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tna의 등록된 링크

 retna로 등록된 네이버 블로그 포스트 수는 145건입니다.

[고추]혈당강하 효과가 우수한 고추품종 : 원기1호, 원기2호 [내부링크]

#혈당을_떨어뜨리는_고추, #원기1호, #원기2호 [보도자료]“고춧잎으로 혈액 속 당 조절하세요” 당뇨병은 다양한 합병증을 유발하는 질환이므로, 꾸준한 관리와 치료를 필요로 한다. 고령화 추세에 따라 당뇨병의 사회, 경제적 부담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농촌진흥청(청장 조재호)이 잎에 혈당을 떨어뜨리는 성분이 많은 ‘잎 전용 고추 품종’을 개발하고 채소 섭취를 통한 혈당 관리 가능성을 제시했다. 당뇨병 치료제 중 하나인 ‘알파글루코시데이즈 인히비터(AGI*)’는 탄수화물을 흡수하는 효소인 알파글루코시데이즈를 막아 혈당 상승을 억제함으로써 당뇨병, 비만, 과당 www.rda.go.kr 고령화 추세에 따라 당뇨병의 사회, 경제적 부담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농촌진흥청(청장 조재호)이 잎에 혈당을 떨어뜨리는 성분이 많은 ‘잎 전용 고추 품종’을 개발하고 채소 섭취를 통한 혈당 관리 가능성을 제시했다. 당뇨병 치료제 중 하나인 ‘알파글루코시데이즈 인히비터(AGI : α-glucosidase in

[카로티노이드]카로티노이드의 종류와 기능 [내부링크]

#카로티노이드 카로티노이드 카로틴과 유사한 색소군으로, 동식물계에 널리 분포한다. 신선한 조직에 아세톤 등의 유기용제를 가해서 추출할 수 있는데, 공기 속에서는 산화되기 쉬운 불안정한 물질이며 물에는 불용성으로 분자 내에 산소를 함유하지 않는 카로틴류와 산소를 함유하는 잔토필류로 대별된다. 노랑·오렌지·분홍의 색소로서 동식물계에 널리 분포한다. 색으로서는 안토사이안이나 플라본과 흡사하지만, 벤진·이황화탄소·에테르 등의 지용성 용매에 녹으므로 구별할 수 있다. 또 식물의 유색 부분을 현미경으로 보면, 카로티노이드는 일반적으로 색소체에 포함되어 입상(粒狀)으로 ... terms.naver.com 노랑·오렌지·분홍의 색소로서 동식물계에 널리 분포한다. 색으로서는 안토사이안(아글리콘(Aglycone)인 안토시아니딘(anthocyanidin)과 여기에 당이 결합한 배당체, 안토시아닌(anthocyanin)의 양자를 합하여 안토사이안(안토시안 : anthocyan)이라 부름)이나 플라본과 흡사

[호박]호박의 원산지와 종류 그리고 수확과 저장 [내부링크]

#호박의_원산지와_재배내력 호박은 약 9,000년 전부터 이용하기 시작한 것으로 추정되며, 원산지인 멕시코 고대문화를 지탱하여 온 중요한 작물이다. 호박의 원산지인 아메리카대륙에는 종에 따라 품종들이 다양하게 발달되어 있는데 그 분포를 자세히 살펴보면, 기온이 낮은 북미대륙에서는 비교적 생육이 왕성하고 저온에도 강한 페포종이 주로 발달하였고, 기온이 높고 습한 멕시코와 중남미 지역에서는 모샤타종(요즘 동양계 호박)이 발달했다. 막시마종 (서양계 호박)은 남미대륙의 저온・고지 조건에서 상대적으로 더 잘 자라고 과실의 당도가 높지만, 모샤타종은 고온을 선호하고 과실의 당도도 상대적으로 낮은 품종들이 많다. 우리나라에 호박이 들어온 것은 임진왜란 이후 병자호란 (1636~1637), 명나라 멸망(1644)이라는 큰 국제적 변화를 겪으면서, 당시 청나라에 억류되어 있었던 많은 사람들이 조선으로 돌아올 때, 함께 가지고 들어왔을 가능성이 많다. 현재 겨울철에 하우스에서 많이 재배되는 입목성(

[복숭아]농촌진흥청보도자료 (천도복숭아의 단점을 보완해 시지 않고 달콤한 천도 ‘옐로드림(황육계)’, ‘스위트퀸(황육계)’, ‘이노센스(백육계)’ 보급) [내부링크]

#시지_않고_달콤한_천도복숭아 [보도자료]“달고 먹기 편한 복숭아 뜬다” 지역과 함께 시장 공략 농촌진흥청(청장 조재호)은 경북농업기술원과 ‘달콤한 천도’ 보급으로 복숭아 품종 세대교체에 속도를 내고 있다고 밝혔다. 복숭아는 털이 없는 천도(nectarine)와 털이 있는 복숭아(peach)로 나뉜다. 속살 색상에 따라서는 백육계(하얀색)와 황육계(노란색)로 구분한다. 천도는 씻어서 바로 먹을 수 있어 편리하지만 신맛이 약점이고, 털복숭아는 달콤하지만 털이 있어 먹기 불편하다. 농촌진흥청은 2016년부터 2017년까지 기존 천도의 단점을 보완해 시지 않 www.rda.go.kr 복숭아는 털이 없는 #천도(nectarine)와 털이 있는 #복숭아(peach) 로 나뉜다. 속살 색상에 따라서는 백육계(하얀색)와 황육계(노란색)로 구분한다. 천도는 씻어서 바로 먹을 수 있어 편리하지만 신맛이 약점이고, 털복숭아는 달콤하지만 털이 있어 먹기 불편하다. 농촌진흥청은 2016년부터 2017년까

[아미노산]아미노산의 종류와 기능 [내부링크]

#아미노산 아미노산 [목차] 1.정의 2.구조와 종류 2.1.필수 아미노산 2.2.기본 구조 3.특성 3.1.구조적 특성 3.2.비극성 R기를 갖는 아미노산 3.3.극성이나 전하를 띠지 않는 R기를 갖는 아미노산 3.4.산성 R기를 가진 아미노산 3.5.염기성 R기를 가진 아미노산 4.아미노산 장애: 메이플 시럽 소변 5.참고문헌 [ 정의 ] 아미노산은 단백질을 구성하는 기본 단위이며, 단백질 합성에 사용되는 20 종의 아미노산은 각각 다양한 화학적 특성을 나타낸다. 특정 단백질을 구성하는 아미노산의 종류와 서열은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유전자의 염기 서... terms.naver.com 아미노산은 단백질을 구성하는 기본 단위이며, 단백질 합성에 사용되는 20 종의 아미노산은 각각 다양한 화학적 특성을 나타낸다. 특정 단백질을 구성하는 아미노산의 종류와 서열은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유전자의 염기 서열에 의해 결정된다. #필수아미노산이란? 식물성, 동물성 단백질 두 마리 토끼 모두 잡아 필

[지방산]지방산의 종류와 기능 [내부링크]

#지방산 지방산 [목차] 1.요약 2.종류 2.1.탄소 결합에 따른 지방산의 분류 2.1.1.포화 지방산(saturated fatty acid) 2.1.2.불포화 지방산(unsaturated fatty acid) 2.2.지방산 사슬의 길이에 따른 분류 3.주요 기능 3.1.저장 분자의 기능 3.2.대사 연료로서의 작용 3.3.세포내 신호의 전달 3.4.단백질 변형 4.작용 메커니즘 5.참고문헌 [ 요약 ] 가지가 없는 탄화수소 사슬에 극성의 카르복시기(-COOH)가 연결되어 있는 생체분자이다. 한쪽 끝은 극성의 카르복시기이고, 반대쪽 끝은 비극성의... terms.naver.com 지방산(fatty acid)은 탄소 원자가 사슬 모양으로 연결된 카르복시산(R-COOH)을 통틀어 이르는 말로, 지방을 가수분해(물과 반응하여 원래 하나였던 큰 분자가 몇 개의 이온이나 분자로 분해되는 반응)하면 생기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대부분의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지방산은 4~28개까지의 짝수의

[당근]당근의 내력과 품종 그리고 성분과 이용 [내부링크]

출처 :자원백과 #당근의_내력과_현황 당근의 야생종은 유럽, 아프리카 및 중앙아시아에 걸쳐서 널리 분포되어 있으나, 원산지는 아프가니스탄의 힌두쿠시 산록이라는 설이 지지를 받고 있다. 당근은 이란 - 바빌로니아 - 나바테아를 거쳐 유럽으로 전파되었는데 터키의 아나톨리아 남서지역이 유럽계 품종의 발상지라고 생각된다. 또한 원나라(1280~1367) 초기에 중앙아시아로부터 중국 화남을 거쳐서 화북지방에 도입되어 화주 및 복주에 이르는 지방과 기타 고원지대에서 재배가 시작되면서 동양계 당근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우리나라에서는 재배역사가 짧은 새로운 채소로서 도입시대와 경로가 분명하지 않으나, 1900년대 초에 재배된 기록이 있고 1907년 도입된 외국 품종의 재배 기록이 있다. 당근은 근채류 중에서 무 다음으로 재배면적, 생산량 및 생산액 등이 많은 작목이다. 제주도의 생산량이 가장 많고, 고랭지, 남부지역 시설재배로 연중 당근이 재배되고 있으나 2000년대에 중국산 수입이 급증하면서 재

[전립선]전립선, 관련질환 및 좋은 음식 [내부링크]

#전립선(Prostate)이란 방광아래에 위치하여 요도를 둘러싸고 있는 남성의 생식기관으로 정액을 생성하여 정자의 운동을 돕는 역할을 합니다. #전립선의_위치 방광아래에 존재하며 위로는 방광경부에 고정되어 있고 아래로는 비뇨생식격막으로, 앞으로는 치골전립선인대로 고정되어 골반강내 깊숙히 위치합니다. #전립선의_구조 전립선은 정맥총과 탄성 섬유가 풍부한 결합조직에 의해 둘러쌓여 있으며 정상 성인의 전립선 무게는 약 15~20g, 길이는 4cm 정도 됩니다. 전립선은 선 조직과 이를 둘러싼 섬유근 조직으로 이루어진 기관이며 요도를 중심으로 동심원 형태로 배열되어 있고 15~30개의 도관이 전립선 요도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전립선의_기능 전립선은 정액의 일부(30%)를 생성하며 전립선에서 분비하는 전립선액은 정자에게 영양을 공급하고 운동능력을 향상시켜줍니다. 그리고 전립선액에는 구연산과 아연성분이 많아 요로에 존재하는 세균을 죽이는 살균작용을 함으로써 요로감염을 예방하는 역할을 합니다.

[무]무의 원산지와 종류 및 성분과 이용 등 [내부링크]

#무의_원산지와_작형 무의 원산지는 지중해 연안에서 흑해에 이르는 지역이며, 이집트에서는 기원전 2000년 이전부터 재배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지중해 연안과 중국을 2차 중심지로 전 세계에 전파되었고, 우리나라에는 기원전에 도입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가공하지 않은 상태에서 요리로 이용하지만, 서양에서는 대부분 사료로 이용되고 그 외에 샐러드 재료로 이용되며, 일본에서는 생식 또는 단무지 생산용으로 이용되고 있다. 무는 비교적 서늘한 기후를 좋아하고 극심한 더위나 추위에는 약한 편이며, 재배기술의 향상, 우수한 품종, 농자재의 발달로 연중 생산 및 공급이 가능하다. 작형에 따른 지역별 생산 동향을 살펴보면, 봄무는 3~5월에 경남·전남·전북 지방에서 하우스 재배 무가 출하되기 시작하여, 5월 초에서 6월 중순에는 충청·경기 지역의 하우스 재배 무가 출하되고, 호남 지역에서는 터널에서 재배한 무가 출하 된다. 그리고 6월 중순부터 7월 초까지는 경기도 일원에서 노

[플라보노이드]플라보노이드(=비타민P)의 종류와 기능 [내부링크]

#플라보노이드 플라보노이드 노란색을 나타내는 식물성 색소의 총칭. 화황소 또는 비타민P라고도 한다. 플라본(flavone), 플라보놀(flavonol), 플라바논(flavanone), 플라바놀(flavanol), 이소플라본(isoflavone)의 5가지로 구분되며 이소플라본을 제외하고는 공통적으로 2-phenylbenzopyrone구조를 가지고 있다. 대부분 식물체 내에서 당류와 에테르 결합을 통해 배당체(glycoside)의 형태로 존재하나 가열하여 당이 분리되면 색깔이 더욱 진해지는 특징이 있다. 루틴, 퀘르쎄틴, 헤스페리딘, 나린진, 등이 대표적인 성분... www.ksbb.or.kr 노란색을 나타내는 식물성 색소의 총칭. 화황소 또는 비타민P라고도 한다. 플라본(flavone), 플라보놀(flavonol), 플라바논(flavanone), 플라바놀(flavanol), 이소플라본(isoflavone)의 5가지로 구분되며 이소플라본을 제외하고는 공통적으로 2-phenylbenzop

[비타민]비타민의 종류와 기능 [내부링크]

#비타민 비타민 [목차] 1.정의 2.지용성 비타민 2.1.비타민 A 2.2.비타민 D 2.3.비타민 E 2.4.비타민 K 3.수용성 비타민 3.1.비타민 B 3.1.1.B1 3.1.2.B2 3.1.3.B3 3.1.4.B5 3.1.5.B6 3.1.6.B7 3.1.7.B9 3.1.8.B12 3.2.비타민 C 4.비타민 보충제 5.참고 문헌 [ 정의 ] 비타민은 우리 몸에서 충분한 양을 생산할 수 없으며 음식에서 섭취하여야하는 필수 영양소이다. 현재 13 종의 비타민이 알려져 있으며, 지용성 비타민과 수용성 비타민으로 나뉜다. [ 지용성 비타민 ] 지... terms.naver.com 비타민은 우리 몸에서 충분한 양을 생산할 수 없으며 음식에서 섭취하여야하는 필수 영양소이다. 현재 13종의 비타민이 알려져 있으며, 지용성 비타민과 수용성 비타민으로 나뉜다. #지용성_비타민 지용성 비타민은 지질과 함께 우리 몸으로 흡수되어 지방 조직에 저장될 수 있다. 비타민 A 화학 명칭은 #레티놀(r

[밀]밀의 원산지와 분포 및 주요 품종 [내부링크]

#밀의_원산지 밀의 원산지는 아프가니스탄에서 코카서스에 이르는 지역이며, 그 중에서도 코카서스 남부인 아르메니아 지방을 원산지로 추정하고 있다. 이 지역은 유럽과 아시아를 연결하는 민족 이동의 통로였으므로 이곳에서 발생한 밀은 민족의 이동과 함께 동서로 널리 전파될 수 있었을 것이며, 밀의 전파 경로는 아래와 같다. #밀의_분포 위도상 북위 30~60˚, 남위 27~40˚에서 주로 재배되고 있다. 최저 생육온도는 3~4이고, 적온은25, 최고온도는 30~32이다. 밀 수량은 연간 강수량이 760mm 되는 지역에서 가장 높고, 635~890mm 되는 지역이 그 다음이며, 이보다 강수량이 많거나 적은 지역은 수량이 낮은 지역이다. 중국, 러시아, 인도, 미국, 오스트레일리아 등은 가장 중요한 생산국이며, 밀을 주식으로 하는 인구, 재배 면적, 생산량, 수출입 등의 규모는 쌀보다 많다. #밀_재배현황 (우리나라) 가을밀의 재배 한계선은 1월 평균기온 -8선(1월 최저 평균기온 -14) 정

[암]암의 진단과 치료법 [내부링크]

숨어있는 악성 암세포, 귀신 같이 찾아내는 기술 나왔다. 숨어있는 악성 암세포, 귀신 같이 찾아내는 기술 나왔다 암조직의 저산소 특성, 암 전이-성장-항암제 내성 원인 저산소 상태 조직 찾아내 암 조기 진단과 치료에 도움, 과거 불치병으로 알려졌던 암도 과학기술의 발달로 관리 가능한 질병이 됐다. 그렇지만 여전히 암 검진에서 발견하지 못하고 악성이 된 다음 뒤늦게 찾아내는 경우도 적지 않다. 국내... www.seoul.co.kr 국내 과학자들이 중심이 된 국제 공동 연구팀이 전이를 촉진하고 내성을 갖게 만드는 암을 족집게처럼 찾아내는 방법을 개발해 주목받고 있다. 혈액암을 제외한 고형암은 조직 내에서 저산소 상태가 나타나는데, 암의 저산소 상태는 암 진행과 전이는 물론 항암치료 내성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이 때문에 저산소 상태의 조직이나 세포를 제대로 찾아내는 것은 암의 조기 진단과 치료에 있어서 유리한 고지를 점령하는 것이다. 연구팀은 종양 조직의 저산소 상태에

[보리]농촌진흥청 보도자료(색깔보리 품종,가공식품) [내부링크]

기능 성분 풍부한 ‘색깔 보리’ 가공식품 다양하네 [보도자료]기능 성분 풍부한 ‘색깔 보리’ 가공식품 다양하네 최근 건강식품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기능성 곡물 수요도 늘고 있다. 특히 건강 기능 성분이 풍부한 색깔 보리를 찾는 소비자가 늘고, 색깔 보리를 가공한 식품 개발과 판매도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문의] 국립식량과학원 작물기초기반과 최준열 과장, 이미자 연구관 (063-238-5332) www.rda.go.kr #색깔보리 보리는 베타글루칸(식이섬유의 일종으로 혈중 콜레스테롤 감소와 당뇨·심장질환 예방에 도움이 됨. 작물 중 보리에 특히 많이 들어 있음)과 식이섬유가 많이 함유돼 체중조절, 콜레스테롤 저하, 당뇨 예방 및 개선 효과가 있는 곡물이다. 특히 색깔 보리는 일반 보리보다 활성산소를 없애는 항산화물질인 안토시아닌이 많이 들어 있으며, 주요 기능성 성분인 베타글루칸과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등도 많이 함유돼 있다. 농촌진흥청은 소비자에게 우수한 먹거리를 제공하고

[토마토]토마토의 항산화 물질과 재배 온도 및 습도 관리 [내부링크]

[보도자료]‘토마토’ 항산화 물질 높이는 재배 기술 주목 농촌진흥청(청장 허태웅)은 고추의 항산화 물질을 늘리기 위해 개발한 액비(물비료) 재배 기술을 토마토에 적용했을 때도 우수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www.rda.go.kr #토마토의_항산화물질 농촌진흥청은 고추의 항산화 물질을 늘리기 위해 개발한 액비(물비료) 재배 기술을 토마토에 적용했을 때도 우수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연구진은 토마토 아주심기 한 달 뒤부터 2개월 동안 액비를 2~4%(50~25배액) 농도로 만들어 토양에 6회 뿌렸다. 이후 열매를 수확해 항산화 물질 함량을 분석한 결과,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토마토보다 비타민 시(C) 36%, 베타카로틴 49.7%, 폴리페놀 69.3%, 플라보노이드 86.7%가 증가함을 확인했다. [보도자료]온도 35도 넘으면, 토마토 열매량 4분의 1가량 줄어 농촌진흥청(청장 조재호)은 올여름 기온이 평년보다 높을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고온기 토마토 재배

[토마토]토마토의 내력과 특성 및 종류 그리고 성분과 효능 [내부링크]

#토마토의_내력 토마토는 가짓과 식물로 열대에서는 다년생이지만 온대지역에서는 1년생 식물 로 재배된다. 토마토의 원산지는 페루, 칠레, 콜롬비아, 에콰도르 그리고 볼리비아의 일부지역을 포함하는 남미 안데스산맥 태평양 쪽의 좁고 길게 형성된 산악지대이다. 현재의 특성을 가진 토마토로 재배작물화가 이루어진 곳은 멕시코로 알려져 있으며, 우리나라에 도입된 시기는 1613년 간행된 <지봉유설>에 의하면 조선 선조, 광해군 시대로 추정된다. #토마토의_특성 토마토는 고온에서 생육이 빠르고 꽃눈분화 및 개화기가 촉진되지만 꽃수가 적고 꽃이 작다. 저온에서는 생육이 지연되어 초장이 짧으나 잎이 크고 꽃눈분화 및 개화기는 늦지만 꽃수가 많고 꽃이 크다. 이 때문에 고온에서는 비교적 작은 과실이 되고 저온에서는 과실이 크다. 주야의 온도 교차가 있는 것이 착과비대, 과실 생산에 알맞다. 토마토는 광포화점(식물의 호흡작용에서 빛을 더 강하게 비추어도 광합성량이 증가하지 않을 때의 빛의 세기)이 7만

[불면증]불면증의 원인과 증상 및 불면증에 좋은 습관과 식품 [내부링크]

#불면증 (Insomnia)이란 불면증은 적절한 환경과 잠잘 수 있는 조건이 구비되었으나 2주 이상 잠을 이루지 못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불면증 환자는 잠들기 힘들거나, 야간에 자주 깨거나, 새벽녘에 일어나 잠을 설칩니다. 불면증에는 3가지 형태가 있습니다. ① 일시적 불면증 불면증이 며칠간 지속되는 것입니다. 보통 수면 주기의 변화, 스트레스, 단기 질병에 의해 발생합니다. ② 단기 불면증 불면증이 2주에서 3주까지 지속되는 것입니다. 스트레스나 신체적, 정신적 질병과 관련되어 있습니다. ③ 장기 혹은 만성 불면증 불면증이 몇 주 이상 지속되는 것입니다. 매일 밤, 대부분의 야간 시간대 혹은 한 달에 여러 번 밤에 잠을 이루지 못합니다. 신체적, 정신적 문제를 포함하여 많은 원인이 있을 수 있습니다. #불면증의_원인 ① 생활습관 요인 많은 약물과 습관들이 수면 문제를 악화시키거나 불면증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흡연과 음주, 카페인 성분이 포함된 음료가 대표적인 예입니다. 잘 시간이

[양파] ‘조생종 양파’ 수출 가능성 확인 [내부링크]

양파는 출하기에 따라 조생종, 중생종, 만생종으로 구분하는데, 4월~5월 초에는 조생종, 5~6월에는 중생종과 만생종이 생산되는데, 저장성이 낮아 그동안 수출하지 못했던 조생종 양파 수출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농촌진흥청은 전남서남부채소농협과 협력해 조생종 양파 특성에 맞춘 신선도 유지 기술을 연구하고, 이 기술을 적용한 무안산과 제주산 조생종 양파 약 4톤을 지난달 싱가포르에 시범 수출했다. 시범 수출에는 압력(압상)으로 인한 조생종 양파의 물러짐, 결로 등을 방지하기 위해 수확 후 아물이 처리(큐어링) 균일한 크기(지름 9±1cm) 선별 운반함 이용(팰릿 적재) 습기를 흡수하는 흡습지 사용 1도() 냉장 수송 현지 도착 후 송풍 처리 등의 기술을 적용했다. [보도자료]맞춤형 신선도 유지 기술로 ‘조생종 양파’ 수출 가능성 확인 저장성이 낮아 그동안 수출하지 못했던 조생종 양파 수출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문의] 국립원예특작과학원 파속채소연구소 조명철 소장, 김지강

[보리]보리의 품종과 성분 및 이용 [내부링크]

#보리의_종류 이삭은 줄기 끝에 달리고, 한 이삭에는 15~20개의 마디가 있으며 한 마디에는 3개의 이삭꽃이 달린다. 한 마디에 달리는 3개의 이삭꽃이 모두 여물어서 얼기설기 달리므로 씨알의 배열이 6줄로 되어 여섯줄보리가 되고, 3개의 이삭꽃 중 가운뎃 이삭꽃만 여물고 2개의 이삭꽃은 퇴화되어 씨알이 2줄로 배열되는 것은 두줄보리가 된다. 보통 보리라고 하는 것은 여섯줄보리이며, 두줄보리는 낟알이 더 크고 맥주를 발효시키는 맥주보리로 많이 이용된다.보리는 생육 중에 일정기간 저온을 지나야 출수하며 꽃이 필 수 있는 파성(播性)이 있다. 파성의 정도를 Ⅰ~Ⅶ로 나누는데 파성 Ⅰ~Ⅱ는 봄보리이며, 대체로 파성이 높은 품종(파성 Ⅳ~Ⅶ)은 가을보리로 추위에 견디는 힘이 크다. 또 탈곡을 해도 보리의 겉껍질이 보리에 붙어 있는 겉보리와 성숙을 하면 겉껍질이 보리알에서 쉽게 벗겨지는 쌀보리가 있다. 쌀보리는 추위에 견디는 힘이 다소 약해서 전남을 중심으로 경남의 남부 지방과 제주도 등의

[팥]농촌진흥청 보도자료(기능 성분 많고 가공성 좋은‘우리 팥’ 품종) [내부링크]

#팥_품종 [보도자료]기능 성분 많고 가공성 좋은 ‘우리 팥’을 소개합니다 팥에는 미네랄류, 비타민, 식이섬유, 칼륨(K) 등이 많이 함유돼 있다. 비타민 비(B)군은 피로감 개선, 기억력 감퇴 예방에 도움이 되고, 사포닌과 콜린 성분은 혈중 중성지방을 조절하는 데 이롭다. 칼륨은 몸 안의 붓기와 노폐물을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 [문의] 국립식량과학원 밭작물개발과 정찬식 과장, 송석보 연구관 (055-350-1243) www.rda.go.kr 팥에는 미네랄류, 비타민, 식이섬유, 칼륨(K) 등이 많이 함유돼 있다. 비타민 비(B)군은 피로감 개선, 기억력 감퇴 예방에 도움이 되고, 사포닌과 콜린 성분은 혈중 중성지방을 조절하는 데 이롭다. 칼륨은 몸 안의 붓기와 노폐물을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 농촌진흥청이 개발한 팥 품종으로는 ‘홍언’, ‘홍다’, ‘검구슬’, ‘흰나래’, ‘홍미인’, ‘아라리’ 등이 있다. 껍질이 얇아 잘 씹히는 ‘홍언’과 ‘홍진’은 식감이 부드러워 팥죽용으로 알

[밀]밀가루의 분류와 성분 및 이용 [내부링크]

#밀가루의_분류 밀은 알곡 상태로 이용되는 쌀이나 보리와는 달리 주로 빻아서 가루로 이용된다. 그런데, 한 품종의 밀이 빵, 국수, 과자에 이르기까지 전 영역에 걸쳐 최상의 가공성을 보이는 것은 아니고, 품종에 따라 빵은 잘되나 과자 원료로는 부적합한 것이 있고, 반대로 비스킷 등 과자 적성은 좋으나 빵을 만들었을 때 부풀음성과 조직감이 떨어지는 밀이 있는데, 이는 밀 품종별 고유 특성에서 기인한다. 그리고, 밀가루의 가공 적성은 밀가루 안에 포함되어 있는 글루텐 단백질의 양과 질에 크게 좌우되고, 글루텐 단백질의 양과 질은 밀 품종과 재배법및 기상조건에 크게 좌우된다. 예를 들면 우리나라는 북부지역으로 갈수록 단백질 함량이 높아지므로 빵용 밀은 북부지역에서, 국수용은 단백질 함량이 10~12%가 되어야 하므로 남부 지역에서 재배하는 것이 유리하다. 보통 글루텐의 양이 많고 질이 좋을수록 반죽의 점탄성이 높아서 빵이 잘 부풀고, 단백질 함량이 적을수록 부드러운 케이크나 비스킷 적성이

[뱃살]‘뱃살' 효과적으로 빼는 6가지 전략 [내부링크]

'뱃살' 효과적으로 빼는 6가지 전략 노출의 계절, 여름이 코앞으로 다가오면서 불룩하게 나온 뱃살 고민도 함께 찾아왔다면? 아직 포기하기엔 이르다. 전략만 잘 짜면 홀쭉한 배를 사수할 수 있기 때문. 미국 건강정보사이트 healthline에서는 뱃살을 빼기 위한 6가지 전략을 소개했다. 1. 섬유질 충분히 먹기 식이섬유를 섭취하면 장운동을 촉진하고, 지방이나 콜레스테롤과 같은 나쁜 노폐물 news.v.daum.net #섬유질 식이섬유를 섭취하면 장운동을 촉진하고, 지방이나 콜레스테롤과 같은 나쁜 노폐물을 흡착해 밖으로 내보내기 때문에 뱃살을 빼는 데 도움을 준다. 특히 수용성 식이섬유는 다시마와 미역, 김 등과 같은 해조류와 귤, 유자 등 감귤류에 많이 함유되어 있다. #프로바이오틱스 특히 유산균이 들어있는 락토바실러스 커베터스(HY7601)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KY1032)이 좋으며, 신체 교감신경을 자극해 에너지 소비를 촉진하고 포만감을 유발하며 지방 축적을 억제하는 효과가

[눈]눈 건강에 필요한 영양소와 식품 [내부링크]

#눈_건강과_영양_및_식품 누리 PICK(상세) | 농식품 PICK | 농식품 트렌드 | 농식품정보누리 눈 작성자 관리자 추천 추천 51 등록일 2016-12-22 첨부파일 IMA0000000015255.jpg 내용 눈 * 참고: 대한영양사협회 눈 눈은 크게 각막, 홍채, 안구등 여러 구조들이 함께 작용하여 시각정보를 수집해 뇌로 전달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눈에 나타나는 질환으로는 야맹증, 안구건조증등이 있다. 눈과 영양 보통 정상적인 식사를 골고루 섭취하게 되면 크게 영향을 받지는 않으나, 특정한 영양소 섭취가 부족하거나 과다한 경우 눈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비타민 A가 부족할 경우에는 야맹증과 안구건조증 등이 초래될 수 있다... www.foodnuri.go.kr 눈은 크게 각막, 홍채, 안구등 여러 구조들이 함께 작용하여 시각정보를 수집해 뇌로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정상적인 식사로 여러 식품을 골고루 섭취하게 되면 크게 영향을 받지 않지만, 특정 영양소가 부족하거나 과다

[호두]호두의 원산지와 품종 및 성분과 이용 [내부링크]

#호두나무의_원산지와_특성 호두나무의 원산지는 페르시아 서북부인 카스피해 연안 일대로 알려져 있다. 호두나무류는 아시아, 유럽, 아메리카 등에 약15종이 분포하나 주요 8수종이 재배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호두나무와 가래나무 2종이 있다. 호두나무는 낙엽활엽수로 수고 20m, 직경 1m 내외까지 자라며 수관이 크게 펴지고 가지는 성글게 나오며, 영양가 높은 과실과 특수용재 생산으로 수익성이 높으나, 식재 후 본격적인 결실까지 소요되는 기간이 10~12년으로 긴 편이다. 호두나무는 내한성이 약하므로 연평균 12등온선을 중심으로 난대 중부에서 온대 중부까지 광범위하게 생육 재배되고 있으며 여름에는 서늘하고 겨울에는 온화하며, 북서풍을 피하고 습기가 적은 곳이 재배적지로 주산지는 천안, 예산, 영동, 무주, 김천, 예천, 거창 등이다. 호두나무는 자웅이화로 4~5월에 꽃이 피며, 열매는 둥글고 털이 없다. 과실은 원형, 타원형, 난형, 도란형(달걀을 거꾸로 세운 형상) 등으로 담갈색이며,

[요통]요통의 원인과 진단 및 치료, 허리에 좋은 식품 [내부링크]

#요통이란? 요통은 허리 부위에서 다리까지 광범위하게 나타나는 통증을 말합니다. 직장 생활을 하는 남성의 1/4은 1년 동안 한 번 이상 요통을 경험합니다. 그중에서 1/12은 직장 근무를 못 하고 휴식을 취해야 할 정도입니다. 따라서 직장 남성의 60%는 요통을 경험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45세 이상의 연령층에서는 심장질환, 류마티스 관절염 다음으로 요통 환자가 많은 것으로 보고되었습니다. #요통의_원인 ① 긴장된 자세 구부정한 자세를 취하면 요추의 정상적인 곡선을 사라지게 하여 허리가 평평해집니다. 오래 서 있으면 허리가 뒤로 젖혀지는 상태가 되어 허리 뒤쪽으로 통증이 유발됩니다. ② 근력의 불균형 허리와 복부 근육의 불균형은 허리의 통증을 유발합니다. ③ 근육 경련(좌상이나 염좌) 주로 운동 부족으로 허리 근력이 약하거나, 많이 피곤할 때, 갑작스럽게 무거운 부하를 감당하지 못할 때 근육 경련이 발생합니다. 이는 척추를 지지하는 인대와 근육이 늘어나거나 파열되어 생깁니다. 이

[잎 들깨]잎 들깨의 특성과 품종 및 이용 [내부링크]

#잎_들깨의_특성 잎은 마디마다 두 개씩 마주 붙어나고, 잎 모양은 심장형 또는 피침형이며, 잎 면에는 털이 있다. 잎자루는 길고 끝이 예리하고 잎 둘레는 톱니모양이다. 빛깔은 보통 녹색을 띄지만 뒷면이 자색인 것과 표면의 잎맥이 자색인 것도 있다. 들깨의 신선한 잎에는 페릴라케톤, 페릴라알데하이드, 리모넨과 같은 식물성 정유성분이 0.3~0.8%나 들어 있어서 들깨 특유의 향취를 낸다. 종실용 품종의 장폭비는 1.4~1.6이며 잎 전용 품종은 1.1~1.2 정도로 둥근 심장형에 가깝다. 신선한 잎 1매의 면적은 종실용 품종은 80, 잎 전용품종은 100로 넓다. 종실에는 35~45%의 기름과 불포화도가 높은 리놀렌산이 63% 정도 함유되어 있어 상온에 저장할 경우 발아력이 쉽게 떨어지며 품종에 따라 1~3개월의 휴면기간을 거치기도 한다. 들깨는 10~15 사이에서는 광합성 속도의 변화가 거의 없고, 20에서 최대에 이르며, 25 이상의 온도에서는 급격히 떨어지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

[대추]건대추, 생대추의 표준거래단위와 등급규격 [내부링크]

#대추의_표준거래단위 건대추 : 1kg, 2kg, 3kg, 4kg, 5kg, 10kg, 15kg 생대추 : 1kg, 2kg, 3kg, 4kg, 5kg, 10kg, 15kg #건대추의_등급규격 가) 등급 규격 <정 의> (1) 등급규격 판정 : 크기ㆍ수량를 기준으로 정하되 “혼입률”, “모양/색택”, “수분함량”, “가벼운 결점”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판정하여야 한다. (2) 혼입률(%) : 포장단위 전량에서 “크기 또는 무게”가 다른 것의 비율을 말한다. (3) 가벼운 결점 ① 병충해, 상해의 피해 정도가 경미한 것 ② 미숙과, 열과, 변색과 등의 결점은 있으나 그 정도가 경미한 것 나) 크기 구분 #생대추의_등급규격 가) 등급 규격 <정 의> (1) 등급규격 판정 : 크기ㆍ무게를 기준을 정하되 “혼입률”, “모양/색택”, “당도”, “가벼운 결점”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판정한다. (2) 혼입률(%) : 포장단위 전량에서 “크기 또는 무게”가 다른 것의 비율을 말한다. (3)

[눈]눈의 구조와 기능 및 관련질환 [내부링크]

#눈이란? 눈은 여러 단계의 구조를 통해 시각정보를 뇌에 전달하는 시각기관입니다. #눈의_위치 얼굴의 윗쪽에 좌, 우로 위치하고 있습니다. #눈의_구조 눈의 길이는 24mm 정도이며 탁구공만한 크기입니다. 눈의 구조는 역할에 따라 공막과 포도막, 망막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공막은 안구의 가장 바깥 층으로 흰색을 띄고 있으며 눈의 모양을 유지시켜줍니다. 각막과 빛을 굴절시키는 방수, 수정체, 유리체액이 공막 내에 존재합니다. 포도막은 혈관막이라고 하며, 홍채와 맥락막을 포함합니다. 포도막은 풍부한 혈관으로 눈에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해줍니다. 망막은 눈의 가장 안쪽 층에 있으며 신경이 분포하는 층입니다. 망막 중 빛이 직접 도달하는 부분을 황반이라고 하며, 여기서 가장 세밀하게 빛을 감지합니다. #눈의_기능 눈은 시각정보를 뇌에 전달하는 시각기관으로 그 기능은 카메라와 비슷합니다. 시각정보가 들어오면 각막과 수정체는 이미지가 망막에 투영되도록 빛을 굴절시킵니다. 홍채는 각막과 수정체

[밤]밤의 원산지와 품종 및 이용특성 [내부링크]

#밤나무의_원산지 밤나무는 참나무과 밤나무속의 낙엽활엽성 교목으로 원산지는 아시아, 유럽, 북아메리카 등 3개 대륙에 걸쳐 있으며 북반구 온대지역에 널리 자생하고 있으며, 약간의 이견은 있으나 과실생산을 위한 밤나무는 일본밤나무, 중국밤나무, 유럽밤나무, 미국밤나무 등이 있다.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토종밤나무는 일본밤나무와 같은 종(種)으로 취급되고 있으나 형태적인 특성에 있어 일본밤나무와 중국 밤나무간의 자연잡종으로 간주될 정도로 중간형질들이 많이 나타나기 때문에 일본밤나무의 변종으로 여겨지고 있다. #밤나무의_품종 현재 우리나라에서 재배되고 있는 주요 품종으로는 일본에서 도입된 은기, 축파, 단택, 이평, 석추, 병고57호, 자봉 등이 전체 재배면적의 약70% 정도를 점유하고 있으며, 국립산림과학원에서 육성한 품종으로는 옥광, 대보, 광은, 박미2호 등이 있는데 이중 대보 품종은 2000년대 들어와 재배면적이 크게 확대되고 있어 품종 구성에 변화가 예상되고 있다. 품종 중에서 옥광

[밤]밤의 표준거래단위와 등급규격 [내부링크]

#밤의_표준거래단위 임산물 표준규격[산림청고시 제2017-15호] 제3조 제1항 임산물의 표준거래단위는 별표 1과 같다. #밤의_등급규격 임산물 표준규격[산림청고시 제2017-15호] 제9조 임산물 종류별 등급규격은 별표 5와 같다. <정 의> (1) 백분율(%) : 전량에 대한 개수 비율을 말한다. (2) 가벼운 결점 ① 병충해, 상해의 피해가 경미한 것 ② 기형과, 쌍동밤(쪽밤)등 기타 결점의 정도가 경미한 것 ③ 이품종과 : 품종이 다른 것 #표준규격품_표시사항 ② 일반적인 표시방법 표시사항은 가급적 한 곳에 일괄표시 하여야 한다. 품목의 특성, 포장재의 종류 및 크기 등에 따라 양식의 크기와 글자의 크기는 임의로 조정할 수 있다. 위 표시사항 외에 추가 표시사항이 있는 경우에는 추가할 수 있다. ③ 품종을 표시하는 방법 : 품종명 또는 계통명을 표시할 수 있다. ④ 무게 또는 개수의 표시 방법 : 무게 또는 개수를 표시한다. ※ 무게 또는 개수의 표시는 표준거래 단위에

[감]떫은감의 품종과 이용 [내부링크]

몸에 좋은 감을 활용한 다양한 기술 개발 이달의 농업기술 몸에 좋은 감을 활용한 다양한 기술 개발의 정보 제공 www.nongsaro.go.kr 감의 학명은 Dios(신) Pyros(선물) kaki(감)로 ‘신이 주신 선물’을 의미한다. 학명에서 알 수 있듯이 감은 우리 몸에 유용한 과실이다. 떫은감은 디오스프린이라는 떫은 맛을 내는 수용성 타닌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혈관을 수축시키거나 피를 멈추게 하는 등의 약리적 효과가 있다. 특히 감에는 카테킨, 에피카테킨, 에피갈로카테킨, 갈릭산 등과 같은 기능성 페놀 화합물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항산화 효과가 뛰어나다. 또한 항암, 항동맥경화, 알코올 대사촉진, 항혈액응고 등의 효능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여 있다. 떫은감은 타닌 특유의 강한 떫은맛으로 인해 곶감, 연시로 주로 이용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떫은감을 절단하여 건조한 감말랭이 이용률이 증가하고 있다. #떫은감의_품종 #상주둥시 만개기는 5월 하순이며 암 꽃만 착생하고 숙기는 10월

[수실류]수실류란? 밤, 감, 호두, 대추, 잣, 은행, 도토리, 개암, 머루, 다래, 복분자딸기, 산딸기, 석류, 돌배 등이다. [내부링크]

#수실류란 이달의 산림뉴스 산림과수, 너의 존재를 알려줘! know.nifos.go.kr 나무와 열매, 흙과 돌, 물 등 산림을 구성하는 것을 통칭하는 용어 ‘임산물’, 그중 짧은 기간에 소득을 얻을 수 있는 산림자원을 단기소득임산물이라고 하며, 단기소득 임산물은 다시 산림과수로 구성된 수실류와 버섯류, 산나물류, 약초류, 약용류 등으로 나뉜다. 일반적으로 ‘과수’라 하면, 사과나 배, 복숭아 등과 같은 과일을 먼저 떠올린다. 그러나, 농경지에서 재배되는 과수와 산림과수는 엄연히 구분되어 있기 때문에 광범위한 과수의 범위를 좁혀 보다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이는 수요자(생산자와 소비자)의 이해를 돕는 동시에 품목에 맞는 생산관리로 더욱 우수한 품질의 과수를 제공하기 위함이기도 하다. 바로 딸기와 산딸기를 구분하는 것처럼 말이다. 따라서, 임업 및 산촌 진흥촉진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별표2의 임산물 소득원의 지원 대상 품목으로 수실류(산림과수)14종이 지정되어 있으며,

[고구마]안토시아닌 함량이 높고 일반 고구마보다 쓴맛이 강해 가공원료용으로 주로 사용되는 “신자미” [내부링크]

#신자미 (자색고구마 품종) https://www.nongsaro.go.kr/portal/ps/psa/psab/psabf/spciesRsrchLst.ps?menuId=PS65425 신자미는 제7회(2011년) 대한민국 우수 품종상(농림수산식품부장관상)을 수상한 고구마 품종으로, 항암 및 항산화, 간 기능 회복 등의 효능을 가진 것으로 알려진 안토시아닌을 다량 함유하고 있으며, 진하고 검붉은 육색을 띠고, 일반 고구마보다 쓴맛이 강해 가공원료용으로 주로 사용된다. 신자미는 일반 고구마에는 없는 안토시아닌 색소가 100그램당 67.1mg(생체중 기준) 함유돼 항산화 활성이 높으며 일반 고구마보다 쓴맛이 강해 가공원료용으로 주로 사용된다. 신자미는 분말이나 페이스트 형태로 음료, 와인, 제과·제빵, 떡류, 양갱 같은 다양한 가공 제품에 이용되며 천연색소로도 활용된다. #가공용고구마 일반 고구마는 150~250그램일 때 상품성이 가장 높지만, 가공용 고구마는 수량이 많이 나와야 하므로

[생강]생강의 기원, 성분, 효능과 이용 [내부링크]

#생강의_기원 생강의 원산지는 인도, 말레이시아 등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동인도를 중심으로 온난지대에 널리 분포되어 있다. 16세기경에 이르러 세계 각지에 전파되어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는 향신료 중의 하나이다. 우리나라에 생강이 언제 처음 도입되었는지는 기록이 없으나 고려사(고려 현종 9년, 1018년)에 생강재배에 관한 내용과 왕의 하사품으로 생강이 쓰였다는 기록이 있다. 세계적으로 인도가 생강 전체 생산량의 절반정도를 차지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충남과 전북이 전국 재배면적의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생강의_생태 생강의 온도적응성을 보면 발아단계에서 최저 온도가 18 이상이어야 하고, 적당한 온도는 25∼30이다. 생육단계에서의 생육 적온은 낮에는 25∼30, 밤에는 22가 유지되어야 하고, 지온은 25를 유지해야 한다. 생육이 정지되는 온도는 15 이하이며 생리적 동해를 받는 온도는 10 이하이다. 종자는 작고 검은색을 띠나 우리나라에서는 개화결실이 거의 이루어지지

[감]감의 원산지, 종류, 성분과 효능 [내부링크]

#감의_원산지 식용 감나무의 원산지는 한국, 중국 및 일본이며, 단감은 일본에만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고 일본에서 우량 품종들이 많이 육성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으나, 최근에 중국 호남성 일부지역에서 단감이 존재한다는 것이 학계에 보고되어 있다. 우리나라의 감 분포 지역은 서해안은 평안남도의 진남포, 용강 해안까지이며 내륙 지방은 경기도 가평, 충북 제천, 경북 봉화 북쪽, 동해안은 함경남도의 원산을 기점으로 북청 해안지역을 잇는 이남지역이다. 중부 이북 지역은 거의 떫은감이고, 단감은 대부분 연평균 기온 12 등온선 남쪽지역에 분포하며, 주산지는 연평균 13 등온선 남쪽지역에 형성되어 있다. 중국은 최대 감 생산국으로 대부분 떫은감이고, 단감은 중국 감 생산량의 2% 정도인 5만 톤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단감 생산량은 약 20만 톤 내외로 세계 제1위이다. #감의_생육특성 감나무는 3월이면 휴면을 끝내고, 4월에 발아 신장하여 개화결실기를 거쳐 10월 하순에 과실이 성

[표준규격]농산물표준규격, 수산물표준규격, 임산물표준규격 [내부링크]

#농수산물품질관리법_상하위법_체계 #농산물_표준규격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고시 제2020-16호] 제1조(목적) 이 고시는「농수산물품질관리법」제5조 및 같은 법 시행규칙(이하 "규칙”이라 한다) 제5조에서 제7조까지의 규정에 의하여 #포장규격 및 #등급규격 에 관하여 규정함으로써 농산물의 상품성 향상과 유통효율 제고 및 공정한 거래 실현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한다. [별표 1] 농산물의 표준거래 단위(제3조 관련) [별표 2] 농산물용 포장치수(제4조 관련) [별표 3] 포장재료 및 포장재료의 시험방법(제6조 관련) [별표 4] 표준규격품의 표시방법(제9조 관련) [별표 5] 농산물의 등급규격(제10조 관련) [별표 6] 항목별 품위계측 및 감정방법(제12조 관련) [별표 7] 신선편이 농산물 표준규격(제11조의 ②관련) #신선편이_농산물 이란 농산물을 편리하게 조리할 수 있도록 세척, 박피, 다듬기 또는 절단과정을 거쳐 포장되어 유통되는 조리용 채소류, 서류 및 버섯류 등의 농산물을

[감]단감, 떫은감, 홍시, 곶감의 등급규격 [내부링크]

#단감의_등급규격 Ⅰ. 적용 범위 본 규격은 국내에서 생산되어 신선한 상태로 유통되는 단감에 적용하며, 가공용 또는 수출용에는 적용하지 않는다. < 용어의 정의 > ① 착색비율은 낱개별로 전체 면적에 대한 품종 고유의 색깔이 착색된 면적의 비율을 말한다. ② 중결점과는 다음의 것을 말한다. 이품종과 : 품종이 다른 것 부패, 변질과 : 과육이 부패 또는 변질된 것 (과숙에 의해 육질이 변질된 것을 포함한다.) 미숙과 : 당도(맛), 경도 및 색택으로 보아 성숙이 덜된 것 (덜 익은 과일을 수확하여 아세틸렌, 에틸렌 등의 가스로 후숙한 것을 포함한다.) 병충해 : 탄저병, 검은별무늬병, 감꼭지나방 등 병해충의 피해가 있는 것 상해과 : 열상, 자상 또는 압상이 있는 것. 다만 경미한 것을 제외한다. 꼭지 : 꼭지가 빠지거나, 꼭지 부위가 갈라진 것 모양 : 모양이 심히 불량한 것 기타 : 경결점과에 속하는 사항으로 그 피해가 현저한 것 ③ 경결점과는 다음의 것을 말한다.

[탈모]탈모증의 진단과 치료, 탈모에 좋은 식품 [내부링크]

#탈모증 (Alopecia)이란 탈모증은 정상적으로 모발이 있어야 할 곳에 모발이 없는 상태를 말합니다. 모발은 생명에 직접 관련되는 생리적 기능을 하지는 않습니다. 그러나 미용적인 역할이 매우 큽니다. 그 외에도 자외선 차단, 머리 보호 등의 기능이 있습니다. 탈모가 심하면 사회생활을 하는 데 문제가 생길 수 있고, 심리적으로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삶의 질 측면에서 중요합니다. ① 모발과 모낭 모발은 모낭이라는 곳에서 만들어집니다. 모낭은 주기적으로 활동·정지 단계를 거칩니다. 이러한 모발 주기의 시간적 간격은 신체 부위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납니다. 머리털의 경우에는 26년 정도의 성장기(생장기)와 2~4주간의 퇴행기를 거쳐서 3~4개월 정도의 휴식기(휴지기)에 들어갑니다. 각 모낭은 일생 동안 10~20회의 모낭 성장주기(hair follicle growth cycle)를 갖습니다. 모발의 종류로는 태아 때 덮여 있는 취모(배냇머리, lanugo hair), 어린이의 피부

[양파]양파의 원산지와 종류, 성분 및 이용 [내부링크]

#양파의_원산지 양파의 원산지는 이란과 서파키스탄이라는 설, 북이란부터 알타이 지방이라는 설, 중앙아시아와 지중해 연안 지방이라는 설 등이 있으나, 아직 야생종이 발견되지 않아 확실하지는 않다. 기원전 6세기의 인도의학서에는 양파가 이뇨제, 소화촉진, 심장, 눈, 관절 등에 좋은 약재로 표시되어 있다고 한다. 중세에 들어 유럽에 널리 전파된 양파는 남부 유럽에서는 ‘단 양파(mild onion)’로, 중·동부 유럽에서는 ‘매운 양파(strong onion)’로 분화되었다. 우리나라에는 조선 말기에 미국과 일본으로부터 도입된 것으로 보인다. #양파의_생태 양파는 저온에 비교적 강하나 고온에는 약한 작물로서 경엽 생육 시 온도가 높을수록 생장도 빠르나 아울러 노화도 빠르다. 생장과 노화를 감안한 경엽의 생육에 적당한 온도는 17 전후이다. 양파는 저온에 의해 꽃눈의 분화가 이루어지고, 고온장일에 의해 추대, 개화하는 두해살이식물이나, 조건에 따라 1년에 조기 추대하는 경우도 있다. 장일

[류마티스 관절염]류마티스 관절염과 도움이 되는 식품 및 식생활 [내부링크]

#류마티스_관절염 류마티스 관절염은 관절 주위를 둘러싸고 있는 활막이라는 조직의 염증으로 인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이 질환은 활막이 존재하는 모든 관절, 즉 움직일 수 있는 거의 모든 관절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수개월에서 수년에 걸쳐 진행되는 만성 질환입니다. 류마티스 관절염이 발생하는 전형적인 연령층은 30대 전후의 여성입니다. 그러나 남성에게도 발생할 수 있고, 소아부터 노인에 이르는 모든 연령층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인구의 약 1%가 류마티스 관절염을 겪고 있습니다. 매년 류마티스 관절염을 겪는 사람들이 많아지리라 추정됩니다. 류마티스 관절염 | 질환백과 | 의료정보 | 건강정보 | 서울아산병원 앞선 의술 더 큰 사랑을 실천하는 서울아산병원 입니다 www.amc.seoul.kr 누리 PICK(상세) | 농식품 PICK | 농식품 트렌드 | 농식품정보누리 류마티스성 관절염 작성자 관리자 추천 추천 47 등록일 2015-05-29 첨부파일 IMA0000000007

[통풍]통풍의 증상과 진단 및 치료, 예방식품 [내부링크]

#통풍(Gout)이란 통풍은 요산이라는 물질이 몸 밖으로 빠져나가지 못하고 과도하게 축적되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다른 사람이 지나가면서 일으킨 바람을 맞아도 아플 정도라고 하여 통풍이라고 합니다. #통풍의_원인 통풍은 요산의 과다 축적으로 발생합니다. 요산은 우리가 먹는 여러 음식이 소화되어 최종적으로 대사된 후 나오는 물질입니다. 보통 혈액 내에 녹아 있다가 소변으로 배출됩니다. 통풍 환자는 혈액 내 요산이 지나치게 많습니다. 이처럼 과다 축적된 요산은 결정체로 변하고, 이 요산 결정체가 관절 내에 침착하여 염증을 유발합니다. 통풍 환자는 대개 혈액 내 요산이 정상치 이상으로 높은 '고요산혈증'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아무 증상 없이 고요산혈증인 사람이 훨씬 더 많기 때문에, 요산이 높다고 모두 통풍 환자인 것은 절대로 아닙니다. 통풍 관절염은 고요산혈증이 심할수록, 또 기간이 오래될수록 발병할 가능성이 커집니다. 통풍 환자는 거의 남자입니다. 대개 40~50세에 첫 발작적

[감]단감 vs 홍시, 품종과 효능 [내부링크]

한입 베어 물면 ‘아삭’ 소리를 내며 단물이 나오는 단감과 푹 익은 빨간 속살을 숟가락으로 떠먹는 재미가 있는 홍시의 매력 [맛대맛 ⑱] 단감 vs 홍시 가을에는 다양한 감이 입맛을 돋운다. 왼쪽 위 그릇이 ‘부유’ 단감, 그 아래가 ‘태추’ 단감이다. 오른쪽 위 바구니가 홍시인 ‘대봉시’, 그 아래는 ‘청도반시’다. 김도웅 기자 [맛대맛 ⑱] 단감 vs 홍시 감나무에 주황빛 감이 주렁주 www.nongmin.com #단감 단감은 어린 시기에 떫은맛이 사라져 나무에서 따서 바로 먹을 수 있으며, 단감의 주산지는 경남 창원과 진주, 전남 영암 등이다. 품종으로는 #부유, #태추, #서촌조생 등이 있다. 부유는 우리나라 전체 단감 재배면적의 82% 정도를 차지하며, 감 특유의 감칠맛과 은은한 단맛이 일품이고, 저장성이 좋다. 비교적 최근에 유명해진 태추는 높은 당도를 자랑하며,<부유>보다 과육이 부드럽고, 식감이 배와 닮았다고 해서 ‘배감’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외에도 일찍 수확해 추

[쪽파]쪽파의 유전적 특징 및 성분과 이용 [내부링크]

#쪽파의_유전적_특징과_현황 쪽파는 파와 분구형양파를 교잡한 재배식물로서 파와 양파의 중간적인 특징을 보이기 때문에 파의 잡종 내지 변종으로 여겨지고 있으나, 식물학적과 농업분야에서는 독립종의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파와는 달리 쪽파의 종자는 불임성이고 여름에 비늘줄기를 형성해(구비대) 휴면하며 영양번식을 한다. 쪽파의 원산지는 밝혀져 있지 않으나 아시아 여러 지역 외에 콜롬비아, 이집트, 프랑스에도 유사한 계통이 발견되고 있다는 것, 동북아시아 지역에서도 계통이 다른 것이 있고 파와 분구형 양파의 교잡이 쉽다는 것 등은 쪽파가 몇 개의 지역에서 형태가 다른 파와 분구형 양파의 교잡에 의해서 성립된 것으로 보이게 하며, 우리나라에서는 경북 예천, 전남의 보성과 무안, 충남의 서산, 예산, 도고가 쪽파의 주재배지이며 제주도는 종구[인경(비늘줄기) 부위로 ‘알뿌리’ 또는 ‘씨쪽파’라고 함]산지로 유명하다. #쪽파의_종류 쪽파는 육종변이가 무디어 다른 작물처럼 품종의 분화가 많지 않다.

[마늘]마늘의 원산지와 종류, 성분 및 효능, 표준규격 [내부링크]

#마늘의_원산지와_생태 마늘은 백합과 파속에 속하는 인경채소(비늘줄기를 이용 대상으로 하는 채소류)로서 영명(英名)은 Garlic, 한명(漢名)은 대산 또는 호라 한다. 마늘의 원산지는 중앙아시아로 추측되며, 단군신화에서 알 수 있듯이 마늘은 우리 민족의 역사와 함께한 식품이다. 기원전 4,000년경 이집트에서는 거대한 피라미드를 건설하면서 이에 종사한 노동자에게 마늘과 양파, 무 등을 먹이는 데 소요 되는 경비내용을 피라미드 벽에 기록으로 남겼으며, 오늘날 고대 이집트의 무덤에서 마늘이 발견되고 있다. 마늘은 꽃은 피지만 불임으로 종자가 맺히지 않기 때문에 마늘쪽(인편)이나 주아(마늘종의 줄기부분을 제외한 총포(마늘 꽃을 싸고 있는 주머니 형태) 안에 있는 작은 덩어리)를 통한 영양번식을 한다. 마늘주아 : 출처(목포시민신문) #마늘의_종류 우리나라에서 재배되는 마늘은 한지형과 난지형으로 분류되며, 휴면성•발아기•숙기 등의 차이가 있다. 한지형은 휴면이 길고 발아가 늦으며, 중만생

[변비]변비의 원인과 증상 그리고 치료 및 음식 [내부링크]

#변비 (Constipation)란 변비는 대장의 연동 운동이 저하되어 원활한 배변 운동을 하지 못하는 질환을 의미합니다. 배변이 1주일에 2회 미만이거나, 배변 시에 굳은 변이 나오거나, 출혈이 동반되는 경우를 변비로 진단합니다. 어린이는 보통 성장하면서 장의 운동이 변화합니다. 3~4세 정도가 되어야 성인처럼 1~2일에 1~2회 정도의 배변을 할 수 있습니다. 1세 미만의 영아는 연령에 따른 생리적 특성과 분유, 이유식, 모유 섭취에 따라 하루에 0~9회 정도의 다양한 배변 습관을 보입니다. 하루에 1회 이상 대변을 봐야 하지만, 2~3일에 1회 보더라도 대변이 굳지 않고 편하게 대변을 본다면, 변비로 진단하지 않습니다. #변비의_원인 소아 만성 변비는 주로 이유식 이후 또는 배변 습관을 익히는 시기부터 시작됩니다. 심리적 또는 신체적으로 배변에 장애를 느끼는 기능성 배변 장애가 많습니다. 선천성 거대 결장, 선천성 갑상선기능저하증 등이 원인이 되어 발생하는 변비는 5~10% 정

[고구마]농촌진흥청 보도자료 ( 달고 부드러운 고구마 ‘소담미’ 이렇게 심으세요) (2022. 4.14) [내부링크]

#소담미의_특징 문서뷰어 www.rda.go.kr ‘소담미’ 재배기간을 기존 130일보다 20일 많은 150일로 늘리면 고구마(50g 이상) 수량이 26% 증가한다. 그 중 소비자가 선호하는 상품성 높은 고구마(150~250g) 수량은 51% 증가한다. ‘소담미’는 쪘을 때 감미도(19.1)가 높아져 단맛이 강하며 육질이 부드럽다. 또한 수확 후 이듬해 7월까지 9개월 이상 장기 저장을 해도 부패율이 거의 없다. ‘소담미’의 감미도 : 감미도 19.1 (베니하루카 16.6) ‘소담미’의 육질 경도 : 찐고구마 육질 경도 1,078 (진홍미(밤고구마) 1,614 > 소담미(1,078)> 베니하루카(859) #고구마 #소담미 (목포109호) 문서뷰어 품종설명서_고구마 소담미(목포109호)_최종.hwp www.nics.go.kr

[양파]농촌진흥청 대표품종 (맵시황, 메이원, 스위트그린, 화이트원) [내부링크]

요즈음 양파는 단순히 조미채소 역할만 하는 것이 아니라 목적과 입맛에 맞게 골라서 활용할 수 있다. 양파즙전용의 “ #맵시황 ”, 저장성이 좋은 “ #메이원 ”, 단맛이 강하고 단단한 연녹색 양파 “ #스위트그린 ”, 요리에 적합한 품종 “ #화이트원 ” 등이 있다 국산 품종 자급률을 높여라! ② :: 양파 박사 '한지원 농업연구사' 양파는 한식에 빠질 수 없는 대표적인 양념 채소다. 우리 국민 한 명이 1년간 먹는 양파는 평균 30kg, 중간... blog.naver.com 양파즙전용 맵시황 (링크를 클릭하면 요약, 출원등록정보를 확인할 수 있음) 저장성이 좋은 메이원 단맛이 강하고 단단한 연녹색 양파 스위트그린 요리에 적합한 품종 화이트원

[대장] 장을 건강하게 하는 농식품 [내부링크]

장염은 대장이나 소장에 염증이 생기는 병증으로 크게 만성과 급성(감염성)으로 구분한다. 누리 PICK(상세) | 농식품 PICK | 농식품 트렌드 | 농식품정보누리 무더운 날, 한 번쯤은 뒤틀리는 아랫배를 움켜쥐고 화장실로 달려간 기억이 있을 것이다. 여름은 유독 복통 환자가 많은 계절로 귀에 익은 냉방병,식중독 외에도 감염성 장염처럼 위험도 높은 질환이 원인으로 밝혀지기도 한다. 장염의 증상과 예방법, 그리고 건강한 장을 지켜주는 우리 농식품을 소개한다. 여름 요주의 질병, ‘장염’ 흔히 복통과 함께 묽은 변을 보는 증상을 두고 ‘배탈이 났다’고 말한다. 변의 모양이 달라지기 때문에 장(腸)에 국한된 문제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위(胃)에서 음식을 소화 시키지 못할 경우에도 복통과 설사를 ... www.foodnuri.go.kr #장을_건강하게_하는_농식품 6가지 #마 소화를 돕는 뮤신 성분이 풍부해 위와 장을 튼튼하게 해주고, 설사를 멎게 한다. 마를 갈아서 요거트에 섞어 먹으면

[귀리]귀리의 구입, 보관 및 요리 [내부링크]

#귀리의_구입요령 귀리는 잘 건조되고, 모양이 길쭉 통통하며, 이물질이 없는 것을 구입하는 것이 좋다. #귀리의_보관방법 보리, 밀, 귀리 등 전분함량이 많은 곡물류(맥류)를 저장하기 위해서는 곰팡이가 자라거나 침투하지 못하도록 최대한 수분함량을 낮추거나 저장고의 공기를 충분히 저온 또는 낮은 습도로 유지시켜야 한다. https://www.nongsaro.go.kr/portal/ps/psz/psza/contentNsSub.ps?menuId=PS00078&cntntsNo=215590&totalSearchYn=Y #귀리요리 #귀리누룽지탕 (2인분) 농식품 올바로 - 건강식단 - 이달의 식재료 상세보기 귀리누룽지탕 (2인분) 주재료 : 쌀(1/2컵), 귀리(1 1/2컵), 불린 표고버섯(2개), 청경채(2개), 새우(3마리), 전복(1개), 녹말가루(1T), 식용유(1/2컵) 부재료 : 마늘(2쪽), 생강(1톨), 대파(1대), 소금(약간), 후춧가루(약간), 설탕(1t), 간장(1T

[파]파의 원산지와 종류, 특성 및 성분과 이용 [내부링크]

#파의_원산지와_현황 파는 백합과 파속에 속하는 식물로서 영명으로는 Welsh onion, Spring onion, Green onion 등으로 불리며 중국명은 총(蔥)이다. 파는 한약재로도 쓰이며 생약명으로 총백, 총실(총자), 총엽, 총화, 총수, 총즙 등의 용어가 사용된다. 파는 야생종이 아직 발견되지 않아 그 원산지를 명확하게 알 수 없으나, 중국 서부지역일 것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적어도 통일신라시대에는 파가 재배되었을 것으로 추측하고 있으며, 경기도의 구리와 남양주, 부산의 명지, 충남의 아산과 서산, 전북의 고창과 부안, 전남의 진도, 영광, 신안, 경남의 김해, 강원도의 평창과 진부, 제주도의 북제주가 파의 주재배지역이다. #파의_생태_및_특성 파는 백합과 파(Allium)속 식물로서 양파, 부추, 마늘 등의 비늘줄기(鱗莖)채소류 와 형태적으로 유사한 특성을 가지며, 재배 습성도 비슷하다. 형태적으로는 가늘고 길며 원통형의 잎과 땅속에 묻혀 있는 짧은 줄

[위궤양]위궤양에 좋은 식품 [내부링크]

#위궤양에_좋은_식품 누리 PICK(상세) | 농식품 PICK | 농식품 트렌드 | 농식품정보누리 위궤양 작성자 관리자 추천 추천 54 등록일 2015-10-26 첨부파일 IMA0000000010249.jpg 내용 위궤양 위궤양의 원인 궤양이란 점막이나 피부 상피가 일정한 깊이로 움푹 파이는 등의 손상 및 결손 상태를 말합니다. 위의 안쪽 면에 해당하는 위벽은 강한 산성에 견딜 수 있도록 알칼리성 점액이 위벽 상피세포의 표면을 덮고 있는데, 이 상피세포가 손상을 입어 갈라지거나 파이게 되면 위궤양이라고 합니다. 위궤양의 원인은 흡연, 스트레스 및 진통제 복용, 악성종양, 헬리코박터균의 감염에 의한 것이 대표적입니다. 위궤양의 증... www.foodnuri.go.kr #시금치 동의보감에 따르면 시금치는 간장의 피로를 풀어주는 기능을 하면서 쓸개, 위장에도 영향을 줘 위산과다증, 위궤양 등에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또한 시금치에 함유된 질산염은 위장 내에서 산화질소로 전환되어 위장이

[식물종자]식물종자의 품종보호와 보급 및 유통관리 제도 [내부링크]

#국가품종목록 벼, 보리, 콩, 옥수수, 감자와 같은 주요 농작물의 종자는 국가품종목록에 등재하여 우량품종이 농가에 보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제도로서 수확량, 내병성, 내충성 등 일정 품종 성능기준에 도달한 품종만을 국가품종목록에 등재토록 하고 있다. (종자산업법 제15조 : 벼, 보리, 콩, 옥수수, 감자와 그 밖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작물로 한다. 다만, 사료용은 제외한다. ) 국가 품종 목록 등재 조회 국립종자원 www.seed.go.kr 국립종자원 국가품종목록 예시 #정부보급종 https://www.seed.go.kr/seed/1046/subview.do 정부보급종은 종자산업법 제22조에 따라 정부가 생산·공급하고 있는 종자로 벼, 콩, 팥, 보리, 밀, 호밀 작물이 해당된다. 정부보급종은 종자검사 규격에 합격한 정부에서 보증하는 종자로 자가채종 종자보다 품종 고유특성이 잘 나타나고 생산성이 높다. 2021년 정부보급종은 6작물 53품종(벼 29품종, 콩 9품종, 팥 1품

[농산물우수관리] 농산물우수관리(GAP) 제도와 인증표시 [내부링크]

"#농산물 우수관리 "란? "농산물우수관리(GAP: Good Agricultural Practices)"란 농산물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농업환경을 보전하기 위해 농산물의 생산, 수확 후 관리(농산물의 저장·세척·건조·선별·절단·조제·포장 등 포함) 및 유통의 각 단계에서 작물이 재배되는 농경지 및 농업용수 등의 농업환경과 농산물에 잔류할 수 있는 농약, 중금속, 잔류성 유기오염물질 또는 유해생물 등의 위해요소를 적절하게 관리하는 것을 말합니다(「농수산물 품질관리법」 제2조제4호) #농산물우수관리의_인증 농산물을 생산·관리하는 사람은 「농산물우수관리기준」(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고시 제2021-12호, 2021. 12. 28. 발령·시행)에 따라 농산물 우수관리인증기관으로부터 농산물 우수관리의 인증(이하 '우수관리인증'이라 함)을 받을 수 있습니다(규제「농수산물 품질관리법」 제6조제1항 및 제2항) 우수관리인증의 대상품목은 식용(食用)을 목적으로 생산·관리한 농산물입니다(규제「농수산물 품질

[친환경농산물]친환경농산물 인증제도와 인증표시 [내부링크]

#친환경농산물 이란? "친환경농산물"이란 친환경농업을 통해 얻은 유기농산물, 무농약농산물을 말합니다 (규제「친환경농어업 육성 및 유기식품 등의 관리·지원에 관한 법률」 제2조제2호). "#친환경 농업 "이란 생물의 다양성을 증진하고, 토양에서의 생물적 순환과 활동을 촉진하며, 농업생태계를 건강하게 보전하기 위하여 합성농약, 화학비료, 항생제 및 항균제 등 화학자재를 사용하지 아니하거나 사용을 최소화한 건강한 환경에서 농산물을 생산하는 산업을 말합니다(규제「친환경농어업 육성 및 유기식품 등의 관리·지원에 관한 법률」 제2조제1호). #친환경농산물의_종류 친환경농산물은 합성농약과 화학비료와 같은 화학물질의 사용여부와 사용량 등에 따라 #유기농산물, #무농약농산물 로 구분됩니다 (「농림축산식품부 소관 친환경농어업 육성 및 유기식품 등의 관리·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제2조제2호 참조). #친환경농산물_인증제도 #유기농산물 등을 생산, 제조·가공 또는 취급하는 자는 유기농산물의 인증을

[유채]유채의 원산지와 식용화(카놀라 : 에루신산, 글루코지놀레이트) 그리고 성분 및 다양한 이용 [내부링크]

#유채의_원산지 유채의 원산지는 스칸다나비아 반도에서 시베리아 및 코카서스 지방에 걸친 지역이라 한다. 이 지방에서는 예로부터 유채를 재배하였으나, 기름을 목적으로 한 재배는 16세기경부터이다. 열매가 익으면 그 열매로 기름을 짜서 이용하는 것이 유채의 주된 재배목적이었기 때문에 이름도 ‘유채(油菜, 기름나물, Rape 또는 Rapeseed)’이다. 유채는 채종이라고도 부르며, 착유하고 남는 부산물을 채종박이라고 한다. 20세기에 들어와서는 증기기관의 윤활유로 채종유가 적합하였기 때문에 유채를 널리 재배하였고, 2차 세계대전 후에는 증기기관이 디젤엔진으로 대체됨에 따라 채종유를 식용화하는 연구가 본격화 되었다. #유체의_식용화 유채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글루코지놀레이트(Glucosinolate)라는 항갑상선물질로서 가축에게 투여하면 갑상선이 커지며 가축의 생산성이 저하된다. 또한 에루신산(Erucic acid)이 다량 함유된 채종유를 쥐에게 다량 급여하면 심장에서 심근괴저와 지

[소장]소장의 구조와 기능, 소장 관련 질환 [내부링크]

#소장(Small intestine) 위와 대장 사이에 위치한 소화기관으로 십이지장, 공장, 회장으로 구성되며, 음식물을 소화시키고 흡수하는 역할을 합니다. #소장의_위치 오른쪽 상복부에 있는 위의 유문부에서 시작해서 하복부 중앙까지 위치하며 끝 부분은 대장의 맹장과 이어지게 됩니다. #소장의_구조 소장은 우리 몸에서 가장 긴 장기로 공장에서 회장까지의 길이는 6.7~7.6m정도입니다. 소장 점막에는 수많은 주름이 있고, 그 표면에는 융모가 있습니다. 소장은 십이지장, 공장, 회장의 세 부분으로 구분됩니다. 십이지장 C자 모양을 하고 있으며, 담관과 췌관이 합류하는 바터팽대부가 존재합니다. 공장 회장보다 굵고 벽이 두꺼우며 혈관분포가 많습니다. 회장 소장의 마지막 부분으로 굴곡이 심하며 맹장과 연결되는 부위입니다. #소장의_기능 소장은 소화효소를 분비하여 소화를 돕고, 영양분을 흡수하는 기능을 합니다. 소장 중 십이지장에서는 탄산소수나트륨과 점액을 분비합니다. 탄산수소나트륨은 위에서

[대장]대장의 구조와 기능, 대장 관련 질환과 식단 [내부링크]

#대장(Large intestine) 소화기 중에 마지막에 위치하며 1.5미터 길이의 관 모양의 장기입니다. 대장은 막창자, 결장, 직장으로 분류되며 소화되지 않은 음식물로부터 수분을 흡수하고 찌꺼기는 보관하여 대변 형태로 몸 밖으로 배출하는 역할을 합니다. #대장의_위치 대장은 소장의 끝 부분인 골반의 오른쪽 장골에서 시작되어 위로 올라가 상복부를 가로지르고 왼쪽 복부를 따라 아래로 내려가 직장을 통해 항문으로 연결된 모양을 하고 있습니다. #대장의_구조 대장벽은 점막, 점막 하 조직, 근육층, 장막의 4층으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대장은 막창자, 결장, 직장으로 분류됩니다. 막창자(맹장) 소장의 마지막 부분과 상행결장이 연결되는 부위로 끝에는 막창자꼬리(충수돌기)가 있습니다. 결장 대장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상행결장, 횡행결장, 하행결장, S상결장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직장 대장의 마지막 부분으로 S상결장에서부터 항문까지의 부분을 말합니다. #대장의_기능 대장은 수분을 흡수하고

[담낭]담낭의 구조와 기능, 담낭 관련 질환과 식단 [내부링크]

#담낭(Gallbladder) 간의 왼쪽엽과 오른쪽엽 사이의 오목에 붙어있는 작은 주머니로 간에서 생성된 담즙을 저장하는 역할을 합니다. #담낭의_위치 간의 왼쪽엽과 오른쪽엽 사이의 오목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담낭의_구조 담낭은 간의 우엽과 좌엽 사이의 오목에 붙어있으며 7~10cm 가량의 길쭉한 주머니 모양을 하고 있고 30~50ml 정도의 담즙을 저장할 수 있습니다. 담낭은 해부학적으로 기저부, 체부, 누두부, 경부로 나눌 수 있습니다. 기저부는 담낭의 둥근 끝 부분이며 체부는 기저부와 누두부 사이로 담낭의 대부분을 차지합니다. 누두부는 담낭의 경부와 체부의 사이를 말하며 경부는 누두부와 담낭관을 연결하는 부위로 S자 모양으로 구부러져있습니다. #담낭의_기능 담낭은 간에서 분비한 담즙을 농축, 저장하였다가 음식물이 십이지장내로 들어오면 십이지장내로 담즙을 분비하여 지방의 소화, 흡수를 돕습니다. 헬스팁 ( #담석증 ) 담낭에서 분비되는 담즙이 지나치게 많은 콜레스테롤, 담즙산염

[방광]방광의 구조와 기능, 방광 관련 질환 [내부링크]

#방광(Bladder) 골반내, 치골 뒤쪽에 위치한 소변을 저장하고 배설하는 주머니 모양의 기관입니다. 신장에서 만들어진 소변이 좌, 우 요관을 통해 방광으로 들어오면 이는 요도를 통해 바깥으로 배출하게 됩니다. #방광의_위치 골반 내, 치골의 뒤쪽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방광의_구조 성인 방광의 평균용적은 약 400ml 정도입니다. 방광은 속이 빈 주머니 모양의 근육이며 점막, 점막하조직, 근육, 장막의 4개의 층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방광은 위로 신장에서 내려오는 요관과 연결되어 있고, 아래로는 요도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방광의_기능 방광은 소변을 저장하고 배설하는 기능을 합니다. 신장에서 만들어진 소변은 요관을 통해 방광으로 들어와 저장되었다가 요도를 통해 몸 밖으로 배설됩니다. 헬스팁( #과민성_방광 ) 갑자기 소변이 마려오면서 참을 수 없거나 다른 사람보다 화장실을 더 자주 간다면 과민성 방광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대한배뇨장애요실금학회에서 과민성 방광 자가진단법을 제시

[농산물 검사기준]농수산물품질관리법 제79조, 농림축산식품부고시 제2021-53호 [내부링크]

벼, 현미, 쌀, 겉보리, 쌀보리, 맥주보리, 밀, 귀리, 보리쌀, 콩, 옥수수, 고구마, 절간고구마, 참깨, 땅콩, 유채, 사과, 배, 단감, 감귤(온주밀감), 고추(붉은 마른고추), 마늘(통마늘), 양파, 누에씨, 누에고치, 생사, 쌍고치실, 견연사를 정부가 수매하거나, 수출 또는 수입할 때 #농림축산식품부고시_제2021-53호_별표3 ( #농산물의_품위_검사규격 )의 검사규격을 적용하여 검사받아야 한다. 출처 : 농정신문 #농수산물품질관리법_제79조 ( #농산물의_검사 ) ① 정부가 수매하거나 수출 또는 수입하는 농산물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농산물은 공정한 유통질서를 확립하고 소비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농림축산식품부장관이 정하는 기준(농림축산식품부고시 제2021-53호)에 맞는지 등에 관하여 농림축산식품부장관의 검사를 받아야 한다. #농림축산식품부고시_제2021-53호 ( #농산물 검사기준 ) 제2조(검사규격) ③ 농산물의 품위 검사규격은 별표3 과 같다.

[콩나물]흔한 콩나물이 주는 뜻밖의 변화 5 [내부링크]

흔한 콩나물이 주는 뜻밖의 변화 5 - 코메디닷컴 우리 주변의 흔한 음식으로 콩나물을 꼽을 수 있다. 콩나물 무침, 콩나물국 등 거의 매일 식탁에 오를 정도다. 너무 흔해 영양소가 저평가된 측면도 없지 않다. 콩나물은 비싼 건강기능식품 못지않은 효과를 내는 알찬 음식이다. 콩나물에 대해서 알아보자 조상들이 겨울에 건강 지킨 이유… 비타민 C 효과 요즘은 한겨울에도 신선한 과일, 채소가 쏟아져 나온다. 옛날 비닐하우스가 없을 … kormedi.com 조상들이 겨울에 건강 지킨 이유… 비타민 C 효과 비타민 C가 몸에 부족하면 괴혈병 등 질병위험이 높아진다. 우리 조상들은 집에서 콩나물을 길러 비타민 C를 섭취했다. 신선한 채소가 없는 겨울철이나 채소 경작이 어려운 지역에서 콩나물은 비타민제 역할을 충분히 했다. 콩나물의 비타민 C, 어떻게 생길까? 국립농업과학원에 따르면 콩이 발아하는 동안 지질, 루테인, 베타카로틴 등은 줄어들지만, 콩에 존재하지 않던 비타민 C가 생합성된다.

[췌장암]췌장암을 조기에 진단하는 방법과 조기진단의 필요성 [내부링크]

'최악의 암' 췌장암, 3대 증상은? '췌장암 진단이 곧 사형선고'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췌장암 예후는 매우 나쁘다. 국가암등록 통계에 따르면 췌장암 환자의 5년 상대 생존율은 13.9%로 전체 암 생존율 70.7%의 5분의 1에 그친다. 췌장암 환자 10명 중 8명 이상이 5년 안에 목숨을 잃는다는 뜻이다. 류지곤 서울대병원 소화기내과 교수의 도움말로 췌장암 원인과 증상, 최신 치료법을 알아 news.v.daum.net 국가암등록 통계에 따르면 췌장암 환자의 5년 상대 생존율은 13.9%로 전체 암환자 생존율 70.7%의 5분의 1로 ‘췌장암 진단이 곧 사형선고’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췌장암의 예후는 매우 나쁘다. 이유는 첫째, 초기 증상이 거의 없어 조기 발견이 어렵고 둘째, 췌장암을 치료하는 최선은 수술이지만, 진단 시점에서 수술 가능성은 20% 미만이고, 셋째, 재발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따라서, #췌장암을_조기에_발견하려면 췌장암의 주증상인 복통, 식욕 부진, 체중 감소

[피싱범죄]교통카드에 뚫린 은행계좌, 인출 한도도 소용없었다. [내부링크]

[OK!제보] 교통카드에 뚫린 은행계좌..인출 한도도 소용없었다 (서울=연합뉴스) 김대호 기자 = 피싱 범죄가 날로 지능화하는 가운데 교통카드에 은행계좌가 속수무책으로 뚫려 거액의 피해를 보는 일이 발생했다. 피해자에게 카카오톡 등을 이용해 가족인 것처럼 접근한 후 개인정보와 은행계좌를 알아내 돈을 빼가는 이른바 '메신저 피싱'에서 한단계 더 진화해 돈을 빼낼 때 교통카드를 이용, 인출한도와 상관없이 계좌의 잔액을 모두 news.v.daum.net #피싱_범죄가 날로 지능화하는 가운데 교통카드에 은행계좌가 속수무책으로 뚫려 거액의 피해를 보는 일이 발생했다. 피해자에게 카카오톡 등을 이용해 가족인 것처럼 접근한 후 개인정보와 은행계좌를 알아내 돈을 빼가는 이른바 ' #메신저_피싱 '에서 한 단계 더 진화해 돈을 빼낼 때 교통카드를 이용, 인출한도와 상관없이 계좌의 잔액을 모두 훔쳐가는 새로운 피싱 방법이 등장했다. 가령 은행계좌의 하루 인출한도를 1천만원으로 설정해도 교통카드를 충전

[옥수수]옥수수의 원산지와 종류, 용도별 수확시기 및 보관방법 [내부링크]

#옥수수의_원산지 옥수수는 강냉이, 강내미, 옥시기 등으로 불리는 작물이며, 중앙아메리카에서 북으로는 캐나다, 남으로는 아르헨티나까지 전파되어 다양한 종류와 품종으로 분화되었다. 멕시코의 Tehuacan 계곡에서 발견한 것이 가장 오래된 옥수수로, 약 7,000년 전에 재배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우리나라에는 16세기 조선 때 중국을 통해 들어온 것으로 추정되며, 1990년대부터 재배와 소비 패턴이 알곡용 옥수수 재배에서 풋옥수수 재배로 전환되고 있다. 옥수수는 세계 3대 작물 중에서 생산성이 가장 높고, 용도 또한 다양한 작물이다. 옥수수는 잎의 길이가 길고 폭이 넓어 햇볕을 받아 탄소동화작용을 하는 능력이 단위 면적당 밀이나 벼에 비해 월등히 높으며, 담근먹이용, 알곡용 옥수수를 재배할 때처럼 큰 면적에 옥수수를 재배하는 경우나, 정원이나 텃밭에서 소규모로 식용 옥수수를 재배하는 경우 모두 다른 작물에 비해 비교적 적은 노력으로 기를 수 있다. 병해충도 적기 때문에 방제 작업을

[착오송금]착오송금 반환지원 제도 아시나요? [내부링크]

"아들 미안해 300만원 다른 사람에게 잘못 보냈어~어떡해"..착오송금 반환지원 제도 아시나요 #최근 60대 A씨는 아들에게 300만원을 모바일뱅킹 계좌이체로 송금을 하려다 실수로 다른 사람에게 보낸 사실을 뒤늦게 알게됐다. 이를 전해 들은 아들 역시 당황스럽기는 마찬가지. A씨는 당장 어떻게 해야할지 막막해 거래 은행을 찾았지만 착오송금을 받은 수취인에게 연락이 닿지 않았다. 지난해 7월 6일 이후 발생한 5만원 이상 1000만원 이하 착오송금은 news.v.daum.net 지난해 7월 6일 이후 발생한 5만원 이상 1000만원 이하 #착오송금은 #자진반환이 거절된 건에 한해 '착오송금 반환지원 제도'로 예금보험공사(이하 '예보')가 대신 받아주고 있다. 착오송금 수취 계좌가 보이스피싱(전화금융사기) 등 범죄에 이용된 경우 계좌 압류 등 강제집행 등이 있는 경우 착오송금인이 송금 금융회사에 대해 자체반환 신청을 먼저 이행하지 않은 경우 등은 지원 대상이 아닌 것으로 확인됐다.

[우주 태양광발전소]우주에 거대한 태양광발전소 건설한다 [내부링크]

우주에 거대한 태양광발전소 건설한다 우주 공간에서 태양광 에너지를 만들어 마이크로파 방식으로 지구로 무선 전송하면 지구에서의 태양광 발전의 한계를 극복하는 에너지 혁신을 가져올 수 있다. 칼텍 제공. 미국의 과학소설가인 아이작 아시모프는 1941년 발... m.dongascience.com 우주에 거대한 #태양광발전소 건설한다. 우주 태양광, #무선_전력전송 기술이 핵심 미 해군, 우주 태양광 가능성 첫 입증... 일본, 유럽 등도 ‘눈독’ 우주에서 얻은 태양광 에너지를 지구로 보내는 기술은 지난해 5월 미 해군연구소가 가능성을 입증했다. 미 해군 연구소는 ‘태양광 무선 전송 안테나 모듈(PRAM)’이 실린 소형 위성을 무인 우주비행체 ‘X-37B’에 실어 발사했다. PRAM은 가로 세로 30.5cm 크기의 태양전지로 태양광 에너지를 얻고 이를 마이크로파로 변환해 전송하는 효율을 측정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PRAM이 실린 소형 위성은 지금도 지구 궤도를 돌고 있다. 미 해군연구

[땅콩]땅콩의 원산지와 종류, 성분 및 이용 [내부링크]

#땅콩의_원산지 땅콩의 원산지는 야생종이 많이 분포하는 브라질 및 페루를 중심으로 하는 열대아메리카라고 보는 것이 거의 정설로 되어 있다. 아시아에는 포르투갈 사람이 전파하였는데,15세기에 인도네시아에 전달되었으며 18세기 초에 중국에 도입되었고, 우리나라는 1842〜1845년 사이에 서유구의 <임원경제지〉에 낙화생에 대한 기록이 남아 있는 것으로 보아 18세기 초에 도입된 것으로 보인다. 땅콩은 대부분 아시아와 아프리카에서 생산되고 있으며 특히 중국과 인도의 생산량이 많은데 이들 두 나라가 세계 전체 생산량의 약 53% 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다음으로 아프리카의 나이지리아가 세계 3위 생산국이며 4위는 미국이다. #땅콩의_종류 일반 분류 방법으로 초형에 따라 포복형과 직립형으로 나누며, 종실의 크기에 따라 소립종, 중립종, 대립종으로 구분하고 여러 가지 형질의 종합적인 기준에 의하여 스페니시형, 버지니아형, 발렌시아형, 사우드이스트러너형 등으로 나눈다. 직립형은 초형이 직립하기 때

[관절]관절의 구조, 종류, 기능 그리고 관련질환 [내부링크]

#관절(Joint) 뼈와 뼈 사이가 서로 맞닿아 연결되어 있는 부위를 말하며 우리 몸의 활동을 가능하게 하는 중요한 부위입니다 #관절의_위치 우리 몸 전신의 뼈와 뼈 사이에 존재합니다. #관절의_구조 관절을 둘러싸고 있는 구조는 크게 근육, 힘줄, 인대, 활막, 관절주머니, 연골 등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근육 관절을 지탱하고 움직일 수 있게 힘을 제공해줍니다. 힘줄 뼈와 근육을 연결해줍니다. 활막 활액을 분비하여 뼈와 뼈 사이의 마찰을 줄여줍니다. 관절주머니 윤활막을 둘러싼 주머니를 말하며 마찰을 감소시켜줍니다. 연골 뼈의 끝에 존재하며 무게를 지탱할 수 있게 하고 마찰을 감소시켜줍니다. #관절의_종류 관절의 종류는 마주하는 두 뼈 사이에 어떤 조직에 들어있느냐에 따라 나눌 수 있습니다. 섬유관절 마주하는 뼈들이 섬유성 결합조직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며 대부분 움직임이 없는 부동 관절입니다. 연골관절 두 뼈 사이가 연골로 결합되어 있으며 뒤틀림이나 압박 시 제한된 움직임이 가능한 반

[오십견]오십견(동결견) 예방에 좋은 식품과 운동 [내부링크]

우리가 흔히 #오십견이라 부르는 어깨 질환의 정확한 명칭은 #동결견입니다. 현재 우리나라에는 10만 명 이상의 동결견 환자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습니다. 누리 PICK(상세) | 농식품 PICK | 농식품 트렌드 | 농식품정보누리 오십견 작성자 관리자 추천 추천 52 등록일 2015-10-06 첨부파일 IMA0000000009937.jpg 내용 오십견 오십견 우리가 흔히 오십견이라 부르는 어깨 질환의 정확한 명칭은 동결견입니다. 현재 우리나라에는 10만 명 이상의 동결견 환자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잘못된 자세로 스마트폰이나 컴퓨터를 오랜 시간 사용하는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30~40대뿐 아니라 10대 환자도 늘어나고 있는 추세입니다. 동결견은 활성산소로 인해 관절이 퇴화되거나 어깨근육에 피로물질이 축적되어 발생할 수 있으며, 어깨에 직접적... www.foodnuri.go.kr #오십견_예방에_좋은_식품 #매실 매실에는 구연산을 비롯해 사과산, 화박산 등 다양

[콩]콩이 만든 발효식품 건강한 장(醬) 삼형제 [내부링크]

한국인에게 #발효식품 은 떼려야 뗄 수 없는 음식임이 분명하다. 보글보글 구수한 냄새의 된장국과, 고추장...

[고추]고추의 원산지, 농수축산물 표준코드에 나오는 고추의 종류 등.... [내부링크]

#고추의_원산지 는 남아메리카 지역이다. 멕시코의 기원전 6,500년경 유적에서 C. annuum으로 추정되는 종...

[고추] 고추의 성분과 그 효능 [내부링크]

풋고추의 과육 100g에는 에너지 19kcal, 수분 91.3%, 단백질 1.6g, 지질 0.3g, 당질 3.6g, 섬유소 1.6g, 회...

[고추]고추의 거래단위와 등급규격 [내부링크]

농산물 표준규격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고시 제2020-16호, 2020. 10. 14., 일부개정]에 다른 #고추의_표준...

[간질환]간의 기능, 질환 그리고 식단 [내부링크]

간은 복부 오른쪽 위, 횡격막 아래에 위치한 적갈색을 띈 장기로, 우리 몸에서 가장 크고 복잡한 장기입니...

[표준규격품] 농산물이 표준규격품임을 표시하는 방법 [내부링크]

농산물이 #표준규격품 임을 표시하는 방법은 농산물표준규격(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고시 제2020-16호) 별표4...

[위]위의 구조와 기능, 위 관련 질환과 식단 [내부링크]

#위(Stomach) 입에서 식도를 거쳐 보내진 음식물을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소화하는 주머니 모양의 소화기관입니다. #위의_위치 배의 왼쪽 윗부분, 왼쪽 갈비뼈 아래에 위치하며 위로는 식도와 연결되고 아래로는 십이지장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위 전체의 5/6정도, 기저부와 대만곡 부위는 중앙선에서 약간 왼쪽으로 치우져 있고 위의 좁고 가느다란 소만곡과 유문부위는 오른쪽으로 치우쳐있습니다. #위의_구조 위벽은 점막층, 점막하층, 근육층, 장막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점막하층에 혈관과 신경이 위치하고 있습니다. 위는 자율신경계의 지배를 받습니다. 교감신경이 자극되면 위의 연동운동을 억제하고 위액 분비를 감소시킵니다. 위는 분.......

[유지작물]유지작물(참깨, 들깨, 땅콩, 유채 등)과 식물유지 (기름, 지방, 식물납) [내부링크]

#유지작물이란? 기름을 얻을 목적으로 재배하는 작물을 유지작물(油脂作物)이라고 하며, 참깨, 들깨, 유채, 땅콩 등은 기름 생산이 주목적인 대표적인 유지작물이라고 할 수 있다. 국내외에서 식용기름을 얻을 목적으로 재배되는 주요 유지작물은 10종류 내외이나, 반드시 유지만을 채취할 목적이 아닌 작물도 있다. 예를 들면 목화, 대마, 아마 등과 같이 섬유를 얻을 목적으로 재배하는 작물의 종실에서 기름을 얻는 경우도 있고, 쌀겨에서 미강유를 얻을 수도 있다. #식물유지의_종류 식물체 내에 함유되어 있는 지방질을 식물유지(植物油脂)라 하며, 상온에서 액체 상태인 것을 기름(oil), 고체 또는 반고체상태인 것을 지방(fat), 고급 지방.......

[두드러기]두드러기의 원인, 증상, 치료와 도움이 되는 음식 [내부링크]

#두드러기(Urticaria) 두드러기는 벌레에 물렸을 때 부풀어 오르는 것과 같은 팽진과 그 주위를 둘러싸는 발적이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증상입니다. 피부가 몹시 가려우며, 경계가 명확한 병변이 홍색 또는 흰색으로 부어오릅니다. 이러한 팽진은 혈관 반응으로 인해 피부의 진피에 나타나는 일시적인 부종에 의해 생깁니다. 각각의 병변은 24시간 이상 지속되지 않습니다. #두드러기의_원인 두드러기는 곤충 자상, 음식물 알레르기, 약물, 감염, 기계적·물리적 자극 등의 여러 가지 원인과 기전에 의해 발생합니다. 이러한 요인 때문에 비만세포 및 호염기구에서 여러 가지 화학 매개체들이 유리되고, 이 매개체들이 피부의 미세혈관에 작용하여.......

[폐]폐의 구조와 기능, 폐 관련 질환과 식단 [내부링크]

#폐(Lung) 우리 몸의 호흡을 담당하는 호흡기관으로 산소를 공급하고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역할을 합니다. #폐의_위치 폐는 가슴 속 공간인 흉강 안에 위치하며, 주변으로 갈비뼈가 둘러싸고 있습니다. 심장은 흉강의 왼쪽 앞부분에 위치하고 나머지 공간을 폐가 차지하고 있으며, 아래로는 횡격막이 있어 복부의 공간인 복강과 나누어집니다. #폐의_구조 폐는 오른쪽이 세 개의 부분, 왼쪽이 두개의 엽으로 나뉘어져 있고 흉막이라는 두 겹의 얇은 막으로 둘러싸여 있습니다. 흉막 사이를 흉막강이라 부르며, 흉막강 사이에 흉막액이 흘러 폐의 수축과 이완을 돕습니다. 폐는 기관지를 통해 기관과 연결되어 있는데, 기관지는 폐엽기관지, 구.......

[신장]신장의 구조와 기능, 신장 관련 질환과 식단 [내부링크]

#신장(Kidney) 횡격막의 아래쪽, 배의 뒤에 위치하며, 우리 몸의 노폐물을 제거해주고 체내 수분과 염분의 양, 전해질 및 산-염기 균형을 조절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신장의_위치 복부의 뒤쪽, 척추의 양 옆에 자리하고 있습니다. 오른쪽 신장은 간 바로 아래, 왼쪽은 가로막 아래, 비장 근처에 위치하고 있으며, 오른쪽 신장이 왼쪽 신장보다 아래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신장의_구조 신장의 길이는 약 10cm, 넓이 약 5cm, 두께 약 3cm, 무게는 약 150g 정도의 강낭콩 모양으로 후복막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신장 내부에는 약 100만개 이상의 네프론이 밀집해있습니다. 네프론은 사구체와 세뇨관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사구체는 작은 모세혈.......

[풋콩]풋콩의 조건과 성분, 수확 및 관리 [내부링크]

#풋콩의_조건 완두콩이나 강낭콩 등의 출하가 끝나가는 6월 상중순∼7월 중순과 추석을 전후한 시기에 풋콩의 수요가 크므로, 이 시기에 생산이 가능한 극조생 품종이 요구된다. 100립 중은 30g 이상인 대립이며, 협당 립수는 2~3립 협 비율이 높아야 한다. 풋콩 수확 시 꼬투리색은 선녹색(鮮綠色)이고 녹색 유지기간이 길어야 하며, 모용색(毛茸色)은 백색~회백색으로 모용(털이나 비늘 등, 식물표피의 생성물)이 적은 것이 우수한 품종이다. 배꼽색이 없는 것이 양질이고, 종실의 색은 녹색종이 가장 좋으며, 황색종이 다음이고, 흑색종은 꼬투리 색과 모용색이 암갈~황갈색을 띠어 협으로 이용하는 간식용으로는 기호성이 낮으나, 종실의 풍.......

[참깨]참깨의 원산지와 생태, 성분과 이용 [내부링크]

#참깨의_원산지와_생태 참깨는 열대 아프리카의 사바나 지역을 원산지로 보고 있으며, 나일강에서 서식 하는 파피루스로 만들어진 종이에 상형문자로 쓰인 참깨 의약서가 1875년에 발견되어 기원전 3000년 이전에 이미 나일강 유역에서 참깨가 재배되고 있었던 것으로 추정 된다. 중국에서는 황하문명(기원전 3000년경시대에 탄화된 참깨가 출토되어, 서역의 실크로드가 개설되기 이전에 참깨가 전파된 것으로 생각되며 적어도 5,000년의 재배역사를 가졌다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중국 문물의 영향을 받아 고대로 부터 재배되었다고 짐작은 되지만 그에 관한 기록은 찾아보기 힘들다. 다만 참깨의 명칭에 대하여 <농사직설〉(1429년)에.......

[여드름]여드름의 원인과 증상 및 치료, 여드름 예방에 좋은 식품과 습관 [내부링크]

#여드름(Acne) 여드름은 털을 만드는 모낭에 붙어 있는 피지선에 발생하는 만성 염증성질환입니다. 여드름은 보통 사춘기에 발생하지만, 어른에게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여드름은 얼굴, 목, 등, 가슴 등과 같이 유분이 많은 피부 부위에 잘 생깁니다. 정상적인 상태에서 피지는 모낭 벽을 따라 위로 올라가서 피부를 통해 밖으로 배출됩니다. 피지가 피부 밖으로 배출되지 못하고 모낭 주위에 갇히면 염증을 불러일으키는 박테리아가 번식하는데, 이것이 여드름이 됩니다. #여드름의_원인 여드름은 호르몬 변화, 세균 감염, 유전성 요인 등으로 발생한다고 여겨지지만, 아직까지 정확한 원인을 모르는 상태입니다. 대체로 사춘기에 나타나는 여.......

[들깨]들깨의 원산지, 생태, 성분과 이용 [내부링크]

#들깨의_원산지와_생태 들깨의 원산지는 동부아시아 지역으로 한국, 일본, 중국 동북부 등에서 주로 재배되어온 기름작물로서, 그 독특한 향취로 중국의 조선족을 비롯한 한민족만이 이용해온 고유작물이다. 우리나라의 농서에는 조선시대인 1429년 정초의 <농사직설〉에서 들깨를 유마, 수임자로 기록한 이래 여러 문헌에 임, 임자, 수임, 수소마, 유마, 지마 등으로 불려 왔다. 2015년 통계자료에 의하면 국내 들깨 재배면적과 생산량은 충남, 경기, 강원, 충북 순으로 많으며, 과거에는 농가의 자가 소비 위주로 들깨를 재배하였으나, 최근에는 들깨가 식용유지 외에 건강식, 공업용, 신선 잎채소 등의 용도와 기능성 건강보조식품 원료 및 사.......

[감자]감자의 원산지, 종류, 성분과 이용 [내부링크]

#감자의_원산지 남아메리카 안데스산맥 중부 고원지대가 감자의 원산지로 알려져 있으며, 잉카제국에서는 말린 감자(추뇨)를 공물로 거두어 기근에 대비하기도 했다. 1570년경 스페인 사람들을 통해 유럽에 감자가 소개되었으며, 유럽에서 본격적으로 감자가 재배되기 시작한 것은 1700년대 후반부터라고 한다. 특히 아일랜드 사람들은 감자가 실직, 빈곤, 인구과잉, 토지부족의 대비책이 될 수 있겠다 생각하여 1780년경부터 감자를 대규모로 재배하였다. 우리나라에는 순조 24년(1824년) 산삼을 캐러 함경도에 들어왔던 청나라 사람이 가져왔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규경, ‘오주연문장전산고(五洲 文長箋散稿), 1850년). 감자는 세계 주요 재.......

[감자]감자의 거래단위와 표준규격 [내부링크]

농산물 표준규격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고시 제2020-16호) 별표1, 별표5 및 별첨에 따른 감자의 거래단위와 표준규격은 아래와 같다. #감자의_거래단위 감자의 거래단위는 5kg, 8kg, 10kg, 15kg, 20kg 이며, 5kg이하 표준거래단위는 별도로 정한 품목 외는 유통현실에 맞게 규정하지 않음. #감자의_표준규격 Ⅰ. 적용 범위 본 규격은 국내에서 생산되어 신선한 상태로 유통되는 감자에 적용하며, 가공용 또는 수출용에는 적용하지 않는다. Ⅱ. 등급 규격 용어의 정의 【중결점】 중결점은 다음의 것을 말한다. 이품종:품종이 다른 것 부패, 변질:감자가 부패 또는 변질된 것 병충해:둘레썩음병, 겹둥근무늬병, 더뎅이병, 굼벵이 등.......

[율무]율무의 원산지와 성분 및 효능 [내부링크]

#율무의_원산지 율무는 동아시아(중국), 동남아시아(라오스, 말레이시아, 미얀마, 베트남, 캄보디아, 타이완, 태국, 필리핀), 남아시아(인도)가 원산지이며, 종실은 생육기에는 녹색이지만 성숙함에 따라 담황색 또는 갈색으로 변하고, 천립중이 100g 내외이다. 과색은 회백색, 황갈색, 암갈색, 흑갈색이며, 영과(과피는 얇은 목질이거나 피질이며 씨껍질과 꼭 붙어 있어, 언뜻 보면 열매가 씨처럼 보인다. 벼과의 열매(현미)가 이에 속한다)의 모양은 편평형 또는 난형이고 복면의 깊은 홈이 발달되어 있다 #율무의_농수축산물_표준코드 #율무의_성분과_특징 율무의 함유성분은 전분, 지방산, 코익솔(Coixol), 스테롤(Sterol), 아미노산(Amino A.......

[알레르기 비염]알레르기 비염의 원인과 증상, 치료와 음식 [내부링크]

#알레르기_비염(Allergic rhinitis) 알레르기 비염은 어떤 물질(원인 항원)에 대하여 코의 속살이 과민 반응을 일으켜 발작적이고 반복적인 재채기, 맑은 콧물, 코막힘, 코 가려움증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질환입니다. 최근 환경오염, 공해의 증가 등에 따라 세계적으로 알레르기 비염이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전 인구의 5~20% 정도가 이 병을 앓고 있을 정도로 흔한 병입니다. #알레르기_비염의_원인 1. 실내에 존재하는 흡입성 알레르겐 우리가 숨 쉴 때, 공기를 통해 흡입되어 알레르기 비염, 기관지 천식 같은 호흡기 알레르기 질환을 일으키는 물질을 흡입성 알레르겐이라 합니다. 알레르겐은 실내에 존재하는 것도 있고 실외에 존재하는 것.......

[대추]대추의 원산지와 종류 및 성분과 이용 [내부링크]

#대추의_원산지 대추는 조, 홍조, 대조, 목밀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린 과실로 남유럽, 서아시아가 원산지로 추정되고 있다. 한반도에 전래된 시기는 불명확하나, 고려 명종 때 대추 재배를 권장한 기록이 있어서 고려시대 이전에 교역을 통해 들어왔을 가능성이 있다. #대추의_주산지 대추는 강한 단맛과 신맛이 조화를 이루고, 다른 과일에 비하여 작은 편으로 2~3cm 정도이며 갓 수확한 햇과일의 무게는 개당 10~13g 정도이고, 대추의 품질은 충청북도 보은군산을 최고로 알아주며, 대추나무는 보은군을 상징하는 나무이기도 하다. 과거엔 혼인비용과 의식문제까지도 대추로 해결하였고, 대추 꽃의 개화 시기는 삼복과 겹치는데, 이 때 비가 오.......

천식]천식의 원인, 증상, 치료 및 식단 [내부링크]

#천식(Asthma) 천식은 알레르기 염증에 의해 기관지가 반복적으로 좁아지는 만성 호흡기 질환입니다. 기관지가 좁아져서 숨이 차고, 기침이 나며, 가슴에서 색색거리는 소리가 들리고, 가슴이 답답해지는 증상이 반복적으로 되풀이됩니다. 우리나라 성인 인구의 5% 정도가 천식을 앓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천식 환자 수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천식의_원인 1. 대기 알레르겐 1) 꽃가루 봄에는 수목, 여름에는 목초, 가을에는 잡초 화분이 날립니다. 화분은 바람에 의해 수 km씩 이동하므로 도시에서도 높은 분포를 보입니다. 2) 곰팡이 실외의 곰팡이는 종류에 따라 포자 형성 시기가 다르기는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우.......

[귀리]귀리의 원산지, 종류, 성분과 이용 [내부링크]

#귀리의_원산지 귀리는 추위에 약하기 때문에 원산지는 비교적 온도가 낮지 않은 남쪽의 중앙아시아 또는 아르메니아 지방일 것이라고 한다. 귀리 재배의 역사는 유럽에서는 오래된 작물로, 청동기시대(기원전 2,200~1,300)인 호서인의 유적에서 귀리가 처음 발견되었다. 지금도 북아메리카·북유럽·러시아 등이 세계의 주요 산지이며, 중국에는 600~900년 사이에 전파되었다. 우리나라에 처음 들어온 것은 고려시대로 원나라 군대의 말먹이로 가져온 것이 처음이라고 한다. #귀리의_종류 귀리는 파종 시기에 따라 가을귀리와 봄귀리, 이삭의 모양에 따라 산수형과 편수형, 숙기에 따라 조숙종과 만숙종으로 나뉜다. 또 열매의 성질에 따라 외알귀.......

[조]조의 원산지 ,종류와 성분 및 효능 [내부링크]

#조의_원산지 조는 농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잡초의 일종인 강아지풀에서 유래된 것으로 추정되는데 염색체 수가 2n&#x3D;18로 서로 같으며, 교잡하면 염색체의 접합이 정상적이고 높은 임성을 갖는다. 조의 원산지에 관하여는 동부아시아 및 그보다 약간 중앙아시아에 가까운 지방을 포함한다고 하는데, 최근에는 남부아시아의 중부 부근이라는 설이 유력하며, 중국의학의 기원인 《신농본초경》(기원전 2,700년)에서 이미 오곡 중의 하나로 기록되어 있다. 3세기 &#60;위지동이전&#62; 고구려조에 좁쌀에 대한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보아 조는 피, 기장과 함께 고구려 이전에 도입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삼국사기》 신라본기 문무왕 8년(668.......

[기장]기장의 원산지, 종류 그리고 성분과 효능 [내부링크]

#기장의_원산지 중앙아시아에서 많은 변이종이 관찰되고, 기장속에 속하는 잡초종이 넓게 분포하고 있는 점으로 미루어 중앙아시아를 중심으로 중국 북동부에서 인도 서북부, 이란 동부까지를 원산지로 볼 수 있다. 고대 중국에서는 곡류를 총칭하여 ‘직(稷)’이라 표현한 것에서 미루어 기장이 농업적으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점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우리나라는 부여에서 기장이 식용으로 이용되었다는 기록이 있으나 정확한 재배역사는 분명하게 알려져 있지 않으나, 《세종실록지리지》에서는 기장을 오곡에 포함시켰고, 민간에서 기장으로 만든 술, 떡 등 식용으로 널리 이용된 것을 보면 중요한 작물이었음을 알 수 있다. #기장의_종.......

[수수]수수의 원산지와 종류, 성분과 효능 및 이용 [내부링크]

#수수의_원산지 수수는 전 세계 인구의 5억명 이상이 주식으로 이용하고 있으며, 밀, 쌀, 옥수수, 보리에 이어 세계에서 다섯 번째로 생산량이 많은 중요한 식량 작물이다. 수수는 열대 아프리카가 원산지이며 고대에 중앙아시아와 인도로 전래되었다. 아프리카 에티오피아 동부에 다양한 수수의 야생종과 교잡종이 다수 발견되면서 원산지로 인정되었으며, 시기는 기원전 6000∼3000년경으로 추정 된다. 기원전 3000년경 이집트에서 재배된 기록이 있으며, 기원전 2500년경에 인도, 기원전 700년경 아시리아, 기원전 400년경 중국을 거쳐 우리나라와 일본으로 전래되었다. 수수의 주요 생산국은 미국이 18.4%로 1위를 차지하며, 나이지리아(10.5.......

[메밀]메밀의 원산지, 종류와 성분 그리고 효능 [내부링크]

#메밀의_원산지 메밀의 원산지는 카슈미르, 네팔 등을 중심으로 하는 히말라야 또는 중국 운남성 서북부 지역 등이며, 크게 다섯 종류가 있다. 그 중 가장 많이 재배되는 것은 우리나라에서 주로 심는 보통메밀(일반메밀, 단메밀 : F. esculentum)과 중국·히말라야 일부에서 재배하는 타타리메밀(쓴메밀 : F. tataricum)이다. 보통메밀은 중국에서 가장 먼저 재배하였을 것으로 추정되며, 소련을 경유하여 유럽으로 전파되었다고 한다. 우리나라에서 재배되고 있는 것은 보통메밀인데, 5~6세기경에 중국으로부터 들어왔다고 추측된다. 문헌의 기록으로는 고려 고종 때에 간행된 《향약구급방》에 메밀에 대한 이야기가 처음 나온다. 일본에 메밀.......

[고구마]고구마의 거래단위와 표준규격, 그리고 표준규격품의 표시방법 [내부링크]

농산물 표준규격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고시 제2020-16호) 별표1, 별표4, 별표5 및 별첨에 따른 고구마의 거래단위와 표준규격 및 표준규격품의 표시방법은 아래와 같다. #고구마의_거래단위 고구마의 거래단위는 5kg, 8kg, 10kg, 15kg 이며, 5kg이하 표준거래단위는 별도로 정한 품목 외는 유통현실에 맞게 규정하지 않음. #고구마의_표준규격 Ⅰ. 적용 범위 본 규격은 국내에서 생산되어 신선한 상태로 유통되는 고구마에 적용하며, 가공용 또는 수출용에는 적용하지 않는다. Ⅱ. 등급 규격 &#60; 용어의 정의 &#62; ① 중결점은 다음의 것을 말한다. 이품종:품종이 다른 것 부패, 변질:고구마가 부패 또는 변질된 것 병충해:검은무.......

[아토피성 피부염]아토피성 피부염의 원인, 증상, 진단과 치료 [내부링크]

#아토피성_피부염(Atopic dermatitis) 아토피성 피부염은 심한 가려움증을 동반하고 만성적으로 재발하는 피부 습진 질환입니다. 아토피성 피부염은 천식, 알레르기 비염, 만성 두드러기와 함께 대표적인 알레르기 질환 중 하나입니다. 보통 태열이라고 부르는 영아기 습진은 아토피 피부염의 시작으로 볼 수 있습니다. 아토피성 피부염의 발생 빈도는 나이가 들면서 점점 줄어들지만, 소아, 청소년, 성인에 이르기까지 호전과 악화를 반복하며 만성적인 경과를 보이기도 합니다. 전 세계적인 소아의 이환율(유병율)은 약 10~30%입니다. 2010년 국내에서 실시한 설문 조사에서는 초등학생의 35.6%가 아토피 피부염으로 진단받았던 병력이 있다고.......

[면역력]면역력에 강화에 좋은 농산물과 항산화지수가 높은 식품, 그리고 면역력 높이는 습관 [내부링크]

농촌진흥청이 꼽은 ‘#면역력_강화에_좋은_우리_농산물’ 4가지를 소개합니다. 모두 과학적인 연구결과를 통해 효능이 입증된 식재료들입니다. #마늘 한식에서 빠질 수 없는 마늘은 면역력 강화 식품으로도 빠지지 않는 대표 식품입니다. 지난 2016년 ‘영양저널’(The Journal of Nutrition)에 실린 호주 국립통합의학연구소(NIIM) 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마늘에는 프리바이오틱스가 풍부해 면역 체계에 기여하는 미생물 구성에 도움을 주며, #대식세포, #T세포, #B세포 생성을 증가시켜 면역 기능 개선에 효과가 있습니다. 함량도 높습니다. 국제학술지 ‘농업과 식품학회지’(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od Chemistry)에 실린 논문에 따르.......

[고구마]고구마의 수확과 수확 후 관리(저장) [내부링크]

#수확_후_관리의_필요성 가공식품을 제외한 모든 농산물은 수확 후에도 호흡 등 계속되는 생명현상에 의한 생리적 손실과 수확, 수송, 저장, 유통과정에서 불가피하게 초래되는 기계적 손실을 피할 수가 없다. 따라서 수확 직후부터 소비될 때까지 손실을 최소화하고 품질을 유지하기 위해서 생리적 현상의 특성과 원리, 외적환경의 영향, 손실요인에 대한 대책 등 수확 후 관리(postharvest)의 깊은 이해가 필요하다 찐 고구마용, 생식용, 전분용, 가공용, 색소용, 잎자루 채소용 고구마 등 용도별로 구분할 때 수확 후 관리가 가장 필요한 것은 찐 고구마용과 생식용이다. 저장성은 분질 고구마가 점질에 비해 높은 경향이 있다. 따라서 분질도.......

[혈액순환]혈관, 혈액, 혈액순환에 좋은 음식 [내부링크]

혈액순환이 잘 안 될 때의 증상은 손발 저림, 어지럼증, 손발이 붓고, 쥐가 잘 나거나 차갑고 무겁게 느껴지는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특히 고혈압, 고지혈증 등의 질환을 앓고 있거나 콜레스테롤 수치가 높은 경우 혈액순환 장애가 나타나기 쉽고, 뇌졸중, 심장질환의 위험이 증가한다. #혈액순환에_좋은_음식 #다시마 다시마는 혈액순환을 좋게 하고 변비를 해소하며 피를 맑고 깨끗하게 하는 비타민C와 E, 알긴산 등이 들어있다. 해조류에 들어있는 알긴산과 같은 수용성 식이섬유는 장 내용물의 점성을 증가시켜 지질흡수를 저해하고, 소장에서의 담즙산의 재흡수를 방해하여 체내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기 때문에 혈액순환에 도움이 된다. #.......

[비만] 비만의 원인, 진단, 치료 그리고 비만에 좋은 음식 [내부링크]

#비만의_정의 비만은 단순히 체중이 많이 나가는 것보다는 &#x27;체내에 과다하게 많은 양의 체지방이 쌓인 상태&#x27;를 의미합니다. 근육량이 많고 체지방 증가가 없는 드문 경우에는 체중이 많이 나가더라도 비만이라고 할 수 없습니다. 최근에는 전신의 체지방 축적보다 &#x27;복부 비만&#x27;이 중요하다는 사실이 알려졌습니다. 또한 피하지방보다 복강 내 내장지방의 축적이 중요하다는 연구가 제기되어 &#x27;내장지방형 비만&#x27;이라는 용어가 사용되고 있습니다. 1996년 세계보건기구는 &#x27;비만은 장기 치료가 필요한 질병&#x27;으로 규정하였습니다. 그 이후 비만은 현 인류가 극복해야 할 중요한 질병 중 하나로 인식되고 있습.......

[지리적표시]농산물의 지리적표시 등록 및 지리적표시권, 지리적표시권자의 보호 [내부링크]

&#34;#지리적표시 &#34;란? &#34;지리적표시&#34;란 농산물의 명성·품질이나 그 밖의 특징이 본질적으로 특정 지역의 지리적 특성에 기인하는 경우 해당 농산물이 그 특정 지역에서 생산·제조되었음을 나타내는 표시를 말합니다(「농수산물 품질관리법」 제2조제8호). ※ 원산지표시 제도와의 비교 원산지표시는 특정 물품의 생산 지역을 나타내는 단순한 생산 지역이며, 이는 품질, 명성, 지리적요인 등과는 관련성이 없이 주어지는 표시입니다. #지리적표시권 지리적표시를 등록한 자(이하 &#x27;지리적표시권자&#x27;라 함)는 등록한 농산물에 대하여 지리적표시권을 갖습니다(「농수산물 품질관리법」 제34조제1항). 지리적표시권은 다음.......

[췌장질환] 췌장의 기능, 질환 그리고 식단 [내부링크]

#췌장의_정의 췌장은 위장의 뒤쪽에 위치한 후복막 장기로 소화기관 중 하나입니다. 췌장은 소화효소를 분비해 음식물을 소화시키는 기능과 우리 몸의 혈당을 조절하는 인슐린과 글루카곤 호르몬을 분비하는 기능을 수행합니다. #췌장의_위치 췌장의 앞으로는 횡행결장과 위가, 아래쪽으로는 소장과 인접해있습니다. 췌장의 머리부위에는 하대정맥과 복부대동맥과 인접하며 몸통은 상장간막동맥, 상장간막정맥과 인접하며 꼬리부위는 좌측신장과 비장과 인접해있습니다. #췌장의_구조 췌장은 약15cm, 무게는 약100g 정도로 가늘고 긴 모양이며 머리, 몸통, 꼬리의 3부분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췌장세포에서는 췌액을 만들어 췌관을 통해 십이지.......

[뇌질환] 뇌의 기능, 질환 그리고 식단 [내부링크]

#뇌의_정의 우리 몸의 중추신경계를 관장하는 기관입니다. 뇌는 우리 몸의 움직임과 행동을 관장하고 신체의 항상성을 유지시키며 인지, 감정, 기억, 학습기능을 담당합니다. #뇌의_위치 머리뼈의 안쪽에 위치합니다. #뇌의_구조 성인 뇌 무게는 1.4~1.6kg정도이며 뇌를 구성하는 최소단위는 뉴런이라는 신경세포입니다. 뇌는 두개골과 뇌척수막에 쌓여있으며 뇌의 아래는 척수와 연결되어 있고 그 안은 뇌척수 액이 흐르고 있습니다. 뇌는 형태와 기능에 따라 대뇌, 소뇌, 뇌줄기(뇌간)으로 나뉘며, 뇌줄기를 좀 더 세분화하면 중간뇌, 다리뇌(교뇌), 숨뇌(연수)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대뇌 뇌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좌우 2개의 반구로 구성되어.......

[혈액순환]혈액 순환(Blood circulation)의 정의, 질환 그리고 식단 [내부링크]

#혈액순환의_정의 혈액의 순환은 심장의 박동에 의해 폐와 전신을 순환하여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하고 이산화탄소와 노폐물을 수거하는 혈액의 흐름입니다. #혈액순환의_위치 혈관이 있는 전신에 위치합니다. #혈액순환의_구조 폐순환: 우심실→폐동맥→폐의 모세혈관→폐정맥→좌심방 체순환: 좌심실→대동맥→온몸의 모세혈관→대정맥→우심방 #혈액순환의_기능 인체의 혈액순환은 폐순환과 온몸을 순환하는 체순환으로 나뉘어져 순환합니다. 기본적으로는 전신으로 영양소와 산소를 공급하고 이산화탄소와 노폐물을 제거하는 기능을 합니다. 폐순환은 이산화탄소와 노폐물이 많은 정맥혈이 우심방과 우심실로 들어와 폐의 모세혈관상에서 기체.......

[관상동맥]관상동맥(Coronary artery)의 기능, 질환 그리고 식단 [내부링크]

#관상동맥의_정의 대동맥이 시작되는 부위에서 나와 심장을 둘러싸고 있으며 심장에 혈액을 공급하는 동맥혈관입니다. #관상동맥의_위치 관상동맥은 대동맥 기저부에서부터 심장을 둘러싸고 있습니다. #관상동맥의_구조 직경의 크기는 중형동맥에서 소형동맥 사이의 굵기 정도이며, 대동맥의 기시부에서 좌우 두갈래로 나뉘어져 심장 전체를 둘러싸는데 심장의 구석구석까지 퍼져있고, 둘러싸는 모양이 관 모양과 비슷하다 하여 관상동맥이라 불립니다. 관상동맥은 우관상동맥과 좌관상동맥에서 두갈래로 갈라져 형성된 좌전하행동맥, 좌회선동맥 두가지의 가지로, 총 세개의 혈관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관상동맥의_기능 보통 모든 동맥들은 심.......

[이상지질혈증]이상지질혈증(Dyslipidemia) : 혈액 중에 지질 또는 지방 성분이 과다하게 많이 함유되어 있는 상태 [내부링크]

#이상지질혈증의_정의 이상지질혈증은 지단백의 대사 이상에 의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혈액 중에 지질 또는 지방 성분이 과다하게 많이 함유된 상태를 말합니다. 이는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을 운반하는 지단백의 생합성 증가 또는 분해 감소에 의해 나타납니다. 고콜레스테롤혈증, 고중성지방혈증, 낮은 고밀도(HDL) 콜레스테롤혈증 등의 형태로 나타납니다. 이 중에서 콜레스테롤이 혈액 내에 과다하면 동맥벽에 침착되어 혈관 내경이 좁아져 혈액이 원활하게 흐르지 못하는 상태인 동맥경화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동맥경화증이 생기면 각종 혈관 질환이 발생할 위험이 높아집니다. 협심증, 심근경색과 같은 심혈관 질환, 중풍, 뇌졸중, 뇌.......

[고혈압]고혈압(Essential (primary) hypertension): 혈압이 여러 원인으로 인해 높아진 상태 [내부링크]

#고혈압의_정의 고혈압은 혈압이 여러 원인으로 인해 높아진 상태를 의미합니다. 혈압은 동맥혈관 벽에 대항한 혈액의 압력을 말합니다. 혈액의 압력은 심장이 수축하여 동맥혈관으로 혈액을 보낼 때 가장 높은데, 이때의 혈압을 수축기 혈압이라고 합니다. 또한 심장이 늘어나서 혈액을 받아들일 때 가장 낮은데, 이때의 혈압을 이완기 혈압이라고 합니다. 우리나라 성인 인구의 약 30%가 이러한 혈압이 높아진 증상인 고혈압이 있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다음은 대한고혈압학회와 미국심장학회의 혈압의 기준입니다. ① 정상 혈압 : 수축기 혈압 120mmHg 미만, 확장기 혈압 80mmHg 미만 ② 고혈압 전 단계 : 수축기 혈압 120~139mmHg이거나, 확.......

[우울증]우울증(Depressive disorder) : 전반적인 정신기능이 지속적으로 저하되어 일상생활에도 악영향을 미치는 상태 [내부링크]

#우울증의_정의 우울증은 생각의 내용, 사고 과정, 동기, 의욕, 관심, 행동, 수면, 신체 활동 등 전반적인 정신 기능이 지속적으로 저하되어 일상생활에도 악영향을 미치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정신의학에서 말하는 우울한 상태란 이러한 과정에서 일시적으로 기분이 저하되는 상태를 뜻하는 것이 아닙니다. 즐거운 일이 있을 때 즐겁고, 슬픈 일이 있을 때 슬퍼하는 것은 자연스럽고 건강한 것입니다. #우울증의_원인 우울증의 확실한 원인은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다만 다른 정신 질환과 마찬가지로 다양한 생화학적, 유전적, 환경적 요인이 우울증을 일으킨다고 합니다. ① 생화학적 요인 뇌 안에 있는 신경전달물질(노르에피네.......

[콩] 장류콩 대원, 대찬, 강풍, 선풍, 진풍, 태광, 나물콩 풍산나물, 아람 등 8품종을 2022년 정부보급종으로 공급 [내부링크]

고품질 우량종자를 공급하여 농업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농업인의 소득 증대에 기여할 목적으로 국가품종목록에 등재한 품종의 종자(종자산업법 제15조 : 대상작물은 벼, 보리, 콩, 옥수수, 감자와 그 밖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작물로 한다. 다만, 사료용은 제외한다) 또는 농산물의 안정적인 생산을 위하여 고시한 종자를 #정부보급종 으로 지정하여 농가에 보급하고 있다. 2022년에 공급되는 콩 보급종은 장류콩 #대원, #대찬, #강풍, #선풍, #진풍, #태광, 나물콩 #풍산나물, #아람 등 8품종 1,135톤 수준이며, 기계수확 작업이 쉬운 「선풍」 품종의 공급을 확대하고, 콩나물 용도로 사용하는 신품종인 「아람(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육.......

[강낭콩]강낭콩의 원산지, 종류와 농수축산물 표준코드, 성분 등 [내부링크]

#강낭콩의_원산지 강낭콩은 종류가 다양하고 異名同種, 同名異種이 많아 구별하기도 쉽지 않고, 식물학적인 기원도 분명히 밝혀져 있지 않았으나, 야생종이 많이 발견되는 중앙 멕시코와 과테말라가 원산지인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강낭콩은 아메리카대륙에서 오래전부터 재배되었고, 신대륙 발견(1492년) 이후에 유럽으로 전파되었으며, 아프리카와 아시아에는 근세에 도입되었다. 우리나라에 강낭콩이 도입된 시기는 분명치 않으나, 19세기 초기 문헌인‘才物譜物名考(재물보물명고)’에 강낭콩에 관한 기록이 있는 것으로 미루어 볼 때, 18세기 말에서 19세기 초에 전래된 것으로 추정된다. 강낭콩의 꼬투리 길이는 10∼20cm이고, 폭은 1∼1........

[녹두]녹두의 원산지, 종류와 농수축산물 표준코드, 성분과 이용 등 [내부링크]

#녹두의_원산지 녹두의 원산지는 인도 또는 미얀마 지역으로 보고 있다. 인도에서 발굴된 탄화 녹두 종자로 추정한 결과 기원전 1660∼1440년께로 거슬러 올라간다는 결론을 얻었다. 녹두는 꽃이 여러 번 피기 때문에 재배기간에 3∼ 4회 손으로 수확·탈곡해야 하므로 노동과 비용 투입이 과다해 농가당 재배 면적이 매우 적다. #녹두의_종류 녹두의 종실은 형태적으로는 팥과 비슷하지만 크기가 작아 1,000립 무게가 30∼70g이다. 유전자원에 따라 모양은 원통형, 장구형, 구형, 난형이 있고 종피색은 일반적으로 녹색이지만 황색, 갈색, 암갈색, 흑갈색인 것도 있으며 껍질의 광택 유무 및 정도도 다르며 떡잎(자엽)은 황색인 것이 많다 #녹두.......

[동부]동부의 원산지, 종류와 농수축산물 표준코드, 성분과 이용 등 [내부링크]

#동부의_원산지 동부는 나이지리아 중심의 서부아프리카를 원산지로 보고 있으며, 야생종이 발견 되는 동남부 아프리카도 또 다른 원산지로 추정하고 있다. 아프리카에서는 기원전 3000년경부터 재배되었으며, 기원전 1500년 이후에는 수수, 진주조와 같이 인도로 전해지고 수많은 선발 과정을 거치면서 분화돼 동남아 전역으로 퍼져나갔다. 우리나라에 동부가 전래된 시기나 경로는 분명하지 않으나 중국과 일본의 기록을 참고로 할 때 우리나라의 재배 역사는 1,000년 이상 됐을 것으로 추정된다. #동부의_종류 종실은 신장형이 많으나 능형, 구형 또는 타원형에 가까운 것도 있다. 종피는 대부분 광택이 있고 미끄럽다. 종실의 길이는 4∼12mm.......

[완두]완두의 원산지, 종류와 농수축산물 표준코드, 성분과 이용 등 [내부링크]

#완두의_원산지 완두는 에티오피아와 아프가니스탄에서 기원해 지중해 연안으로 전해진 후, 기원 전후 시기에 지중해 연안에서 다른 유럽지역과 아시아로 전파된 것으로 보인다. 완두는 두과작물 중에서 가장 저온에서 잘 자라는 덩굴성 식물이다. 종자의 색깔, 크기, 모양, 주름의 유무, 배꼽에 붙어 있던 자리의 색깔 등은 품종에 따라 다르며, 종자가 배꼽에 붙어 있던 자리를 보통 눈이라고 부르는데 이 눈의 색깔은 검은 눈과 흰 눈으로 구별된다. #완두의_종류 완두는 그 용도에 따라 사료용 완두, 풋협용 완두, 협채소용 완두 세 종류로 나뉜다.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생산되는 사료용 완두는 서늘한 기후가 오래도록 지속되는 캐나다.......

잠두(누에콩), 작두콩(칼콩), 제비콩(편두), 병아리콩(이집트콩) [내부링크]

#잠두(누에콩) 잠두(Vicia fava L.)는 영명으로 Broad bean, 한자명으로 蠶豆(잠두), 佛豆(불두), 胡豆(호두)로 불린다. 잠두의 기원과 원산지에 대해서는 분명하지 않으나, 서부아시아 혹은 동부 중앙아시아로 보는 견해가 있다. 잠두는 두류 중 추위에 견디는 힘이 강해 서늘한 기후에 적합하고 한발에는 매우 약한 작물이다. 개화까지는 비교적 건조한 환경이 유리하나 꽃이 피면서 고온, 다습 조건이 필요해 우리나라 기후에 다소 부적합한 작물이다. 주요 생산국은 중국, 에티오피아, 이집트, 이탈리아 등이며, 중국에서 약 70%가 생산되고 있다. 우리나라에 도입돼 재배된 내력에 대해서는 분명하지 않으나 1930년에 청과용과 종실용 등 3개.......

[팥]팥(원산지, 품종 및 농수축산물 표준코드, 성분과 이용) [내부링크]

#팥의_원산지 팥의 식물학적 기원에 대해서는 분명히 밝혀져 있지 않으나 새팥(Vigna angularis var. nippinensis)을 팥의 조상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한국, 일본, 대만, 중국북부, 히말라야 산맥에 분포한다. 중국, 인도, 태국, 일본 등지를 원산지로 추정하고 있으나 2,000년이 넘는 재배 역사를 볼 때 중국을 원산지로 보는 견해가 유력하다. 우리나라에서는 무문토기시대의 것으로 보이는 회녕읍 오동유적에서 탄화된 팥 이 출토되었고 또한 경기도 양평군 양평면 팔당 수몰지구에서 밑바닥에 뚜렷한 콩과 팥의 자국이 있는 무문토기가 발굴되었다. 아시아에서 팥은 씨껍질의 아름다운 붉은색 때문에 콩 음식 문화에 있어서 독보적인 위치를.......

[고구마 이름] 밤고구마, 호박고구마라는 이름 대신 진율미, 호감미라는 품종명이 더 소비자 친화적이지 않을까? [내부링크]

오랜만에 마트에 들렸다 고구마 진열대를 지날 때 번뜩 스치는 추억 하나 화롯가에 둘러 앉아 모락모락 김이 올라오는 군고구마를 먹던 기억... 넌! 호박고구마가 좋아, 아니면 밤고구마가 좋아? 난 #호박고구마? 아니! 난 #밤고구마? 너무도 달콤하게 잘 구워진 호박고구마 너무 팍신팍신해 목이 메던 밤고구마 취향은 달랐으나 모두가 행복한 미소... 요즈음 밤고구마든, 호박고구마든 같은 이름의 호박고구마, 밤고구마인데 어느 날은 옛 기억이 삼삼한 환상적인 맛을 또, 어느 날은 나무뿌리처럼 질긴 심만이 입안에 가득 찬 고구마를 먹게되는 이유는 왜일까? 진열대 위의 고구마에게 물어 본다 고구마 넌 이름이 뭐니 난 호박고구마, 나도.......

[고구마]고구마의 원산지, 농수축산물 표준코드에 나오는 고구마의 종류 등.... [내부링크]

#고구마의_원산지 는 중앙아메리카로서 정확히 말하면 중앙아메리카 멕시코에 있는 유카탄 반도 지역과 남미 베네수엘라에 위치한 오리노코강 하구지역 사이로 알려져 있다. 이 지역에서는 인간에 의해 적어도 2000년 이상 고구마가 이용되었고 현재 재배되고 있는 품종이 이곳에서 야생하고 있다. 스페인 탐험가들이 필리핀의 마닐라와 말라카 제도에 고구마를 전파시켰고, 포르투갈 사람에 의해 말레이 군도에 전달되었으며 필리핀 루손섬으로부터 중국의 푸젠에 전달되었다. 1605년경에는 푸젠으로부터 류큐와 대만에 전달되었고, 류큐로부터 일본 본토로 전달되었으며, 일본 본토에서 쓰시마에 고구마가 전해진 것은 1723년으로 알려져 있다.......

[심장질환] 심장의 기능, 질환 그리고 식단 [내부링크]

#심장 은 가슴의 왼쪽에 위치한 근육으로 된 기관으로 산소가 풍부한 혈액을 전신으로 순환하게 해주며, 1분에 60~100회 정도 수축합니다. 심장은 2개의 심방, 2개의 심실로 이루어져 있고, 이 사이에 판막이 존재하여 피가 역류하지 않도록 도와줍니다. 심장은 4개의 방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위쪽에 있는 방 2개를 심방, 아래쪽에 있는 방 2개를 심실이라고 합니다. 심방과 심실은 혈액이 섞이지 않도록 좌, 우 분리되어 있으며 좌심방, 좌심실, 우심방, 우심실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심장판막 4개의 방 사이에는 판막이 존재하는데, 한번 나간 피가 역류하지 않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하는 판막들인 삼첨판, 폐동맥판, 승모판, 대동맥판이 있.......

[고구마]고구마의 성분과 그 효능 [내부링크]

#고구마의 성분 #고구마는_대표적인_알칼리성 식품으로 각종 비타민과 무기질, 단백질 및 양질의 식이섬유가 함유되어 있으며, 농약을 거의 사용하지 않아도 재배가 가능한 저공해 건강식품이다. #주황색고구마(예:호감미) 에는 항암과 항산화 효과가 있는 #베타카로틴, #자색고구마(예:단자미) 에는 활성산소 제거, 간 기능 개선, 항암 효과 등이 있다고 알려져 있는 #안토시아닌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건강 기능성 식품으로서 인기가 높다. 또한 고구마에 많이 함유되어 있는 칼륨은 체내에서 나트륨을 배출시켜 혈압강하에 효과적이며, 식이섬유와 #얄라핀 은 변비예방과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는 효과가 있다. 고구마 덩이뿌리의 영양.......

[치매]치매의 원인과 치매를 예방에 도움이 되는 농식품과 습관 [내부링크]

치매(癡呆)는 성장기에는 정상적인 지적 수준을 유지하다가 후천적으로 인지기능의 손상 및 인격의 변화가 발생하는 질환이다. 치매는 기억을 하고 사고를 할 수 있는 능력이 장기적으로 점차 감퇴하여 일상적인 생활에 영향을 줄 정도에 이르게 된 넓은 범위의 뇌 손상을 의미한다.(위키백과) 치매는 그 자체가 질환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고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한 뇌손상에 의해 기억력을 비롯한 여러 인지기능의 장애가 생겨 일상생활을 유지할 수 없는 상태를 의미한다. 치매는 정상적으로 성숙한 뇌가 후천적인 외상이나 질병 등 외인에 의하여 손상 또는 파괴되어 전반적으로 지능, 학습, 언어 등의 인지기능과 고등 정신기능이 떨어지는 증.......

[뇌졸중]혈관이 터져서 생긴 뇌졸중을 뇌출혈, 혈관이 막혀서 생긴 뇌졸중을 뇌경색이라고 합니다. [내부링크]

“뇌졸중? 뇌졸증? : 뇌졸중(腦卒中)과 뇌졸증(腦卒症)은 한자어로서, 서로 혼동되는 말이다. 국립국어원에서는 어원상 &#x27;뇌가 갑자기 졸하게 되는 중풍(中風)&#x27;의 뜻으로 해석하여 뇌졸중만을 옳은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x27;뇌가 졸하는 증세(症勢)&#x27;라는 뜻으로 단어가 생긴 것으로 오인하여 뇌졸증이라고 쓰는 사람도 많다. 북에서는 뇌졸증만을 표준 단어로 삼고 있다.” 뇌졸중Cerebrovascular disease)은 뇌혈관 질환과 같은 말이며, 우리나라에서는 흔히 &#x27;중풍&#x27;이라고도 합니다. #뇌졸중 은 크게 두 가지 ( #뇌경색, #뇌출혈 )로 나눌 수 있습니다. 첫째는 혈관이 막힘으로써 뇌의 일부가 손상되는 것인데, .......

[식품알레르기]식품알레르기의 원인식품, 증상,치료,대체식품 [내부링크]

#식품알레르기란 ? #식품알레르기 는 달걀이나 우유, 땅콩, 메밀 같이 우리가 흔히 먹는 식품에 신체가 민감한 반응을 보이는 것으로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식품을 먹을 때마다 증상이 생깁니다. 대부분은 가려움, 두드러기 같은 약한 알레르기 반응을 보이지만 즉시 치료하지 않으면 목숨을 잃을 수도 있는 급격한 반응( #아나필락시스 )이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식품 알레르기는 성인보다는 유아기, 아동기에 빈도가 더 높으며, 소아기 아동의 약 4~8%가 이런 증세를 나타냅니다. 보통은 성인이 되면서 식품알레르기는 자연치유 되기도 하지만, 때에 따라서는 평생 특정 식품알레르기를 가지고 살기도 하므로 관리가 필요 합니다 식.......

[콩]콩의 거래단위와 등급규격(표준규격) [내부링크]

#농산물 표준규격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고시 제2020-16호, 2020. 10. 14., 일부개정]에 다른 #콩의_표준거래단위 와 #콩의_표준규격 은 아래와 같다. 1. #콩의_표준거래_단위 (별표 1) ※ 5kg이하 #표준거래단위 는 별 도로 정한 품목 외는 유통현실에 맞게 규정하지 않음. 2. #콩의_표준규격 (별표 5 및 별첨) 규정 없음

[영유아 편식]어린이들의 성장 방해꾼 편식, 편식을 극복하는 방법 [내부링크]

어린이들의 성장 방해꾼 편식, 편식이 유발하는 건강상의 문제와 편식을 극복하는 방법은? #편식이란 단순히 음식을 골라 먹는 것이 아니라, 특정식품을 지나치게 선호하거나, 싫어해서 영양 섭취의 균형이 깨지거나 아이들의 발육과 건강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를 말합니다. 따라서 어떤 음식을 단순히 좋아하거나 싫어하는 일이 있어도 이로 인하여 아이들의 발육과 건강에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다면 편식이라고 하지는 않습니다. 그러나 한창 자라나야 하는 시기에 이러한 식습관이 너무 오래 지속되거나 심한 경우, #뇌성장_발달의_지연, #성장부진, 심지어 #비만 까지 초래될 수 있습니다. (삼성서울병원 임상영양팀) 편식하는 아이, #우울증.......

[봄철 알레르기]봄철 알레르기의 대표주자인 비염과 결막염에 좋은 식품 [내부링크]

#봄철_알레르기 질환의 대표 주자는 #비염 과 #결막염 이다. 예방법은 먼지가 많은 침구류 사용을 자제하고, 먼지가 많은 날에는 비염의 예방을 위해 생리 식염수로 코 안을 세척해 주는 것이 좋다. 눈이 건조해지면 결막염이 더 심해지기 때문에, 가습기나 젖은 수건으로 집안 습도를 조절해주어야 하며, 물이나 차를 수시로 마실 것을 권장한다. 이와 함께 #감자, #검은콩, #미나리, #딸기, #시금치, #블루베리 등을 섭취하면 도움이 된다. 출처 : 농식품정보누리

[사과] 사과의 원산지, 농수축산물 표준코드에서 분류한 사과품종 등..... [내부링크]

#사과의_원산지는_서부_아시아와_유럽_남동부이다. 유럽의 사과는 4,000년 이상의 재배 역사를 갖는 가장 오래된 과수이며, 그리스시대에 재배종과 야생종이 구별되어 있었으며, 테오프라스토스는 접붙이기에 의한 번식법과 재배법을 기술하고 있다. 사과나무는 유럽 각지에 전파되어 영국은 19세기 말까지 세계 제1의 사과 생산국이었다. 미국에는 약 350년 전 사과주의 원료로서 도입되었고, 19세기 후반부터는 육종(育種) 및 재배법의 개선으로 생식용의 품질이 좋은 과실을 생산하게 되었다. 우리나라에서는 1901년 원산 근교의 윤병수 씨가 외국 선교사를 통해 국광·홍옥 등의 묘목을 도입, 재식한 것이 근대적인 사과원 경영의 효시가 되었.......

[사과] 사과의 성분과 그 효능 [내부링크]

#사과의_성분은 수분 85~90%, 펙틴과 섬유소 0.5%, 당류 13.1%, 말산(사과산) 0.5%와 소량의 회분·단백질을 함유하고 있다. 과육(果肉) 100g에는 비타민 A 1RE, 비타민 B1·B2 0.01mg, 니코틴산(나이아신) 0.1mg, 비타민 C 3mg이 함유되어 있다. 생과 100g당 칼륨이 110mg으로 많고, 혈압의 원인이 되는 나트륨은 1mg밖에 들어 있지 않다. (자원백과) [ RE : 비타민 A의 활성도를 표시하는 단위로 레티놀 당량(Retinol Equivalent)을 말함 ] 사과는 #고혈압을_치료하고, #뇌졸중_위험을_감소시킨다 과일과 야채에 함유되어 있는 천연 칼륨이 혈압을 내리게 하고 뇌졸증 위험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 센프란시스코.......

[사과]사과의 거래단위와 등급규격 [내부링크]

농산물 표준규격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고시 제2020-16호, 2020. 10. 14., 일부개정]에 다른 #사과의_표준거래 단위 와 #사과의_표준규격 1. #사과의_표준거래_단위 (별표 1) ※ 5kg이하 표준거래단위는 별도로 정한 품목 외는 유통현실에 맞게 규정하지 않음. 2. #사과의_표준규격 (별표 5 및 별첨) &#60; 용어의 정의 &#62; ① 착색비율은 낱개별로 전체 면적에 대한 품종 고유의 색깔이 착색된 면적의 비율을 말한다. ② 중결점과는 다음의 것을 말한다. 이품종과:품종이 다른 것 부패, 변질과:과육이 부패 또는 변질된 것(과숙에 의해 육질이 변질된 것을 포함한다.) 미숙과:당도, 경도, 착색으로 보아 성숙이 현저하게 덜된 것(성.......

[어째! 이런 일이]부모의 빚 때문에 미성년자가 파산한다. [내부링크]

대법원 통계에 따르면 2016년부터 2021년 3월까지 부모에게 물려받은 빚을 감당하지 못해 개인파산을 신청한 미성년자가 80명에 달하고, 파산으로 처리되지 않은 경우를 고려하면 미성년자의 빚 상속 문제는 한층 심각할 것으로 추정 된다” 일반적으로 상속할 재산보다 부모 또는 배우자의 빚이 더 많거나 비슷할 경우, 상속채무 청산을 위한 법 제도로는 채무자 회생 및 파산에 관한 법률(&#x27;채무자회생법&#x27;)상의 #상속재산파산, 민법상의 #상속포기 및 #한정승인, #재산분리 제도가 있어서, 상속를 포기하거나 한정승인을 신청하면 파산을 면할 수 있는데도 불구하고 단독으로 법률행위를 할수 없는 미성년자에게는 쉬운 일이 아닌가 보.......

[당뇨병] 당뇨합병증을 방지하기 위한 식단,영양관리 [내부링크]

섭취된 음식의 대부분은 혈당으로 알려진 포도당으로 변환되어 세포의 먹이가 된다. 그러나 세포는 혼자 힘으론 포도당을 흡수하지 못하고, 췌장에서 분비되는 인슐린이라는 호르몬이 세포와 결합하여 세포들을 활성화시켜야 포도당을 흡수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프로세스에 이상이 발생하여 혈당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없는 장애가 #당뇨병 이며, #제1형당뇨병 은 췌장에서 충분한 인슐린을 생산하지 못하는 경우이고, #제2형당뇨병 은 인슐린은 생산되나 세포가 포도당을 흡수하지 못하는 경우이다. 두 경우 모두 세포가 포도당을 흡수하지 못하여 굶주리게 되는 동일한 결과를 야기 하며, 장기간에 걸친 높은 수준의 혈당은 크고 작은 혈.......

[영유아 식생활정보] 식생활종합지원센터에서 제공한 영유아를 위한 식생활정보 [내부링크]

서울특별시 식생활종합지원센터에서는 영유아를 위한 #영유아_음식, #영유아_식단 등의 다양한 #식생활_정보 를 제공하고 있읍니다 영유아를 위한 하루 영양섭취기준 (출처: 2015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 #영유아를_위한_식생활_지침 (출처: 보건복지부 2010 식생활 지침) 생후 6개월까지는 반드시 모유를 먹이자 초유는 꼭 먹이도록 합니다. 생후 2년까지 모유를 먹이면 더욱 좋습니다. 모유를 먹일 수 없는 경우에만 조제유를 먹입니다. 조제유는 정해진 양대로 물에 타서 먹입니다. 수유 시에는 아기를 안고 먹이며 수유 후에는 꼭 트림을 시킵니다. 자는 동안에는 젖병을 물리지 않습니다. 이유식은 성장단계에 맞추어 먹이자 이유 보충식은.......

[콩] 콩의 원산지, 농수축산물 표준코드에서 분류한 콩의 종류 등.... [내부링크]

콩은 야생의 돌콩(G. soya)에서 재배작물로 발달하였다. #콩의_원산지 는 중국 동북 지방에서 화베이에 걸친 지역으로 추정되지만, 한반도도 포함된 것으로 본다. 중국 동북 지방이나 우리나라의 시흥, 화천, 양주, 횡성, 영덕, 포항 등지에서 야생콩과 콩의 중간형인 반야생콩(G. grasilis)이 재배되고 있기 때문이다. 미국에서의 콩의 재배는 1765년 Samuel Bowem이라는 미국의 선원이 중국으로부터 콩의 종자를 가져간 것이 최초이다. 1929년부터 1931년까지 3년 동안 W. J. Morse와 P. H. Dorset를 파견하여 우리나라, 서사할린, 중국, 만주, 일본 등지에서 집중적으로 3,000여 품종을 수집해 갔다. 1901년부터 1976년 사이에 우리나라에서 수.......

[콩의 용도]콩의 용도와 콩의 선택 기준 [내부링크]

콩에는 일반적으로 단백질, 지질, 당질이 많이 들어 있으며 전분은 들어 있지 않은 것이 보통이다. 이런 성분 면에서 볼 때, 콩은 곡식이라기 보다는 오히려 영양이 풍부한 고기에 더 가깝다고 할 수 있다. 농촌진흥청의 농업기술 길잡이에 소개된 #콩의_용도 와 #콩의_선택_기준 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콩의 용도는 크게 #장류용, #두부·두유용, #나물용, 검정콩 중심의 #밥밑용, 그리고 #풋콩용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70% 이상이 장류용과 두부용으로 소비된다. 그러나, 콩의 용도별로 그 품종이 엄격하게 구분되어 재배되거나 유통되지는 않고 있다. 품종개발단계에서는 용도별로 구분하여 표기하고 있으나, 실제 유통과정.......

[당뇨병]당뇨병, 완치의 길 열리나?..日 연구진, 췌장 세포 증식 동물실험 성공 [내부링크]

도쿄대 야마다 야스히로 교수 및 교토대, 아이치의대 연구진 등으로 이뤄진 연구팀이 특정 유전자를 발현시켜 췌장 세포에 증식 능력이 생기게 하고, 이를 이식해 #당뇨병_쥐를_치료하는_데_성공 했다고 11일 밝혔다. 이번 논문은 영국의 의학저널 ‘네이처 메타볼리즘’에 게재됐다.

[콩]콩은 밭에서 나는 고기, 반드시 익혀서 먹어야 한다. [내부링크]

콩은 #밭에서_나는_고기 로 불릴 만큼 인간에게 #식물성_단백질 을 공급하는 매우 중요한 #식량작물 이며, 수많은 화학제품의 원료로 쓰인다. 말린 콩 100g에는 에너지 400kcal, 수분 9.7%, 단백질 36.2g, 지질 17.8g, 당질 25.7g, 섬유소 5g, 회분 5.6g, 칼슘 245mg, 인 620mg, 철 6.5mg, 칼륨 1,340mg, 나트륨 2mg, 비타민 B1 0.53mg, 비타민 B2 0.28mg, 나이아신 2.2mg 등 단백질 및 탄수화물이 많다. 그리고, 쇠고기에 비해 칼슘은 8배, 인은 3배, 철분은 11배, 그리고 비타민 B1은 10배 정도나 많이 들어 있다. 콩, 특히 유색콩 중에서도 검정콩인 #서리태 에는 불포화지방산의 일종인 #레시틴 (lecithin)이 많이 들어 있다. 레시틴은 신경.......

[생애주기별 식생활 - 영유아] 연령에 따라 먹는 음식을 달리해야 한다. [내부링크]

#생애주기별_식생활 #영유아의_식생활 성장 및 영양정보 생후 0개월 ~ 36개월 까지의 성장발달 및 식생활 정보 #영유아의_식생활 모유수유 가이드 모유수유, 왜 좋은가요? 초유 먹이는 방법 모유 먹이는 방법 수유가 끝난 후 트림시키는 방법 #영유아의_식생활 균형 식사 가이드 생후 6개월까지는 반드시 모유를 먹이세요. 이유식은 성장 단계에 맞추어 먹이세요. 유아의 성장과 식욕에 따라 알맞게 먹이세요. 곡류, 과일, 채소, 생선, 고기, 유제품 등 다양하게 먹이세요. #영유아의_식생활 이유보충식이란? #이유보충식 은 모유나 조제유에서 차츰 어른들이 먹는 고형 식사에 익숙해지도록 훈련하는 기간에 먹이는 음식으로 미음형태의 유동식.......

[생애주기별 식생활] 연령에 따라 먹는 음식을 달리해야 한다. [내부링크]

우리가 먹은 음식, 우리 몸의 일부가 된다. 그러나, 매일 똑같은 음식을 먹어도 몸이 그 음식을 받아들이는 정도는 몸 상태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우리는 경험으로 알고 있다. 따라서 몸 상태는 물론 나이에 따라 먹는 음식의 종류나 양를 달리해야 할 것이다. 농림축산식품부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 ( #농정원)의 &#34; #농식품정보누리 &#34;라는 싸이트의 &#34; #생애주기별 _식생활 &#34; 이라는 코너에서 연령에 따른 식생활 관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관련 내용 생애주기별 식생활 - 영유아 생애주기별 식생활 - 어린이, 청소년 생애주기별 식생활 - 성인, 어르신

[생애주기별 식생활 - 어린이, 청소년] 연령에 따라 먹는 음식을 달리해야 한다. [내부링크]

#생애주기별_식생활 #어린이의_식생활 채소를 싫어하는 어린이를 위한 푸드브리지 성공하기 새로운 음식을 거부하고 낯설어 하는 것은 지극히 정상적인 성장의 한 과정이므로 단계적으로 새로운 음식을 접하게 하고, 친근함을 형성하게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청소년의_식생활 청소년의 균형 식사 가이드 청소년기 식생활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비만 예방이에요. 비만을 예방하고 건강을 지키기 위해서는 식사, 신체활동과 운동, 생활습관 등 세 가지를 올바르게 실천해야 하죠. #청소년의_식생활 청소년의 비만 예방하기 청소년기 비만은 어떻게 무엇을 먹느냐에 따라 결정돼요. 평소 배가 고프지 않은데도 간식을 먹거나, 짜고 단 음식을 자주.......

[생애주기별 식생활 - 성인,어르신] 연령에 따라 먹는 음식을 달리해야 한다. [내부링크]

#생애주기별_식생활 #성인의_식생활 20대부터 60대까지 연령대별 추천 음식 웰빙을 지향하는 시대지만, 연령대 별로 반드시 먹어야 할 음식은 따로있다! 나이마다 필요로 하는 영양소와 발병 위험이 높은 질병이 다르기 때문이다. #성인의_식생활 40대 이후에 먹어야 할 것들… 40대에 접어 들어도 20~30대와 같은 식단과 생활습관을 가진다면 우리 몸은 다양한 신호를 보낼 수도 있다. 체중 증가와 근육 감소는 대표적인 신호다. #성인의_식생활 성인의 바른 식생활 지침1 채소, 과일, 우유 제품을 매일 먹자 우유, 요구르트, 치즈 등 우유 제품을 간식으로 먹습니다. #성인의_식생활 성인의 바른 식생활 지침2 지방이 많은 고기와 튀긴 음식을.......

[질환별 식사요법] 몸 상태에 따라 먹는 음식을 달리해야 한다. [내부링크]

우리가 먹은 음식, 우리 몸의 일부가 된다. 그러나, 매일 똑같은 음식을 먹어도 몸이 그 음식을 받아들이는 정도는 몸 상태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우리는 경험으로 알고 있다. 따라서 몸 상태에 따라 먹는 음식의 종류나 양를 달리해야 할 것이다. 농림축산식품부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 ( #농정원)의 &#34; #농식품정보누리 &#34;라는 싸이트의 &#34; #질환별_식사요법 &#34;이라는 코너에서 몸 상태에 따른 식사요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MSD매뉴얼] 질병에 대한 궁금증 #MSD매뉴얼에 다 있다. [내부링크]

몸에 이상을 느끼면 즉시 병원에 가는 것이 올바른 선택이다. 우리나라는 건강보험과 의료체계가 잘 정비되어 있기 때문에 일반적인 질병은 진료비 부담이 거의 없기도 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증세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이나 급한 성질 때문에 인터넷을 뒤지며 #자가진단 에 매달리기 일쑤다. 그런데, 아무리 인터넷을 검색하고 읽어 봐도 온통 그 말이 그 말이고 광고성 글로 도배된 글을 보며 두통이 날 지경에 이르게 된다. 예를 들어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검색엔진 #네이버, #다음, #구글 에서 알레르기를 검색해 보면 아래의 화면이 나타난다. #네이버 #알레르기 검색화면 캡처 #다음 #알레르기 검색화면 캡처 #구글 #알레르기 검.......

[농수축산물 표준코드] 농수축산물 표준코드 및 HS코드와 GPC코드에 대하여...... [내부링크]

디지털 시대에 사는 우리는 코드화된 각종 정보를 사용하여 일상을 영위하고 있다. 예들 들면 주민등록번호와 통장 및 카드번호 등이다. 아날로그 시대에서 디지털 시대로의 성공적인 이행은 무엇보다도 먼저 유무형의 정보와 물건을 체계적이고 명확하면서도 확장성 있게 분류하고 코드화하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그런데, 우리가 매일 먹고 소비하는 식재료에 대한 분류와 이에 대한 각종코드는 어떠한 것이 있을까? 농림수산식품부는 행정기관, 생산자 단체 및 유통업체 등에서 개별적으로 #농수축산물_코드 를 제정 운용함으로 발생하는 비효율성 및 정보 취합의 어려움을 해결하고, 각종 자료의 표준화를 통해 농수축산 관련기관 간.......

[농산물의 등급규격] 농산물의 상품성 향상과 공정한 거래 실현을 위하여 농산물 등급규격이 제정되어 있다. [내부링크]

사과, 배 등의 과일을 박스 단위로 구입할 때, 항상 궁금했던 것이 박스에 표시된 등급(“특”, “상”)에 관한 것이다. 과일의 등급은 몇 단계로 구분되어 있는지? 등급을 나누는 기준 즉 #농산물등급규격 은 무엇인지? 「농수산물품질관리법」제5조 및 같은 법 시행규칙(이하 &#34;규칙”이라 한다) 제5조에서 제7조까지의 규정에 의하여 #포장규격 및 #등급규격 에 관하여 규정함으로써 농산물의 상품성 향상과 유통효율 제고 및 공정한 거래 실현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농산물표준규격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고시 제2020-16호, 2020. 10. 14., 일부개정]이 제정되어 있다.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고시 “ #농산물표준규격 ”제2조 3호에서 &.......

[발상의 전환]암세포를 정상세포로 되돌릴 수 있다 [내부링크]

불현듯 영원한 생명을 얻기 위해 불로장생의 영약, 불로초를 구하기 위해 중국의 동쪽 바다로 서복 파견했다는 진시황의 이야기와 은하철도 999에 올라탄 우주소년을 연상케 하는 뉴스가 있다. 손상된 세포는 되돌릴 수 없다는 통념을 뒤집는 영구성과를 발표한 카이스트(KAIST) 바이오 및 뇌공학과 #조광현교수 연구팀에 관한 이야기다. &#34; 대다수의 과학자들이 암세포만을 표적으로 하는 항암 치료제를 개발할 때, KAIST 연구진은 발상을 전환하여 암세포를 죽이지 않고, 정상 세포로 변환하는 새로운 접근법을 10년 가까이 연구하여 실험실 단위에서 대장암.유방암 세포를 치료 가능한 정상세포로 변환하는데 성공하여, 국제학술지 분자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