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gchang3의 등록된 링크

 ngchang3로 등록된 네이버 블로그 포스트 수는 29건입니다.

[초대~3대] 이승만 대통령-업적 [내부링크]

대한민국을 세우다. 이승만 대통령은 대한민국의 최초 대통령으로, 1948년 7월 24일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대표하는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임시국무위원장으로 출범하였다. 그리고 대한민국 제3대 대통령으로 1960년에 당선되어 12년간의 장기집권을 한다. 출처 : 국가 기록원 이승만은 대한민국 재건과 경제 발전을 위해 수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1950년대 초반 미국의 빠른 참전을 유도하여 한국전쟁을 막아내고 , 대한민국을 전후 대한민국 재건에 힘을 솟아, 산업화, 교육개혁, 국방력 강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개혁과 발전을 이루어냈습니다. 출처 : 국가기록원 이승만은 또한 대한민국의 국제적인 입지를 강화하는 데도 큰 역할을 하였습니다. 유엔 가입을 결정하고, 1953년 7월에 비무장지대를 설치하여 한반도의 안정과 평화를 위한 노력을 기울였다.. 이렇듯 이승만 대통령은 대한민국을 국제사회에 진출시키는데도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출처 : 국가기록원 대한민국을 세운 대통령 이것이 나의 이승만 대

[초대~3대] 이승만 대통령-과오 [내부링크]

민주주의를 세우고 민주주의를 짖밟다. 이승만은 대한민국 정치의 초기에는 민주주의와 인권을 중요하게 생각하며 대통령으로서 많은 발전을 이뤘다. 그러나 이승만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민주주의와 인권을 저해하며 자신의 개인독재를 강화해 나갔다. 출처 : 경향신문 이승만은 대한민국에서 부정선거를 조직하고, 민주주의적인 대화와 합의를 배제하면서 민주주의를 파괴하는데 큰 역할을 한다 . 그는 1952년 대통령 선거에서 부정선거를 조직하여 이후 대한민국 정치를 자신의 개인독재로 바꾸어 나가면서 민주주의 파괴를 일삼는다. 출처 : 국가기록원 이승만은 대통령 직위와 권한을 남용하여 국내적으로도 타당성을 가지지 못하는 많은 사안들을 결정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정부의 적극적인 고용 정책을 실시하지 않아 수많은 노동자들이 실업에 처해졌고, 이로 인해 불안과 불만이 쌓이게 된다. 출처 : 국가기록원 또한, 이승만은 민주주의를 위반하며 헌법을 무시하여 대한민국 헌법에 따라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와 대선 후

[그림] 마음이 편해지는 그림들 [내부링크]

그냥 흘려 보내듯~~ 출처 :deepai.org

[ 4대 ] 윤보선 대통령-업적 [내부링크]

존재감이 ....... 출처 : 대통령 기록관 윤보선 대통령은 1950년대 말부터 1960년대 초까지 대한민국의 경제 발전을 위해 노력했다. 그는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을 수립하고, 산업화와 수출 확대를 촉진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시행했다. 또한 농업 개혁을 추진하여 농민의 생활 개선을 이루었다. 출처 : 대통령 기록관 윤보선 대통령은 대한민국의 국제 외교 활동에도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그는 대한민국과 일본, 미국 등의 외교관계를 수립하고, 동남아시아 지역과의 외교 활동도 적극적으로 전개했다. 출처 : 대통령 기록관 국민적 사랑과 인기 윤보선 대통령은 대한민국 국민들에게 큰 사랑과 인기를 받았다. 그는 국민과 가까이 다가가는 모습으로 국민들의 마음을 얻었으며, 국민들과 소통하는 방법을 찾아냈다. 출처 : 대통령 기록관 민주주의와 국가 안정화 윤보선 대통령은 대한민국의 민주주의와 국가 안정화를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그는 대통령직을 통해 민주주의 원칙을 존중하고, 대한민국의 법

[그림] 꽃 [내부링크]

꽃 그림들 출처 :deepai.org

[일상] 아무것도 하고 싶지 않다.. [내부링크]

퇴근까지 앞으로.... 진심 아무것도 하고 싶지 않다. 진심 아무생각도 하고 싶지 않다.... 왜?? 아무것도 하지 않고 싶기때문이다.. 출처 : 삼성카드 광고 퇴근까지 앞으로.....

[그림] 아무것도 하기싫은 그림 [내부링크]

진심 아무것도 하기 싫다.... 출처 : deepai.org

[일상] 부러움... [내부링크]

내가 못하는 것을 하는 남 사촌이 땅을 사면 배가 아프다. 아마도 부러움의 감정이지 싶다. 출처 : 국제신문 이게 생각해보면 참 나를 괴롭히는 감정인데..... 출처 : MBC 방송 생각해보면 개개인의 능력의 차이 환경의 차이에서 오는 어쩔 수 없는 것 일 진데... 참 어렵네 ㅋㅋㅋ

[불경]반야심경 [내부링크]

색즉시공 공즉시색 摩訶般若波羅蜜多心經 마하반야바라밀다심경 觀自在菩薩 行深般若波羅密多時 照見五蘊皆空 度一切苦厄 관자재보살 행심반야바라밀다시 조견오온개공 도일체고액 舍利子 色不異空 空不異色 色卽是空 空卽是色 受想行識 亦復如是 사리자 색불이공 공불이색 색즉시공 공즉시색 수상행식 역부여시 舍利子 是諸法空相 不生不滅 不垢不淨 不增不減 사리자 시제법공상 불생불멸 불구부정 부증불감 是故 空中無色 無受想行識 시고 공중무색 무수상행식 無眼耳鼻舌身意 無色聲香味觸法 無眼界 乃至 無意識界 무안이비설신의 무색성향미촉법 무안계 내지 무의식계 無無明 亦無無明盡 乃至 無老死 亦無老死盡 무무명 역무무명진 내지 무노사 역무노사진 無苦集滅道 無智 亦無得 以無所得故 무고집멸도 무지 역무득 이무소득고 菩提薩陀 依般若波羅密多 보리살타 의반야바라밀다 故心無罣碍 無罣碍故 無有恐怖 遠離顚倒夢想 究竟涅槃 고심무가애 무가애고 무유공포 원리전도몽상 구경열반 三世諸佛依般若波羅密多 故得阿耨多羅三藐三菩提 삼세제불의반야바라밀다 고득아뇩다라

[법구경] 제1장 쌍서품(雙敍品)-008 [내부링크]

죄 짓고 살지 말자 造憂後憂 行惡兩憂 조우후우 행악양우 彼憂惟懼 見罪心懅 피우유구 견죄심거 악을 행한 사람은 살아서도 죽어서도 걱정한다. 자신의 악한 행실에 걱정하고, 두려원한다. 출처 : 시사주간 造喜後喜 行善兩喜 조희후희 행선양희 彼喜惟歡 見福心安 피희유환 견복심안 선을 행한 사람은 살아서도 죽어서도 기뻐한다. 자신의 선한 행실에 기뻐하고, 즐거워한다. 출처 : 불교신문 마음 편하게 사는 법 01

[일상] 선택장애 [내부링크]

뭘 선택하든 다 똑같다. 오늘 점심 뭐 먹지?? 김치찌개 제육볶음 자장면 짬뽕 결국 ........ 출처 : 입맛잡는 황장금 블로그 매번 선택을 하는데.. 선택장애가 오면... 결국 최악의 선택을 하는 느낌은 뭘까?? 그냥 느낌 이겠지.. 그냥하자 어짜피 해야되는 거...

[일상] 내가 가장 좋아 하는 것 [내부링크]

나에게 OO 이란?? 미쳐야 잘 할 수 있다. 그 만큼 좋아 한다는 것 말이 것이다. 얼마 전 방송한 [유퀴즈 김성근 감독편 ] 출처 : 유퀴즈 김성근감독편 김성근 감독에게 하는 당연한 질문에 출처 : 유퀴즈 김성근 감독편 김성근 감독의 당연한 대답 그러면서 드는 생각 나에게 " OO " 이란?? 음~~ " OO " 이 있었던가??

[법구경] 제1장 쌍서품(雙敍品)-009 [내부링크]

죄를 지은 마음. 선을 행한 마음. 今悔後悔 爲惡兩悔 금회후회 위악양회 厥爲自殃 受罪熱惱 궐위자앙 수죄열뇌 이승에서도, 저승에서도 뉘우친다. 죄책감에 고통받고, 죄를 받아고통 받는다. 출처 : 에큐메니안 今歡後歡 爲善兩歡96 금환후환 위선양환 厥爲自祐 受福悅豫 궐위자우 수복열예 이승에서도, 저승에서도 기뻐한다. 선을 행한 기분에 기뻐하고 , 복을 받고 기뻐한다. 출처 : https://www.posewin.net/669 마음 편하게 사는 법 02

[일상] 월요일 [내부링크]

와~~월요일이다. 월요일이다. 날씨도 꾸리꾸리.. 출처 : 헬스조선 월요일이다. 몸도 꾸리꾸리... 출처 : 뉴스Y 월요일이다..

우리나라 역대 대통령의 공,과를 이야기한다. [내부링크]

지금의 내가 사는 대한민국의 대통령들 대한 민국은 1919년 3월 1일 대한민국 독립선언을 선포한 이후, 일본의 식민 지배를 무너뜨리기 위해 조직되어, 대한민국 임시헌법과 대한민국 임시정부 기본법을 제정하여 대한민국 정부의 초석 다지는 데 중요한 역활를 한 임시정부를 시작으로 1945년 8월 15일 일본의 패배로 인해 제2차 세계 대전이 종전되면서 대한민국은 정식으로 탄생하게 되었으며, 이후 1948년 8월 15일 대한민국 임시헌법이 제정되어 대한민국이 공식적으로 출범하게 되었다. 이후 초대 이승만대통령 부터 지금 20대 윤석열 대통령까지 13명의 대통령을 거치며 눈부신 발전을 해왔다. 출처 : 네이버 "그런데 현재 대한민국은 ~~~~??" 이라는 생각해 봐야 하는 시점인것 같기도 하고 해서.... 한번 대한민국의 대통령들은 어떤 일을 해왔고 업적은 무엇이며, 과오는 무엇인지 알아보려고 한다. 출처 :http://www.weeklyseoul.net/news/ 음 ~ 대통령들의 일대기

[일상] 우유통 속에 빠진 개구리 [내부링크]

버터는 이렇게 만드나 보다. 우유통에 빠진 3마리 개구리가 있는데 나오기를 포기한 개구리는 빠져 죽고... 나가려고 허우적되다 포기한 개구리도 죽고... 끝까지 포기하지 않고 허우적된 개구리는 허우적되며 굳어진 우유버터 를 딛고 우유통에서 빠져 나왔다. 는 이야기다. 출처 : 플러스 칸트키즈 철학동화 표지 버터는 이렇게 만들어지나보다.

[일상..] 집게 벌레.. [내부링크]

살고 싶겠지... 출처 : 구글 이미지 검색 직장에서 작업 중 눈 앞에 알짱거리는 집게벌레 한마리를 구덩이에 빠뜨렸다... 문득 드는 생각...... [ 살고 싶겠지...]

[일상..] 길막.. [내부링크]

답답함 , 편안함, 간사함 출처 : 보배드림 대구가는 고속도로 2차선은 화물차로 줄을 잇고 1차선으로 이 긴 줄을 피하려는 데... 화물차 두대가 길막을 한다. 아마도 1차선 화물차도 2차선 화물차가 답답했는지... 추월하려 하는 거겠지.. 그리고 추월하려는 1차선 화물차 추월당하지 않으려는 2차선 화물차의 자존심 싸움.. 길막.. 답답하다. 근데... 편안하다.. 출처: 키스캐스트 - 티스토리 화물차들을 피해 1차선을 달리 던 내차 뒤를 껌처럼 달라 붙어 압박하던 승용차... 불편했는데.. 뭐 어쩔 수 없지 ㅋㅋㅋㅋ 그래서 사람 마음은 참 간사하다 ^^*

[법구경] 제1장 쌍서품(雙敍品)-001 [내부링크]

마음이 법의 근본이라... 心爲法本心尊心使 심위법본심존심사 中心念惡卽言卽行 중심염악즉언즉행 罪苦自追車轢于轍 죄고자추거력우철 마음이 법의 근본이라, 마음에 따라 마음이 따라간다. 마음에 나쁜 일을 생각하면, 말과 행도으로 묻어나 , 죄와 고통이 절로 쫓는다. 젖은 땅에 수례를 따라 바퀴자국이 나듯이. 출철 : 구글 이미지 心爲法本心尊心使 심위법본심존심사 中心念善卽言卽行 중심염선즉언즉행 福樂自追如影隨形 복락자추여영수형 마음이 법의 근본이라, 마음에 따라 마음이 따라간다. 마음에 나쁜 선한일을 생각하면, 말과 행도으로 묻어나 , 복과 즐거운이 절로 쫓는다. 마치 그림자가 형체를 따르듯이. 출처 : 구글 이미지 모든 것이 마음이 만드는 것일 진데..... 어렵네 ^^*

[법구경] 제1장 쌍서품(雙敍品)-002 [내부링크]

누군가 나를 헐뜯고 꾸짖어... 人若罵我 勝我不勝 인약매아 승아불승 快意從者 怨終不息 쾌의종자 원종불식 누군가 나를 꿎이어서 나를 이겨도 이는 이긴게 아닌 진데, 흔쾌이 이를 받아주지 못하는 이는 원망도 끝내 내려놏지 못한다. 출처 : https://www.canva.com/photos 人若致毁罵 役勝我不勝 인약치훼매 역승아불승 快樂從意者 怨終得休息 쾌락종의자 원종득휴식 누간가 나를 헐뜯고 꿎이어서 싸워 나를 이겨 내가 이기지 않았으니, 흔쾌이 이를 받아주는 이는 원망도 끝내 내려놓을 수 있다. 출처 : 구글 이미지 그래도 마음이라는게 쉽지가 않으네 ^^*

[법구경] 제1장 쌍서품(雙敍品)-003 [내부링크]

나 자신을 돌아 보는 마음 不可怨以怨 終以得休息 불가원이원 종이득휴식 行忍得息怨 此名如來法 행인득식원 차명여래법 원한을 원한으로 갚는다면 원한은 멈추지 않는다. 오직 참는 것이 원망을 멈추는 것이니 이것이 여래의 법이다. 출처 : 불교신문 不好責彼 務自省身 불호책피 무자성신 如有知此 永滅無患 여유지차 영멸무환 남을 책 잡는 것을 좋아지하 말고, 자신을 살피기를 힘쓰라. 이렇게 할 수 있다면 연원히 근심은 사라질 것이다. 출처 : 불교신문 참을 인을 세번 새기면..^^*

[법구경] 제1장 쌍서품(雙敍品)-004 [내부링크]

스스로를 갈고 닦는다. 行見身淨 不攝諸根 행견신정 불섭제근 飮食不節 慢墮怯弱 음식부절 만타겁약 爲邪所制 如風靡草 위사소제 여풍미초 행함에 몸을 깨끗이 하여 일의 근본에 두지 않고 먹고 마심을 절제치 못하고 교만하고 게으르며 유약하고 악한 것에 억눌리는 것은 바람앞에 풀이 눕는 것과 같다. 출처 : https://24gaza.tistory.com/56 觀身不淨 能攝諸根 관신부정 능섭제근 食知節度 常樂精進 식지절도 상락정진 不爲邪動 如風大山 불위사동 여풍대산 몸이 깨끗하지 못한다고 여겨 일의 근본에 두고 먹고 마심을 절제하며 항상 즐겨 정진하며 사악한 것에 동요되지 않음은 바람 앞에 큰산이 서는 것과 같다. 출처 : 구글 이미지 하루 하루를 충실이 살아간다는 것

[법구경] 제1장 쌍서품(雙敍品)-005 [내부링크]

욕심이 마음을 힘들게 한다 不吐毒態 慾心馳騁 불토독태 욕심치빙 未能自調 不應法衣 미능자조 불응법의 독한 마음으로 욕심을 따르며 스스로를 다스리지 못하면 법의에 맞지 않는 것이다. 출처 : 강아지와 그 그림자의 우화 Wikimedia Commons 能吐毒態 戒意安靜 능토독태 계의안정 降心已調 此應法衣 항심이조 차응법의 독한 마음을 버리고 고요히 계율을 생각하며 마음을 다스리면 그는 법의에 맞는 것이다. 출처 : https://wonderfulmind.co.kr/ 그래도 로또는 욕심이 난다 ^^*

[법구경] 제1장 쌍서품(雙敍品)-006 [내부링크]

있는 그대로를 보는 마음 以眞爲爲 以爲爲眞 이진위위 이위위진 是爲邪計 不得眞利 시위사계 불득진리 진실을 거짓으로 거짓을 진실로 생각하면 이것은 잘 못된 생각이라 진리를 얻지 못한다. 知眞爲眞 見僞知僞 지진위진 견위지위 是爲正計 必得眞利 시위정계 필득진리 진실을 진실로 거짓을 거짓으로 생각하면 이것은 바른 생각이라 진리을 얻을 수 있다. 출처 : 성철스님 저서 표지 산을 산으로 보지 못하고, 물을 물로 보지 못하는 ..

정의란 무엇인가 ? - 001 [내부링크]

정의의 기준은 " 나 " 이다. 지금 대한민국의 시대 가치는 공정과 정의이다. 다만 정말 공정한지 정말 정의로운지는 의문이다. 무엇이 공정이고 무엇이 정의일까?? 출처 : 구글 이미지 예전 [ 정의란 무엇인가 ]라는 책을 읽었다. 정의를 공리주의, 자유주의, 공동체주의 라고 하는 관점에서 이야기 하며, 그리고 아래과 같은 사례로 질문을 하였다. 출처 : 미래엔 페이스북 출처 : 미래엔 페이스북 기차 선로를 바꾸는 것이 정의인가? 아닌가? 사람을 미는 것이 정의인가? 아닌가? 무엇이 공리주의적 선택, 자유주의적 선택, 공동체주의적 선택인가? 당시 선듯 선택을 하지 못하였다. 그런데... 출처 : sbs 그것이 알고 싶다. 저기 누워있는 사람에게는 저기 육교에 서있는 사람에게는 무엇이 정의일까?? 라는 생각이 들었다. 철로에 누워있는 사람에게 정의란 자신이 살아남는 것이 정의일까?? 육교에 서있는 사람은 자신을 밀지 않는 것이 정의일까?? 그래서 지금부터 출처 : 파워포인트 이미지 "

정의란 무엇인가 ? - 002 [내부링크]

정의의 기준 "납득" 처음 글에서 기준을 "나"로 잡았다. 그리고 이어서 " 납득 " 이라는 말을 기준으로 잡으려고 한다. 네이버에서는 출처 : 네이버 국어사전 라고 한다. 영화 건축학 개론에서는 이 "납득" 이라는 단어 유행했었다. 출처 : 영화 건축학 개론 그럼 나는 왜 " 납득 " 이라는 말을 정의의 기준으로 잡았을까?? 다음과 같은 의문때문이다. 출처 : 미래엔 페이스북 첫 글에서 재시한 사례이다. 저기 누워있는 혼자 사람이 "나" 라고 하자. 그럼 레일 변환기를 조작하는 사람이 공리주의든 자유주의든 공동체 주의든 레일 변환기를 바꿔 "나" 에게 기차가 오게 한다면 "나" 는 "납득"을 할 것인가?? 출처 : 미래엔 페이스북 사례 2도 마찬가지다. 뚱뚱한 체구의 사람이 "나" 라고 하자. "납득" 할 것인가?? "나" 가 "납득"할 수 없는 행위가 정의 인가?? 좀 더 생각을 해봐야 할 것 같다 ... 나의 정의란 무엇인가?? 두번째 정의의 기준은 " 납득 " 이다.

정의란 무엇인가 ? - 003 [내부링크]

정의의 기준 " 예외 없음 " 다시 앞의 사례를 생각해 보자. 출처 : 미래엔 페이스북 그리고 추가되는 질문 선로 바꾼다면 윗 선로에서 죽게 되는 사람에게 이것은 정의인가? 선로를 바꾸지 않아 아래 선로에서 죽게 되는 사람들에게 이것은 정의인가? 나는 아니라고 생각한다. 5명이 죽던 1명이 죽던 모두가 납득하지 못한다면, 의도한 행위에 의한 결과이지 정의의 문제가 아니다. 만약 레일 변환기를 잡고 있는 사람이 나 하자 무엇이 정의냐가 아니라 내가 선로를 바꿔 1명을 죽게 하느냐, 어떤 행동도 하지 않고 5명을 죽게 하느냐 선택의 문제인 것이다. 출처 : 영화 매트릭스 1명이 죽는다면 그 사람은 납득 할 것인가?? 5명이 죽는다면 그 사람들은 납득 할 것인가?? (가족 친지 친구등등은 생각하지 말자~~) 즉 정의라고 한다면 히어로가 나타나 기차를 세우고, 모두를 살린다. 이것이 모두가 납득할 수 있는 정의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출처 : 구글 이미지 그러면 하나 의문이 생긴다. 어떤

[법구경] 제1장 쌍서품(雙敍品)-007 [내부링크]

단단히 잇는 마음 蓋屋不密 天雨則漏 개옥불밀 천우즉루 意不惟行 淫泆爲穿 의불유행 음일위천 지붕 잘 잇지 않으면 비가 올 때 천장이 새 듯이 마음 잘 잇지 않으면 탐욕은 새어 들어온다. 출처 : 집닥터 蓋屋善密 雨則不漏 개옥선밀 우즉불누 攝意惟行 淫泆不生 섭의유행 음일불생 지붕을 잘 이으면 비가와도 천장이 괜찮은 것 처럼 마음을 잘 이으면 탐욕은 새어 들어오지 못한다. 출처 : 전북일보 마음 공부가 필요한 이유...

[일상..] 힘든 일 vs 지루한 일 [내부링크]

힘든 일 , 지루한 일... 오늘도 어김 없이 출근 ㅡ.ㅡ 그런데 음..... 출처 : 영화 내 머리속 지우개 중 힘든 일이 있고~~~ 출처 : 경향신문 [책 과 삶] 중 지루한 일이 있다. 출처 : 구글 이미지 무슨일을 할까?? 고민이다. 하고 싶은 거?? 출처 : MBC 방송화면 퇴근 ^^;; 이러니 사람의 마음은 간사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