통증진료학] 가슴/등 : 늑간신경통(Intercostal neuralgia)-PDNB/intercostal nerve block/Acetaminophen+근이완제 PO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기본통증진료학 PART 5. 가슴/등 Topic 2 늑간신경통(Intercostal neuralgia)의 내용입니다. PART 5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Topic 2. “갈비뼈 통증이 있어요”늑간신경통(Intercostal neuralgia) •평가 • VAS score 몇 점 체크 • 일단 좌상에 의한 골절여부 확인 위해 최근 병력과 사고가능성 체크하고 X-ray 촬영할 것 •치료 계획 • PDNB 와 intercostal nerve block을 고려한다. • 내원 1일째:약물과 통증치료 1번 방법만 일단 시행한다. • 내원 2일째:효과 있었다고 하면 - 약물처방을 하고 해당부위에 InfraRed Tx 약물치료 (1) Acetaminophen + 근이완제 PO. (2) 수면제는 치료 첫날만 준다. (3) 비타민 수액요법 ㅇㅇVitamine C 10g ㅇㅇ10% MgSO4 20 mL 1/2 ample ㅇㅇVitamine

[약처방의 정석] 심혈관/신장에 주로 사용되는 약물 : 칼슘차단제 - 칼슘통로(채널)/칼슘채널차단제(CCB)/L, N, T-type/분류/임상적활용/부작용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약처방의 정석 1권 PART 2. 심혈관/심장 CHAPTER 01. 심혈관/신장에 주로 사용되는 약물 Topic 3 칼슘차단제의 내용입니다. CHAPTE 01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Topic 3. 칼슘차단제(Calcium channel blockers, calcium antagonists) 01. 칼슘차단제: 개요 1) 칼슘통로(채널) 2) 칼슘채널차단제(calcium channel blocker, CCB)의 기전은? • 일반적으로 CCB는 L, N, T-type을 차단한다. • 심혈관계 질환에 임상적으로 유용한 CCB는 예외 없이 L형 통로 차단약이다. 심혈관칼슘채널은 심장과 혈관, 신장 등에 분포한다. • CCB는 L유형(long-lasting) 칼슘채널의 α1c subunit에 결합한다. • CCB는 from long to short bursts 채널개방시간을 줄여 칼슘이온이 이 채널을 통해 유입되는 양을 줄인다.

[약처방의 정석] 진통제/통증치료 : 안구건조증 - 약물요법 /인공눈물, 안구표면 윤활제/눈물보존제/눈물자극제/diquafosol tetrasodium/항염증제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약처방의 정석 2권 PART 9. 눈 · 귀 · 코 · 두경부 CHAPTER 02. 증상/질환별 약처방의 정석 Topic 4. 안구건조증의 내용입니다. CHAPTE 02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Topic 4. 안구건조증 02. 안구건조증 : 약물요법 1) 약물요법: 종류 안구표면 윤활제: 인공눈물 •sodium hyaluronate, sodium carboxymethylcellulose diquafosol tetrasodium • 3% diquafosol 눈물 보존제 (tear retention) • punctal plugs, moisture spectacles/goggles, therapeutic contact lenses, tarsorrhaphy 눈물 자극제 (tear stimulation) • cholinergic agents (muscarinic acetylcholine receptor agonists) • p

[약처방의 정석] 증상/질환별 약처방의 정석 : 건선 - 약물요법/국소 스테로이드/비타민 D 유도체/국소치료제/전신치료제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약처방의 정석 2권 PART 11. 피부 CHAPTER 02. 증상/질환별 약처방의 정석 Topic5. 건선의 내용입니다. CHAPTE 02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Topic 5. 건선 02. 건선(psoriasis): 약물요법 1) 국소치료제 (1) 국소 스테로이드(Topical corticosteroids) • 스테로이드는 효과가 뛰어나며 그 효과가 빠르게 나타난다는 이점이 있어 현재까지도 가장 많이 사용되는 국소치료제 • 최근에는 clobetasol propionate의 spray형태 (Clobex spray)와 foam 형태(Olux foam)가 개발되었다. • 두 가지 형태 모두 사용감을 향상시킴으로써 치료의 순응도를 높일 수 있으면서도 효과는 이전 스테로이드 제제와 차이가 없어 보다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Spray 제제는 4주 동안 도포하였 을때 2주 동안 도포한 것에 비해 부작용은 차

[약처방의 정석] 류마티스관절염 - 약물요법 / NSAIDs, 스테로이드/비스테로이드성 항염제/글루코코르티코이드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약처방의 정석 2권 PART 10. 근골격계/류마티스 CHAPTER 02. 증상/질환별 약처방의 정석 Topic 2. 류마티스관절염의 내용입니다. CHAPTER 02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Topic 2. 류마티스관절염 01.류마티스 관절염 (Rheumatoid Arthritis : RA) : 치료 Overview (1) 치료목표 • 염증 조절/면역조절 → 통증 완화, 질병의 진행 조절, 관절손상 방지 → 신체장애↓, 삶의 질↑ (1) 관절의 손상이 진행되는 것을 막기 위해 초기에 적극적인 치료 (2) 적절한 병합요법의 활용을 통한 빈번한 치료 변화 (3) 부작용은 최소화하고 효과는 최대화 하도록 개발화된 치료 (4) 임상적으로 관해(remission)을 목표로 한다. • 우선 질병활성도, 기능적 상태, 활막염 정도, 관절의 구조적 파괴, 관절 외 증상유무 등을 평가한다. • 초기치료 시 약물치료 이외에 환자교육, 물리치

[약처방의 정석] 진통제/통증치료 : 떨림/파킨슨병 - 약물요법 / 레보도파 / 도파민작용제 / MAO-B억제제 / 약동학 / 부작용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약처방의 정석 2권 PART 8. 신경/정신 CHAPTER 02. 증상/질환별 약처방의 정석 Topic 6. 떨림/파킨슨병의 내용입니다. CHAPTE 02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Topic 6. 떨림/파킨슨병 02. 파킨슨병(parkinson’s disease): 약물요법 1) 파킨슨병에 사용하는 약물 약물군 약물종류 도파민 제제(Dopamine precursor) • 표준형: levodopa, carbidopa, benserazide • 서방형: carbidopa/levodopa levodopa + benserazide: Madopar (Madopar HBS, Madopar dispersible) levodopa + carbidopa: Sinemet (Sinemet CR) levodopa + carbidopa + entacapone (Comtan): Stalevo COMT 억제제 • entacapone, carbidop

[약처방의 정석] 진통제/통증치료 : Opoid - 순수 작용제, 부분 작용제, 혼합형 작용-대항제, Antagonist / 작용기전/ 부작용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약처방의 정석 1권 PART 1. 여러 계통에 두루 사용되는 약물 CHAPTER 04. 진통제/통증치료 Topic 11. Opiod의 내용입니다. CHAPTE 04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Topic 11. Opiod 1. 개요 1) Opiod란? • Opioid : opioid 수용체에 작용하는 모든 화합물을 의미 cf. Opiate : morphine, codeine, thebaine, papaverine 같은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특정한 알칼로이드를 의미 cf. narcotic : 원래 수면유도약을 지칭하였으나 미국에서 이 용어는 합법적인 용어로 바뀌게 되었다. 2) 분류 (1) 역가에 따른 분류 약한 마약성 진통제 (weak opioid) codeine, dihydrocodeine, tramadol 강한 마약성 진통제 (strong opioid) morphine, oxycodone, hydromorphone, hydr

[일차진료매뉴얼(실전편)] 신경 · 정신 - 우울증 : 진단(선별, DSM-V), 우울증의 중증도, 치료원칙, 약물치료, 비약물치료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SMART 일차진료매뉴얼 : 실전편(Case based approach) 2권 PART 9. 신경 · 정신 Topic 9. 우울증 내용입니다. 목차 2권 확인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TOPIC 9. 우울증 1. 진단 1) 선별(screening) 선별검사 대상 • 일차의료에 방문한 모든 환자를 대상으로 우울증에 대한 선별검사를 고려할 수 있지만, 특히 고 위험군에 대해서는 선별검사를 반드시 고려할 필요가 있다. 우울증의 과거력, 가족력, 자살기도의 과거력 만성 질환력(당뇨병, 암, 파킨슨병, 관상동맥질환, 뇌졸중, AIDS), 만성 통증 폐경 후 여성 사회적지지 결핍, 스트레스성 생활사건, 성적학대 또는 신체학대, 알코올중독, 약물남용 병력 여러 신체증상 호소, 진료 횟수는 많으나 진단적 검사에서 정상인 경우 이외 초진 환자의 경우에도 적극적인 선별검사가 권장된다 선별 도구 • 우울증에 대한 선별검사는 2개문항 선별

[기본통증진료학] 통증치료의 기본 - 통증 약물치료 : 국소진통제, 근이완제, 항뇌전증제, 항우울제 등 / 신경병 통증, 통각수용체 통증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기본통증진료학 (저자: 김갑성) 콘텐츠 중 일부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기본통증진료학 Part 1. 통증 진료를 위한 기본 TOPIC 2. 통증 치료의 기본 SUBTOPIC 2-1. 통증약물치료의 기본 Part 1. 통증 진료를 위한 기본 전체 목차 먼저 확인해보겠습니다! TOPIC 2. 통증 치료의 기본 통증의 치료법은 대략 5가지 정도로 구분해 볼 수 있습니다. ⑴ 약물치료 ⑵ 물리치료 : 찜질, 마사지, 경피적신경전기자극치료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TENS), 도 수치료 ⑶ 생체되먹임(biofeedback) 같은 행동치료 ⑷ 주사치료 : TPI, 중재적 치료(신경차단술) ⑸ 수술치료 이후에 약물치료, 물리치료, 도수치료, 주사치료에 대해서 기본적인 내용을 살펴보고자 합니다. SUBTOPIC 2-1. 통증약물치료의 기본 통증의 성격에 따라 투여하는 약물이 달라짐을 유념할 필요가 있습

[약처방의 정석] 여러 계통에 두루 사용되는 약물 - 히스타민/세로토닌/Prostagladin : 세로토닌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약처방의 정석 1권 PART 1. 여러 계통에 두루 사용되는 약물 CHAPTER 03. 히스타민/세로토닌/Prostagladin Topic 8. 세로토닌의 내용입니다. CHAPTE 03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Topic 8. 세로토닌 1. 개요 • 5-hydroxytryptamine (5-HT)이 밝혀지기 전에는, 혈액이 응고할 때 혈병으로부터 혈관수축 물질이 혈청 내로 분비되므로 이 물질을 serotonin이라 불렀다. • 내장 점막에서 평활근 자극물질의 존재 확인 → 이것을 enteramine 이라 명명 • 1951년 5-hydroxytryptamine의 합성으로 인하여 serotonin과 enteramine이 5-hydroxytryptophan의 동 일한 대사물질로 밝혀졌다. 1) 세로토닌이란? • 주요 신경전달물질, 위장관 국소호르몬 및 혈소판 응고 과정의 구성 요소 • Histamine처럼 자연계에 광범위하게 분

[일차진료매뉴얼(실전편)] 신장·요로·비뇨생식 - 만성콩팥병 : 신장손상 증거, 사구체여과율 감소, 진단 및 치료(혈압조절, 혈당 조절, ACEI/ARB 사용, 저염식이)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SMART 일차진료매뉴얼 : 실전편(Case based approach) 2권 PART 8. 신장·요로·비뇨생식 Topic 5. 만성콩팥병 내용입니다. 목차 2권 확인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TOPIC 5. 만성콩팥병 1. 개요 • 만성콩팥병의 정의 (다음 2가지 중 하나 이상 해당 : >3개월 지속) 1. 신장손상 증거(1개 이상) • 알부민뇨(Albuminuria) : AER ≥30 mg/24 hours; ACR ≥30 mg/g • 소변 내 이상 침사 소견이 있는 경우 • 세관 질환에 의한 전해질 및 기타 이상 • 신조직 검사상 이상이 있는 경우 • 영상검사에서 발견된 구조적 이상 • 신장 이식 병력 2. 사구체여과율 감소 • 사구체여과율 〈 60 mL/min/1.73m2 (GFR 카테고리 G3a-G5) • 만성콩팥병의 단계 GFR 카테고리 GFR(mL/min/1.73m2) 설명 G1 ≥90 GFR은 정상 또는 증가(콩팥손

[기본통증진료학] 고관절 통증 · 질환을 진료 : 해부학, 고관절의 운동, 고관절 통증의 기전, 평가, 영상검사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기본통증진료학 (저자: 김갑성) 콘텐츠 중 일부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기본통증진료학 Part 9. 고관절 기초 : 고관절 통증·질환을 진료하기 위한 기초 Part 9. 고관절 전체 목차 먼저 확인해보겠습니다! 기초 : 고관절 통증 · 질환을 진료하기 위한 기초 1. 해부학 • Hip joint의 주요인대 ① iliofemoral lig (장골대퇴인대) : Hip joint 관절낭의 앞쪽 ② pubofemoral lig.(치골대퇴인대) : Hip joint 관절낭의 아래 안쪽 ③ ischiofemoral lig.(좌골대퇴인대) : Hip joint 관절낭의 뒤쪽 ④ ligamentum capitis femoris (대퇴골두 인대) : Hip 관절낭 안에 존재 2. 고관절(Hip joint)의 운동 • 내전(adduction) : Adductor longus(장내전근), Adductor brevis(단내전근), Adductor magnus(대내전

[약처방의 정석] 눈, 귀, 코, 두경부에 사용되는 약물 - 외용제 (점이제) : 항감염제, 스테로이드, 복합제 / 귀지색전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약처방의 정석 2권 PART 9. 눈·귀·코·두경부 CHAPTER 01. [Drug Class Review] 눈, 귀, 코, 두경부에 주로 사용되는 약물 Topic 2. 외용제(점이제)의 내용입니다. CHAPTE 01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1. 점이제 1) 점이제의 종류 항감염제 • Acetic acid, aluminium acetotartrate, boric acid, chlorhexidin, hydrogen peroxide (H2O2) 3% Acetic acid (Vinegar) • Burrow’s solution, GV solution, Castellani’s solution, AgNO3, Albotyl • 항균제: chloramphenicol, gentamicin, neomycin, polymyxin B, rifamycin, tetracycline, Ofloxacin • 항진균제: miconazole, nitro

[일차진료매뉴얼(실전편)] 신경 · 정신 / 수면장애(불면증) , 각성장애, 만성불면장애, 단기불면장애, 기타불면장애, 불면증의 진단, 치료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SMART 일차진료매뉴얼 : 실전편(Case based approach) 2권 PART 9. 신경 · 정신 Topic 8. 수면장애(불면증) 내용입니다. 목차 2권 확인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1. 수면-각성장애 분류 ICSD 분류 ICSD-2 ICSD-3 수면장애를 8개의 주요 카테고리로 분류 • 불면증(Insomnias) • 수면 관련 호흡장애 (Sleep-related breathing disorders) • 일주기리듬 수면장애에 의하지 않은 중추신경계 기 원 과수면[Hypersomnias of central origin (not due to a circadian rhythm sleep disorder, sleeprelated breathing disorder, or other causes of disturbed nocturnal sleep) ] • 일주기리듬 수면장애 (Circadian rhythm sleep disor

[기본통증진료학] “두통(or 편두통)이 심해요”: 두통(or 편두통) - 평가, 치료(계획, 약물치료, 통증치료(신경차단술), TPI, 식이요법, 운동요법, 테이핑요법, 보톡스)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기본통증진료학 (저자: 김갑성) 콘텐츠 중 일부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기본통증진료학 Part 2. 머리 및 얼굴 TOPIC 1 “두통(or 편두통)이 심해요” 두통(or 편두통) Part 2. 머리 및 얼굴 전체 목차 먼저 확인해보겠습니다! Topic 1. “두통(or 편두통)이 심해요”: 두통(or 편두통) 두통_차트요약 •평가 • VAS score 몇 점 체크 참고. 두통 이외에 삼차신경의 제1분지의 급성대상포진으로 인한 신경통 치료방식도 유사하다. • C2는 경추관절의 과신전-과굴곡에 충격을 잘받는 부위로 인접된 신경증상을 유발하여 C1, C3, C4의 이상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후두의 두통은 2번경추 신경이상과 동반되는 경우가 많다. •치료 - 계획 • 내원 1일째: 약물과 통증치료 1번 방법만 일단 시행한다. • 내원 2일째: 효과 있었다고 하면 - 약물처방을 하고 해당부위에 InfraRed Tx - 효과 없었다고 하면 -

[기본통증진료학] “고개(목덜미)를 돌리기 힘들고 아파요”: 목덜미와 어깻죽지 통증 - 차트요약(증상, 특이사항, 상병, 처방), 평가, 치료(계획, 약물치료, 통증치료 등)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기본통증진료학(저자: 김갑성) 콘텐츠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Part 3. 목 Topic 1. “고개(목덜미)를 돌리기 힘들고 아파요” 목덜미와 어깻죽지 통증 내용입니다. Part 3. 목 전체 목차 먼저 확인하고 시작하겠습니다. Topic 1. “고개(목덜미)를 돌리기 힘들고 아파요” : 목덜미와 어깻죽지 통증 •평가 • VAS score 몇 점 체크 • Spurling test : R/O HNP 체크 • 목의 회전(rotation) 가동력 체크 • 체크 근육 : 견갑거근(levator scapulae m.), 승모근(trapezius m.), 중사각근(scalenus medius m.), 흉쇄유돌근(SCM m.) •치료 - 계획 • 내원 1일째:약물과 통증치료 1번 방법만 일단 시행한다. • 내원 2일째:효과 있었다고 하면 - 약물처방을 하고 해당부위에 InfraRed Tx - 약물치료 ⑴ Acetaminophen 3T #3 PO 또는 lo

[약처방의 정석] 과민성방광: 약물요법: 베타3 아드레날린 수용체 작용제: mirabegron, 작용기전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약처방의 정석 2권 Part 7. 요로생식기 Chapter 2. 증상/질환별 약처방의 정석 TOPIC 02. 하부요로증상/배뇨장애 2-2. 과민성방광에 있는 Special Review. 과민성방광: 약물요법: 베타3 아드레날린 수용체 작용제: mirabegron 내용입니다. 약처방의 정석 2권_표지 Part 7. 요로생식기 전체 목차 먼저 확인하고 시작하겠습니다. Special Review 과민성방광: 약물요법: 베타3 아드레날린 수용체 작용제: mirabegron 1. mirabegron • 선택적 β3 수용체 작용제 • 새로운 과민성방광의 치료제로 승인을 받은 약제 • 미국/유럽/일본 등에서 사용 허가. 국내: 2015년부터 보험이 적용되어 사용 가능 2. 작용기전 • β3 아드레날린 수용체에 작용하여 방광근육을 안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 주로 방광의 저장기에 영향을 미친다. 배뇨기능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방광의

[약처방의 정석] 피부외용제: 국소 스테로이드 제제(topical corticosteroid) - 사용의 실제 : 언제, 진단, 효과적인 상황, 선택, 적응증, 강도, 제형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약처방의 정석 2권에 있는 콘텐츠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약처방의 정석 vol. 2 Part 11. 피부 Chapter 01. [Drug Class Review] 피부에 주로 사용되는 약물 Topic 1. 피부외용제: 국소 스테로이드 제제(topical corticosteroid) Part 11. 피부 전체 목차 먼저 확인하고 시작하겠습니다!! Topic 01. 피부외용제: 국소 스테로이드 제제(topical corticosteroid) 01. 국소 스테로이드: 분류 1) 강도에 따른 분류 2) 제형에 따른 분류 "01. 국소 스테로이드: 분류" 내용은 약처방의 정석 2권 책을 참고해주세요! 02. 국소 스테로이드: 사용의 실제 1) 국소 스테로이드 언제 사용하나? (1) 스테로이드를 선택하는 데 있어 정확한 진단이 필수적 • 스테로이드를 쓸 것인가 항진균제를 쓸것인가? 스테로이드가 진균감염을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이것을 결정하는 것은 중요

[기본통증진료학] 어깨가 아파요 : 동결견(오십견)이란?(원인, 단계-통증기, 결빙기, 강직기, 용해기), 평가(증상, 진단 포인트), 치료(계획, 통증/염증치료, 운동범위 회복)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김갑성 원장님의 기본통증진료학 내용입니다! Part 4. 어깨 Topic 1. "어깨가 아파요" 동결견(오십견) vs 회전근개 감별 SubTopic 1-1. "어깨가 아파요" 동결견(오십견) vs 회전근개 감별: 동결견(오십견) 콘텐츠입니다. Part 4. 어깨 목차 먼저 확인하고 시작하겠습니다! 기본통증진료학 전체 목차 및 샘플파일을 보고 싶으신 분은 아래 링크를 확인해주세요! 기본통증진료학(저자: 김갑성) 전체 목차 및 샘플 보러가기 Topic 1. “어깨가 아파요” : 동결견(오십견) vs 회전근개 감별 Topic 1 내용은 기본통증진료학 책을 참고해주세요! SubTopic 1-1. “어깨가 아파요” : 동결견(오십견) vs 회전근개 감별 : 동결견(오십견) • 동결견이란? - 원인 상완와관절(superior glenohumeral joint)과 주위 관절낭의 염증의 결과로 glenohumeral joint space가

[약처방의 정석] 위식도역류질환: 약물요법 - 치료 약물의 선택 (PPI, 기타약물 H2RA, 위장관 운동촉진제 Prokinetics, 하부식도조임근작용제), 약물치료 방법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약처방의 정석 1권에 있는 위식도역류질환편 콘텐츠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PART 5. 소화기 Chapter 2. 증상/질환별 약처방의 정석 Topic 8. 위식도역류질환 먼저 PART5 소화기에 있는 챕터 2 목차부터 확인해보겠습니다. 01. 위식도역류질환: 치료 Overview 치료 Overview 내용은 약처방의 정석 책을 참고해주세요! 02. 위식도역류질환: 약물요법 1) 약물치료: 치료 약물의 선택 • H2 수용체 길항제(H2RA), 양전자 펌프 억제제(PPI), 위장관 운동촉진제 등 • H2RA나 PPI를 이용한 위산분비의 억제와 식도염의 치유는 밀접한 상관관계를 보임 하루 중 20-22시간 동안 위 내 산도를 pH 4 이하로 유지하면 8주 내에 약 90%에서 식도염이 치유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일반적으로 위식도역류질환에 있어 약제의 효능 두 배 용량의 PPI > 표준 용량의 PPI > 절반 용량의 PPI > 표준 용량의 H

[기본통증진료학] 하퇴(장딴지) : 스트레스골절, 정강이통증,내측경골 스트레스 증후군, 아킬레스 건염, 아킬레스 건 파열, 후경골 건염, 후경골 건 파열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김갑성 원장님 도서인 기본통증진료학 PART 12. 하퇴에 있는 기초 : 주요 하퇴부 질환 가볍게 훑어보기입니다. PART 12. 하퇴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기초 : 주요 하퇴부 질환 가볍게 훑어보기 1. Anterior Compartment of the Leg Tibialis anterior m., Extensor digitorum longus m., Extensor hallucis longus m. • 통증이 proximal part에서 발생하여 발의 발목주위와 첫 번째 발가락에서 느끼게 되는데 통증이 발생하 면 “foot drop”이 발생할 수도 있다. [참고] Stress fracture(스트레스골절) vs Shin splints(정강이통증, shin pain, tibial periostitis = 경골염좌 tibial bone sprain = 내측경골 스트레스증후군 medial tibial stress synd

[약처방의 정석] 신경/정신 - Barbiturate : ultrashort-acting, short-acting, intermediate-acting, long-acting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약처방의 정석 2권 PART 8. 신경/정신 CHAPTER 01. [Drug Class Review] 신경/정신계에 주로 사용되는 약물 Topic 1. GABA 및 Glutamate성 신경전달 관련약물 1-2 Barbiturate 의 내용입니다. CHAPTE 01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1-2. Barbiturate 01. Barbiturate : 개요 • Barbiturate에 영향을 받는 중추신경계 부위: 광범위[척수, 뇌줄기(쐐기핵, 흑질, 망상활성계), 뇌(겉질, 시상, 소뇌) ] 1) 작용 기전 • GABAA 수용체를 통한 GABA-매개 억제 증가 → 신경세포 흥분성 감소 • 뇌줄기 내(항진된 GABA성 전달) → 망상활성계 억제 → 진정, 기억상실, 의식상실 • 척수 내 운동신경세포(항진된 GABA성 전달) → 근육 이완, 반사 억제 • 마취제 barbiturate(thiopental, pentobarbital

[일차진료매뉴얼(실전편)] 신경 · 정신 / 두통 원인 및 감별진단(원발두통, 이차두통, 뇌신경통과 기타 안명통) 진단적 접근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SMART 일차진료매뉴얼 : 실전편(Case based approach) 2권 PART 9. 신경 · 정신 Topic 1. 두통 내용입니다. 목차 2권 확인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TOPIC 1.두통 1. 원인 및 감별진단 • 두통질환의 분류 : 국제두통질환분류(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Headache Disorders, ICHD) 3판 (2013년) ⑴ 원발두통(primary headache) ⑵ 이차두통(secondary headache) ⑶ 뇌신경통과 기타 안면통 [+ 부록(appendix)] 2. 진단적 접근 • 대부분의 두통은 구조적인 원인질환에 의한 경우보다 두통 자체가 질환인 경우가 흔하다. • 병력청취, 신체검사, 신경학적 검사를 바탕으로 두통의 분류체계에 적합한 진단을 내리는 것이 중요하며, 이차성 두통 가능성도 염두에 둘 것 1) 병력 • 두통의 진단의 90% 이상은 병력청취에

[기본통증진료학] 팔꿈치 통증 · 질환 : 신체검사, 시진, 촉진, 관절 운동, 근력 평가, 불안정성, 영상검사(X-ray)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김갑성 원장님 도서인 기본통증진료학 PART 6. 팔꿈치, 전완에 있는 기초 : 팔꿈치 통증 · 질환을 진료하기 위한 기초 내용입니다. PART 6. 팔꿈치, 전완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기초 : 팔꿈치 통증 · 질환을 진료하기 위한 기초 1. 신체검사 1) 시진(inspection) • 환자를 편안한 자세로 앉히거나 서게 하여 축 정렬(axial alignment)을 정상과 반대쪽을 비교함으로써 발육 이상 또는 외상으로 인한 비정상적인 쪽을 감별할 수 있고 또한 각 형성 변형인 내반 주와 외반 주 변형을 볼 수 있다. • 외면(lateral aspect) 상완 외과 직 하부의 과하 함몰(infracondylar recess) 부위가 충만된 경우:활액 증가 혹은 요골 두 탈구, 부분 탈구 등 시사 상완의 가쪽 위관절융기(lateral epicondyle)에서 보이는 얇게 유착된 피부:위관절융기염(epicondyliti

[약처방의 정석] 호흡기/알레르기 : 진해거담제, 진해제, 중추성 진해제, 말초성 진해제, 모르핀, 코데인, Dextromethorphan,1세대 항히스타민제,benzonate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약처방의 정석 1권 PART 4. 호흡기/알레르기 CHAPTER 01. [Drug Class Review] 호흡기/알레르기에 주로 사용되는 약물 Topic 1. 진해거담제 1-1 진해제의 02. 진해제 : 주요 진해제 의 내용입니다. CHAPTE 01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02. 진해제 : 주요 진해제 1) 중추성 진해제 • 중추성 진해제는 연수의 기침 중추를 직접 억제하거나 기침 중추의 역치를 증가시켜 기침의 억제효과를 나타낸 다. • 중추성 진해제는 마약성 중추성 진해제와 비마약성 중추성 진해제로 구분한다. 마약성 중추성 진해제 : 진해효과를 갖는 마약성 opioid 알칼로이드 또는 그 유도체로 구성되어 있다. 주로 중 추성 진해작용을 나타내지만 말초성 진해작용도 있으며 과도하게 사용했을 경우 신체적 의존성, 호흡억제, 또 는 변비 등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단기간만 사용하거나 다른 약제로 적절히 조절되지

[기본통증진료학] 어깨 / 어깨관절, 견관절,하관절와상완인대, 회전근개, 오훼완근, 견갑거근,영상검사, X-ray, 어깨의 외회전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김갑성 원장님 도서인 기본통증진료학 PART 4. 어깨에 있는 기초 : 어깨 통증 · 질환을 진료하기 위한 기초 내용입니다. PART 4. 어깨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기초 : 어깨 통증 · 질환을 진료하기 위한 기초 1. 해부학 1) 어깨관절(= 견관절 = shoulder joint = glenohumeral joint) • 견관절(glenohumeral joint)의 주 정적 안정장치는 하관절와상완인대(inferior glenohumeral lig) • 상완와 관절의 동적 안정장치는 회전근개(rotator cuff)로 견갑와(cavity of scapula)에 상완골두 (humeral head)가 잘 위치하도록 조정역할을 한다. 2) 회전근개 • 팔을 들어올리는 작용을 하는 삼각근(Deltoid)의 근력과 조화를 이루어 균형을 유지하여 상완골두(humeral head)를 견갑와(cavity of scapulae)에 위

[약처방의 정석] 부정맥 : 항부정맥제, 나트륨 통로 차단약, 1B 아형, 1C 아형, 베타차단제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약처방의 정석 1권 PART 2. 심혈관/신장 CHAPTER 02. 증상/질환별 약처방의 정석 Topic 8. 부정맥 8-1 항부정맥제의 02. 항부정맥제 : 주요항부정맥제 의 내용입니다. CHAPTE 02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02. 항부정맥제 : 주요 항부정맥제 1) 나트륨 통로 차단약(Class 1) • 가장 오래된 항부정맥약군, 현재까지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 기전 : 나트륨 통로 차단 → 나트륨 전류, Ina ↓ (1) 1A 아형 Procainamide qunidine disopyramide 기전 신장에 대한 작용 • 나트륨 통로 차단 → 전도속도↓, QRS 기 간↑ • 칼륨 통로의 비특이 적인 차단→ APD (class 3 작용) ↑ • 비정상적인 이소성 심박조율활성 억제 : procainamide < quinidine • 탈분극화된 세포의 나트륨 통로 차단: procainamide > quinidine •

[일차진료매뉴얼(실전편)] 심혈관 - 두근거림(구조심질환, 고령, 빈맥에 의한 두근거림) 원인 및 감별진단, 진단적 검사(ECG)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SMART 일차진료매뉴얼 : 실전편(Case based approach) 1권 PART 4. 심혈관 Topic 2. 두근거림 / 부정맥에 있는 Sub Topic 2-1 두근거림 내용입니다. 목차 1권 확인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TOPIC 2. 두근거림 / 부정맥 Sub Topic 2-1 두근거림 1. 원인 및 감별진단 • 정의 : 심박수가 증가하거나 심박동에 이상을 느끼는 경우 • 대부분의 두근거림은 양성이지만 생명에 위협이 되는 부정맥의 증상일 수 있음 • 하지만 실제 일차의료현장에서는 심계항진이 있는 군은 없는 군에 비해 사망률(mortality )과 이환율 (morbidity) 에 차이가 없음 • 두근거림의 70 % 이상은 부정맥과 불안, 공황장애가 원인 2. 진단적 접근 • 두근거림의 원인이 심장성 원인(cardiac cause, 특히 부정맥)인지를 가려내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 두근거림을 호소하는 모든 환자에서

[기본통증진료학] 통증치료 : 물리치료, 온열치료, 한냉치료, 전기자극치료, 마사지치료, 파라핀욕, 레이저치료, 견인치료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김갑성 원장님 도서인 기본통증진료학 PART 1. 통증 진료를 위한 기본 Topic 2. 통증 치료의 기본에 있는 Sub Topic 2-2 물리 치료의 기본 내용입니다. PART 1. 통증 진료를 위한 기본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Sub Topic 2-2 물리치료의 기본 1. 물리치료의 방법 • 표층열치료(Superficial Heat Therapy) • 한냉치료(Cold therapy) : 콜드팩(Cold Pack), 냉동치료(Cryotherapy) • 심층열치료(Deep Heat Therapy): 초음파치료, 극초단파치료, 초단파치료 등 • 자외선치료(UV Ray Irradiation) • 전기자극치료 • 경피적 전기신경자극치료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간섭파전류치료(Interferential Current Therapy) • 마사지치료(Massage Ther

[신간 소식] 누구나 쉽게 하는 의학논문 작성하기(저자: 박태환)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지난번에 짧게 소개해드린 신간도서 누구나 쉽게 하는 의학논문 작성하기(저자: 박태환)가 드디어 출간되었습니다~~~ 8월 출간 예정으로 진행되었는데, 출간일정을 조율하여 9월 10일에 출간을 하게 되었습니다. 오늘은 표지, 저자 프로필, Preface, 목차, 미리보기(샘플)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누구나 쉽게 하는 의학논문 작성하기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누구나 쉽게 하는 의학논문 작성하기 A Practical Guide to Write Biomedical Research Papers 저자: 박태환 10년간 100편 이상의 논문 출판 경험을 바탕으로 한편의 논문을 출간하기까지의 전 과정에 대해 알기 쉽게 정리한 도서입니다. 저자 프로필 박 태 환 • 성형외과 전문의 • 건국의대 의학사 • 연세의대 성형외과학 석사 및 박사 • 성균관의대 강북삼성병원 인턴 및 성형외과 레지던트 수료 • 연세대학교 신촌세브란스병원 성형외과학교실 임상강사 • 차의과학

[기본통증진료학] 통증 치료 : 도수치료, 도수치료차트 작성 요령, 통증의 평가(VAS score),관절가동범위 (ROM)의 이상,비대칭성 및 부정렬 검사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김갑성 원장님 도서인 기본통증진료학 PART 1. 통증 진료를 위한 기본 Topic 2. 통증 치료의 기본에 있는 Sub Topic 2-3 도수치료의 기본 내용입니다. PART 1. 통증 진료를 위한 기본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Sub Topic 2-3 도수치료의 기본 1. “일차진료 아카데미 도수치료 입문”에 보건복지부 질의응답 관련 내용을 정리해서 수록해놓았으니 참고하시면 됩니다. 처리기관 정보 • 처리기관:보건복지부 보건의료정책실 보건의료정책관 의료자원정책과 • 담당자(연락처) 김미선 (044-202-2458) • 민원인 신청번호 1AA-1606-141874 • 접수일 2016-06-22 11:01:21 • 처리기관 접수번호 2AA-1606-315966 • 민원번호 2AA-1606-315966 2. 도수치료는 2006년부터 건강보험에서 비급여로 적용되고 있으며, 비급여에 대하여는 시행자, 실시 횟수 및 산정기준 등을

[약처방의 정석] 면역억제제 / 면역조절제 : 선천면역, 적응면역, 체액면역,세포면역, 면역세포(백혈구), 면역세포가 만들어내는 물질(항체)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약처방의 정석 1권 PART 1. 여러 계통에 두루 사용되는 약물 CHAPTER 05. 항생제/항암제/면역억제제 Topic 16. 면역억제제/면역조절제의 내용입니다. CHAPTE 01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TOPIC 16. 면역억제제/면역조절제 면역억제제(혹은 면역조절제)는 스테로이드제와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스테로이드가 사용되는 질환에서 면역억제제도 중요한 치료옵션으로 간주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죠. 이를 제대로 다루려면 만만치 않은 분량을 할애해야 하는 만큼 본 책에서는 면역억제제의 분류 정도만 언급하고 가볍게 넘어가겠습니다. 대신 "스테로이드 처방의 정석"에 부록형태로 면역억제제에 대한 내용을 자세히 수록할 예정입니다. 01. 면억억제제를 이해하기 위한 기초 인체 면역에 대해서 가볍게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면역을 담당하는 물질 • 크게 나누어 2가지 ⑴ 면역세포 : 예) 백혈구 ⑵ 면역세포가 만들어내는

전신 · 감염 - 체중감소(우울증, 치매, 암, 위장질환), 원인 및 감별진단, 진단적 접근(병력, 검사)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SMART 일차진료매뉴얼 : 실전편(Case based approach) 1권 PART 2. 전신 · 감염 Topic 2. 체중감소 내용입니다. 목차 1권 확인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TOPIC 2. 체중감소 Core Review 1. 원인 및 감별진단 : 노인에서의 체중감소 노인에서 unintentional weight loss의 흔한 원인(흔한 원인 순) · 종양( 19%~36%) · 알코올 관련질환(8%) · 원인미상 (6%~28%) · 감염질환(4%~8%) · 정신적 원인(9%~24%) · 신경계 질환(7%) · 비악성 위장관질환(9%~19%) · 류마티스 질환(7%) · 내분비 질환(4%~11%) · 신장질환(4%) · 심폐질환(9%~10%) · 전신염증질환(4%) · 기질적 원인 중 암(cancer)이 가장 흔하다. · 체중감소의 원인은 대부분의 경우 광범위한 평가 없이도 명백하게 드러난다. · 정신질환 및 진단

[Q book] 뇌하수체 샘종(Pituitary adenomas) : 기능성샘종, 비기능성샘종,생식선자극세포, 성장자극세포, 부신피질자극세포, 젖분비자극세포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QBook: Case based Review에 있는 6권의 내분비 TOPIC 2. 뇌하수체/시상하부질환에서 리뷰 02. 뇌하수체 샘종(Pituitary adenomas) 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내분비에 대한 목차도 확인해보세요~ 리뷰 02. 뇌하수체 샘종(Pituitary adenomas)의 이해 01. 뇌하수체 샘종의 특징 • 성인에서 뇌하수체 호르몬 과잉분비 또는 뇌하수체기능부전의 가장 흔한 원인 • 두개 내 신생물의 약 15% 정도를 차지. • 뇌하수체샘종은 뇌하수체 전엽을 이루는 5가지 세포 중 한 가지에서 유래하는 양성 종양. • 어떤 종류의 세포에서 유래되었는가에 따라 임상양상과 생화학적 표현형 결정 • 기원한 세포의 종류에 따라 해당 호르몬을 분비하는 샘종이 됨 = lactotrope (PRL) / somatotrope(GH) / corticotrope (ACTH) / thyrotrope (TSH) / gonadotrope

[약처방의 정석] 변비, 완하제 : 개관/전통적 완하제, 부피형성하제, 대변연화제, 삼투성 완하제, 자극성 완하제, 기타 완하제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약처방의 정석 1권 PART 5. 소화시 CHAPTER 01. 소화기에 주로 사용되는 약물 Topic 5. 변비, 완하제에 있는 01 변비, 완하제 : 개관/전통적 완하제 내용입니다. CHAPTE 01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01. 변비, 완하제 : 개관/전통적 완하제 1) 변비, 완하제의 종류 • 변비, 완하제의 약리학적 특성 변비 치료에 이용되는 약제는 기전에 따라 부피형성 완하제, 삼투성 완하제, 자극 성 완하제, 기타 완하제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약물군 약물종류 전통적인 완하제 부피형성하제(Bulking agents) 차전자씨(psyllium, isphagula, plant seed), 해초, 한천(agar), 카라야(karaya, plant gums), 메틸셀룰로우스(methylcellulose)유도체, calcium polycarbophil 윤활성 하제(stool softeners) Docusate sodi

호흡기 증상/징후 : 만성기침, 흡연에 의한 기침, ACEi 유발성 기침, 상기도기침증후군, 호산구 기도 질환, 위식도 역류질환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QBook: Case based Review에 있는 SECTION 1. 호흡기의 진단적 접근 TOPIC 4. 주요 호흡기 증상/징후에서 리뷰 03. 만성기침(chronic cough) 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SECTION 1. 호흡기의 진단적 접근목차도 확인해보세요~ 01. 만성기침의 원인 • 국내연구(지영구 외. 천식 및 알레르기, 1998) :105명의 환자에서 전향적으로 조사한 만성기침의 원인 후비루증후군 : 39.7% 기관지천식 : 32.3% 위식도역류 : 14.1% 만성기관지염 : 5.0% 기타 원인들 : 4.1% (ACEi에 의한 기침 2예, 세기관지염 1예, 기관지결핵 1예, 폐암 1예) 원인미상 : 5% 원인이 한 가지 질환이었던 경우 : 84.8%, 두 가지 질환에 의한 경우:15.2% • 호산구기관지염은 전문가에게 의뢰되는 만성기침의 10~30%로 비교적 흔하다는 보고가 있다. 하지만, 의뢰된 환자들이 진단

[약처방의 정석] 당뇨병 : 약물용법 - 주사제 / 인슐린(insulin), Prandial insulin,Basal insulin , Premixed insulin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약처방의 정석 2권 PART 6. 내분비 CHAPTER 02. 증상/질환별 약처방의 정석 Topic 4. 당뇨병에 있는 4-3 당뇨병 : 약물요법 - 주사제 내용입니다. CHAPTE 02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4 - 3 당뇨병 약물요법 - 주사제 • Incretin에 작용하여 인슐린 분비 촉진, 글루카곤 분비 억제 : GLP-1 Receptor agonist • 합성 아밀린 유사체 : Pramlintide • insulin >> 주사 혈당강하제에는 Incretin에 작용하여 인슐린 분비 촉진, 글루카곤 분비 억제하는 GLP-1 Receptor agonist 합성 아밀린 유사체인 Pramlintide Insulin이 있습니다. >> 합성 아밀린 유사체는 베타세포 호르몬 아밀린 유도체로 식전에 피하 주사하며 위장관 운동 증가와 글루카곤의 생성 억제하고 식후 증가하는 혈당을 잡아주는데 엑세나타이드와 마찬가지로 위장장애와 체중

수혈/혈액제제 : 혈액성분요법 - 적혈구제제(Red Blood Cells), 신선동결혈장제제(Fresh Frozen Plasma), 혈소판제(Platelets), 동결침전제제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약처방의 정석 1권 PART 3. 혈액 CHAPTER 01. 혈액계에 주로 사용되는 약물 Topic 1. 혈액제제에 있는 02. 수혈/혈액제제 : 혈액성분요법 내용입니다. CHAPTE 01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02. 수혈/혈액제제: 혈액성분요법 1)적혈구제제(Red Blood Cells): 농축적혈구 개요 • 전혈과 동일한 양의 혈색소 함유, 혈장 대부분 제거 • 헤마토크리트 70%, 혈장량 약 70 mL 적응증 ⑴ 혈역학적으로 안정된 환자: 혈색소 Hb < 7 g/dL ⑵ 혈역학적으로 안정된 심혈관 질환자: 혈색소 Hb < 7 g/dL ⑶ 급성관상동맥 증후군: 혈색소 Hb < 8 g/dL(급성심근경색, 혈역학적으로 불안정한 심근경색환자) ⑷ 증상을 동반한 빈혈환자 ⑸ 출혈성쇼크가 동반된 환자 ⑹ 급성출혈로 수액 공급에도 반응하지 않는 환자 ⑺ 패혈증 환자: 혈색소 Hb < 7 g/dL(예외, 심근허혈, 심한 저산소증

남성갱년기 증후군 약물요법 :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 제제 종류(경구용,겔제제,주사제,패치제)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약처방의 정석 2권 PART 6. 내분비 CHAPTER 02. 증상/질환별 약처방의 정석 Topic 9. 남성갱년기 증후군에 있는 02. 남성갱년기 증후군 : 약물요법 내용입니다. CHAPTER 02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02. 남성갱년기 증후군: 약물요법 1) 테스토스테론 보충요법 (1)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 제제의 종류 • 경구용, 겔제제, 주사제 • 모두 안전하고 효과적이긴 하나 투여방식이나 각 약제별로 특성과 장단점이 있다. 제형 장점 단점 경구용제 • 투여가 가장 간편하고 가격이 가장 저렴 • 매일 수 회 복용 외용제 패치제 • 24-48시간 유지된다. • 부착 수일 내에 혈중 테스토스테론 농 도가 상승한 후 일정하게 생리적 범위 를 유지한다. • 패치를 제거하면 혈중 테스토스테론 농도를 수시간 내 쉽게 떨어뜨릴 수 있다. • 피부 접착면으로 인한 피부 부작 용: 가려움, 발적 등 겔제제 • 피

아스페르길루스증(Aspergillosis) : 병원체, 임상양상, 진단/검사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QBook에 있는 PART 2. 감염질환 진료 SECTION 5. 기타감염에 있는 TOPIC 17. 진균감염에서 리뷰 02. 아스페르길루스증(Aspergillosis) 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02.아스페르길루스증(Aspergillosis) 1.병원체 • Aspergillus species: A. fumigatus, A. fiavus, A. niger, A. teireus, A. nidukns (빈도 : A.fumigatus > A.flavus > A.niger > A.terreus) • 흙, 비료, 썩은 식물등 자연에 많이 존재 • septated hyphae, 예각으로 분지 cf) mucormycosis: 둔각 2.임상양상 invasive saprophytic Allergic • 하기도 • 부비동 • 피부 • 중추신경계 • 심혈관계 • 기타 조직 • Aspergillus otomycosis • pulmonary aspergilloma

항구토제(Anti-emetics) : 주요 약물(개요/기전/효능효과/부작용) - 도파민, 세로토닌, Neurokinin-1 수용체 길항제, 위장운동 촉진제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약처방의 정석 1권 Part 5. 소화기 Chapter 1. 소화기에 주로 사용되는 약물 Topic 03. 항구토제(Anti-emetics)에 있는 02. 항구토제(Anti-emetics) : 주요 약물 내용입니다. Chapter 1 목차부터 확인하고 시작하겠습니다. 02. 항구토제(Anti-emetics) : 주요 약물 1) 도파민 길항제(Dopamine antagonists) (1) 개요 • 도파민 길항제의 분류 ⑴ Phenothiazine계 • Prochlorperazine , Chlorpromazine ⑵ Butyrophenones계 • Droperidol , Haloperidol ⑶ Benzamides계 • Metoclopramide, Trimethobenzamide, Domperidone (2) 기전 • 화학수용체 유발구역(chemoreceptor trigger zone) 내에서 D2 수용체에 대한 도파민 작용 최

천식(Asthma): 약물요법 - 약물(질병조절제 Controller, 증상완화제 relievers), 흡입스테로이드제(개요, 효능/효과, 종류), 전신스테로이드제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의 콘텐츠는 약처방의 정석 1권 Part 4. 호흡기/알레르기 Chapter 2. 증상/질환별 약처방의 정석 Topic 06. 천식(Asthma)에 있는 03. 천식(Asthma) : 약물요법 내용입니다. Chapter 2. 증상/질환별 약처방의 정석 목차를 먼저 살펴보겠습니다. 그럼 시작합니다! Topic 06. 천식(Asthma) 03. 천식(Asthma) : 약물요법 » 천식은 다른 알레르기 질환과 유사하게 위험인자(유발인자)를 제어하는 것이 치료의 기본입니다. 그렇지만 유발인자 제어는 쉽지 않은 경우가 많기 때문에 약물치료가 핵심치료가 됩니다. 증상조절 정도, 급성악화 등의 요소를 고려하여 단계별 치료를 시행하게 되는데 치료전략은 이후에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고 여기에서는 천식치료에 사용되는 주요 약물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 약물치료는 흡입제가 주를 이루는데 질병조절제, 증상완화제로 크게 구분된다는 점을 알아두시기 바랍니다. 1) 천식

외용제(점안제) : 종류 - 항생제(quinolone계, Aminoglycoside계 등), 스테로이드제, 항히스타민제/비만세포 안정제, 기타 면역억제제, 인공누액제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의 콘텐츠는 약처방의 정석 2권 Part 9. 눈 ∙ 귀 ∙ 코 ∙ 두경부 Chapter 1. [Drug Class Review] 눈, 귀, 코, 두경부에 주로 사용되는 약물 Topic 1. 외용제(점안제) 내용입니다. Chapter 1 목차를 확인해보세요! TOPIC 1. 외용제(점안제) 점안제 1) 점안제의 종류 분류 비고 항생제: 항균제 • Penicillin: Ampicillin • cephalosporin 계열: Cefuroxime • Aminoglycoside: Amikacin, Gentamicin, Kanamycin, Neomycin, Netilmicin, Pimaricin (Natamycin), Tobramycin, Micronomicin • Erythromycin 계열: Azithromycin, Erythromycin • Tetracycline • sulfa 계열: Sulfacetamide, Sulfadicramide, Sulfa

고혈압(Hypertension): 약물요법 - 항고혈압제: 투여 원칙, 어떤 약물을 선택할 것인가? (ACE억제제, 안지오텐신차단제, 베타차단제, 칼슘차단제, 이뇨제)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약처방의 정석 1권 PART 2. 심혈관/신장 Chapter 02. 증상/질환별 약처방의 정석 Topic 07. 고혈압 (Hypertension)에 있는 02. 고혈압(Hypertension): 약물요법 내용입니다. Chapter 2 목차부터 확인하고 시작하겠습니다! 02. 고혈압(Hypertension): 약물요법 1) 항고혈압제: 투여 원칙 • 약을 처음 투여할 때는 부작용을 피하기 위하여 저용량으로 시작한다. • 약효가 24시간 지속되어 1일 1회 복용이 가능한 약을 선택한다. • 1일 1회 복용이 가능한 약을 처방할 때는 가급적 최저/최대효과 비(trough/peakratio)가 0.5 이상인 약이 좋다.(→ 환자의 순응도를 높여주며 혈압변동을 최소화하여 혈압을 안정적으로 조절하는 데 도움을 주기 때문) • 하루 1회 복용하여도 혈압이 안정적으로 조절되지 않는 경우 2회 이상 나누어 복용할 수 있다. 2) 항고혈압제:

갑상샘 기능저하증: 약물요법 - 호르몬 제제(Levothyroxine, Liothyronine, 복합제제), 투여방법, 용법/용량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도 어제에 이어 약처방의 정석 콘텐츠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앞으로 올해 출간된 도서들에 대해 차근차근 콘텐츠를 꾸준히 소개해드리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부분은 약처방의 정석 2권 PART 6. 내분비 Chapter 02. 증상/질환별 약처방의 정석 Topic 3. 갑상샘 질환 3-1. 갑상샘 기능저하증에 있는 02. 갑상샘 기능저하증: 약물요법입니다. 해당 PART 목차부터 확인하고 시작하겠습니다. 02. 갑상샘 기능저하증: 약물요법 1) 갑상샘 호르몬 제제 • 현재 우리나라에서 사용하는 갑상샘 호르몬 제제 ⑴ levothyroxine sodium (LT4) 50/100/150 μg ⑵ liothyronine sodium 20 μg ⑶ 두 약제의 복합제제(levothyroxine 50 μg +liothyronine 12.5 μg) Levothyroxine (LT4) • 갑상샘 기능저하증의 일차적 선

Non-opioid : 진통제 종류(Pyrin, Aspirin & Other Salisylate, NSAIDs 등), Acetaminophen(개요, 작용기전, 약동학 등)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올해 6월 출간 도서인 약처방의 정석: Drug Class Review & Real-World Prescription 콘텐츠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내용은 약처방의 정석 1권에 있는 Part 1. 여러 계통에 두루 사용되는 약물 Chapter 04. 진통제/통증치료 Topic 10. Non-opioid 입니다. 진통제/통증치료 챕터에 Non-opioid 외에 다른 토픽들도 한번 확인해보세요~~ 그럼 시작합니다! Topic 10. Non-opioid 1. Non-opioid 진통제의 종류 Non-opioid 진통제 Acetaminophen계 Pyrin계 Aspirin & other Salisylate계 NSAIDs계 • Acetaminophen • Acetaminophen + Aspirin ester • Acetaminophen 복합제제 • Sulpyrin • Acetylsalicylic acid(ASA) : aspirin •

[신간도서] 감별진단의 정석 (저자: 이상봉) 표지 선공개 (9월 출간예정)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지난번 포스트에 이어 오늘도 따끈따끈한 신간 소식을 들고 찾아왔습니다!! 현재 작업 진행 중인 도서지만 앞표지가 최종 확정되어, 독자분들께 먼저 보여드리고자 포스팅을 하게 되었습니다. 이번에 소개해드릴 도서는 6월 출간된 "약처방의 정석"에 이어 출간될 바른의학연구소 대표님이신 이상봉 선생님 도서입니다! 그럼 도서 신간도서 앞표지를 공개합니다!! 감별진단의 정석 - Defferential Diagnosis in Primary Care 저자: 이상봉 출간예정일: 9월 (정확한 출간일은 추후 다시 공지 예정) 앞표지에는 저자분께서 "감별진단의 정석"을 집필하시게 된 이유가 녹아져 있답니다! 진료 시 떠오르는 여러 질환들 중 진단 과정을 통해 최종 감별진단을 하시는 데에 "감별진단의 정석" 도서가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이러한 의미를 담아 진료 중에 떠오르는 여러 캡슐(질환)들이 여러 진단 영역을 거치면서 몇 가지로 추려지고 (아래 스샷 참고) "감별진

[신간소식] 누구나 쉽게 하는 의학 논문 작성하기 (저자: 박태환) (8월 출간예정)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이번에도 신간 소식을 가지고 찾아왔습니다!! 바른의학연구소는 그동안 바른의학연구소 대표님이신 이상봉 선생님 도서 위주로 출간을 했습니다. 그러다 올해부터 김갑성 원장님의 "기본통증진료학"을 시작으로 2015년 김지형선생님의 "통계의 세계로: dBSTAT 길들이기" 이후 5년 만에 다시 타 저자 선생님들의 책을 출간하고 있습니다. 이번에 출간될 신간도서도 타 저자선생님 도서입니다. 그럼 도서 및 저자 소개를 해드리겠습니다!! 누구나 쉽게 하는 의학 논문 작성하기 - A Practical Guide to Write Biomedical Research Papers 저자: 박태환 출간 예정일: 8월 말 (정확한 출간일은 추후 다시 공지 예정) 저자 프로필 박태환 - 성형외과 전문의 - 건국의대 의학사 - 연세의대 성형외과학 석사 및 박사 - 성균관의대 강북삼성병원 인턴 및 성형외과 레지던트 수료 - 연세대학교 신촌세브란스병원 성형외과학교실 임상강사 - 차

[일차진료 아카데미 처방가이드] 클리닉/운영(3권) - 미리보기(샘플)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지난 포스트에 이어 일차진료 아카데미 처방가이드 세트에 있는 3권. 일차진료 아카데미 처방가이드: 클리닉/운영 미리보기(샘플페이지)를 보는 방법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1,2권 진료편 미리보기 포스트를 못 보신 분은 아래 링크를 확인해주세요! [일차진료 아카데미 처방가이드] 진료편(1,2권) - 미리보기(샘플) 일차진료 아카데미 처방가이드: 클리닉/운영 일차진료 아카데미 처방가이드 3권은 Part1. 클리닉 과 Part2. 운영 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Part 1. 클리닉은 총 9개 챕터로 구성되어 있답니다. CHAPTER 1. 금연 클리닉 CHAPTER 2. 알코올 클리닉 CHAPTER 3. 건강증진 클리닉 CHAPTER 4. 비만 클리닉 CHAPTER 5. 알레르기/아토피 클리닉 CHAPTER 6. 기능의학 클리닉 CHAPTER 7. 갱년기/남성 클리닉 CHAPTER 8. 해외여행자 클리닉 CHAPTER 9. 피부미용 클리닉 Par

[일차진료 아카데미 처방가이드] 진료편(1,2권) - 미리보기(샘플)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어제 소개해드린 7월 신간도서 포스트 다들 보셨나요?^^ 혹시 못 보신 분들은 아래 링크를 클릭해주세요! [신간소식] 일차진료 아카데미 처방가이드 (개정판) 오늘은 다음주 월요일(20일) 출간되는 일차진료 아카데미 처방가이드(저자: 김갑성) 세트 중에서 1,2권 진료편 미리보기(샘플페이지)를 보실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어제 포스트에서 말씀드린 것처럼 일차진료 아카데미 처방가이드는 1권: 진료 ① 2권: 진료 ② 3권: 클리닉/운영 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2권 진료편은 일차진료에 필요한 진료지식에서 반드시 알아 두어야 할 필수적인 내용들로 이루어져 있답니다. 각 과의 중요 질환에 대한 진단 및 치료방침을 확인해보세요^^ 일차진료 아카데미 처방가이드: 진료 미리보기는 아래 링크(바른의학연구소 쇼핑몰 판매 페이지)로 이동하시면 볼 수 있답니다^^ <일차진료 아카데미 처방가이드: 진료> 샘플 보러가기 목차 부분이 끝나는 하단부분에 미

[신간소식] 일차진료 아카데미 처방가이드 (개정판)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독자 여러분!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6월달 출간된 <약처방의 정석>에 이어 올해 4번째 출간도서 소식을 전해드립니다!! 이번에 출간되는 도서는 김갑성 원장님의 일차진료 아카데미 처방가이드 개정판입니다. 일차진료 아카데미 처방가이드 일차진료 아카데미 처방가이드 세트(전 3권) 출간 예정일: 2020년 7월 20일(월) (출간 예정일이 인쇄소 일정에 의해 17일에서 20일로 변경되었습니다.) <구성> 1권: 일차진료 아카데미 처방가이드: 진료 ① 2권: 일차진료 아카데미 처방가이드: 진료 ② 3권: 일차진료 아카데미 처방가이드: 클리닉/운영 김갑성 원장님의 대표 도서 일차진료 아카데미 처방가이드가 7년 만에 개정판이 나오게 되었습니다. 다들 아시다시피 일차진료 아카데미 처방가이드는 기존 의학서적들이 대개 학문적인 내용에 집중되어 있던 시기에 개원가를 비롯한 진료현장에 직접 적용할 수 있는 실전진료 현장의 실제 의학 실무를 담아 개원가의 필수서적이 될 만큼 폭발적인 사랑을 받

[감별진단의 정석] 진행 스토리! 목차 구성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하우스봉입니다. 요즘 감별진단의 정석 막바지 작업을 틈틈히 하고 있습니다. 책 구성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게 목차인 만큼 그 중요성은 두말할 나위 없을텐데요. 저는 특히나 목차를 중요하게 여기는데 "구슬이 서말이어도 꿰어야 보배"라는 속담에서 꿰는 실에 해당하는 게 바로 목차가 아닐까 생각하거든요. 이에 책 탈고전까지도 목차 구성에 대한 고민은 멈추지 않네요. 원고를 수차례 다듬으면서 자연스레 책 구성 또한 최적화되고 이는 목차에도 고스란히 반영이 되지요. 막바지 과정에 놓인 만큼 목차도 어느 정도 픽스되어 가는 것 같습니다. 책의 전체적인 구성은 저의 전작들과 유사하게 "파트 - 챕터 - 토픽 - 서브토픽"의 구성을 따르고 있습니다. 일단 파트는 총 11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 생체징후 관련 문제(Changes and Abnormalities in Vital Signs) 2. 전신 문제(General problems)/내분비 문제(Endocrine problems)

[약 처방의 정석] 집필 후기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하우스봉입니다. 약 처방의 정석을 드뎌 마무리지었네요. 아이디어가 넘치고 한 가지에 몰빵하는 건 지루해 하는지라 여러 가지 책을 동시에 기획하고 진행하는 집필패턴을 가지고 있습니다. 아울러 보통 권당 1000~2000페이지 분량이다보니 책당 집필기간이 3~7년 정도에 이르지요. 한창 집필아이디어가 불타오르던 2013-2015년 시기에 집필개시한 여러 가지 책 중 올해 3-4종의 책이 갈무리 단계로 출격을 앞두고 있습니다. 그 중 약처방의 정석을 우선 마무리지었습니다. 막바지 작업은 언제나 고달프네요. 1-2달에 걸친 최종 마무리 과정은 무척이나 지루합니다. 동일한 원고를 수차례 검토하면서 오탈자 등을 잡아내면서 완성도를 높이는 과정은 그리 생산적인 시간이 아니죠. 또한 다른 집필 작업을 병행하기 쉽지 않기 때문에 집필욕구를 제대로 해소할 수도 없지요. 책을 마무리하면 잠시 공허감을 느낄 틈도 없이 그간 해소되지 못한 집필욕구를 채우느라 최소 1주 정도는 다른 책 집필에

기능성 위장장애, Functional gastrointestinal disease, 기능성 소화불량증, 식후불편감증후군, 상복부통증증후군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 소개하는 콘텐츠는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 실전편: Case based approach 1권에 있는 PART 5. 소화기 Topic10. 기능성 위장장애(Functional gastrointestinal disease)입니다! 시작하기 전에 실전편 PART 5. 소화기 목차를 보여드리겠습니다!! 그럼 한번 살펴볼까요? Topic10. 기능성 위장장애(Functional gastrointestinal disease) Subtopic 10-1 기능성 소화불량증 Core Review Core review 내용은 실전편 1권 349p를 확인해주세요! 1. 개요 • 기능성 소화불량증이란? :소화성궤양, 위장관 악성 종양, 위식도역류질환, 췌담도 질환 등 그 인과관계가 뚜렷한 기질적 질환이 없으면서 소화불량증을 유발하는 경우 • 용어(동의어) :비궤양성 소화불량증(non-ulcer dyspepsia), essential dyspepsia, idiopathic

[바른의학연구소] 신간도서 출간 소식 및 이벤트 알림 신청방법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그간 바른의학연구소에서 출간된 도서에 큰 성원을 보내주신 덕분에 이번에 신간 도서 "약처방의 정석" 책을 출간하게 되었습니다^^ 보내주신 성원에 보답하기 위해 기존 바른의학연구소 도서 구매자분들께 신간도서 소개와 함께 출간기념 이벤트를 현재 진행하고 있답니다! (이벤트 기간: 6월 30일까지) 기존 바른의학연구소 도서를 구매하지 않으신 분이더라도, 바른의학연구소 도서에 대해 관심이 있으신 분들은 신간 도서 출간 소식 안내 및 이벤트 알림 신청을 해주세요!! 신청해주신 분들께는 신간도서 출간 전에 미리 출간되는 도서 소개 및 샘플 등을 확인하실 수 있도록 안내 메일을 보내드립니다!! 추가로 출간기념 특별 이벤트 안내까지 받아보실 수 있는 혜택을 놓치지 마세요!! <신간도서 알림 신청 방법> 해당 포스트 하단에 비공개 댓글로 소속(병원명 or 학교명 등)/성함/연락처/이메일 주소를 남겨주시면 끝!! 신간도서 소개 및 이벤트 안내 메일을 보내드린 경우,

[약처방의 정석 맛보기] 항히스타민제의 개념과 작용기전, 분류와 부작용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이전에 소개드린 '콜린 약물'에 이어서 출간 전인 신간 도서 <약처방의 정석>을 미리 맛보기로 소개해드리겠습니다!! 그럼 약처방의 정석 Vol. 1 PART 1. 여러계통에 두루 사용되는 약물 CHAPTER 03. 히스타민/항히스타민제/Prostagladin을 살펴봅시다. 우선 목차를 확인해볼게요! Topic 07. 히스타민/세로토닌 02. 항히스타민제 •항히스타민제란 히스타민 수용체(H1, H2, H3, H4)에 대한 길항제를 의미한다. •H3 및 H4 수용체 약리학은 연구가 활발한 분야지만 아직까지 임상응용이 입증된 H3 및 H4 수용체에 선택적인 약물은 없다. •여기에서는 H1-항히스타민제에 대해서 논하고자 한다. H2-항히스타민제는 소화기에서 논하게 될 것이다. 1) 항히스타민제란?(H1-항히스타민제) • 혈관이나 신경세포 등에 있는 H1-수용체에 대한 히스타민의 작용 억제 → 항알레르기 염증 효과 • 세포 내의 칼슘의 증가를 통한 NF-KB

[약처방의 정석 맛보기] 콜린 약물 - 콜린 작용제: 아세틸콜린(acetylcholine), bethanechol, carbachol, pilocarpine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아직 출간 전인 신간 도서 내용을 미리 맛보기로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약처방의 정석 1권,2권 표지 신간 도서명은 약처방의 정석: Drug class review & Real world prescription 입니다. 총 2권으로 구성되었으며, 1권: 754p, 2권: 690p입니다. 판형은 신국판으로, 기존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 2판(근거편), 소아진료매뉴얼 2판과 동일한 사이즈랍니다. 현재 인쇄 진행 중이며, 6월 26일(금)에 출간될 예정입니다^^ 조금만 더 기다려주세요!! 신간도서 "약처방의 정석" 많은 성원 부탁드립니다!! 그럼 출간 전 도서 미리 맛보기로 콘텐츠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오늘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약처방의 정석 Vol. 1 PART 1. 여러계통에 두루 사용되는 약물 CHAPTER 01. 자율신경계에 작용하는 약물 TOPIC 2. 콜린 약물 SUBTOPIC 2-1. 콜린 작용제 내용입니다!! 먼저 해당 부분 목차부터 살

[신간소식] 약 처방의 정석: Drug Class Review & Real-World Prescription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독자 여러분!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따끈따근한 신간 소식 전해드립니다. 약 처방의 정석 Drug Class Review & Real-World Prescription 책을 보시기 전에 이 책의 집필 동기는 한마디로 상대를 알고 나를 알면 백 번 싸워도 위태롭지 않다는 "지피지기 백전불태" 정신입니다. 의사 입장에서 "지피"는 다스려야 할 질병의 정체를 제대로 파악해야 한다는 의미겠지요. 반면 "지기"는 내 손에 쥐어진 무기를 제대로 알고 능숙하게 사용해야 한다는 뜻으로 다가옵니다. 활용 가능한 무기란 외과계 의사에겐 수술일 테고, 내과계 의사에게는 단연코 약물이겠죠. 약에 대한 포괄적 이해 없이 약을 처방하고 싶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무수히 많은 약이 존재하기에 이들 약의 정체를 하나하나 파악한다는 건 무척이나 버거운 과정일 겁니다. 약은 대개 작용기전이나 사용 목적에 따라 특정 약물군("Drug class")으로 분류되기 때문에 "Drug class"별로 묶어서 특징을

급성 충수염(Acute appendicitis) 진단/평가 - 증상, 통증, Psoas / Obturator sign, 진단점수제, Alvarado / Ohmann Score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어제에 이어 오늘 올려드릴 콘텐츠는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 실전편: Case based approach 1권에 있는 PART 5. 소화기 Topic 11. 급성 충수염(Acute appendicitis) 콘텐츠입니다. 콘텐츠 시작하기 전에 실전편 PART 5. 소화기 목차를 한번 보여드리겠습니다!! 급성충수염 목차 그럼 시작합니다!! Topic 11. 급성 충수염(Acute appendicitis) Core review Core review 내용은 실전편 1권 366p를 확인해주세요! Practical guide : 진단/평가 핵심포인트 1. 고전적인 통증의 이동은 급성 충수염의 가장 신뢰할 수 있는 증상이다. • 급성 충수염에서 보이는 전형적인 통증의 양상은 아마도 가장 유명한 증상 중 하나가 아닐까 싶다. • 우선 내장 구심성 신경의 활성화로 인한 배꼽 주위 통증으로 시작한다. 이후 식욕부진과 오심이 따른다. 염증 과정이 충수돌기를 덮는 벽쪽 복막

암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 - 발생 현황, 국제 비교, 우리나라 연령군별(남자/여자), 발생 원인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랜만에 인사드립니다. 한동안 콘텐츠를 올려드리지 못했는데, 앞으로 다시 꾸준히 콘텐츠를 올려드리겠습니다!^^ Qbook 세트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Qbook : Case based Review 세트 도서에 있는 1권. 의학총론 Part 3. 종양질환 진료 Section 01. 종양질환의 접근 [Supplement] 암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 콘텐츠입니다. Qbook에 대해 궁금하신 분은 아래 포스트를 먼저 확인해주세요! QBook: Case Based Review 소개 (1) Section 01. 종양질환의 접근 목차도 한번 확인해보세요^^ Qbook_1권.의학총론_Section 01. 종양질환의 접근 [Supplement] 암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 01. 암의 발생 현황 1. 암 발생 국제 비교 • 우리나라 암 발생률: 인구 10만 명당 264.4명[OECD 평균(301.1명)] 2. 우리나라 남녀별 주요 암 발생순위 (1) 남자 암 발생 순위

[품절소식] 스마트 소아진료매뉴얼 2판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지난 3월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 evidence based approach 2판" 품절에 이어 "스마트 소아진료매뉴얼 2판"도 곧 품절을 앞두고 있습니다. 스마트 소아진료매뉴얼 3판(도서명이 변경될지도 모르겠습니다.)은 올해 말이나 내년 초 출간을 예정하고 있습니다. 3판에서는 최신지견을 반영하는 기본적인 개정 이외 응급진료 관련된 내용이 대폭 보강될 예정입니다. 금년 하반기에 출간예정인 스마트 응급진료매뉴얼(가칭)에서 소아쪽은 다루지 않는 대신 스마트 소아진료매뉴얼 3판에 해당내용을 포함시키려고 합니다. 그간 스마트 소아진료매뉴얼에 보내주신 성원에 감사드리며 한층 더 업그레이드된 모습으로 조만간 찾아뵙겠습니다.

호흡곤란 - 진단적 접근, 급성 호흡곤란, 만성 호흡곤란 등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의 컨텐츠는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 실전편(Case based approach) vol 1 Part3. 호흡기 알레르기에 있는 Topic 3. 호흡곤란 입니다! 먼저 관련 목차부터 확인 해 볼까요? TOPIC 3 호흡곤란 Core Review 1. 진단적 접근 호흡곤란의 원인을 감별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단계적 진단법을 적용할 수 있다. 1단계 • 병력, 신체검사: 생리적인 과호흡, 빈호흡, 과환기 등과의 구별이 중요; 적절한 병력 청취 시 원인 질환의7 5 %까지 감별 가능 • 병력 청취를 통하여 의심되는 질환에 대한 검사를 하는 것이 중요하나 일련의 가능한 검사들을 동시에 시행하는 것이바람직하다. ⑴ CBC, 갑상샘기능검사, BUN/Cr ⑵ 산소포화도검사, ABGA ⑶ 가슴 X선, EKG, 단순폐활량측정법 2단계 • 1단계 검사의 결과로 호흡곤란의 원인을 알 수 없는 경우 심장 혹은 폐질환에 대한 좀 더 세밀한 검사가 필요 ⑴ 폐기능검사: 폐

QBook: Case Based Review 소개 (1) [내부링크]

Qbook: question book의 약자입니다. Case Based Review: 증례 풀이를 통해 이론을 익힌다는 개념입니다. Qbook의 정체성을 책 표지에 담아보려고 했습니다. 기존에 출간된 바른의학연구소의 책, 향후 출간될 책과의 연계 속에서 Qbook은 빛을 발할 것입니다. Clinical Practice: Manual Series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 근거편 2판(2017년 출간)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 실전편 (2019년 출간) 스마트 소아진료매뉴얼 (2018년 출간) 스마트 응급진료매뉴얼 (2020년 8월 출간 예정) 스마트 응급진료매뉴얼: 근골격편(2020년 8월 출간 예정) 스마트 내과진료매뉴얼(2020년 9월 출간 예정) 스마트 통증/근골격 진료 매뉴얼 (2020년 10월 출간 예정) Clinical Practice: Review series 감별진단의 정석 (2020년 6월 출간 예정) 진단검사의 해석과 적용 (2020년 10월 출간 예정) 약처방의 정석

폐농양: 치료 - 항생제 요법, 기타 치료, 체위 배액(postural drainage) 등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의 콘텐츠는 Qbook에 있는 리뷰. 폐농양: 치료편 내용입니다. 리뷰 03 폐농양: 치료 • 항생제가 폐조직을 투과하기 어렵기 때문에 치료가 어려워 사망률이 15%에서 20%에 달한다. • 항생제 및 중재학적 시술이 발달함에 따라 적절한 배농이 조기에 이루어져 폐농양과 관련된 사망률은 감소하고 있다. 01. 주요 치료방법 • 항생제 • Chest physiotherapy and postural drainage • 경피배액/수술 02. 항생제 요법 • 폐농양은 항생제 치료를 우선적으로 시행한다. • 추정되거나 확인된 원인균에 따라 치료결정 • 혐기성 세균이 폐농양의 주 병인이므로 혐기성 균을 치료할 수 있는 항생제를 투여한다. 1. 항생제의 선택(경험적 요법) • Clindamycin: 600 mg IV tid → (발열해소, 임상증상호전) → 300 mg PO qid • β-lactam/β-lactamase 억제제 병합요법:IV제제 → (안정화

[신간소식] 기본통증진료학 (저자: 김갑성)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신간 출간소식을 알려드립니다. 바른의학연구소에서는 그간 바른의학연구소 대표로 있는 이상봉선생님의 책을 주로 출간해왔습니다. 2015년 김지형선생님의 "통계의 세계로: dBSTAT 길들이기" 이후 5년만에 타 저자의 책을 출간하게 되었습니다. 내놓는 책마다 뜨거운 호응을 받아왔던 김갑성 선생님의 신간을 바른의학연구소에서 출간하게 되었습니다. 바른의학연구소는 이상봉선생님의 책만 내는 출판사가 아닙니다. 전문의학서적출간을 원하시는 의사선생님들~ 확실하게 서포트해드리겠습니다! 안내의 글 통증진료 시 바로 참고할 수 있는 실용적인 컨셉을 내세운 통증책을 2013년 처음 저술하였고, 이후 독자들의 성원에 힘입어 일차진료아카데미 통증매뉴얼 3판까지 개정판을 낼 수 있었습니다. 특히 3판은 여러 가지 치료 접근방법과 더불어 초음파 진단, 도수치료 등을 총망라하여 대폭 개정하였지만 다소 호불호가 엇갈리는 반응을 접할 수 있었습니다. 어느 정도 통증진료 경력을 지닌

기관지확장증: 개요 - 정의, 원인(폐침범양상에 따른 원인, 발생 부위에 따른 원인), 병태생리 등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의 콘텐츠는 QBook 책에 있는 리뷰. 기관지확장증: 개요편 내용입니다. 리뷰. 기관지확장증: 개요 01. 정의 • 기도가 비가역적으로 확장된 상태, 국소적 또는 미만성으로 발생 • 분류: 원통형(cylindrical)(=튜브형)(가장 흔한 형태), 정맥류형(varicose), 낭성(cystic) 02. 원인 • 감염 및 비 감염성 원인이 가능하나 특발성(25-50%)인 경우도 많다. • 원인에 따라 폐의 침범 양상과 호발 부위가 다르다. 1. 폐침범양상에 따른 주요 원인 Focal Diffuse ① Extrinsic:enlarged LN, parenchymal tumor mass ② Intrinsic:endobronchial neoplasm, foreign body aspiration, bronchostenosis ① 감염:세균성, 비전형항산균(NTM), 결핵 등 ② 면역결핍:hypogammaglobulinemia, HIV 감염 등 ③ 유전

기능성 소화불량증 - 개요, 진단(Rome criteria), 치료 등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 입니다. 오늘은 Qbook에 있는 리뷰 . 기능성 소화불량증에 대해 소개하겠습니다! 리뷰. 기능성 소화불량증 01. 개요 • 기능성 소화불량증이란?: 소화성궤양, 위장관 악성 종양, 위식도역류질환, 췌담도 질환 등 그 인과관계가 뚜렷한 기질적 질환이 없으면서 소화불량증을 유발하는 경우 • 용어(동의어): 비궤양성 소화불량증(non-ulcer dyspepsia), essential dyspepsia, idiopathic dyspepsia 02. 진단 • 소화불량증을 유발할 수 있는 기질적 질환을 배제하는 것이 매우 중요 • 증상만으로는 기질적 질환의 유무를 감별할 수 없다. • 기능성 소화불량증의 진단 및 치료를 위한 초기 접근방법으로 내시경검사가 헬리코박터 검사 후 제균치료보다 효과적 진단기준: Rome criteria 현재 사용중인 로마 IV 기준은 명치 통증(epigastric pain) 혹은 명치 화끈거림(epigastric burning), 조기 만복

Helicobactor pylori 감염: 치료 - 치료대상, 치료방법, 치료 후 추적검사 등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 입니다. 오늘은 Qbook에 있는 리뷰 02 Helicobactor pylori 감염: 치료에 대해 소개하겠습니다! 리뷰. Helicobactor pylori 감염: 치료 01.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의 치료 대상 1998년 이후 지금까지 나온 증거를 모아 헬리코박터 감염의 치료 대상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표. 헬리코박터 감염의 제균치료 적응증 Definite indication 1. Peptic ulcer including scar 2. Marginal zone B cell lymphoma (MALT type) 3. Early gastric cancer Recommended indication 1. First relatives of gastric cancer patients 2. Unexplained iron deficiency anemia 3. Chronic idiopathic thrombocytopenic purpura Possible indica

심근염 - 원인(감염성, 비감염성), 임상양상, 진단, 치료 등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Qbook에 있는 리뷰. 심근염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리뷰. 심근염 01. 심근염(myocarditis)이란? 감염성 및 비감염성 원인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유발되는 심근의 염증성 질환 02. 원인 감염성 원인 비감염성 원인 • 바이러스(가장 중요한 원인): Adenovirus, enterovirus, parvovirus B19 • 전신 질환 • 약물 과민반응(Drug hypersensitivity) • 독소 03. 임상 양상 • 심근염에 특징적인 임상 증상은 없다. • 매우 다양한 임상양상: 무증상~ 급속도로 진행하는 치명적인 상태 • 발열, 전신쇠약, 관절통, 상기도 감염증상 등이 선행되어 나타날 수 있다. • 가장 흔한 증상: 피로, 운동시 호흡곤란, 부정맥, 두근거림, 휴식시 흉통 등 • 심근염을 의심할 수 있는 경우 - 원인이 뚜렷하지 않은 급성 혹은 아급성 좌심실 수축기능 부전 발생, 또는 이로 인한 심인성 쇽이 발생하는 경

알레르기성 세관사이질 신염(Allergic interstitial nephritis, AIN) - 원인, 진단, 치료 등 [내부링크]

리뷰 01. 알레르기성 세관사이질 신염(Allergic interstitial nephritis, AIN) 01. 원인 약물에 의한 과민반응으로 다음의 약물이 가장 흔한 원인임. • Antibiotics (penicillin, cephalosporins, quinolones, vancomycin, rifampin, acyclovir) •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COX-2 inhibitor • proton pump inhibitors, H2 blockers, allopurinol 02. 진단 • 콩팥생검은 진단에 필수적이지 않으며, 약물 노출 병력 및 증상을 바탕으로 진단함. • 전형적 증상: 약물 사용 7일 후 ① fever, ② rash, ③ peripheral eosinophilia(일부에서 나타남), ④ (± oliguric) renal failure • 소변검사에서 Pyuria with WBC cast, Microscopic hem

[신간소식] Qbook: Case based Review [내부링크]

2020년 들어 첫 출간소식을 알려드립니다. 기출간된, 그리고 앞으로 출간될 바른의학연구소의 다른 책과의 연계를 통해서 바른의학연구소의 출판세계관을 펼쳐보일 9권짜리 책입니다. Qbook 표지에 이런 세계관이 어느 정도 반영되어 있습니다. Clinical Practice: Manual Series Clinical Practice: Review Series Clinical Practice: Basic Series Qbook은 증례중심접근을 통해 위 교재의 내용을 실제임상에 접목시키는 가교와도 같은 교재입니다. Qbook 정체성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 Qbook 서문(preface)를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Qbook 서문(preface) "제가 좋아하는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의 ‘clinical practice’라는 review article이나 다른 저명한 저널의 review article의 경우 서두에 관련 증례(clinical vignette)

세관사이질 질환(Tubulointerstitial Disease) - 정의, 임상양상, 원인 등 [내부링크]

리뷰 01 세관사이질 질환(Tubulointerstitial Disease) 01. 정의 • 이차성 세관사이질 질환: 사구체나 신혈관이 손상을 받을 때, 2차적으로 세뇨관과 간질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 일차성 세관사이질 질환: 상대적으로 사구체와 혈관에 손상이 없는 상태에서 세뇨관과 간질에 이상이 나타나는 경우. 앞에서 배운 사구체신염, 신혈관의 동맥경화 등은 결과적으로 세뇨관과 간질의 섬유화를 유발하는 데 이를 이차성 세관사이질 질환이라 하며, 이와 달리 사구체나 혈관을 침범하지 않지만 일차적으로 세뇨관과 간질을 침범하는 질환을 일차성 세관사이질질환이라고 한다. 이번 단원은 일차성 세관사이질 질환에 대한 내용이다. 02. 임상양상 진행양상에 따라 급성과 만성 세관사이질 신염(Tubulointerstitial nephritis; TIN) 으로 분류. ⑴ 급성 세관사이질 신염 [Acute Tubulointerstitial Nephritis, A(T)IN] “acute inflamm

발열에 대한 고찰 - 체온의 측정, 체온조절 및 발열의 기전, 고체온증, 원인 및 감별진단 등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리뷰 . 발열에 대한 고찰 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리뷰. 발열에 대한 고찰 01. 체온의 측정 • 체온은 다양한 신체부위에서 여러 방법 및 기술로 측정가능하다. • 보통 신체의 일부분에서 측정하지만 신체 부위마다 온도가 모두 다르기 때문에 진정한 의미의 중심 체온을 대표한다고 할 수 없다. 직장 체온 (rectal temperature) • 심부체온을 비교적 잘 반영하지만 측정 시의 불편함으로 인하여 제한적으로 사용된다. • 직장 온도는 대개 다른 어떤 부위에서 측정한 온도보다 높게 유지: 구강온도보다 0.4 C 높고 고막 체온(비보정 방식)보다는 0.8 C 높다. • 직장 체온이 중심체온을 잘 반영하는가? - 직장 온도는 체온이 안정된 상태에서만 중심 체온과 일치한다. - 직장 내에서는 체온조절 시스템이 존재하지 않는다. - 쇼크 상태에서는 직장으로의 혈류량이 감소하면서 중심체온의 상승 혹은 하강을 바로 반영하지 못한다. 구강 체온 (

신경성 쇼크(neurogenic shock) - 개요, 진단, 치료 등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리뷰. 신경성 쇼크(neurogenic shock)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리뷰. 신경성 쇼크(neurogenic shock) 01. 개요 1. 신경성 쇼크란? • 경수나 상부흉수(T6상부)의 척수 손상 후에 손상받은 하위의 교감신경계에 문제가 생겨서 부교감신경계만 작동을 하게 되면서 발생하는 쇼크 • 심장박동이 느려지고 말초 혈관이 확장되어 서맥, 저혈압이 발생하여 혈류역동학적으로 불안정한 상태가 된다. 2. 병태생리 자율신경계는 교감신경계와 부교감 신경계로 나뉠 수 있는데 척수손상을 입으면 주로 교감신경계의 조절에 문제가 발생한다. 부교감 신경은 뇌신경 III, VII, IX, X 과 천추신경 S2, 3,4, 5에서 주로 기시되지만 교감신경은 척수와 그 인근의 교감신경줄기(sympathetic chain)에서 기시하는 해부학적인 차이에 기인한다. 교감신경은 도망치거나 싸울 때 작동하는 자율신경작용으로 생각하면 쉬운데 심장박동을 빠르게

"스마트일차진료매뉴얼(근거편): evidence based approach" 절판 소식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애정남 이상봉입니다. 요즘 코로나19로 인해 다들 힘든 시기를 보내고 계신 것 같습니다. 만만찮은 상황이긴 하지만 이 어려운 시기를 잘 극복해내시기를 기원드립니다. 2017년 8월 출간된 "스마트일차진료매뉴얼 2판 (근거편)"이 3월31일부로 절판될 예정입니다. 다시 책을 펴보기가 낯부끄러울 정도로 부족한 책임에도 불구하고 좋게 봐주시고 변함없이 성원을 보내주시는 애독자분들 덕분에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은 바른의학연구소의 대표작으로 굳건히 자리매김할 수 있었습니다. 진심으로 고마운 마음을 전하고 싶습니다. 3월 31일 절판되는 시점에 맞춰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 근거편-Evidence based approach" 3판의 개정방향에 대해 자세한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 근거편-Evidence based approach"는 절판되지만 이미 출간되어 있는 다른 책에 대한 애정어린 관심 부탁드립니다. 아울러 올해는 수년간의 집필과정 말미에 와 있는 책들이

심혈관계 신체검사(진찰) - 흉부의 시진, 촉진(좌심실, 우심실), 타진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Master KMLE 3권 심혈관 에 있는 Section 01. 심혈관 질환에 접근하기 위한 기초 Topic 1 심혈관계 신체검사(진찰) 리뷰 03 흉부의 시진, 촉진, 타진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먼저 관련 목차부터 확인해봅시다! 리뷰 03 흉부의 시진, 촉진, 타진 01. 시진(inspection)& 촉진(palpation) 심장의 촉진은 환자를 누운 자세(supine position)에서 수평면으로부터 30 올린 다음 시행하며, 왼쪽 옆으로 누운 자세(left lateral decubitus position)에서 좀 더 잘 느껴진다. 정상적으로 좌심실의 박동을 느낄 수 있는 부위는 크기가 2 cm 미만이며, 호기말(end expiration)에 잘 느껴진다(심장이 전방흉벽(anterior chest wall)에 가까워지기 때문). 1. 좌심실 • 측정①: 심첨 박동(Apical impulse)을 촉진한다. 좌측 5번째 늑간 쇄골중앙선

쿠싱증후군: 치료 - 수술요법, 약물요법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 올려드리는 콘텐츠는 Master KMLE 5권. 내분비 책에 있는 Topic 04. 부신질환 리뷰 02. 쿠싱증후군: 치료 편 내용입니다. 먼저 Topic 목차부터 확인해보겠습니다! 리뷰 02 쿠싱증후군: 치료 쿠싱증후군의 치료원칙 1. 수술요법 쿠싱병 (Cushingʼs disease) • 뇌하수체 선종의 경접형동 선택적 절제술(transsphenoidal approach) • hydrocortisone replacement - ACTH나 cortisol을 생산하는 tumor를 제거한 후에도, 대부분 HPA axis가 억제되어 있으므로 수술당일부터 hydrocortisone replacement를 실시하고 회복에 따라서 점차 용량을 줄여나간다. - HPA 축이 정상으로 회복되는데 길게는 수개월에서 수년이 걸릴 수 있다. • 쿠싱증후군 증상이 매우 심한 경우(조절이 안 되는 hypokalemic hypertension 혹은 acute psych

호산구 증가증을 동반한 폐침윤 질환: 기생충감염 - 폐흡충(Paragonimus westermani) 감염 등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의 콘텐츠는 Master KMLE 4권 호흡기 책에 있는 Section 02 주요 호흡기 질환 Topic 07 과민폐렴/호산구 폐침윤 리뷰 07 호산구 증가증을 동반한 폐침윤 질환: 기생충감염편 내용입니다. 먼저 Section 02의 목차부터 확인해보겠습니다! 리뷰 07 호산구 증가증을 동반한 폐침윤 질환: 기생충감염 기생충 감염시에 말초혈액이나 폐실질내 호산구의 증가를 동반하는 폐침윤이 발생할 수 있다. 표. 호산구폐질환을 유발하는 기생충 • Ancylostoma species • Ascaris species • Brugia malayi • Clonorchis sinensis • Dirofilaria immitis • Ecchinococcus species • Opisthorchiasis species • Paragonimus westermani • Schistosoma species • Strongyloides species • Toxocar

만성폐쇄성폐질환(COPD): 약물요법 - 기관지 확장제, 항염증 치료제, 병합요법, 기타 약물치료 등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의 콘텐츠는 Master KMLE 4권 호흡기 책에 있는 Section 02 주요 호흡기 질환 Topic 6 만성폐쇄성폐질환 리뷰 04 만성폐쇄성폐질환(COPD): 약물요법 편 내용입니다. 먼저 Section 02의 목차부터 확인해보겠습니다! 리뷰 04 만성폐쇄성폐질환(COPD): 약물요법 COPD의 치료에 사용되는 주요 약물 • COPD의 치료에는 약물치료가 가장 중심에 있다. • 기본적으로 기도가 좁아지는 질환이므로 기관지확장제 치료가 최우선이며 COPD는 염증성 질환이기도 하기 때문에 항염증치료제도 반드시 고려되어야 한다. • COPD의 치료에 주로 사용되는 약물은 다음과 같다. 기관지 확장제 지속성 베타2 항진제 (LABA, long-acting beta2 agonist) • Salmeterol(세레벤트), formoterol, indacaterol(온브리즈) • Olodaterol, vilanterol, abediterol 지속성 항콜린

IgA 신증(IgA nephropathy) - 병태생리, 진단, 치료예후 등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Master KMLE 6권. 신장요로/감염 책에 있는 과목. 신장요로 Topic 4 사구체질환(콩팥토리질환)에 있는 리뷰 08 IgA 신증(IgA nephropathy) 콘텐츠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먼저 목차부터 확인 해 봅시다! 리뷰 08 IgA 신증(IgA nephropathy) 01. 병태 생리 Plasma cell에서 secretory IgA 생산의 증가 ②간과 콩팥의 mesangium에서 IgA 청소율이 저하 → IgA가 Mesangium에 침착하면서 형성된 Immune complex에 의한 토리콩팥염 발생. cf) Scholein Purpura (HSP) HSP는 혈관에 IgA 침착되어 발생하는 전신적인 혈관염. HSP에 의해 IgA 신증이 나타날 수도 있음. 혈관염이므로 IgA신증과 달리 전신적인 증상이 나타남. 02. 진단 역학: 원발성 사구체 질환 중에서 가장 흔함, 남자에서 흔함, 10-20대 peak로 새로 발생, 인종적

사구체질환 문제 - 선택지(IgA 콩팥병, 국소조각토리굳음증, 알포트 증후군, 미세변화병, 막증식토리콩팥염) [내부링크]

22세 남성이 전신 부종으로 내원하였다. 혈압이 160/100 mmHg이었고 시행한 검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진단은? • 혈액: Hb 11.1 g/dL, Glc 108 mg/dL, Alb 1.4 g/dL, BUN/Cr 12.2/1.8mg/dL C3 24mg/dL(55~120), C4 18 mg/dL(20~50), • 소변: 단백(+3), 잠혈(-), 24시간 소변 단백 3.6 g ① IgA 콩팥병(igA nephropathy) ② 국소조각토리굳음증(국소분절사구체경화증, focal segmental glomerular sclerosis) ③ 알포트 증후군(alport syndrome) ④ 미세변화병(minimal change disease) ⑤ 막증식토리콩팥염(막증식사구체신염, membranoproliferative glomerulonephritis) [해설] 전신부종, 고혈압, nephrotic range의 단백뇨, hypoalbuminemia를 보여 nephrotic syndro

Helicobactor pylori 감염: 진단 - 다양한 검사방법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 입니다. 오늘은 QBook 내용 중 하나인 리뷰. Helicobactor pylori 감염: 진단에 대해 소개하겠습니다! 리뷰. Helicobactor pylori 감염: 진단 01. 누구를 검사할 것인가? • 헬리코박터 감염을 가진 환자의 대부분 임상질환과 관련되어 있지 않으므로 일률적 검사는 부적절 • 헬리코박터 감염이 있을 경우 박멸치료를 고려해야 하는 대상자에게 한해 헬리코박터 검사를 시행하면 된다(즉, 헬리코박터 검사 대상자 =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의 치료 대상자) 02. 어떻게 검사할 것인가? 우리나라 1차 진료 기관 혈청 검사, 대변 내 항원검사, 요소분해효소 검사(rapid urease test), 조직 검사 등 우리나라 3차 의료기관 • 혈청 검사와 대변 내 항원 검사는 별로 사용하지 않음 • 요소분해효소 검사, 조직 검사, 요소호기검사를 주로 사용 1. 비침습적 검사: 비내시경 검사 방법 권고안 • 검사방법: 요소호기검사, 대변항원검사,

막증식 토리콩팥염(MPGN, Membranoproliferative glomerulonephritis) - 원인 병태생리, 증상진단, 치료예후 등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Master KMLE 6권. 신장요로/감염 책에 있는 과목. 신장요로 Topic 4 사구체질환(콩팥토리질환)에 있는 리뷰 09 막증식 토리콩팥염(MPGN, Membranoproliferative glomerulonephritis) 콘텐츠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먼저 목차부터 확인 해 봅시다! 리뷰 09 막증식 토리콩팥염(MPGN, Membranoproliferative glomerulonephritis) 01. 원인 병태 생리 Membranoproliferative(막증식) 이란 이름에서 보듯이 membrane 즉 사구체 기적막이 두꺼워지고 mesangium이 proliferation 하는 사구체 신염이다 . Mesangium이 증식 하다보니 lobular 한 모양을 보인다고 lobular glomerulonephritis 라고도 한다. MGN에서는 기저막이 두꺼워지지만 mesangium이 증식하지는 않는다. complement activati

부종 - 원인 및 감별진단(전신부종, 국소부종), 진단적 접근, 치료 등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Qbook 에 있는 리뷰. 부종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리뷰. 부종 01. 원인 및 감별진단 • 부종(edema)이란? 간질액이 비정상적으로 증가되어 간질에 수분이 축적된 상태 • 부종의 원인 전신 부종 국소 부종 몸 전체가 다 붓는 경우 → 주로 전신질환이 원인 특정 부위만 붓는 경우 → 주로 혈관계 이상이 원인 • 심장 질환: 울혈 심부전, 제한성 심낭염, 교착성 심낭염 • 간 질환: 간경변증 • 신장 질환: 신부전, 콩팥 증후군 • 갑상선 질환: 갑상선 저하증 • 영양 이상: 영양 실조, 흡수 장애, 빈혈, 저알부민혈증 • 기타: 악성 종양, 비만, 월경전 증후군, 쿠싱 증후군, 임신중독증, 약물, 특발성 부종, 알레르기(두드러기/혈관부종), 수면무호흡증 • 림프부종: 선천성/후천성(수술/방사선 치료) • 만성 정맥 부전증 • 점액 수종 • 악성 종양 • 지방부종 • 노인성 하지 부종 • 약물로 인한 부종 1. 부종을 유발하는 주요

변비: 원인 및 감별진단 - 정의, 원인 및 분류, 1차성 변비(배변장애형, 서행성, 정상통과 변비), 2차성 변비 등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 입니다. 오늘은 Master KMLE 2권 소화기에 있는 Section 1. 위장관 Topic 1. 주요 위장관 증상 Sub Topic 1.5 변비에 있는 리뷰 01 변비: 원인 및 감별진단에 대해 소개하겠습니다! 먼저 목차 확인해 봅시다! 리뷰 01 변비 : 원인 및 감별진단 01. 변비의 정의 • 변비는 하나의 증상이지 질병이 아니기 때문에 사람들은 변비를 다양하게 표현하고 객관적으로 정의하기는 쉽지 않다. • 로마기준(Rome Diagnostic criteria) : 기능성 변비 진단기준 - Rome IV criteria는 Rome III criteria와 거의 동일하다. Rome III criteria Rome IV criteria • 다음 증상이 6개월 전에 시작하였고 지난 3개월 동안 나타났을 때로 정의한다. 1. 다음 중 2가지 이상 만족 ⑴ 배변 시 과도한 힘주기가 4회 중 최소한 1회 ⑵ 딱딱한 변이 4회 중 최소한 1회 ⑶ 불완전 배변감이

안구충혈에 대한 접근 - 원인 및 감별진단, 진단적 접근 등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 소개해드리는 콘텐츠는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 2판(근거편) vol 2 Part 11 눈·귀·코·입·두경부 1장 눈(eye) Topic 02 안구출혈/결막염 SubTopic 02-1 안구충혈에 대한 접근에 관한 내용입니다. 02-1 안구충혈에 대한 접근 I. 안구 충혈 : 원인 및 감별진단 • 안구충혈은 눈염증을 시사하는 중요한 징후 • 대개는 양호(benign)하여 일차진료에서 효과적으로 치료 가능 1. 병태생리 • 눈의 거의 어떤 부분이라도 염증이 발생할 경우 안구충혈을 보일 수 있다. • 안구 충혈은 내인적 혹은 외인적 자극에 대한 눈의 반응이며 전신질환이나 안과 질환이 원인이 된다. • 안구 충혈은 대부분 다음과 같은 원인과 기전으로 발생 - 외상, 화학적 화상, 면역 반응 → 결막 (conjunctiva), 공막주변 (episclera), 공막(sclera) 혈관이 확장되면서 발적이 발생 -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감염 → 염증반응 -

후천성 용혈빈혈 - 선택지: 급성 골수성 백혈병, 급성 림프성 백혈병, 재생불량 빈혈, 만성 골수성 백혈병, 진성적혈구증가증, 본태성 혈소판증가증 [내부링크]

28세 여자가 창백과 복부통증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신체검사에서 결막은 창백하였고 약간의 황달이 있었으며 혈액검사상 혈색소 8.2 g/dL, 헤마토크리트 25%, 백혈구 3,200/mm3였고 acidified serum test(+)였다. 다음 중 이 환자의 질환이 진행되면서 발병할 수 있는 합병증으로 맞는 것은?(세 가지) ① 급성 골수성 백혈병 ② 급성 림프성 백혈병 ③ 재생불량 빈혈 ④ 만성 골수성 백혈병 ⑤ 진성적혈구증가증 ⑥ 본태성 혈소판증가증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의 내용은 Master KMLE 7권. 혈액/류마티스/알레르기 책에 있는 과목. 혈액 Section 1 조혈장애 Topic 4 용혈빈혈 리뷰 03 후천성 용혈 빈혈편 입니다. [해설] 의심되는 진단은? >KEY CLUE • 창백, 결막창백 빈혈? • 복부 통증 • 약간의 황달 • Hb 8.2 빈혈! • 검사실 검사에서 빈혈소견을 보이고 있다. bilirubin 수치가 주어져 있지는 않지만 icte

용혈빈혈 문제 - 선택지: 유전 구형적혈구증, 자가면역 용혈 빈혈, 발작 야간 혈색소뇨증, 비장비대, 미세혈관병성 용혈 빈혈, G6PD결핍, 지중해 빈혈 [내부링크]

혈관 내 용혈을 일으키는 질환들을 고르시오. (세 가지) ① 유전 구형적혈구증 ② 자가면역 용혈 빈혈 ③ 발작 야간 혈색소뇨증 ④ 비장비대 ⑤ 미세혈관병성 용혈 빈혈 ⑥ G6PD결핍 ⑦ 지중해 빈혈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의 내용은 Master KMLE 7권. 혈액/류마티스/알레르기 책에 있는 과목. 혈액 Section 1 조혈장애 Topic 4 용혈빈혈 리뷰 01 용혈빈혈편 문제입니다. [해설] • 용혈은 용혈 장소에 따라 “혈관내 용혈”과 “혈관외 용혈”로 구분할 수 있다. • 대부분의 용혈빈혈은 혈관외 용혈 양상을 보인다. 혈관내 용혈(혈관내부에서 파괴) 혈관외 용혈(혈관외부에서 파괴) RBC 외부인자에 의한 용혈빈혈 • 면역 용혈:cold antibody • 미세혈관용혈(microangiopathic hemolysis) • 감염성 원인: 말라리아 • 열손상 • 화학제제/약물 • (뱀 등의) 독 • 인공심장판막 • 면역 용혈: warm antibody • 약물 R

만성 골수성 백혈병(chronic myelogenous leukemia, CML) - 임상증상, 진단, 치료(TKI, 동종 조혈모세포 이식, 화학요법) 등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의 내용은 Master KMLE 7권. 혈액/류마티스/알레르기 책에 있는 과목. 혈액 Section 2 혈액암 Topic 8 만성 백혈병 리뷰 01 만성 골수성 백혈병(chronic myelogenous leukemia, CML)편 입니다. 먼저 관련 목차 확인해 봅시다! 리뷰 01 만성 골수성 백혈병(chronic myelogenous leukemia, CML) • Primitive myeloid stem cell에서 기원하는 만성형 백혈병 • t (9;22)를 가지는 조혈모세포의 clonal expansion을 밝히므로써 진단 • 과립구의 과도한 이상증식 • 백혈병 세포는 well differentiated, nearly normal function (급성 백혈병의 경우, 아예 분화하지 않는다), • 질병 말기에 분화능력을 상실하고 급성으로 전환 • 치료를 하지 않을 시, chronic phase → accelerated phase → bla

지역사회획득 폐렴: 진단 - 병력, 신체검사, 폐렴 진단을 위한 검사, 원인균 진단을 위한 검사, 폐렴 중증 지표: 입원치료의 여부의 결정, 중환자실 입원의 결정 등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의 콘텐츠는 Master KMLE 4권 호흡기 책에 있는 Section 02 주요 호흡기 질환 Topic 10 폐렴 리뷰 02 지역사회획득 폐렴: 진단 편 내용입니다. 먼저 Section 02의 목차부터 확인해보겠습니다! 리뷰 02 지역사회획득 폐렴: 진단 01. 병력 • 전형적인 증상은 기침, 객담, 발열 및 호흡곤란이 수 일간에 걸쳐 비교적 갑자기 생기는 것이다. • 초기에는 상기도감염이나 급성 기관지염도 같은 증상을 보이기 때문에 증상만으로 진단을 내리는 것이 불가능할 수도 있다. 1. 전형적인 증상(호흡기 증상/발열) (1) 발열 인플루엔자인 경우에는 발열의 정도가 심해 폐렴과 구분이 어렵다. (2) 호흡곤란 폐렴이라 할 지라도 심한 경우가 아니면 좀처럼 보기 힘든 현상이므로 감별에는 도움이 되지 않는다. 2. 호흡기 이외 증상 • 전신증상: 두통, 구역, 구토, 복통, 설사, 근육통/관절통 등 • 비정형균인 Mycoplasma, Chla

두근거림 - 원인 및 감별진단, 진단적 접근(병력, 신체검사) 등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Qbook 에 있는 리뷰. 두근거림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리뷰. 두근거림 01. 원인 및 감별진단 • 정의: 심박수가 증가하거나 심박동에 이상을 느끼는 경우 • 대부분의 두근거림은 양성이지만 생명에 위협이 되는 부정맥의 증상일 수 있음 • 하지만 실제 일차의료현장에서는 심계항진이 있는 군은 없는 군에 비해 사망률(mortality)과 이환율(morbidity)에 차이가 없음 • 심계항진의 70% 이상은 부정맥과 불안, 공황장애가 원인 02. 진단적 접근 • 두근거림의 원인이 심장성 원인(cardiac cause, 특히 부정맥)인지를 가려내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 두근거림을 호소하는 모든 환자에서 병력, 신체검사, 표준 12유도 심전도를 시행할 것 1. 병력/신체검사 두근거림의 원인이 부정맥임을 시사하는 임상양상 • 구조심질환(Structural heart disease) • Primary electrical heart disease

장허혈 문제 - 선택지(수액공급, 유산균, sulfasalazine 경구 투여, 글루코코르티코이드 관장, 구불창자 동맥혈전용해술) [내부링크]

65세 남자가 혈변을 봤다고 병원에 왔다. 항고혈압제를 복용하고 있었다. 혈압은 130/80 mmHg, 맥박 86회/ 분, 호흡 18회/분, 체온 36.2 C 였다. 왼쪽 아랫배에 압통은 있었지만 반동압통은 없었다. 구불창자내시경 검 사에서 직장구불창자 접합부에 광범위 발적과 미란이 여러 개 관찰되었다. 혈액검사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치료는? 혈색소 11.5 g/dL, 백혈구 8,080/mm^3, 혈소판 310,000/mm^3 c- 반응단백질 0.2 mg/L(참고치 <3) ① 수액공급 ② 유산균 ③ sulfasalazine 경구 투여 ④ 글루코코르티코이드 관장 ⑤ 구불창자 동맥혈전용해술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컨텐츠는 Master KMLE 2권 소화기 책에 있는 장허혈 문제입니다. 해설 및 정답 같이 봅시다! [해설] >KEY CLUE • 고혈압병력, 혈변 • 직장구불창자 접합부: 발적과 미란 • 허혈 결장염이 의심된다.허혈 결장염이 의심되는 경우에는 결장

삼킴곤란 문제 - 선택지(뇌자기공명영상촬영, 가슴컴퓨터단층촬영, 상부위장관내시경검사, 비디오투시식도조영술, 24시간 식도산도 측정) [내부링크]

62세 여자가 3개월 전부터 음식을 잘 삼키지 못하고 병원에 왔다. 삼키면 사레가 들리고 코로 음식물이 역류 된다고 하였다. 4개월 전에 다리 뇌(pons) 출혈이 생겨 치료를 받아 왔다고 하였다. 필요한 검사는? ① 뇌자기공명영상촬영 ② 가슴컴퓨터단층촬영 ③ 상부위장관내시경검사 ④ 비디오투시식도조영술 ⑤ 24시간 식도산도 측정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컨텐츠는 Master KMLE 2권 소화기 책에 있는 삼킴곤란 문제입니다. 해설 및 정답 같이 봅시다! [해설] >KEY CLUE • 음식을 잘 삼키지 못한다. 삼키면 사레가 들리고 코로 음식물이 역류된다. 삼킴곤란  • 다리뇌(pons) 출혈 병력(onset:4개월 전) 구강인두성 삼킴곤란 시사 •삼킴곤란의 접근에있어 다리뇌가 담당하는 운동신경 기능 중에 삼킴(swallowing)이있다.환자는 다리뇌 출혈후에 음식물을 잘 삼키지 못하는 증상이 생겼으므로 뇌졸증에 의한 구강인두성 삼킴곤란(oropharyngea

삼킴곤란: 원인 및 감별진단 - 식도 삼킴곤란의 원인, 구인두 삼킴곤란의 원인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 입니다. 오늘은 Master KMLE 2권 소화기에 있는 Section 1. 위장관 Topic 1. 주요 위장관 증상 Sub Topic 1.1 삼킴곤란에 있는 리뷰 01 삼킴곤란: 원인 및 감별진단에 대해 소개하겠습니다! 리뷰 01 삼킴곤란: 원인 및 감별진단 삼킴작용은 구강, 인두, 식도의 복합적인 작용에 의하여 이루어지므로 매우 다양한 질환이 삼킴곤란 을 유발할 수 있다 01. 식도 삼킴곤란의 원인 구조적 질환 structural disorders • 염증성+/-섬유화 협착 - 궤양 - 부식성 - 약제 유발 - 방사선 유발 • 점막륜/갈퀴막(Mucosal rings/webs) - Schatzki’s ring - Multiringed esophagus(호산구 식도염) • 암 - 원발암(편평세포암, 선암) - 전이암(유방암, 흑색종) • 전신질환과 연관된 질환 - 천포창(Pemphigus), 유사천포창(pemphigoid) - 편평태선(Lichen planu

대표적인 약물 알레르기의 접근 - 페니실린, 인슐린, 아스피린 & NSAIDs, 조영제, 고정약진, 혈청병, SJS 등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의 내용은 Master KMLE 7권. 혈액/류마티스/알레르기 책에 있는 과목. 알레르기 Topic 5 약물알레르기 리뷰 05 대표적인 약물 알레르기의 접근편 입니다. 먼저 관련 목차 확인해 봅시다! 리뷰 05 대표적인 약물 알레르기의 접근 01. 페니실린 알레르기 intro • 가장 중요한 약물 알레르기의 원인 • 복용 시 약 1%에서 피부 증상 발현 발생기전 • Type I hypersensitivity가 주요 기전 • skin test나 specific IgE 검사로 확인과 예측이 가능 • 하지만 10%가량에서는 skin test 음성 반응이 나오더라도 알레르기가 발생할 수 있다. ※ 항원 결정 인자(determinant) ① Major determinant (60-80%): 주로 urticaria와 같은 피부반응(accelerated or delayed reaction) ② Minor determinant (~20%) : Anaphylax

사시 - 개요(분류, 발생빈도), 진단(병력, 진단적 검사), 치료(수술적, 비수술적 치료)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이번 시간은 SMART 소아진료매뉴얼 2판 책에 있는 Section 02 흔한 증상 및 질환의 접근 Part 13 눈·귀·코·입 Topic 03 사시(strabismus)를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먼저 관련 목차부터 확인 해 봅시다! 사시(strabismus) 개요 사시의 분류 • 사시는 사시(heterotropia)와 사위(heterophoria)로 나뉜다. 사시 사위 한쪽 눈의 시선이 항상 편위되어 있어 두눈보기가 불가능하다. • 두 눈을 융합할 수 있어서 두눈보기가 가능하다. • 다음과 같이 융합이 약해지는 경우 사시가 나타나 기도 한다. - 한 눈을 가려서 융합을 방해할 때, 피로할 때, 아침에 일어났을 때, 열이 날 때, 공상을 할 때 등 융합이 약해지는 경우 • 사위도 사시와 비슷한 방법으로 분류 진단 기본적인 검사 굴절검사 • 조절마비 굴절검사 • 세극등 검사 • 안저검사 특수검사 사시각을 측정하는 검사 • 가림검사 - 한눈가림 검사 -

췌장암(검사) 문제 - 선택지(피부 경유 생검, 복부 X선 촬영, 복부 CT , ERCP, DISIDA scan) [내부링크]

74세 남자가 2주 전부터 시작된 명치 부위 통증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2개월 동안 8 kg 체중감소가 있었고, 1년 전 당뇨 진단 이후 경구혈당강하제 복용 중이었다. 현재 상복부 압통은 있으나, 덩이는 촉지되지 않았다. 복부 초음파 검사 결과 이자머리부위에 3.5 cm 저에코 병변 관찰되었다. 다음 검사로 적절한 것은? Hb 11.5, AST 28, ALP 94, amylase 72, CA19-9 194, CEA 5.2 ① 피부 경유 생검 ② 복부 X선 촬영 ③ 복부 CT ④ ERCP ⑤ DISIDA scan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컨텐츠는 Master KMLE 2권 소화기 책에 있는 췌장암 문제입니다. 해설 및 정답 같이 봅시다! [해설] • 복통, 체중감소, CA 19-9 상승, 복부 초음파에서 이자머리부위의 저에코 병변 등으로 보아 췌장암이 가장 의심된다. 다음 검사로 CT를 시행하는 것이 가장 적절하다. • 췌장암이 의심되는 임상 양상들을 보이는 환

담낭암 문제 - 선택지(추적관찰, 항암화학요법, 방사선요법, 확대 담낭절제술, 주위 장기 광범위 절제 및 항암화학요법) [내부링크]

65세 남자가 담낭 용종으로 복강경 담낭절제술을 받았다. 동결 절편 조직 검사에서 담낭암으로 판명되었고, 암은 근육층을 침범하였다. 수술부위 경계(margin)에서 암세포가 발견되진 않았다. 가장 적절한 처치는? ① 추적관찰 ② 항암화학요법 ③ 방사선요법 ④ 확대 담낭절제술 ⑤ 주위 장기 광범위 절제 및 항암화학요법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 입니다. 오늘의 문제는 Master KMLE 2권 소화기에 있는 담낭암 문제입니다. 해설 및 정답 함께 봅시다! [해설] • 담낭암이 의심되지 않은 상태(담낭 용종으로)에서 복강강 담낭절제술을 시행받은 후 조직검사 결과 근육층에 국한된 조기담낭암으로 밝혀진 경우이다. • 근육층까지 암 침윤이 있는 T1b 담낭암의 경우 수술 범위에 있어 논란이 많다. 단순 담낭절제술만 시행하자! 확대 절제술을 시행하자! 단순 담낭절제술 만으로 10년 생존율이 90% 이상이므로충분하다. T1b 병기 환자에서 림프절 전이율이 20%까지, 림프관/혈관 암침범은 28%

만성췌장염: 치료 - 병인에 따른 치료, 치료방법, 수술적 치료, 주요 증상별 치료전략(통증 조절, 췌장 외분비 기능부전, 췌장 내분비 기능부전의 치료) 등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의 콘텐츠는 Master KMLE 2권 소화기 책에 있는 Section 03. 췌담도 Topic 28. 만성췌장염 리뷰 03 만성췌장염: 치료편 내용입니다! 먼저 Section 03. 췌담도 목차부터 확인 해 봅시다! 리뷰 03 만성 췌장염:치료 해리슨 19판, 20판을 비교해보면 내용의 큰 변화는 없다.내용이 그리 잘 정리되어 있는 것 같지 않아 국외 가이드라인, 리뷰문헌을 참고해서 정리해보았다.통증, 외분비기능, 내분비기능에 따른 치료로 구분해서 접근하는 것이 이해하기에 좋다. 01. 병인에 따른 치료 원인 치료 알코올 금주 흡연 금연 자가면역성 췌장염 스테로이드 투약 유전적 원인 유전자 치료 대개 보존적 치료를 하게 되며 통증과 흡수장애를 조절하는 것이 중요한 목표이다. 특히 통증을 어떻게 조절할 지가 중요한 문제가 된다. 02. 치료방법 1. 보존적 요법 • 금주 • 식이조절: 과식 및 고지방식 피하기 ① 지방 30%, 고단백 24

카테터 연관 감염(catheter related infection) - 개요(정의, 병인), 진단, 치료(항생제의 선택, 투여기간, 항균제 잠금 치료) 등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2019/2020 Master KMLE 6권. 신장요로/감염 책에 있는 과목. 감염 Section 02. 주요 임상상황별 감염 Topic 4 의료관련감염 리뷰 02 카테터 연관 감염(Catheter related infection) 콘텐츠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먼저 목차 한 번 확인해 봅시다! 리뷰 02 카테터 연관 감염(catheter related infection) 01. 개요 1. 정의 카테터 관련 균혈증(catheter related blood stream infection, CRBSI) : 정맥카테터에서 발생한 균혈증 카테터 관련 감염 정의 Catheter colonization Catheter tip, subcutaneous catheter segment, catheter hub의 정량적 또는 반 정량적 배양에서 1개 이상의 미생물의 유의한 성장이 관찰되는 경우 Phlebitis 카테터 삽입된 정맥의 경로를 따라 경화 , 홍반,

소화성 궤양: 치료 - 원인과 병기에 따른 치료 접근, 치료 후 추적 검사 등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의 콘텐츠는 Master KMLE 2권 소화기 책에 있는 Section 01. 위장관 Topic 2. 위식도질환 SUB TOPIC 2.3. 소화성 궤양 리뷰 03 소화성 궤양: 치료편 내용입니다! 먼저 Section 01. 위장관 목차부터 확인 해 봅시다! 리뷰 03 소화성 궤양: 치료 01. 원인에 따른 소화성궤양의 치료 접근 헬리코박터 연관 소화성궤양 • 헬리코박터 제균은 궤양을 치료하고 재발을 예방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다 • 치료기간: 헬리코박터 제균 기간을 포함, 총 4주에서 8주 동안 항궤양 제제를 투여 NSAIDs 연관 소화성궤양 • 치료방법 - NSAIDs의 투여 중단이 가장 중요 - N SAIDs의 복용을 중단할 수 없는 경우 궤양의 치료 약제로 PPI가 우선 미소프로스톨도 사용 가능 - COX-2 선택억제제:기존의 NSAIDs에 비해 소화성궤양 발생 위험도가 낮다. • 헬리코박터의 제균 - 헬리코박터의 제균은 NSAIDs에 의

폐렴 - 진단 및 평가(병원체 판별, 비정형 폐렴, 정형 폐렴), 치료 등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의 컨텐츠는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 실전편(Case based approach) vol 1 Part3. 호흡기 알레르기에 있는 Topic 9. 폐렴 입니다! 먼저 관련 목차부터 확인 해 볼까요? Core Review 추가내용 및 REFERENCE • 2017년 성인지역사회획득폐렴 항생제 사용지침(질병관리본부) 반영 1. 지역사회획득폐렴 : 진단 폐렴 진단을 위한 검사 영상검사 (가슴X선검사) • 주된 소견 : 폐경화, 간질성 침윤, 공동의 형성, 기관지공기조영(air-bronchogram) 일반혈액검사 • 전혈구계산, 간기능검사, 신장기능검사, 전해질검사 등 원인균 진단을 위한 검사 • 혈액배양 검사 • 호흡기 검체의 도말 및 배양검사 • 소변항원검사 : S. pneumoniae 소변 항원 검사, Legionella 소변 항원 검사 • 혈청검사 : Chlamydophila, Mycoplasma, Legionella pneumophila가 아닌 기

면역 혈소판감소 자색반병 문제 - 선택지(재생불량빈혈, 파종혈관내응고, 골수형성이상증후군, 급성골수세포백혈병, 특발저혈소판자색반병) [내부링크]

64세 여자가 1주 전부터 멍이 잘 들어 병원에 왔다. 입안과 양다리에서 점출혈이 관찰되었고 지라는 만져지 지 않았다. 검사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진단은? • 혈액: 혈색소 12 g/dL, 백혈구 4,500/ mm^3, 혈소판 7,000/ mm^3 프로트롬빈시간 12.7초 (참고치: 12.7~15.4), 활성화부분트롬보플라스틴시간 35.5초(참고치: 26.3~39.4) • 말초혈액펴바른표본: 혈소판 수 감소, 백혈구 및 적혈구의 수와 모양정상, 골수: 거대핵세포(megakaryocyte) 수 증가 ① 재생불량빈혈 ② 파종혈관내응고 ③ 골수형성이상증후군 ④ 급성골수세포백혈병 ⑤ 특발저혈소판자색반병 [해설] 멍이 잘 들고 점출혈이 관찰되는 것으로 보아 1차 지혈과정을 담당하는 혈소판, 혈관문제가 의심된다. 혈액검사상 혈소판수가 감소되있고, PBS 소견에서도 같은 소견을 보이고 있다. 골수를 검사해보니 megakaryocyte가 증가되어 있다. ITP로 진단 할 수 있겠다. [정답] ⑤

폰빌레브란트병 문제 - 선택지(Vitamin K 투여, 혈소판 성분 수혈, 부신피질 호르몬제 투여, DDAVP 투여, 농축 제9인자 투여) [내부링크]

25세 남성이 넘어진 후 발생한 오른쪽 대퇴 부위의 혈종으로 왔다. 환자의 아버지도 비슷한 증상이 자주 있었다고 한다. 혈액 검사에서 백혈구 4,000/mm3, 혈색소 10.0 g/dL, 혈소판 220,000/mm3, 출혈시간 15분, 프로트롬빈시간 11초(11~13초), 활성화부분트롬보플라스틴시간 90초(25~41초)이었다. 적절한 치료는? ① Vitamin K 투여 ② 혈소판 성분 수혈 ③ 부신피질 호르몬제 투여 ④ DDAVP 투여 ⑤ 농축 제9인자 투여 [해설] • aPTT는 연장되었고, 혈소판 수, PT는 정상이므로 hemophilia 혹은 VWD를 의심할 수 있는데 BT(정상:1-6분) 증가해 있고 가족력(아버지)을 고려할 때 VWD를 의심할 수 있다. 폰빌레브란트병의 치료 •정확한 진단과 아형 분류에 따른 치료 방침 수립 •VWD 아형에 따른 개별적인 치료 적용 •3가지 주요 치료 방법 1) DDAVP 투여를 통한 혈장 VWF 농도 상승 2) VWF 보충요법(factor

파종혈관내응고 문제 - 선택지(DIC, TTP, ITP, HUS, Hemophilia) [내부링크]

58세 남성이 교통사고로 입원한 지 3일이 지나서 발열과 함께 주사 부위, 상처봉합 부위의 삼출성 출혈이 나타났다. 말초혈액도말 검사에서 다수의 분열 적혈구가 관찰되었다. 혈색소 7.0 g/dL, 백혈구16,500/mm^3, 혈소판35,000/mm^3, 프로트롬빈시간 23 초(참고치 11.1~13.1) 활성화부분트롬보플라스틴시간 60초 (22.1~35.1)일 경우 가장 의심되는 진단은? ① DIC ② TTP ③ ITP ④ HUS ⑤ Hemophilia [해설] 교통사고로 인한 endothelial injury로 인해 DIC가 생긴 경우이다. 발열 및 삼출성 출혈이 나타나는 환자의 혈액 검사에서 PT, aPTT가 연장되고 혈소판 수가 감소하는 소견을 관찰할 수 있다. 가장 의심할 수 있는 것은 DIC이다. [보기풀이] ②, ④ TTP와 HUS을 포함한 혈전미세혈관병증(thrombotic microangiopathy)에서는 혈소판 감소와 혈소판 감소증은 발생하지만 응고 인자의 활성화나

약물에 의한 응고장애 문제 - 선택지(Vit. K, cryoprecipitate, DDAVP, tranexamic acid, aminocaproic acid) [내부링크]

30세 남자가 자살목적으로 다량의 약물을 먹고 응급실에 왔다. 혈액검사 결과가 다음과 같을 때, 다음중 가장 적절한 치료는? • 혈색소 11.0g/dL, 백혈구 7,800/mm^3, 혈소판 111,000/mm^3 프로트롬빈시간(INR) 3.0, 활성화부분트롬보플라스틴시간 48초(26~40), Factor Vll 33%, Factor VllI 108% , Factor IX 12% ① Vit. K ② cryoprecipitate ③ DDAVP ④ tranexamic acid ⑤ aminocaproic acid [해설] PT, aPTT가 모두 연장되어 있는 질환은 DIC, liver disease, warfarin overdose, Vit. K deficiency가 있다. 환자는 혈소판 수치가 정상, factor 8은 정상이므로 DIC는 아니다. 병력에서 간 손상이 의심되므로(약물 과량복용) liver disease에 의한 응고 장애를 생각할 수 있다. Factor 7, 9만 감소되어 있

수술 전 약물복용 - 항혈전제, NSAIDs, 경구용 피임제/호르몬대체요법/SERMs, 심혈관계/호흡기계/소화기계/신경계 약물, 당뇨 치료제, 한약재 및 건강보조제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Master KMLE 1권. 의학총론/외과총론에 있는 외과총론 Topic 02. 외과적 대사와 영양 리뷰 02 수술 전 약물복용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먼저 관련 목차부터 확인해봅시다! 01. 수술 전후 약물요법 관리의 원칙 지속하여야 하는 약물 • 갑자기 중단할 경우 의학적으로 문제가 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약물은 수술전후기간 동안 중단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투여한다. • 위장기능이 약화되거나 경구로 섭취가 불가능할 경우 주사 또는 경피 투여 등의 대체방법을 검토한다. • 간단하게 CVD risk를 올릴 수 있거나 seizure 등 수술 시 risk가 발생할 수 있는 약은 모두 당일까지 복용한다. • Cardiac drug: beta-blocker, Calcium channel blocker, anti-arrhythmics • Pulmonary drug: inhaled or nebulized medication • 그 외: anti-conv

외과환자에서의 영양지원 - 영양평가, 영양요구량, 경장영양(Enteral Nutrition, EN), 정맥영양(parenteral nutrition) 등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Master KMLE 1권. 의학총론/외과총론에 있는 외과총론 Topic 01. 외과적 대사와 영양 리뷰 02 외과환자에서의 영양지원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먼저 관련 목차부터 확인해봅시다! 리뷰 02 외과환자에서의 영양지원 01. 영양평가 환자의 영양상태 평가지표:주관적 지표 + 객관적 지표 1) 주관적 지표:의학적/영양학적 병력 2) 객관적 지표:신체검사, 인체계측(anthropometric measure), 체성분검사, 생화학적 검사(소변/혈액 검사) 02. 영양요구량 1. 에너지와 단백지원의 중요성 수술 등의 스트레스 환자에서 에너지 소비량을 외부에 서 충족시켜 주는 궁극적인 목적은 체내의 구조 단백이나 기능성 단백이 연료로 사용되는 것을 최소화하는데 있습니다. 즉 영양지원에 있어서 적절한 칼로리의 지원 없이 아미노산을 투여하면 아미노산이 단백질 합성에 이용되지 못하고 칼로리원으로 소모되므로 이를 예방하는데 있습니다. 비단백 칼로리

유전성 용혈 빈혈 : RBC 구조 이상(유전성 구형적혈구증HS, RBC 효소 이상 (G6PD 결핍 : Oxidative stress, PK결핍 : ATP 생성 장애) 등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의 내용은 Master KMLE 7권. 혈액/류마티스/알레르기 책에 있는 과목. 혈액 Section 1 조혈장애 Topic 4 용혈빈혈 리뷰 03 유전성 용혈 빈혈 입니다. 먼저 관련 목차 확인해 봅시다! 01. RBC 구조 이상 유전성 구형적혈구증(HS ; Hereditary spherocytosis) • 정의 - 선천원인에 의해 발생하는 혈관 외부에서 파괴되는 용혈성 빈혈로, 말초혈액에서 spherocyte가 관찰 되는 것을 말한다. - 유전 양식은 autosomal dominant한 것이 전형적인데, 여러 유전자가 관여하므로, autosomal recessive나 다른 양식도 가능하다. • 임상 양상 - Anemia, jaundice, splenomegaly와 hemolytic anemia 가족력이 있는 경우 의심해 볼 수 있다. - 주요 소견으로 ‘Jaundice, Enlarged spleen, Gallstone (젊은 나이)’이 있고,

피로(fatigue) - 개요(원인&부위에 따른 분류, 발생기전), 진단적 접근(병력, 신체검사, 진단기준), 치료(이차성 피로, 생리적 피로, 만성피로증후군의 치료)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 소개해드리는 콘텐츠는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 2판(근거편) vol 1 Part 3 전신감염 알레르기 2장 증상·징후·질환별 접근 Topic 05 피로에 관한 내용입니다. 먼저 목차 확인해 볼까요? 개정포인트 • Key reference update 내용 추가 혹은 삭제 진단적 접근 1) 피로의 평가흐름도(추가) 2) 심각한 기저질환을 시사하는 red flags (추가) 치료 만성피로증후군의 치료(추가) Key reference • Wilson J, Morgan S, Magin PJ, van Driel ML. Fatigue--a rational approach to investigation. Aust Fam Physician 2014;43(7) : 457–61. Core review 01 개요 • 피로의 정의 및 분류 1) 증상의 기간에 따른 분류 증상의 기간에 따른 분류 정의 및 특징 지속성 (prolonged) 피로 •1개월 이상 지속되는 경우

심부전 문제 - 선택지(혈중 BNP, 혈중 CK/Troponin, 단순흉부촬영, 관상동맥조영술, 폐기능검사, 12 유도심전도검사, 흉부컴퓨터 단층촬영, 흉부자기공명영상)등 [내부링크]

68세 남자가 3일 동안 숨이 차서 응급실에 왔다. 혈압 148/92 mmHg, 맥박수 112회/분, 체온 36.3, 호흡수 24회/분이었다. 양 폐야에서 수포음이 청진되었고, 하지에 부종이 관찰되었다. 진단을 위해 필요한 검사는?(네 가지) ① 혈중 BNP ② 혈중 CK/Troponin ③ 단순흉부촬영 ④ 관상동맥조영술 ⑤ 폐기능검사 ⑥ 12 유도심전도검사 ⑦ 흉부컴퓨터 단층촬영 ⑧ 흉부자기공명영상 ⑨ 심장초음파 ⑩ 디-이합체(D-dimer)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이번 포스트는 QBook에 있는 Topic 8.심부전편 증례입니다. [해설] 의심되는 진단은? >KEY CLUE • 68세 남자. 3일 전부터 시작된 급성 호흡곤란 • 양 폐야에서 수포음 청진 → 수포음이 청진되는 대표적인 질환은 호흡기 원인으로는 폐렴, 심장쪽 원인으로는 심부전이다. • 하지 부종 → 체내 fluid retention을 의미한다. 심장쪽 원인 뿐 아니라 신장, 내분비 질환에 의해서도 발생가능

급성바이러스 감염 - 선택지(급성A형간염, 만성B형간염, 급성C형간염, 만성D형간염, 급성E형간염) [내부링크]

27세 남자가 1주 전부터 소화가 잘 안 된다고 병원에 왔다. 소변색도 진해지고 욕지기가 나고 피로하다고 하였다. 40일 전 인도와 파키스탄을 여행하였다. 진단은? P/E • 혈압 115 /75 mmHg, 맥박 95회/분, 호흡 18회/분, 체온 36.9C • 공막 황달 • 복부 : 1) 오른쪽 윗배 압통(+) /반동압통(-) 2) 오른쪽 갈비뼈 아래에서 간이 2 cm 정도 만져짐. 지라는 만져지지 않음 혈액검사 • AST 306 U/L, ALT 525 U/L, 총빌리루빈 3.8 mg/dL, ALT 190 U/L, GGT 50 U/L • IgM anti-HAV (-), IgG anti-HAV (+), HBsAg (-), anti-HBs (+), anti-HCV (-), IgM anti-HDV (-), IgM anti-HEV (+) ① 급성A형간염 ② 만성B형간염 ③ 급성C형간염 ④ 만성D형간염 ⑤ 급성E형간염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 입니다. 문제 잘 풀어 보셨나요? 오늘의 문제는

만성폐쇄성폐질환(COPD) : 개요 - COPD란?, 원인 및 위험인자, 기전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의 콘텐츠는 Master KMLE 4권 호흡기 책에 있는 Section 02 주요 호흡기 질환 Topic 06 만성폐쇄성폐질환 리뷰 01 만성폐쇄성폐질환(COPD): 개요 편 내용입니다. 먼저 Section 02의 목차부터 확인해보겠습니다! 리뷰 01 만성폐쇄성폐질환(COPD) : 개요 01. COPD란? • 비가역적인 기류제한을 특징으로 하는 폐질환으로서 만성 염증에 의한 기도와 폐실질 손상으로 인해 발생한다. • 흡연이 가장 중요한 원인이지만 직업적 노출, 실내 오염, 감염 등에 의해서도 생길 수 있다. • 급성 악화가 자주 발생하고 정상인에 비해 동반질환이 흔하여 COPD의 중증도와 예후에 영향을 미친다. 02. 원인 및 위험인자 흡연, 실내외 대기오염, 사회경제적 상태, 호흡기감염 등 외부인자와 유전자, 연령, 성별, 기도과민반응, 폐성장 등 숙주인자가 상호 작용하여 발생 숙주인자 만성폐쇄성폐질환(COPD) 외부인자 • 유전적 요인 (se

틱장애(tic disorder) - 개요(임상증상, 양상에 따른 분류), 진단(병력, 신체검사, 진단기준), 치료(인지행동치료, 뇌자극술, 약물치료) 등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이번 시간은 SMART 소아진료매뉴얼 2판 책에 있는 Section 02 흔한 증상 및 질환의 접근 Part 12 신경·정신 05 틱장애(tic disorder)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먼저 관련 목차부터 확인 해 봅시다! 05 틱장애(tic disorder) Core review 1. 진단 뚜렛 장애 지속성(만성) 운동 또는 음성 틱장애 일시적 틱 장애 (provisional tic disorder) 틱 종류 운동 틱과 음성 틱이 둘 다 있음. 동시에 나타나지 않아도 됨 운동 틱이나 음성 틱 중 하나만 나타나야 함 운동 틱과 음성 틱 중 하나만 나 타나거나 동시에 나타나도 됨 기간 1년 이상 1년 이상 1년 이내 2. 치료 틱장애의 임상치료에서는 일차적으로 비약물치료가 선호되고 있다. 비약물치료 • 인지행동치료 • 심부뇌자극(Deep Brain Stimulation) • 반복적 뇌자기자극(Repetitive Transmagnetic Stimulat

화상의 평가 및 치료 - 초기평가, 치료(냉각요법, 최초 드레싱, 수포제거, 통증의 진통 및 진정, 기도 및 호흡관리, 수액요법) 등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Master KMLE 1권. 의학총론/외과총론에 있는 의학총론 Section 2 응급진료/손상/외상 Topic 11. 화상 리뷰 02 화상의 평가 및 치료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먼저 관련 목차부터 확인해봅시다! 리뷰 02 화상의 평가 및 치료 01. 초기 평가 어디서 치료할 것인가? (1) 입원을 고려해야 하는 경우 • 통증 조절이 되지 않을 경우 • 정맥로 수액 주입이 필요한 경우 • 상처가 문제가 될 경우 • 사회적/정신적으로 문제가 되는 경우 • 동반 질환이 있는 경우 (2) 화상전문센터로의 이송대상 성인 2도 이상 깊이가 체표면적의 10% 이상, 체표면적의 5% 이상의 전층 화상 소아 2도 이상 깊이가 체표면적이 5% 이상인 경우 공통 얼굴, 손, 발, 생식기, 항문과 주요 관절부위 화상, 화학 화상, 번개를 포함한 전기 화상, 외상을 동반한 화상, 흡입화상을 동반한 화상 02. 치료 1. 냉각요법(Cooling) • 깊이에 관계

동물교상 : 기본 평가, 상처의 처치, 감염 예방 조치(세균 감염 예방, 파상풍 예방, 바이러스 감염 예방, 공수병 예방) 등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Master KMLE 1권. 의학총론/외과총론에 있는 의학총론 Section 2 응급진료/손상/외상 Topic 10. 동물교상 리뷰 01 동물교상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먼저 관련 목차부터 확인해봅시다! 리뷰 01 동물교상 01. 동물교상의 기본 평가 병력 • 문 동물에 대한 정보 획득 : 동물의 종류 및 사육 여부 확인 - 야생동물인 경우 동물이 포획되어 관찰될 수 있는지, 불가능한 지 확인 - 동물의 광견병 백신접종 여부 확인 - 교상 발생 지역이 광견병 위험지역인지 확인 • 교상 상처의 감염 위험성이 증가할 수 있는 환자의 상태에 대한 조사 - 만성질환 여부(당뇨, 간경화, 신부전, 알코올중독 등) - 감염질환에 대한 예방접종력 • 사람 교상 : 가해자의 B형, C형 간염, human immunodeficiency virus(HIV) 등의 감염성 보균자 여부에 대한 문진 및 검사 시행 신체검사 • 교상 상처는 손 및 팔다리에 신경,

이명(Tinnitus) - 분류(주관적 이명 , 객관적 이명), 원인 및 감별진단(박동 이명pulsatile tinnitus의 진단), 진단적 접근, 치료 등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의 컨텐츠는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 실전편(Case based approach) vol 2 Part10. 눈·귀·코·입·두경부 에 있는 Topic 5. 이명(Tinnitus) 입니다! 먼저 Part10. 눈·귀·코·입·두경부 관련 토픽 목차부터 확인해볼까요? Core Review 1. 이명의 분류 이명은 다양한 형태가 있으며 분류기준도 다양하다. 1) 분류체계 (1) Vibratory tinnitus • 인접 조직 및 기관으로부터의 진동이 cochlea로 전달되어 유발 Nonvibratory tinnitus • 청각과 연관된 신경메커니즘의 생화학적 변화에 의해 발생 2) 분류체계 (2) : Tinntius Research Initiative(TRI)(2010년) • 이명을 우선 박동성 이명과 비박동성 이명으로 나누고 박동성 이명을 객관적(=타각적) 이명(objective tinnitus)과 주관적(=자각적) 이명(subjective tinnitu

갑상샘기능저하증 문제 : 선택지(① 갑상샘 초음파 , ② 갑상샘 호르몬 , ③ 갑상샘 자가항체, ④ 갑상샘동위원소 섭취율 검사, 주기적 갑상샘기능검사) [내부링크]

41세 여자 환자가 건강검진에서 시행한 TFT상 free T4 1.1, TSH 8.1이었다. 다음으로 시행할 검사는? ① 갑상샘 초음파 ② 갑상샘 호르몬 ③ 갑상샘 자가항체 ④ 갑상샘동위원소 섭취율 검사 ⑤ 주기적 갑상샘기능검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이번에 올려드리는 콘텐츠는 Master KMLE 5권. 내분비 책에 있는 Topic 03 갑상샘 질환 리뷰 02 갑상생기능저하증(hypothyroidism): 진단 편 문제입니다. [해설] • TSH 상승, fT4 정상 소견을 보이는 subclinical hypothyroidism이 의심되는 환자이다. • primary hypothyroidism의 가장 흔한 원인인 Hashimoto’s thyroiditis에 대한 평가를 위해 thyroid autoantibody(anti-TPO)를 측정해야 한다. [정답] ③

비청색증 선천성 심질환 문제 - 선택지 (승모판역류, 대동맥판역류, 대동맥판하협착, 폐동맥고혈압, 오른심실깔때기 협착) [내부링크]

5세 여아가 예방접종을 받기 위하여 병원에 왔다. 신생아 때 심실중격결손으로 진단받았으나 수술은 받지 않았다. 청진상 복장뼈 왼쪽 위에서 4도의 범수축기잡음과 2도의 확장기잡음이 들렸으며, 제 2심음은 정상이었다. 가슴 X-선사진과 심전도는 정상이었다. 진단은? ① 승모판역류 ② 대동맥판역류 ③ 대동맥판하협착 ④ 폐동맥고혈압 ⑤ 오른심실깔때기 협착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 올려드리는 문제는 Master KMLE 13권. 소아과 각론에 있는 Topic 11.심혈관 리뷰 01 비청색증 선천성 심질환편 문제입니다. 문제를 풀어보신 후 해설을 확인해주세요! [해설] 이전에 VSD 진단 받았던 환아로 자연폐쇄되지 않아 현재 좌측 흉골연 상부에서 범수축기 잡음 청진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수술을 받지 않고 지내다가 현재는 확장기 잡음까지 들리는데 이는 대혈관 판하 결손(subarterial VSD)이었으며 대동맥 판막 탈출로 인해 AR 동반된 것이다. 대혈관 판하 결손은 동양인에

수액요법 - 체내 수분 구성, 수액에 대한 이해(정질용액, 교질용액Colloid solution), 수액요법의 실제 등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Master KMLE 1권. 의학총론/외과총론에 있는 의학총론 Topic 04. 수액요법 리뷰 01 수액요법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먼저 관련 목차부터 확인해봅시다! 리뷰 01 수액요법 01. 수액요법을 이해하기 위한 기초 체액의 구성 체액 Na+ Cl- K+ HCO3- 평균일생산량(mL) 땀 50 40 5 0 다양 침 60 15 26 50 1500 위액 60-100 100 10 0 1500-2500 십이지장액 130 90 5 0-10 300-2000 담즙 145 100 5 15 100-800 췌장액 140 75 5 115 100-800 회장 140 100 2-8 30 100-9000 설사 120 90 25 45 다양 02. 체내 수분 구성 • ICW : 2/3 TBW = 체중의 40% • ECW : 1/3 TW = 체중의 20% • Interstitial-lymphatic fluid : 체중의 15% • Plasma : 체중의 5% 03

장기이식의 실제 : 신장이식을 중심으로 - 적응증과 금기증, 이식 전 검사 및 조치, 이식 후 합병증 등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Master KMLE 1권. 의학총론/외과총론에 있는 외과 총론 Topic 05. 이식 리뷰 02. 장기이식의 실제 : 신장이식을 중심으로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먼저 관련 목차부터 확인해봅시다! 리뷰 02 장기이식의 실제 : 신장이식을 중심으로 01. 신장이식의 적응증과 금기증 적응증 • 신장 조직 손상이 진행되어 기능 회복이 불가능한 상태인 말기 신장병에서 신장이식을 시행하게 된다. • 주요 원인 질환 : 당뇨성, 고혈압, 만성 사구체 신염, 낭성 신질환 등 금기증 절대적 금기증 ⑴ 회복 가능한 신장 질환 ⑵ 최근 악성종양의 병력 및 전이성 악성종양 ⑶ 치료가 필요한 급성 감염 ⑷ 심한 정신질환 및 약물 중독증 ⑸ 규칙적인 약물 복용이 불가능한 환자 상대적 금기증 ⑴ 고령(정확한 기준 없음, 기대 수명 고려) ⑵ HBsAg(+), HCV(+)수여자 : 조직검사에서 만성 활동성 간염 및 간경화증 동반 시 제외 ⑶ 관상동맥질환 : 혈관성형

두근거림(palpitation) : 원인 및 감별진단(부정맥, 공황장애), 진단적 접근(심전도, 추가검사) 등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 소개해드리는 콘텐츠는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 2판(근거편) vol 1 Part 5 심혈관 2장 심혈관 증상/징후/질환 Topic 02 두근거림/부정맥 Sub Topic 2-1 두근거림(palpitation)에 관한 내용입니다. 2-1. 두근거림(palpitation) - 개정포인트 • Key reference update 내용 추가 혹은 삭제 내용 수정 보완(updated) 원인 및 감별진단 (update) 두근거림의 원인 진단적 접근 [추가] 두근거림 평가흐름도 (update) 두근거림의 양상에 따른 감별진단, 심전도 소견에 따른 가능한 두근거림 원인. - Key reference • Wexler RK, Pleister A, Raman S. Outpatient approach to palpitations. Am Fam Physician 2011;84(1) : 63–9. • Raviele A, Giada F, Bergfeldt L, et al.

급성 바이러스 감염 : 바이러스별 양상 - A형간염, B형간염, C형간염 ,D형간염, E형감염 별 특징, 역학, 감염경로, 경과, 혈청학적 표지자 등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의 콘텐츠는 Master KMLE 2권 소화기 책에 있는 Section 02. 간 Topic 17. 급성간염 SUB TOPIC 17.1. 급성 바이러스 감염 리뷰 01 급성 바이러스 감염 : 바이러스별 양상편 내용입니다! 먼저 Section 02. 간 목차부터 확인 해 봅시다! 리뷰 01 급성 바이러스 감염 : 바이러스별 양상 01. A형 간염 1. 역학 • 최근 급격히 증가하여 국내 급성 바이러스 간염의 m/c 원인 (약 50~80%) • 소아보다 성인에서 발생한 경우 증상(황달)이 더 심함 • 현성 감염은 주로 20~30대에서 발생 2. 감염경로 • 주로 fecal to oral route로 감염 : 환자와의 접촉, 오염된 물, 음식 • 위생이 불량, 밀집된 지역에서 생활을 하는 경우 전파↑ 3. 경과 • 대부분 self-limited • 드물게 전격성 간염 유발(노인, 만성 간질환 환자) 4. 혈청학적 표지자 • IgM : 급성기 때 양성,

흉통 : 개요, 원인 및 감별진단, 진단적 접근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QBook 에 있는 리뷰. 흉통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리뷰. 흉통 01. 개요 • 심인성 흉통(Cardiac chest pain), 비심인성 흉통(Noncardiac chest pain, NCCP) 심인성 흉통(cardiac chest pain) 비심인성 흉통(noncardiac chest pain, NCCP) • 급성 관상동맥증후군 : 비외상성, 심인성 흉통 중 가장 중요하고 흔한 원인 • 그 밖에 심인성 흉통을 유발하는 치명적인 질환 : 대동맥박리증, 급성 폐색전증 1. 소화기 원인 2. 연부조직 원인 3. 근골격계 원인 4. 호흡기 원인 5. 정신과적 원인 02. 원인 및 감별진단 • 근골격질환( m / c ) • 그 외 위장관질환, 심혈관질환, 폐 질환 등이 대부분의 원인을 차지한다. 심혈관 • 심장 : 관상동맥질환(안정형협심증, acute coronary syndrome), 대동맥협착증, 급성심낭염, 승모판탈출증, hypertr

말초동맥질환 문제 : 선택지 - 허리동맥, 속엉덩동맥, 바깥엉덩동맥, 온넙다리동맥, 아래창자간막동맥 등 [내부링크]

65세 남자가 엉덩이가 조이듯이 아파서 왔다. 운동할 때 더 아팠으며 운동을 멈추면 5분 이내 통증이 완화되었다. 통증의 원인이 되는 혈관은? ① 허리동맥(lumbar artery) ② 속엉덩동맥(internal iliac artery) ③ 바깥엉덩동맥(external iliac artery) ④ 온넙다리동맥(common femoral artery) ⑤ 아래창자간막동맥(inferior mesenteric artery)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이번 포스트는 Qbook에 있는 말초동맥질환편 증례입니다. [해설] • 하지 파행증 양상을 보이고 있다. 통증의 양상(조이듯이 아프다.), 통증의 유발 및 완화양상으로 볼 때 혈관성(허혈성) 파행 가능성이 높다. 엉덩이쪽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류에 협착 혹은 폐쇄가 발생한 것으로 생각된다. • 엉덩이 쪽 근육의 혈액 공급은 Internal iliac artery와 그 분지들로 이루어진다. 보기풀이 ① 허리 동맥은 Psoas major,

저칼륨혈증(HypoKalemia) 문제 : 선택지 - 원발알도스테론증, 1형 콩팥요세관산증, 2형 콩팔요세관산증, 리들증후군, 바터증후군 [내부링크]

15세 여자가 점진적인 쇠약감, 간헐적인 보행곤란 다뇨가 발생하여왔다. 구토는 없었고 이뇨제를 포함한 약물 복용력은 없었다. 혈압 95/65 mmHg이었고 신경학적 진찰은 정상이었다. 콩팥 초음파에서 양쪽 콩팔이 커져 있었으나 물콩팥증(hydronephrosis)은 없었다. 검사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진단은? • 혈액:협액요소질소/크레아티닌 11/0.9mg/dL • Na+/K+/CI- 140/2.5/100mEq/L, HCO3- 32mEq/L • 혈장레닌활성 12.8ng/mL/시간(참고치, 0.68~1.36) • 소변 Na+/K+/CI- 110/50/50mEq/L ① 원발알도스테론증 ② 1형 콩팥요세관산증 ③ 2형 콩팔요세관산증 ④ 리들증후군(Liddle syndrome) ⑤ 바터증후군(Bartter syndrome)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문제 다들 잘 풀어 보셨나요?^^ 이번 콘텐츠는 2019/2020 Master KMLE 6권. 신장요로/감염 책에 있는 과목. 감염 S

급성복통(acute abdominal pain) : 원인(연령별, 위치별), 주요질환, 통증에 대한 평가 (복통의 위치, 성격, 발현양상, 강도) 등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이번 시간은 SMART 소아진료매뉴얼 2판 책에 있는 Section 02 흔한 증상 및 질환의 접근 Part 08 소화기 01 복통 (abdominal pain) Topic 1-1 급성복통(acute abdominal pain)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먼저 관련 목차부터 확인 해 봅시다! 01 복통(abdominal pain) SUBTOPIC 1-1 급성복통(acute abdominal pain) Core review 원인 및 감별진단 연령별 급성복통의 원인 • 소아에서 급성복통은 연령에 따라 그 원인이 다양하므로 성인의 급성복통보다 진단하기가 어려울 때가 많다. • 신생아기, 영유아기, 학령전기 및 학령기, 그리고 청소년기에 각각 다른 원인 질환들이 전형적 또는 비전형적 형태로 매우 다양하게 나타난다. • 신생아기와 영유아기에는 복통이 있을 때 말로 표현하지 못하며, 울면서 보채는 것이 주된 증상이다. • 복통의 성격을 제대로 파악하기가 쉽지 않을

직업성/환경성 폐질환 - 석면증(Asbetosis), 규폐증 silicosis, 탄광부진폐증(CWP), 면 분진, 면분증(cotton dust, byssinosis) 등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의 콘텐츠는 Master KMLE 4권 호흡기 책에 있는 Section 02 주요 호흡기 질환 Topic 08 직업성/환경성 폐질환 리뷰 01 직업성/환경성 폐질환 편 내용입니다. 먼저 Section 02의 목차부터 확인해보겠습니다! 리뷰 01 직업성/환경성 폐질환 01. 석면 관련 질환 : 석면(Asbetos), 석면증(Asbetosis) 1. 관련 직업 단열재 제조, 건물 파괴 및 해체(∵건물 내 단열재 노출), 조선소, 자동차 브레이크, 석면 광산 2. 노출 정도:대개 질병 발병 전 10년 이상 노출 3. 증상 폐섬유증 증상 : 기침, exertional dyspnea, 수포음(crackle) 4. 검사 소견 1) Chest X-ray • 흉막판(Pleural plaque) : 벽측 흉막의 비후(thickening), 석회화(calcification) - 위치 : 폐의 하부, 횡격막, 심장경계 • 흉막삼출 : 장액성(serous) 또는 혈성

항생제에 대한 이해 문제 - 선택지 : penicillin, ceftriaxone, kanamycin, ertapenem, trimethoprim-sulfamethoxazole [내부링크]

3일 전부터 발생한 발열 및 오른쪽 옆구리 통증을 주소로 49세 여자 환자가 응급실을 방문하였다. 환자의 소 변 및 혈액 배양검사에서 대장균이 동정되었고, 항생제 감수성 결과는 다음과 같다. 치료로 가장 적절한 항생 제는? 항생제 감수성 검사 결과 •penicillin : S •ceftriaxone : S •kanamycin : S •ertapenem : S •trimethoprim—surfamethoxazole : S •ciprofloxacin : R •ESBL(+) ① penicillin ② ceftriaxone ③ kanamycin ④ ertapenem ⑤ trimethoprim-sulfamethoxazole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문제 다들 잘 풀어 보셨나요?^^ 이번 콘텐츠는 2019/2020 Master KMLE 6권. 신장요로/감염 책에 있는 과목. 감염 Section 01. 감염질환 기본 Topic 2 항생제에 대한 이해 리뷰 01 항생제의 작용기전과 분류

항생제의 작용기전과 분류 - Penicillin, Cephalosporin, Monobactam, Carbapenem, Glycopeptide, Macrolide 등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2019/2020 Master KMLE 6권. 신장요로/감염 책에 있는 과목. 감염 Section 01. 감염질환 기본 Topic 2 항생제에 대한 이해 리뷰 01 항생제의 작용기전과 분류 콘텐츠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먼저 , 감염 과목 목차부터 살펴보고, 시작하겠습니다~ 표. 항생제의 작용기전에 의한 분류 작용기전 분류 세포벽 합성억제 • D-ananyl-D-alanine synthetas e: Cycloserine • Lipid carrier의 활성화 억제 :B acitracin, fosfomycin • Disaccharide pentapeptide유리 억제 : Vancomycin • Cross-linking of peptidoglycan : β-lactam 항생제 세포막 투과의 변화/세포막 터뜨리기 • Polymyxin, lipopeptide(daptomycin), amphotericin B, azole, nystatin 단백 합성 억제

인플루엔자 - A형독감, B형독감, 진단, 평가, 치료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의 컨텐츠는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 실전편(Case based approach) vol1 Part 03. 호흡기·알레르기 에 있는 Topic 10. 인플루엔자 입니다! 먼저 Part 03. 호흡기·알레르기 관련 토픽 목차부터 확인해볼까요? Core Review 1. 진단 바이러스를 검출하는 방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분리(배양) • 바이러스에 대한 환자의 면역반응을 이용한 방법 • 바이러스 항원(단백)의 검출(신속항원검사, 면역형광법) • 바이러스 핵산의 입증(RT-PCR) 혈청학적 검사 검사방법 검출유형 검사에 필요한 검체 Test Time Rapid Influenza Diagnostic Tests (antigen detection) A, B NP swab, aspirate or wash, nasal swab, aspirate or wash, throat swab <15분 Rapid Molecular Assay [influenza viral RN

적혈구 질환 문제- 진단, 검사 소견, microcytic anemia, iron deficiency anema(IDA), 철결핍, 혈청 철, 망상적혈구, 총철결합능(TIBC) 등 [내부링크]

15개월 된 남아가 창백함과 식욕부진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환아는 9개월 동안은 모유수유를 했고, 나머지 기간은 생우유만 먹였다고 한다. 다음 중 증가될 수 있는 소견은? Hb 8.3, WBC 8100, Hct 24.9% Plt. 230k, MCV 61 ① 혈청 철 ② 망상적혈구 ③ 혈청 페리틴 ④ 트랜스페린 포화도 ⑤ TIBC Master KMLE_적혈구 질환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 올려드리는 문제는 Master KMLE 13권. 소아과 각론에 있는 Topic 15.혈액 Subtopic 15-1. 적혈구 질환편 문제입니다. 문제를 풀어보신 후 해설을 확인해주세요! [해설] 진단은? >KEY CLUE • 15개월 남아, 창백함, 식욕부진 • Hb, Hct, MCV 감소 microcytic anemia • 증상, 검사 소견이 anemia를 보여주고 있으며 microcytic anemia 양상이다. • microcytia anemia의 가장 흔한 원인은 iron defi

베체트 병(Behcet disease)/ 증후군(syndrome) 문제 - 증상, 진단 기준, 재발성 생식기 궤양, Pathergy 검사(이상초과민 검사) [내부링크]

33세 여자가 9일 전부터 오른쪽 무릎과 발목 관절이 아파 병원에 왔다. 4년 전부터 포도막염과 반복 입안염으로 치료를 받아 왔다. 오른쪽 다리에 홍반을 동반한 결절이 있었다. 진단에 도움이 되는 검사는? ① 쇼버(Schober)검사 ② 이상초과민(pathergy)검사 ③ 투베르쿨린(tuberculin)검사 ④ 피부접촉(patch)검사 ⑤ 쉬르머(Schirmer)검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Master KMLE 7권. 혈액/류마티스/알레르기에 있는 과목. 류마티스 Topic 04. 베체트병(Behcet disease)편 문제 및 해설을 소개해드리겠습니다. 문제 다들 풀어 보신 후, 해설을 확인해 주세요! [해설] >KEY CLUE 포도막염, 재발성 구강 궤양, 다리에 결절성 홍반, 무릎과 발목 관절통 환자의 증상은 베체트 증후군(Behcets syndrome)서 나타나는 구강궤양과 눈병변, 피부병변에 해당되어 베체트 증후군병을 의심할 수 있다. ※ 베체트 증후군(

단순 포진 감염(Herpes simplex infections)- 병원체, 임상양상, 진단: HSV-1,2, 헤르페스, 확진 검사(Tzanck test, 혈청학적, PCR, 배양)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2019/2020 Master KMLE 6권. 신장요로/감염 책에 있는 과목. 감염 Section 04. 바이러스 감염 Topic 11. 사람헤르페스 바이러스(Herpesviridae) 리뷰 02. 단순 포진 감염(Herpes simplex infections) 콘텐츠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먼저 , 감염 과목 목차부터 살펴보고, 시작하겠습니다~ 리뷰 02. 단순 포진 감염(Herpes simplex infections) 01. 병원체: 단순 포진 바이러스(Herpes simplex virus, HSV) • 피막형 이중 나선 DNA바이러스, Herpesviridae과, α-헤르페스바이러스 • 1형과 2형으로 분류 HSV-1 HSV-2 • oropharyngeal cell을 통해 침입하여 수포, gingivostomatitis를 일으킴 • 증상이 있는 사람과 피부접촉을 통해 감염(입맞춤 등) • 주로 상체 부위 감염 • 생식기 점막 및 근처의 피

갑상샘기능저하증 문제 : 선택지(① T3, T4 ② TSH ③ T3RU ④ Anti-TSH Ab ⑤ Thyroid scan) [내부링크]

58세 여성 환자가 전신피로, 추위 못견딤, 4 kg의 체중 증가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갑상샘에 통증이 없는 미 만성 종대가 있었다. 선별검사로 적당한 것은? ① T3, T4 ② TSH ③ T3RU ④ Anti-TSH Ab ⑤ Thyroid scan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이번에 올려드리는 콘텐츠는 Master KMLE 5권. 내분비 책에 있는 Topic 03 갑상샘 질환 리뷰 02 갑상생기능저하증(hypothyroidism) 편 문제입니다. 문제 해설 같이 보실까요? [해설] > KEY CLUE 1 • 전신피로, 추위 못견딤, 체중 증가 • 갑상샘 무통성 미만성 종대 • 중년 여성에서 전신피로, 추위 못견딤, 체중증가 등의 증상을 보이고 있어 갑상샘기능저하증이 의심된다. • 갑상샘기능저하증 의심 시 가장 먼저 시행해야할 검사는 TSH이다. • TSH가 정상이면 일차성 갑상샘기능저하증을 배제할 수 있다. TSH가 증가된 경우에는 일차성 갑상샘기능저하증으로 진단할 수 있다.

비만 - 비만의 병적인 결과, 진단기준, 평가, 치료 등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 올려드리는 콘텐츠는 Master KMLE 5권. 내분비 책에 있는 Topic 05. 당대사/지질대사 리뷰 01. 비만 편 내용입니다. 먼저 Topic 목차부터 확인해보겠습니다! 리뷰 01 비만 01. 비만의 병적인 결과 • 비만은 건강에 해로운 영향 • 비만인 사람의 사망률은 정상인과 비교하여 그 위험도가 50~100%나 증가 1. 인슐린 저항성과 제2형 당뇨병 • 고인슐린혈증과 인슐린 저항성은 비만 환자의 특징이며 체중이 증가할수록 심해지고 체중이 감소할수록 줄어든다. 2. 생식기계 질환 • 남성에서는 성선기능저하증, 여성형 유방증이 생길 수 있다. 그러나 남성화, 성욕, 성교 능력, 정자 발생 등은 대개 보존되어 있다. • 여성에서는 특히 상체비만의 경우 주로 불규칙한 생리와 관련이 있다. • 무월경인 대부분의 비만 여성들은 다낭성 난소증(polycystic ovarian syndrome, PCOS)이 있다. • 폐경기 여성의 비만은 자궁암

외과감염(수술부위 감염) - 위험인자, 예방의 기본 원칙, 예방적 항생제 등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Master KMLE 1권. 의학총론/외과총론에 있는 외과총론 Topic 04. 수술 후 주요 이슈 Sub-Topic 4.1 외과감염 리뷰 01. 외과감염(수술부위 감염)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먼저 관련 목차부터 확인해봅시다! 리뷰 01 외과감염(수술부위 감염) 01. 수술 부위 감염(SSI) 1. 위험인자 환자인자, 국소창상인자, 세균인자 3가지로 나눌 수 있다. 환자인자 국소인자 세균인자 • 고령 • 면역억제 • 비만 • 당뇨병 • 만성염증 • 영양실조 • 흡연 • 신부전 • 말초혈관질환 • 빈혈 • 방사선 • 만성피부질환 • 세균보균상태 • 최근 수술 • 복강경 수술보다는 개복수술 • 피부전처치 부족 • 수술기구감염 • 부적절한 예방적 항생제투여 • 장시간 수술 • 국소조직괴사 • 수혈 • 산소부족, 저온 • 병원장기입원(원내감염 위험) • 독소분비 • 제거불능(캡슐형성) 2. 오염 정도에 따른 수술부위 창상의 분류 Category

만성 콩팥병 문제 - 선택지(혈액투석, 저인산 식이, 탄산칼슘 투여, 저 단백질 식이, 비타민 B12투여) [내부링크]

63세 여자가 2달 전부터 양쪽 다리가 저리고. 식욕이 떨어져서 병원에 왔다. 증상은 발바닥부터 시작하여 다리 쪽으로 진행하였고 밤에 더 심해졌다. 10년 전부터 고혈압으로 치료를 받았고, 양쪽 다리에서 근력 저하가 있었다. 혈압 140/95 mmHg이었다. 검사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가장 적합한 치료는? 혈액 : 공복혈당 86 mg/dL, 당화혈색소 5.6%, 크레아티닌 6.5 ms/dL 칼슘/인 8.2/6.3 mg/dL 소변 : 잠혈(1+), 단백질(2+). 적혈구 5~9 /고배율시야 ① 혈액투석 ② 저인산 식이 ③ 탄산칼슘 투여 ④ 저단백질 식이 ⑤ 비타민 B12투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문제 다들 잘 풀어 보셨나요?^^ 이번 콘텐츠는 Master KMLE 6권. 신장요로/감염에 있는 Topic 04 만성 콩팥병 리뷰 01. 만성신장병의 합병증과 치료편 문제입니다. [해설] 요독증상, 고혈압, 질소혈증, 단백뇨, 사구체성 혈뇨가 있는 환자로 인수치가 증가한 것으로

급성 신손상 문제 - 선택지(소변감소, 빈혈, 고혈압, 고칼슘혈증, 저칼륨혈증) [내부링크]

20세 여자가 하루 전부터 소변이 붉어져 병원에 왔다. 이틀 전 실내 자전거 운동(스피닝)을 한 후 심한 허벅지 통증이 있었다 소변량이 줄었다. 혈압 150/90 mmHg, 맥박 75회/분, 체온 36.5도 이었다. 검사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이 사람에게 가장 중요한 예후 인자는? • 혈액:혈색소 9.5g/L, 혈액요소질소/크레아티닌 25/1.2mg/dL Na+/K+ 140/2.8mEq/L, 칼슘/인 10.9/5.5mg/dL, 요산 5.6mg/dL 아스파르테이트아미노전달효소 328U/L, 알라닌아미노전달효소 198U/L • 소변:잠혈 (3+), 단백질(-), 적혈구 0~2/고배율시야, 백혈구 0~1/고배율시야 ① 소변감소 ② 빈혈 ③ 고혈압 ④ 고칼슘혈증 ⑤ 저칼륨혈증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의 콘텐츠는 Master KMLE 6권. 신장요로/감염 책에 있는 과목. 신장요로 Topic 03. 급성 신손상 편 문제 및 해설 내용입니다. [해설] 핍뇨(oliguria) 정

불안장애(anxiety disorder) : 개요(DSM-5), 공황장애(개요, 진단, 치료) 범불안장애generalized anxiety disorder (개요, 진단, 치료)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 소개해드리는 콘텐츠는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 2판(근거편) vol 2 Part 10 신경 · 정신 Topic 10 불안장애 에 관한 내용입니다. 먼저 Part 10 목차부터 확인해봅시다! I. 불안장애 : 개요 불안장애의 분류 : DSM-5 • 불안장애란 항목에 속한 세부질환들을 다음 표와 같은 세부항목으로 재분류 • 세부질환의 진단기준 : 이전이랑 크게 변한 것이 없다. 표. 불안장애 및 관련 질환의 DSM 분류 DSM IV DSM-5 Anxiety Disorders - Panic Disorder Without Agoraphobia - Panic Disorder With Agoraphobia - Agoraphobia Without History of Panic Disorder - Specific Phobia - Social Phobia (Social Anxiety Disorder) -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 P

비브리오 감염: 콜레라(병원체 , 임상양상, 진단, 치료), 기타 비브리오 감염 (Vibrio parahaemolyticus Vibrio vulnificus) 등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의 콘텐츠는 Master KMLE 06권. 신장요로/감염 책에 있는 과목. 감염 Topic 07. 그람음성균에 의한 질환 리뷰 03. 비브리오 감염(콜레라/기타 비브리오 감염)편 내용입니다. 리뷰 전에, 토픽 목차부터 확인해보겠습니다. 리뷰 03 비브리오 감염(콜레라/기타 비브리오 감염) 01. 콜레라 1. 병원체 • V. cholerae : 쉼표 모양의 그람음성 막대균 • 지질다당질(lipopolysaccharide)의 O 항원에 따라 200가지 이상의 혈청군(serogroup)으로 분류 • 발병기전 ① 소장에서 증식[invasion(-)] & enterotoxin 분비 ② Enterotoxin: adenylate cyclase 자극 → intracellular cyclic AMP ↑ → 소장에서 isotonic fluid 분비 2. 임상양상 (1) 증상 • 특징적인 증상 : 24-48시간의 잠복기 후에 갑작스럽게 나타나는 수양성 설사 및 탈수

수혈 부작용 : 용혈수혈반응, 비용혈수혈반응, 감염합병증 등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Master KMLE 1권. 의학총론/외과총론에 있는 Section 01. Vital을 잘 다루자! Topic 05. 수혈요법에 있는 리뷰 03. 수혈 부작용 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먼저 관련 목차부터 확인해봅시다! 리뷰 03 수혈 부작용 수혈부작용은 크게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다. 용혈성수혈반응 면역매개 반응 • 급성용혈수혈반응(Acute hemolytic transfusion reaction, AHTR) • 지연성용혈수혈반응(Delayed hemolytic transfusion reaction, DHTR) 비면역매개 반응 • 비면역용혈수혈반응 비용혈성수혈반응 (전체 수혈부작용의 대부분 차지) 면역매개 반응 • 발열비용혈수혈 반응(Febrile non-hemolytic transfusion reaction, FNHTR) • 지연성혈청학적수혈반응(Delayed serologic transfusion reaction, DSTR) • 알레

만성 콩팥병(Chronic Kidney Disease): 원인(Uremic Syndrome), 진단(CKD Stage, GFR측정, CKD vs AKI), 치료(ACEi/ARB)등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의 콘텐츠는 Master KMLE 06권. 신장요로/감염 책에 있는 과목. 신장요로 Topic 04. 만성콩팥병 리뷰 01. 만성 콩팥병(Chronic Kidney Disease) 편 내용입니다. 리뷰 전에, 토픽 목차부터 확인해보겠습니다! 리뷰 01 만성 콩팥병(Chronic Kidney Disease) 01. 원인 및 병태생리 1. 원인 ① Diabetic nephropathy (m / c) ② Hypertension ③ Glomerulonephritis ④ Autosomal dominant polycystic kidney disease ⑤ Other cystic and tubulointerstitial nephropathy 위 5가지는 만성 콩팥병의 대표적 원인들인데, 이 만성적인 질환들로 인해 콩팥의 Nephron 수가 감소한다. 초기에는 살아 남은 nephron들이 hyperfiltration 과 hypertrophy를 통해 보상하지만,

수두(chicken pox) : 개요, 임상증상, 진단, 예방, 치료등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이번 시간은 SMART 소아진료매뉴얼 2판 책에 있는 Section 02 흔한 증상 및 질환의 접근 Part 05 수두 수두(chicken pox)를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먼저 관련 목차부터 확인 해 봅시다! Topic 08 수두(chicken pox) Core review 임상양상 진단 치료 스마트 진료 Essentials Practical guide 보험기준 Topic 08 수두의 "Core review", "스마트 진료 Essentials" 내용은 스마트 소아진료매뉴얼 2판 을 참고해주세요! I. 개요 원인 • Varicella zoster virus(VZV, HHV-3)1),2) - 인간 알파 헤르페스 바이러스에 속한다. - 단순 헤르페스 바이러스 1, 2형과 유사한 생물학적 특성을 나타내는데 혈청형은 한 가지이다. • Varicella-zoster virus(이하 수두 바이러스)는 수두와 대상포진이라는 두 가지 임상 증후군 유발1),2) ①

[Q&A]Primary spontaneous pneumothorax에서 수술의 적응증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이번 시간은 Master KMLE Q&A 서비스를 진행하면서 본과 4학년분들의 질문 내용과 대표저자의 답변 내용을 소개해드리겠습니다. 바른의학연구소는 Master KMLE 구매자분들께 감사의 마음으로 대표저자에게 직접 질문을 할 수 있는 Q&A 서비스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Q&A 외에도 A/S 서비스의 일환으로 정오표, 보충자료 등을 제공해드립니다. 과목 Master KMLE 4권 호흡기 리뷰 01 기흉:개요 문제 22세 남자가 갑자기 왼쪽 가슴이 아프고 숨이 차다고 왔다. 6주 전 왼쪽 공기가슴증으로 가슴관 삽입치료를 받았다. 왼쪽 가슴타진에서 과다공명(hyperresonance)이 들렸고, 청진에서 왼쪽 폐음은 들리지 않았다. 가슴 X선 사진에서 6주 전 응급실에서 촬영한 사진과 비슷한 소견이 관찰되었다. 가장 적합한 치료는? ① 흉강천자 ② 비디오보조흉강경수술(Videoscopy assisted thoracic surgery, VATS) ③ 고

후천성 용혈 빈혈 : 자가면역 용혈 빈혈 AIHA, 발작성 야간혈색소뇨증 PNH 등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의 내용은 Master KMLE 7권. 혈액/류마티스/알레르기 책에 있는 과목. 혈액 Section 1 조혈장애 Topic 4 용혈빈혈 리뷰 03 후천성 용혈 빈혈 입니다. 먼저 관련 목차 확인해 봅시다! 리뷰 03 후천성 용혈 빈혈 01. 자가면역 용혈 빈혈(AIHA ; Autoimmnune hemolytic anemia) 1. 기전에 의한 분류 : 모두 “ 자가면역 항체가 적혈구에 붙어 파괴하는 정도가 적혈구 생성보다 많을 때” 생기는 질환. • Extravascular hemolysis (warm- reactive AIHA) : 정상 온도에서 IgG가 RBC에 붙어서 주로 spleen, liver에 서 용혈이 일어난다. 이로 인해 anemia, jaundice, splenomegaly 등이 일어난다. 소아에서의 AIHA 90% 정도 차지한다. • Intravascular hemolysis (cold agglutinin disease) : 정

성인 전문 심폐소생술 : 제세동술 / 인공심장박동조율 - 패드형, 패들형, 경피 심장박동조율술 등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Master KMLE 1권. 의학총론/외과총론에 있는 Section 01. Vital을 잘 다루자! Topic 01. 심폐소생술 Sub Topic 1.1. 성인심폐소생술에 있는 리뷰 08. 성인 전문 심폐소생술 : 제세동술 / 인공심장박동조율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먼저 관련 목차부터 확인해봅시다! 리뷰 08 성인 전문 심폐소생술:제세동술/인공심장박동조율 • 2011년 공용가이드라인과 비교하여 2015년 가이드라인의 제세동술과 인공심장박동조율에 관한 가이드라인은 큰 변화는 없다. • 심정지가 발생한 모든 환자에서는 신속히 심폐소생술을 시작하되 제세동기가 준비되면 즉시 심전도 리듬을 확인한 후 필요한 경우에 즉시 제세동 시행 → 두 번째 제세동부터는 첫 에너지 권고량과 동일하거나 혹은 높은 에너지로 제세동 시행 01. 제세동술 기본 원리 신속한 제세동과 심폐소생술이 심정지 환자의 소생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이유 ① 갑자기 발생한 심정지 환

감기 - 개요, 진단/평가, 치료(NSAIDs, Acetaminophen, opioid, 진해제, 점액작용제, Streptokinase·Streptodornase 등), 상병명 등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 실전편(Case based approach) vol1 에 있는 Part 03. 호흡기·알레르기 Topic 05. 감기 내용입니다! 먼저 Part 03. 호흡기·알레르기 관련 토픽 목차부터 확인해볼까요? Core Review 1. 개요 • 감기치료에 비효과적 : 항히스타민, 코데인, 흡입성 ipratopium, 항생제 • 증상완화 가능성 : 항히스타민/충혈완화제 복합요법, 거담제, 진해제 등 • NSAIDs와 acetaminophen 은 감기로 인한 불편감 완화에 효과적이지만 acetaminophen을 일차약으로 권장 2. 항바이러스제/항균제 • 항바이러스제 : 사용할 만한 항바이러스제는 없음 • 항균제 : 성인 감기 환자에서 항생제를 처방하는 것은 권고될 수 없다. 3. 대증적 치료 기침 • 진해제 가래 • 점액작용제 비충혈/콧물/재채기 • 항히스타민제 • 비충혈제거제(nasal decongestant) • 항히스타민+

호흡기계 진찰 문제(악설음) - 선택지(기관지 천식, 특발 폐섬유증, 폐암, 흉막삼출(Pleural effusion), 공기가슴증(Pneumothorax) [내부링크]

흉부 청진 시 악설음(crackle)이 들리는 것은? ① 기관지 천식 ② 특발 폐섬유증(idiopathic pulmonary fibrosis) ③ 폐암 ④ 흉막삼출(Pleural effusion) ⑤ 공기가슴증(Pneumothorax)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문제 다들 잘 풀어 보셨나요?^^ 이번 콘텐츠는 Master KMLE 4권. 호흡기에 있는 Topic 01 호흡기계 신체검사 리뷰 01. 호흡기계 진찰 편 문제입니다. [해설] • 악설음/수포음(crackle, rale)은 다음과 같이 구분된다. Fine crackle Coarse crackle 특징 • 분비물과 무관 • 영상학적 변화 이전 존재가능 • 간헐적인 기도열림(intermittent airway opening)을 시사 • 분비물과 연관 관련질환 • 다양한 질환과 연관:간질 폐섬유증, 심부전, 폐렴 • 어떠 질환의 초기 징후일 수 있음: 특발 폐섬유증, 석면증 • COPD : 만성 기관지염 • 기관지확장증 •

담낭염 : 진단 - 임상양상, 신체검사(Murphy's sign), 검사실 검사, 영상검사, 중증도 분류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의 콘텐츠는 Master KMLE 2권 소화기 책에 있는 Section 03. 췌담도 Topic 25. 담도계 감염 SUB TOPIC 25.1. 담낭염 리뷰 02 담낭염 : 진단 편 내용입니다! 먼저 Section 03. 췌담도 목차부터 확인 해 봅시다! 리뷰 02 담낭염 : 진단 병력 청취, 임상 증상, 신체 검사, 말초백혈구 증가, CRP 증가, 간기능 이상, 영상 소견을 종합하여 진단한다. 혈액배양과, 채취 가능하다면 담즙배양을 권장한다. 영상검사로 초음파, CT, 간담도 주사검사를 권장한다. 01. 임상양상 • 결석으로 인해 담낭관 폐쇄가 발생하고 이로 인한 합병증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 발열과 함께 우상복부나 심와부에 심한 통증이 있고, 등으로 방사되기도 한다. 02. 신체검사 Murphy’s sign(특징적) :민감도 50-70%, 특이도 79-96% 03. 검사실 검사 • 혈액검사 - 말초혈 백혈구 증가, CRP 증가 -

기흉 : 자발기흉 - 종류, 병력, 신체검사, 진단적검사, 치료, PSP, SSP 등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의 콘텐츠는 Master KMLE 4권 호흡기 책에 있는 Section 02 주요 호흡기 질환 Topic 14 가슴막(흉막) 질환 리뷰 02 기흉 : 자발기흉 편 내용입니다. 먼저 Section 02의 목차부터 확인해보겠습니다! 리뷰 02 기흉 : 자발 기흉 01. 자발 기흉의 종류 1. 일차성 자발기흉(Primary spontaneous preumothorax) • 보통 폐꼭지 부위의 혀파쪽 가승막이나 바로 아래층에 있는 작은 기포가 터져서 발생 • 위험 요인:흡연, 키 크고 마른 젊은 남자, 가족력 • Apex, Rt. lung에 호발 • 약 50%에서 재발 2. 이차성 자발기흉 기저 폐 질환이 있음[거의 모든 폐 질환이 다 유발 가능:COPD m / c ] 02. 병력 • 일차성 자발기흉의 증상은 경미하거나 없을 수도 있다. 반대로 이차성 자발기흉의 경우에는 기흉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을지라도 증상이 더 심한 것이 일반적이다. • 호흡곤란의

만성 설사 : 진단적 접근 - 임상양상, 병력청취, 신체검사, 기능적 대 기질적 장질환 감별, 진단적 검사 등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의 콘텐츠는 Master KMLE 2권 소화기 책에 있는 Section 01. 위장관 Topic 01. 주요 위장관 증상 SUB TOPIC 1.4. 설사 리뷰 06 만성 설사 : 진단적 접근 편 내용입니다! 먼저 Section 01. 위장관 목차부터 확인 해 봅시다! 리뷰 06 만성 설사:진단적 접근 01. 임상양상 원인 질환이 일어나는 부위에 따라 설사의 양과 임상상의 차이 존재 우측 설사(right-sided diarrhea,large volume diarrhea) 좌측 설사(left-sided diarrhea, small volume diarrhea) • 소장이나 우측대장에서 수분이 제대로 흡수되지 못하여 발생 • 양이 많다. • 좌측대장의 원인에 의해 발생 • 양이 적다. • 저장기능 상실:배변 횟수↑ • 배변 후에도 시원하지 않고 잔변감, 뒤무직(tenesmus) 호소 • 대변못참음 • 흔히 감염이나 염증에 의해 발생:점액변, 혈변 02

철결핍 빈혈(Iron deficiency anemia): 진단- 혈청 ferritin, Peripheral Blood Smear, ACD, Sideroblastic anemia 등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 소개해드리는 콘텐츠는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 2판(근거편) vol 2 Part 08 혈액 (CBC 검사의 해석) Topic 02 적혈구 해석/빈혈의 접근에 있는 Topic 02-3 철결핍 빈혈 에 관한 내용입니다. 먼저 Part 08 목차부터 확인해봅시다! I. 철결핍 빈혈 (Iron deficiency anemia) : 개요 1. 철 역동학 및 대사(iron kinetics & iron metabolism) 1) 철의 체내에서의 기능 2) 체내 철분량 및 분포양상 2. 철결핍빈혈의 발전단계 3. 철결핍빈혈의 원인 철결핍 빈혈부분의 "개요" 내용은 SMART 일차진료매뉴얼 2판(근거편) 책을 참고해주세요! II. 철결핍 빈혈 (Iron deficiency anemia) : 진단 1. 임상양상1) • 빈혈은 임상양상만으로 진단할 수 없다. 피로(Fatigue) • Hb을 체크해보는 가장 흔한 이유 • Elnicky et al(Am J Med) :

만성B형간염문제 : 선택지(급성B형간염 회복기, 만성B형간염 급성악화, 만성B형간염 면역관용기, 만성B형간염 면역반응기, 만성B형간염 면역탈출기) [내부링크]

19세 남자가 입대 전 검진에서 B형간염이 있다고 왔다. 특별한 증상은 없었다. 어머니가 만성B형간염을 앓고 있다고 하였다. 혈액검사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진단은? • 아스파르테이트아미노전달효소 24 U/L, 알라닌아미노전달효소 30 U/L • IgG anti-HAV (+), IgM anti-HAV (-), HBsAg (+), anti-HBs (-), IgG anti-HBc (+), IgM anti-HBc (-), HBeAg (+), anti-HBe (-), HBV DNA 2.1 × 10^9 IU/mL ① 급성B형간염 회복기 ② 만성B형간염 급성악화 ③ 만성B형간염 면역관용기 ④ 만성B형간염 면역반응기 ⑤ 만성B형간염 면역탈출기 [해설] • AST/ALT 정상, HBeAg (+), HBV DNA 2.1 × 109 IU/mL → 만성 B형간염 면역관용기(Immune tolerant phase)에 해당 B형 간염의 자연경과(natural history) : 5개 임상 단계로 분류 20

담낭암 문제 - 선택지(경과 관찰, 방사선치료, 항암화학요법, 간쐐기절제술 및 주변림프절절제술, 오른쪽간절제술 및 온쓸개관빈창자문합술) [내부링크]

65세 남자가 쓸개들로 복강경 쓸개절제술을 받았다. 수술 후 조직검사에서 쓸개암이 발견되었고, 암은 쓸개벽의 근육층을 넘어 주변 결합조직(perimuscular connective tissue)까지 침윤되어 있었다. 쓸개관 절제연에서는 암세포가 발견되지 않았다. 처치는? ① 경과 관찰 ② 방사선치료 ③ 항암화학요법 ④ 간쐐기절제술 및 주변림프절절제술 ⑤ 오른쪽간절제술 및 온쓸개관빈창자문합술 [해설] • 담낭암의 치료는 근육층을 넘느나에 따라 달라진다. • 담낭의 점막이나 근육층에 국한되면서 림프절 전이가 없는 경우는 조기담낭암에 해당하며 암침윤 깊이가 근육층을 뚫은 T2이상이거나 림프절 전이 또는 원격 전이가 있는 경우는 진행성 담낭암에 해당한다. 조기 담낭암 진행성 담낭암 단순 담낭절제술 확대 담낭절제술 • 근육층을 넘으나 종양이 근육층 주위 결체조직으로 침범되고 장막이나 간으로의 침범은 없는 경우는 T2에 해당한다. T2 병기의 경우 여전히 이견이 남아 있지만 현재는 확대 절제술

소아 청소년 식이/영양 가이드: 정의, 주요 권고안, 영양소별 섭취 가이드(열량,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 식이섬유, 칼슘)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이번 시간은 SMART 소아진료매뉴얼 2판 책에 있는 Section 01 일차진료에서 흔히 접하는 이슈 Part 02 식이 · 영양 Topic 01. 소아 청소년 식이/영양 가이드를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먼저 관련 목차부터 확인 해 볼까요? Topic 01 소아 청소년 식이/영양 가이드 I. 개요 01 영양섭취기준 정의 • 최근 네 가지 개념으로 정의되고 있다. - 미국의 영양권장량을 제정해온 미국 국립학술원에서는 지난 1993년 미국과 캐나다의 저명한 영양학자들이 모인 영양학 학술대회에서 새로운 영양섭취 기준의 개념을 정립해야 한다는 데 의견을 모음 - 이후 1997년부터 2004년까지 8차에 걸쳐 영양소의 4가지 개념으로 구성된 영양 섭취 기준을 제정 영압섭취기준 정의 평균필요량 (estimated average requirements, EAR) 건강한 사람들의 일일 영양필요량의 중앙값 권장섭취량 (recommended intake) 평균필요량에

소아 장중첩증 (창자겹침증)(Intussusception) : 개요, 임상양상, 진단, 치료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오늘의 콘텐츠는 Master KMLE 13권. 소아과 각론 책에 있는 Topic 10. 소화기 SubTopic 10.4. 소장/대장 질환 소아 장중첩증 편 리뷰 내용입니다!! 먼저 Maser KMLE 13권. 소아과 각론의 자세한 목차를 확인해 봅시다! 리뷰 02 장중첩증(창자겹침증)(Intussusception) 01. 개요 • 일반적으로 상부 장이 하부 장 속으로 망원경같이 말려 들어가는 것을 뜻한다. • 돌막창자 부위(ileocecal)가 결장 안으로 말려들어가는 것이 가장 흔하다. (95%) 02. 임상양상 특징적인 증상 건강하던 아기가 갑자기 심한 복통(colicky pain)으로 자지러지듯이 울며 다리를 배 위로 끌어당기는 것으로, 이때 구토를 동반하기도 한다. 발작과 무증상이 반복 1~2분간 위와 같은 발작을 한 후에 약 5~15분간의 무증상 현상이 나타난다. 비특이적 증상 일부 환자에서는 간헐적으로 보채는 듯한 비특이적 증상이 나타난다. 이는 막힘의 정도

호흡기 : 기초 - 특성(상기도, 하기도, 기형, 흡인, 감염, 종양, 알레르기/반사), 진단, 관리(기도 확보 및 인공호흡) 등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오늘의 콘텐츠는 Master KMLE 13권. 소아과 각론 책에 있는 Topic 09. 호흡기 SubTopic 9.1. 호흡기를 이해하기 위한 기초 편 리뷰 내용입니다!! 먼저 Maser KMLE 13권. 소아과 각론의 자세한 목차를 확인해 봅시다! 리뷰01 호흡기: 기초 01. 영유아 호흡기의 특성 1. 영유아 호흡기의 약점 (1) 기도 (2) 흉곽 (3) 환기 (4) 수면과 호흡 조절 "영유아 호흡기의 약점" 의 자세한 내용은 Master KMLE 13권. 소아과 각론 책을 참고해주세요! 2. 기도 폐쇄의 종류와 임상적 의의 (1) 분류 : 기도 폐쇄의 부위 상기도① 하기도 기형 • 후비공 폐쇄, floppy epiglottis, 후두막, 기관 협착, 성대마비, 기관 연화증, 혈관륜, Pierre-Robin 증후군, 후두기관 연화증 • 기관지 협착, 기관지 연화증, 대엽 폐기종, aberrant vessels 흡인 • 태변, 점액, 이물, 구토물 • 양수, 기관식도루

천식(asthma) : 진단 - 증상/병력, 신체검사, 진단적 검사(spirometry, PEF, bronchoprovocation), 진단기준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의 콘텐츠는 Master KMLE 4권 호흡기 책에 있는 Section 02 주요 호흡기 질환 Topic 05 천식 리뷰 02 천식(asthma) : 진단 편 내용입니다. 먼저 Section 02의 목차부터 확인해보겠습니다! 리뷰 02 천식(asthma) : 진단 특징적인 증상과 가변적인 기류제한을 확인할 수 있는 검사로 진단가능 초기임상적진단 흐름도 알고리즘 천식의 "초기임상적 진단 흐름도" 내용은 Master KMLE 4권 호흡기 책을 참고해주세요! 01. 증상 및 병력 천식을 의심할 수 있는 경우 다른 질병의 가능성도 고려해야 하는 경우 • 전형적 증상 (호흡곤란, 천명, 가슴답답함, 기침)이 두 가지 이상 동시에 존재 • 증상의 강도가 시간에 따라 변화하며 주로 밤이나 이른 아침에 악화 • 다음과 같은 인자에 노출될 때 증상 유발:감기 등의 바이러스 감염, 운동, 알레르겐 노출, 날씨 변화, 웃음, 매연이나 강한 냄새와 같은 자극적인 물질

음주(Problem drinking) : 진단/평가, 치료 - (benzodiazepine, thiamine, Magnesium, acamprosate, naltrexone 등)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 실전편(Case based approach) vol1 에 있는 Part 1 질병예방·건강증진 Topic 03. 음주(Problem drinking) 내용입니다! 먼저 Part 1 질병예방·건강증진 관련 토픽 목차부터 확인해볼까요? Core review [추가내용 및 REFERENCE] • motivational enhancement therapy에 대한 내용 보충 • Lee K-S. Moderate drinking and motivational enhancement therapy.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2011; 54(10) : 1047. 1. 평가 • 일차의료에 방문한 모든 환자를 대상으로 음주문제에 대한 적극적인 선별검사를 시행할 것 • 선별검사:국내에서 타당성이 입증된 선별검사도구를 활용할 것( 3개 문항으로 음주습관을 조사하는 방법) 3문항 음주 습관 조사방법

다낭신질환(polycystic kidney disease)문제: 보기 (아목시실린, 반코마이신, 클린다마이산, 독시사이클린, 시프로플록사신) [내부링크]

54세 여자가 2일 전부터 발열, 오한과 왼쪽 옆구리 통증이 있어 병원에 왔다. 동생이 말기콩팥병으로 혈액투석을 받고 있었다. 혈압 140/95 mmHg, 체온 38.3였다. 복부에서 덩이가 만져졌으며, 오른쪽 갈비척추각 압통이 관찰되었다. 검사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치료는? • 혈액 : 혈색소 13.3g/dL, 백혈구 14,000mm^3, 크레아티닌 1.4mg/dL • 소변 : 단백질(2+), 적혈구 5~9/고배율시야, 백혈구 30~49/고배율시야 • 복부초음파 : 양쪽 콩팥과 간에 다수의 남종 ① 아목시실린(Amoxicillin) ② 반코마이신(Vancomycin) ③ 클린다마이산(Clindamycin) ④ 독시사이클린(Doxycycline) ⑤ 시프로플록사신(Ciprofloxacin)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이번에 올려드리는 콘텐츠는 Master KMLE 6권. 신장요로/감염 책에 있는 Topic 08 다낭신질환/콩팥세관 질환 리뷰 01 다낭신질환(polycysti

파종혈관내응고(DIC) 문제 및 풀이: 보기 (급성 간기능상실, 급성 콩팔기능상실, 비타민 K 결핍, 파종혈관내응고, 혈전혈소판감소자색반병) [내부링크]

32세 남자가 체표면적 60%의 화상으로 입원하였다. 입원 12일째 화상 부위와 중심정맥관 삽입 부위에 출혈 이 발생하였고, 코위관으로 출혈성 위액이 배액되었다. 검사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진단은? • 혈색소 7.1g/dL, 백혈구 22.000/ mm^3, 혈소판 30,000/ mm^3 • 혈액요소질소/크레아티닌 26/1.1mg/dL, 총 단백질 6.1g/dL, 알부민 2.8g/dL, 총 빌리루빈 1.7g/dL, 알칼리인산분해효소 124U/L, 아스파르테이트아미노전달효소76U/L, 알라닌 아미노전달효소 81U/L • 프로트롬빈시간 20초(참고치, 12.7-15.4), 활성화부분트롬보플라스틴 시간 55초(참고치, 26.3~39.4) • 피브리노겐 140mg/dL(참고치, 200~400), 혈청 피브린분해산물(FDP) 25g/mL(참고치. <10) ① 급성 간기능상실 ② 급성 콩팔기능상실 ③ 비타민 K 결핍 ④ 파종혈관내응고 ⑤ 혈전혈소판감소자색반병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척추 관절병증 : 강직척추염(Ankylosing Spondylitis)- 임상 양상, 검사소견,방사선 소견, 진단 분류 기준, 치료 등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의 내용은 Master KMLE 7권. 혈액/류마티스/알레르기 책에 있는 과목. 류마티스 Topic 6. 척추 관절병증 리뷰 02. 척추 관절병증 : 강직척추염(Ankylosing Spondylitis) 입니다!! 먼저 류마티스 과목의 목차부터 확인해 보겠습니다! 리뷰 02. 척추 관절병증 : 강직척추염(Ankylosing Spondylitis) 01. 강직척추염의 이해 • 주로 추체(axial skeleton)를 침범하는 원인 미상의 만성 염증질환 • 말초관절과 관절 외 기관 역시 흔히 침범 • 대개 10-20대에서 발병, 남녀비=2~3:1 • 축성 척추관절염(axial spondyloarthritis) : 강직척추염의 전형적인 진단 기준에 맞지 않는 조기 혹은 가벼운 형태 • HLA-B27 항원과 깊은 연관, 전 세계적으로 발생하며 유병율은 이 항원의 양성률에 비례함, HLA-B27은 병의 중증도와는 상관없다. 02. 임상양상 경한 초기질환의

급성 췌장염 진단: 증상 및 징후, 진단적 검사, 원인에 대한 평가, 감별진단, 중증도 평가 등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의 콘텐츠는 Master KMLE 2권 소화기 책에 있는 Section 03. 췌담도 Topic 27 급성 췌장염 리뷰 02 급성췌장염 : 진단 편 내용입니다! 먼저 Section 03. 췌담도 목차부터 확인 해 봅시다! 리뷰 02. 급성췌장염 : 진단 01. 진단 기준 • atlanta classification and definitions이 대표적으로 사용되고 있다.(2013 recent update) • 아래 세가지 중에 2가지 이상이면서 다른 췌장질환이나 급성복통을 일으키는 질환이 감별된다면 급성췌장염으로 진단할 수 있다. ⑴ 상복부의 급성복통과 압통 ⑵ 혈액췌장효소수치의 상승(아밀라아제 그리고/또는 리파아제 ≥ 정상상한치의 3배) ⑶ 복부초음파, 복부 CT, 혹은 복부 MRI에서 급성췌장염의 소견 • amylase 혹은 lipase가 정상상한의 3배 미만 상승시에도 급성 췌장염의 진단이 가능함을 주목!(즉 ①+③의 조합이 가능) 표.급성

복부외상(abdominal trauma) : 손상 기전에 대한 이해, 임상양상, 진단적검사, 개복술 Gold standard 치료 등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Master KMLE 1권. 의학총론/외과총론에 있는 Topic 09. 복부손상에 있는 리뷰 01. 복부외상(abdominal trauma)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먼저 관련 목차부터 확인해봅시다! 리뷰 01. 복부외상(abdominal trauma) • 둔상은 자상에 의한 손상보다 더 큰 사망률을 보인다. (① 진단이 어렵다. ② 보통 다발성의 복강 내 장기 손상과 복부 외 기관들의 손상을 동반한다.) 01. 손상 기전에 대한 이해 손상 기전에 따라 손상 패턴이 다르기 때문에 손상 기전에 대한 파악은 매우 유용하다. 둔상 • 자동차 사고 시 복부 둔상이 발생하는 기전 2가지 ① 직접적인 타격 : 안전벨트나 운전대 같은 고정된 물체에 의해 복부 장기에 대한 직접적인 압박 → 유강장기 내강압력의 급격한 상승 → 장기 파열 → 출혈, 복막염 ② 감속 손상, 비틀기 힘(Shearing force) : 빠른 속도로 움직이던 차가 갑자기 정지할 때

고혈압(hypertension) : 개요, 정의, 기준, 증상, 진단 및 평가, 검사, 국내지침, 유럽지침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 소개해드리는 콘텐츠는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 2판(근거편) vol 1 Part 05 심혈관 2장 심혈관 증상/징후/질환 에 있는 Topic 04 고혈압 에 관한 내용입니다. 먼저 Part 05 목차부터 확인해봅시다! I. 고혈압(hypertension) : 개요 1. 고혈압의 정의/기준 • 고혈압의 기준 및 혈압의 분류는 다음 표와 같다. 혈압 분류 수축기 혈압(mmHg) 확장기 혈압(mmHg) 정상(normal) < 120 그리고 < 80 고혈압전단계(prehypertension) -1기 120~129 또는 80~84 -2기 130-139 또는 85-89 고혈압 -1기 140~159 또는 90~99 -2기 ≥ 160 또는 ≥ 100 수축기단독고혈압 ≥ 140 그리고 < 90 • 측정방법에 따른 고혈압의 진단 기준은 다음 표와 같다. 측정방법에 따른 진단기준 수축기 혈압(mmHg) 확장기 혈압(mmHg) 진료실 혈압 ≥ 140 ≥ 90 24시간

객혈 : 원인, 진단, 검사, 병력, 가성객혈(pseudohemoptysis), 토혈 (hematemesis)감별 등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의 콘텐츠는 Master KMLE 4권 호흡기 책에 있는 Section 01 호흡기의 진단적 접근 Topic 04 주요 호흡기 증상/징후 리뷰 05 객혈 편 내용입니다. 먼저 Section 01의 목차부터 확인해보겠습니다! 리뷰 05 객혈 01. 개요 1.객혈이란? 2. 객혈은 어떻게 분류하나 (1) 출혈양에 따른 분류 (2) 대량객혈 객혈의 "개요" 내용은 Master KMLE 4권 호흡기 책을 참고해주세요! 02. 객혈의 원인 객혈은 다양한 원인질환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표. 객혈의 감별진단 원인별 분류 주요 원인 하기도 이외의 원인 • 상기도(비인두) 출혈 • 위장관 출혈 기관-기관지 원인 • 종양 : 기관지유래 암종, 기관지내 전이암, 카포시육종(Kaposi sarcoma), bronchial carcinoid • 기관지염(급성 혹은 만성) • 기관지확장증 • 기관지결석증(Broncholithiasis) • 기도 외상 • 이물질 폐실질

갑상샘 기능 항진증 문제: 보기(레보티록신 감량, 레보티록신 증량, 레보티록신 0.1 mg 유지, 리오티로닌으로 변경, 혈청 갑상샘과산화효소항체 검사 후 결정) [내부링크]

임신 7주인 28세 여자가 갑상샘기능검사를 받기 위해 왔다. 5년 전 갑상샘기능저하증을 진단받고 레보티록신 0.1 mg을 매일 복용하고 있다. 혈액검사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조치는? • T3 105ng/dL (참고치, 77~135) • 유리 T4 1.24ng/dL (참고치, 0.8~1.7) • 갑상샘자극호르몬 4.10mIU/L (참고치, 0.1~2.5) ① 레보티록신 감량 ② 레보티록신 증량 ③ 레보티록신 0.1 mg 유지 ④ 리오티로닌으로 변경 ⑤ 혈청 갑상샘과산화효소항체 검사 후 결정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이번에 올려드리는 콘텐츠는 Master KMLE 5권. 내분비 책에 있는 Topic 03 갑상샘 질환 SubTopic 03-3 갑상샘 기능항진증 편 문제입니다. [해설] • 레보티록신 복용 중에서 시행한 갑상샘기능검사에서 유리 T4, T3은 정상이지만 갑생샘자극호르몬이 정상치보다 높게 측정 되고 있다. 임신 중에는 임신 전보다 T4 요구량이 늘어나는데 임신 중 체

갑상샘염 문제: 보기 (리델갑상샘염, 그레이브스병, 아급성갑상샘염, 하시모토갑상샘염, 일과성갑상샘중독증을 동반한 만성갑상샘염) [내부링크]

36세 여자가 1개월 전부터 앞목이 붓는다며 병원에 왔다. 3주 전부터 가슴이 두근거리고, 땀이 많이 난다고 하였다. 3개월 전에 3.5 kg 남아를 정상 분만하였으며 모유 수유는 하지 않는다고 하였다. 혈압 135/80mmHg, 맥박 114회/분, 호흡 18회/분이다. 갑상샘은 전체적으로 크게 만져지며 압통은 없다. 검사 결과는다음과 같다. 진단은? • 혈액: T3 312 ng/dL(참고치, 77~135), 유리 T4 2.9 ng/dL(참고치, 0.8~1.7), 갑상샘자극호르몬 <0.01 mIU/L (참고치, 0.34~4.25) 갑상샘자극호르몬수용체항체 음성, 갑상샘과산화효소항체 120 IU/L (참고치, <35) • 99mTc-갑상샘스캔: 섭취 감소 ① 리델갑상샘염 ② 그레이브스병 ③ 아급성갑상샘염 ④ 하시모토갑상샘염 ⑤ 일과성갑상샘중독증을 동반한 만성갑상샘염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이번에 올려드리는 콘텐츠는 Master KMLE 5권. 내분비 책에 있는 Topic 0

소아의 발달(development)양상: 감각의 발달(Sensory development), 운동기능(Motor function), 언어발달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이번 시간은 SMART 소아진료매뉴얼 2판 책에 있는 Section 01 일차진료에서 흔히 접하는 이슈 Part 01 성장 · 발달 Topic 05. 소아의 발달평가 Sub Topic 2-1 소아의 발달양상을 소개해드리겠습니다. 먼저 관련 목차부터 확인 해 볼까요? Sub Topic 2-1 소아의 발달(development)양상 태어나서 6세까지의 영유아 시기는 모든 면에서 급속한 성장과 발달이 일어나는 시기이다. I. 발달영역 SUB TOPIC 2-1 소아의 발달양상의 "I. 발달영역" 내용은 스마트 소아진료매뉴얼 2판 을 참고해주세요! II. 기능별 발달 과정 1. 감각의 발달(Sensory development) 1) 시각4) ① 신생아: 만삭 신생아는 빛을 비추면 눈을 감는 시각 반응을 보인다. 신생아는 20-30 cm 거리에 있는 물체를 가장 잘 볼 수 있는데, 천천히 움직이는 물체에 시선을 고정하거나 45-90 내에서 따라 본다. ② 2

담관염 진단: 증상, 검사, 분류, systemic inflammation, cholestasis, CBC, CRP, Bilirubin, alkaline phosphatase 등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의 콘텐츠는 Master KMLE 2권 소화기 책에 있는 Section 03 췌담도 Topic 25 담도계 감염 SubTopic 25.2 담관염 리뷰 02 담관염 : 진단 편 내용입니다! 먼저 Section 03 췌담도에 있는 목차부터 확인 해 봅시다! 리뷰 02 담관염 : 진단 01. 진단기준 항목 Threshold 1. 전신염증 (systemic inflammation) 1-1. 발열 and/or 오한(shaking chills) BT >38 1-2. 검사실 검사: 염증반응의 증거 WBC <4, 혹은 >10 CRP ≥1 2. 담즙정체(cholestasis) 2-1. 황달 T-bil ≥2(mg/dL) 2-2. 검사실 검사: 간기능검사 이상 ALP(IU) >1.5 × STD γGTP >1.5 × STD AST >1.5 × STD ALT >1.5 × STD 3. 영상소견 3-1. 담관확장(biliary dilatation) - - 3-2. 원인(협

자가면역감염 (autoimmune hepatitis): 자가면역간질환, PBC, PSC, IAC, Overlap syndrome 등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의 콘텐츠는 Master KMLE 2권 소화기 책에 있는 Section 02 간 Topic 18 만성감염 SubTopic 18.3 자가면역감염 리뷰 01 자가면역감염, 리뷰 02 기타자가면역감염 편 내용입니다! 먼저 Section 02 간에 있는 목차부터 확인 해 봅시다! 리뷰 01 자가면역감염(autoimmune hepatitis) 01. 자가면역간질환 : 개요 1. 자가면역간질환이란? • 전체 간질환에서 약 5% 정도를 차지하는 드문 만성 간질환 • 바이러스간염, 약제나 독성간염, 대사 및 유전적 간질환을 배제하고 진단된다. 1. 자가면역간질환의 종류는? 자가면역간질환은 다음과 같은 질환을 포함한다. 1) 자가면역간염(autoimmune hepatitis, AIH) 2) 원발담즙성간경변(primary biliary cirrhosis, PBC) 3) 원발경화성 담관염(primary sclerosing cholangitis, PSC) 4) 면역글

식도질환: 식도운동질환 - 식도이완불능증(achalasia), aperistalsis, DES (Diffuse Esophageal Spasm), Nitrate, CCB 등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의 콘텐츠는 Master KMLE 2권 소화기 책에 있는 Section 01. 위장관 Topic 02. 위식도질환 SubTopic 02-1. 식도질환 리뷰 02. 식도질환: 식도운동질환 편 내용입니다! 먼저 Section 01. 위장관에 있는 목차부터 살펴볼까요? 리뷰 02 식도질환 : 식도운동질환 01. 식도이완불능증(achalasia) 1. 식도이완불능증이란? 연하시 식도체부의 무연동운동(aperistalsis)과 하부식도괄약근의 불이완을 보이는 식도운동질환 2. 병태생리 • 식도 연동운동과 하부식도괄약근의 이완을 조절하는 근육신경절(myenteric neuron)의 소실로 발생한다. • 분류: ① 특정한 원인을 알 수 없는 특발성(idiopathic)인 경우(대부분 특발성); ② 이차적인 원인에 의하여 발생하는 경우 3. 진단 (1) 식도 조영술 (barium swallow X-ray) (2) 식도 내압검사(manometery) (3) 내시

탈모(Alopec): 남성형탈모, 여성탈모증, 원형탈모(Alopecia areata), folliscope, minoxidil, alfatradiol, Triamcinolone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 소개해드리는 콘텐츠는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 실전편(Case based approach) vol2 에 있는 Part 12. 피부 Topic 05. 피부속기 질환 (Diseases of the skin appendages) Sub Topic 05-2. 탈모(Alopecia) 편 내용입니다! 먼저 Part 12. 피부 관련 토픽 목차부터 확인해보겠습니다! Core review 1. 개요 1) 두피의 구역 분류 2) 탈모의 원인 및 감별진단 2. 남성형탈모증 1) 진단 2) 치료 (1) Minoxidil (2) Finasteride (3) Dutasteride 3. 원형탈모증(Alopecia areata) 4. 여성형 탈모(female pattern hair loss) 자세한 "Core review" 내용은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 : 실전편 책을 참고해주세요!! Practical guide: 탈모 - 개요 핵심 포인트. 객관적인 평가를 위해서 두피측정

생식샘질환: 생식샘저하증 문제 - 진단 (선택지: 칼만증후군, 뇌하수체샘종, 체질성장지연, 클라인펠터증후군, 프래더 - 윌리증후군) [내부링크]

18세 남자가 성기가 작다며 병원에 왔다. 학교 성적은 반에서 중간 정도라고 한다. 냄새는 잘 맡는다고 하였 다. 진단은? P/E • 키/몸무게 182 cm/73 kg • 팔다리가 길어 보이고 양쪽 유방이 만져짐 • 왜소음경; 고환: 2 mL 정도 크기, 단단하게 만져짐 호르몬검사 • 유리 T4 1.1 ng/dL (참고치, 0.8~1.7), 갑상샘자극호르몬 1.8 mIU/L (참고치, 0.34~4.25), 프로락틴 11 ng/mL (참고치, 2.5~17) • 총테스토스테론 212 ng/dL (참고치, 270~1,070), 황체형성호르몬 28 mIU/mL (참고치, 2.0~12.0), 난포자극호르몬 35 mIU/mL (참고치, 1.0~12.0) ① 칼만증후군 ② 뇌하수체샘종 ③ 체질성장지연 ④ 클라인펠터증후군 ⑤ 프래더-윌리증후군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 포스트는 마스터 KMLE 13권. 소아과 각론에 있는 Topic 13. 내분비 SUBTOPIC 13.4 생식샘질환 리

신생아 담즙 정체증(Neonatal cholestasis) 문제 - 감별진단 (선택지: DISIDA 스캔, 간생검, 복부 초음파 검사, MRCP, 모두 도움이 된다 ) [내부링크]

생후 7주된 여아가 지속되는 황달로 병원을 찾았다. 간은 5cm 만져졌고, 대변은 회백색이었다. 검사결과는 다음과 같을 때, 이 환아의 감별진단에 도움이 되는 검사로 옳은 것은? • 혈청 총빌리루빈 9.8mg/dL, 직접형 빌리루빈 5.2mg/dL, 혈청 아스파테이트 아미노전이효소(AST) 87U/L, 혈청 알라닌 아미노전이효소(ALT) 135U/L, 감마글루타민전이효소(GGT) 450U/L(참고치, 12~123U/L) • TORCH 음성 ① DISIDA 스캔 ② 간생검 ③ 복부 초음파 검사 ④ MRCP ⑤ 모두 도움이 된다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의 포스트는 마스터 KMLE 13권. 소아과 각론에 있는 Topic 10. 소화기 SUBTOPIC 10.5 간/담도/췌장질환 리뷰 01. 신생아 담즙 정체증(Neonatal cholestasis)편 문제입니다. [해설] >KEY CLUE • 생후 7주 영아. 황달, 간 비대, 회백색 대변 • 직접형 빌리루빈 증가, AST/A

성인 전문 심폐소생술(Advanced Cardiovascular Life Support, ACLS) : 개요, VF/Pulseless VT, PEA/ Asystole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 소개해드리는 콘텐츠는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 2판(근거편) vol 1 Part 01. 일차진료를 위한 기본기 다지기 3장. 이런 상황에도 대처해봅시다 에 있는 Topic 01. 응급처치 & 심폐소생술 에 관한 내용입니다. 먼저 목차부터 확인해볼까요? I. 심폐소생술 전략: 생존사슬 1. 생존사슬 2. 심폐소생술에서의 소아와 성인의 구분 "심폐소생술 전략: 생존사슬" 부분의 "생존사슬", "심폐소생술에서의 소아와 성인의 구분"내용은 SMART 일차진료매뉴얼 2판(근거편) 책을 참고해주세요! II. 성인 전문 심폐소생술(Advanced Cardiovascular Life Support, ACLS) : 개요 • 신속하고 효율적인 심폐소생술(충분한 속도 및 깊이의 가슴압박, 완전한 가슴 이완, 가슴압박 중단의 최소화, 과도한 인공호흡의 금지)이 중요!! • 심폐소생술을 하는 동안 호기말 이산화탄소분압 감시 장치 등 사용 가능한 감시 장치를 사용하고 산소

폐고혈압(pulmonary hypertension): 분류, 임상양상, 병태생리/원인, 특발성 폐동맥고혈압(IPAH, Idiopathic pulmonary arterial HTN)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Master KMLE 3권 심혈관 에 있는 Section 04. 주요 심혈관계 질환: 혈관질환(관상동맥/말초혈관) Topic 21. 폐고혈압에 있는 리뷰 01. 폐고혈압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먼저 관련 목차부터 확인해봅시다! 리뷰 01. 폐고혈압 01. 폐고혈압 (pulmonary hypertension) • 평균 폐동맥압이 안정시 25 mmHg (활동시 30 mmHg) 이상인 경우 (정상:12~16) • 좌심부전, 폐실질 질환, 폐혈관 질환, 혈전색전증 등의 원인에 의해 폐동맥의 압력이 비정상적으로 증가되어 있는 상태 폐고혈압은 단순히 혈역학적으로 안정 시 평균 폐동맥압이 25 mmHg 이상으로 증가되어 있는 상태로 정의되나, 흔히 폐고혈압(pulmonary hypertension, PH)이란 용어는 좁은 의미에서 폐동맥 고혈압을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되기도 한다. 02. 분류 • 폐고혈압은 크게 폐동맥 고혈압(pulmonary arte

호흡기계 합병증: 무기폐(Atelectasis), 폐부종(Pulmonary edema), 폐색전증(Pulmonary embolism)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Master KMLE 1권. 의학총론/외과총론에 있는 Topic 04. 수술 후 주요 이슈 SubTopic 04-2. 외과적 합병증에 있는 리뷰 03. 호흡기계 합병증 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먼저 관련 목차부터 확인해봅시다! 리뷰 03. 호흡기계 합병증 수술 후에는 대부분의 환자에서 수술 후 첫 이틀간 폐활량(vital capacity)이 50% 이상 감소한다. 이로 인해 기능적 잔기 용량(functional residual capacity)이 감소되고, 여러 가지 호흡기계 합병증을 일으키게 된다. 무기폐(atelectasis)는 마취, 복부 절개, 수술 후 진통제 사용으로 인해 폐포가 허탈(collapse)되어 폐단락(pulmonary shunt)이 일어나는 것을 의미한다. 01. 무기폐 (Atelectasis) 수술 후 가장 흔한 호흡기 합병증은 무기폐(atelectasis)이다. 원인 • 마취, 통증이 심한 상부 복부 절개 및 흉부

풍진 german measles, rubella : 진단 (임상경과, 합병증, 진단, EIA, 혈청학적,급성, 선청성, lgM, lgG, 바이러스 분리, 감별진단)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이번 시간은 SMART 소아진료매뉴얼 2판 책에 있는 Section 02. 흔한 증상 및 질환의 접근 Part 05 감염/전신 (질환) Topic 05. 풍진(german measles, rubella) 을 소개해드리겠습니다. 먼저 Part 5 감염/전신 (질환) 목차부터 확인 해 보겠습니다. Topic 05. 풍진(german measles, rubella) Core review - 임상양상 - 진단 - 치료 (스마트)상병코드 I. 개요 1. 풍진 바이러스(Rubella virus) 2. 풍진의 역학 3. 발병기전2) Topic 05. 풍진(german measles, rubella) "Core review" 와 "개요" 내용은 SMART 소아진료매뉴얼 2판 책을 참고해주세요! II. 진단 1. 풍진의 임상양상1),2) 1) 풍진의 임상경과 잠복기 • 잠복기: 대개 17일 정도(14-21일) • 증상은 대체로 경하며 감염자의 50% 정도는 불현성이

비호지킨림프종 문제 - B symptom, Ann Arbor 병기 분류 체계, stage ⅡA, ⅡB, ⅢA, ⅢB, ⅢB 등 [내부링크]

28세 여성이 목에 혹이 만져지는 것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3개월 동안 체중이 6 kg 감소하였으며, 최근 들어 식은땀을 많이 흘린다고 하였다. 신체 검사에서 경부 및 대퇴부 림프절 조직 생검을 시행하였고 diffuse large B cell로 확인되었다. 복부 CT와 골수생검 소견은 정상이었다. 이 환자의 병기는? ① stage ⅡA ② stage ⅡB ③ stage ⅢA ④ stage ⅢB ⑤ stage ⅣA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의 콘텐츠는 Master Kmle 7권. 혈액/류마티스/알레르기 책에 있는 과목. 혈액 Section 02.혈액암 Topic 09. 림프종 리뷰 02. 비호지킨림프종 편 문제 및 문제해설입니다. [해설] • 상기 환자 B symptom(+)이며, diaphragm 위, 아래로 모두 침범하였으므로 stage IIIB이다. •B symptom 1) 체중 감소: 지난 6개월 동안 10% 이상 2) 발열: 지난 1개월 동안 38 C 이상 3)

황달(고빌리루빈혈증) : 빌리루빈 대사 Bilirubin - 간세포 흡수, 결합, 담즙 배설, 장관 내 대사, Urobilinogen, 신장 배설, 창자간순환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 소개해드리는 콘텐츠는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 2판(근거편) vol 1에 있는 Part 06. 소화기 3장. 소화기 증상/징후/질환(간담췌) Topic 02. 황달(고빌리루빈혈증) 내용입니다. 먼저 3장에 있는 토픽 목차부터 확인해보겠습니다! 자 그럼 시작합니다! Core review - 개정포인트 - Key reference 1. 개요 2. 원인/감별진단 3. 진단적 접근 Topic 02. 황달(고빌리루빈혈증) 편 Core review 내용은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 2판(근거편) 책을 참고해주세요^^ I. 황달(고빌리루빈혈증): 빌리루빈 대사 1. 빌리루빈(Bilirubin)이란? • heme의 분해 산물. 대부분이 수명을 다한 RBC의 Hb 분해로 비장에서 비결합 빌리루빈 (unconjugated bilirubin)의 형태로 만들어진다. 2. 빌리루빈 대사 • 간세포에서 만들어진 빌리루빈은 담즙의 한 성분으로서 소화관으로 배설되어 변으로서 체외로

게실질환 치료 문제 - 항생제 치료(시프로플록사신 ciprofloxacin, 메트로니다졸 metronidazole, amoxicillin, clavulanate 등), 장 휴식 등 [내부링크]

55세 여자가 하루 전부터 설사를 한다며 병원에 왔다. 속이 메스껍고 오른쪽 아랫배가 뻐근하게 아프고 설사를 한다고 하였다. 30년 전 막창자꼬리절제술을 받았다. 1개월 전 대장내시경검사에서 막창자에 다발곁주머니들이 있다고 하였다(두 가지). P/E • V/S: 혈압 120 /76mmHg, 맥박 66회/분, 호흡 20회/분, 체온 37.3C • 복부: 1) 청진: 장음 정상 2) 촉진: 오른쪽 아랫배 압통(+), 반동압통(-) 혈액검사 • 백혈구 11,710 / mm3 (중성구 81 %), 혈색소 12.4 g/dL • 혈소판 194,000 / mm3, 혈액요소질소/크레아티닌 18.2 /0.9 mg/dL • C-반응단백질 12.4 mg/L (참고치, <10) ① 독시사이클린 ② 메트로니다졸 ③ 수크랄페이트 ④ 콜레스티라민 ⑤ 시프로플록사신 ⑥ 에리트로마이신 ⑦ 클라리트로마이신 ⑧ 0.9 % 식염수 정맥주사 [해설] 진단은? >KEY CLUE • 설사, 오른쪽 아랫배 통증, dyspep

전신홍반루푸스(SLE) 치료 문제-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 항말라리아제 antimalarials, 코르티코스테로이드 corticosteroids, 세포독성 약제, NSAIDs [내부링크]

다발성 관절통과 고열, 구강 궤양, 얼굴에 나비모양의 발진, 양쪽 무릎과 팔꿈치의 부기, 압통을 주소로 24세 여성 환자가 내원하였다. 심초음파상 소량의 pericardial effusion이 관찰되었고 소변 검사는 정상이었다. 치료제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고용량 steroid ② 항말라리아제 ③ NSAIDs ④ 광선차단제 ⑤ steroid 연고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 소개해드리는 콘텐츠는 Master KMLE 7권. 혈액/류마티스/알레르기 책에 있는 과목 02. 류마티스 Topic 01. 전신홍반루푸스 리뷰 03. 전신홍반루푸스: 치료 편 문제 및 문제해설입니다. 문제 다들 풀어보셨죠?^^ 먼저 관련 토픽 목차부터 확인해보겠습니다. 그럼 해설을 시작합니다! [해설] >KEY CLUE • 24세 젊은 여성, 고열, 다발성 관절통과 종창, 구강 궤양, 나비모양 발진 • 심초음파: 소량의 pericardial effusion • 전신홍반루푸스가 의심되는 환자이다.

인플루엔자 문제: 진단, 검사 / 치료 - 신속 바이러스 항원 검출(RAT), M2 억제제, Neuraminidase(NA) 억제제, oseltamivir (Tamiflu) [내부링크]

65세 여성이 가족들과 함께 새해 해맞이 행사에 참여 후 3일 뒤부터 근육통, 기침, 콧물이 생겨 내원하였다. 열감을 호소하여 측정한 체온이 39 C였다. 다른 가족 2명도 비슷한 증상으로 치료를 받는 중이라고 했다. 콧물 항원검사에서 원인 병원체 양성 소견이 나왔을 때 가장 적절한 치료제는? ① Oseltamivir ② Inosiplex ③ Roxithromycin ④ Amoxicillin-clavulanate ⑤ Metronidazole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의 콘텐츠는 Master KMLE 6권. 신장요로/감염 책에 있는 과목. 감염 Section 04. 바이러스 감염 Topic 12. 인플루엔자 리뷰 01. 개요, 리뷰 02. 진단, 리뷰 03. 치료 및 예방 편 문제 및 해설 내용입니다. 먼저 관련 토픽 목차부터 살펴보겠습니다!! 해설을 보시기 전에 문제를 꼭 한 번 풀어보세요!! ^^ [해설] 진단은? • 전신 증상(근육통, 발열 등)과 호흡기 증상(기침,

지혈의 과정 문제- PT, aPPT 정상, 이상, 연장, B형 혈우병 Hemophilia, Protein C / AT Ⅲ deficiency, Afibrinogenemia, VWD [내부링크]

20세 남성이 멍이 잘 들고 코피가 나면 잘 멎지 않는 것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혈액검사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진단은? • 출혈시간 정상, 프로트롬빈시간 정상, 부분프로트롬빈시간 증가, 트롬빈시간 정상 ① B형 혈우병 ② Protein C deficiency ③ Afibrinogenemia ④ AT Ⅲ deficiency ⑤ VWD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Master KMLE 7권. 혈액/류마티스/알레르기 책에 있는 과목1. 혈액 Section 03. 지혈 및 혈전 Topic 11. 출혈질환에 대한 접근 리뷰 01. 지혈의 과정 편 문제 및 해설입니다. 관련 토픽 목차부터 확인해볼게요!! [해설] • PT 정상, aPTT 이상, 혈소판수가 정상인 경우 → 혈우병, 루푸스항응고물질, VIII인자억제인자, VWD 등을 먼저 감별해야 한다. 출혈 증상이 없는 경우 혼합 검사를 시행하여 루푸스항응고물질을 감별한다. 출혈 증상이 있다면 VIII, IX, X

사마귀(Cutaneous warts) 치료 : 냉동치료(cryotherapy), 약물치료, 사마귀 제거술, (경성/연성) 티눈 제거술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 소개해드리는 콘텐츠는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 실전편(Case based approach) vol2 에 있는 Part 12. 피부 Topic 04. 감염 피부질환(Infectious skin diseases) Sub Topic 04-4. 사마귀(Cutaneous warts) 편 내용입니다!! 먼저 Part 12. 피부 관련 토픽 목차부터 확인해보겠습니다! Core review 1. 개요 1) 사마귀란? 2) 분류: 다양한 방법으로 분류 가능 (1) 임상형에 따른 분류 (2) 발생 위치에 따른 분류 3) 임상양상 (1) 발생부위 (2) 임상경과 2. 치료 1) 치료가 필요한 경우 2) 치료방법 3) 냉동치료 Practical guide: 진단/평가 핵심 포인트 1. 사마귀는 다양한 양상을 보인다. 핵심 포인트 2. 티눈과의 감별이 중요하다. 포인트. 가장 중요 포인트는 검붉은 소반점 유무이다. "Core review", "Practical guid

신질환 문제 - 진단 / 치료, 급성 사구체 신염(APSGN), 고혈압 증상, 알부민, 니페디핀(nifedipine), 반코마이신(vancomycin), 시클로스포린, 프레드니솔론 [내부링크]

5세 여아가 3일 전부터 머리를 심하게 아파하며 토하여 병원에 왔다. 7일 전 열감기로 치료를 받았고, 1일 전 소변이 검붉었다고 하였다. 치료는? P/E • V/S: 혈압 155/90 mmHg, 체온 37.5C • 얼굴: 약간 부어 보임 • 정강뼈앞 오목부종(+), 옆구리 통증(-) 혈액 • 혈색소 10.5 g/dL, 백혈구 16,500/ mm3, 혈소판150,000/ mm3 • 혈액요소질소/크레아티닌 30/1.1 mg/dL, 총단백질 5.0 g/dL, 알부민 3.0 g/dL • 항핵항체 (-), 항사슬알균용혈소 O 800 Todd 단위(참고치, 120~160), C3 15 mg/dL (참고치, 83~177) 소변 • 포도당(-), 단백질 (+), 적혈구 다수/고배율시야, 백혈구 10~15/고배율시야 ① 알부민 ② 니페디핀 ③ 반코마이신 ④ 시클로스포린 ⑤ 프레드니솔론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문제 잘 풀어보셨나요?^^ 오늘은 Master KMLE 13권. 소아과 각론 책

승모판 협착증 Mitral stenosis, MS 이란? : 원인(류마티스열 heumatic fever), 병태생리, 심도자술소견, 증상(호흡곤란), 신체검사 소견(경정맥압 등)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Master KMLE 3권. 심혈관 책에 SECTION 3. 주요 심혈관계 질환:심장질환 Topic 09. 판막질환 리뷰 01. 승모판 협착증 Mitral stenosis, MS 편 내용입니다!! 먼저 관련 토픽 목차부터 살펴보겠습니다~ 자~ 그럼 시작합니다!! 리뷰 01. 승모판 협착증 Mitral stenosis, MS 01. 승모판 협착증이란? 승모판의 면적이 정상보다 좁아져 있는 질환을 일컫는다. 02. 원인 • 류마티스열(Rheumatic fever): m / c - 류마티스열에 의한 급성 염증의 후유증으로 첨판(leaflet) 부위가 섬유조직이나 칼슘의 침착으로 두꺼워지고 유착이 나타나면서 발생한다. - 류마티스열 발생 20년 후 증상이 발생 - 류마티스열로 인해 발생하는 승모판 협착증(Mitral stenosis, MS)은 여자가 남자보다 많다. MS → Ms(여자) • 선천성(Congenital): 드물다.

복통: 진단적 접근 - 병력(부위, 연관통, 양상, 급경련통(Colic, colicky pain), 원인, 통증 양상) 신체검사(전신 외양, 복부 검사, 직장수지검사)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의 콘텐츠는 Master KMLE 2권. 소화기 책에 있는 Section 01. 위장관 Topic 01. 주요 위장관 증상 SubTopic 01-3. 복통 리뷰 02. 복통: 진단적 접근 편 내용입니다! 먼저, Section 01. 위장관에 있는 토픽 목차부터 살펴보겠습니다! 리뷰 02. 복통: 진단적 접근 01. 병력 • 자세하고 구조화된 병력청취는 진단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고 불필요한 검사를 줄인다는 점에서 여전히 중요 • 병력청취 시 중점포인트 복통 자체에 대한 상세한 평가 • 통증부위(location), 성질, 강도, 빈도, 연관통(radiation), 통증의 이동양상(movement) • 통증의 발병시점(onset), 지속시간(duration), 중증도(severity), 성질(quality) • 악화 및 완화요인(exacerbating/remitting factors) • 동반증상의 유무① 기타 병력 • 기저 내과적 문제:다양한 전신 질

알레르기 검사: 개요(종류- 혈액/알레르겐 특이 IgE/유발 검사, IgE 매개 알레르기 진단), 피부반응검사(항원의 종류, 통년성/계절성, 실내, 꽃가루, 곤충, 곰팡이, 식품)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 2판(근거편) vol1 책에 있는 Part 03. 전신·감염 알레르기 1장. 진료를 위한 기초 Topic 01. 알레르기 검사 편 콘텐츠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먼저, Part 03의 Topic 목차를 확인해보겠습니다!! Topic 01. 알레르기 검사 I. 개요 알레르기질환은 알레르겐에 대한 특이 IgE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알레르겐 감작은 이후 알레르기질환 발생에 있어서 중요한 위험 인자로 알려져 있어 이를 확인하고 감시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자세한 병력 청취와 신체검사를 시행하고, 피부반응시험, 혈청검사 및 필요한 경우 유발검사를 통해 알레르기질환을 진단한다. 알레르기 검사의 종류 혈액검사 • 혈청 총 IgE, 호산구 검사 알레르겐 특이 IgE 검사 • 체내검사(in vivo) : 피부반응검사 : 피부단자검사(skin prick test), 피내검사(intradermal test) • 체외검사(in vi

골수증식종양: 진성적혈구증가증(Polycythemia vera, PV) 문제 - WHO 진단기준, 만성골수세포백혈병, 이차성적혈구증가증, 골수형성이상증, 적백혈병 [내부링크]

43세 남자가 건강검진 상 혈액수치 이상으로 내원하였다. 목욕 후 가려움이 심하다 하였고, 신체검진 시 지라가 만져졌다. 흡연력은 없었다. 혈액검사 소견은 아래와 같다. 가장 가능성 높은 진단은? • 혈색소 21.0g/dL, 적혈구용적률 63, 백혈구 12,000/mm3, 혈소판 860,000/mm3 • SaO2: 94%, 적혈구형성인자: 2mU/mL, JAK2mutation(+) ① 만성골수세포백혈병 ② 진성적혈구증가증 ③ 이차성적혈구증가증 ④ 골수형성이상증 ⑤ 적백혈병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문제 다들 풀어보셨나요?^^ 이번 문제는 Master KMLE 7권. 혈액/류마티스/알레르기 책에 있는 과목. 혈액 Section 02.혈액암 Topic 06. 골수증식종양 리뷰 02. 골수증식종양: 진성적혈구증가증 에 속하는 문제입니다. Section 02 토픽 목차를 한번 확인해보세요! 그럼 해설 시작합니다!! [해설] • 혈색소가 21로 크게 높아져 있다(erythrocyto

TTP/HUS: 개요 - 혈전미세혈관병증(thrombotic microangiopathy, TMA), 선천/특발 혈전혈소판감소자색반병, 이차, 용혈요독증후군, 병태생리, 감별진단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 올려드리는 내용은 Master KMLE 7권. 혈액/류마티스/알레르기 책에 있는 과목.혈액 Section 03. 지혈 및 혈전 Topic 12. 혈관벽/혈소판 장애 Sub Topic 12-3. 혈전혈소판감소자색반병/용혈요독증후군 리뷰 01. TTP/HUS: 개요 편 콘텐츠입니다!! 먼저 혈액 과목의 Topic 목차부터 확인해 보겠습니다! 리뷰 01. TTP/HUS: 개요 01. 혈전미세혈관병증(thrombotic microangiopathy, TMA)이란? • 병리학적으로 미세순환에서 적혈구 파괴에 의한 미세혈관병용혈빈혈(microangiopathic hemolytic anemia), 혈전에 의한 전반적인 미세혈관폐쇄와 혈소판파괴에 의한 혈소판감소증을 보이는 질환군(thrombotic micrangiopathy; a pathology that results in thrombosis in capillaries and arterioles, due

호흡기계 진찰 : 시진, 촉진, 타진, 청진 - 완서/체인-스토크스/실조성//폐쇄 호흡, Vocal fremitus, 공명음, 탁음, 기관지/폐포 호흡음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 올려드리는 콘텐츠는 Master KMLE 4권. 호흡기 책에 있는 Section 01. 호흡기의 진단적 접근 Topic 01. 호흡기계 신체검사 리뷰 01. 호흡기계 진찰 편 내용입니다. 먼저 Section 01의 토픽 목차부터 확인해보겠습니다! 리뷰 01. 호흡기계 진찰 순서: 시진 → 촉진 → 타진 → 청진 01. 시진(inspection) 1. 흉곽의 형태 및 변형 • Barrel chest: 오래된 폐기종(폐의 과팽창으로 전후경이 길어져 흉곽이 둥근 모양을 보임) • Flat chest: 납작가슴, 드물게 양쪽 흉막의 심한 비후 시 발생 • Hoover’s sign: COPD에서 흡기 시 rib cage의 paradoxical inward movement • 흉곽의 비대칭적 팽창: endobronchial obstruction, unilateral parenchymal or pleural disease - 기흉: 환측 흉부의 팽창 - 무

잠복고환증 cryptorchism : 개요 (오르내림, 미끄럼, 딴곳, 후천성, 미하강, 발생원인), 진단 (병력, 검사 방법, 비촉지성, 복강경, 영상의학, 검사실 검사)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이번 시간은 SMART 소아진료매뉴얼 2판 책에 있는 Section 02. 흔한 증상 및 질환의 접근 Part 09. 신장비뇨생식 Topic 05. 잠복고환증(cryptorchism) 콘텐츠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콘텐츠 보시기 전에 먼저 Part 09. 신장비뇨생식 토픽 목차부터 확인해보겠습니다! Topic 05. 잠복고환증(cryptorchism) Core review - 가이드라인 - 진단 - 치료 Topic 05. 잠복고환증(cryptorchism) Core review 내용은 SMART 소아진료매뉴얼 2판 책을 참고해주세요! I. 개요 1. 잠복고환증이란1)? 잠복고환증 오르내림고환 • 한 쪽 또는 양 쪽 고환이 음낭 내에 존재하지 않는 상태 • 고환이 만져질 수 있는지 여부에 따라 촉지성 잠복고환증과 비촉지성 잠복고환증으로 분류 • 정상적인 고환 하강 과정을 마친 경우이지만, 고환거근(cremaster muscle)의 견인(고환 거근반사,

살모넬라 Salmonella (장티푸스), 비장티푸스성 : 병원체, 창자열 enteric fever(원인, 병태생리, 위험군, 임상양상, 증상, 합병증, 진단, 검사, 치료)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의 콘텐츠는 Master KMLE 06권. 신장요로/감염 책에 있는 과목. 감염 Section 03. 세균 감염 Topic 07. 그람음성균에 의한 질환 리뷰 01. 살모넬라(장티푸스) 편 내용입니다. 리뷰 보시기 전에, 토픽 목차부터 확인해보겠습니다! 리뷰 01. 살모넬라(장티푸스) 살모넬라속(genus)의 세균은 사람과 동물 모두를 숙주로 하여 다양한 질병을 일으킨다. ① 창자열(enteric fever)을 일으키는 혈청형: S. typhi, S. paratyphi 혈청형(serotype) ② 나머지 혈청형(nontyphoidal Salmonella 혹은 NTS) : 이 중 200여종 이상의 혈청형이 사람에게 병원성을 보여 위장염을 흔히 유발, 기타 국소감염, 세균혈증 유발가능 01. 병원체 • 장내세균과(family)에 속하는 그람음성막대균 • 살모넬라 속: 크게 두 종(species)으로 분류: ① S. enterics: 6가지 아종(su

아급성 갑상샘염: 감별진단, 육아종 / 림프구 갑상샘염, Subacute granulomatous / lymphocytic thyroiditis, 병태생리, 임상양상, 검사, 치료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 올려드리는 콘텐츠는 Master KMLE 5권. 내분비 책에 있는 Topic 03. 갑상샘 질환 SubTopic 03-4. 갑상샘염 리뷰 02. 갑상샘염: 아급성 갑상샘염 편 내용입니다. 먼저 Topic 목차부터 확인해보겠습니다! 리뷰 02. 갑상샘염: 아급성 갑상샘염 • 대표적으로 아급성 육아종 갑상샘염과 아급성 림프구 갑상샘염이 있다. • 그레이브스병과 더불어 갑상샘중독증(thyrotoxicosis) 양상을 보인다. 그림. 갑상샘중독양상을 보이는 경우 감별진단 소견 아급성 육아종 갑상샘염 아급성 림프구 갑상샘염 그레이브스병 무통성 갑상샘염 산후갑상샘염 목 통증 예 아니오 아니오 아니오 최근 상기도감염 병력 예 아니오 아니오 아니오 전신증상 예 아니오 아니오 아니오 최근 임신력 아니오 아니오 예 아니오 갑상샘 증상 예 예 예 예 ESR 상승 정상 정상 정상 CRP 상승 정상 정상 정상 TSH -/Nl /-/Nl /-/Nl 억제 FT4 -/Nl

2020/2021 마스터(Master) KMLE : A/S 서비스 4가지! #3 [내부링크]

Master KMLE 구매자는 끝까지 책임진다! 2020/2021 마스터(Master) KMLE : A/S 서비스 (Slack 메신저 사용) (본과 4학년 대상 시범서비스 진행 중) Slack 채널 예시_모바일(왼쪽), Slack 채널 예시_PC(오른쪽) 1. 전문의 출신 대표저자에게 직접 질문하기 공부하면서 궁금한 점을 전문의 출신 대표 저자에게 직접 질문하고 답변을 받을 수 있습니다. 질문을 하지 않더라도 다른 학우분들이 질문하고 답변 받은 내용들을 모두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Slack 질문 예시 2. 정오표 제공 5월 이후 매달 정오표를 업데이트하여 PDF 파일로 제공해드립니다. 정오표 PDF 예시 3. 보충자료 제공 개정판에서 내용 수정 및 추가될 부분을 PDF 파일로 미리 제공해드립니다. 보충자료 PDF 예시 4. 온라인 Master KMLE 사이트 1) 질문 및 답변 답변 내용이 길거나, 표, 이미지 추가 등 Slack 메신저를 통한 답변에 제한이 있는 경우 온라인 Ma

2020/2021 마스터(Master) KMLE 개정판 달라진 점 #2 [내부링크]

2020/2021 마스터(Master) KMLE 개정판 달라진 점 저자, 출판사 등의 내적 프로세스에 의한 개정(internal update), 외부(평가단, 독자)의 feedback 수렴 등의 외적 프로세스에 의한 개정(external update)을 유기적으로 엮어 개정을 진행하였습니다. 1. 개정방향: 내적 프로세스에 의한 개정(internal update) 본 프로젝트의 main director가 중심을 잡아주고 파트별 담당 저자가 지속적으로 집필에 참여한다는 점은 internal update가 나름의 체계를 가지고 작동할 수 있는 원동력이 됩니다. 1) 예방의학/의료법규 추가! - Master KMLE 14권. 예방의학 - Master KMLE 15권. 의료법규 2) 최신 레퍼런스 반영, 기존 해설 및 리뷰 내용 추가 및 수정 2. 개정방향: 외적 프로세스에 의한 개정(external update) 평가단, 독자와의 적극적인 interaction을 통한 개정을 시도하였습니다

2020/2021 Master KMLE 출간 계획 안내 [내부링크]

2020/2021 Master KMLE 세트 시험을 넘어서 대가로 나아가십시오. 단순 수험서를 넘어 증례를 통해 임상의로서의 기본기와 실력을 배양해드립니다. - Master KMLE 1권. 의학총론/외과총론 - Master KMLE 2권. 소화기 - Master KMLE 3권. 심혈관 - Master KMLE 4권. 호흡기 - Master KMLE 5권. 내분비 - Master KMLE 6권. 신장요로/감염 - Master KMLE 7권. 혈액/류마티스/알레르기 - Master KMLE 8권. 정신 - Master KMLE 9권. 신경 및 기타계통 - Master KMLE 10권. 산과 - Master KMLE 11권. 부인과 - Master KMLE 12권. 소아과 총론 - Master KMLE 13권. 소아과 각론 - Master KMLE 14권. 예방의학 - Master KMLE 15권. 의료법규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2019/2020 Master KMLE에 많은

심인성 쇼크(cardiogenic shock) : 진단 기준, 병태생리, 원인, 진단, 치료, 약물, 혈전 용해, 대동맥내 풍선펌프(IABP)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Master KMLE 1권. 의학총론/외과총론에 있는 Section 01. Vital을 잘 다루자! Topic 02. 저혈압/쇼크 리뷰 03. 심인성 쇼크(cardiogenic shock) 콘텐츠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먼저 관련 목차부터 확인해볼까요? 리뷰 03. 심인성 쇼크(cardiogenic shock) 01. 심장성 쇼크란? • 심장성 쇼크와 폐부종은 생명이 위급한 상태로 즉각적인 응급처치가 필요하다. 심한 좌심실 기능 부전은 이의 가장 흔한 원인이며 그로 인해 폐울혈, 전신적인 저관류를 유발하게 된다. • 심장성 쇼크(cardiogenic shock)란? 좌심실 충만압의 상승에도 불구하고 [폐모세혈관 쐐기압 18 mmHg 이상], 현저한 심장박출계수(Cardiac Index) 감소[2.2(L/min)/m2 미만]와 지속적인 수축기 동맥압 감소(90 mmHg 이상)로 인해 전신의 저관류가 나타나는 쇼크 진단 기준(Established

탈장(hernia) : 개요, 진단 - 종류(서혜부, 복벽, 절개창, 배꼽, 명치, 대퇴부 등), 분류, 샅굴(inguinal canal), Hasselbach’s triangle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 올려드릴 콘텐츠는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 : 근거편(Evidence based approach) vol 1에 있는 Part 06. 소화기 2장. 소화기 증상/징후/질환(위장관) Topic 15. 탈장(hernia) 편 내용입니다. 먼저 목차부터 확인하고 시작할게요! I. 탈장 : 개요 1. 탈장(hernia)이란? • 라틴어로 파열(rupture)을 의미하는 말에서 유래 • 신체의 장기나 조직이 그 주위를 둘러싼 벽의 결손을 통해 비정상적으로 돌출된 상태 • 건막(aponeurosis), 근막(fascia)이 횡문근(striated muscle)으로 덮여있지 않은 대퇴부, 배꼽 부위나 복부의 백선(linea alba), 이전 절개 부위 등에서 주로 발생 2. 탈장(hernia)의 종류 • 인체 여러 부위에서 발생가능 Internal abdominal hernias 1. paraduodenal 2. foramen of Winslow 3. Peri

마스터(Master) KMLE는 다르다! 특장점 5가지! #1 [내부링크]

마스터(Master) KMLE는 기존 교재와 다르다! 마스터 KMLE 특장점 5가지! 1. 전문의 다수 포함된 최정예 집필진 • 전문의 다수 포함된 집필진이 계속적으로 업데이트하는 방식으로 책의 완성도를 개선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 • 대표저자 이상봉 : 의학서적 다수 집필 2. 상세한 해설과 리뷰 • Key clue: 문제(증례)를 분석하여 주요한 단서를 뽑아 제시 • 논리적이고 체계적인 방식으로 증례기반의 문제를 풀어가는 추론과정을 상세하게 기술 3. 영상 판독 제시 • 영상의학과 전문의선생님의 상세한 판독 제시 4. 임상 프로세스(진단→치료) 방식으로 문제 및 리뷰 구성 • 임상과의 연계 고려: 진료실에서 환자를 보고 임상 문제를 마주할 때 접근하는 프로세스(즉 진단→치료)에 따라 문제 및 리뷰 배치 • 어떻게 진단을 내리고 치료 방침을 정하며 어떤 약물을 선택하는지 등과 같은 논리적, 체계적 프로세스를 problem based learning 형태로 훈련하도록 구성 • 문제→

A군 사슬알균 감염(Group A streptococcus, GAS) 문제 - 진단, 임상양상 (선택지: 성홍열 Scarlet fever, 다형홍반, 돌발진, 장티푸스 등) [내부링크]

5세 남아가 2일 간의 발열, 구토, 인후통과 전신 발진으로 내원하였다. 발진의 양상은 좁쌀 같은 선홍색 구진 으로 손가락으로 누르면 퇴색하였다. 혀는 딸기 같고 입 주위는 창백하였을 때, 진단은?(한가지) ① 성홍열 ② 다형홍반 ③ 돌발진 ④ 장티푸스 ⑤ 스티븐스 존슨 증후군 ⑥ 출혈성 신증후군 ⑦ 쓰쓰가무시 ⑧ 수두 ⑨ 풍진 ⑩ 홍역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의 콘텐츠는 Master KMLE 13권. 소아과 총론 Topic 08. 감염 Subtopic 08-3. 세균 감염/기타 감염 리뷰 01. A군 사슬알균 감염(Group A streptococcus, GAS) 편 문제입니다. [해설] >KEY CLUE •발열, 구토, 인후통 •발진: 전신, 좁쌀 같은 선홍색 구진, 손가락으로 누르면 퇴색 •딸기혀, 입 주위 창백 •성홍열은 발열 외독소를 생산하는 A군 사슬알균에 의한 상기도 감염으로 특징적인 발진을 동반하는 질환이다. •성홍열의 임상양상: 열, 두통, 구토, 복통

발작 질환(seizure disorders) 문제- 진단(선택지: 양성롤란도뇌전증 benign rolandic epilepsy, BCECTS, 소아소발작뇌전증, 특발전신뇌전증등) [내부링크]

8세 남아가 2일 전 잠을 자다가 경련발작을 일으켰다며 오늘 병원에 왔다. 오른쪽 팔이 경련하기 시작하고, 혀를 깨물고 입에 거품을 물며 온몸을 떨었다고 한다. 약 3개월 전부터 낮에 오른쪽 얼굴에 씰룩거리는 근육 수축이 발생하였고, 말하다 중단하는 증상이 5초 정도 지속되었다. 이 증상은 1주일에 1번 정도 피곤할 때 나타났다고 한다. 학교 성적은 좋고, 평소 아침에 머리가 아프다고 한 적이 많다고 한다. 신경학적 진찰 결과는 정상이다. 진단은? ① 양성롤란도뇌전증(benign rolandic epilepsy) ② 소아소발작뇌전증(childhood absence epilepsy) ③ 소아뒤통수엽뇌전증(childhood occipital epilepsy) ④ 특발전신뇌전증(idiopathic generalized epilepsy) ⑤ 레녹스-가스토증후군(Lennox-Gastaut syndrome)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 포스트는 마스터 KMLE 13권. 소아과 각론에

철결핍빈혈(Iron deficient Anemia) 문제 - 진단, 검사 (선택지: 엽산, 페리틴 ferritin, 비타민 B12, C-반응단백질, 젖산탈수소효소) [내부링크]

48세 여자가 2주 전부터 기운이 없다며 병원에 왔다. 작은 일에 짜증이 나고 쉽게 피로하다고 하였다. 8개월 전에 조기위암으로 대부분위절제술(Billroth II)을 받았다. 2개월 전에 식도 위내시경에서 재발병변은 없고 대장내시경검사는 정상이다. 검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검사는? P/E 혈압 120 /70 mmHg, 맥박 72회/분, 호흡 18회/분, 체온 36.4C 혈액 백혈구 7,890 / mm3, 혈색소 8.9 g/dL, 혈소판 240,000 / mm3 평균적혈구용적(MCV) 72.1 fL (참고치, 79~93), 평균적혈구헤모글로빈농도(MCHC) 23.4 g/dL (참고치, 32.3~35.9) 대변 잠혈검사 음성 ① 엽산 ② 페리틴 ③ 비타민 B12 ④ C-반응단백질 ⑤ 젖산탈수소효소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Master KMLE 7권. 혈액/류마티스/알레르기 책에 있는 과목. 혈액 Section 1. 조혈장애 Topic 02. 저증식빈혈: 철결핍빈혈/만

급성 설사 문제 - 진단, 비염증성/염증성 설사, 치료, fluoroquinolone, ciprofloxacin, azithromycin [내부링크]

53세 여자가 2일 전부터 설사를 10여 차례 했다며 병원에 왔다. 설사에 피가 보인다고 하였다. 속이 메스껍다고 하고 구토를 하였다. 온몸이 아프다고 하지만 관절부종은 없다. 1개월 전 대장내시경검사는 정상이었다. 치료는?(두 가지) P/E • V/S: 혈압 103 /66 mmHg, 맥박 112회/분, 호흡 19회/분, 체온 39.3 C • 복부: 1) 청진: 장음 항진 2) 촉진: 압통(-) 혈액검사 •백혈구 23,940 / mm3 (중성구 94 %), 혈색소 11.6 g/dL, 혈소판 314,000 / mm3, 혈액요소질소/크레아티닌 26.8 /1.5 mg/dL, C-반응단백질 90.1 mg/L (참고치, <10) ① 독시사이클린 ② 메트로니다졸 ③ 수크랄페이트 ④ 콜레스티라민 ⑤ 시프로플록사신 ⑥ 에리트로마이신 ⑦ 클라리트로마이신 ⑧ 0.9 % 식염수 정맥주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Master KMLE 2권. 소화기 책에 있는 Section 01. 위장관

루프스 신염(Lupus Nephritis) : 병태생리, 진단, 치료와 예후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이번 시간은 Master KMLE 6권.신장요로/감염 책에 있는 과목. 신장요로 Topic 05. 사구체질환(콩팥토리 질환) 편 리뷰 내용을 소개해드리겠습니다. 먼저 토픽 목차부터 확인해 보시죠! 오늘 소개해드리는 리뷰는 Topic 05. 사구체질환(콩팥토리 질환)에 있는 리뷰들 중 리뷰 10. 루프스 신염(Lupus Nephritis) 내용입니다. 그럼 시작합니다!! 리뷰 10. 루프스 신염(Lupus Nephritis) 01. 병태생리 • SLE의 합병증으로 생기는 사구체 신염으로 SLE 환자 중 약 60%이상에서 동반. • circulating immune complex가 사구체에 침착 → complement activation되면서 염증 발생. Lupus nephritis이외에도 complement가 활성화되어 발생하는 사구체 신염으로는(활성화 되니까 혈청에서 complement level 은 떨어진다) MPGN, PSGN 이 있고 이 세 질

심방조동 (AFL) 이란? : 심전도 소견, 톱니형태 기저선, P파, 심방속도, 심실반응, 심실속도, 급성기, 치료, 권고 지침, rhythm / rate control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이번에 올려드리는 콘텐츠는 Master KMLE 3권. 심혈관 책에 있는 Section 02. 주요 심혈관계 질환: 리듬장애 Topic 07. 부정맥: 빈맥 부정맥 편 리뷰 내용입니다! 먼저 토픽목차부터 살펴보겠습니다! 오늘의 콘텐츠는 Topic 07. 부정맥: 빈맥 부정맥 편 리뷰들 중 리뷰 02. 심방조동 (AFL) 내용입니다. 그럼 시작합니다! 리뷰 02. 심방조동 (AFL) 01. 심방조동 (AFL)이란? 심방 내에 커다란 회귀 회로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심방이 200~400 회/분으로 빠르고 규칙적인 수축을 하는 심방빈맥 02. 심전도 소견 • 전형적으로 심방 박동군 사이의 등전위 분절(isoelectric segment)이 없다. • 이상성(biphasic) P파 형태로 인해 심전도 상에는 “톱니”(Saw-tooth) 형태의 심방 기저선을 나타낸다. 톱니 형태의 심전도: 심방조동만의 가장 특이하고 독특한 특징이다. • 심전도를 보고 심방

요붕증(DI, diabetes Insipidus): 진단 - 증상, 기전, 원인, 중추성(pituitary), 신성(nephrogenic), 일차성(primary), 수분제한검사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의 콘텐츠는 Master KMLE 5권 내분비에 있는 Topic 2. 뇌하수체/시상하부질환 SubTopic 2-3. 뇌하수체 후엽질환 편 리뷰 내용입니다. 먼저 Master KMLE만의 자세한 토픽 분류부터 확인해보시죠! 오늘 소개해드리는 리뷰는 Sub Topic 2-3. 뇌하수체 후엽질환에 있는 리뷰 01. 요붕증 (DI) : 진단 내용입니다!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리뷰 01. 요붕증(DI, diabetes Insipidus): 진단 01. 요붕증이란? 요붕증은 AVP의 분비나 작용이 감소하여 다뇨 증상이 나타나는 것을 의미한다. 원발성 다음증(Primary polydipsia) + 요붕증(DI) 실제 수분 섭취가 증가하여 다뇨 증상이 나타남 AVP의 분비(central DI)나 작용(nephrogenic DI)이 감소하여 다뇨 증상이 나타남 ↓ ↓ 물을 마구마구 섭취하니까 혈액이나 소변 모두 묽어진다고 생각하면 된다. Posm ↓/Uosm ↓

과민성 방광(Overactive bladder, OAB): 진단/평가, 치료, 급여기준, 상병명 - 설문지(OAB-SS), 행동교정요법,요로감염, 항무스카린제, mirabegron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이번 시간은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 : 실전편 (Case based approach) 2권에 있는 Part 08. 신장/요로/비뇨생식 Topic 09. 하부요로증상/배뇨장애 SubTopic 09-2. 과민성 방광 (Overactive bladder, OAB) 편 콘텐츠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먼저 관련 토픽 목차부터 확인하시죠 SubTopic 09-2. 과민성 방광 (Overactive bladder, OAB) Core review 1. 과민성 방광(overactive bladder, OAB)이란? 2. 진단 3. 치료 1) 약물치료 2) 행동치료 Core review 내용은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 실전편 책을 참고해주세요^^ Practical guide : 진단/평가 핵심 포인트. 전립선 비대증과 마찬가지로 설문지(OAB-SS)가 유용하다. • 진단뿐만 아니라 이후 치료반응의 평가에도 설문지가 매우 유용하다. • 가장 널리 사용되는 설문지는 OAB-S

콜레스테롤을 원료로 생성되는 호르몬은? 난포자극, 알도스테론 aldosterone, 항이뇨, 인슐린, LDL, 부신피질, 스테로이드, Polypeptide, Glycoprotein [내부링크]

01. 콜레스테롤을 원료로 하여 생성되는 호르몬은? ① 난포자극호르몬 ② 갑상샘호르몬 ③ 알도스테론 ④ 항이뇨호르몬 ⑤ 인슐린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이번 시간은 Master KMLE 5권 내분비 책에 있는 Topic 01. 내분비 대사질환의 접근 편 문제와 해설을 소개해드리겠습니다. 문제 다들 풀어 보셨죠?^^ 그럼 Master KMLE 5권 내분비의 토픽 목차를 한번 확인 후 해설을 시작하겠습니다! [해설] • 음식물을 통하여 섭취하거나 혹은 신체 내부에서 합성된 콜레스테롤에서 스테로이드가 합성된다. •콜레스테롤은 저밀도 지질단백(LDL) 수용체를 경유하여 부신피질에 섭취된다. 부신에서 합성되는 세 가지 주요 스테로이드(corticosteroid hormones) 1) Glucocorticoids(예. cortisol) 2) Mineralocorticoids(예. aldosterone) 3) Adrenal androgen precursors(예. dehydroepian

빈혈의 접근 문제 2 - CBC, Microcytic hypochromic anemia 원인, IDA, ACD, serum iron, TIBC, ferritin, PBS, RDW [내부링크]

02. 17세 여성이 운동 시 숨이 찬 증상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신체 검사에서 특이 소견은 없었으며, 혈액검사는 다음과 같았다. 적절한 진단명은 무엇인가? 혈색소 7.8 g/dL, 백혈구 4,800 mm3, 혈소판 250,000/mm3, 평균적혈구용적 76fL ① 철결핍 빈혈 ② 지중해 빈혈 ③ 재생불량 빈혈 ④ 철적모구 빈혈 ⑤ 낫(겸상)적혈구 빈혈 안녕하세요. 오늘의 콘텐츠는 Master KMLE 7권. 혈액/류마티스/알레르기 책에 있는 과목 1. 혈액 Section 01. 조혈장애 Topic 1. 빈혈의 접근 편 문제입니다. 문제를 풀어보셨으면, 마스터 KMLE만의 자세한 해설을 확인해보세요! [해설] • CBC상 microcytic anemia 소견을 보이므로, 이에 대한 감별 진단을 시행한다. • Microcytic hypochromic anemia의 원인에는 IDA, ACD, thalassemia, sideroblastic anemia, chronic lead poiso

포르피리아(포르피린증, Porphyria) : 분류, 진단, 치료, Hepatic, Erythropoietic, 급성 간성, 적혈구 조혈성, 간헐성, 지연 피부, PCT, 만성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오늘 포스트는 Master KMLE 5권. 내분비 책에 있는 Topic 07. 기타 내분비 질환 편 리뷰 내용입니다. 먼저 토픽 목차부터 확인해보겠습니다. 오늘의 콘텐츠는 Topic 07. 기타 내분비 질환 에 있는 리뷰들 중 리뷰 02. 포르피리아(포르피린증, Porphyria) 내용입니다! 그럼 시작합니다! 리뷰 02. 포르피리아(포르피린증, Porphyria) 01. 포르피리아(Porphyria)의 이해 • 혈색소인 헤모글로빈(hemoglobin)은 포르피린(porphyrin)과 철로 구성된 헴(heme)과 글로빈(globin)의 결합으로 이루어진다. • 포르피린증은 유전성 질환으로 햄 합성 과정에 관여하는 효소의 장애로 인해 발생한다. • 헴의 체내 합성에 필요한 효소에 이상이 생기면 전구물질이 몸에 축적되고, 그 결과 포르피리아가 발생하는 것이다. • 포르피린증은 환경적 요인, 생리학적 요인, 유전적 요인이 상호작용하여 일으키는 대사 질환의 하나이다. 02. 분

백일해 (pertussis) 진단, 치료 : 증상, 진찰소견, 세균배양검사, 중합효소 연쇄반응법 , 대증요법, macrolide, erythromycin, macrolide 항생제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 올려드리는 콘텐츠는 스마트 소아진료매뉴얼 2판 책에 있는 Section 02. 흔한 증상 및 질환의 접근 Part 05. 감염/전신 - 질환 Topic 11. 백일해 (pertussis) 내용입니다! 먼저 토픽 목차부터 확인하겠습니다! Topic 11. 백일해 (pertussis) Core review 임상양상 • 원인 병원체: 백일해균(Bordetella pertussis) • 잠복기: 7-10일 • 카타르기, 경해기, 회복기의 임상경과를 거침 • 합병증: 무기폐, 이차감염에 의한 세균폐렴, 신경계 합병증(경련이나 뇌증), 중이염, 영양실조, 탈수, 기흉, 비출혈, 경막하 출혈, 탈장 진단 • 임상증상과 진찰소견 • 세균배양검사, 중합효소 연쇄반응법 등 치료 • 대증요법 • macrolide: erythromycin, 새로운 macrolide 항생제 • 초기에 항균제 투여 시 질병경과 완화 (스마트) 상병코드 코드 상병명 A37 백일해 코드

결핵 - 원인, 균, 정의, (Active) Tuberculosis, 폐결핵(Pulmonary TB) / 폐외결핵(Extrapulmonary TB, EPTB), 전염/비전염,치료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의 콘텐츠는 Master KMLE 4권. 호흡기 책에 있는 Section 2. 주요 호흡기 질환 Topic 13. 결핵 편 리뷰 내용입니다. 리뷰 내용 소개해드리기 전에, Master KMLE 4권. 호흡기의 자세한 토픽 목차부터 확인해보겠습니다! 리뷰 01. 결핵: 개요 01. 결핵이란? 원인 병원체 • 결핵균 복합체: 결핵균(M. tuberculosis), 소결핵균(M. bovis), M. caprae, 아프리카 결핵균(M. africanum), 쥐결핵균(M.microti), M. canettii, M. pinnipedii • 결핵균(M. tuberculosis) : 가장 흔하고 중요한 균 • 항산균(Acid-fast bacilli; AFB) - Mycobacterium 속이 가지는 특징 - 그람 염색에서 흔히 중성을 나타내지만 염색되면 산성 알코올에 의해 탈색되지 않는 특징 02. 용어 정의 1. (활동성) 결핵 = (Active) Tub

공수병(광견병, Rabies) : 정의, 발병 기전, 감염원, 경로, 잠복기, 증상, 격노형, 마비형, 잠복기, 전구기, 급성 신경질환기, 진단, 검사, 교상 후 치료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 올려드리는 포스트는 Master KMLE 6권. 신장요로/감염 책에 있는 과목. 감염 Section 0. 바이러스 감염 Topic 13. 공수병(광견병, Rabies) 리뷰 내용입니다. 콘텐츠 시작하기 전에 Master KMLE만의 자세한 토픽목차를 한번 확인해보세요! 그럼 시작합니다! 리뷰 01. 공수병(광견병, Rabies) 01. 개요 1. 정의 • Rabies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뇌염 신경 증상 등 중추신경계 이상을 일으켜, 발병 시 대부분 사망하는 대표적인 인수공통질환 • 사람의 경우 공수병(현재 제3군 법정감염병); 동물의 경우 광견병(제2종 법정가축전염병) 2. 발병 기전 병원체 • Rhabdoviridae과 Lyssavirus속의 Rabies 바이러스 ↓ 감염원 • 1차 병원소: 공수병 바이러스에 노출된 야생동물(너구리, 오소리, 여우, 스컹크, 코요테, 박쥐 등) • 모든 온혈동물에 감수성이 있음 ↓ 감염경로 • 1차 병원소

파킨슨병 (parkinson’s disease) : 개요/진단(정의, 원인, 파킨슨플러스 증후군, 징후, 증상, 진단기준, UK PDS Brain Bank Criteria, 검사)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추석 연휴 잘 보내셨나요?^^ 오늘 올려드리는 콘텐츠는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 2판(근거편)에 있는 Part 10. 신경·정신 Topic 04. 떨림/파킨슨병 Sub Topic 04-2. 파킨슨병 내용입니다. 콘텐츠 보시기 전에 근거편 책의 토픽 목차부터 한번 확인해보겠습니다. 그럼 지금부터 콘텐츠 내용 소개해드리겠습니다.! Core review 내용은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 2판(근거편) 책을 참고해주세요! I. 파킨슨병(parkinson’s disease) : 개요 1. 정의 1) 파킨슨병(Parkinson’s disease)1) • 흑색질(substantia nigra)의 도파민 함유 세포의 괴사로부터 기인하는 진행성의 신경변성(neurodegenerative) 질환 2) 파킨슨 증후군(파킨슨증, Parkinsonism) • 다양한 원인에 의해 파킨슨병과 유사한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 파킨슨 증후군(parkinsonian syndrome)의 원인1)

천식의 급성악화 문제 - (선택지: 기관내 삽관, 에피네프린 피하주사, 0.9% 식염수 정맥주사, 지속형 베타2작용제 복용,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정맥주사) [내부링크]

03. 45세 여성이 호흡곤란이 심해져서 응급실에 왔다. 3년 전 천식으로 진단받고 매일 속효성 베타2작용제만 흡입하였다고 하였다. 7일 전 감기에 걸린 후 호흡곤란이 점차 심해지면서 쌕쌕거리는 소리도 들렸다고 하였다. 어제는 속효성 베타2작용제를 30회 흡입했지만 호흡곤란이 호전되지 않았고, 말하기도 힘들 정도로 숨이 찬다고 하였다. 혈압 150/90 mmHg, 맥박 130회/분, 호흡 28회/분, 양쪽 폐에서 쌕쌕거림이 약하게 들렸다. 산소를 투여하지 않은 상태에서 산소포화도가 91%이었다. 산소투여, 속효성 베타2작용제 분무투여와 함께 먼저 시행해야 할 조치는? ① 기관내 삽관 ② 에피네프린 피하주사 ③ 0.9% 식염수 정맥주사 ④ 지속형 베타2작용제 복용 ⑤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정맥주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문제 다들 잘 풀어 보셨나요?^^ 이번 콘텐츠는 Master KMLE 4권. 호흡기에 있는 Topic 05 천식 리뷰 04. 천식의 급성악화 편 문제입니다. [

급성 기관지염 (Acute bronchitis) : 진단/평가, 치료(항생제 투여, 대증치료, 진해제, 거담제, 베타-2 확장제), 실전 처방 예시, 상병명 [내부링크]

Topic 08. 급성 기관지염 (Acute bronchitis) Core revew 1. 진단 • 다음과 같은 경우에 급성기관지염 (Acute bronchitis)의 진단을 고려할 것! - 급성 호흡기감염, 기침(+/-객담)이 3주 미만 지속되는 경우 - 폐렴의 임상적인 증거는 없는 경우 2. 치료 항생제 •급성기관지염으로추정되는환자에게일상적으로항생제를투여하는것은대개의경우에있어추천되지않는다. 진해제 •일관된증거는부족하지만급성기관지염에진해제를투여하는것은합리적 점액작용제 •급성기관지염치료에효과적이지않지만실제임상에서는흔히사용되고있다. 기관지확장제 •급성기관지염과천식은비슷한증세를나타낸다. •흡입기관지확장제:기도폐쇄(airwayobstruction)의증거가있는환자(예.천명음)에서는기침등의증상호전에도움이된다. 스테로이드 •흡입스테로이드(inhaledcorticosteroid) - 고용량으로흡입스테로이드를가끔씩투여하는것은약간의이득이있다. - 저용량의,예방목적으로투여하는것은효과적이지않다. •경구

콩팥결핵 (Renal tuberculosis) : 서론, 진단, 치료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Master KMLE 6권. 신장요로/감염 책에 있는 과목. 신장요로 Topic 10. 요로 감염 및 염증/성매개 감염 편 리뷰 중 하나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Topic 10. 요로 감염 및 염증/성매개 감염에 있는 리뷰들 중에서 오늘 소개해드리는 리뷰는 리뷰 05. 콩팥결핵(Renal tuberculosis) 입니다. 그럼 시작합니다! 리뷰 05. 콩팥결핵(Renal tuberculosis) 1. 서론 • 폐결핵에서 혈행성으로 전파되어 발생. (요로 생식기 결핵이 진단될 때 활동성 폐결핵이 동반된 경우는 드물다) • 대부분 청장년층에서 호발 • 콩팥에서 시작되어 요관, 방광으로 옮겨감 ※ 요로생식기 결핵을 의심해야 할 임상적 상황 ① 지속적 농뇨를 보이며 일반적 소변세균배양검사에서 원인균이 발견되지 않을 때(sterile pyuria) ② 적절한 항생제 요법에 저항하는 요로감염, 만성 방광염의 지속 ③ 원인불명의 혈뇨 ④ 만성적으로 배농되는

면역 혈소판감소 자색반병 문제 1 - (선택지 : 재생불량빈혈, 파종혈관내응고, 골수형성이상증후군, 급성골수세포백혈병, 특발저혈소판자색반병, ITP) [내부링크]

01. 64세 여자가 1주 전부터 멍이 잘 들어 병원에 왔다. 입안과 양다리에서 점출혈이 관찰되었고 지라는 만져지지 않았다. 검사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진단은? • 혈액: 혈색소 12 g/dL, 백혈구 4,500/ mm3, 혈소판 7,000/ mm3 프로트롬빈시간 12.7초 (참고치:12.7~15.4), 활성화부분트롬보플라스틴시간 35.5초(참고치:26.3~39.4) • 말초혈액펴바른표본:혈소판 수 감소, 백혈구 및 적혈구의 수와 모양정상, 골수:거대핵세포(megakaryocyte) 수 증가 ① 재생불량빈혈 ② 파종혈관내응고 ③ 골수형성이상증후군 ④ 급성골수세포백혈병 ⑤ 특발저혈소판자색반병 안녕하세요! 오늘 올려드리는 콘텐츠는 Master KMLE 7권. 혈액/류마티스/알레르기 책에 있는 과목. 혈액 Section 03. 지혈 및 혈전 Topic 12. 혈관벽/혈소판 장애 SubTopic 12-2. 면역 혈소판감소 자색반병 편 문제입니다. 토픽 목차부터 확인해보세요! [해설] 멍이

급성 췌장염 진단 : 진단 기준, 정의, 증상, 징후, 검사, 평가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의 콘텐츠는 Master KMLE 2권. 소화기에 있는 Section 03. 췌담도 Topic 27. 급성 췌장염 편 리뷰 내용입니다. 먼저, Section 03.췌담도의 토픽 목차부터 확인해 보겠습니다. Topic 27. 급성 췌장염의 리뷰들 중 오늘 올려드리는 리뷰는 리뷰 02. 급성 췌장염 : 진단 편입니다. 그럼 시작합니다! 리뷰 02. 급성 췌장염 : 진단 01. 진단 기준 • atlanta classification and definitions이 대표적으로 사용되고 있다.(2013 recent update) • 아래 세가지 중에 2가지 이상이면서 다른 췌장질환이나 급성복통을 일으키는 질환이 감별된다면 급성췌장염으로 진단할 수 있다. ⑴ 상복부의 급성복통과 압통 ⑵ 혈액췌장효소수치의 상승(아밀라아제 그리고/또는 리파아제 ≥ 정상상한치의 3배) ⑶ 복부초음파, 복부 CT, 혹은 복부 MRI에서 급성췌장염의 소견 • amylase 혹은 li

호중구 감소증이란? neutropenia - 발열, 진단, 검사, 감염위험도 평가, MASCC 위험지수, 치료, 항생제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이번 시간은 Master KMLE 01권. 의학총론/외과총론 책에 있는 과목. 의학총론 Section 01. Vital을 잘 다루자! Topic 03. 발열 편 리뷰 내용을 소개해드리겠습니다!! 먼저 의학총론 과목의 토픽 목차부터 확인해 보겠습니다! Topic 03. 발열 내용 중 오늘 올려드리는 콘텐츠는 리뷰 02. 호중구 감소증 (neutropenia) 내용입니다. 그럼 시작합니다! 리뷰 02. 호중구 감소증 01. 호중구 감소증(neutropenia)이란? 절대호중구수가 500/mm3 미만이거나, 1,000/mm3 미만이면서 2-3일 이내에 500/mm3 미만으로 감소할 것이 예상되는 경우 • 발열 • 고막 체온계로 측정 시 38.0 C 이상, 혹은 액와 체온계로 측정 시 37.5 C 이상으로 체온이 증가하는 경우 • 고막 체온이나 액와 체온 측정이 부정확하다고 판단되거나, 구강 체온을 주로 측정하는 경우: 구강 체온이 한번이라도 38.3 C

성조숙증(precocious puberty)이란? : 진단, 검사, 치료 - 생식샘자극호르몬방출호르몬 GnRH 자극검사,골연령, 호르몬 검사, gonadotropin, LH 등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의 콘텐츠는 스마트 소아진료매뉴얼 2판에 있는 SECTION 02. 흔한 증상 및 질환의 접근 Part 10.내분비 Topic 03. 성조숙증(precocious puberty) 편 내용입니다! 먼저 Part 10. 내분비 편 토픽 목차부터 확인해보겠습니다. Topic 03. 성조숙증(precocious puberty) Core review 1. 개요 성조숙증이란? • 2차 성징이 여아에서 8세 미만, 남아에서 9세 미만에 나타나면 성조숙증이라 한다. • 2차 성징: 여아(유방발달), 남아(고환용적≥4 mL 혹은 고환장경≥2.5 cm, 음모발달) 2. 진단 검사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경우 추천된다. 남자어린이 사춘기조숙증을 보이는 모든 남자어린이 여자어린이 • stage 3 이상의 조기유방발달을 보이는 경우 • stage 2의 유방발달을 보이고 아래와 같은 다른 기준을 만족시키는 경우 • 증가된 성장속도 • 중추신경계기능이상 혹은 말초성 사춘

선천심장 질환 문제 1 - 승모판 협착(MS), 완전 대혈관 전위(complete TGA), 동맥관 개존(PDA), 심실중격 결손(VSD), 방실중격 결손(AVSD) [내부링크]

01. 3개월 소아가 식은땀이 나고 체중이 감소하여 내원하였다. 환아의 호흡수는 증가한 상태였다. 청진결과 환아의 복장뼈(sternum) 왼쪽 아래에서 범수축기 심잡음이 들렸고, 심첨부(apex)에서 확장기 심잡음이 들렸다. 가슴 X선 사진에서 폐혈관 음영이 전반적으로 증가하였고, 심전도에서 왼심실 비대가 관찰되었다. 진단은? ① 승모판 협착(MS) ② 완전 대혈관 전위(complete TGA) ③ 동맥관 개존(PDA) ④ 심실중격 결손(VSD) ⑤ 방실중격 결손(AVSD)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이번 콘텐츠는 마스터 KMLE 13권. 소아과 각론 Topic 11. 심혈관 SubTopic 11-2. 선천심장질환 편 문제입니다. 해설과 정답을 보시기 전에 관련 토픽 목차부터 확인해볼까요?^^ 그럼 해설 및 정답을 공개합니다!! [해설] >KEY CLUE • 왼쪽 복장뼈 왼쪽 아래에서 들리는 범수축기 심잡음, 심첨부에서의 확장기 심잡음 • 가슴 X선: 폐혈관음영 증가 • 심전

혈청병(Serum sickness) 원인, 증상, 검사,치료: 제3형 과민반응, skin rash, malaise, polyarthralgia, polyarthritis, SSLR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이번 시간은 마스터 KMLE 7권. 혈액/류마티스/알레르기 책에 있는 과목. 알레르기 Topic 01. 알레르기 기초 편 리뷰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먼저 과목.알레르기의 목차부터 확인해 볼까요?^^ Topic 01. 알레르기 기초에 있는 리뷰들 중 오늘의 콘텐츠는 리뷰 3. 혈청병(Serum sickness) 내용입니다. 그럼 시작합니다! 리뷰 03. 혈청병(Serum sickness) 01. 혈청병의 이해 • 대표적인 제3형 과민반응(알레르기 반응) • 이종 항원 투여 시에 나타나는(보통7~12일 뒤) 전신성 면역 장애 • 고열, 불쾌감 및 피부 발진, 두드러기가 주요 증상인 질환 02. 원인과 발생기전 1. 원인 : 대개 다양한 약제나 혈청 주사 후에 나타남 • 원인물질은 약제나 동물에서 채취한 혈청 제제를 주사한 경우 흔히 나타날 수 있다 • 항혈청: 파상풍, 티프테리아, 뱀독, 보톨리누스, 가스괴저 등의 예방/치료를 위한 항혈청 • 이종

혈뇨 (hematuria) : 개요(혈뇨란?/적색뇨), 원인 및 감별진단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이번에 올려드리는 콘텐츠는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 2판(근거편) vol 2 Part 09. 신장·요로비뇨생식 2장 주요 증상/질환별 접근 Topic 01. 혈뇨 (hematuria) 편 내용입니다!! 먼저 목차부터 확인하시죠! 그럼 시작합니다!! Core review 1. 개요 2. 원인/감별진단 3. 진단적 접근 Core review 내용은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 2판(근거편) 책을 참고해주세요 ^^ I. 혈뇨(hematuria) : 개요 • 혈뇨는 신장 및 방광질환을 알려 주는 중요한 소견이다. • 요로 결석이나 요로계의 악성 종양을 제외하고 혈뇨보다는 단백뇨가 신장 질환의 진단이나 예후의 유용한 지표1). 1. 혈뇨는 얼마나 흔한가? • 국내의 경우 학교 집단뇨 검사에서 가장 흔하게 보이는 소견이 혈뇨이다. • 학교 집단뇨 검사 이상소견 : 혈뇨 > 단백뇨 > 단백뇨+혈뇨 2. 혈뇨란? •소변에 혈액이 섞여 있는 것 • 육안적 혈뇨와 현미경적 혈

다낭신질환 (polycystic kidney disease) : 상염색체우성다낭신(ADPKD) - 병태생리, PKD 1, 2 gene mutation, 진단, 치료 및 예후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이번 포스트는 Master KMLE 6권. 신장요로/감염 책에 있는 과목. 신장요로 Topic 08. 다낭신질환/콩팥세관 질환 편 리뷰 내용입니다! 토픽 목차를 먼저 확인해보겠습니다. 리뷰 01. 다낭신질환 (polycystic kidney disease) 다낭신 질환은 유전적으로 매우 heterogenous한 질환들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 중 상염색체우성다낭신(Autosomal dominant polycystic kidney disease, ADPKD) 가 가장 흔함. ARPKD는 주로 소아에서 나타나며, ADPKD에 비해 드문 질환. • 상염색체우성다낭신(ADPKD) 1. 병태생리 • PKD 1 gene (coding Polycystin-1 protein) mutation: 85% PKD 2 gene (coding Polycystin-2 protein) mutation : 15% (PKD-1 gene mutation에 비해 진행이 느림) Pol

정맥 질환 : 개요 / 임상양상 및 진단 - 하지정맥류(varicose veins)란?, 병태생리, 분류(복재/소정맥/망상/모세혈관 확장증), 주요 증상, CEAP 분류법 등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이번 콘텐츠는 Master KML 03권. 심혈관 책에 있는 SECTION 04. 주요 심혈관계 질환 : 혈관질환(관상동맥/말초혈관) Topic 20. 정맥 질환 편 리뷰 내용입니다. 먼저 SECTION 04의 토픽 목차부터 확인해 볼까요?^^ Topic 20. 정맥 질환 리뷰 01. 정맥 질환: 개요 01. 하지정맥류(varicose veins)란? 정맥이 비틀어지고 꼬불꼬불할 뿐만 아니라 확장되어 있는 질환 02. 병태생리 • 선천적으로 취약한 연결조직을 갖고 태어난 경우 → 임신, 운동부족, 과도한 운동, 직업상 오래 앉아서 혹은 서서 일해야 하는 경우 → 약화된 혈관벽이 중력을 향하는 정맥압에 대해 적절한 저항을 줄 수 없으면 점점 역류하면서 혈관이 팽창하고 악순환 반복 정맥류의 가장 큰 원인은 직립보행에 따른 중력의 영향인 것이다. 서있으면 발이 심장에서 멀어져 혈액이나 림프 등 체액이 다리에 오래 머물며 순환이 되지 않기 때문이다. 내재적 요인의 원인(원발성

췌장암: 진단(증상, 검사), 치료 : Glucose intolerance, Courvoisier’s sign, CA 19-9, CEA, ERCP, MRCP, EUS 등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이번 시간은 Master KMLE 2권. 소화기 책에 있는 SECTION 03. 췌담도 Topic 29. 췌/담도계 종양 SubTopic 29-5. 췌장암 편 리뷰 내용을 소개해드리겠습니다!! Master KMLE만의 자세한 토픽 목차 구성을 확인해보세요! 리뷰 01. 췌장암: 진단 01. 임상양상 1. 흔한 증상(symptom triad) – 모든 췌장암에서 나타나는 것은 아님! 1) 복통: 상복부, 등으로 방사, 앞으로 숙이면 호전 2) 체중감소: 가장 흔한 증상 3) 황달 ① head cancer의 80%, body & tail cancer의 6%에서 발생 ② 검은색 소변, 가려움증이 동반 2. 기타 증상 1) Glucose intolerance: 췌장암 진단 후 2년 이내 발생 2) Courvoisier’s sign: 늘어난 무통성의 담낭이 만져짐 3) Thrombophlebitis • Trousseau’s syndrome: 췌장암 + 말초정맥혈전증 02. 진단적

불안장애 (Anxiety disorder) : 공황장애, 범불안장애 - 임상양상, 진단, 치료 (원칙, 치료제, SSRI, benzodiazepine계 약물), 실전 처방 예시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이번 포스트는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 실전편(Case based approach) 책에 있는 Part 09. 신경·정신 Topic 10. 불안장애 (Anxiety disorder) 편 콘텐츠를 소개해드립니다! 먼저 실전편 Part 09의 토픽 목차를 한번 확인해 볼까요? Core Review 1. 공황장애 1) 공황장애란? • 예기치 못한 반복적인 공황발작(panic attack)을 경험하고, 공황발작의 재발에 대해 지속적으로 염려하며, 공황발작의 결과에 대해 걱정을 하거나 발작과 관련되는 특정한 행동의 변화를 보이는 증상이 최소 1개월 이상 지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안장애 (Anxiety disorder)의 일종 • 공황발작은 예기치 못한 극심한 두려움이나 불쾌감이 드는 신체적 또는 인지적 증상을 동반하고, 갑작스럽게 시작하며 급속도로 최고조에 도달하고, 곧 죽을 것 같은 생각에 몰두되어 매우 당황스러움과 고통스러움을 겪는다. 2) 임상양상

천식 치료 문제 [내부링크]

03. 28세 남성이 쌕쌕거림과 호흡곤란 때문에 병원에 왔다. 일주일에 2회 정도 호흡곤란이 있지만 일상생활이나 수면에는 크게 지장이 없다고 하였다. 기관지 확장제 반응검사는 양성이었다. 흡입 스테로이드와 흡입 속효성 베타2작용제를 처방하였다. 치료 후 천식의 조절 정도를 평가할 수 있는 항목은? ① 강제폐활량 ② 혈액 호산구 수 ③ 일상활동의 제약 ④ 혈청 총 IgE 수치 ⑤ 흡입 스테로이드 사용 횟수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주말 잘 보내고 계신가요? ^^ 이번에 올려드린 문제는 Master KMLE 4권. 호흡기 Topic 05. 천식 편 문제입니다. 4권. 호흡기 책의 토픽 목차를 한번 보여드리고, 문제 해설 시작하겠습니다! [해설] • 천식환자의 치료에 대한 반응을 평가할 수 있어야 한다. • 2014년 이전 GINA 가이드라인 - 천식의 조절상태를 평가하는 항목으로 다음과 같이 5가지 항목을 제시하고 있다. 1) 주간 증상 2) 활동 제한 3) 야간 증상(수면 방

대동맥판협착증 (AS, aortic stenosis) 문제 1 [내부링크]

01. 39세 남자가 운동 직후에 발생하는 일시적인 의식 소실로 내원하였다. 고혈압이나 당뇨병은 없었고 급성 심장사(sudden cardiac death)의 가족력은 없었다. 흉부 청진에서 복장뼈의 오른쪽 2번째 갈비뼈 사이 공간에서 수축기 심잡음이 들렸다. 다음 중 가장 우선적으로 시행해야 할 검사는?(한 가지) ① 심장 초음파 검사 ② 심장 효소 검사 ③ 홀터 검사(Holter monitoring) ④ 심장 자기공명영상(cardiac MRI) ⑤ 심장동맥조영술(coronary angiography) ⑥ 뇌 자기공명영상 ⑦ 뇌혈관 조영술 ⑧ 목동맥 도플러 초음파 검사 ⑨ 뇌파 검사 ⑩ 머리 기울임 검사(Head tilt test)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이번 포스트는 Master KMLE 3권. 심혈관 SECTION 03. 주요 심혈관계 질환: 심장질환 Topic 09. 판막질환에 있는 대동맥판협착증 (AS, aortic stenosis)편 문제입니다. 문제를 풀어보신

수술 술기의 원칙: 출혈의 국소적 지혈, 화학 요법, 봉합사(suture materials)(Monofilament, multifilament, 흡수성/비흡수성), 배액 Drain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이번에 올려드리는 내용은 Master KML 1권. 의학총론/외과총론에 있는 수술 술기의 원칙 편 리뷰입니다. 리뷰 01. 수술 술기의 원칙은 Topic 03.수술 중 주요 이슈 - SubTpic 03-1. 수술의 원칙에 있는 내용입니다. 그럼 시작합니다! 리뷰 01. 수술 술기의 원칙 01. 출혈의 국소적 지혈 1. 기계적 지혈 방법 ⑴ 출혈 혈관 근위부 압박 ① 사지 출혈 시 압박띠(Tourniquet) 사용 ② 간 출혈 시 간동맥과 문맥의 압박을 위해 간 십이지장 인대(Hepatoduodenal ligament)의 일시적 압박(Pringle maneuver)으로 일시적인 지혈을 일으킴 ⑵ 출혈 부위를 손가락으로 직접 압박(Direct digital pressure) ① 가장 효과적이고 간단한 지혈 방법 ② 지혈 겸자(Hemostatic clamp)의 사용보다 혈관 내 벽 손상이 적음 ③ 지속적으로 오랜 시간동안 하기는 어려움 ⑶ 출혈 부위의

아토피 피부염 (atopic dermatitis) 치료 : 원칙, Break “itch-scratch cycle”, 지침, 관리, 보습제, 약물요법 (국소 / 전신 치료제)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이번 포스트는 스마트 소아진료매뉴얼 2판 책에 있는 Section 02. 흔한 증상 및 질환의 접근 Part 15. 피부 Topic 01. 아토피 피부염 (atopic dermatitis) 내용입니다! 먼저 목차부터 확인해 볼까요?^^ 이번에 올려드리는 콘텐츠는 Topic 01에 있는 III. 치료 편 내용입니다. 그밖에 어떤 내용들이 있는지 내용 구성을 한번 확인해 보세요! Core review, Practical guide, 보험기준, 상병명 내용은 소아진료매뉴얼 2판 책을 통해 확인해주세요! I. 개요 1. 아토피 피부염이란? 2. 임상양상 발병 연령에 따른 양상 II. 진단 1. 진단의 원칙 1) 피부소견 2) 진단기준의 활용 2. 진단기준 1) HANIFIN/RAJKA 진단기준(1980년) 2) 일본 피부과학회 진단기준(2009년) 3) 국내 진단기준 이제 본격적으로 III. 치료 내용 소개해드릴게요! III. 치료 진단기준에 따라 정확한

출혈 질환 : 특발 혈소판 감소 자반병 (ITP) : Acute / Chronic, 진단, 검사, 치료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오늘의 콘텐츠는 Master KMLE 13권. 소아과 각론 책에 있는 Topic 15. 혈액 SubTopic 15-3. 출혈 질환 편 리뷰 내용입니다!! 먼저 Maser KMLE 13권. 소아과 각론의 자세한 목차를 확인해 볼까요??^^ 리뷰 01. 출혈 질환의 감별 01. 기본검사 항목 02. 출혈 질환의 감별 진단과 치료 "리뷰 01. 출혈 질환의 감별 " 내용은 Master KMLE 13권. 소아과 각론 책을 참고해주세요! 리뷰 02. 출혈 질환: 특발 혈소판 감소 자반병(ITP) 01. Acute ITP • 매우 건강해 보이던 2~6세 어린 아이 • 대개 바이러스 감염(특히, 상기도 감염)이 1~4주 전 선행 • 기전: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혈소판 표면에 대한 자가 항체 생성 → 면역 복합체가 혈중에 돌아다니면서 RES(주로 비장 대식 세포)에 의해 인지되어 탐식, 파괴된다. • 급성으로 임상증상이 나타나고, 대부분의 경우 6개월 이내에 자연치유 된다. → 특별한

섬유근육통 (Fibromyalgia) : 증상, 진단, 검사, 진단기준, 치료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이번 시간은 Master KMLE 7권. 혈액/류마티스/알레르기 책에 있는 과목. 류마티스 Topic 11. 섬유근육통 (Fibromyalgia) 편 리뷰내용을 소개해드리겠습니다!! 먼저, Master KMLE만의 자세한 목차를 확인해 보세요! 리뷰 01. 섬유근육통 (Fibromyalgia) 01. 섬유근육통의 이해(Fibromyalgia, FM) • 만성적인 전신성 근골격계 통증과 압통점이 특징인 질환 • 9:1의 비율로 여자에서 호발, 연령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 보임. • 통증 증후군이지만 다양한 신경정신학적 증상들을 호소:피로, 수면장애, 인지장애, 불안, 우울 • laboratory test, 방사선소견은 모두 정상 02. 임상증상 1. 통증/압통 • 가장 흔한 증상: 온몸이 아프다. • 통증은 허리를 중심으로 상하 좌우에 퍼져있고 척추부위에도 있다: 정확하게 통증의 위치를 알아내기 어렵고, 통증의 정도는 무시하기 어려울 정도이며, 기

접촉피부염 (contact dermatitis) : 분류, 자극 / 알레르기 접촉피부염, 진단, 임상양상 및 병력, 첩포검사 (Patch test), TRUE test, panel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 올려드리는 콘텐츠는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 2판(근거편) 책에 있는 Part 13. 피부 2장 주요 증상/ 징후/ 질환 Topic 03. 습진질환 SubTopic 03-3. 접촉피부염 (contact dermatitis)내용입니다. 목차부터 확인해보세요! SubTopic 03-3. 접촉피부염 (contact dermatitis) Core review 1. 개요 2. 진단 3. 치료 "Core review" 내용은 근거편 책에서 확인해주세요! I. 접촉피부염 (contact dermatitis) : 개요 1. 접촉피부염이란? • 외부물질과의 접촉 후에 발생하는 가려움을 동반한 습진성 피부병변1) 2. 분류 : 자극접촉피부염(irritant contact dermatitis)과 알레르기접촉피부염(allergic contact dermatitis)의 두 가지 형태1),2). 원발 자극 피부염Primary irritant dermatitis (자극접촉

최근 유행하고 있는 바이러스 감염 문제 1 [내부링크]

R-type [01-02] 각 문제에서 가능성이 큰 진단을 문제마다 지시하는 수만큼 답가지(①~⑧) 중에서 고르시오. ① 황열 ② 뎅기열 ③ 메르스 ④ 말라리아 ⑤ 장티푸스 ⑥ 중증급성호흡증후군 ⑦ 지카바이러스 감염증 ⑧ 에볼라바이러스 감염증 01. 30세 남자가 3일 전부터 열이 나서 병원에 왔다. 기침은 없었고 안구 통증을 호소하였다. 방콕에 5일간 출장을 갔다가 4일 전 귀국하였다. 혈압 100/60 mmHg, 맥박 90회/분, 호흡 18회/분, 체온 37.8 C였다. 결막은 충혈되어 있었고 목에서 림프절이 만져졌다. 온몸에 반구진발진이 있었다. 혈액검사결과는 다음과 같았다(두가지). • 백혈구 2,800/mm3, 혈색소 13g/dL, 혈소판 90,000/mm3 • 총빌리루빈 1.2mg/dL, 아스파르테이트아미노전달효소 140U/L, 알라닌아미노전달효소 120U/L • 혈액요소질소 40 mg/dL, 크레아티닌 1.1 mg/dL 문제 잘 풀어보셨나요?^^ 이번 콘텐츠는 Maste

심혈관계 증상/징후 문제 1,2 [내부링크]

R-Type [01-02] ① 뇌파 검사 ② 심장초음파 검사 ③ 운동 부하 검사 ④ 심장 효소 검사 ⑤ 심장 동맥 조영술 ⑥ 뇌 전산화 단층 촬영술 ⑦ 자기 공명 뇌혈관 조영술 ⑧ 목동맥 도플러 초음파 검사 ⑨ 홀터 검사 ⑩ 머리 기울임 검사 01. 31세 남자가 일시적인 의식 소실로 병원에 왔다. 고혈압이나 당뇨병은 없었다. 의식 소실은 주로 운동 직후 발생하였고, 급성 심장사 가족력은 없었다. 심장 청진에서 복장뼈의 왼쪽 가장자리에 수축기 심잡음이 들렸다(한가지). 02. 31세 여자가 반복적인 의식 소실로 병원에 왔다. 의식 소실은 주로 장시간 서서 일하는 도중에 발생하였다. 심장 청진에서 이상 심장 잡음은 들리지 않았고 심전도는 정상이었다.(한가지) 문제 다들 잘 풀어보셨나요?^^ 이번 문제는 Master KMLE 3권. 심혈관 책에 있는 Section 01. 심혈관 질환에 접근하기 위한 기초 TOPIC 03. 심혈관계 증상/징후 편 문제입니다! [문제 01 해설] • 심초음

저칼슘혈증/부갑상샘기능저하증 문제 1 [내부링크]

01. 35세 여자가 6개월 전부터 손과 발에 경련이 있어 병원에 왔다. 키 165 cm, 체중 55 kg, 혈압 120/80 mmHg이었고, 크보스테크징후가 있었다. 혈액검사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진단은? • 공복포도당 89mg/dL, 칼슘 5.7mg/dL, 인 6.5mg/dL, 마그네슘 2.0mg/dL(참고치, 1.5~2.3) • 부갑상샘호르몬(iPTH) 12pg/mL(참고치, 8~51), 25-히드록시비타민 D 15 ng/mL(참고치. 30~100) ① 구루병 ② 부갑상샘저하증 ③ 만성콩팥기능상실 ④ 작은창자흡수장애 ⑤ 거짓부갑상샘저하증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이번에 올려드리는 콘텐츠는 Master KMLE 5권. 내분비 책에 있는 Topic 06. 골무기질 대사(부갑상샘, 칼슘대사, 골다공증) SubTopic 06-2. 저칼슘혈증/부갑상샘기능저하증 편 문제입니다. [해설] >KEY CLUE • 손과 발의 경련, 크보스테크 징후, 저칼슘혈증, 고인산혈증, 비교적 낮

난청 (Hearing loss) : 원인, 감별진단, 전도성/감각신경 난청, 진단적 접근, 치료 (돌발성 난청) + Case based approach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이번에 올려드리는 콘텐츠는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 실전편(Case based approach)에 있는 Part 10. 눈/귀/코/입/두경부 Topic 04. 난청 (Hearing loss) 편 내용입니다. 먼저 목차구성 부터 확인하시죠! 그럼 난청 (Hearing loss)편 콘텐츠 시작합니다! Topic 04. 난청 (Hearing loss) Core review 1. 원인/감별진단 분류 특징 전도성 난청(conductive hearing loss) 외이나 중이를 통한 소리 전도가 방해를 받을 경우 감각신경 난청(sensorineural hearing loss) 달팽이(cochea)나 청각피질(auditory cortex)까지의 신경 경로에 문제가 있을 경우 복합성 난청(mixed hearing loss) 전도성 난청과 감각신경 난청이 같이 있을 경우 2. 전도성 난청(conductive hearing loss) 외이 병변(external ear

[소화기] 헬리코박터 감염 문제 1,2 [내부링크]

01. 51세 남자가 식사 후 상복부 불편감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위내시경 검사에서 유문부의 궤양이 관찰되어 시행한 조직검사 상 악성의 증거는 보이지 않았다. Rapid urease test(+)이었다. 재발방지를 위한 약제가 아닌 것은? ① Amoxicillin ② Metronidazole ③ Clarithromycin ④ Vancomycin ⑤ Tetracycline 02. 36세 남자가 샘창자궤양으로 진단받은 후 3제요법(omeprazole, clarithormycin, amoxicillin)으로 2주간 헬리코박터필로리(H. pylori) 제균치료를 하였다. 치료 종료 1개월 후 시행한 요소호기검사에서 양성으로 나왔다. 조치는? ① 경과 관찰 ② 위 내시경 재검 ③ 항생제내성검사 ④ 3제요법(omeprazole+clarithormycin+amoxicillin) 반복 ⑤ 4제요법(omeprazole+metronidazole+bismuth+tetracycline) 안녕하세요! 이번

지단백 대사 이상: 지질 (Lipid)[Cholesterol, TG, FFA, 지단백], 고지혈증 분류, 일차성/이차성 고지혈증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도 어제와 같이 Master KMLE 리뷰 콘텐츠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ㅎㅎ 오늘 올려드리는 콘텐츠는 마스터 KMLE 5권. 내분비에 있는 Topic 05. 당대사/지질대사 SubTopic 05-5. 지질대사 이상 편 리뷰 내용입니다! Master KMLE만의 자세한 토픽 목차부터 확인해보세요! SubTopic 05-5. 지질대사 이상에 있는 리뷰 01. 지단백 대사 이상 : 개요 내용을 소개해드리겠습니다! 그럼 시작합니다! 리뷰 01. 지단백 대사 이상 : 개요 01. 지질 (Lipid) 1. Cholesterol ① 주로 LDL의 형태로 운반된다. ② 보통 lipoprotein 형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체위나 정맥울혈의 영향을 받는다. (누우면 감소 → 앉은 체위에서 채혈하는 것이 원칙) ③ 식사에 의한 cholesterol 농도 변화는 거의 없다. 2. TG (Triglyceride) • VLDL이나 Chylomicron의 형태로 운반된다. •

흉부외상 (Thoracic Trauma) : 1차 평가/소생술 단계(호흡 보조, 쇼크의 처치, 심정지, 긴장 기흉, 개방성 기흉, 대량 혈흉, 동요흉, 진단, 치료)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트는 Master KMLE 1권. 의학총론/외과총론에 있는 과목. 의학총론 - Section 02. 응급진료/손상/외상 Topic 08. 흉부외상 (Thoracic Trauma) 편 리뷰 내용을 소개해드립니다! 먼저, 자세한 목차 확인부터 하시죠! 리뷰 01. 흉부외상 (Thoracic Trauma) 01. 개요 • 외상으로 인한 사망의 20 ~25%를 차지한다. • 사망을 일으킬 수 있는 흉부손상 중 긴장기흉, 심장눌림증, 기도폐쇄 등은 적절한 조기처치로 호전될 수 있기 때문에 응급의료센터에서 진료를 하는 의료진은 이러한 손상들의 증상 및 치료에 대해 친숙해야 한다. 1차 평가/소생술 단계 • 영상검사나 심전도 검사가 시행되지 않은 상황에서 신체검사 소견만으로 진단해야 하는 치명적인 손상 1) Airway obstruction 2) Tension pneumothorax 3) Cardiac tamponade 4) Massive hemothorax 5) Open

영유아 건강검진 : 매뉴얼, 역사, 시기, 항목, 방법, 신체계측, 신체 검사, 진찰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주말 다들 잘 보내셨나요?^^ 오늘은 스마트 소아진료매뉴얼 2판 책에 있는 Section 01. 일차진료에서 흔히 접하는 이슈 Part 03. 예방·치료 이슈 Topic 03. 영유아 건강검진 SubTopic 03-1. 영유아 건강검진에 대한 이해 편 내용을 소개해드립니다!! 시작하기 전에 자세한 목차부터 확인해 보세요! SUBTOPIC 03-1. 영유아 건강검진에 대한 이해 I. 개요(검진의사 매뉴얼 활용) 1. ‘영유아 건강검진’ 이란? • 영유아 연령에 적합한 건강검진 프로그램을 도입하여 영유아의 성장/발달을 추적, 관리하여 보호자에게 적절한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함으로써 영유아의 건강증진을 도모하고 건강한 미래의 인적자원으로 성장하도록 지원하는 영유아 검진 프로그램이다1),2). • 질병 예방을 강조하는 국가 보건복지정책의 일환으로 기존의 빈혈검사, 소변검사, 청각검사, 혈압 측정 등의 검사 중심, 질병 발견 위주의 검진 체계를 벗어나, 영유아의 특징인 성장과 발달

[혈액] 면역 혈소판감소 자색반병 문제 1 [내부링크]

01. 64세 여자가 1주 전부터 멍이 잘 들어 병원에 왔다. 입안과 양다리에서 점출혈이 관찰되었고 지라는 만져지지 않았다. 검사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진단은? • 혈액: 혈색소 12 g/dL, 백혈구 4,500/ mm3, 혈소판 7,000/ mm3 프로트롬빈시간 12.7초 (참고치:12.7~15.4), 활성화부분트롬보플라스틴시간 35.5초(참고치: 26.3~39.4) • 말초혈액펴바른표본: 혈소판 수 감소, 백혈구 및 적혈구의 수와 모양정상, 골수:거대핵세포(megakaryocyte) 수 증가 ① 재생불량빈혈 ② 파종혈관내응고 ③ 골수형성이상증후군 ④ 급성골수세포백혈병 ⑤ 특발저혈소판자색반병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이번에 올려드리는 문제는 Master KMLE 7권. 혈액/류마티스/알레르기 책에 있는 과목. 혈액 - Section 03. 지혈 및 혈전 -Topic 12. 혈관벽/혈소판 장애 SubTopic 12-3. 면역 혈소판감소 자색반병 편 문제입니다. 문제 다들

홍역 (measles) : 감염경로, 감염력, 임상양상, 증상, 합병증, 전구기, 발진기, 회복기, 진단, 검사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주말 다들 잘 보내고 계신가요? ^^ 이번에 올려드리는 내용은 Master KMLE 13권. 소아과 각론 책에 있는 Topic 08. 감염 SubTopic 08-2. 바이러스 감염 편 리뷰 내용입니다! 먼저, Master KMLE만의 자세한 토픽 구성을 한번 확인해보세요! SubTopic 08-2. 바이러스 감염에서 오늘 올려드리는 리뷰는 리뷰 01. 홍역 입니다! 그럼 시작합니다! 리뷰 01. 홍역 (measles) 01. 홍역 은 어떻게 감염되는가? 1. 감염경로 • 주로 호흡기 분비물 등의 비말(droplet)에 의하여 전파, 드물게 공기전파 가능 • 바이러스는 환자가 머물던 방의 공기 중에 1시간까지 살아 있을 수 있어 반드시 환자와 만나지 않고도 감염될 수 있다. 2. 감염력 • 전염력이 강하여 감수성 있는 사람이 노출되었을 때 90%이상에서 감염 • 노출 후 8일 또는 발진 발생 3일전부터 발생 4-6일 후까지 전파 가능 02. 임상양상

빌리루빈 대사 (Bilirubin): 생성, 간세포 흡수, 결합, 담즙 배설, 장관 내 대사 (Urobilinogen), 신장 배설, 창자간순환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마스터 KMLE 2권. 소화기 책에 있는 Section 02. 간 Topic 15. 황달/고빌루빈혈증 편 리뷰 내용을 올려드리겠습니다! 자세한 토픽 목차부터 확인해보세요! 이번에 올려드리는 리뷰는 Topic 15. 황달/ 고빌리루빈혈증 편에 있는 리뷰 01. 빌리루빈 대사 (Bilirubin) 입니다. 리뷰 01. 빌리루빈 대사(Bilirubin) 01. 빌리루빈(Bilirubin)이란? heme의 분해 산물. 대부분이 수명을 다한 RBC의 Hb 분해로 비장에서 비결합 빌리루빈(unconjugated bilirubin)의 형태로 만들어진다. 02. 빌리루빈 대사 간세포에서 만들어진 빌리루빈은 담즙의 한 성분으로서 소화관으로 배설되어 변으로서 체외로 배출 1. 빌리루빈의 생성 • 수명(대략 120 일)을 다한 적혈구는 지라, 간, 골수에 존재하는 세망내피 세포계에서 파괴된다. • 파괴될 때 적혈구의 hemoglobin은 다음과 같은 과정을 밟게 된다. ① hemo

척추관협착증 : 개요, 진단, 검사, 치료 (with 자가설문지, cauda equina symptoms, EMG 등)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이번 시간은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 2판(근거편) vol2 Part 12. 근골격/류마티스 1장 목/허리/고관절 Topic 06. 척추관협착증 내용을 포스팅해드리고자 합니다. 그럼 다시 본론으로 돌아가서 토픽 목차를 한번 보여드리고, 본 포스팅 시작하겠습니다! 개정포인트 • 새로 추가된 토픽 Key reference • Katz JN, Harris MB. Clinical practice. Lumbar spinal stenosis. N Engl J Med 2008;358(8) : 818–25. • 석세일. 척추외과학 3판(2011). p352-358 Core review 1. 개요 • 척추관협착에 의한 신경성 파행(neurogenic claudication)은 허리 및 사지(extremities)의 통증 및 보행장애의 흔한 원인 • 65세 이상 노인의 척추 수술의 가장 흔한 적응증 2. 진단 요추부 척추관 협착증을 진단하는 데 도움이 되는 임상적 소견

재생불량빈혈 : 진단 (골수기능저하, 범혈구감소증, 정의, 원인, Pathophysiology, 증상, 검사 소견, 진단) , 치료 (조혈줄기세포이식, 면역억제치료, 지지요법)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마스터 KMLE 7권. 혈액/류마티스/알레르기 책에 있는 과목. 혈액 - Section 01. 조혈장애 Topic 05. 재생불량빈혈 편 리뷰를 포스팅 하게 되었습니다! 재생불량빈혈의 자세한 목차 구성은 아래 목차 이미지를 참고해주세요!! 리뷰 01. 재생불량빈혈: 진단 01. 골수기능저하 (Hematopoietic Failure Syndrome) • 정의 - RPI가 감소된 빈혈 중, MCV가 정상보다 작으면 IDA를, 정상보다 크면 Megaloblastic anemia를 생각해야 하고 이들은 다른 단원에서 언급되었다. - 이번 단원에서는 RPI가 감소된 빈혈 중 MCV가 주로 정상인 경우를 다루게 되는데, 이때는 골수기능저하를 의심해야 한다. 골수기능저하를 보이는 경우에는 RBC이외의 혈구감소도 보일 수 있다. > 골수기능저하 • Aplastic anemia: 재생불량 빈혈 • Myelodysplastic syndrome: 골수형성

고프로락틴혈증 (Hyperprolactinemia), 프로락틴선종 : 원인 / 임상양상 / 증상 / 종류 / 진단 / 치료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트는 Master KMLE 콘텐츠입니다!! ^^ Master KMLE 5권. 내분비에 있는 Topic 02. 뇌하수체/시상하부질환 - SubTopic 02-2. 뇌하수체 전엽 종양 증후군 편 리뷰 콘텐츠를 소개해드릴게요!! Master KMLE만의 자세한 토픽 목차 구성을 한번 확인해 보세요! SubTopi 02-2. 뇌하수체 전엽 종양 증후군 에 있는 리뷰들 중 오늘 소개해드릴 리뷰는 " 리뷰 03. 고프로락틴혈증 (Hyperprolactinemia) "과 " 리뷰 04. 프로락틴선종: 진단 ", " 리뷰 05. 프로락틴선종: 치료 " 입니다. 나머지 리뷰 구성 목차는 포스트 하단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리뷰 03. 고프로락틴혈증 (Hyperprolactinemia) 고프로락틴혈증은 남성과 여성 모두에서 가장 흔히 발생하는 뇌하수체호르몬과다증이다. 01. 원인 • 프로락틴을 분비하는 뇌하수체선종(프로락틴선종) : 200 μg/L 이상의 고프로락틴혈증의 가

소변검사 (Urinalysis) : 요시험지 검사 (Dipstick urinalysis)(pH,요비중, Bilirubin, Nitrite, NO2 등), 현미경 검사, 거품뇨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이번에 올려드리는 콘텐츠는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 : 실전편(case based approach) vol.2 에 있는 Part 08. 신장·요로·비뇨생식 Topic 01. 신장질환의 일반적인 접근 Sub Topic 01-2. 소변검사 (Urinalysis) 편 내용입니다! 실전편에 있는 소변검사 (Urinalysis) 관련 목차를 한번 확인해보세요! Topic 01. 신장질환의 일반적인 접근에 있는 SubTopic 1-2. 소변검사 (Urinalysis) 편 내용을 소개해드리겠습니다. 그럼 시작합니다! Subtopic 1-2 소변검사 (Urinalysis) Core Review 1. 개요 • 육안적 검사:소변의 색깔, 투명도, 냄새의 변화 • 색깔 - 정상 소변색:노란색(유로크롬(urochrome) 색소에 기인); 옅은 노란색 ~ 진한 노란색(수분 섭취량에 따라) - 무색에 가까운 소변은 매우 희석된 소변이거나 요붕증일 수 있다. - 비정상적인 변화:붉은색(m/c)(연붉

[외과총론] 외과적 합병증 문제1 [내부링크]

01. 71세 남성이 하루 전 시작된 복부 통증으로 내원하였다. 2주전 전 개복 위절제술을 받았으며, 배꼽 위 수술했던 부위에 8×5cm 크기의 압통이 있는 종괴가 있었다. 혈압 90/60mmHg, 맥박 120회/분, 체온 38.4C, 백혈구 22,000/ mm3이었다. 치료는? ① 경과관찰 ② 온찜질 ③ saline enema ④ 피부경유배액 ⑤ 응급수술 외과적 합병증편 문제 잘 풀어보셨나요? ^^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Master KMLE 문제와 해설 콘텐츠를 올려드립니다. 해당 문제는 Master KMLE 1권. 의학총론/외과총론에 있는 과목 2. 외과총론 Topic 04. 수술 후 주요 이슈 SubTopic 04-2. 외과적 합병증 편 문제입니다. [해설] • 상기 환자의 경우 절개창탈장이 발생하였다고 의심할 수 있으며, 현재 임상적으로도 SIRS에 해당되므로 탈장된 크기를 고려해 볼 때, 보존적 치료보다는 응급수술이 우선시 되어야 합니다. • 창상 열개(woun

천명음 (쌕쌕거림, wheezing) : 개요(천명이란?, 발생, 양상, 유형(TCRS, ERS)), 원인 및 감별진단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스마트 소아진료매뉴얼 2판 책의 콘텐츠를 가지고 왔습니다!! ^^ 오늘 소개해드리는 콘텐츠는 Part 06. 호흡기/알레르기 - 증상 에 있는 Topic 02. 천명음 (쌕쌕거림, wheezing) 편 내용입니다!! 소아진료매뉴얼 Part 6의 목차구성을 한번 확인해 보세요! 천명음 (쌕쌕거림, wheezing) 관련 토픽 목차 Topic 02. 천명음 (쌕쌕거림, wheezing) Core review • 원인 및 감별진단 • 진단적 접근 (스마트) 상병코드 I. 천명음 : 개요 1. 천명이란? • 천명은 지속된 호기호흡과 자주 동반된 높은 음높이의 지속적인 음악적 소리이다. • 주로 호기 시에 들리지만 천명은 호흡기 전체 주기에서 일어날 수 있다. 2. 천명은 어떻게 발생하나?1) • 천명은 흉곽 내 기도로부터 발생된다. • 큰 중심성 기도나 작은 말초 기도의 병리에 의해서도 야기될 수 있다. • 천명의 강도는 폐쇄의 중증도를 잘 나타내지 못한다. 실제로 폐

[신장요로] 저나트륨혈증(Hyponatremia) : 정의, 원인, 진단, 치료 - (리뷰)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오늘 소개해드리려는 콘텐츠는 Master KMLE 6권. 신장요로/감염 책에 있는 과목. 신장요로 - Topic 02.수분, 전해질, 산-염기 대사장애 편 리뷰입니다! Master KMLE만의 자세한 토픽 목차를 확인해보세요!! Topic 02.수분, 전해질, 산-염기 대사장애에 있는 리뷰들 중 오늘 소개해드리는 리뷰는 리뷰 04. 저나트륨혈증 (Hyponatremia) 입니다. 그럼 시작합니다!! 리뷰 04. 저나트륨혈증(Hyponatremia) 01. 정의: Plasma Na+ < 135mEq/L 저나트륨혈증은 나트륨 섭취가 감소하거나 수분이 많을 때 발생하는 데 나트륨 섭취가 감소하는 경우는 흔하지 않고(알코올 중독환자 또는 채식주의자) 대부분은 수분이 많아지면서 나타난다. 수분이 많아지는 이유는 환자가 물을 많이 마셨거나 또는 AVP(ADH)가 어떤 이유에서건 증가했기 때문이다. Polydipsia로 인한 저나트륨혈 경우를 제외하면 AVP가 증가 하는 것이 Hyp

신장 기능 검사 (renal function tests) : BUN, Creatinine, 혈중 BUN/Cr ratio, 사구체여과율 (GFR), Cystatin C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 2판(근거편) vol2에 있는 Part 09. 신장·요로비뇨생식 - 1장. 신장/요로비뇨생식계진료를 위한 기초 Topic 01. 신장 기능 검사 (BUN, Creatinine, GFR)편 내용을 가지고 왔습니다~ ㅎㅎ 자세한 목차는 아래와 같습니다! Topic 01. 신장 기능 검사 (BUN, Creatinine, GFR) 1. 신장 기능 검사 (renal function test) • 신장 기능을 평가하기 위한 여러 가지 생화학적 검사 • 항목 : blood urea nitrogen (BUN), creatinine, creatinine clearance • 목적 : 신기능의 손상 정도 파악; 치료에 대한 반응 평가; 신대체요법 요법의 필요성 평가 2. BUN • 요소는 간에서 요소회로 효소의 작용으로 아미노산과 암모니아로부터 생산된다. • 혈액요소질소(blood urea nitrogen, BUN) : 관습적으로 요소의

[소아과각론] 근 디스트로피(Muscular dystrophies), 중증 근무력증(Myasthenia gravis), Guillain-Barre 증후군(AIDP, GBS)(리뷰)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트에서는 마스터 KMLE 13권. 소아과각론 책에 있는 Topic 14. 신경 - SubTopic 14-2. 말초신경계 질환편 리뷰들을 소개해드릴게요!! 13권. 소아과각론의 자세한 토픽 목차를 확인해보세요!! 오늘 소개해드릴 리뷰는 SubTopic 14-2. 말초신경계 질환 편에 있는 리뷰 01. 근 디스트로피(Muscular dystrophies) 리뷰 02. 중증 근무력증(Myasthenia gravis) 리뷰03. Guillain-Barre 증후군 입니다. 그럼 시작합니다!! 리뷰 01. 근 디스트로피(Muscular dystrophies) 골격근의 쇠약(weakness)이 특징이며, 다른 말초 신경-근육 질환과는 달리 ① 일차 근육 질환이며, ② 유전성이고, ③ 진행성이며, ④ 병의 경과 중 어떤 시기에서도 근육 섬유의 변성과 괴사가 출현하는 것이다. ※ 디스트로핀병증(Dystrophinopathies) Dystrophin 단백질을 encoding하는

[심혈관] 고혈압 진단 : 증상 및 징후, 병력청취, 검사, 진료지침, 분류, 심혈관 위험도 평가 / 분류, 이차성 고혈압, 원인질환, 백의고혈압 -(리뷰)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이번에 올려드리는 콘텐츠는 Master KMLE 4권. 심혈관 책에 있는 Section 04. 주요 심혈관계 질환: 혈관질환(관상동맥/말초혈관) Topic 16. 고혈압 편 리뷰 입니다. Master KMLE 4권. 심혈관 책의 자세한 토픽 분류를 확인해보세요! 아래 내용은 "리뷰 02. 고혈압 진단", "보충설명 "내용입니다. 자세한 리뷰 구성 목차는 본 포스트 하단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리뷰 02.고혈압 진단 01. 고혈압 환자의 진단 및 평가 • 고혈압 환자의 진단과 평가를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점을 확인해야 한다. 1) 일차성과 이차성 고혈압 감별 2) 고혈압의 중증도 평가 3) 심혈관질환의 위험인자와 생활습관 파악 4) 심혈관질환 유무와 치료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동반질환 또는 무증상장기손상 유무 확인 그림. 고혈압의 진단 흐름도 ① 가급적 진료실 이외 혈압 (가정혈압 또는 24시간 활동혈압)을 재어 고혈압 유무를 정확히 진단하여야 한다. ② 고혈압 고위

남성갱년기 증후군 (Testosterone deficiency syndrome) : 진단, 치료 [내부링크]

실전편_남성갱년기 증후군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 실전편(Case based approach)에 있는 남성갱년기 증후군 (Testosterone deficiency syndrome) 편 콘텐츠를 가지고 왔습니다^^ 자세한 목차는 아래를 참고해주세요! 이번에 올려드리는 Part 06. 내분비 - Topic 05. 남성갱년기 증후군 (Testosterone deficiency syndrome) 콘텐츠는 Practical guide 내용입니다. Corer review 추가내용 및 Reference 개요 진단 치료 남성갱년기 증후군의 Core review 내용은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 실전편 책을 참고해주세요! Practical guide: 진단 핵심 포인트 1. 남성갱년기 환자 찾아내기 • 발기장애로 내원하는 경우에는 남성갱년기를 의심하기가 쉽지만 비특이적이고 설명할 수 없는 피로감, 우울감 등으로 내원한 경우에는 이를 의심하고 평가하기란 쉽

[소화기] 탈장 (hernia) : 개요 (종류), 서혜부 탈장 [해부학(복벽, 샅굴), 분류 (간접 / 직접) , 원인, 진단, 검사, 치료] - (리뷰)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이번에 올려드릴 콘텐츠는 Master KMLE 2권. 소화기에 있는 Section 01. 위장관 Topic 11. 탈장 편 리뷰 내용입니다. Master KMLE만의 자세한 토픽 구성을 확인해 보세요! 리뷰 01. 탈장: 개요 01. 탈장(hernia)이란? • 라틴어로 파열(rupture)을 의미하는 말에서 유래 • 신체의 장기나 조직이 그 주위를 둘러싼 벽의 결손을 통해 비정상적으로 돌출된 상태 • 건막(aponeurosis), 근막(fascia)이 횡문근(striated muscle)으로 덮여있지 않은 대퇴부, 배꼽 부위나 복부의 백선(linea alba), 이전 절개 부위 등에서 주로 발생 02. 탈장의 종류 • 탈장은 인체 여러 부위에서 발생가능하다. Internal abdominal hernias 1. paraduodenal 2. foramen of Winslow 3. Pericecal 4. intersigmoid 5. transmeseteric 6. retr

[신장요로] 수분, 전해질, 산-염기 대사장애 문제 1 [내부링크]

01. 68세 남자가 1일 전부터 의식이 혼미해져 응급실에 실려 왔다. 1개월 전부터 기침과 함께 피 섞인 가래가 나왔다고 한다. 혈압 110 /60 mmHg, 맥박 92회/분, 호흡 24 회/분, 체온 36.8C였다. 피부긴장도는 정상이었고, 정강뼈앞 오목부종은 없었다. 검사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치료는? • 혈액: 포도당 101 mg/dL, Na+ 112 meq/L, K+ 3.2 meq/L, 삼투질농도 249 mOsmol/kg H2O 유리 T4 1.25 ng/dL (참고치, 0.8~1.7), 갑상샘자극호르몬 2.89 mIU/L (참고치, 0.34~4.25) 코티솔 21.2 μg/dL (참고치, 5~25) • 소변: Na+ 112 meq/L, 삼투질농도 540 mOsmol/kg H2O • 가슴 X선 사진: 왼쪽 폐상엽에 5 cm 크기의 덩이 ① 티아지드 ② 수분 제한 ③ 3 % 식염수 ④ 히드로코티손 ⑤ 광물부신겉질호르몬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Master KMLE 06권. 신장요

[호흡기] 폐렴 : 개요 (폐렴이란, 분류) , 지역사회획득 폐렴 : 진단 (증상, 악설음 (습성 나음, crackles, rales), 검사, PSI, CURB-65) -(리뷰)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이번 시간에는 Master KMLE 4권. 호흡기 책에 있는 Section 02. 주요 호흡기 질환 Topic 10. 폐렴 에 있는 리뷰들을 소개해드리겠습니다. 관련 목차를 한번 확인해주세요! 리뷰 01. 폐렴: 개요 01. 폐렴이란? 폐렴은 폐 실질의 감염(infection of the pulmonary parenchyma)① ① 폐 실질(Pulmonary parenchyma) : respiratory bronchiole, alveolar duct, alveolar sac, alveoli 02. 분류 • 지역사회획득 폐렴(community-acquired pneumonia, CAP) • 병원획득 폐렴(hospital-acquired pneumonia, HAP) • 인공호흡기연관 폐렴(ventilator- associated pneumonia, VAP) • 의료기관관련 폐렴(healthcare-associated pneumonia, HCAP) • 폐렴은 크게 지역사회획득

[내분비] 당뇨 합병증: Diabetic Ketoacidosis (당뇨병성 케톤산혈증) DKA - 병태생리, 진단, 증상, 검사, 치료 - (리뷰01)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이번에 올려드릴 콘텐츠는 Master KMLE 5권. 내분비에 있는 Topic 05- 당대사/지질대사 - SubTopic 05-2. 당뇨 합병증 편 내용입니다. 얼마 전 당뇨 합병증편 문제와 해설도 포스팅했었답니다. 문제를 못 풀어보신 분들은 본 포스트 리뷰를 보시기 전에 문제를 한 번 풀어보세요^^ [내분비] 당뇨 합병증 문제 1 관련 목차를 확인해주세요!! 리뷰 01. 당뇨 합병증: Diabetic Ketoacidosis (당뇨병성 케톤산혈증) • DKA는 주로 type1 DM 환자에서 부적절한 인슐린 투여 또는 infection, MI, stroke, cocaine, 임신 등에 의해 발생한다. • 인슐린의 부족 + glucagon 과잉(→ 지방세포 FFA 유리 증가하여 ketone body↑)이 핵심이다. 01. 병태 생리 • 당뇨병성 케톤산혈증(DKA)은 당뇨병의 급성 합병증으로 주로 제1형 당뇨병에서 나타나지만, 제2형에서도 나타나는 경우가

과민성 방광 (overactive bladder, OAB) : 진단 - 증상 (요절박, 절박성요실금, 주간빈뇨, 야간빈뇨), 배뇨일지, 검사, 방광 내시경, 요류검사, 잔뇨검사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이번에 올려드릴 콘텐츠는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 2판(근거편)에 있는 SubTopic 08-2. 과민성 방광 (overactive bladder, OAB) 편 내용입니다. 관련 목차는 아래 이미지를 확인해주세요. Core review 개정포인트 & Key reference 개요 - 증상/특징 진단 치료 - 일차 치료법/ 이차 치료법 (core review 내용은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 2판(근거편) 책을 참고해주세요!) I. 과민성 방광 : 진단 1. 과민성 방광 진료를 위한 기초 1) 과민성방광 (overactive bladder, OAB)이란? • 요로감염이 없고 다른 명백한 병인이 없는 조건하에서 절박성요실금(urgency incontinence)의 유무에 관계없이 요절박이 있는 경우로 흔히 주간 빈뇨와 야간 빈뇨를 동반한다1). 증상 특징 요절박 (urgency) 강하고 갑작스럽게 요배출 욕구가 일어나 늦출 수 없는 증상을 호소하는 것 절박성요실금 (urgency i

흉통 (Chest discomfort) - CAD(coronary artery disease, 관상동맥질환), PQRST 기술법, 협심증 통증 / 증상, 허혈성 심질환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오늘 콘텐츠는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 실전편(Case based approach)에 있는 Part 04. 심혈관 - Topic 03. 가슴통증(흉통)/허혈성심질환 (Chest discomfort/Ischemic heart disease) SubTopic 03-1. 흉통 (Chest discomfort) 편입니다. 목차 참고해주세요! SubTopic 03-1. 흉통 (Chest discomfort) Core Review 1. 개요 2. 원인 및 감별진단 1) 근골격계 흉벽통증(Musculoskeletal Chest Wall Pain) 2) 소화기 원인(Gastroenterologic Causes) 3) 정신적 원인(Psychogenic Chest Pain) 3. 진단적 접근 1) CAD 평가 전략: 검사전 확률(pretest probabilites, pretest-likelihood of CAD) 전략 2) CAD 평가 전략: Clinical Decision Rule Co

소아 식품 알레르기 (food allergy) : 개요 (원인, 분류 등), 진단 (병력청취, 증상, 식품일기, 검사 방법)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이번에 올려드릴 콘텐츠는 스마트 소아진료매뉴얼 2판 책의 Section 02. 흔한 증상 및 질환의 접근 - Part 06. 호흡기/알레르기에 있는 콘텐츠 입니다. 호흡기 파트의 자세한 목차를 한번 확인해 보세요! 호흡기 파트 중에서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아래와 같습니다!! 그럼 시작합니다! Topic 13. 식품 알레르기 (food allergy) Core review 개정포인트 & Key reference 가이드라인 개요 - 기전에 따른 식품 알레르기 반응의 분류 진단 치료 (스마트) 상병코드 Core review 내용은 소아진료매뉴얼 책을 통해 확인해주세요! I. 개요 1. 식품 알레르기란? 특정 식품에 노출 시 반복적으로 재현되는(reproducibly) 특이 면역반응에 의해 유발되는 이상반응1) 2. 식품 알레르기는 얼마나 흔한가? 3. 유발 원인은? • 우리나라 ISAAC 역학 조사(2000년)4) : 계란, 우유, 콩, 땅콩, 메밀

[혈액] 형질세포질환 (Plasma cell disorder) 이란? : 종류 (형질세포종양), Waldenstrom’s macroglobulinemia, 치료 -(리뷰01) [내부링크]

리뷰 01. 형질세포질환 (Plasma Cell Disorder) 01. 형질세포질환 (Plasma cell disorder) 이란? • B 림프구 계열 세포에서 유래한 형질세포의 증식을 특징으로 하는 단클론 신생물 • 유사용어: 단클론감마병증(monoclonal gammopathy), 파라단백혈증(paraproteinemia), 형질세포이상(plasma cell dyscrasia), 이상단백혈증(dysproteinemia) 등 단클론감마병증은 형질세포질환 외에도 림프구계 종양 (만성림프구백혈병, 림프종 등), 비림프구계 종양(만성골수성백혈병, 유방암, 대장암 등), 비-신생물 질환(간경변, sarcoidosis, 기생충질환, 고셔병, pyoderma gangrenosum 등 ), 자가면역질환(류마치스관절염, 근무력증, 한냉적혈구응집증 등), 피부질환(lichen myxedmatosus, papular mucinosis 등)에서도 나타날 수 있다. 02. 종류 형질세포종양(WHO 2

[내분비] 당뇨병 합병증 문제 1 [내부링크]

01. 28세 남자가 1개월 전부터 피로감이 심해진다고 응급실에 왔다. 소변을 자주 보며 야간에도 2~3번 소변을 본다고 하였다. 술을 자주 마시며, 복용 중인 약물은 없다. 진단은? P/E • V/S: 혈압 100/70 mmHg, 맥박 110회/분, 호흡 24회/분, 체온 37.0 • 복부: 명치 끝 압통(+), 반동압통(-), 만져지는 덩이(-) 혈액 • 혈색소 13.5 g/dL, 백혈구 12,000/mm3 • 혈액요소질소 36 mg/dL, 크레아티닌 1.7 mg/dL • Na+/K+/Cl- 130/3.8/94 meq/L, 혈장 삼투질농도 298 mOsmol/kg H2O • 아스파르테이트아미노전달효소 62 U/L, 알라닌아미노전달효소 59 U/L, 아밀라아제 110 U/L(참고치, 20~96), 리파제 32 U/L(참고치, 3~43) • 포도당 480 mg/dL, 당화혈색소 11.7%, C-펩티드 0.4 ng/mL(참고치, 0.8~3.5) 동맥혈가스분석 (대기호흡) • pH 7.

연부조직손상 : 경추 긴장 / 염좌 - 개요, 진단, 치료 (정의, 편타증(whiplash), 편타성 질환(WAD), 증상, 검사, 약물요법 등) [내부링크]

이번 포스트 내용은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 2판(근거편) 책에 있는 Part 12. 근골격/류마티스 - 1장. 목/허리/고관절 Topic 02. 연부조직손상 편 콘텐츠입니다. 근거편 책의 해당 파트 목차는 아래와 같습니다. Topic 02. 연부조직손상 이번 콘텐츠는 Topic 02. 연부조직손상의 I. 경추 긴장 / 염좌 부분 콘텐츠입니다. (II. 편타손상 내용은 책을 참고해주세요.) I. 경추 긴장 / 염좌 1. 개요 1) 정의 • 경부의 인대나 힘줄 등의 연부 조직 손상으로 통증이 발생한 경우 • 원인 : 외상이나 자세 이상 등 • 임상에서 흔하며 시간이 지나면 대개 호전된다. • 용어를 세부적으로 정의하면① ① 전문가나 일반인들 모두 이 두 용어를 서로 혼용하여 사용 • 신체검사나 X선 검사로는 목의 심부 연부조직 손상이 근육에 있는지 인대에 있는지 구별할 수 없으므로 보통 경추 염좌에는 경추디스크나 후관절의 인대손상도 포함 • 어떤 연부조직이 손상되었는지에 상관없이 진단이나

[감염] 그람양성균에 의한 질환: 포도알균(Staphylococcus), 사슬알균(Streptococci)- 황색포도알균(S. aureus), S. pyogenes 등-(리뷰) [내부링크]

본 내용은 Master KMLE 6권. 신장요로/감염 책에 있는 과목 02. 감염 - SECTION 03. 세균 감염 Topic 06. 그람양성균에 의한 질환 편 리뷰 내용입니다. Topic 06. 그람양성균에 의한 질환이 어디에 분류되어 있는지 목차를 한번 확인해보세요! Topic 06. 그람양성균에 의한 질환 리뷰 01. 포도알균(Staphylococcus) 그람염색에서 포도송이 모양의 그람양성 알균으로 관찰된다. 01. 분류 (1) coagulase 양성 포도알균: 황색포도알균(Staphylococcus aureus) (2) coagulase 음성 포도알균(coagulase-negative staphylococci, CoNS: S. epidermidis 표. 포도알균(Staphylococcus) : 주요 병원성 종은 3가지 균주 관련질환 Staphylococcus aureus • Exotoxin dependent 1. Gastroenteritis(food poisoning) 2

삼차(3차)신경통(Trigeminal neuralgia) - 진단/평가, 치료, 실전처방예시, 급여기준, 상병명 G50, Case based approach(S/O/A/P)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오늘 올려드리는 콘텐츠는 올해 출간된 도서인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 : 실전편(Case based approach)에 있는 SubTopic 2-1. 삼차(3차)신경통(Trigeminal neuralgia) 내용입니다. 실전편 책 콘텐츠를 처음 보시는 분들은 먼저, 실전편 책의 내용 구성 및 특징에 대해 한번 알아보세요! [일차진료매뉴얼(실전편)] 책 구성 및 특징 소개(with 발열편 콘텐츠 전체 링크정리) Core review 추가내용 및 Reference 1. 개요 1) 삼차신경통이란? 2) 분류 (1) 삼차신경통의 두통분류에서의 위치 (2) classical TN (CTN) vs. Painful trigeminal neuropathy(ICHD-3) (3) 전형적인 삼차신경통(typical TN) vs. 비전형적인 삼차신경통(atypical TN) 2. 진단 3. 치료 1) 약물치료 2) 수술적 치료 Core review 내용은 "실전편"책을 통해 확인해주세요! Pra

[혈액] 용혈 빈혈 - 원인, 분류, 임상양상(P/E 소견, 검사 소견), 진단 흐름도 - (리뷰01) [내부링크]

리뷰 01. 용혈 빈혈 01. 원인 및 분류 • 용혈 빈혈은 3-4가지 다른 방식으로 분류할 수 있다. ⑴ 원인에 의한 분류: 적혈구 자체이상, 적혈구외 요인 ⑵ 해부학적인 분류: ① 적혈구내의 분자적인 결함(혈색소병증, 효소 이상), ② 세포막 구조 및 기능 이상, ③ 기계적 손상 또는 자가항체 같은 환경요인 ⑶ 용혈장소에 의한 분류 ⑷ 유전성 혹은 후천성 1. 원인에 의한 분류 • 적혈구 내부 원인: 주로 선천적인 원인 • 적혈구 외부 원인: 주로 후천적인 원인 적혈구 내부 원인 적혈구 외부 원인 유전성 • Hemoglobinopathies • Enzymopathies • Membrane- cytoskeletal defects • Familial (atypical) hemolytic uremic syndrome 후천성 • Paroxysmal nocturnal hemoglobinuria • Microangiopathic destruction • 독성물질, 약물 • 감염 • 자가면역

소아 장중첩증이란? - 개요(역학,원인), 진단(증상, 병력 및 신체검사, 검사)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스마트 소아진료매뉴얼 2판 책에 있는 장중첩증 콘텐츠를 올려드리고자 합니다! 목차를 한번 참고해주세요! 저번 포스트에서 장중첩증 Core review와 Practical guide 콘텐츠를 올려드렸었는데, 다들 보셨나요?^^ 아직 못 보신 분은 아래 포스트를 확인해주세요! 소아 장중첩증 Core review + Practical guide 콘텐츠 보러가기 이번에 올려드릴 콘텐츠는 Topic 07.장중첩증((intussusception)에 있는 I. 개요, II. 진단 부분 내용입니다. I. 개요 1. 장중첩증이란? • 일반적으로 상부(근위부) 장이 하부(원위부) 장 속으로 망원경같이 말려 들어가는 현상1),2) : 대개 소장 및 대장 모두 포함. 돌막창자 부위(ileocecal)가 결장 안으로 말려 들어가는 것이 가장 흔함(95 %) • 장중첩증은 2세 이하의 영아에서 흔한 장폐색의 원인이다3). 2. 장중첩증의 역학 • 장중첩증은 3

담낭염(Cholecystitis) 진단 - 급성 담낭염, 증상, 병력청취, 검사, Murphy 징후, 도쿄 가이드라인 등 - (당남염×) [내부링크]

I. 담낭염(Cholecystitis) : 진단 1. 임상양상 • 담낭염(Cholecystitis)은 증상이 있는 담낭 담석 환자의 약 15~30%에서 발생1) • 기전 : 담낭관을 막고 있는 담석이 빠져 나오지 않고 염증이 발생하며 담낭관 폐쇄가 진행되어 담낭의 압력이 비가역적으로 증가하여 급성 담낭염을 유발1) • 급성 담낭염은 결석으로 인해 담낭관 폐쇄가 발생하고 이로 인한 합병증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 발열과 함께 우상복부나 심와부에 심한 통증이 있고, 등으로 방사되기도 한다. 2. 진단 원칙2) • 병력 청취, 임상 증상, 신체 검사, 말초백혈구 증가, CRP 증가, 간기능 이상, 영상 소견을 종합하여 진단한다. • 혈액배양과, 채취 가능하다면 담즙배양을 권장한다. • 영상검사로 초음파, CT, 간담도 주사검사를 권장한다. 3. 병력청취1) • 심한 오심과 구토도 동반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통증에 이어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 구토가 장폐쇄증이나 급성 췌

[소아과 각론] (남성/여성) 외성기 질환 - 미하강 고환, 음낭수종, 고환 염전, 음순 유착, 외음부 질염, 초경 전 질 분비물 - (리뷰01) [내부링크]

리뷰 01. 외성기 질환 01. 남성 외성기 질환 1. 미하강 고환(Undescended testis, Cryptorchidism) (1) 정의 • 고환이 음낭에 완전히 내려가지 못하고 중간에 머물게 되는 것을 말한다. • 발생 빈도는 출생 시 3% 정도이나 미숙아 또는 저체중아에서 그 빈도가 증가한다. (2) 임상 양상 • 미하강 고환의 위치는 복강, 서혜관, 치골결절상부, 회음부 등이 있으며, 복강 내에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대부분 촉지된다. • 미하강 고환의 주요 합병증은 불임, 고환암, 탈장, 고환 염전이다. • 미하강 고환이 있는 경우 고환암의 위험이 정상인에 비해 2~4배 높다. • 고환암 예방을 위해서는 늦어도 10세 이전에 고환 고정술을 시행해야 하며 2세 이전에 시행할 때는 발생이 드문 편이다. (3) 진단 • 환자를 반듯이 누이고 다리를 개구리 모양으로 만든 뒤 한 손으로 서혜부 쪽으로 하복부를 쓸어내리면서 다른 한 손으로 엄지와 나머지 손가락 사이에 서혜관 전체가

[류마티스] 쇼그렌 증후군 진단 - 역학, 분류(일차성/이차성), 증상, 진단기준 등(리뷰01)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이번 시간은 Master KMLE 07권. 혈액/류마티스/알레르기에 있는 과목 2. 류마티스 - Topic 03. 쇼그렌증후군 콘텐츠 입니다. 목차는 아래 이미지를 참고해주세요. 리뷰 01. 쇼그렌 증후군(Sjögren’s syndrome): 진단 01. 쇼그렌 증후군의 이해 • 서서히 진행되는 만성 자가면역질환 • 외분비선에 림프구가 침윤되어 구강 건조 및 안구 건조 증상이 발생하는 것이 특징 • 약 1/3환자에서 전신증상이 나타나며 드물지만 일부에서 악성 림프종이 발생 1. 역학 중년 여성에 호발(남:녀 = 1:9), 그러나 소아를 비롯하여 전 연령에서 발생 가능 2. 분류 (1) 일차성 쇼그렌 증후군 • 단독으로 존재 • 유병률 0.5-1% (2) 이차성 쇼그렌 증후군 • 다른 자가 면역 류마티스 질환과 동반하여 발생 • RA, SLE, scleroderma, mixed connective disease, primary biliary cirrhosis, vascul

만성 B형 간염 Chronic hepatitis B - Case based approach (S/O/A/P) [내부링크]

Core review 1. 개요 B형 간염의 자연경과(natural history): 5개 임상 단계로 분류 2. 진단 3. 치료 치료대상 및 전략(2018년 가이드라인) 4. 약물 요법 Practical guide: 진단/평가 Practical guide: 치료 만성 B형 간염 Chronic hepatitis B Core review와 Practical guide 내용은 아래 포스트를 참고해주세요!! 만성 B형 간염 Core review + Practical guide 보러가기 Case based approach 1 : f/u하다가 ALT 81로 vemildy(tenofovir) start S C.C:. ALT 상승(123) • M/31. known chronic hepatitis B • 최근 시행한 검사에서 간염 수치 높게 측정되어 의뢰됨:AST/ALT 86 /123, Abd. sono:이상없음. • 과거 간염수치는 정확치는 않지만 정상근처였다고 함(마지막 검사는 2년 전). 항

신생아 황달 neonatal jaundice : 원인 및 진단 (빌리루빈 유형 및 수치, 생리적/병적/모유/핵황달, 증상, 검사 등) [내부링크]

I. 신생아 황달(neonatal jaundice): 원인 및 진단적 접근 1. 원인 및 감별진단 1) 빌리루빈 유형 및 용혈유무에 따른 감별진단 (1) 비포합 빌리루빈이 상승하는 경우1) 흔한 원인 드문 원인 용혈이 존재하는 경우 • ABO-나 Rh-혈액형 부적합으로 인한 태아 적아구증 • 감염 • 지중해빈혈(thalassemia) • 적혈구 효소결함:G6PD, pyruvate kinase • 적혈구 막질환:구형적혈구증(spherocyto- sis), 타원적혈구증(ovalocytosis) 용혈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 모유 황달 • 당뇨여성으로부터 출생한 아이인 경우 • 내출혈(두혈종) • 생리적 황달 • 적혈구 증가증(Polycythemia) • 갑상선기능저하증 • 면역 혈소판감소증 • glucuronyl transferase 변이 (예. Crigler-Najjar syndrome, Gilbert syndrome) • 유문협착(Pyloric stenosis) (2) 포합 빌리루빈

위식도 역류질환(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GERD) - 증상, 진단, 치료 + Case based approach (S/O/A/P)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이번 편은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 : 실전편(Case based approach)에 있는 Part 05. 소화기 - Topic 07. 위식도 역류질환(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GERD) 내용입니다. 아래 목차를 확인하세요! Core review 1. 임상증상 비미란성역류질환(Non-Erosive Reflux Disease, NERD) = 내시경 음성 역류질환 미란성 역류질환(Erosive Reflux Disease, ERD) 또는 역류식도염(Reflux Esophagitis) • 내시경 검사에서 식도 점막의 손상 없이 역류와 관련된 불편한(troublesome) 증상이 있는 경우:GERD 증상 + no evidence of esophagitis GERD 증상 + Esophagitis • 식도 증상 및 징후 - 전형적인 식도 증상 및 징후:흉부작열감(heartburn), 역류 증상(regurgitation) - 비전형적인 식도 증상 및 징후

상부위장관출혈 - 원인, 진단, 병력, 검사, 비 정맥류/정맥류 출혈, 치료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이번 콘텐츠는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 2판(근거편)에 있는 Part 06. 소화기 - 2장. 소화기 증상/징후/질환(위장관) Toic 07. 위장관출혈편입니다. 자세한 목차는 아래 이미지를 참고해주세요! 이번 콘텐츠는 Topic 07. 위장관출혈에 있는 II. 위장관출혈: 상부위장관 출혈 내용입니다. (Topic 07의 내용 구성은 포스트 하단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II. 위장관출혈 : 상부위장관 출혈 1. 급성 상부위장관출혈의 원인 • 원인은 크게 정맥류 출혈과 비정맥류 출혈로 나뉜다. (정맥류 출혈은 전체의 10% 이내이다.) • 비정맥류 출혈 중에는 소화성 궤양이 가장 흔한 흔하며, 이 외에도 말로리-바이스 증후군(Mallory-Weiss syndrome), Dieulafoy 병변, 혈관 이형성증과 종양 등이 포함된다1). 표. 급성 상부위장관출혈의 원인2) 원인 빈도(%) Longstreth(1995) Blatchford(1997) Ro

[내분비] 당뇨병 치료(전략) - 관리지침, 치료원칙, 제2형당뇨병, 혈당조절, 저혈당 관리 등 - 리뷰03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주말 잘 보내고 계신가요?^^ 이번 시간은 Master KMLE 05권. 내분비에 있는 리뷰 콘텐츠를 가지고 왔습니다!! Topic 05. 당대사/지질대사 에 있는 SubTopic 05-1. 당뇨병의 진단 및 치료에 있는 콘텐츠입니다. 관련 목차를 확인해주세요! Sub Topic 05-1. 당뇨병의 진단 및 치료 에서 리뷰 03. 당뇨병: 치료 - 치료전략 부분 콘텐츠입니다. (리뷰 목차는 포스트 하단에서 확인해주세요!!) 리뷰 03. 당뇨병: 치료 - 치료전략 01. 당뇨병 환자의 관리지침 > 자가 혈당 점검 • A1C 검사(매년 2~4회) • 당뇨병 관리방법 교육(매년 실시) • 당뇨 식이요법 교육(매년 실시) • 안검사(매년 실시) • 족부검사(매일 환자 자가검진, 매년 1~2회 의사 검진) • 당뇨신장병증 검사(매년 실시) • 혈압검사(매년 4회) • 지질검사 및 혈장 크레아티닌 검사(GFR 측정, 매년 실시) • 인플루엔자와 폐렴구균 예방접

급성중이염 acute otitis media 진단(기준) 및 치료 : 증상 및 병력, 징후, 이경 검사, 고막운동성계측, 항생제 투여, 실전 처방 예시, 상병코드 등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다들 주말 잘 보내고 계신가요?^^ 이번에 올려드릴 콘텐츠는 스마트 소아진료매뉴얼 2판 책 내용입니다. Part 13. 눈ㆍ귀ㆍ코ㆍ입 에 있는 Topic 09. 중이염(otitis media) 중 Sub Topic 09-1. 급성 중이염(acute otitis media) 내용입니다. 자세한 목차를 확인해 보세요! 이번 콘텐츠는 SubTopic 09-1. 급성 중이염에서 Core review, 실전처방예시, (스마트) 상병코드, I. 진단 부분 내용입니다. 자세한 내용 구성은 포스트 하단을 참고해주세요!! Topic 09. 중이염에 속하는 Sub Topic 09-2. 삼출성 중이염 콘텐츠를 보시고 싶으신 분은 아래 포스트를 클릭해주세요! SubTopi 09-2. 삼출성 중이염(otitis media with effusion) 포스트 바로가기 < 개정포인트 & KEY REFERENCE > • Lieberthal AS, Carroll AE, Chonmaitree T, et

[감염] 후천면역결핍증후군(AIDS) 문제 1 [내부링크]

01. 34세 의사가 오늘 아침 환자 혈액 채취후 주사기 폐기과정에서 손가락을 찔렸다. 손가락에서 피가 나서 흐르는 물에 씻었다. 환자는 폐포자충폐렴으로 치료중이었다. 혈액검사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의사에게 필요한 조치는? HBsAg Anti-HBs Anti-HCV Anti-HIV 환자 양성 음성 음성 양성 의사 음성 양성 음성 음성 ① B형간염 예방접종 ② B형간염 면역글로불린 투여 ③ B형간염 예방접종과 면역글로불린 투여 ④ 2개월 후 anti-HIV 재검사 ⑤ 항 HIV약제 투여 안녕하세요. 문제 다들 풀어 보셨죠?^^ 이번 문제는 Master KMLE 06권. 신장요로/감염에 있는 문제입니다. 과목 02. 감염 - Section 04. 바이러스 감염에 있는 Topic 14. 후천면역결핍증후군(AIDS) 문제입니다. [해설] • 폐포자충폐렴으로 치료중인 환자라서 HIV 감염 가능성이 있는데 환자의 혈액검사에서 Anti-HIV 양성을 보이고 있다. 아울러 환자는 B형간염에 걸려

만성폐쇄성폐질환 COPD 진단 알아보기- 증상, 폐활량측정법, 증상 평가, CAT, GOLD 가이드라인 등 [내부링크]

이번 시간은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 2판(근거편)에 있는 콘텐츠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Part 04. 호흡기 - 2장. 주요 호흡기 증상/징후/질환에 있는 Topic 09. 만성폐쇄성폐질환(COPD) 콘텐츠 입니다. 자세한 목차를 확인해보세요! 2장. 주요 호흡기 증상/징후/질환에 있는 Topic들 중 이미 콘텐츠를 올려드린 포스트들을 소개 한 번 해드리고 시작하겠습니다. 근거편 : Topic 03. 객혈 콘텐츠 보러가기 근거편: Topic 09. 기흉 콘텐츠 보러가기 실전편: 급성 비부비동염 콘텐츠 보러가기 이번 콘텐츠는 Topic 08. 만성폐쇄성폐질환 II. 진단 내용입니다. (자세한 내용 구성은 포스트 하단을 참고해주세요!) II. 만성폐쇄성폐질환(COPD) : 진단 1. 초기 진단 •Key points 1)2)3) • COPD를 의심하는 경우는 40세 이상의 성인에서 흡연 등 위험인자에 노출된 적이 있으면서 호흡곤란, 기침, 가래를 만성적으로 동반하는 경우이다. • 이런 경우

[호흡기] 직업성/환경성 폐질환 문제 1 [내부링크]

01. 54세 여자가 점점 심해지는 호흡곤란 때문에 내원하였다. 30년간 도자기를 만들었던 직업력이 있다. 가슴 X선 사진에서 양측 폐 상엽에 결절상 음영을 동반한 섬유화 소견이 관찰되었다. 폐기능 검사에서 노력폐활량(FEV1)이 감소하였다. 이 질환에 흔히 동반되는 병원체는? ① 결핵균 ② 녹농균 ③ 폐포자층 ④ 아스페질루스 ⑤ 거대세포 바이러스 이번 문제는 Master KMLE 4권. 호흡기에 있는 Section 02. 주요 호흡기 질환 - Topic 09. 직업성/환경성 폐질환편 문제입니다. 관련 자세한 목차는 아래 이미지를 확인해주세요! [해설] > KEY CLUE • 도자기 직업력(30년) • 가슴 X선:양측 폐상엽의 결절상 섬유화 • 폐기능검사:제한성 장애 • 직업력 및 방사선 소견을 바탕으로 직업성 폐질환을 진단할 수 있어야 하며, 질환의 특징을 알아야 한다. 직업성 폐질환은 직업력으로 대부분 유추할 수 있다. 원인이 되는 물질과 관련 직업을 잘 알아두어야 한다. 본 증

메니에르병 : Cased based approach(S/O/A/P)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 : 실전편(Case based approach) 책에 있는 Part 09. 신경ㆍ정신 - Topic 03. 어지럼증/현훈(Dizziness/Vertigo) SubTopic 03-3. 메니에르병(Ménière’s disease) 콘텐츠를 올려드리겠습니다!! 관련 목차를 확인해보세요! Topic 03. 어지럼증/현훈편에 있는 메니에르병 외에 다른 Subtopic 콘텐츠도 올려드렸었답니다^^ 확인하시고 싶으신 분은 아래 포스트들을 참고해주세요! SubTopic 03-1. 양성돌발두위현훈(BPPV) 포스트 SubTopic 03-2. 전정신경염(Vestibular neuritis) 포스트 이번에 올려드리는 콘텐츠는 메니에르병의 Case based approach 내용입니다. Case based approach 부분에 대해 더 자세히 알고 싶으신 분은 아래 포스트를 확인해주세요! 실전편 책 구성 방식 알아보기! Case ba

기흉 Spontaneous pneumothorax : 정의, 분류, 병태생리, 원인 등 [내부링크]

이번 포스트 주제는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 2판(근거편)에 있는 Part 04. 호흡기 진료를 위한 기초 - 2장. 주요 호흡기 증상/징후/질환 Topic 09. 기흉(Spontaneous pneumothorax)입니다. 자세한 목차는 아래 이미지를 참고 해주세요. 오늘의 콘텐츠는 Topic 09. 기흉의 내용구성 중 I. 기흉 : 개요편 내용입니다. I. 기흉 (Spontaneous pneumothorax) : 개요 1. 정의 •기흉(pneumothorax)이란? 1)2) : 흉막강(pleural space)에 공기가 존재하는 경우 • 공기가 흉막강(pleural space)에 존재할 경우 다음 3가지 중 하나의 결과가 발생할 수밖에 없다.2) 1. 폐포와 흉막강 사이의 교통(communication) 2. 대기와 흉막강 사이의 직접적인 교통 3. 흉막강 내 가스형성균의 존재 2. 분류 1) 기흉의 임상적인 분류 표. 기흉의 임상분류(clinical classfication) 2)3

[심혈관] 핵의학 검사 - Myocardial Perfusion, Myocardial Viability & Metabolism, Ventricular function(리뷰03) [내부링크]

오늘의 콘텐츠는 Master KMLE 3권. 심혈관에 있는 Section 01. 심혈관 질환에 접근하기 위한 기초 - Topic 02. 심혈관계 주요 검사 리뷰 03. 핵의학 검사편 입니다. 관련 자세한 목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리뷰 03. 핵의학 검사 핵의학은 방사능을 가진 동위원소를 몸 안에 주입해 다양한 정보를 얻는 검사로 방사능을 검출하는 방법에 따라 심장핵의학에선 크게 SPECT와 PET로 나눌 수 있고 각각의 검사마다 사용되는 동위원소가 다릅니다. 심장핵의학에서 사용되는 동위원소들은 대부분 심근에 잘 uptake되는 성질을 갖고 있습니다. 심장핵의학은 크게 심근의 관류(Perfusion), 회생가능성(Viability), 심실기능평가(Ventricular function)에 이용할 수 있습니다. 01. Myocardial Perfusion • 방법:심근에 잘 uptake 되는 동위원소를 주입하고 안정 시 심장과 부하가 걸린(Stressed) 심장의 차이를 비교한다. 관상동

[소화기] 간세포암 문제 1 [내부링크]

01. HBsAg(+)인 간경변증 환자에서 매년 2회 이상 정기적으로 추적 관찰해야 할 것 중 옳은 것은?(2가지) ① AFP ② CEA ③ 복부 초음파 ④ 경구 담낭 조영술 ⑤ 역동적 조영증강 복부 CT ⑥ 역동적 조영증강 복부 MRI 간세포암편 문제 다들 잘 풀어 보셨나요?^^ 이번에 올려드린 문제는 Master KMLE 2권. 소화기에 있는 SubTopic 23-1. 간세포암 편 문제입니다. Master KMLE는 토픽도 세세하게 분류가 되어 있습니다. 간세포암의 경우 Section 02. 간 - Topic 23. 간 종양에 포함된 서브토픽입니다. 자세한 목차는 아래 이미지를 참고해주세요! [해설] • HBsAg(+)인 간경변증 환자는 간세포암의 위험성을 가지고 있다. • 대부분의 간세포암종은 뚜렷한 원인인자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고위험군의 경우 간세포암종을 조기에 발견하기 위한 감시(surveillance) 검사가 요구된다. • 우리나라에서 간세포암종의 원인은 B형간염바이러

과민대장증후군(Irritable bowel disease)- 진단/평가(증상,검사), 치료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이번에 올려드리는 내용은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 실전편(Case based approach)에 있는 과민대장증후군(Irritable bowel disease)입니다. 관련 목차는 아래 이미지를 참고해주세요! 아래 내용은 Subtopic 10.2 과민대장증후군의 Core review와, Practical guide: 진단/평가 콘텐츠 입니다. Core review < 추가 내용 및 Reference > 과민대장증후군은 스마트일차진료매뉴얼 2판에서 2016년 개정발표된 로마기준 IV(Rome IV)를 반영하지 않았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로마기준 IV(Rome IV)를 추가적으로 반영하였다. • Kim HJ, Cha RR, Kim HJ. Understanding the Rome IV:Irritable Bowel Syndrome and Functional Diarrhea. The Korean Journal of Medicine 2017; 92(4) :366

삼출성 중이염(otitis media with effusion) - 증상, 진단 및 검사, 치료, 상병코드(H65.9)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이번에 포스팅할 내용은 스마트 소아진료매뉴얼 2판에 있는 Section 02. 흔한 증상 및 질환의 접근 - Part 13. 눈ㆍ귀ㆍ코ㆍ입 - Topic 09. 중이염(otitis media) Sub topic 9-2. 삼출성 중이염(otitis media with effusion) 내용입니다. 관련 토픽 목차는 아래와 같습니다. 아래 내용은 SubTopic 09-2. 삼출성 중이염(otitis media with effusion)의 "Core review"내용과 "I. 진단" 내용입니다. 개정포인트 & KEY REFERENCE 대한이과학회. 유소아 중이염 진료지침. 2014 개정판 Core review 진단 삼출성중이염의 진단은 이통과 발열 등의 급성 염증의 증상 및 징후가 없으면서 중이내에 삼출액이 있는 경우이다. ① 급성 염증의 증상 및 징후의 유무:병력청취와 신체검사로 판정 ② 중이삼출액의 존재 유무:이경, 통기이경, 이내시경 혹은 수술현미경

갑상샘기능저하증(Hypothyrodism) 치료 - 갑상샘호르몬제, LT3/LT4 복합제제, 무증상 갑상샘기능저하증, 실전처방예시, 상병명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이번에 포스팅 해드릴 내용은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 실전편(Case based approach)에 있는 Part 06. 내분비 - Topic 01. 갑상샘 질환(Thyroid disease) SubTopic 01-3. 갑상샘기능저하증(Hypothyrodism) 콘텐츠 입니다. 관련 토픽 목차는 아래와 같습니다. 아래 내용은 SubTopic 01-3. 갑상샘기능저하증(Hypothyrodism)의 Practical guide: 치료편 콘텐츠입니다. Practical guide: 치료 후보 약물군 • 갑상샘 호르몬제: levothyroxine, Liothyronine 핵심 포인트 1. 갑상샘호르몬제의 투여 제제선택 • 갑상샘호르몬제 투여 시 LT4 단독제제의 사용이 표준치료임 • LT3 /LT4 복합제의 투여는 아직 근거가 부족함 초기 용량 • 보충 용량은 갑상샘기능저하증(Hypothyrodism)의 정도와 나이, 성별, 몸무게, 전신상태 및 심혈관질환과

뇌전증(epilepsy) 치료 - 약물 치료, 항뇌전증약, 약물의 선택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이번에 포스팅 할 내용은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 2판(근거편)에 있는 Part 10. 신경·정신 - Topic 05. 발작(seizure)/뇌전증 SubTopic 05-2. 뇌전증(epilepsy) 내용입니다. 관련 토픽 목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아래 내용은 SubTopic 05-2. 뇌전증(epilepsy)에 있는 II. 치료편 콘텐츠 입니다. II. 치료 1. 약물치료 원칙2) 1) 약물치료의 시작 • 원칙적으로 두 번의 비유발 발작(unprovoked seizure)이 있으면 약물치료를 시작한다. • 약물 치료를 유보할 수 있는 경우 - 부분 뇌전증(예. 소아의 양성 롤란딕 뇌전증), 수면 중에 드물게 나타나는 발작 : 2번 이상 있어도 환자의 상황에 따라 약물치료 없이 관찰가능 - 반사 뇌전증(reflex epilepsy) : 피할 수 있는 자극(불빛이나 소리 등)에 의해서 유발되는 발작, 비자극성 발작이 없다면 꼭 약물치료를 할 필요는 없다.

[의학총론] 경부손상 문제 1 [내부링크]

01. 53세 남성이 좌측 목 부위(Zone Ⅱ)를 칼에 찔려서 왔다 혈압은 60/40mmHg, 심박수 130회/분,호흡수 32회/분이었고 상처부위에 공기방울이 관찰되었다. 이 환자의 효율적인 검사와 치료를 위해 다음 중 가장 적절한 방법을 고르시오. ① 목동맥 조영술 ② 기관지 내시경 ③ 위식도 내시경 ④ 식도 조영술 ⑤ 전신마취 하 상처 탐색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문제 다들 잘 풀어보셨나요?^^ 이번 문제는 Master KMLE 1권. 의학총론/외과총론에 있는 Section 02. 응급진료/손상/외상 - Topic 07. 경부손상편 문제입니다. 관련 토픽 목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그럼 경부손상편 문제 해설 및 정답을 확인해볼까요?^^ [해설] • 자창 등으로 인한 관통손상에 의해 넓은목근(platysma muscle)이 열린 상태라면 일단은 수술 exploration을 고려하여야 한다. 그러나 각각의 경우에 따라서 수술의 시점은 달라질 수 있다. 즉시 수술을 진행하여

성홍열(scarlet fever) - 원인, 증상 등 알아보기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이번 시간은 스마트 소아진료매뉴얼 2판 책에 있는 성홍열(scarlet fever) 콘텐츠를 가지고 찾아왔습니다^^ 관련 토픽 목차는 아래 이미지와 같습니다! Topic 10. 성홍열(scarlet fever) 성홍열은 A군 β-용혈 사슬알균에 의해 발생하는 질환이다. I. 원인 원인 병원체:A군 β-용혈 사슬알균 소아에서 A군 사슬알균 감염 • 다음과 같이 다양한 임상양상을 보일 수 있다. 호흡기 질환 • GAS는 급성 인두염과 폐렴의 주요 원인 • 2세 이하 소아에서는 흔하지 않으며, 집단생활을 하면서 증가한다. 성홍열(Scarlet fever) 이후 자세히 언급 농가진(Impetigo) 표재성 피부 감염증으로, 작은 크기의 수포나 농포가 일시적으로 나타났다가 터지면서 가피를 형성 단독(Erysipelas) A군 사슬알균에 의한 연조직염으로, 경계가 명확하고 통증이 있는 홍반성 경결이 특징 • A군 사슬알균 감염은 다음과 같은 합병증을 초래할 수

[혈액] 혈우병(Hemophilia) - 개요 / 진단/ 검사소견 알아보기 - 리뷰01.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Master KMLE 문제 및 해설이 아닌 리뷰 콘텐츠를 가지고 찾아왔습니다. 보시면 아시겠지만, 해설뿐만 아니라 해당 리뷰도 자세하게 구성되어 있답니다^^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이번에 올려드리는 콘텐츠는 Master KMLE 7권. 혈액/류마티스/알레르기에 있는 과목 1. 혈액 - Section 03. 지혈 및 혈전 - Topic 13. 응고장애 Sub Topic 13-2. 혈우병(Hemophilia)의 리뷰 내용입니다. 관련 토픽 목차는 아래 이미지를 확인해주세요! 01. 개요 1. 혈우병(Hemophilia)이란? • Factor VIII deficiency (혈우병 A, 고전적 혈우병) :m/c • Factor IX deficiency (혈우병 B, 크리스마스병) 2. 유전 • XR (반성열성유전, 남자에서만 발생) • 20~30%에서는 가족력 없이 Sporadic하게 발생 • Hemophilia A가 hemophilia B에

백혈구감소증(Leukopenia) - 중성구감소증(호중구감소증, neutropenia), 림프구감소증(lymphopenia)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이번에 올려드리는 콘텐츠는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 : 실전편(Case based approach)에 있는 백혈구감소증(Leukopenia) 내용입니다. 관련 토픽 목차는 아래와 같습니다. 백혈구감소증(Leukopenia)과 같이 Topic1. 백혈구 수치의 해석에 포함되는 Sub Topic 01-1. 백혈구증가증(Leukocytosis) 콘텐츠를 확인하시고 싶으신 분은 아래 포스트를 참고해주세요! [실전편] 백혈구증가증(Leukocytosis) Core review 1. 백혈구감소증(Leukopenia) : 중성구감소증(호중구감소증, neutropenia) 1) 호중구의 기능 정상인에서 호중구는 순환 백혈구의 반 이상을 차지하며, 이들은 화농 세균감염에 대한 체내의 주된 방어작용을 한다. 2) 호중구감소증의 정의 호중구가 1.5×109/L 미만으로 감소하는 경우 3) 임상양상 (1) 호중구 수치에 따른 임상양상 호중구 수치 임상양상 1.0~1.5×10

[소아과 각론] 선천 거대 결장증(Congenital aganglionic megacolon, Hirschsprung disease) : 개요, 증상, 진단, 치료 - 리뷰04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이번에 올려드리는 콘텐츠는 Master KMLE 13권. 소아과 각론에 있는 Topic 10. 소화기 - Subtopic 10-4. 소장/대장 질환 리뷰 04. 선천 거대 결장증(Congenital aganglionic megacolon, Hirschsprung disease) 내용입니다. 관련 토픽 목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Master KMLE만의 자세한 리뷰를 확인해보세요! 리뷰04. 선천 거대 결장증(Congenital aganglionic megacolon, Hirschsprung disease) 01. 개요 • 신경모세포(neuroblast)가 장의 근위부에서 원위부로 이동하지 못하여 초래된 점막하 및 근육층신경총의 신경절 세포(ganglion cell) 결여가 특징인 장 신경계 발달 장애이다. • 무신경절 부위는 장근육이 충분히 이완되지 않고 긴장 항진으로 이 부위에 창자막힘이 발생하고, 따라서 정상적인 상부의 장이 확장된다. • 신생아

혈소판 감소증(Thrombocytopenia) - 증상 및 병력, 검사 등 진단적 접근 알아보기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이번에 올려드리는 콘텐츠는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 2판(근거편) Vol.2에 있는 혈소판 감소증(Thrombocytopenia) 내용입니다. 관련 토픽 목차는 아래 이미지를 참고해주세요!! 저번 포스트에서 Topic 03. 혈소판 해석/출혈의 접근에 있는 Sub Topic 03-1. 혈소판 증가증(Thrombocytosis) 콘텐츠도 올려드린 적이 있습니다. 혈소판 증가증 콘텐츠는 아래 포스트를 참고해주세요! 혈소판 증가증 - 원인 및 감별진단 III. 진단적 접근 1. 병력 • 출혈에 대한 평가2). - 특히 중요부위(머리, 위장관)의 출혈 - TTP의 경우 간헐적 착란(intermittent confusion)을 호소할 수 있으므로 뇌출혈과의 감별에 유의할 것 • 최근의 바이러스성 호흡기 질환 : 일시적 혈소판 감소증(Thrombocytopenia) 유발가능2). • 환자의 전신상태 • 투약을 받고 있는지 여부1) : 처방전없이 살 수 있는 약초,

[감염] 미산소성/무산소성 세균에 의한 질환 문제1 [내부링크]

01. 21세 남자가 등산하다가 다쳐서 병원에 왔다. 오른쪽 종아리에 약 6 cm의 피부 찢김이 있었고 더러운 흙과 나무껍질들이 지저분하게 묻어 있었다. 소아 때 예방접종은 모두 받았으며, 4년 전에 파상풍 추가 예방접종을 받았다고 하였다. 파상풍 예방을 위한 조치는? ① 추가 조치 불필요 ② 파상풍 항독소 ③ 파상풍 변성독소 ④ 파상풍 면역글로불린 ⑤ 파상풍 변성독소와 파상풍 면역글로불린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문제 풀어보셨나요?^^ 이번 문제는 Master KMLE 6권. 신장요로/감염에 있는 Section 03. 세균간염 - Topic 09. 미산소성/무산소성 세균에 의한 질환편 문제입니다. 감염 과목에 대한 자세한 토픽 목차는 아래 이미지를 확인해주세요! [해설] • 임상에서 아주 흔히 접할 수 있는 상황이다. 여러가지 이유로 열상을 당해서 응급실 혹은 외래로 내원하는 환자를 흔히 대하게 된다. Suture(primary repair)를 하고 나서 파상풍 주사를 맞

알코올 간질환(Alcoholic liver disease) - 진단/평가, 치료, 상병명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이번 포스트는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 : 실전편(Case based approach) Vol.1에 있는 알코올 간질환(Alcoholic liver disease) 내용입니다. 관련 토픽 목차는 아래 이미지를 참고해주세요. Core review 1. 개요 2. 진단 ㆍ알코올 간질환(Alcoholic liver disease) /알코올 간염 ㆍ검사실 검사(AST & ALT, GGP, bilirubin, ALP, Carbohydrate-deficient transferring) ㆍ영상검사(초음파, CT, MRI, 기타검사) ㆍ예후평가 3. 치료 (알코올 간질환의 Core review 내용은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실전편) 책을 참고해주세요!) Practical guide: 진단/평가 핵심 포인트 1. 알코올 간질환을 의심할 수 있는 음주량은? • AST, ALT가 경미하게 상승해 있는 경우 가장 흔한 원인이 비알코올 간질환인데, 이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알코올

[내분비] 고칼슘혈증 / 부갑상샘기능항진증 문제 1 [내부링크]

01. 37세 여성이 넘어져서 우측 넙다리뼈(femur)골절로 병원에 왔다. 2년 전 오른쪽 콩팥돌(renal stone)로 결석절제술을 받았다. 혈청 칼슘은 12.5 mg/dL이었고 단순 X선 사진에서 머리뼈와 손가락뼈의 골막하 흡수 소견이 보였다. 진단을 위해서 우선해야 할 검사는? ① 소변검사 ② Abdominal CT ③ Whole body bone scan ④ 혈중 PTH ⑤ Femur MRI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문제 다들 풀어 보셨나요?^^ 이번 문제는 Master KMLE 5권. 내분비에 있는 TOPIC 6. 골무기질 대사(부갑상샘, 칼슘대사, 골다공증) SUBTOPIC 6.1 고칼슘혈증 / 부갑상샘기능항진증편 문제입니다. 관련 토픽 목차는 아래 이미지를 참고해주세요! [해설] > KEY CLUE • 골절, 신장결석, 혈청 칼슘 증가, X선 소견상 골막하 흡수 소견 • 고칼슘혈증의 원인은 다양하지만 90%는 부갑상샘기능항진증과 암이다. • 고칼슘혈증은 몇

장미진, 돌발진(exanthem subitum, roseola infantum) - 원인, 증상, 진단 등 알아보기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이번에는 소아진료매뉴얼 2판에 있는 장미진, 돌발진(exanthem subitum, roseola infantum, 인체 herpesvirus 6 및 7감염) 콘텐츠를 올려드립니다^^ Core review 임상양상 갑작스럽게 체온이 37.9~40 C까지 올라가지만 심한 발열을 설명할 수 있는 뚜렷한 진찰 소견이 없는 것이 특징 진단 • 풍진과의 감별:발열의 정도, 기간, 발진과의 관계로 감별 • 홍역:Koplik반점이 없는 것과 발진기에 열이 없는 것으로 감별 치료 충분한 수분 공급과 해열제만으로도 치료가 가능하다. (스마트) 상병코드 코드 상병명 B08.2 돌발발진[제6병] I. 개요 사람 herpesvirus 6(HHV-6)과 7(HHV-7)은 영아와 어린 소아에서 흔히 감염되며, 주로 장미진(roseola infantum, exanthem subitum, sixth disease)의 형태로 나타나지만 면역이 저하된 숙주에서는 뇌염 형태로 나타나

칼슘길항제 - 베라파밀(verapamil) 등 국내에 시판 중인 약물 알아보기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 2판(근거편)에 있는 Part 05. 심혈관 - 1장. 심혈관 진료를 위한 기초 Topic 02. 심혈관에 주로 사용되는 약물 - 02-3. 칼슘길항제 콘텐츠를 올려드리겠습니다^^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 2판(근거편) - 칼슘길항제_목차 2-3. 칼슘길항제 1. 칼슘길항제 엿보기 1) 3가지 화학적 종류 2) 약리학적/임상적인 관점에서의 분류: 크게 2 종류로 분류 (1. 칼슘길항제 엿보기 내용은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 2판(근거편) 책을 참고해주세요!!) 2. 국내에 시판 중인 약물 1) DHP 계열 상품명 제조사 용량/조성 투여법 nifedipine 니페론 씨알40 (nif- eron CR 40) CR T 에리슨제약 40 mg/T • 일반적 용량 : 40 mg qd → 필요시 80 mg 1일 1-2회 분복. 1일 최대 80 mg • 관상동맥성 심장질환 : 40 mg qd → 필요시 80 mg 1일 1-2회 분복.

[호흡기] 세로칸(종격동) 질환 문제 1 [내부링크]

01. 66세 남자가 3시간 전부터 가슴이 아파서 병원에 왔다. 이틀 전 생선매운탕을 먹었는데 생선뼈가 가슴에 걸린 느낌이 있어 억지로 뱉어 내었다고 한다. 이후 필요한 검사는? 신체검사 • 혈압 110/70mmHg, 맥박 108회/분, 호흡 23회/분, 체온 37.2 C • 목과 앞가슴이 부음. 가슴청진:호흡음 감소 혈액검사 • 백혈구 12,500/mm3 (중성구 77%), 혈색소 12.8g/dL, 혈소판 170,000/mm3 • 혈액요소질소 22mg/dL, 크레아티닌 1.0mg/dL, 아밀라아제 157U/L (참고치, 20~96) ① 내시경초음파검사 ② 바륨 식도조영술 ③ 위식도내시경검사 ④ 가슴 자기공명영상 ⑤ 가슴 컴퓨터단층촬영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다들 위 문제 풀어보셨나요? 위 문제는 Master KMLE 4권. 호흡기에 있는 SECTION 02. 주요 호흡기 질환 - Topic 15. 세로칸(종격동) 질환편 문제입니다. [해설] • 흉통을 주소로 내원했는데,

급성위장염(acute gastroenteritis) : 원인, 로타바이러스 위장관염, 노로바이러스 위장관염 - 증상 / 진단 / 예방 및 치료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이번에 올려드릴 내용은는 스마트 소아진료매뉴얼 2판에 있는 SECTION 02. 흔한 증상 및 질환의 접근 - Part 08. 소화기 Topic 05. 급성위장염(acute gastroenteritis) 콘텐츠입니다. I. 개요 1. 원인 표. 소아에서 급성위장염(acute gastroenteritis)의 원인1) 분류 원인 바이러스(약 70%) • 로타바이러스(rotavirus) • 노로바이러스(norovirus, Norwalk-like viruses) • 장아데노바이러스(enteric adenovirus) • 아스트로바이러스(astrovirus) • Caliciviruses • Enteroviruses 세균(10-20%) • Campylobacter jejuni • Non-typhoid Salmonella spp • Enteropathogenic Escherichia coli • Shigella spp • Yersinia enterocoliti

[심혈관] 정맥혈전색전증 문제 1 [내부링크]

01. 42세 남자가 하루 전부터 왼쪽 다리가 붓고 숨이 차서 병원에 왔다. 5일 전에 교통사고로 골절이 되어 입원 중이었다. 혈압 128/78 mmHg, 맥박 115회/분, 호흡 26회/분, 체온 36.5 였다. 가슴 청진에서 호흡음은 정상이었다. 가슴 X선 사진은 정상이었다. 하지 컴퓨터단층촬영 사진에서 심부정맥혈전이 의심되는 소견을 보이고 있다. 검사는? ① 폐동맥조영술 ② 폐기능검사 ③ 심장초음파검사 ④ 가슴 컴퓨터단층촬영 ⑤ 폐관류스캔 Master KMLE 3권. 심혈관 Section 04. 주요 심혈관계 질환:혈관질환(관상동맥/말초혈관) - Topic 17. 정맥혈전색전증 편 문제입니다. 문제를 풀어보신 후 아래 해설을 확인해주세요! ^^ [해설] • 골절로 입원하는 도중 발생한 왼쪽 다리 부종은 심부정맥혈전증을 시사한다. 하지 CT에서 심부정맥혈전에 해당하는 소견 또한 관찰되고 있다. • 왼쪽 다리만 부은 것이 아니라 호흡곤란도 호소하고 있다. 심부정맥혈전증이 있는 상태

전정신경염(Vestibular neuritis) - 진단/평가, 치료, 실전처방예시, 상병명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이번 시간은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 : 실전편(Case based approach) Vol.2에 있는 Part 09. 신경·정신 - Topic 03. 어지럼증/현훈(Dizziness/Vertigo) - Sub Topic 03-.2 전정신경염(Vestibular neuritis) 콘텐츠를 가지고 왔습니다^^ Core review 1. 전정신경염이란? 2. 진단 1) 병력 2) 신경이과적 검사 3. 치료 (Core review 내용은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 : 실전편" 책을 참고해주세요!) Practical guide : 진단/평가 전정신경염(Vestibular neuritis)은 배제진단에 의해 진단하는 질환으로, 특정검사로 전정신경염을 진단할 수는 없다. 따라서, 특징적인 임상양상과 여러 전정기능검사 결과들을 종합하여 진단하게 된다. 핵심 포인트. 전정신경염(Vestibular neuritis)에서 발생하는 어지럼의 특징은? • 전형적인 어지럼증은 회

만성 콩팥병(Chronic kidney disease) - 진단, 검사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이번 콘텐츠는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 2판(근거편) Vol.2에 있는 Part 09. 신장ㆍ요로ㆍ비뇨생식 - 2장. 주요 증상/질환별 접근 - Topic 04. 만성 콩팥병(Chronic kidney disease) 내용입니다. Core Review - 개요/진단/치료 (core review는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 2판(근거편)을 참고해주세요!) I. 만성 콩팥병 : 개요 1. 만성 콩팥병이란? 1) KDIGO(Kidney Disease : Improving Global Outcomes) 가이드라인 2) 국내 가이드라인(대한의학회/질병관리본부. 일차 의료용 고혈압 권고활용 매뉴얼. 2016) 2. 만성콩팥병의 단계 (I. 만성 콩팥병: 개요는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 2판(근거편)을 참고해주세요!) II. 만성 콩팥병 : 진단 1. 선별(screening) ㆍ만성 콩팥병의 선별검사 & 추적관찰 & 신장전문의 협진1) 1) 만성 콩팥병(Chronic kid

블로그 전체 방문자 수가 드디어 30,000명을 넘었답니다!!짝!짝!짝!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 블로그 콘텐츠를 담당하고 있는 슈퍼썬이라고 합니다^^ 바른의학연구소 출간 도서들의 콘텐츠를 업로드하고 있답니다! 현재 올려드리고 있는 콘텐츠는 Master KMLE 2019/2020 문제 콘텐츠와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 근거편, 실전편, 스마트 소아진료매뉴얼 콘텐츠입니다. 그 전까지는 바른의학연구소 블로그를 거의 방치하다시피 하다가 4월 말부터 본격적으로 블로그를 활성화시켜보기로 했답니다. 4월 말부터 지금까지 대략 2달 가까이 꾸준히 콘텐츠를 올려드렸는데요. 현재 전체 방문자수가 30,000명을 넘었답니다!!! 짝! 짝! 짝! 타 블로그에 비하면 많은 방문자수는 절대 아니지만, 4월 말 평균 방문자 수가 20~40명 정도였던 것에 비하면 엄청난 변화라고 생각합니다^^ 저는 블로그를 전혀 해본 적이 없었기 때문에 블로그 콘텐츠를 담당하게 되면서 많은 시행착오를 겪고 있지만 조금씩 방문자 수가 늘어나는 것을 보면서 콘텐츠를 올리는 것에 보람을 느끼고 있답니다

갑상샘기능검사(Thyroid function test) - TSH, free T4, T3, 갑상샘 항체 검사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이번 콘텐츠는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 : 실전편(Case based approach) Vol.1에 있는 Part 06. 내분비 - Topic 01. 갑상샘 질환(Thyroid disease) Sub Topic 01-1. 갑상샘기능검사(Thyroid function test)편 내용입니다. Practical guide 핵심 포인트 1. 갑상샘 질환의 선별검사로는 TSH, free T4, T3가 유용하다. 갑상샘 기능장애가 의심되거나, 진단 및 치료를 위해 시행하는 갑상샘기능검사(Thyroid function test)는 트리요도타이로닌(Triiodothyronine, T3), Free T3, 싸이록신(Thyroxin, T4), Free T4, 갑상샘자극호르몬(Thyroid Stimulation Hormone, TSH) 5가지 중 3종 이내에 시행하는 경우 요양급여를 인정받는다. 3종은 보통 T3, free T4, TSH를 시행하게 된다. 포인트. 혈청

귀지색전(cerumen impaction) - 가이드라인/ 진단/ 치료 + Practical guide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트는 소아진료매뉴얼 2판 - SECTION 02. 흔한 증상 및 질환의 접근에 있는 Part 13. 눈·귀·코·입 - 귀·코·입 - Topic 07. 귀지색전(cerumen impaction) 콘텐츠입니다. < 개정포인트 > 치료 : 귀지색전(cerumen impaction)에 사용가능한 주요 치료법의 장단점(보강) < KEY REFERENCE > Schwartz SR, Magit AE, Rosenfeld RM, et al. Clinical Practice Guideline(Update). Otolaryngol Head Neck Surg 2017;156(1_suppl): S1-29. Core review 1. 가이드라인 북미/유럽 미국이비인후과학회:2008년 가이드라인 처음 발간 → 2017년 update 국내 없음 2. 진단 • 귀지의 축적이 다음과 같은 경우 귀지색전(cerumen impaction)으로 진단내릴 수 있다. ① 증상과 연관되는 경우 ② 귀의

[소화기] 비알코올 지방간질환 문제 1 [내부링크]

01. 13세 여아가 학교 건강 검진에서 간기능검사에 이상이 있다고 하여 병원에 왔다. 진단은? 신체검사 • 체온 36.5 C, 체질량지수:95백분위수 이상 • 공막 황달(-); 복부:간 촉지(-), 통증/압통(-/-) 혈액검사 • 빌리루빈(총/직접) 1/0.1mg/dL, 아스파르테이트아미노전달효소 87U/L, 알라닌아미노전달효소 96U/L, 알칼리인 산분해효소 140U/L (참고치, 93~386) • 아밀라아제 35U/L (참고치, 19~76), 리파아제 10U/L (참고치, 4~29) • HBsAg (-), anti-HBs (+), IgM anti-HAV (-), IgG anti-HAV (+) ① 쓸개염 ② 이자염 ③ 지방간 ④ 급성A형간염 ⑤ 만성B형간염 이번 문제는 Master KMLE 2권. 소화기 Section 02. 간 -Topic 20. 비알코올 지방간질환편 문제입니다. [정답] ③ 지방간 [해설] > KEY CLUE • 체질량 지수:95백분위수 중증비만 • AST,

양성돌발두위현훈(BPPV) - 개요 / 진단 / 치료 + 임상증례 기반 실전적 action plan [내부링크]

SMART 일차진료매뉴얼: 실전편(Case based approach) Vol.2 Part 09. 신경·정신 - Topic 03. 어지럼증/현훈 - Subtopic 03-1. 양성돌발두위현훈(BPPV) Core Review 1. 개요 • BPPV는 증상이 어느 반고리관에서 발생하느냐에 따라 전, 후, 수평반고리관성으로 분류 • 수평반고리관성 BPPV (HC-BPPV)는 안진의 방향에 따라 지향성(향지성, geotropic) BPPV과 천향성(원지성, apogeotropic) BPPV로 나눌 수 있다. 2. 진단 • 특정한 자세 변동에 의해 수 초에서 1분 미만의 현훈이 유발되는 것을 호소하며 유발검사에서 안진과 현훈을 관찰함으로써 쉽게 진단된다. • 안진 유발검사 표. 유형에 따른 검사법 유형 진단 치료 Maneuver 유발된 안진양상 PC-BPPV • Dix-Hallpike • Side-lying • Upbeat & ipsiversive • torsional • Epley mane

[소화기] 위장관 종양 - 위의 종양 문제 1 [내부링크]

01. 45세 여자가 소화불량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EGD 상에서 위 날문방(antrum)에 약 1.7 cm 크기의 편평한 융 기터가 관찰되었다. 내시경 조직 검사결과, 고분화 샘암종으로 확인되었다. 위벽 침범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시행할 검사는? ① 상부위장관조영술 ② 내시경초음파 ③ 복부초음파 ④ 복부컴퓨터 단층촬영 ⑤ 복부양전자방출컴퓨터단층촬영(PET- CT Master KMLE 2권. 소화기 SECTION 01. 위장관 - Topic 12. 위장관 종양 - SubTopic 12-2. 위의 종양편 문제입니다. [해설] • 1980년 처음 소개된 내시경초음파는 현재 임상에서 위암의 침습 깊이 및 림프절 전이 여부 평가에 활발하게 적용되고 있다. • 내시경초음파를 이용한 침습 깊이를 평가할 때의 정확도는 각각 78-92%로 상당히 높은 정확도를 보인다. 복강경수술의 적응여부결정에 중요한 조기위암과 진행위암의 구별 및 내시경점막하절제술의 적응 여부 결정에 중요한 점막암과 점막하층암의

폐기능검사란? - 폐용적(lung volume), 폐활량 검사, 폐확산능(Diffusing apacity), 폐기능검사의 종류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이번에는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 2판 : 근거편 책에 있는 폐기능 검사 콘텐츠를 올려드리겠습니다. Part 04. 호흡기 - 1장. 호흡기 진료를 위한 기초 - Topic 01. 주요 진단적 검사 에 있는 SubTopic 01-2. 폐기능 검사 입니다. 1 -2. 폐기능검사 <개정포인트> • 새로 추가된 항목 <KEY Reference> • Pellegrino R , Viegi G, Brusasco V, Crapo RO, Burgos F, Casaburi R , et al. Interpretative strategies for lung function tests. Eur Respir J 2005;26 : 948-68. •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폐기능검사 지침(2016) < Brief summary > 1. 개요 • 폐기능검사의 종류 : 폐활량측정법(≒ 폐기능검사), 기관지확장제 가역성검사, 폐확산능, 폐용적,심폐운동검사 2. 폐용적(lung vol

[외과총론] 수술 중 주요 이슈 - 최소 침습수술 문제 1 [내부링크]

Master KMLE 1권. 의학총론/외과총론 과목 02. 외과총론 - Topic 03. 수술 중 주요 이슈 - SubTopic 03-2. 최소 침습수술편 문제입니다. 01. 40세 여자가 급성쓸개염으로 복강경 쓸개절제술을 받았다. 수술 다음 날에 오른쪽 어깨 통증을 호소하였다. 혈압 120/70 mmHg, 맥박 90회/분, 호흡 18회/분, 체온 37.2C였다. 오른쪽 윗배 압통은 없었다. 혈액검사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원인은? • 총단백질 6.5 g/dL, 알부민 3.8 g/dL, 총빌리루빈 1.1 mg/dL • 아스파르테이트아미노전달효소 41 U/L, 알라닌아미노전달효소 38 U/L, 알칼리인산분해효소 90 U/L ① 무기폐 ② 온쓸개관돌 ③ 급성이자염 ④ 피부밑공기증 ⑤ CO2 공기배증 [정답] ⑤ CO2 공기배증 [해설] 전날 복강경 쓸개절제술을 시행 한 후 오른쪽 어깨 통증이 발생하였다. 수술에 의한 합병증 가능성을 고려해야 한다. 복강경 수술을 할 때에는 기본적으로 복

[소아과 각론] 신장요로 - 신질환 문제 1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이번 문제는 Master KMLE 13권. 소아과 각론 - Topic 12. 신장요로 - Subtopic 12-2. 신질환편 문제입니다. 01. 17세 남자가 붉은색 소변이 나와서 왔다. 10일 전 목감기로 치료를 받았다고 하였다. 치료는? P/E • V/S:혈압 160/100 mmHg, 맥박 82회/분, 호흡 18회/분, 체온 36.5C • 양쪽 다리의 중등도의 오목 부종 혈액 • 혈액요소질소/크레아티닌 24/2.1 mg/dL • 항사슬알균용혈소 O (ASO) 450 IU/mL (참고치, 120~160), C3 56 mg/dL (참고치, 83~177), C4 35 mg/dL (참고치, 16~47) 소변 • 잠혈 (3+), 단백질 (2+), 적혈구 10~30/고배율시야, 백혈구 0~1/고배율시야 ① 항생제 ② 고리작용이뇨제 ③ 중탄산염나트륨 ④ 글루코코티코이드 ⑤ 비스테로이드소염제 [정답] ② 고리작용이뇨제 [해설] 진단은? 혈뇨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이뇨제 엿보기 - 국내에 시판 중인 약물(종류별 용법)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이번 포스트는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 2판(근거편)에 있는 이뇨제 콘텐츠에 대해 올려드리겠습니다^^ Part 05. 심혈관 - 1장. 심혈관 진료를 위한 기초 - Topic 02. 심혈관에 주로 사용되는 약물 Subtopic 02-1. 이뇨제에 있는 내용입니다! 이뇨제 엿보기, 이뇨제 종류에 따른 국내에 시판 중인 약물의 상품명, 제조사, 용량/조성, 용법 등이 있습니다. 2-1. 이뇨제 1. 이뇨제 엿보기 근위세관 작용 이뇨제 탄산탈수효소 억제제(carbonic anhydrase inhibitor) : acetazolamide 고리 이뇨제(Loop diuretics) • bumetanide, furosemide, torasemide, ethacrynic acid 등 원위세관 이뇨제 (Distal tubular diuretics) ① Thiazide 계열 : hydrochlorothiazide(가장 많이 사용), indapamide, chlorothi

[류마티스] 류마티스 관절염 문제 1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이번 문제는 Master KMLE 7권. 혈액/류마티스/알레르기에 있는 문제입니다. 과목 02. 류마티스 - Topic 07. 류마티스 관절염편 문제입니다. 01. 57세 여자가 3개월 전부터 손관절 통증과 부종이 더 심해져서 병원에 왔다. 1년 전 류마티스관절염을 진단받았고, 메토트렉세이트(7.5 mg → 15 mg/주), 술파살라진(2.0 g/일), 히드록시클로로퀸(400 mg/일) 복합요법으로 9개월째 치료 중이었다. 부종관절수가 5개, 압통관절수가 7개 였다. 혈액검사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손 X- 선 사진에서 새로운 골미란이 관찰되었다. 치료는? • 혈색소 9.0g/dL, 백혈구 8,500/ mm3, 혈소판 510,000/ mm3 • 적혈구침강속도 79mm/시간(참고치, <20), C-반응단백질 25.5mg/L(참고치, <10) ① 항생제 ② 콜히친 ③ 면역글로불린 ④ 비스포스포네이트 ⑤ 항종양괴사인자제제 [정답] ⑤ 항종양괴사인자제제 [

진성적혈구증가증(polycythemia vera, PV)이란? 원인, 진단 및 검사 [내부링크]

< 추가내용 및 REFERENCE > • Swerdlow SH, Campo E, Harris NL, et al. WHO classification of tumours of haematopoietic and lymphoid tissues. Revised 4th ed. Lyon:IARC Press, 2017. • Jang M-A. Major Changes to the 2017 Revision o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Classification of Myeloproliferative Neoplasms. The Korean Journal of Medicine 2018; 93(4) :351–9. → 새로운 진성적혈구증가증(polycythemia vera) 진단기준 업데이트(2017 WHO revised fourth edition diagnostic criteria) Core Review 1. 적혈구 증가증의 원인 • 진성적혈구증가증(Polycythemia v

물사마귀, 전염성 연속종(molluscum contagiosum)이란? / 진단 / 치료 [내부링크]

Core review 1. 진단 : 전염성 연속종(molluscum contagiosum) 피부병변 • 크기:2-6 mm 크기 • 위치 - 전형적으로 안면부, 체간, 사지에 서로 인접 하여 모여 있는 형태로 발견된다. - 액와부, 서혜부와 같이 접히는 부위에 잘 생긴다. • 병변양상 - 전형적으로 3-6 mm 크기의 다발성 구진이 진줏빛 혹은 피부색을 띠며 중앙 부위가 함몰되는 특징을 보인다. - 중심부함몰은 일부에서 관찰되므로 형태학적으로 꼭 존재해야 할 사항은 아니다. • 병변은 종종 염증반응을 보이고 소양증과 습진성 발진(연속종 피부염)이나 이차 세균 감염처럼 농포를 형성하기도 한다. 2. 치료 : 전염성 연속종(molluscum contagiosum) 1차 치료제 2차 치료제 • Cantharidin • 냉동치료(cryotherapy) • 소파술(curettage) • Imiquimod • sinecatechins ointment • podophyllin • potassium

[신장요로] 콩팥의 혈관 질환 문제 1 [내부링크]

01. 64세 여자가 심한 두통으로 병원에 왔다. 10년 전부터 혈압강하제를 복용해 왔으며 6개월 전부터 다른 약을 추가했지만 혈압 조절이 안 되었다. 혈압 180/100 mmHg, 맥박 72회/분이었다. 명치 부위와 왼쪽 갈비 척추각에서 수축기 잡음이 청진되었다. 검사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검사는? ㆍ혈액:혈액요소질소/크레마티닌 34/1.6mg/dL, Na+/ K+ 142/2.8mEq/L ㆍ소변:잠혈(-), 단백질(2+), 적혈구 10~20/고배율시야 ① 콩팥 초음파검사 ② 정맥깔때기조영술 ③ 복부 컴퓨터단층촬영 ④ 컴퓨터단층콩팥동맥 조영술 ⑤ 혈장 알도스테론/레닌활성 비 이번 문제는 Master KMLE 6권. 신장요로/감염에 있는 문제입니다. 과목 1. 신장요로 - Topic 07. 콩팥의 혈관 질환편 문제입니다. [정답] ① 콩팥 초음파검사 [해설] ㆍ약물로 조절되지 않는 심한 고혈압, 왼쪽 복부에서 bruit 청진되는 소견을 볼 때, 신혈관성 고혈압(Renovascular

소아(신생아) 심잡음(Heart murmur) - 개요 / 진단적 접근 / 청진/ 무해 심잡음 [내부링크]

< 개정포인트 & KEY REFERENCE > Bronzetti G. Corzani A. The seven "S" murmurs: an aliteration about innocent murmurs in cardiac auscultation. Clin Pediatr(Phila). 2010;49(7) : 713. Core review 개요 무해 심잡음(Innocent heart murmur, functional murmur) • 생리적 폐동맥 분지 협착 잡음(Physiologic pulmonary branch stenosis murmur • 스틸 심잡음(Still murmur) • 정맥성 잡음(Venous hum) 진단적 접근 표. 무해 심잡음의 주요 양상: 7 S’s • Sensitive (changes with child’s position or with respiration) • Short duration (not holosystolic) • Single (no associate

헬리코박터 파일로리(helicobacter pylori) 감염 - 가이드라인 / 진단 / 치료 [내부링크]

< 개정포인트 > • Key reference update • 진단 : 비침습적 검사 : 비내시경 검사 방법(표로 구성); 침습적 검사 : 내시경 검사 방법(표로 구성) • 치료 : 새로운 제균 치료전략(추가) < Key reference > • Kim SG, Jung H-K, Lee HL, et al. Guidelines for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in Korea, 2013 Revised Edition. The Kore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2013;62(1) : 3. 헬리코박터 파일로리(helicobacter pylori) 감염_Topic소개 Core review 1. 가이드라인 북미/유럽 ACG guideline(2017) 국내 대한상부위장관ㆍ헬리코박터학회(2013) 2. 진단 • 누구를 검사할 것인가? - 헬리코박터 감염을 가진 환자의 대부분 임상질환과 관

급성 간염(Acute hepatitis) : 급성 바이러스 간염(Acute viral hepatitis) - 급성 A형 간염 중심 - 개요 / 진단/ 치료 [내부링크]

실전편_급성 간염_Acute hepatitis Core review 1. 개요 • 바이러스별 양상 종류 A B C D E 형태 RNA DNA RNA RNA RNA 감염경로 경구 혈액 혈액 혈액 경구 급성/만성 급성 급/만 급/만 급/만 급성 백신 있다 있다 없다 없다 없다 발암 드물다 조금 많다 많다 드물다 드물다 전격성 0.1~1 % 5-20 % 2. 진단적 접근 • 급성 간염(Acute hepatitis)이 의심되는 경우 어떤 검사를 시행할 것인가? → HBsAg, IgM Anti-HAV, IgM Anti-HBc, Anti-HCV 반드시 시행 • 급성 HCV에서는 HCV RNA와 anti-HCV를 동시에 검사하는 것이 중요하다. - 둘다 양성이면 만성 C형 간염의 flare-up 가능성을 시사한다. - HCV RNA만 양성인 경우 급성 C형 간염을 시사하며, Anti-HCV가 생기는지 추적관찰해야 한다. 3. 급성 A형 간염 1) 임상양상 • 비전형적인 양상:보통 3가지 형태의

만성 B형 간염(Chronic hepatitis B) - 개요 / 진단 / 치료 [내부링크]

만성 B형 간염(Chronic hepatitis B) Core review <추가내용 및 REFERENCE> • 대한간학회. 만성 B형 간염 진료 가이드라인. 2018 → 2018년 11월 가이드라인이 개정발표되었다. 2018년 대한간학회 가이드라인을 반영하였다. 개요 B형 간염의 자연경과(natural history):5개 임상 단계로 분류 분류(KASL) Serum marker ALT HBV-DNA Histology 만성 B형 간염 면역관용기 (Immunetolerantphase) HBeAg (+) 지속적인 정상ALT치 높은 수준의 바이러스 증식 경미한 변화 HBeAg 양성 만성 B형간염 면역활동기 (HBeAg-positive CHB,immune active phase) HBeAg (+); anti-HBe 가능 ALT치의 간헐적 혹은 지속적 상승 높은 수준의 바이러스 증식 (HBV DNA levels≥20,000IU/mL) Moderate/severe 만성 B형간염 면역비활동기

[내분비] 비만 문제 1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이번 문제는 Master KMLE 5권. 내분비에 있는 문제입니다. Topic 05. 당대사/지질대사 - SubTopic 05-4. 비만편 문제입니다. 01. 48세 남자가 비만으로 병원에 왔다, 6년 전부터 식사요법과 약물요법을 병행하였으나 체중감량에 실패하였다. 우울증 등 정신병 병력은 없었으며 살을 빼고자 하는 의지가 강하였다. 3년 전 제2형 당뇨병을 진단받아 현재 인슐린 투여 중이다. 키 168 cm. 몸무게 124 kg이다. 당화혈색소는 10.8%이다. 적절한 수술 방법은? ① 날문성형술 ② 먼쪽위절제술 ③ 미주신경절단술 ④ 위바닥주름술(fundoplication) ⑤ Roux-en-Y 위우회술 [정답] ⑤ Roux-en-Y 위우회술 [해설] • 비만치료로 사용되는 베리애트릭수술(bariatric surgery)은 고도 비만(BMI>40 kg/m2)이나 중등도 비만(BMI>35 kg/m2)이면서 심혈관 질환의 위험인자가 동반될 경우 고려한

급성 충수염(Acute appendicitis) - 진단 / 검사 / 평가 [내부링크]

Core review 병력/신체검사 급성 충수염(Acute appendicitis)을 진단하는 데 도움이 되는 소견 급성 충수염(Acute appendicitis)을 배재하는 데 도움이 되는 소견 • RLQ pain (Right lower quadrant pain) • 통증위치의 이동(periumbilical → RLQ) • 외과의사의 초기 임상적 impression • Psoas sign • 발열 • 구토 전 통증발생 • 반발 압통 • 직장 압통 • 구토 • 구토 전 통증이 없음 • RLQ pain이 없음 • 구토가 없음 • 발열이 없음 • 반발압통이 없음 급성 충수염(Acute appendicitis)의 흔한 징후 흔한 징후 검사방법 Rovsing sign LLQ부위를 촉지했을 때 RLQ부위의 통증 발생 Psoas sign 후복막(retroperitoneal location)에 위치한 retrocecal appendix인 경우 유용 Obturator sign 골반 충수돌기(pel

소화성 궤양 (Peptic ulcer) - 진단/평가, 치료, 실전 처방 예시, 상병명 [내부링크]

Practical guide : 진단/평가 소화성 궤양 (Peptic ulcer)은 원인에 따라 크게 H. pylori 감염에 의한 소화성 궤양, 비스테로이드계 소염제에 의한 소화성 궤양, 원인불명의 소화성 궤양으로 분류할 수 있다. 핵심 포인트. 증상만으로 소화성 궤양을 진단하기는 어렵다. • 증상은 대개 비특이적이기 때문에 증상만으로 소화성 궤양 (Peptic ulcer)을 진단할 수는 없다. 따라서 소화성 궤양의 진단은 일차적으로 내시경 검사로 이루어지며 위장관 조영술을 보조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 아울러 십이지장궤양과 위궤양과의 감별도 구별되는 특징이 제시되긴 하지만 임상양상만으로 이 둘을 구별하기는 힘들다. 표. 십이지장 궤양 vs 위궤양:epigastric pain의 양상비교 Duodenal ulcer Gastric ulcer 식후 30분~3시간 내 발생(hunger pain) 음식물 섭취에 의해 통증 발생 수면 중에 깨어나는 경우가 많다(자정~새벽 3시경). 구토,

의학회 초록집, 인쇄물 디자인은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내부링크]

바른의학연구소는 학회운영에서 꼭 필요한 초록집 및 인쇄물 디자인해드립니다. 바른의학연구소는 전문의 출신 대표와 꼼꼼한 출판사업부가 학회를 서포트 할 준비가 되어있습니다. 학회 출판물 및 다양한 인쇄물을 최상의 품질으로 공급해드립니다. 학회 X배너 학회 홍보물, 웹사이트, 명함, 홍보물(포스트잇) 추계 학술 대회를 앞두고 최저가 서비스 진행중입니다. 어떤 출판사나 업체보다 저렴하게 진행해드립니다! 품질은 최상, 가격은 합리적, 급한 인쇄물도 OK 견적 문의 [email protected] 070-4898-0541 (출판사업부 제작대행팀)

쿠싱증후군 (Cushing's syndrome) - 개요(쿠싱증후군이란? / 원인 / 병태생리), 진단(임상양상 / 검사) [내부링크]

I. 쿠싱증후군 : 개요 1. 쿠싱증후군이란?1) • 만성적인 당질코르티코이드과다로 인해 생기는 여러 임상증상과 징후의 집합 2. 원인 •부신 피질 자극 호르몬(adrenocorticotropin, ACTH) 의존성 혹은 비의존성으로 발생 가능2)3) 외인성(의인성) 쿠싱증후군 글루코코르티코이드 혹은 ACTH의 장기간 사용 내인성 쿠싱증후군 - ACTH 의존성 쿠싱증후군 (1) ACTH 분비성 뇌하수체선종(쿠싱병)(m/ c , 60-80%) (2) 이소성 ACTH 증후군(7%) (ACTH를 분비하는 기관지성 카르시노이드 종양, 췌장성 카르시노이 드 종양, 소세포성 폐암, 갑상선수질암, 갈색세포종 등) - ACTH 비의존성 쿠싱증후군 (1) 부신선종(18%) (2) 부신암(6%) 3. 병태생리 그림. Regulation of the hypothalamic–pituitary–adrenal axis, and the changes in Cushing syndrome.4) 1) 대한내분비학회

[호흡기] 폐농양 문제 1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이번에는 Master Kmle 4권. 호흡기 문제입니다. Section 02. 주요 호흡기 질환 - Topic 12. 폐농양편 문제입니다. 01. 폐농양을 잘 일으키는 균은 무엇인가?. ① Haemophillus influenzae ② Bacteroides fragilis ③ Streptococcus pneumoniae ④ Mycoplasma pneumonia ⑤ Virus [정답] ② Bacteroides fragilis [해설] • 폐농양은 대표적인 원인병원체는 혐기균이다. 1차성 폐농양인지, 2차성 폐농양인지에 따라 원인병원체는 상이하다. 1차성 폐농양 2차성 폐농양 정의 • 기저폐질환 혹은 전신질환이 없는 경우 • 기저폐질환 혹은 전신질환이 있는 경우 원인병원체 • Anaerobes 예. Peptostreptococcus spp, Prevotella spp, Bacteroides spp, Streptococcus milleri • microa

항부정맥제 - 작용기전, 분류, 국내에 시판 중인 약물 [내부링크]

SMART 일차진료매뉴얼 2판(근거편) Vol.1 Part 05. 심혈관 - 1장. 심혈관 진료를 위한 기초 Topic 02. 심혈관에 주로 사용되는 약물 Sub topic 02-6. 항부정맥제 02-6. 항부정맥제 1. 항부정맥제 엿보기 1) 항부정맥제의 작용기전 • 부정맥은 비정상적인 심박조율(pacemaker) 활동이나 비정상 자극전파(impulse propagation)로 인해 초래된다. • 부정맥치료는 이소성(ectopic) 심박조율활동을 감소시키거나 회귀회로 내의 불응성이나 전도를 변화시켜 원운동을 불가능하게 하는 데 목적이 있다. • 항부정맥제의 주요 기전1) ① 나트륨 통로 차단 ② 심장의 교감 신경 효과의 차단 ③ 유효불응기의 연장 ④ 칼슘 통로의 차단 2) 항부정맥제의 분류 • 항부정맥제는 작용기전에 따라 분류 : 이온채널차단제(ion channel blockers). 심근 활동전위(cardiac myocyte action potential)에 대한 영향에 따라 분

[심혈관] 죽상동맥경화증 문제 1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이번엔 Master KMLE 03권 심혈관 문제를 갖고 찾아왔습니다^^ SECTION 04. 주요 심혈관계 질환: 혈관질환(관상동맥/말초혈관) Topic 14. 죽상경화증편 문제입니다. 01. 평소에 건강하던 45세 여성이 건강검진을 위해 병원을 찾았다. 내원하여 시행한 혈액검사 결과 혈압 135/85 mmHg, 공복혈당 115 mg/dL, 당화혈색소 6.0%, LDL 콜레스테롤 140 mg/dL, HDL 콜레스테롤 30 mg/dL, 중성지방 190 mg/dL, 총 콜레스테롤 210 mg/dL이었고, 환자의 아버지가 과거 52세의 나이에 협심증을 진단받은 적이 있어 본인도 건강에 무척 신경을 쓰는 편이라고 했다. 이 여성이 현재 가지고 있는 죽상동맥경화증의 위험인자는 몇 개인가? ① 1개 ② 2개 ③ 3개 ④ 4개 ⑤ 5개 [정답] ③ 3개 [해설] ㆍ증례에서 1) 낮은 HDL(<40 mg/dL) 2) 공복혈당 115mg/dL(impaired fas

급성 신손상(Acute kidney injury)- 급성 신손상이란?, 진단, 치료 [내부링크]

SMART 일차진료매뉴얼: 실전편(Case based approach) Vol.2 Part 08. 신장·요로·비뇨생식 - Topic 04. 급성 신손상(Acute kidney injury) Core review < 추가내용 및 REFERENCE > •Kim DK, Joo K-W. Definition and Evaluation of Acute Kidney Injury:Clinical Practice Guidelines. Korean Journal of Medicine 2015;88(4) :357. 1. 급성 신손상이란? • 급성 신손상(Acute kidney injury)의 정의는 너무나 다양 - 35개 이상의 정의가 존재 - 모든 정의는 혈청 creatinine의 급격한 증가 혹은 요량(urine output)의 급격한 감소를 포함 1) 진단기준 ㆍRIFLE and AKIN criteria AKIN 진단 기준 요량 RIFLE 진단 기준 혈청 크레아티닌 (두 분류에 모두 해 당) 혈청

[소화기] 장폐쇄 문제 1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이번시간은 Master KMLE 2권. 소화기에 문제를 가지고 왔습니다^^ SECTION 01. 위장관 - Topic 09. 장폐쇄편 문제입니다. 01. 55세 남성이 1일 전부터 복부팽만과 구토를 호소하였다. 2년 전 급성 막창자꼬리염 수술을 받았고 압통은 없었다. 청진상 장음 항진 소견이 있었고 복부 촬영에서는 소장공기음ㅈ영이 관찰되었다. 치료는? ① 복수천자 ② NG tube ③ 직장관 ④ 탐색개복 ⑤ 피부경유 내시경 위창냄술 [정답] ② NG tube [해설] >KEY CLUE • 하루 전부터 발생한 복부팽만과 구토. 과거 급성막창자꼬리염 수술력 • 장음 항진, X-ray:소장공기음영 소견 • 병력, 신체검사, 복부 X선 소견을 종합해볼 때 소장 폐쇄(창자막힘증)가 의심되는 상황이다. • 소장폐쇄를 강력하게 의심할 수 있는 증상은 경련성 급성 복통과 구역, 구토, 복부 팽만과 장내 공기 배출의 실패 등이다. • 소장 폐쇄가 발생하변 경구로 섭

바른의학연구소 출판 로드맵 : 출간도서 총정리(소개 +샘플보기 링크)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바른의학연구소에서 출간한 도서들을 한눈에 파악하실 수 있도록 바른의학연구소 출판 로드맵에 대해 설명해드리고자 합니다. < 바른의학연구소 출판 로드맵 > 바른의학연구소는 의학콘텐츠에 관한 전체적인 로드맵을 설계하고 거기에 맞춰 필요한 의학콘텐츠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포괄적으로 다룬다고 해도 한 권의 책에 모든 부분을 완벽하게 담아낼 수는 없는 노릇이기에 여러 유형의 상호보완적인 책을 전체적인 설계도에 따라 내놓으려고 합니다. 각 stage 별로 적합한, 각 stage끼리 연결되는, 체계적이고 연속적이고 연관되는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의학 콘텐츠 로드맵입니다. 의대생, 수련의(인턴, 레지던트), 공보의/군의관, 개원의/봉직의 각 시기, 상황별로 의사로서의 기본 자질을 갖추며 진료 performance를 제대로 발휘하기 위해 필요한 콘텐츠를 제공 하고자 하는 것입니다. 1. Master KMLE 시리즈 도서 - Master KMLE :

크루프(croup) - 임상양상 및 진단 [내부링크]

스마트 소아진료매뉴얼 2판 SECTION 02. 흔한 증상 및 질환의 접근 Part 06. 호흡기/알레르기 - 질환 - Topic 07. 크루프(croup) I. 임상양상 및 진단 1. 개요 1) 기도는 어떻게 구분하나1)? • 기도를 흔히 상기도와 하기도로 구분한다. 상기도 하기도 인두, 후두 기관~세기관지 상기도를 흡입하는 공기를 가습하고 또 이물질을 걸러내는 여과기(filter) 역할을 하는 기관으로, 하기도를 환기(ventilation)와 관류(perfusion)의 역할을 하는 기관으로 정의할 경우 후두를 인두와 구분하여 하기도 질환에서 취급하기도 한다. • 후두 -인두와는 달리 상기도 폐쇄의 주요 원인이다. - 후두 부위의 폐쇄에 대한 다른 구조적 보상 기능을 갖추고 있지 않아 인위적으로 기도를 확보해 주지 않는 한 질식으로 사망할 수도 있다. 2) 크루프(croup)란? • 후두의 염증은 병변이 단순히 후두에만 국한되기도 하지만 기관 또는 기관지에도 병변을 동반하는 경우가

[의학총론] 외상 : 개요 문제 1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이번 시간은 Master KMLE 1권. 의학총론/외과총론에 있는 문제를 올려드릴게요! 과목 1. 의학총론 - SECTION 02. 응급진료/손상/외상 - Topic 06. 외상: 개요편 문제입니다. 01. 22세 남자환자가 오토바이 사고로 발생한 다발성 외상으로 응급실에 내원하였다. 자발적으로 눈을 뜨고 지시에 따라 자발적 움직임을 할 수 있었으나 대화가 혼돈되어 있었다. 상기 환자에 대한 적절한 설명은? ① GCS 상 15점이다. ② 중증도 손상을 의심해볼 수 있다. ③ 두부 손상을 의심해야 한다. ④ MRI촬영이 필요하다. ⑤ 뇌척수액 천자를 시행한다. [정답] ③ 두부 손상을 의심해야 한다. [해설] > KEY CLUE • GCS 계산 • GCS 15점 미만은 두부손상 의심 • GCS 13-14는 경미한손상(minor injury) • GCS 9-12는 중등도 손상(moderate injury) • GCS 8점 이하는 심각한 손상을 의심(se

삼킴곤란(Dysphagia) - Practical guide: 원인 및 감별진단 [내부링크]

SMART 일차진료매뉴얼 : 실전편(Case based approach) Vol.1 PART 05. 소화기 - Topic 01. 삼킴곤란(Dysphagia) Practical guide : 삼킴곤란의 원인 및 감별진단 핵심 포인트 1. 삼킴곤란이 실제로 존재하는지 여부를 평가할 필요가 있다. 진성삼킴곤란을 인두종괴감(globus sensation), 구강건조증(xerostomia), 삼킴통(odynophagia) 등과 감별해야 한다. 핵심 포인트 2. 삼킴곤란의 해부학적 위치를 결정해야 한다. → 식도 삼킴곤란(esophageal dysphagia) 혹은 구인두 삼킴곤란(oropharyngeal dysphagia) 삼킴곤란은 발생하는 해부학적 위치에 따라 구강인두기에 문제가 발생하는 구인두삼킴곤란과 식도기에 문제가 발생하는 식도 삼킴곤란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 중 구인두 삼킴곤란이 더 흔하고 식도 삼킴기 장애보다 더 심각한 합병증의 원인이 될 수 있다. 핵심 포인트 3. 구인두 삼

류코트리엔 조절제(억제제) - 1. 항류코트리엔제 2.국내에 시판 중인 약물 [내부링크]

SMART 일차진료매뉴얼 2판(근거편) vol.1 PART 04. 호흡기 - 1장. 호흡기 진료를 위한 기초 - Topic 02. 02 호흡기에 흔히 사용되는 약물 Subtopic 02-6. 류코트리엔 조절제(억제제) 1. 항류코트리엔제(류코트리엔 억제제) 류코트리엔수용체 길항제 : Cysteunyl-leukotriene 1(CysLT1) receptor antagonist montelukast, pranlukast, zafirlukast 류코트리엔 합성 억제제 : 5-lipoxygenase inhibitor Zileuton 2. 국내에 시판 중인 약물 상품명 제조사 용량/조성 용법 montelukast 싱귤레어 (singulair) T Merck Sharp & Dohme 10 mg/T • 1일 1회 10 mg 천식 : 저녁. 알레르기 비염 : 환자 상태에 따라. 둘 다 있는 경우 : 저녁에 복용 모놀레어 (monolair) T 종근당 10 mg/T • 1일 1회 10 mg pran

급성 세기관지염(acute bronchiolitis) - 개요 및 진단 [내부링크]

SMART 소아진료매뉴얼 2판 SECTION 02. 흔한 증상 및 질환의 접근 - PART 06. 호흡기/알레르기 - 질환 Topic 06. 급성 세기관지염(acute bronchiolitis) I. 개요 및 진단 1. 급성 세기관지염(acute bronchiolitis)이란? • 기관지의 구조적 약점을 많이 가지고 있는 생후 2세 이전의 영아에서 주로 발생하며, 돌 전후에 가장 높은 발생 빈도를 보이고 영아 입원의 가장 흔한 원인이다. • 연장아나 성인들은 영아보다 세기관지 부종에 더 잘 적응하기 때문에 바이러스에 감염이 되어도 세기관지염의 임상적 증상이 잘 나타나지 않는다. 영국:Lakhanpaul M et al 1) 발열, 콧물, 천명음을 동반한 건성 기침(dry, wheezy cough)을 보이고 신체검사에서 fine inspiratory crackles 혹은 high-pitched expiratory wheeze를 특징으로 하는 계절성 바이러스 질환 미국:AAP 2) 2세

[소아과 각론] 백혈구 질환 문제 1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Master KMLE 13권. 소아과 각론 - Topic 15. 혈액 - Subtopic 15-2. 백혈구 질환편 문제입니다. 01. 3세 여아가 10일 간 발열이 있어 내원하였다. 검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장 가능성 높은 진단은? Hb 12.5, WBC 60,000, plt 185,000, LAP 상승, 미성숙 조혈세포 관찰 ① 급성 골수백혈병(AML) ② 다발골수종(Multiple myeloma) ③ 감염 단핵구증(Infectious mononucleosis) ④ 백혈병모양 반응(Leukemoid reaction) ⑤ 만성 골수백혈병(CML) [정답] ④ 백혈병모양 반응(Leukemoid reaction) [해설] ㆍ발열을 주소로 내원하였는데, 혈액검사 결과가 핵심적인 단서를 제공하고 있다. > KEY CLUE ㆍ심한 백혈구증가증, 빈혈, 혈소판감소증 이 중 백혈구 수치가 매우 크게 증가되어 있는 소견에 주목해보자. 감염이나 염증질환에서 일반

급성 비부비동염(Acute rhinosinusitis) - 진단/평가, 치료, 실전처방예시, 상병명 [내부링크]

SMART 일차진료매뉴얼 : 실전편(Case based approach) Vol.1 PART 03. 호흡기·알레르기 - Topic 07. 급성 비부비동염(Acute rhinosinusitis) Practical guide: 진단/평가 핵심 포인트. 급성 세균 부비동염(acute bacterial rhinosinusitis, ABRS)을 바이러스 감염과 구별하는 것은 매우 힘들다. • 급성 세균 부비동염은 보통 임상적으로 진단하게 되는데(부비동의 흡입 천자 배양은 침습적인 방법으로 거의 시행되지 않는다.) 바이러스 부비동염과의 감별이 녹록지는 않다. • 국내외 주요 가이드라인(미국 감염학회, 미국 이비인후과 가이드라인 등)에서 급성 세균부비동염을 의심해야 한다고 제시하고 있는 양상은 거의 대동소이하다. ⑴ 임상 증상의 호전 없이 10일 이상 증상 및 징후가 지속되며, 발병 후 3-4일 이상 39 C 이상의 발열, 화농 비루 및 얼굴 부위 압통 등의 심한 증상 및 징후가 발생한 경우 ⑵

구글 서비스 시작과 종료(구글 스타디아, 구글 트립) [내부링크]

377053, 출처 Pixabay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 잡식왕입니다. 구글은 정말 다양한 온라인 서비스를 만들어냅니다. 제가 자주 사용하는 것만 리스트업 해봐도 저는 구글의 노예입니다. 바른의학연구소 사내 업무도 대부분 구글 Docs에서 처리합니다. 잡식왕이 사용하는 구글 서비스 - G메일 - 구글드라이브 - 구글 Docs - 구글 지도(해외여행시) - 구글 캘린더 - 구글 Trips - 유튜브 구글 스타디아 이런 구글 노예가 구글 Stadia를 처음 봤을 때 경악을 금치 못했는데요. 이정도면 그냥 구글 주식을 구매하는게 현명하지 않나 싶을정도로 구글 서비스를 좋아합니다. (10년전에 구매했어야 했는데 흑흑 ㅠㅠ) 구글 스타디아를 잠시 소개해 드리자면, 이전글에서도 큐레이션과 스트리밍에 대해 잠시 이야기를 해드렸는데요.. 제가 사용하고 있는 유료서비스는 대부분 온라인에서 스트리밍 되고 큐레이션이 가능하거나 라이브러리가 있는 서비스입니다. 예를 들면, LinkedIn Learn

정맥혈전색전증(VTE, venous thromboembolism) - 개요 [내부링크]

SMART 일차진료매뉴얼 2판(근거편) Vol.1 Part05. 심혈관 - 2장 - 심혈관 증상/징후/질환 - Topic 06. 정맥 혈전색전 질환 I. 정맥혈전색전증(VTE, venous thromboembolism) : 개요 1. 분류 • 유발인자에 따른 분류(classification of VTE according to risk factors) • 정맥혈전증은 진단 시 항응고제 치료 중단 후의 재발위험도에 따라 분류되고 이에 따라 치료 기간이 달라지게 된다. • 재발위험도는 유발인자 유무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1). 일시적 유발인자가 있는 정맥혈전증 (provoked VTE) • 수술 후 발생한 경우과 수술과 관련이 없는 경우에서 재발 위험도가 다르게 나타난다. (1) 수술적 유발인자가 있는 정맥혈전증(provoked VTE by surgery) : 최근 1개월 이내 수술을 받았던 유발인자가 있었던 경우 (2) 비수술적 유발인자가 있는 정맥혈전증(provoked VTE b

일과성 고관절 활액막염(transient synovitis of the hip) - 개요, 진단 [내부링크]

SMART 소아진료매뉴얼 2판 SECTION02. 흔한 증상 및 질환의 접근 - Part 14. 근골격 Topic04. 일과성 고관절 활액막염(transient synovitis of the hip) I. 개요 1. 일과성 고관절 활액막염이란?1) • 소아기에 발생하는 고관절의 비특이성 염증질환 • 10세 이하 아동의 고관절 통증과 파행의 가장 흔한 원인 2. 원인 • 상기도 감염 후 발생 • 그 외 원인:외상, 알레르기 과민 반응 3. 역학 • 연령: 평균 5-6세(범위 :3-12세) • 성별: 남아가 여아보다 2-3배 많음 • 좌우: 양측이 동일한 빈도, 95 %가 편측성 4. 임상양상 및 경과2) 통증 및 파행 • 발병양상 ① 급성 발병(50 %) :1-3일간 경과 ② 만성 발병(50 %) :수 주-수개월 • 통증 부위:서혜부, 대퇴 내측부, 슬관절 • 대부분의 경우에서 경도의 통증을 호소하지만 간혹 중등도 내지 중증인 경우도 있고, 일부에서는 야간통(night pain)을 호

[혈액] 만성 백혈병 문제 1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Maste KMLE 7권. 혈액/류마티스/알레르기 - 과목 1. 혈액 - Section 02. 혈액암 Topic 08. 만성 백혈병편 문제입니다. 01. 65세 여자가 쉽게 피곤하고 왼쪽 배가 묵직하여 병원에 왔다. 결막은 창백하였고 황달은 없었다. 지라가 왼쪽 갈비뼈 아래 4 cm까지 만져졌다. 혈액검사소견은 다음과 같았다. 조치는? ㆍ혈색소 11.5 g/dL, 혈소판 744,000/mm3, 백혈구 47,000/mm3 [중성구 25%, 림프구 10%, 단핵구 7%, 호산구 3%, 호염기구 5%, 늦골수세포(metamyelocyte) 15%,골수세포(myelocyte) 20%, 전골수세포(promyelocyte) 10%), 모세포(blast) 5%], 백혈구알칼리인산분해효소 점수(LAP score) 5 (참고치, 15~130) ① 이마티닙(imatinib) 경구투여 ② 리툭시맙(rituximab) 정맥주사 ③ 인터페론(interferon) 피하주사

혈소판 증가증 - 원인 및 감별진단 [내부링크]

SMART 일차진료매뉴얼 2판(근거편) Vol.2 Part 08. 혈액(CBC 검사의 해석) - Topic 03. 혈소판 해석/출혈의 접근 - Subtopic 03-1. 혈소판 증가증 I. 원인 및 감별진단 1. 원인 1) 유전질환(inherited) • 유전성 가족질환(inherited familial disorder)은 매우 드물다1). 2) 후천질환(acquired) • 혈소판증가증의 대부분은 후천적이고 이차성 혹은 일차성으로 발생한다1). 1) 일차성 질환 : clonal bone marrow (myeloproliferative) Disorder (→ 여기에 essential thrombocythemia가 포함)2). 2) 이차성 질환 : 반응성 질환(2차성 혈소판증가증) 표. 혈소판증가증의 분류3)4) Clonal Reactive Spurious •본태 혈소판증가증 •진성적혈구증가증 •일차 골수섬유증 •del(5q)를 동반한 myelodysplasia •Refractory

점액작용제(거담제) - 국내에 시판 중인 약물 [내부링크]

SMART 일차진료매뉴얼 2판(근거편) Vol.1 Part 04. 호흡기 - 1장. 호흡기 진료를 위한 기초 Topic 02 호흡기에 흔히 사용되는 약물 Subtopic 02-2. 점액작용제(거담제) 2-2. 점액작용제(거담제) 1. 점액작용제 엿보기 약물군 약물종류 Expectorants/Mucokinetics myrtol, Guaifenesin, Ambroxol, bromhexine Mucolytics N-acetylcysteine, erdosteine, letosteine Peptide Mucolytics (Enzymes) Serratopeptidase, Streptodornase, Streptokinase Mucoregulatory agents l-carbocysteine 기타 myrtol, sobrerol, ivy leaf extract/hederae helix fluid extract 2. 국내에 시판중인 약물 상품명 제조사 용량/조성 용법 myrtol 게로미르톨 (gel

가을철 열성질환 : 쯔쯔가무시증 (Tsutsugamushi disease) - 개요/진단/치료 [내부링크]

SMART 일차진료매뉴얼 2판(근거편) Vol.1 Part 03. 전신·감염·알레르기 - 3장 주요 질환 - Topic 03. 가을철 열성질환 II. 가을철 열성질환 : 쯔쯔가무시증 (Tsutsugamushi disease) 1. 개요 • 쯔쯔가무시 병은 조기 진단 및 치료 시 합병증 없이 치료될 수 있으나, 효과적인 항생제 투여가 늦어짐에 따라 치명적인 합병증과 사망이 초래될 수 있다. 그러나 신속한 진단과 치료는 질병의 이환 기간을 줄일 수 있으며, 사망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 1) 정의1)2) • Orienta tsutsugamushi 감염에 의한 급성 발열성 질환 2) 역학1)2) 매개충 •털진드기과(Trombiculidae) 진드기 유충(chigger) 전파경로 •감염된 진드기 유충에 물려 감염된다. 잠복기 •8-11일 전염기간 •사람간 감염(-) : 격리/소독 불필요 •털진드기 유충이 동물의 체액을 흡입하는 봄과 가을이 감염에 위험한 시기 사람의 감수성 •한 번 이환되면

[신장요로] 비뇨생식 종양 문제 1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Master KMLE 6권. 신장요로/감염 - 과목 1. 신장요로 - Topic 12. 비뇨생식 종양편 문제입니다. 01. 65세 남성이 혈뇨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혈뇨는 어제 발생하였으며, 배뇨 시 통증은 없었다. 빈뇨, 배뇨 지연은 없었으며 소변이 가늘어지지도 않았다. 진찰상 특이 소견은 없었고, 소변 검사에서 적혈구가 관찰되었다. 환자는 20세부터 하루에 한갑씩 담배를 피웠다고 한다. 이 환자에서 가장 적절한 조치는? ① 결핵이 의심되므로 소변 AFP smear를 시행한다. ② 방광경 시행 ③ Renal scan 시행 ④ 안심시키고 돌려보낸다. ⑤ 한 달간 추적 관찰하고 소변 검사를 재시행한다. [정답] ② 방광경 시행 [해설] 60세 남성이 무통성 혈뇨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검사에서 혈뇨를 보인 것이 아니라 육안상 혈뇨가 보여 내원한 것이다. 만약 눈으로는 보이지 않으나 소변검사에서 발견된 미세혈뇨의 경우에는 혈뇨 단원에서 말한 것처럼 일시적

[실전편] 담도계 감염(담낭염/담도염) [Biliary infection(Cholecystitis/Cholangitis)] - Practical guide [내부링크]

SMART 일차진료매뉴얼: 실전편(Case based approach) Vol.1 Part 05. 소화기 - TOPIC 21. 담도계 감염(담낭염/담도염) [Biliary infection(Cholecystitis/Cholangitis)] Practical guide: 급성 담낭염 핵심 포인트 1. 우상복부 통증 혹은 압통이 있다면 급성 담낭염을 우선 고려하자! 우상복부 통증이 있는 경우 Murphy’s sign 정도는 체크해보자! 핵심 포인트 2. 확진을 위해서는 영상검사(일차의료기관에서는 대개 초음파 검사)가 필요하다. 진단기준에도 명시되어 있지만 확진을 위해서는 염증의 국소 징후, 염증의 전신적인 징후와 더불어 급성담낭염에 특징적인 영상검사소견이 필요하다. 일차의료기관에서 초음파는 흔히 시행하는 검사이므로 신체검사, 혈액검사, 초음파 검사 등으로 급성담낭염을 충분히 확진할 수 있다. 항목 내용 1. 염증의 국소 징후 •Murphy’s sign •우상복부덩이/통증/압통 2. 염증

[실전편] 군발두통(Cluster headache) - 개요, 진단, 치료 [내부링크]

SMART 일차진료매뉴얼 : 실전편(Case based approach) Vol.2 Part 09. 신경·정신 - Topic 01. 두통(Headache) Subtopic 1-3. 군발두통(Cluster headache) <추가내용 및 REFERENCE>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2판) (2017)’에 비교할 때 American Headache Society(AHS) 가이드라인(2016)을 추가적으로 참고, 업데이트하였다. • Robbins MS, Starling AJ, Pringsheim TM, Becker WJ, Schwedt TJ. Treatment of Cluster Headache:The American Headache Society Evidence-Based Guidelines. Headache 2016; 56:1093-1106. Core Review : 군발두통(Cluster headache) 1. 개요 1) 군발두통이란? • 삼차자율두통 중 가장 흔한 형태. 크게 다음과

[실전편] 담낭용종(Gallbladder polyp) - 진단/평가, 치료, 상병명 [내부링크]

SMART 일차진료매뉴얼: 실전편(Case based approach) Vol.1 Part 05. 소화기 - Topic 22. 담낭용종(Gallbladder polyp) <추가내용 및 REFERENCE> • Wiles R, Thoeni RF, Barbu ST, et al. Management and follow-up of gallbladder polyps:joint guidelines between the European Society of Gastrointestinal and Abdominal Radiology (ESGAR), European Association for Endoscopic Surgery and other Interventional Techniques (EAES), International Society of Digestive Surgery-European Federation (EFISDS) and European Society of Gastrointestinal

[내분비] 부신질환 - 부신수질질환 문제1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Master KMLE 5권. 내분비 - Topic 04. 부신질환 - Subtopic 04-2. 부신수질질환편 문제입니다. 01. 53세 여자가 건강검진에서 혈압이 높게 나왔다며 병원에 왔다. 2년 전부터 월경이 나오지 않았으며, 6개월 전부터 얼굴이 화끈거리고 가슴이 두근거린다고 한다. 간헐적으로 두통이 심하여 약국에서 진통제를 사서 먹었으나 호전되지 않았다. 집에서 측정한 혈압은 대부분 정상이었지만 간헐적인 상승을 보였다고 한다. 혈압165/100 mmHg, 맥박 72회/분, 호흡 14회/분이다. 검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검사는? ㆍ혈액: 혈액요소질소 18 mg/dL, 크레아티닌 0.8 mg/dL, Na+/K+/Cl- 136/4.9/102 meq/L, 유리 T4 1.3 ng/dL(참고치, 0.8~1.7), 갑상샘자극호르몬 0.9 mIU/L(참고치, 0.34~4.25), 난포자극호르몬 65 mIU/mL(참고치, 18.0~153.0), 에스트라디올

[소아] 자폐스펙트럼장애(autism spectrum disorder) - I. 자폐스펙트럼장애란? / II. 분류 / III. 진단 [내부링크]

SMART 소아진료매뉴얼 2판 Section 02. 흔한 증상 및 질환의 접근 Part 12. 신경/정신 - Topic 04. 자폐스펙트럼장애(autism spectrum disorder) I. 자폐스펙트럼장애란? 자폐스펙트럼장애(autism spectrum disorder, ASD)는 사회적 의사소통 및 상호작용의 어려움과 제한된 관심사, 반복적이고 상동적인 행동을 특징으로 하는 발달장애이다1). ㆍ용어 1) ‘Autistic Spectrum Disorder’? ‘Autism Spectrum Disorder’? 초기에는 미국에서는 자폐스펙트럼장애를 ‘Autism Spectrum Disorder’로 사용하고, 영국에서는 ‘Autistic Spectrum Disorder’를 사용하는 등 약간의 차이가 있었으나, 최근에는 ‘Autism Spectrum Disorder’로 정리되었다2). 2) 자폐스펙트럼? 자폐범주성장애 현실적으로는 ‘자폐스펙트럼장애’라는 용어가 훨씬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호흡기] 주요 호흡기 질환 - 간질 폐질환 문제 1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Master KMLE 4권. 호흡기 - Section 02. 주요 호흡기 질환 - Topic 09. 간질 폐질환편 문제입니다. 01. 호흡기 내과에 31세 남자가 검진에서 발견된 가슴 X선 이상소견으로 내원하였다. 검사 결과는 다음과 같을 때 다음으로 시행해야 할 검사는 무엇인가? • PPD skin test (-), Ca 11.5mg/dL (정상 9~10.5) • ACE 80 μ/L (정상 <40 μ/L), ESR 70 mm/hr ① 가슴 전산화단층촬영 ② 기관지 경유 폐 생검 ③ 가래 항산성균 검사 ④ 혈청 안지오텐신전환효소 측정 ⑤ 기관지 내시경 [정답] ② 기관지 경유 폐 생검 [해설] • 사르코이드증이 의심된다. 사르코이드증의 진단은 임상적 소견과 병리학적 소견 모두 필요하다. 사르코이드증에서 흔히 보이는 임상 증상과 함께 조직학적으로 비건락육아종이 확인되고 사르코이드증과 비슷한 임상 증상 및 조직학적 소견을 보일 수 있는 다른 질환들이 배

[소아] 가와사키 병(Kawasaki disease) - II. 진단 [내부링크]

SMART 소아진료매뉴얼 2판 Section 02. 흔한 증상 및 질환의 접근 Part 07. 심혈관 - Topic 05. 가와사키 병(Kawasaki disease) II. 진단 ㆍ진단은 전형적인 임상양상에 의한다6). ㆍ진단기준7),8) : Japanese Ministry of Health research committee에 의해 확립, 미국심장협회(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및 미국소아과학회(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에 의해 채택 ㆍ진단기준에 명시된 5가지가 다 나타나지 않은 불완전 가와사키병도 드물지 않다6). ㆍ불완전 가와사키병도 관상동맥 합병증을 일으킨다6). 1. 진단기준:2017 AHA 가이드라인9) ㆍ2004 AHA 가이드라인8)과 비교할 때 기본적인 진단 기준은 변화되지 않았으나 세부적인 설명이 추가되었고 아데노바이러스와 같은 감별이 필요한 질환에 대한 설명이 첨가되었다. ㆍ2004년 지침에서 제시한 불완

[심혈관] 주요 심혈관계 질환: 심장질환 - 감염 심내막염 문제 1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Master KMLE 3권. 심혈관 - Section 03. 주요 심혈관계 질환: 심장질환 - TOPIC 12. 감염 심내막염편 문제입니다. 01. 62세 여자가 1주 전부터 열이 나서 응급실에 왔다(두 가지). 신체검사 • 혈압 100/60mmHg, 맥박 106회/분, 호흡 22회/분, 체온 38.2 • 가슴 청진:호흡음 정상, 수축기 심잡음(심장끝) 혈액검사 • 혈색소 10.4g/dL, 백혈구 12,300/mm3, 혈소판 134,000/mm3 • 혈액요소질소/크레아티닌 24/1.3mg/dL 소변검사 • 잠혈 (+), 단백질 (+), 적혈구 5~10/고배율시야, 백혈구 1~3/고배율시야 영상검사 • 가슴 X선 사진:정상 ① 콩팥생검 ② 항핵항체 ③ 혈액배양 ④ 심초음파검사 ⑤ 혈장 D-이량체 ⑥ 혈액펴바른표본 ⑦ 소변 단백질전기이동검사 ⑧ 가슴 고해상컴퓨터단층촬영 [정답] ③ 혈액배양, ④ 심초음파검사 [해설] • 발열의 원인이 무엇일까? 단서가

[소아] 급성 인두염(acute pharyngitis) - 치료 : 1. 항생제 치료 2. 보조적 치료 3. 보균자의 규명과 조치 [내부링크]

SMART 소아진료매뉴얼 2판 Section 02. 흔한 증상 및 질환의 접근 - Part. 06. 호흡기/알레르기 - 증상 Topic 04. 급성 인두염(acute pharyngitis) IV. 치료 급성 삼출성 인두염의 경우 세균성의 가능성에 대한 치료를 하게 된다2). 1. 항생제 치료 항생제 치료는 원인균을 인두에서 없애는 것이 목적이므로 감수성인 항생제를 적절한 기간 동안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2). > IDSA 가이드라인 6) A군 사슬알균 인두염이 있는 환자는 적절한 용량의 적절한 항균제를 사용하여 인두로부터 병원체를 완전히 제거할 수 있는 기간으로 반드시 치료해야 한다.(일반적으로 10일). 1) 항생제를 왜 사용해야 하는가? 비화농 합병증의 발생감소 ㆍ항생제투여 시 급성 류마티스열의 발생이 감소하였다. ㆍ메타분석:급성 류마티스열의 발생이 80% 감소 화농 합병증의 발생감소 ㆍCochrane review(2006년) :항생제 치료시 급성중이염, 편도주위농양의 발생위험이

[소화기] 위식도질환 - 위식도역류질환 문제 1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Master KMLE 2권. 소화기 - Topic 02. 위식도질환 - Sub topic 02-2. 위식도역류질환편 문제입니다. 01. 33세 남자가 1개월 전부터 속이 쓰리다며 병원에 왔다. 식후에 명치부터 목까지 시큼하면서 기침이 나고 신트림이 난다고 하였다. 혈압 120 /70 mmHg, 맥박 66회/분, 호흡 18회/분, 체온 36.4 C이다. 복부 청진에서 장음은 정상이었다. 압통은 없었고 덩이는 만져지지 않았다. 식도위내시경검사에서 식도 내강확장이나 액체고임은 없었다. 식도위이음부가 흐려졌으나 갈라진 점막(mucosal break)은 없었다. 진단은? ① 바렛식도 ② 식도협착 ③ 거대세포식도염 ④ 식도이완불능증 ⑤ 위식도역류질환 [정답] ⑤ 위식도역류질환 [해설] > Key Clue • 속쓰림, 식후 명치부터 목까지 시큼, 기침, 신트림 reflux symptoms • 식도위내시경검사:식도위이음부가 흐려졌으나 갈라진 점막(mucosal b

[소아] 림프절 종대(lymphadenopathy) - II. 진단적 접근 [내부링크]

SMART 소아진료매뉴얼 2판 Section 02. 흔한 증상 및 질환의 접근 - Part 05. 감염/전신 - 증상 Topic 3. 림프절 종대(lymphadenopathy) II. 진단적 접근 ㆍ양성질환과 악성질환의 감별이 가장 중요한 포인트!! ㆍ질환의 이해에 기초한 자세한 병력청취와 진찰을 통해 진단에 필요한 검사를 잘 선택할 것 ㆍ병력이나 신체검사에서 악성질환이나 전신적 질환의 증거가 없는 경우 특별한 검사 없이 적절한 간격의 경과관찰을 시행할 것 1. 병력 및 신체검사1) 1) 림프절 종대의 일반적인 고려사항 (1) 림프절 종대의 크기 ㆍ대부분의 림프절은 신생아기에는 촉지되지 않으나 감염과 같은 항원에의 노출로 림프조직의 양이 증가되면서 소아기에 만져지는 경우가 많다. ㆍ신생아기에도 림프절이 촉지될 수 있으며 임상적으로 정상과 비정상인 림프절을 구분하는 절대적인 크기의 기준은 없다. (2) 림프절 종대의 성상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림프절 종대 ㆍ크기 작다, 압통(-), 유

[외과총론] 수술 전 주요 이슈 문제 1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Master KMLE 1권. 의학총론/외과총론 과목 02. 외과총론 - Topic 02. 수술 전 주요 이슈편 문제입니다. 01. 갑상샘암으로 내시경적 절제술을 예정한 환자가 수술 당일 아침에 복용할 수 있는 약물은? ① 고혈압약 ② 와파린 ③ 아스피린 ④ 엔세이드 ⑤ 에스트로겐 [정답] ① 고혈압약 [해설] ㆍ대부분의 항고혈압제는 반동성 고혈압을 예방하기 위해 수술 직전까지 복용해야 한다. 특히 beta-blocker를 심혈관계 질환이 있는 환자에서 수술 전에 중단할 경우, 수술 후 심근경색증의 발생률과 사망률이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수술 중 및 수술 후 반동성 고혈압, 빈맥, 부정맥 및 협심증의 발생도 증가하므로 반드시 수술 직전까지 복용을 지속해야 한다. 수술 후 즉각적인 경구섭취가 불가능한 경우, 정맥 제재인 esmolol이나 propranolol로 대체하여 지속적으로 투여한다. Calcium channel blocker 또한

[근거편] 성매개 감염 - 진료과정 / 병력 및 위험도 평가 / 신체검사 / 증상 또는 증후군에 따른 진료 / 질환별 진료지침 [내부링크]

SMART 일차진료매뉴얼 2판(근거편) Vol.2 Part 09. 신장·요로비뇨생식 - Chapter 02. 주요 증상/질환별 접근 - Topic 06. 성매개 감염 • 여기에서는 성매개감염을 접근하는 일반적인 outline을 제시하고자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가이드라인의 정석을 보여주고 있는 ‘질병관리본부/대한요로생식기감염학회. 성매개감염 진료지침(2016)’을 참고하길 바랍니다. 1. 성매개감염 진료과정 ① 내원동기 파악 ② 성매개감염의 위험인자와 역학에 대한 인식 ③ 간단한 병력과 성매개감염 위험도 평가 ④ 환자중심의 교육과 상담 ⑤ 신체검진 ⑥ 적절한 선별검사 및 진단검사의 선택 ⑦ 증상을 통한 임상진단 또는 검사실검사를 통한 원인미생물 진단 ⑧ 치료 ⑨ 필요시 공공기관에 신고와 파트너에게 통지 ⑩ 동반된 질환에 대한 치료 및 관련 위험인자의 관리 ⑪ 추적관찰 2. 병력 및 위험도 평가 3. 신체검사 남/녀 모두 청소년/성인 남성 청소년/성인 여성 전신증상 (체중감소, 발열,

[소아] 수액요법- I. 개요 / II. 수액요법의 실제 [내부링크]

SMART 소아진료매뉴얼 2판 SECTION 01. 일차진료에서 흔히 접하는 이슈 - Part 03. 예방ㆍ치료 이슈 Topic 01. 수액요법 I. 개요 탈수된 아이에서 수액 치료는 기본이다. 1. 수액의 종류 및 특성1) 2. 탈수의 분류2) 두 가지 관점으로 탈수를 분류한다. 1) 탈수의 정도에 근거한 물 소실량의 판단 → 투여 양이 결정된다. ㆍ탈수 환아의 원래 체중에서 내원 시의 체중을 뺀 것이 소실한 물의 양이다. - 경증 탈수:체중의 3 %(영아는 5 % 정도) 소실 - 중등도 탈수:체중의 3-6 %(영아는 5-10 %) 소실 - 중증 탈수:6-10 %(영아는 10-15 %) 소실 ㆍ아이가 소실한 만큼, 필요한 만큼 투여하는 것이다. ㆍ많이 탈수되었으면 많이 보충하고 약간 탈수 되었다면 조금만 보충하면 된다. • 중등도 평가:전해질 검사, 소변 검사, 체중변화로 평가 첫 환자 대면 후 판단은 세 가지로 한다. ㆍ피부 소견:탈수가 심할 수록 차고 챙백하며 얼룩지기까지 한다

[소아과 각론] 내분비 - 저신장편 문제 1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Master KMLE 13권. 소아과각론 - Topic 13. 내분비 - Sub Topic 13-2. 저신장편 문제입니다. 01. 10세 여아가 키가 잘 자라지 않아서 병원에 왔다. 임신 나이 40주, 출생체중 2,500 g으로 출생하였다. 6개월 전부터 피곤해서 낮잠을 자는 횟수가 늘었다고 하였다. 아버지는 키가 166 cm, 어머니는 162 cm였다. 고등학교 1학년 때 초경을 하였다고 하였다. 진단은? P/E • 키 130 cm (10백분위수), 체중 29 kg (25백분위수), 최근 1년 동안 4 cm 성장 • 유방 성적성숙도:1기 혈액 • Na+ /K+ /Cl- /HCO3 - 138/4.3/104/23 meq/L, 칼슘 9.2 mg/dL (참고치, 8.8~10.8), 인 5.1 mg/dL (참고치, 3.8~6.5), 알칼리인산분해효소 360 U/L (참고치, 145~420) • 유리 T4 0.7 ng/dL (참고치, 0.8~1.7), 갑상샘

[실전편] 백선/손발톱진균증(Dermatophytosis/Onychomychosis) - Practical guide : 치료 [내부링크]

SMART 일차진료매뉴얼 : 실전편(Case based approach) Vol.2 Part12. 피부 - Topic 04. 감염 피부질환(Infectious skin diseases) Sub topic 04-1. 백선/손발톱진균증(Dermatophytosis/Onychomychosis) Practical guide : 치료 후보 약물군 약물종류 항진균제 Polyene 계열 Nyststin, Amphotericin B Azole 계열 imidazole계(ketoconazole, miconazole), triazole계(itraconazole, fluconazole) Allylamine 계열 Terbinafine 항진균제(국소, 도포) imidazole, ciclopirox, olamine, allylamine, terbinafine, fluconazole, tioconazole 경구용 항진균제 백선의 종류 Itraconazole 투여법 샅백선 100mg qd × 15 days 체부백

[실전편] 습진질환 - 접촉피부염(Contact dermatitis) : Case based approach [내부링크]

SMART 일차진료매뉴얼 : 실전편(Case based approach) Vol.2 Part 12. 피부 - Topic 03. 습진질환 - Sub topic 03-3. 접촉피부염(Contact dermatitis) Case based approach S/O C.C:화장품 조금만 발라도 남들보다 예민하고 잘 빨개져요. • F/40. local에서 스테로이드 연고 중학생 때부터 장기간 자주 발랐음 과거력:⑴ Hyperthyroidism ; ⑵ Breast ca.:s/p op, tamoxifen 복용 중 A • R/O Contact dermatitis P • 스테로이드 그만 바를 것 • patch test(TRUE test) 시행 S/O • Patch test 48hr (-) 표준항원 (Korean standard series 25개) 48 Hours (D2) 표준항원 (Korean standard series 25개) 48 Hours (D2) 1. Nickel(II) Sulfate He

[실전편] 감염피부질환 - 피부연조직감염(Skin/Soft tissue infections) : Practical guide(진단/평가, 치료, 실전처방예시,상병명) [내부링크]

SMART 일차진료매뉴얼 : 실전편(Case based approach) Vol.2 Part 12. 피부 - Topic 04. 감염 피부질환(infectious skin diseases) Sub topic 04-2. 피부연조직 감염(Skin/Soft tissue infections) Practical guide: 진단/평가 핵심포인트. 단독과 연조직염의 감별 • 치료방침은 비슷하기 때문에 둘의 감별이 큰 의미가 없을 수도 있다. 단독 연조직염 병변의 융기여부 융기되었음 융기되지 않았음 정상조직과 경계 명확함 명확하지 않음 Practical guide: 치료 핵심포인트 1. 정맥주사 요법(입원치료)가 필요한 경우가 많지만 경미한 경우 경구투여도 가능하다. • 종기는 일반적으로 경구 항생제 투여가 필요없고 국소항생제 도포만으로 충분하다. • 단독/연조직염이 의심되는 경우에는 전신항생제 투여가 필요한데 대개 주사로 투여하게 된다. 정맥주사 요법이 필요한 경우 경구 투여가 가능한 경우 •

[류마티스] 감염관절염 문제1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Master KMLE 6권. 혈액/류마티스/알레르기 - 류마티스 - Topic 10. 감염관절염편 문제입니다. 01. 갑작스러운 왼쪽 무릎관절의 압통과 보행 장애를 주소로 29세 남자가 내원하였다. 혈액검사에서 백혈구 18,500(PMN 90%)이었다. 이 환자에게 가장 먼저 시행해야 하는 조치는? ① 즉시 수술 ② 전신적 항생제 투여 ③ 관절의 방사선학적 검사 ④ 즉시 관절 천자 실시 ⑤ 관절내 스테로이드 투여 정답 공개합니다. 정답 : ④ 즉시 관절 천자 실시 KEY CLUE • 29세 남자, 갑작스러운 왼쪽 무릎관절의 압통과 보행 장애 • 혈액검사에서 백혈구 18,500(PMN 90%) • 환자는 한쪽 무릎관절에서 병변이 급성으로 발생하였고 보행장애, 즉 근육수축과 운동범위 감소의 증상을 보이고 있어 감염관절염이 의심된다. 혈액검사상 감염소견을 확인할 수 있다. • 감염관절염은 환자의 90%가 Monoarticular infection으로 발병

[근거편] III. 석회화 건염(calcific tendinitis) : 치료 [내부링크]

SMART 일차진료매뉴얼 2판(근거편) - Evidence based approach Vol.2 Part 12. 근골격/류마티스 - chapter 02. 어깨/팔꿈치/손목/손 - Topic 03. 석회화 건염(calcific tendinitis) III. 석회화 건염(calcific tendinitis) : 치료 1. 치료핵심 • 보존적 치료 • 근거 : 석회화건염의 특성상 석회 침착물은 저절로 흡수될 수도 있다1). ※ 참고 • 보통 팔걸이를 하고(팔을 움직이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소염진통제를 주면서 기다리면, 1주 내로 통증은 급속히 완화됩니다.(by 김지형) 2. 약물치료3) • Codeine① : 10~20 mg 하루 세 번 씩 투여 ① 심각한 급성 통증은 해소되며, 증상이 호전되면 NSAIDs로 바꾸어도 호전된 상태는 대부분 지속된다. • NSAIDs : 통증 조절에는 유용하지만, 질환의 자연경과를 변화시킨다는 증거는 없다. 3. 주사치료 • 증상의 호전이 없으면 스테

[근거편] II. 회전근개 질환(rotator cuff disease) : 진단 [내부링크]

SMART 일차진료매뉴얼(근거편) 2판 - Evidence based approach Vol.2 Part 12. 근골격/류마티스 - Chapter 02. 어깨/팔꿈치/손목/손 - Topic 02. 회전근개 질환(rotator cuff disease) II. 회전근개질환(rotator cuff disease) : 진단 • 원인, 발병시기, 통증의 양상, 통증부위 등의 병력청취를 통해 얻어진 대략적인 감별진단을 가지고 이후 신체검사 시행1). 1. 임상증상2) • 통증 : 손이 어깨 위로 가는 일을 할 때 악화; 주로 외측으로 둔한 양상; 강도 다양 • 통증으로 외전 및 내회전의 제한을 호소하는 경우가 있다. 2. 신체검사 • 검사 목표는 통증을 유발하는 원인을 찾는 것1). • 신체검사 진행방식1) 시진 → 촉진 → 동적인 검사 → 통증 유발검사 1) 촉진 • 가능한 모든 견관절의 주요부분을 촉진할 것1). • 압통 확인1),2) : 건이 상완골에 부착되는 부위; 극상근 건이 부착하는

[근거편] III. 테니스 엘보우, 상과염(epicondylitis)-외측상과염, 내측상과염 : 치료 [내부링크]

SMART 일차진료매뉴얼(근거편) - Evidence based approach Vol.2 Part 12. 근골격/ 류마티스 - chapter 02. 어깨/팔꿈치/손목/손 - Topic 06. 테니스 엘보우 III. 상과염(epicondylitis) : 치료 • 치료 목표1) : 정상적인 관절 가동 범위 유지, 통증 감소, 수근신근/건의 유연성/근력/근지구력 강화를 통한 기능 유지 • 주된 치료는 비수술적인 방법 : 약 90%에서 보존적 요법으로 호전가능2) • 치료 방법은 많으나 증거-기반 의학적 측면에서 타당성을 보이는 치료 방법은 없다3)4). • 초기 치료는 유발요인이 되는 활동 중단 및 항염증제 복용!! ※ 참고 • 주로 외상과증에 대한 치료에 대해 연구가 되어 있으며, 내측 상과염에도 비슷하게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1. 비수술적 치료 • 치료방법 • 기다려 보기(wait-and-see)/휴식 • 약물치료 • 스테로이드 국소주사 • 물리치료 • 운동요법 • 혈소

[감염] 감염질환 기본 - 항생제에 대한 이해 문제1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Master KMLE 6권. 신장요로/감염 - 감염 - 감염질환 기본 - 항생제에 대한 이해편 문제입니다. 01. 69세 여자가 아침에 잠자리에서 일어나지 않고 헛소리를 하며 가족들을 알아보지 못해 응급실에 실려 왔다. 3일 전부터 소변을 평소보다 자주 보았으며 전날에는 오한을 호소했다고 하였다. 의식은 혼미하였고 혈압 80/60 mmHg, 맥박 140회/분, 호흡 28회/분, 체온 38.9 C였다. 혈액배양검사 후 즉시 항생제를 투여하려 한다. 적합한 채혈 방법은? ① 말초정맥내카테터에서 1쌍 시행 ② 동맥에서 1시간 간격으로 2쌍 시행 ③ 정맥에서 1시간 간격으로 2쌍 시행 ④ 서로 다른 정맥에서 동시에 2쌍 시행 ⑤ 정맥에서 1회 채혈하여 혈액배양병 2쌍에 주입 정답 공개합니다. 정답 : ④ 서로 다른 정맥에서 동시에 2쌍 시행 혈액배양이란? • 혈액배양은 열 나는 환자의 5-15%에서 양성이지만 가장 중요한 미생물검사다. 혈액배양이 양성이라는

[소아] 성장통(growing pain) - 개요/진단/치료 [내부링크]

SMART 소아진료매뉴얼 2판 Section 02. 흔한 증상 및 질환의 접근 - Part 14. 근골격 - Topic 03. 성장통(growing pain) I. 개요 1 성장통이란? 성장통이란 성장기 아동에서 기질적 이상 없이 나타나는 하지통증을 말한다. 2 역학 3-12세 사이에 흔하고, 여아에 더 호발한다1),2). 3 병인 밝혀져 있지 않으며, 사지의 종적 성장과 직접적인 연관은 없는 것으로 생각된다2). 4 임상양상1),2) • 통증의 양상 P 심하게 신체 활동한 날 발생 Q 양측성 간헐적 통증, 심부 통증 R 하퇴부, 대퇴부, 슬관절, 고관절부 S 통증으로 잠에서 깨어나기도 한다. T • 낮보다는 주로 저녁에 통증 발생, 다음날 아침에는 증상이 소실되고 주간에는 잘 뛰어논다. • 수일에서 수개월간 증상이 없다가도 재발한다. • 동반증상 - 파행(limping), 관절 구축(contracture), 부종(swelling), 발적(erythema), 국소 압통 등은 동반하지

[내분비] 부신질환 - 부신피질질환 문제1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Master KMLE 5권. 내분비 - Topic 04. 부신질환 - Sub Topic 04-1. 부신피질질환편 문제입니다. 01. 32세 여자가 최근 1년간 체중이 15kg 늘어 병원에 왔다. 키 165cm, 몸무게 70kg, 혈압 150/100mmHg이다. 얼굴이 둥글고 여드름이 심했다. 배에서는 보라색의 넓은 줄들이 보였다. 검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검사는? • 혈액: 포도당 132 mg/dL, 크레아티닌 1.1mg/dL, Na+/K+/Cl- 144/3.2/104 meq/L, 1mg 야간 덱사메타손억제검사 혈청 코티솔 12.0 μg/dL, 부신겉질자극호르몬 2.2 pg/mL (참고치, 6.0~76.0) • 소변:24시간 유리 코티솔 526μg(참고치, 20~70) ① 부신 컴퓨터단층촬영 ② 안장 자기공명영상촬영 ③ 고용량 덱사메타손억제검사 ④ 급속부신겉질자극호르몬자극검사 ⑤ 아래바위정맥채혈(inferior petrosal venous samp

[실전편] 경부종괴(Neck mass)- Core review(원인 및 감별진단, 진단적 접근) [내부링크]

SMART 일차진료매뉴얼 : 실전편(Case based approach) Vol.2 Part 10. 눈/귀/코/입/두경부 - Topic 13. 경부종괴(Neck mass) Core review 추가내용 및 REFERENCE • Pynnonen MA, Gillespie MB, Roman B, et al. Clinical Practice Guideline:Evaluation of the Neck Mass in Adults. Otolaryngol Head Neck Surg 2017;157(2_suppl) :S1–30. → 2017년 American Academy of Ot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에서 발표한 가이드라인 1. 원인 및 감별진단 1) 환자의 나이에 따른 감별진단 • 환자의 나이가 많을수록 악성 종양의 위험성이 증가한다. • 환자의 나이에 따라 감별진단의 초점이 달라진다. ⑴ < 40세:우선 선천기형 혹은 감염/염증성 원인 고려; 외상에 의한

영상의학과 서적 출판시 주의해야 할 사항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 잡식왕입니다. 오늘은 제 전문분야인 편집디자인에 대해서 많은 의학출판사에서 간과하고 있지만 매우 중요한 정보를 공유하려고 합니다. 보통 영상의학과 책을 출판할 때 저자나 학회에게 받은 사진을 강제로 Grayscale이나 CMYK로 변환하는 경우가 대다수입니다. Grayscale로 변환하는 이유는 2가지 1. 제작비용의 한계로 흑백으로 책을 출판해야 하는 경우 2. 종이 재질을 꼭(?) 비코팅용지(모조니, 이라이트, 뉴플러스... 계열)로 출판해야 하는 경우 CMYK로 변환하는 이유는 1가지 1. 과거의 출판프로세스에서 새로운 출판프로세스로의 지식을 받아들이지 못함 "바른의학연구소에서 출판해야 하는 이유 1" 포스팅의 2번 항목에서도 언급한적이 있으니 참고 바랍니다. https://blog.naver.com/PostView.nhn?blogId=barunlab&logNo=221532547334 바른의학연구소에서 출판해야 하는 이유 1 의학출판사 혹은 의학콘텐츠

[외과총론] 외과적 대사와 영양편 문제 01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Master KMLE 1권. 의학총론/외과총론 - 외과총론 - Topic 01. 외과적 대사와 영양편 문제입니다. 01. 다음 중 정맥영양으로 인하여 직접 유발되는 대표적인 합병증이 아닌 것은? ① 혈전증 ② 고알부민혈증 ③ 점막위축 ④ 담낭 결석 ⑤ 지방간염 정답 공개합니다. 정답 : ② 고알부민혈증 • 정맥영양으로 발생가능한 합병증은 다음과 같이 정리해볼 수 있다. 표. 비경구양양법의 가능한 합병증 기술적 합병증 (카테터 연관) • 카테터 감염: 중심정맥관 관련 혈류 감염, 패혈증 • 카테터의 위치이상 • 기흉, 혈흉, 쇄골하동맥손상, 흉관손상, 부정맥, 심장천공 • 혈전증, 공기색전증, 카테터 색전증 대사 합병증 • 간기능 이상:지방간염, 고빌리루빈혈증 • 고혈당증 • 고중성지방혈증 • 영양재개증후군(refeeding syndrome) 위장관 합병증 • 점막 위축:세균전위(bacterial translocation) • 무결석담낭염(acalcu

[근거편] 긴장형 두통: II. 진단 [내부링크]

SMART 일차진료매뉴얼 2판(근거편) Vol 2. Part 10. 신경·정신 - Topic 01. 두통 - Sub Topic 01-2. 긴장형 두통 II. 긴장형 두통 : 진단 1. 진단기준 • 긴장형 두통은 객관적으로 확진할 수 있는 영상학적 또는 임상병리적 검사가 없기 때문에 임상 소견으로 진단된다.1) • ICHD-II에 의하면 다음 네 가지 두통양상 중에 적어도 두 가지가 있어야 한다. + • 이와 더불어 다음 두 가지를 만족하는 두통이 최소한 10회 이상 있어야 한다. ① 통증이 머리와 목의 양측에 나타난다. ② 통증의 양상은 비박동성으로 조이거나 누르는 듯이 지속해서 나타난다. ③ 통증의 강도는 약하거나 중등도 이하로 나타난다. ④ 일상적인 활동에 두통이 악화되지 않는다. ① 두통은 30분에서 7일까지 지속된다. ② 다른 질환과의 관련성이 없다. (위 내용은 책에서는 도식으로 구성되어 있음) 1) 긴장형 두통의 진단기준(ICHD-3 베타)2,3) (1) 저빈도삽화긴장형두

바른의학연구소 마스코트 "닥터테디"를 소개합니다!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바른의학연구소블로그 프로필 이미지 다들 보셨나요? 닥터테디 테디베어 느낌의 의사 곰입니다!!^^ 귀엽지 않나요?ㅎㅎ 이 이미지는 온라인상으로 돌아다니는 이미지를 단순히 사용한 게 아니라, 저희가 직접 제작 후 서비스표등록까지 받은 이미지랍니다!! 이름도 있습니다! "닥터테디"입니다^^ "닥터테디"는 저희 대표님(저자 이상봉)께서 가정의학과 전문의로서, 보다 친숙한 이미지로 사람들한테 다가갈 수 있는 방법에 대해 고민하시다가 나오게 되었답니다. 그럼 정말 이 이미지가 서비스표등록이 되었는지 한번 확인해보실까요?^^ 곰(이미지)_서비스표등록증 이미지와 함께 닥터테디 이름도 서비스표등록이 되어 있답니다!! 닥터테디_서비스표등록증 서비스표등록까지 마친 바른의학연구소 공식 마스코트 "닥터테디" 어떠신가요?^^ 곰돌이 인형하면 테디베어가 먼저 생각나듯, 의학 콘텐츠가 필요하실 때에는 누구나 바른의학연구소를 먼저 떠올릴 수 있도록 앞으로 더 노력하겠습니다. 바른

[소아과 각론] 내분비 - 갑상샘질환 문제1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Master KMLE 13권. 소아과 각론 - Topic 13. 내분비 - Sub Topic 13-1. 갑상샘질환편 문제입니다. 01. 9세 남아가 대변을 보는 게 힘들어 병원에 왔다. 6개월 전부터 매주 한두 번 대변을 보았으며, 대변은 단단하고 양이 적었다. 최근에 쉽게 피곤해하며, 잠을 많이 자고 먹는 양도 줄었다고 한다. 6개월 동안 키가 1.5 cm 컸고, 체중은 3 kg 증가하였다. 피부는 건조하며 두껍고 만지면 차가우며, 머리카락은 거칠다. 배는 튀어 나와보였으나, 간과 지라는 만져지지 않고, 복부 청진에서 장음은 줄어들어 있다. 검사는? ① 대장내시경 ② 복부 초음파 ③ 혈청 유리 티록신 ④ 혈청 부신겉질자극호르몬 ⑤ 혈청 인슐린유사성장인자-I 정답 공개합니다. 정답 : ③ 혈청 유리 티록신 의심되는 진단은? • 9세 남아가 6개월 전부터 시작된 만성 변비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1차성 변비인지, 2차성 변비인지를 우선 감별 KEY CL

[소아] 방광요관역류(vesicoureteral reflux)- III.치료 [내부링크]

SMART 소아진료매뉴얼 2판 Section 02. 흔한 증상 및 질환의 접근 - Part. 09. 신장비뇨생식 - Topic 04. 방광요관역류(vesicoureteral reflux) III. 치료 1. 치료의 종류1) • 경과관찰(간헐적 항생제 치료 포함) • 방광훈련 • 방광훈련과 항콜린제 투여의 병용치료 • 예방적 항생제요법 • 내시경적 요관점막하 주입술 • 개복수술(복강경하 역류교정술 포함) 2. 치료에 있어 고려할 점 다음과 같은 경우는 단순요관역류에 비하여 더 적극적인 치료를 고려해야 한다. • 새로운 또는 진행되는 콩팥흉터 • 상부요로 폐색이 동반된 경우 • 단일콩팥 • 이차성 역류:콩팥 내 역류(intrarenal reflux), 신경인성 방광, 의인성 역류 • 선천성 질환(요관류, 딴곳요관, 후부요도판막, 말린대추증후군, 방광뒤집힘)과 동반된 역류 3. 치료시기에 따른 치료법의 선택 1) 1세 이하의 방광요관역류 환아의 치료 • 발열성 요로감염이 있었던 모든 환아

[류마티스] 결정 연관 관절병증(통풍, 가성통풍) 문제 1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Master KMLE 07권. 혈액/류마티스/알레르기 - 류마티스 - Topic 09. 결정 연관 관절병증(통풍, 가성통풍)편 문제입니다. 01. 49세 남성이 새벽부터 왼쪽 엄지발가락에 심한 통증이 생겨 병원에 왔다. 환자는 전날 회사에서 회식이 있어 과음을 하였다고 한다. 왼쪽 엄지발가락이 붉게 부어 있고 심한 압통을 호소하였다. X선상 엄지발가락의 연조직에 부기(swelling)는 없었다. 체온은 36.5 C이었다. 확진을 위해 해야 할 검사는? ① 혈중 요산농도 ② 항핵 항체 ③ 류마토이드 인자 ④ 관절액 편광현미경 ⑤ 전신 골스캔 정답 공개합니다. 정답 : ④ 관절액 편광현미경 KEY CLUE 1) 병력:49세 남성, 왼쪽 엄지발가락 통증, 전날 과음한 후 새벽부터 발생, 심한 통증 2) 신체 검사:왼쪽 엄지발가락이 붉게 부어 있고 심한 압통 호소, 체온정상 3) X선:엄지발가락의 연조직에 부기(swelling) (-) • 환자의 증상은 급

과거와 달라진 콘텐츠 소비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 잡식왕입니다. 대단치 않은 제 어렸을 적 이야기를 나눠보려고 합니다. 저희 아버지는 아침식사를 마친 후 항상 조간신문을 처음부터 끝까지 다 읽어보셨습니다. 보통 그 시간이 50분에서 1시간 정도였는데, 아버지께서 무엇을 그리 탐독하셨는지는 모르겠습니다. 학교를 마치고 집으로 돌아오면 가족과 저녁식사를 마치면 거실앞에 모여 과일을 먹으며 "보고 또 보고"라는 드라마를 본 후 9시 뉴스를 같이 보았습니다. 제가 기억하는 어렸을 적 콘텐츠 소비는 그런 형태였습니다. 이때 콘텐츠는 한정되어있었고, 생산+유통자가 어떤 콘텐츠를 생산하고 어떤 패키지 형태로 유통하느냐에 따라 달라졌을 뿐이었습니다. 신문이라면 보통 메이저 5개 정도의 신문사와, 방송은 3~4개 정도의 지상파에서 선택하는 문제였습니다. 그런데 이제는 생산자가 정보를 소비자에게 push 하는 것이 아니라, 소비자가 생산자의 정보를 pull하는 시대라고 할 수 있죠. 바른의학연구소의 콘텐츠도 기본적으로 이런

[실전편] 백혈구증가증(Leukocytosis) [내부링크]

SMART 일차진료매뉴얼 : 실전편(Case based approach) Vol.1 Part 07. 혈액(CBC 검사의 해석) - TOPIC 1. 백혈구 수치의 해석 - SUB TOPIC 1-1. 백혈구증가증(Leukocytosis) Practical guide : 백혈구 증가증 어떻게 접근할 것인가? 핵심포인트1. neoplastic(malignant leukocytosis)인지 reactive(benign leukocytosis)인지 감별하는 게 가장 중요하다.!! • 임상에서 접하는 대개의 경우는 reactive leukocytosis이지만 드물게 존재하는 neoplastic leukocytosis를 가려낼 수 있어야겠다. neoplastic leukocytosis malignant leukocytosis primary hematologic disorders ↔ reactive leukocytosis benign leukocytosis secondary leukocytosis

[감염] 세균 감염-나선균(Spirochetes)에 의한 질환 문제1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Maste KMLE 6권. 신장요로/감염 - SECTION 03. 세균 감염 - Topic 08. 나선균(Spirochetes)에 의한 질환편 문제입니다. 01. 70세 남자가 건강검진 매독혈청검사(VDRL)에서 이상이 발견되었다. 1년 전에 같은 이상이 발견되어 벤자틴 페니실린을 3회 근육주사로 맞았다. 혈액검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적합한 조치는? • 1년 전: VDRL 1 : 1 양성, TPHA (매독균혈구응집검사) 양성 • 현재: VDRL 1 : 2 양성, TPHA (매독균혈구응집검사) 양성 ① 경과관찰 ② 뇌척수액 검사 ③ 독시사이클린 4주 복용 ④ 벤자틴페니실린 3회 근육주사 ⑤ 사람면역결핍바이러스 항체검사 정답 공개합니다. 정답 : ① 경과관찰 1년 전 VDRL 1 : 1 양성, TPHA (매독균혈구응집검사) 양성 벤자틴페니실린을 3회 근육주사 현재 VDRL 1 : 2 양성, TPHA (매독균혈구응집검사) 양성 ? • 1년 전 TPHA

[근거편] 부신(피질)기능저하증 : 치료 [내부링크]

SMART 일차진료매뉴얼 2판(근거편)_Evidence based approach Vol.2 Part 07. 내분비 -Topic 02. 부신질환 - Sub Topic 02-1. 부신기능저하증 III. 부신(피질)기능저하증: 치료 1. 일차성 부신기능저하증 : 부신 스테로이드 보충요법1) • 치료목적 : 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 축을 정상적으로 유지 • 치료방법 : 당질코르티코이드와 염류코르티코이드를 지속적으로 보충 1) 당질코르티코이드/염류코르티코이드 • 코르티솔의 기저 생산율은 하루 약 8-12 mg/m2 • 부작용 : 불면증. 약제를 오후 4-5시에 투여함으로써 불면증 예방가능 intro 용법/용량 주의점 hydrocortisone 가장 우선적으로 선택되는 약제 • hydrocortisone 유지용량은 성인에서 하루 15-25 mg • 경구 투여용량 : 정상적인 일 중변동에 맞춰 2/3는 아침에, 1/3은 오후 늦게 복용(기상 후 아침에 10-15 mg, 오후 5-10 mg) •

명강사 김지형 선생님을 소개합니다 #8-주요 강의 커리큘럼 소개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명강사 김지형 선생님을 소개합니다 시리즈 마지막 시간입니다^^ 이전 포스트를 보셨으면 아시겠지만 김지형 선생님은 정형외과 전문의시면서, 많은 책을 집필하셨고, 거기에 더 나아가 많은 강의까지 하고 계시답니다! 정말 대단하시죠?^^ 지금까지 바른의학연구소 자문위원이신 김지형 선생님에 대해 프로필부터 2013~2018년 강의 이력까지 자세히 소개해드렸는데요. 강의 주제만으로는 김지형 선생님께서 어떤 강의를 하시는지 정확하게 아시기에는 부족할 것 같아, 이번 시간에는 주요 강의 8개에 대해 자세히 소개해드리는 시간을 가져볼까 합니다! 우선 지금까지 포스팅해드린 글 부터 정리해드리고 시작할게요^^ < 김지형 선생님 소개 포스트 총 정리> [저자 소개] 김지형 선생님 명강사 김지형 선생님을 소개합니다 #1 명강사 김지형 선생님을 소개합니다 #2 - 2013년 강의이력 명강사 김지형 선생님을 소개합니다 #3 - 2014년 강의이력 명강사 김지형 선생님을 소개합

[내분비] 갑상샘 질환 - 갑상샘 기능항진증편 문제 1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Master KMLE 5권. 내분비 - Topic 03. 갑상샘 질환 - Sub Topic 03-3. 갑상샘 기능항진증편 문제입니다. 01. 31세 여자 환자가 8개월 전부터 월경 간격이 길어지고 가슴이 두근거리며 더위를 참지 못하여 내원하였다. 혈압은 155/85 mmHg, 맥박은 115회/분이었고 갑상샘이 전반적으로 커져 있었다. 혈액검사에서 혈청 T3 245, T4 15.5일 때 추가로 검사해야 할 항목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소변 사람융모막 생식샘자극호르몬(hCG) ② 항갑상샘자극호르몬 수용체 항체 ③ 혈청 유리 T4 ④ 갑상샘 글로불린 ⑤ 혈청 TSH 정답 공개합니다. 정답 : ④ 갑상샘 글로불린 KEY CLUE • oligomenorrhea, 두근거림, 열불내성, 빈맥 • T3, T4 상승 • 갑상샘중독증이 의심되는 상황이다. 갑상샘중독증의 존재와 원인을 결정하기 위한 검사를 시행해야 한다. • 가장 먼저 갑상샘기능검사(TSH, fT4)

[소아] 장중첩증(창자겹침증, intussusception) - Core review + Practical guide [내부링크]

SMART 소아진료매뉴얼 2판 Section 02. 흔한 증상 및 질환의 접근 - Part 08. 소화기 - Topic 07. 장중첩증(창자겹침증, intussusception) Core review 진단 •장중첩증을 시사하는 병력과 진찰 소견이 있으면 복부 초음파 검사를 시행한다. •가장 특징적인 증상 세가지(Classic triad) : ① Colicky abdominal pain ② Vomiting ③ Bloody stools 전형적인 양상 비전형적인 양상 • 복통(80-95 %) • 구토( >60 %) • 복부 덩어리(60) • 잠재혈변(후기 소견) (50 %) • 기면/정신상태 변화 • 통증없는 장중첩증 • 패혈증, 쇼크, 실신 • 일시적인 고혈압 • 영상검사 - 단순 복부 촬영:다른 진단 가능성 혹은 천공여부를 평가하기 위한 목적 - 복부초음파:장중첩증의 진단 혹은 배제 목적• 영상검사 - 단순 복부 촬영:다른 진단 가능성 혹은 천공여부를 평가하기 위한 목적 - 복부초음

[호흡기] 주요 호흡기 질환 - 결핵 문제2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Master KMLE 4권. 호흡기 - SECTION 02. 주요 호흡기 질환 - Topic 13. 결핵편 문제입니다. 02. 25세 여자가 폐첨부에 결핵을 진단 받고 항결핵제로 치료하기 시작하였다. 다음 중 치료 경과를 파악하는 데 가장 중요한 검사는? ① 임상 증상의 호전 여부 ② CXR 추적 검사 ③ 가래 AFB smear culture ④ 가래 PCR 추적 검사 ⑤ 혈청 ADA 추적 검사 정답 공개합니다. 정답 : ③ 가래 AFB smear culture 치료 전 검사 • 결핵 치료 전 병력 청취를 통해 항결핵제에 의한 부작용 발생 위험을 평가하고, 시력 검사 등의 기저검사를 시행하여야 한다(IIIA). • 치료 전에 일반혈액검사, 간기능, 신장기능검사 등을 확인하고, 가임여성의 경우 임신 여부를 확인하여야 한다(IIIA). ↓ 추구 검사 - 객담검사/ 약제 감수성 검사 • 결핵균 양성(도말 혹은 배양 양성) 폐결핵 환자의 경우 치료 시작 후

[실전편] 심방세동(Atrial fibrillation) [내부링크]

SMART 일차진료매뉴얼 : 실전편(Case based approach) Vol.1 Part 04. 심혈관 - Topic 2. 두근거림/부정맥(Palpitation/Arrhythmia) Sub topic 02-1. 심방세동(Atrial fibrillation) Practical guide : 진단/평가 핵심 포인트. risk evaluation이 중요하다. • 심방세동은 주요 심뇌혈관 질환(특히 뇌졸중)의 risk factor로 작용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risk evaluation이 중요하다. • 이를 위해 사용되는 점수체계인 CHA2DS2-VASc score를 잘 숙지해놓자! Practical guide : 치료 후보약물군 약물종류 항혈전요법 항혈소판 제제① • aspirin, clopidogrel 항응고제제 • warfarin • Factor Xa 억제제(xaban제제) :Rivaroxaban, Apixaban, edoxaban • Factor IIa (thrombin) 억제제

명강사 김지형 선생님을 소개합니다 #7 - 2018년 강의이력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명강사 김지형 선생님을 소개합니다 시리즈 글 7번째 시간입니다!! 이제 드디어 강의이력 포스트 마지막 시간이 되었답니다! 짝!짝!짝! 이번 시간에는 김지형 선생님의 가장 최근 강의 이력인 2018년도 강의이력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2019년도 강의이력은 내년에 올려드리겠습니다^^) 아! 깜빡할 뻔했네요^^ 지금까지 김지형 선생님 소개글 전체 링크를 한번 정리해드리고 시작할게요! [저자소개] 김지형 선생님 명강사 김지형 선생님을 소개합니다 #1 명강사 김지형 선생님을 소개합니다 #2 - 2013년 강의이력 명강사 김지형 선생님을 소개합니다 #3 - 2014년 강의이력 명강사 김지형 선생님을 소개합니다 #4 - 2015년 강의이력 명강사 김지형 선생님을 소개합니다 #5 - 2016년 강의이력 명강사 김지형 선생님을 소개합니다 #6 - 2017년 강의이력 2018년 김지형 선생님 강의 이력 2018년도는 김지형 선생님이 연도별 강의하신 이력 중 가

[심혈관] 주요 심혈관계 질환:혈관질환(관상동맥/말초혈관) - 폐고혈압 문제 1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Master KMLE 3권. 심혈관 - SECTION 04. 주요 심혈관계 질환: 혈관질환(관상동맥/말초혈관) - Topic 21. 폐고혈압편 문제입니다. 01. 68세 남자가 호흡곤란으로 내원하였다. 10여 년 전부터 운동시 호흡곤란이 있었으며, 평소에 가래와 기침이 지속되었다. 내원 당시 분당 호흡수 28회이고 경정맥 확장이 있었으며, 양쪽폐에서 악설음이 들렸고, 제2심음이 항진되어 있었다. 간은 2횡지 촉지되었고, 양쪽 하지에 부종이 있었다. 의심스러운 진단은? ① 폐색전증 ② 폐암 ③ 기관지 천식 ④ 폐성심 ⑤ 간질 폐질환 정답 공개합니다. 정답 : ④ 폐성심 KEY CLUE 20년 전부터 호흡곤란, 점액성 객담 및 기 경정맥 확장, 2심음 항진, 하지 부종 다양한 원인으로 인하여 폐동맥압이 상승되어 우심실이 비대, 확장, 우심실 부전이 발생되는 것을 폐성심(cor pulmonale)이라고 한다. 가장 흔한 원인은 COPD에 의한 폐성심이다.

명강사 김지형 선생님을 소개합니다 #6 - 2017년 강의이력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바른의학연구소 자문위원이신 김지형 선생님의 강의이력을 소개해드리고 있는데 다들 보고 계신가요?^^ 아직 2016년까지의 강의이력밖에 못 올려드렸는데도 많은 강의 이력에 다들 놀라셨나요?ㅎㅎ 김지형 선생님은 정형외과 전문의시면서, 많은 책을 집필하셨고, 거기에 더 나아가 많은 강의까지 하고 계시답니다! 정말 대단하신 것 같습니다. 더 대단하신 것은 정형외과 전문의로서 의학 서적만 집필하시고, 의학 강의만 하시는 게 아니라 정형외과, MS office, 다양한 소프트웨어 툴, 논문쓰기/통계(zotero, dBSTAT, R 등) 등 다양한 주제에 대해서 지식을 공유하고 계시단 것입니다!! 김지형 선생님에 대해 더 자세히 알고 싶으신 분들을 위해 지금까지 작성된 김지형 선생님 소개글 링크를 정리해드리겠습니다!! [저자소개] 김지형 선생님 명강사 김지형 선생님을 소개합니다 #1 명강사 김지형 선생님을 소개합니다 #2 - 2013년 강의이력 명강사 김지형 선생

[근거편] 2-1. 진해제 : 1. 진해제 엿보기, 2. 국내에 시판 중인 약물 [내부링크]

SMART 일차진료매뉴얼 2판(근거편) Vol.1 Part 04. 호흡기 - Chapter 01. 호흡기 진료를 위한 기초 - Topic 02. 호흡기에 흔히 사용되는 약물 - Subtopic 02-1. 진해제 2-1. 진해제 1. 진해제 엿보기 1) 진해제로 허가받은 약물 약물군 약물종류 중추작용 Narcotic opioids Codeine, hydrocodone, morphine Non-narcotic opioids Dextromethorphan, noscapine Nonopioid Benproperine, zipeprol, levocloperastine①, 1세대 항히스타민제 말초작용 Benzonatate, Levodropropizine, Moguisteine, Guaifenesin (?), Theobromine ① 말초작용도 나타낸다. 2) 진해제로 승인받지 않았지만 진해제로 사용되는 약물 약물군 약물종류 중추작용 Amitriptyline, Baclofen 말초작용 Tiotr

[소화기] 췌담도 - 담석질환 - 담석증 문제1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Maste KMLE 2권. 소화기 - SECTION 03. 췌담도 - Topic 24. 담석질환 - Subtopic 24.1. 담석증편 문제입니다. 01. 건강검진에서 우연히 지름 3.5 cm 담석이 발견되었다. 환자의 증상은 없었다. 다음 조치로 적절한 것은? ① 경과 관찰 ② 개복 담낭절제술 ③ 복강경 담낭절제술 ④ 충격파 쇄석술 ⑤ 경구담석용해제제 정답 공개합니다. 정답 : ③ 복강경 담낭절제술 이 환자의 경우 건강검진에서 우연히 지름 3.5 cm 담석이 발견되었다. 담석이 있는 환자에서 예방적 담낭절제술을 권장할 경우는 다음 세 가지 요인들을 평가한 후에 이루어져야 한다. 1) 환자의 일상 생활을 방해할 정도로 심한 증상이 자주 발생하는 경우 2) 이전에 급성 담낭염이나 췌장염, 담석누공(gallstone fistula) 등의 담석 질환에 의한 합병증이 있었던 경우 3) 환자에게 담석증으로 인한 합병증을 유발할 만한 소인이 존재하는 경우(예.

명강사 김지형 선생님을 소개합니다 #5 - 2016년 강의이력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이제 더 이상 명강사 김지형 선생님을 소개합니다 시리즈 에 대해 설명 안드려도 다들 아시죠?^^ 혹시 이전 포스트를 보지 못하신 분들을 위해 링크 정리 먼저 해드릴게요!! 명강사 김지형 선생님을 소개합니다 #1 명강사 김지형 선생님을 소개합니다 #2 - 2013년 강의이력 명강사 김지형 선생님을 소개합니다 #3 - 2014년 강의이력 명강사 김지형 선생님을 소개합니다 #4 - 2015년 강의이력 그럼 이제 바른의학연구소 자문위원이신 김지형선생님께서 2016년에는 어떤 강의들을 하셨는지 확인해보겠습니다!! 2016년 김지형 선생님 강의 이력 2016년도에도 김지형 선생님께서는 다양한 주제로 많은 강의를 하셨습니다^^ 대한의학학술지편집인협의회, 한나래출판사,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서울의대 대학원 등에서 주최한 많은 자리에서 여러 강의들을 하셨답니다. 아래 표에 있는 김지형 선생님의 2016년도 강의이력을 직접 확인해보세요! 날짜 주최 장소 제목 2016.

명강사 김지형 선생님을 소개합니다 #4 - 2015년 강의이력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이제 다들 명강사 김지형 선생님을 소개합니다 시리즈 를 알고 계신가요?^^ 정형외과 의사이시면서 저자로서, 더 나아가 강사로도 활발하게 활동하고 계신 바른의학연구소 자문위원 김지형 선생님에 대해 소개해드리는 시리즈 형식 포스트랍니다!! 이전 포스트를 확인하시려면 아래 링크를 클릭해주세요!! 명강사 김지형 선생님을 소개합니다 #1 명강사 김지형 선생님을 소개합니다 #2 - 2013년 강의이력 명강사 김지형 선생님을 소개합니다 #3 - 2014년 강의이력 그럼 김지형선생님의 2015년 강의 이력을 한번 살펴 볼까요?^^ 2015년 김지형 선생님 강의 이력 2015년도에도 파워포인트, 엑셀, 통계, 프레젠테이션, 논문 고나련 강의, 슬관절 강의 등 다양한 주제로 많은 강의를 하셨네요! 자세한 강의 이력은 아래 표를 확인해주세요!! 날짜 주최 장소 제목 2015.02.14 MS 본관 11층 회의실 파워포인트, 엑셀, 통계 2015.03.11 일산 동국대병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 2판(근거편)] 책 구성 및 특징 소개(with 발열편 콘텐츠 전체 링크정리)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스마트 소아진료매뉴얼 2판"과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 : 실전편(Case based approach)"에 있는 발열편 콘텐츠 전체 포스팅한 것에 이어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 2판(근거편)"도 발열편 콘텐츠 전체를 포스팅했답니다! 짝!짝! 짝! 이제 드디어 "근거편", "실전편", "소아진료매뉴얼" 3 책이 어떤 점이 다르고, 서로 상호연관되는지 눈으로 직접 확인하실 수 있답니다!! (추후 각 도서 소개글 및 발열편 전체 콘텐츠를 한 번에 확인하실 수 있도록 링크를 총 정리하여 포스팅 해드릴게요!!) 그럼, 이번에도 "근거편"에 있는 발열편 전체 콘텐츠 링크를 한번 정리하고, 발열편을 예로 들어, "근거편"의 전체적인 구성 및 특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 2판(근거편) - Evidence based approach " - 발열편 콘텐츠 전체 링크 1.발열(fever) - 1-1. 급성발열의 접근 - "개정포인

[소아] 농가진(impetigo) II. 진단(피부병변,진단적 검사) + III. 치료 [내부링크]

스마트 소아진료매뉴얼 2판 SECTION 02. 흔한 증상 및 질환의 접근 - Part 15. 피부 - Topic 05. 농가진(impetigo) II.농가진(impetigo) : 진단 1. 피부병변 호발 부위:대개 신체의 노출부에 발생하기 때문에, 얼굴과 사지에 가장 흔하다. 피부병변 양상: 국소적으로 발생하고 흔히 다발성이며, 수포가 동반될 수 있다1). 수포를 형성하는 경우 수포를 형성하지 않는 경우 표재성의 소수포가 급속히 커져 예리한 경계부를 지니며 주변부에 홍반을 동반하지 않고 투명하고 노란 액체로 찬 탄력없는 대수포(flaccid bullae)로 진행한다.1),6) 점점 색이 진해지고, 혼탁해지며, 때로 농(pus)이 되기도 한다1). 대수포가 터지면 얇은 갈색 가피를 형성한다1). 구진으로 시작하여 홍반으로 둘러싸인 수포, 농포로 변하면서 점점 커지고 농포가 터지면서 4-6일 후에는 두꺼운 가피를 형성한다. 수포성 농가진 비수포성 농가진 ( 4개 이미지는 스마트 소아진

[의학총론] 응급진료/손상/외상 - 흉부손상 문제1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Master KMLE 1권. 의학총론/외과총론 - 의학총론 - 응급진료/손상/외상 - 흉부손상편 문제입니다. 01. 41세 남성이 교통사고로 인한 다발성 외상으로 응급실에 실려 왔다. 환자는 호흡곤란 및 흉벽의 모순 호흡 운동을 보였고, 흉부 X선 촬영에서 양쪽의 다발성 갈비뼈 골절(multiple rib fracture), 왼쪽 공기 가슴증(pneumothorax)이 확인되었다. 다음 중 적절한 치료가 아닌 것은? ① 기도 확보 ② 통증 조절 ③ 기관삽관 후 인공호흡기 치료 ④ 폐쇄 가슴관 삽입술 ⑤ 응급 개흉술 정답 공개합니다. 정답 : ⑤ 응급 개흉술 다발성 외상으로 실려온 환자인데 특히 흉부외상이 주로 발생한 것으로 생각된다. 다발성 갈비뼈 골절, 왼쪽 공기 가슴증이 가슴 X선에서 확인되었다. 갈비뼈 골절에 의해 왼쪽 공기가슴증이 발생했을 가능성도 있고 아니면 교통사고로 인한 둔상 자체에 의해 발생했을 수도 있다. 외상성 공기가슴증이 발생하였

명강사 김지형 선생님을 소개합니다 #3 - 2014년 강의이력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시리즈 형식으로 강사로서의 김지형 선생님에 대해 소개를 해드리고 있습니다. 이전 포스트를 못 보신 분들은 아래 링크를 확인해주세요!! 명강사 김지형 선생님을 소개합니다 #1 명강사 김지형 선생님을 소개합니다 #2 - 2013년 강의이력 본격적으로 강의를 시작하신 2013년에만 해도 정말 많은 강의를 하셨는데요. 2014년도에는 어떤 강의들을 해오셨는지 확인해 볼까요? 2014년 김지형 선생님 강의 이력 프레젠테이션, 통계, 파워포인트, 논문 관련 강의, IT 강의 등 다양한 주제로 많은 강의를 하셨답니다^^ 자세한 강의 이력은 아래 표를 참고해주세요!! 날짜 주최 장소 제목 2014.01.18 스마트 공보의 강의 연건동 서울대병원 지하C 강당 교수님을 압도하는 프레젠테이션 2014.01.20 임상연구를 위한 IRB 워크숍 광주기독병원 제중홀 연구 디자인 중심 의학 통계 2014.03.29 견주관절 학회 세종대 컨벤션 센터 통계강의 2014.03.2

명강사 김지형 선생님을 소개합니다 #2 - 2013년 강의이력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명강사 김지형 선생님을 소개합니다 #1 에서 강사로서의 김지형 선생님에 대해 대략적으로 소개해드렸는데요. 저번 포스트에서 말씀드렸듯이, 이번 포스트부터는 본격적으로 강의를 시작하신 2013년부터 지금까지 어떤 강의들을 해오셨는지 확인하실 수 있게 지금까지의 강의 이력을 안내해드리겠습니다^^ 강의 이력이 상당히 많으셔서 연도별로 강의 이력을 따로 포스팅 한 후 링크를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그럼, 김지형 선생님께서 2013년도에 어떤 강의들을 해주셨는지 확인해볼까요? 2013년 김지형 선생님 강의 이력 본격적으로 강의를 하시게 된 2013년부터 김지형 선생님은 정말 많은 강의를 하셨는데요. 논문 그래프 그리기 강의, 생존분석, 노무그램 강의, 의학콘텐츠 스마트하게 수집하고 관리하기(zetero), 일차진료의를 위한 척추와 어깨 질환 강의 등 다양한 주제로 많은 강의를 하셨답니다!^^ 자세한 강의 이력은 아래 표를 참고해주세요!! 날짜 주최 장소 제목

[실전편] 골관절염(Osteoarthritis, OA) - Practical guide(진단/평가, 치료) + 실전 처방 예시 [내부링크]

SMART 일차진료매뉴얼 : 실전편(Case based approach) Vol. 2 Part 11. 근골격·류마티스 - Topic 03. 골관절염(Osteoarthritis, OA) Practical guide : 진단 핵심 포인트 류마티스 관절염 등의 타 관절염과의 감별이 중요하다. 특히 류마티스 관절염과의 감별이 중요하다(류마티스 관절염에서도 언급되어 있다). Practical guide : 치료 핵심 포인트 1. 골관절염의 진행을 차단하는 확실한 방법은 아직까지 없다. 골관절염의 진행을 차단하는 확실한 방법은 아직까지 없으며, 비약물적 보존적 치료가 약물요법에 선행하여야 한다. 대부분의 약물요법의 목표는 증상호전에 있다. 약물의 종류는 증상의 정도 및 기간, 동반 질환 및 복용 중인 다른 약제와의 상호작용 등을 고려하여 개별적으로 신중히 선택하여야 한다. 핵심 포인트 2. 진통을 위해서는 아세트아미노펜이 1차 약제이다. 국제골관절염학회(Osteoarthritis Researc

[소아과 각론] 종양 - 소아종양 각론 문제1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Master KMLE 13권. 소아과 각론 - Topic 16. 종양 - Subtopic 16-2. 소아종양 각론편 문제입니다. 01. 3세 여아가 배에서 덩이가 만져져 병원에 왔다. 2주간 미열이 있으면서, 설사가 지속되었다고 하였다. 진단은? P/E 체온 37.8 C; 창백해 보임; 오른쪽 배에서 덩이가 만져짐 혈액 혈색소 8.5 g/dL, 백혈구 4,500/ mm3, 혈소판 88,000/ mm3, C-반응단백질 10 mg/L (참고치, <10) 아스파르테이트아미노전달효소 36 U/L, 알라닌아미노전달효소 47 U/L 알파태아단백질 3 ng/mL (참고치, ≤8.5) 소변 포도당 (-), 단백질 (-), 잠혈 (-), 적혈구 <5 /고배율시야, 백혈구 <5 /고배율시야 바닐릴만델산 850 mg/g, 크레아티닌(참고치, <11) ① 간모세포종 ② 빌름스종양 ③ 횡문근육종 ④ 배아세포암종 ⑤ 신경모세포종 정답 공개합니다. 정답 : ⑤ 신경모세포종 K

명강사 김지형 선생님을 소개합니다 #1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저희 대표님(저자 이상봉)의 인생 멘토이자 바른의학연구소 자문위원인 김지형 선생님에 대한 소개 글 다들 보셨나요??^^ 못 보신 분들은 아래 링크를 확인해주세요!! [저자 소개] 김지형 선생님 저번 포스트에서는 저자로서의 김지형 선생님에 대해 소개해드렸는데요. 저자 소개 포스트에서 짦게 언급은 드렸지만, 김지형 선생님은 저자로서의 활동도 대단하시지만, 많은 강의를 해오신 유명 강사이시기도 하답니다^^ 그래서, 이번에는 명강사로서의 김지형 선생님에 대해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 정형외과, IT, 통계 등 폭넓은 스펙트럼을 갖고 계신 김지형 선생님은 습득한 지식과 정보를 공유하기 위해 많은 책을 집필하신 것뿐만 아니라, 많은 다양한 강의도 해오고 계십니다. 2012년부터 강의를 시작하셨는데, 바쁘신 와중에도 지금까지 100회 이상의 강의를 하셨습니다. 선생님의 탁월한 강의력이야 수많은 강의 이력들을 보시면 대략 느낌이 오시죠?^^ 그럼 선생님께서 어떤

마스터 KMLE 셀프모의고사 응시하기!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마스터 KMLE에서 셀프모의고사를 응시하는 법을 안내해 드리려고 합니다. 아래 동영상을 참고해보시면 쉽게 응시하실 수 있습니다. 셀프모의고사 풀고 꼭 틀린 부분 해설을 봐야 학습에 도움 되는건 모두 알고계시죠?! https://youtu.be/3o8DoGZkvbw https://www.masterkmle.com KMLE 미리보기 10문제가 제공됩니다. 구독권을 등록하시면 더 많은 문제를 풀어보실 수 있습니다 TimeID ObjectID 카테고리 문제 난이도 문제 풀기 KMLE에서는 매월 정기 모의고사 를 진행합니다 정기 모의고사 응시하기 셀프 모의고사 치르기?!! 셀프 모의고사란? 원하는 시간에 과목, 문항수 등을 내 맘대로 선택하는 시험! 나의 실력을 스스로 점검해보실 수 있습니다 자세히 알아보기 공지사항 & 이벤트 [ 공지 ] 셀프 모의고사란 무엇인가?! 2018-10-26 [ 공지 ] Master KMLE 사이트가 리뉴얼되었습니다. 20

[근거편] II. 성인예방접종 : 폐렴사슬알균(예방접종 권장대상, 접종 용량 및 방법, 금기 및 주의사항, 국내 유통 백신) [내부링크]

SMART 일차진료매뉴얼 2판(근거편) Vol.1 Part 02. 질병예방·건강증진·건강검진 - Topic 06. 성인 예방접종 II. 성인 예방접종 : 폐렴사슬알균 질병관리본부에서 2012년 내놓은 “2012년 성인예방접종 가이드”를 참고하길 바란다. http://www.cdc.go.kr/CDC/together/CdcKrTogether0302.jsp?menuIds=HOME001-%20MNU1154-MNU0004-MNU0088&fid=51&q%20_type=&q%20_value=&cid=19605&page-%20Num=1 검색경로 : 질병관리본부(‹http://www.cdc.go.kr›) → 알림 자료 → 자료 → 지침 1. 예방접종 권장대상 구분 대상 일반권장 모든 성인 우선 권장 연령별 65세 이상 성인 13가 단백결합 백신(PCV13) 또는 23가 다당류 백신(PPSV23) 질환별 만성심혈관질환자(만성 심부전, 심근병증 포함. 고혈압은 제외) 만성폐질환자(만성 폐쇄성 폐질환,

[알레르기] 아나필락시스 문제 1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Master KMLE 7권. 혈액/류마티스/알레르기 - 알레르기 - 아나필락시스편 문제입니다. 01. 24세 남성이 달리기를 하다가 어지러움과 가슴이 답답한 증상이 있어 응급실에 왔다. 과거에도 운동 중에 이런 증상이 수차례 있었다고 한다. 혈압은 70/40 mmHg, 맥박은 120회/분, 의식은 명료했으나 온몸에 두드러기가 있고 눈 주위가 부어 있었다. 가슴 전체에서 쌕쌕거리는 소리가 들렸다. 진단은? ① 콜린 두드러기 ② 운동유발 천식 ③ 운동유발 두드러기 ④ 운동유발 심실빈맥 ⑤ 운동유발 아나필락시스 정답 공개합니다. 정답 : ⑤ 운동유발 아나필락시스 KEY CLUE 24세 남성, V/S unstable(혈압저하, 빈맥), 전신 두드러기, 눈 주위 부종, 천명음 운동유발 아나필락시스(exercise-induced anaphylaxis) ⑴ 개념:신체 운동으로 유발되는 아나필락시스. subtype으로 음식이 함께 관련될 수 있다. ⑵ 역학:대부분

소아 : 외이도염(otitis externa) - II. 진단 : 임상양상, 병력/신체검사, 신체검사(이경검사), 감별진단 [내부링크]

SMART 소아진료매뉴얼 2판 Section 02. 흔한 증상 및 질환의 접근 - Part 13. 눈·귀·코·입 - 외이도염(otitis externa) II. 진단 급성 외이도염은 외이도 염증(canal inflammation)에 따른 특징적인 증상(이통, 이루, 발열 등)와 함께 이경 검사에 기초하여 임상적으로 진단된다.1) 1. 임상양상 대표적인 증상:이통, 이루 이통 ① 단순 가려움~마약성 진통제가 필요할 정도의 통증 ② 귀바퀴를 움직이거나 음식물을 씹을 때 악화 염증에 의해 종창이 심해질 경우 외이도 폐쇄 가능 → 귀막힘 증상, 청력감소 이루 급성 세균성 외이도염에 의한 이루:끈적거림이 있는 소량의 백색 점액성 이루 만성 외이도염에 의한 이루:혈성이루, 육아조직 진균성 이루:특징적인 백색 또는 검거나 녹색의 솜털과 같은 이루 2. 병력/신체검사 신체검사2): 외이도의 부종, 협착, 홍반, 이루, 가피 등 유발요인 평가: 외이도의 물에 대한 노출력, 외상, 귀지 제거, 피부

마스터 KMLE 저자에게 직접 질문하기!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마스터 KMLE 책을 통해 공부를 하는 분들께 훌륭한 도구인 온라인 마스터 KMLE 사용법을 쉽게 설명해 드리기 위해 고민을 하다가 유튜브를 통해 알려드리는게 좋을 것 같아서 채널도 개설하고 저자분께 직접 질문하는 방법을 올렸습니다. 마스터 KMLE 문제에 궁금한 점이 생기신다면 아래의 동영상을 참고해서 질문 해주시면 저자분께서 직접 답변을 달아주십니다! https://www.masterkmle.com KMLE 미리보기 10문제가 제공됩니다. 구독권을 등록하시면 더 많은 문제를 풀어보실 수 있습니다 TimeID ObjectID 카테고리 문제 난이도 문제 풀기 KMLE에서는 매월 정기 모의고사 를 진행합니다 정기 모의고사 응시하기 셀프 모의고사 치르기?!! 셀프 모의고사란? 원하는 시간에 과목, 문항수 등을 내 맘대로 선택하는 시험! 나의 실력을 스스로 점검해보실 수 있습니다 자세히 알아보기 공지사항 & 이벤트 [ 공지 ] 셀프 모의고사란 무엇인가?!

[감염] 가을철 열성질환 문제1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감염 - 가을성 열성질환편 문제입니다. 01. 26세 여자가 3일 전 시작된 발열, 두통, 눈통증으로 내원하였다. 1개월 전부터 연구소에서 동물실험을 하고 있었다. 내원 시 혈압 130/85 mmHg, 심박수 110회/분, 호흡수 24회/분, 체온 39.1 C이었다. 신체검진상 결막충혈과 양쪽 갈비척추각 압통이 있었다. 입원 다음날 혈압이 85/45 mmHg로 떨어졌고 소변이 거의 나오지 않았다. 다음은 혈액검사 및 소변검사 결과이다. 진단은? 혈액검사:백혈구 22,000/mm³, 혈소판 50,000/mm³, 혈액요소질소 80 mg/dL, 크레아티닌 4.6 mg/dL 소변검사:비중 1.010, 단백질(3+) 적혈구(3+) 백혈구(-) 아질산염(-) ① 장티푸스 ② 렙토스피라 ③ 쯔쯔가무시 ④ 출혈열 신증후군 ⑤ 24시간 보행식도 산도검사Q fever 정답 공개합니다. 정답 : ② 렙토스피라 KEY CLUE 동물실험 쥐 접촉력 결막충혈, 혈소판 감소증

[내분비] 갑상샘 질환 - 갑상샘 기능저하증 문제1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내분비 - 갑상샘 질환 - 갑상샘 기능저하증편 문제입니다. 01. 45세 남자가 1달 전부터 힘이 없어지고 몸이 붓는다며 병원에 왔다. 5년 전 그레이브스병으로 진단받고 메티마졸 10 mg 1일 2회로 동일 용량을 현재까지 꾸준히 복용하였다고 하였다. 갑상샘은 대칭적으로 비대하고 압통은 없었으며 최근에 커졌다고 한다. 혈압 110/70 mmHg , 맥박 64 회/분, 호흡 14 회/분, 체온 36.6C 였다. 혈액검사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진단은? T3 54 ng/dL (참고치, 77~135), 유리 T4 0.5 ng/dL (참고치, 0.8~1.7), 갑상샘자극호르몬 24 mIU/L (참고치, 0.34~4.25) 갑상샘과산화효소항체 45 IU/L (참고치, < 35), 갑상샘자극호르몬수용체항체 1.7 mIU/mL (참고치, ≤ 1.75) ① 울혈심부전 ② 갑상샘기능저하증 ③ 갑상샘기능항진증 ④ 독성다결절갑상샘종 ⑤ 갑상샘자극호르몬분비종양 정답 공개

[실전편] 하부요로증상(Lower urinary tract symptoms) / 배뇨장애 (Micturition disorder) - Case based approach 1.배뇨증상이 우세한 경우 [내부링크]

SMART 일차진료매뉴얼 : 실전편(Case based approach) Vol.2 Part 08. 신장·요로·비뇨생식 - TOPIC 09. 하부요로증상/배뇨장애 (Lower urinary tract symptoms/Micturition disorder) Case Based Approach 1 : 배뇨증상이 우세한 경우 증례(초진) 65세 남자. 수년 전부터 weak urine stream, nocturia, voiding difficulty 있던 분으로 최근 수개월 내 증상 악화되어 내원함 전혀없음 5번 중 1번 5번 중 1-2번 5번 중 2-3번 5번 중 3-4번 거의 항상 1. 평소 소변을 볼 때 다 보았는데도 소변이 남아있는 것 같이 느끼는 경우가 있습니까? 0 1 2 3 4 5 2. 평소 소변을 본 후 2시간 이내에 다시소변을 보는 경우가 있습니까? 0 1 2 3 4 5 3. 평소 소변을 볼 때 소변줄기가 끊어져서 다시 힘주어 소변을 보는 경우가 있습니까? 0 1 2 3 4

[호흡기] 주요 호흡기 질환 - 결핵 문제1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호흡기 - 주요 호흡기 질환 - 결핵편 문제입니다. 01. 결핵의 치료 시 항결핵제 투여와 함께 스테로이드를 반드시 투여해야 하는 경우는? ① 골관절 결핵 ② 기관지 결핵 ③ 흉막결핵 ④ 속립성 결핵 ⑤ 뇌수막 결핵 정답 공개합니다. 정답 : ⑤ 뇌수막 결핵 스테로이드 보조요법은 결핵성 수막염에서 권고되고 있다. 기관지 결핵의 경우 일률적인 스테로이드 투여는 권고되지는 않지만 기관지 협착 발생가능성이 높은 경우 예방적인 투여를 고려할 수 있다. 결핵성 심낭염의 경우 이전에는 통상적으로 사용을 추천하였으나, 최근 연구에서 사망, 심장 압전, 협착성 심낭염의 유의한 차이를 증명하지 못해 통상적인 스테로이드 보조 사용은 추천되지 않는 것으로 권고안이 변경되었다. 다만, 다량의 심낭액이 있는 경우이거나 협착성 심낭염의 조기 징후가 있는 경우와 같은 염증성 합병증의 위험이 높은 경우 선택적으로 스테로이드 사용을 고려할 수 있다. 2014년 가이드라인 → 20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 2판(근거편)] 6.발열(fever) - 1-2. 불명열(FUO) - II. 불명열: 진단적 접근 [내부링크]

SMART 일차진료매뉴얼 2판(근거편) Vol 1 Part 03. 전신·감염 알레르기 - Chapter 02. 증상·징후·질환별 접근 Topic 01. 발열 - Subtopic 1-2. 불명열 II. 불명열 : 진단적 접근 1. FUO 진단의 금과옥조1) FUO 진단에 있어 중요한 점은 다음과 같다. 1. Alkaline phosphatase : 가장 중요한 단일 검사실 검사로 상승된 경우 temporal arteritis, hypernephroma, thyroiditis, tuberculosis 를 의심할 수 있다. 2. Thrombocytosis ≻600,000/mm3 → 암 혹은 골수질환 시사, 덜 흔하지만 결핵이나 감염(yeasts or fungi)도 고려 3. 말초혈액내 Nucleated red cells존재+hemolysis(-) → 골수침범 시사 4. 체내 어디에든(pericardium, chest, abdomen, brain) 자유혈액이 존재하는 경우 FUO 유발가능하

[심혈관] 주요 심혈관계 질환: 혈관질환(관상동맥/말초혈관) - 정맥 질환 문제1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심혈관 - 주요 심혈관계 질환: 혈관질환(관상동맥/말초혈관) - 정맥 질환편 문제입니다. 01. 64세 여자가 다리가 무겁고 피부에 지렁이같은 덩이가 생겨서 왔다. 원인은? ① 림프관폐쇄 ② 동정맥샛길 ③ 혈전정맥염증 ④ 깊은정맥혈전 ⑤ 큰두렁정맥밸브이상 정답 공개합니다. 정답 : ⑤ 큰두렁정맥밸브이상 다리에 정맥류가 관찰되고 있다. 정맥류의 주된 증상으로는 무게감, 불편함, 피로감, 가려움증 등이 있다. 통증은 둔한게 특징이며 누웠을 때나 이른 아침에는 나타나지 않고 주로 오후나 오래 서있을 때에 발생한다. 정맥부전증 혹은 정맥류는 원인이 정맥 판막의 부전으로 주로 관여되는 정맥은 주 복재정맥(큰두렁정맥)이다. 정맥 판막부전증은 임상적으로 피부 정맥이 돌출되어 구불구불한 모양을 띄며, 발목이 붓고 오래 서있을 시 발에 통증이 생긴다. 고로 오전보다 오후에 통증이 더 심한 경우가 흔하다. 진단은 초음파를 통한 진단이 일차적이며, 자주 쓰이진 않지만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 알아보기] "근거편"과 "실전편"으로 구성된 이유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스마트일차진료매뉴얼 2판(근거편)] 개정 History 포스트에서 잠깐 언급드렸던 기존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 2판" 도서명을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 근거편(Evidence based approach)"으로 변경하는 이유와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 실전편(Case based approach)"이 출간된 이유에 대해 자세하게 소개해드리는 시간을 갖고자 합니다. "근거편"으로 도서명을 변경하게 된 이유와 "실전편"이 나오게 된 이유에 대해 설명드리려면 우선, 대표님(저자 이상봉)께서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을 처음 집필할 당시부터 이상적으로 삼고 있는 집필 콘셉트부터 말씀드려야할 것 같습니다. “Evidence based approach + Practical approach” “Evidence based approach"와 "Practical approach”는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의 가장 중요한 두 가지 축이랍니다. 철저히 근

소아 : 철결핍빈혈(iron deficiency anemia) - III. 치료 및 예방 : 1.경구철분제 2.주사철분제 3.철결핍 예방 위한 식사상담 [내부링크]

SMART 소아진료매뉴얼 2판 Section 02. 흔한 증상 및 질환의 접근 - Part 11. 혈액종양 - Topic 02. 철결핍빈혈(iron deficiency anemia) III. 치료 및 예방 소아청소년기 철결핍 빈혈의 치료로는 철 부족의 원인을 확인하여 식습관 지도와 함께 원인 질환이 있는 경우 그 질환을 치료하면서 철제요법을 시행해야 한다1). 1. 경구철분제(oral iron therapy) 경구철분제는 대개 철결핍빈혈의 일차치료제2) 1) 치료목표3)4) ① 빈혈의 회복 ② 충분한 저장철 제공 2) 종류 및 제형 현재 국내에서 시판중인 경구 철분제 : ferrous sulfate, polysaccharide iron complex, iron protein succinylate, ferric hydroxide polymaltose, carbonyl iron 철분염의 종류에 따른 구분3) 제형에 따른 구분3) 철분제제는 3가지 철분염(iron salts) 중 1가지로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 2판(근거편)] 5.발열(fever) - 1-2. 불명열(FUO) - I. 불명열 : 정의/원인 및 감별진단 [내부링크]

SMART 일차진료매뉴얼 2판(근거편) Vol 1 Part 03. 전신·감염 알레르기 - Chapter 02. 증상·징후·질환별 접근 Topic 01. 발열 - Subtopic 1-2. 불명열 I. 불명열 : 정의/원인 및 감별진단 1. 정의/분류 1) FUO정의에 대한 역사 FUO 정의에 대한 변천사는 다음과 같다.1) (1) Kiefer/Leard(1955) FUO은 ‘‘prolonged and perplexing fevers’’라는 용어로 처음 기술하였다. (2) Petersdorf/Beeson(1961)2) FUO를 처음으로 시간에 근거한 진단기준(time based diagnostic criteria)에 의거해 FUO를 정의하였다. “classic FUO” 적어도 3주 이상~ 불명열 (fever of unknown origin, FUO)이란? 38.3 이상의 발열이 3주 이상 지속되고 1주 이상 입원하여 시행한 검사에서 원인 질환을 밝힐 수 없는 경우 (3) Durack과

바른의학연구소에서 출판해야 하는 이유 7 : 저자 중심 프로세스 [내부링크]

바른의학연구소는 저자 중심 프로세스를 확립하여 적용하고 있습니다. 저자 중심 프로세스는 콘텐츠의 중심인 저자를 위해 서포트를 하는 방식으로 책을 출간하는것입니다. 출판 단계에서 저자분의 의견을 수용하고, 시시각각 변하는 선택과 결정에 따라 출판사업부는 같이 움직입니다. 첫번째, 저자분께서 사용하시는 어떤 운영체제 or 집필도구 or 특정문서형식 상관없이 출간가능합니다. 윈도우 맥/리눅스 웹 기타문서형식 - MS 오피스 - 한글 - 오픈오피스 - 원노트 - 에버노트 - MS 오피스 - Apple(Paper, Keynote, ...) - 오픈오피스 - 원노트 - 에버노트 - MS 오피스 365 - 원노트 - 에버노트웹 - 구글문서 - LaTeX - XML - HTML - MarkDown - PDF 두번째, 출판하는 프로세스에서 저자분께서는 콘텐츠에만 집중할 수 있도록 불필요하고, 반복적이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업무는 출판사업부에서 책임집니다. 바른의학연구소의 저자 중심 프로세스 1.

[호흡기] 주요 호흡기 질환 - 기관지확장증 문제 1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호흡기 - 주요 호흡기 질환 - 기관지확장증편 문제입니다. 01. 47세 여성이 3년 전부터 기침, 누런 가래, 반복적인 객혈이 있어 내원하였다. 어릴 적 백일해를 앓은 경험이 있으며, 왼쪽 가슴 하부에서 날숨 시 삑삑거림이 들렸다. 확진을 위한 검사는? ① 기관지 내시경 ② 폐동맥 조영술 ③ 폐기능 검사 ④ 가래바른 표본검사 ⑤ 가슴 고해상전산화 단층촬영 정답 공개합니다. 정답 : ⑤ 가슴 고해상전산화 단층촬영 과거 백일해 병력이 가장 중요한 단서이다. 예방접종으로 인해 백일해의 발병률은 많이 줄었으나 백일해병력은 기관지확장증의 주요 원인이다. 만성적인 기침과 짙은 가래, 객혈, 호기 시 천명음도 기관지확장증에 나타나는 증상이다. 기관지확장증의 진단을 위한 가장 중요한 검사는 HRCT이다. ‘tram tracks’:기관지벽이 기찻길처럼 평행하게 보인다. ‘ signet-ring sign’:기관지의 단면을 보았을 때 주변 혈관보다 약 1.5배 이상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 2판(근거편)] 4.발열(fever) - 1-2. 불명열 - Core review (불명열 분류, 주요 원인, 병력/신체검사, 초기 선별검사) [내부링크]

SMART 일차진료매뉴얼 2판(근거편) Vol 1 Part 03. 전신·감염 알레르기 - Chapter 02. 증상·징후·질환별 접근 Topic 01. 발열 - Subtopic 1-2. 불명열 <개정포인트> ‘개요’와 ‘원인 및 감별진단’을 한 항목으로 합친 것 외에는 특별한 개정내용 없음 <Key Reference> Tolia J, Smith LG. Fever of unknown origin : historical and physical clues to making the diagnosis. Infect Dis Clin North Am 2007;21(4) : 917–936, viii. Core review 개요 불명열 분류 불명열의 분류 정의 흔한 원인들 고전적 불명열 체온 38.3도 이상; 3주 이상; 최소 3회 외래 또는 3일 입원 감염, 악성종양, 전신 염증성질환(자가면역질환 포함) 병원성 불명열 급성기 치료 위해 입원, 입원 당시 감염 증거 없음; 38.3도 이상의 열이 여

[실전편] 이상지질혈증(Dyslipidemia) - Practical guide : 치료 [내부링크]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 실전편(Case based approach) - Vol. 1 Part 06. 내분비 - Topic 03. 이상지질혈증(Dyslipidemia) Practical guide : 치료 핵심포인트 1. 위험도에 따라 치료방침을 정한다. 이상지질혈증에서는 심혈관계 위험도에 따라 치료기준을 달리 설정하고 있다. 위험도 LDL 콜레스테롤 농도 (mg/dL) <70 70–99 100–129 130–159 160–189 ≥190 초고위험군① 관상동맥질환 죽상경화성 허혈 뇌졸중 및 일과성 뇌허혈발작 말초동맥질환 생활습관 교정 및 투약고려 생활습관 교정 및 투약시작 생활습관 교정 및 투약시작 생활습관 교정 및 투약시작 생활습관 교정 및 투약시작 생활습관 교정 및 투약시작 고위험군 경동맥질환② 복부동맥류 당뇨병③ 생활습관 교정 생활습관 교정 및 투약고려 생활습관 교정 및 투약시작 생활습관 교정 및 투약시작 생활습관 교정 및 투약시작 생활습관 교정 및 투약시작 중등도 위험군④ 주

[일차진료매뉴얼(실전편)] 책 구성 및 특징 소개(with 발열편 콘텐츠 전체 링크정리)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소아진료매뉴얼 2판 - 발열편 콘텐츠를 포스팅한 후 이번에는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 : 실전편(Case based approach)"에 있는 발열편 콘텐츠 전체를 포스팅 했는데 다들 확인 하셨나요? 이렇게 소아진료매뉴얼에 이어 또 다시 "발열"편 콘텐츠를 계속 포스팅하는 이유가 궁금하신가요?^^ "일차진료매뉴얼(근거편)", "일차진료매뉴얼(실전편)", "소아진료매뉴얼"이 내용이 어떻게 다르고, 서로 상호 보완되는지를 말로만 설명드리는 것보다, 직접 눈으로 확인하시는 게 좋을 것 같아 이렇게 준비하였답니다! (추후 "일차진료매뉴얼(근거편)" 발열편도 포스팅해드릴게요!) 그럼 오늘도 "실전편"에 있는 발열편 콘텐츠를 모두 포스팅한 기념으로 발열편 전체 링크를 한번 정리해드리고 책의 구성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 : 실전편(Case based approach)" - 발열편 콘텐츠 전체 링크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실전편)] 1.

[류마티스] 전신홍반루푸스 문제1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혈액/류마티스/알레르기 - 전신홍반루푸스편 문제입니다. 01. 25세 여성이 얼굴에 나비모양의 홍반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3개월 전부터 다발 관절통이 있고 머리카락이 많이 빠진다고 하였다. 검사 소견은 다음과 같다. 진단에 가장 유용한 선별검사(screening test)는 무엇인가? 혈액: 혈색소 9.2g/dL, 적혈구 용적률 28%, 백혈구 2,300/ mm3, 혈소판 89,000/ mm3 소변: 단백뇨2+ ① 항호중구세포질 항체(anti-neutrophil cytoplasmic Ab) ② 항dsDNA 항체(anti-dsDNA Ab) ③ 항핵 항체(anti-nuclear Ab) ④ 항Sm 항체(anti-Sm Ab) ⑤ 항Ro 항체(anti-Ro Ab) 정답 공개합니다. 정답 : ③ 항핵 항체(anti-nuclear Ab) KEY CLUE 25세 젊은 여성, 나비모양 발진, 다발 관절통, 탈모 빈혈(소구성), 백혈구 감소증, 혈소판 감소증, 단백뇨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 2판(근거편)] 3.발열(fever) - 1-1. 급성발열의 접근 - II. 발열 : 진단적 접근-병력청취/신체검사/진단적 검사/치료(해열제 투여) [내부링크]

SMART 일차진료매뉴얼 2판(근거편) Vol 1 Part 03. 전신·감염·알레르기 - Chapter 02. 증상·징후·질환별 접근 Topic 01. 발열 - Subtopic 1-1. 급성발열의 접근 II. 발열 : 진단적 접근 : 열나는 환자, 어떻게 접근할까? 급성 발열 환자에서 감염성 원인과 비감염성 원인을 조기에 감별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1. 진단적 접근 원칙 : 급성 발열 1. 병력청취 및 신체검사에 앞서 환자의 전신상태(general appearance)를 한 눈에 파악할 것 경험이 많은 임상의사의 주관적인 느낌(physician’s subjective sense) : ‘septic’ 또는 ‘toxic’해 보인다. → 중요한 단서 2. 국소감염(localized infection) 및 감염성 응급질환(infectious disease emergency)의 유무 파악 : 초기 병력청취 및 신체검사는 국소감염 또는 감염성 응급질환의 유무에 초점을 맞출 것 국소감염(폐렴,

[의학총론] Vital을 잘 다루자! - 수액요법 문제1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의학총론 - Vital을 잘 다루자! - 수액요법편 문제입니다. 01. 75세 남자가 온쓸개관암으로 이자샘창자절제술을 받았다. 수술 후 12일째까지 코위관으로 하루에 900 mL 이상의 위액이 배액되었다. 입안점막이 건조하였고 피부긴장도가 감소되어 있었다. 혈압 100/60 mmHg, 맥박 95회/분, 호흡 17회/분, 체온 36.8였다. 혈액검사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필요한 수액은? 혈액: 혈색소 12.8 g/dL, 백혈구 8,550/mm3, 혈소판 144,000/+/K+/Cl- 132/2.4/88 meq/L 동맥혈: pH 7.56, PaO2 85 mmHg, PaCO2 50 mmHg HCO3- 36 meq/L 소변: Na+/K+/Cl- 2/5/6 meq/L ① 덱스트란 ② 3% 식염수 ③ 농축적혈구 ④ 신선동결혈장 ⑤ 0.9% 식염수와 염화칼륨 정답 공개합니다. 정답 : ⑤ 0.9% 식염수와 염화칼륨 KEY CLUE 수술 후 상태(post-op

[소화기] 위장관 - 흡수장애 문제 1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소화기 - 위장관 - 흡수장애편 문제입니다. 01. 55세 남자가 6개월 전부터 기름진 변을 자주 본다고 병원에 왔다. 평소 소화가 잘 안되고 트림과 냄새가 고약한 방귀가 잦다고 하였다. 20년 전 부터 당뇨병을 앓았다. 키 175 cm, 몸무게 60 kg이었다. 혈액검사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진단은? 혈색소 11.5 g/dL, 평균적혈구용적 120 fl (참고치:79~93.3), 백혈구 5,800/ mm3 (호산구 3.0%) 혈소판 235,000/ mm3 알부민 3.9 g/dL, 시아노코발라민 100pg/mL(참고치:279~996), 엽산 37ng/dL(참고치:5.4~18.0) 혈청 면역글로불린 가벼운 사슬:불검출 ① 아밀로이드증(amyloidosis) ② 젖당못견딤증(lactose intolerance) ③ 호산구위창자염(eosinophilic gastroenteritis) ④ 단백질소실장병증(protein losing enteropathy)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 2판(근거편)] 2.발열(fever) - 1-1. 급성발열의 접근 - I. 발열: 개요(체온의 측정, 발열의 정의, 체온조절 및 발열의 기전, 고체온증, 원인 및 감별진단) [내부링크]

SMART 일차진료매뉴얼 2판(근거편) Vol 1 Part 03. 전신·감염 알레르기 - Chapter 02. 증상·징후·질환별 접근 Topic 01. 발열 - Subtopic 1-1. 급성발열의 접근 I. 발열 : 개요 1. 체온의 측정1)2) 심부체온(core temperature)과 표면체온(surface temperature)으로 구분 ① 심부체온 : 내부장기나 근육에서의 체온. 침습적인 방법에 의해서만 측정 가능. 임상에서 쉽게 이용할 수 없다. ② 표면체온 : 피부나 점막에서의 체온. 비교적 측정이 용이. 심부체온과 차이 존재 체온은 다양한 신체부위에서 여러 방법 및 기술로 측정 가능하다. 보통 신체의 일부분에 측정하지만 신체 부위마다 온도가 모두 다르기 때문에 진정한 의미의 중심 체온을 대표한다고 할 수 없다. 직장체온 (rectal temperature) 심부체온을 비교적 잘 반영하지만 측정 시의 불편함으로 인하여 제한적으로 사용된다. 직장 온도는 대개 다른 어떤 부위

[감염] 의료관련감염 문제1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신장요로/감염 - 의료관련감염편 문제입니다. 01. 60세 남자가 3일 전부터 열이 났다. 10일 전 왼쪽 반신마비로 입원하여 재활치료를 받고 있었다. 기침, 가래, 설사는 없었다. 중심정맥 카테터 제거와 함께 투여할 항생제는? V/S 혈압 90 /60mmHg, 맥박 110회/분, 호흡 22회/분, 체온 38.7 C 신체검사 가슴청진:정상 소견; 창자소리:정상 소견 오른쪽 빗장밑 중심정맥카테터 출구부위:발적, 누르면 고름이 나옴 가슴 X선 정상 혈액검사 혈색소 12.0g/dL, 백혈구 14,000/mm3, 혈소판 150,000/mm3 소견검사 단백질(1+), 적혈구(1+), 백혈구(-), 아질산염(-) 병원체 검사 고름 그람염색:그람양성알균 ① 나프실린(nafcillin) ② 세포탁심(cefotaxime) ③ 반코마이신(vancomycin) ④ 메트로니다졸(metronidazole) ⑤ 시프로플록사신(ciprofloxacin) 정답 공개합니다. 정답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 2판(근거편)] 1.발열(fever) - 1-1. 급성발열의 접근 - Core review(체온의 측정, 발열의 정의, 진단적 접근) [내부링크]

SMART 일차진료매뉴얼 2판(근거편) Vol 1 Part 03. 전신·감염 알레르기 - Chapter 02. 증상·징후·질환별 접근 Topic 01. 발열 - Subtopic 1-1. 급성발열의 접근 <개정포인트> 내용 추가 혹은 삭제 수정 보완(updated) 개요 1) 체온의 측정방법(보완); 2) 고체온증(보완) 진단적 접근 개요 : 1) 체온의 측정방법(보완); 2) 고체온증(보완) 진단적 접근 : (추가) 진단적 접근원칙, 병력, 신체검사, 진단적 검사, 치료 : 발열의 조절 <Key reference> 오원섭. 열나는 환자, 어떻게 접근할까? -급성 발열 외래환자를 중심으로-. 2015년 대한내과학회 추계학술대회 Core review 개요 체온의 측정 직장체온 (rectal temperature) 심부체온을 비교적 잘 반영하지만 측정 시의 불편함으로 인하여 제한적으로 사용된다. 구강체온 (oral temperature) 직장체온보다 평균 0.4가 낮고 호흡이나 음식물에

소아 : 열성 경련(febrile seizure) - Core review + Practical guide [내부링크]

SMART 소아진료매뉴얼 2판 (Evidence based & Practical approach) Part 12. 신경/정신 - Topic 01.열성 경련(febrile seizure) < 개정포인트 > 진단 : 위험인자(보강 및 표로 구성) 치료 : 초기치료(보강) < KEY Reference > Chung SJ. Febrile seizures. Korean J Pediatr 2014; 57(9): 384-395 Topic 01.열성 경련(febrile seizure) Core review 개요 복합 열성 경련 ① 경련 시간이 15분 이상 지속되거나, ② 하루에 2번 이상 발생하거나, ③ 부분 발작이나 경련 후 국소적 징후가 보이는 경우 진단 첫 진찰에서 가장 중요한 점은 발열의 원인을 밝히고 무엇보다도 뇌수막염을 배제하는 것이다. 만약 조금이라도 뇌수막염의 가능성이 있다면 요추 천자를 시행하여야 한다. 요추천자 열성경련 환아에서 요추천자는 다음과 같은 경우 시행하여야 한다. ①

II. 담석증 : 담낭담석 - 2. 진단(영상검사)/3. 담석증의 예방/ 4. 치료 [내부링크]

SMART 일차진료매뉴얼 2판(근거편) Vol 1. Part 06. 소화기 - Chapter 03. 소화기 증상/징후/질환(간담췌) - Topic 09. 담석증 II. 담석증 : 담낭담석 2. 진단 1) 영상 검사1)2) 검사방법 특징 정확도 비고 단순 복부X선 급성 복통의 다른 원인을 배제하는데 유용[예 : 장폐쇄, 장관천공, 신결석, 만성석회췌장염(calcific pancreatitis)] 초음파 담석의 진단에 있어 최적표준검사 gold standard(민감도/특이도 : 담석크기가 1.5 mm보다 큰 경우 95% 이상) 담석증 진단 : 민감도/특이도 =(> 98%)/(> 95%) 특징적인 초음파 소견 고에코성의 음영 : 담석의 전방부로 관찰됨 후방음영(posterior acoustic shadowing) : 담석의 뒤쪽으로 관찰됨 환자의 체위를 변동하였을 때 담석의 움직임을 관찰가능 복부 CT 합병증을 동반하지 않은 담당 담석의 진단에는 유용하지 않음 이유 : 스캔 영상의 간격

온라인 서비스 : Master KMLE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 언제 어디서나 쉽고 편리하게 PC, 모바일 등 다양한 디바이스로 의료 콘텐츠를 볼 수 있는 온라인 서비스 Master KMLE 사이트 의사국가고시를 준비하는 분들을 위한 학습 사이트 온라인 Master KMLE은 의사국가고시 준비하는 분들이 자유로운 환경에서도 학습할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 바른의학연구소 출간 책 "Master KMLE" 을 서포트해드립니다. 지하철 안에서, 짧은 쉬는 시간, 이동시간 등 책을 펼쳐보기엔 어렵잖아요~ 이럴때는 Master KMLE 사이트 접속! Master KMLE 사이트를 만든 이유 많은 양을 공부하는 학생분들에게는 시간이 생명! 이란 모티브로 어떤 환경에서도 구애받지 않고 공부를 할 수 있는 방법을 생각하면서 부터 자연스럽게 온라인 환경을 생각하게되었습니다. 공무원 시험도, 중.고등학습에도 온라인 학습이 있는데 의학은 왜 없을까? 다른 분야처럼 의학도 핸드폰, PC에서도 볼 수 있도록 온라인 학습 서비스를 생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실전편)] 6. 발열(fever) - Case based approach(S/O/A/P) [내부링크]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 : 실전편 (Case based approach) - Part 2. 전신·감염 - Topic 1. 발열 Case Based Approach S C.C:3주간 지속되는 발열(내원 당시는 9월) M/20. 평소 건강하게 지내던 환자로 3주 전부터 시작된 발열, 오한, 근육통, 마른 기침이 있어 개인의원에서 혈액검사, 가슴 X선 후 단순 감기로 2주간 치료하였으나 호전이 없어 내원 과거력 DM/HTN/Tb/hepatitis(-/-/-/-) Social Hx:흡연/음주(-/0), 직업:일반 사무직 가족력:특이사항 없음 약물력:특이사항 없음 O V/S: 혈압 125 /85 mmHg, 체온 37.8 C, 맥박수 80회/분, 호흡수 18회/분 인후부위 발적(±) Chest:clear breath sound without crackle abdomen:우상복부 압통(+) A R/O Fever of unknown origin P W/U CBC, ESR, CRP, Admission

[혈액] 거대적혈모구빈혈 문제1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혈액 - Section 01. 조혈장애 - Topic 3. 거대적혈모구빈혈편 문제입니다. 01. 79세 여자가 4개월 전부터 혀가 빨개져서 맛을 못 느끼고 기운이 없어서 병원에 왔다. 10년 전 식도위내시경 검사에서 심한 만성위축위염을 진단받았다고 하였다. 혈액검사소견은 다음과 같았다. 말초혈액펴바른표본 사진이다. 진단은? 혈색소 8.2 g/dL, 백혈구 2,400/mm3, 혈소판 90,000/mm3, 평균적혈구용적 110 fL (참고치, 80~94) ① 용혈빈혈 ② 만성병빈혈 ③ 지중해빈혈 ④ 철적혈모구빈혈 ⑤ 거대적혈모구빈혈 정답 공개합니다. 정답 : ⑤ 거대적혈모구빈혈 KEY CLUE 빨간 혀 → 맛을 못 느낀다. general weakness 빨간 혀로 맛을 못 느낀다는 특징적인 증상을 호소하고 있다. 10년 EGD:심한 만성위축위염 전암성 병변인 atrophic gastritis는 내시경에서 꽤 흔히 접할 수 있는 소견이다. • 기본적으로

II. 담석증 : 담낭담석 - 1. 서론 : 1) 임상양상 (담도성 통증/합병증) 2) 자연경과 [내부링크]

SMART 일차진료매뉴얼 2판(근거편) Vol 1. Part 06. 소화기 - Chapter 03. 소화기 증상/징후/질환(간담췌) - Topic 09. 담석증 II. 담석증 : 담낭담석 1. 서론 담낭 담석 담석은 크게 3가지로 분류해볼 수 있다.1) 무증상 담석 (asymptomatic gallstone) 다음과 같은 소견이 없는 형태로 발견되는 gallstones2) gallstone related symptoms : biliary pain gallstonerelated complications : acute cholecystitis, cholangitis, pancreatitis 담낭 담석 환자의 60~80%는 증상이 없이 지내다가 우연히 발견된다3). 증상관련 담석 (Symptomatic gallstone) 증상관련(Symptomatic)이란? → 담도성 통증(biliary pain)을 의미2) cf 소화불량, 상복부 불쾌감, 복부 팽만감, 트림 등의 위장 증상은 담석증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실전편)] 5. 발열(fever) : 불명열 - Practical guide FUO의 원인/어떤 검사를 시행할 것인가?/ 상병명 [내부링크]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 : 실전편 (Case based approach) - Part 2. 전신·감염 - Topic 1. 발열 - Subtopic 1-2. 불명열(Fever of unknown origin) Practical guide : FUO의 원인 핵심 포인트 1. FUO Big 3 감염질환 FUO 증례의 최대 20 %까지 cytomegalovirus infection에 의해 유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중년남성에서 발열, 백혈구감소증, 촉지되는 비장을 보이는 경우 결핵 혹은 림프종을 시사한다. FUO의 원인으로 부비동염을 반드시 고려하여야 한다. 놀랍게도 부비동염에 특이적인 병력이 없을 수도 있다. erythema multiforme과 동반된 재발성 발열(Recurrent fever) → herpes simplex 시사 재발성 쇼크 및 발열 + abdominal trauma or sex → anaphylaxis caused by leaking echinococcus. 종양질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실전편)] 4. 발열(fever) : 불명열 - Core review(개요, 진단적 접근) [내부링크]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 : 실전편 (Case based approach) - Part 2. 전신·감염 - Topic 1. 발열 - Subtopic 1-2. 불명열(Fever of unknown origin) Core Review 1. 개요 불명열 분류 불명열의 분류 정의 흔한 원인들 고전적 불명열 체온 38.3도 이상 3주 이상. 최소 3회 외래 또는 3일 입원 감염, 악성종양, 전신 염증성질환 (자가면역질환 포함) 병원성 불명열 급성기 치료 위해 입원, 입원 당시 감염증거 없음. 38.3도 이상의 열이 여러 차례 최소 3일 폐색전증, 부비동염, 패혈성 혈전정맥염, C.difficile 장염, 약물열 호중구 감소성 불명열 호중구≤500 / mm3. 38.3도 이상의 열이 여러 차례 최소 3일 aspergillus 감염, candida 감염, virus(HSV, CMV) 감염, 항문주위감염 HIV 감염관련 불명열 HIV 양성 확인. 38.3도 이상의 열이 여러 차례 외래로 4주 이상 또

[신장요로] 만성 콩팥병 문제1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신장요로 - 만성 콩팥병편 문제입니다. 01. 36세 남성이 식욕 부진, 전신의 권태감으로 내원하였다. 혈압은 150/110 mmHg, Hb 7.5 g/dL, BUN/Cr 90/10.7 mg/dL이었다. 진단을 위해 추가로 해야 할 검사는? 소변:단백(3+), 적혈구 5~8/HPF, 백혈구 0~1/HPF, 소변량 1,500 mL/day ① 방광경 검사 ② 복부 CT ③ IVP ④ 복부 초음파 ⑤ 복부 MRI 정답 공개합니다. 정답 : ④ 복부 초음파 KEY CLUE 혈압은 150 /110 mmHg 혈압이 높다. Hb 7.5 g/dL severe anemia 양상이다. BUN/Cr 90 /10.7 mg/dL BUN, Cr이 크게 상승해 있다. acute kidney injury인지 chronic kidney disease 감별이 필요하다. 소변:단백(3+), 적혈구 5~8 /HPF 단백뇨, 혈뇨를 보이고 있다. 소변량 1,500 mL/day 핍뇨(ol

바른의학연구소에서 출판해야 하는 이유 6 : 출판사의 마인드 [내부링크]

바른의학연구소에서 출판해야 하는 이유 1~5까지 모두 보셨나요? 보지 못하셨다면 먼저 읽고 이 글을 읽어주시는걸 추천드립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출판서비스 도입을 하게 된 과정 중 있었던 우여곡절 이야기를 들려드리려고 합니다! 어떤 생각과 마인드를 갖고 출판서비스를 만들었는지 더 쉽게 설명해드릴 수 있다고 생각이 들었습니다! 이번에는 기술적인 글이 아니기 때문에 편하게 바른의학연구소 출판사업부 스토리를 들어주시면 좋을 것 같아요! 요즘 출판시장이 불황이라고 합니다. 바른의학연구소 출판사업부 책임자로서 이런 소식을 접할 때마다 지금까지 제가 겪었던 경험을 다시 한번 돌아 보게 됩니다. 10년 전에 비해 전체 매출액이 4% 가량 감소했다고 합니다. 인플레이션까지 고려하면 10%도 넘지 않을까 감히 추측해봅니다. 역설적으로 종이책 매출은 줄었지만 출판 기반의 인터넷 비즈니스는 폭풍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걸 아시나요? 출판시장이 불황이 온 가장 큰 이유는 '인터넷의 출현'이라고 많이들 언급하

바른의학연구소에서 출판해야 하는 이유 5 : 전문용어의 통일 [내부링크]

통일성! 의학서적에서 전문용어(Terminology)가 통일적으로 표현된 것보다 책의 신뢰도를 높여주는 것은 없습니다. 독자들은 책을 읽어내려가면서 무의식적으로 책의 완성도와 신뢰도를 알게됩니다. 예를들어 볼까요? '아랫입술내림근', '하순하체근', 그리고 'Depressor labii inferioris muscle' 위에 제시된 세가지 단어의 의미는 모두 동일하기에 각각으로 쓰였을 경우에는 큰 문제가 없습니다. 하지만 개념을 담고 있는 하나의 전문서적에서, 신용어, 구용어, 영어를 곳곳에 혼재해서 쓰면 책의 완성도와 가독성에 문제가 생깁니다. 저자입장으로 전문용어를 통일하는 것은 참 어렵고 고된 일입니다. 바른의학연구소 출판사업부는 그런 고된 업무를 저희가 대신 할 준비가 되어있고 실력도 있습니다. 예를들어, 베타2 항진제는 정말 다양한 방식으로 쓰이고 있습니다. 영어 용어로는 β2-adrenoceptor antagonist, Beta-2 adrenergic antagonist

바른의학연구소에서 출판해야 하는 이유 4 : 오탈자 [내부링크]

바른의학연구소는 자체 오탈자 DB를 보완해나가고 있습니다. 설령 집필과정에서 실수가 있다고 하더라도 많은 부분의 오류를 찾아낼 수 있습니다. 특히 편집과정에서의 일관성을 만드는 데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고, 저자분이 검토하는 과정에서도 불필요한 오류를 찾느라 시간을 허비하지 않도록 출판사업부 내부에서 최대한 꼼꼼히 반영하고 있습니다. 1. 이전 글의 해리슨 내과의 편집오류처럼 e.g 를 e.g.로 수정 (참고 : 바른의학연구소에서 출판해야 하는 이유 ①) Find : \b(e\.g)([^.],*)\b Replace: $1.$2 2. 수치와 단위사이의 공백 통일 (0ml, 0 ml, 0ML, 0 ML, 0mL, 0dl, 0 dl, 0DL, 0dL, 0dl → 0 mL or 0 dL) Find : (?i)(?<=[0-9])[ ]*[dm]l\b Replace : <thinSpace>mL 3. 가짜 합자를 순수알파벳으로 변경(이전 글의 finale 합자오류와 연관됩니다.) (참고 :

바른의학연구소에서 출판해야 하는 이유 3 : 텍스트 분석 [내부링크]

바른의학연구소는 출판 프로세스에서 첫 번째로 하는 작업은 탈고된 원고의 텍스트 분석을 합니다. 자연어로 되어있는 텍스트가 분석이 가능한지 그리고 왜 분석하는지에 대해서 궁금증을 가지고 계시는 분이 있으실 거라고 생각합니다. 출판사 중에서는 자연어 처리를 통해 원고 텍스트 분석을 하는 출판사는 거의 없을 것 같네요. 바른의학연구소에서 텍스트 분석을 하는 이유는 딱 하나, 사소한 오류를 줄여서 책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서입니다. 한 번 살펴볼까요? 텍스트 분석이 생소하신가요? Python과 자연어처리(NLP) 도구를 사용하면 손쉽게 분석할 수 있습니다. 의학 콘텐츠뿐만아니라 문자로 구성된 콘텐츠를 다루는 종사자들은 알아두면 더 정확한 편집과 디자인이 가능합니다. 미리 모든 원고의 텍스트를 분석하므로써, 어떤 서체를 선택할 수 있는지도 알 수 있습니다. 바른의학연구소에서 하는 여러 가지 텍스트 분석 중 가장 간단한 텍스트 분석 한 가지를 알려드리겠습니다. 이전 글에서 의학서적 출판시 St

바른의학연구소에서 출판해야 하는 이유 2 : 하지말아야 할 것과, 해야할 것 [내부링크]

우리는 이전 포스팅을 통해 의학서적의 구조를 알아보았습니다. 4가지가 있었던 거 다들 기억하시죠? 아직 못 보셨다구요? 그러면 그 포스팅부터 읽는 게 도움되실거예요! 메디컬 일러스트레이션, 사진, 다이어그램과 플로우차트, 그리고 표입니다. https://blog.naver.com/barunlab/221532547334 바른의학연구소에서 출판해야 하는 이유 ① 의학출판사 혹은 의학콘텐츠를 다루는 업무를 하시는 분들은 의학콘텐츠에 있는 사소한 오류라도 간과해서... blog.naver.com 오늘은 바른의학연구소에서 서체(Typefaces)와 타이포그래피(Typography)를 신경쓰는 이유에 대해서 몇 가지 이야기해볼까 합니다. 어떤 책이던 책의 가장 중요한 요소는 책의 형태가 아니라 내용 그 자체에 있습니다. 바로 콘텐츠죠. 그 콘텐츠가 있다면, 종이책, 전자책, 또는 온라인 퍼블리싱처럼 다양한 플랫폼은 그렇게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하는데 여러분도 동의하시나요^^. 그런 시대에 발맞춰

바른의학연구소에서 출판해야 하는 이유 1 [내부링크]

의학출판사 혹은 의학콘텐츠를 다루는 업무를 하시는 분들은 의학콘텐츠에 있는 사소한 오류라도 간과해서는 안 됩니다. 바른의학연구소는 다른 의학출판사 보다 역사는 짧지만 전문의 출신 대표와 내용의 정확도 및 오류의 최소화를 위해 부단히 노력해온 출판사업부가 있습니다. 자연어 처리와 텍스트 분석 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실수하기 쉬운 내용들과 주의해야할 점을 DB화 하였기 때문에 타 출판사 보다 더 정확하고 꼼꼼하게 출판 할 수 있다는 점을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이 글의 대상 의학콘텐츠를 다루는 (편집자, 저자, 디자이너, 출판, 온라인콘텐츠, 제약회사 콘텐츠 담당 등등..) 모든 직종에 속하신 분들께서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의학서적이란 무엇인가? 의학서적은 집필, 디자인, 편집, 제작 과정에서 다른 책보다 상당히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어려운 책에 속한다는 것을 먼저 인정 해야합니다. 정말 잘 팔리는 책, 예를 들어 ‘해리슨내과’와 같은 책은 세상에 나오는 데 contributo

[의학총론] Vital을 잘 다루자! - 수혈요법 문제 1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의학총론 - Vital을 잘 다루자! -수혈요법편 문제입니다. 01. 65세 남자가 1일 전에 복부대동맥류 수술을 받고 중환자실에서 경과 관찰 중이다. 동맥혈 채혈 부위에서 지속적인 출혈이 발생하였다. 치료는? V/S 혈압 90/60 mmHg, 맥박 111회/분, 호흡 24회/분, 체온 38.0 P/E 의식 명료 ; 팔다리 말단 부위의 청색증(-) 혈액검사 혈색소 10.0 g/dL, 백혈구 12,500/mm3, 혈소판 38,000/mm3 프로트롬빈시간 16초(참고치, 12.7~15.4), 활성부분트롬보플라스틴시간 57초(참고치, 26.3~39.4) 항트롬빈 III 80 mg/dL(참고치, 22~39), 섬유소원 82 mg/dL(참고치, 200~400), D-이량체 450 ng/mL(참고치, 220~740), 섬유소분해산물 55 μg/mL(참고치 <10) ① 와파린 ② 농축적혈구 ③ 혈소판농축액 ④ 프로스타글란딘 E ⑤ 프로타민설페이트 정답 공개합니다

Metamedic, MasterKMLE 서비스 소개에 부쳐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 이상봉입니다. 저는 가정의학과 전문의 출신으로 의학콘텐츠 만들어내는 일을 주업으로 하고 있습니다. 다작왕 김지형선생님처럼 많은 책을 펴낸 것은 아니지만 장인정신에 입각한 수년 간의 집필기간을 거쳐 한책 한책 정성스럽게 펴내고 있습니다. (참고: [저자 소개] 김지형 선생님 ) 그렇지만 애초부터 콘텐츠를 종이책이나 전자책으로 펴내는 것에는 그다지 큰 관심이 없었습니다. IT의 비약적인 발달로 종이책의 한계는 더욱 두드러지게 되었고 이에 종이책의 시대는 급속히 저물고 있기 때문입니다. 콘텐츠를 온라인으로 유통시킬 수 있는 획기적인 웹서비스를 만들겠다는 일념하에 수많은 시도를 거듭하게 되었죠. 그렇지만 개발자 백그라운드가 아니다보니 수많은 시행착오를 겪어야 했습니다. Prototype조차 만들어내지 못하고 기획단계에서 좌초할 때도 있었습니다. 간신히 prototype은 만들어냈지만 결과물이 부실하여 여러 가지 버그를 양산해 내는 바람에 금새 사이트를 내려야할 때

[소아과 각론] 호흡기 - 호흡기 감염 문제1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소아과 각론 - 호흡기 - 호흡기 감염편 문제입니다. 01. 평소에 별 이상 없이 자라던 11개월 여아가 맑은 콧물이 나오고 발작적인 천명성 기침으로 응급실로 내원하였다. 천식을 앓았던 가족은 없었으며 측면 X선 촬영에서 흉곽의 전후경 증가가 관찰되었다. 가장 의심되는 진단은? ① 급성 세기관지염 ② 알레르기 천식 ③ 크루프 ④ 폐렴 ⑤ 흉막 삼출 정답 공개합니다. 정답 : ① 급성 세기관지염 평소에 별 문제없던 11개월 여아에서 발작스런 천명성 기침이 발생하였다. 어린 소아에서 천명성 기침이 발생한 경우 2가지 가능성(천식, 급성 세기관지염)을 염두에 둘 수 있다. 급성세기관지염과 천식의 감별에는 다음의 항목을 통해 평가할 수 있다.(다음의 항목이 존재하는 경우 천식 가능성이 높다.) ① 천식의 가족력 ② 재발(>2회) ③ 선행 감염이 없는 급작스런 발병 ④ 말초혈액 호산구 수 증가 ⑤ β2-항진제에 대한 호전 반응 천식의 가족력이 없고, 맑은 콧

II. 고혈압 (hypertension) : 진단 및 평가(증상 및 징후,병력청취/신체검사, 진단적 검사) [내부링크]

SMART 일차진료매뉴얼 2판(근거편) Vol1 Part 05. 심혈관 - Chapter 02. 심혈관 증상/징후/질환 - Topic 04. 고혈압 II. 고혈압(hypertension) : 진단 및 평가 1. 고혈압 환자의 진단 및 평가 고혈압 환자의 진단과 평가를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점을 확인해야 한다1). 1) 일차성과 이차성 고혈압 감별 2) 고혈압의 중증도 평가 3) 심혈관질환의 위험인자와 생활습관 파악 4) 심혈관질환 유무와 치료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동반질환 또는 무증상장기손상 유무 확인 그림. 고혈압의 진단 흐름도2) 2. 고혈압 증상 및 징후 대개의 고혈압 환자는 혈압상승과 관련된 특이한 증상이 없다. 대부분 우연히 혈압상승을 발견하거나, 고혈압성 심혈관질환의 증상이나 이차성 고혈압을 유발하는 기저질환에 의한 증상이 있을 때 진료실을 찾게 된다. 1) 두통 흔히 혈압 상승으로 인한 증상으로 여겨지지만 중증 고혈압의 경우 이외에는 관련성을 찾기가 어렵다. 고혈압과 동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실전편)] 3. 발열(fever) : 급성발열 - Practical guide 치료 + 상병명 [내부링크]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 : 실전편 (Case based approach) - Part 2. 전신·감염 - Topic 1. 발열 - Subtopic 1-1. 급성발열 Practical guide : 치료 후보 약물군 약물종류 acetaminophen acetaminophen, acetaminophen ER, acetaminophen encapsulated NSAIDs (경구제제) oxaprozin, ibuprofen, Dexibuprofen, loxoprofen, flufenamic, mefenamic acid, piroxicam, tenoxicam, nabumetone, meloxicam, lornoxicam, talniflumate, morniflumate, celecoxib NSAIDs (주사제제) diclofenac, ketorolac, piroxicam 해열제 투여예제 투여법 경구제제 acetaminophne 타일레놀(Tylenol) 500 mg/T 타이레놀 이알(Tylenol

[저자 소개] 김지형 선생님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 이상봉입니다. 아직은 제가 집필한 책을 주로 출간하고 있는데요. 극소수이긴 하지만 본 출판사를 통해서 책을 내신 분도 계시답니다. 다양한 임상증례를 통해 의학의 기초를 다지는 '마스터 KMLE'에 참여해주신 저자분들을 논외로 한다면 사실 김지형 선생님이 유일한 외부 저자인 셈인데요. 이제는 알만한 사람은 다 안다는 김지형 선생님을 소개해드릴까 합니다. 일부 E-book이나 본 출판사에서 출간한 1권의 책('통계의 세계로 dBSTAT 길들이기')을 제외한 모든 책을 대한의학서적(www.medbook.co.kr)[혹은 북앤에듀1)]에서 출간했으니 대한의학서적의 메인 저자, 대표저자라고 해도 손색이 없을 정도입니다. 1) 대한의학서적의 임이 프린팅 출판사. 일종의 자회사 개념이라고 이해하면 됩니다. 제가 인생 멘토로 모시고 있는 선배님 중 한 분으로서 저랑은 20년 가까이 남다른 친분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사실 2009년 제가 수련 받을 당시 의국에 강력 건의해

객혈 (hemoptysis) : 원인 및 감별진단 (객혈이란, 분류, 원인) [내부링크]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 2판(근거편) Vol 1 Part 04. 호흡기 - Chapter 02. 주요 호흡기 증상/징후/질환 - Topic 03. 객혈 I. 객혈(hemoptysis) : 원인 및 감별진단 1. 객혈이란? 객혈이란 폐 혹은 기관지출혈의 결과로 폐 혹은 기관지에 생기는 혈액을 뱉어내는 것을 의미한다.1) cf 가성객혈(pseudohemoptysis) : 폐 혹은 기관지로부터 연유하지 않는 혈액을 뱉어내는 것 cf 토혈(hematemesis) : 혈액을 구토해내는 것(위장관으로부터 유래한 혈액을 토해내는 것) 2. 객혈은 어떻게 분류하나 1) 출혈양에 따른 분류 비대량객혈(Nonmassive hemoptysis) 대량객혈(massive hemoptysis) 2) 대량객혈 일관된 기준은 없다. ≥100 mL/24 hrs2)3) ~≥600 mL/24 hrs4)5) 24시간 이내 100~600 mL의 대량객혈은 치명적이고 응고된 혈액에 의한 기도폐쇄, 즉 질식 (asphyxia

게실질환(diverticular disease) : 개요 - 정의 및 분류(대장게실, 게실증, 게실염), 역학, 병태생리 [내부링크]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 2판(근거편) Part 06. 소화기 - Topic 13. 게실질환 I. 게실질환(diverticular disease) : 개요 1. 정의 및 분류 게실 증후군(Diverticular syndrome)에는 다음과 같은 종류들이 있다1)2)3). 대장게실 (colon diverticulum) 대장 벽 일부가 장막 쪽으로 탈출하여 생긴 작은 주머니 모양의 병변 게실증 (diverticulosis) 대장게실이 존재하는 상태를 의미 염증이나 출혈의 합병증이 없는 상태 게실염 (diverticulitis) 게실(diverticulum or diverticula)의 염증을 가리키는 용어로 흔히 육안적 혹은 현미경적 천공(gross or microscopical perforation)이 동반된다. 게실질환 (diverticular disease) 일반적으로 게실증과 게실염을 포함하는 용어 크게 합병증이 동반된(complicated) 게실 질환과 합병증이 없는 (uncomp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실전편)] 2. 발열 : 급성발열 - Practical guide 진단/평가 [내부링크]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 : 실전편 (Case based approach) - Part 2. 전신·감염 - Topic 1. 발열 - Subtopic 1-1. 급성발열 Practical Guide : 진단/평가 핵심포인트 1. ‘몸살감기’라고 호소하는 환자, 어떻게 접근할까? 호흡기 증상은 없고 발열, 몸살증상만 있는 경우 환자들은 ‘몸살감기’라고 표현한다. 이 표현에 현혹되어 상기도감염에만 초점을 맞추기 쉽다. 그렇지만 발열의 원인은 매우 다양하며 환자들이 ‘몸살감기’라고 표현해도 다른 가능성을 반드시 염두에 두어야 한다. 다양한 원인 중에서 악성 종양과 같은 심각한 질환, 뇌염이나 세균성 뇌수막염과 같은 심각한 휴유증을 남길 수 있는 질환, 패혈증이나 괴사성근막염과 같은 응급을 요하는 질환 등이 포함된다. 첫 인상 의사의 직관(주관적 감각), Toxic 해 보이는가? 병력 열에 대한 기술:증명된 열인지, 기간, 몇 도까지 상승했는가? 시간 간격, 동반 증상, 해열제 복용 여부 주요 병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실전편)] 1. 발열: 급성발열 -Core review(개요, 진단적 접근) [내부링크]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 : 실전편 (Case based approach) - Part 2. 전신·감염 - Topic 1. 발열 - Subtopic 1-1. 급성발열 Core Review 1. 개요 • 체온의 측정 직장체온 (rectal temperature) 심부체온을 비교적 잘 반영하지만 측정 시의 불편함으로 인하여 제한적으로 사용된다. 구강체온 (oral temperature) 직장체온보다 평균 0.4 C가 낮고 호흡이나 음식물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구강 체온은 중심 체온을 바로 반영:구강 내 혀 밑에는 외경동맥(external carotid artery)의 분지가 분포하기 때문 액와부 체온 (axillary temperature) 신생아의 경우:직장 온도와 잘 일치 연장아나 성인의 경우:구강 온도나 직장 온도와 잘 일치하지 않는다. 고막체온 (tympanic membranee temperature) 적외선을 고막으로 쏜 다음 반사되는 적외선을 측정하여 온도로 변환한 것

[스마트 소아진료매뉴얼 2판] 구성 소개 (with 발열(fever)편 전체 콘텐츠 한번에 보기)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지금까지 소아진료매뉴얼 2판 콘텐츠 내용을 확인하실 수 있는 포스트가 없어서, 한동안 소아진료매뉴얼 발열(fever)편 콘텐츠를 포스팅 했는데 다들 보셨나요? ^^ 스마트 소아진료매뉴얼 2판 - Part 5. 감염/전신 - Topic1. 발열(fever)편 내용이랍니다. 스마트 소아진료매뉴얼 2판의 발열 부분만 해도 내용이 많아, 6개 포스트로 나눠서 올려드렸는데요. 이번에 발열(fever)편 콘텐츠를 모두 포스팅한 기념으로, 한 눈에 보기 쉽게 블로그 글 링크를 정리해드릴게요! 소아진료매뉴얼 2판 -발열(fever)편 블로그 글 정리 1. "개정포인트 및 KEY Reference" + "Practical guide : 원인 및 감별진단/진단적 접근" 2. "Practical guide : 치료" + "(스마트) 상병코드" 3. "I. 개요" 4. "II. 원인 및 감별진단" 5. "III. 진단적 접근" 6. "IV. 치료" 그리고, 위 링크에 있

아나필락시스 (anaphylaxis) - I. 개요 (아나필락시스 반응이란, 분류, 발생기전) [내부링크]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 2판(근거편) Part 01. 일차진료를 위한 기본기 다지기 - Chapter 03. 이런 상황에도 대처해봅시다 - Topic 02. 아나필락시스 I. 아나필락시스(anaphylaxis) : 개요 1. Anaphylaxis 반응이란? 급격하게 진행하는 전신적인 중증 알레르기 반응으로서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급성면역반응 : 전신적인, 즉시형 과민반응 (IgE를 통한 제1형 과민반응) 감작된 사람에서 특이항원이 투여 된 이후 수 분 이내에 나타남 특징적인 소견: 혈관부종의 유무와 관계없이 소양감과 두드러기가 나타나는 피부증상 후두부종과 심한 기관지수축으로 인해 호흡곤란이나 혈관허탈이 발생하거나, 호흡곤란의 전구 증상 없이 쇼크현상이 일어남 2. 분류 1) IgE-mediated anaphylaxis (classic anaphylaxis) : Type I hypersensitivity mast cell 및 basophil에서 IgE매개 면역학적 반응을 통해 chem

결핵 - Core review (폐결핵 진단 및 치료, 폐외결핵, 잠복결핵) [내부링크]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 2판(근거편) Part 03. 전신·감염·알레르기 - Chapter 03. 주요 질환 - Topic 01. 결핵 개정포인트 • Key reference update Key reference • 결핵진료지침 개정위원회. 결핵 진료지침(개정판). 2014 • 보건복지부/질병관리본부. 국가결핵관리지침 2016 Core review 폐결핵: 진단 표. 진단적 검사 검사방법 검사대상 도말검사 결핵 유증상자 흉부 X선 검사상 결핵 유소견자 배양검사 결핵 유증상자 흉부 X선 검사상 결핵 유소견자 핵산증폭검사 결핵 의심환자(초회검사 시 1회 실시) 도말검사 양성 또는 배양 양성인 경우 약제 감수성검사 모든 결핵환자의 첫 배양분리균주 3개월 이상 치료에도 배양 양성이거나 임상적으로 치료실패가 의심되는 경우 신속내성검사, Xpert MTB/RIF 혹은 액체배지 감수성검사에서 약제 내성이 검출된 경우 신속내성검사 다제 내성이 의심되는 경우 결핵 치료 과거력이 있는 경우 추구 배양

[혈액] 빈혈의 접근 문제1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혈액 - 빈혈의 접근편 문제입니다. 01. 58세 여자가 2개월 전부터 계단을 오를 때 숨이 차서 왔다. 류마티스관절염으로 10년 간 약물치료를 받아 왔다고 하였다. 혈액검사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진단은? 혈색소 8.2 g/dL, 백혈구 9,500/mm3, 혈소판 470,000/mm3, 평균적혈구용적 90fL(참고치, 80~94), 그물적혈구 1.5%, 철 45 μg/dL(참고치, 41~141), 총철결합능 270 μg/dL(참고치, 251~406), 페리틴 200 ng/mL(참고치, 10~150) ① 용혈빈혈 ② 만성병빈혈 ③ 철결핍빈혈 ④ 철적혈모구빈혈 ⑤ Osmotic fragility test 정답 공개합니다. 정답 : ② 만성병빈혈 KEY CLUE 2개월 전부터 계단을 오를 때 발생하는 호흡곤란 혈색소 8.2 g/dL, 백혈구 9,500 /mm 3, 혈소판 470,000 / mm3 호흡곤란의 원인은 빈혈인 듯싶다. 평균적혈구용적 90 fL

[소아과 각론] 신장요로질환을 이해하기 위한 기초 문제1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소아과 각론 - 신장요로질환을 이해하기 위한 기초편 문제입니다. 01. 8세 남아가 학교검진 소변검사에서 결과 잠혈반응 양성으로 나와서 병원에 왔다. 아이는 평소 건강하였다. 아버지가 콩팥돌의 치료 병력이 있다고 한다. 검사는? P/E • V/S:혈압 115 /65 mmHg, 체온 36.5 C • 타진 시 옆구리 통증 (-); 정강뼈앞 오목부종 (-) 혈액 • 혈색소 12.5 g/dL, 백혈구 16,500/ mm3, 혈소판 150,000/ mm3 • 혈액요소질소/크레아티닌 18/0.5 mg/dL, 총단백질 6.5 g/dL, 알부민 3.8 g/dL 소변 • 포도당 (-), 단백질 (-), 잠혈 (+), 아질산염 (-), 원주 (-) • 백혈구 <5/고배율시야, 적혈구 20~30/고배율시야(동형 적혈구 모양 95%) • 세균배양:음성* 포도당 (-), 단백질 (-), 잠혈 (+), 아질산염 (-), 원주 (-) • 백혈구 <5/고배율시야, 적혈구 20~

[신장요로] 신질환의 임상적/검사상 평가 문제1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신장요로 - 신질환의 임상적/검사상 평가편 문제입니다. 01. 55세 남성이 신체검사에서 현미경적 혈뇨가 발견되었다. 병력에서는 특이사항이 없었고 직장수지 검사도 정상이었다. 시행한 검사에서 혈청 크레아티닌은 1.2 mg/dL, 복부 초음파와 경정맥 신우 조영술 결과는 정상이었다. 다음 단계로 시행할 검사로 가장 적절한 것은? 소변:단백뇨(+/-), RBC many/HPF, no RBC cast ① 콩팥 스캔 ② 콩팥혈관 조영술 ③ 복부 CT ④ 방광경 검사 ⑤ 콩팥생검 정답 공개합니다. 정답 : ④ 방광경 검사 혈뇨에 있어 우선 중요한 것은 사구체 혈뇨인지 비사구체 혈뇨인지를 감별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추가 W/U의 방향이 달라진다. 사구체 혈뇨의 단서:Proteinuria, elevated creatinine level, RBC casts, dysmorphic RBCs 사구체성 혈뇨인 경우 사구체 질환에 대한 평가를 진행하면 된다. 비사구체성

[소아진료매뉴얼 2판] 발열(fever) - IV. 치료 [내부링크]

소아진료매뉴얼 2판 - Part5. 감염/전신 - Topic 1. 발열(fever) IV. 치료 1. 열을 낮추기 위해 어떻게 해야 하는가? 해열제 투여:Acetaminophen, Ibuprofen 미온수 마사지 2. 물리적 요법 주요 방법1)2) 물리적 냉요법:미온수 스펀지 목욕(tepid sponge bath) 복사, 전도, 대류, 증발의 원리를 이용하여 체표면으로부터 환경으로 열을 이동시켜 열을 하강시키는 방법 방법:알코올 스폰지 목욕, 미온수 스폰지 목욕, 냉 스폰지 목욕 미온수 스폰지 목욕이 가장 좋은 방법으로 추천된다. 구체적인 냉요법 방법별에 따른 적용시간이나 합리적인 근거는 정확히 제시되어 있지 않다. 환경을 시원하게 하는 것 부채, 선풍기 사용, 옷을 벗기기 1) 미온수 스펀지 목욕(미온수 마사지) 비용이 싸고 적용이 쉬워 가정과 병원에서 아동에게 흔하게 적용한다. 해열제와 더불어 미온수 목욕을 하는 것이 해열효과가 좋은 것으로 알려져 현재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

[소아진료매뉴얼 2판] 발열(fever) - III. 진단적 접근 [내부링크]

소아진료매뉴얼 2판 - Part5. 감염/전신 - Topic1.발열(fever) III. 진단적 접근 1. 진단적 접근의 원칙 심각한 원인 질환, 혹은 진단이 지연되어 성공적인 치료가 이루어지기 힘든 경우를 효과적으로 가려내야 한다. 원인불명열의 진단에는 철저한 병력 청취와 신체검사를 기본으로 한다. 병력과 신체검사의 이상 소견을 기초로 하여 검사실 및 방사선 스크린 검사를 우선적으로 시행 → 검사결과에 따라 추가적인 검사 시행 발열의 경과는 지속적으로 관찰해야 한다. 소아에서 6개월 이상 발열이 지속되는 경우 자가면역 질환이나 육아종을 의심할 수 있다. 주기적인 진찰, 혈액 검사, 방사선 검사 시행 2. 병력청취1) 임상적인 평가는 한번으로 그치지 않고 반복해서 확인해야 한다. 약 25 %의 환자에서 입원 초기에는 없었던 소견이 나중에 새로이 발생2) 기본적인 병력 청취 이외에 빠뜨려서는 안 될 여러 가지 추가적인 사항 ① 환자의 연령 6세 미만의 소아:호흡기, 요로계, 농양이나

[내분비] 뇌하수체 후엽질환 문제1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내분비 - 뇌하수체 후엽질환편 문제입니다. 01. 28세 남자가 소변을 자주 본다며 병원에 왔다. 낮에는 10회 이상, 밤에는 3회 이상 소변을 본다고 한다. 갈증이 심하여 5리터 이상의 물을 마신다고 한다. 혈압 110/70mmHg, 맥박 92회/분, 호흡 14회/분이다. 검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진단은? 혈액: 공복포도당 81 mg/dL, 크레아티닌 0.6 mg/dL, Na+/K+/Cl- 146/4.0/109 meq/L 24시간 소변: 양 5.5 L 수분제한검사 시간 0 1 2 3 데스모프레신 투여 후 혈장 삼투질농도 (mOsmol/kg H2O) 296 297 300 302 300 소변 삼투질농도 (mOsmol/kg H2O) 75 78 74 79 75 ① 원발다음증 ② 중추성요붕증 ③ 콩팥기원요붕증 ④ 범뇌하수체저하증 ⑤ 항이뇨호르몬부적절분비증후군 정답 공개합니다. 정답 : ③ 콩팥기원요붕증 KEY CLUE urinary frequency:낮

[소아진료매뉴얼 2판] 발열(fever) - II. 원인 및 감별진단 [내부링크]

소아진료매뉴얼 2판 - Part5. 감염/전신 - Topic1. 발열(fever) II. 원인 및 감별진단 소아에서 원인불명열의 주요한 원인은 크게 3가지로 분류1)2) ① 감염 질환 ② 교원 질환과 자가면역 질환 등의 류마티스 질환 ③ 종양 질환 소아에서의 원인불명열은 흔한 질환이 비전형적 양상으로 나타날 가능성이 드문 질환이 전형적인 양상으로 나타날 가능성에 비하여 훨씬 높다. 1. 감염 질환 원인불명열의 가장 흔한 원인 중 하나이다. 감염질환의 원인은 연령과 지역적 특성에 따라 차이를 보인다. 우리나라의 경우 과거에 결핵이 감염성 질환 중 가장 중요한 원인으로 보고된 바 있다.3)4) 최근연구:부산 지역에서 최근 5년 동안 진단된 91명의 원인불명열 소아를 대상으로 한 연구5) → 감염질환 41.7 %, 감염의 원인 중 가장 흔한 원인은 결핵 2. 교원 질환/류마티스 질환 연소 류마티스 관절염 지속적인 발열 자체가 질환의 특징적인 증상 진찰상 특이한 소견이 없다. 초기 검사 소

[소아진료매뉴얼 2판] 발열(fever) - I. 개요 [내부링크]

소아진료매뉴얼 2판 - Part 5. 감염/전신 - Topic 1. 발열(fever) I. 개요 1. 체온의 측정 체온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체온을 측정하는 부위에 따른 체온측정방법 • 촉각(피부)체온 • 고막체온 • 이마체온 • 구강체온 • 겨드랑이(액와) 체온 • 직장체온 직장 체온 (rectal temperature) 직장 온도는 대개 다른 어떤 부위에서 측정한 온도보다 높게 유지된다. 직장 온도1) = 구강온도 + 0.4C = 고막 체온(비보정 방식) + 0.8C 이러한 관계는 절대적인 것이 아니며 임상에 적용 시 항상 주의할 것 직장 체온이 중심체온을 반영할 수 있는가?2) 직장 온도는 체온이 안정된 상태에서만 중심 체온과 일치한다. 중심체온의 상승 혹은 하강할 경우 이를 바로 반영하지 못한다. 직장 내에서는 체온조절 시스템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쇼크 상태에서는 직장으로의 혈류량이 감소한다. 신생아의 경우는 쇼크가 없어도 직장 온도가 중심 체온과 잘 일치하지

[스마트 소아진료매뉴얼 2판] 개정 History 및 2판의 주요 변화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스마트 소아진료 매뉴얼 2판"에 대한 소개글이 없었던 것 같아 이번에 자세히 알아보는 시간을 한번 가져볼까 합니다 "스마트 소아진료매뉴얼 2판"은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 2판(근거편)",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 : 실전편(Case based approach)"과 짝을 이루는 책이랍니다^^ ("근거편"과 "실전편"이 "성인편"입니다.)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이 1판 때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성인편)"으로 출간되었고, "스마트 소아진료매뉴얼"도 1판 때는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소아편)"으로 출간되었답니다.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 싶으신 분은 아래 블로그 글을 확인해주세요!) (https://blog.naver.com/barunlab/221525286219) [스마트일차진료매뉴얼 2판(근거편)] 개정 History 안녕하세요!바른의학연구소 입니다^^ 올해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 : 실전편(Case based approa

[소아진료매뉴얼 2판] 발열(fever) - Practical guide : 치료 [내부링크]

소아진료매뉴얼 2판 - Part 5. 감염/전신 - Topic 1. 발열(fever) Practical guide : 치료 핵심포인트: 발열에 사용되는 약물 가장 흔히 acetaminophen 계열과 ibuprofen 계열을 가장 흔히 사용한다. 약물군 약물종류 해열제 Acetaminophen, Ibuprofen, dexibuprofen 스테로이드 dexamethasone 표. Acetaminophen과 ibuprofen 약물군 Acetaminophen Ibuprofen 체온감소효과 1–2 C 1–2 C 효과 발현시간 <1시간 <1시간 최대효과 발현시간 3-4시간 3-4시간 효과지속시간 4-6시간 6-8시간 용량 10–15 mg/kg, 매 4시간마다 10 mg/kg, 매 6시간마다 최대 일일용량 90 mg/kg 40 mg/kg 최대일일 성인용량 4 g/일 2.4 g/일 투여 제한연량 3개월 6개월 핵심포인트: 어떤 해열제를 투여할 것인가? 고열증상이 있는 아이에게 Acetamin

[소아진료매뉴얼 2판] 발열(fever) - Practical guide : 원인 및 감별진단/진단적 접근 [내부링크]

소아진료매뉴얼 2판 - Part 5. 감염/전신 - Topic1. 발열(fever) 개정포인트 : 내용 정돈, 도식화 Key Reference : Choi EH. Diagnostic approach to the fever of unknown origin in children:Emphasis on the infectious diseases. Korean J Pediatr 2007;50(2) :127–31. Practical guide : 원인 및 감별진단/진단적 접근 핵심포인트: 영아의 경우 중이염, 요로감염 가능성을 항상 염두에 둘 것 중이염 급성 중이염은 영아기의 발열 원인으로 중요하다. 대개 다른 상기도 증상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지만 영아의 경우 증상이 애매한 경우가 많으므로 중이염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항상 고막을 관찰하는 습관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 요로감염 전형적인 요로감염 증상 대신에 발열만을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소변검사를 하지 않으면 진단이 어렵기 때문에 영아에서는

[바른의학연구소] 필진 모집 안내(feat. 보조 저자 지원하신 선생님과의 미팅 소식)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저희 바른의학연구소 쇼핑몰(http://barunlab.com) 상단에 있는 필진모집 탭을 보신 적 있으신가요? ^^ 바른의학연구소는 의학 지식 공유에 관심 있으신 집필진분들을 상시 모집하고 있답니다 기존 집필 경험이 있으신 분뿐만 아니라 신규 집필 희망자 또는 당사의 출판 프로젝트에 참여하여 집필 경험을 쌓고 싶으신 보조저자분들도 모집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보조저자를 지원해 주신 선생님과 저희 대표님(저자 이상봉)의 미팅이 있었던 날이랍니다^^ 공중보건의사로 근무 중이신 선생님께서 의료인들의 학습과 전반적인 의료의 질 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교육 플랫폼의 개발 및 의료시스템을 개혁하는 방법에 대해 평소 관심이 많으셨는데,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 시리즈를 통해 바른의학연구소를 알게 되셨고, 저희 필진 모집 글을 보시고 책의 출판과정을 경험해보시고자 문을 두드려주셨답니다! 바른의학연구소에 관심을 가져주신 선생님께 진심으로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저자

[호흡기] 폐암 문제1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호흡기 - 폐암편 문제입니다. 01. 35갑·년의 흡연력을 가진 62세 남성이 지속되는 기침을 주소로 병원에 왔다. 가슴 X선 및 가슴전산화 단층촬영에서 우하엽 말초 부위에 2 cm 크기의 결절이 발견되었다. 폐기능은 정상이다. 다음에 해야 할 검사로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① 폐관류스캔 ② 가슴 자기공명영상촬영 ③ 경피적 가는 바늘 흡인 세포검사 ④ 가래세포검사 ⑤ 3개월 후 가슴 전산화단층촬영 정답 공개합니다. 정답 : ③ 경피적 가는 바늘 흡인 세포검사 고립 폐결절(solitary pulmonary nodule)이란 형태와 관계없이 주변의 정상적인 폐조직과 뚜렷한 경계를 가지는 지름 1~6 cm 크기의 결절이다. 폐암의 가능성을 염두하고 접근해야 한다. 지난 2년 간 크기 변화가 없다면 양성으로 생각할 수 있다. 석회화가 특정한 모습일 때 양성 및 악성 감별에 도움이 된다. Solid nodule, nonsolid nodule(pure GGN)

[심혈관] 말초동맥질환 문제1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심혈관 - 말초동맥질환편 문제입니다. 01. 69세 남자가 3개월 전부터 걸을 때 오른쪽 종아리가 아파서 병원에 왔다. 100 m 정도만 걸어도 아팠고 걸음을 멈추고 쉬면 통증이 사라진다고 하였다. 30년 전부터 혈압강하제를 복용하고 있으며 40갑·년의 흡연력이 있었다. 혈압 140/90 mmHg이었다. 양쪽 다리 진찰에서 감각은 정상이었고 다리위로올림검사(straight leg-raising test) 결과 허리와 다리에서 통증은 유발되지 않았다. 검사는? ① 근전도검사 ② 발목위팔지수 ③ 신경전도검사 ④ 허리 자기공명영상촬영 ⑤ 다리 자기공명혈관조영술 정답 공개합니다. 정답 : ② 발목위팔지수 오른쪽 종아리 통증, 간헐성 파행(intermittent claudication) 양상을 보이고 있다. 파행을 보이는 경우 혈관성 파행인지 신경인성 파행인지를 감별하는 것이 중요하다. 구분 혈관성(허혈성) 파행 거짓(신경인성) 파행 증상의 기전 하지 근육으

[소화기] 식도질환 문제1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소화기 - 식도질환편 문제입니다. 01. 26세 남자가 자살을 목적으로 HCI을 삼킨 뒤 2시간때 가슴의 통증을 호소하였으며 동시에 호흡곤란을 호소하였다. 다음 중 가장 우선적으로 시행해야 할 조치는 무엇인가? ① Gastric lavage ② 상부위장관조영술 ③ Chest PA로 식도파열 여부관찰 ④ 일주일 뒤 식도위내시경 시행 ⑤ 제산제 2시간 간격으로 투여 정답 공개합니다. 정답 : ③ Chest PA로 식도파열 여부관찰 진단은? KEY CLUE HCl을 삼킨 후 흉통, 호흡곤란 발생 부식성 식도염 발생, 식도천공 가능성 심한 부식성 식도염의 합병증으로 식도천공이 생길 수 있다. 알칼리 혹은 산성 물질을 삼킨 후에 발생하는 부식성 식도 손상은 우발적 혹은 자살시도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구강 손상이 없는 경우라도 식도 손상을 배제할 수는 없다. 따라서 내시경 검사를 빨리 시행하여 식도 점막 손상 정도를 확인하는 것이 좋다. 심한 부식성 손상은

[의학총론] 소아/신생아 심폐소생술 문제1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의학총론 - 소아/신생아 심폐소생술편 문제입니다. 01. 7세 남자 아이가 미끄럼틀 옆에 쓰러져 있는 것을 우연히 지나가던 사람이 발견하였다. 머리덮개(두피, Scalp)에서 피가 나고 있었고 몸을 움직이지 않았다. 양쪽 팔다리는 쳐져 있었다. 우선 조치는? ① 머리 젖히고 턱 들기(Head tilt chin lift) ② 인공호흡(Rescue breath) ③ 가슴압박(Chest compression) ④ 다리 올리기 ⑤ 큰 소리로 불러서 반응 확인 정답 공개합니다. 정답 : ⑤ 큰 소리로 불러서 반응 확인 KEY CLUE 7세 남자 아이. 미끄럼틀 옆에 쓰러져 있다. 머리덮개에서 피가 나고 있다. 몸을 움직이지 않는다. 양쪽 팔다리는 쳐져 있다. 누가봐도 미끄럼틀 타다가 떨어져서 traumatic brain injury 그리고 이와 연관하여 심정지가 발생한 것으로 추정되는 상황이다. 그렇다면 바로 심폐소생술을 시행해야 할까? 아직 아이의 반응 유

[Master KMLE 2019/2020] 주요 개정내용 및 주요 레퍼런스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Master KMLE 2019/2020의 주요 개정 내용 및 주요 레퍼런스에 대해 알아보도록 할게요! Master KMLE 주요 개정 내용 올해 출간된 Master KMLE 2019/2020가 작년에 미니버전으로 출간된 Master KMLE 2018/2019와 비교해서 크게 어떤 부분이 개정 되었는지 확인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6권 → 13권 2018년 내외과의 focused update에 이어 2019년판에서는 의학총론/외과총론, 정신과, 신경 및 기타계통, 산과/부인과, 소아과 총론/각론으로 과목을 확대하였습니다. 기존 2018년 내외과파트뿐만 아니라 나머지 파트부분 또한 자세한 해설과 리뷰를 수록하였습니다. •의학총론/외과총론 의학총론/외과총론에는 의사라면 기본적으로 숙지해야 할 개념을 제시하고자 했습니다. 특히 의학총론의 목차 및 내용구성에 있어 심혈을 기울였습니다. 앞으로 지속적으로 가다듬어나갈 예정입니다. •해리슨 20판

[내분비] 뇌하수체 전엽 종양 증후군 문제1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내분비 -뇌하수체 전엽 종양 증후군편 문제입니다. 01. 24세 남성이 8개월 전부터 지속된 성욕감퇴와 발기불능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키 175 cm, 몸무게 67 kg이었으며 최근에 체중변화는 없었다. 턱 면도는 3일에 한 번씩 한다고 한다. 호르몬검사는 다음과 같다. 시행할 적절한 검사는? LH 1.2ng/dL (참고치:2~12) FSH 0.8IU/L (참고치:1~12) Testosterone 100ng/dL (참고치:270~1,070) ① 후각을 측정한다. ② 정액검사를 시행한다. ③ 염색체검사를 한다. ④ 고환 초음파검사를 한다. ⑤ Sella MRI를 찍는다. 정답 공개합니다. 정답 : ⑤ Sella MRI를 찍는다. KEY CLUE 성욕감퇴와 발기불능, 턱 면도는 3일에 한 번씩, 감소된 LH, FSH, Testosterone 환자는 생식선기능저하의 증상이 있고 검사소견에서도 관련 호르몬의 감소를 보이고 있다. 가장 먼저 뇌하수체종양을 비

[의학총론] 발열 문제1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의학총론 - Vital을 잘 다루자! - 발열편 문제입니다. 01. 급성림프구성 백혈병으로 1주 전 항암 화학치료를 받은 15세 남자 환자가 2일 전부터 발생한 발열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38.7 C 발열과 오한이 있었고, 그 외 신체검사 상 다른 이상 징후는 없었다. 중심정맥관 삽입 부위에도 발적은 없었고, 말초 혈액 호중구는 300이었다. 이 환자에게 지금 당장 필요한 조치는? ① 중심 정맥관 제거 ② 해열제 투여 후 관찰 ③ 경험적 항진균제 ④ 경험적 항생제 ⑤ 호중구 수혈 정답 공개합니다. 정답 : ④ 경험적 항생제 진단은? 항암 화학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에서 38.7 C 발열이 발생하였다. 호중구감소 발열(neutropenic fever)를 일단 염두에 두고 접근해야 한다. 발열이란? 고막 체온계로 측정 시 38.0 C 이상, 혹은 액와 체온계로 측정 시 37.5 C 이상으로 체온이 증가하는 경우로 정의한다. 고막 체온이나 액와 체온 측정이

[스마트일차진료매뉴얼 2판(근거편)] 개정 History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 입니다^^ 올해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 : 실전편(Case based approach)"이 출간된 것 다들 알고 계신가요?ㅎㅎ "실전편"은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 시리즈의 하나로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 2판(근거편)"과 상호 보완이 되는 책이랍니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다음 포스팅에서 자세히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 시리즈의 중심축인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 2판(근거편)"의 지금까지의 개정 History에 대해 한번 소개해드리겠습니다!! 개정 History 2011년 : 근거중심의 외래진료매뉴얼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의 개정 Hisory에 대해 제대로 알려면 2011년 출간되어 큰 반향을 일으켰던 "근거중심의 외래진료매뉴얼"로 거슬러 올라가야 합니다^^ "근거중심의 외래진료매뉴얼"은 일차의료현장에서 외래환자를 볼 때 교과서의 지식만으로는 막히는 부분이 많아, 대학병원에서 두 분의 전공의(저자 이상봉, 정세영)분들이

[내분비] 뇌하수체 기능저하증 문제1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내분비 - 뇌하수체 기능저하증편 문제입니다. 01. 35세 여자가 6개월 전부터 피로감이 심해진다고 병원에 왔다. 2년 전 둘째 아기를 출산하고 자궁출혈이 심해 수혈을 받은 경험이 있다고 한다. 출산 이후 모유가 나오지 않았고, 1년 전부터 월경이 나오지 않았다고 한다. 검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보충하여야 할 호르몬은? 크레아티닌 0.7mg/dL, Na+/K+/Cl- 130/4.3/94meq/L 유리 T4 0.72ng/dL(참고치, 0.8~1.7), 갑상샘자극호르몬 1.05mIU/L(참고치, 0.34~4.25) 코티솔 2.9μg/dL(참고치, 5~25), 부신겉질자극호르몬 4.9pg/mL(참고치, 6~76) 황체형성호르몬 0.20mIU/mL(참고치, 2.0~15.0) 인슐린유사성장인자-I 131.1ng/mL(참고치, 69~200) 프로락틴 14ng/mL(참고치, 1.9~25.0) ① L-티록신 ② 에스트로겐 ③ 성장호르몬 ④ 글루코코티코이드

[호흡기]주요 호흡기 증상/징후 문제1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호흡기 - 주요 호흡기 증상/징후편 문제입니다. 01. 50세 남자가 입에서 피가 나온다며 병원에 내원하였다. 전날 과음 후 몇 차례 토한 적이 있고 당일 아침 양치질 도중 기침을 하면서 피가 나왔다고 한다. 피는 선홍색을 띄었고 약 10 mL 정도 되었다고 하며 피에는 거품이 섞여 있었다고 한다. 3년 전 폐결핵으로 치료받은 적이 있다고 한다. 청진시 오른쪽 윗가슴에서 거품소리가 들렸을 때 객혈이라고 판단할 가장 중요한 근거는? ① 선홍색 피 ② 폐결핵 치료 ③ 거품이 섞인 피 ④ 기침을 하면서 배출 ⑤ 거품소리 정답을 공개합니다. 정답 : ④ 기관지동맥색전술 객혈(Hemoptysis)를 감별할 수 있는지 묻는 문제이다. 객혈은 호흡기계에서 발생한 피를 뱉어내는 것이라 정의한다(Hemoptysis is the expectoration of blood from the respiratory tract). 폐포에서 성대까지 이르는 기도내 어느 부분에서도

[Master KMLE 2019/2020] 개정 History (feat. 실제 Master KMLE로 공부하신 선생님 후기)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앞으로 최근 출간된 Master KMLE 2019/2020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는 시간들을 가져볼까 합니다! 오늘은 Master KMLE 개정 History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사실 이번에 개정 History에 대해 포스팅을 하게 된 이유는 본과 1학년 때 2016년도에 나온 Master KMLE로 공부를 하신 현재 본과 3학년 선생님께서 책에 대한 좋은 피드백을 해주셨기 때문입니다! 본과 1학년 때 2016년판 Master KMLE를 보셨는데, 해설이 자세하게 되어 있어 많은 도움이 되셨다고 합니다^^ 그래서 이번년도 Master KMLE 2019/2020에도 관심을 가지게 되셨고, 이번년도 Master KMLE는 해설이 2016년 판보다 더 자세하게 되어있어 의사국가시험을 준비하는 본과 4학년 선생님들뿐만 아니라, 본과 1~2학년분들이 보기에도 적합할 것 같다며, 이 부분을 콘셉트로 내세우면 좋을 것 같다는 말씀을 해주셨답니다.ㅎㅎ

[심혈관] 판막질환 문제2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심혈관 - 판막질환편 문제입니다. 02. 75세 여자가 건강검진에서 심잡음이 들린다고 해서 왔다. 특별한 증상은 없었다. 혈압 120/70 mmHg, 맥박 68회/분,호흡 20회/분, 체온 36.5였다. 가슴 청진에서 복장뼈 오른쪽 옆 두 번째 갈비 사이에서 3/6도의 수축기 잡음이 들렸고 왼쪽 목에서 수축기 잡음이 들렸다. 심초음파검사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조치는? ① 대동맥판막대치술 ② 매년 심초음파 검사 ③ 앤지오텐신전환효소억제제 ④ 도부타민스트레스 심초음파검사 ⑤ 99m Tc-단일광전자방출컴퓨터단층촬영 정답 공개합니다. 정답 : ① 대동맥판막대치술 오른쪽 우상부(복장뼈 오른쪽 옆 두 번째 갈비 사이)에서 수축기잡음이 들리고 있다. AS가 떠오른다. 심초음파소견에서도 대동맥판막 관련된 정보가 주로 제시되어 있다. 대동맥협착증의 중증도는 Vmax, aortic valve area, P를 기준으로 분류한다. 증증 AS의 기준 본 증례의 경우 도플

[소화기]변비 문제1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소화기 - 변비편 문제입니다. 01. 63세 여자가 심한 변비로 병원에 왔다. 체중감소, 혈변, 설사 등의 증상은 없었다. 배변시 힘을 주어도 분변 배출이 어려워 손으로 질 뒤쪽 벽을 눌러 주면 배변에 도움이 되었다. 검사 소견은 다음과 같을 때 다음으로 시행해야 할 검사는? Hb 14 g/dL. Hct 43 %, CEA(암배아항원) 2 μg/L(참고치: < 2) ① 배변 조영술 ② 소장조영술 ③ 경항문 초음파 ④ 대장 내시경 ⑤ 캡슐 내시경 정답 공개합니다. 정답 : ① 배변 조영술 KEY CLUE 체중감소(-), 혈변(-), 설사(-), 빈혈(-) 경고증상(-) 질 뒤쪽 벽을 눌러주었을 경우 배변 가능 기계적 폐쇄 배제, 기능 배변장애 의심 고령이긴 하지만 기질적인 질환을 의심할만한 경고 증상은 없다. 따라서 기질적인 원인을 밝히기 위한 검사는 당장 필요하지 않다. 만성 변비의 원인을 감별하기 위한 진단적 접근이 필요하며 대장통과시간, 항문직장내

[의학총론] 성인심폐소생술 문제1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소아과 - 소화기편 문제입니다. 01. 22세 남자가 계곡에서 놀던 중 물에 빠졌다가 구조되었다. 5분 이상 물에 빠져 있었고 구조 당시 몸은 차가웠다. 어깨를 두들겨도 반응이 없었고 호흡도 없었다. 우선 조치는? ① 기도 확보 ② 자동 제세동기(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ED) ③ 가슴압박(Chest compression) ④ 응급구조대 요청(Activation of emergency response system) ⑤ 단순 관찰(Observation) 정답 공개합니다. 정답 : ① 기도 확보 KEY CLUE 물놀이하던 중 빠졌다가(5분 이상) 구조된 경우 구조 당시:차가운 몸, 어깨를 두들겨도 반응(-), 호흡(-) 익수에 의한 심정지가 의심된다. 증례의 환자는 반응이 없고 호흡도 없는 심정지 상태이다. 일반적인 경우라면, 심정지로 판단하고 응급구조체계를 활성화한 뒤 CPR을 시작한다. 하지만 2010년 AHA

[소아과 각론] 감염을 이해하기 위한 기초 문제1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소아과 각론 - 감염을 이해하기 위한 기초편 문제입니다. 01. 5세 여아가 3주 간 지속된 발열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39C 이상의 고열이 하루에 한두 차례 있었다고 한다. 오랫동안 아파보였으나 신체검사에서 그외 특이 소견은 없었다. 다음 중 필요한 검사는? ① 혈액 배양 ② 결핵피부반응 검사 ③ 소변배양 ④ 말초혈액도말 ⑤ 모두 가능함 정답 공개합니다. 정답 : ⑤ 모두 가능함 불명열이 의심되는 증례이다. 참고로 발열로 인해 내원한 환아 중 감염 부위가 확실하지 않거나 비감염 원인이 발견되지 않으면 흔히 불명열이라는 용어를 쓰게 되나, 불명열은 발열이 병원에서도 관찰되며, 외래에서 3주 이상, 또는 입원 상태에서 1주일 간 검사해도 그 원인이 밝혀지지 않는 경우에 국한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불명열 시 시행하는 검사 혈액 검사 다핵구<5,000/μL:장티푸스 이외 잠재된 세균 감염 가능성↓ 다핵구> 10,000/μμL. 간상구>500/μL

[호흡기] 호흡기계 신체검사 문제1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호흡기- 호흡기계 신체검사편 문제입니다. 01. 35세 남자가 3시간 전부터 숨이 차서 응급실에 왔다. 숨을 크게 들이쉬면 왼쪽 가슴이 아프다고 하였다(한 가지). V/S 혈압 120/80mmHg, 맥박 96회/분, 호흡 22회/분, 체온 36.7 C 신체검사 가슴: 1) 촉진:촉각진동감 감소(왼쪽 가슴); 2) 타진:공명음 크게 증가(왼쪽 가슴); 3) 청진:호흡음 감소(왼쪽 폐) ① 폐렴 ② 무기폐 ③ 심장막염 ④ 폐공기증 ⑤ 가슴막삼출 ⑥ 가슴막유착 ⑦ 공기가슴증 ⑧ 기관지협착 정답 공개합니다. 정답 : ⑦ 공기가슴증 호흡곤란을 주소로 내원하였고 흡기 시 가슴통증을 호소하고 있다. 특별한 병력이 없는 남성에서 갑작스럽게 발생한 호흡곤란, 흉통이라면 기흉을 우선 떠올려볼 수 있을텐데, 신체검사를 통해서 initial impression이 맞는지 검증해보자. 타진 성음진탕 호흡음 부잡음 정상 공명음 정상 폐포호흡음 없음 폐경변 또는 무기폐(기관지

[심혈관] 심혈관계 신체검사(진찰) 문제1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심혈관 - 심혈관계 신체검사(진찰)편 문제입니다. 01. 63세 남자환자가 호흡곤란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환자의 정맥파가 저명한 x하강이 보이나 y하강이 뚜렷하지 않을 경우는 다음 중 무엇인가? ① Constrictive pericarditis ② Atrial fibrillation ③ Tricuspid Regurgitation ④ Complete heart block ⑤ Cardiac tamponade 정답 공개합니다. 정답 : ⑤ Cardiac tamponade 발생원리 증가하는 경우 감소하는 경우 a 파 우심방(RA) 수축으로 발생 저항 증가(large ‘a’ wave) TV의 저항 증가:TS TV 이후의 저항 증가:PS, Pulmonary HTN, RV failure 리듬 이상(cannon ‘a’ wave) 규칙적:Junctional rhythm (cannon a wave가 규칙적으로나타남) 불규칙적:AV dissociation with VT

[소화기] 설사 문제1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소화기 - 설사편 문제입니다. 01. 30세 여자가 설사로 병원에 왔다. 오늘 체육대회에서 점심으로 김밥을 먹었고, 오후부터 구토, 복통, 설사가 났다고 하였다. 김밥을 같이 먹은 동료들도 같은 증상을 보였다고 하였다. 혈압 100/60 mmHg, 맥박 90회/분, 호흡 18회/분, 체온 36.2 C였다. 원인균은? ① 이질균 ② 살모넬라 ③ 황색포도알균 ④ 장출혈대장균 ⑤ 장독소생성대장균 정답 공개합니다. 정답 : ③ 황색포도알균 오늘 체육대회에서 점심에 김밥을 먹고, 오후부터 증상발생 → 의심되는 음식 섭취 후 증상발생까지의 시간이 수 시간 내로 매우 짧다. 식중독을 일으키는 병원체 중 잠복기가 짧은 병원체 2가지를 기억하자!! 표. 세균성 식중독(잠복기별 원인 병원체) 잠복기(1-6시간) 잠복기(8-16시간) 잠복기(16시간 이상) Staphylococcus aureus Bacillus cereus Clostridium perfringens B

2019/2020 Master KMLE가 출간되었습니다.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드디어 2019/2020 Master KMLE가 출간되었답니다!! 짝!짝!짝! 미니버전으로 출간되었던 2018/2019 Master KMLE(총 6권)에 좋은 반응을 보여주셔서 이번에 범위를 확대하여 2019/2020 Master KMLE 세트(총 13권)를 출간하게 되었답니다^^ 그럼 이번에 출간된 Master KMLE에 대해 한번 알아보도록 할까요? Master KMLE 소개 1권 의학총론/외과총론 2권 소화기 3권 심혈관 4권 호흡기 5권 내분비 6권 신장요로/감염 7권 혈액/류마티스/알레르기 8권 정신 9권 신경 및 기타계통 10권 산과 11권 부인과 12권 소아과I(총론) 13권 소아과II(각론) 기존 Master KMLE와 달라진 점 내/외과뿐 아니라 정신/신경 및 기타계통, 산과/부인과, 소아과(총론/각론) 추가!! 해리슨/윌리엄스/최신 국내가이드라인 등 최신 레퍼런스 반영!! 새로운 문제 다수 추가! 기존 Master KMLE보다

스마트일차진료매뉴얼-실전편(Case based approach) 출간 소식을 전합니다.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스마트일차진료매뉴얼-실전편(Case based approach) 저자 이상봉입니다. 오랜만에 신간을 애독자분들에게 선보일 수 있어 기쁨이 충만하고 감사가 절로 나옵니다. 오늘부터 드뎌 주요 서점에서 실전편을 구매하실 수 있습니다. 예약판매 기간 중에 보여주신 뜨거운 관심에 얼마나 큰 격려를 받았는지 모릅니다. 마지막 탈고의 고단함도 금새 잊어버릴 정도였으니까요. 한동안 집필뿐만 아니라 출판과정까지 혼자 수행하면서 쉽지 않은 시간을 보내야했지만 의학서적집필을 주된 업으로 삼은지 10년이 다되가면서 이제서야 어느 정도 궤도에 올랐다는 느낌을 받습니다. 척박한 상황에서 어쩔 수 없이 수많은 시행착오를 범하면서 돌이켜보면 여러모로 부족한 책을 내왔다는 자괴감이 들때도 있지만 신간이 나올 때마다 믿고 구매해주시는 애독자분의 변함없는 성원 덕분에 이 일을 지속할 수 있는 것 같습니다. 작금의 척박한 의료환경 속에서 고군분투하시는 선생님들께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초심이 흐

[호흡기] 천식 문제2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호흡기 - 천식편 문제입니다. 02. 40세 남자가 3개월 전부터 숨이 차서 병원에 왔다. 1주에 두 번 정도 숨이 차고 밤에 숨이 차서 깬 적이 있다고 한다. 흡입 속효베타2작용제를 1주 3회 정도 사용 중이었다. 비흡연자이다. (한 가지). 신체검사 가슴 청진: 숨을 내쉴 때 쌕쌕거리는 소리 혈액검사 혈색소 14.0 g/dL, 백혈구 9,500/mm3 (중성구 50%, 림프구 10%, 호산구 10%), 혈소판 250,000/mm3 혈청 아스페르길루스 특이면역글로불린E항체 음성 폐기능검사 강제폐활량(FVC) 4.0 L (정상예측치의 92%), 1초간 강제날숨량(FEV1) 2.4 L (정상예측치의 78%) 기타 검사 가슴 X선 사진: 정상; 심전도: 정상 ① 테오필린 ② 항히스타민제 ③ 류코트리엔수용체차단제 ④ 경구 글루코코티코이드 ⑤ 경구 지속베타2작용제 ⑥ 항면역글로불린E항체 ⑦ 흡입 지속항콜린제 ⑧ 흡입 글루코코티코이드 ⑨ 흡입 속효베타2작용제

[소아과 각론] 소화기 증상 문제1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소아과 - 소화기편 문제입니다. 01. 5개월 남아가 설사와 구토로 병원에 왔다. 3일 전부터 하루 3차례 이상 무른 변이 있었고, 1일 전부터 2차례 구토도 있었다. 모유를 먹고 있었고, 보채거나 처지지는 않았다. 맥박은 90회/분, 체온은 36.8이다. 대변검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한 가지). 환원당 (-), 적혈구 (-), 백혈구 (-), 지방 (-) ① 금식 ② 아연 ③ 지사제 ④ 항생제 ⑤ 모유 수유 ⑥ 경구수액제 ⑦ 무유당분유 수유 ⑧ 0.9% 식염수 정주 정답 공개합니다. 정답 : ⑤ 모유 수유 진단은? KEY CLUE 5개월 남아, 설사, 구토 → 급성 위장염(acute gastroenteritis)이 가장 의심된다. 3일 전부터 하루 3차례 이상 무른변 ; 1일 전부터 2차례 구토 보채거나 처지지는 않음 맥박 90회/분, 체온 36.8 → 활력징후는 안정적 대변검사: 환원당 (-), 적혈구 (-), 백혈구 (-), 지방 (-) 설사

[심혈관] 부정맥:빈맥 부정맥 문제1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심혈관 - 빈맥 부정맥편 문제입니다. 01. 54세 남자가 30분 전부터 가슴이 두근거린다며 응급실에 왔다. 혈압 122/70 mmHg, 맥박 162회/분, 호흡 20회/분, 체온 36.3C이다. 진단은? 증상이 있을 때의 심전도 아데노신 투여 후 심전도 ① 동성빈맥(sinus tachycardia) ② 심방세동(atrial fibrillation) ③ 심방조동(atrial flutter) ④ 심실성빈맥(ventricular tachycardia) ⑤ 발작심실상성빈맥(paroxysmal supraventricular tachycardia) 정답 공개합니다. 정답 :③ 심방조동(atrial flutter) 두근거림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에서 시행한 심전도에서 빈맥 양상을 보이고 있다. 빈맥은 크게 wide QRS tachycardia인지 narrow QRS tachycardia인지로 분류하고 접근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본 증례의 경우는 narrow QRS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 실전편 샘플집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블로그와 쇼핑몰에 공개된 "스마트 일차진료 매뉴얼:실전편" 책에 대해 구체적인 로드맵과 책 표지를 소개해드렸었습니다. "스마트 일차진료 매뉴얼:실전편"에 무슨 내용들이 수록되어있는지 제일 궁금한 책 내용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기다리는 독자분들 지루하지 않게 샘플집을 만들어보았습니다. 지금 바로 클릭해보세요! 아래 내용 클릭! 클릭!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 실전편 샘플 하나! https://adobe.ly/2N3hQAe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 2판 실전편 샘플 #1. 체중관리(비만 관리) adobe.ly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 실전편 샘플 두울! https://adobe.ly/2RWWXrq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 2판 실전편 샘플 #2. 금연 adobe.ly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 실전편 샘플 세엣! https://adobe.ly/2I9kQwh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 2판 실전편 샘플 #3. 음주 adobe.ly "스마트 일차진료 매뉴얼:실전편" 많은 관심과

[소화기] 기능성 위장장애 문제1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소화기 - 위장관편1 문제입니다. 01. 31세 여자가 3개월 전부터 식사량이 줄어서 병원에 왔다. 식후에 속이 더부룩하고 명치 부위가 아파서 식사를 자주 거른다고 하였다. 신물이 올라오거나 속이 쓰리지는 않다고 하였다. 대학생 때도 비슷한 증상으로 몇 달 동안 약을 복용하였다고 하였다. 체중은 변화가 없었다. 혈압 110/70 mmHg, 맥박 65회/분, 호흡 18회/분, 체온 36.6이다. 복부 청진에서 장음은 정상이었다. 압통은 없고 덩이는 만져지지 않았다. 식도위내시경검사는 정상이다. 치료는? ① 우르소데옥시콜산 ② 클라리트로마이신 ③ 폴리에틸렌글리콜 ④ 바클로펜(baclofen) ⑤ 부스피론(buspirone) 정답을 공개합니다. 정답 : ⑤ 부스피론(buspirone) 진단은? KEY CLUE 젊은 여성에서 3개월 전부터 발생한 식사량 감소, 식후 속 더부룩함, 명치부위 통증 → dyspepsia reflux symptoms(-), hea

[의학총론] 화상 문제1,2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의학총론/외과총론 - 화상편 문제입니다. 01.38세 남성이 화재로 왼다리 전체, 왼팔 전체, 몸통 뒷면에 3도 화상을 입고 응급실에 내원하였다. 환자는 키 175cm, 몸무게 80kg이었다. Rule of nines에 근거하여 Parkland 공식에 의해 첫 8시간 동안 주어야 하는 수액의 총량은? ① 12,400 mL ② 23,600 mL ③ 7,200 mL ④ 8,640 mL ⑤ 14,400 mL 02. 30세 남성이 왼팔에 3도 화상을 입어 왔다. 상처 부위는 푸르고 차가웠으며 요골동맥의 맥박이 느껴지지 않았다. 가장 먼저 해야 할 치료는? ① 헤파린 투여 ② 스트렙토키나아제 투여 ③ 스테로이드 투여 ④ 왼팔 절단 ⑤ 괴사딱지 절개술 정답 공개합니다. 01번 문제 정답 : ③ 7,200 mL ※ 본 해설은 2018 KMLE에 수록된 내용입니다. 2019 KMLE에서는 해설이 업데이트될 예정입니다. KEY CLUE 화상 범위, 9의 법칙, Pa

[호흡기] 과민폐렴/호산구 폐침윤 문제1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호흡기 - 과민폐렴편 문제입니다. 01. 58세 남자가 걸으면 숨이 차서 병원에 왔다. 35년 전부터 버섯 재배 막사에서 일하였고 3년 전부터 호흡곤란과 마른 기침이 점차 심해졌다. 숨을 들이쉴 때 비빔거품소리가 청진되었고 호흡음은 감소하였다. 검사 결과는 다음과 같을 때 이 질환의 기전은? 느타리버섯 침강항체: 양성 폐기능검사: 강제폐활량-예측치의 60% 1 초간 강제날숨량 - 예측치의 7% ① 중심기관지의 반복적 염증 ② 면역복합체 생성 ③ 느타리버섯에 대한 면역글로불린E 증가 ④ 호산구와 비만세포 매개 ⑤ 기관지폐포 내 억제T림프구 감소 정답을 공개합니다. 문제 정답 : ② 면역복합체 생성 의심되는 진단은? KEY CLUE 버섯 재배 병력(35년 전부터) -> 3년 전에 발생하고 점차 심해지는 호흡곤란, 마른 기침 // 버섯 재배 근무환경이 현 증상과 연관된 항원 노출에 대한 환경요인으로 작용하지 않았을까? 숨을 들이쉴 때 비빔거품소리(insp

[소화기] 고빌리루빈혈증 문제1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소화기 - 고빌리루빈혈증편 문제입니다. 01. 22세 남성 환자로 2년 전부터 가끔 과격한 운동 후에 눈동자의 황달이 출현하여 입원하였다. 혈청 생화학 검사 소견은 total bilirubin 3.5 mg/dL, direct bilirubin: 0.7 mg/dL, AST/AST 20/20U/L, ALP 100 IU/L이었고 안정 후 황달은 소실되었다. 치료는? ① 경과 관찰 ② adefovir ③ deferoxamine ④ penicillamine ⑤ UDCA 정답을 공개합니다. 문제 정답 : ① 경과 관찰 빌리루빈만 단독으로 증가되어 있고 다른 간기능검사 소견은 정상이다. 그리고 빌리루빈 중 직접 빌리루빈은 정상범위인 것을 보면 본 증례는 간접 빌리루빈이 상승해있는 경우이다. 간전 빌리루빈만 상승되어 있는 단독 고빌리루빈혈증의 경우 감별진단해야 할 질환은 크게 다음과 같다. 1) 자가 용혈과정으로 인하여 빌리루빈의 과다생성(용혈성 질환과 비효과적

[심혈관] 대동맥 질환 문제1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심혈관 - 대동맥질환편 문제입니다. 01. 75세 남자가 4개월 전부터 배가 아팠다며 병원에 왔다. 복통은 가끔씩 배꼽 주변에서 발생하며, 조이는 듯한 양상이다. 20년 전부터 혈압강하제를 복용 중이었다(두 가지). P/E V/S: 혈압 160/95 mmHg, 맥박 80회/분, 호흡 20회/분, 체온 36.5˚C 복부: 배꼽 주변에서 만져지는 박동성 덩이 ; 압통/반동압통(-/-) 혈액검사 혈색소 10.5 g/dL, 백혈구 6,600/mm3, 혈소판 155,000/mm3 총단백질 6.6 g/dL, 알부민 3.1 g/dL 총빌리루빈 1.0 mg/dL, 알칼리인산분해효소 125 U/L 아스파르테이트아미노전달효소 30 U/L 알라닌아미노전달효소 33 U/L 암항원(CA) 19-9 8.3 U/mL (참고치, <37) 암배아항원(CEA) 2.8 ng/mL (참고치, <5) 알파태아단백질 3.5 ng/mL (참고치, <8.5) ① 복부 초음파 ② 복부 컴퓨터단

[책표지 공개]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 실전편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 실전편" 출시 예정이 몇주 남지 않았습니다. 원래 계획은 1월 말이였으나 여러분에게 더욱더 알찬 구성과 최신 정보를 보여드리고자 늦어지고 있습니다. ㅠㅠ 저희 책을 기다리시는 분들에게 죄송합니다. 2월 말에는 출시 될 예정이오니 조금만 기다려주세요! 실전편은 어떤 모습으로 나올지 궁금하실 것 같아서 저희가 준비했습니다. 오늘 책 표지를 공개합니다!! 두둥! 근거편과 실전편이 서로 연결되어 한단계 한단계 계단을 올라서서 Primary care speciallist가 되시기를 바라는 의미로 책표지를 구성하였습니다. 이번 실전편도 근거편에 이어서 1,2편으로 알차게 만들고 있으니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곧 설 연휴가 시작됩니다! 바른의학연구소 독자 여러분~ 새해 복 많이 많이 받으세요!

[심혈관] 심장막(심낭) 질환 문제1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심혈관 - 심장막질환편 문제입니다. 01. 38세 여자가 2일 전부터 누우면 가슴이 아프다며 응급실에 왔다. 2주 전부터 기침과 열감이 있었다. 가슴 통증은 목과 왼쪽 어깨까지 뻗치고, 앉거나 몸을 앞으로 수그리면 사라진다. 혈압 100/70 mmHg, 맥박 116회/분, 호흡 20회/분, 체온 37.2이다. 목정맥이 늘어나 있다. 가슴 청진에서 심음이 약하게 들린다. 수축기 혈압은 날숨 때 100 mmHg이고 들숨 때 82 mmHg까지 감소한다. 병터는? ① 가슴막 ② 심장막 ③ 대동맥 ④ 폐동맥 ⑤ 관상동맥 정답을 공개합니다. 문제 정답: ② 심장막 KEY CLUE 2일전부터 발생한 가슴통증(2주 전 기침, 열감) 누우면 가슴이 아프다. 몸을 앞으로 수그리면 사라진다. → 가슴통증인데 양상이 좀 특이하다. 급성 심장막염(acute pericarditis)에 특징적인 양상이다. 목과 왼쪽 어깨로 방사되는 통증 → 심근경색? 급성 심장막염(acute

[소아과 각론] 위십이지장 질환 문제1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소아과 - 소화성 궤양편 문제입니다. 01. 11세 남아가 5주 전부터 배가 아파 병원에 왔다. 공복 시에 명치와 배꼽부위가 아프다고 하였다. 1주일 전부터 통증이 심해졌으며, 새벽에 배가 아파서 깬다. 소화는 잘 되지 않았으나, 구토, 설사, 변비는 없었다. 검사는? P/E V/S: 혈압 100/60 mmHg, 맥박 90회/분, 호흡 25회/분, 체온 36.5 키/체중: 각각 3백분위수 복부: 부드럽게 만져짐 ; 간/지라: 만져지지 않음 혈액 혈색소 10.7 g/dL, 백혈구 8,900/mm3, 혈소판 225,500/mm3 ① 복부 초음파 ② 식도내압검사 ③ 식도위내시경 ④ 복부 컴퓨터단층촬영 ⑤ 비디오투시식도조영술 정답을 공개합니다. 문제 정답: ③ 식도위내시경 KEY CLUE 11세 남아. 5주 전부터 시작된 복통 → 만성복통의 정의(2개월 이상)에 아직 부합하지는 않지만 복통 지속기간이 긴 편이다. 공복 시에 명치와 배꼽주위. 1주일 전부터

[호흡기] 환기장애 문제1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호흡기 - 환기장애편 문제입니다. 01. 20세 여자가 1시간 전부터 숨이 차고 가슴이 답답하다며 응급실에 왔다. 남자친구와 다툰 직후 증상이 생겼고, 손발이 저린 증상도 있다. 1년 동안 비슷한 증상이 두 번 있었다. 필요한 검사는? P/E V/S: 혈압 140/90 mmHg, 맥박 104회/분, 호흡 30회/분, 체온 36.8 가슴 청진: 심음/호흡음 : 정상 동맥혈가스 분석 (대기호흡) pH 7.51, PaCO2 28 mmHg, PaO2 100 mmHg, HCO3- 22 meq/L ① 홀터검사 ② 심초음파검사 ③ 운동부하심전도검사 ④ 가슴 컴퓨터단층촬영 ⑤ 안정 후 동맥혈가스분석 재검사 정답 공개합니다. 문제 01 정답 : ⑤ 안정 후 동맥혈가스분석 재검사 KEY CLUE 젊은 여성이에서 갑자기 발생한 호흡곤란, 가슴 답답함: 남자친구와 다툰 직후 발생 손발 저림 동반 V/S: 호흡 30회/분 → 호흡수 과다 동맥혈가스분석: 호흡성 알칼리증,

[외과총론] 이식 문제1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의학총론/외과총론 - 이식편 문제입니다. 01. 콩팥이식을 받은 23세 남성 환자가 이식한 이후 3주째 소변량이 줄어들고 고열, 이식콩팥 부위의 통증이 있 으며, BUN, Cr이 증가하였다. 면역 억제제로는 cyclosporin, steroid를 투여해 왔다. 치료로 적당한 것은? ① cyclosporin 용량 증가 ② steroid pulse therapy ③ azathioprine 병용 투여 ④ 면역억제제 용량 감량 ⑤ 이식콩팥 제거 정답 공개합니다. 문제 정답 : ② steroid pulse therapy ※ 본 해설은 2018 KMLE에 수록된 내용입니다. 2019 KMLE에서는 해설이 업데이트될 예정입니다. KEY CLUE 콩팥이식, 핍뇨, 발열, 면역 억제, 급성 거부반응 콩팥이식 환자에서 급성 거부반응을 시사하는 소견을 제시한 후 치료를 묻는 문제입니다. ② 이식 후 3주째에 발생한 핍뇨, 발열, 이식부위의 통증 등이 급성 거부반응을 시

[심혈관] 고혈압 문제1,2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심혈관-고혈압편 문제입니다. 01. 48세 여자가 건강검진에서 혈압이 높다고 해서 병원에 왔다. 혈압 150/95 mmHg, 맥박 78회/분, 호흡 22회/분, 체온 36.8이다. 키 162 cm, 몸무게 56 kg이다. 가슴 청진에서 심음과 호흡음은 정상이다. 조치는? ① 경과관찰 ② 가정혈압측정 ③ 운동부하검사 ④ 맥박파전파속도 ⑤ 24시간 홀터검사 02. 68세 남자가 혈압이 높다며 왔다. 15년 전부터 혈당강하제를 복용 중이다. 혈압은 158/96 mmHg, 맥박 68회/분, 호흡 24회/분, 체온 36.6이다. 가슴청진에서 심음과 호흡음은 정상이다. 검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한 가지). 소변 미세알부민/크레아티닌 310 mg/g (참고치, 0~30) ① 라미프릴(ramipril) ② 미녹시딜(minoxidil) ③ 프라조신(prazocin) ④ 카르베딜롤(carvedilol) ⑤ 푸로세미드(furosemide) ⑥ 히드랄라진(hydralaz

[소화기] 복수 문제1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소화기 - 복수편 문제입니다. 01. 53세 여자가 2주 전부터 서서히 배가 불러온다며 병원에 왔다. 체중은 평소보다 4 kg 늘었다고 한다. 피로감이 있고 계단을 오르면 숨이 찬다고 한다. 검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세 가지). P/E V/S: 혈압 110/80 mmHg, 맥박 90회/분, 호흡 18회/분, 체온 37 P/E: 의식 명료 ; 복부: 복부팽만, 이동둔탁음 ; 양쪽 정강뼈앞 오목부종 혈액 알부민 2.9 g/dL, 아밀라아제 64 U/L 복수 알부민 1.3 g/dL, 백혈구 150/mm3 (중성구 70%, 림프구 20%), 적혈구 100/mm3 ① 간경화증 ② 결핵복막염 ③ 고름공기복막염 ④ 급성이자염 ⑤ 만성콩팥기능상실 ⑥ 버드-키아리증후군 ⑦ 복막암종증 ⑧ 울혈심장기능상실 정답을 공개합니다. 정답 : ① 간경화증, ⑥ 버드-키아리증후군, ⑧ 울혈심장기능상실 KEY CLUE 서서히 진행된 복부팽만, 체중증가, 이동둔탁음 → 복수 가능성

[심혈관] 판막질환 문제1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심혈관 - 판막질환 문제입니다. 01. 75세 남자가 혈압이 높아서 병원에 왔다. 10년 전부터 혈압이 높다는 말을 들었으나 혈압강하제를 복용하지는 않았다. 치료는? P/E V/S: 혈압 160/95 mmHg, 맥박 72회/분, 호흡 16회/분, 체온 36.2 가슴 청진: 심음 규칙적 ; 복장뼈 오른쪽 두 번째 갈비 사이 공간에서 들리는 3/6도의 수축기잡음 심초음파 대동맥판막 최고혈류속도(Vmax): 3.0 m/sec (참고치, <2.0) 대동맥판막 평균압력차(Pmean): 20 mmHg (참고치, <16) 대동맥판막 면적(AVA): 1.2 cm2 (참고치, >2.0) 왼심실박출률: 60% (참고치, ≥55) 국소벽운동이상: 없음 ① 항응고제 ② 칼슘통로차단제 ③ 대동맥판막대치술 ④ 카테터경유대동맥판막 삽입 ⑤ 피부경유대동맥판막풍선성형술 정답을 공개합니다. 문제 정답 : ② 칼슘통로차단제 진단은? KEY CLUE 75세 남자, 고혈압을 주소로 내원

[소아과 각론] 심혈관 문제1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소아과 - 심혈관편 문제입니다. 01. 7세 여아가 학교신체검사에서 발견된 심잡음으로 병원에 왔다. 앉은 자세에서 복장뼈 왼쪽 위 가장자리에서 2/6도의 지속성 심잡음이 들렸고, 제2심음은 정상이었다. 고개를 돌리거나 누운 자세에서는 심잡음이 줄었다. 진단은? ① 동맥관열림증 ② 심방사이막결손 ③ 폐동맥분지협착 ④ 스틸잡음(Still’s murmur) ⑤ 정맥잡음(venous hum) 정답을 공개합니다. 문제 정답: ⑤ 정맥잡음(venous hum) KEY CLUE 학교신체검사에서 발견된 심잡음 → 특별한 증상없이 우연히 발견된 심잡음이다. 앉은 자세에서 복장뼈 왼쪽 위 가장자리에서 들리는 2/6도의 지속성 심잡음. 제2심음 정상 → pathologic murmur? innocent(functional) murmur? 이완기에 들리거나 강도가 3도 이상의 잡음은 무해성 심잡음이 아닌데 이에 해당하지 않으므로 innocent murmur 가능성도 있다

[소화기] 위장관출혈 문제2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소화기편 - 위장관 출혈 문제입니다. 02. 28세 남자가 3시간 전에 피를 토했다고 병원에 왔다. 회식에서 과음한 후에 자다가 속이 좋지 않아서 구토를 했는데 한 국자 정도의 검붉은 피를 토했다고 한다. 평소 복용하는 약은 없다. 코위관에서 선홍색 피가 흘러나왔다. 우선 처치는? ① 위창냄술 ② 위장조영술 ③ 탐색개복술 ④ 혈관색전술 ⑤ 식도위내시경 정답을 공개합니다. 문제 정답 : ⑤ 식도위내시경 KEY CLUE 과음 후 구토, 토혈(검은색 피) 발생 → 상부위장관 출혈? 코위관에서 선홍색 피→ 상부위장관 출혈! 직장손가락검사: 흑색변(-), 혈변(-) → 하부위장관 출혈 가능성은 낮다. 상부위장관 출혈이라면 출혈양이 많지는 않을 것이다. 평소 복용하는 약물은 없다. → 소화성 궤양 가능성은 낮은 편 상부위장관 출혈이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소화성 궤양? NSAIDs, H. pylori 감염이 소화성 궤양 원인의 big 2이다. 평소 복용하는 약물

[의학총론] 동물교상 문제1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의학총론/외과총론편 - 외상 문제입니다. 01. 56세 남자가 오른쪽 다리를 개에 물려 응급실에 왔다. 개는 광견병 예방접종을 받았다고 한다. 상처는 지름 3 cm 크기로 표피가 일부 뜯겨 있었고, 개의 침에 오염되어 있었다. 환자는 20년 동안 파상풍 백신을 맞은 적이 없다고 하여 응급실 담당의사는 파상풍 면역글로불린을 주사하였다. 다음 조치는? ① 파상풍 백신 1회 접종 ② 파상풍 백신 2회 접종 ③ 파상풍 백신 3회 접종 ④ 파상풍 백신 1회 접종 후 5년마다 재접종 ⑤ 파상풍 백신 3회 접종 후 10년마다 재접종 정답을 공개합니다. 문제 정답 : ⑤ 파상풍 백신 3회 접종 후 10년마다 재접종 애완동물을 키우는 인구가 증가하면서 애완동물에 물려 내원하는 경우도 부쩍 증가하고 있다. 개에 물려서 내원하는 경우 몇 가지 이슈가 존재한다. 광견병/공수병에 대한 조치: 개는 이미 광견병 예방접종을 받았으므로 광견병에 대한 치료는 필요하지 않다. te

[호흡기] 천식 문제1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호흡기편 - 천식 문제입니다. 01. 45세 남자가 3개월 전부터 반복적으로 숨이 찬다며 병원에 왔다. 제빵사로, 근무할 때는 증상이 악화되고 휴가 중에는 증상이 호전된다고 한다. 원인을 알기 위한 검사는? P/E V/S: 혈압 130/60 mmHg, 맥박 70회/분, 호흡 20회/분, 체온 36.5 가슴: 청진- 호흡음 정상 가슴 X선 정상 폐기능 검사 강제폐활량 2.87 L (정상예측치의 90%) 1초간 강제날숨량 2.60 L (정상예측치의 83%) 메타콜린기관지유발검사 PC20 2.5 mg/mL (참고치, >16) ① 혈청 침전항체 ② 가슴 컴퓨터단층촬영 ③ 혈청 트립신분해효소 ④ 알레르기항원 기관지유발검사 ⑤ 혈청 알레르기항원 특이면역글로불린E항체 정답을 공개합니다. 문제 정답 : ⑤ 혈청 알레르기항원 특이면역글로불린E항체 KEY CLUE 중년 남성. 3개월 전부터 반복적인 호흡곤란 발생 직업: 제빵사 ; 근무할 때 증상 악화, 휴가 중 증상

[심혈관] 허혈 심질환 문제1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심혈관 - 허혈 심혈관 문제입니다. 01. 53세 남자가 3시간 전부터 가슴 가운데가 짓누르듯이 계속 아파서 응급실에 왔다. 3일 전 걷는 도중에도 비슷한 증상이 있었으나 2~3분 정도 서서 쉰 후 좋아졌다. 35갑 ∙ 년의 흡연자이다. 혈액 검사는? P/E 혈압 124/82 mmHg, 맥박 82회/분, 호흡 20회/분, 체온 36.8 목정맥 확장(-) ; 가슴 청진: 심음/호흡음 정상 심전도 ① D-이량체 ② 미오글로빈 ③ 트로포닌-T ④ C-반응단백질 ⑤ 뇌나트륨이뇨펩티드 정답을 공개합니다. 문제 정답 : ③ 트로포닌-T KEY CLUE 53세 남자, 3시간 전부터 갑자기 발생한 가슴 통증: 가슴 가운데, 짓누르는 양상, 3일 전 걷는 도중에도 비슷한 증상 발생(2-3분 정도 서서 쉰 후 호전) → acute coronary syndrome을 의심해야 하는 상황이다. 증상의 지속시간을 감안하면 acute MI 가능성이 높다. 흡연력(35갑∙년)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 실전편 - Case based approach의 구성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2019년 새해가 찾아왔습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새해 계획을 세우셨을텐데 그 계획에 바른의학연구소 책도 함께 하기를 욕심내어 봅니다. ^^ 지난 공지에 말씀드린 것처럼 출간될 책에 대한 정보를 알려드리겠습니다! 이번달 말에 나올 책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 실전편 - Case based approach" 은 2판까지 출간된 바 있는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Evidence based approach" 과 연결고리가 깊은 책입니다. 즉,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 Evidence based approach"는 "근거편" 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근거중심적이고 실제적인 매뉴얼을 만들고픈 저자 이상봉 선생님의 열망... 그러나 두 마리 토끼를 잡기에는 시간과 여력이 늘 부족함을 지난 "근거편" 책 머리말에 토로한바 있었죠. 그런데 오랜 집필기간 끝에 드뎌 나머지 한 축을 완성하여 조만간 독자분들에게 선보이신다고 하시네요. 이상봉 선생님이 책 출간을

[소화기] 위장관출혈 문제1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소화기 - 위장관 출혈편 입니다. 01. 28세 남자가 3시간 전에 피를 토했다고 병원에 왔다. 회식에서 과음한 후에 자다가 속이 좋지 않아서 구토를 했는데 한 국자 정도의 검붉은 피를 토했다고 한다. 평소 복용하는 약은 없다. 코위관에서 선홍색 피가 흘러나왔다. 우선 처치는? P/E V/S: 혈압 110/60 mmHg, 맥박 100회/분, 호흡 22회/분, 체온 37.2 가슴: 호흡음:정상 복부: flat, soft ; 직장손가락검사:흑색변(-), 혈변(-) 혈액검사 백혈구 6,370/mm3, 혈색소 11.4 g/dL, 혈소판 239,000/mm3 아스파르테이트아미노전달효소 35 U/L, 알라닌아미노전달효소 22 U/L, 총빌리루빈 1.0 mg/dL, 알부민 3.9 g/dL 혈액요소질소 19.3 mg/dL, 크레아티닌 1.1 mg/dL, 아밀라아제 79 U/L, 리파제 31 U/L, 프로트롬빈시간(INR) 1.2 ① 위창냄술 ② 위장조영술 ③ 탐색

[소아과 각론] 중추신경계 질환 문제1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소아과 각론 - 신경:열성경련편 문제입니다. 01. 13개월 남아가 39.5의 열과 함께 경련이 있어 병원에 왔다. 전신 발작은 5분 만에 멈추었다. 임신 나이 38주, 출생체중2,950 g으로 출생하였고, 3개월에 머리를 가누었고, 8개월에는앉혀 놓으면 혼자 앉아 있었다. 현재는 혼자 걸을 수 있다. 경련의 가족력은 없었다. 검사는? ① 경과관찰 ② 뇌파검사 ③ 발달검사 ④ 뇌 자기공명영상 ⑤ 뇌 컴퓨터단층촬영 정답을 공개합니다. 문제 정답 : ① 경과관찰 KEY CLUES 13개월 남아, 고열(39.5 C)과 함께 경련 발생 → 열성경련(febrile seizure)을 의심할 수 있다. 전신발작은 5분 내 멈춤, 전신 발작 → 열성경련 중 복합 열성 경련은 아니다. 임신 나이 38주, 출생체중 2,950 g으로 출생 → 정상적인 출생 3개월:머리 가누기/8개월:앉혀 놓으면 혼자 앉아있음/13개월:혼자 걷기 가능 → 정상적인 발달 경련 가족력 (-

[호흡기] 만성폐쇄성폐질환 문제1,2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호흡기 - 만성폐쇄성폐질환 문제입니다. 01. 70세 남자가 일주일 전부터 숨이 차서 병원에 왔다. 3년 전부터 기침, 가래가 지주 있었고, 계단을 오르거나 빨리 걸으면 숨이 찼다. 2주 전부터 기침, 가래가 늘면서 숨이 더 찼다. 50갑·년의 흡연자였고 결핵 병력은 없었다. 혈압 128/76 mmHg, 맥박 80/분, 호흡 24/분, 체온 36.5 C 였다. 청진 시 앙쪽 가슴에서 날숨 끝에 쌕쌕거림이 들렸다. 가슴 X선에서는 특이 소견이 없었다. 검사는? ① 메티콜린 기관지유발검사 ② 기관지내시경 ③ 폐기능 검사 ④ 동맥혈가스분석 ⑤ 가슴 컴퓨터단층촬영 02. 72세 남성이 숨이 차서 응급실로 왔다. 8년 전부터 숨이 차서 지역병원에서 치료받고 있었으며 최근감기 증상이 있은 후 숨이 더 찼다고 하였다. 50갑·년의 흡연력이 있었다. 의식은 명료하였으며 술통 가슴(barrel chest)이 관찰되었으며, 호흡음은 양쪽 폐에서 약하게 청진되었다. 대

[심혈관] 심장막(심낭) 질환 문제1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심혈관 - 심근질환편 문제입니다. 01. 38세 여자가 2일 전부터 누우면 가슴이 아프다며 응급실에 왔다. 2주 전부터 기침과 열감이 있었다. 가슴 통증은 목과 왼쪽 어깨까지 뻗치고, 앉거나 몸을 앞으로 수그리면 사라진다. 혈압 100 /70 mmHg, 맥박 116회/분, 호흡 20회/분, 체온 37.2 C이다. 목정맥이 늘어나 있다. 가슴 청진에서 심음이 약하게 들린다. 수축기 혈압은 날숨 때 100 mmHg이고 들숨 때 82 mmHg까지 감소한다. 병터는? ① 가슴막 ② 심장막 ③ 대동맥 ④ 폐동맥 ⑤ 관상동맥 정답을 공개합니다. 정답 : ② 심장막 KEY CLUE 2일 전부터 발생한 가슴통증(2주 전 기침, 열감) 누우면 가슴이 아프다. 몸을 앞으로 수그리면 사라진다. → 가슴통증인데 양상이 좀 특이하다. 급성 심장막염(acute pericarditis)에 특징적인 양상이다. 목과 왼쪽 어깨로 방사되는 통증 → 심근경색? 급성 심장막염(acut

[의학총론] 저혈압/쇼크 문제1,2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의학총론/외과총론 - 쇼크편 문제입니다. 01. 34세 남성이 의식불명상태로 응급실에 실려 왔다. 혈압은 60/40mmHg 맥박수는 분당 115회, 호흡수는 분당 30회, 체온은 36.5C이다. 복부팽만이 있었고, CVP는 2.5cmH2O이며 소변량은 시간당 20 mL 이하이다. 활력징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가장 우선 시행해야 할 것은? ① furosemide 20 mg IV ② dopamine 15 /kg/min IV ③ 링거용액 1,000 mL rapid infusion ④ 신선동결혈장 주입 ⑤ pRBC 2 pint 수혈 02. 15년전 급성심근경색으로 PCI를 2차례 시행받은 62세 남성이 하루전부터 시작된 호흡곤란으로 내원하였다. 혈압은 80/50mmHg, 심박수는 110회/분이었고, 호흡수는 26회/분이었다. 피부는 축축하였고, 목(경)정맥의 팽대(창)가 관찰되었다. 다리 부종이 있었고 폐하부에서 crackle이 들렸으며 수축기 심잡음이 나

[(2018)소화기] - 급성간염 문제1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소화기편 - 급성간염 문제입니다. 01. 27세 남자가 1주 전부터 소화가 잘 안 된다고 병원에 왔다. 소변색도 진해지고 욕지기가 나고 피로하다고 하였다. 40일 전 인도와 파키스탄을 여행하였다. 진단은? P/E 혈압 115 /75 mmHg, 맥박 95회/분, 호흡 18회/분, 체온 36.9 C 공막 황달 복부:1) 오른쪽 윗배 압통 (+)/반동압통 (-); 2) 오른쪽 갈비뼈 아래에서 간이 2 cm 정도 만져짐. 지라는 만져지지 않음 혈액검사 아스파르테이트아미노전달효소 306 U/L 알라닌아미노전달효소 525 U/L, 총빌리루빈 3.8 mg/dL 알칼리인산분해효소 190 U/L, 감마글루타밀전달효소 50 U/L IgM anti-HAV (-), IgG anti-HAV (+), HBsAg (-) anti-HBs (+), anti-HCV (-), IgM anti-HDV (-) IgM anti-HEV (+) ① 급성A형간염 ② 만성B형간염 ③ 급성C형간염

곧 새로운 책이 출간됩니다.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2018년도 바른의학연구소에서 출간된 책에 많은 관심을 가져주셔서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연말을 맞이하여 따끈따끈한 책 소식을 가져왔습니다! SMART 일차진료 매뉴얼 : 실전편 ( Case based approach ) 내년 1월말에 출간 될 예정입니다!! (짝짝짝!!) "SMART 일차진료 매뉴얼 : 실전편"에는 어떤 내용으로 구성되었는지 궁금하신가요? 실전편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내년에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많은 관심과 기대 부탁드려요~ ^^

[(2018)의학총론/외과총론] 수혈편 문제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의학총론/외과총론 - 수혈편 문제입니다. 01. 25세 남성 환자가 교통사고에 의한 쇼크 상태로 응급실에 왔다. 응급소생술 후 비장절제술과 간 구역 절제술을 받았는데, 수술 동안 15 unit의 저장혈과 8 L의 하트만액이 주입되었다. 수술창을 닫을 때 광범위한 울혈이 있었다. 이 환자에서 울혈의 원인으로 생각해 볼 수 있는 것 중 가장 먼저 고려해보아야 할 것은? ① 간부전증 ② 용혈작용 ③ 희석성 혈소판 부족증 ④ 비장기능항진증 ⑤ 혈청 프로트롬빈 부족증 02. 간경변을 앓고 있는 57세 남성이 전혈 수혈을 받던 중 오한, 강직, 발열이 발생하였다. 수혈 전에는 체온이36.5C이었고, 수혈 중 39.0C까지 상승하였으나 다른 활력징후는 정상이었다. 피부발진, 옆구리 통증, 혈뇨도 없었다. 이러한 반응을 일으키는 원인은? ① 공여 혈액의 감염 ② 공혈자 혈장 단백에 대한 수혈자 항체 ③ 공혈자 백혈구에 대한 수혈자 항체 ④ 수혈자 백혈구에 결합하는

[(2018)소아과 총론] 내분비 문제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소아과 총론 - 내분비편 문제입니다. 01. 7세 남아가 음모가 보여 병원에 왔다. 3개월 전부터 여드름이 생겼다. 음모 성성숙도 2기, 음경 성성숙도 2기, 고환은 각각 1 mL이다. 키 124.6 cm (75백분위수), 체중 23.6 kg (50백분위수)이다. 부모 키는 모두 3백분위수이다. 최근 한약이나 영양제를 복용한 적은 없다. 뼈나이는 9세이다. 성장곡선이다. 검사는? ① 난포자극호르몬 ② 갑상샘자극호르몬 ③ 인슐린유사성장인자-I ④ 17-히드록시프로게스테론 ⑤ 생식샘자극호르몬방출호르몬 자극검사 정답을 공개합니다. 정답 : ④ 17-히드록시프로게스테론 의심되는 진단은? KEY CLUE 7세 남아, 음모, 여드름 → 성조숙증이 의심되는 상황이다. 음모 성성숙도 2기, 음경 성성숙도 2기, 고환은 각각 1 mL → 음모, 음경은 성성숙도 2기를 보이고 있는데 고환은 사춘기 이전단계에 머물러 있다. 보통 2차 성징이라 하면 여아에서는 유방이 발

[(2018)심혈관] 판막질환 문제1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심혈관편 - 부정맥 3번째 문제입니다. 01. 75세 남자가 혈압이 높아서 병원에 왔다. 10년 전부터 혈압이 높다는 말을 들었으나 혈압강하제를 복용하지는 않았다. 치료는? P/E V/S : 혈압 160 /95 mmHg, 맥박 72회/분, 호흡 16회/분, 체온 36.2 C 가슴 청진 : 심음 규칙적; 복장뼈 오른쪽 두 번째 갈비 사이 공간에서 들리는 3 /6도의 수축기 잡음 심초음파 대동맥판막 최고혈류속도(Vmax) :3.0 m/sec (참고치, <2.0) 대동맥판막 평균압력차(Pmean) :20 mmHg (참고치, <16) 대동맥판막 면적(AVA) :1.2 cm2 (참고치, → 2.0) 왼심실박출률:60 % (참고치, ≥55) 국소벽운동이상:없음 ① 항응고제 ② 칼슘통로차단제 ③ 대동맥판막대치술 ④ 카테터경유대동맥판막 삽입 ⑤ 피부경유대동맥판막풍선성형술 정답을 공개합니다. 정답 : ② 칼슘통로차단제 진단은? KEY CLUE 75세 남자, 고혈압을

[(2018)소화기] 복통 문제2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소화기편 - 발열 문제 두번째입니다 02. 45세 남자가 하루 전부터 갑자기 윗배가 아프다고 병원에 왔다. 찌르는 듯한 또는 쓰린듯한 통증이 있는데 앉아 있을 때보다 반듯이 누웠을 때 통증이 더 심하다고 하였다. 메스껍다고 하고 수차례 구토를 하였다. 1주에 3~4회, 소주를 한 병씩 마신다고 한다. 혈압 130 /80 mmHg, 맥박 95회/분, 호흡 20회/분, 체온 37 C이다. 의식은 명료하고 공막에 황달은 없다. 명치 부위에 압통이 있으나 반동압통은 없다(두 가지). ① 급성곁주머니염 ② 급성쓸개염 ③ 급성막창자꼬리염 ④ 급성세균장염 ⑤ 급성이자염 ⑥ 범복막염 ⑦ 복부대동맥류 ⑧ 소화궤양 정답 공개합니다. 정답 : ⑤ 급성이자염, ⑧ 소화궤양 진단은? KEY CLUE 갑작스럽게 발생한 복통 P : 앉아 있을 때보다 반듯이 누웠을 때 통증이 더 심하다. Q : 찌르는 듯한 또는 쓰린듯한 통증 R : 상복부 S : moderate~severe

[(2018)의학총론/외과총론] V/S을 잘 다루자!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의학총론/외과총론 - V/S을 잘 다루자! 01. 56세 남자가 오른쪽 다리를 개에 물려 응급실에 왔다. 개는 광견병 예방접종을 받았다고 한다. 상처는 지름 3 cm 크기로 표피가 일부 뜯겨 있었고, 개의 침에 오염되어 있었다. 환자는 20년 동안 파상풍 백신을 맞은 적이 없다고 하여 응급실 담당의사는 파상풍 면역글로불린을 주사하였다. 다음 조치는? ① 파상풍 백신 1회 접종 ② 파상풍 백신 2회 접종 ③ 파상풍 백신 3회 접종 ④ 파상풍 백신 1회 접종 후 5년마다 재접종 ⑤ 파상풍 백신 3회 접종 후 10년마다 재접종 정답을 공개합니다! 정답 : ⑤ 파상풍 백신 3회 접종 후 10년마다 재접종 애완동물을 키우는 인구가 증가하면서 애완동물에 물려 내원하는 경우도 부쩍 증가하고 있다. 개에 물려서 내원하는 경우 몇 가지 이슈가 존재한다. ⑴ 광견병/공수병에 대한 조치:개는 이미 광견병 예방접종을 받았으므로 광견병에 대한 치료는 필요하지 않다. ⑵ t

[(2018)소아과 총론] 소화기편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소아과 총론 - 소화기편 문제입니다. 01. 5개월 남아가 설사와 구토로 병원에 왔다. 3일 전부터 하루 3차례 이상 무른 변이 있었고, 1일 전부터 2차례 구토도 있었다. 모유를 먹고 있었고, 보채거나 처지지는 않았다. 맥박은 90회/분, 체온은 36.8 C이다. 대변검 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한 가지). 환원당 (-), 적혈구 (-), 백혈구 (-), 지방 (-) ① 금식 ② 아연 ③ 지사제 ④ 항생제 ⑤ 모유 수유 ⑥ 경구수액제 ⑦ 무유당분유 수유 ⑧ 0.9 % 식염수 정주 02. 6개월 여아가 설사와 구토로 병원에 왔다. 3일 전부터 하루 5차례 이상 물변이 있었고, 대변에 피와 점액이 보였다. 1일 전부터는 3차례 구토도 있었다. 모유를 먹고 있었으나 잘 먹으려 하지 않았고, 잠만 자려고 하였다. 맥박은 115회/분, 체온은 36.5 C이다. 입안은 말라 있었고, 피부는 차고 얼룩얼룩 하다. 대변검사 결과는다음과 같다(한 가지). 환원당 (

[(2018)심혈관] 부정맥:서맥 부정맥 문제1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심혈관 - 부정맥 2편입니다. 01. 72세 여자가 20분 전에 갑자기 의식을 잃고 쓰러져서 응급실에 실려 왔다. 병원에 온 후에 정신이 들긴 했으나 자꾸 깜빡깜빡 하면서 어지럽다고 한다. 3주 전부터 3~4일에 한 번 정도 어지럼증이 있다가 점점 잦아져서 최근 일주일 동안은 매일 5~6회씩 생겼다. 10년 전부터 고혈압으로 니페디핀을 복용하고 있다. 혈압110 /65 mmHg, 맥박 90회/분, 호흡 18회/분, 체온 36.6 C이다. 의식은 졸린 듯이 보이나 부르면 바로 응답한다. 심전도이다. 치료는? ① 아트로핀 ② 아미오다론 ③ 이소프로테레놀 ④ 임시박동조율기 ⑤ 직류심장율동전환 정답을 공개합니다. 정답 : ④ 임시박동조율기 진단은? KEY CLUE 1 고령의 여성, 3주 전부터 발생한 반복적인 실신 : 빈도 증가하는 양상(3-4일에 한 번 → 매일 5-6회) 고혈압 병력(10년 전부터, nifedipine 복용 중) 의식수전:졸리듯 보이나

[(2018)소화기] 복통 문제1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마스터 KMLE 소화기편 - 발열 문제 입니다. 01. 22세 여자가 10일 전부터 배가 아팠다며 병원에 왔다. 매일 새벽에 명치부위가 쑤시듯이 아프고 메스꺼워 잠 을 일찍 깬다고 하였다. 1개월 전에 발목을 삐어서 약을 복용하고 있다고 한다. 의심되는 진단은?(두 가지) V/S : 혈압 120 /70 mmHg, 맥박 66회/분, 호흡 18회/분, 체온 36.6 C 키 158 cm, 몸무게 54 kg 복부 : 1) 청진:장음 정상 2) 촉진:명치부위 압통. 덩이 (-) ① 위염 ② 난소꼬임 ③ 급성쓸개염 ④ 자궁내막증 ⑤ 샘창자궤양 ⑥ 과민대장증후군 ⑦ 식도이완불능증 ⑧ 골반바닥기능장애 정답 공개합니다. 정답: ① 위염, ⑤ 샘창자궤양 KEY CLUE 1 10일 전부터 시작된 복통 Provocation/palliation: N/A Quality: 쑤시듯이 아프다. 구역 동반 Region/radiation: 명치부위 통증/압통 Severity: 잠을

[(2018)호흡기] 천식 문제1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마스터 KMLE 호흡기편 - 주요 호흡기 증상/징후 문제 입니다. 01. 45세 남자가 3개월 전부터 반복적으로 숨이 찬다며 병원에 왔다. 제빵사로, 근무할 때는 증상이 악화되고 휴가 중에는 증상이 호전된다고 한다. 원인을 알기 위한 검사는? P/E V/S:혈압 130 /60 mmHg, 맥박 70회/분, 호흡 20회/분, 체온 36.5 C 가슴:청진- 호흡음 정상 가슴 X선 정상 폐기능 검사 강제폐활량 2.87 L (정상예측치의 90 %) 1초간 강제날숨량 2.60 L (정상예측치의 83 %) 메타콜린기관지유발검사 PC20 2.5 mg/mL (참고치, > 16) ① 혈청 침전항체 ② 가슴 컴퓨터단층촬영 ③ 혈청 트립신분해효소 ④ 알레르기항원 기관지유발검사 ⑤ 혈청 알레르기항원 특이면역글로불린E항체 정답 공개합니다! 정답: ⑤ 혈청 알레르기항원 특이면역글로불린E항체 의심되는 진단은? KEY CLUE 1 중년 남성. 3개월 전부터 반복적인 호흡곤란 발생

[(2018)심혈관] 부정맥:빈맥 부정맥 문제1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마스터 KMLE 심혈관편 - 부정맥편 문제 입니다. 01. 55세 남자가 하루 전부터 식사할 때 사레가 들려서 왔다. 말을 하면 갑자기 콧소리가 났다. 밥과 국을 먹다가 사레가 들려 기침을 한다고 하였다. 비흡연자였고 1개월 전에 시행한 검진에서 식도위내시경은 정상이라고 하였다. 혈압 140/90 mmHg, 맥박 66회/분, 호흡 18회/분, 체온 36.6 C였다. 혀와 입안에 이상은 없었다. 후두경 검사에서 성대의 움직임은 정상이었지만 후두부에 음식물이 남아 있었다. 검사는? ① 머리기울임검사(head-up tilt test) ② 전기생리검사(electrophysiologic study) ③ 심장동맥조영술(coronary angiography) ④ 활동 사건기록기(ambulatory event recorder) ⑤ 삽입형 루프기록기(implantable loop recorder) 정답을 공개합니다. 정답: ④ 활동 사건기록기(ambulatory e

12월 공지사항입니다. [내부링크]

바른의학연구소 12월 공지사항입니다. 닥터쌤 2018. 12. 4. 16:50 이웃추가 본문 기타 기능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소아진료매뉴얼이 나온 후 여러분을 자주 찾아뵙지 못한 것 같네요! 앞으로는 자주 찾아뵙기 위해 바른의학연구소에서 준비했습니다~ 바른의학연구소에서 출간된 내용들을 블로그에서 맛보기! 경험하기!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과 Master KMLE 맛보기를 경험해보세요! 매주 1, 2회 문제와 컨텐츠를 들고 여러분을 찾아뵐게요!! 어떤 내용들이 업로드될지 궁금하지 않으신가요?! 바른의학연구소블로그에 많은 관심과 방문 부탁드립니다~

[(2018)소화기] 삼킴곤란 문제1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마스터 KMLE 소화기편 12월 첫째주 문제입니다. topic1. 주요 위장관 증상 - 삼킴곤란 01. 55세 남자가 하루 전부터 식사할 때 사레가 들려서 왔다. 말을 하면 갑자기 콧소리가 났다. 밥과 국을 먹다가 사레가 들려 기침을 한다고 하였다. 비흡연자였고 1개월 전에 시행한 검진에서 식도위내시경은 정상이라고 하였다. 혈압 140/90 mmHg, 맥박 66회/분, 호흡 18회/분, 체온 36.6 C였다. 혀와 입안에 이상은 없었다. 후두경 검사에서 성대의 움직임은 정상이었지만 후두부에 음식물이 남아 있었다. 검사는? ① 코곁굴 X선 사진 ② 식도내시경초음파 ③ 고식적식도내압검사 ④ 비디오투시삼킴검사 ⑤ 24시간 보행식도 산도검사 02. 62세 여자가 3개월 전부터 음식을 잘 삼키지 못하고 병원에 왔다. 삼키면 사레가 들리고 코로 음식물이 역류된다고 하였다. 4개월 전에 다리 뇌(pons) 출혈이 생겨 치료를 받아 왔다고 하였다. 필요한 검사는?

[신간출시] SMART 소아진료매뉴얼 제2판 출간! [내부링크]

전문의의 실제적인 지침서 SMART 소아진료 매뉴얼 출시! 이웃님들에게 꾸준한 사랑을 받았던 < SMART 일차진료매뉴얼 : 소아편 > 이 한층 더 upgrade 되어 돌아왔습니다~ 신간 출시된 SMART 소아진료 매뉴얼 궁금하시죠? ^^ 바른의학연구소에서 발빠르게 소개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가장 먼저 달라진 점은~ "SMART 일차진료매뉴얼 : 소아편" 에서 "SMART 소아진료 매뉴얼" 의 명칭 변화입니다. 명칭 변화를 시작으로 가장 중요한 컨텐츠의 변화 지금부터 주요 변화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1. 스마트 매뉴얼의 핵심 콘셉트 'Evidence based approach' & 'Practical apporach ' 이번 역시 철저히 근거중심으로 접근하면서 진료에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실제적인 지침을 제시했습니다. 2. 콤팩트해진 디자인 한 눈에 쏙!쏙! 들어오는 다이어그램과 인포그래픽화. 디자인의 콤팩트로 여유 페이지 확보를 통해서 내용의 내실화를 다졌습니다. 3. 전체적

[바른의학연구소] 쇼핑몰 OPEN ! [내부링크]

바른의학연구소, 쇼핑몰 OPEN 무더운 날씨에 이웃님들은 더위를 잘 이겨내고 계신가요? 바른의학연구소는 여름내내 뜨거운 열정으로 달려왔답니다. 그래서 오늘은 바른의학연구소에서 좋은 소식을 전해 드리려 합니다. 바로바로~ 바른의학연구소의 쇼핑몰이 오픈 되었다는 소식입니다!! 그럼 지금 만나보실까요? [바른의학연구소 쇼핑몰] http://www.barunlab.com 바른의학연구소 SMART 내과 세트 180,000원 통계의세계로 - dBSTAT길들이기 34,200원 SMART 내과 : 1권 세트 구매만 가능 SMART 내과 : 2권 세트 구매만 가능 SMART 내과 : 3권 세트 구매만 가능 www.barunlab.com 쇼핑몰 내의 카테고리를 이용해 여러 가지 컨텐츠도 만나보실 수 있답니다~ 쇼핑 뿐 아니라 의학서적에 관심있는 분 이라면 한번 더 주목 ! 필진모집과 더불어 원고투고, 역대필진을 통해 집필에 관심이 있으신 분들이 쉽고 간편하게 connect 하실 수 있도록 하였습니

2019년 마스터 KMLE가 출간되었습니다. [내부링크]

마스터 KMLE 2019년 마스터 KMLE가 출간되었습니다. 닥터쌤 2018. 5. 15. 10:18 이웃추가 본문 기타 기능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랜 기간 심혈을 기울여서 2018/2019년 마스터KMLE가 드디어 출간되었습니다! 짝!짝!짝! 이번 마스터KMLE는 내ㆍ외과편을 대폭강화하여 미니버전으로 출간되었습니다. 총 6권으로 구성해놓았습니다. 1권 소화기 2권 심혈관 3권 호흡기 4권 내분비 5권 신장요로/감염 6권 혈액종양/류마티스/알레르기 바른의학에서 만든 마스터 KMLE는 달라요! 1. 증례 기반의 구성 단순 수험서를 넘어 증례 기반으로 임상의로서의 기본기를 다질 수 있도록 구성해 놓았습니다. 2. 충실한 문제(증례) 해설 문제(증례)를 근거중심적이고 합리적인 방식으로 풀어가는 과정으로 담았습니다. 3. 과목이 아닌 계통별로 구성 내ㆍ외과를 통합하여 계통별로 구성했습니다. 4. 집필진/집필 시스템 집필진에 전문의들이 다수 포함되어 있으며 동일한 저자가 계

스마트 내과 출간 기념 이벤트 [내부링크]

스마트 내과 스마트 내과 출간 기념 이벤트 닥터쌤 2017. 11. 9. 14:55 이웃추가 본문 기타 기능 안녕하세요. 스마트 내과(3권 1세트) 출간기념으로 할인 이벤트를 제공해드리려고 해요.(~11월 30일) 이벤트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 링크를 통해 참여해주세요.!! 이벤트 참여

스마트 내과는 PUR제본방식 적용!! [내부링크]

스마트 내과 스마트 내과는 PUR제본방식 적용!! 닥터쌤 2017. 10. 27. 17:12 이웃추가 본문 기타 기능 안녕하세요. 스마트 내과의 제본방식에 대해서 설명을 드릴까 해요. 본 책의 판형은 B5사이즈(46배판)로서 보통의 학습교재랑 같은 사이즈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참고로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은 그거보다 작은 신국판 사이즈입니다. 보통 소설책 등의 단행본이 이런 사이즈죠.) 책의 특성상 잠깐잠깐 참고하는 책이라기보다는 두고두고 공부하는 책에 가깝기에 잘 펼쳐지면서도 뜯어지지 않는 내구성을 갖출 필요가 있을 것 같았어요. 그런 고민끝에 단순무선제본방식이 아닌 PUR 제본방식을 적용하기로 했습니다. 억지로 책을 펼칠 필요도 없이 아주 쫙 잘 펴집니다. 그럼 웬지 금방 페이지이탈이 일어날 것 같은데 내구성도 끝내줍니다.(물론 제본비용도 쭉 올라가지만 독자들의 편의를 위해서 그쯤은 감수해야죠ㅎ) PUR에 대한 자세한 소개는 다음 블로그글을 참고하세요.^^ PUR 제본의 장점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 2판: 정오집(실시간 반영: 마지막 반영 2017/11/08) [내부링크]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근거편)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 2판: 정오집(실시간 반영: 마지막 반영 2017/11/08) 닥터쌤 2017. 10. 27. 11:57 이웃추가 본문 기타 기능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류가 없는 책을 만들기 위해서 최선을 다했지만 역부족이었나 봅니다.ㅠㅠ 실시간으로 반영해드리기 위해서 구글문서를 통해 정리해서 제공해드리고자 합니다. 다음 링크를 통해서 현재까지 발견된 오류에 대한 내용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스마트일차진료매뉴얼 2판 정오집 확인하기 더 멋진 책을 만들기 위해서 부단히 노력하겠습니다.

스마트 내과 샘플집 [내부링크]

스마트 내과 스마트 내과 샘플집 닥터쌤 2017. 10. 24. 23:24 이웃추가 본문 기타 기능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스마트 내과 샘플집 공유해드립니다. 11월 초 출간예정입니다. 감사드립니다. 스마트 내과 샘플집 보기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 2판' 오늘부터 주요 인터넷 서점에서 구입 가능합니다. [내부링크]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근거편)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 2판' 오늘부터 주요 인터넷 서점에서 구입 가능합니다. 닥터쌤 2017. 9. 22. 13:38 이웃추가 본문 기타 기능 오늘부터 교보문고, YES24, 알라딘에서 구매 가능합니다. 다음주부터 대한의학서적 등의 의학서적전문쇼핑몰에서 구입가능할 것 같습니다. 출간 전부터 뜨거운 호응 보여주신 것 감사드립니다.!!

마스터 KMLE 2017/2018(mini version) 10월 중순 출간예정 [내부링크]

마스터 KMLE 마스터 KMLE 2017/2018(mini version) 10월 중순 출간예정 닥터쌤 2017. 9. 13. 16:00 이웃추가 본문 기타 기능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마스터 KMLE 2017/2018 mini version이 10월 중순에 출간될 예정입니다. 마스터KMLE는 작년(2016) 처음 발간되었고, 내과쪽 파트가 대대적으로 개정되어 mini version으로 출간될 예정입니다. 내용은 물론이거니와, 디자인도 새로운 옷을 입게 되었습니다. 조만간 샘플집도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바른의학연구소 타 교재(임상지침서)와의 연계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 스마트 내과 등) 문제중심학습(problem based learning) 원리 적용 근거중심 지침에 기반한 상세한 임상접근프로세스 기술 다양한 증례를 통한 실전 임상문제해결능력 배양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 2판 샘플집 [내부링크]

바른의학연구소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 2판 샘플집 닥터쌤 2017. 9. 11. 14:01 이웃추가 본문 기타 기능 안녕하세요.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 2판 정말 많이 기다리셨습니다. 인쇄제본업체 및 제본방식 선정에 신중을 기하느라 예정보다 2주 정도 딜레이되었습니다. 1판처럼 반양장제본을 할지 PUR제본(무선제본인데 책이 잘 펴질 수 있도록 특수처리를 한 제본 방식)을 할지 고민하다가 페이지가 만만치 않은지라 새로운 시도는 추후 다른 책에 적용하도록 하고 1판과 동일하게 반양장 제본을 택했습니다. 지난주에 인쇄제본이 들어간 관계로 다다음주 금욜쯤 책이 나올 것 같습니다. 샘플집 먼저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 2판 1권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 2판 2권 책 출간 전 미리 구입신청해주시는 분께 이벤트가로 제공해드리고 있습니다. [email protected]으로 문의주시면 이벤트 안내해드리겠습니다. 관심가져주시고 성원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 2판 출간 계획 [내부링크]

바른의학연구소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 2판 출간 계획 닥터쌤 2017. 8. 6. 14:23 이웃추가 본문 기타 기능 안녕하세요.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의 저자 이상봉입니다. 1판이 절판된지도 어느덧 7개월여가 흘렀네요. 6월에는 책을 낼 수 있을 줄 알았는데, 어느새 8월이 되었네요. 6월이 지나자 책 언제 나오는 문의가 종종 들어왔지만 막바지 작업에 몰두하고 있는 터라 홈피에 변경사항을 반영할 단 몇분의 시간을 내기도 힘드네요.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 1판은 바른의학연구소를 통해 처음으로 직접 출간하게 된 책이라서 여러모로 부족한 면이 많았습니다. 방대한 양의 책을 집필하면서, 편집, 인쇄, 제본 등의 모든 과정 또한 직접 진행해야 했기에 막판에는 힘에 많이 부치더군요. 그런 여파인지 나름 최선을 다했다고는 했지만 아쉬움이 참 많았습니다. 출간된 책을 열어볼 때면 금새 낯이 뜨거워져 이내 책을 덮곤 했습니다. 다시 책을 열어봐도 낯뜨거워지지 않을 수 있는 책을 만들고 싶었습니다. 그래

'2017-2018 시즌'에 담긴 의미 [내부링크]

마스터 KMLE '2017-2018 시즌'에 담긴 의미 닥터쌤 2016. 8. 17. 10:59 이웃추가 본문 기타 기능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수험서라는 책의 특성상 해마다 개정판을 출간하게 되는데요. 마스터 KMLE 교재 이름앞에서 붙는 타이틀에 대한 고민이 많았습니다. (여러분께 가장 좋을 것을 드리기 위해 사소한 것 하나에도 깊이 고민하는 저희 마음이 느껴 지시나요??) 2018년 KMLE 대비? 2017-2018년도? 뭘로 할까 고민하다가 유럽축구리그에서 아이디어를 얻었습니다. 보통 유럽축구리그는 여름(보통 8월)에 시즌이 시작되고 이듬해 5월경 리그가 종료되는데요. 그래서 2개 년도를 아우르기 위해서 2015-2016 시즌, 2016-2017 시즌 이런식으로 시즌을 표기하게 됩니다. 프로야구의 경우 보통 3월이나 4월에 개막해서 10월이나 11월에 포스트시즌이 종료되기 때문에 2016시즌 프로야구, 2016시즌 메이저리그 이렇게 표기하는 것과 대비되죠. KMLE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 2판 개정포인트 (2) 파트/토픽 구성(2017년 하반기 출간예정) [내부링크]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근거편)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 2판 개정포인트 (2) 파트/토픽 구성(2017년 하반기 출간예정) 닥터쌤 2016. 8. 11. 6:00 이웃추가 본문 기타 기능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 1판은 크게 14개 파트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Part 01 질병예병·건강증진 Part 02 전신적인 증상·징후 Part 03 호흡기 Part 04 심혈관 Part 05 소화기 Part 06 내분비 Part 07 감염 Part 08 혈액 Part 09 신장·요로·비뇨생식 Part 10 신경·정신 Part 11 눈 Part 12 귀·코·입·두경부 Part 13 근골격 Part 14 피부 디자인 개정포인트에 대한 포스팅에서 자세히 언급하겠지만 글자크기나 줄간격을 조정해서 좀 더 컴팩트하게 만들 생각입니다. 1판의 경우 글자크기나 줄간격이 판형에 비해, 그리고 전문의학서적에다가 매뉴얼인 점을 감안하면 다소 크고 넓은 감이 있었습니다. (책 볼때마다 두고두고 아쉬운 부분..ㅠㅠ) 구성을

"2017-2018시즌 마스터 KMLE" 출간 출사표 [내부링크]

마스터 KMLE "2017-2018시즌 마스터 KMLE" 출간 출사표 닥터쌤 2016. 8. 10. 14:37 이웃추가 본문 기타 기능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요즘 리우올림픽 열기가 한창이네요. 특히 배구 여제 김연경선수의 활약이 대단한 것 같습니다. 올림픽 열기에 좀 밀린 감이 있는데 축구팬의 가슴을 설레게 할 2016-2017 시즌 잉글리시 프리미어리그 개막도 며칠 앞으로 다가왔네요. 그런 의미에서 2017-2018시즌 마스터 KMLE 출간 관련 포스팅을 하나둘씩 시작해볼까 합니다. (읭????? ㅋㅋㅋ) 바른의학연구소에서는 지난 5월 2년간의 준비기간 끝에 2016-2017 시즌 마스터 KMLE를 내놓았는데요. 정말 우여곡절도 많이 겪고 이런저런 사연도 많은 책이었네요. 책을 출간하기 전까지 늘 최선을 다하지만 막상 책을 내고 보면 항상 아쉬움이 많이 남아요. 출판하는 사람 입장에서 부족한 부분이 도드라져 보일 때는 더욱 그렇지요. 2016-2017시즌 마스터 KML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 2판 개정포인트 (1) 전체적인 컨셉/구성(2017년 하반기 출간예정) [내부링크]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근거편)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 2판 개정포인트 (1) 전체적인 컨셉/구성(2017년 하반기 출간예정) 닥터쌤 2016. 8. 10. 7:00 이웃추가 본문 기타 기능 안녕하세요. 스마트일차진료매뉴얼 저자 이상봉입니다. 스마트일차진료매뉴얼의 개정판 소식을 전해드리게 되어 개인적으로 무척 기쁘게 생각합니다. 초판의 내용에서 좋았던 내용은 유지하면서 더 최신의 정보와 유익한 자료들을 담아 개정판을 준비하고 있는데요 스마트일차진료매뉴얼의 가장 중요한 두가지 축인 Evidenced based approach + practical approach 이번에도 이 2마리의 토끼를 잡고자 하는데요 (한마리처럼 보이셔도 잘 보시면 뒤에 한 마리가 더 있답니다^^;;) 철저히 근거중심으로 접근하면서도 진료에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실제적인 지침을 제시하는데 중점을 두고자 합니다. Evidenced based approach 해당분야, 토픽과 연관된 국내외 대표학회에서 제시하고 있는

'바른의학연구소'란 이름에 관해 [내부링크]

바른의학연구소 '바른의학연구소'란 이름에 관해 닥터쌤 2016. 8. 10. 6:00 이웃추가 본문 기타 기능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바른의학연구소'의 이름에 대해 이야기를 해볼까 해요. '바른의학연구소'는 이름에 '연구소'라는 말이 들어가서 가끔 오해를 받을 때가 있습니다. 개인이 그냥 운영하는 연구소나 혹은 어느 회사의 부설연구소쯤으로 생각하시는 분이 많더라구요. 간혹 이런실험실을 떠올리는 분도 있더라구요. 하지만!! 저희 회사에는 연구소지만 현미경이 하나도 없다는 점~!!!! 회사이름을 정할 때 이런 오해를 불러일으킬 가능성 때문에 꽤나 망설였었는데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근거 중심의 바른의학을 위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끊임 없이 연구하고, 노력하겠다는 다짐을 담아 이름을 정했답니다. '바른의학연구소'는 엄연히 주식회사이고 헬스케어서비스를 추구하는 스타트업 이랍니다. 아시다시피 '안철수연구소(현재는 회사명이 Ahnlab이죠?)도 주식회사이고 IT관련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 1판에 항생제리뷰가 빠진 이유 [내부링크]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근거편)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 1판에 항생제리뷰가 빠진 이유 닥터쌤 2016. 8. 9. 20:00 이웃추가 본문 기타 기능 안녕하세요. 스마트일차진료매뉴얼 저자 이상봉입니다. 근거중심의 외래진료매뉴얼에 "항생제 사용의 실제"라는 나름 공을 들인 토픽이 있었는데요. 나름 큰 호응을 얻은 부분이기도 하구요. 스마트일차진료매뉴얼 1판에서는 이 부분을 일부로 뺐습니다. '항생제 처방 가이드'라는 책을 따로 기획했기 때문인데요. 그 책을 금방 낼 줄 았았는데요. 계획이 틀어지면서 아직까지도 책을 내지 못하고 있네요. 일단 스마트일차진료매뉴얼 2판에는 '항생제 사용의 실제(가칭)'라는 내용으로 30-50페이지 정도를 할애할까 생각중입니다.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 시리즈 1판의 절판을 앞두고 [내부링크]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근거편)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 시리즈 1판의 절판을 앞두고 닥터쌤 2016. 8. 9. 8:00 이웃추가 본문 기타 기능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 이상봉입니다. 2014년 10월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 성인편을 내놓은지 어느덧 2년가까운 시간이 흘렀습니다. 자연스레 저의 전작인 '근거중심의 외래진료매뉴얼'과 비교되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컨셉이 비슷하지만 완전히 똑같지는 않은 그 차이를 '바른의학연구소의 일차진료콘텐츠 로드맵'이라는 제목으로 책 서두에 언급하긴 했지만 저자의 핵심의도를 이해시키기에는 부족한 면이 있지 않았나 싶습니다. 바른의학연구소의 일차진료콘텐츠 로드맵 근거중심의 외래진료매뉴얼이 2000페이지에 육박하는 방대한 분량을 담고 있 었지만 일차진료의 주요 영역을 모두 담아내기에는 턱없이 부족했지요. 매뉴얼은 최대 2권이 적당했다고 보았기에 분량을 한없이 늘릴수만도 없는 노릇이구요. 그래서 ‘중심축(혹은 뼈대)+supplement 전략’을 통해 최

바른의학연구소는 어떤 일을 하나요? [내부링크]

바른의학연구소 바른의학연구소는 어떤 일을 하나요? 닥터쌤 2016. 8. 9. 6:00 이웃추가 본문 기타 기능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바른의학연구소가 뭐 하는 곳이냐고 궁금해하시는 분들이 계시더라구요. 단순히 출판사라고 생각하시는 분들도 있는듯 하구요. 그래서 오늘은 바른의학 연구소가 꿈꾸고 계획하는 일들에 대해 잠시 소개해볼까 합니다. "출판"과 "IT서비스" IT서비스 관련해서는 정말 사연도 많고 할말도 많은데요. 대표님이 개발자 출신도 아닌데, 회사내 전문개발인력이 없어 외주로만 진행해오다보니 많은 시행착오와 우여곡절이 있으셨다고 해요. 오죽하면 대표님이 개발에 한이 맺혀 40을 바라보는 나이에 프로그래밍 공부를 시작하시겠어요? 프로그래밍 학원에 등록하시고, 시간을 쪼개 수업을 들으시면서 프로그래밍의 세계에 간신히 입문했다가 깊은 한숨을 팍팍 내쉬며 "이걸 계속 해야돼.. 말아야돼" 를 일만오천삼백번쯤 중얼거리시면서 한동안 고뇌의 시간을 보냈다고 하시구요. 깊은 고

세균맨 선생님을 소개합니다. [내부링크]

유용한 웹사이트/블로그 세균맨 선생님을 소개합니다. 닥터쌤 2016. 8. 8. 15:41 이웃추가 본문 기타 기능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바른의학에 힘쓰시는 의사선생님 한분을 소개해 드리려고 해요. 바른의학 연구소 대표님과 같은 마음으로 바른 의학콘텐츠 생산에 누구보다 열정적인 분이시랍니다. "세균맨"이란 블로거로 잘 알려지신 분인데요, 네이버블로그에서 몹시 활발하게 활동중이세요 이름만 들으면 세균 때려잡는 감염학에 관심이 많으신 분 같다는 생각이 드는데 알고보면 실력좋으신 내과 선생님이시랍니다. 세균맨 선생님의 블로그 주소는 http://blog.naver.com/sjloveu2 인데요 세균맨 Segyunman : 네이버 블로그 Internal medicine Since 2012.3 ~ 소화기(위장관, 간),감염,신장,내분비,심장,호흡기,알러지,종양,혈액,류마티스,의대생, 전공의, 전문의 blog.naver.com 다양하고 깊이 있는 정보가 많아서 깜짝 놀라실

[공지] 『스마트일차진료매뉴얼: 성인편』이 개정판을 위해 곧 절판됩니다. [내부링크]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근거편) [공지] 『스마트일차진료매뉴얼: 성인편』이 개정판을 위해 곧 절판됩니다. 닥터쌤 2016. 8. 8. 15:37 이웃추가 본문 기타 기능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2014년 10월 출간 이래 많은 분들의 꾸준한 선택을 받았던 『스마트일차진료매뉴얼』 내년 하반기에 출간될 2판 개정판을 위해서 조만간 절판예정입니다. 개정판이 나올때까지 1년 가까이 남아있고 지금도 꾸준히 팔리고 있기 때문에 출판사 입장에서는 추가인쇄를 원하지만 저자분의 입장은 저희와는 다른 것 같습니다. (저자의 눈에) 마냥 부족하고 개선할 게 많은 2년이 다 되가는 책을 추가인쇄하면서까지 팔고 싶은 마음은 없으시다고 하시네요. 다른 책의 집필에 열중하느라 스마트일차진료매뉴얼의 개정작업이 늦어져서 개정판을 일찍 내놓지 못한 부분을 독자들에게 미안해하시네요. 결론적으로 재고가 완전히 소진될 것으로 예상되는 10월을 기점으로 현재 판매중인 『스마트일차진료매뉴얼』은 절판이 될 예정입니다

마스터 KMLE 출간 [내부링크]

마스터 KMLE 마스터 KMLE 출간 닥터쌤 2016. 5. 6. 14:00 이웃추가 본문 기타 기능 마스터 KMLE가 드뎌 출간되었습니다. http://www.barunlab.com/master-kmle MASTER KMLE 더 알아보려면 글을 방문하세요. www.barunlab.com NEW CONCEPTS, NEW PARADIGMS KMLE 수험서로 시중에 나와있는 교재들을 살펴보면 부족하고 아쉬운 부분이 전혀 없는 것은 아니지만 의사국가고기를 준비하는 수험서로서는 충분히 휼륭한 교재라고 생각합니다. 특히 압도적인 선택을 받고 있는 한 교재의 경우 보면 볼수록 참 정리가 잘 되어있고 가독성이 좋은 책이라는 느낌을 받곤 합니다. 그렇다면 왜 우리는 마스터 KMLE를 새로 내놓은 것일까요? 기존과 별반 다를게 없는 단순한 수험서를 하나 더 만들거라면 애초부터 시작도 안했을 겁니다. 바른의학연구소는 각 stage 별로 적합한, 각 stage끼리 연결되는, 체계적이고 연속적이고 연관되

마스터 KMLE 출간 최종 이벤트 [내부링크]

마스터 KMLE 마스터 KMLE 출간 최종 이벤트 닥터쌤 2016. 2. 26. 20:36 이웃추가 본문 기타 기능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 출판부입니다. 마스터 KMLE 샘플북과 함께 할인이벤트 최종공지를 드립니다. 마스터 KMLE는 내과, 가정의학과, 소아과, 신경과, 영상의학과, 성형외과 등 12분의 의사선생님들이 각자 이름을 걸고 의기투합하여 2년여에 걸쳐 완성해낸 역작입니다. 각 stage 별로 적합한, 각 stage끼리 연결되는, 체계적이고 연속적이고 연관되는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바른의학연구소의 의학콘텐츠 로드맵의 산물로서 기존과 별반 다를게 없는 수험서를 하나 더 만든 것이 아님을 자신있게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검증이 되지 않은 신규교재를 선뜻 선택하기란 쉽지 않을 것 같습니다. 얼떨결에 선택했다가 괜한 낭패(돈 낭비, 시간 낭비)를 볼 수 있으니까요! 그래서 사전에 제대로 검증해보실 수 있도록 무려 400페이지에 달하는 샘플북 을 준비했습니다. 바쁘시더라

마스터 KMLE 출판 안내 및 구입 방법 [내부링크]

마스터 KMLE 마스터 KMLE 출판 안내 및 구입 방법 닥터쌤 2016. 2. 3. 14:44 이웃추가 본문 기타 기능 안녕하세요! 바른 의학 연구소 출판부 마케팅 팀장입니다. 의사 국가고시를 준비하는 선생님들께서 문의하시고 궁금해 하는 부분이 있어 이렇게 안내 포스팅을 하게 되었습니다. 보다 궁금한 점은 카톡으로 문의 주시기 바랍니다. 바른 의학 연구소 출판부 1. 구입은 어떻게 하나요? 저희 '마스터 KMLE' 는 학교별, 학년별 공동구매를 원칙 으로 하고 있습니다. 구입을 원하시는 선생님들께서는 각 학년 대표(과대 또는 책 담당)에게 문의 주시면 됩니다. 2. 앱 서비스 언제부터 가능한가요? '마스터 KMLE'는 앱으로 이용 가능 합니다. 지금 앱 개발은 완료된 상태이며 android, ios 마켓 심사 중 입니다. 마켓 등록이 완료되면 카톡이나 블로그에 공지하도록 하겠습니다. 3. 출간은 언제 하나요? 마스터 KMLE는 4월경 출간 예정 입니다. 샘플북은 2월 말에 출간 을

분당서울대학교병원 내과(연수강좌 파일) [내부링크]

분당서울대학교병원 내과 교육을 누르시고 화면이 바뀌면 왼쪽 하단에 있는 학습자료실의 연수강좌 자료실에 들어가면 자료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습니다. 위쪽 매뉴에서 교육에 있는 학습자료실을 바로 클릭해서 들어가면 로그인하라고 뜨네요. 바로가기: 분당서울대학교병원 내과 연수강좌 자료실 http://www.snubhim.org/index.php :::::::분당서울대학교병원 내과::::::: www.snubhim.org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동우회(연수강좌 파일) [내부링크]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동우회 자료실에 보면 연세대병원 내과 연수강좌 파일이 공개되어 있습니다. 연수강좌 주제가 개원가의 눈높이에 맞춰진 만틈 좋은 강의자료들이 아주 많습니다. CME(continuing medical education)에 적극 활용하세요.!! http://www.yumcima.com/common/data/data03.asp :::연세대 내과 총동우회에 오신걸 환영합니다::: www.yumcima.com

의학정보 웹사이트 [내부링크]

http://www.medicalstudent.com 의학정보 관련한 사이트를 분야별로 정리해 놓은 사이트입니다 어느 블로그에서 발견한 것입니다. http://blog.naver.com/hrmin35/100090659077 분야별로 어느 사이트를 참조해야할지 잘 정리되어 있어서 이 사이트를 통해 원하는 사이트를 찾아 들어가보는것두 괜찮을 듯 싶네요.

대한의학회: 임상진료지침, e-뉴스레터, 환자교육자료 [내부링크]

정보의 유용성(진료 및 Continuing medical education에 도움이 되는 정도) * : 그리 유용하지 않음 ** : 유용함 *** : 아주 유용함 대한의학회라고 아시죠? http://kams.or.kr/ 대한의학회는 1966년 34개 학회로 출발하여 43년째가 되는 금년에는 146개 학회를 회원으로 하는 규모나 질적인 면에서 우리나라 의학계의 대표적인 학술단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대한의학회에서 운영하거나 제공하는 컨텐츠 중 유용한 것 몇가지를 소개해드릴까 합니다. 1. 대한의학회 임상진료지침 정보센터*** 이건 '임상가이드라인을 모아놓은 곳'에서 이미 소개한바 있습니다. http://cafe.naver.com/ebmguide/29 2. 대한의학회 e-뉴스레터** 웹진형태로 매달 발행되고 있으며, 대한의학회에서 새로 업데이트된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새로 발간된 임상진료지침, 환자교육을 위한 '알기쉬운 건강정보'의 업데이트된 내용 등에 대해서 뉴스레터를 통해서 한눈에

임상 가이드라인을 모아 놓은 곳 [내부링크]

국내 현재 국내에는 두 가지 임상진료지침 사이트가 대표적으로 존재합니다. 아래 Reference에 잘 설명되어 있듯이 현재 이런 웹사이트의 이용도는 현저히 낮은 실정이예요. 그렇지만 정부에서 큰 관심을 가지고 투자도 많이 하고 있기에 국내 임상가이드라인의 양과 질은 지속적으로 개선될 것 같습니다. 1. 임상진료지침 정보센터 Korean Medical Guideline Information Center, KoMGI http://www.guideline.or.kr/ 근거중심의학 및 임상진료지침에 대한 각종 정보들을 제공하는 국내 유일의 Guideline International Network 회원 사이트 대한의학회에서 운영하고 있습니다. Reference: http://blog.naver.com/solplusyou?Redirect=Log&logNo=30081911266 2. Korean Guideline Clearinghouse http://www.cpg.or.kr/ 복지부가 임상진료지

코리아헬스로그(Korea Healthlog) [내부링크]

코리아헬스로그(Korea Healthlog) http://www.koreahealthlog.com/ 의료관련 메타블로그입니다. 이름하여 닥블(닥터블로그)이라고도 하지요. 의료인(대개는 의사)들이 관리하는 블로그들로부터 포스트를 수집하여 그 중 선별된 포스트만을 발행하고 있는 곳입니다. (잠깐! 헬스로그의 양광모 대표님과 어떻게 만나게 되었는지를 나눌까 합니다. 작년 말 의료정보학 석사과정 문의차 아주대학교병원 의료정보학 박래웅교수님을 찾아뵌 적이 있어요. 그런데 양광모 대표님 또한 내 약속시간 바로 전에 박래웅교수님과 면담을 가지고 있었던 것이지요. 교수님 소개로 안면을 틀 수 있었고, 짦은 대화를 통해 내가 하고 싶은 일을 이 분은 먼저 하고 계시구나 직감할 수 있었지요. 이후 개인적으로 연락을 드리게 되었고, 헬스로그가 속한 청년의사에 직접 찾아가 박재영편집장님도 뵙고 하면서 같이 일할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되었답니다.) 헬스로그에 대한 이해를 도울 수 있는 몇가지 글을 소개할께

KMLE필진 5월30일 정기 미팅 [내부링크]

바른의학연구소 KMLE프로젝트 필진의 정기 미팅이 5월30일에 열립니다. "스마트 KMLE프로젝트는요," 의학콘텐츠에 대한 포괄적이고 통합적인 청사진을 바탕으로, 의대생에서부터 수련의, 전문의에 이르기까지 기초의학지식의 단절없이 자연스럽게 이어지게 하자는 목표로 바른의학연구소에서 진행하고 있는 프로젝트입니다. 매달 정기 미팅과 지속적인 커뮤니케이션을 통해서 의대생, 수련의, 전문의 각 단계별 필요한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각 분과별 전문의들이 콘텐츠를 집필하고 있으며, 동시에 각 콘텐츠간의 연결고리를 강화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작년 11월 바른의학연구소에서 출간한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Evidence Based Approach)"도 이러한 배경하에 출간된 바 있습니다. 앞으로도 KMLE가 폐지되지 않는 한 매번 업그레이드, 업데이트를 통해서 바른의학연구소의 "의학콘텐츠 청사진"에 부합할 만한 product로 지속시켜 나갈것입니다. 그리고 이 글을 읽고 뭔가..마음속

[dBSTAT길들이기 강의] 6-2강 상관분석 [내부링크]

http://cafe.naver.com/easy2know/6915 링크를 클릭하시면 김지형 선생님의 카페로 이동하여 강의를 보실 수 있습니다.

[dBSTAT길들이기 강의] 6-1강 상관분석 [내부링크]

http://cafe.naver.com/easy2know/6914 링크를 클릭하시면 김지형 선생님의 카페로 이동하여 강의를 보실 수 있습니다.

[dBSTAT길들이기 강의] 제5장 특강 다중 검정의 문제 [내부링크]

http://cafe.naver.com/easy2know/6913 링크를 클릭하시면 김지형 선생님의 카페로 이동하여 동영상 강의를 감상하실 수 있습니다.

[dBSTAT길들이기 강의] 5-4강 Cochran Q test with dBSTAT [내부링크]

http://cafe.naver.com/easy2know/6910 링크를 클릭하시면 김지형 선생님의 카페로 이동하여 동영상 강의를 감상하실 수 있습니다.

[dBSTAT길들이기 강의] 5-3강 Friedman test with dBSTAT [내부링크]

http://cafe.naver.com/easy2know/6909 링크를 클릭하시면 김지형 선생님의 카페로 이동하여 동영상 강의를 감상하실 수 있습니다.

[dBSTAT길들이기 강의] 5-2강 RM ANOVA - 2 way repeated measures AN [내부링크]

http://cafe.naver.com/easy2know/6875 링크를 클릭하시면 김지형 선생님의 카페로 이동하여 동영상 강의를 감상하실 수 있습니다.

[dBSTAT길들이기 강의] 5-1강 RM ANOVA - repeated measures ANOVA [내부링크]

http://cafe.naver.com/easy2know/6874 링크를 클릭하시면 김지형 선생님의 카페로 이동하여 동영상 강의를 감상하실 수 있습니다.

[dBSTAT길들이기 강의] 4-3강 McNemar test with dBSTAT [내부링크]

http://cafe.naver.com/easy2know/6906 링크를 클릭하시면 김지형 선생님의 강의 동영상을 보실 수 있습니다.

[dBSTAT길들이기 강의] 4-2강 Wilcoxon test [내부링크]

http://cafe.naver.com/easy2know/6873 링크를 클릭하시면 김지형 선생님의 강의 동영상을 보실 수 있습니다.

[dBSTAT길들이기 강의] 4-1강 paired t-test [내부링크]

http://cafe.naver.com/easy2know/6871 링크를 클릭하시면 김지형 선생님의 동영상 강의를 보실 수 있습니다.

[dBSTAT길들이기 강의] 3-3강 카이제곱 검정과 추세검정 [내부링크]

http://cafe.naver.com/easy2know/6870 링크를 클릭하시면 김지형 선생님의 동영상 강의를 보실 수 있습니다.

[dBSTAT길들이기 강의] 3-2강 Kruskal Wallis [내부링크]

http://cafe.naver.com/easy2know/6867 링크를 클릭하시면 김지형 선생님의 동영상 강의를 보실 수 있습니다.

[dBSTAT길들이기 강의] 3-1강 ANOVA [내부링크]

http://cafe.naver.com/easy2know/6866 위 링크를 클릭하시면 김지형 선생님의 동영상 강의를 보실 수 있습니다.

[dBSTAT길들이기 강의] 2-3강 카이제곱검정1 [내부링크]

http://cafe.naver.com/easy2know/6863 위 링크를 클릭하시면 김지형 선생님의 동영상 강의를 직접 보실 수 있습니다.

[dBSTAT길들이기 강의] 2-2강 맨 위트니 검정 [내부링크]

아래 링크로 이동하시면 김지형 선생님의 동영상 강의를 직접 보실 수 있습니다. http://cafe.naver.com/easy2know/6862

[dBSTAT길들이기 강의] 2-1강 t-test (51쪽) [내부링크]

책 만으로 이해가 안되셨던 부분은 동영상 강의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아래 링크를 클릭하시면 김지형 선생님의 카페로 이동하여 동영상 강의를 들으실 수 있습니다. http://cafe.naver.com/easy2know/6861

[의학통계] ROC(Receiver-Operating Characteristic) 커브의 이해 [내부링크]

http://cafe.naver.com/easy2know/6848 위 조소를 클릭하시면 김지형 선생님의 카페로 이동하여 동영상 강의를 보실 수 있습니다.

[의학통계] ICC(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 [내부링크]

http://cafe.naver.com/easy2know/6847 위 주소를 클릭하시면 김지형 선생님의 카페로 이동하여 동영상 강의를 보실 수 있습니다.

바른의학연구소 "바른메디컬 인턴쉽 프로그램" 모집 [내부링크]

2015 바른메디컬인턴쉽 프로그램 바른의학연구소에서는 의과대학 및 의학전문대학원 학생들에게 다양한 연구 참여의 기회를 얻을 수 있도록 하여 업무 감각을 지닌 의료전문인을 배출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하여 2015 바른메디컬인턴쉽 프로그램에 참여할 학생을 모집합니다. 바른의학연구소는 학부 때 배웠던 기초의학지식이 단절되지 않고 임상으로 자연스럽게 연계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고자 포괄적이고 통합적인 청사진을 갖고 있습니다. 이 청사진을 완성해나가면서 의대생, 수련의, 전문의에 이르기까지 각각의 시기, 단계별로 필요한 콘텐츠를 제공하고 콘텐츠간의 연결고리를 강화하고자 의료전문인이 직접 주최가 되어 다양한 전문의학서적을 집필하고 있습니다. 매년 업그레이드 업데이트하면서 바른의학콘텐츠 청사진에 부합하는 지속가능한 프로젝트(바른의학연구소KMLE프로젝트)입니다. 바른메디컬인턴쉽에 참여하시면 전문의료진과 함께 학교와 일반 의료환경에서 얻기 어려운 의학콘텐츠를 직접 생산하고 협업할 수 있는 경험과 여

[의학통계]피셔 정확 검정은 정확한가? [내부링크]

http://cafe.naver.com/easy2know/6846 위에 링크를 클릭하시면 김지형 선생님의 카페로 이동하여 동영상 강의를 보실 수 있습니다. 이 내용은 "dBSTAT길들이기" 326쪽에 나오는 내용입니다. 피셔 정확 검정에 대한 이해도할겸, P값이라는 것이 무엇인지 설명도 할겸 해서 다루어 보았습니다. http://www.statground.org/ 라는 곳에도 칼럼 형식으로 올려져 있습니다.

바른의학연구소 "필진모집" [내부링크]

바른의학연구소와 함께 하실 필진을 모집합니다. 의학콘텐츠를 기반으로 한 여러 흥미로운 프로젝트에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 집필하신 내용은 의향에 따라 다양한 채널로 발행가능합니다. 책으로 출판될 수 있으며, 웹콘텐츠(블로깅, 메타메딕을 통한 발행) 형태로도 발행 가능합니다. 1. 출판 1) 기존 출판 프로젝트에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스마트 KMLE 프로젝트”가 진행 중에 있습니댜.(http://www.barunlab.com/smart_kmle_project) 아울러 바른의학연구소의 의학콘텐츠 생산 로드맵에 따라 여러 가지 프로젝트가 진행 중에 있습니다. 2) 아울러 의학서적 집필 혹은 출판을 원하실 경우 언제든 문의해 주세요. 바른의학연구소가 축적한 의학콘텐츠 집필, 출판 경험을 바탕으로 확실한 지원을 약속드립니다. 2. 웹 콘텐츠 발행 바른의학연구소에는 의학콘텐츠를 체계적으로, 계통적으로 제공하는 메타메딕(www.metamedic.co.kr)이라는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

서비스 소개 [내부링크]

원하는 정보는 쉽게 찾고 우리 아이에게 맞는 정보를 맞춰서 제공받는, 전문의료진이 제공하는 임신/출산/육아를 위한 모바일 대백과입니다.(출시미정) 1. 의료진이 직접 작성하는 임신/출산/육아 모바일 전용 백과사전입니다. 임신, 출산, 육아 관련 의학 정보를 바른의학연구소의 전문가들이 직접 작성합니다. 꾸준히 콘텐츠가 업데이트 되며 소지하여 찾기 쉬운 모바일맘을 위한 임신/출산/육아 대백과 입니다. 2. 초보맘을 구해줘요~ 닥터 쌤! 우리아이를 위한 모바일 닥터 임신 개월별, 아이 연령별 우리아이 정보에 따른 맞춤형 정보가 제공되며, 태아부터 아이의 성장에 이르기까지 주제별 상황에 따른 다양한 콘텐츠를 찾을 수 있습니다.

[의학통계] dBSTAT의 데이터 입력 방법 [내부링크]

http://cafe.naver.com/easy2know/6822 주소를 클릭하면 김지형 선생님의 카페로 이동합니다.

[의학통계] dBSTAT의 장점4 [내부링크]

http://cafe.naver.com/easy2know/6809 주소를 클릭하면 김지형 선생님의 카페로 이동하여 전문을 볼 수 있습니다.

[의학통계] dBSTAT의 장점3 [내부링크]

http://cafe.naver.com/easy2know/6806 주소를 클릭하면 김지형 선생님의 카페로 이동하여 전문을 볼 수 있습니다.

[의학통계] dBSTAT의 장점2 [내부링크]

http://cafe.naver.com/easy2know/6804 이동 주소를 클릭하면 김지형 선생님의 카페로 이동하여 전문을 볼 수 있습니다.

[의학통계] dBSTAT의 장점1 [내부링크]

http://cafe.naver.com/easy2know/6797 주소를 클릭하면 김지형 선생님의 카페로 이동합니다.

["dBSTAT 길들이기"의 특징] 답을 찾기 애매했던 것들의 정답이 곳곳에 [내부링크]

링크를 클릭하시면 김지형 선생님의 카페로 이동하여 전문을 볼 수 있습니다. http://cafe.naver.com/easy2know/6820 방금 이 글을 읽다가, 이 부분을 발견했습니다. (1) 나중값만 가지고 t-test를 하는 것과, (2) 나중값-처음값을 이용해서 t-test 하는 것과, (3) 나중값 cafe.naver.com

["dBSTAT 길들이기"의 특징] 꼭 필요한 상식들 1종오류, 2종오류 [내부링크]

링크를 클릭하시면 김지형 선생님의 카페로 이동하여 전문을 볼 수 있습니다. http://cafe.naver.com/easy2know/6818 방금 본 사진은 정말 좋은 아이디어였습니다. 페이스북에 우연히 어떻게 했는지도 모르게 cafe.naver.com

["dBSTAT 길들이기"의 특징] 꼭 필요한 상식들 다중성문제(multiplicity) [내부링크]

링크를 클릭하시면 김지형 선생님의 카페로 이동하여 전문을 볼 수 있습니다. http://cafe.naver.com/easy2know/6815 알고 계신 어떤 미국의 통계학과 교수님으로부터 메일을 받았습니다. 통계 자체에 대한 이야기보다, 연구 디자인에 관해서, 통계학자가 언제부터 관여해야 하느냐 하는 것인데요. T cafe.naver.com

["dBSTAT 길들이기"의 특징] 편리한 책의 목차 [내부링크]

링크를 클릭하시면 김지형 선생님의 카페로 이동하여 전문을 볼 수 있습니다. http://cafe.naver.com/easy2know/6810 제일 중요한 것은 설명의 배열이다. 첫번째, 이 책은 목차가 한눈에 모두 들어 온다, 한눈에 쏙쏙 의학 통계 배우기에서, 모든 통계법을 한 눈에 볼 수 있도록 보여 주었던 통 cafe.naver.com

바른의학연구소 의학자문위원 김지형 선생님을 소개합니다. [내부링크]

현재 서울성심병원 정형외과 과장 및 의학정보센터장이신 김지형 선생님은 의사의 끊임 없는 자기 개발과 공부를 의무이자 사명이라고 생각으로 직접공부하면서 습득한 효율화된 작업방법, 자료 및 프로그램, 강의를 통해 받은 피드백 등, 습득한 지식을 공유하기 위해 앞장서오신 분이십니다. (사진출처:메디파나뉴스) 김지형 선생님은 일차진료의를 위한 정형외과 진단과치료, 의학통계배우기, 연구자를 위한 그래프 그리기, 프레젠테이션 작업가이드 등의 책을 출간하셨고 2006년부터 개설한 인터넷카페(http://cafe.naver.com/easy2know)를 통해 일반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정형외과 질환 알리기부터 전공의, 연구원들을 위한 논문/통계를 보다 쉽게 작성할 수 있는 방법 등 경험을 바탕으로 한 노하우를 아낌없이 공개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바른의학연구소에서 연구자의 논문작성을 위한 통계를 쉽게 도와주는 가이드, "통계의세계로-dBSTAT길들이기"를 출간하셨습니다. 김지형 선생님은 바르고 혁신적

바른의학연구소의 CEO, 이상봉 선생님을 소개합니다! [내부링크]

“UV(unique vision)족” 일반적인 의사와는 다른 행보를 보이는 그에게 “왜 그런 일을 하세요?”라고 질문할 때면 언급하는 말입니다. 이상봉 대표는 평범하지 않은 비전에 이끌려 가슴이 뛰는 일을 따라 살고 싶어 전문의 취득 후 일반적인 의사의 길을 걷지않고, "스타트업"을 세워 고단하고 외로운 길을 걸어가고 있습니다. 좌충우돌, 무수한 실패와 시행착오를 겪고 있지만 오히려 시련 가운데서 그의 꿈은 단단해지고 있다고 하네요. “콘텐츠도 중요하지만 플랫폼은 훨씬 더 중요하다.”는 신념을 갖고 있어서 콘텐츠와 플랫폼 두 마리 토끼를 잡기 위해 모든 노력을 경주하고 있습니다. 이의 일환으로 방대한 양의 의학서적을 지속적으로 집필하고 있으며 ‘바른의학콘텐츠연구회’의 창립회장으로 의학콘텐츠 분야의 새로운 흐름을 주도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현재 바른의학연구소 대표로써, 콘텐츠를 유통시키는 혁신적인 플랫폼을 기반으로 창조적인 헬스케어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만들 계획입니다. 이를 위

연구자를 위한 사진 찍기 팁들 (출처 : 김지형 선생님의 카페, easy2know) [내부링크]

http://cafe.naver.com/easy2know/6883 연구자를 위한 사진 찍기 팁을 강의한 영상입니다. 5분짜리 동영상입니다. (출처 : 서울 성심병원 정형외과 전문의 김지형 선생님의 카페, easy2know)

스마트 KMLE 프로젝트 [내부링크]

바른의학연구소의 '스마트 KMLE' 프로젝트 바른의학연구소는 매달 스마트KMLE프로젝트 진행을 위해, 정기 미팅을 열고 있습니다. 현재는 바른의학연구소 이상봉 대표를 비롯, 성형외과, 내과, 영상의학과 선생님 등 각 분야의 전문의 들 6분이 참석하고 계십니다. 바른의학연구소의 스마트 KMLE프로젝트는요, 1. 의학콘텐츠에 관한 포괄적, 통합적 청사진을 바탕으로 의대생~수련의~전문의에 이르기까지 각각의 시기, 단계별로 필요한 콘텐츠를 제공하고 그 연결고리를 강화하자는 목적으로, 2. 의학의 길을 걷고 있는 분들께 기초의학지식이 단절되지 않고 임상으로 자연스럽게 연계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고자 하는 바램을 안고 시작되었습니다. 매년 업그레이드, 업데이트를 목적으로 바른의학연구소의 '의학청사진'에 부합할 만한 지속적인 결과물로 완성시켜나갈 예정이며, 현재 이 프로젝트를 위한 멤버(필진)를 모집중입니다. http://www.barunlab.com/smart_kmle_project 관심있는

스마트 일차진료 매뉴얼-성인편 [내부링크]

바른의학연구소의 대표, 이상봉선생님의 "스마트일차진료매뉴얼" "스마트일차진료매뉴얼"은 2011년 출간되어 센세이션을 일으켰던 '근거중심의 외래진료매뉴얼'의 개정판으로 보다 업데이트, 업그레이드 되어 출간되었습니다. 1. 우선 이름이 바뀌었습니다. 이전 '근거중심의 외래진료매뉴얼'을 집필할 때부터 의학콘텐츠 로드맵을 갖고 있었다고 합니다. 먼저 의대생부터 수련의, 전문의에 이르기까지 각각의 시기, 단계별로 필요한 콘텐츠를 만들었습니다. 여기에 그치지 않고 단계별 콘텐츠간의 연결고리를 강화하여 학부때 배웠던 기초의학지식이 단절되지 않고 임상으로 자연스럽게 연계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고자 하였습니다. 이러한 결과로 스마트 KMLE, 스마트베이직시리즈, 스마트매뉴얼시리즈 등이 구체화되었고, 스마트매뉴얼시리즈의 중심축을 이루는 "스마트일차진료매뉴얼"도 같은 정체성 안에서 새로운 이름으로 탄생되었습니다. 2. 어떻게 바뀌었나요? 새롭게 탄생한 "스마트외래진료매뉴얼"의 (SMART한) 특징을

서울성심병원 정형외과 전문의 김지형 선생님의 "통계의 세계로, dBSTAT 길들이기" [내부링크]

통계쌤 김지형과 함께하는, "통계의 세계로, dBSTAT 길들이기" 바른의학연구소 의학 자문위원이신, 서울성심병원 김지형선생님의 새로운 통계책이 1월 2일 출간되었습니다.김지형 선생님은 정형외과 전문의인 동시에 논문작성을 위한 각종 IT프로그램, 통계 툴, 소프트웨어 등을 책과 강의를 통해 소개해오셨습니다. 이 모든 지식은 선생님께서 그간 직접 경험하고 공부하시면서 다양한 시도와 시행을 통해 축적해 오신 것들입니다. 특히, 쓰기 어려운 논문을 더 어렵게 만든다는(?) 통계에 대해서 어떻게 하면 연구자들의 시간과 노력의 낭비를 막도록 도울 수 있을까 하는 사명을 갖고 그 노하우와 팁을 전해주시기 위해 매진해오셨습니다. 김지형 선생님의 최신작 <통계의 세계로, dBSTAT 길들이기>는 이런 의미에서 지금까지의 시행착오와 노력의 종착점이 될 것 입니다. 다른 통계프로그램과 dBSTAT를 비교하면서 직접적으로 연구 작성시 적용할 수 있는 부분을 예시를 들어 설명하기 때문에, 책을 읽으면서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 소아편 출간 [내부링크]

드디어 돌아왔다! "스마트 일차진료 매뉴얼 : 소아편" 출간 스마트일차진료 매뉴얼 성인편에 이은 일차진료매뉴얼의 2번째 시리즈, 스마트 일차진료 매뉴얼 소아편이 4월 둘째주 출간 되었습니다. 스마트일차진료매뉴얼은 의학교육과 지식을 통합하는 바른의학연구소의 의학청사진에 기초하여 이상봉 대표가 직접 집필한 근거중심의 의료지침서입니다. 권위있는 저널 가이드라인을 바탕으로 한 체계적인 구성으로 최신 가이드라인과 지견을 충실이 반영하였으며 성인편과 소아편은 서로 짝을 이루는 책으로 일차진료를 위한 주요 토픽을 총 망라하여 실제 진료현장에서 쉽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또한 책을 구입하시면 바른의학연구소의 온라인 의학 콘텐츠서비스, 메타메딕(www.metamedic.co.kr)을 통해서도 모든 콘텐츠를 온라인으로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울러 조만간 엄마아빠를 위한 임신/출산/육아 대백과 사전이 출간될 예정입니다. 스마트일차진료매뉴얼:소아편과 더불어 ...소아진료에 있어 든든한 2개의

바르고 똑똑한 의학 콘텐츠로 세상과 소통하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내부링크]

www.barunlab.com Vision 세상에 태어난 이후 누구나 예외 없이 생로병사의 여정을 걸어갑니다. 더 건강해지기 위해, 아프지 않기 위해 나음(better)과 나음(healing)을 향한 길을 걷고 있습니다. 바른의학연구소는 그 여정의 동반자가 되고자 합니다. 나음(healing)을 향한 여정길이 바른 길이 되도록 끊임없이 연구하며, 나음(better)을 더해드리기 오늘도 노력하고 있습니다. To be the innovative healthcare service company to everyone on the way of life journey Mission 바른의학연구소는 바른 콘텐츠를 생산하고 이를 유통시키기 위해, 첨단 정보통신기술(ICT)를 활용한 혁신적인 플랫폼을 고민하고 있습니다. 의학 콘텐츠 서비스를 바탕으로 의학과 IT가 융합된 헬스케어 시장으로의 확장을 목표로 누구나에게 쉽고 전문적인 서비스 개발을 위해 헌신하고 있습니다. To provide smart

[SMART 일차진료 매뉴얼 실전편] 비염/알레르기비염/비알레르기비염/감염비염/혈관운동비염/코막힘/콧물/비점막염증/만성비염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SMART 일차진료 매뉴얼 실전편 2 PART 10. 눈·귀·코·입·두경부 Topic 9 비염/알레르기비염의 내용입니다. PART 10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 Topic 9. 비염/알레르기 비염 | Topic 9-1. 비염:개관 • Kaliner MA, Baraniuk JN, Benninger M, et al. Consensus definition of nonallergic rhinopathy, previously referred to as vasomotor rhinitis, nonallergic rhinitis, and/or idiopathic rhinitis. World Allergy Organ J. 2009; 2(6) :119-120 • Sur DKC, Plesa ML. Chronic Nonallergic Rhinitis. Am Fam Physician 2018; 98(3) :171–6. • Hellings PW, Klimek L

[Q book] 폐암/폐결절/흡연/호흡곤란/흡연자/비흡연자/기침/저위험군/고위험군/고립폐결절/암위험도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Q book 5권 (구 MASTER KMLE) 과목 1. 호흡기 Topic 17 폐암의 내용입니다. 과목 1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 Topic 17. 폐암 고립폐결절의 진단적인 접근법이 중요합니다. 폐암 screening으로 low dose CT가 보편화되면서 폐결절이 발견되는 경우가 많아졌습니다. 검사에서 폐결절이 발견되었기 때문에 그냥 무시할 수는 없는 노릇이고 어떻게 후속조치를 해야하는지가 중요한 이슈가 되었습니다. 핵심 포인트 폐결절 • 폐결절의 성상에 따라 폐암 가능성(악성 위험도)을 따져보고 그냥 지켜볼 지 조직검사를 시행할지 후속 조치를 결정할 수 있어야 합니다. 폐암 • 폐암이 의심되는 경우 어떤 검사를 해야하는지, 특히 병변이 central lesion인지, peripheral lesion인지 에 따라 시행하는 검사가 다름을 알아두세요. • 폐암의 치료에서는 근치적 폐절제술이 가능한 경우를 알아두세요. • 폐암 관련 합

[SMART 내과] Neisseria감염/수막알균감염/Meningcoccus/쌍알균/호흡기비말전파/수막염/균혈증/심부전/두개뇌압증가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SMART 내과 1권 PART 2. 감염 Section 3. 병원체별: 세균감염 Topic. 2-1 Neisseria 감염: 수막알균(Meningococcus) 감염의 내용입니다. Section 3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Topic 2-1. Neisseria 감염: 수막알균(Meningococcus) 감염 01. 개요 병원체 •Neisseriaceae과, 수막알균(Neisseria meningitidis, meningococcus) •그람음성, 쌍알균, 운동성 없음, 산소성: G (-) aerobic diplococci N. meningitidis는 외피 밖에 협막다당체(polysaccharide capsule)의 항원에 따라 최소 12개 혈청형으로 구분되며 이 중 혈청형 A, B, C, W, Y가 주로 병증을 일으킵니다. 병원소 •사람 02. 임상양상 •다양한 임상 양상: 일시적인 발열/균혈증~전격성 양상(발생 수시간

[약처방의 정석] 만성변비/변비치료/부적절한식이섭취/배변조영술/복통/수면장애/치료원칙/운동/약물치료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약처방의 정석 1권 PART 5. 소화기 Chapter 02. 증상/질환별 약처방의 정석 Topic 7 만성변비의 내용입니다. Chapter 02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Topic 7. 만성 변비 01 변비 치료의 원칙 • 비약물적 치료(교육, 생활 양식의 변화, 식이섬유 섭취)에도 변비가 호전되지 않으면 약 물 치료를 시도한다. • 약물(완화제) 사용 원칙 부피형성 완화제를 먼저 사용한다. 효과가 없으면 MgO, lactulose와 같은 삼투성 완화제로 바꾸거나 같이 사용한다. 자극성 완화제는 장기간의 변비나 심한 복부 팽만 등의 증상이 있을 때 일시적인 완화 목적으로 단기간 사용한다. 이때 관장과 병행할 수 있다. 사용할수록 그 요구량이 많아지고, 약물에 의존하는 경향이 높으므로 마지막으로 고려할 것 완화제는 최소 유효량을 투여하고, 가능한 횟수를 줄여 나가다가 투약을 완전히 중단 한다. • 하제 투여에도 반응

[기본통증진료학] 대상포진/신경통/동통/합병증/피부과/홍반/수소포/약물치료/통증치료/스테로이드외용제/수성로션/글로불린주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기본통증진료학 PART 5. 가슴/등 Topic 3 “대상포진 후 동통이 계속 됩니다”: 대상포진 후 신경통(Postherpetic neuralgia) 의 내용입니다. PART 5.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 Topic 3. "대상포진 후 동통이 계속 됩니다" 대상포진 후 신경통(Postherpetic neuralgia) JX999 명세서 기재사항 건초내 주사 또는 경골신경차단술(좌골신경*0.25) JX999 환자가 vas score 7점 및 발뒤꿈치가 아파요(또는 발뒤축이 아파요)를 주소로 내원하여 이학적 검사상 아킬레스 건염(또는 후경골 건염)으로 진단되어 환자를 복와위/측와위/좌위로 하여 포비돈으로 자입부위를 소독한 후 needle을 자입하여 건초내주사 또는 경골신경차단술을 시행하였음 • 평가 •VAS score 몇 점 체크 • 체크근육 : 대상포진 후 동통은 이환된 부분의 자극과 움직임에 의해 점점 심해지고 악화되는 이상감각(dys

[1차진료 아카데미 처방가이드] 안구건조증/Dry Eye/이물감/건조감/비약물치료/약물치료/인공눈물/청색광차단/비타민A,D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일차진료 아카데미 처방가이드는 13년 초판 이후 매우 뜨거운 반응을 받은 실전진료 현장의 실제의학실무를 담은 서적입니다. 저희 바른의학연구소에서는 일차진료에 필요한 진료지식과, 병의원 경영 및 운영 전반에 이르는 필수지식을 꼼꼼히 담아내려 노력했습니다. 일차진료 아카데미 처방가이드 2진료 Chapter 14. 안과 Topic 4 안구건조증(Dry Eye)의 내용입니다. Chapter 14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Topic 4. 안구건조증(Dry Eye) 사용자코드 주상병 상병명칭 H0411 주상병 건성안증후군 H1618 보조상병 기타 및 상세불명의 표재성 각막염 ① 개요 눈물 배출 경로 • 눈물점( punctum ) → 상, 하 눈물 소관( upper & lower canaliculus ) → 공통눈물소관( common canaliculus ) → 눈물주머니 ( lacrimal sac ) → 코눈물관( nasolacrimal duct ) → 아

[감별진단의 정석] 체중증가/비만/Obesity/과체중/고도비만/일차성비만/이차성비만/갑상샘기능저하증/쿠싱증후군/비만의 원인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감별진단의 정석 PART 2. 전신/내분비 문제 Topic 2 체중증가/비만(Weight gain/Obesity)의 내용입니다. PART 2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Topic 2. 체중증가/비만(Weight gain/Obestiy) Introducing Case Case Study 58세 남자가 6개월 전부터 몸무게가 7 kg 늘어서 병원에 왔다. 추위를 자주 느낀다고 한다. 6년 전 두경부암으로 방사선 치료를 받았다. P/E • V/S: 혈압 150/90 mmHg, 맥박 62회/분, 호흡 16회/분, 체온 36.4 • HEENT: 갑상샘:촉지되지 않음 ; 얼굴 부종 • 전신피부: 거칠게 만져짐 혈액검사 • Na+ /K+ /Cl- 132/4.5/108 meq/mL • T3 42 ng/dL (참고치, 77~135), 유리 T4 0.39 ng/dL (참고치, 0.8~1.7), 갑상샘자극호르몬 89.5 mIU/L (참고치, 0

[SMART 일차진료 매뉴얼 실전편] 구강건조증/침분비저하증/탈수/기저질환/쇼그렌증후군/침생종양/타액분비자극제/무설탕껌/무설탕사탕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SMART 일차진료 매뉴얼 실전편 2 PART 10. 눈·귀·코·입·두경부 Topic 11 구강건조증의 내용입니다. PART 10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 Topic 11. 구강건조증 1. 원인/감별진단 • 구강건조증(xerostomia) 및 침분비저하증(hyposalivation) 구강건조증(xerostomia) :입이 마른다고 느끼는 주관적인 증상, 경험 타액분비저하증(hyposalivation, salivary gland hypofunction) :침의 질과 양의 변화, 자극 시 분당 0.5~0.7 mL 이하 또는 비자극 시 분당 0.1 mL 이하의 타액이 분비되는 경우 • 구강건조증의 원인 침 이외 원인(Nonsalivary) :탈수, 인지기능 저하 등 침 관련 원인(Salivary) (침분비저하, 침성분 변화) :기저질환, 약물 등 표 구강건조증과 연관된 기저질환 분류 주요 원인 질환 • 쇼그렌 증후군 • 자가면역질환:S

[Q book] 저혈압/쇼크/심박출량/혈액소실/모세혈관앞조임근기능부전/에너지고갈/출혈성쇼크/비출혈성쇼크/외상후쇼크/심장인성쇼크/신경인성쇼크/패혈성쇼크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Q book 1권 (구 MASTER KMLE) Part 1. Vital을 잘 다루자! Topic 2 저혈압/쇼크의 내용입니다. 과목 2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 Topic 5. 혈관염 리뷰01. 쇼크: 개요 01. 개요 우선 쇼크를 이해하기 위해서 알아두어야 할 기본적인 병태생리에 대해서 살펴보자!! 1. 쇼크의 병태 생리학 • 기초적인 심상 생리와 혈액 소실의 기전을 아는 것이 쇼크의 단계를 이해하는 것에 필수적이다. (1) 기초적인 심장 생리 • 심박출량(1분에 심장이 뿜어내는 혈액의 양) = 심박동 수 x 박출량 • 박출량:심장이 한번 수축할 때 나오는 혈액의 양. 전부하, 심근 수축력, 후부하에 의해 결정 (2) 혈액 소실의 병태 생리 2. 쇼크의 정의 >> 순환계의 비정상화로 인한 장기로의 혈관 관류와 조직의 산소화가 부적절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의미합니다. • 오랫동안 쇼크는 저혈압(hypotension)과 동의어처럼 사용되었다

[SMART 내과] 코로나바이러스/Coronavirus/호흡기감염/구조단백질/돌연변이/무증상감염/치료방법/코로나19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SMART 내과 1권 PART 2. 감염 Section 4. 바이러스 염 Topic. 5 코로나 바이러스(Coronavirus) 감염의 내용입니다. Section 4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Topic 5. 코로나 바이러스(Coronavirus)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 Overview • 사람 코로나바이러스(human coronavirus) 감염에 의한 급성호흡기감염증 01. 병원체 1. 코로나 바이러스(Coronavirus) • 코로나 바이러스과(Coronaviridae)에 속하는 사람 코로나 바이러스(Human Coronavirus) 니도 바이러스목(nidovirus family) > 코로나 바이러스과(coronaviridae) >코로나 바이러스아과(coronavirinae) > 코로나 바이러스(coronavirus: CoV) ※ 코로나 바이러스아과(coronavirinae)에 속하는 코로나 바이러스 속(genus) 서

[약처방의 정석] 심혈관/신장/이뇨제/근위세관/Henel고리/나트륨/나트륨배설촉진제/요농축/요세관내강세포막/원위세관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약처방의 정석 2권 PART 2. 심혈관/신장 Chapter 01. [Drug Class Review] 심혈관/신장에 주로 사용되는 약물 Topic 1 이뇨제의 내용입니다. Chapter 01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Topic 1. 이뇨제(Diuretics) 01 이뇨제: 이뇨제를 이해하기 위한 기초 • 체액용적의 조절에서 콩팥의 역할을 이해하는 데 있어 콩팥의 나트륨 배설조절에 대한 이해 가 필수적이다. ‘이뇨제(diuretic)’ : 뇨의 배설을 증가시키는 약물 ‘나트륨배설촉진제(natriuretic)’ : 나트륨 배설을 증가시키는 약물 ‘수분배설촉진약(aquaretic)’ : 용질의 배설없이 수분 배설만 증가시키는 약물 • 나트륨배설촉진제의 거의 대부분은 수분의 배설도 증가시키므로 대개 이뇨제로 불린다. • 삼투성(osmotic) 이뇨제/항이뇨호르몬 길항제는 직접적으로 나트륨 배설을 증가시키지 않는 수분배설촉진

[기본통증진료학] 경추추간판탈출증/Cervical HNP/위팔/손목통증/신경근압박/신경학적검사/치료/추간공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기본통증진료학 PART 3. 목 Topic 3 “목이 아프고 통증이 팔로 뻗쳐요”: 경추 추간판 탈출증(Cervical HNP) 의 내용입니다. PART 3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 Topic 3."목이 아프고 통증이 팔로 뻗쳐요(아킬레스건병증)" 경추 추간판 탈출증(Cervical HNP) • 평가 증상 •위팔(혹은 팔뚝)이나 손이 저리는 통증을 참기가 힘들어 잠을 자다가 깨기도 하고 그냥 통 증 때문에 밤을 지새우기도 합니다.” •낮에는 서서일하거나 앉아서 일할 때에는 증상이 없거나 약한 증상만이 나타납니다. (이유는 좁아진 추간공을 환자 스스로 통증이 안 나는 자세로 보정하기 때문) 밤에 잘 때는 목이 뒤로 젖혀지므로 추간공이 좁아지면서 해당되는 신경근에 압박이 가해 지면서 해당신경근이 지배하는 영역에 증상이 발생된다. 신체검사 ◼︎ Spurling test “lateral flexion, rotation and compression

[1차진료 아카데미 처방가이드] 여드름/Acne/주사/Rosacea/여드름원인/치료/예방/이소트레티노인/여드름치료연고/스타비에이/항생제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일차진료 아카데미 처방가이드는 13년 초판 이후 매우 뜨거운 반응을 받은 실전진료 현장의 실제의학실무를 담은 서적입니다. 저희 바른의학연구소에서는 일차진료에 필요한 진료지식과, 병의원 경영 및 운영 전반에 이르는 필수지식을 꼼꼼히 담아내려 노력했습니다. 일차진료 아카데미 처방가이드 2진료 Chapter 16. 피부 Topic 10-1 여드름(Acne) vs 주사(Rosacea)의 내용입니다. Chapter 16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Topic 10-1 여드름(Acne) vs 주사(Rosacea) ① Acne, Acne Keloid 사용자코드 주상병 상병명칭 L700 주상병 보통여드름 사용자코드 주상병 상병명칭 L730 주상병 여드름 켈로이드 처방례 • GSK 브레복실겔(비급여) [Benzoyl peroxide 4% 10g/TB] 10g #1P(아침) • 갈더마코리아 디페린겔 [Adapalene 0.1% 30g/TB] 1TB #1P(저녁) (여

[감별진단의 정석] 폐경/Menopause/자연폐경/조기폐경/무월경/열성홍조/발한/요실금/배뇨장애/질건조/혈관운동장애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감별진단의 정석 PART 8. 산과/부인과/유방 문제 Topic 1-4 폐경(Menopause)의 내용입니다. PART 8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Topic 1-4. 폐경(Menopause) Introducing Case Case Study 45세 여자가 1년 전부터 얼굴이 자주 붉어지고 땀이 많이 나며 불면증이 지속되어 병원에 왔다. 6년 전 자궁근종으로 전자궁절제술을 받았다. 골반검사는 정상이다. Warming-up I. 폐경이란? • 폐경이란? 난포의 소실과 이로 인한 난소의 기능부전에 의해 나타나는 현상으로, 12개월 동안 연속적인 무월경이 관찰되고, 그것을 유발할 수 있는 명확한 원인이 없는 경우 • 자연폐경이란? 병적인 요인 없이 연속적으로 12개월간 생리가 없는 경우 표 NAMS Menopause Terminology 자발/자연폐경(Spontaneous/natural menopause) • 폐경(menopau

[SMART 일차진료 매뉴얼 실전편] 적혈구증가증/Polycythemia/진성적혈구증가증/범혈구증가증/적혈구용적률/JAK2유전자돌연변이/혈전성합병증/신경학적증상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SMART 일차진료 매뉴얼 실전편 1 PART 7. 혈액(CBC 검사의 해석) Topic 2-1 적혈구 증가증(Polycythemia)의 내용입니다. PART 7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 Topic 2-1. 적혈구 증가증 • Swerdlow SH, Campo E, Harris NL, et al. WHO classification of tumours of haematopoietic and lymphoid tissues. Revised 4th ed. Lyon:IARC Press, 2017. • Jang M-A. Major Changes to the 2017 Revision o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Classification of Myeloproliferative Neoplasms. The Korean Journal of Medicine 2018; 93(4) :351–9. → 새로운 진성적혈구증가증(polyc

[Q book] 기능성위장장애/기능성소화불량증/소화성궤양/위식도역류질환/헬리코박터검사/산분비억제제/위장관운동촉진제/베나치오큐액/명치통증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Q book 2권 (구 MASTER KMLE) 과목 위장관 Topic 3 기능성 위장장애 의 내용입니다. 과목 2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 Topic 3. 기능성 위장장애 리뷰01. 기능성 소화불량증 01. 혈관염의 이해 • 기능성 소화불량증이란? : 소화성궤양, 위장관 악성 종양, 위식도역류질환, 췌담도 질환 등 그 인과관계가 뚜렷한 기질적 질환이 없으면서 소화불량증을 유발하는 경우 • 용어(동의어) :비궤양성 소화불량증(non-ulcer dyspepsia), essential dyspepsia, idiopathic dyspepsia 02. 진단 • 소화불량증을 유발할 수 있는 기질적 질환을 배제하는 것이 매우 중요 소화불량증을 유발하는 경우 • 증상만으로는 기질적 질환의 유무를 감별할 수 없다. • 기능성 소화불량증의 진단 및 치료를 위한 초기 접근방법으로 내시경검사가 헬리코박터 검사 후 제균치료보다 효과적 • 진단기준:Rome cr

[SMART 내과] 류마티스관절염/Rheumatoid arthritis/RA/말초다발성관절염/유전적요인/환경적요인/팔꿉관절활막염/관절운동장애/측두하악관절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SMART 내과 1권 PART 4. 류마티스 Section 1. 면역매개질환 Topic. 7 류마티스 관절염(Rheumatoid arthritis, RA)의 내용입니다. Section 1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Topic 7. 류마티스 관절염(Rheumatouid arthritis, RA) 001. 류마티스 관절염(Rheumatoid arthritis, RA): 개요 01. 개요 •대칭적인 말초 다발성 관절염을 특징으로하는 원인불명의 만성 염증성 질환 •가장 흔한 만성 염증성 관절염: 관절 손상 및 신체적 장애 초래 •전신질환으로서 다양한 관절외 증상이 발생 : 피로, 피하결절, 폐침범, 심낭염, 말초 신경병증, 혈관 염, 혈액학적 이상소견 등 02. 병태생리 •유전적 요인 + 환경적 요인 + 면역체계의 조절장애 + 자가면역 반응 등: 복합상호작용 •그러나 아직까지 확실하게 알려진 RA의 원인은 없음 진단 검사 •RA는

[약처방의 정석] 항대사제/Nucleotide/리보오스당/암세포/화학요법/핵산/Floate/악성늑막중배엽상피종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약처방의 정석 1권 PART 1. 여러계통에 두루 사용되는 약물 Chapter 05. 항생제/항암제/면역억제제 Topic 15-2 항대사제의 내용입니다. Chapter 05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Topic 15-2. 항대사제 01 개요 항대사제(antimetabolites)의 작용을 이해하기란 쉽지 않습니다. DNA 합성 과정에 개입하여 이를 방해하여 항암효과를 발휘하는 데D NA 합성과정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지 않고서는 작용기전을 이해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암세포에서는 정상 세포와 비교해 대사 과정(DNA 생산, 세포분열 등)이 매우 활발하게 나타나는데 화학 요법을 통해 이를 억제할 수 있다. 1) 항대사제를 이해하기 위한 기초 (1) nucleotide 합성 • 항대사제는 핵산의 건축 블록이라고 할 수 있는 nucleotide 합성을 억제하기 때문에 우선 nucleotide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Nucleot

[기본통증진료학] 어깨/상완신경총병증/Brachial Plexopathy/흉곽출구증후군/목디스크/혈액순환장애/사각극증후군/Adson test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기본통증진료학 PART 4. 어깨 Topic 3 “어깨, 팔, 손이 아프면서 저리고, 감각이상과 힘이 없어요”: 상완신경총병증(Brachial Plexopathy): 흉곽출구증후군 의 내용입니다. PART 4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 Topic 3. "어깨, 팔, 손이 아프면서 저리고, 감각이상과 힘이 없어요" 상완신경총병증(Brachial Plexopathy): 흉곽출구증후군 JX999 명세서 기재사항 건초내 주사 또는 경골신경차단술(좌골신경*0.25) JX999 환자가 vas score 7점 및 발뒤꿈치가 아파요(또는 발뒤축이 아파요)를 주소로 내원하여 이학적 검사상 아킬레스 건염(또는 후경골 건염)으로 진단되어 환자를 복와위/측와위/좌위로 하여 포비돈으로 자입부위를 소독한 후 needle을 자입하여 건초내주사 또는 경골신경차단술을 시행하였음 • 기초 ◼︎ 흉곽출구증후군(Thoracic outlet syndrome):TOS 전사각근

[1차진료 아카데미 처방가이드] 결핵/폐렴/소아형/성인형/폐결핵/객담/기관지결핵/폐첨부/폐하엽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일차진료 아카데미 처방가이드는 13년 초판 이후 매우 뜨거운 반응을 받은 실전진료 현장의 실제의학실무를 담은 서적입니다. 저희 바른의학연구소에서는 일차진료에 필요한 진료지식과, 병의원 경영 및 운영 전반에 이르는 필수지식을 꼼꼼히 담아내려 노력했습니다. 일차진료 아카데미 처방가이드 1 진료 Chapter 4. 호흡기/알레르기 Topic 5 결핵감염: 폐결핵을 중심으로의 내용입니다. Chapter 4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Topic 5. 결핵감염: 폐결핵을 중심으로 코드 명칭 진료과 a16 세균학적으로나 조직학적으로 확인되지 않은 호흡기결핵 01 a159 세균학적 및 조직학적으로 확인된 상세불명의 호흡기결핵 01 ① 개요 1-1 원인병원체 Mycobacterium tuberculosis → 비말핵에 의해 전파 • 대부분 결핵균에 내성이 있어 균에 노출되어도 25%만이 감염 → 감염된 사람의 5-10%에서 발병이 되고요. 2주 정도는 전염력이 높다

[감별진단의 정석] 고관절통증/Hippain/골절/요추디스크질환/복부질환/대퇴골두무혈성괴사/고관절염/퇴행성고관절염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감별진단의 정석 PART 3. 통증/근골격 문제 Chapter 5. 고관절/하지 Topic 11 고관절 통증(Hip pain)의 내용입니다. Chapter 3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Topic 11. 고관절 통증(Hip pain) Introducing Case Case Study 45세 남성이 2개월 전 발생한 고관절 동통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과거력상 외상의 병력은 없었고, 거의 매일 술을 마셨다. 진찰 시 좌측 고관절 부위에 둔통이 있었고, patrick test(+)이었다. DDX Possible conditions 고관절 통증의 주요 원인 • 고관절 통증의 감별진단은 다양하고 고관절(엉덩이), 등 아래쪽, 골반에 의한 경우를 포함 • 고관절 주위 통증:둔부 통증, 대전자부 통증, 좌골부 통증, 서혜부 통증 • ‘비관절염 고관절손상(nonarthritic hip injuries)’ :비구순파열(labral tear

[SMART 일차진료 매뉴얼 실전편] 급성췌장염/Acutepancreatitis/급성복통/췌장주변염증/금식/췌장효소억제제/아밀라아제/리파아제검사/압통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SMART 일차진료 매뉴얼 실전편 1 PART 5. 소화기 Topic 23 급성 췌장염(Acute pancreatitis)의 내용입니다. PART 5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 Topic 23. 급성 췌장염 추가내용 및 REFERENCE • Crockett SD, Wani S, Gardner TB, et al. American gastroenterological association institute guideline on initial management of acute pancreatitis. Gastroenterology 2018;154:1096- 1101. 개요/ 진단 •원인:담석(m/c), 술 •급성췌장염의 진단기준(정의) ⑴ 급성 복통(acute onset of a persistent, severe, epigastric pain often radiating to the back) ⑵ 혈액췌장효소수치의 상승(아밀라아제 그리고/또는

[Q book] 수면 장애/렘수면/비렘수면/수면주기/각성상태/야경증/유뇨증/기면증/렘수면행동장애/수면다원검사/이상수면/사건수면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Q book 8권 (구 MASTER KMLE) 과목 1. 정신 Topic 20-2 수면 장애의 내용입니다. 과목 1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 Topic 20-2 수면장애 • 혈관염 증후군으로 분류되는 질환들은 증상의 범위가 광범위하고 다른 질환과 중복되는 부분이 많아서 이해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또한 발병빈도가 높지않은 드문 질환들입니다. 따라서 혈관염으로 분류되는 각 질환들을 다 이해하려고 하는것 보다는 주요 질환들을 몇 가지 선택적으로 공부하는 것이 전략적입 니다. • 해당 질환을 의심할 수 있는 특징적인 임상양상을 파악하고 있다면 크게 어렵지 않을 것입니다. 리뷰01. 수면의 기초 수면의 구조(Sleep architecture) 1. 수면단계: 비렘수면과 렘수면, 1단계~4단계로 나뉨 cf. 각성(수면 전단계) :8-12Hz의 α파 혼합 주파수의 저전압 활동성 ① 비렘수면(non REM sleep, Non-rapid eye move

[SMART 내과] 연충/선충류/회충/폐렴/편충/탈항/무증상/분선충/객담/패혈증/개회충증/고양이회충/시력장애/아토피/고래회충유충증/해산물생식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SMART 내과 1권 PART 2. 감염 Section 6. 기생충 감염 Topic. 1 연충(Helminths): 선충류, 흡충류, 조충류의 내용입니다. Section 6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Topic 1. 연충(Helminths: 선충류, 흡충류, 조충류 001. 선충류 01. 회충증(Ascariasis): 회충(Ascaris lumbricoides) 개요 •병원체: 성충 - 폭: 0.5 cm 내외, 길이: 암컷 20-35 cm, 수컷 15-30 cm 인체에 감염되는 장내 선충 중 가장 큽니다. •토양매개성으로 감염. 유충이 폐 이행을 한 후에 성충이 소장에 기생 •회충: 거의 없음. 편충: 종종 발견 임상양상 감염자의 대부분은 충체 감염량이 많지 않아 무증상인 경우가 많습니다. 회충성 폐렴 (Ascaris pneumonitis) 또는 뢰플러 증후군(Loefflers syndrome) •감염 초기 1-2주에 유충의

[약처방의 정석] 탈모/모발질환/탈모의원인/여성형탈모/다낭성난소증후군/남성형탈모/약물치료/원형탈모증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약처방의 정석 2권 PART 11. 피부 Chapter 02. 증상/질환별 약처방의 정석 Topic 7 탈모 의 내용입니다. Chapter 02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Topic 7. 탈모 01 탈모: 치료 Overview 탈모치료를 이해하기 위한 기초 (1) 모발 주기 • 모발주기에 관한 이해는 모발질환의 이해에 매우 중요하다. • 정상적인 조건에서 털은 성장하다가 잠시 동안 성장을 멈춘 후에는 빠지고 다시 새로운 털로 대체된다. • 주기적으로 생장기(anagen), 퇴행기(catagen), 휴지기(telogen)를 반복 • 두피의 모발이 자라는 속도는 하루에 0.4mm정도 정도 • 각 털집은 일생동안 10 내지 20번의 주기를 반복 • 생장기(anagen) : 털집 기저부위의 털망울(hair bulb)이 부드럽고 축축하고 풍부한 색소를 함유하고 있으며 세포분열을 활발히 하여 각질화 모발을 생산하고 있어 그 털이 계속

[신간소식] 항생제 처방의 정석(기본편): 지피지기 처방전략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독자 여러분!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이번에는 신간 소식을 가지고 왔습니다!! 이번에 출간되는 도서는 항생제 처방의 정석(기본편): 지피지기 처방전략 입니다~ 항생제 처방의 정석은 "약처방의 정석"과 향후 출간 될 "스테로이드 처방의 정석" 등과 더불어 임상에서 흔히 사용되는 약물 처방을 소개하고 있는 약물 처방 시리즈 서적입니다. 항생제도 복잡하고 타겟질환인 감염질환은 그 이상으로 복잡하기 때문에 기본편과 실전편 2권으로 내용을 구성하였습니다!! 추후 출간되는 항생제 처방의 정석(실전편): 계통별 처방전략도 많은 기대 부탁드립니다~ 항생제 처방의 정석(기본편): 지피지기 처방전략의 목차를 보여드리고, 본 책의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항생제 처방의 정석(기본편)은 누군가에게 항생제에 대한 막연함을 조금이나마 걷어내고 항생제 처방에 대한 부담을 덜어줄 수 있는 책으로 자기매김하기를 원합니다 바른의학연구소 바르고 똑똑한 의학 컨텐츠로 세상과 소통합니다. barunlab.com

[기본통증진료학] Splint/상지/장완부목/완관절의염좌/Colles씨골절/설탕집게/주관절탈구/volar splint/Double sugar tong splint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기본통증진료학 PART 1. 통증 진료를 위한 기본 Topic 2-5 Splint의 기본 의 내용입니다. PART 1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 Topic 2-5. Splint의 기본 1. 상지의 splint ◼︎ Posterior long arm splint (장완부목) • 적응증 : 전박부 골절(Fracture of forearm bone), 상완골 과상부 골절(supracondylar fracture of humerus), 주두골절(fracture of olecranon), 주관절 탈구(elbow dislocation) 등 • 시행방법 전박부 골절과 주관절 탈구 시 주관절을 90굴곡시키며, 상완골 과상부 골절 시는 그 이상으로 굴곡시킨다. 주두골절시 30로 굴곡시키는 것이 좋다. 석고붕대 부목을 팔의 길이에 맞도록 만들어 솜 혹은 stockinet으로 감싸준 후 중립위로 대고 탄력붕대로 감아 원하는 위치에서 5분 이상 유지하여 굳

[1차진료 아카데미 처방가이드] 떨림/파킨슨병/Resting tremor/본태성떨림/Essential tremor/Parkinson's disease/원인/임상적 특징들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일차진료 아카데미 처방가이드는 13년 초판 이후 매우 뜨거운 반응을 받은 실전진료 현장의 실제의학실무를 담은 서적입니다. 저희 바른의학연구소에서는 일차진료에 필요한 진료지식과, 병의원 경영 및 운영 전반에 이르는 필수지식을 꼼꼼히 담아내려 노력했습니다. 일차진료 아카데미 처방가이드 2진료 Chapter 12. 신경 Topic 6 떨림/파킨슨병의 내용입니다. Chapter 12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Topic 6. 떨림/파킨슨병 ① 개요 코드 명칭 진료과 좌 우 수술 r251 상세불명의 떨림 01 g250 본태성 떨림 02 g252 기타 명시된 떨림 형태 02 g251 약물-유발 떨림 02 1-1 정의 • 몸의 일부분 또는 여러 부분에서 작용근과 대항근이 동시에 혹은 교대로 수축하는데 규칙적이면서 일정한 빈도를 가지는 진동성 불수의 운동을 말합니다. • 신경학적 이상이 없는 원인불명의 Essential Tremor(본태성떨림

[감별진단의 정석] 가슴통증/심인성 흉통/비심인성 흉통/주요 질환/대상포진/GERD/기흉/근골격계 흉벽통증/흑변/우울증/허혈심질환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감별진단의 정석 PART 5. 심혈관/혈액 문제 Topic 2 가슴통증/가슴불쾌감(Cardiac chest pain)의 내용입니다. PART 5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Topic 2. 가슴통증/가슴불쾌감(Cardiac chest pain) Introducing Case Case Study 67세 여자가 6개월 전부터 가슴이 아팠다며 병원에 와삳. 통증은 한 달에 한두 변 계단을 오를 때에 생겼는데, 2~3분 안에 좋아졋다. 골관절염으로 무릎이 아파서 지팡이를 사용한다. V/S • V/S:혈압 128/74 mmHg, 맥박 68회/분, 호흡 16회/분, 체온 36.6 • 가슴 청진:심음/호흡음 정상 • 정강뼈앞 오목부종(-) 심전도 (관련 사진은 감별진단의 정석 p481을 참고해주세요.) 가슴 x선 (관련 사진은 감별진단의 정석 p481을 참고해주세요.) DDX Possible conditions » 흉통은 크게 심인성 흉통

[SMART 일차진료 매뉴얼 실전편] 요실금/Urinary incontinence/일시적요실금/만성요실금/복압성/혼합형/폐경기/요로폐색/야뇨/빈뇨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SMART 일차진료 매뉴얼 실전편 2 PART 8. 신장·요로·비뇨생식 Topic 9-3 요실금(Urinary incontinence)의 내용입니다. PART 8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 Topic 9-3. 요실금 Core Review 1. 개요 • 요실금의 종류 우선 일시적 요실금과 만성요실금으로 분류 만성요실금:복압성(긴장성, stress), 절박성(urge), 혼합형(mixed), 범람성(overflow), 기능성 요실금 (functional incontinence) 1) 일시적 요실금(transient incontinence) 표 일시적 요실금(transient incontinence)의 원인:DIAPPERS Mnemonic • Delirium • Infection (acute urinary tract infection) • Atrophic vaginitis • Pharmaceuticals • Psychological diso

[Q book] 죽상경화증/동맥경화증/고혈압/동맥내막손상/뇌졸중/탄력섬유/뮌케버그석회경화/심근비대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Q book 6권 (구 MASTER KMLE) 과목. 심혈관 Topic 14 죽상경화증의 내용입니다. 과목 2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 Topic 14. 죽상경화증 리뷰01. 죽상경화증 01. 정상 혈관조직의 구조 • 혈관의 기본 구조를 이루는 세포는 내피세포이며, 혈관계의 말단에 위치하면서 가장 미세한 구조인 모세혈관은 단층의 내피세포로 구성되어 있다. • 말단인 모세혈관에서 시작하여 중심부인 심장으로 갈수록 보다 큰 혈관이 생성 되는데, 동맥과 정맥의 두 종류로 분류할 수 있으며, 모세혈관과의 가장 큰 차이점은 증가하는 압력을 견디기 위한 막 구조가 점차적으로 추가되는 것이다. 압력을 많이 받는 큰 혈관인 경우:내막(tunica intima), 중막(tunica media), 외막(tunica adventitia)의 세 층으로 구성 내막 • 내피하층(내피세포, 탄력섬유, 콜라겐섬유 함유), 내탄력판(탄력 섬유로 형성된 띠)으로 구성

[SMART 내과] 뎅기바이러스/숲모기류/이집트숲모기/혈액전파/뎅기열/말라리아/Dengue virus/아스피린/지카바이러스/구강출혈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SMART 내과 1권 PART 2. 감염 Section 4. 바이러스 감염 Topic. 9 최근 유행하고 있는 바이러스 감염/해외유입 바이러스 감염의 내용입니다. Section 4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Topic 9. 최근 유행하고 있는 바이러스 감염/해외유입 바이러스 감염 001. 뎅기열(Dengue fever) » 가수 신모씨 덕분에 유명해진 질환입니다. 01. 개요 정의 • 뎅기 바이러스(Dengue virus) 감염에 의해 발생하는 급성 발열성 질환 • 뎅기는 4가지 뎅기바이러스 혈청형에 의해 발생되는 가장 흔한 모기매개 바이러스 질환 질병 분류 • 제3급 법정감염병 발생지역 • 전 세계 약 100여 개 국가에서 발생 • 광범위한 분포: 주로 열대와 아열대 지역. 위도상 적도에서 남북으로 위도 35 국내현황 • 국내: 2000년대 중반을 기점으로 국내 뎅기열 환자 급증 02. 병원체/감염경료 병원체 • 뎅기 바이

[항생제 처방의 정석] 기타 진균 감염/감염/잠복기/림프피부/폐스포로트릭스증/AIDS/Histoplasma 감염증/무증상감염/면역억제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항생제 처방의 정석 PART 5. 지피지기 감염병 진료전략: 진균·기생충 vs 항진균제·항기생충제 Chapter 02. 적을 알자! 주요 진균 Topic. 6 기타 진균 감염 의 내용입니다. Part 5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Topic 6. 기타 진균 감염 Case Vignette 50세 농부가 3개월 전부터 왼쪽 손등에 통증이 없는 결절이 생겼다며 내원했다. 다른 병원에서 처방한 항생제를 복용했으나, 궤양은 호전되지 않았다. 2주 후 왼쪽 손목에도 비슷한 결절이 발생했고, 다시 2주 후 왼쪽 팔에 유사한 병변이 나타났다. 진균배양검사를 실시하였고 그 검사에서 양성이 나왔다. 01 소포로트릭스증(Sporotrichosis) 1. 병원체 • Sporothdx: schenckii • Ophiostomataceae과 • 두형태 진균(Dimorphic fungi): 온도에 따라 사상균과 효모균의 두 형태를 가짐 ⑴ 사상균: 자연 상태와 실온,

[약처방의 정석] 심부전/심박출기능/혈액량의 분포/흉강내압/전신혈관저항/Norepinephrine(NE)/venous tone/inotropic agent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약처방의 정석 1권 PART 2. 심혈관/심장 Chapter 02. 증상/질환별 약처방의 정석 Topic 9 심부전의 내용입니다. Chapter 02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Topic 9. 심부전 01 심부전: 심부전 치료를 이해하기 위한 기초 1) 심박출기능(ejection function)에 대한 이해 (1) 심박출량(Cardiac output, CO)의 조절 심장의 핵심기능은 박출기능입니다. 심장의 박출기능에 미치는 인자는 크게 4가지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특히 심부전의 병태생리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박출기능에 관여하는 인자에 대해 잘 이해할 필요가 있습니다. ⑴ 전부하(preload) ⑵ 후부하(afterload) ⑶ 심근수축력(contractility) + ⑷ 심박수(heart rate) 전부하(preload)는 심장이 수축하기 전에 심근을 늘이는 부하를 말하고, 후부하(afterload)는 심장이

[기본통증진료학] 기초 무릎통증/질환/해부학/영상검사/대퇴골관절면/비골신경/좌골신경/피막/대퇴신경/엉덩근/정강신경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기본통증진료학 PART 11. 무릎 기초 무릎 통증·질환 지료를 위한 기초 의 내용입니다. PART 11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기초 무릎 통증·질환 진료를 위한 기초 1. 해부학 1) 뼈/인대/건 2) 신경 (1) 좌골신경(Sciatic nerve) 무릎관절의 통증은 내측슬와신경(medial genicular n.)과 외측슬와신경(lateral genicular n.)가 좌골신경(sciatic n.)과 함께 femur의 뒤로 내려오다가 내측과(medial condyle) 쪽 tibial nerve와 외측과(lateral condyle)의 상부 쪽 common peroneal nerve로 양쪽으로 divide되어 무릎 앞쪽으로 넘어가 무릎관절의 피막에 망상으로 분포하는 데 관절의 감각신경들은 망상으로 갈라지기 전에 femur의 양측과(bilateral condyle)의 뒤쪽에서 반막양근(semimembranosus m.)이나 대퇴이두근(b

[1차진료 아카데미 처방가이드] 응급환자에 대한 진료/ABC/D.O.A/저혈압 쇼크/심부전/호흡부전/간경변/사망진단서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일차진료 아카데미 처방가이드는 13년 초판 이후 매우 뜨거운 반응을 받은 실전진료 현장의 실제의학실무를 담은 서적입니다. 저희 바른의학연구소에서는 일차진료1꼼꼼히 담아내려 노력했습니다. 일차진료 아카데미 처방가이드 1 진료 Chapter 2. 응급상황에 대한 대처 Topic 1 응급 환자에 대한 진료의 내용입니다. Chapter 2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Topic 1. 응급 환자에 대한 진료 ① 응급실에서 중환자 처치 : ABCDE • ABC란 ? Airway, Breathing, Circulation의 약자로 수 분 내 동시처치하여 생명지수를 정상화시켜야 한다. • Vital Sign ① BP : 90/60 ~ 180/110 사이에서 유지할 것 ② Pulse : 60 ~ 100회/min ③ RR : 15 ~ 25회/min • 기도확보 intubation 잘 안 되면 i gel을 사용한다. i gel이 없을 경우 18G 니들 3개를 아담스애

[감별진단의 정석] 생체징후 관련 문제-혈압 이상(Blood pressure abnormalities)/저혈압/쇼크/고혈압/심혈관/Hypovolemic/Cardiogenic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감별진단의 정석 PART 1. 생체징후 관련 문제 Chapter 1 혈압 이상 Topic 1-1 저혈압/쇼크(Hypotension/Shock)의 내용입니다. PART 1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Topic 1-1. 저혈압/쇼크(Hypotension/Shock) Introducing Case Case Study 38세 남자가 4시간 전에 피를 토했다며 병원에 왔다. 메스꺼워 구토를 했더니 선홍색 피가 종이컵 두 컵 정도 나왔다고 하였다. 빈속에는 속이 쓰리고 식사를 자주 거른다고 한다. 식은땀을 흘리고 있었고 안색이 창백해 보였다. P/E • V/S:혈압 80/50 mmHg, 맥박 115회/분, 호흡 20회/분, 체온 36.2 • 복부:청진-장음 정상 ; 명치부위 압통(+) ; 덩이(-)전신적 원인 혈액검사 • 백혈구 3,900/mm³, 혈색소 8.9 g/dL, 혈소판 94,000/mm³ • 알부민 3.2 g/dL, 프로트롬

[SMART 일차진료 매뉴얼 실전편] 소화기: 소화불량/소화성궤양/위식도역류질환(GERD)/내시경검사/담낭결석/만성췌장염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SMART 일차진료 매뉴얼 실전편 1 PART 5. 소화기 Topic 2 소화불량(Dyspepsia) 의 내용입니다. PART 5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 Topic 2. 소화불량(Dyspepsia) 1. 원인 및 감별진단 •주요 원인(4가지) ⑴ 기능성소화불량(functional dyspepsia) ⑵ 소화성 궤양(peptic ulcer disease) ⑶ 위식도역류질환(GERD) ⑷ 위 및 식도 악성종양(Gastric & esophageal malignancy 2. 진단적 접근 • 4가지 주요 전략 Prompt endoscopy 증상을 가진 모든 환자에게 우선 내시경을 시행하는 전략 Test and scope 헬리코박터 검사를 하고 검사가 양성이면 내시경을 시행하는 전략 Test and treat 우선 헬리코박터 검사를 시행한 후 헬리코박터 양성인 경우 제균치료를 시행하는 전략 Empirical PPI trial 검사없이 경험적으로

[Q book] 간담췌: 급성간염/간염/serologic markers/치료법/급성바이러스간염/A형 간염/B형 간염/C형 간염/D형 간염/E형 간염/감염경로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Q book 3권 (구 MASTER KMLE) 과목 간담췌 Topic 04 급성간염의 내용입니다. 과목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 Topic 4. 급성간염 • 간염 type에 따른 경과와 serologic markers, 치료법에 대해 확실히 알고 넘어가야 합니다. 핵심 포인트 • 급성 바이러스 간염 IgM Anti-HAV HBsAg IgM Anti-HBc Anti-HCV 진단적 해석 - + + - 급성 B형 간염 - + - - 만성 B형 간염 + + - - 만성 B형 간염에 병발한 급성 A형 간염 + + + - 급성 A형, B형 간염 + - - - 급성 A형 간염 + - + - 급성 A형 및 B형 간염(HBsAg 측정감도 이하) - - + - 급성 B형 간염(HBsAg 측정감도 이하) - - - + 급성 C형간염 • 독성/약물유발 간염 약물에 의한 간 독성에는 예측 가능한 Direct toxic type과 Idiosyncratic ty

[SMART 내과] 심장성 쇼크(Cardiogenic shock)/바이탈/심인성 쇼크/심근경색/심근 기능이상/심장성 쇼크의 원인/응급실 치료/저산소혈증/심근수축력/혈압상승제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SMART 내과 1권 PART 1. 바이탈 Section 2. 혈압이 불안정한 경우: 출혈, 쇼크 및 수액소생술 Topic. 4 심장성 쇼크(Cardiogenic shock) 의 내용입니다. Section 2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Topic 7. 심장성 쇼크(Cardiogenic shock) 01. 심장성 쇼크(Cardiogenic shock)란? •좌심실 충만압의 상승에도 불구하고 [폐모세혈관 쐐기압 18 mmHg 이상], 현저한 심장박출계수(Cardiac Index) 감소[2.2(L/min)/m2 미만]와 지속적인 수축기동맥압 감소(90 mmHg 이하)로 인해 전신의 저관류가 나타나는 쇼크 •이때의 순환 혈액량은 일반적으로 정상 혹은 과다 상태이다. •심인성 쇼크에서 Ejection Fraction, 전신 혈관 저항, 좌심실 크기 등은 다양하다. » 심장성 쇼크와 폐부종은 생명이 위급한 상태로 즉각적인 응급처치가 필

[항생제 처방의 정석] 감염병은 어떻게 생성되는가?/감염병/병원체/감염원/체내침입/감염사슬/병원소/변형단백질/프리온/감염질환/침입경로/바이러스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항생제 처방의 정석 PART 1. 감염병에 대한 지피지기! Chapter 01. 감염병을 이해하자! Topic. 1 감염병은 어떻게 생성되는가? 의 내용입니다. Part 1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Topic 1. 감염병은 어떻게 생성되는가? » 미생물은 인체 감염을 유발하기 위해서 여러 장애요소를 이겨야만 합니다. » 병원체는 다양한 감염원에서 생존 또는 증식하여 배출되어야 합니다. 적절한 침입경로까지 효율적으로 도달한 후 체내로 침입하여야 합니다. 침입 부위에서 집락을 형성하여 다양한 병독인자를 생산하여 감염을 유발시키고 인체의 방어 면역반응을 회피해야 합니다. 01 감염사슬 6단계: 감염병 생성 및 전파 ⑴ 병원체 ⑵ 병원소 ⑶ 병원체 탈출 ⑷ 병원체 전 ⑸ 병원체 침입 ⑹ 감수성있는 숙주 » 이 단계 중 하나라도 성공하지 못하면 감염사슬은 성공적으로 생성되지 못합니다. » 감염병의 생성을 예방하거나 질병의 유행을 차단하는 감염병 유행

[유튜브] 바른의학연구소 유튜브 오픈 소식!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독자 여러분!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바른의학연구소의 유튜브를 소개해드리기 위해서 찾아왔습니다! 아무래도 영상을 통해 책을 소개해드리면 좀 더 생생하게 책에 대한 정보들을 전달할 수 있지 않을까 하여 저희도 드디어 유튜브를 시작하게 되었답니다. 앞으로도 유튜브에 바른의학연구소의 의학서적들을 소개하는 영상 뿐만 아니라 의료인들에게 도움이 되는 다양한 영상을 꾸준히 업로드할 예정이니 많은 관심 부탁드려요~ https://www.youtube.com/watch?v=6q2BuCiRWwE 현재는 <SMART 일차진료매뉴얼:실전편>에 대한 책 소개 영상이 업로드된 상태이고 다음 그 영상은 Qbook 소개 영상이 업로드될 예정이에요 . 혹시 영상에 담았으면 하는 소재나 내용이 있으신가요? 댓글 달아주시면 독자님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영상을 만들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유튜브 영상도 많은 시청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약처방의 정석] 부신겉질 호르몬/길항제/내분비/adrenocortical antagonists/부신호르몬/이소성 ACTH 증후군/부신겉질 호르몬 합성 억제제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약처방의 정석 2권 PART 6. 내분비 Chapter 01. [Drug Class Review] 내분비에 주로 사용되는 약물 Topic 1 부신겉질 호르몬/길항제 의 내용입니다. Chapter 01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Topic 1. 부신겉질 호르몬/길항제 01 부신겉질 호르몬 참조 Part 1. 여러계통에 두루 사용되는 약물 "스테로이드"에서 다루었습니다 02 부신겉질 길항제(adrenocortical antagonists) 1) 부신겉질 길항제 종류 ⑴ receptor antagonists ① glucocorticoid antagonists: mifepristone ② mineralocorticoid antagonists: spironolactone, eplerenone ⑵ synthesis inhibitors ① 초기단계를 억제하는 약물: 광범위한 효과 (Mitotane, aminoglutethimide, ke

[기본통증진료학] 편두통이 심해요/두통/편두통/증상/약물/통증치료/비타민 수액요법/신경차단술/명세서 기재사항/후두신경블록/이개측두신경 블록/통증주사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기본통증진료학 PART 2. 머리 및 얼굴 Topic 2 "두통(or 편두통)이 심해요" 두통(or 편두통) 의 내용입니다. PART 2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 Topic 2. “두통(or 편두통)이 심해요” • 평가 • VAS score 몇 점 체크 참고 두통 이외에 삼차신경의 제1분지의 급성대상포진으로 인한 신경통 치료방식도 유사하다. •C2는 경추관절의 과신전-과굴곡에 충격을 잘받는 부위로 인접된 신경증상을 유발하여 C1, C3, C4의 이상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후두의 두통은 2번경추 신경이상과 동반되는 경우가 많다. • 치료 계획 •내원 1일째:약물과 통증치료 1번 방법만 일단 시행한다. •내원 2일째: 효과 있었다고 하면 - 약물처방을 하고 해당부위에 InfraRed Tx 효과 없었다고 하면 - SGB 시행 + Meyer’s cocktail + 진통근육주사 약물치료 ⑴ Acetaminophen 3T #3 PO lox

[1차진료 아카데미 처방가이드] 호흡기/알레르기-주요 호흡기 증상:기침, 가래, 콧물/코막힘, 객혈 등/진해제/약물성 마약/기침중추/비마약성 진해제/말초작용 억제/거담제/분비촉진제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일차진료 아카데미 처방가이드는 13년 초판 이후 매우 뜨거운 반응을 받은 실전진료 현장의 실제의학실무를 담은 서적입니다. 저희 바른의학연구소에서는 일차진료에 필요한 진료지식과, 병의원 경영 및 운영 전반에 이르는 필수지식을 꼼꼼히 담아내려 노력했습니다. 일차진료 아카데미 처방가이드 진료1 Chapter 4. 호흡기/알레르기 Topic 1 주요 호흡기 증상: 기침, 가래, 콧물/코막힘, 객혈 등 의 내용입니다. Chapter 4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Topic 1. 주요 호흡기 증상: 기침, 가래, 콧물/코막힘, 객혈 등 ① 기침(Cough) 기침(Cough)을 타겟으로 하는 약물/regimen: 진해제 기침을 치료할 때 원인을 타겟으로 하는 질병 특이적인 치료를 시행하는 것이 원칙이긴 하지만 원인을 명 확하게 규명하게 못할 때가 있다. 이때 흔한 원인을 타겟으로 한 경험적 치료, 그리고 기침 자체를 억제하 는 증상조절을 위한 치료 등을 시행하

[유튜브] 의학서적 <Qbook: Case based review 1~9> 소개 영상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독자 여러분!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지난주부터 바른의학연구소가 유튜브를 시작했다고 말씀드렸던 것 기억하시나요?! 그리고 오늘은 두 번째 영상으로 찾아왔습니다! 이번 영상은 바른의학연구소의 의학서적 중에서 <Qbook: Case based review 1~9> 에 대한 소개 영상입니다. 보시는 분들이 지루하지 않도록 짧고 임팩트 있게 책에 대한 필수 정보를 담으려고 했답니다. 영상을 보시면 Qbook의 집필 의도,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방법 뿐만 아니라 탄생 배경에 대한 비하인드 스토리까지 알게 되실 거예요 궁금하시면 지금 바로 아래에 있는 유튜브 영상을 클릭해 주세요! https://www.youtube.com/watch?v=y5zDUGLChVI&t=15s 혹시 영상에 담았으면 하는 소재나 내용이 있으신가요? 댓글 달아주시면 독자님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유익한 영상을 만들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앞으로도 유튜브에 바른의학연구소의 다양한 영상들을 꾸준히 업로드할 예정이니 많은

[감별진단의 정석] 호흡곤란/호흡 이상-호흡곤란(Dyspnea)/기도수축/수용체/호흡 구동/환기 장애/좌위호흡/발작성 야간호흡곤란/진단적 접근/급성 호흡곤란/간헐적 호흡곤란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감별진단의 정석 PART 1. 생체징후 관련 문제 Topic 3 호흡곤란/호흡 이상 의 내용입니다. PART 1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Topic 3. 호흡곤란/호흡 이상 이상 Warming-up ① 호흡곤란(Dyspnea)이란? •호흡곤란이란 개개인이 호흡 시 경험하는 불편하거나 불쾌한 감각을 의미한다. • 미국 흉부학회(American thoracic society) 정의2) : “다양한 강도의, 질적으로 분명한, 호흡 시 불편의 주관적 경험” ② 호흡곤란의 기전:호흡곤란은 어떻게 발생하는가? •호흡곤란을 유발하는 병태생리는 매우 복잡하여 다양한 원인 질환의 구분이 용이하지 않다. • 호흡에 관여하는 감각 기관의 활성화(하나 이상의 수용체들이 독립적 혹은 집합적으로 자극) → 중추신경계로의 구심성 신호 발생 → 중추신경계 도달 → 중추신경계로부터의 원심성 신호 → 호흡기계 • 호흡 조절에 관여하는 수용체:화학수용체(c

[SMART 일차진료 매뉴얼 실전편] 질병예방·건강증진:금연/니코틴/담배/금단증상/금연진료/흡연/니코틴 의존/금연 약물요법/신종담배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SMART 일차진료 매뉴얼 실전편 1 PART 1. 질병예방·건강증진 Topic 2 금연의 내용입니다. PART 1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 Topic 2. 금연 추가내용 및 REFERENCE • 신종담배에 대한 내용 추가 • Lee CM, Lee SK, Kim SR. The Position Statement on Heat-not-burn (HNB) Tobacco Products of the Korean Society on Nicotine and Tobacco (KSR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esearch on Nicotine and Tobacco 2018;9(1) :1-3 1. 개요 • 니코틴:담배에 들어있는, 중독성이 강한 알칼로이드. 반감기가 약 2시간 정도로 흡수된 후 급격히 농도가 줄기 때문에 금단 증상이 심함 • 담배를 못 끊는 가장 중요한 요인 니코틴:습관성중독물질/금단증상의

[Q book] 심혈관:심혈관계 신체검사(진찰)/심혈관 질환/정맥 진찰/경정맥압/경정맥파/복장뼈각/속목정맥/삼첨판 역류/심방세동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Q book 3권 (구 MASTER KMLE) 과목. 심혈관 Topic 1 심혈관계 신체검사(진찰) 의 내용입니다. 과목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 Topic 1. 심혈관계 신체검사(진찰) • 심혈관 파트를 이해하기 위해서 필수적으로 이해하고 숙지해야 할 부분입니다. • 이해하기도 어렵도 숙지해야 할 부분도 많기 때문에 공부하기가 무척 난감하지만 밑그림을 그린다는 생각으로 차근차근 공부해봅시다. • 완벽히 섭렵하면 좋겠지만 그렇지 않더라도 앞으로 두루두루 등장할 내용들이니 일단 개념만 익힌 다음 각론을 공부하면서 중간중간에 필요한 부분을 찾아보는 것이 훨씬 수월하고 효율적일 수 있습니다. 핵심 포인트 • 경정맥압/경정맥파 경정맥압이 상승하는 질환 경정맥파의 각 요소별로 이상을 보이는 질환 • 심혈관계 신체검사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심장 청진입니다. 정상적으로 들리는 심음(heart sound)과 심잡음(murmur)를 감별하는 것이

[유튜브] 의학서적 <약처방의 정석: Drug class review & Real world prescription> 소개 영상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독자 여러분!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바른의학연구소는 유튜브를 시작한 이후로 영상을 정기적으로 업로드 하고 있답니다. 주 1회는 기본적으로 올리려고 노력하고 있으니 많은 관심 부탁드려요! 이번 주는 바른의학연구소의 의학서적 중 <약처방의 정석: Drug class review & Real world prescription> 소개 영상을 올렸습니다. 많은 의료인 독자분들께 사랑 받은 덕분에 약학분야 베스트셀러로 등극했던 이력이 있는 의학서적이지요! 영상을 보시면 어떻게 책을 활용하면 좋은지 책의 구성, 활용 가이드, 구매처에 대한 설명을 덧붙여 놓았으니 영상을 보시고 더 효율적으로 공부하시기 바랍니다!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의 링크를 클릭해 영상을 시청해 주세요 https://www.youtube.com/watch?v=D4r5nEbH_eo 혹시 영상에 담았으면 하는 소재나 내용이 있으신가요? 댓글 달아주시면 독자님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유익한 영상을 만들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신간소식] SMART 소아진료매뉴얼 (1월 2일 출간 예정)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독자 여러분!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여러분들께 바른의학연구소의 신간도서 출간 예정 소식을 전해드리려고 합니다! 이번에 출간되는 도서는 본 출판사를 통해 다수의 저서를 출간한 바 있는 이상봉 저자의 <SMART 소아진료매뉴얼>입니다. (SMART 소아진료매뉴얼과 동시에 SMART 일차진료매뉴얼(3판)도 1월 2일에 동시에 출간됩니다.) 일차진료 중 소아진료 영역에 초점을 맞춘 책으로서 이번 출간되는 책이 제3판인데요! “Practical approach”한 면을 보강하여 부제인 “Evidence based & Practical approach”에 보다 부합하도록 중점을 두었답니다. 따라서 몇 가지 변화를 통해 지난 1,2판보다 완성도를 높였습니다. 신간도서 <SMART 소아진료매뉴얼>은 1월 2일 출간 예정입니다. (※ 내부 사정으로 인해 연기된 점 양해 바랍니다.) 꼼꼼하게 내용을 검토하고 수정하느라 출간 일정이 조금 늦어지게 되어 죄송할 따름입니다. 대신 더 알찬

[SMART 내과] 발열(Fever)/발열에 대한 접근/체온 측정/발열원/직장체온/발열기전/구강체온/고체온증/고막체온/급성발열/해열제 투여 시 주의사항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SMART 내과 1권 PART 1. 바이탈 Section 5. 체온이상에 대한 접근 Topic. 1 발열 의 내용입니다. Section 5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Topic 7. 발열(Fever) SUB TOPIC 1-1. 발열에 대한 접근 001. 발열 : 개요 01. 체온의 측정 • 심부체온(core temperature)와 표면체온(surface temperature)로 구분 ⑴ 심부체온: 내부장기나 근육에서의 체온. 침습적인 방법에 의해서만 측정가능. 임상에서 손쉬운 이용이 어려움 ⑵ 표면체온: 피부나 점막에서의 체온. 비교적 측정이 용이. 심부체온과 차이 존재 • 체온은 다양한 신체부위에서 여러 방법 및 기술로 측정가능 • 보통 신체의 일부분에 측정하지만 신체 부위마다 온도가 모두 다르기 때문에 진정한 의미의 중심 체온을 대표한다고 할 수 없음 직장체온 (rectal temperature) • 심부체온을 비교적

[항생제 처방의 정석] 전파 과정 차단/표준주의/감염병/위생/기침 예절/환자 배치/린넨관리/손위생/호흡기 예절/재채기/병균의 전염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항생제 처방의 정석 PART 2. 감염병 예방 및 치료의 모든 것 Chapter 01. 감염병 관리 및 예방: 병원체 침입을 막고 전파 과정을 차단하자! Topic.2 전파 과정을 차단하자! 의 내용입니다. Part 2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Topic 1. 전파 과정을 차단하자! 01 표준주의(Standard precautions) : 개요 1. 표준주의: 일반원칙 • 감염병 증상이 있는 환자는 전파 가능성이 있는지에 대해 적절한 시기에 평가 • 모든 환자를 대상으로 표준주의 준수 • 의료기관은 의료종사자들을 대상으로 다음의 사항에 대해 정기적으로 교육 전파의 위험도 평가, 개인보호구 선택과 사용, 효과적인 손위생 방법, 표준주의 지침 2. 표준주의: 주요 방법 • 손 위생 • 개인보호구 • 호흡기 위생/기침예절 • 환자 배치 • 환자 치료기구 및 물품 • 환경관리 • 린넨관리 • 안전한 주사실무 • 요추천자 시술 시 관리 • 직원안전

[유튜브] 의학서적 <감별진단의 정석: Differential Diagnosis in Primary Care> 소개 영상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독자 여러분!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이번주도 바른의학연구소가 유튜브 영상으로 찾아왔습니다. 이번 영상은 바른의학연구소의 의학서적 중 <감별진단의 정석: Differential Diagnosis in Primary Care> 을 소개해드리는 내용을 담고 있어요. 감별진단의 정석은 일차진료, 내과진료, 응급진료 등 진단 및 치료를 포괄적으로 다룬 교재와 비교할 때 진단 쪽에 초점을 맞춰 상세하게 기술한 책이랍니다. 더욱 자세한 내용은 영상에서 확인해 주세요~! 이번 영상은 지난 영상들과 달리 내레이션을 넣어 조금 더 생동감 있고 지루하지 않게 영상을 시청하실 수 있을 거예요 ^^ 계속해서 발전하는 바른의학연구소가 되겠습니다! 영상에는 책의 구성, 활용 가이드, 구매처에 대한 설명을 덧붙여 놓았으니 더 효율적으로 책을 활용하시길 바랄게요! 그리고 영상을 보면서 책을 구매하고자 결정하신 분들을 위해 더보기란에 도서 구매 사이트 링크를 걸어 놓았습니다. 그럼 우선 유튜브 영상을

[약처방의 정석] 면역항암제/항암 면역 치료/암세포/표적치료제/단일클론 항체 치료법/조혈 성장인자/면역관문/면역세포요법/항암 백신(Anticancer vaccines)/악성 흑색종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약처방의 정석 1권 PART 1. 여러 계통에 두루 사용되는 약물 Chapter 05. 항생제/항암제/면역억제제 Topic 15-6 면역항암제 의 내용입니다. Chapter 05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Topic 15-6 면역항암제 01 항암 면역 치료란? • 면역 요법을 통해 종양에 생물학적 반응을 변화시켜 항암 효과를 유발하는 치료 방법 • 암 자체를 공격하는 기존 항암제와는 달리 인공면역 단백질을 체내에 주입하여 면역체계를 자극함으로써 면역세포가 선택적으로 암세포만을 공격하도록 유도하는 치료약제 • 체내 면역세포들의 특성들을 이용하여 부작용을 최대한 줄이며, 환자의 몸이 암세포와 맞서 싸우도록 면역반응을 강화시키는 치료방법 ! cf. 표적치료제의 단일클론 항체 치료법에서 CTLA-4, PD-1을 표적하는 방법도 항암 면역 치료제의 범주 안에 속한다. 그 외에 Granulocyte colony stimulating f

[기본통증진료학] 무릎관절 통증/반막양근/대퇴이두근/점액낭염(bursitis of Knee)/대퇴신경통/근이완제/비타민수액요법/통증치료/식이요법/운동요법/테이핑요법/슬래킹건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기본통증진료학 PART 11. 무릎 Topic 1 “무릎이 아프다”:무릎관절 통증 의 내용입니다. PART 11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 Topic 1. “무릎이 아프다”:무릎관절 통증 • 평가 • VAS score 몇 점 체크 참고 Femur 후면(pos t. aspects) 하단의 내측과(medial c ondyle)과 외측과(lateral condyle)의 상부를 엄지로 촉진하면 압통과 jumping sign이 발생한다. Semimembranosus(반막양근) : 내측과 통증 : 무릎 통증 90% Biceps femoris(대퇴이두근) : 외측과 통증 : 무릎 통증 10% • 체크 : 무릎관절의 인대나 연골 등의 손상여부를 판단하자. 참고 무릎에 물이 차는 경우(무릎 부종)에는 대퇴신경통 동반여부도 체크해야 한다. : 무릎의 점액낭염(bursitis of Knee) • 치료 계획 •내원 1일째:약물과 통증치료 1번 방법만 일단 시행한

[1차진료 아카데미 처방가이드] 신장요로생식-만성 콩팥병(Chronic kidney disease)/사구체여과율/콩팥손상/반흔/다낭성콩팥증/단백뇨/혈액검사/혈색소/급성콩팥손상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일차진료 아카데미 처방가이드는 13년 초판 이후 매우 뜨거운 반응을 받은 실전진료 현장의 실제의학실무를 담은 서적입니다. 저희 바른의학연구소에서는 일차진료에 필요한 진료지식과, 병의원 경영 및 운영 전반에 이르는 필수지식을 꼼꼼히 담아내려 노력했습니다. 일차진료 아카데미 처방가이 진료1 Chapter 10. 신장요로생식 Topic 4 만성 콩팥병(Chronic kidney disease) 의 내용입니다. Chapter 10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Topic 4. 만성 콩팥병(Chronic kidney disease) 코드 명칭 진료과 n19 상세불명의 신부전 15 ① 개요 만성콩팥병의 정의와 검사 1) 만성콩팥병의 정의 • 만성콩팥병의 정의 (근거수준 A, 권고) ⑴ 사구체여과율에 관계없이 콩팥손상의 증거가 있거나 ⑵ 사구체여과율이 60mL/min/1.73 미만으로 3개월 이상 지속되는 상태 • 콩팥손상의 증거 (근거수준 A, 권고) ⑴ 병리학

[유튜브] 의학서적 <SMART 내과 1권: 바이탈, 감염, 종양, 류마티스> 소개 영상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독자 여러분!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바른의학연구소의 유튜브 영상 업로드 소식을 전해드리러 왔습니다. 이번 영상에서는 바른의학연구소의 의학서적 중 <SMART 내과 1권: 바이탈, 감염, 종양, 류마티스> 에 대해 다루었습니다. SMART 내과는 내과의 기본적인 개념과 병태생리를 다지고 진단 및 치료의 전반적인 흐름을 파악하는 데에 무게중심을 둔 책입니다. 내과에 중점을 두고 일차진료뿐 아니라 3차병원 외래진료, 입원진료와 연관된 전문진료영역까지 총망라하고 있지요. 책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어떻게 활용하면 좋은지 궁금하셨던 분들은 꼭 영상을 보시길 추천드립니다! 아래에 영상을 첨부해 놓았으니 영상을 클릭해 주세요 ^^ https://www.youtube.com/watch?v=9khwNIMswEs&t=42s 이외에도 바른의학연구소의 다양한 의학서적들에 대해 소개하는 영상들도 업로드 되어 있으니 바른의학연구소 유튜브 채널에 들어가셔서 확인 바랍니다! 혹시 영상에

[감별진단의 정석] 통증/근골격 문제-전신통증(Widespread pain)/염증 류마티스 질환/퇴행 근골격 질환/soft tissue pain syndrome/섬유근육통/근막통증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감별진단의 정석 PART 3. 통증/근골격 문제(Pain/Musculoskeletal problems) Chapter 1. 전신/관절 Topic 1 전신통증(Widespread pain) 의 내용입니다. Chapter 1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Topic 1. 전신통증(Widespread pain) DDX Possible conditions Ⅰ 주요 원인 질환 염증 류마티스 질환 퇴행 근골격 질환 기타 내과적 질환 • SLE/primary Sjögren’s syndrome/Connective tissue disease • Rheumatoid arthritis/polyarthritis/psoriatic arthritis • Polymyalgia rheumatica • Inflammatory idiopathic myopathies • Localised myofascial pain • Osteoartritis • Tendini

[SMART 일차진료 매뉴얼 실전편] 신경·정신: 뇌졸중/위험인자/허혈뇌졸중/급성 발현/진단 척도/진단적 검사/뇌졸중 증상/급성기 치료/항혈전제 투여/뇌영상 검사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SMART 일차진료 매뉴얼 실전편 2 PART 9. 신경·정신 Topic 6 뇌졸중 의 내용입니다. PART 9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 Topic 6. 뇌졸중 추가내용 및 REFERENCE • Powers WJ, Rabinstein AA, Ackerson T, et al. 2018 Guidelines for the Early Management of Patients With Acute Ischemic Stroke:A Guideline for Healthcare Professionals From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American Stroke Association. Stroke 2018;49(3) :e46–110. • Yoon CW, Rha J-H. Recent advances in ischemic stroke management.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

[유튜브] 의학서적 <항생제 처방의 정석(기본편): 지피지기 처방전략> 소개 영상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독자 여러분!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이번주 역시 바른의학연구소 유튜브 채널에 유튜브 영상이 업로드 되었습니다. 이번 영상의 주제는 바른의학연구소의 의학서적 <항생제 처방의 정석(기본편): 지피지기 처방전략> 소개 영상입니다! 이제 책 소개 영상도 막바지에 이르게 되었네요. 소개 영상이 끝나면 또 다른 유익한 콘텐츠로 찾아올 예정이니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 항생제 처방의 정석은 이미 출간된 "약처방의 정석"과 향후 출간될 "스테로이드 처방의 정석" 등과 더불어 임상에서 흔히 사용되는 약물 처방을 소개하고 있는 일명 약처방 시리즈 서적입니다. 항생제는 임상에서 자신 있게 처방하기가 쉽지 않은 대표적인 약물로서 다뤄야 할 내용이 상당한지라 "항생제 처방의 정석"으로 따로 펴내게 되었습니다. 그럼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영상을 클릭하셔서 보시기 바랍니다 ^^ https://www.youtube.com/watch?v=Apd6nQnGIHA 혹시 영상에 담았으면 하는 소재나 내용

[Q book] 위장관: 게실 질환/대장게실(colonic diverticulum)/게실증/게실염/게실출혈/게실증후군/천공/장 천공/누공(fistula)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Q book 2권 (구 MASTER KMLE) 과목 . 위장관 Topic 7 게실 질환 의 내용입니다. 과목 2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 Topic 7. 위장관 • 게실질환은 유전적으로는 Acquired, 병리적으로는 pseudodiverticular(mucosa, submucosa만 herniation이 일어난 것), 무증상인 경우가 대부분인 질환입니다. • 서양에서는 LLQ area에 호발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RLQ에 많은 경향을 보여서 RLQ arealesion이 의심되는 경우에 감별해야 하는 질환 중의 하나이기도 하지요. 핵심 포인트 • 우리나라에서의 게실질환은 오른쪽에 호발합니다. 크론병, 장결핵 등과의 감별이 필요한 경우가 있습니다. • 일반적인 게실질환은 건강검진 또는 수술 도중에 발견이 되지만, 게실염의 경우는 증상을 동반하고 급성기에는 복부 CT로 진단을 내립니다.(내시경은 급성기에 금기!) • 게실염의 치료는 보존적 치

[SMART 내과] 종양질환의 치료-암 치료 원칙/암 제거/암의 조절/암 전이/종양/palliation/chemotherapy/radiotherapy/국소 질환/전신 질환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SMART 내과 1권 PART 3. 종양 Section 2. 종양질환의 치료 Topic1. 암 치료 원칙의 내용입니다. Section 2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Topic 1. 암 치료 원칙 01. 치료 목적 • 암 치료의 목적은 암의 종류와 진행 정도에 따라 다르다. 02. 치료 방법 » 여러 가지 치료 방법이 존재합니다. ⑴ Surgical removal of tumors ⑵ Radiation-based surgical knife: Stereotactic radiosurgery (SRS), Gamma knife systems, Linear accelerator (LINAC) systems, Proton beam therapy or cyclotron ⑶ Radiation therapy ⑷ Chemotherapy ⑸ Hormone therapy ⑹ Antiangiogenesis inhibitors ⑺ Immunothera

[항생제 처방의 정석] 예방접종의 원칙/백신 접종/백신 보관/백신 주문/백신 보관/백신 담당자/냉동보관백신/희석액/온도 모니터링/백신 바이알/주사기 선택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항생제 처방의 정석 PART 2. 감염병 예방 및 치료의 모든 것 Chapter 02. 감염병 관리 및 예방: 면역력으로 대비하자! 예방접종 Topic. 2 예방접종의 원칙의 내용입니다. Part 2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Topic 2. 예방접종의 원칙 2-1 백신 접종 전 주요 이슈 1. 백신의 보관 및 관리 ※ 백신 보관 및 취급 계획에 포함되어야 하는 지침 • 백신의 주문 및 수령 • 백신의 보관 및 관리 • 재고 관리 • 변질 가능성이 있는 백신의 관리 1 ) 백신 관리자(담당자) 지정 • 올바른 보관과 취급을 책임지는 백신 관리자 지정 • 백신관리자의 부재시를 대비하여 최소한 1명 이상의 예비담당자 지정 백신 담당자의 주요 임무 • 백신 주문 • 백신 인수와 보관의 감독 • 백신 보관 장소 내에서 백신의 정리 • 보관 장소의 온도 모니터 (근무일에는 최소한 하루 2회 이상이 권장) • 온도기록지 작성 • 매일 보관된 백신 점검

[약처방의 정석] 심혈관/신장-베타차단제(Beta blocker)/노르에피네프린/에피네프린/베타수용체/부정맥 치료제/아드레날린성 약물/아형 수용체/작용기전/교감신경계/혈관확장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약처방의 정석 1권 PART 2. 심혈관/신장 Chapter 1. [Drug Class Review] 심혈관/신장에 주로 사용되는 약물 Topic 2 베타차단제(Beta blocker)의 내용입니다. Chapter 1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Topic 2. 베타차단제(Beta blocker) 01 베타차단제: 개요 • 베타차단제란 교감신경계 말단에서 분비된 노르에피네프린이나 에피네프린이 작용하는 베타수용체를 차단하는 약물 • 고혈압이나 협심증, 부정맥의 치료제로 널리 사용되어져 왔으며 심부전의 치료 및 심근경색 이후 심근의 변형을 막는 약제로도 그 효과를 인정받고 있다. 1) 베타차단제(Beta-blocker)를 이해하기 위한 기초 (1) 베타수용체 참조 자세한 내용은 '아드레날린성 약물' 참조(여기에서는 간략하게만 언급함) • 교감신경계에서, 아드레날린 수용체는 약리학적으로 몇 가지 종류로 분류되는데, 크게 2가지 유형

[기본통증진료학] 허리:미골통/꼬리뼈/미골골절/lidocaine/대둔근/중둔근/약물치료/근이완제/근막동통유발점/미골골절도수정복술/대퇴골/골반골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기본통증진료학 PART 8. 허리 Topic 2 “꼬리뼈 부위가 아프다” 미골통 "꼬리뼈 부위가 아프다" 미골통 의 내용입니다. PART 8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 Topic 2. "꼬리뼈 부위가 아프다" 미골통 • 평가 • VAS score 몇 점 체크 우선 X-ray 촬영으로 coccyx(미골)골절 유무 확인한다. ⑴ 골절이 심하지 않다면 (또는 치료를 위해 의사가 환자의 항문에 손가락을 넣는 것에 대해 거부감이 있는 경우도 포함) : reduction을 안 해도 꼬리뼈 주위 근육에 의해 저절로 시간이 지나면 제자리를 찾아가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⑵ 골절이 있는 경우 : lidocaine을 해당 부위에 충분히 주사하고 항문에 검지손가락을 넣은 후 reduction을 한다. 또한 도너츠 모양의 방석쿠션에 앉는 것도 통증감소에 좋다. ⑶ 골절이 없는 게 확인된 경우 : 대둔근 (gluteus maximus m.)에서 압통점 찾는다. 또

[유튜브] SMART 일차진료매뉴얼 실전편: 신경·정신 - 뇌졸중/뇌졸중의 위험인자/허혈뇌졸중/진단적 검사/뇌영상검사/2차 예방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독자 여러분!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바른의학연구소가 새로운 콘텐츠로 제작한 유튜브 영상을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 이번에 새롭게 선보이는 콘텐츠는 바른의학연구소의 의학서적을 바탕으로 전문적인 의학지식을 전달해드리는 콘셉트입니다. 따라서 의료계 종사자 또는 예비 의료인인 의대생 등 의학적 전문성을 필요로 하는 분들께 도움이 될 영상입니다! 이번 영상은 뇌졸중 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뇌졸중의 위험인자/허혈뇌졸중/진단적 검사/뇌영상검사/2차 예방 등 뇌졸중에 관련된 다양한 주제를 다루고 있답니다. 토픽의 내용을 함께 살펴 보며 음성 자막으로 설명을 해드리고 있어 지루하지 않게 영상을 시청하실 수 있을 거예요.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의 영상을 클릭해 시청하시기 바랍니다 ^^ https://www.youtube.com/watch?v=I1P9pPa_8As&t=47s 이외에도 바른의학연구소의 다양한 의학서적을 바탕으로 한 의학 콘텐츠를 앞으로 꾸준히 업로드할 예

[유튜브] QBook 문제풀이: 수액요법 p115 2번 / 수액보충 / 지속적인 구토 / ulcer stricture / 위액 / 비위관 / 위액 / 산염기 장애 / 전해질 불균형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독자 여러분!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지난 시간에 이어 새로운 콘텐츠를 바른의학연구소 유튜브 채널에 업로드하였답니다. 이번 영상은 바른의학연구소의 의학서적 QBook에 수록된 문제를 함께 풀이하는 영상을 준비했습니다! QBook PART 1. Vital을 잘 다루자! TOPIC 4. 수액요법 / p115 2번 QBook은 증례 풀이를 통해 이론을 익힐 수 있는 책으로 KMLE를 활용하여 바른의학연구소의 타 도서들과의 연계할 수 있는 문제기반 학습/증례기반 접근 방식의 책이지요. 따라서 현직 의료계 종사자 뿐만 아니라 KMLE를 준비하고 있는 예비 의료인 의대생에게도 유익한 콘텐츠가 될 것입니다 ^^ 앞으로도 계속해서 QBook에 수록된 문제들을 함께 풀이하는 영상을 제작하여 더 자주 업로드 할 예정이니 바른의학연구소 유튜브 채널도 많이 찾아주세요 ^^ 그럼 아래의 링크를 눌러 영상을 보러 가볼까요?! https://www.youtube.com/watch?

[1차진료 아카데미 처방가이드] 소화기-급성 충수돌기염(Acute appendicitis): 급성 충수염/천공/복막염/obstruction/임상증상/신체검사/초음파/복부CT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일차진료 아카데미 처방가이드는 13년 초판 이후 매우 뜨거운 반응을 받은 실전진료 현장의 실제의학실무를 담은 서적입니다. 저희 바른의학연구소에서는 일차진료에 필요한 진료지식과, 병의원 경영 및 운영 전반에 이르는 필수지식을 꼼꼼히 담아내려 노력했습니다. 일차진료 아카데미 처방가이드 진료1 Chapter 6. 소화기 Topic 4 급성 충수돌기염(Acute appendicitis)의 내용입니다. Chapter 6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Topic 4. 급성 충수돌기염(Acute appendicitis) 코드 명칭 진료과 좌 우 수술 k37 상세불명의 충수염 01 k35 급성 충수염 01 • 급성 충수 돌기염은 충수돌기 천공으로 복막염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신속한 진단이 요구되지만 33%까지 비특이적 증상으로 인해 진단에 어려움이 따릅니다. 노인의 경우 소아와 마찬가지로 충수돌기염이 비특이적일 수 있다는 점에서 진단이 불명확한 경우

[감별진단의 정석] 호흡기/알레르기 문제-기침/만성기침/급성기침/아급성기침/후비루증후군/기관지천식/위식도역류/만성기관지염/상기도 감염/폐렴/화농성 객담/치료 프로토콜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감별진단의 정석 PART 4. 호흡기/알레르기 문제 Topic 1 기침(Cough)의 내용입니다. PART 4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Topic 1. 기침(Cough) DDX Possible conditions Ⅰ 기침의 주요 원인 표 가슴X선 소견이 정상인 환자에서 고려해야 할 감별 질환 급성기침 (<3주) 아급성기침 (3~8주) 만성기침 (>8주) • 급성 호흡기 감염 바이러스:respiratory syncytial virus, rhinovirus, influenza, parainfluenza, adenovirus, respiratory corona virus, metapneumovirus 세균 • 독성 가스 흡인 • 이물질 흡인 • 감염 후 기침 • 호흡기 감염 • 천식, 기침형천식 • 호산구성기관지염 • 위식도역류질환, 인후두역류 • 상기도기침증후군 • 약물:안지오텐신전환효소 억제제 • 기타:폐종양, 심부전 Ⅱ

[유튜브] QBook 문제풀이: 알코올 간질환 p133 2번 / 지방간 / 알코올 간염 / 알코올 간경변증 / 거미혈관종 / 오목부종 / 비장비대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독자 여러분!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바른의학연구소 유튜브 채널에 꾸준히 올려드리고 있는 QBook 문제풀이 영상 업로드 소식을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 QBook 문제풀이 영상은 거의 매일 업로드 될 예정이니 구독과 알림 설정을 해놓으시면 영상에 찾아오시기 더욱 편할 거예요 ^^ QBook 과목 간담췌 TOPIC 6. 알코올 간질환 p 113 2번 QBook은 증례 풀이를 통해 이론을 익힐 수 있는 책으로 KMLE를 활용하여 바른의학연구소의 타 도서들과의 연계할 수 있는 문제기반 학습/증례기반 접근 방식의 책입니다. 위의 이미지를 통해 알 수 있듯이 바른의학연구소 유튜브 채널에서는 QBook에 수록된 문제를 영상에서 함께 살펴 보고 문제를 풀이해드리고 있답니다. QBook 문제풀이 영상 보러가기 https://www.youtube.com/watch?v=lrGksumAlcg 혹시 영상에 담았으면 하는 소재나 내용이 있으신가요? 댓글 달아주시면 독자님들의

[SMART 일차진료 매뉴얼 실전편] 호흡기·알레르기: 감기/항바이러스제/항균제/기침/가래/두통/발열/진통소염제/근육통/항히스타민/코데인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SMART 일차진료 매뉴얼 실전편 1 PART 3. 호흡기·알레르기 Topic 5 감기의 내용입니다. PART 3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 Topic 5. 감기 1. 개요 • 감기치료에 비효과적: 항히스타민, 코데인, 흡입성 ipratopium, 항생제 • 증상완화 가능성: 항히스타민/충혈완화제 복합요법, 거담제, 진해제 등 • NSAIDs와 acetaminophen 은 감기로 인한 불편감 완화에 효과적이지만 acetaminophen을 일차약으로 권장 2. 항바이러스제/항균제 • 항바이러스제:사용할 만한 항바이러스제는 없음 • 항균제: 성인 감기 환자에서 항생제를 처방하는 것은 권고될 수 없다. 3. 대증적 치료 기침 • 진해제 가래 • 점액작용제 비충혈/콧물/재채기 • 항히스타민제 • 비충혈제거제(nasal decongestant) • 항히스타민+비충혈제거제 복합제제 혹은 병합요법 • 비강 내 ipratopium 근육통, 두통, 발열

[유튜브] QBook 문제풀이: 설사 p57 10번 / 급성설사 / 만성설사 / 유제품 / 유당 불내성 / 분비설사 / 삼투효과 / 설사 유발기전 / 호산구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독자 여러분!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도 바른의학연구소 유튜브 채널에 업로드한 QBook 문제풀이 영상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QBook 문제풀이 영상은 매일 업로드 되고 있으니 QBook에 수록된 문제를 함께 풀어보고 싶으신 분들은 바른의학연구소의 유튜브 채널을 구독과 알림 설정 해주세요 :) QBook 2권 과목 위장관 TOPIC 1-4. 설사 p.57 10번 이번 영상에서는 QBook 2권 위장관의 설사를 주제로 한 문제를 다루어 보았습니다. 설사에 대한 증례와 더불어 각 선지를 하나씩 풀이해드리고 있으니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의 영상을 통해 확인해 부탁드립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eIwJUZAqDz0 QBook은 증례 풀이를 통해 이론을 익힐 수 있는 책으로 KMLE를 활용하여 바른의학연구소의 타 도서들과의 연계할 수 있는 문제기반 학습/증례기반 접근 방식의 책입니다. 이제 바른의학연구소와 매일 한 문제씩 풀어보며

[SMART 내과] 감염-그람양성균/Staphylococcus/포도알균 감염/Micrococcaceae/황색포도알균/임상증후군MRSA 감염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SMART 내과 1권 PART 2. 감염 Section 3. 병원체별: 세균 감염 Topic. 1 그람양성균 감염의 내용입니다. Section 3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Topic 1. 그람양성균 감염 001. 포도알균(Staphylococcus) 감염: 개요 01. Staphylococcus • Micrococcaceae 과에 속하는 균속 • 그람염색에서 포도송이 모양의 그람양성 알균으로 관찰됨 02. 분류 ⑴ coagulase 양성 포도알균: 황색포도알균(Stapylococcus aureus) ⑵ coagulase 음성 포도알균(coagulase-negative staphylococci,CoNS): S.epidermidis 포도알균(Staphylococcus): 주요 병원성 종은 3가지 균주 관련질환 Staphylococcus aureus • Exotoxin dependent ⑴ gastroenteritis (foo

[유튜브] QBook 문제풀이: 신경해부 p3 1번 / 신경 / 하루주기리듬 / 생물학적 시계 / 하루주기조정자 / 솔기핵 / 꼬리핵 / 렌즈핵 / 청색반점 / 시신경교차상핵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독자 여러분!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바른의학연구소 유튜브 채널에 업로드한 영상을 들고 찾아왔습니다 ^^ 바른의학연구소가 의학서적 QBook 문제풀이 영상을 매일 올리고 있다는 사실! 매일 업로드를 하고 있지만 블로그에서는 이틀에 한 번 소개해드리고 있어요. 그러니 매일 소식을 받아보고 싶으시다면 바른의학연구소 유튜브 채널을 구독, 알림 설정해주시면 된답니다! 이번 영상 주제는 신경해부입니다 ^^ 신경해부 분야는 어떻게 보면 신경과학의 가장 기본이 되는 분야이지만 난이도는 상당히 어려운 분야입니다. 그러니 QBook에 수록된 증례의 문제풀이를 통해 이론을 익히는 시간을 가져 봅시다. 그럼 아래의 링크를 눌러 주세요 https://www.youtube.com/watch?v=u47qbZ6198M 영상은 잘 보고 오셨나요? 혹시 영상에 담았으면 하는 소재나 내용이 있으실 때 댓글 달아주시면 독자님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유익한 영상을 만들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항생제 처방의 정석] 항진균제(Antifungal agents)/antifungal agents/진균/진핵세포/선택적 독성/amphotericin B/진균감염증/표준치료제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항생제 처방의 정석 PART 5. 지피지기 감염병 진료전략: 진균·기생충vs항진균제·항기생충제 Chapter 01. 아군을 알자!주요 항진균제/항기생충제 Topic. 1 항진균제(Antifungal agents)의 내용입니다. Part 5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Topic 1. 항진균제(Antifungal agents) 01 항진균제: 개요 임상에서 사용할 수 있는 항진균제는 그 항균범위와 부작용면에서 많은 제한점들을 가지고 있습니다 1. 진균에 대한 이해 • 진균은 포유류처럼 eukaryote(진핵세포): 세포에 막으로 싸인 핵을 가진 생물 • DNA replication과 protein synthesis 등에서 포유류와 매우 높은 동종성을 지님 → 진균에 선택적 독성을 발휘하는 항진균제를 개발하기 어려움 2. 항진균제의 분류 • 크게 4개의 계열로 분류 별다른 약제의 발전없이 오랫동안 AmB가 표준약제로 사용되다가, 1980년대 imi

[유튜브] QBook 문제풀이: 인플루엔자 p295 2번 / 바이러스 / 감염질환 / 근육통 / 기침 / 콧물 항원검사 / 병원체 / 신속 바이러스 항원 검출 / RAT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독자 여러분!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도 어김없이 바른의학연구소 유튜브 채널에 Qbook 문제풀이 영상을 업로드하였답니다. 바른의학연구소와 함께하는 1일 1문제풀이를 통해 이론을 습득해봅시다 ^^ 바른의학연구소를 꾸준히 구독해주신 분들은 Qbook이 어떤 책인지 아시겠지만 오늘 처음 방문해주신 분들을 위해 Qbook에 대해 간략히 설명드리고 영상 보여드리겠습니다! QBook은 증례 풀이를 통해 이론을 익힐 수 있는 책으로 KMLE를 활용하여 바른의학연구소의 타 도서들과의 연계할 수 있는 문제기반 학습/증례기반 접근 방식의 책이랍니다. QBook 1권 PART 2. 감염질환 진료 SECTION 4. 바이러스 감염 TOPIC 13. 인플루엔자 p295 2번 https://www.youtube.com/watch?v=Iz5SLu7E9PQ&t=20s 마지막으로 혹시 영상에 담았으면 하는 소재나 내용이 있으신가요? 댓글 달아주시면 독자님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유익한 영상을 만들어

[약처방의 정석] 호흡기/알레르기-국소 스테로이드: 흡입 스테로이드/천식/기도염증/작용기전/glucocorticoid 수용체/스테로이드 용량/budesonide 용량/부작용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약처방의 정석 1권 PART 4. 호흡기/알레르기 Chapter 01. [Drug Class Review] 호흡기/알레르기에 주로 사용되는 약물 Topic 3 국소 스테로이드: 흡입 스테로이드 의 내용입니다. Chapter 01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Topic 3. 국소 스테로이드: 흡입 스테로이드 비강 내 스테로이드는 주로 알레르기 비염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알레르기 비염에서 자세히 다루기로 한다. 여기에서는 흡입 스테로이드(inhaled corticosteroid)에 대해서 기술하고자 한다. 1) 스테로이드에 대한 이해 • 스테로이드는 천식의 중요한 병리생리학적인 기도염증을 감소시키는 중요한 치료제이다. • 흡입스테로이드는 기도로 직접 분사되어 효과적이고 부작용이 적어 천식치료의 근간이 되는 치료 (1) 작용기전 • 세포질에서 glucocorticoid 수용체에 결합하여 핵 내로 들어가 glucocorticoid 수용

[유튜브] QBook 문제풀이: 황달/고빌리루빈혈증 p22 5번 / 쓸개돌 / 간세포성 황달 / 담즙 정체성 황달 / 빌리루빈 상승 / 간기능검사 / 이자머리암 / 간외 쓸개길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독자 여러분!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바른의학연구소의 Qbook 문제풀이 영상이 매일매일 유튜브 채널에 업로드 되고 있습니다. Qbook은 KMLE를 활용하여 증례 풀이를 통해 이론을 익힐 수 있는 책이니, KMLE를 준비하는 의대생 뿐만 아니라 현업에 종사하시는 의료계 종사자 분들께도 유익한 의학서적이랍니다! 다양한 증례를 접해볼 수 있기 때문이지요. 오늘은 황달/고빌리루빈혈증에 대한 주제를 다룬 문제풀이 영상을 준비했으니 문제를 풀면서 이론도 익히는 시간을 가져봅시다! 그럼 아래의 링크를 눌러 영상을 시청해 주시기 바랍니다 ^^ https://www.youtube.com/watch?v=aPVQgYMFVME 영상에 담았으면 하는 소재나 내용이 있으시면 언제라도 댓글 달아주세요~! 독자님들이 원하시는 주제를 바탕으로 영상을 만들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앞으로도 유튜브에 바른의학연구소의 다양한 영상들을 꾸준히 업로드할 예정이니 많은 관심 부탁드려요!

[기본통증진료학] 손목:요골 신경통/요골신경 블록/수근부/엄지기부/함몰부위/척골신경/액호하부신경차단술/관절가동검사/도수근력검사/신경간내주사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기본통증진료학 PART 7. 손목 Topic 1 “(손가락±) 손목과 손등이 저리고 아파서 손을 쥐거나 집을 수가 없어요” :요골(Radial nerve) 신경통 의 내용입니다. PART 7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 Topic 1. "(손가락±) 손목과 손등이 저리고 아파서 손을 쥐거나 집을 수가 없어요” :요골(Radial nerve) 신경통 • 평가 • VAS score 몇 점 체크 • 체크근육 전사각근(ant. scalenus m.) 삼두박근(triceps brachii. m.) • Spurling test : 목 디스크 체크 • Modified Adson’s test : 흉곽출구증후군 중에 전사각근증후군 체크 • Phalen test : 수근관증후군 체크 • 치료 계획 • 내원 1일째 : 약물과 통증치료 1번 방법만 일단 시행한다. • 내원 2일째 : 효과 있었다고 하면 - 약물처방을 하고 해당부위에 InfraRed Tx 약물

[1차진료 아카데미 처방가이드] 정신-불안장애(Anxiety disorder)/공황장애/광장공포증/공황발작/특정공포증/사회불안장애/사회공포증/범불안장애/항우울제/급성발작기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일차진료 아카데미 처방가이드는 13년 초판 이후 매우 뜨거운 반응을 받은 실전진료 현장의 실제의학실무를 담은 서적입니다. 저희 바른의학연구소에서는 일차진료에 필요한 진료지식과, 병의원 경영 및 운영 전반에 이르는 필수지식을 꼼꼼히 담아내려 노력했습니다. 일차진료 아카데미 처방가이드 진료2 Chapter 13. 정신 Topic 8 불안장애(Anxiety disorder)의 내용입니다. Chapter 13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Topic 8. 불안장애(Anxiety disorder) ① 공황장애(Panic disorder)및 광장공포증(Agoraphobia) 1-1 공황발작 및 공황장애 1) 진단(DSM-5 요약) 1. 반복적이고 예측되지 않는 공황발작. 공황발작은 다음 중 4개 이상 1) 심계항진 2) 땀을 흘림 3) 몸의 떨림 또는 흔들거림 4) 숨이 막히는 느낌 5) 질식감 6) 흉통 7) 오심 8) 현기증 9) 지각이상 10) 비현실감 또는

[유튜브] KMLE 대비 - 심혈관: 고혈압 / 혈관질환 / 혈압 / 심음 / 호흡음 / 건강검진 / 고혈압 / 백의고혈압 / 가정혈압측정 / 운동부하검사 / 협심증 / 허혈심질환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독자 여러분!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바른의학연구소 유튜브 채널의 QBook 문제풀이 영상 업로드 소식으로 돌아왔습니다. 바른의학연구소가 출간한 QBook은 KMLE을 준비하시는 의대생 분들께 추천드리는 책입니다! 물론 현업에 종사하시는 의료인분들이 보셔도 무방합니다. 증례를 보면서 이론을 익힐 수 있도록 책을 구성하여 실전과 이론 두 마리 토끼 모두 잡을 수 있기 때문이지요. 이번 영상은 과목 심혈관 중에서도 고혈압에 대한 주제로 영상을 만들어 보았습니다. 문제에 제시된 선지들을 하나씩 분석하여 설명드리고 있답니다! 그럼 바로 아래의 영상을 보면서 고혈압 한 문제 풀어봅시다 ^^ https://www.youtube.com/watch?v=9Z-C2i_vSrQ 혹시 영상에 담았으면 하는 주제나 내용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댓글 달아주세요! 독자님들의 의견을 반영해서 주제를 선정하여 영상을 만들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 앞으로도 유튜브에 바른의학연구소의 다양한 영상들을 꾸

[감별진단의 정석] 생체징후 관련 문제-발열/불명열/직장 체온/액와부 체온/체온조절중추/발열원/발열기전/발열 시토카인/고체온증/감염 질환/FUO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감별진단의 정석 PART 1. 생체징후 관련 문제 Topic 4-1 발열/불명열(Fever/Fever of unknown origin)의 내용입니다. PART 1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Topic 4-1. 발열/불명열(Fever/Fever of unknown origin) ① 체온의 측정 • 체온은 다양한 신체부위에서 여러 방법 및 기술로 측정가능하다. • 보통 신체의 일부분에서 측정하지만 신체 부위마다 온도가 모두 다르기 때문에 진정한 의미의 중심 체온을 대표한다고 할 수 없다. 직장 체온 (rectal temperature) • 심부체온을 비교적 잘 반영하지만 측정 시의 불편함으로 인하여 제한적으로 사용된다. • 직장 온도는 대개 다른 어떤 부위에서 측정한 온도보다 높게 유지:구강온도보다 0.4 C 높고 고막체온(비보정 방식)보다는 0.8 C 높다. 직장 체온이 중심체온을 잘 반영하는가? 직장 온도는 체온이 안정된

[SMART 일차진료 매뉴얼 실전편] 호흡기·알레르기: 급성 비부비동염/화농성 코분비물/코막힘/바이러스 비부비동염/amoxicillin/clavulanate/만성 비부비동염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SMART 일차진료 매뉴얼 실전편 1 PART 3. 호흡기·알레르기 Topic 7 급성 비부비동염의 내용입니다. PART 3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 Topic 7. 급성 비부비동염 • 추가내용 및 REFERENCE 질병관리본부. 성인 급성 상기도 감염 항생제 사용지침. 2017 1. 개요 • 비부비동염의 분류 및 정의 다른 말로 진단기준이라고 보면 되겠다. 표 비부비동염의 유형별 정의: 급성 비부비동염 급성 비부비동염 유형 정의 급성 비부비동염 (Acute rhinosinusitis) •다음과 같은 증상을 4주까지 호소하는 경우 ⑴ 화농성 코분비물:혼탁하거나 변색된 분비물, 환자에 의해 보고되거나 신체검사 시 발견되는 경우 바이러스 상기도감염:전형적으로 맑은 분비물이 동반됨 ⑵ 코막힘 ⑶ 얼굴 통증/압박감/충만감(Facial pain, pressure, fullness) :얼굴 전면부, 눈주변부, 국소성 혹은 미만성 두통 바이러스 비부

[Q book] 심혈관:심장막(심낭) 질환/acute pericarditis/cardiac tamponade/장액막(serous membrane)/심장막액/심장막삼출/허혈성 흉통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Q book 4권 (구 MASTER KMLE) 과목. 심혈관 Topic 5 심장막(심낭) 질환의 내용입니다. 과목 심혈관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 Topic 11. 심장막(심낭) 질환 • 이번 단원의 핵심질환은 acute pericarditis, cardiac tamponade, chronic constrictive pericarditis 입니다. • 각각 특징적인 임상 양상 및 검사소견을 가지고 있으며, 특이한 검사소견 들이 있으니 잘 알아두어야 합니다. 핵심 포인트 • acute pericarditis로 인해서 나타나는 EKG상의 변화(acute MI와 감별) • cardiac tamponade & chronic constrictive pericarditis의 임상소견상 차이 리뷰 01. 기초 심장막의 일반적인 기능 1. 심장막의 구성 • 두 개의 막으로 이루어진 주머니(sac)의 형태를 띠고 있다. 내장 심장막(visceral

메타메딕(metamedic) 사이트 리뉴얼 오픈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바른의학연구소가 운영하는 의학정보 사이트 메타메딕(metamedic)을 소개해드리겠습니다. 메타메딕의 운영 취지와 더불어 어떤 기능이 있는지 서비스 중심으로 설명 드릴게요! 본 게시물 하단에 소개 영상 링크도 첨부해 놓았으니 영상으로 보셔도 좋습니다. 우선 메타메딕 사이트 링크 먼저 첨부하겠습니다. https://metamedic.co.kr/ Metamedic - 의료전문가를 위한 근거중심의 일차진료 의학콘텐츠 METAMEDIC 바른의학연구소 의학서적의 사후관리를 위한 공간입니다. 한정된 분량으로 인해 도서에 담을 수 없었던 콘텐츠들을 업로드하고, 책의 오류 수정 및 책 출간 이후 개정된 내용을 추가∙반영하여 최신 업데이트된 도서 내용을 공유해드리고 있습니다. 서비스 소개 > 블로그 바른의학연구소 콘텐츠를 꾸준히 업로드하고 있는 블로그입니다. 바로가기 > 쇼핑몰 바른의학연구소 도서를 직접 판매하는 쇼핑몰입니다. 바로가기 > metamedic.

SMART 소아진료매뉴얼, SMART 기본일차진료매뉴얼! 출간 전 메타메딕을 통한 선공개 예정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독자 여러분!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바른의학연구소의 신간도서 출간 예정 소식을 궁금해 하시는 분들을 위해 그에 대한 이야기를 전해드리려고 합니다! 지난 7월에 블로그를 통해 공지드렸던 것과 같이 바른의학연구소는 SMART 소아진료매뉴얼과 SMART 기본일차진료매뉴얼 두 권의 도서를 동시 출간할 예정이랍니다. 그리고! 신간도서가 공식적으로 출간되기 전, 오랜 기간동안 출간을 기다려주시는 독자분들을 위해 메타메딕(METAMEDIC) 사이트를 통해 신간 내용 일부를 선공개하고자 합니다. 신간이 나오기 전에 내용을 미리 보실 수 있으니 메타메딕 사이트에 들러 확인해 주세요! 신간도서 뿐만 아니라 기 출간된 바른의학연구소의 의학서적 관련 콘텐츠 또한 메타메딕에 공유해 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블로그에 공유해 드리고 있는 콘텐츠보다 더 다양한 내용과 분량으로 업로드되고 있으며 앞으로도 활발히 업로드할 예정이니 최신 의학정보를 검색하실 때 메타메딕을 적극 활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SMART 내과] 산소요법/저산소혈증/호흡 작업량/동맥혈 산소 분압/산소포화도/흡입산소분율/저유량 장치/고유량 장치/비캐뉼라/비카테터/단순 산소마스크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SMART 내과 1권 PART 1. 바이탈 Section 3. 호흡이 불안정한 경우: 기도 및 환기관리 Topic. 2 산소요법의 내용입니다. Section 3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Topic 2. 산소요법 001. 산소요법: 개요 01. 산소요법 1. 언제 사용하나? "보조 산소투여는 일반적으로 조직 저산소증이 생긴다고 가정되는 동맥혈 가스분석 결과 동맥혈 산소 분압 60 mmHg 이하거나 동맥혈 산소포화도 90% 이하일 때 투여함이 적절하다." 2. 산소요법의 임상적 효과 ⑴ 저산소혈증 치료 • 폐포내 산소 분압 소에 의한 동맥혈 저산소혈증의 경우, 흡입 산소농도를 21% 이상으로 증가시키면 폐포내 산소 분압이 증가하므로 저산소혈증이 매우 효과적으로 개선될 수 있다. ⑵ 호흡 작업량 감소 • 저산소혈증(hypoxemia), 산소증(hypoxia) → 호흡 작업량 ↑ • 충분한 산소공급은 폐포내 산소분압을 정상으로 유

[항생제 처방의 정석] 예방접종에 대한 이해/예방접종의 원리/수동면역/능동면역/국가예방접종/백신의 종류/기초접종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항생제 처방의 정석 PART 2. 감염병 예방 및 치료의 모든 것 Chapter 02. 감염병 관리 및 예방: 면역력으로 대비하자! 예방접종 Topic. 1 예방접종에 대한 이해의 내용입니다. Part 2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Topic 1. 예방접종에 대한 이해 1. 예방접종의 원리 1) 병원체 수동면역 vs. 능동면역 특징 • 다른 사람이나 동물에서 이미 만들어진 항체를 투여받아 얻게 되는 면역 • 항체를 투여 받는 즉시 효과를 기대할 수 있지만, 그 효과는 일시적이며 시간이 지 남에 따라 소실 • 숙주 자신의 면역체계를 이용하여 방어능 력을 갖도록 함으로써 감염병을 예방하는 능력 • 지속 기간이 길며 평생 면역 기대 예시 • 모체로부터 태반을 통해 태아에게 전달되 는 경태반 항체 • 정맥 주사 면역글로불린(IVIG), 근육주사 면역글로불린(IMIG), 폐 간염, 파상풍, 수 두, 공수병, respiratory syncytial vi

[약처방의 정석] 아드레날린 길항제/자율신경계/알파차단제/비선택성 α차단제/Phentolamine/Phenoxybenzamine/혈당 조절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약처방의 정석 1권 PART 1. 여러 계통에 두루 사용되는 약물 Chapter 01. 자율신경계에 작용하는 약물 Topic 3-2 아드레날린 길항제의 내용입니다. Chapter 01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Topic 3-2. 아드레날린 길항제 01 아드레날린 길항제란? • 아드레날린 길항제[차단제 : adrenergic antagonist(blockers), 또는 교감신경 차단제 (sympatholytic agents) ] • 아드레날린 수용체(adrenoreceptors)에 결합하지만 일반적으로 수용체에 의한 세포 내 효 촉진하지 않는다. • 기전: 수용체에 가역적 또는 비가역적으로 결합함으로써 작용 → 내인성 카테콜아민에 의한 활성화 억제 • 분류: 아드레날린 작용제와 같이 말초 신경계에서 α 또는 β 수용체에 대한 상대적인 친화성에 따라 분류 • 수많은 아드레날린 길항제가 임상의학에서 주로 심혈관계와 연관된 질환을

[기본통증진료학] 머리 및 얼굴: 턱관절증후군/체크근육/약물/통증치료/턱관절 관절강내 주사/관절구/청구항목/식이요법/운동요법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기본통증진료학 PART 2. 머리 및 얼굴 Topic 2 “턱관절에 통증이 있어 입을 벌릴 때 소리도 나고 아파요”:턱관절증후군 의 내용입니다. PART 2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 Topic 2. "턱관절에 통증이 있어 입을 벌릴 때 소리도 나고 아파요(턱관절증후군)" • 평가 • VAS score 몇 점 체크 • 체크근육:교근(masseter m.) • 치료 계획 • 내원 1일째:약물과 통증치료 1번 방법만 일단 시행한다. • 내원 2일째:효과 있었다고 하면 - 약물처방을 하고 해당부위에 InfraRed Tx • 턱관절로 주사나 IMS치료로 호전이 잘 안 될 경우는 Activator 도수치료를 하면 극적인 효과를 보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처음부터 activator를 이용한 턱관절 도수치료를 권한다. 약물치료 (1) Acetaminophen 3T #3 PO NSAIDs loxoprofen(한올 록스페닌정) 3T #3 PO Nimesu

[1차진료 아카데미 처방가이드] 응급상황에 대한 대처-외상(Trauma)/흉부외상/흉벽/늑골골절/흉막손상/개방성 기흉/폐쇄성 기흉/혈흉/기관손상/심장파열/피하기종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일차진료 아카데미 처방가이드는 13년 초판 이후 매우 뜨거운 반응을 받은 실전진료 현장의 실제의학실무를 담은 서적입니다. 저희 바른의학연구소에서는 일차진료에 필요한 진료지식과, 병의원 경영 및 운영 전반에 이르는 필수지식을 꼼꼼히 담아내려 노력했습니다. 일차진료 아카데미 처방가이드 진료1 Chapter 2. 응급상황에 대한 대처 Topic 5 외상(Trauma)의 내용입니다. Chapter 2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Topic 2. 외상(Trauma) ① 흉부외상 1-1 흉부외상의 증상 및 응급처치 사고현장이나 후송 중 부적절한 환기상태로 생명을 위협하는 상태는 ①긴장성 기흉, ②흉벽동요, ③개방성 기흉 등이 대표적이다. ⑴ 긴장성 기흉(Tension pneumothorax) 흉강천자 - 굵은 주사침으로 기흉이 생긴 흉부의 정중쇄골선과 제5늑간간극이 만나는 곳에서 흉막 강천자를 시행하여 공기를 밖으로 빼내어 흉막내압을 감소시킨다. ⑵ 흉벽동요(F

[감별진단의 정석] 전신/내분비 문제-의학적으로 설명되지 않는 증상/전신 증상/두경부 증상/이명/MUPS/만성피로증후군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감별진단의 정석 PART 2. 전신/내분비 문제 Topic 4 의학적으로 설명되지 않는 증상 (Medically Unexplained Physical Symptoms)의 내용입니다. PART 2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Topic 4. 의학적으로 설명되지 않는 증상 (Medically Unexplained Physical Symptoms) Introducing Case Case study 32세 여성이 왼쪽 유방에 덩어리가 만져진다고 산부인과를 방문하였다. 신체검진 및 유방 촬영술에서는 이상소견이 없었다. 환자는 20대 초반부터 구역, 구토 및 어지럼과 상복부 불쾌감 등 자주 변하는 여러 신체증상을 호소하였다. 최근에는 요통과 숨찬 증세가 있어 계단을 오를 수가 없다고 하였다. Warming-up 1 의학적으로 설명되지 않는 증상들(Medically Unexplained Physical Symptoms, MUPS)이란? •

[SMART 일차진료 매뉴얼 실전편] 전신·감염: 발열/발열 형태/급성발열/체온 측정/직장체온/구강체온/재귀열(relapsing fever)/지속열(continuous fever)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SMART 일차진료 매뉴얼 실전편 1 3. PART 2. 전신·감염 Topic 1 발열의 내용입니다. PART 2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 Topic 1. 발열 Subtopic 1-1 급성발열 Core Review 1. 기침 : 개요 • 체온의 측정 직장체온 (rectal temperature) • 심부체온을 비교적 잘 반영하지만 측정 시의 불편함으로 인하여 제한적으로 사용된다 구강체온 (oral temperature) • 직장체온보다 평균 0.4 C가 낮고 호흡이나 음식물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 구강 체온은 중심 체온을 바로 반영:구강 내 혀 밑에는 외경동맥(external carotid artery)의 분지가 분포하기 때문 액와부 체온 (axillary temperature) • 신생아의 경우:직장 온도와 잘 일치 • 연장아나 성인의 경우:구강 온도나 직장 온도와 잘 일치하지 않는다. 고막체온 (tympanic membra

[신간소식] SMART 기본일차진료매뉴얼(3판), SMART 소아진료매뉴얼(3판) (12월 31일 출고 예정)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바른의학연구소에서 출간하는 책에 늘 관심을 가져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이전에 블로그에서 몇 차례 소개드린 바와 같이 바른의학연구소의 대표도서 신간도서 2종 (SMART 기본일차진료매뉴얼 3판, SMART 소아진료매뉴얼 3판)이 동시 출간될 예정입니다. SMART 기본일차진료매뉴얼 2022년 1월 7일 (금) 출고예정 ( ※ 인쇄 및 제본 진행상황에 따라 출고예정일이 2021년 12월 31일에서 2022년 01월 07일(금)로 연기되었습니다. 인쇄 및 제본 진행 상황에 따라 출고일은 앞당겨질 수 있습니다. ※ SMART 소아진료매뉴얼은 변동 없이 12월 31일 출고 예정입니다.) 신간도서가 언제 나오는지 너무나 많은 분들께서 문의 주시고 오래 기다려 주셨는데, 이제 출간일이 한 달도 남지 않았으니 정말 출간을 코 앞에 두고 있습니다. 궁금해하실 분들을 위해 말씀 드리자면 현재 인쇄소에 인쇄를 넘기고 곧 감리 작업에 들어갈, 그야말로 막바지 작업에 이르러

[SMART 기본일차진료매뉴얼] 천식(Asthma)/알레르기 질환/호흡곤란/천명/천식의 병태생리/기도염증/기도 협착/기도과민성/천식의 위험인자/숙주인자/환경인자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이전 포스팅에서 소개해드린 것과 같이 1월 2일에 출간되는 신간도서들의 맛보기 콘텐츠를 제공해드리려고 합니다. :) 오늘은 두 권의 신간도서 중 <SMART 기본일차진료매뉴얼> 맛보기 콘텐츠를 공유해 드리겠습니다. 신간도서는 바른의학연구소 쇼핑몰에서 사전판매 진행 중에 있으니 많은 방문 부탁드려요! 신간도서 사전구매하기 https://barunlab.com/product/detail.html?product_no=87&cate_no=47&display_group=1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다음과 같습니다. <SMART 기본일차진료매뉴얼> PART 4. 호흡기·알레르기 CHAPTER 2. 주요 호흡기 증상·징후·질환 TOPIC 8. 천식(Asthma) CHAPTER 2 목차 확인하기 Topic 8. 천식(Asthma) 1 천식(Asthma):개요 1. 정의 • 시간에 따라 다양한 정도로 변화하는 호흡곤란, 천명, 가슴답답함, 기침과 같은 증상이

[SMART 소아진료매뉴얼(3판)] 급성 세기관지염(Acute bronchiolitis)/기관지 확장제/에피네프린/상기도 바이러스감염/원인병원체/RSV/비침습적 이산화탄소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지난 포스팅에서 말씀드렸던 것처럼 오늘도 1월 2일에 출간되는 신간도서의 맛보기 콘텐츠를 제공해 드리기 위해 찾아왔습니다 :) 오늘은 두 권의 신간도서 중 <SMART 소아진료매뉴얼> 맛보기 콘텐츠를 공유해 드릴게요! 신간도서는 바른의학연구소 쇼핑몰에서 사전판매 진행 중에 있으니 많은 방문 부탁드려요! 신간도서 구매하러 가기 https://barunlab.com/product/detail.html?product_no=87&cate_no=47&display_group=1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다음과 같습니다. <SMART 소아진료매뉴얼> PART 5. 호흡기·알레르기 CHAPTER 1. 호흡기 증상 및 질환 TOPIC 5. 급성 세기관지염(Acute bronchiolitis) CHAPTER 1 목차 확인하기 Topic 5 급성 세기관지염(Acute bronchiolitis) Ⅰ 세기관지염: 개요 및 진단 1 급성 세기관지염이란? • 기관지의

SMART 일차진료매뉴얼 시리즈 출간연혁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벌써 한해가 저물어가고 연말이 다가왔네요. 구독자분들은 2021년 마무리 잘 하고 계신가요? 바른의학연구소는 현재 두 권의 신간도서 스마트 기본일차진료매뉴얼과 스마트 소아진료매뉴얼의 출간일이 바짝 다가와서 출간 준비로 분주하답니다. 오늘은 신간도서 출시에 앞서 지금껏 바른의학연구소가 출간했던 SMART 일차진료매뉴얼 시리즈의 출간 연혁을 소개해 드리는 시간을 가지려고 해요 :) SMART 일차진료매뉴얼 시리즈 출간연혁 일차진료매뉴얼 시리즈의 모태 2011년 - 근거중심의 외래진료매뉴얼 성인편 + 소아편 2013년 - SMART 일차진료매뉴얼 1판: 성인편 2015년 - SMART 일차진료매뉴얼 1판: 소아편 SMART 일차진료매뉴얼: 소아편과 짝을 이루는 책입니다. 소아편은 이후 SMART 소아진료매뉴얼 2판으로 명칭이 변경되었습니다. 성인편 → 근거편 + 실전편 2017년 - SMART 일차진료매뉴얼: 근거편 2판 실전편 출간 이후 근거편으로

신간도서 <SMART 기본일차진료매뉴얼(3판)> 책 구성 및 특징 소개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이제 신간도서 출간일이 정말 얼마 남지 않았습니다 :) 그래서 오늘은 출간일을 앞두고 신간도서에 대해 소개해 드리는 시간을 가져 보려고 해요. 오늘은 두 권의 신간도서 중에서 먼저 SMART 기본일차진료매뉴얼(3판)을 살펴 볼게요! 3판에서는 2판에 비해 어떤 점이 달라졌는지 변화된 내용을 중심으로 특징을 설명 드리겠습니다. 2022년 1월 7일 (금) 출고예정 ( ※ 인쇄 및 제본 진행상황에 따라 출고예정일이 2021년 12월 31일에서 2022년 01월 07일(금)로 연기되었습니다. 인쇄 및 제본 진행 상황에 따라 출고일은 앞당겨질 수 있습니다.) 출고 예정일 : 2022년 1월 7일(금요일) 도서명: SMART 기본일차진료매뉴얼 3판 (SMART 일차진료매뉴얼 2판의 개정판) 부제: Evidence Based Approach 정가: 180,000원 저자: 이상봉 / 판 유형: 개정 3판 / 권수: 2권 / 케이스: O 크기: 152*225 (m

구글 검색 팁: 구글 검색 명령어, 고급 검색 사용하는 방법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 블로그 콘텐츠를 담당하고 있는 슈퍼썬입니다^^ 오늘날 저희는 무엇을 모르는지만 알고 있다면 검색엔진을 통해 거의 모든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세상에 살고 있습니다. 저희 바른의학연구소 대표 도서인 스마트 일차진료매뉴얼 또한 검색엔진의 힘을 많이 빌렸습니다. 각 토픽마다 최신 가이드라인을 찾고, 이를 정리하는 것은 실로 정말 만만치 않은 작업인데요. 구글이라는 강력한 검색엔진이 있어서 감히 시도해볼 수 있었던 작업이었다고 합니다. 이처럼 구글 검색을 잘 활용한다면 인터넷에 떠도는 수많은 정보들이 정말 유용하겠지만, 반대로, 검색이 서툰 분들께는 수많은 정보들이 단지 검색을 방해하는 장애물에 불과할 것입니다. 이렇듯, 검색능력에 따라 검색엔진의 활용가치는 천지차이가 나겠지요. 그래서 이번 시간에는 검색능력을 키울 수 있는 방법인 구글 검색 명령어와 구글 고급 검색 기능에 대해 소개해드리고자 합니다. 혹시 검색을 할 때 막연히 키워드만 입력하여 검색을 하고 있진

급성 설사 acute diarrhea 치료 (경구 수액제 ORS, 식이요법, 영양관리 지침 등) [내부링크]

이번 콘텐츠는 급성설사의 치료내용입니다. 아래 내용은 스마트 소아진료매뉴얼 2판 책의 내용입니다. 소아진료매뉴얼 책에서 급성설사가 어디에 위치했는지 아래 이미지를 통해 확인해주세요!! III. 치료 감별 진단된 급성 설사(acute diarrhea)의 원인 질환과 환자의 상태에 따라 입원, 정맥주사의 이용, 항생제 사용, ORS 등 다양한 치료 요건을 시행할 수 있다1). 1. 급성 설사 치료의 목표 및 전략 급성 설사(acute diarrhea)의 관리가 미흡하게 되면 만성 설사로 이행되면서 영양부전이 동반될 수 있음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1),2). 성공적인 급성 장염 치료를 위한 8가지 권고 사항 3) 1. 탈수 회복은 ORS(oral rehydration solution)으로 한다. 2. 탈수에 대한 초기 경구 수액 요법은 첫 3-4시간 내에 끝낸다. 3. 초기 탈수가 교정되면 바로 정상적인 영양을 한다. 4. 회복기에 젖당과 우유 단백이 없는 특수 분유의 일괄적 남용은 바람직

[기본통증진료학] 통증치료:통증주사의 기본-주사종류/감염예방/주사실무/주사물품/주사도구/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기본통증진료학 PART 1. 통증치료의 기본 Topic 2-4 통증 주사의 기본 의 내용입니다. PART 1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 Topic 2-4. 통증주사의 기본 1. 통증 진료 시 주로 쓰는 주사바늘과 준비물들 2. 감염예방을 위한 통증주사 준비 통증 주사 시에 감염을 특히 주의해야 합니다. • 「의료법 시행규칙」제39조의3은 ‘의약품 및 일회용 주사 의료용품의 사용 기준’에 대하여 ‘일회용 주시가에 주입된 주사제는 지체없이 환자에게 사용할 것(제4호)’이라고 규정하고 있으며, • 「의료관련감염 표준예방지침(질병관리본부 의료감염관리과 2017년 8월1일 발행)」은 ‘감염 예방을 위한 주사실무’편에서 환자에게 투여하는 약물을 주사기에 준비한 후 늦어도 1시간 이내에 투여하도록 권고하고 있음(p77)을 알려드리니, 귀 의료기관 주사 업무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의료관련감염 표준예방지침(질병관리본부 의료감염관리과 2017년 8월1

[1차진료 아카데미 처방가이드] 호흡기-알레르기:상기도감염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일차진료 아카데미 처방가이드는 13년 초판 이후 매우 뜨거운 반응을 받은 실전진료 현장의 실제의학실무를 담은 서적입니다. 저희 바른의학연구소에서는 일차진료에 필요한 진료지식과, 병의원 경영 및 운영 전반에 이르는 필수지식을 꼼꼼히 담아내려 노력했습니다. 일차진료 아카데미 처방가이드 2진료 Chapter 4. 소화기 Topic 2-1 급성 감염성 상기도 감염-감기의내용입니다. Chapter 4 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Topic 2-1. 감기(Common Cold) ① 겨울철 감기에 잘 걸리는 이유 우선 겨울에 감기에 잘 걸리는 이유에 대한 뉴스가 있어서 잠시 머리도 식힐 겸 소개합니다. 미국 예일대학 의대 면역학과 연구팀이 리노바이러스가 섭씨 37도의 core body temperature(심부온도)보다 휠씬 낮은 섭씨 33도의 콧속(nasal cavity, 비강)에서 효과적으로 증식한다는 사실과 이유를 밝혀냈습니다. 심부체온보다 낮은 온도에서는

[기본통증진료학] 발목/발-사마귀(Warts)vs티눈(Coms)/발통증/티눈제거/사마귀치료/크리오펜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오늘은 기본통증진료학 PART 13. 발목/발 Topic 5 “티눈(혹은 사마귀) 때문에 걸을 때마다 아파요” 사마귀(Warts) vs 티눈(Coms)으로 인한 발통증 의 내용입니다. PART 13목차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 Topic 5. "티눈(혹은 사마귀) 때문에 걸을 때마다 아파요" 사마귀(Warts) vs 티눈(Coms)으로 인한 발통증 • 사마귀(warts)는 발바닥에 생기는 hyperkeratotic lesion이며 papilloma virus로 인해 생긴다. • 티눈(corns)나 굳은살(callus, 경계가 분명한 발바닥 각질증) • 평가 • 티눈과 사마귀 감별이 중요. • 사마귀는 No.11 blade메스로 표면각질을 깎아낼 경우 모세혈관에 생긴 혈전에 의해 생긴 흑점이 발견되며, 티눈은 표면각질을 깎아낼 경우 흑점이 발견되지 않는다. • 치료 1) 계획 ⑴ 환자에게 치료는 원인치료가 아닌 증상치료이므로 재발가능성을 언급한다. ⑵

[공지] [신간소식] SMART 기본일차진료매뉴얼(3판) 출고 예정일 연기 안내(1월 7일 출고 예정)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이전에 블로그에서 몇 차례 소개드린 것처럼 바른의학연구소의 신간도...

마스터 KMLE의 출사표 [내부링크]

마스터 KMLE의 출사표 New Concepts, New ParadigmsKMLE 수험서로 시중에 나와있는 교재들을 ...

음악 큐레이션 플레이리스트 : Hôtel Costes (feat, 애플 뮤직)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 출판사업부 잡식왕입니다.음악을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다들 음악 좋아하시...

온라인 서비스 : 메타메딕(metamedic) 사이트 둘러보기 ①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오늘은 메타메딕 사이트를 둘러보기 첫 번째 시간입니다. 메타메딕 첫...

온라인 서비스 : 메타메딕(metamedic) [내부링크]

안녕하세요!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 ^^ 언제 어디서나 쉽고 편리하게 PC, 모바일 등 다양한 디바이스로 ...

메타메딕, 2.0버전 정식 오픈 [내부링크]

바른의학연구소의 메타메딕, 2.0버전을 오픈하였습니다! 메타메딕은 바른의학연구소에서 출간한 의학 책들...

메타메딕 2.0 업그레이드 버전 [내부링크]

바른의학연구소의 온라인 의학콘텐츠 서비스, "메타메딕"이 업그레이드 2.0 버전을 선보입니다. 업그레이드...

메타메딕(metamedic) [내부링크]

메타메딕(metamedic) http://www.metamedic.co.kr의학전문가가 참조할만한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근거(과학)...

Master KMLE는 앞으로 지속적인 A/S를 해드리겠습니다! [내부링크]

안녕하세요!바른의학연구소입니다.바른의학연구소는 앞으로 Master KMLE 책에 대해서 지속적으로 A...

[보충자료] 리뷰 01. 장 허혈: 기초 (2권. 소화기 248p) [내부링크]

Master KMLE 2권. 소화기 SECTION 01. 위장관 - Topic 08. 장허혈 - 리뷰01. 장허혈: 기초(24...

바른의학연구소 출판서비스 소개 및 출판신청 방법 [내부링크]

바른의학연구소에서 제일 중요하게 생각하는 의학서적의 특성은 내용의 정확성, 책의 가독성과 심미성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