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swoow의 등록된 링크

 dswoow로 등록된 네이버 블로그 포스트 수는 8건입니다.

전기용어 정리 [내부링크]

전류용량 (ampacity) 온도정격을 초과하지 않으면서 사용 중에 도체가 지속적으로 전류를 전달할 수 있는 용량을 암페어(A)로 표시한 것 전기기구 (appliance) 산업용이 아닌 표준형이나 표준크기로 제조된 세탁, 냉방, 조리, 믹서 등과 같은 하나 이상 기능을 가진 전기기구가 종류별로 설치 연결된 전기 제품 전기적 접속 (bonding) 전류를 안전하게 전달할 수 있게 하고, 전기적 연속성을 확보하여 도전경로 형성을 위한 금속부분의 영구적인 접속(본딩)으로 평상시 전압이 인가되지 않는 금속체를 대상으로 함 접지 (ground) 대지에 이상전류를 방류 또는 계통구성을 위해 의도적이거나 우연하게 전기회로를 대지 또는 대지를 대신하는 전도체에 연결하는 전기적인 접속 분기회로 (branch circuit) 간선에서 분기하여 회로를 보호하는 최종 과전류차단기와 부하 사이의 전로 전기기구용 분기회로 (branch circuit, appliance) 전기기구에 연결하기 위하여 한 개 이

수전설비 시스템 [내부링크]

순서 설계방법 1 수전전압과 수전설비 시스템을 선정한다. 2 지중 배전선로에서 전기를 수전하는 경우는 건축물 구내에 한국전력공사의 개폐 기장치 설치공간과 변전실까지의 경로에 맨홀을 설치한다. 3 개폐장치 설치 공간은 원칙적으로 수용 건축물 부지내의 옥외로 하며 부득이한 경우는 옥내로 한다. 4 지중수전시 전선로 구성을 위한 공사방법은 전선관(합성수지관, 흄관 등)을 사용 한 관로식으로 설계한다. 수전전압 수전전압을 제한하는 요소는 전기사업자의 공급전압으로서 다음 표를 참조하여 결정한다. 계약전력(kw) 공급방식 및 공급전압(V) 500 미만 교류단상 220 또는 교류삼상 380 500 이상 10,000 이하 교류삼상 22,900 10,000 초과 400,000 이하 교류삼상 154,000 400,000 초과 교류삼상 345,000 이상 수전설비 시스템 1 수전설비의 시스템 선정은 부하설비의 중요도, 예비전원과 수전전력의 신뢰도, 경제성을 고려한다. 2 수전설비 시스템의 구성은 다음

변전설비 시스템 [내부링크]

변압기 뱅크 구분 1 특고압 수전인 경우 수전용량이 500 kVA 이상인 경우는 부하운전 특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변압기를 2개 뱅크(군) 이상으로 구분하여 변압기 군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다만, 단일 부하인 경우는 별도 검토한다. 2 변압기의 1대의 용량은 건축물 내 또는 구내의 설치장소에 따라 건축의 장비 반입구, 반입통로, 바닥강도 등을 고려하여야 한다. 또한, 지상 11층 이상 또는 지하 5층 이하에 설치되는 경우는 반입용 리프트 또는 화물용 엘리베이터의 허용 적재중량과 카 내 크기를 고려하여 선정한다. 3 변압기 군의 구분은 부하특성, 용량, 부하의 종류, 계절부하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구분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며, 하나의 변압기 구분은 3.2.1의 내용을 참고하되 변압기의 운전대 수 제어가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다음 그림은 변압기군의 구분 개념을 나타낸다. 변압기 뱅크 구분 4 공동주택에서 변압기 뱅크 구분은 전등․전열용과 동력용 구분 없이 동일용량의 복수(2대

수전회로 보호방식 [내부링크]

1회선 수전방식 과전류보호 순시요소부 과전류 계전기로 단락보호 및 과부하보호를 한다. 1회선 수전에서는 수전변압기의 1차측은 전력회사 배전단 계전기의 주보호 구간이 되므로, 순시요소는 변압기 1차측의 단락 사고에서는 동작하고 2차측 사고에서는 동작하지 않도록 정정한다. 다만, 한시 요소도 전원 계통과의 보호협조라든가 배전선 용량을 고려하여 전기사업자로부터 지정된 정정 값으로 한다. 지락보호 전기사업자 특고압 계통의 중성점 접지방식은 100~400 A의 저항접지방식이 쓰이는 경우가 많으며, 수전 회로의 지락 보호는 변류기의 잔류 회로에 지락 과전류계전기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설비 용량이 커서 잔류회로방식으로는 필요한 지락검출 감도를 얻을 수 없을 경우에는 변류기를 3차 권선부로 한다. 다만, 3차 권선은 100 A가 표준으로 변류비가 300/5 초과할 때 적용한다. 여기에서는 단락, 지락 공히 방향성은 필요가 없으므로 일반적으로 수전회로에는 계기용 변압기를 설치하지 않는다. 다

전력 간선 보호 [내부링크]

건축물 내 전력 간선은 고압으로 6.6 kV, 3.3 kV 공급계통이 많고, 저압 전력 간선은 일반적으로 380 V급을 사용하며, 이에 대한 보호는 단락보호와 과전류 보호, 지락보호를 시행 고압계통의 단락 보호 1 자가용발전설비가 설치 운전하는 경우에도 대부분 주변압기 2차 모선에 연결 운전되므로 2차 모선 이후의 부하에 대한 전력 간선은 방사상 계통으로 되어 어느 간선의 사고 시 흐르는 전류의 방향은 일정. 따라서, 일반적으로 보호계 전기는 방향성이 없는 과전류계전기를 적용하여 보호. 다만, 선로의 부하가 크고 선로 인출 측 사고전류와 말단 사고전류의 크기가 비슷하여 과전류계전기로써 충분한 보호협조를 얻을 수 없는 계통에는 별도의 선로 보호전용의 파일롯 계전기 등을 적용 2 주요 전력간선 계통에는 신뢰도 향상을 위하여 3 CT와 과전류계전기 3 대를 설치 3 과전류계전기의 시간-동작시간 특성 선정은 적용하는 계통 특성과 인접 보호구간에 사용하고 있는 계전기의 한시 동작특성에 의하여

수변전기기 절연재료별 특성 및 선정방안 [내부링크]

수변전 기기의 절연용 재료는 자연에서 얻어지는 공기와 절연능력과 냉각능력이 뛰어난 절연유가 많이 사용되어 왔지만, 절연유(광유)의 주성분이 탄화수소 이므로 가연성, 폭발성에 단점이 있음. 건축물에 설치되는 수변전기기설계는 특히 방재 측면을 고려함. 절연재료별 특성 항목 공기 SF6 가스 절연유 에폭시 수지 비중 1 5 700 1000 절연내력 1 2~3 6~9 8~12 유전율 1 1 2.3 3.4 열전달율 1 2~4 10~14 20~30 열용량 1 3 1200 1000 동점성계수 1 1/6 2 - 연소성 불연성 불연성 가연성 (인화점 140) 난연성 (자기소화성) (인화점 500 이상) 내열정도 - 500 이하 105 이하 180 이하 산화열화 - 없음 있음 약간있음 일반적인 기기 선정 방안 1 전력용 변압기는 가스절연 변압기, 몰드 변압기 등을 사용하여 난연화 함 2 고압, 특고압 차단기는 진공차단기(VCB), 가스차단기(GCB)를 사용 3 변성기류는 몰드형을 주로 사용 4 전력수

변압기, 스위치기어, 보호계전기 선정방법 [내부링크]

변압기 선정방법 1 변압기는 사용장소, 경제성, 전기적 특성을 고려하여 선정하되, 건축물 내부에 설치시에는 고정손실이 발생하지 않도록 부하율 50% 이하 조건의 고효율 인증 변압기를 사용토록 함 2 건축물 내에 설치 시 변압기마다 전력량계 및 최대수요전력 측정이 가능한 기 기를 설치하여 부하감시 및 예측이 가능하도록 함 3 전압에 따른 변압기의 적용 4 몰드변압기의 용량별 규격은 제조업자의 시방을 참조 스위치기어 선정방법 1 보호등급에 따라 금속제 칸막이 및 보호판을 사용하여 내부 사고에 대비한 메탈크래드형, 절연물 칸막이 및 보호판을 사용한 컴퍼트먼트형, 그리고 금속제 외함 만을 사용한 큐비클형으로 구분 2 조작, 보수방향에 따라 전후면 보수형 및 전면 보수형으로 함 3 차단기의 쌓는 단수에 따라 1단적형, 2단적형, 3단적형으로 구분하며 단수가 많을수록 공간성, 경제성이 좋으나 유지 보수성, 케이블 처리 등의 공사 용이성, 대용량성에서는 불리함 4 고압 및 특고압 배전반은 다음

부하용량 계산 [내부링크]

1 부하용량은 부하설비(전등 및 전열부하, 동력부하)별, 상시용 및 비상용을 구분 하여 산출 2 설계시 부하용량 계산은 다음을 참조 (1) 백열등 : 용량(W) × 1.0 (VA) (2) 형광등과 LED 조명은 용량(W)에 역률과 효율을 감안한 용량 (VA) (3) 콘센트 : 1개(2구형) × 150 (VA) (4) 콘센트가 어떤기기 전용인 것은 그 부하의 효율, 역률을 감안한 용량 (VA) (5) 전동기 부하는 그 부하의 효율, 역률을 감안한 용량 (VA) 3 부하용량을 집계한 후 미래의 증설 예정용량이 확실하지 않은 경우에는 여유율을 10 % 정도 감안 4 부하용량의 추정방법 (1) 계획 또는 기본 설계시 부하용량을 추정하는 경우는 용도에 따른 유사건물 데이터를 참조 (2) 공동주택(APT)에서의 부하추정 공동주택 세대내 용량은 사용 기기가 후에 설정되기 때문에 대부분 다음 식으로 구한 추정 용량으로 계산 또한 공용부하의 부하산정은 별도로 산출하여 더 하여야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