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kmulga의 등록된 링크

 sikmulga로 등록된 네이버 블로그 포스트 수는 58건입니다.

운용매로 실내 정원 꾸미기 카페 정원인테리어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식물가입니다. 오늘은 서울 서초구 신원동 카페의 외부 정원인테리어 현장 모습을 소개해 드릴게요. 계단을 통해 카페 지하로 내려오면 한눈에 띄는 장소가 있는데요. 바로 실내의 중앙에 위치한 외부 정원, 중앙정원이 있습니다. 카페의 분위기는 전체적으로 따뜻한 우드톤의 느낌이었어요. 카페 중앙에 위치하고 뚫린 천장으로 외부와도 연결된 정원인 만큼 봄 여름 가을 겨울, 사계절을 각기 다른 매력을 내뿜고 다채로이 감상할 수 있는 운용매로 제안해 드렸어요. 운용매 구부러진 가지에 꽃이 만발한 모습이 마치 구름을 나는 용의 형상과 같다 하여 운용매라 불리는데 매화나무로서 봄에는 화사한 흰 꽃이 나며 가을, 겨울에는 꼬불꼬불한 가지 자체에 매력을 뽐냅니다. 그래서 꽃 피는 봄에는 운용매 꽃의 화려함을, 겨울에는 꼬불꼬불해서 멋진 가지 라인을 감상할 수 있어요. 실내 정원 꾸미기 중 ..! 정원에 있던 기존 식물들은 화분으로 옮겨심고 땅을 고르는 작업 중인 식물가 팀원들의 모습이에요.

화분으로 식물 인테리어, 기존 식물 화분갈이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 식물 디자인 스튜디오 식물가 입니다. 오늘 소개해 드릴 장식은 지난번에 포스팅한 중정이 있는 카페, 브루잉 이펙트에서의 식물이식(移植)작업을 소개해 드릴게요. 운용매로 실내 정원 꾸미기 카페 정원인테리어 안녕하세요. 식물가입니다. 오늘은 서울 서초구 신원동 카페의 외부 정원인테리어 현장 모습을 소개해 드릴... blog.naver.com 카페 실내 정원 인테리어 현장이 궁금하시다면 ↑ ↑ ↑ 식물이식(移植) 묘목이나 모종이 튼튼하게 자라도록 하기 위해 자리를 바꿔 심는 것 농업용어사전: 농촌진흥청 식물이식이라는 말은 말 그대로 식물을 옮겨 심는다는 말인데요. 이번 카페 현장에서도 기존에 심어져 있던 식물을 카페 공간의 분위기에 맞는 화분으로 옮겨 심어 주었답니다:) 어딘가 휑~한 듯한 모습의 기존 정원이에요. 누가봐도 이식이 필요한 듯한 나무의 위치.. 지난번 포스팅에서 보여드린 중정의 기존 모습이에요. 고객님께서는 왼쪽에 보이는 기존에 식재되어 있는 묘목을 화분으로

송파 실내스튜디오 플랜트월 포토존 꾸미기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 식물로 공간을 아름답게 만드는 식물가 입니다. 렌탈 스튜디오 플랜트월 장식 오늘은 송파에 위치한 렌탈 실내스튜디오에 작업한 포토존이자 플랜트월을 소개해 드릴게요. 플랜트월에 대한 내용은 이 포스팅을 참고하세요 :) ↓ ↓ ↓ 플랜테리어의 꽃, 플랜트 월(Plant Wall), 그린 월(Green wall) 안녕하세요. 식물로 공간을 아름답게 만드는 식물 디자인 스튜디오 식물가 SIKMULGA 입니다. 이번 ... blog.naver.com 고객님께서 플랜트월로 포토존을 꾸미고 싶으시지만, 렌탈 스튜디오라는 공간의 특수성에 맞게 촬영 용도나, 때에 따라 장식을 쉽게 탈부착, 또는 철거 가능한 연출을 원하셨어요. 눈에 보이지 않는 부분도 꼼꼼히 작업해야 해요! 이동 가능한 플랜트월 (plant wall) ? 렌탈 스튜디오는 촬영하는 분위기나 컨셉에 따라 빈 공간의 뒷배경이 필요하기도 하고 푸릇푸릇한 느낌의 플랜테리어 공간이 필요할 때가 있어요. 다양한 촬영 배경이 필요한

효창동 단독주택 테라스 실내정원 가드닝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식물로 공간을 아름답게 만드는 식물가입니다. 벌써 또 한주가 지나가고 월요일이 시작되었어요. 요즘 식물가는 이것저것 새롭게 준비하는게 많아 시간이 어떻게 흐르는지 모르겠어요. 시간은 정해져있고 할 일은 많아 정신 없지만, 그만큼 할 수 있는 일이 많다는 거니깐 기대되고 설레요 :) 코로나 상황 속 플랜테리어 열풍 한번쯤은 들어보셨죠? 플랜테리어는 실내환경을 식물로 가꾸는 건데요. 이제야 코로나가 끝나가고 있지만 한동안 집콕생활이 일상이 되면서 오랜시간 머무르게 된 집에 식물이 주는 긍정적인 영향에 매력을 느끼는 분들이 많아지셨어요. 그래서 오늘 소개해 드릴 작업은 많은 분들의 로망인 집 안의 테라스 정원, 효창동 단독주택 테라스 실내조경 작업이에요. 공간에 대한 설명을 덧붙이자면 현재는 단독 주택이지만 게스트 하우스로 운영 예정인 곳이에요. 잠시 머물다 가는 손님이라도 편한 휴식을 제공해드려야하는 게스트하우스에 플랜테리어는 빠질 수 없죠. 기존 현장부터 보여드릴게요. 팔

스터디카페 인테리어 실내 미니정원 만들기 미니멀 실내조경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 식물로 공간을 아름답게 만드는 식물가 입니다 :) 오늘 소개해 드릴 공간장식은 신규 오픈하는 스터디 카페의 실내 조경 연출입니다. 이 공간이 어떻게 바뀌게 될까요? 고객님께서 문의하신 내용은 공간에 차분함을 더해 줄 수 있고 미니멀하고 깔끔한 실내 조경 연출을 원하셨어요. 이곳은 책상이 있는 스터디 공간 내에 위치한 스팟인데요. 낮은 하단 장식이지만 정해진 폭 안에서 높이감을 다양하게 주어 심심해 보이지 않게 작업해 드렸어요. 작은 부분도 놓치지 않는 식물가 팀이에욧 눈에 띄지 않는 부분이라도 꼼꼼히 꼼꼼히 작업한답니다 :) 디테일하게 만질수록 조화도 생화처럼 보이게 할 수 있어요! 이 공간은 스터디 카페의 메인 공간인데요. 스터디 카페에 입장하자마자 마주하게 되는 첫인상과도 같은 공간이죠. 메인 공간의 느낌이 곧 전체 공간의 느낌을 나타내주기 때문에 더 많은 신경을 써야 해요! 내추럴한 가지 라인이 아름다운 나무와 키가 큰 고사리, 푸릇푸릇한 이끼. 미니멀한 느낌을

문그로우 묘목 플랜터 식재, 빈티지 토분과 잘 어울리는 구상나무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 식물로 공간을 아름답게 만드는 식물가 SIKMULGA 입니다. 오늘은 단독주택의 실내외 공간에 어울리는 화분 식재와, 플랜트박스(=플랜터) 를 활용한 데크 테라스 디스플레이 현장을 소개해드릴게요. 플랜트박스에 대해 자세히 알고싶다면 이 글을 참고해주세요 ! 플랜터를 이용한 사무실 인테리어 오피스 플랜테리어 안녕하세요~! 식물 디자인 스튜디오 식물가 SIKMULGA 입니다. 오늘은 플랜테리어 하면 빠질 수 없... blog.naver.com 먼저 기존 현장을 보여드릴게요! 작업 현장의 변신 전 모습입니다. 외부가 잘 보이는 넓은 데크 테라스에는 어떤 플랜터와 식물이 와야 좋을까요? 데크 테라스에 맞춰 직접 주문제작한 우드 플랜터 입니다. 진한 우드 바닥재가 깔린 데크와 연결감을 주기위해 식물가가 고객님께 먼저 제안해 드린 목재 플랜터 입니다. 어딘가 휑 한 모습 ㅎㅎ 이 공간에 대한 고객님의 요구사항은 테라스 펜스가 낮아 외부에서도 훤히 보이는 프라이버시의 문제를 해결

송파 렌탈스튜디오 벽면조경 이동가능한 플랜트월 포토존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식물로 공간을 아름답게 만드는 식물 디자인 스튜디오 식물가 SIKMULGA 입니다. 오늘은 송파에 위치한 렌탈 스튜디오 플랜트월 벽면조경 연출 현장을 소개해 드릴게요 :) 플랜테리어의 꽃, 플랜트 월(Plant Wall), 그린 월(Green wall) 안녕하세요. 식물로 공간을 아름답게 만드는 식물 디자인 스튜디오 식물가 SIKMULGA 입니다. 이번 ... blog.naver.com 플랜트 월(plant wall)이라는 단어가 생소하신 분들은 이 글을 읽어보세요! 이번 현장은 송파구에 위치한 렌탈 스튜디오였는데요. 조화 벽면장식으로 스튜디오인테리어를 도와드렸어요! 고객님의 의뢰 내용은, 기존의 벽 앞에 분리 후 이동 가능한 가벽을 설치하여 플랜테리어 장식을 요청하셨어요. 스튜디오 내 다양한 포토존 연출을 위해 플랜트 월 문의가 종종 있는데요. 벽면의 수가 정해져 있는 한정된 공간에서 다양한 느낌을 내기 위해서는 가벽을 설치하는 것도 좋은 아이디어죠! 뿐만 아니라 분리

송파 렌탈 스튜디오 유럽형 테라스 정원 옥상조경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 식물로 공간을 아름답게 플랜테리어하는 식물가 입니다. 요즘 일교차가 좀 있지만 그래도 완전한 봄이죠! 오늘 소개해 드릴 작업은 송파구에 위치한 렌탈 스튜디오의 테라스 정원 플랜테리어 연출 작업이에요. 탑층의 테라스의 옥상 조경이죠. 식물가가 디자인하고 진행한 아주 멋진 유럽형 테라스 정원 스튜디오시공 작업 같이 보실까요? 이 스튜디오가 위치한 곳은 빌딩의 탑층이었는데요, 통유리로 이루어진 라운드 창밖으로 부채꼴 형의 테라스가 있어요. 이 공간을 유럽식 정원으로 변신시켜볼게요 :) 유럽 느낌의 정원을 원하시는 클라이언트 분의 니즈에 맞춰 유럽 스타일의 화분과 그에 어울리는 식물들을 다양하게 준비했지요! 식물 보고 엥? 싶으시죠 ㅎㅎ 그라스류의 식물들은 겨울을 나고 나면 묵은 잎을 잘라내줘야 이듬해 또 풍성한 그라스 잎을 휘날릴 수 있어요. 그래서 3월까진 까까머리지만 날이 더 따뜻해지고 나면 언제 그랬냐는 듯 풍성 풍성해진답니다. 그래서 봄맞이 정원은 기다림의 미학이라

강남 고급빌라 테라스 조경공사 연예인이 선택한 플랜테리어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 오늘은 고급빌라 내 가정집 테라스 조경공사 현장을 소개해 드릴게요 :) 이번 클라이언트분은 유명한 연예인이신데요, 고급 빌라 내의 층고 있는 1층 테라스 플랜테리어를 문의하셨어요 :) 클라이언트분께서 식물가에게 특별히 요청하신 부분은 프라이버시 보호와 텃밭 재배인데요, 이 두 가지 요건을 충족하면서 동시에 깔끔하고 예쁜 플랜테리어를 원하셨어요. 테라스가 옆집과 낮은 울타리로만 연결되어 있어 외부로부터의 시야 차단이 필요해 보이죠? 식물가의 손이 닿기 전 테라스 정원의 기존 모습이에요. 사용하지 않는 플라스틱 화분들과 외부에서 빛이 바랜 조화가 식재된 플랜트박스, 통일감 없는 화분들이 곳곳에 보여요. 또 아주 좋은 울타리 나무를 데려와 식재하셨지만, 시야를 차단해 주려면 더 많은 나무가 필요해요 :) 땡볕에서도 열일 중이신 식물가 팀원들 :) 고객님께서는 기존에도 작은 플라스틱 텃밭 플랜터를 들여 소소하게 작물을 재배하고 계셨는데요. 전체 리모델링 하면서 정원을 더 깔끔

필라테스 스튜디오 인테리어 미니멀 조경 디자인 조화 꽃장식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식물로 공간을 아름답게 꾸미는 플랜테리어 전문가 식물가 SIKMULGA 입니다. 오늘은 조화 꽃장식 실내 플랜테리어 현장을 소개해 드릴게요 :) ! 이번 현장은 오픈을 앞두고 멋진 공간으로 변신 중인 필라테스 스튜디오 시공 현장입니다. 지난번에도 작업 의뢰로 함께 한 적이 있는 인테리어 디자인 대표님께서 또다시 식물가의 스타일링을 찾아주셨는데요, 이전 현장에서 작업했던 식물가의 스타일과 느낌이 좋았다고 말씀하시며 이번 필라테스 스튜디오 인테리어 현장에서 다시 찾아주셨어요! 늘 믿고 맡겨주셔서 감사합니다 :) 나무 들어가기 전 빈 공간의 모습 벽 곡선의 느낌이 우아하고 아주 깔끔한 인테리어죠! :) 이런 예쁜 공간을 더 예쁘게 만들어주는 마무리는 그린 그린 한 식물이 빠질 수 없지요. 필라테스 스튜디오의 첫인상을 담당하는 인포데스크에요. 선이 예쁘고 심플 & 미니멀한 나무로 연출해 드렸어요. 어떤 장식이든 가장 중요한 점은 사람들의 동선에 불편함이 없어야죠! 공간과 동선을

옥상 테라스 정원, 스튜디오 인테리어 by 식물가 플랜테리어 [내부링크]

옥상 테라스 정원 디자인의 비밀 공개, 유럽 감성을 담다. 안녕하세요, 식물가 입니다 : ) 유럽 아파트 컨셉의 스튜디오 공간, 그리고 그 외부 테라스에서 펼쳐지는 로맨틱한 정원. 오늘은 여러분을 송파의 비밀 정원으로 초대합니다. 유럽 감성을 담고 있는 테라스 정원의 이야기를 시작할게요. 유럽 감성 테라스 정원 European Terrace Garden 유럽 감성 테라스 정원 Garden #식물가 Studio #도헤스튜디오 송파에 위치한 유럽 아파트 컨셉의 렌탈 스튜디오 공간입니다. 식물가에서 외부 테라스 공간도 유럽 감성이 물씬 풍기는 정원으로 디자인해드렸답니다. 촬영을 진행한 날에는 연둣빛 여름으로 오는 색상으로 가득한 정원의 모습이었는데요. 해 질 녘 시간 다가와 로맨틱한 분위기가 더욱 잘 담겼어요cc 이전 글에서는 현장 작업에 중점을 두었다면, 오늘은 정원 디자인의 과정부터 시작하여 지속적인 식물 관리에 대해 이야기하려고 해요. 유럽 감성 옥상 테라스 정원 디자인 과정 식물

에키네시아(Echinacea purpurea) 정원에서의 관리 방법 [내부링크]

화려한 자주색 꽃과 그 뒤에 숨겨진 자연의 비밀 에키네시아 가을의 에키네시아 모습 안녕하세요 식물가 입니다 오늘은 면역력을 향상시키는 힘을 가진 에키네시아에 대해 알아보려고 하는네요. 주변 정원에서도 쉽게 볼 수 있어요. 에키네시아는 화려한 자주색 꽃으로 많이 알려져 있지만, 그 뒤에는 자연의 비밀과 건강에 대한 이야기가 숨겨져 있답니다. 식물가와 함께 에키네시아에 대해 알아볼까요~?! Plants Care Guide . . . Echinacea purpurea (L.) Moench 에키네시아 관리 방법 Name #에키네시아 Color #자주색 에키네시아의 특징 야생화, 야생화 정원, 실외조경, 정원 화려한 자주색의 에키네시아 에키네시아는 북미 원산의 꽃으로, 그 화려한 꽃은 일반적으로 5월에서 10월 사이에 피어나요. 특징 중 하나는 개화 기간이 매우 길어 여름에서 가을까지 정원에서 그 아름다운 꽃을 감상할 수 있다는 점이에요. 청초한 느낌의 흰색 에키네시아도 있어요 c 또한 에

추명국(Anemone hupenhensis) 정원 관리 방법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정원 애호가 여러분! 식물가 입니다 : ) 오늘은 아름다운 가을꽃, 추명국에 대해 소개해 드릴게요. Plants Care Guide . . . Anemone hupehensis var. japonica 추명국 관리 방법 Name #추명국 #대상화 Color #분홍색 #흰색 추명국의 특징 야생화, 야생화 정원, 실외 조경, 정원 가을의 꽃 추명국! 핑크색 추명국은 대상화라는 이름도 가지고 있는데요. 서리 오기를 기다리며 피는 꽃이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어요. 추명국은 다년생 식물로 주로 가을에 화려한 꽃을 피우는데요. 꽃은 9월~10월 사이에 가지 끝부분에 한 송이씩 피어나며. 여러 색상의 추명국 모습 보라색, 핑크, 흰색 등 다양한 색상이 있어요. 주로 분홍색과 흰색의 꽃을 많이 볼 수 있어요. 흰색의 추명국의 모습은 샤스타데이지와도 비슷하네요 여러 색상의 추명국 추명국의 꽃은 볼록한 중앙 부분에 작은 노란색 줄무늬가 있어 매력적이에요. 특히 얇고 부드러운 텍스처의 꽃잎이

안개 나무(Cotinus coggygria) 정원에서의 관리 방법 [내부링크]

화려한 가을의 주인공 안개 나무 안녕하세요 식물가 입니다! 화려한 붉은 잎과 뽀얀 질감의 꽃을 피우는 매력적인 식물, 안개 나무에 대해 알아볼까요~! 안개가 낀듯한 몽환적인 분위기의 안개 나무 Plants Care Guide . . . Cotinus coggygria 안개 나무 관리 방법 Name #안개나무 #스모그트리 Color #자주색 안개 나무의 특징 야생화, 야생화 정원, 실외 조경, 실내 조경, 정원 안개 나무는 가을 정원을 화려하게 물들이는 아름다운 다년생 관목 식물이에요. 가을에는 빨강, 주황, 자홍 등 다양한 색상으로 잎이 물들어 정원을 화려하게 해요. 그리고 몽환적인 분위기를 풍기는 꽃들의 모습 때문에 스모그 트리라는 이름도 가지고 있어요. 실내 안개나무 장식 안개나무 꽃장식 스모그트리는 실내에서도 이렇게 멋지게 사용되는데요. 안개나무 1가지 소재만으로도 큰 존재감을 내뿜어요. 안개가 피어있는 듯한 느낌을 주는 이 꽃은 5월부터 7월까지 피며, 연노랑에서 와인색으로

스위스의 덩굴 식물 정원, MFO Park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식물가 입니다 : ) 오늘은 스위스의 매력적인 공원 중 하나인 MFO 공원을 소개하려고 합니다. MFO 공원은 스위스 취리히에 위치한 독특하고 아름다운 공원으로, 자연과 예술이 조화를 이루며 휴식의 장소로서 많은 이들에게 사랑받고 있는 곳입니다. 특히 MFO 공원은 보기 드문 수직 공원으로 유명한데요~! 1. 자연과의 조화 MFO PARK MFO 공원 중앙 홀 MFO 공원은 원래 MFO(MaschinenFabrik Oerlikon) 기계 공장이었던 장소를 리모델링하여 탄생한 공원에요. MFO 조감도 부르카르트 + 파트너스 계획사무소 (lanning Burckhardt + partner) 와 라데르샬 조경 사무소 ( Raderchall Landschaftsarchitekten AG) 가 협력하여 디자인한 공간으로 덩굴 식물을 활용한 독특한 공원 디자인이 돋보입니다. 이러한 디자인은 덩굴 식물이 건물의 벽을 타고 오르면서 아름다운 곡선과 움직임을 만들어내어 계절의 변화를 느

히솝(Hyssopus officinalis) 관리 방법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식물가 입니다 : ) 오늘은 아름다운 보라색 꽃과 강렬한 향기로 약용은 물론 정원에서도 활용되는 다재다능한 '히솝' 에 대해 소개해 드릴게요! 히솝(Hyssopus officinalis) 히솝은 지중해 지역을 비롯해 유럽, 아시아, 북아프리카 등 다양한 지역에서 자라는 다년생 초목 식물이에요. 히솝은 6~8월에 아름답게 꽃을 피우는데요. 그 꽃은 정원을 아름답게 장식해 주며, 특유의 허브 향기로 정원을 더욱 풍성하게 만들어줍니다. 히솝과 관련된 흥미로운 이야기 하나를 들려드릴게요~! 히솝과 관련된 흥미로운 이야기 히솝 (hyssopus officinalis) 히솝은 오랜 역사와 함께 유명한 허브 중 하나인데요, 그리스 신화의 아름다움의 여신인 아프로디테에게 바치는 헌화로 사용된 이야기를 가지고 있어요. 로마인들은 히솝을 아프로디테를 기리는 식물로 여겨, 그녀의 영광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했어요. 또한 그들은 히솝의 아로마를 즐기고 그로부터 온갖 음식과 음료, 향수를 만들

큰꿩의비름 (Hylotelephium spectabile) 관리 방법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식물가 입니다 : ) 오늘은 가을 정원을 화려하게 해주는 '큰꿩의비름' 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큰꿩의비름 (Hylotelephium spectabile) '큰꿩의비름' 이라는 이름이 굉장히 특이하지 않나요? 이름만큼이나 독특한 '큰꿩의비름'은 그 근원부터 흥미로운 이야기가 있습니다. 산속의 꿩이 좋아할 만한 풀밭에서 자란다 하여 "꿩"자가 이름에 포함되었으며, '비름'은 비듬의 강원도 사투리로 잎을 훑으면 비듬이 묻어나는 것을 의미해요. 원산지와 환경 큰꿩의비름 '큰꿩의비름'은 동아시아를 비롯하여 한국과 중국 지역을 기원으로 하는 다육식물입니다. 다채롭고 두꺼운 잎사귀와 아름다운 꽃으로 유명해요. 주로 산지나 암석 위에서 자라며, 특히 여름 후반부터 가을에 이르는 기간에 화려하게 꽃을 피우는 특징을 가지고 있어요. 특징 큰꿩의비름 연분홍, 연보라, 백색 등 다양한 색상이 있는데요. 심지어 잎은 가을에 붉은색으로 물이 들어 더욱 화려한 가을 정원을 만들 수 있답

향등골나물(Eupatorium tripartitum) 정원에서의 관리 방법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식물가 입니다 : ) 오늘은 자연에서 즐길 수 있는 아름다운 꽃을 가진 야생화, 향등골나물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다양한 색상의 향등골나물 Plants Care Guide . . . Eupatorium tripartium 향등골나물 관리 방법 Name #향등골나물 Color #보라색 #흰색 향등골나물의 특징 야생화, 야생화 정원, 실외 조경 야생에서 쉽게 볼 수 있는 향등골 향등골나물은 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생 식물로, 전국적으로 분포하며 산에서 쉽게 볼 수 있어요. 향등골나물은 아름다운 연보라색 꽃과 길쭉한 잎을 가졌는데요. 정원에서의 향등골나물 여름에서부터 초가을(7월~9월)까지 꽃을 피우기 때문에 정원에 포인트로 심으면 아름다운 보랏빛 정원으로 물들일 수 있어요. 정원에서 빠른 성장 속도를 가진 향등골 향등골나물은 빠른 성장 속도를 가지고 있어 화단을 채우기에도 매우 적합하며, 병해충 와 추위에도 강하고 어느 곳에서든 잘 자라기 때문에 관리하기가 쉬워요. 향등골나

홍지네고사리 (Dryopteris erythrosora) 관리 방법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식물가 입니다 : ) 오늘은 고사리류 중에서 '홍지네고사리' 관리 방법에 대해 알아볼게요~! 홍지네고사리(Dryoperis erythrosora) 홍지네고사리, 이름이 특이하지 않나요? 봄에 나오는 새 잎이 붉은색을 띠기에, '홍(紅) 지다'라는 의미를 가진 이름을 가지게 되었다고 하네요. 또 한편으로는 붉은 지네 모양을 닮았다고 하여 '홍지네'라는 이름이 붙여졌다고도 해요. 홍지네고사리의 영어 이름은 'Autumn Fern'인데, 여름에는 초록색 잎이었다 이른 봄, 가을에는 붉은빛으로 변하기 때문이에요. 홍지네고사리는 21년 실내 환경 우수 자생식물로 선정되었을 정도로 실내에서도 잘 자라는 식물인데요. 음지식물이라, 광이 부족한 환경에서도 잘 자란답니다. 실내 화분에서 키울 경우 노지에서 키울 때보다는 작게 큰답니다. 다소 그늘진 노지에 심어두면 매년 알아서 잘 자라는 편입니다. 단독주택 테라스 정원에 들어간 홍지네고사리 식물가에서도 홍지네고사리를 테라스 정원에 식재한

꽃잔디(Phlox subulata) 관리 방법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식물가 입니다. 오늘은 꽃잔디 관리 방법에 대해 알아볼게요! 꽃잔디 (Phlox subulata) 꽃잔디는 봄의 꽃들이 지고, 여름이 오기 전 5월 초쯤 파스텔 톤으로 카펫처럼 촤라락 펼쳐진 모습을 볼 수 있어요. 뭉쳐서 심어진 모습이 너무 아름답지 않나요! 꽃잔디는 분홍, 흰색, 붉은색 등 여러 가지 색이 있는데요. 키우기도 어렵지 않아서 주변에서도 쉽게 볼 수 있어요. 꽃잔디는 높이가 10cm 정도로 낮게 자라는데요. 잔디처럼 땅을 덮으면서 자라나는데 꽃 이불을 덮은 모습처럼 보여요. 멀리서 보면 잔디처럼 보이지만 꽃이 피어서 '꽃잔디'라는 이름이 붙여졌어요. 꽃의 모양이 패랭이꽃과도 비슷하여 '지면패랭이꽃'이라고 불리기도 한답니다. 식물가에서도 정원을 구성할 때, 지피식물로 꽃잔디를 많이 활용하게 되는데, 꽃이 피는 봄 외에도, 초록빛 꽃잔디가 자라나 자연스러운 정원을 연출할 수 있어요. 꽃잔디는 '어머니의 사랑, 자애'이라는 아주 예쁜 꽃말을 가지고 있답니다 :)

바이텍스 (Vitex negundo var. incisa) 관리 방법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식물가 입니다 : ) 오늘은 바이텍스 대해 소개해 드릴게요. 하늘하늘한 이미지를 가진 바이텍스 바이텍스 좀목형 (Vitex negundo var. incisa) 바이텍스는 좀목형과 목형이 있어요. 우선 외관적으로 다른 점을 설명해 드릴게요. 좀목형은 목형보다 작고 잎이 5장으로 나면서 가장자리가 톱니 모양으로 자라요. 톱니 모양의 잎을 가진 좀목형 바이텍스 이와 다르게 목형은 잎이 3장으로 나고 잎 가장자리에 톱니 모양이 거의 없어요. 자라고 있는 지역도 달라지는데요. 좀목형은 우리나라 경상도, 경기도 지역에 자생하고 목형은 남부지역에서 자랄 수 있다고 하네요. 한 번에 눈길을 사로잡은 바이텍스, 이쁜 애들 중 수형이 가장 아름다운 아이로 픽! 최근에 식물가에서 정원 작업을 하면서 바이텍스를 심었는데요. 잎의 가장자리가 톱니 모양으로 좀목형이네요. 처음 바이텍스를 보자마자 연보라색 꽃에 눈길을 사로잡혔는데요. 라인감 있는 가지에 보라색 꽃들이 하늘하늘하게 피어 있는 모습

조팝나무 '겐페이' (Spiraea japonica 'Genpei') 관리 방법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식물가 입니다 ~! 오늘은 정원을 더욱 화려하게 만들어줄 조팝나무 '겐페이' 에 대해 알아볼게요~! 겐페이 조팝나무 (Spiraea japonica 'Genpei') 겐페이 조팝나무는 분홍색 꽃과 흰색의 꽃이 동시에 피는 독특한 나무예요. 한 그루의 나무에서 다양한 색상을 볼 수 있어 많은 식물원과 정원에서 인기가 있답니다. 겐페이 조팝나무를 노지에 심었을 경우 여름과 가을에 두 번 꽃이 핀다는 특징이 있답니다. 여름에 꽃을 피우고 난 후, 져버린 꽃대는 바로 제거해 주면 가을에 다시 아름다운 꽃을 볼 수 있어요~! 이런 매력적인 특징으로 겐페이 조팝나무는 많은 정원가에게 사랑받고 있어요. 식물가에서는 화이트 & 퍼플 톤의 정원에 포인트로 겐페이 조팝나무를 식재하였는데요. 다른 꽃들과 어떤 조화를 이루면서 풍성한 정원을 만들어낼지 궁금해집니다 1. 햇빛 햇빛을 좋아해서 해가 잘 드는 곳에서 키워주세요. 적정량의 햇빛을 봐야지만 예쁜 꽃을 피워요. 2. 관수 흙이 마르지 않

버베나 하스타타(Verbena hastata) 관리 방법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식물가 입니다 : ) 오늘은 특이한 형태로 보라색 꽃이 피는 버베나 하스타타에 대해 소개해 드릴게요! 버베나 하스타타(Verbena hastata) 버베나 하스타타는 일반적으로 "blus vervain", "swamp verbena"라고도 불리우는데요. 여름에서 초가을에 걸쳐 밑에서부터 보라색 꽃을 계속해서 피우는 특징을 가지고 있답니다. 촛대 모양으로 위로 뻗어나가는 특이한 형태를 가지고 있어 "창 모양"을 의미하는 하스타타(hastata)라는 이름을 갖게 되었다고 하네요. 키도 60~120cm까지 자라는데요. 이런 높이를 가진 버베나 하스타타는 높게 자라는 식물과 낮게 자라는 지피 식물들 사이에 배치하여 다양한 식물들과 조화를 이루면서 풍성한 정원을 만들 수 있어요. 그리고 길고 강한 줄기로 인해 꺾이지 않고 꼿꼿한 모습을 유지하게 된답니다. 재밌는 사실 !! 버베나 하스타타는 북아메리카 동부가 원산지로, 따뜻한 온도를 좋아하지만 겨울에는 노지 월동이 가능한 다년

맥문동(Liriope platyphylla) 관리 방법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식물 공간 장식 전문가 식물가 입니다 :) 오늘은 우리나라 야생화인 맥문동에 관해 알려드릴게요. 맥문동(Liriope platyphylla) 맥문동은 6월에서 8월에 피는 대표적인 여름 꽃이에요. 여름의 시작과 함께 예쁜 보랏빛을 보여주고 겨울에는 꽃대 없이도 멋진 라인의 잎을 유지해 정원에도 많이 심겨요. 뿐만 아니라 노지월동 가능하고 키우기도 쉬워 길가에서 많이 볼 수 있답니다. 뿌리의 모양이 '보리(맥)'와 닮았고, 겨울에도 얼어죽지 않는 강인함에 '인동'이라는 말이 붙어 맥문동이라고 지어졌다고 해요. 맥문동은 잎이 난초처럼 가늘고 길어 잎은 잎대로 유려한 선을 뽐내고 꽃은 꽃대로 예쁜 보랏빛을 띄는데요, 맥문동은 꽃대가 얇고 길어 혼자 있으면 미미한 보랏빛처럼 보이지만, 군락을 지어 심겨져있을 때면 환상적인 보라빛을 발하는 꽃이에요. 얼핏 라벤더와 헷갈리기 쉽지만, 라벤더의 잎은 맥문동만큼 길지 않아요. 또 라벤더는 열매가 없는 꽃이고 맥문동은 작고 검은 열매가

이탈리아 티볼리의 분수 정원, 빌라 데스테 정원 (Villa d'Este)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식물로 공간을 아름답게 꾸미는 식물 공간 디자인 전문 식물가 입니다 : ) 오늘 소개해 드릴 유럽 정원은 이탈리아 티볼리에 있는 분수정원으로 유명한 빌라 데스테 정원이에요. 빌라 데스테 (Villa d'Este) 빌라 데스테의 정원은 르네상스식 정원, 분수 정원으로 유명한데요. 현재 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으로도 등재되어 있답니다. 좌 | 1560~1575년의 별장과 정원 우 | 1830년 빌라 데스테 정원 빌라 데스테에는 51개의 분수와 398개의 분출구, 364개의 워터제트, 64개의 폭포가 있는데요. 모든 분수가 펌프 없이 완전한 중력에 의해 작동한다고 해요. 이런 뛰어난 분수 시스템으로 르네상스 최고의 정원 중 하나가 되었다고 합니다. 빌라 데스테 넵튠 분수 빌라 데스테의 정원에는 수많은 종류의 신기한 분수들이 있는데요. 그중에서 유명한 분수 2가지 소개해 드릴게요. 빌라 데스테 정원의 분수들 100개의 분수 The Hundred Fountains 100개의 분수

러시안 세이지 (Perovskia atriplicifolia) 관리 방법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식물로 공간을 아름답게 만드는 식물가 입니다 : ) 오늘은 러시안 세이지 관리 방법에 대해 알아볼게요~! 러시안 세이지 (Perovskia atriplicifolia) 러시안 세이지는 회색빛 잎사귀를 가지고 있으면서 보라색 꽃을 피워 신비로운 느낌의 정원을 만들고 싶을 때 아주 많이 사용되고 있는 꽃이에요. 늦은 봄부터 가을까지 (5월~9월) 풍성하게 꽃을 피운답니다. 개화 기간이 길고 잎에서 좋은 향이 나서 많이 찾게 되는 꽃이에요. 봄과 여름에 오래된 줄기를 가장 낮은 잎사귀 바로 위까지 잘라내주면 새로 자라는 꽃들의 성장을 도울 수 있어요. 정원에 군락으로 심어주면 러시안 세이지가 가지고 있는 신비로운 색감과 뽀얗게 난 털의 질감을 더 돋보이게 표현할 수 있는데요. 연보랏빛 색감은 다른 초록빛 초화류들과 함께 있을 때 대비가 생겨 더욱 다채로운 정원을 만들어줍니다. 겨울철 잎들이 다 떨어진 후에도 회색빛 줄기가 남아 겨울의 황량한 정원에 포인트가 될 수 있어요. 그

떡갈잎수국 '스노우플레이크' ( Hydrangea quercifolia 'snowflake' ) 관리 방법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식물로 공간을 아름답게 만드는 식물가 입니다 ! 오늘은 떡갈잎수국 중 '스노우플레이크' 관리 방법에 대해 알아볼게요 : ) 떡갈잎수국 '스노우플레이크' (Hydrangea quercifolia 'Snowflake') 떡갈잎수국은 잎의 모양이 떡갈잎을 닮았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에요. 일반 수국은 토양의 성질에 따라 꽃이 색이 변하는데요. 떡갈잎수국은 일반적인 수국과는 달리 토양에 따라 꽃의 색이 변하지 않는다고 해요. 떡갈잎수국은 6월~7월에 매우 거대한 원추형 꽃을 피우는데, 흰색에서 핑크색, 가을에는 갈색으로 마르게 돼요. 이중 스노우플레이크 품종은 별같이 겹꽃으로 꽃을 피운답니다. 떡갈잎수국은 시간이 지나면서 핑크색으로 변하는 꽃 자체도 참 이쁘지만 가을에 붉게 물드는 단풍도 정말 화려하고 아름다워요. 그래서 정원을 구성할 때 봄에서부터 가을까지 다채로운 모습을 볼 수 있는 떡갈잎수국을 선호하게 되는 것 같아요. 1. 햇빛 해가 잘 드는 곳에서 키워주는 게 좋아요.

교토 료안지의 돌 정원, 카레산스이 정원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식물가 입니다 :) 오늘 소개해드릴 정원은 일본 교토의 료안지 돌 정원이에요. 가까운 일본의 정원은 어떤 모습일지 같이 보실까요? :) 료안지의 돌 정원 카레산스이 정원이 있는 료안지는 세계적인 문화유산인 '돌 정원'으로 유명한 사찰이에요. 료안지의 정원은 1499년 선승들에 의해 조영된 것으로 전해오고 있어요. 료안지의 돌 정원은 1975년 영국 엘리자베스 여왕이 방문하여 극찬한 뒤로 전 세계적으로 유명해졌어요. 카레산스이 카레산스이는 물이나 나무를 사용하지 않고 바위,모래,이끼로 산수를 표현한 일본 정원의 양식 중 하나에요. 모래는 바다나 호수와 같은 물을 상징하고, 돌은 섬 또는 산을 뜻해요. 료안지의 카레산스이 정원에는 흰 모래,이끼와 15개의 돌이 있는데요, 돌 배치에 대해 여러 설화가 있어요. 어미 호랑이가 새끼를 이끌고 강을 건너는 모습, 구름이 감싸고 있는 산정 모습, 바다 위 떠있는 섬의 모습, 등 다양한 설화로 사람들의 시각에 따라 다른 관점을 가지게

아스틸베(Astilbe) 관리 방법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플랜테리어 전문가 식물가 입니다 :) 오늘은 대표적인 여름 정원 꽃, 아스틸베에 대해 소개해드릴게요! 아스틸베(Astilbe) 아스틸베(=노루오줌)의 원산지는 중앙아시아, 북아메리카 동부에요. 줄기 꼭대기에 긴 원추꽃차례가 달려 5월 말부터 8월까지 여름 내내 볼 수 있는 대표적인 여름 꽃이에요. 아스틸베=노루오줌? 우리나라에서는 "노루오줌"으로 불리는데요. 우리나라 산에서도 많이 볼 수 있는 다년생 초본 야생화에요. "노루오줌"이라고 불리는 이유는 뿌리를 캐어 들면 노루오줌 냄새가 난다고 해서 불리게 됐다는 이야기와 노루가 자주 내려와 물 마시는 곳에 피는 꽃이라는 이유로 붙여진 이름이라고도 해요. 아스틸베는 산지의 숲 아래나 습기와 물기가 많은 곳에서 잘 자라요. 아스틸베는 컬러가 굉장히 다양한데요, 화이트, 핑크, 레드, 자주, 보라 등 굉장히 많은 품종이 있어요. 그래서 외국에서는 다양한 품종들이 육종되어 절화식물로 사랑받고 있어요. 영국 해리왕자 결혼식에서 부케

뉴욕 하이라인 파크, The High Line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 식물가 입니다. 오늘은 뉴욕에 위치한 하이라인 파크에 대해 알아볼게요! 하이라인 파크, The High Line 18세기 산업혁명 이후 뉴욕에서 산업이 폭발적으로 부흥하던 시기, 화물 운송을 위해 총 2.4km의 길이로 고가철도가 지어졌어요. 이 철도는 뉴욕 도심을 관통하여 첼시 지역을 지나 북쪽 허드슨 야즈까지 이르는데요. 자동차와 항공의 발전으로 철도산업은 점차 사라졌고 뉴욕의 하이라인 철도는 1980년 폐선된 후 30년 간 사람들의 발길이 끊겼었어요. 이렇게 사람들의 기억속에서만 존재할 뻔한 하이라인은 "Friends fo Highline"이라는 비영리 단체에 의해 2009년 6월 뉴욕의 명물로 재탄생했어요. 누군가의 이득을 위해서가 아닌 공공 공간으로서의 가치를 앞세워 많은 이들에게 행복을 주는 공간으로 재탄생한 배경이죠. 뉴욕 높은 빌딩 숲들 사이로 9미터 높이의 산책로가 된 하이라인 파크는 폐철도에 단순히 식물을 심은 산책로가 아닌,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을

콘크리트 사이의 틈새정원, 미국 The Crack Garden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식물로 공간을 아름답게 꾸미는 식물가 입니다 :) 오늘은 The Crack Garden(크랙 정원)에 대한 소개를 해 드릴게요. The Crack Garden , USA 우리나라 말로 '틈새정원'인 크랙가든은 1999년,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CMG 조경 업체로부터 만들어진 프로젝트 정원이에요. '케빈 콘거'는 이 프로젝트의 조경 업체이자 주택 소유자인데요 케빈 콘거는 주말동안 친구들을 불러 집 뒤뜰에 방치되어 있던 콘크리트 공간에 해머와 곡괭이를 이용해 라인을 따라 콘크리트를 부수고 콘크리트 사이의 틈을 이용해 정원을 만들었어요. 이 프로젝트는 불과 500달러로 완성했지만 2009년도의 미국 조경 건축 수상작으로 선정되는 기쁨을 누렸다고 해요! 이 멋진 아이디어는 범위와 예산이 한정적이어서 고안된 디자인이라고 하는데요, 삭막한 콘크리트 부지에 정원을 만들기 위해 어떤 새로운 구조물이나 자재를 더하기보다, 오히려 줄이고 빼는 것으로써 멋을 드러낸 정말 멋진 디자인이죠.

백당나무(Viburnum sargen) 관리 방법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플랜테리어 전문가 식물가 입니다 :) 오늘은 백당나무에 관한 정보를 알려드릴게요! 백당나무(Viburnum sargen) 백당나무는 주로 산지의 습한 곳이나 골짜기 등에서 자주 볼 수 있는 낙엽관목이에요. 백당나무는 사찰에서 흔히 볼 수 있는데요, 사찰 담장 주변에 불두화와 함께 심어 기르는 나무라서 법당 혹은 불당이라는 뜻으로 백당나무라고 부르게 됬어요. (*불두화는 백당나무를 개량한 품종으로써, 꽃의 모양이 부처의 머리를 닮고, 부처가 태어난 4월 초파일 즈음에 꽃이 절정으로 피어요) 백당나무의 꽃을 보면 꽃 피는 모양이 마치 접시꽃과 비슷하게 피기 때문에 '접시꽃나무'라는 별칭도 있답니다. 백당나무는 약 3m 정도 높이로 자라며 5-6월의 봄철에 꽃이 펴요. 백당나무 꽃이 만개하는 때는 5월이 절정이에요. 백당나무 특징 중 재미 있는 사실이 있는데요, 백당나무 꽃을 보면 바깥쪽을 빙 둘러 꽃이 피어 있고 안쪽으로 자잘한 꽃이 피어있죠, 여기서 바깥쪽의 화려한 꽃은

숙근버베나(Verbena hybrida Voss) 관리 방법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식물가 입니다 :) 오늘은 숙근 버베나 관리 방법에 대해 알아볼게요! 숙근 버베나(Verbena hybrida Voss) 숙근 버베나는 버들 마편초 또는 라일락 버베나라고 불려요. '숙근'이라는 말은 땅속에 뿌리를 내리고 자란다는 뜻인데요. 그래서 추위에 강하고 여러 번 꽃을 피우는 여러해살이 풀이에요. 또 건조에도 강해서 뙤약볕 아래에서도 잘 자라서 키우기 쉬운 식물 중에 속해요. 숙근 버베나는 초여름인 6월부터 10월 가을까지 여름 내도록 붉은 보라색의 꽃이 줄기의 끝에서 펴요. 꽃 하나의 크기가 아주 작지만 작은 꽃송이들이 모여있어 멀리서 보면 꽃송이들이 하나의 동그란 형태 꽃으로 보여요. 키도 60~120cm까지 자라는 키가 큰 식물인데요. 길게 자라서 쉽게 꺾이지 않을까 싶지만 줄기도 강한 편이라 꼿꼿한 모습으로 유지하는 꽃이에요. 잎이 거의 없이 곧게 뻗어 자라서 정원 식재 시 버베나 군락의 앞쪽에 키가 낮은 식물들을 같이 배치해 준다면 풍성한 정원을 만들 수

싱가포르의 가든스 바이 더 베이(Gardens by the Bay)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식물가 입니다. 오늘은 싱가포르에 위치한 Gardens by the Bay(가든스 바이 더 베이)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볼게요! Gardens by the Bay (가든스 바이 더 베이) 가든스 바이 더 베이는 마리나 베이의 물가에 위치 한 세계적인 규모의 온실로 세계에서 가장 큰 기둥 없는 온실이라고 해요. 무려 101헥타르 면적과 32,000 여개의 식물을 보유한 플라워돔과 포레스트 돔, 9-16층 높이의 수직 정원인 Super Tree로 장식되어 있어요. 슈퍼 트리 때문에 현실판 아바타 숲으로 불려지기도 하죠. 이 슈퍼트리에서는 매일 저녁 '가든 랩소디'라는 조명과 음악을 이용한 화려한 쇼가 열려 관광객들에게 볼거리를 많이 제공해요! 어마한 크기의 슈퍼 트리 옆에는 플라워 돔과 클라우드 포레스트가 있는데요, 조금 더 자세히 알아볼까요 :) Super Tree(슈퍼 트리) 온실 밖으로 나오면 영화 아바타에서 봤을 것 같은 비현실적인 크기의 나무들이 보여요. 25

대나무(Bambusoideae) 관리 방법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식물가 입니다 :) 오늘은 대나무에 관한 정보를 알아볼게요~ 대나무(Bambusoideae) 대나무는 온대성 식물이에요. 그래서 겨울 추위가 혹독한 곳에서는 견디기가 힘들어 주로 따뜻한 남쪽에서 군락으로 무리지어 잘 자라요. 하지만 요즘 평균적인 기온이 높아지는 온난화 현상으로 중부 지방에서도 생육할 수 있어요. 대나무는 이산화탄소 흡수 능력이 아주 뛰어나 온실가스 배출을 줄일 수 있는 이로운 식물이에요. 대나무숲 1헥타르당(10,000제곱미터), 연간 이산화탄소 약 30톤 가량을 흡수할 수 있어서 일반 나무의 4배에 달하는 흡수량을 보여요. 그래서 건축업계에서도 친환경 건축자재로 좋은 평가를 많이 받아요. 대나무는 성장 속도가 빠르고 가공 과정에서 온실가스를 거의 배출하지 않으며 수분 함량이 많아서 불에 잘 타지 않는, 건축재로 아주 좋은 특성을 가지고 있답니다. 여기서 대나무의 반전! 대나무는 앞서 말해드렸던 것 처럼 온대성 식물이지, 온대성 '나무'는 아니랍니다.

사초류(Carex) 관리 방법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식물가입니다. 오늘은 4계절 내내 푸름을 유지하는 상록성 사초류 식물에 대해 알아볼게요 :) 사초류(Carex) 사초과 식물은 조경소재로서 많은 사랑을 받는 식물이에요. 사초과의 사초속에는 전 세계적으로 약 2000여종이 분포하는데 따뜻한 온대지역이 주 자생지에요, 여러가지 식물들로 꾸며진 정원도 겨울만 되면 휴면기에 들어가 삭막해진 모습을 띄지만 상록성 사초류는 푸른 모습을 유지하며 정원에서 아주 큰 효자 노릇을 하는 식물이에요. 사초류 식물은 소군락이나 대군락, 또는 줄지어서 화단의 가장자리나 도로가, 구조물의 경계부에 효과적으로 이용되며, 옥상조경이나 실내정원 및 해안지역의 조경소재로도 널리 이용될 수 있어 효용가치가 굉장히 커요. 토양은 가리지 않으나 지나치게 건조하지 않고 습기가 풍부한 곳이 좋은데요, 대부분 습기가 비옥한 토양에서 잘 자라고 촉촉한 토양 유지와 동해를 방지하기 위한 바크,낙엽 등을 이용한 멀칭이 필수적이에요. 경우에 따라서는 차광망이나 부직포

배롱나무(Lagerstroemia indica) 관리 방법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식물로 공간을 아름답게 꾸미는 식물가 입니다 :) 오늘은 길가에서 핑크빛 포인트 역할을 하는 배롱나무에 대한 정보를 알려드릴게요! 배롱나무(Lagerstroemia indica) 배롱나무는 중국이 원산지인 부처꽃과의 낙엽교목이에요. 초여름에 꽃이 피기 시작해 가을까지 그 색과 향기를 유지한다 해서 백일홍 나무라고도 불리는데요, 국화과의 백일홍 꽃과 이름이 같아 혼동할 수 있음에 주의해야 해요. 배롱나무의 '배롱'은 백일홍에서 비롯된 이름으로 추정돼요. 배롱나무는 7~9월에 주로 진한 핑크색의 꽃이 피지만, 일부 흰색 꽃이 피기도 하는데요, 흰 꽃을 가진 배롱나무는 흰 배롱나무라 불려요. 배롱나무는 전국 어디서나 볼 수 있는 무궁화, 자귀나무와 함께 대표적인 여름의 꽃나무에요. 배롱나무의 꽃말은 부귀, 떠나간 벗을 그리워함이며, 흰 배롱나무의 꽃말은 수다스러움, 꿈, 행복이라고 해요. 1. 햇빛 햇빛을 좋아하는 나무에요. 충분한 햇볕을 쬐지 못하면 곰팡이나 잎의 갈변이 발

눈향나무(Juniperus chinensis) 관리 방법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식물가 입니다 :) 오늘은 눈향나무에 대해 알아볼게요~ 눈향나무(Juniperus chinensis) 눈향나무는 우리나라 원산지 식물로 상록 침엽수에요. 눈향나무라는 이름은 누워서 자라는 향나무를 뜻하는데요 향나무의 변종 중 하나에요. 이름처럼 낮게 포복하며 구불구불한 가지가 땅을 기는 듯한 형태로 자라요. 이런 자연스러운 수형에 매력을 느껴 사람들에게 관상용 식물로 많은 사랑을 받는 식물이에요. 정원에 눈향이 있으면 얼마나 예쁜지 몰라요. 눈향나무는 주로 해발 1000m이상의 높은 산의 바위틈에서 자라는 고산수종이지만 요즘에는 해발과 상관 없이 길가의 정원, 가정 정원등 어디서든 식재되고 있어요. 1. 햇빛 햇빛을 좋아해요. 햇빛을 많이 쬘수록 잎의 색이 더 진하다고 해요. 그늘뿐인 음지에서는 잘 자라지 못해요. 2. 관수 겉흙이 마르면 듬뿍 관수해주세요. 물이 부족할 시 잎이 더 뾰족하게 마르며 갈색으로 변해요. 물을 준 뒤 통풍에 신경써 주세요:) 3. 온도 눈향나

밀라노의 아파트 발코니 정원, 보스코 베르티칼레 Bosco Verticale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식물가 입니다! 오늘은 멋진 해외 정원 사례를 소개해 드릴게요 :) 보스코 베르티칼레(Bosco Verticale) 오늘 알려드릴 해외 정원은 이탈리에 밀라노에 위치한 보스코 베르티칼레(Bosco Verticale)라는 아파트 빌딩이에요. 보스코 베르티칼레는 지난 2009년 착공되어 2014에 완공된 80m와 112m 높이로 구성된 건축물인데요. 아파트로 사용되는 빌딩 전체가 수직 형태의 숲을 이루고 있어요. 보스코 베르티칼레는 건축물 관련 어워드에서 세계 고층 건축물 중 뛰어난 건축미를 자랑하는 10대 건축물로 여러 번 수상한 경력이 있다고 해요. 480개의 중간 크기의 나무와 300개의 작은 나무, 빌딩 표면을 덮고 있는 11,000개의 피복식물과 5,000개의 관목들로 빼곡하게 빌딩이 뒤덮여져 장관의 모습을 띄고 있어요. 보스코 베르티칼레는 친환경적인 식물 재료를 초고층 빌딩에 적용해 환경재생의 가능성과 생물 다양성을 열어주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지는데요, 건물

미국 뉴욕의 쌈지 공원, 페일리 파크 Paley Park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식물로 공간을 아름답게 꾸미는 식물 공간 디자인 전문 식물가 입니다 :) 오늘 소개해드릴 해외정원은 미국 뉴욕에 위치한 미니정원이에요. 페일리 파크(Paley Park) 우리나라 말인 "쌈지"라는 단어는는 규모가 작고 아담하다는 뜻을 담고 있어요, 우리나라에서는 작은 규모의 공원을 "쌈지 공원"이라고 지칭하는데요, 미국에서는 같은 의미로 '포켓 파크'(pocket park)라고 불려요. 주거환경의 밀집화로 인해 사유재산이 아닌 공공부지가 절대적으로 줄어들었을 뿐 아니라 사유재산을 수용하려면 비용부담이 엄청나 엄두를 못내는 지경에 이르렀죠. 이런 추세로 탄생한 도시형 공원을 '포켓 파크'라고 해요. 포켓파크 작은 공원이라는 뜻으로 도시나 마을의 길모퉁이나 보행자 공간의 일부 자투리땅에 조성하는 공원 가까운 거리에서 쉽게 찾고 이용할 수 있는 휴식,문화,놀이 공간이자 현대인의 생활 질을 개선하는 역할을 해요. 최초의포켓 파크는 미국의 페일리 파크가 최초의 포켓 파크랍니다.

비바리움에 대한 정보와 실내 미니 정원 인테리어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식물로 공간을 아름답게 만드는 식물가 SIKMULGA 입니다. 오늘 포스팅은 재미있는 주제로 가져와봤어요! 바로 유리 속의 미니 정원! 테라리움과 비바리움, 그리고 팔루다리움에 관한 이야기를 가져와봤습니다. 테라리움은 한 번쯤 들어보셨겠지만 비바리움과 팔루다리움은 처음 들으신 분도 있으실 거라 생각해요. 요즘은 나혼자산다에 출연하는 연예인들의 힐링취미로도 많이 소개되고 있더라구요. 먼저, 간단히 설명하자면 비바리움이 가장 큰 개념이고 비바리움에 어떤 생물(동,식물)을 넣냐에 따라 테라리움과 팔루다리움으로 불려요. 그럼 사진을 보며 설명을 이어나가볼까요? 비바리움(Vivarium) 비바리움 (Vivarium) : "Place of life"란 뜻으로 관찰이나 연구를 목적으로 동물이나 식물을 가두어 사육하는 공간을 일컫는다. 위키백과 비바리움은 특정한 생물이 살아가는 환경 조건을 작은 규모로 만들어 작은 생태계처럼 보이게 하는 것이에요. 비바리움의 규모에 따라 작은 것은 '

미스김라일락(Syringa pubescence) 관리 방법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식물가 입니다 오늘 소개해 드릴 식물은 미스김 라일락이에요 ! 미스김 라일락(Syringa pubescence) 미스김 라일락이라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우리나라가 원산지인 물푸레나무과의 낙엽관목이에요. 꽃의 크기는 잔잔하며, 짙으면서도 은은히 퍼지는 라일락 특유의 강한 향으로 라일락꽃이 피는 5월이 되면 길가 여기저기서 기분좋은 라일락 향이 나요. 미스김 라일락이라는 이름의 유래는 1947년 식물학 교수 웰윈 마셜 미더(Elwyn Marshall Meader)가 북한산 바위틈에서 자라던 식물을 발견하고 미국으로 가져가 개량 후, 자료 정리를 돕던 한국인 여성 직원의 성을 따서 미스김 라일락이라는 이름으로 퍼트렸다고 해요. 우리나라 식물인데 우리나라가 다시 수입을 한다니.. 조금 씁쓸하기도 하네요 ㅎㅎ. 미스김 라일락의 한글 이름은 수수 이삭 같은 모습의 꽃이 달려있다는 뜻의 "수수꽃다리"라고 불려요. 일반 라일락은 유럽이 자생지이고 서양 수수꽃다리라 불려요. 3m이상

가우라(Oenothera lindheimeri) 관리 방법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식물가 입니다 :) 오늘은 이름도 예쁜 가우라(=나비바늘꽃)이라는 식물에 대해 알려드릴게요 ! 가우라,나비바늘꽃(Oenothera lindheimeri) 북아메리카가 원산지인 가우라(=나비바늘꽃)는 6월에 꽃을 피기 시작해 추워지기 직전인 10월에 지는 꽃이에요. 어린 식물일 땐 키가 굉장히 작지만 아주 빠른 시간 내에 키가 60-150cm까지 크는 성장이 빠른 식물이에요. 가우라는 붉은 꽃과 흰 꽃으로 구분이 되는데요, 각각 홍접초와 백접초라고 불려요. 한들한들 흔들리는 가우라의 꽃잎이 마치 춤추는 나비 모양과 닮았다고 해서 우리나라에서는 '나비 바늘꽃'이라고 불려요. 가우라 라는 이름보다 우리말인 나비 바늘꽃이라는 이름이 더 예쁜 것 같죠? 가우라(Gaura)는 라틴어로 "최고로 멋진"이라는 뜻이며, 원산지인 미국에서도 춤추는 나비라는 형태를 하고 있어 Whiriling Butterflies(빙빙 돌고 있는 나비들) 이라고 불러요. 6월부터 10월까지 꽃이 피고 지고를

부시측백(Thuja occidentalis) 관리 방법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식물로 공간을 꾸미는 식물 디자인 스튜디오 식물가 입니다 :) 오늘은 부시 측백에 대해 알아볼게요! 부시 측백(Thuja occidentalis) 부시 측백은 호주가 원산지에요. 등근 측백 속 한 종류인데요. 전정을 하지 않아도 스스로 둥글고 단정한 수형을 유지하고 성장이 굉장히 느린 식물이에요. 영화 속 외국 가정집 정원에서 많이 본 기억이 있는 듯한데요. 잎에서 진한 향기가 나고, 색상은 늘 푸르고 형태는 둥글게 유지된다는 점에서 디자인 정원수로도 많이 식재돼요. 관리가 쉬운 식물은 어디서든 인기가 많은 법이죠 :) 부시 측백은 우리나라에서는 전국에서 생육이 가능하고, 중부권에서 월동도 가능해요. 에메랄드그린과 유사한 잎 모양을 하고 있고 거의 흡사해 보이지만, 부시 측백은 둥근 모양으로 만들어지는 게 다른 점이에요. 부시 측백은 여러 가지 품종이 있는데요, 테디, 타이니 팀, 데니카, 에메랄드 부시가 가장 많이 사용되는 품종들이에요 ! 1. 햇빛 일광욕을 좋아해서 실

철쭉(Rhododendron schlippenbachii) 관리 방법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 식물가 sikmulga 입니다. 오늘은 철쭉에 대해 함께 알아볼게요. 철쭉(Rhododendron schlippenbachii) 진달래 속에 속하는 철쭉은 2~5m까지 자라며 4월쯤 거리에서 군락을 이뤄 자란 모습을 많이 볼 수 있어요. 철쭉은 크게 왜철쭉, 영산홍,자산홍을 나뉘어요. 자산홍은 조경용으로 많이 심고 자색 꽃을 피워서 주변에서 보라, 분홍 철쭉을 봤다면 자산홍일 가능성이 커요. 철쭉이란 이름은 한자이자 중국에서 사용하는 이름인 "척촉"에서 유래됐다고 하는데요, 당시에는 '텩툑'으로 읽다가 텩튝,텰듁,철촉을 거쳐 철쭉으로 정착된 걸로 추정돼요. 이 "척촉"은 '머뭇거릴 척'과 '머뭇거릴 촉'을 나란히 붙여 철쭉이 지닌 독성을 표현했다고 해요. 철쭉의 독성은 자연 독소인데요, 애벌레로부터 꽃을 방어하기 위해 분비되는 그라야노톡신이라는 물질이에요. 실제로 철쭉을 진달래꽃과 혼동해 먹게 되면 심한 배탈이 나고 구토를 할 수 있어요. 많은 분들이 진달래와 철쭉을

백리향(Thymus quinquecostatus) 관리 방법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식물로 공간을 아름답게 꾸미는 식물가 입니다~~~ 오늘은 야생화 '백리향'에 관해 알아볼게요! 백리향(Thymus quinquecostatus) 백리향은 우리나라에서 나고 우리나라에서 자생하는 야생화에요. 이름에서 눈치채셨겠지만 향이 백 리까지 퍼진다고 하여 '백리향'이라는 이름을 가졌어요. '향기'와 '용기'라는 꽃말을 가진 백리향은 잎에서 레몬향이 나요. 백리향 꽃이 많이 피어있는 밭에서 백리향을 손으로 전체를 훑듯이 쓰다듬어보면 굉장히 부드러워요. 백리향은 허브식물인 동시에 땅에 붙어서 자라는 지피식물이기도 해서 화단의 빈 부분이나 잔디 대신 사용하기도 해요. 지피식물 : 땅을 덮듯이낮게 자라는 식물. ex)눈이끼,잔디 등등 백리향의 꽃은 요즘 평균 4-6월에 피는데요, 따뜻한 화원에서 자란 백리향들은 한 달 정도 더 빨리 피는 것 같아요. 허브과인 백리향은 외국에서 요리에도 종종 사용되고, 약으로도 사용된다고 해요. 또한 방부작용과 항균작용으로 민간요법에 많이 쓰

은쑥(Artemisia schmidtiana) 관리 방법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식물가 입니다 :) 오늘은 은쑥이라는 식물에 대한 정보를 알려드릴게요. 은쑥(Artemisia schmidtiana) 은쑥은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이에요. 원산지는 일본이지만 백두산,시베리아,유럽 북미 등등 아주 넓은 지역에서 자생해요. 은색 빛이 난다고 하여 은쑥이라는 이름이 붙여졌구요. 햇빛을 받으면 부드러운 은색의 잎이 관상가치가 높아 정원에 지피식물로도 많이 활용되는 풀꽃이에요. 6-9월 사이 연한 노랑색의 작은 꽃이 피지만 주로 잎의 색이 예뻐 기른답니다. 또한 이름에서 알 수 있다시피 우리나라의 쑥과 유사한 종류인데요, 향도 쑥향이 나요. 여리여리한 은빛 색상을 가졌지만 성질이 튼튼하고 내한성이 강하여 관리하기 쉬워요. 고온다습한 환경에 약한 편이에요. 햇빛이 잘 들고 물빠짐이 좋은 척박한 토양에서 아주 잘 자란답니다. 1. 햇빛 양지, 반음지에서 자라요. 햇볓을 좋아해 양지바른 곳에서 잘 자라요. 2. 관수 은쑥은 건조에 강한 식물이라 과습에 더 주의를 기울여야

튤립왕국 네덜란드의 쾨켄호프 정원 keukenhof garden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식물가 입니다. 오늘은 튤립왕국 네덜란드의 쾨켄호프 정원에 대한 소개를 해 드릴게요 :) 쾨켄호프 정원 쾨켄호프 정원은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정원 중 하나로 알려져 있어요. 네덜란드에서 봄의 시작을 알리는 튤립축제인 쾨켄호프는 3월말부터 5월까지 약 700만여점의 구근 식물이 축제를 빛낸다고 해요. 에버렌드에서 열리는 튤립축제의 원조격인 만큼 규모가 5배가 넘는다고 해요. 쾨켄호프의 정원 형태는 1949년도에 완성되었다고 하는데요, 기존에는 15세기에 성의 부엌에 딸린 정원이라 부엌정원(keukentuin)이라고 불렸다고 해요. 요리하다 필요한 채소나, 야채 등 식자재들을 이 정원에서 바로 공급했던거죠. 밭으로 쓰이던 정원이 꽃이 심겨지게 된 건 1938년에 동인도회사의 선장인 아드리안 블럭이 부동산을 구입하면서 정원의 주 목적이 바뀌었어요. 초기에는 구근 재배자와 꽃 수출업자가 직접 키운 제품을 선보이고, 더 큰 수출 산업을 위해 설립되었다고 해요. 쾨켄호프의 정원은

핑크뮬리(Muhlenbergia capillaris) 관리 방법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식물 장식 전문가 식물가 입니다 :) 오늘은 소개해 드릴 식물은 가을만 되면 엄청난 인기의의 '핑크뮬리'에요! 핑크뮬리(Muhlenbergia capillaris) 핑크뮬리는 미국이 원산으로 미국 서부와 중부의 따뜻한 지역의의 평야에 자생하는 여러해살이 풀이에요. 벼과에 속해서 자세히 보면 벼와 비슷한 모습을을 하고 있어요. 이름에서 알 수 있듯 겉모습이 분홍빛을 띄는데요, 9월에서 11월에 피는 연핑크색의 꽃이 무리지어 있으면 마치 분홍 물결처럼 보여 조경용으로 인기가 많지요. 우리 나라에서는 어느 순간부터 핑크뮬리의 인기가 확 많아졌는데요, 2010년대 후반, 인공적으로 핑크뮬리를 식재한 곳이 늘어나면서부터 사람들의 관심과 사랑을 많이 받은 식물이에요. 핑크뮬리는 30cm~최대 1m의 높이로 자라며 여름에는 푸른 빛의 잎, 가을에는 분홍빛에서 자줏빛의 꽃이 아름다워요. 국내에서는 주로 경주시 첨성대 인근, 칠곡군 가산수피아, 제주도 서귀포시 안덕면 서광리 등에 식재되

단풍나무(Acer palmatum) 관리 방법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식물가 입니다 :) 오늘 알려드릴 식물정보는 단풍나무에 대한 이야기에요! 단풍나무는 어떤 특성을 가진 나무인지 같이 알아보실까요~? 단풍나무(Acer palmatum) 단풍나무는 한국이 원산지며 동아시아, 유럽 및 북미에서 분포해요. 길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나무 중 하나죠! 하지만 자세히 보면 색도, 나무의 수형도 전부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을 거에요. 단풍나무는 전 세계적으로 약 128종의 다양한 형태를 띠고 있거든요. 대표적으로 4계절 초록빛을 유지하는 청단풍, 가을에 화려한 붉은 단풍으로 낙엽 지는 홍단풍, 또 메이플 시럽을 만들 수 있는 설탕단풍 등이 있지요. 단풍나무는 크기가 작은 장식용 나무부터 최대 40미터까지도 자라는 나무에요. 단풍잎의 색은 봄과 여름의 초록, 가을의 빨강, 주황, 노랑까지 계절에 따라 다채로운 색을 보여줘서 가을을 대표하는 나무가 됐어요. 이런 색상 변화는 주로 일조량과 온도의 변화에 의해 조절돼요! 단풍나무의 빽빽한 잎은 사람들에게

가정집 플랜테리어 공간 별 추천 식물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여러분 :) 식물로 공간을 아름답게 꾸미는 식물가 입니다. 오늘 포스팅은, 집에 식물을 가져다 놓고 싶은데 어떤 공간에 어떤 식물을 둬야 좋을지 궁금하신 분들을 위해 가정집 플랜테리어 시, 공간 별 어울리는 식물배치법을 알려드릴게요 :) 온 가족의 넓은 공용 공간, 거실 spacejoy, 출처 Unsplash 온 가족이 사용하는 공용 공간인 거실에는 유기 화학물 제거 능력이 있고 공기 청정 능력이 뛰어난 식물을 추천드려요. 거실은 집에서 가장 넓은 공간인 만큼 1m 이상의 키가 큰 식물을 놓는 게 플랜테리어 효과가 더 좋아요. 순서대로 몬스테라, 아레카야자, 휘커스 움베르타의 모습 거실에 놓기 좋은 대표적인 식물로는 몬스테라, 아레카야자, 휘커스 움베르타 추천 드려요! NASA가 발표한 실내 공기 정화 식물 중 언제나 상위권의 성적을 내고 있는 식물들이죠. 모두 키우기 쉬운 관엽 식물에 속하고 키가 큰 식물들이라 넓은 거실에 맞게 시원시원한 매력을 내뿜어요. 거실에 이런

미니멀 인테리어에 어울리는 미니멀 식물 TOP 3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 식물로 공간을 아름답게 만드는 식물디자인 스튜디오 식물가 SIKMULGA 입니다. 모든 정리의 기본은 '비움' 으로부터라고 하죠? 요즘엔 정리 방법 뿐만 아니라 라이프 전반에 걸쳐 "미니멀리즘"이 대두가 되고 있는데요. 미니멀리즘(minimalism)? 번역하면 '최소주의'로 최소한의~'라는 뜻의 'minimal'과 이념을 나타내는 접사 '-ism'가 합쳐져 만들어짐 출처 : 나무위키 미니멀 라이프는 꼭 필요한 최소한의 것들로 살아가는 것을 뜻해요. 물론 사람마다 필요한 최소한의 것들이 다르지만 사람이 살아가는데에 식물이 주는 긍정 효과를 대체 가능한 건 없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삶에 있어서 식물은 꼭 필요하겠죠. 오늘은 식물가가 미니멀 라이프를 위한 미니멀 인테리어에 빠질 수 없는 식물 3가지를 추천해드리려고 합니다. 1. 타고난 미니멀함, 황칠나무 감성 식물이자 존재 자체가 미니멀한 황칠나무입니다. 황칠나무는 과거 왕실에서만 볼 수 있을 정도로 귀한 나무였다고 하는

강남 벽조화 장식 실내 플랜트 월 인테리어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식물 디자인 스튜디오 식물가 SIKMULGA 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 다뤄볼 주제는 플랜테리어의 꽃, 플랜트 월(Plant Wall) 입니다 :) 플랜트월은 식물(Plant)+벽(Wall)의 합성어인데요. 말 그대로 건축물의 수직벽면을 다양한 식물로 뒤덮는 것을 뜻해요. 플랜트월이라는 말 외에도 수직정원, 그린 월, 벽면녹화 등 다양하게 불린답니다. 플랜트월은 생화, 조화를 모두 이용 가능해요. 아래에서 각 사례를 보여드릴게요 :) 살아 숨 쉬는 벽, 생화 플랜트 월 건축물 전체를 생화 식물로 연출해, 정원을 따로 둘 필요 없어 보이죠. 사진 속은 건축물의 외부를 생화 식물로 연출 한 건데요. 이 경우엔 건축물을 감싸고 있는 식물이 건물의 전체 온도를 낮춰줌으로써 도시 속 열섬 효과를 예방하고 건물의 에너지 효율을 높여주는 장점이 있어요.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벽이면 삭막했을 텐데 플랜테리어가 주는 심미적 기능도 있죠. 생화를 이용한 실내 플랜트월이에요. 실내를 이렇게

남천(Nandina domestica) 관리 방법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식물가 입니다 :) 오늘은 남천 나무에 대해 알아보도록 할게요! 남천(Nandina domestica) 남천은 매자나무과에 속하는 나무로 중국 남부와 인도가 원산지에요. 우리나라에서는 정원수로 많이 심는 상록성 떨기나무에요. 얇고 가는 줄기가 모여나기 하며 곧게 자라고 꼭지 부근에 잎이 퍼져 달리는 나무라 중국에서는 '남천 대나무'라고 불려요. 남천은 초록 잎을 바탕으로, 콩알만 한 탐스러운 열매가 늦가을에 익어서 이듬해 봄까지 열려있는데요. 봄과 여름에는 푸른 잎과 하얀 꽃을, 가을에는 붉게 물들어가는 줄기와 잎을, 겨울에는 붉은 열매로 성탄 분위기를 내서 사계절 내내 다채로운 모습을 보여준답니다. 대부분의 정원수들이 월동하느라 조금 앙상한 모습으로 휴면기에 들어갔을 때도, 남천은 울긋불긋한 잎 사이로 새빨갛고 탐스러운 열매를 보여주고 있어 정원의 허전함을 예쁘게 채워주는 아주 기특한 나무죠 ㅎㅎ 정원 노지에도 키울 땐 물이 잘 빠지는 반그늘에 위치한 흙에서 잘 자라구

회양목(Buxus microphylla var. koreana) 관리 방법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식물로 공간을 아름답게 꾸미는 식물가 입니다 :) 이번 포스팅의 주인공인 식물은 바로 회양목이에요. 이름은 생소할 수 있지만 사진을 보면 "아! 얘?" 하실거에요ㅎㅎ 길거리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회양목에 대해 알아볼까요? 회양목(Buxus microphylla var.koreana) 길 걷다보면 마주할 수 밖에 없던 그 나무! 도보와 화단의 경계 울타리 역할을 하는 이름 모를 푸르른 나무 기억나시나요? 오히려 길가 화단에서 안보이면 허전한 이 나무가 바로 회양목이랍니다 :) 회양목은 학명에서 알 수 있듯이 우리나라 전역에서 분포하는 사철나무과 상록 활엽 관목이에요. 환경에 대한 적응력이 아주 좋고 추위에도 강해 우리나라 조경수로 인기가 많은 나무죠. 관공서 뿐만 아니라 아파트 조경, 수목원, 개인 정원 등등 많은 곳에서 다양하게 식재되어 있음을 보셨을 텐데요. 빽빽한 초록잎 덕에 울타리 용도로 많이 쓰이고, 정원 디자인 시 수형 조절이 자유로워 구역을 확실히 나누거나 단

고창 청농원 라벤더 축제, 가족 나들이 명소 추천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식물가입니다 :) 오늘 포스팅은 5월 말부터 열리는 6월의 대표 꽃, '라벤더' 에 관한 고창 축제 정보를 알려드릴게요. 고창 청농원 고창 청농원은 고창 공음면에 위치한 무려 2만여평의 스테이팜 관광지에요. 여름에는 라벤더정원 뿐만아니라 수국정원도 볼 수 있구요. 가을에는 핑크뮬리 정원 관람 서비스를 제공하고 그밖에도 카페, 한옥스테이 시설 등 다양한 관광시설을 즐길 수 있어요. 약 4000평의 라벤더 정원에는 다양한 포토존이 있고 한옥과 라벤더를 같이 볼 수 있는 독특한 뷰가 매력적인 곳이에요. 또 반려견 동반입장도 가능해 반려견과 함께 좋은 추억을 남기기에 좋은 장소에요. 고창 청농원 라벤더 축제 정보 장소 : 고창 청농원 라벤더 가든 운영 기간 : 5월 27일 (토) ~ 6월 30일 (금) 운영 시간 : 9:00~17:30 (입장 마감 : 17:00) 입장료 : 5,000원 (14세 미만 무료) 주차 : 무료 주차 주차장은 1~3주차장까지 있고 안내요원이 있어요.

라벤더(Lavandula species) 관리 방법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 식물로 공간을 꾸미는 식물가 입니다 :) 오늘은 지난 라벤더 축제 소개 글에 이어 '라벤더'에 대한 정보와 관리 방법 소개해 드릴게요 :) 라벤더(Lavandula species) 라벤더는 지중해 연안이 원산지인 꿀풀과에 속하는 식물이에요. 기다란 꽃대 위 보라색의 작고 긴 타원형의 꽃망울들이 옹기종기 매달려있는 모습을 하고 있어요. 꽃의 색이 아름다운 보라색을 띠고 있어 연보라색 계통의 대명사로 라벤더라는 말이 활용되기도 하죠. 또 라벤더는 향기가 좋기로 유명할 만큼 마음의 안정이 되는 은은한 향을 자랑하는 허브식물인데요. 향 자체도 뛰어나지만 공기 정화 효과도 있고 향으로 숙면까지 도와주는 역할도 해요. 그래서 향초뿐만 아니라 아로마 오일, 방향제, 향수 등 다양한 제품에서 라벤더 향을 찾을 수 있어요. 라벤더의 종류는 약 40가지인데 대표적인 라벤더 품종은 잉글리시 라벤더, 프렌치 라벤더가 있어요. 프렌치 라벤더는 가장 대중적인 라벤더로 꽃대 위에 기다란 보라색

휴케라(Creeping saxifrage) 관리 방법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식물가입니다. 오늘은 야생화 '휴케라'에 대한 포스팅을 가져왔어요. 휴케라는 어떤 특성을 가진 식물인지 함께 알아볼게요 :) 휴케라(Creeping saxifrage) 휴케라는 네덜란드 원산지의 다년초 야생화에요. 사계절 내내 다채로운 색상과 주름지고 화려한 모양의 잎을 가진 아주 매력적인 관엽식물이며 노지에서 군락을 이뤄서 자라는 특성으로 정원 조경 시, 컬러 포인트가 필요한 부분에 자주 활용되는 식물이에요. 정원에 군락을 이루고 심어져있는 휴케라는 얼마나 복실복실하고 예쁘게요 ㅎㅎ 휴케라는 품종에 따라 개화기가 다르지만, 보통 3월이 되면 화려한 잎들 사이로 30-40cm 정도 높이의 길고 가는 꽃대가 나오는데요. 그 가는 꽃대에서 핀 꽃 역시 하늘하늘하고 정말 예쁘답니다:) 1. 햇빛 휴케라는 대표적인 음지식물로 강한 햇빛을 싫어해요. 직접적인 강한 빛은 휴케라의 잎을 태워 버린답니다. 휴케라 잘 자라는 최적의 환경은 음지, 반음지에요. 2. 관수 휴케라는 건조에 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