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tsonmro의 등록된 링크

 vitsonmro로 등록된 네이버 블로그 포스트 수는 43건입니다.

누전 차단기 떨어지는 원인과 이유를 알아야 대처할 수 있다 [내부링크]

누전 차단기 떨어지는 원인과 이유를 알아야 대처할 수 있다 건물 내 전기를 사용하다 누전 차단기가 떨어지게 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죠. 누전 차단기가 떨어져서 두꺼비집을 열고 다시 올려도 떨어지고 올려도 떨어지는 반복된 문제가 발생될 수 있습니다. 누전 차단기가 떨어지는 원인은 여러 가지 있을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러한 누전 차단기가 떨어지는 이유와 해결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멀티콘센트 허용 용량 초과 누전 차단기가 떨어지는 원인 중 가장 흔하게 발생되는 원인 중 하나가 멀티 콘센트가 갖고 있는 허용 용량을 초과했을 경우 누전 차단기가 떨어지게 됩니다. 멀티 콘센트의 뒷면을 확인해 보면 허용 용량이 표시되어 있는데 보통 10A~16A를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10A 250V 멀티 콘센트는 최대 2000W까지 사용 가능 16A 250V 멀티 콘센트는 최대 3000W까지 사용 가능 사용하고 있는 가전제품 중 전력 소모가 높은 에어컨, 전열기구 등

화장실 청소 냄새제거 끝! 프레쉬 벌집 소변기 탈취제 [내부링크]

소변기 냄새를 없애주고 화장실을 상쾌하게 만들어주는 프레쉬 소변기 탈취제(벌집형) 우리가 화장실 청소를 하면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부분은 바로 "변기" 입니다. 그 중 좌변기보다 더욱 냄새가 나는 소변기는 닦기에도 불편하지만 닦고나서도 빠지지 않는 "냄새" 때문에 많이들 고민할 수 밖에 없습니다. 냄새의 원인 화장실 청소를 하면서 아무리 열심히 닦고 닦아도 화장실 냄새가나는 원인은 무엇일까요? 냄새의 최대 원인은 소변기 배수구 냄새 입니다! 첫번째는 소변기 안쪽 배관에 껴있는 "암모니아 석회"입니다. 일반 배관에도 낄 수 있는 이 석회는 물때와 함께 각종 이물질로 생기게 되는데요 특히 소변기는 암모니아와 함께 고체화된 석회로 직접 녹여서 없애기 전 까진 냄새가 계속 발생할 수 밖에 없습니다! 두번째는 소변기 주변으로 튄 소변 입니다. 아무리 조준(?)을 잘 한다고 하더라도 어쩔 수 없이 물리법칙에 의해 튀게되는 소변이 바닥이나 소변기 옆면에 묻은채로 굳게 되어 암모니아 냄새가 나

18650 배터리 보호회로장치의 필요성 [내부링크]

18650 배터리의 보호회로장치는 수류탄의 안전핀과 같다 일상생활에서 없어서는 안 될 배터리! 배터리의 종류는 어마어마하게 많습니다. 실생활에서 사용하는 일반 AAA 배터리부터 전기자동차의 배터리까지 배터리의 쓰임새와 능력은 무궁무진하게 늘어나고 있는 현재 우리의 생활에서 밀접하게 사용되는 휴대용 배터리 중 고에너지를 가지고 있는 18650 배터리는 일반 AA 배터리, AAA 배터리와 다르게 주의사항이 각별합니다! 그럼 18650 배터리의 능력과 주의사항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리튬 이온의 18650 배터리란? 일단 리튬이온전지에 대하여 알아봐야 합니다! 리튬이온전지란 에너지밀도가 높고 충전효율이 우수하여 요즘 많이 사용되는 배터리입니다! 일반 배터리보다 고효율과 고에너지를 가지고 있는 배터리이기 때문에 높은 전압, 전류, 방전량이 필요한 기기라면 필수적인 배터리라고 보시면 됩니다! 그래서 일반적으로 랜턴이나 선풍기, 보조배터리, 전동드릴, 노트북, 무선 청소기 등 각종 휴대기기,

빌트인 콘센트가 인테리어에 필수인 이유?(BIS 가구형 매입 콘센트) [내부링크]

멀티탭 NO! BIS 빌트인 콘센트로 예쁘게 숨기자! 인테리어 필수품 요즘은 인테리어에 관심이 많은 분들이 정말 많습니다 업체를 통한 리모델링부터 셀프 인테리어, 부분 인테리어 등등 나의 집을 조금이라도 더 예쁘고 취향에 맞게 꾸미고 싶은 마음은 누구나 가지고 있죠! 그러나 집을 꾸미고 인테리어를 진행함에 있어서 항상 아쉬운 부분들이 있기 마련인데요 우리에게 너무나 필수적이나 어떻게 해도 예쁘지 않고 가려지지 않는 콘센트! 그런 콘센트를 예쁘게, 실용적으로, 안전하게, 인테리어 효과까지! 나타낼 수 있다면 과연 참을 수 있을까요?? 빌트인 콘센트? 빌트인 콘센트란 Built-in(내장된/일체형의)과 consent(콘센트)의 합성어로 외부의 노출되지 않고 일체형으로 내장된 콘센트를 의미합니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빌트인 냉장고, 빌트인 인덕션을 생각하시면 되는 거죠! 그런데 콘센트를 어떻게 빌트인으로 일체형화 시켰을까요? 보통 많이 쓰이는 아일랜드 식탁, 싱크대, 책상, 선반 등

서큘레이터 선풍기 차이 같아 보이지만 다른 제품 [내부링크]

서큘레이터 선풍기 차이 같아 보이지만 다른 제품 여름철 필수 아이템 중 하다가 선풍기 또는 서큘레이터입니다. 두 제품 모두 전기 모터를 사용해 날개가 회전하면서 바람을 만드는 가전제품입니다. 만약 서큘레이터를 선풍기와 같은 용도로 사용하고 있다면 이 포스팅 내용을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선풍기와 서큘레이터 차이와 바람의 원리 선풍기는 날개가 회전하면서 공기를 앞으로 밀어내는 간단한 원리로 가까운 범위 안에 바람의 넓게 퍼트리고, 서큘레이터는 실내 공기를 강력한 바람으로 먼 거리까지 직선으로 바람으로 나가기 때문에 내부 공기 순환을 위한 최적화된 게 서큘레이터의 용도입니다. 이러한 서큘레이터는 제트엔진의 원리를 응용하여 바람을 만드는데, 흡입된 공기를 압축하고 팬을 통해 공기의 회전력을 더해 그릴 통해 직진성을 가진 공기를 만들어낼 수 있게 됩니다. 선풍기와 서큘레이터 차이와 바람의 원리 서큘레이터의 앞 부분 그릴(커버)를 보면 대부분 나선형으로 되어 있는 제품들이 많은데 이 나선형

기존 형광등에 LED 조명을 사용할 수 있어요! LED 대체 램프 알아보기 [내부링크]

기존 형광등 자리에 LED 램프를 사용할 수 있는 탑룩스 LED 대체 램프 요즘 LED 조명의 사용률이 아주 높습니다! 불과 10년 전만 해도 LED 조명은 비싸다는 인식이 있었지만 이제는 저렴하고 가성비 좋은 LED 조명도 많이 나오는 만큼 LED 조명을 사용하시는 분들이 정말 많아졌는데요 하지만 아직도 일반 형광등을 사용하시는 분들도 많습니다! 그냥 사용하던 거라서, 눈이 덜 아파서, 비싸서.. 여러 가지의 이유로 아직 형광등을 사용하시는 분들이 많은데요 이제 LED형광등으로 교체해야 한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형광등 2028년부터 사실상 퇴출.. 2022년 8월경 실제 뉴스로 발표되었습니다 기존 형광등을 2027년까지 순차적으로 제재하여 2028년부터는 사실상 퇴출시키겠다는 계획이었죠! 아직 형광등을 사용하시는 분들에게는 놀라지 않을 수 없는 뉴스였습니다! 하지만 이런 계획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었는데요 2009년 정부는 기존에 사용하던 백열등을 퇴출시키겠다! 발표를 하였고 이

케이블 트레이 종류 및 시공 조건(사다리형, 바닥 밀폐형, 펀칭형, 메쉬형) [내부링크]

케이블 트레이 종류 및 시공 조건(사다리형, 바닥 밀폐형, 펀칭형, 메쉬형) 건물 내 전선이나 케이블 또는 전선관 등이 지나갈 수 있는 통로로 사용되는 대표적인 배관 자재 중 하나가 케이블 트레이입니다. 케이블 트레이는 건물 내 천장 부분에 설치할 수 있고, 시공 후에도 위치 변경, 철거, 크기 조절 등의 작업이 용이하도록 금속제 부속품을 결합하여 시공하게 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케이블 트레이의 종류와 시공 조건이 어떻게 되는지 간략하게 알아보겠습니다. 케이블 트레이 종류 케이블 트레이의 종류에는 사다리형, 바닥 밀폐형, 펀칭형, 메쉬형 크게 4가지로 구분됩니다. 현장 상황과 케이블 종류에 따라 구분되어 설치되는데 4가지 트레이가 어떤 차이점이 있고 각 종류별 어떤 특징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사다리형 케이블 트레이 1. 사다리형 케이블 트레이 사다리형 케이블 트레이는 현장에서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케이블 트레이로 일정한 간격에 가로대(rung)가 지지한 형태로 되어 있는

새들 종류와 재질 KEC 규정에 맞는 지지 간력 [내부링크]

새들 종류와 재질 KEC 규정에 맞는 지지 간력 새들은 노출 배관 공사에서 합성수지관이나 금속관 등을 안정적이게 고정할 때 사용될 수 있는 배관 부속중 하나입니다. 이러한 새들은 어떻게 사용되며 관련 규정은 어떻게 되어 있는지 확인해 보겠습니다. 새들(Saddle) 새들은 말 탈 때 앉을 수 있는 안장을 영어로 새들(Saddle)이라고 합니다. 말안장을 보면 배관 공사에 사용되는 새들과 유사한 형태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새들이라고 명칭 되어 사용되고 있습니다. 새들(Saddle) 이러한 새들은 전선을 보호하는 배관 등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때 주로 사용하게 되는데 새들의 양쪽 구멍에 피스를 박아 합성수지관이나 금속 등을 고정할 수 있죠. 새들 이렇게 새들은 피스로 고정되어 사용되는데 배관의 외경 지름에 따라 새들도 그에 따른 규격이 있어 배관 지름에 맞는 새들을 선택해 사용해야 합니다. 반새들 피스를 양쪽으로 작업하는 새들은 양새들, 온새들이라고 부르고, 한 쪽에만 피스 작업하는 새들

순간접착제 손에 묻었을 때 지우는 법, 베이킹 소다로 강력하게 사용하는 법 [내부링크]

순간접착제 손에 묻었을 때 지우는 법, 베이킹 소다로 강력하게 사용하는 법 일상이나 상업 공간에서 접착이 필요할 경우 순간접착제를 많이 사용하죠. 이러한 순간접착제를 사용하다 보면 잘 붙지 않을 때도 있고, 접착제를 사용하다 손에 묻어 떼기 어려울 상황도 생기기 마련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순간접착제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순간접착제 사용 전 장갑 선택 순간접착제를 사용할 때 장갑을 착용하지 않은 맨손으로 작업할 경우 손에 묻은 순간접착제가 잘 제거가 되지 않습니다. 순간접착제를 사용할 때는 반드시 장갑을 착용하는 것이 좋은데, 장갑을 선택할 때는 면장갑을 피해야 합니다. 섬유 재질의 면장갑과 순간접착제 성분이 닿게 되면 고온의 열이 발생해 화상을 입게 될 수 있으니, 섬유 재질의 장갑보다는 비닐장갑이나 고무 재질의 장갑을 착용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순간접착제 잘 붙지 않을 때 순간접착제를 사용하다 보면 잘 붙지 않을 경우가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는 접착 면

기계의 빨간약! WD40 녹제거만 사용하나요? [내부링크]

기계의 빨간약! WD40 녹제거만 사용하나요? WD40은 산업현장에서 녹 제거로 많이 사용하고, 일상생활에서는 청소 용품으로 정말 많은 곳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다양한 곳에서 쓰임새가 많기 때문에 요즘은 생활용품으로 사용되고 있죠. 이러한 WD40의 간단한 이해와 용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WD40 개발 배경 WD40은 1953년 로켓 케미컬이라는 회사에서 처음 개발했으며, 사용목적은 미사일의 부식과 습기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었다고 합니다. 이러한 특성은 산업 현장과 일상에서도 필요하다고 생각되어 1958년부터 일반인 대상으로 판매를 시작되었죠. Rocket Chemical Company WD40 특징 WD40은 비휘발성 기름을 휘발성 탄화수소에 희석해 점도를 낮춰 끈적이지 않다는 게 특징인데요. 이 성분은 물을 밀어내 수분을 제거하는 특성이 있어 금속으로 된 부품 등을 부식을 방지하는 데 큰 역할을 합니다. 그리고 윤활 작용이 있어 도포된 부분은 매끄러워 원활한 동작을 위해

우레탄폼 난연등급(B1, B2, B3) 스트로, 건 타입 사용 및 보관법 [내부링크]

우레탄폼 난연등급(B1, B2, B3) 스트로, 건 타입 사용 및 보관법 건물 내 작은 틈만 있어도 실내외의 온도 차이가 발생하게 되는데요. 이러한 틈을 막기 위해 자주 사용되는 제품이 우레탄 폼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우레탄 폼의 종류와 간단한 사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우레탄 폼은 1937년 독일 한 연구팀에 의해 개발되어, 현재는 주택공사 및 설비 시 틈 메꿈, 단열재 접착제로 사용되고 있죠. 이러한 우레탄 폼은 스프레이처럼 분사해 공기와 접촉하게 되면, 거품처럼 점점 부풀어 올라, 일정 시간이 지나면 단단하게 굳는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성질 덕분에 단열, 방음, 충진 등의 효과를 볼 수 있고, 완벽한 방수는 안되지만 어느 정도의 방수 효과도 볼 수 있게 됩니다. 우레탄폼 난연등급 우레탄 폼에는 등급이 있는데요. 이 등급은 난연성을 뜻하는데, 화재 시 자기 소화 기능이 얼마만큼 우수한 가를 나타내는 등급입니다. 여기서 난연성이라 하더라도 완전히 불에 타지 않는

기역자 접지 플러그로 인한 콘센트의 변화 [내부링크]

기역자 접지 플러그로 인한 콘센트의 변화 가정 내에서 사용하고 있는 일반적인 콘센트나 전자 기기의 플러그는 접지라는 부분이 있죠. 이러한 콘센트와 플러그의 접지 부분은 왜 존재하며 어떤 역할을 하지는 알아보겠습니다. 접지의 역할 접지는 가장 큰 목적은 감전 사고를 방지해 주는 역할을 합니다. 일상에서 사용하고 있는 전자제품에는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해 누설 전류가 생길 수 있는데요. 이때 접지가 없는 상태로 사람의 피부가 닿게 되면 인명피해가 발생할 수 있게 됩니다. 때문에 이런 누설 전류를 땅으로 흘려보내 안전하게 전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게 접지의 역할입니다. 접지의 역할 접지 플러그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전자제품의 코드선에는 대부분 접지 선이 있습니다. 확인하는 방법은 코드 선을 직접 잘라보면 전선 세 가닥 중 녹색 선이 접지선으로 사용되고 있는 게 일반적입니다. 접지 플러그 누설 전류가 많지 않은 기기이거나 이중 절연 제품으로 안전하게 설계된 제품이라면 접지가 없는

LED 면조명 T바, M바, 담파(Clipbar), 엣지형 시공법 이해하기 [내부링크]

LED 면조명 T바, M바, 담파(Clipbar), 엣지형 시공법 이해하기 LED 면조명은 다른 말로 LED 평판이라고 같은 의미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보통 사무실 천장 등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LED 면조명의 시공법에 대해 간략하게 정리해 보겠습니다. LED 면조명 시공법 LED 면조명은 대부분 학교, 사무실, 마트 등과 같은 상업공간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간혹 면조명의 심플한 디자인과 은은한 아크릴 커버로 인해 눈부심이 낮아 가정에서도 사용되기도 합니다. LED 면조명 시공법 이러한 LED 면조명은 천장 마감이 어떻게 되었는지에 따라 면조명 타입이 구분되는데 보통 T바 타입, M바 타입, 담파(Clip bar) 타입 등으로 크게 구분되어 사용됩니다. LED 면조명 시공법 T바, M바, 담파 T바 타입 T바 타입은 천장의 텍스를 제거하고, 천장 위쪽 찬넬에 걸치는 방식입니다. 때문에 추가로 피스로 고정할 필요 없어, 설치가 빠르고 간편하며 천장과 T바 타입의 조명과 일체형

단로(1로), 3로, 4로 스위치 기본 이해, 여러 개 스위치로 한개 조명 제어하기 [내부링크]

단로(1로), 3로, 4로 스위치 기본 이해 여러 개 스위치로 조명하나 제어하기 가정에서 사용되는 스위치는 전자식 스위치이거나 아날로그 스위치 크게 두 종류로 구분되어 사용됩니다. 전자식스위치/안날로그스위치 최근 인테리어를 했거나, 요즘 지어지는 신축 건물에는 전자식 스위치를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아직까지는 일반적인 아날로그 스위치를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스위치는 1구~6구까지 조명을 켜고 끄고를 제어할 때 주로 사용됩니다. 이렇게 스위치 개수에 따라 사용되기도 하지만, 사용 목적과 공간에 따라 단로(1로), 3로, 4로 스위치 회로 등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단로, 3로, 4로 차이와 어디에 사용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단로 스위치 단로 스위치는 1로 스위치라고 불리는 스위치로 하나의 조명에 스위치 하나만 제어할 수 있는 스위치를 말합니다. 대부분 일반 가정이나 소규모 사무실 등에서 사용되는 스위치는 단로(1로) 스위치를 사용합니다. 단로(1로) 스위치 그리

피난구 통로 유도등 종류, 2선식 3선식 차이 [내부링크]

피난구 통로 유도등 종류, 2선식 3선식 차이 유도등은 건물 내 화재나 비상 상황이 발생되면 안전하게 건물 밖으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길잡이 역할을 하죠. 이러한 유도등의 설치 장소의 따른 종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유도등의 종류 유도등은 크게 피난구 유도등, 통로유도등, 객석 유도등으로 구분되어 장소와 목적에 맞는 유도등을 설치하고, 건물 내 상황에 맞는 2선식과 3선식 유도등으로 구분되어 설치할 수 있습니다. 유도등의 종류 피난구 유도등 피난구 유도등은 건물 내 출입구를 가리키는 유도등으로 녹색 바탕에 사람 모양이 달려가는 이미지 형태로 표시됩니다. 이 피난구 유도등 아래 있는 문으로 나가게 되면 건물 밖으로 나갈 수 있다는 뜻과 동일합니다. 피난구 유도등 통로 유도등 통로 유도등은 피난 통로를 안내하기 위한 유도등으로 화살표가 가리키는 방향은 피난구 위치를 나타냅니다. 즉 건물 내 비상 상황 시 화살표 방으로만 따라가면 밖으로 나갈 수 있는 비상구가 나온다는 뜻입니다

주방 싱크대, 화장실 브이텍 가정용 홈 보수용 실리콘 [내부링크]

주방 싱크대, 화장실 브이텍 가정용 홈 보수용 실리콘 집에서 간혹 실리콘 작업이 필요할 경우가 있죠? 주로 화장실이나 주방에서 오래된 실리콘을 다시 작업해야 할 경우가 있습니다. 이러한 실리콘 작업은 작업자의 숙련도가 요구되기 때문에 가정에서 사용할 땐 브이텍 사의 가정용 실리콘을 사용해 보세요. 브이텍 가정용 실리콘 브이텍 가정용 실리콘은 별도의 실리콘 건이 필요 없이 치약 짜듯이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데요. 브이텍 가정용 실리콘 제품을 개봉할 때는 뚜껑을 활용해 개봉할 수 있습니다. 브이텍 가정용 실리콘 이 제품을 사용할 때는 제품 내에 포함되어 있는 "턴키"라고 불리는 부속을 활용해 치약 짜기처럼 밑부분에 끼워서 돌려서 짤 수 있습니다. 브이텍 가정용 실리콘 실리콘이 나오는 부분 노즐은 약간 사선으로 커팅 해야 좀 더 깔끔하게 작업이 가능하니 이점 참고해서 커팅 해주세요. 브이텍 가정용 실리콘 브이텍 가정용 실리콘 사용법 실리콘이 필요한 부분에 먼지, 물 등과 같은 이물질을

가요 전선관 후렉시블 종류와 특징(SF,GW,GF,SW,WF) [내부링크]

가요 전선관 후렉시블 종류와 특징(SF,GW,GF,SW,WF) 전기 설비할 때 전선의 통로로 사용되는 배관 중 작업 현장에서 많이 쓰이고 있는 게 후렉시블 전선관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후렉시블이 무엇이며 종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후렉시블 전선관 후렉시블은 가요 전선관의 종류 중 하나이며 금속제 가요 전선관 종류가 후렉시블 전선관입니다. 여기서 '가요'는 구부릴 수 있다는 뜻으로 가요 전선관은 마음대로 구부릴 수 있는 전선관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가요의 뜻 마음대로 구부릴 수 있음. 이러한 후렉시블은 플라스틱 재질인 합성수지관 보다 내구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쥐가 갉아먹거나 외부 충격으로 인해 파손이 우려가 되는 장소에 금속제 가요 전선관인 후렉시블을 시설하고 그 안에 케이블을 포설 작업해 전선을 안전하게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후렉시블 전선관 후렉시블 종류 후렉시블 전선관에는 작업 현장에 적합한 후렉시블을 사용해야 하는데 후렉시블의 종류는 아래와 같습니다. 1. SF 후렉

LED 조명 플리커 프리 선호하는 이유 [내부링크]

LED 조명 플리커 프리 선호하는 이유 플리커는 LED 조명에서 나오는 빛이 미세하게 떨리는 현상으로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하얀색과 검정색이 교차되면서 보이는 현상을 말합니다. 만약 장시간 플리커가 있는 조명에 노출된다면 눈의 피로로 인해 눈 건강에 해로울 수 있습니다. 때문에 플리커 프리 조명을 선호하는 이유기도 하죠. LED 조명 플리커 현상 원인 플리커는 전기의 교류 특성 때문에 발생되는 현상으로 크게 교류와 직류로 나뉘게 됩니다. 교류는 시간에 따라 크기와 방향이 바뀌는 파동을 가진 것이고 직류는 파동이 일정한 전류입니다. LED 조명 플리커 현상 원인 LED 조명은 직류전원에만 빛을 발하는데 우리나라의 전원은 교류전류이기 때문에 교류 전류를 직류 전원으로 바꾸기 위해서는 컨버터를 사용하게 됩니다. 이 컨버터로 교류 전류를 직류 전류로 바꿔도 교류의 특성인 전압 파동이 사라지지 않기 때문에 플리커가 생기 기게 되는 원입니다. 쉽게 말하면 일상에서 사용되는 모든 LED 조명의 빛

UPT 케이블 종류 CAT.5 6 속도 차이점 및 랜선 제작 [내부링크]

UPT 케이블 종류 CAT.5 6 속도 차이점 및 랜선 제작 UPT 케이블은 두 개의 구리 선을 꼬아 한 쌍을 만들고 총 네 쌍을 한 번 더 감싸 이루어진 케이블이며 일상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노트북과 컴퓨터에 인터넷을 연결하기 위해 사용하는 랜선이라고도 합니다. 이러한 UTP 케이블에도 여러 종류가 있는데 크게 UTP, FTP, STP 나눠볼 수 있습니다. UTP 케이블 종류 UTP : 보통 구리 선과 피복으로만 이루어져 있으며 차폐 기능이 없는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단선 케이블입니다. 가격도 저렴하며 일반 가정과 회사 사무실에서 등에서 가장 흔하게 접할 수 있는 케이블입니다. ( 공유기, 컴퓨터, 노트북 등에 사용 ) FTP 케이블 FTP : 꼬인 선을 알루미늄 차폐막으로 감싸고 구리 접지 선을 추가한 단선 케이블입니다. UTP 케이블에 비해 절연기능이 좋으며 주로 공장 배선용으로 사용합니다. FTP 케이블 STP 케이블 STP : 꼬인 선을 알루미늄 차폐막으로 감싸고 그

HIV, IV, HF-IX 단심 절연 전선 피복 탈피 "1타 3피 작업 효과" 마벨 3선 와이어 스트리퍼 MWS-KRH [내부링크]

HIV, IV, HF-IX 단심 절연 전선 한 번에 3가닥 탈피 작업 가능! 마벨 3선 스트리퍼 작업 현장에서 IV, HIV, HF-IX 등과 같은 절연 전선을 반복된 탈피와 커팅 작업이 많은 작업자들은 손의 피로도가 많을 텐데요. 이러한 작업자들은 대부분 스트리퍼를 사용하고 있죠. 전선 탈피 작업이 많은 작업자들에게 유용한 마벨 사의 3선 스트리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마벨 3선 와이어 스트리퍼 스트리퍼는 전선 탈피와 커팅을 쉽게 할 수 있는 공구입니다. 마벨 3선 스트리퍼도 당연히 전선 탈피와 커팅을 타사 스트리퍼와 마찬가지로 순조롭게 작업할 수 있죠. 마벨 3선 스트리퍼 제품 사용법 및 특징 일반적인 스트리퍼는 전선 탈피할 때 한 가닥씩 작업할 수 있지만, 마벨 3선 스트리퍼는 전선 3가닥을 동시에 탈피가 가능하기 때문에 전선 탈피 작업이 많은 작업자분들에게 효율적인 공구라고 할 수 있습니다. 마벨 3선 스트리퍼 탈피 규격 일반적인 스트리퍼는 전선 탈피할 규격이 다양하지만,

ABC 분말 소화기 특수(D, E, K) 화재 등급과 적절한 소화기 비치 [내부링크]

ABC 분말 소화기 특수(D, E, K) 화재 등급과 적절한 소화기 비치 일반적인 건물 내에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소화기가 ABC 분말 소화기입니다. 주변을 둘러보면 쉽게 볼 수 있는 소화기가 ABC 소화기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ABC 소화기가 무엇이며, 적절한 소화기 비치를 위한 화재 등급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화재 등급 및 소화기 분류 우선 화재 등급은 알파벳순으로 A, B, C, D, E, K 등급으로 구분되는데 우리가 일반적으로 접할 수 있는 빨간색 소화기가 ABC 소화기와 노란색 소화기 D 급 소화기, 그리고 크롬(은색) 소화기가 K 급 소화기로 구분되어 사용되고 있습니다. 화재 등급 및 소화기 분류 A급(일반화재, 보통 화재) A급 화재는 연소 후 재를 남기는 특성을 고려하여 나무, 종이, 섬유 등의 가연물 화재를 의미하는데, A급(일반화재, 보통 화재) 물을 함유한 용액을 사용해 냉각 질식소화 방식으로 화재를 진압이 가능한 화재를 말합니다. B급(유류화재) B급

현관등 LED 센서등에 대해 알아보자(원리/주야간기능/비상센서등/오동작) [내부링크]

현관등 LED 센서등에 대해 알아보자(원리/주야간기능/비상센서등/오동작) 현관등이라고 불리는 LED 센서등은 전자식 스위치라고 불리는 센서 모듈이 내장되어 있어 사람의 움직임을 감지해 특정 공간에 불빛을 켜주는 역할을 하죠. 보통 센서등은 건물 내 현관, 복도, 화장실, 계단 등에 다용도로 사용되고 있는 조명 중 하나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LED 센서등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LED 센서등 감지 원리 LED 센서등 내에는 PIR 센서라고 불리는 모듈이 있는데 이 모듈이 적외선 움직임을 포착해 작동하게 되는 원리입니다. LED 센서등 감지 원리 만약 실내 온도 22인 곳에서 36 체온을 가진 사람이 센서 모듈에 감지되면, 순간적으로 온도 차이를 센서가 감지해 일정 시간 동안 자동으로 켜지고, 이후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을 경우 꺼지게 되는 원리입니다. LED 센서등 감지 원리 LED 센서등 주야간 기능 보통 센서등 등기구를 확인해 보면 주야간이라는 스위치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전선 꼬임기 전선 접속 꼬는 작업이 많은 작업자 추천! [내부링크]

전선 꼬임기 전선 접속 꼬는 작업이 많은 작업자 추천! 작업 현장에서 전선 접속할 때 보통 뺀치(펜치)를 활용해 전선을 꼬아서 마감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죠? 이러한 작업 전동 드라이버로 사용할 수 있는 공구가 전선 꼬임기입니다. 전선 꼬임기 전선 꼬임기는 전동 드라이버의 토크를 활용해 연선, 단선(HIV, IV, HF-IX)을 서로 꼬아줄 경우 힘이 들이지 않고, 작업을 좀 더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는 게 특징이죠. 전선 꼬임기는 비트 교체형과 비트 일체형 두 제품으로 구분해 사용될 수 있습니다. 전선 꼬임기 비트 교체형 / 일체형 비트 교체형 비트 교체형은 일반적으로 전동 드라이버에 사용되는 육각 비트(6.35mm)로 체결되어 있기 때문에 전선 꼬임기 소켓을 빼면 일반 육각 비트이기 때문에 전동 드라이버로 사용할 수 있고, 비트가 파손되어도 육각 비트만 교체해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파손에 대한 걱정이 없습니다. 전선 꼬임기 비트 교체형 비트 일체형 비트 일체형은 전선 꼬임기 소켓과

대기전력 차단 콘센트 사용해야 하는 이유 [내부링크]

대기전력 차단 콘센트 사용해야 하는 이유 가정 내에서 사용하고 있는 콘센트 중 대기 또는 대기전력 차단이라고 표시된 콘센트가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대기전력이 무엇이며, 대기전력 차단 콘센트가 필요한 이유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대기전력이란? 일반적으로 전자기기는 전원을 끄게 되면 전력 소비하지 않는다는 생각을 할 수 있지만, 대부분 전자기기 제품은 전원을 꺼도 소량의 전기를 소비하기 때문에 가전기기를 사용 안 할 땐 코드를 빼야 하는 말이 이러한 이유 때문에 나온 말입니다. 대기전력 차단 효과 대기전력을 차단하게 되면 무의한 전기 낭비를 줄여 전기 절감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사용하고 있는 가전기기의 수명 연장과 전기안전사고로부터 예방할 수 있습니다. 국가적인 차원으로 보면 화력, 원자력 발전소 등에서 생산한 전기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한 지구 온난화 주범인 이산화탄소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대기전력 차단 효과 대기전력이 있는 가

누전 차단기와 배선 차단기의 역할과 원리, 차이점 [내부링크]

누전 차단기와 배선 차단기의 역할과 원리, 차이점 건물 내의 분전함을 열어보면 여러 개의 차단기가 설비되어 있죠. 차단기는 배선 차단기와 누전 차단기로 구분되어 설비되어 있는데요. 이러한 누전 차단기와 배선 차단기는 왜 구분되어 사용되며 각 차단기의 역할이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분전함 누전 차단기와 배선 차단기 역할 누전 차단기와 배선 차단기는 전기 안전을 유지하기 위한 장치로 각 다른 역할에서 특화된 장치입니다. 누전 차단기는 누전을 감지하고 차단하여 인체 보호 목적이 있다면, 배선 차단기는 과부하 또는 단락을 감지하여 회로를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누전 차단기와 배선 차단기 역할 보통 배선 차단기는 메인 차단기로 사용하게 되고, 분기 차단기는 누전 차단기를 사용하게 되는데 앞서 설명한 것처럼 두 차단기는 서로 수행하는 역할이 다르기 때문에 구분되어 사용해야지만 안전하게 전기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누전 차단기 분기 차단기로 사용되는 누전 차단기는 ELB(Earth Lea

베셀 전동 드라이버 220USB - S1K, 5K 스피드와 파워 나에게 맞는 드라이버는? [내부링크]

베셀 전동 드라이버 220USB - S1K, 5K 스피드와 파워 나에게 맞는 드라이버는? 나사를 조이거나 풀 때 사용되는 공구가 드라이버죠? 피스나 볼트 작업은 대부분 임팩 드라이버나 드릴 드라이버를 많이 사용해서 작업하는데요. 하지만 간혹 수동 드라이버가 필요할 경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베셀사의 전동 드라이버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베셀 전동 드라이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베셀 전동 드라이버 모델 베셀 전동 드라이버 모델은 2가지 모델로 작업자의 작업 형태와 스타일에 따라 구분되어 선택할 수 있습니다. 빠른 회전력을 선호하는 작업자, 조이는 힘을 선호하는 작업자 220USB - S1K(빠른 회전력) S1K 모델은 빠른 회전력을 자랑하는 스피드에 중점을 둔 전동 드라이버입니다. 분당 1200회 회전력으로 나사를 조이고 푸는 작업이 많은 작업자에게 유용할 수 있는 모델이죠. 220USB - S1K(스피드) 220USB - 5K(파워) 5K 모델은 회전력 보다 강력한 파워를 지

임팩 드릴 해머 드릴 작업 역할과 가정용 전동 드라이버 선택은? [내부링크]

임팩 드릴 해머 드릴 작업 역할과 가정용 전동 드라이버 선택은? 산업현장과 일상에서 자주 사용되는 전동 드릴은 임팩드릴과 함마 드릴 크게 두 가지를 자주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 번 포스팅에서는 임팩드릴과 함마 드릴의 차이점과 역할 그리고 어떤 전동 드라이버가 범용으로 사용하기 좋은 드릴인지 알아보겠습니다. 임팩 드릴과 해머 드릴 우선 임팩드릴은 정확한 명칭은 "전동 임팩 드라이버"로 "드릴"이라는 단어는 나무나 금속에 구멍을 뚫는 공구로 표현됩니다. 네이버 백과사진 드릴 임팩드릴 명칭은 어디서 유래되었는지는 명확하지 않으나 아마도 "해머 드릴"에서 유래되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 듭니다. 그리고 해머 드릴의 정확한 명칭은 "전동 해머 드릴 드라이버"가 정확한 표현입니다. 앞서 설명드린 "드릴"이라는 단어는 뚫는다는 의미로 해머 드릴 드라이버는 보통 나사나 볼트를 조이는 역할은 물론 대상물을 뚫는 기능에 더 특화된 전동 공구입니다. 해머드릴 여기서 해머 드릴과 함마 드릴 비슷한 뜻으로 사

전기 테스터기 히오끼 비접촉 검전기 3480-40, 3481-20 차이와 감도 조절 비교 [내부링크]

전기 테스터기 히오끼 비접촉 검전기 3480-40, 3481-20 차이와 감도 조절 비교 전기를 다루는 전기 설비 전문가라면 전기를 테스트할 수 있는 검전기 또는 전기 테스터기를 하나 정도는 가지고 있죠. 그중 휴대가 간편한 히오끼 비접촉 검전기 3480 모델과 3481모델이죠. 이번 포스팅에서는 두 검전기 모델의 특징과 어떤 점이 다른지 알아보겠습니다. 히오끼 검전기 3481-20 3480-40 히오끼 비접촉 검전기 3480 / 3481 모델 비교 두 제품은 모델명만 다를 뿐 외관상 크게 다른 점을 찾아볼 수 없습니다. 그렇다면 3480과 3481 모델의 기능이 어떤 부분이 다를까요? 히오끼 비접촉 검전기 3480, 3481 사양 모델명 3480 - 40 3481 - 20 기능 검전 동작 전압 범위 AC 40V~600V (IV2 상당의 절연전선에 접촉한 상태에서) 동작 대상 주파수 50 / 60 Hz 동작 표시 적색 LED 점멸 및 단속 부저음 자동절전기능 전원 버튼 누른 후 약

KC 인증과 KS 인증 어떤 게 더 좋을까? [내부링크]

KC 인증과 KS 인증 어떤 게 더 좋을까? 평소에 사용하고 있는 전자 제품에는 인증을 받아 있기 때문에 우리가 안전하게 제품을 사용되고 있죠. 이러한 인증에는 KC 인증과 KS 인증으로 크게 두 가지 인증으로 구분되어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두 인증은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 간단하게 알아보겠습니다. KC 인증 KC 국가통합인증 KC 인증은 국가통합인증으로 국가에서 정한 안전 기준을 충족했다는 뜻으로 KC 마크가 있다는 것은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의미이기도 하기 때문에 KC 인증 마크를 취득했다는 것은 유통 업계에서는 자격증을 취득한 것과 같다고 할 수 있죠. KC 국가통합인증 과거 부처마다 인증 마크가 달라 인증받을 때 불편함이 있었지만, 이를 개선하기 위해 2009년부터 13개의 법정 의무인증 마크를 KC 마크로 통합하게 되어, 기업이나 정부 입장에서도 관리가 수월해지고, 비용 면에서도 줄어드는 효과를 가져왔습니다. KC 국가통합인증 이러한 KC 인증은 국내 수

LED 조명 AC 전원, DC 전원 뭘 써야지? 특징과 차이점! [내부링크]

LED 조명 AC 전원, DC 전원 뭘 써야지? 특징과 차이점! LED 조명에 전원을 공급하는 방식은 크게 AC 전원 타입과 DC 전원 타입 두 가지 구분되어 전원을 공급하게 되죠. 이번 포스팅에서는 AC 전원과 DC 전원의 특징과 차이점이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컨버터와 안정기 개념 먼저 AC와 DC 전원의 차이를 알기 전 컨버터가 무엇인지 알아야 합니다. 컨버터는 형광등에서는 안정기 그리고 LED 조명에서는 컨버터를 사용하는데 두 부속은 외관상 크게 다르지 않아, 안정기 또는 컨버터라고 불리고 있지만, 구동 회로 방식과 출력되는 전원이 다르므로 두 부속을 혼용해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안정기와 컨버터 차이 LED 조명에서는 안정기라고 불리는 부속은 정확한 표현은 컨버터가 맞는 표현입니다. 컨버터는 교류(AC) 전원을 입력받아 직류(DC) 전원으로 변화해 LED 모듈에 전원을 공급해 LED 모듈에 빛을 낼 수 있도록 역할을 하는 중요한 부속입니다. AC DC 차이 이러한 LED

조명의 연색성과 연색지수는 무엇이며 차이점을 알아보자 [내부링크]

조명의 연색성과 연색지수는 무엇이며 차이점을 알아보자 조명을 선택할 때 밝고, 소비전력이 낮은 조명만 선호하고 연색성(Ra)과 연색지수(CRI)에 대해 전혀 고려하지 않을 경우가 많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조명의 연색성과 연색지수가 무엇이며 이 수치가 높은 게 좋은지 낮은 게 좋은지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연색성이란? 연색성은 광원에 따라 물체의 색이 다르게 보이는 효과를 연색성이라고 합니다. 조명을 비추었을 때 그 물체의 색상이 가장 정확한 색으로 표현되는 빛이 태양빛입니다. 태양빛 조명 즉 연색성은 태양빛과 얼마만큼 유사한지 나타내는 단위를 말합니다. 표현 단위 연색성은 태양빛과 조명을 비교했을 때 조명 빛이 태양빛과 얼마만큼 유사한지 나타내는 지수를 CRI라고 하며, 측정 단위는 Ra로 표기됩니다. 예로 태양빛을 100%이라고 가정했을 때 조명에서 연색성을 표현되는 80Ra라는 뜻은 태양빛과 80% 유사한 조명이라고 해석할 수 있죠. 이로 인해 신선한 과일, 야채

멀티탭 허용 용량 확인해 전기 화재 예방하자! [내부링크]

멀티탭 허용 용량 확인해 전기 화재 예방하자! 가정에서나 산업현장에서 전기를 사용할 때 흔하게 사용되는 제품이 멀티탭이죠. 이러한 멀티탭을 사용할 때 허용 용량을 확인해가며 사용하는 분들은 아마 극히 드물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멀티탭을 활용해 전기를 사용할 때 안전하고 올바른 사용하는 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멀티탭을 사용하는 가장 큰 이유가 전선이 짧거나 연결할 수 있는 콘센트가 부족해서 사용되죠. 하지만 항상 아무렇게나 사용해도 사고가 나지 않았으니, 주의하지 않고 사용할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뉴스에서 간혹 멀티탭으로 인해 전기화재 사고가 발생해 인명과 재산 피해를 입었다는 뉴스도 가끔 나오기도 하죠. 멀티탭 멀티 코드 전기 화재 그렇다면 멀티 콘센트로 인해 왜 화재가 발생될까요? 멀티탭 화재 원인 - 과부하 멀티탭에는 허용 용량이라는 게 있습니다. 대부분 일반적인 사람들은 멀티탭의 꽂는 개수가 많을수록 허용 용량이 높다고 생각할 수 있는데 허용 용량은 10A,

염화칼슘 파는 곳 사업자는 무료배송! 비츠온엠알오 염화칼슘 관리 사용법 알아보세요. [내부링크]

염화칼슘 파는 곳 사업자는 무료배송! 비츠온엠알오 염화칼슘 관리 사용법 알아보세요. 겨울철 얼어붙은 도로에 얼음과 눈을 제설하려면 염화칼슘은 필수 아이템이죠! 제설제의 혁명이라고 불리는 염화칼슘 파는 곳은 여러 경로가 있지만, 사업자에게 유용한 쇼핑몰! 비츠온엠알오에서 무료배송으로 구입할 수 있습니다. 염화칼슘 파는 곳 염화칼슘은 파는 곳은 사업자만 이용할 수 있는 기업 전용 쇼핑몰 "비츠온엠알오"에서 구입할 수 있습니다. 비츠온엠알오는 산업자재, 사무용품, 공구, 공동주택관리용품 등약 50만 가지 상품을 합리적인 가격으로 구입할 수 있는 곳입니다. vitsonmro.com 염화칼슘 원리 염화칼슘의 원리는 "조해성"과 "어는점 내림 현상" 두 가지 특성으로 인해 도로 위의 눈이 어는 것을 방지합니다. 염화칼슘 원리 조해성 상온에서는 고체 상태로 되어있지만 낮은 온도의 물이나 얼음 등을 만나게 되면 잘 녹는 성질을 말함. 염화칼슘 1g 양만 있다면 주변의 물 14g을 흡수할 수 있어

염화칼슘 뿌리는 풍년에코텍 염화칼슘 살포기 조립 및 사용법 [내부링크]

염화칼슘 뿌리는 풍년에코텍 염화칼슘 살포기 조립 및 사용법 요즘 같은 겨울철 제설 작업을 위해 염화칼슘 살포 작업을 많이 하죠? 염화칼슘을 살포할 때 유용하게 사용되는 게 염화칼슘 살포기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풍년에코텍 염화칼슘 살포기의 조립방법에 대해 알아보습니다. 풍년에코텍 염화칼슘 살포기 조립방법 풍년에코텍 염화칼슘 살포기를 구매하게 되면, 90% 조립된 제품을 받아 볼 수 있습니다. 때문에 바퀴가 호퍼가 달린 몸체 부분과 핸들만 조립하면 조립이 완성되는 구조입니다. 풍년에코텍 염화칼슘 살포기 조립법 Step 1 우선 몸체와 핸들을 결합하기 위해 몸체 아랫부분의 볼트를 풀어줍니다. 풍년에코텍 염화칼슘 살포기 조립법 볼트 규격은 10mm를 사용하고 있어 몽키 스페너 대신 10mm 복스가 연결돼 전동 드라이버로 작업하면 더 수월하게 작업할 수 있습니다. Step 2 핸들을 고정하고 있는 프레임을 살짝만 풀어주게 되면 핸들과 몸체를 결합할 때 수월하게 들어가니 아래 사진처럼 볼트

기본적인 피스(나사) 종류 : 나사 머리 종류와 목공용 전체, 부분 나사산 피스 차이 [내부링크]

기본적인 피스(나사) 종류 : 나사 머리 종류와 목공용 전체, 부분 나사산 피스 차이 피스는 나사라고도 불리면서 나무나 철제에 구멍을 뚫어 대상물을 고정할 때 주로 사용하죠. 이러한 피스(나사)의 종류에도 너무 다양하지만 주로 사용되는 기본적인 피스(나사)의 종류와 어디에 사용하면 좋은지에 대해 간략하게 알아보겠습니다. 나사 머리 종류 먼저 나사를 고려할 때 가장 먼저 보게 되는 것이 나사 머리의 모양입니다. 나사 머리는 크게 접시 머리, 둥근 머리, 와샤붙임 머리 3가지 형태를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죠. 접시 머리(나팔 머리) 접시 머리는 구조물 닿는 면적이 평평하기 때문에 보통 목공 나사로 사용되는 게 접시 머리입니다. 목공에 접시 머리 피스로 작업하게 되면, 평평한 접시 머리로 인해 완전히 밀착되어 표면이 매끄럽게 피스 작업을 할 수 있기 때문에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물체에 걸릴 위험성을 줄일 수 있습니다. 접시 머리(나팔 머리) 둥근 머리(냄비 머리) 대부분 대상물을 고정할

CD관, CD관 부속 총 정리 이중 천장 시설하면 안 되는 이유 [내부링크]

CD관, CD관 부속 총 정리 이중 천장 시설하면 안 되는 이유 전기 배관 작업 시 자주 사용되는 배관 자재 중 하나가 CD관이죠. 보통 CD파이프 CD 주름관 등 다양하게 명칭되고 사용되고 있는데요. 플라스틱 재질인 합성수지관의 종류로 주름이 파여 있고 가볍기도 하면서 배관 작업 시 용이해 많은 작업 현장에서 배관 자재로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죠. CD관 종류 보통 절연전선(IV, HIV, HF-IX 등)의 배관용으로 사용되는데 각 전선마다 구분을 주기 위해 색상이 다양하며, CD관의 구멍 지름 또한 다양한 규격이 있습니다. cd관 iv선 CD관 색상 및 규격 색상 규격 판매단위 녹색 16mm / 22mm / 28mm / 36mm 16mm / 22mm 100M 적색 청색 황색 28mm / 36mm 50M 흑색 백색 위 CD 관의 색상 / 규격 / 판매단위는 "명진전관"의 CD 관의 기준으로 제조사마다 규격 및 색상 판매 단위가 다를 수 있습니다. 일반 CD관 및 난연 CD관 CD관에

라쳇 드라이버 하나로 작업 효율이 오를까? SATA 반자동 라쳇 드라이버 [내부링크]

라쳇 드라이버 하나로 작업 효율이 오를까? SATA 반자동 라쳇 드라이버 피스나 볼트 작업할 경우 전동 드라이버를 사용해 작업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죠. 하지만 전동 공구로 해결하지 못할 때 수공구 드라이버로 직접 사람의 힘으로 작업이 필요할 경우가 있습니다. 수동 드라이버는 종류가 너무 다양하지만 이번 소개할 드라이버는 라쳇 기능이 있는 SATA 사의 라쳇 드라이버입니다. SATA 반자동 라쳇 드라이버 SATA 반자동 라쳇 드라이버 제품을 개봉하면 일반적인 드라이버와 같은 형태를 갖췄지만, 손도 잘 안 들어갈만한 아주 협소한 작업 공간에서 라쳇 기능을 활용해 피스를 조이거나 풀 때 아주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SATA 반자동 라쳇 드라이버 19P 비트 구성 SATA의 라쳇 드라이버의 비트 구성은 8개의 양면 비트로 기본적인 일자, 십자는 물론 일상과 작업 현장에서 자주 사용되는 비트들이 제품 내에 보관되어 있어 작업 상황에 따라 하나씩 교체해 사용할 수 있습니다. SATA 반자

OPP 박스 테이프 아크릴/러버 재질 차이 : 우리 회사 제품 포장에 맞는 테이프는? [내부링크]

OPP 박스 테이프 아크릴/러버 재질 차이 : 우리 회사 제품 포장에 맞는 테이프는? 투명 테이프는 산업 현장과 일상에서 자주 사용되죠. 이러한 투명 테이프는 OPP 재질의 테이프라고 하는데 이 OPP 테이프도 종류가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OPP 투명 테이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OPP 테이프 재질 OPP 테이프는 투명 테이프 또는 박스 테이프라고 불리며, 택배 박스를 포장하거나 접착이 필요할 때 다용도로 사용되죠. OPP 테이프는 폴리프로필렌 필름으로 한쪽 면에만 접착이 가능하도록 만들어졌습니다. 이러한 투명 OPP 테이프를 사용할 때 뜯는 소음이 큰 것도 있고, 살짝 힘을 주어도 쉽게 뜯어지는 테이프, 그리고 접착력이 좋은 것과 나쁜 것도 있는데 왜 같은 투명 테이프인데 차이가 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OPP 테이프 재질 OPP 테이프 종류 OPP 테이프는 투명과 황색 색상으로 구분되기도 하지만, 재질에 따라 구분되어 사용되기도 합

고감도 누전 차단기와 일반 누전 차단기 차이 어디에 사용해야 할까? [내부링크]

고감도 누전 차단기와 일반 누전 차단기 차이 어디에 사용해야 할까? 일상에서 건물 내 전기를 안전하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누전 차단기가 필수로 사용해야 하죠. 이러한 누전 차단기 중에서 민감함 누전 차단기가 고감도 누전 차단기입니다. 이 번 포스팅에서는 고감도 누전 차단기와 일반 누전 차단기의 차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누전 차단기 누전 차단기는 보통 분기 차단기로 사용되고 있는 게 누전 차단기(ELB)라고 합니다. 누전 차단기 누전 차단기의 역할은 전기기기에서 발생하기 쉬운 누전, 감전 등의 재해를 방지하기 위해 누전 차단기를 설치하게 됩니다. 건물 내 콘센트, 전등, 에어컨 등 모든 전기는 분기 차단기인 누전 차단기로 연결되어 있어, 누설 전류를 감지되면 누전 차단기가 전기 사고를 막기 위해 전기를 차단하게 됩니다. 분전함 누전 차단기 하지만 일반적인 전기를 사용하는 장소에서는 이러한 누전 차단기를 사용하지만, 민감한 누설 전류를 차단할 때 사용되는 누전 차단기가 고감도 누전 차

수성과 유성 실리콘 차이 초산형, 비초산형, 내열, 우레탄, 바이오 실리콘 특징 및 용도 [내부링크]

수성과 유성 실리콘 차이 초산형, 비초산형, 내열, 우레탄, 바이오 실리콘 특징 및 용도 실리콘은 실란트 종류로 접착과 메꿈 그리고 충격 완화에 효과적이기 때문에 건축 현장에서 인테리어 마감재로 넓은 분야에서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실리콘 종류 중 유성과 수성 실리콘의 차이점과 바이오 실리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수성 실리콘 수성 실리콘은 도배나 페인트 작업 시 주로 사용되는 실리콘입니다. 도배할 때 접착력을 높일 수 있고, 페인트 작업 전 틈을 메울 때 수성 실리콘을 사용하게 됩니다. 유성 실리콘에 비해 방수 기능이 떨어지고 응고가 느리다는 게 특징입니다. 유성 실리콘 유성 실리콘은 수성 실리콘에 비해 방수, 접착, 내구성이 우수한 실리콘입니다. 한 번 굳으면 단단하게 굳어, 외부 마감재를 붙이는 접착제로 많이 사용되는 실리콘이죠. 유성 실리콘은 초산형과 비초산형으로 두 제품으로 구분되어 사용될 수 있습니다. 유성 실리콘 - 초산형 초산형은 비초산형

사업자 쇼핑몰 무료배송 기본! 기업 전용 쇼핑몰 비츠온엠알오(MRO)가 뭐 하는 곳인데? [내부링크]

사업자 쇼핑몰 무료배송 기본! 기업 전용 쇼핑몰 비츠온엠알오(mro)가 뭐 하는 곳인데? 평소 생활 필수품이 떨어지면, 온라인 쇼핑몰 앱을 활용해 필요한 상품을 주문하게 되죠! 기업도 마찬가지로 최적의 생산 환경을 유지하기 위해 MRO를 이용해 기업에서 필요한 자재 등을 주문하게 됩니다. MRO는 Maintanace(유지), Repair(보수), Operation(운영) 약자로, 기업의 생산과 관련된 원자재를 제외한 모든 소모성 자재를 말합니다. 이러한 자재를 한곳에서 편리하게 주문할 수 있는 곳이 바로 비츠온엠알오 쇼핑몰입니다. MRO는 Maintanace(유지), Repair(보수), Operation(운영 사업자 기업 쇼핑몰 비츠온엠알오 비츠온엠알오는 종합 물류 분야의 선도 기업인 "일신 비츠온"에서 운영하고 있는 MRO 사업으로, 36년 동안 축적된 고객 만족을 위해 끊임없는 연구와 경험을 바탕으로 다양한 기업 고객들에게 최고의 품질과 다양한 상품, 합리적인 가격, 무료배송

캐스터 바퀴 종류와 재질, 타입 정보! 무소음 캐스터가 정답일까? [내부링크]

캐스터 바퀴 종류와 재질, 타입 정보! 무소음 캐스터가 정답일까? 캐스터는 짐을 이동할 때 사용되는 대차 또는 핸드카라고 불리는 이동 수단의 바퀴를 말하죠. 이러한 캐스터에도 재질과 사용용도가 다양해 여러 종류가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대중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캐스터 바퀴의 종류와 재질 그리고 활용 용도에 대해알아보겠습니다. 캐스터 바퀴 재질 캐스터의 재질은 PVC, 고무, 우레탄을 주로 많이 사용되죠. 이 밖에도 나일론, 페놀, 엘라스토머 등 재질이 있지만, 대부분 PVC와 고무, 우레탄 캐스터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PVC 캐스터 대부분 빨간색 바퀴가 달려있는 대차는 PVC 캐스터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PVC 캐스터는 가장 많이 사용되는 캐스터로 소음이 심하다는 단점이 있지만, PVC 재질인 만큼 다른 캐스터에 비해 가격이 가장 낮습니다. 고무 캐스터 PVC 캐스터보다 소음이 적은 캐스터가 고무 재질의 캐스터입니다. 지면에 닿는 면적이 고무이기 때문에 소음을 적을

d1bfd972a6cb4c1cb400b38a2800950d [내부링크]

d1bfd972a6cb4c1cb400b38a2800950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