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necity8의 등록된 링크

 winecity8로 등록된 네이버 블로그 포스트 수는 591건입니다.

[화이트] 헬로 베리 프렌들리 피노 그리지오 2022 Hello Very Friendly Pinot Grigio 2022 호주 피노 그리지오 화이트 와인 리뷰 [내부링크]

시음일 2024년 5월 6일 호주, 사우스 오스트레일리아에서 피노 그리지오(Pinot Grigio) 품종으로 비건 방식으로 만들어지는 화이트 와인, 손으로 수확한 포도를 스테인리스 스틸 탱크에서 저온에서 발효 후 숙성까지 스틸 탱크에서 진행한다, 양조노트가 꽤나 성의없고 찾기도 어려웠다(..) 오픈 전 병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뉴질랜드가 피노그리로 유명하다면 호주는 피노그리지오 스타일로 미는듯, 미국도 피노그리지오 스타일이 종종 보인다 헬로 베리 프렌들리 피노 그리지오 2022 Hello Very Friendly Pinot Grigio 2022 종류: 화이트와인 빈티지: 2022 생산국: 호주(Australia) 생산지: 사우스 오스트레일리아(South Australia) 생산자: 헬로 베리 프렌들리(Hello Very Friendly) 품종: 피노 그리지오(Pinot Grigio) 100% 당도: 1.6 / 산도: 3.5 / 타닌: 1 / 바디: 2.8 알콜: 11.5% 시음온도

[레드] 카파나 로쏘 디 몬탈치노 2019 Capanna Rosso Di Montalcino 2019 이탈리아 토스카나 산지오베제 레드 와인 리뷰 [내부링크]

시음일 2024년 5월 4일 이탈리아에서 토스카나, 몬탈치노 지역에서 브루넬로로 불리는 산지오베제 품종으로 만든 브루넬로 디 몬탈치노의 엔트리 버전, 수확한 포도를 잘린 원뿔 모양의 슬라보니아 오크통에서 온도가 조절되며 침용과 발효를 18~20일 정도 하며 그 동안 MLF도 거친다, 이후 20~32헥토리터의 슬라보니안 오크통에서 6~10개월 숙성하고 병입 후 3~4개월 추가 숙성한다 뭐가 급한지 오픈을 미리 해버렸다, 병 앞면과 뒷면 사진, 뒷면에는 수입사에서 붙힌 레이블 카파나 로쏘 디 몬탈치노 2019 Capanna Rosso Di Montalcino 2019 종류: 레드와인 빈티지: 2019 생산국: 이탈리아(Italy) 생산지: 토스카나(Toscana) -> 몬탈치노(Montalcino) 생산자: 카파나(Capanna) 품종: 산지오베제(Sangiovese) 100% 당도: 1.4 / 산도: 3.7 / 타닌: 3.4 / 바디: 3.5 알콜: 14.5% 시음온도: 16~18도

[레드] 일포지오네 브루넬로 디 몬탈치노 2017 Il Poggione Brunello di Montalcino 2017 이탈리아 토스카나 산지오베제 BDM 와인 리뷰 [내부링크]

시음일 2024년 5월 4일 이탈리아, 토스카나의 몬탈치노 지역에서 산지오베제 품종으로 만들어지는 레드와인, 와이너리에서 가장 오래된 포도원에서 손으로 수확한 포도를 25~28도의 온도가 조절되는 스테인리스 스틸 탱크에서 토착 효모로 발효 및 침용을 하고 캡을 실시한다, MLF까지 진행 후 30~50헥토리터 또는 872~1373갤런 크기의 프렌치 오크통에서 장기간 숙성하고 병입후에도 숙성 진행한다 오픈 전 병 앞부분과 뒷부분, 뒷부분에 시음온도가 18도라고 되어있다 일포지오네 브루넬로 디 몬탈치노 2017 Il Poggione Brunello di Montalcino 2017 종류: 레드와인 빈티지: 2017 생산국: 이탈리아(Italy) 생산지: 토스카나(Toscana) -> 몬탈치노(Montalcino) 생산자: 일포지오네(Il Poggione) 품종: 산지오베제(Sangiovese) 100% 당도: 1.5 / 산도: 3.9 / 타닌: 3.5 / 바디: 3.7 알콜: 14.5%

[오렌지] 장 마크 드헤이어 오리진 옥세후아 마세라시옹 2020 Jean Marc Dreyer Origin Auxerrois Maceration 2020 프랑스 오세루아 와인 리뷰 [내부링크]

시음일 2024년 5월 1일 "오렌지 와인은 오렌지로 만들지 않고 순수 청포도로만 만듭니다" 프랑스 알자스 지역에서 오쎄후아 품종으로 만든 오렌지 와인으로 수확한 포도를 스테인리스 스틸 탱크에서 껍질과 함께 10~12일을 침용을 진행, 토착효모로 발효 후 푸드레라는 사이즈의 대형 오크통에서 11개월을 숙성하고 청징, 정제, 여과 없이 또 이산화황을 넣지 않고 병입한다 오픈 전 병 앞, 옆, 뒷부분 사진, 병이 날씬하고 매우 길다.. 너무 길어서 사진 찍어서 비율 맞추기 힘들었다 장 마크 드헤이어 오리진 오세루아 마세라시옹 2020 Jean Marc Dreyer Origin Auxerrois Maceration 2020 종류: 오렌지와인 (앰버와인) 빈티지: 2020 생산국: 프랑스(France) 생산지: 알자스(Alsace) 생산자: 장 마크 드헤이어(Jean Marc Dreyer) 품종: 오쎄후아(Auxerrois) 100% 당도: 1.6 / 산도: 3.7 / 타닌: 3.7 / 바

[레드] 테누타 몬테마뇨 루버 그리뇰리노 다스티 2021 Tenuta Montemagno Ruber Grignolino d'Asti 2021 이탈리아 피에몬테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4년 4월 27일 이탈리아, 피에몬테의 아스티 지역에서 만들어지는 독특한 품종의 레드와인으로 그리뇰리노라는 품종으로 양조하며 30년 이상 된 수령의 나무에서 수확하고 선별한 포도를 부드럽게 침용 및 22도의 온도로 조절되는 스테인리스 스틸 탱크에서 발효 및 숙성까지 스틸 탱크에서 진행한다 오픈 전 병 앞부분과 뒷부분, 빼곡하게 글자로 채워져 있다 시음온도도 기재되어 있다 테누타 몬테마뇨 루버 그리뇰리노 다스티 2021 Tenuta Montemagno Ruber Grignolino d'Asti 2021 종류: 레드와인 빈티지: 2021 생산국: 이탈리아(Italy) 생산지: 피에몬테(Piemomte) -> 아스티(Asti) 생산자: 테누타 몬테마뇨(Tenuta Montemagno) 품종: 그리뇰리노(Grignolino) 100% 당도: 1.3 / 산도: 3.9 / 타닌: 3.4 / 바디: 3.3 알콜: 14% 시음온도: 16~18도 용량: 750ml 가격대: 6만원대 수입

[와인잔] 리델 수퍼리제로 스피릿 잘토 유니버셜 누드 스템 제로 볼케이노 레드 와인 와인 글라스 무게 및 비교 추천 사용 리뷰 [내부링크]

리델 수퍼리제로 스피릿 구매일 2024년 3월 27일 잘토 유니버셜 구매일 2024년 3월 26일 누드 스템 제로 구매일 2024년 5월 14일 특징: 리델 수퍼 리제로 시리즈는 본래 핸드메이드 라인업이었으나 가격대를 조금 더 합리적으로 낮추면서 머신메이드로 바꼈다, 독특한 디자인에 증류주는 물론 주정강화와인과 디저트와인도 충분히 소화 가능하며 잘토 유니버셜은 워낙에 명불허전이라 레드와인 및 화이트와인등 여러와인을 전천후로 쓸 수 있다, 마지막으로 누드 스템 제로 볼케이노는 거대한 디켄터를 와인잔으로 형상화 한듯한 느낌을 주며 그만큼 향을 잘 퍼지게 그리고 브리딩이나 특히 온도를 서서히 올리기에 특히 좋다 리델 수퍼리제로 스피릿 Riedel Superleggero Spirits 스펙 국가: 오스트리아 소재: 크리스탈(유리제) 공정: 머신메이드 높이: 24.4cm 용량: 248ml 무게: 99.9g (직접 측정한 무게, 같은잔이라도 잔마다 조금씩 편차가 있음) 사용기 와인잔 소개에

[화이트] 빌라 안티노리 비앙코 2022 Villa Antinori Bianco 2022 이탈리아 토스카나 블렌딩 화이트 와인 리뷰 [내부링크]

시음일 2024년 4월 24일 이탈리아, 토스카나에서 생산되는 화이트 와인으로 피노 그리지오, 피노 비앙코, 리슬링, 트레비아노 품종이 블렌딩 되며 각자 수확한 포도를 줄기를 제거하고 섬세하게 압착, 자연스러운 정화를 위해 머스트를 10도의 저온으로 냉각시키고 48시간 이후 스테인리스 스틸 탱크에서 18도 이하의 온도에서 발효, 이후 10도로 온도가 조절되는 스테인리스 스틸 탱크에서 3개월 숙성 한다 오픈 전 병 앞부분과 뒷부분, 클래식한 앞부분과 뒷부분이다, 테이스팅 노트도 없다 안티노리 빌라 안티노리 비앙코 2022 Antinori Villa Antinori Bianco 2022 종류: 화이트와인 빈티지: 2022 생산국: 이탈리아(Italy) 생산지: 토스카나(Toscana) 생산자: 마르께시 안티노리(Marchesi Antinori) 품종: 피노 그리지오(Pinot Grigio), 피노 비앙코(Pinot Bianco), 리슬링(Riesling), 트레비아노(Trrbbiano)

[화이트] 러시안 잭 피노 그리 2021 Russian Jack Pinot Gris 2021 뉴질랜드 말보로 피노 그리 화이트 와인 리뷰 [내부링크]

시음일 2024년 4월 24일 뉴질랜드 말보로 지역 Wairau Valley와 Awatere Valley의 피노 그리 품종으로 만든 화이트 와인, 수확한 포도를 압착 및 발효, 그리고 숙성까지 모두 스테인리스 스틸 탱크에서 진행한다, 자세한 양조노트는 어디에도 없음 오픈 전 병 앞부분과 뒷부분, 뒷면에 간단한 테이스팅 노트도 적혀져 있다 러시안 잭 피노 그리 2021 Russian Jack Pinot Gris 2021 종류: 화이트와인 빈티지: 2021 생산국: 뉴질랜드 (New Zealand) 생산지: 사우스 아일랜드 (South Island) -> 말보로 (Marlborough) 생산자: 러시안 잭(Russian Jack) 품종: 피노 그리(Pinot Gris) 100% 당도: 1.9 / 산도: 3.5 / 타닌: 1 / 바디: 3.4 알콜: 13.5% 시음온도: 8~10도 용량: 750ml 가격대: 2만원대 수입사: 비노파라다이스 구매처: 에이와인 - 테이스팅 노트 와인 글라스:

[레드] 몬테스 퍼플 엔젤 2018 Montes Purple Angel 2018 칠레 까르미네르 품종 레드 와인 리뷰 [내부링크]

시음일 2024년 4월 21일 칠레 라펠 밸리에서도 콜차구아 밸리에서 생산되는 몬테스의 아이콘 와인으로 카르메네르 92%, 쁘띠 베르도 8%의 비율에 손으로 수확한 포도를 발효를 위해 스테인리스 스틸 탱크로 옮겨 덜 익은 포도와 줄기에서 건포도가 된 포도는 제외하고 상태가 최고인 포도만 선별해 5~7일을 10도의 저온에서 침용을 하고 선별한 효모로 발효하되 온도는 26~29도의 제법 상온에서 12~15일에 걸쳐 진행, 이후 압착을 통해 주스만 분리, 프렌치 오크통에서 18개월을 숙성 80%가 뉴오크, 나머지는 2~3회 사용한 오크통에서 숙성한다 오픈 전 병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국내에서 인기많은 와이너리답게 백레이블은 한글로 되어있다 몬테스 퍼플 엔젤 2018 Montes Purple Angel 2018 종류: 레드와인 빈티지: 2018 생산국: 칠레(Chile) 생산지: 라펠 밸리(Rapel Valley) -> 콜차구아 밸리(Cholchagua Valley) 생산자: 몬테스(Mo

[로제까바] 로저 구라트 브륏 로제 밀레지메 2021 Roger Goulart Brut Rose Millesime 2021 스페인 로제 까바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4년 4월 20일 스페인 페네데스 지역에서 만들어지는 까바로 가르나차 90%, 모나스트렐 5%, 피노 누아 5% 품종 블렌딩, 새벽시간에 수확한 포도를 저온에서 약 8시간에 걸쳐 침용하고 아주 부드럽게 압착하며 저온에서 발효 후 몇번의 랙킹을 거쳐 맑은색을 얻고 병입 후 2차 발효 및 숙성을 거치는데 항상 14도의 온도가 유지되는 지하 저장고에서 진행하며 최소 14개월 숙성한다 오픈 전 병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사실 로제답지 않게 병 색도 진하고 해서 최근에는 이 와이너리의 코랄 로제가 더 인기가 많다고 한다 로저 구라트 브륏 로제 밀레지메 2021 Roger Goulart Brut Rose Millesime 2021 종류: 스파클링와인 -> 로제 까바 빈티지: 2021 생산국: 스페인(Spain) 생산지: 페네데스(Penedes) 생산자: 로저 구라트(Roger Goulart) 품종: 가르나차(Garnacha) 90%, 모나스트렐(Monastrell) 5%, 피노 누

[레드] 네르비 가티나라 2017 Nervi Gattinara 2017 이탈리아 피에몬테 가띠나라 네비올로 레드 와인 리뷰 [내부링크]

시음일 2024년 4월 14일 이탈리아 피에몬테의 가띠나라 지역에서 네비올로 품종으로 만들어지는 레드와인, 본래 지정된 크뤼 밭이 따로 있고 이 와인은 그 외에 밭에서 나는 포도로 만들어지지만 2017년에는 따로 구분없이 모두 이 와인의 라인업에 크뤼 밭의 포도까지 사용되었다, 수확한 포도를 줄기는 제거하고 토착효모로 스테인리스 스틸 탱크에서 발효하고 이후 10~30헥토리터의 프랑스, 슬라보니아, 오스트리아, 독일산에 새오크가 아닌 헌 오크, 다양한 오크배럴에서 총 36개월을 숙성한다 오픈 전 병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대체적으로 심플한 앞과 뒤, 지아코모 콘테르노 와이너리에 속하다 보니 앞 레이블에 크게 기재되어 있다 네르비 가티나라 2017 Nervi Gattinara 2017 종류: 레드와인 빈티지: 2017 생산국: 이탈리아(Italy) 생산지: 피에몬테(Piemonte) -> 가띠나라(Gattinara) 생산자: 네르비(Nervi) 품종: 네비올로(Nebbiolo) 100%

[화이트] 발레 레알레 트레비아노 다브루쪼 2022 Valle Reale Trebbiano d'Abruzzo 2022 이탈리아 우니 블랑 화이트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4년 4월 13일 이탈리아 아브루쪼 지역의 트레비아노 품종으로 만든 화이트와인, 손으로 수확한 포도를 줄기는 일부만 제거하고 나머지는 양조에 같이 쓰이며, 토착 효모로 스테인리스 스틸 탱크에서 발효 및 압착 후 역시 스테인리스 스틸 탱크에서 6개월 숙성한다 오픈 전 병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매번 볼때마다 스트레스를 주는 왁스로 코팅된 병목, 이번에는 오픈할때 아예 왁스 전체가 다 들려져서 오프너의 스크류에 잔뜩 묻으며 함께 뜯겨나가 또 다른 스트레스를 안겨주었다(...) 발레 레알레 트레비아노 다브루쪼 2022 Valle Reale Trebbiano d'Abruzzo 2022 종류: 화이트와인 빈티지: 2022 생산국: 이탈리아 (Italy) 생산지: 아브루쪼(Abruzzo) 생산자: 발레 레알레(Valle Reale) 품종: 트레비아노(Trebbiano) 100% 당도: 1.4 / 산도: 3.9 / 타닌: 1 / 바디: 3.5 알콜: 12% 시음온도: 8~10도 용량

[화이트] 라파우라 스프링스 리저브 소비뇽 블랑 2023 Rapaura Springs Reserve Sauvignon Blanc 2023 뉴질랜드 화이트 와인 리뷰 [내부링크]

시음일 2024년 4월 10일 뉴질랜드 사우스 아일랜드, 즉 남섬에서도 말보로 지역은 소비뇽 블랑 품종으로 유명하며 이 품종으로 만든 화이트 와인, 풍부한 향과 익은 과일향으로 유명한 딜런스 포인트(Dillons Point)와 와이라우(Wairau)라는 소규모 생산지에서 기계수확한 포도를 즉시 압착하여 껍질과 접촉을 최소화해 쓴맛이 나는 페놀 성분(타닌) 없이 주스만을 기술로 뽑아 스테인리스 스틸 탱크에서 저온에서 발효, 다양한 효모를 통해 소비자의 입맛에 맞겠금 무게와 복합미를 제공, 이후 6개월을 스테인리스 스틸 탱크에서 숙성한다 오픈 전 병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최소한의 와인 기본정보와 함께 같이 수입사 레이블을 붙혀놨다 라파우라 스프링스 리저브 소비뇽 블랑 2023 Rapaura Springs Reserve Sauvignon Blanc 2023 종류: 화이트와인 빈티지: 2023 생산국: 뉴질랜드(New Zealand) 생산지: 사우스 아일랜드(South Island) ->

[레드] 이브 뀌에롱 앙시앙 세파쥬 페르산 2019 Yves Cuilleron Anciens Capages Persan 2019 프랑스 론 페르산 품종 레드 와인 리뷰 [내부링크]

시음일 2024년 4월 10일 프랑스 론 지역의 북부와 남부중 북부 론에서 '잊혀진 품종 프로젝트'로 와이너리에서 복구한 품종 중 하나인 페르산 품종 레드와인, 이번 총 수십년에 거친 프로젝트의 하나이며 재배한 포도를 손으로 수확하고 지하 양조실에서 선별하며 일부는 줄기를 남기고 나머지는 줄기를 제거한다, 뚜껑이 오픈되어있고 온도가 조절되는 스테인리스 스틸 탱크에서 약 3주에 걸쳐 토착효모로 발효 및 MLF까지 거치고 주기적으로 펀치다운과 펌핑오버를 실시한다, 이후 프렌치 오크 배럴에서 18개월간 숙성한다 오픈 전 병 앞부분, 옆부분, 뒷부분 사진, 옆부분에 알콜과 용량이 기재되어 있고 뒷부분은 수입사 레이블 이브 뀌에롱 앙시앙 세파쥬 페르산 2019 Yves Cuilleron Anciens Capages Persan 2019 종류: 레드와인 빈티지: 2019 생산국: 프랑스(France) 생산지: 론(Rhone) -> 북부 론(Northern Rhone) 생산자: 이브 뀌에롱(Yv

[레드] 마시 코스타세라 아마로네 2018 Masi Costasera Amarone 2018 이탈리아 베네토 아마로네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4년 4월 7일 이탈리아 베네토의 발폴리첼라 지역에서 만들어지며 특히 지정된 클라시코(Classico) 생산지에서만 만들어지는 DOCG 와인으로 코르비나 70%, 론디넬라 25%, 몰리나라 5% 품종 블렌딩에 완전히 익은 포도를 수확해 겨울동안 최대 5개월을 Fruttaio라는 전통적인 건조시설에서 대나무로 된 선반에서 자연적인 통풍을 통해 건조시킨 아파시멘토 기법의 말린 포도를 양조하여 발효하며 자연적으로 낮은 온도에서 천천히 진행, 이후 발효가 끝난 주스는 대부분 슬라보니아 큰 오크통에서 24개월 숙성, 나머지는 작은 오크 바리크에서 숙성한다 오픈 전 병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전세계적으로 여름이 가장 뜨거웠던 해인 2018년 빈티지다 마시 코스타세라 아마로네 클라시코 2018 Masi Costasera Amarone Classico 2018 종류: 레드와인 빈티지: 2018 생산국: 이탈리아(Italy) 생산지: 베네토(Veneto) -> 발폴리첼라(Valpolic

[레드] 반피 로사 리갈 브라케토 다퀴 2021 Banfi Rosa Regale Brachetto d'Acqui 2021 이탈리아 피에몬테 스위트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4년 4월 5일 이탈리아, 피에몬테주의 아퀴 지역에서 생산되며 브라케토 품종으로 조심스럽게 수확한 포도를 2~3일동안 껍질과 침용, 발효는 스테인리스 스틸 탱크에서 진행, 보통 2주에서 1개월 정도로 소요되며 도중에 발효를 중단하여 당분을 남기고 가압탱크로 옮겨져 샤르마 방식으로 2차 발효를 통해 탄산이 자연적으로 발생되도록 하며 이후 필터링과 안정화 과정을 거쳐 병입한다 오픈 전 병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수입사의 레이블이 굉장히 거슬리는 포인트에 붙여져 있다(...) 반피 로사 리갈 브라케토 다퀴 2021 Banfi Rosa Regale Brachetto d'Acqui 2021 종류: 프리잔테(세미 스파클링 와인) 빈티지: 2021 생산국: 이탈리아(Italy) 생산지: 피에몬테(Piemonte) -> 아퀴(Acqui) 생산자: 반피(Banfi) 품종: 브라케토(Brachetto) 100% 당도: 3.2 / 산도: 3.8 / 타닌: 2.4 / 바디: 3.5 잔류당:

[로제] 마리아 엔 셉 무스터 로제 봄 오포크 2021 Maria and Sepp Muster Rose vom Opok 2021 오스트리아 독특한 로제 와인 리뷰 [내부링크]

시음일 2024년 4월 5일 오스트리아, 스테이어랜드에서 츠바이겔트, 빌트바허, 블라우프랜키쉬 품종 블렌딩으로 만든 로제와인이다, 수령 40년 이상 된 나무에서 손으로 수확한 포도를 줄기는 모두 제거하고 침용과 섬세한 압착을 통해 색과 타닌을 추출, 프리런 주스는 225리터 18년산 오크통에서 토착효모로 발효되며 오크 배럴에서 20개월 숙성하고 유황을 첨가하지 않으며 청징이나 여과 없이 병입하는 내추럴 로제 와인이다 오픈 전 병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직구라 수입사 레이블이 없다, 내추럴 와인임을 강조하듯 병목에 호일이 없다 마리아 엔 셉 무스터 로제 봄 오포크 2021 Maria and Sepp Muster Rose vom Opok 2021 종류: 로제와인 빈티지: 2021 생산국: 오스트리아(Austria) 생산지: 스테이어랜드(Steireland) 생산자: 마리아 엔 셉 무스터(Maria and Sepp Muster) 품종: 츠바이겔트(Zweigelt), 빌트바허(Wildbac

[레드] 위트 크래프트 와이너리 펜스 랜치 가메 2020 Whitcraft Winery Pence Ranch Gamay 2020 미국 캘리포니아 산타 바바라 가메 레드 와인 리뷰 [내부링크]

시음일 2024년 3월 31일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산타 바바라 카운티, 그 중 산타 리타 힐스 라는 생산지에서 가메이 품종으로 만드는 레드와인, 수확한 포도를 100% 줄기 포함 송이째 10일간 자연효모로 오크통에서 발효, 이후 중성 오크통에서 6개월 숙성 후 오직 중력으로 자연스레 병입을 직접 진행한다, 청징과 여과는 진행하지 않는다, 코르크는 디암 10년으로 마감했다 오픈 전 병 앞부분과 뒷부분, 외관에서부터 내추럴 와인임을 강하게 어필한다 위트 크래프트 와이너리 펜스 랜치 가메 2020 Whitcraft Winery Pence Ranch Gamay 2020 종류: 레드와인 빈티지: 2020 생산국: 미국(USA) 생산지: 캘리포니아(California) -> 산타 바바라 카운티(Santa Barbara County) -> 산타 리타 힐스(Santa Rita Hills) 생산자: 위트크래프트 와이너리(Whitcraft Winery) 품종: 가메이(Gamay) 100% 당도: 1

[아이스] 레이크뷰 비달 아이스와인 2019 Lakeview Cellars Vidal Icewine 2019 캐나다 비달 품종 아이스 와인 리뷰 [내부링크]

시음일 2024년 3월 30일 캐나다, 베어 리버 지역에서 나이아가라 페닌슐라 라는 생산지의 아이스와인으로 비달 품종으로 만들어지며 12월 초에 기온이 -10도에서 -13도 사이로 떨어졌을때 손으로 선별하여 수확 후 포도가 얼어있는 상태 그대로 압착, 스테인리스 스틸 탱크에서 저온에서 발효를 하고 어느정도 당도가 남았을때 발효를 중단, 추운 야외에서 자연적인 안정화 과정을 거치며 스테인리스 스틸 탱크에서 8개월 숙성하고 필터링해서 병입한다 오픈 전 병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캡씰 뒷부분을 보면 예쁘게 뜯을수 있는 포인트가 있다 레이크뷰 비달 아이스와인 2019 Lakeview Cellars Vidal Icewine 2019 종류: 스위트와인 -> 아이스와인 빈티지: 2019 생산국: 캐나다 (Canada) 생산지: 베어 리버(Bear River) -> 나이아가라 페닌슐라(Niagara Peninsula) 생산자: 다이아몬드 에스테이트(Diamond Estates) 품종: 비달 (Vi

[화이트] 그랑꼬또 청수 13도 2021 Grand Coteau Cheongsu 13% 2021 대한민국 청수 품종 화이트 와인 추천 리뷰 [내부링크]

시음일 2024년 3월 30일 대한민국,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대부도에서 한국만의 토착품종 청수 품종으로 만든 화이트 와인으로 수확한 포도를 스테인리스 스틸 탱크에서 2개월에 거쳐 발효 및 8개월을 숙성한다 (와이너리에 문의 후 직접 받은 답변) 그랑꼬또 청수 13도 2021 Grand Coteau Cheongsu 13% 2021 종류: 화이트와인 빈티지: 2021 생산국: 대한민국(South Korea) 생산지: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대부도 생산자: 그린영농조합 품종: 청수(Cheongsu) 품종 100% 당도: 1.7 / 산도: 3.9 / 타닌: 1 / 바디: 3 알콜: 13% 시음온도: 8~10도 용량: 750ml 가격대: 6만원대 수입사: 없음 구매처: 술마켓, 그랑꼬또 온라인 스토어 - 테이스팅 노트 와인 글라스: 잘토 덴크 아트 유니버셜 (Zalto Den'k Art Universal) 잘토 유니버셜 와인잔, 레드와인도 잘 어울리지만 특히 오크 숙성이건 스틸 숙성이건 화이

[프리잔테] 빌라 디 꼬를로 람브루스코 그라스파로싸 디 카스텔베트로 2022 Villa Di Corlo Lambrusco Grasprossa Di Castelvetro 2022 [내부링크]

시음일 2024년 3월 24일 이탈리아, 에밀리아 로마냐 지역에서 람브루스코의 수많은 돌연변이중 람브루스코 그라스파로싸 품종으로 차가운 온도에서 7~8일 침용과 발효를 실시하고 이후 병입 후 2차 발효를 2개월 실시하고 잔여당은 12g/L를 남기고 발효 및 숙성을 한다 오픈 전 병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마치 내추럴 와인처럼 병목을 감싸는 캡씰이 없다 빌라 디 꼬를로 람브루스코 그라스파로싸 디 카스텔베트로 2022 Villa Di Corlo Lambrusco Grasprossa Di Castelvetro 2022 종류: 프리잔테(세미 스파클링 와인) 빈티지: 2022 생산국: 이탈리아 (Italy) 생산지: 에밀리아 로마냐 (Emilia-Romagna) 생산자: 빌라 디 꼬를로(Villa Di Corlo) 품종: 람브루스코 그라스파로싸(Lambrusco Grasprossa) 100% 당도: 1.5 / 산도: 3.7 / 타닌: 1.8 / 바디: 3.2 알콜: 11% 시음온도: 12~1

[레드] 콘차이 토로 디아블로 다크 레드 2021 Concha y Toro Diablo Dark Red 2021 칠레 만원대 레드 와인 리뷰 [내부링크]

시음일 2024년 3월 24일 칠레 마울레 밸리에서 생산되며 시라/쉬라즈 58%, 말벡 38%, 기타품종 4%의 품종 블렌딩에 수확한 포도를 스테인리스 스틸 탱크에서 침용 및 발효 후 아메리칸 오크와 프렌치 오크에서 숙성되며 오크의 굽기 또한 다양한 굽기의 오크와 새오크부터 몇회 사용안 오크인지까지 다양한 오크통에서 6개월, 6주, 6일을 숙성한다 오픈 전 병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글자 모양이 마치 게임의 그것(?)을 떠오르게 하며 레이블 또한 꽤나 직선적이다 콘차이 토로 디아블로 다크 레드 2021 Concha y Toro Diablo Dark Red 2021 종류: 레드와인 빈티지: 2021 생산국: 칠레(Chile) 생산지: 마울레 밸리(Maule Valley) 생산자: 콘차이 토로(Concha y Toro) 품종: 시라/쉬라즈(Syrah/Shiraz) 58%, 말벡(Malbec) 38%, 기타품종(etc) 4% 당도: 2.2 / 산도: 3.4 / 타닌: 3 / 바디: 4 알

[레드] 만텔라시 산 쥬세페 2018 Mantellassi San Giuseppe 2018 Morellino di Scansano 이탈리아 토스카나 마렘마 산지오베제 와인 리뷰 [내부링크]

시음일 2024 3월 24일 이탈리아, 토스카나에서도 마렘마 지역, 모렐리노 디 스칸사노라는 생산지의 레드와인으로 산지오베제 85%, 카베르네 소비뇽 10%, 칠리에졸로 5% 품종 블렌딩에 최고의 구획을 선별하여 수확한 포도를 스테인리스 스틸 탱크에서 침용 및 발효를 하고 작은 프렌치 오크통으로 옮겨져 6개월, 병입하고 2~3개월 병 숙성 후 출시한다 오픈 전 병 앞부분과 뒷부분, 수입사에서 붙힌 백레이블에 기본적인 정보는 기재되어 있다 만텔라시 산 쥬세페 2018 Mantellassi San Giuseppe 2018 종류: 레드와인 빈티지: 2018 생산국: 이탈리아(Italy) 생산지: 토스카나(Toscana) -> 마렘마(Maremma) -> 모렐리노 디 스칸사노(Morellino di Scansano) 생산자: 파토리아 만텔라시(Fattoria Mantellassi) 품종: 산지오베제(Sangiovese) 85%, 카베르네 소비뇽(Cabernet Sauvignon) 10%,

[와인잔] 조세핀 No 4 샴페인 (Josephinen No 4 Champagne) 아르케 제니오 (Arche Genio) 와인 글라스 무게 및 비교 추천 사용 리뷰 [내부링크]

조세핀 No 4 구매일 2024년 3월 7일 아르케 제니오 구매일 2024년 3월 19일 특징: 조세핀 시리즈는 본래 잘토 브랜드의 메인 디자이너였던 Kurt Zalto가 잘토를 나와 새롭게 만든 브랜드로 No1은 화이트, No2는 유니버셜, No3는 레드와인, 그리고 이 와인잔인 No4는 샴페인잔으로 잘토에 비해 새롭게 디자인을 하고 내구성을 강화하였다, 아르케 제니오는 이탈리아의 새로운 와인잔 브랜드로 명품 핸드메이드 와인잔으로 역시 독특한 디자인을 가지고 긴 스템에 무겁지도, 또는 너무 가볍지도 않은 적당한 무게와 내구성을 바탕으로 실용적인 퍼포먼스를 표방한 와인잔이다, 필자의 마지막에 마지막이라는 와인잔 현질은 꼭 여기서 멈추길 다짐하며 구매했다 조세핀 No 4 샴페인 Josephinen No 4 Champagne 스펙 국가: 오스트리아 소재: 무연 크리스탈 공정: 핸드메이드 높이: 24cm 용량: 300ml 무게: 82.1g (직접 측정한 무게, 핸드메이드라 조금씩 편차가

[샴페인] 앙리 지로 퓌 드 셴 브뤼 MV17 Henri Giraud Fut de Chene MV17 프랑스 샹파뉴 스파클링 와인 고급 샴페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4년 3월 21일 프랑스, 샹빠뉴 지역에서 피노 누아 80%, 샤르도네 20% 품종 블렌딩으로 만들어지는 샴페인으로 2017빈티지 60% 베이스에 솔레라 시스템으로 숙성 된 리저브 와인 40%를 블렌딩하며 평균 수령 50년의 포도나무에서 수확한 포도를 사용하고 Argonne 숲에서 생산된 오크통에서 12개월 숙성하고 병에서 2차 발효, 6년 동안 병에서 효모앙금과 함께 숙성된다 오픈 전 병 케이스와 함께 그리고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앙리 지로 퓌 드 셴 브뤼 MV17 Henri Giraud Fut de Chene MV17 종류: 스파클링와인 -> 샴페인 빈티지: 2017 베이스 + 리저브 와인 40% 생산국: 프랑스(France) 생산지: 샹빠뉴(Champagne) 생산자: 샹파뉴 앙리 지로(Champagne Henri Giraud) 품종: 피노 누아(Pinot Noir) 80%, 샤르도네(Chardonnay) 20% 당도: 1.7 / 산도: 3.9 / 타닌: 1 / 바

[레드] 도멘 레셔노 뉘 생 조르쥬 2019 Domaine Lecheneaut Nuits Saint Georges 2019 프랑스 부르고뉴 피노누아 와인 리뷰 [내부링크]

시음일 2024년 3월 20일 프랑스 부르고뉴의 꼬뜨 드 뉘 지역에서도 뉘 생 조르류라는 마을에서 생산되는 빌라쥬급 레드와인으로 피노 누아 품종으로 만들며 손으로 선별하며 수확하며 줄기는 일부만 제거하고 토착 효모로 발효를 진행하고 프렌치 오크통에서 16개월을 숙성한다(새 오크 비율 30%) 오픈 전 병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도멘 레셔노 뉘 생 조르쥬 2019 Domaine Lecheneaut Nuits Saint Georges 2019 종류: 레드와인 빈티지: 2019 생산국: 프랑스(France) 생산지: 부르고뉴(Bourgogne) -> 꼬뜨 드 뉘(Cotes de Nuits) -> 뉘 생 조르류(Nuits Saint Georges) 생산자: 도멘 레셔노 (Domaine Lecheneaut) 품종: 피노 누아(Pinot Noir) 100% 당도: 1.9 / 산도: 3.7 / 타닌: 3.1 / 바디: 3.4 알콜: 13.5% 시음온도: 14~16도 용량: 750ml 가격대: 14

[아이스] 스위트 듀 아이스 와인 카버네 프랑 2021 Sweet Dew Ice Wine Cabernet Franc 2021 캐나다 까베르네 프랑 아이스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4년 3월 16일 캐나다에서 베어 리버 지역에서도 온타리오라는 생산지에서 만들어지는 카베르네 프랑 100%의 아이스와인으로 수확시기를 좀 늦게 해서 포도가 약 영하 8도 이하의 추운 기후에 얼어붙은 상태에서 손으로 수확 후 해동되기전에 얼른 압착하고 껍질과 다시 침용을 통해 색과 타닌을 추출, 발효 후 스테인리스 스틸 탱크에서 숙성한다 오픈 전 병 앞부분과 뒷부분, 단풍국이라는 캐나다답게 단풍잎이 그려져 있는 레이블 스위트 듀 아이스 와인 카버네 프랑 2021 Sweet Dew Ice Wine Cabernet Franc 2021 종류: 스위트와인 -> 아이스와인 빈티지: 2021 생산국: 캐나다(Canada) 생산지: 베어 리버(Bear River) -> 온타리오(Ontario) 생산자: 무윈 에스테이트 와인즈(Muwin Estate Wines) 품종: 카베르네 프랑(Cabernet Franc) 100% 당도: 3 / 산도: 4.5 / 타닌: 2.7 / 바디: 3.5 알

[화이트] 슈엔하이츠 피노 블랑 발 상 그레고와 2020 Schoenheitz Pinot Blanc Val Saint Gregoire 2020 프랑스 알자스 피노블랑 화이트 와인 [내부링크]

시음일 2024년 3월 16일 프랑스 알자스 지역에서 피노 블랑 품종 100%로 만드는 내추럴 화이트 와인으로 경사가 와이너리보다 높은 포도밭에서 손으로 수확한 포도를 줄기와 함께 공압 프레스를 이용해 전부 압착을 하고 중력을 통해 주스와 분리, 토착효모로 알콜 발효를 하며 온도 조절이 가능한 스테인리스 스틸 탱크에서 발효와 숙성을 거치고 필터링 없이 병입한다 오픈 전 병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알자스 특유의 길고 날씬한 병은 이게 750ml가 맞는지 의심이 들 정도 슈엔하이츠 피노 블랑 발 상 그레고와 2020 Schoenheitz Pinot Blanc Val Saint Gregoire 2020 종류: 화이트와인 빈티지: 2020 생산국: 프랑스 (France) 생산지: 알자스 (Alsace) 생산자: 슈엔하이츠 (Schoenheitz) 품종: 피노 블랑(Pinot Blanc) 100% 당도: 1.8 / 산도: 3.5 / 타닌: 1 / 바디: 3.6 알콜: 13.5% 시음온도: 8

[레드] 트라피체 이스까이 말벡 까베르네 프랑 2019 Trapiche Iscay Malbec Cabernet Franc 2019 아르헨티나 블렌딩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4년 3월 13일 아르헨티나 멘도사 지역에서도 Cruz de Piedora, Maipuy Altamira, Valle de Uco라는 소지역에서 말벡 70%, 카베르네 프랑 30%의 블렌딩으로 손으로 수확한 포도를 450Kg의 용기로 운송, 선별과 줄기는 제거 후 25~27도의 발효 온도에서 작은 콘크리트 통에서 최소 25일을 침용과 발효를 진행하며 MLF(젖산발효)가 자연스레 일어나고 이후 새 프렌치 오크통에서 12개월을 숙성, 블렌딩 후 다시 프렌치 오크통에서 6개월 숙성, 병입 후 12개월 병숙성을 거친다 오픈 전 병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병이 너무 길다, 무슨 독일이나 캐나다의 아이스와인인줄.. 작은 셀러와 일반적인 와인 케이스에는 당연히 안들어간다 트라피체 이스까이 말벡 까베르네 프랑 2019 Trapiche Iscay Malbec Cabernet Franc 2019 종류: 레드와인 빈티지: 2019 생산국: 아르헨티나(Argentina) 생산지: 멘도사(Me

[레드] 트라피체 에스타시온 1883 말벡 2021 Trapiche Estacion 1883 Malbec 2021 아르헨티나 말벡 품종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4년 3월 10일 아르헨티나, 멘도사 지역의 말벡 품종 레드 와인으로 손으로 수확한 포도를 줄기를 제거하고 선별하여 작은 콘크리트 탱크에서 자연적인 MLF를 거쳐 약 20~25도의 온도에 최소 25일을 발효와 침용을 진행하며 이후 부드러운 공압식 압착기를 통해 압착을 하고 껍질과 주스를 분리, 프렌치 오크와 아메리칸 오크 둘다 혼용해서 15개월 숙성 후 여과하고 병입한다 급하게 오픈했다, 오픈 후 병 앞부분과 뒷부분 트라피체 에스타시온 1883 말벡 2021 Trapiche Estacion 1883 Malbec 2021 종류: 레드와인 빈티지: 2021 생산국: 아르헨티나(Argentina) 생산지: 멘도사(Mendoza) 생산자: 트라피체(Trapiche) 품종: 말벡(Malbec) 100% 당도: 1.6 / 산도: 3.9 / 타닌: 3.3 / 바디: 3.9 알콜: 14% 시음온도: 16~18도 용량: 750ml 가격대: 2만원대 중반 수입사: 금양인테네셔날 구매처:

[뱅존] 도멘 메르 에 피스 샤또 살롱 뱅존 2011 Domaine Maire & Fils Chateau Chalon Vin Jaune 2011 프랑스 쥐라 사바냥 품종 뱅존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4년 3월 10일 프랑스 쥐라 지역의 샤또 살롱이라는 소지역에서 생산되는 뱅 존 와인, 뱅존 와인중에서 가장 뛰어난 와인을 생산하는 지역으로 유명하며 뱅존에서만 허용되는 사바냥 품종으로만 만들며 이 지역의 다른 품종들보다 늦게 수확하며 손으로 수확한 포도를 으깬 후 압착하여 주스를 스테인리스 스틸 탱크에서 발효, 이후 발효가 끝나면 225리터의 프렌치 오크통으로 옮겨져 6년 3개월 동안 숙성하고 와인을 끝까지 안채우고 오크통에 어느정도 공간을 두고 채워 효모막이 생기도록 유도한다 이렇게 생긴 수 브알(Sous Voile) 숙성을 하며 소실 된 와인은 본래 1리터에서 620ml로 줄어들며 용량에 맞는 클라블랑이라는 병에 담긴다 오픈 전 병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병목 특유의 왁스(파라핀) 마감이 되어있어 오픈때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다 도멘 메르 에 피스 샤또 살롱 뱅존 2011 Domaine Maire & Fils Chateau Chalon Vin Jaune 2011 종류

[레드] 카루소 & 미니니 프라펠로 2021 Caruso & Minini Frappello 2021 이탈리아 프라파토 네렐로 마스칼레제 블렌딩 레드 와인 리뷰 [내부링크]

시음일 2024년 3월 9일 이탈리아 시칠리아에서도 마르살라라는 주정강화와인으로 유명한 생산지의 레드와인, 프라파토 품종과 네렐로 마스칼레제 품종 블렌딩을 하며 손으로 수확한 포도를 줄기는 제거하고 스테인리스 스틸 탱크에서 침용 및 발효, 25도의 온도가 제어되고 15~20일 발효 및 MLF(젖산발효)도 같이 진행한다, 이후 30%는 225리터 오크 바리크에서 4개월 숙성을, 나머지는 스테인리스 스틸 탱크에서 8개월동안 숙성한다 오픈 전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카루소 & 미니니 프라펠로 2021 Caruso & Minini Frappello 2021 종류: 레드와인 빈티지: 2021 생산국: 이탈리나(Italy) 생산지: 시칠리아(Sicilia) -> 마르살라(Marsala) 생산자: 카루소 & 미니니(Caruso & Minini) 품종: 프라파토(Frappato), 네렐로 마스칼레제(Nerello Mascalese) 당도: 1.8 / 산도: 3.3 / 타닌: 3.2 / 바디: 3.9

[화이트] 맥기건 빈 9000 세미용 2019 McGuigan Bin 9000 Semillon 2019 호주 헌터 밸리 세미용 화이트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4년 3월 2일 호주, 뉴 사우스 웨일즈의 헌터 밸리라는 생산지, 세미용 품종으로 만들며 서늘한 이른 오전에 기계로 수확하며 양조장으로 즉시 운반, 포도를 공압식 멤브레인 프레스에서 압착하며 주스는 저온에서 DV10 효모로 스테인리스 스틸 탱크에서 21일에 걸쳐 발효 후 탈지유로 가볍게 청징, 병입 전 여과도 진행한다 오픈 전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1995년 첫 릴리즈가 되었다고 나온다 맥기건 빈 9000 세미용 2019 McGuigan Bin 9000 Semillon 2019 종류: 화이트와인 빈티지: 2019 생산국: 호주(Australia) 생산지: 뉴 사우스 웨일즈(New South Wales) -> 헌터 밸리(Hunter Valley) 생산자: 맥기건(McGuigan) 품종: 세미용(Semillon) 100% 당도: 1.5 / 산도: 4 / 타닌: 1 / 바디: 3 알콜: 12% 시음온도: 8~10도 용량: 750ml 가격대: 2만원대 수입사: 와이넬 구매처:

[빈티지차트] 2024 WE 와인 빈티지 차트 2024 WE Vintage Chart 점수 평가 비교 리포트 Wine Enthusiast 로버트 파커 Wine Spectator [내부링크]

2024년 올해는 조금 늦게 빈티지 차트가 나왔다, 매년 2월쯤에 나도더니 올해는 3월달에서야 나왔다 작년이나 제작년 빈티지 차트에 비해 올해 빈티지별 평가점수나 시음적기에 대한 부분이 변경되어 나왔기 때문에 올해 기준으로 보는것이 좋으며 아무래도 하나의 와인에 평가된 유명 평론가의 점수도 좋지만 와인의 생산국가와 생산지역을 알고있으면 이 차트 또한 도움이 된다 참고로 하기의 표는 'Wine Enthusiast'의 표로 대중적으로 제일 보기 좋게 만든다, 줄여서 WE라고 부르며 'Wine Spectator'(WS)와 'Robert Parker'(RP) 의 빈티지 차트의 점수와도 다른 성향을 보인다 - 출저 Wine Enthusiast 및 Wine Spectator, Wine Advocate의 Vintage Chart에서 퍼옴 밑에 표에 보게 될 박스에서 당연히 숫자는 점수며 박스의 색깔에 따라 숙성을 해야 될지 최악은 마실 수 없는 와인일지 보여준다 [Ratings] 98 - 100

[레드] 맥매니스 쁘띠 쉬라 2021 McManis Petite Sirah 2021 미국 캘리포니아 쁘띠 시라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4년 3월 1일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로디 지역의 레드와인, 쁘띠 시라 품종으로 만들며 수확한 포도를 껍질과 함께 6~9일동안 침용 및 발효를 진행하고 머스트를 압착 후 스테인리스 스틸 탱크에서 발효를 완료하고 100% 새 오크통을 사용, 7개월을 프렌치 오크와 아메리칸 오크통에서 숙성했다 와인병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맥매니스 쁘띠 쉬라 2021 McManis Petite Sirah 2021 종류: 레드와인 빈티지: 2021 생산국: 미국(USA) 생산지: 캘리포니아(California) -> 로디(Lodi) 생산자: 맥매니스 와이너리(McManis Winery) 품종: 쁘띠 시라(Petite Sirah) 100% 당도: 1.8 / 산도: 3.8 / 타닌: 3.2 / 바디: 3.7 알콜: 13.5% 시음온도: 16~18도 용량: 750ml 가격대: 3만원대 수입사: 와인투유코리아 구매처: 에이와인 - 테이스팅 노트 와인 글라스: 자페라노 울트라 라이트 보르도 (Zaffe

[사케] 월계관 준마이 750 月桂冠純米 750 일본 미국 캘리포니아 사케 니혼슈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4년 2월 24일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생산되는 사케로 정미율 70%의 준마이 슈다, 대량 생산을 통해 비교적 합리적인 가격에 좋은 사케를 만날수 있다 오픈 전 사케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비교적 수입사에서 백미, 누룩, 정제수라는 기본적인 양조 재료와 알콜등 자세히 알려준다 월계관 준마이 750 月桂冠純米 750 종류: 사케 -> 준마이 슈 빈티지: NV 생산국: 미국 (USA) 생산지: 캘리포니아 (California) 생산자: 월계관 품종: 칼로스(CalRose) 100% 당도: 2.3 / 산도: 3.7 / 타닌: 1 / 바디: 4 알콜: 15.6% 시음온도: 10~15도 용량: 750ml 가격대: 만원대 중반 수입사: 젠니혼 주류 구매처: GS25 - 테이스팅 노트 와인 글라스: 소피앤왈드 피닉스 버건디 (Sophienwald Phoenix Burgundy) 소피앤왈드 피닉스 버건디, 휘뚜르 마뚜르 쓸려고 필자가 구매한 와인잔이다, 그만큼 민감해서 잘 안깨먹었지만

[오렌지] 도멘 드 록타방 르 호아 드 쎄빠쥬 2021 Domaine de L'Octavin Le Rois Cepages 2021 프랑스 쥐라 리슬링 오렌지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4년 2월 23일 "오렌지 와인은 오렌지로 만들지 않고 순수 청포도만으로만 만듭니다" 프랑스 쥐라라는 지역에서도 아흐보아 쀠삘랑 이라는 생산지의 내추럴 오렌지 와인, 리슬링 품종으로 손으로 수확한 포도를 송이째 전부 2주에 걸쳐서 침용하고 토착 효모로 발효한다, 이후 스테인리스 스틸 탱크에서 숙성 후 여과와 정제를 거치지 않고 아황산염도 추가하지 않고 병입한다 오픈 전 병 앞부분과 뒷부분, 앞레이블의 캐릭터는 마치 디즈니에서 본것 같은.. 도멘 드 록타방 르 호아 드 쎄빠쥬 2021 Domaine de L'Octavin Le Rois Cepages 2021 종류: 오렌지와인 (앰버와인) 빈티지: 2021 생산국: 프랑스(France) 생산지: 쥐라(Jura) -> 아흐보아 쀠삘랑(Arbois Pupillin) 생산자: 도멘 드 록타방(Domaine de L'Octavin) 품종: 리슬링(Riesling) 100% 당도: 1.5 / 산도: 4.2 / 타닌: 2 / 바디:

[레드]도멘 필립 보르나드 뿔사르 푸앙 바 2018 Domaine Philippe Bornard Ploussard Point Barre 2018 프랑스 쥐라 풀사르 품종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4년 2월 18일 프랑스, 쥐라 지역의 아흐보아 생산지에서도 소규모 생산지역인 쀠삘랑에서 생산되는 풀사르드 품종으로 만드는 레드 와인으로 45~80년 된 수령의 포도나무에서 손으로 수확, 줄기는 모두 제거하고 스테인리스 스틸 탱크어서 먼저 탄산침용을 진행하고 이후 발효를 하면서 껍질은 3주 동안 하루에 한번씩 펀치다운과 펌핑오버를 거쳐 한달을 침용과 발효를 하고 압착 후 10헥토리터 오크통으로 옮겨 18개월을 숙성 후 정제, 여과는 생략하고 아황산염 첨과 없이 병입한다 오픈 전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앞 레이블에 그려져 있는 여우가 되게 귀엽고 앞 레이블에 왠만한 정보가 다 기재되어 있다, 백레이블은 수입사의 레이블 도멘 필립 보르나드 뿔사르 푸앙 바 2018 Domaine Philippe Bornard Ploussard Point Barre 2018 종류: 레드와인 빈티지: 2018 생산국: 프랑스 (France) 생산지: 쥐라 (Jura) -> 아흐보아 (Arbois

[와인잔] 리델 퍼포먼스 피노 누아 Riedel Performance Pinot Noir 와인 글라스 무게 및 비교 추천 사용 리뷰 [내부링크]

구매일 2024년 2월 13일 특징: 출시된지 몇년이 되지 않은 모델로 2018년 출시되었으며 혁신 기술인 옵틱 임팩트로 내부 표면에 굴곡을 주어 미적 감각과 내부 표면을 확장시킨 모델로 특히나 잔 위에서 아래로 비춰주는 은은한 조명 아래에서 굴곡의 아름다움을 더 강조하는 제품이다, 따라서 와인잔 크리스탈 그 자체의 매끈한 디자인을 좋아하는 유저들 또한 이 디자인에 불호 없이 접근할 수 있겠금 설계했다, 또한 집향과 퍼포먼스, 쉐입의 3마리 토끼를 다 잡은 디자인으로 인기를 끌고 있는 와인잔이다 (특히 스템이 짧은 로브마이어 발레리나와 비슷한 쉐입으로 많이 비교되고 있다) 리델 퍼포먼스 피노 누아 Riedel Performance Pinot Noir 스펙 국가: 오스트리아 소재: 무연 크리스탈 공정: 머신메이드 높이: 24.5cm 용량: 830ml 무게: 155.2g (직접 측정한 무게, 머신메이드도 같은잔마다 조금씩 편차가 있음, 다만 핸드메이드보단 편차가 덜 한편) 사용기 최

[레드] 덕혼 디코이 멀롯 2019 Duckhorn Decoy Merlot 2019 미국 캘리포니아 메를로 품종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4년 2월 17일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생산되는 메를로 80%, 카베르네 소비뇽 18%, 카베르네 프랑 2% 품종 블렌딩 레드와인으로 소노마 카운티 60%, 센트럴 코스트 32%, 멘도시노 카운티 8%의 비율로 수확한 포도를 스테인리스 스틸 탱크에서 침용과 발효를 하며 이후 100% 프렌치 오크통에서 12개월 숙성, 그 중 35% 새 오크통에서 숙성한다 오픈 전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덕혼 나파밸리 시리즈는 오리가 흑백인 반면 디코이는 오리색이 컬러인것이 특징이다 덕혼 디코이 멀롯 2019 Duckhorn Decoy Merlot 2019 종류: 레드와인 빈티지: 2019 생산국: 미국 (USA) 생산지: 캘리포니아 (California) 생산자: 덕혼 와인 컴퍼니 (Duckhorn Wine Company) 품종: 메를로(Merlot) 80%, 카베르네 소비뇽(Cabernet Sauvignon) 18%, 카베르네 프랑(Cabernet Franc) 2% 당도: 1.7 / 산

[레드] 피오 체사레 일 브리코 바르바레스코 2018 Pio Cesare Il Bricco Barbaresco 2018 이탈리아 네비올로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4년 2월 11일 이탈리아 북부 피에몬테에서도 바르바레스코 지역에 속한 트레이소라는 마을에서 네비올로 품종으로 양조하며 생산지내 위치한 포도원 중 가장 잘 익은 포도만을 엄선하여 수확 후 제법 높은 온도의 스테인리스 스틸 탱크에서 30일 동안 침용과 발효를 진행, 이후 대형 프렌치 오크 'Botti'와 작은 오크 바리크에서 약 30개월 숙성한다 오픈 전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기본적인 정보만 담고 있는 앞 레이블과 수입사에서 붙힌 백레이블 피오 체사레 일 브리코 바르바레스코 2018 Pio Cesare Il Bricco Barbaresco 2018 종류: 레드와인 빈티지: 2018 생산국: 이탈리아 (Italy) 생산지: 피에몬테 (Piemonte) -> 바르바레스코 (Barbaresco) -> 트레이소 (Treiso) 생산자: 피오 체사레 (Pio Cesare) 품종: 네비올로(Nebbiolo) 100% 당도: 1.6 / 산도: 3.9 / 타닌: 4 / 바디: 3.6

[화이트] 푸나무 스페셜 셀렉션 소비뇽 블랑 2022 Pounamu Special Selection Sauvignon Blanc 2022 뉴질랜드 말보로 소비뇽 블랑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4년 2월 9일 뉴질랜드, 남섬의 말보로 지역에서 대표 소비뇽 블랑 품종 화이트 와인으로 주로 Waihopai Valley 에서 재배한 포도를 사용하며 기계수확을 일부러 진행하여 최대한 싸이올(Thiols) 화학물질이 포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하며 밤의 서늘한 시간에 기계수확한 포도를 줄기를 제거하고 공압장치에서 최대한 부드럽게 압착 후 랙킹을 하고 배양효모로 불필요한 향을 줄이며 저온에서 발효하여 과실향을 살리고 첫번째 여과 후 스테인리스 스틸 탱크에서 짧은 숙성과 안정화를 하고 정제와 필터링을 거쳐 병입된다 오픈 전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백레이블은 수입사에서 붙힌 레이블이며 앞과 뒤 모두 심플하다 푸나무 스페셜 셀렉션 소비뇽 블랑 2022 Pounamu Special Selection Sauvignon Blanc 2022 종류: 화이트와인 빈티지: 2022 생산국: 뉴질랜드 (New Zealand) 생산지: 사우스 아일랜드 (South Island) -> 말보

[화이트] 된호프 리슬링 트로켄 2021 Donnhoff Riesling Trocken 2021 독일 나헤 리슬링 돈호프 리슬링 화이트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4년 2월 9일 독일, 나헤 지역의 리슬링 품종으로 만든 화이트 와인, 나헤 중부 지역의 가파른 경사지 포도원에서 생산되며 토양은 돌이 많고 화산 토양에 판암과 멜라피르, 일정량의 점판암, 규암으로 이루어져 있고 수령 15~30년의 포도나무에서 선별하여 손으로 수확한 포도를 스테인리스 스틸 탱크와 대형 오크통에서 발효와 숙성을 거친다 오픈 전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백레이블에 별도의 정보가 없이 수입사에서 붙힌 레이블로 깔끔하다 된호프 리슬링 트로켄 2021 Donnhoff Riesling Trocken 2021 종류: 화이트와인 빈티지: 2021 생산국: 독일 (Germany) 생산지: 나헤(Nahe) 생산자: 된호프 (Donnhoff) 품종: 리슬링(Riesling) 100% 당도: 1.4 / 산도: 4.4 / 타닌: 1 / 바디: 2.8 알콜: 12% 시음온도: 9~11도 용량: 750ml 가격대: 4만원대 수입사: 에노테카코리아, 루벵코리아 구매처: 에노테카 직영

[레드] 이브 뀌에롱 앙시앙 세파쥬 뒤리프 2019 Yves Cuilleron Anciens Capages Durif 2019 프랑스 북 론 쁘띠 시라 두리프 품종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4년 2월 4일 프랑스, 론에서도 북부 론에서 '잊혀진 품종 프로젝트' 로 와이너리에서 복구한 품종 중 하나인 두리프라는 품종으로 만들어진 레드와인으로 이 품종은 바로 미국에서 특히 더 유명한 쁘띠 시라(Petite Sirah)다, 손으로 수확한 포도를 선별하여 개방형 오크 발효조에서 일부는 줄기와 함께 침용을 하고 야생효모로 3주간 발효를 진행하며 중간중간 펀치다운과 펌핑오버를 병행한다, 이후 1~4년 사용한 프렌치 부르고뉴산 오크통과 큰 오크 푸드르에서 8개월 숙성 후 필터링은 제외하고 계란 흰자로 청징만 하고 병입한다 오픈 전 와인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백레이블엔 특히 수입사에서 붙힌 레이블이 선 하다. 이브 뀌에롱 앙시앙 세파쥬 뒤리프 2019 Yves Cuilleron Anciens Capages Durif 2019 종류: 레드와인 빈티지: 2019 생산국: 프랑스 (France) 생산지: 론 (Rhone) -> 북부 론 (Northern Rhone) 생산자:

[레드] 산막 와이너리 비원퓨어 2022 Sanmac Winery Secret Garden Pure 2022 대한민국 한국 산머루 폼종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4년 2월 4일 대한민국, 충청북도 영동군 영동읍에서 산머루 품종 100%로 만드는 레드와인으로 수확한 포도를 저온에서 침용과 발효를 진행하며 스테인리스 스틸 탱크에서 발효하며 매일 펀치다운을 실시, 이후 스테인리스 스틸 탱크와 오크배럴에서 18개월 이상 숙성한다 오픈 전 와인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백레이블에 보당을 했다라고 나온다만 차라리 보당을 하지 않는게 나을것 같다라는 생각이 든다 산막 와이너리 비원퓨어 2022 Sanmac Winery Secret Garden Pure 2022 종류: 레드와인 빈티지: 2022 생산국: 대한민국(South Korea) 생산지: 충청북도 영동군 영동읍 생산자: 산막 와이너리 (Sanmac Winery) 품종: 산머루(Sanmeoruh) 100% 당도: 1.3 / 산도: 3.9 / 타닌: 2.7 / 바디: 3.7 알콜: 13% 시음온도: 14~16도 용량: 750ml 가격대: 3만원 수입사: 없음 구매처: 산막 와이너리 온라인 스

[로제] 무똥 까데 비오 로제 2022 Mouton Cadet Bio Rose 2022 프랑스 보르도 로제 와인 리뷰 접근성 좋은 편의점 로제 와인 [내부링크]

시음일 2024년 2월 3일 프랑스 보르도의 흔치 않은 로제 와인으로 메를로 품종 베이스에 카베르네 소비뇽, 카베르네 프랑 품종을 블렌딩 하였고 자갈이 많은 토양의 밭에서 재배된 포도를 사용, 수확한 포도를 숙련된 기술로 색과 타닌, 플레이버를 뽑아낸 압착된 주스는 온도가 조절되는 스테인리스 스틸 탱크에서 발효 및 숙성을 하며 효모앙금숙성(리숙성)도 같이 수개월을 진행한다(정확한 숙성개월은 미표기) 오픈 전 와인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생각보다 색이 짙다 무똥 까데 비오 로제 2022 Mouton Cadet Bio Rose 2022 종류: 로제와인 빈티지: 2022 생산국: 프랑스 (France) 생산지: 보르도 (Bordeaux) 생산자: 무똥 까데 (Mouton Cadet) 품종: 메를로(Merlot), 카베르네 소비뇽(Carbernet Sauvignon), 카베르네 프랑(Carbernet Franc) 당도: 1.5 / 산도: 3.9 / 타닌: 2.0 / 바디: 3.2 알콜: 1

[샴페인] 베세라 드 벨퐁 블루 브뤼 NV Besserat de Bellefon Blue Brut NV 프랑스 샹파뉴 스파클링 와인 샴페인 리뷰 [내부링크]

시음일 2024년 2월 3일 프랑스 샹파뉴 지역에서 생산되는 베세라 드 벨퐁이라는 샴페인 하우스의 엔트리급 샴페인으로 MLF(젖산발효)를 거치지 않고, 뀌베 데 무안(Cuvee des Moines)이라는 일반적인 6기압 내외의 샴페인에 비해 좀 더 낮은 4.5기압으로 과학적으로도 30%나 더 섬세한 기포를 지니며 피노 뮈니에 45%, 샤르도네 30%, 피노 누아 25%의 품종 블렌딩에 수확한 포도로 양조하며 솔레라 방식으로 숙성 된 리저브 와인이 30%나 들어가며 병입하고 2차 발효와 효모앙금숙성을 약 3년에 걸쳐 진행, 데고르쥬망으로 효모찌꺼기 배출 이후 최소 6개월을 추가 숙성한다 병입일 2019년 6월 25일, 데고르주망 2022년 4월 오픈 전 와인 앞부분과 뒷부분, 병이 중하단부는 뚱뚱하면서도 병목은 매우 날씬하다 베세라 드 벨퐁 블루 브뤼 NV Besserat de Bellefon Blue Brut NV 종류: 스파클링와인 -> 샴페인 빈티지: NV (Non Vintage

[레드] 요하네스호프 라이니쉬 생 롸우렌트 2018 Johanneshof Reinisch St. Laurent 2018 오스트리아 생 로랑 품종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4년 1월 28일 오스트리아는 비교적 유럽에서도 생소하지만 전반적으로 독일의 리슬링과 비슷한 스타일로 와인을 만들면서도 국제 품종과 독자적인 토착 품종으로 와인을 만든다, 그 중 니더외스터라이히 지역, 테르멘뤼기온 생산지의 생로랑 이라는 적포도 품종으로 만든 레드와인으로 수확한 포도를 오크통에서 발효하며 이후 225L 배럴과 3000L의 큰 오크통에서 12개월 숙성한다 오픈전 앞부분과 뒷부분, 심플한 앞레이블과 국내 수입사에서 붙힌 백레이블, 간단한 와인소개나 양조노트등이 없다 요하네스호프 라이니쉬 생 롸우렌트 2018 Johanneshof Reinisch St. Laurent 2018 종류: 레드와인 빈티지: 2018 생산국: 오스트리아 (Austria) 생산지: 니더외스터라이히 (Niederosterreich) -> 테르멘뤼기온 (Thermenregion) 생산자: 요하네스 라이니쉬 (Johanneshof Reinisch) 품종: 생로랑(St.Laurent) 100%

[화이트] 쉬 잇츠 게부르츠트라미너 2021 Shhh... It's Gewurztraminer 2021 독일 게뷔르츠트라미너 화이트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4년 1월 27일 독일에서 팔츠라는 지역의 게뷔르츠트라미너 품종의 화이트 와인으로 손으로 수확한 포도를 최대한의 낮은 극 저온에서 발효하여 과실향이 최대한 잘 살아나도록 하며 이후 스테인인리스 스틸 탱크에서 4개월 숙성한다 오픈 전 앞부분과 뒷부분은 레이블이 리슬링과 똑같다만 품종과 알콜, 색상이 다른거뿐 나머지는 똑같다 쉬 잇츠 게부르츠트라미너 2021 Shhh... It's Gewurztraminer 2021 종류: 화이트와인 빈티지: 2021 생산국: 독일 (Garmany) 생산지: 팔츠 (Pfalz) 생산자: 피터 메르테스 (Peter Mertes) 품종: 게뷔르츠트라미너(Gewurztraminer) 100% 당도: 2.3 / 산도: 3.7 / 타닌: 1 / 바디: 2.8 알콜: 10.5% 시음온도: 9~11도 용량: 750ml 가격대: 만원대 수입사: 히든셀러 구매처: GS25 - 테이스팅 노트 와인 글라스: 리델 파토마노 오크드 샤르도네 스카이 블루 (Ried

[화이트] 안티갈 우노 소비뇽 블랑 2021 Antigal Uno Sauvignon Blanc 2021 아르헨티나 소비뇽 블랑 화이트 와인 리뷰 [내부링크]

시음일 2024년 1월 27일 아르헨티나, 멘도사 지역의 우코 밸리라는 생산지에서 만들어지는 화이트 와인, 소비뇽 블랑 품종으로 손으로 수확 한 포도를 온도가 제어되는 스테인리스 스틸 탱크에서 저온으로 발효되며 품종 특성을 살려 스테인리스 스틸 탱크에서 6개월을 숙성한다 앞부분과 뒷부분, 1이라는 숫자가 앞레이블에 강하게 표시되어 있고 백레이블에는 잘 안보이지만 간단한 양조노트와 테이스팅 노트가 친절하게 적혀져 있다 안티갈 우노 소비뇽 블랑 2021 Antigal Uno Sauvignon Blanc 2021 종류: 화이트와인 빈티지: 2021 생산국: 아르헨티나 (Argentina) 생산지: 멘도사 (Mendoza) -> 우코 밸리 (Uco Valley) 생산자: 안티갈 우노 (Antigal Uno) 품종: 소비뇽 블랑(Sauvignon Blanc) 100% 당도: 1.4 / 산도: 4.2 / 타닌: 1 / 바디: 3 알콜: 13.9% 시음온도: 8~10도 용량: 750ml 가격대:

[와인잔] 로브마이어 발레리나 레드와인 테이스팅 III & 리델 파토마노 오크드 샤르도네 스카이 블루 와인 글라스 무게 및 비교 추천 사용 리뷰 [내부링크]

로브마이어 발레리나 구매일 2024년 1월 24일 파토마노 스카이블루 구매일 2024년 1월 4일 특징: 로브마이어 발레리나는 오스트리아산으로 여러가지 라인업 중 최근에 인기를 많이 구가하고 있는게 이 스템이 짧은 버전 3다, 독특한 스템이 짧은 디자인에 가벼운 무게와 특유의 튤립같은 쉐입이 매력적이며 리델 파토마노 오크드 샤르도네는 반대로 긴 스템과 묵직한 무게에 오크 숙성을 진행한 화이트 와인에 최적화된 쉐입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파토마노 시리즈는 다양한 컬러타이가 있는데 그중에서 흔하지 않은 스카이블루를 구매했다 로브마이어 발레리나 레드와인 테이스팅 III Lobmeyr Ballerina Red Wine Tasting III 스펙 국가: 오스트리아 소재: 칼리 크리스탈 공정: 핸드메이드 높이: 18cm 용량: 620ml 무게: 107.5g (직접 측정한 무게, 핸드메이드라 조금씩 편차가 있음) 사용기 근래에 들어 SNS에서나 여러 채널에서 많은 사람들이 로브마이어 발레리나

[화이트] 셈 이구알 브랑코 비뉴 베르데 2016 Sem Igual Branco Vinho Verde 2016 포르투갈 아린토 블렌딩 화이트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4년 1월 17일 포르투갈, 비뉴 베르데 지역의 화이트 와인으로 아린토 70%, 아잘 블랑코 30%의 품종 비율로 양조, 70%는 아마란테(Amarante) 지역에서 70%를 손수확, 소자(Sousa) 지역에서 30%를 손수확 후 줄기와 함께 부드럽게 압착하며 스테인리스 스틸 탱크에서 17도의 온도로 유지되며 8일에 걸쳐 발효, 역시 스테인리스 스틸 탱크에서 6개월을 숙성한다 오픈 전 와인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독특한 앞 레이블과 비교적 와인에 대한 설명이 없는 백레이블, 시음온도는 8도로 표기되어 있다 셈 이구알 브랑코 비뉴 베르데 2016 Sem Igual Branco Vinho Verde 2016 종류: 화이트와인 빈티지: 2016 생산국: 포르투갈 (Portugal) 생산지: 비뉴 베르데 (Vinho Verde) 생산자: 셈 이구알 (Sem Igual) 품종: 아린토(Arinto) 70%, 아잘 블랑코(Azal Blanco) 30% 당도: 1.5 / 산도: 3.

[레드] 미션 에스테이트 와이너리 카베르네 소비뇽 2021 Mission Estate Winery Cabernet Sauvignon 2021 뉴질랜드 혹스 베이 까베르네 소비뇽 [내부링크]

시음일 2024년 1월 16일 뉴질랜드, 노스 아일랜드, 즉 북섬의 혹스 베이에서 만들어지는 레드와인으로 카베르네 소비뇽 86%, 메를로 14% 품종 블렌딩, 수확한 포도를 껍질과 함께 15일에 걸쳐 침용하며 발효 중 펌핑오버를 진행하여 껍질로 부터 색상과 타닌을 더 얻고 발효 후 오크통과 스테인리스 스틸 탱크에서 총 15개월 숙성하고 병입한다 오픈 전 와인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백레이블에 시음노트만 있고 양조노트가 따로 기재되어 있지는 않다, 양조노트 찾기도 사실 힘듬.. 미션 에스테이트 와이너리 카베르네 소비뇽 2021 Mission Estate Winery Cabernet Sauvignon 2021 종류: 레드와인 빈티지: 2021 생산국: 뉴질랜드 (New Zealand) 생산지: 노스 아일랜드 (North Island) -> 혹스 베이 (Hawke's Bay) 생산자: 미션 에스테이트 와이너리 (Mission Estate Winery) 품종: 카베르네 소비뇽(Caberne

[위스키] 산토리 히비키 하모니 Suntory Hibiki Harmony 일본 몰트 그레인 블렌디드 위스키 추천 [내부링크]

첫 시음일 2024년 1월 13일 일본 재패니즈 위스키중 가장 세계적으로 명성이 높은 위스키로 산토리라는 일본의 거대 주류 기업의 블렌디드 위스키다, 야마자키 증류소에서 생산된 몰트 위스키와 하쿠슈 증류조에서 생산된 그레인 위스키를 블렌딩하고 최소 3년 이상 숙성 된 위스키부터 최대 20년까지 숙성 된 위스키를 블렌딩을 하며 매실주를 숙성했던 오크, 야마자키 위스키를 숙성했던 화이트 오크, 미즈나라 나무로 만든 오크, 셰리 오크까지 다양한 오크통에서 숙성 된 위스키를 블렌딩하여 완성한다 오픈 전 위스키 앞부분과 뒷부분 그리고 케이스 사진, 앞레이블과 케이스에 박힌 한자가 동양스러움을 강조한다 산토리 히비키 하모니 Suntory Hibiki Harmony 종류: 재패니즈 위스키 숙성연수: 최소 3년 (3년~20년 블렌드) 생산국: 일본 (Japan) 생산지: 교도 (Kyoto) -> 산토리 야마자키 증류소 (Suntory Yamazaki Jōryūsho) 생산자: 산토리 스피리츠 Lt

[귀부] 샤또 리외섹 2015 Chateau Rieussec 2015 프랑스 보르도 소테른 고급 스위트 디저트 와인 리뷰 [내부링크]

시음일 2024년 1월 12일 프랑스 보르도 주의 소테른 지역의 귀부와인으로 유명하며 동쪽 샤또 디켐 옆에 위치하며 Fargues에서, Sauternes까지의 양끝에 위치하여 복합적인 플레이버를 제공하며 고도가 78m정도로 샤또 디켐 다음으로 높은 고도를 가지며 지론강의 영향으로 자연적인 습도는 귀부병으로 잘 알려진 'Botrytis Cinerea'의 활동에 이상적인 조건을 갖추며 귀부균에 감염된 포도를 손으로 선별하기에 포도나무 한 그루당 와인 한잔이 나올정도로 엄선한다, 수확한 포도는 양조장에 도착 후 즉시 압착되며 침전 후 머스트는 다른 통으로 옮겨지며 각 포도밭 별도로 양조 및 발효 후 효모앙금숙성, 즉 리숙성을 진행하며 정기적으로 저어주며 효모앙금숙성이 끝나면 와인을 랙에 걸고 블렌딩하고 다시 프렌치 오크통에 담고 26개월 숙성한다, 숙성에 쓰이는 오크통은 50%는 새 오크통이며 '샤또 라피드 로칠드'에서 생산된 오크통이다 오픈 전 와인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소테른 특유의

[화이트] 쉬 잇츠 리슬링 2021 Shhh... It's Riesling 2021 독일 모젤 리슬링 가성비 편의점 화이트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4년 1월 6일 독일 모젤-자르-루버 지역에서 만들어지는 리슬링 품종 100% 화이트 와인으로 손으로 수확한 포도를 저온에서 양조, 발효 및 이후 스테인리스 스틸 탱크에서 5개월 숙성한다 오픈 전 와인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독일 리슬링 품종 와인이라기엔 어딘가 미국 느낌이 난다 쉬 잇츠 리슬링 2021 Shhh... It's Riesling 2021 종류: 화이트와인 빈티지: 2021 생산국: 독일 (Garmany) 생산지: 모젤-자르-루버 (Mosel-Saar-Ruwer) 생산자: 피터 메르테스 (Peter Mertes) 품종: 리슬링(Riesling) 100% 당도: 1.4 / 산도: 4.2 / 타닌: 1 / 바디: 3.5 알콜: 11.5% 시음온도: 8~10도 용량: 750ml 가격대: 만원대 수입사: 히든셀러 구매처: GS25 - 테이스팅 노트 와인 글라스: 시도니오스 르 쎕뗀뜨리오날 (Sydonios Le Septentrional) 시도니오스 르 쎕뗀뜨리오날,

[레드] 도멘 피니에 트루소 2019 Domaine Pignier Trousseau 2019 프랑스 쥐라 내추럴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4년 1월 6일 프랑스 쥐라에서도 꼬뜨 드 쥐라 라는 생산지에서 만들어지는 레드와인으로 트루소 품종으로 양조되며 손으로 수확한 포도를 줄기를 제거하고 달의 주기를 통해 중력에 의한 발효를 실시하며 중간 중간 편치다운을 해서 색을 최대한 껍질로 부터 뽑아낸다, 야생효모로 알콜 발효하며 최대 300갤런에서 최소 60갤런의 오크통에서 12개월 숙성하고 인공적으로 여과를 하지않고 음력에 따라 병입(되게 빵상하네..), 이산화황은 거의 첨과하지 않는다 오픈 전 와인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쥐라 특유의 병모향은 마치 뱅존을 연상케 하며 백레이블에는 오크에서 얼마나 숙성되었는지와 간단한 시음노트가 기재되어 있다 도멘 피니에 트루소 2019 Domaine Pignier Trousseau 2019 종류: 레드와인 빈티지: 2019 생산국: 프랑스 (France) 생산지: 쥐라 (Jura) -> 꼬뜨 드 쥐라 (Cotes de Jura) 생산자: 도멘 피니에 (Domaine Pignier

[화이트] 사또 몬텔레나 나파 밸리 샤도네이 2018 Chateau Montelena Napa Valley Chardonnay 2018 미국 캘리포니아 샤르도네 화이트 와인 리뷰 [내부링크]

시음일 2023년 12월 30일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나파 카운티, 그곳에 위치한 나파 밸리에서 생산되는 샤르도네 품종으로 만드는 화이트와인으로 수확한 포도를 발효하며 산도를 부드럽게 하는 젖산발효(MLF) 과정을 생략하여 쨍한 산도를 살리며 이후 프렌치 오크 배럴에서 10개월 숙성하고 숙성 중 리 숙성(효모앙금숙성)도 같이 진행한다 오픈 전 와인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클래식한 레이블은 별도의 설명이 없다.. 사또 몬텔레나 나파 밸리 샤도네이 2018 Chateau Montelena Napa Valley Chardonnay 2018 종류: 화이트와인 빈티지: 2018 생산국: 미국 (USA) 생산지: 캘리포니아(California) -> 나파 카운티(Napa County) -> 나파 밸리(Napa Valley) 생산자: 사또 몬텔레나 (Chateau Montelena) 품종: 샤르도네(Chardonnay) 100% 당도: 1.5 / 산도: 3.8 / 타닌: 1 / 바디: 3.6 알콜

[레드] 벨트악스 돈펠더 2014 Weltachs Dornfelder 2014 독일 데일리 가성비 입문용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이 사진의 모니터속 영화 '저스티스 리그'의 한 장면, 즉 2017년 12월 20일이었고 이때가 ...

[화이트] 웬티 모닝 포그 샤도네이 2009 Wente, Morning Fog Chardonnay 2009 가성비 맛있는 미국 화이트와인 초보자용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18년 01월 13일이다 3만원대로 세일하면 2만원때에도 구할수 있는 와인으로 웬티라는 미국의 와...

[아이스] 블루 넌, 화이트 아이스 2016 Blue Nun, White Ice 2016 가성비 독일 아이스 와인 초보자용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18년 04월 20일이다 본래 아이스와인의 종주국 독일의 '아이스바인'으로 아이스바인...

[로제] 엠 로제 NV M Rose NV 가성비 달콤한 이탈리아 초보자용 가성비 스위트 로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18년 05월 13일이다 지금은 와초등생(와인초등학생) 정도지만 당시는 와린이 시절이라 주로 달...

[레드] 몬테스 알파 카버네 소비뇽 2012 Montes Alpha Cabernet Sauvignon 2012 코스트코 인기 칠레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18년 06월 12일이다 코스트코가 그나마 필자의 거주지에서 그리 멀지 않은 거리에서 저렴하게 ...

[화이트] 킴 크로포드, 말보로 소비뇽 블랑 2016 Kim Crawford, Marlborough Sauvignon Blanc 2016 뉴질랜드 가성비 화이트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18년 06월 20일이다 지금은 멀리 떨어진곳으로 이전한 와인타임이 우리동네에 있을때 클라우디...

[레드] 페우디 델 피시오토, 발렌티노 2015 Feudi Del Pisciotto, Valentino 2015 3만원대 이탈리아 메를로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18년 06월 30일이다 당시 몬테스알파의 카버네 소비뇽을 마시고 나서 떫은 타닌감 때문에 좀 더...

[레드] 1865 싱글 빈야드 까르미네르 2015 1865 Single Vineyard Carmenere 2015 이마트 및 홈플러스 칠레 카르메네르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18년 07월 06일이다 칠레의 대표품종인 까르미네르, 메를로와 같은 부드러움에 또 까베르네소비...

[샴페인] 모엣 샹동 임페리얼 브뤼 NV Moet & Chandon Imperial Brut NV 전세계적으로 가장 인기많은 프랑스 샴페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18년 07월 07일이다 오래전부터 영화나 매체등을 통해 파티나 축하하는 자리에서 빠짐없이 등장...

[세미스파클링] 버니니 클래식 NV Bernini Classic NV 남아프리카 공화국 가성비 편의점 달콤한 모스카토 화이트 스파클링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18년 07월 15일이다 많은 사람들이 과일맛 맥주로 알고있는 맥주병이랑 비슷하게 생긴 와인중에...

[상그리아] 산다라 샤도네이 사케 스파클링 NV Sandara Chardonnay Sake Sparkling NV 사케가 들어간 달콤한 벚꽃향 상그리아 화이트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18년 07월 16일이다 샤르도네 품종으로 만든 화이트와인에 일본 사케로썬 메이저 4대 브랜드중 ...

[로제] 렉셀렁스 데 뮈레르 2015 L'Excellence des Muraires 2015 프랑스 고급 프로방스 로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18년 07월 18일이다 로제와인은 흔히들 알고있는 바캉스 와인이라 불리는데 생각보다 저렴한 와...

레드와인과 화이트와인을 섞어서 로제와인을 만들어보자!! [내부링크]

만든 날짜 및 시음일은 2018년 07월 21일이다 본래 샴페인을 만드는 프랑스 샹파뉴를 제외한 로제와인은 실...

[화이트] 도멘 뮈르뮈리움, 비오니에 2015 Domaine Mur Mur Ium, Viognier 2015 독특한 풍미가 매력적인 프랑스 론지역의 화이트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18년 07월 29일이다 보통 일반적인 화이트와인하면 떠오르는 시트러스, 노란계열 과실, 열대과...

[레드] 도멘 페블레, 메르퀴레 프르미에 크뤼 끌로 데 미글랑 2014 Domaine Faiveley, Mercurey 1er Cru Clos des Myglands 2014 [내부링크]

시음일은 2018년 08월 11일이다 "샴페인과 부르고뉴에 빠지면 가산탕진은 시간문제다" 세상에서 ...

[상그리아] 산다라 프리미엄 상그리아 NV Sandara Premium Sangria NV 편하게 마시기 좋은 달콤한 스페인 상그리아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18년 08월 15일이다 스페인 와인 문화중 하나인 상그리아 와인으로 특히 이 상그리아라는건 와...

[화이트] 슐로스 요하니스베르그, 겔블락 쿠베아 2015 Schloss Johannisberg, Gelblack QbA 2015 독일 라인가우 리슬링 화이트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18년 08월 22일이다 독일에서 가장 대표적인 포도품종이자 샤르도네, 소비뇽 블랑, 다음으로 유...

[레드] 루피노, 키안티 2015 Ruffino, Chianti 2015 만원대 홈플러스 초보자용 이탈리아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18년 08월 24일이다 이탈리아 중서부에 있는 지역인 '토스카나'라는 곳의 유명한 와...

[레드] 까테나 자파타, 까테나 말벡 2015 Catena Zapata, Catena Malbec 2015 아르헨티나 대표 말벡 품종 레드와인 코스트코 2만원대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18년 08월 25일이다 아르헨티나를 대표하는 레드와인 품종인 '말벡'으로 만든 레드와...

[로제샴페인] 샴페인 트리보 로제 NV Champagne Tribaut Rose NV 기념일 및 데이트 가성비 프랑스 로제 샴페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18년 09월 01일이다 국내서는 크게 인지도가 높지않은 샴페인중 하나로 로제 샴페인 잘만들기로...

[샴페인] 뵈브 클리코 브뤼 옐로우 레이블 NV Veuve Clicquot Brut Yellow Lable NV 프랑스 복합적인 풍미의 마시기 좋은 코스트코 샴페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18년 09월 02일이다 LVMH라는 루이비통과 모엣샹동 샴페인으로 유명한 회사 소속의 샴페인...

[스파클링] 운두라가, 스파클링 브뤼 NV Undurraga, Sparkling Brut NV 만원대 이마트24 편의점에서도 쉽게 구할수 있는 가성비 칠레 스파클링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18년 09월 11일이다 칠레산 스파클링 와인으로 최근들어 다양한 국가에서 레드와인 및 화이트나...

[레드] 하디스, 노타지 힐 까베르네 쉬라즈 2016 Hardys, Nottage Hill Cabernet Shiraz 2016 대형마트 만원대 이하 호주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18년 09월 12일이다 호주의 대표품종인 쉬라즈와 세계적으로 제일 유명한 레드와인 품종인 카베...

[샴페인] G.H.멈, 그랑 꼬르동 루즈 브뤼 NV G.H.Mumm, Grand Cordon Rouge Brut NV 당신의 눈동자에 건배 및 클럽 멈샴페인 프랑스 샴페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18년 09월 02일이다 20대들이 많이 찾는 클럽에서도 유명한 샴페인인 멈 샴페인이다, 최근에는 ...

[화이트] 오스카 보시오 아이베 드라이 모스카토 NV Oscar Bosio Aive Dry Moscato NV 이마트 가성비 드라이 모스카토 화이트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18년 09월 15일이다 '모스카토 다스티' 라는 달콤하고 탄산이 어느정도 있는 화이트...

[젝트] SMW 베를린 리슬링 트로켄 젝트 NV SMW Berlin Riesling Trocken Sekt NV 독일 리슬링 스파클링 와인 젝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18년 09월 22일이다 독일에서 '리슬링'품종으로 만든 스파클링 와인을 '젝트&#x...

[세미스파클링] 버니니 블러쉬 NV Bernini Blush NV 남아프리카 공화국 가성비 편의점 달콤한 모스카토 로제 스파클링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18년 09월 22일이다 편의점에서도 쉽게 볼수있는 '버니니 클래식'의 로제와인 버전이...

[레드] 옐로우 테일, 쉬라즈 리저브 2016 Yellow Tail, Shiraz Reserve 2016 이마트 및 홈플러스 편의점 만원대 가성비 호주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18년 09월 24일이다 호주의 대표품종인 쉬라즈로만 만든 레드와인으로써 보통 GS25나 CU같...

[레드] 샤또 라퐁 로쉐 2014 Chateau Lafon Rochet 2014 매력적이고 진중한 프랑스 보르도 그랑크뤼 클라세 4등급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18년 09월 29일이다 프랑스에서는 여러 지역에서 나오는 여러 종류의 와인이 너무나도 많다 그...

[까바] 프레시넷, 꼬든 네그로 까바 브뤼 NV Freixenet, Cordon Negro Cava Brut NV 샴페인 대안용 스페인 가성비 스파클링 와인 까바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18년 10월 03일이다 스페인에서 샴페인과 동일한 양조방식으로 만든 스파클링 와인을 '까...

[레드] 샤또 앙젤루스 1986 Chateau Angelus 1986 필자의 생년 빈티지 프랑스 보르도 레드 와인 추천 셀러링중 [내부링크]

구매일: 2018년 9월 22일 프랑스의 보르도라는 와인 생산지역으로 세계에서 제일 유명한 곳으로 이 지역에...

[로제] 덕혼, 디코이 로제 2016 Duckrhon, Decoy Rose 2016 미국 캘리포니아의 잘만든 프로방스 스타일의 로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18년 10월 06일이다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메를로라는 적포도 품종으로 레드와인 잘만들기로 유...

[화이트] 루피노, 오르비에토 클라시코 2016 Ruffino, Orvieto Classico 2016 만원대 가성비 좋은 이탈리아 데일리 화이트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18년 10월 07일이다 이탈리아에서 가성비 좋고 또 가격도 저렴하면서 마시기 편한 스타일로 상...

[레드] 끌로너와 드라이 NV Clo Neowa Dry NV 대한민국 한국 국산 레드 와인 마신 후기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18년 10월 13일이다 대한민국의 레드와인으로 우리나라의 레드와인 대표품종인 산머루로 만든와...

[화이트] 더 그레이프 그라인더 슈냉 블랑 2017 The Grape Grinder Chenin Blanc 2017 이마트 가성비 맛있는 만원대 남아공 화이트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18년 10월 20일이다 남아공의 와인은 가성비 좋은게 많다 남아공에서는 화이트와인으로 대표적...

[스파클링] 도멘 생 미셸, 브뤼 NV Domaine Ste. Michelle, Brut NV 2만원대 가성비 샴페인과 동일한 방식의 미국 스파클링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18년 10월 27일이다 미국의 샴페인 방식과 동일한 양조방식으로 만든 미국 스파클링 와인으로 ...

[화이트] 더 롱 리틀 독 블랑 2015 The Long Little Dog Blanc 2015 가성비 좋은 프랑스 랑그독 루시옹 지역의 편의점 가성비 화이트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18년 11월 03일이다 프랑스에서 남쪽 지역인 랑그독-루시옹에서는 가격 대비 주질이 좋은 와인...

[레드] 도멘 드 트라파디 케란느 2014 Domaine du Trapadis Cairanne 2014 프랑스 론 지역 그르나슈 100% 호평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18년 11월 03일이다 프랑스 론이라는 보르도, 부르고뉴에 이은 3대 생산지중 하나로 이 지역과 ...

[프로세코] 자르데또, 프로세코 엑스트라 드라이 NV Zardetto, Prosecco Extra Dry NV 가성비 좋고 과실향이 가득한 이탈리아 만원대 스파클링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18년 11월 10일이다 이탈리아의 유명한 스파클링와인중 제일 대표적으로 '프로세코'...

[로제] 페랑, 미라발 2015 Perrin, MIRAVAL 2015 프랑스 프로방스 브래드피트, 안젤리나졸리로 유명했던 잘만든 로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18년 11월 13일이다 프랑스 프로방스의 로제와인은 고품질의 와인을 만드는 지역으로 현재는 거...

[레드] 조르쥐 뒤뵈프, 보졸레 빌라쥐 2018 Georges Duboeuf, Beaujolais Villages Nouveau 2018 프랑스 햇와인 가메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18년 11월 24일이다 프랑스 부르고뉴주의 보졸레라는 지역에서 매년 일찍 수확되는 '가메...

[포트] 오스본, 파인 루비 포트 NV Osborne, Fine Ruby Port NV 가성비 달콤한 포르투갈 포트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18년 12월 06일이다 포르투갈에서 주정강화와인으로 유명한 와인 종류가 크게 두가지가 있다 하...

[레드] 피에르 페로 보졸레 빌라쥐 누보 2018 Pierre Ferraud et Fils, Beaujolais Villages Nouveau2018 프랑스 가메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18년 12월 08일이다 프랑스 부르고뉴주의 보졸레라는 지역에서 그 해의 수확한 포도로 수확 후 ...

[스파클링] 트라피체, 엑스트라버겐저 스파클링 NV Trapiche, Extravaganza Sparkling NV 과실향과 은은한 달콤함이 매력적인 아르헨티나 스파클링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18년 12월 11일이다 아르헨티나는 적포도 품종 '말벡'으로 만든 레드와인으로 유명한...

[레드] 세게지오, 소노마 카운티 진판델 2016 Seghesio, Sonoma County Zinfandel 2016 미국 캘리포니아 소노마 카운티 잘 만든 호평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18년 12월 15일이다 미국에서 가장 대표적인 품종중 하나인 '진판델'이라는 품종으로...

[샴페인] 볼랭저, 스페셜 뀌베 브뤼 NV Bollinger, Special Cuvee Brut NV 기념일, 축하자리, 파티, 선물용 프랑스 샴페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18년 12월 22일이다 프랑스 샹파뉴의 샴페인중 유명한 NM샴페인중 하나로 국내 뿐만 아니라 ...

[화이트] 솔데빼냐스 비노 블랑코 아이렌 NV Soldepenas Vino Blanco Airen NV GS25및 CU에서도 구할수있는 스페인 만원 이하 가성비 화이트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18년 12월 25일이다 스페인에서 아이렌이라는 화이트와인 품종이 있는데 아로마가 풍부한 아로...

[스위트] 모건 데이비드 콩코드 NV Mogen David Concord NV 만원 이하 마트 탄산 없는 미국 스위트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18년 12월 26일이다 미국의 식용 적포도 품종인 콩코드라는 품종으로 달콤한 스위트 와인으로 ...

[스파클링] 울프 블라스, 이글호크 스파클링 뀌베 브뤼 NV Wolf Blass, Eaglehawk Sparkling Cuvee Brut NV 가성비 좋은 호주 스파클링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19년 01월 05일이다 호주산 만원대 스파클링 와인으로 샴페인 양조방식이 아닌 커다란 스테인리...

[스파클링] 슐럼베르거, 클림트 키스 뀌베 브뤼 NV Schlumberger, Klimt Kiss Cuvee Brut NV 샴페인 방식으로 만든 오스트리아 스파클링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19년 01월 08일이다 오스트리아에서 샴페인과 동일한 양조방식인 '메쏘드 트라디시오날&#x...

[세미 스파클링] 버니니 벨라 리미티드 에디션 NV Bernini Bella Limited Edition NV 클럽에서 유명한 남아공 달콤한 레드 스파클링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19년 01월 12일이다 남아공의 세미 스파클링 와인으로 보통 작은 맥주병에 담겨서 나오는 달콤...

[레드] 낀따 도 크라스토 수페리오르 2015 Quinta do Crasto Superior 2015 포트와인 동일 품종들로 만든 포르투갈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19년 01월 19일이다 포르투갈에서 포트와인을 만드는 도우로 지역에서 역시 포트와인을 만드는 ...

[프란치아코르타] 까델 보스코, 프란치아코르타 뀌베 프레스티지 브뤼 NV Ca'del Bosco, Franciacorta Cuvee Prestige Brut NV 이탈리아 스파클링 [내부링크]

시음일은 2019년 02월 03일이다 이탈리아의 스파클링 와인, 즉 '스푸만테'중에서 '프로세코...

[스파클링] 실레니, 셀라 셀렉션 스파클링 소비뇽 블랑 NV Sileni, Cellar Selection Sparkling Sauvignon Blanc NV 뉴질랜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19년 02월 06일이다 뉴질랜드의 대표품종인 '소비뇽 블랑' 100%의 스파클링 와인으로...

[레드] 우마니 론끼, 요리오 2016 Umani Ronchi, Jorio 2016 이탈리아 가성비 몬테풀치아노 다부르쪼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19년 02월 09일이다 이탈리아 아부르쪼라는 생산지역에서 생산되는 '몬테풀치아노'라...

[화이트] 트림바크, 게뷔르츠트라미너 2015 Trimbach, Gewurztraminer 2015 독특한 풍미의 프랑스 알자스 화이트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19년 02월 23일이다 프랑스 알자스 지역은 독일과 프랑스의 경계지역으로 대체적으로 추운 날씨...

[스파클링] 그레이엄 벡 브뤼 NV Graham Beck Brut NV 오바마 대선 승리의 와인 남아공 전통 샴페인 방식으로 만든 스파클링 와인 추천 메쏘드 캡 클라시코 [내부링크]

시음일은 2019년 03월 01일이다 남아공의 스파클링 와인하면 대부분 사람들은 달콤한 '모스카토'...

[세미스파클링] 반피, 로사 리갈 브라케토 다퀴 2016 Banfi, Rosa Regale Brachetto d'Acqui 2016 이탈리아 달콤한 레드 스파클링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19년 03월 17일이다 이탈리아의 레드와인 버전 '모스카토 다스티'로 불러도 이상하지...

[스파클링] 뀐따 도 뽀르딸 뮤랄 리제르바 브루토 NV Quinta do Portal Mural Reserva Bruto NV 포르투갈의 스파클링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19년 03월 21일이다 포르투갈 와인하면 바로 떠오르는게 주정강화 와인이면서 달콤한 와인인 &#...

[로제] 에커맨 로제 당주 2015 Ackerman Rose d'Anjou 2015 프랑스 루아르 앙주 지역의 로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19년 03월 31일이다 프랑스에서 한때는 론 지역의 따벨로제와 함께 2대 로제와인으로 유명했던 ...

[레드] 루손, 모나스트렐 2017 Luzon, Coleccion Monastrell 2017 스페인 후미야 지역의 모나스트렐 품종 가성비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19년 04월 07일이다 스페인에서 유명한 생산지가 많고 그 생산지에서 또 나오는 품종도 가지각...

[셰리] 발데스피노 콘트라반디스타 NV Valdespino Contrabandista NV 스페인 아몬티야도 블렌드 주정강화 셰리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19년 04월 07일이다 스페인의 주정강화 와인으로 스코틀랜드산 싱글몰트 위스키를 접할때 한번...

[마데이라] 블랜디스 마데이라 10년 세르시알 NV Blandy’s Madeira 10 Year Old 'Sercial' NV 포르투갈 주정강화와인 마데이라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19년 04월 08일이다 포르투갈의 또 다른 주정강화 와인이자 세계 3대 주정강화 와인중 하나인 &...

[레드] 트라피체, 말벡 2018 Trapiche, Malbec 2018 아르헨티나 만원대 가성비 말벡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19년 04월 09일이다 아르헨티나의 대표품종인 말벡으로 만든 레드와인으로 트라피체라는 가장 ...

[레드] 세뇨리오 드 이니에스타, 템프라니오 2016 Senorio de Iniesta, Tempranillo 2016 스페인 템프라니요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19년 04월 09일이다 스페인의 토착품종이자 스페인을 대표하는 레드와인 품종으로 마치 스페인...

[로제] 엠 샤푸티에, 보르부아르 따벨 로제 2017 M. Chapoutier, Beaurevoir Tavel Rose 2017 프랑스 론 지역의 로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19년 04월 13일이다 프랑스에서 한때 루아르의 앙주지역의 '로제당주'와 함께 프랑스...

[스파클링] 브라이드 밸리 브뤼 리저브 2014 BRIDE VALLEY Brut Reserve 2014 영국의 샴페인 방식으로 만든 스파클링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19년 04월 20일이다 거의 생산량이 없다시피 하였던 영국에서 만든 스파클링 와인이며 무려 빈...

[까바] 로저 구라트, 그랑 뀌베 2011 Roger Goulart, Gran Cuvee 2011 스페인의 돔페리뇽이라 불리는 까바 스파클링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19년 04월 28일이다 스페인의 돔페리뇽, 혹은 가난한 자의 돔페리뇽이라 불리는 로저구라트의 ...

[레드] 투핸즈, 엔젤스 쉐어 쉬라즈 2017 Two Hands, Angels' Share Shiraz 2017 호주 잘 만든 호평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19년 05월 04일이다 호주에서는 다양한 품종들의 와인들이 많이 생산된다, 그만큼 와인 생산지...

[셰리] 루스토, 올로로소 돈 누뇨 솔레라 레세르바 NV Lustau, Oloroso Don Nuno Solera Reserva NV 스페인의 올로로소 주정강화 셰리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19년 05월 05일이다 스페인의 주정강화 와인으로 위스키를 좋아하는 사람들은 많이 들어봤을 셰...

[프로세코] 피치니, 프로세코 비노 스푸만떼 엑스트라 드라이 NV Piccini, Prosecco Vino Spumante Extra Dry NV 이탈리아 스파클링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19년 05월 11일이다 이탈리아의 유명한 스파클링와인중 제일 대표적으로 '프로세코'...

[레드] 켄더만, 블랙 타워 돈펠더 피노누아 2016 Kendermann, Black Tower Dornfelder Pinot Noir 2016 독일 가성비 호평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19년 05월 12일이다 독일을 대표하는 레드와인 품종인 '돈펠더'와 프랑스 부르고뉴 ...

[레드] 알베르 비쇼, 부르고뉴 파스투그랭 2017 Albert Biichot, Bourgogne Passetoutgrain 2017 프랑스 부르고뉴 피노누아 가메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19년 05월 19일이다 프랑스에서도 우아한 와인 및 세상에서 제일 비싸며 고급와인을 생산하는곳...

[스파클링] 티 오프 카스텔라 엑스트라 브뤼 NV Tee Off Castelar Extra Brut NV 우루과이 스파클링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19년 05월 24일이다 남미대륙, 우루과이의 스파클링 와인으로써 유명했던 골프선수 박세리 선수...

[크레망] 배드걸 블랑 브뤼 크레망 드 보르도 2010 Bad Girl Blanc Brut Cremant de Bordeaux 2010 프랑스 보르도 스파클링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19년 05월 25일이다 프랑스에서 스파클링 와인은 샹파뉴 지역에서 나는 샴페인만 있는것이 아니...

[크레망] 바론 맥심 크레망 드 부르고뉴 NV Baron Maxime Cremant de Bourgogne Gold Premium Brut NV 프랑스 스파클링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19년 06월 01일이다 프랑스에서 스파클링 와인은 샹파뉴 지역에서 나는 샴페인만 있는것이 아니...

[마데이라] 주스티노스 마데이라, 세르시알 10년 NV Justino’s Madeira, Sercial 10 Years Old NV 포르투갈 주정강화 마데이라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19년 06월 02일이다 포르투갈에서 유명한 주정강화와인은 '포트와인'으로 주로 달콤...

[크레망] 몽무쏘 크레망 드 루아르 브뤼 NV Monmousseau Cremant de Loire Brut Blanc NV 프랑스 루아르 지역 스파클링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19년 06월 06일이다 프랑스에서 스파클링 와인은 샹파뉴 지역에서 나는 샴페인만 있는것이 아니...

[레드] 폰타나프레다, 바롤로 세라룽가 달바 2013 Fontanafredda, Barolo Serralunga d'Alba 2013 이탈리아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19년 06월 08일이다 이탈리아 와인의 왕이라 불리우는 와인이 있다, 그게 바로 이탈리아 북부 &...

[셰리] 히달고 만사니아 라 히타나 NV Hidalgo Manzanilla La Gitana NV 스페인 주정강화 셰리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19년 06월 15일이다 스페인의 주정강화 와인으로 위스키를 좋아하는 사람들은 많이 들어봤을 셰...

[레드] 피치니, 메모로 레드 NV Piccini, Memoro Rosso NV 이탈리아 가성비 호평 레드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19년 06월 15일이다 이탈리아 와인중 대량생산으로 가성비 레드와인중 하나로 이마트24및 이마...

[포트] 폰세카, 10년 숙성 타우니 포트 NV Fonseca, 10 Year Old Tawny Port NV 포르투갈 주정강화 토니 포트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18년 06월 16일이다 포르투갈의 주정강화 와인이자 세계 3대 주정강화 와인중 제일 유명한 포트...

[레드] 콘차이 토로, 떼루뇨 까르미네르 2017 Concha y Toro, Terrunyo Carmenere 2017 칠레 카르메네르 품종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19년 06월 21일이다 칠레의 대표품종으로 이 '카르메네르'라는 품종은 본래는 프랑스...

[레드] 캐논캅, 카데트 피노타쥐 2016 Kanonkop, Kadette Pinotage 2016 남아공 피노타주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19년 06월 29일이다 남아공에서도 질좋은 와인을 많이 생산한다, 남아공의 대표 적포도 품종이 ...

[셰리] 루스토, 아몬띠야도 로스 아르코스 솔레라 레세르바 NV Lustau, Amontillado Los Arcos Solera Reserva 스페인 주정강화 셰리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19년 06월 30일이다 스페인의 주정강화 와인으로 위스키를 좋아하는 사람들은 많이 들어봤을 셰...

[레드] 플라네타, 산타 세실리아 2014 Planeta, Santa Cecilia 2014 이탈리아 네로다볼라 품종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19년 07월 06일이다 이탈리아 남쪽 시칠리아라는 지역의 대표품종인 '네로다볼라'라...

[오렌지] 도멘 고비 자쓰 블랑 2017 Domaine Gauby Jasse Blanc 2017 프랑스 랑그독 루시옹 내추럴 오렌지 앰버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19년 07월 13일이다 "오렌지 와인은 오렌지로 만들지 않고 순수 청포도로만 만듭니다.&quo...

[로제샴페인] 떼땅져, 프레스티지 로제 브뤼 NV Taittinger, Prestige Rose Brut NV 프랑스 로제 샴페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19년 07월 16일이다 프랑스에서 스파클링 와인으로 가장 유명한 생산지 '샹파뉴'에서...

[레드] 피치니, 키안티 2017 Piccini, Chianti 2017 이탈리아 가성비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19년 07월 17일이다 이탈리아 와인중 대량생산으로 가성비 와인을 만들어내는 '피치니&#x2...

[포트] 테일러, 칩 드라이 화이트 포트 NV Taylor's, Chip Dry White Port NV 포르투갈 화이트 포트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18년 07월 17일이다 포르투갈의 주정강화 와인이자 세계 3대 주정강화 와인중 제일 유명한 포트...

[레드] 아발론, 캘리포니아 까베르네 쇼비뇽 2016 Avalon, California Cabernet Sauvignon 2016 미국 캘리포니아 카베르네 소비뇽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19년 07월 20일이다 미국 캘리포니아의 '카베르네 소비뇽'으로 만든 와인으로 이마트...

[레드] G7 메를로 2017 The 7th Generation G7 Merlot 2017 칠레 가성비 메를로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19년 07월 27일이다 칠레의 '메를로'품종으로 만든 레드와인으로 신세계L&B의 ...

[레드] 브루노 지아코사, 돌체토 달바 2016 Bruno Giacosa, Dolcetto d'Alba 2016 이탈리아 돌체토 달바 품종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19년 07월 27일이다 이탈리아 피에몬테에서 주로 나는 적포도 품종인 돌체토라는 이름의 품종으...

[셰리] 발데스피노 콘트라반디스타 NV Valdespino Contrabandista Amontillado Blend Medium Dry NV 스페인 주정강화 셰리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19년 07월 28일이다 스페인의 주정강화 와인으로 셰리와인, 세계 3대 주정강화 와인중 하나로 ...

[레드] 알바로 팔라시오스 페탈로스 2017 Alvaro Palacios Petalos 2017 스페인 멘시아 품종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19년 08월 03일이다 스페인에서 '멘시아'라는 품종으로 만든 레드와인으로써 본래 아...

[크레망] 클레멘 클루 크레망 달자스 NV Clement Klur Cremant d’Alsace NV 프랑스 알자스 지역 스파클링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19년 08월 03일이다 프랑스에서 스파클링 와인은 샹파뉴 지역에서 나는 샴페인만 있는것이 아니...

[레드] 지디 바이라, 바르베라 달바 수페리오레 2015 GD Vajra, Barbera d'Alba Superiore 2015 이탈리아 바르베라 품종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19년 08월 10일이다 이탈리아 북부 피에몬테 지역에서 부드럽고 과실향 위주의 마시기 편한 품...

[화이트] 알타 비스타 프리미엄 또론테스 2015 Alta Vista Premium Torrontes 2015 아르헨티나 토론테스 품종 화이트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19년 08월 15일이다 아르헨티나의 대표 화이트와인 품종인 '토론테스'라는 청포도 품...

[레드] 덕혼, 나파 밸리 멀롯 2016 Duckhorn, Napa Valley Merlot 2016 미국 나파밸리 메를로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19년 08월 17일이다 미국 캘리포니아, 거기서도 나파밸리라는 와인의 천국이라는 생산지역이 있...

[화이트] 피치니, 메모로 화이트 NV Piccini, Memoro Bianco NV 이탈리아 품종 블렌딩 화이트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19년 08월 17일이다 이탈리아의 토스카나에 기반을 둔 '피치니'와이너리에서 각 이탈...

[레드] 보글, 쁘띠 시라 2016 Bogle, Petite Sirah 2016 미국 쁘띠시라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19년 08월 20일이다 미국에서 거의 대부분 생산되는 '쁘띠시라'라는 품종은 우리가 ...

[크레망] 쉬르 다르크 애므리 크레망 드 리무 그랑 뀌베 1531 NV Sieur d'Arques Aimery Cremant de Limoux Grande Cuvee 1531 NV [내부링크]

시음일은 2019년 08월 03일이다 프랑스에서 스파클링 와인은 샹파뉴 지역에서 나는 샴페인만 있는것이 아니...

[레드] 롱뷰 빈야드 사투르누스 리제르바 네비올로 2014 Longview Vinyard Saturnus Reserva Nebbiolo 2014 호주 네비올로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19년 08월 24일이다 호주는 와인 품종의 또 다른 천국이라고 한다, 쉬라즈를 필두로 아주 다양...

[화이트] 샤또 몽페라 화이트 2016 Chateau Mont Perat Bordeax Blanc 2016 프랑스 보르도 화이트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19년 08월 24일이다 프랑스 보르도에서 '소비뇽블랑'과 '세미용' 이 두 품...

[레드] 루이 자도, 부르고뉴 피노누아 2016 Louis Jadot, Bourgogne Pinot Noir 2016 프랑스 부르고뉴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19년 08월 31일이다 프랑스 부르고뉴는 '피노누아'와 '샤르도네'로 만든 ...

[레드] 토마시, 아마로네 델라 발폴리첼라 클라시코 2013 Tommasi, Amarone della Valpolicella Classico 2013 이탈리아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19년 09월 07일이다 이탈리아에서도 '베네토'라는 지역에서는 포도를 반건조 포도로 ...

[화이트] 알베르 비쇼, 부르고뉴 샤르도네 비에이 비뉴 2016 Albert Bichot, Bourgogne Chardonnay 'Vieilles Vignes' 2016 프랑스 [내부링크]

시음일은 2019년 09월 07일이다 프랑스에서 '샤르도네'라는 품종을 가장 잘 만들면서 가장 비싸...

[레드] 샤또 퐁테 카네 2008 Chateau Pontet Canet 2008 프랑스 보르도 그랑크뤼 올드빈티지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19년 09월 12일이다 프랑스에서도 보르도 좌안지역은 '1855년 보르도 그랑크뤼 등급'...

[아이스] 골드 씰 아이스와인 2008 Maple Leaf Gold Seal Vidal Ice Wine 2008 캐나다 올드 빈티지 아이스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19년 09월 13일이다 캐나다의 아이스와인은 본래 독일의 '아이스바인'으로 캐나다에...

[로제] 마르티네즈 부한다, 칸디다토 템프라니요 로제 2017 Martinez Bujanda, Candidato Tempranillo Rosado 2017 스페인 로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19년 09월 14일이다 스페인 라만차에서 '템프라니요' 품종 100%로 만든 로제와인으로...

[레드] 도멘 A.F. 그로 본 로마네 오 레아 2014 Domaine A.F. Gros Vosne Romanee Aux Reas 2014 프랑스 부르고뉴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19년 09월 21일이다 프랑스 부르고뉴는 '피노누아'와 '샤르도네'로 만든 ...

[화이트] 몬테 카스카스 리제르바 미뉴 브랑코 2015 Monte cascas Reserva Minho Branco 2015 포르투갈 아린토 품종 가성비 화이트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19년 09월 21일이다 포르투갈의 청포도 품종중 '아린토'라는 품종은 숙성 잠재력과 ...

[레드] 장 루이 샤브, 셀렉시옹 에르미타주 파르코네 2015 Jean Louis Chave, Selection Hermitage Farconnet2015 프랑스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19년 09월 28일이다 프랑스 론은 크게 '북부 론'과 '남부 론'으로 나뉜다,...

[화이트] 엠 샤푸티에, 꼬뜨 뒤 론 블랑 2017 M.Chapoutier, Cotes du Rhone Blanc 2017 프랑스 론 품종 블렌딩 화이트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19년 09월 28일이다 프랑스 론지역에서 엔트리급으로 보통 많이 생산되는게 '꼬뜨 뒤 론&#...

[레드] 로버트 몬다비, 프라이빗 셀렉션 버본 배럴 까베르네 소비뇽 2017 Robert Mondavi, Bourbon Barrel Cabernet Sauvginon 2017 미국 [내부링크]

시음일은 2019년 09월 28일이다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가장 유명한 와이너리중 하나며 대부분 와인샵에서, ...

[오렌지] 필리페 비레 스킨 콘택트 2017 Phillipe Viret Skin Contact 2017 프랑스 론 내추럴 오렌지 앰버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19년 10월 05일이다 "오렌지 와인은 오렌지로 만들지 않고 순수 청포도로만 만듭니다.&quo...

[세미스파클링] 칸티, 모스카토 다스티 2018 Canti, Moscato d'Asti 2018 이탈리아 달콤한 모스카토 스파클링 화이트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19년 10월 05일이다 이탈리아에서 '모스카토'라는 품종으로 마시기 편하면서 향긋한 ...

[레드] 샤또 라 네르트, 샤또네프 뒤 빠쁘 루즈 2015 Chateau La Nerthe, Chateauneuf du Pape Rouge 2015 프랑스 CDP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19년 10월 12일이다 프랑스 론은 크게 '북부 론'과 '남부 론'으로 나뉜다,...

[화이트] 파미유 위겔, 피노 그리 클래식 2015 Famille Hugel, Pinot Gris Classic 2015 프랑스 알자스 피노그리 화이트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19년 10월 13일이다 프랑스 알자스지역에서 '피노그리'라는 크게 유명하지 않지만 좋...

[화이트] 파스칼 졸리베, 상세르 블랑 2017 Pascal Jolivet, Sancerre Blanc 2017 프랑스 소비뇽 블랑 화이트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19년 10월 19일이다 프랑스 루아르라는 유명한 지역에서도 '루아르' 지역에 흐르는 ...

[레드] 라 리오하 알타 비냐 아르단자 리제르바 2009 La Rioja Alta Vina Ardanza Reserva 2009 스페인 템프라니요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19년 10월 20일이다 스페인에서는 등급체계가 숙성에 의한 등급체계로 유명하다, 일반적으로 낮...

[레드] 마크 헤롤드, 아차 템프라니요 2010 Mark Herold, Acha Tempranillo 2010 미국 템프라니요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19년 10월 25일이다 미국에서 본래는 스페인의 대표품종인 '템프라니오'를 가지고 &#...

[귀부] 샤또 필로 소테른 2002 Chateau Filhot Sauternes 2002 프랑스 소테른 귀부 스위트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19년 10월 31일이다 프랑스의 스위트와인중 가장 유명한 와인이 바로 이 '귀부와인'...

[레드] 까스텔로 반피, 브루넬로 디 몬탈치노 2013 Castello Banfi, Brunello di Montalcino 2013 이탈리아 산지오베제 BDM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19년 11월 03일이다 이탈리아에서도 중부지역에 속하는 토스카나지역에서는 주로 '산지오...

[레드] 마틴 랜치, 테레즈 빈야드 산지오베제 2013 Martin Ranch, Therese Vineyards Sangiovese 2013 미국 산지오베제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19년 11월 09일이다 미국에서 독특하게도 이탈리아의 대표품종중 하나인 '산지오베제&#x27...

[레드] 알베르 비쇼, 보졸레 누보 2019 Albert Bichot, Beaujolais Nouveau 2019 프랑스 보졸레 누보 가메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19년 11월 16일이다 프랑스 부르고뉴에서 보졸레라는 지역은 '가메이'라는 품종으로 ...

[레드] 낀따 도 크라스토, 레세르바 올드 바인 2016 Quinta do Crasto, Reserva Old Vines 2016 포르투갈 품종 블렌딩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19년 11월 17일이다 포르투갈하면 보통 주정강화와인인 '포트와인'을 많이 떠올릴것...

[화이트] 파스칼 졸리베, 푸이 퓌메 2017 Pascal Jolivet, Pouilly Fume 2017 프랑스 루아르 소비뇽 블랑 화이트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19년 11월 23일이다 프랑스 루아르라는 유명한 지역에서도 '루아르' 지역에 흐르는 ...

[레드] 펜폴즈, 빈 28 칼림나 쉬라즈 2016 Penfolds, Bin 28 Kalimna Shiraz 2016 호주 장기숙성 스타일 쉬라즈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19년 11월 24일이다 호주에서 레드와인하면 가장 먼저 떠올리는 품종이 바로 '쉬라즈&#x27...

[화이트] 칼 뢰벤 알테 레벤 리슬링 트로켄 2017 Carl Loewen Alte Reben Riesling Trocken 2017 독일 모젤 리슬링 화이트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19년 11월 30일이다 독일은 '리슬링'이라는 품종을 잘 생산하고 또 고품질의 리슬링 ...

[레드] 케이머스, 나파 밸리 카버네 소비뇽 2016 Caymus, Napa Valley Cabernet Sauvignon 2016 미국 나파밸리 까베르네소비뇽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19년 12월 01일이다 미국의 캘리포니아에서 나파밸리라는 질 좋은 와인을 많이 생산해내고 또 ...

[화이트] 버지니 드 발란드로 2013 Virginie de Valandraud 2013 프랑스 보르도 품종 블렌딩 화이트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19년 12월 07일이다 프랑스 보르도의 화이트와인으로 생-떼밀리옹 그랑크뤼로 유명한 '샤...

[레드] 코센스 라질리에 꼬토 샹파뉴아 루즈 2014 Coessens Largillier Coteaux Champenois Rouge 2014 프랑스 샹파뉴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19년 12월 08일이다 프랑스에서 샴페인으로 유명하며 거의 대부분 '샴페인'이라고 부...

[화이트] 이기갈, 꽁드리유 '라 도리안' 2017 E.Guigal, Condrieu 'La Doriane' 2017 프랑스 론 비오니에 화이트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19년 12월 14일이다 "부르고뉴에 몽라셰가 있다면 론에는 꽁드리유가 있다" 프랑스 ...

[레드] 크루즈 와인, 랜초 시마일즈 발디귀에 2017 Cruse Wine, Rancho Chimiles Valdiguie 2017 미국 발디기에 품종 내추럴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19년 12월 15일이다 미국 나파밸리의 내추럴 와인으로 품종이 '발디기에'라는 독특한...

[아이스] 시즌스 비달 아이스와인 2016 Seasons Vidal Icewine 2016 캐나다 비달 품종 가성비 아이스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19년 12월 21일이다 캐나다의 아이스와인은 본래 독일의 '아이스바인'으로 캐나다에...

[레드] 다렌버그, 레핑 맥파이 쉬라즈 비오니에 2013 d'Arenberg, Laughing Magpie Shiraz Viognier 2013 호주 쉬라 비오니에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19년 12월 22일이다 호주에서 '쉬라즈'라는 레드와인 품종 베이스에 '비오니에&...

[레드] 더 그레이프 그라인더, 피노타주 2015 The Grape Grinder, Pinotage 2015 남아공 가성비 피노타주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19년 12월 25일이다 남아공의 대표품종이 '피노타주'인데 이 품종은 프랑스의 '...

[샴페인] 폴 로저, 브뤼 리저브 NV Pol Roger, Brut Reserve NV 윈스턴 처칠이 사랑했던 프랑스 샴페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19년 12월 28일이다 프랑스에서 스파클링 와인으로 가장 유명한 생산지 '샹파뉴'에서...

[레드] 마이클 데이비드 프릭쇼 진판델 2017 Michael David Winery Freakshow Zinfandel 2017 미국 진판델 코스트코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19년 12월 29일이다 미국에서 가장 대표적인 품종중 하나인 '진판델'이라는 품종으로...

[레드] 보르사오 트레스 피코스 가르나차2016 Borsao Bodegas Tres Picos Garnacha 2016 스페인 가르나차 코스트코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20년 01월 04일이다 스페인에서 '가르나차'라는 품종으로 만든 레드와인으로 거의 코...

[레드] 레알 꼼빠니아, 가르나차 2016 Real Compania de Vinos, Garnacha 2016 스페인 가르나차 가성비 이마트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20년 01월 04일이다 스페인에서 '가르나차' 품종이 프랑스에는 '그르나슈'...

[화이트] 카보 다 로카 비뉴 베르데 NV Cabo da Roca Vinho Verde Branco NV 포르투갈 그린 와인 가성비 화이트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20년 01월 11일이다 포르투갈의 화이트와인중에서 '그린와인'이라고 불리는 독특한 ...

[레드] 판티니 몬테풀치아노 다브루쪼 2018 Farnese Fantini Montepulciano d'abruzzo 2018 이탈리아 몬테풀치아노 품종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20년 01월 12일이다 이탈리아 중부에서 아부르쪼라는 지역의 토착품종으로 '몬테풀치아노&...

[로제] 도멘 오뜨, 방돌 로제 2017 Domaines Ott, Bandol Rose 2017 프랑스 프로방스 고급 로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20년 01월 18일이다 "태양을 절여 만든 로제와인 프로방스" 프랑스 남쪽 프로방스 지...

[레드] 샤또 몽투스 2014 Chateau Montus 2014 프랑스 마디랑 따나 품종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20년 01월 24일이다 프랑스에서도 남서쪽에 마디랑이라는 생산지에서 최근 조명을 받고 있는 &#...

[귀부] 벨트악스 트로켄베렌아우스레제 2015 Weltachs Trockenbeerenauslese 2015 독일 최고급 가성비 스위트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20년 02월 09일이다 독일의 최고급 스위트 와인으로 상당히 저렴하게 나온 버전이다, 본래는 독...

[귀부] 로얄 토카이, 블루 라벨 5 푸토뇨스 2013 Royal Tokaji, Blue Label 5 puttonyos 2013 헝가리 고급 스위트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20년 02월 09일이다 헝가리의 고급 스위트와인으로 헝가리만의 토착품종을 블렌딩해서 만들며, ...

[귀부] 무똥 까데 리저브 소테른 2016 Mouton Cadet Reserve Sauternes 2016 프랑스 소테른 고급 스위트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20년 02월 09일이다 프랑스의 고급 스위트 와인으로 세계 3대 귀부와인중에 하나인 '소테...

[레드] 크라테 레드와인 드라이 2016 Krater Red Wine Premium Dry 2016 한국 산머루 품종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20년 02월 16일이다 대한민국에서도 최근 와인 양조에 많은 기술력을 투자하여 품질이 월등하게...

[레드] 헤스 셀렉트 트레오 와인 메이커즈 블렌드 2016 The Hess Collection Hess Select Treo Winemakers Blend 2016 미국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20년 02월 22일이다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재배되는 레드와인 품종을 총 6종류나 유명품종으로 ...

[레드] 바타시올로, 바르바레스코 2015 Batasiolo, Barbaresco 2015 이탈리아 네비올로 품종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20년 02월 25일이다 이탈리아 북부 피에몬테 지역에서 나오는 '네비올로'라는 품종으...

[레드] 까테나 자파타, 아르헨티노 말벡 2013 Catena Zapata, Argentino Malbec 2013 아르헨티나 프리미엄 말벡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20년 02월 29일이다 아르헨티나에서 레드와인으로 제일 유명한 품종 '말벡'으로 만드...

[레드] 몽메상, 모르공 꼬뜨 뒤 퓌 2016 Mommessin, Morgon Cote du Py 2016 프랑스 부르고뉴 보졸레 크뤼 가메 품종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보졸레 10개의 크뤼] 시음일은 2020년 03월 07일이다 프랑스 부르고뉴에서도 '보졸레'라는 지역...

[화이트] 아르테비노 플로르 드 베투스 베르데호 2018 Artevino Flor De Vetus Verdejo 2018 스페인 가성비 상쾌한 화이트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20년 03월 14일이다 스페인의 화이트와인으로 '베르데호'라는 품종 100% 만들었다, ...

[레드] 몬테스 알파 카르메네르 2018 Montes Alpha Carmenere 2018 칠레 까르미네르 품종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20년 03월 14일이다 칠레의 대표품종으로 유명한 '까르메네르'(카르메네르)는 거의 1...

[레드] 보데가 일라나, 카사 데 일라나 엑스프레시온 쁘띠 베르도 2017 Bodegas Illana, Petit Verdot 2017 스페인 쁘띠베르도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20년 03월 21일이다 스페인에서 생산되나 본래는 프랑스 보르도에서 보르도 레드와인 만들때 같...

[레드] 레알 꼼빠니아 드 비노스, 뗌쁘라니요 2018 Real Compania De Vinos, Tempranillo 2018 스페인 가성비 템프라니요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20년 03월 21일이다 스페인의 대표품종인 '템프라니요' 보통 크리안자, 리제르바, 그...

[레드] 샤또 사미옹 2015 Chateau Samion Lalande de Pomerol 2015 프랑스 보르도 뽀므롤 메를로 품종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20년 03월 28일이다 프랑스 보르도의 뽀므롤이라는 유명 생산지에서 '메를로' 품종 1...

[레드] 도멘 드 팔루스 팡세 드 팔루스 2015 Domaine de Pallus, Les Pensees de Pallus Chinon 2015 프랑스 까베르네프랑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20년 04월 04일이다 프랑스에서 루아르라는 큰 지역에서 쉬농이라는 와인산지가 있다, 이곳에서...

[샴페인] 돔 페리뇽 빈티지 2009 Dom Perignon Brut Champagne Vintage 2009 프랑스 샹파뉴 빈티지 샴페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20년 04월 11일이다 프랑스에서 스파클링 와인으로 가장 유명한 생산지 '샹파뉴'에서...

[마르살라] 카를로 펠레그리노, 마르살라 베르지네 리제르바 빈티지 1980 Carlo Pellegrino, Marsala Vergine Riserva Vintage1980 이탈리아 [내부링크]

시음일은 2020년 04월 15일이다 이탈리아의 주정강화 와인으로 각 여러국가에서도 주정강화와인이 있다, 물...

[레드] 벨레노시, 라끄리마 디 모로 달바 2018 Velenosi, Lacrima di Morro d'Alba Superiore 2018 이탈리아 라크리마 품종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20년 04월 18일이다 이탈리아 마르케라는 생산지역에서는 '라크리마'라는 독특한 적...

[로제] 엠 샤푸티에, 투르농 마틸다 로제 2018 M. Chapoutier Tournon Mathilda Rose 2018 호주 빅토리아 로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20년 04월 23일이다 호주의 로제와인으로 '그르나슈'품종 100%로 만든 로제와인이다,...

[뱅두나투렐] 자비에르 비뇽 뮈스까 드 봄 드 브니즈 2015 Xavier vignon Muscat De Beaumes De Venise 2015 프랑스 주정강화와인 뱅 두 나뛰렐 [내부링크]

시음일은 2020년 04월 23일이다 프랑스 남쪽 지역, 남부 론이나 랑그독루시용에서 많이 생산되는 주정강화...

[레드] 도마네 고벨스버그 츠바이겔트 2015 Domaene Gobelsburg Zweigelt 2015 오스트리아 가성비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20년 04월 24일이다 오스트리아의 토착품종이자 대표품종인 츠바이겔트로 만든 레드와인으로 보...

[레드] 미켈레 끼아를로, 바르베라 다스티 레 오르메 2016 Michele Chiarlo, Barbera d'Asti Le Orme 2016 이탈리아 바르베라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20년 04월 30일이다 이탈리아 북부 피에몬테 지역에서 유명한 '바르베라'라는 품종은...

[레드] 두글라제 사페라비 2016 Dugladze Saperavi Dry Red 2016 조지아 사페라비 품종 가성비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20년 05월 01일이다 조지아라는 나라, 인류 최조의 와인 산지중 하나로 최근들어 유명해진 이 ...

[화이트] 니꼴라 졸리 레 비유 끌로 2016 Nicola Joly Les Vieux Clos 2016 프랑스 루아르 바이오다이내닉 슈냉블랑 니콜라졸리 화이트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20년 05월 02일이다 프랑스 루아르의 화이트와인으로 이 루아르라는 지역에서는 '소비뇽블...

[레드] 루카렐리, 네그로아마로 2017 Luccarelli, Negroamaro 2017 이탈리아 뽈리아 네그로아마로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20년 05월 16일이다 이탈리아에서도 남쪽에 '뿔리아'라는 지역에서 '네그로아마...

[귀부] 샤또 쿠테 2013 Chateau Coutet Sauternes Barsac (Premier Grand Cru Classe) 2013 프랑스 소테른 스위트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20년 05월 16일이다 프랑스의 고급 스위트 와인으로 세계 3대 귀부와인중에 하나인 '소테...

[레드] 메이오미, 피노 누아 2017 Meiomi, Pinot Noir 2017 미국 피노누아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20년 05월 23일이다 미국 캘리포니아에서도 '몬터레이 카운티' '산타 바바라 카...

[레드] 로케이션 F (France) NV Location F (France) NV 프랑스 품종 블렌딩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20년 05월 27일이다 프랑스에서 다양한 품종으로 블렌딩한 와인으로 독특하게 프랑스의 첫 알파...

[레드] 로케이션 I (Italy) NV Location I (Italy) NV 이탈리아 품종 블렌딩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20년 05월 30일이다 이탈리아에서 다양한 품종으로 블렌딩한 와인으로 독특하게 이탈리아의 첫 ...

[레드] 로케이션 E (Spain) NV Location E (Spain) NV 스페인 품종 블렌딩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20년 06월 06일이다 스페인이라는 나라를 칭하는 단어가 자국에서는 에스파냐(España)라고 불...

[화이트] 카사 로호, 라 마리모레나 2018 Casa Rojo La Marimorena Albarino 2018 스페인 알바리뇨 화이트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20년 06월 13일이다 스페인의 대표적인 화이트와인 품종중 하나인 '알바리뇨'라는 품...

[레드] 이기갈, 꼬뜨 뒤 론 루즈 2016 E. Guigal, Cotes du Rhone Rouge 2016 프랑스 남부 론 GSM 블렌딩 인기 가성비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20년 06월 14일이다 프랑스에서 론지역은 크게 '북부 론'과 '남부 론'으로...

[레드] 폰토디, 키안티 클라시코 2016 Fontodi, Chianti Classico 2016 이탈리아 끼안티클라시코 산지오베제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20년 06월 20일이다 이탈리아의 토스카나 지역에서 대표품종인 '산지오베제'로 만든 ...

[레드] 몬테칠로 리오하 크리안자 2015 Montecillo Rioja Crianza 2015 스페인 리오하 템프라니요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20년 06월 24일이다 스페인에서는 등급체계가 숙성에 의한 등급체계로 유명하다, 일반적으로 낮...

[젝트] 슐로스 폴라즈, 괴테 리슬링 젝트 브뤼 2015 Schloss Vollrads, Goethe Riesling Sekt Brut 2015 독일 리슬링 스파클링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20년 06월 27일이다 독일에서 '리슬링'품종으로 만든 스파클링 와인을 '젝트&#x...

[화이트] 몬테스, 클래식 샤도네이 2018 Montes, Classic Chardonnay 2018 칠레 샤르도네 편의점 가성비 화이트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20년 06월 28일이다 칠레의 대표 와이너리중 국내에서뿐만 아니라 세계시장에서도 상당히 유명...

[레드] 인 드림스 피노 누아 2016 In Dreams Pinot Noir 2016 호주 야라 밸리 피노누아 가성비 인기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20년 07월 04일이다 호주하면 떠오르는게 주로 레드와인은 쉬라즈, 화이트와인은 샤르도네일것...

[레드] 머드 하우스, 피노 누아 2018 Mud House, Central Otago Pinot Noir 2018 뉴질랜드 센트럴 오타고 피노누아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20년 07월 11일이다 뉴질랜드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고 가장 유명한게 소비뇽블랑으로 만든 화이...

[레드] 몽그라스, 안투 리미티드 피노 누아 2016 Montgras, Antu Limited Pinot Noir 2016 칠레 레이다밸리 피노누아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20년 07월 18일이다 칠레의 피노누아로 보통 칠레하면 레드와인으로는 카베르네 소비뇽, 혹은 ...

[로제] 몬테스, 슈럽 로제 2019 Montes, Cherub Rose 2019 칠레 로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20년 07월 21일이다 칠레에서는 주로 카베르네 소비뇽이나 샤르도네도 많이 유명하지만 호주와 ...

[레드] 차크라, 55 신쿠에타 이 신코 2019 Chacra, 55 Cincuenta y Cinco Pinot Noir 2019 아르헨티나 피노누아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20년 07월 25일이다 아르헨티나는 레드와인하면 단연코 말벡품종이 떠오를것이다, 물론 말벡외...

[레드] 도멘 드루앵, 던디 힐 피노누아 2016 Domaine Drouhin, Dundee Hill Pinot Noir 2016 미국 오레곤 피노누아 가성비 호평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20년 08월 01일이다 미국에서도 피노누아는 캘리포니아를 비롯 여러 지역에서 질 좋은 피노누아...

[샴페인] 찰스 하이직, 브뤼 리저브 샴페인 NV Charles Heidsieck, Brut Reserve Champagne NV 프랑스 샹파뉴 리저브 샴페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20년 04월 11일이다 프랑스에서 스파클링 와인으로 가장 유명한 생산지 '샹파뉴'에서...

[레드] 브뤼더 닥터 슈페트브루군더 트로켄 2017 Bruder Dr. Becker Spatburgunder Trocken 2017 독일 라인헤센 피노누아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20년 08월 21일이다 독일하면 보통 사람들은 리슬링 품종으로 만든 화이트와인이나 리슬링으로 ...

[레드] 카스텔 덴쿠스 아쿠스 피노누아 2016 Castell d'Encus Acusp Pinot Noir 2016 스페인 까탈루냐 피노누아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20년 08월 22일이다 스페인하면 다양한 품종으로 보통 미디엄에서 풀바디 스타일의 레드와인을 ...

[화이트] 마르셀 까베리에 그랑 트라디시옹 꼬뜨 드 쥐라 NV Marcel Cabelier Gran Tradition Cotes du Jura NV 프랑스 쥐라 화이트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20년 08월 29일이다 프랑스 쥐라라는 지역에서는 '뱅존'이라는 유명하고 독특한 방식...

[마데이라] 주스티노스 마데이라, 파인 미디엄 드라이 3년 NV Justino’s Madeira, Fine Medium Dry 3 Years Old NV 초보 마데이라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20년 08월 30일이다 포르투갈에서 유명한 주정강화와인은 '포트와인'으로 주로 달콤...

[레드] 샤또 르 메이니외 오 메독 2002 Chateau le Meynieu Haut-Medoc 2002 프랑스 보르도 크뤼 부르주아 올드빈티지 보르도 올빈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20년 09월 05일이다 프랑스 보르도에서 메독이라는 지역에 '오-메독'이라는 생산지에...

[레드] 프란츠 하스, 피노 네로 2017 Franz-Haas, Pinot Nero 2017 이탈리아 피노누아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20년 09월 18일이다 이탈리아하면 수많은 토착품종으로 생산자들만의 개성있는 와인을 만들며, ...

[레드] 도멘 그로 프레르 에 수르, 오 꼬뜨 드 뉘 2017 Domaine Gros Frere et Soeur, Bourgogne Hautes Cotes de Nuits 2017 [내부링크]

시음일은 2020년 09월 19일이다 프랑스 부르고뉴에서 지역은 큰 지역부터 점점 세분화되어 지역 -> 마을...

[화이트] 캔달 잭슨, 빈트너스 리저브 샤르도네 2018 Kendall Jackson, Vintner's Reserve Chardonnay 2018 미국 샤르도네 화이트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20년 09월 26일이다 미국 캘리포니아에서도 샤르도네 품종으로 만든 화이트 와인중 미국에서 가...

[레드] 마이클 데이비드 프릭쇼 까베르네 쇼비뇽 2017 Michael David Freakshow Cabernet Sauvignon 2017 미국 까베르네소비뇽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20년 09월 30일이다 미국 캘리포니아 로다이 지역에서 만든 카베르네 소비뇽 품종 위주의 레드...

[레드] 코일레 돈 칸드 쌩소 2018 Koyle Don Cande Cinsault 2018 칠레 쌩쏘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20년 10월 03일이다 칠레의 대표품종은 아니고 이 '쌩쏘'라는 품종은 사실 프랑스에...

[까바] 페데리코 파테니나, 까바 브뤼 2016 Federico Paternina, Cava Banda Azul Brut 2016 샴페인 뺨치는 가성비 스페인 까바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20년 10월 03일이다 스페인의 샴페인이라고 부를만큼, 높은 완성도에 가격은 일반적인 샴페인에...

[로제샴페인] 고세, 그랑 로제 브뤼 NV Gosset, Grand Rose Brut Champagne NV 프랑스 샹파뉴 로제 샴페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20년 10월 09일이다 프랑스 NM샴페인 하우스중에서 로제 샴페인 잘만들기로 유명한 샴페인 하...

[로제] 카시나 델리 울리비 셈플리치멘토 비노 벨로티 로사 2018 Cascina Degli Ulivi Semplicemente Vino Bellotti Rosa 2018 이탈리아 [내부링크]

시음일은 2020년 10월 10일이다 이탈리아 피에몬테라는 네비올로 품종으로 바롤로와 바르바레스코, 그리고 ...

[레드] 마테오 꼬레지아, 안토스 브라께또 2018 Matteo Correggia, Anthos Brachetto 2018 이탈리아 브라케토 드라이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20년 10월 17일이다 이탈리아 피에몬테 지역에서 나오는 '브라케토 다퀴'라는 달콤하...

[화이트] 라 브루치아타, 오스카 보시오 아이베 드라이 모스카토 NV La Bruciata Oscar Bosio Aive Dry Moscato NV 이탈리아 화이트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20년 10월 21일이다 이탈리아 피에몬테에서 아스티라는 지역에서 유명한 '모스카토 다스티...

[레드] 옐로우 테일, 쉬라즈 2019 Yellow Tail, Shiraz 2019 호주 가성비 만원대 쉬라즈 레드와인 편의점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20년 10월 24일이다 호주에서 대표품종인 쉬라즈, 프랑스가 본래 고향이며 본래는 시라라고 불...

[레드] 콜롬비아 크레스트, 그랜드 에스테이트 시라 2017 Columbia Crest, Grand Estate Syrah 2017 미국 가성비 시라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20년 10월 25일이다 미국 워싱턴주에서 프랑스를 비롯 세계적으로 유명하며 호주에서는 대부분 ...

[오렌지] 드라가, 미클루스 말바시아 2015 Draga, Miklus Malvasia 2015 이탈리아 프리울리 내추럴 오렌지 앰버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20년 10월 31일이다 "오렌지 와인은 오렌지로 만들지 않고 순수 청포도로만 만듭니다.&quo...

[화이트] 그랜드 토카이 N8 드라이 2015 Grand Tokaj N8 Dry 2015 헝가리 토카이 드라이 화이트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20년 11월 07일이다 헝가리는 스위트와인중에서도 고급와인인 '토카이'라는 귀부와인...

[레드] 카사 로호, 마초맨 2017 Casa Rojo, MMM Macho Man 2017 스페인 후미야 모나스트렐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20년 11월 14일이다 스페인에서도 후미야라는 지역은 프랑스에서는 무르베드르, 호주에선 마타...

[화이트] 알레한드로 페르난데즈, 알레하이렌 크리안자 2016 Alejandro Fernandez, Alejairen Crianza 2016 스페인 라만차 아이렌 화이트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20년 11월 18일이다 스페인의 라만차라는 지역에서는 주로 아이렌이라는 생소한 청포도 품종으...

[레드] 마이클 데이비드 쁘띠 쁘띠 2017 Michael David Petite Petit 2017 미국 캘리포니아 블렌딩 코스트코 인기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20년 11월 21일이다 미국 캘리포니아주의 로다이라는 지역에서 쁘띠시라 품종과 쁘띠베르도 품...

[화이트와인] 후버, 그뤼너 벨트리너 테라쎈 2018 Markus Huber, Gruner Veltliner Trrassen 2018 오스트리아 그뤼너 벨트리너 화이트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20년 11월 28일이다 오스트리아의 트라이젠탈이라는 생산지역에서 나오는 오스트리아의 대표품...

[레드] 카브리즈 투리가 나시오날 2014 Cabriz Touriga Nacional Dao 2014 포르투갈 대표품종 가성비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20년 11월 29일이다 포르투갈에서는 포트와인과 마데이라가 유명하지만 그에 못지않게 일반적인...

[와인글라스] 리델 부르고뉴 버건디 보르도 화이트 레드 타이 블랙 올블랙 BB 타이 옐로우 타이 와인 글라스 와인잔 비교 추천 사용 리뷰 (소믈리에 시리즈) [내부링크]

구매일 2020년 7월 23일 특징: 오스트리아산 명품 와인잔 브랜드로 거대한 크기와 스템의 컬러가 시그니처,...

[레드] 트라피체, 브로켈 말벡 2019 Trapiche, Broquel Malbec 2019 아르헨티나 가성비 및 인기 말벡 만원대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20년 12월 05일이다 아르헨티나에서 대표품종인 말벡, 이 말벡을 가지고도 여러 와이너리에서 ...

[와인글라스] 잘토 부르고뉴 버건디 보르도 화이트 와인 글라스 와인잔 비교 추천 사용 리뷰 (짤토) [내부링크]

구매일 2019년 3월 05일 특징: 오스트리아산 명품 와인잔 브랜드로 마치 원반형 우주선을 연상시키는 독특...

[화이트] 로버트 몬다비, 오크빌 퓌메 블랑 2013 Robert Mondavi, Oakville Fume Blanc 2013 미국 소비뇽 블랑 화이트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20년 12월 08일이다 미국 캘리포니아에서도 와인으로 제일 유명한 산지인 나파밸리에서도 &#x27...

[와인글라스] 지허 부르고뉴 버건디 밸런스 보르도 인텐스 화이트 와인 글라스 와인잔 비교 추천 사용 리뷰 [내부링크]

구매일 2020년 8월 10일 특징: 독일산에 최근 떠오르는 명품 와인잔 브랜드로 다른 브랜드 대비 제일 긴 스...

[포트] 포르투 발도우로, 토니 포트 NV Porto Valdouro, Tawny Port NV 포르투갈 가성비 달콤한 타우니 토니 포트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20년 12월 08일이다 포르투갈의 주정강화 와인이자 세계 3대 주정강화 와인중 제일 유명한 포트...

[와인글라스] 자페라노 울트라 라이트 부르고뉴 버건디 보르도 화이트 와인 글라스 와인잔 비교 추천 사용 리뷰 [내부링크]

구매일: 2020년 8월 13일 특징: 이탈리아산 명품 와인잔 브랜드로 마치 튤립처럼 생긴 독특한 디자인이 시...

[레드] 제나토 아마로네 델라 발폴리첼라 클라시코 2015 Zenato Amarone della Valpolicella Classico 2015 이탈리아 아마로네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20년 12월 12일이다 이탈리아에서 '베네토'라는 지역은 '로미오와 줄리엣'...

[화이트] 도멘 슐룸베르거, 게뷔르츠트라미너 케슬러 그랑 크뤼 2015 Domaines Schlumberger, Gewurztraminer Grand Cru 2015 프랑스 알자스 [내부링크]

시음일은 2020년 12월 19일이다 프랑스 알자스에서 유명한 품종으로 '게부르츠트라미너'라는 품...

[와인글라스] 슈피겔라우 그랑팔레 엑스퀴짓 부르고뉴 버건디 보르도 화이트 와인 글라스 와인잔 비교 추천 사용 리뷰 [내부링크]

구매일: 2020년 11월 12일 특징: 독일산 명품 와인잔 브랜드로 다른 브랜드와 함께 유명한 브랜드중에 하나...

[로제펫낫] 뤼들라 스와프 로제 펫낫 2019 Brendan Tracey, Rue De La Soif Rose Pet Nat 2019 내추럴 와인 로제 펫낫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20년 12월 25일이다 프랑스 루아르 지역의 내추럴 와인중에서 스파클링 와인으로 내추럴 와인에...

[샴페인] 기 미셸 에 피스 파리 폴리 브뤼 밀레짐 1989 Guy Michel & Fils Paris Folie Brut Millesime 1989 프랑스 올드빈티지 샴페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20년 12월 26일이다 프랑스 샹파뉴의 샴페인중에서 올드빈티지를 만나기란 쉬운건 아니다, 물론...

[레드] 돈나푸가타, 벨아사이 2018 Donnafugata, Bell'Assai 2018 이탈리아 프라파토 품종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21년 01월 01일이다 이탈리아 남쪽 시칠리아 섬의 토착품종인 '프라타토'로 만든 레...

[로제] 그르기치 힐스 이스테이트 나파 밸리 로제 2019 Grgich Hills Estate Napa Valley Rose 2019 미국 나파밸리 프리미엄 로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21년 01월 02일이다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나파밸리라는 유명한 산지에서 나오는 품종들은 프리...

[레드] 테슬레, 비에이 비뉴 까리냥 2017 Domaine Lafage, Tessellae Vieilles Vignes Carignan 2017 프랑스 까리냥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21년 01월 09일이다 프랑스 랑그독 루씨용 지역에서 남프랑스에서 유명한 품종인 '까리냥&...

[레드] 산 마르짜노, 탈로 프리미티보 디 만두리아 2018 San Marzano, Talo Primitivo Di Manduria 2018 이탈리아 프리미티보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21년 01월 15일이다 이탈리아 '뿔리아'지역의 '만두리아'라는 생산지에서 ...

[레드] 도멘 위들로 바이에, 샹볼 뮈지니 비에이 비뉴 2017 Domaine Hudelot Baillet, Chambolle Musigny Vieilles Vignes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21년 01월 16일이다 프랑스 부르고뉴에는 피노누아로 만든 레드와인이 제일 유명하며, 부르고뉴...

[화이트] 에비덴시아 브랑코 2017 Evidencia Branco 2017 포르투갈 품종 블렌딩 다웅 화이트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21년 01월 23일이다 포르투갈에서는 포트와인과 또 마데이라 섬에서 유명한 마데이라와인으로 ...

[레드] 도멘 샤를로팽, 쥬브레 샹베르땅 비에이 비뉴 2016 Domaine Charlopin, Gevrey Chambertin Vieilles Vignes 2016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21년 01월 30일이다 프랑스 부르고뉴는 세계에서 피노누아 품종으로 만드는 가장 유명한 지역이...

[포티파이드] 하셀 그로브 더 올드넛 포티파이드 NV Haselgrov Winery, The Old Nut Fortified NV 호주 타우니 포트와인 방식 주정강화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21년 01월 31일이다 호주에서도 주정강화와인이 나온다, 이 와인은 타우니 포트와인과 비슷하면...

[크레망] 자이엉스 크레망 드 디 그랑 리저브 2015 Jaillance Cremant de Die La Grande Reserve 2015 프랑스 론 크레망 스파클링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21년 02월 05일이다 프랑스에서 스파클링 와인은 샹파뉴 지역에서 나는 샴페인만 있는것이 아니...

[셰리] 곤잘레스 비야스 솔레라 1847 크림쉐리 NV Gonzales Byass Solera 1847 Cream Sherry NV 스페인 헤레스 달콤한 셰리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21년 02월 05일이다 스페인의 주정강화 와인이자 세계 3대 주정강화와인중 하나인 셰리와인(쉐...

[레드] 란, 그란 리세르바 2011 Lan, Gran Reserva Rioja 2011 스페인 리오하 템프라니요 가성비 그랑리제르바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21년 02월 06일이다 스페인에서 가장 많이 생산되는 품종 중 가장 스페인을 대표하는 적포도 품...

[레드] 아비뇨네지 비노 노빌레 디 몬테풀치아노 2015 Avignonesi Vino Nobile di Montepulciano 2015 이탈리아 토스카나 VNDM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21년 02월 11일이다 이탈리아 토스카나 지역에서 '몬테풀치아노'라는 생산지에서 나...

[와인글라스] 잘토 샴페인잔 스파클링 플루트 와인잔 스위트 주정강화 포티파이드 쇼트즈위젤 디바 로제 와인잔 비교 추천 사용 리뷰 [내부링크]

구매일: 잘토 샴페인 와인글라스와 스위트 와인글라스는 2019년 3월 5일 구매, 쇼트즈위젤 디바 로제 와인...

[레드] 피에르 가이야르, 꼬뜨 로티 2017 Pierre Gaillard, Cote Rotie 2017 프랑스 북부 론 꼬뜨로띠 시라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21년 02월 12일이다 프랑스에서 론, 거기에서도 '시라' 품종의 종주 고장인 북부 론,...

[화이트] 들라스, 크로즈 에르미타주 화이트 2018 Delas, Crozes-Hermitage White 2018 프랑스 론 마르산 루산 화이트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21년 02월 20일이다 프랑스 북부 론지역에서 '크로즈 에르미타주'라는 산지는 본래 &...

[레드] 샤또 드 라 떼리에 플뢰리 2017 Chateau de la Terriere Fleurie 2017 프랑스 보졸레 크뤼 플러리 가메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보졸레 10개의 크뤼] 시음일은 2021년 02월 27일이다 프랑스 부르고뉴에서도 '보졸레'라는 지역...

[레드] 니더버그, 와인마스터스 피노타쥐 2018 Nederburg, The Winemasters Pinotage 2018 남아공 피노타지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21년 02월 28일이다 남아공은 남아프리카 공화국이라고 해서 흔히들 아프리카 대륙으로 보고 와...

[레드] 아타 랑기, 피노 누아 2017 Ata Rangi, Pinot Noir 2017 뉴질랜드 마틴보로 피노누아 레드 와인 죽기 전에 꼭 마셔봐야 할 와인 1001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21년 03월 06일이다 뉴질랜드하면 떠오르는 와인은 단연코 '소비뇽블랑'으로 만든 화...

[레드] 에라주리즈, 맥스 리제르바 까르미네르 2017 Errazuriz, Max Reserva Carmenere 2017 칠레 까르메네르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21년 03월 13일이다 칠레는 신대륙 생산국가중에서도 국내에서 가성비 좋은 와인이 많은 국가로...

[와인앱] 와인그래프 Winegraph 국내 최대 와인정보 및 구매처 조회, 테이스팅 노트와 와인 SNS 어플 추천 [내부링크]

와인그래프 (Winegraph) 지원: 안드로이드, IOS 지원 설치: 안드로이드폰은 구글 플레이 스토어, 아이...

[오렌지] 슬라브첵, 레불라 리저브 2015 Slavcek, Rebula Reserve Suho 2015 슬로베니아 레불라 리불라 품종 내추럴 오렌지 앰버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21년 03월 16일이다 "오렌지 와인은 오렌지로 만들지 않고 순수 청포도로만 만듭니다.&quo...

[레드] 까테나 자파타, 까테나 말벡 2018 Catena Zapata, Catena Malbec 2018 아르헨티나 말벡 레드 와인 카테나 말벡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21년 03월 20일이다 아르헨티나는 여러가지 레드와인 품종과 화이트와인 품종이 다양한 스타일...

[레드] 샤또 드 벨리번느, 생 따무르 2019 Chateau de Belleverne, Saint-Amour 2019 프랑스 보졸레 크뤼 가메 레드 와인 코스트코 가성비 추천 [내부링크]

[보졸레 10개의 크뤼] 시음일은 2021년 04월 03일이다 프랑스 부르고뉴에서도 '보졸레'라는 지역...

[와인아이템] 배큐빈 호일커터 (Vacu Vin Foil Cutter), 와인 스토퍼 (Wine Stopper), 디스크 푸어러 (Wine Pourer Disk) 필수 장비 추천 [내부링크]

코르크 오프너가 제일 중요하고 그 다음으로 많이 쓰이는 와인 아이템 및 와인용품들이다 와인 호일 커...

[마데이라] 블랜디스 10년 세르시알 마데이라 NV Blandy’s 10 Year Old 'Sercial' Madeira NV 드라이 마데이라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21년 04월 03일이다 포르투갈에서 유명한 주정강화와인은 '포트와인'으로 주로 달콤...

[로제] 다스 주스 로제 2020 Das Juice Rose 2020 호주 템프라니요 피노 누아 내추럴 로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21년 04월 10일이다 호주의 내추럴 로제와인으로 LO-FI 와인즈라는 와이너리가 호주 남쪽 ...

[와인아이템] 아벤 스마트 와인 에어레이터 Aveine Smart Wine Aerator 디켄팅 브리딩 필요없는 에어링 프리미엄 에어레이터 추천 [내부링크]

구매일: 2019년 12월 23일 네이버에서 와인용품이나 와인장비 정보들을 보다가 아벤에어레터의 국내 첫 런...

[화이트] 클라우디 베이, 소비뇽 블랑 2020 Cloudy Bay, Sauvignon Blanc 2020 뉴질랜드 소비뇽 블랑 코스트코 화이트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21년 04월 16일이다 뉴질랜드 와인하면 소비뇽블랑 품종으로 만든 화이트와인이 대표적으로 유...

[셰리] 발데스피노, 싱글 빈야드 티오 디에고 드라이 아몬티야도 NV Valdespino Single Vinyard Tio Diego Dry Amontilado NV 스페인 쉐리 [내부링크]

시음일은 2021년 04월 16일이다 스페인의 주정강화 와인으로 위스키를 좋아하는 사람들은 많이 들어봤을 셰...

[레드] 테일러스 & 웨이크필드, 세인트 생 앤드류 쉬라즈 2017 Taylors & Wakefield, St Andrews Shiraz 2017 면세점 호주 쉬라즈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21년 04월 17일이다 호주에서 남호주 -> 클레어 밸리라는 생산지에서 나는 쉬라즈로 만든 웨이크필드 와이너리의 중간 라인급 주력 와인, 아메리칸 오크에 20개월 숙성후 출시한다, 국내 수입되지 않는 와인으로 제주공항 면세점에서 구매 가능하며 가격대가 관세가 안붙어 거의 현지가 수준이다(실제 투핸즈 와인에서 중간 라인급인 가든시리즈와 동일 가격대) 테일러스 & 웨이크필드, 세인트 앤드류 쉬라즈 2017 Taylors & Wakefield, St Andrews Shiraz 2017 종류: 레드와인 빈티지: 2017 생산국: 호주 생산지: 남 호주 -> 클레어 밸리 생산자: 테일러 & 웨이크필드 품종: 쉬라즈 100% 당도: 2 / 산도: 3.4 / 타.......

[레드] 호노로 베라 메를로 2017 Bodegas Juan Gil, Honoro Vera Merlot 2017 스페인 후미야 메를로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21년 04월 24일이다 스페인 후미야라는 가르나차로 유명한 생산지에서 메를로 100%로 만든 스페...

[포트] 다우, 10년 숙성 토니 포트 NV Dow's, 10 Year Old Tawny Port NV 포르투갈 도우루 타우니 토니 포트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21년 04월 24일이다 포르투갈 두우루 지역에서 생산한 여러가지 적포도 품종 위주로 블렌딩 하...

[레드] 프렐리, 모드라 프란킨자 2016 Frelih, Modra Frankinja 2016 슬로베니아 블라우프랭키쉬 내추럴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21년 04월 30일이다 슬로베니아의 센트루퍼라는 생산지의 블라우프랜키쉬 품종 100%, 내추럴 레...

[레드] 미켈레 끼아를로, 랑게 네비올로 일 프린시페 2018 Michele Chiarlo, Langhe Nebbiolo 'Il Principe' 2018 이탈리아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21년 05월 07일이다 이탈리아의 피에몬테 지역에서 랑게라는 생산지의 '네비올로' 품...

[빈산토] 도멘 시갈라스, 빈산토 2004 Domaine Sigalas, Vinsanto 2004 그리스 아파시멘토 디저트 스위트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21년 5월 14일이다 그리스 산토리니의 유명한 건포도 스위트와인으로 토착 청포도 품종 아시르...

[귀부] 슈밋 손, 베렌아우스레제 2015 Schmitt Sohne, Beerenauslese 2015 가성비 독일 리슬링 달콤한 스위트 디저트 귀부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21년 5월 15일이다 독일 라인헤센 지역에서 만든 늦수확와인이자 귀부와인으로 트로켄베렌아우...

[프로세코] V8+ 프로세코 브뤼 밀레시마토 시오르 카를로 2019 V8+ Prosecco Brut Millesimato Sior Carlo 2019 이탈리아 빈티지 프로세코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21년 5월 20일이다 이탈리아 베네토 지역에서 이탈리아를 대표하는 스파클링와인 혹은 스푸만테...

[와인글라스] 리델 소믈리에 샴페인 플루트 샴페인잔 비교 와인잔 비교 추천 사용 리뷰 [내부링크]

구매일 2021년 5월 3일 특징: 스파클링 와인 및 샴페인을 담아서 그 버블을 감상하기에 가장 이상적이고 플...

[레드] 몰리두커, 더 복서 쉬라즈 2018 Mollydooker The Boxer Shiraz 2018 쉐이킹으로 유명한 와인 호주 쉬라즈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21년 5월 21일이다 호주에서 남호주의 맥라렌배일 이라는 쉬라즈 품종이 가장 찐득하게 재배되...

[레드] 까사 페스테요, 셀렉션 카베르네 소비뇽 2020, Casa Festejo, Seletion Cabernet Sauvignon 2020 칠레 프릭쇼 느낌의 레이블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21년 5월 29일이다 칠레 까베르네 소비뇽의 저렴한 버전이자 칠레판 '프릭쇼' 같은 ...

[오렌지] 래이나, 움브리아 그레케토 2018 Raina, Umbria Grechetto 2018 이탈리아 그레케토 비앙코 품종 내추럴 오렌지 앰버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21년 5월 29일이다 "오렌지 와인은 오렌지로 만들지 않고 순수 청포도로만 만듭니다.&quot...

[화이트] 도그 포인트, 소비뇽 블랑 2019 Dog Point, Sauvignon Blanc 2019 뉴질랜드 가성비 프리미엄 소비뇽 블랑 화이트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21년 5월 29일이다 뉴질랜드의 말보로 지역의 소비뇽블랑 화이트와인으로 가격대가 조금 높지만...

[화이트] 이나마, 빈 소아베 클라시코 2016 Inama, Vin Soave Classico 2016 이탈리아 아마로네 유명한 베로나 화이트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21년 6월 5일이다 이탈리아의 베네토 지역은 레드와인은 아마로네로도 유명하지만 화이트와인은...

[레드] 크리스탈룸, 피터 막스 피노누아 2018 Crystallum Peter Max Pinot Noir 2018 남아공 피노누아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21년 6월 12일이다 남아프리카 공화국, 줄여서 남아공은 유명 와인생산국으로 피노타주 품종의 ...

[로제] 샤또 데스클랑, 위스퍼링 엔젤 2018 Chateau d'Esclans, Whispering Angel 2018 프랑스 프로방스 코스트코 로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21년 6월 16일이다 프랑스에서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로제와인 생산지역이자 세계적으로도 로제...

[와인아이템] 퐁뜨니 빠또 라기올 매그넘 Fontenille Pataud Laguiole Magnum 소믈리에 나이프 추천 샤또 라기올 매그넘 고급 와인 오프너 추천 [내부링크]

구매일: 2021년 05월 13일 첫 코르크 오프너는 와인사면 사은품으로 증정하는 와인 오프너를 쓰다가 초반에...

[세미스파클링] 메디치 에르메테, 콘체르토 람부르스코 2019 Medici Ermete Concerto Lambrusco Reggiano 2019 이탈리아 프리잔테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21년 6월 19일이다 이탈리아에서 프리잔테라는 세미스파클링 와인의 대표이자 '브라케토&#...

[와인아이템] 리델, 레지, 트레비앙 극세사 린넨, 와인잔 닦이, 헝겊 와인글라스 세척 닦기 마이크로화이버 폴리싱 Microfiber Polishing 와인 클리너 비교 추천 [내부링크]

구매일: 2021년 4월 21일 보통 와인을 마시고 나서 와인잔을 세척할때 물로 세척 후 집에 있는 헝겊을 쓰거...

[레드] 오 봉 클리마, 피노누아 녹스 알렉산더 2017 Au Bon Climat, Pinot Noir Knox Alexander 2017 미국 캘리포니아 피노누아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21년 6월 26일이다 미국은 대체적으로 오리건(오레곤, 혹은 오레건)이 피노누아로 유명하나, 캘...

[화이트] 벤자민 르루, 뫼르소 2018 Benjamin Leroux, Meursault 2018 프랑스 부르고뉴 샤르도네 버건디 샤도네이 빌라쥐 화이트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1년 7월 3일 세상에서 샤르도네를 가장 잘만들기로, 또 애호가들이 많은 부르고뉴의 화이트와인,...

[레드] 샤또 벨그라브 오 메독 2015 Chateau Belgrave Haut Medoc 2015 프랑스 보르도 그랑크뤼 클라세 5등급 와인 추천 Grand Cru Classe [내부링크]

시음일: 2021년 7월 10일 프랑스 보르도 메독 지역 그랑 크뤼 클라세 5등급중 5등급에 속하는 와인으로 까...

[레드] 바스 필립 프리미엄 피노누아 2016 Bass Phillip Premium Pinot Noir 2016 호주 빅토리아 피노누아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1년 7월 17일 호주 빅토리아(Victoria)주는 피노누아 생산지로 유명하다 거기서도 깁스랜드(G...

[오렌지] 바틱, 시비 피노 2019 Batic, Sivi Pinot 2019 슬로베니아 내추럴 와인 피노그리지오 품종 오렌지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1년 7월 20일 "오렌지 와인은 오렌지로 만들지 않고 순수 청포도로만 만듭니다" 슬로...

[레드] 장 발몽 까베르네 소비뇽 2019 Jean Balmont Cabernet Sauvignon 2019 프랑스 랑그독 루시옹 카버네 소비뇽 가성비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1년 7월 21일 까베르네 소비뇽의 고향 프랑스에서도 가성비 마시기 편한 스타일로 잘 만드는 지...

[샴페인] 떼땅져, 뀌베 프레스티지 브뤼 NV Taittinger Cuvee Prestige Brut Champagne NV 프랑스 인기 샴페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1년 7월 25일 프랑스 샹파뉴에서도 랭스(Reims) 지역의 유명 샴페인 하우스인 떼땅져의 엔트리...

[와인글라스] 쇼트즈위젤 센사 부르고뉴 버건디 보르도 화이트 와인 글라스 와인잔 비교 추천 사용 리뷰 [내부링크]

구매일: 2021년 5월 11일 특징: 독일산 명품 와인글라스 브랜드 중 하나며 핸드메이드로 생산해내는 플래그...

[레드] 펠튼 로드 블록 3 피노 누아 2015 Felton Road Block 3 Pinot Noir 2015 뉴질랜드 센트럴 오타고 피노누아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1년 7월 31일 뉴질랜드는 서늘한 기후로 소비뇽블랑뿐만 아니라 다른 국제품종들도 각자의 개성...

[화이트] 올리비에 르플레브, 뿔리니 몽라쉐 2017Olivier Leflaive, Puligny Montrachet 2017 프랑스 부르고뉴 샤도네이 화이트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1년 8월 1일 프랑스(France) 부르고뉴(Bourgogne)의 꼬뜨 드 본(Cote de Beaune)은 샤르도네...

[레드] 카를로 사니, 수수마니엘로 2020 Carlo Sani, Susumaniello 2020 이탈리아 뿔리아 수수마니엘로 품종 롯데마트 가성비 입문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1년 8월 7일 이탈리아 남쪽 풀리아(Puglia) 지역에서 샤르데냐(Sardegna)라는 섬에서 생산된 ...

[화이트] 마크 모레이, 샤샤뉴 몽라쉐 블랑 2018 Marc Morey, Chassagne Montrachet Blanc 2018 프랑스 부르고뉴 샤르도네 화이트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1년 8월 14일 프랑스(France) 부르고뉴 (Bourgogne)의 꼬뜨 드 본(Cote de Beaune) 에서 샤...

[레드] 에라주리즈, 라스 피자라스 피노 누아 2017 Errazuriz, Las Pizarras Pinot Noir 2017 칠레 고급 피노누아 레드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1년 8월 15일 칠레(Chile)의 피노누아 품종 와인중 고가의 와인으로 에라주리즈라는 대형 와이...

[레드] 안티노리, 페폴리 키안티 클라시코 2019 Antinori, Peppoli Chianti Classico 2019 이탈리아 산지오베제 가성비 끼안티 클라시코 레드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1년 8월 21일 이탈리아(Italy)에서 '티냐넬로'라는 슈퍼 투스칸 와인으로 유명한 &#x...

[셰리] 루스토, 페드로 히메네즈 산 에밀리오 솔레라 레세르바 NV Lustau, Pedro Ximenez San Emilio Solera Reserva NV 스페인 달콤한 와인 [내부링크]

시음일 2021년 8월 22일 스페인을 대표하는 주정강화와인(Fortified Wine)이자 세계 3대 주정강화와인중 ...

[레드] 마쩨이, 필리프 2016 Mazzei, Philip 2016 이탈리아 토스카나 슈퍼 투스칸 스타일 까베르네 소비뇽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1년 8월 28일 이탈리아의 토스카나 지역에서 카베르네 소비뇽 100%로만 만든 IGT등급의 슈퍼 ...

[로제까바] 보히가스 까바 브뤼 로제 NV Bohigas Cava Brut Rosat NV 스페인 가성비 로제 스파클링와인 로제 까바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1년 9월 4일 스페인(Spain)의 유명한 스파클링와인이 까바(Cava)인데 까바도 로제 까바(Rose ...

[레드] 토레스, 그랑 코로나스 까베르네 소비뇽 리제르바 2016 Torres, Gran Coronas Cabernet Sauvignon Reserva 2016 스페인 가성비 와인 [내부링크]

시음일 2021년 9월 5일 스페인(Spain)의 카베르네 소비뇽(Cabernet Sauvignon) 와인으로 85%의 까쇼와 ...

[화이트] 루이 라뚜르, 샤블리 2018 Louis Latour, Chablis 2018 프랑스 부르고뉴 샤르도네 화이트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1년 9월 11일 프랑스 부르고뉴에서 샤르도네 품종으로 깔끔하고 특유의 키메리지안(Kimmeridgia...

[레드] 펜리 에스테이트, 톨머 까베르네 소비뇽 2019 Penley Estate, Tolmer Cabernet Sauvignon 2019 호주 가성비 까쇼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1년 9월 18일 호주의 까베르네 소비뇽 100% 와인으로 사우스 오스트레일리아 라고 불리는 남호주...

[레드] 샤또 푸카리, 라라 네그라 드 푸카리 2015 Chateau Purcari Rara Neagra de Purcari 2015 몰도바 바베아슈카 네아그라 레드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1년 9월 19일 몰도바의 와인으로 품종은 라라 네그라라는 본래 루마니아에서 오래되고 유명한 바...

[화이트] 브롤리아 라 메이라나 가비 디 가비 2018 Broglia, La Meirana Gavi di Gavi 2018 이태리 가성비 좋은 꼬르테제 화이트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1년 9월 21일 이탈리아 피에몬테 지역에서도 가비라는 생산지에서 코르테제라는 품종 100%로 만...

[레드] 르 리쉬 까베르네 소비뇽 2017 Le Riche Cabernet Sauvignon 2017 남아공 잘 만든 까베르네소비뇽 레드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1년 9월 25일 남아프리카 공화국, 즉 남아공의 까베르네 소비뇽 100% 와인으로 웨스턴 케이프의 ...

[레드] 까테나 까베르네 소비뇽 2018 Catena Cabernet Sauvignon 2018 아르헨티나 카버네 소비뇽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은 2021년 9월 26일 아르헨티나에서 와인산지로 정말 유명한 멘도자 지역의 카테나 자파타라는 와이...

[로제] 마티아스 리치텔리 헤이 로제 말벡 2020 Matias Riccitelli Hey Rose Malbec 2020 아르헨티나 말벡 가성비 로제 와인 Rose Wine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1년 10월 2일 아르헨티나의 멘도자에서 재배되는 말벡 품종 100%로 만든 로제와인으로 남반구라 ...

[레드] 콘차이 토로 떼루뇨 까베르네 소비뇽 2018 Concha y Toro Terrunyo Cabernet Sauvignon 2018 칠레 까베르네소비뇽 레드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1년 10월 3일 칠레에서 가장 큰 규모의 와이너리인 '콘차이 토로'의 대표 플래그쉽 와...

[화이트] 모라&메모 티노 베르멘티노 디 사르데냐 2019 Mora & Memo Tino Vermentino Di Sardegna 2019 이탈리아 베르멘티노 화이트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1년 10월 9일 이탈리아 서쪽에 있는 섬, 사르데냐에서 베르멘티노라 불리고 프랑스에서는 롤(Ro...

[레드와인] 텍스트북 나파 카베르네 소비뇽 2018 Textbook Napa Cabernet Sauvignon 2018 미국 캘리포니아 나파밸리 까베르네소비뇽 레드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1년 10월 10일 미국 캘리포니아의 나파 카운티 -> 나파 밸리 레드와인으로 나파밸리 까베르네...

[로제프로세코] 세실리아 베레타 프로세코 로제 2020 Cecilia Beretta Prosecco Rose 2020 이탈리아 로제 프로세코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1년 10월 15일 이탈리아의 베네토의 스파클링 와인이자 세계적으로 유명한 프로세코는 와인명이...

[오렌지] 도멘 리취 드 무아젤 게뷔르츠트라미너 2019 Domaine Rietsch Demoiselle Gewurztraminer 2019 프랑스 알자스 내추럴 오렌지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1년 10월 22일 "오렌지 와인은 오렌지로 만들지 않고 순수 청포도로만 만듭니다" 프랑...

[막걸리] 복순도가 손 막걸리 Boksoon Doga Sparkling Makgeolli 국산 프리미엄 막걸리 리뷰 [내부링크]

시음일 2021년 10월 30일 필자의 와인 이외에 다른 주류중 첫 리뷰이다, 사실 싱글몰트 위스키, 버번 위스...

[막걸리] 이화백주 막걸리 Ehwaju Makgeolli 국산 프리미엄 막걸리 리뷰 [내부링크]

시음일 2021년 10월 30일 스파클링 막걸리중에서 '2017 청와대 공식 대사관 만찬 건배주'로 유명...

[레드] 피에트라돌체, 아르키네리 에트나 로쏘 2016 Pietradolce, Archineri Etna Rosso 2016 이탈리아 네렐로 마스칼레제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1년 10월 23일 이탈리아 남쪽 섬 시칠리아에서 에트나(Etna)라는 화산토양으로 이루어진 독특한...

[로제젝트] 생 라우렌티우스 슈페트부르군더 젝트 로제 브뤼 2016 St. Laurentius Spatburgunder Sekt Rose Brut 2016 독일 로제 스파클링 와인 [내부링크]

시음일 2021년 10월 30일 독일의 모젤 지역에서도 중심부인 라이벤(Leiwen)이라는 마을에서 재배한 피노누...

[화이트] 크티마 게로바실리우 화이트 2020 Ktima Gerovassiliou White 2020 그리스 토착품종 블렌딩 이국적인 풍미의 화이트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1년 11월 5일 그리스의 북쪽 테살로니키에서 에파노미라는 와인산지의 그리스 토착품종인 아시르...

[레드] 누녜스 데 가라이 엔베헤시도 2018 Nunez de Garay Envejecido 2018 스페인 보발 품종 레드 와인 [내부링크]

시음일 2021년 11월 6일 스페인 리베라 델 후카르라는 생산지에서 보발이라는 적포도 품종 100%로 만든 레...

[레드] 조셉 드루앙, 보졸레 누보 2021 Joseph Drouhin, Beaujolais Nouveau 2021 프랑스 가메 품종 올해 햇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1년 11월 20일 매년 11월 샛째주 목요일에 전세계에서 동시 출시되며 갓 수확한 포도로 바로 와...

[레드] 에밀 헤레디아, 엉 디망슈 아 뉴욕 2015 Emile Heredia, Un Dimanche a New York 2015 프랑스 쌩쏘 내추럴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1년 11월 13일 프랑스 남쪽 서던 프랑스의 랑그독 루씨용에서 쌩소 품종 100%로 만든 내추럴 레...

[막걸리] 문희 주 Moonhee Ju Makgeolli 경북 문경시 프리미엄 고급 막걸리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1년 11월 27일 향이 좋은 막걸리로 유명한 탁주로써 사진의 1병이 전통주 기준 '반의 반되&...

[레드] 크티마 게로바실리우 아바톤 2017 Ktima Gerovassiliou Avaton 2017 그리스 토착품종 레드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1년 11월 21일 그리스의 북쪽 마케도니아라는 큰 지역에서도 세부적으로 테살로니키를 거쳐 에파...

[샴페인] 파이퍼 하이직 뀌베 브뤼 NV Piper Heidsieck, Cuvee Brut NV 프랑스 샹파뉴 마를린 먼로가 사랑했던 샴페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1년 11월 23일 프랑스 샹파뉴의 대형 하우스 브랜드중 특히 셀럽들의 샴페인으로도 유명하며 그 ...

[레드] 산타 리타 부간빌 쁘띠 시라 2010 Santa Rita Bougainville Petite Sirah 2010 칠레 아름답게 만든 쁘띠시라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1년 11월 27일 대부분 미국에서 진득한 스타일로 많이들 알고있는 쁘띠시라 품종으로 칠레에서 ...

[레드] 반피 라 루스 알바로사 2017 Banfi La Lus Albarossa 2017 이탈리아 네비올로와 바르베라 교배 품종 레드와인 [내부링크]

시음일 2021년 12월 4일 이태리 북부 피에몬테에서 본래 네비올로(Nebbiolo)와 바르베라(Barbera)의 교배...

[샴페인] 돔페리뇽 빈티지 2012 Dom Perignon Vintage 2012 프랑스 샹파뉴 각종 파티 및 클럽 샴페인 중고가의 샴페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1년 12월 18일 프랑스, 샹파뉴 지역은 그야말로 샴페인으로 전 세계적으로 유명한 스파클링 와인...

[레드] 털리 와인 셀러 올드 바인 진판델 2015 Turley Wine Cellars Old Vine Zinfandel 2015 미국 섬세하게 만든 진판델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1년 12월 11일 미국의 대표품종중 하나인 진판델(Zinfandel)은 이탈리아의 프리미티보(Primiti...

[레드] 리베라 프리미티보 2019 Rivera Primitivo Salento 2019 이탈리아 뿔리아 가성비 프리미티보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1년 12월 21일 이태리 남쪽 풀리아의 살렌토에서 재배한 프리미티보 100%로 만든 와인으로 이 품...

[화이트] 스타인뮬레 실바너 트로켄 2017 Steinmuhle Silvaner Trocken 2017 독일 라인헤센 실바너 품좀 상큼한 화이트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1년 12월 25일 독일에서 제일 유명한 품종으로는 화이트와인으로 리슬링(Riesling) 품종이 제일...

[와인아이템] 와인 폴리 매그넘 에디션 Wine Folly Magnum Edition 초보자 및 애호가를 위한 와인 책 혹은 와인 사전 추천 [내부링크]

필자의 와인 테이스팅에 도움 및 궁금한 점, 각 나라별 다양한 품종 및 와인에 대한 소소한 정보부터 와인...

[늦수확] 클라인 콘스탄티아 뱅 드 콘스탄스 2016 Klein Constantia Vin de Constance 2016 남아공 전설의 레이트 하베스트 스위트 와인 선물용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1년 12월 25일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샤또 디켐이 유행하기전에 유행하던 스위트와인이 있었고 ...

[레드] 펜리 이스테이트 프란시스 까베르네 프랑 2020 Penley Estate Francis Cabernet Franc 2020 호주 아로마틱 카베르네 프랑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2년 1월 8일 호주에서 카버네 프랑 100%로 만든 와인으로 남 호주, 라임스톤 코스트 에서도 쿠나...

[화이트] 레오나르드 커리쉬 아우스레제 2018 Leonard Kreusch Auslese 2018 독일 가성비 좋은 달콤한 세미 스위트 화이트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2년 1월 8일 독일의 라인헤센 지역에서 청포도 품종 오르테가(Ortega) 45%, 옵티마(Optima) 35...

[레드] 엠 샤푸티에 샤도네프 뒤 빠쁘 라 베르나르딘 2015 M. Chapoutier Chateauneuf du Pape La Bernardine 2015 프랑스 론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2년 1월 15일 프랑스, 론 지역은 매우 크며 남부 론의 제일 유명한 와인이 나오는 샤또네프 뒤 ...

[로제] 끌로 시본느 뀌베 프레스티지 카롤린 로제 2019 Clos Cibonne Cuvee Prestige Caroline Rose 2019 프랑스 프로방스 로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2년 1월 16일 프랑스의 남쪽 프로방스에서도 꼬뜨 드 프로방스의 티부렌이라는 적포도 품종 85%...

[레드] 테누다 디 콜로소르보 브루넬로 디 몬탈치노 2015 Tenuta di Collosorbo Brunello di Montalcino 2015 이탈리아 산지오베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2년 1월 18일 이탈리아의 중부 토스카나의 몬탈치노에서 생산되는 산지오베제로 만든 와인으로 ...

[레드] 콘차이 토로 디아블로 까베르네 소비뇽 2019 Concha y Toro Casillero del Diablo Cabernet Sauvignon 2019 칠레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2년 1월 19일 칠레의 대형 와이너리중 제일 유명한 콘차이 토로의 와인이며, 센트럴 밸리에서 수...

[화이트] 구아조 생 브리 에그조지라 비르귤라 2018 Goisot Saint Bris Exogyra Virgula 2018 프랑스 부르고뉴 소비뇽 블랑 내추럴 화이트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2년 1월 23일 프랑스 부르고뉴에서도 샤블리(Chablis) 바로 옆 마을로 생-브리 라는 마을에서는...

[와인글라스] 가브리엘 글래스 골드 에디션 유니버셜 와인 글라스 와인잔 추천 비교 사용 리뷰 [내부링크]

구매일 2022년 1월 18일 특징: 가브리엘 글라스 골드에디션은 스탠다드 아트에 비해 무게가 훨씬 가볍고 레...

[화이트] 도멘 꾸들레 비오니에 2019 Domaine Coudoulet Viognier 2019 프랑스 랑그독 루씨용 비오니에 화이트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2년 1월 23일 프랑스에서 남쪽인 서던 프랑스, 랑그독 루씨용의 비오니에 품종 화이트와인으로 ...

[레드] 꼬또 데 이마스 그랑 레세르바 2014 Coto de Imaz Gran Reserva 2014 스페인 리오하 가성비 그랑 레제르바 템프라니요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2년 1월 29일 스페인의 리오하 지역에서 템쁘라니요 베이스에 그라시아노라는 적포도를 소량 블...

[뱅두나투렐] 엠 샤푸티에 리브잘트 뱅 두 나투렐 1982 M. Chapoutier, Rivesaltes Vin Doux Naturel 1982 프랑스 VDN 주정강화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2년 1월 29일 프랑스의 남쪽 랑그독 후씨용 지역에서 나오는 주정강화와인인 뱅 두 나투렐 와인...

[샴페인] 크룩 그랑 뀌베 NV Krug Grande Cuvee Brut Champagne NV 프랑스 크룩 샴페인 추천 168 EME 에디션(168 EME Edition) 후기 [내부링크]

시음일 2022년 1월 30일 프랑스, 샹파뉴의 왕이라 불리는 샴페인으로 멀티빈티지(MV, Multi Vintage)를...

[오렌지] 도멘 라파주 따론자 드 그리 2020 Domaine Lafage Taronja De Gris 2020 프랑스 그르나슈 그리, 뮈스까, 비오니에 내추럴 앰버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2년 2월 1일 "오렌지 와인은 오렌지로 만들지 않고 순수 청포도로만 만듭니다" 프랑스...

[레드] 오르페우스 앤 더 레이븐 No7 피노타쥐 2019 Orpheus and The Raven No7 Pinotage 2019 남아공 고급 피노타주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2년 2월 5일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웨스턴 케이프에서 피노타지 품종은 피노 누아(Pinot Noir)...

[빈티지차트] 2022 WE 와인 빈티지 차트 2022 WE Vintage Chart 빈티지 평가 빈티지 리포트 Wine Enthusiast 로버트 파커 Wine Spectator [내부링크]

와인을 구매할때, 그리고 마시면서 혹은 와인을 숙성시키려고 할때 문득 빈티지에 따른 평가가 어떤지 궁금...

[레드] 도멘 마르셀 주베르 시루블 2019 Domaine Marcel Joubert Chiroubles 2019 프랑스 보졸레 가메이 시루블레 내추럴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2년 2월 12일 프랑스 부르고뉴의 남쪽 보졸레에서 가메 품종으로 누보가 아닌 진중하게 만드는 1...

[레드] 엠 샤푸티에 데샹트 생 조셉 2016 M. Chapoutier, Deschants Saint Joseph 2016 프랑스 론 생 죠셉 시라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2년 2월 19일 프랑스 론에서도 북부 론 지역의 생 죠셉 이라는 유명한 생산지중 한곳의 와인으로...

[레드] 몬테스 클래식 카버네 소비뇽 2018 Montes Classic Cabernet Sauvignon 2018 칠레 까베르네 소비뇽 까쇼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2년 2월 19일 칠레 콜차구아 밸리에서 재배 및 수확하여 만든 와인으로 몬테스 와이너리의 가장 ...

[화이트] 라 보데가스 푸리시마 아줄러스 화이트 NV La Bodegas Purisima, Azules White NV 스페인 예끌라 지역 화이트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2년 2월 25일 스페인의 예클라 라는 지역에서 소비뇽 블랑, 마카베오, 베르데호 품종들을 블렌딩...

[레드] 도멘 틸라동 세냐 비브라씨옹 2018 Domaine Thillardon Chenas Vibrations 2018 프랑스 보졸레 쉐나 가메이 내추럴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2년 2월 26일 프랑스의 부르고뉴 남쪽 보졸레 에서도 10크뤼(10Cru)의 10개 마을 중 쉐나라는 ...

[레드] 아르파 시라 2018 Arpa Il Borro Selezione Syrah 2018 이탈리아 토스카나 시라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2년 3월 5일 이탈리아 토스카나의 IGT 등급이며 토스카나에서 만들어지는 시라/쉬라즈 와인으...

[화이트] 도멘 파케 푸이 퓌세 2020 Domaine Paquet Pouilly Fuisse 2020 프랑스 부르고뉴 샤르도네 화이트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2년 3월 9일 프랑스 부르고뉴에서 마꼬네 라는 지역에서도 뿌이-퓌세 라는 생산지의 샤르도네 품...

[레드] 장 로롱 샤또 드 라 피에르 레니에 2019 Jean Loron Chateau de La Pierre Regnie 2019 프랑스 보졸레 헤니에 가메이 내추럴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2년 3월 12일 "보졸레 크뤼 와인은 보졸레 누보랑 다른 레드와인입니다" 프랑스 부르...

[와인글라스] 시도니오스 떼루아 컬렉션 르 쎕뗀뜨리오날 르 메르디오날 앙쁘랑뜨 와인 글라스 무게 및 와인잔 비교 추천 사용 리뷰 [내부링크]

구매일: 2022년 3월 11일 특징: 프랑스산 신생 명품 와인글라스 브랜드로 작년부터 차츰 떠오르고 있으며 ...

[셰리] 곤잘레스 비야스 티오 페페 피노 셰리 NV Gonzalez Byass Tio Pepe Fino Sherry NV 스페인 주정강화 와인 피노 쉐리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2년 3월 12일 스페인 안달루시아 에서도 헤레즈-헤레스-셰리(Jerez-Xeres-Sherry)라고 불리는...

[로제] 자카니니 체라수올로 다브루쪼 2020 Zaccagnini Cerasuolo d'Aburzzo 2020 이탈리아 아브루쪼 몬테풀치아노 품종 로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2년 4월 2일 이탈리아의 아브루쪼 지역은 몬테풀치아노 품종으로 만든 레드와인으로도 유명하지...

[레드] 도스 데도스 데 프렌테 2019 Dos Desdos de Frente 2019 스페인 아르곤 시라 쉬라즈 비오니에 블렌딩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2년 3월 18일 스페인의 시라 품종 와인으로 아라곤 지역에서도 칼라타유드라는 와인산지에서 에...

[화이트] 카스텔로 디 아마 알 포지오 샤르도네 2019 Castello di Ama, Al Poggio Chardonnay 2019 이탈리아 토스카나 샤도네이 화이트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2년 3월 19일 이탈리아, 토스카나의 샤르도네로 만든 IGT등급 화이트와인으로, 유명한 카스텔...

[레드] 몽메상 꼬뜨 드 브루이 2018 Mommessin Cote de Brouilly 2018 프랑스 보졸레 꼬뜨 드 브루이 가메이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2년 3월 26일 "보졸레 크뤼 와인은 보졸레 누보랑 다른 레드와인입니다" 프랑스 부르...

[레드] 아데가 드 페고스 시라 2018 Adega de Pegoes Syrah 2018 포르투갈 쉬라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2년 4월 9일 포르투갈에서 시라/쉬라즈 품종으로 만든 레드와인으로 세투발 페닌슐라 라는 지역...

[화이트] 데헤사 델 카리잘 샤르도네 2018 Dehesa del Carrizal Chardonnay 2018 스페인 라 만차 샤도네이 화이트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2년 4월 17일 스페인에서 샤도네이 품종으로 만든 와인, 카스티야 라 만차 라는 지역에서 데헤사...

[레드] 도멘 마르셀 주베르 브루이 2018 Domaine Marcel Jubert Brouilly 2018 프랑스 보졸레 가메이 브루이 내추럴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2년 4월 19일 "보졸레 크뤼 와인은 보졸레 누보랑 다른 레드와인입니다" 프랑스 부르...

[레드] 킬리카눈 오라클 쉬라즈 2016 Kilikanoon Oracle Shiraz 2016 호주 클레어 밸리 쉬라즈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2년 4월 23일 호주, 클레어 밸리의 시라/쉬라즈품종으로 만든 와인이며 클레어 밸리는 비교적 건...

[화이트] 쿠뮤 리버 빌리지 샤르도네 2019 Kumeu River Village Chardonnay 2019 뉴질랜드 오클랜드 샤르도네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2년 5월 1일 뉴질랜드의 노스 아일랜드에서 오클랜드라는 지역의 샤르도네 품종으로 만든 화이트 와인으로 마스터 오브 와인(Master of Wine)중 한명인 마이클 브라코비치(Michael Brajkovich)의 와이너리인 쿠뮤 리버라는 와이너리에서 만들며 손으로 수확한 포도를 토착효모를 사용해 발효를 하고 100% 젖산발효(Malolactic Fermentation) 진행 후 스테인리스 스틸탱크에서 60%는 숙성을 하고 나머지 40%는 5년 숙성에 사용된 재사용 프렌치 오크 바리크에서 숙성을 한다, 숙성기간은 나와있지 않다 와인 오픈 전 앞부분 사진 와인 오픈 전 옆부분 사진, 수입사에서 붙힌 레이블 와인 오픈 전 뒷부분 사진, 와인에 대한 간단한 소개가 기재되어 있다 쿠뮤 리버 빌리지 샤르도네 2019 Kumeu River Village Chardonnay 2019 종류: 화이트와인 빈티지: 2019 생산국: 뉴질랜드 (New Zealand) 생산지: 노스 아일랜드

[스파클링] 슈램스버그 블랑 드 블랑 브뤼 2018 Schramsberg Blanc de Blanc Brut 2018 미국 캘리포니아 스파클링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2년 5월 5일 미국 캘리포니아의 샴페인 방식으로 만든 샤르도네(Chardonnay) 100% 블랑드블랑 스파클링와인으로 나파밸리에서 69%, 소노마카운티 30%, 그리고 마린이라는 산지에서 1%의 수확한 포도를 선별해 16%는 오크배럴에서 발효 및 젖산발효(Malolactic Fermentation)를 하고 나머지는 스테인리스 스틸탱크에서 발효 후 2차 병 발효 및 숙성을 30개월동안 진행한다, 이후 효모찌꺼기를 배출하고 병입 후 출시, 도사쥬(Dosage)는 0.40g/100ml로 잔여당이 거의 없는 엑스트라 브뤼 스타일이다 와인 오픈 전 앞부분 사진 와인 오픈 전 옆부분 사진, 수입사에서 붙힌 레이블 와인 오픈 전 뒷부분 사진, 블랑 드 블랑답게 100% 샤르도네라는 점을 강조한다 슈램스버그 블랑 드 블랑 브뤼 2018 Schramsberg Blanc de Blanc Brut 2018 종류: 스파클링와인 빈티지: 2018 생산국: 미국 (USA) 생산지: 캘리포니아

[레드] 레 베르트랑 줄리에나 퓌르 쥐 2018 Les Bertrand Julienas Pur Ju 2018 프랑스 보졸레 가메이 줄리에나 내추럴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2년 5월 8일 "보졸레 크뤼 와인은 보졸레 누보랑 다른 레드와인입니다" 프랑스 부르고뉴의 남쪽, 보졸레에서 줄리에나라는 보졸레 10크뤼 중 하나인 생산지의 와인으로 보졸레라는 지역이 누보가 워낙 유명하고 저가의 그 해 만든 와인을 바로 마시는 신선한 와인의 이미지가 강해서 그렇지 사실 진중하게 만드는 10크뤼는 10개의 크뤼마다 또 생산자마다 다양하고 매력적인 와인을 만들기로 유명하다, 평균 수령 45년 이상의 나무에서 손으로 수확한 가메 품종 포도를 14~18일 저온에서 탄산 침용을 하며 내추럴와인답게 이산화황은 배제하고 토착효모로 발효한다, 이후 최소 7가지 레드와인의 숙성에 사용되었던 225L 재사용 프렌치 오크에서 8개월 숙성 후 여과 없이 병입한다 [보졸레 10크뤼] 오른쪽 표가 보졸레 10크뤼의 명칭들, 줄리에나는 꽤나 볼드한 보졸레 10크뤼중 하나다 와인 오픈 전 앞부분 사진 와인 오픈 전 옆부분 사진, 알콜이 기재되어 있다 와인 오픈 전 뒷부분 사진, 와

[레드] 꼬네따블 딸보 생 줄리앙 2017 Connetable Talbo Saint Julien 2017 프랑스 보르도 샤또 딸보 2nd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2년 5월 14일 프랑스, 보르도의 메독의 중앙에 위치한 생-줄리앙의 그랑크뤼(Grand Cru), 샤또 딸보(Chateau Talbot)의 세컨드 와인으로 가격이 절반 정도의 가격에 접근성이 좋으며 평균 수령 30년의 나무에서 9월 중순부터 10월 초까지 손으로 수확한 카베르네 소비뇽에 메를로를 블렌딩하여 스테인리스 스틸탱크에서 발효 후 프렌치 오크에서 15개월을 숙성하며 새오크 비율은 15%이다 와인 오픈 전 앞부분 사진 와인 오픈 전 뒷부분 사진, 와이너리의 레이블과 수입사에서 붙힌 레이블 꼬네따블 딸보 생 쥴리앙 2017 Connetable Talbo Saint Julien 2017 종류: 레드와인 빈티지: 2017 생산국: 프랑스 (France) 생산지: 보르도(Bordeaux) -> 메독(Medoc) -> 생-쥴리앙(Saint-Julien) 생산자: 샤또 딸보 (Chateau Talbot) 품종: 카베르네 소비뇽(Cabernet Sauvignon) 54%, 메

[위스키] 글렌피딕 싱글 몰트 15년 Glenfiddich Age 15 스코틀랜드 스페이사이드 싱글 몰트 솔레라 숙성 위스키 추천 [내부링크]

위스키에서는 사실 글라스가 많이 필요하지 않다, 기본적으로 제일 많이 쓰이는게 스피릿 글라스와 이 글랜케런(Glencairn) 글라스 시음일 2019년 2월 1일 블렌디드 위스키는 여러 증류소에서 나온 몰트와 그레인 위스키액(사실 싱글 그레인 위스키도 존재한다) 을 섞어 만든것이며 마트나 업소에서 흔히 보이며 싱글몰트위스키는 보리로 만든 하나의 증류소에서 나온 위스키를 뜻한다 그 싱글몰트중 가장 대중적인 위스키계의 '보르도' 같은 존재 글렌피딕은 스코틀랜드에서 최초의 싱글몰트 위스키를 생산한 증류소로 유명하다, 그리고 다른 스코틀랜드 싱글 몰트 위스키와 다르게 셰리 캐스크가 아닌 일반적인 오크 캐스크에서 숙성하며 또한 이 15년산은 12년산과 18년 21년산과 다르게 특징적으로 솔레라(Solera) 시스템을 이용해 숙성한다, 증류 원액을 오크 캐스크에 넣기 전 희석해서 알콜을 낮춘 다음 캐스크에서 숙성을 진행한다 글렌피딕 싱글 몰트 15년 숙성 Glenfiddich Single Ma

[화이트] 마스카 델 타코 루 에따 피아노 2020 Masca del Tacco L'Uetta Fiano 2020 이탈리아 풀리아 피아노 품종 화이트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2년 5월 22일 이탈리아, 뿔리아에서 피아노 품종으로 만든 화이트와인으로 마스카 델 타코라는 와이너리에서 손으로 수확한 포도를 저온에서 분쇄하고 부드럽게 압착하여 발효 후 스테인리스 스틸 탱크에서 숙성하며 리 숙성(Sur Lie, Lees Contact), 효모앙금숙성도 같이 진행한다 숙성기한은 기재되어 있지 않다 와인 오픈 전 앞부분 사진 와인 오픈 전 뒷부분 사진, 와이너리의 레이블과 수입사에서 붙힌 레이블 마스카 델 타코 루 에따 피아노 2020 Masca del Tacco L'Uetta Fiano 2020 종류: 화이트와인 빈티지: 2020 생산국: 이탈리아 (Italy) 생산지: 뿔리아 (Puglia) 생산자: 마스카 델 타코 (Masca del Tacco) 품종: 피아노(Fiano) 100% 당도: 1.8 / 산도: 3.6 / 타닌: 1 / 바디: 3.5 알콜: 13% 시음온도: 8~11도 용량: 750ml 가격대: 3만원대 수입사: 비케이 트레이딩 판매처:

[레드] 러스트 엔 브레데 에스테이트 빈야드 시라 2018 Rust En Vrede Estate Vineyards Syrah 2018 남아공 쉬라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2년 5월 27일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남쪽 코스탈 리젼에서도 스텔렌보쉬라는 생산지에서 만드는 시라 품종 와인. 남반구라 3월 초에서 중반에 손으로 수확한 포도를 일부는 줄기제거(Destemmed), 나머지는 홀클러스터(Whole Cluster)로 줄기와 같이 지속적인 펌핑오버와 함께 침용은 14~21일 동안 진행, 젖산발효(Malolactic Fermentation)를 하고 알콜발효 후 500L 프렌치 오크에서 18개월 숙성, 이중 새오크 비중은 20%며 오크의 굽기는 미디엄이다 와인 오픈 전 앞부분 사진 와인 오픈 전 옆부분 사진, 수입사에서 붙힌 레이블 와인 오픈 전 뒷부분 사진 러스트 엔 브레데 에스테이트 빈야드 시라 2018 Rust En Vrede Estate Vineyards Syrah 2018 종류: 레드와인 빈티지: 2018 생산국: 남아프리카 공화국 (the Republic of South Africa) 생산지: 코스탈 리젼 (Coastal Region)

[화이트] 스텔라 벨라 샤도네이 2018 Stella Bella Chardonnay 2018 호주 마가렛 리버 샤르도네 화이트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2년 6월 1일 호주, 웨스턴 오스트레일리아 에서 마가렛 리버의 샤르도네 품종으로 만든 와인으로 호주 샤르도네하면 생각하게 되는 따뜻한 기후의 오크를 듬뿍 쓴 캐릭터가 아닌 신선한 샤르도네를 잘 표현하기 위해 손으로 수확한 포도를 프렌치 오크 바리크에서 저온으로 야생효모를 통해 발효를 진행하고 이후 프랑스산 오크 바리크에서 10개월동안 숙성, 새오크 비율은 38%이다 와인 오픈 전 앞부분 사진 와인 오픈 전 옆부분 사진, 수입사에서 붙힌 레이블 와인 오픈 전 뒷부분 사진, 와인에 대한 소개와 간단한 양조노트도 기재되어 있다 스텔라 벨라 샤도네이 2018 Stella Bella Chardonnay 2018 종류: 화이트와인 빈티지: 2018 생산국: 호주 (Australia) 생산지: 웨스턴 오스트레일리아 (Western Australia) -> 마가렛 리버 (Margaret River) 생산자: 스텔라 벨라 (Stella Bella) 품종: 샤르도네(Chardonnay)

[레드] 몽메상 물랭 아 방 2015 Mommessin Moulin A Vent 2015 프랑스 부르고뉴 보졸레 가메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2년 6월 4일 프랑스 부르고뉴, 보졸레의 물랭-아-방 이라는 10크뤼중 가메 품종으로 가장 진하고 묵직한 레드와인을 만드는 크뤼 생산지로 평균 수령 50년 이상의 포도나무에서 2015년 9월에 손으로 수확한 포도를 줄기를 모두 제거하고 (De Stemmed), 으깨지 않고 통에 넣어 중력에 의해 세미 탄산침용(Semi Carbonic Maceration)이 일어나도록 하고 이후 펀칭과 오버 펌핑, 랙킹등을 통해 껍질에서 타닌과 색이 우러나오도록 하며 발효를 하고 2~3년 사용한 헌 프렌치 오크 배럴에서 18개월 숙성시키고 여과 후 2018년 3월에 병입하고 출시한다 와인 오픈 전 앞부분 사진 와인 오픈 전 옆부분 사진, 수입사에서 붙힌 레이블 와인 오픈 전 뒷부분 사진, 와인 양조에 대한 글이 자세히 쓰여져 있다 몽메상 물랭 아 방 2015 Mommessin Moulin A Vent 2015 종류: 레드와인 빈티지: 2015 생산국: 프랑스 (France) 생산지: 부

[레드] 트라피체 이스까이 시라 비오니에 2017 Trapiche Iscay Syrah Viognier 2017 아르헨티나 멘도자 쉬라 비오니에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2년 6월 5일 아르헨티나의 멘도사에서 로스 아르볼레스 와 우코 밸리에서 수확한 시라/쉬라즈 97%, 비오니에 3%를 필드 블렌딩하여 스테인리스 스틸탱크에서 침용 및 발효를 거치고 100% 새 프렌치 오크 배럴에서 15개월간 숙성을 하며 이후 병입되어 병숙성을 또 12개월 추가로 진행하고 출시한다, 보통 프랑스 북부 론(Northen Rhone) 중 꼬뜨 로띠(Cote-Rotie)라는 생산지의 시라로 만든 레드와인에 필드 블렌딩으로 비오니에가 소량 들어가는데 이게 와인의 풍미를 더 다양하게 하고 파워풀하게 만드는 효과를 가져오며 비오니에 품종 특유의 은은한 꽃향기와 섬세한 과실향이 추가적으로 느껴지는게 쉬라와 비오니에 블렌딩 와인의 매력이다 와인 오픈 전 앞부분 사진 와인 오픈 전 뒷부분 사진, 수입사에서 붙힌 레이블 트라피체 이스까이 시라 비오니에 2017 Trapiche Iscay Syrah Viognier 2017 종류: 레드와인 빈티지: 2017 생산국: 아르헨티

[맥주] 에델바이스 스노우프레쉬 Edelweiss Snowfresh 오스트리아 밀맥주 위트 비어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2년 6월 26일 오스트리아에서 생산되는 밀맥주(Wheat Beer)로 편의점이나 마트에 캔맥주가 정식적으로 들어오기전까지 비어마트(Beer Mart) 같은 한때 유행했던 Beer Bar나 바틀샵이 아니었으면 보기 힘든 맥주였으며 스타일은 벨지안 위트비어(Belgian Wheat Beer)에 속해 홉과 허브, 효모를 통해 추가적으로 향이 좀 더 풍성하다, 추가적으로 들어간 첨가물로는 마운틴 허브와 엘더플라워, 민트등이 대표적이다, 2018년부터 공식 수입되어 여러 편의점에서 보이고 있다 오픈 전 앞부분 사진 오픈 전 뒷부분 사진 에델바이스 스노우프레쉬 Edelweiss Snowfresh 생산국: 오스트리아(Austria) 원재료: 정제수, 밀맥아, 보리맥아, 사과추출물, 천연향료(허브향, 시트러스향), 홉스, 효모 스타일: 에일(Ale) - 밀맥주(Wheat Beer, Weiss Bier) - 벨지안 위트 비어(Belgian Wheat Beer) 탄산: 3.6 / 바디:

[맥주] 기네스 드래프트 Guinness Draught 아일랜드 스타우트 Stout 흑 맥주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2년 6월 26일 아일랜드(Ireland)의 대표 스타우트 맥주이자 전세계적으로도 기네스북으로 유명한 브랜드의 가장 접하기 쉬운 버전으로 다른 버전은 Original과 Extra Stout, 그리고 다양한 버전이 있으며 각 버전별로 맛과 알콜등 완전 다른 맥주처럼 상이하다, 스타우트라고 하기엔 약간 호불호가 갈리며 보통 스타우트에 입문하는 이들에게 많이 추천되는 버전의 맥주이다, 흑맥주라고 보통 부르는 맥주들도 다 스타일이 있으며 보리를 볶는 정도에 따라 맥주의 색이 달라지는데 여기서 검게 볶은 보리를 조금만 추가해도 맥주의 색은 검게 되며 스타우트는 검게 볶은 보리를 주로 만든 맥주를 뜻하고 또 Porter랑 스타일이 비슷하기도 하다, 참!! 캔맥주내에 달그락 달그락 거리며 들어있는 물체는 위젯이라고 불리는 풍부한 거품을 만들어주는 역활을 하는 물체로 인체에 무해하다 앞부분 사진 옆부분 사진 뒷부분 사진 기네스 드래프트 Guinness Draugh 생산국: 아일랜드(I

[화이트] 월터 핸젤 메도우 샤도네이 2018 Walter Hansel Meadows Chardonnay 2018 미국 캘리포니아 러시안 리버 밸리 샤르도네 화이트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2년 6월 11일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소노마 카운티 그 중에서도 러시안 리버 밸리 의 샤르도네 100%로 만든 와인으로 드라이 파밍(Dry Farming)으로 재배하고 손으로 수확한 포도를 스테인리스 스틸탱크에서 발효와 함께 젖산발효(Malolactic Fermatation) 진행, 이후 100% 새 프렌치 오크에서 10개월 숙성을 하고 병입 후 출시한다 와인 오픈 전 앞부분 사진 와인 오픈 전 옆부분 사진, 수입사에서 붙힌 레이블 와인 오픈 전 뒷부분 사진, 와이너리의 레이블 월터 핸젤 메도우 샤도네이 2018 Walter Hansel Meadows Chardonnay 2018 종류: 화이트와인 빈티지: 2018 생산국: 미국 (USA) 생산지: 캘리포니아 (California) -> 소노마 카운티(Sonoma County) -> 러시안 리버 밸리 (Russian River Valley) 생산자: 월터 핸젤 와이너리 (Walter Hansel Winery) 품종: 샤르

[위스키] 메이커스 마크 Maker's Mark 미국 아메리칸 캔터키 버번 위스키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2년 6월 11일 미국 캔터키, 로레토(Loretto)의 아메리칸 위스키이자 버번으로 옥수수를 중심으로 밀과 보리를 발효하고 과감하게 호밀을 뺐다, 이후 증류 된 원액을 희석 후 강하게 구운(불에 태운) 새 오크 캐스크에서 6년 숙성하고 출시한다, 현재 일본 산토리의 산하에 있다 오픈 전 앞부분 사진 오픈 전 옆부분 사진, 증류소의 소개글 오픈 전 반대편 옆부분 사진, 위스키의 소개 노트 오픈 전 뒷부분 사진, 수입사에서 붙힌 레이블 메이커스 마크 켄터키 스트래이트 버번 위스키 Maker's Mark Kentucky Straight Bourbon Whisky 종류: 아메리칸 위스키 - 버번 위스키 숙성연수: 15년 생산국: 미국 (U.S.A) 생산지: 캔터키 (Kentucky) -> 로레토 (Loretto) 생산자: 산토리(Suntory) - 메이커스 마크 (Maker's Mark) 재료: 옥수수, 밀, 맥아 당도: 4 / 집중도: 캐스크 숙성(버번) / 알콜: 4.5

[레드] 스테판 아비홍 비에이 비뉴 플뢰리 2016 Stephane Aviron Vieilles Vignes Fleurie 2016 프랑스 보졸레 플레리 가메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2년 6월 18일 "보졸레 크뤼 와인은 보졸레 누보와 다른 레드와인입니다" 프랑스 부르고뉴내에서도 남쪽 보졸레 지역의 플뢰리 라는 보졸레 10크뤼중 가장 라이트 한, 생 따무르 다음으로 가볍고 아로마가 풍부하며 섬세하게 만드는 크뤼로 유명하다, 이 와이너리에서 만드는 플레리 와인은 50~90년된 수령의 나무에서 손으로 수확한 포도를 송이째 스테인리스 스틸탱드에서 침용과 발효 를 7일에 걸쳐 진행하고 크기가 크고 새오크가 아닌 재사용의 헌 오크 푸드르(Foudre)에서 12개월 숙성 후 병입되어 출시된다 출저 와인폴리 기준 보졸레 10크뤼 표, 플뢰리는 두번째로 라이트한 스타일에 속한다 와인 오픈 전 앞부분 사진 와인 오픈 전 뒷부분 사진, 와이너리의 백 레이블과 수입사에서 붙힌 레이블 스테판 아비홍 도멘 드 라 마드리에르 비에이 비뉴 플뢰리 2016 Stephane Aviron Domaine de la Madriere Vieilles Vignes Fleurie 2016

[레드] 운두가가 T.H.(떼루아 헌터) 시라 2018 Undurraga T.H.(Terroir Hunter) Syrah 2018 칠레 쉬라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2년 6월 19일 칠레(Chile) 마울레 밸리 (Maule Valley)에서 선별한 쉬라로 만든 레드와인으로 떼루아 헌터라는 와인 이름 답게 빈티지별 생산 지역이 조금씩 달라진다, 수확한 포도를 마이포밸리의 양조장에서 발효하고 10개월동안 프렌치 오크에서 숙성 후 출시한다 (양조 노트가 상세하지 않다) 와인 오픈 전 앞부분 사진 와인 오픈전 뒷부분(?) 사진, 수입사에서 붙힌 레이블 운두가가 T.H. (떼루아 헌터) 시라 2018 Undurraga T.H. (Terroir Hunter) Syrah 2018 종류: 레드와인 빈티지: 2018 생산국: 칠레(Chile) 생산지: 마울레 밸리 (Maule Valley) 생산자: 운두라가 (Undurraga) 품종: 시라/쉬라즈(Syrah/Shiraz) 100% 당도: 2 / 산도: 3 / 타닌: 3.6 / 바디: 4.1 알콜: 14% 시음온도: 16~18도 용량: 750ml 가격대: 2만원대 수입사: 신세계L&B 판매처: 와

[화이트] 스프링필드 와일드 이스트 샤도네이 2019 Springfield, Wild Yeast Chardonnay 2019 남아공 샤르도네 화이트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2년 6월 25일 남아공, 브리드 리버 밸리라는 지역의 로버트슨이라는 생산지에서 만든 샤르도네 와인으로 16~21년 정도의 수령이 비교적 젊은 나무에서 밤에 수확을 실시하고 시멘트 탱크에서 토종 야생 효모로만 발효를 진행하며 100% 젖산발효(Malolactic Fermatation)도 진행한다, 이후 시멘트 탱크(콘크리트 탱크), 10개월 숙성하면서 리 숙성, 효모앙금숙성(Sur Lie , Lees Contact)도 진행하며 정제와 여과를 거치고 병입한다 와인 오픈 전 앞부분 사진 와인 오픈 전 옆부분 사진, 수입사에서 붙힌 레이블 와인 오픈 전 뒷부분 사진, 간단한 양조노트가 기재되어 있다 스프링필드 에스테이트 와일드 이스트 샤도네이 2019 Springfield Estate Wild Yeast Chardonnay 2019 종류: 화이트와인 빈티지: 2019 생산국: 남아프리카 공화국 (the Republic of South Africa) 생산지: 브리드 리버 밸리

[레드] 레 베르트랑 생 따무르 레 방벵 2019 Les Bertrand Saint Amour Les Bambins 2019 프랑스 보졸레 세인트 아모르 가메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2년 7월 2일 "보졸레 크뤼 와인은 보졸레 누보와 다른 레드와인입니다" 프랑스 부르고뉴 남쪽 보졸레 지역에서도 10크뤼라고 불리를 가메 품종 레드 와인 고급 산지 중 이번엔 생 따무르라는 크뤼의 내추럴 와인이다, 생 아모르는 보졸레 10크뤼중 제일 가볍고 하늘하늘한 스타일로 유명하다, 떼루아는 독특하게 청석으로 이루어지고 거기에 사암과 운모편암이 섞여 독특함을 부여하고 평균 수령 20년 된 나무에서 손 수확한 포도를 15일 정도 저온에서 세미 탄산침용(Semi Carbonic Maceration)을 거쳐 토착효모로 발효하고 최소 6가지의 레드와인을 숙성했던 재사용 헌 프렌치 오크 배럴에서 7~8개월 숙성을 하고 중력에 의해 부유물을 가라앉게 하고 여과 없이 병입한다 [보졸레 10크뤼] 출저 와인폴리 기준 보졸레 10크뤼 표, 제일 라이트 한 크뤼로 분류되어 있다 와인 오픈 전 앞부분 사진 와인 오픈 전 뒷부분 사진, 수입사 레이블도 같이 붙어있고 와이너리 레이블에 외계

[오렌지] 드부베르땡 앙쥬 우 오랑쥬 2019 Deboutbertin Ange ou Orange 2019 프랑스 루아르 슈냉 블랑 내추럴 오렌지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2년 7월 3일 "오렌지 와인은 오렌지로 만들지 않고 순수 청포도로만 만듭니다" 프랑스 루아르의 앙주 라는 유명한 생산지에서 슈냉 블랑으로 만든 오렌지 내추럴와인으로 트랙터 대신 말을 이용해 밭을 관리하고 7개의 포도원에서 평균 수령 45년의 나무의 포도를 엄선하여 손으로 수확하고 껍질 채 발효를 하고 토착효모를 쓴다, 오래된 오크 바리크에서 12개월 숙성하며 효모앙금숙성, 즉 리 숙성(Sur Lie, Lees Contact)도 같이 진행한다, 중력을 이용해 찌꺼기와 분리하며 여과없이 병입한다 와인 오픈 전 앞부분 사진 와인 오픈 전 옆부분 사진 레이블 옆에 조그맣게 빈티지 표기 와인 오픈 전 뒷부분 사진, 수입사에서 붙힌 레이블 드부베르땡 앙쥬 우 오랑쥬 2019 Deboutbertin Ange ou Orange 2019 종류: 오렌지와인 (앰버와인) 빈티지: 2019 생산국: 프랑스 (France) 생산지: 루아르 (Loire) -> 앙주 (Anjou) 생산자: 드부

[레드] 케이 빈트너스 밀브랜트(밀브란트) 시라 2018 K Vintners Milbrandt Syrah 2018 미국 워싱턴 주 콜럼비아 밸리 쉬라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2년 7월 10일 미국 워싱턴주, 콜롬비아 밸리에서도 왈루크 슬로프 라는 생산지에서 쉬라 품종으로 만든 레드와인으로 밀브란트 쉬라는 거의 엔트리급에 가깝지만 이 와이너리의 시라를 잘 표현하기에 인기가 많은편이며 워싱턴주는 프랑스 북부 론과 비슷한 시라/쉬라즈, 비오니에로 만든 와인으로도 유명하다, 클리프톤 빈야드(Clifton Vineyard) 51%, 노스릿지 빈야드(Northridge Vineyard) 49%의 두 포도원에서 수확한 포도를 줄기까지 같이 파쇄(Whole Cluster)하고 같이 발효, 토착 효모로 42일을 침용과 발효 후 프렌치 오크에서 27%는 새 오크, 나머지는 재사용 헌 오크 비율로 18개월 숙성하며 리 숙성, 효모숙성(Sur Lie, Lees Contact)도 같이 진행한다 와인 오픈 전 앞부분 사진 와인 오픈 전 뒷부분 사진, 알콜이 앞 레이블 옆면에 조그맣게 기재되어있어 못찍었다 케이 빈트너스 밀브랜트(밀브란트) 시라 2018 K Vintn

[화이트] 까테나 자파타 까테나 알타 샤도네이 2019 Catena Zapata Catena Alta Chardonnay 2019 아르헨티나 샤르도네 화이트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2년 7월 16일 아르헨티나에서 국제 품종 샤르도네로 만든 화이트와인으로 멘도자에서도 아드리아나(Adrianna)라는 포도원과 도밍고(Domingo)라는 포도원에서 선별하여 수확한 포도를 송이째 압착(Whole Cluster)하고 500L의 프렌치 오크 배럴에서 야생 효모로 저온에서 발효를 진행하며 70%는 젖산발효(MLF)를 하며 나머지는 미진행, 이후 1~3번 정도 사용했던 재사용 혹은 헌 프렌치 오크에서 14개월 숙성한다 와인 오픈 전 앞부분 사진 와인 오픈 전 옆부분 사진, 수입사에서 붙힌 레이블 와인 오픈 전 뒷부분 사진, 와인에 대한 소개 까테나 자파타 까테나 알타 샤도네이 2019 Catena Zapata Catena Alta Chardonnay 2019 종류: 화이트와인 빈티지: 2019 생산국: 아르헨티나 (Argentina) 생산지: 멘도사 (Mendoza) 생산자: 까테나 자파타 (Catena Zapata) 품종: 샤르도네(Chardonnay) 100

[맥주] 3 분수 오드 괴즈, (3 폰테이넌), 3 Fonteinen Oude Gueze 벨기에 람빅 Lambic 우드 괴즈 [내부링크]

시음일 2022년 7월 24일 벨기에 람빅이라는 생산지에서 만들어지는 사우어 에일로 일반적으로 다른 과일을 넣어 그 과실향을 풍부하게 느끼게 하는 스타일이 있다면 근본이라고 볼 수 있는 스타일이 있으니 바로 괴즈(Gueze) 되시겠다, 맥아를 적절한 홉과 같이 끓여 이후 온도를 급속도로 낮춘 뒤 자연효모와 같이 딸려 들어온 박테리아를 이용해 발효가 자연스레 일어나도록 하고 이후 효모와 같이 병입하여 와인으로 보면 내추럴 와인과 샴페인과 비슷한 스타일로 특히 내추럴 와인과 비슷한 브렛이라는 풍미가 지배적인 맥주가 바로 최초 맥주의 근본이라는 바로 이 사우어 에일이다, 3분수의 기본급인 괴즈는 화이트 와인을 숙성했던 오크에서 숙성하고 병입 후 출시된다 오픈 전 앞부분 사진 오픈 전 뒷부분 사진, 맥주에 대한 간력한 소개 3 분수 오드 괴즈, (3 폰테이넌) 3 Fonteinen Oude Gueze 생산국: 벨기에 (Belgium) 원재료: 정제수, 보리맥아, 밀, 홉 스타일: 에일(Al

[와인글라스] 르 베르 레끌라 샴페인 Le Verre l'Eclat Champagne 스파클링 플루트 Flute 글라스 무게 및 와인잔 비교 추천 사용 리뷰 [내부링크]

구매일 2022년 7월 15일 특징: 시원시원하게 긴 스템과 샴페인 플루트 잔을 닮았지만 하이브리드 한 디자인으로 버블 감상, 심미적 효과와 집향도 어느정도 동시에 가능하게 한다, 잔 내부 바닥이 오목하게 펀트처럼 튀어 나온게 또 긴 스템이 유명한 와인 글라스 브랜드인 지허(Zieher)와 비슷하다 다만 이 와인잔은 좀 더 날씬하고 길쭉하게 생겼다 르 베르 레끌라 샴페인 르 베르 레끌라 샴페인 Le Verre l'Eclat Champagne 정면에서 찍은 사진 특유의 펀트 부분을 찍은 사진 스펙 국가: 프랑스 소재: 크리스탈 공정: 핸드메이드 높이: 28cm 용량: 280ml 무게: 87.8g (직접 측정한 무게, 핸드메이드라 조금씩 편차가 있음) 사용기 르베르 레끌라 혹은 르베르 샴페인이라고 부른다, 필자도 지허라는 브랜드와 디자인이 비슷하고 좀 더 가격대가 합리적인 와인잔을 몇번 본적이 있는데 이렇게 색다르게 좀 더 플루트 와인잔처럼 생긴 이 와인잔은 집 근처 와인바에서

[레드] 미켈레 끼아를로 바롤로 체레퀴오 2013 Michele Chiarlo Barolo Cerequio 2013 이태리 피에몬테 네비올로 바롤로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2년 7월 17일 이탈리아 북부, 피에몬테에서 바롤로라는 지역, 라 모라 의 체레퀴오 (Cerequio)라는 크뤼 빈야드(Cru Vineyard)의 네비올로(Nebbiolo)로 만들며 손으로 수확한 포도를 55ml의 작은 오크통에서 20일 동안 발효 및 젖산발효(MLF, Malolactic Fermentation)를 진행하고 이후 중간 크기의 오크통에서 2년을 포함하여 총 3년을 숙성 후 병입해서 추가 숙성을 거치고 출시된다 와인 오픈 전 앞부분 사진 와인 오픈 전 뒷부분 사진, 수입사에서 붙힌 레이블 미켈레 끼아를로 바롤로 체레퀴오 2013 Michele Chiarlo Barolo Cerequio 2013 종류: 레드와인 빈티지: 2013 생산국: 이탈리아 (Italy) 생산지: 피에몬테 (Piemonte) -> 바롤로 (Barolo) -> 라 모라 (La Morra) 생산자: 미켈레 끼아를로 (Michele Chiarlo) 품종: 네비올로(Nebbiolo) 100%

[스파클링] 몬테스 스파클링 앤젤 브뤼 NV Montes Sparkling Angel Brut NV 칠레 샴페인 스파클링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2년 7월 23일 칠레, 아콩카구아 지역의 자파야 라는 생산지에서 만드는 샴페인과 똑같은 방식의 스파클링와인으로 '몬테스 스파클링 엔젤 브뤼'인데 인터넷 정보에 한글이 잘못기재된듯.. 피노누아 70%, 샤르도네 30% 비율로 블렌딩 되었으며 병 숙성을 36개월동안 진행하고 효모 제거 작업 후 잔당과 와인을 추가하여 마감 후 안정화를 거쳐 출시, 도사쥬는 1g/L로 잔당이 Brut치고 매우 적다 와인 오픈 전 앞부분 사진 와인 오픈 전 뒷부분 사진, 수입사에서 붙힌 레이블 몬테스 스파클링 앤젤 브뤼 NV Montes Sparkling Angel Brut NV 종류: 스파클링와인 빈티지: NV (Non Vintage) 생산국: 칠레 (Chile) 생산지: 아콩카구아 (Aconcagua) -> 자파야 (Zapallar) 생산자: 몬테스 (Montes) 품종: 피노누아(Pinot Noir) 70%, 샤르도네(Chardonnay) 30% 당도: 1.9 / 산도: 3.9 / 타닌:

[레드] 산 페드로 1865 셀렉티드 빈야드 메를로 2019 San Pedro 1865 Selected Vineyard Merlot 2019 칠레 메를로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2년 7월 24일 칠레의 메를로 품종 레드와인으로 산 페드로라는 대형 와이너리에서 생산되며 1865라는 이름은 와이너리의 설립연도를 뜻하지만 또 골프용어인 18홀 65타라는 별칭도 가지고 있다, 마이포밸리에서 와인 이름에 걸맞게 선별한 포도원에서 수확한 포도로 스테인리스 스틸탱크에서 발효를 진행하고 이후 300리터 프렌치 오크 배럴중 새 오크 비중은 20%이고 나머지는 재사용 헌 오크 배럴에서 젖산발효(MLF, Malolactic Fermentation)와 12개월동안 오크 숙성을 진행한다 와인 오픈 전 앞부분 사진 와인 오픈 전 뒷부분 사진, 수입사에서 붙힌 레이블 산 페드로 1865 셀렉티드 빈야드 메를로 2019 San Pedro 1865 Selected Vineyard Merlot 2019 종류: 레드와인 빈티지: 2019 생산국: 칠레 (Chile) 생산지: 마이포밸리 (Maipo Valley) 생산자: 산 페드로 (San Pedro) 품종: 메를로(Merlot

[화이트] 코노 수르 20 배럴 샤도네이 2019 Cono Sur 20 Barrels Chardonnay 2019 칠레 샤르도네 화이트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2년 7월 26일 칠레, 아콩카구아 지역의 카사블랑카 밸리 라는 생산지에서 샤르도네로 만든 화이트 와인으로 코노수르 내에서도 나름 고급 라인업에 속한다 손으로 수확한 포도를 발효를 거치고 70%이상은 새 프렌치 오크 배럴에서, 나머지 30%이하는 콘크리트 탱크(달걀모양)에서 8개월을 숙성하며 매 빈티지별로 숙성 비율이 다소 달라진다 와인 오픈 전 앞부분 사진 와인 오픈 전 뒷부분 사진 코노 수르 20 배럴 리미티드 에디션 샤도네이 2019 Cono Sur 20 Barrels Limited Edition Chardonnay 2019 종류: 화이트와인 빈티지: 2019 생산국: 칠레 (Chile) 생산지: 아콩카구아 (Aconcagua) -> 카사블랑카 밸리 (Casablanca Valley) 생산자: 코노 수르 (Cono Sur) 품종: 샤르도네(Chardonnay) 100% 당도: 1.8 / 산도: 3.6 / 타닌: 1 / 바디: 3.9 알콜: 13.5% 시음온도: 9~

[화이트] 배비치 블랙 라벨 말보로 소비뇽 블랑 2021 Babich Black Label Malborough Sauvignon Blanc 2021 뉴질랜드 쇼블 화이트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2년 7월 26일 뉴질랜드, 사우스 아일랜드의 말보로 지역 소비뇽 블랑 와인으로 아랫 등급에 비해 좀 더 잘 익은 포도만 놔두고 기계로 수확하며 그에 따라 넓은 포도원에서 다양한 날짜에 걸쳐 수확한다, 수확한 포도는 줄기를 제거하고(De Stemmed) 스테인리스 스틸 탱크에서 발효 및 숙성까지 진행하며 그 중 8%는 젖산발효, 즉 유산발효(말로락틱, MLF)를 진행한다, 숙성 개월은 미표기 와인 오픈 전 앞부분 사진 와인 오픈 전 뒷부분 사진 배비치 블랙 라벨 말보로 소비뇽 블랑 2021 Babich Black Label Malborough Sauvignon Blanc 2021 종류: 화이트와인 빈티지: 2021 생산국: 뉴질랜드 (New Zealand) 생산지: 사우스 아일랜드 (South Island) -> 말보로 (Marlborough) 생산자: 배비치 (Babich) 품종: 소비뇽 블랑(Sauvignon Blanc) 100% 당도: 1.6 / 산도: 4 / 타닌

[레드] 도멘 마르셀 주베르 모르공 꼬뜨 뒤 피 2019 Domaine Marcel Joubert Morgon Cote de Py 2019 프랑스 보졸레 가메이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2년 7월 27일 "보졸레 크뤼 와인은 보졸레 누보와 다른 레드와인입니다" 프랑스 부르고뉴 남쪽 보졸레에서도 물랭아방 다음으로 파워풀한 크뤼로 유명한 모르공 생산지에서 가메이 품종으로 만든 내추럴 레드와인으로 수확한 포도를 일부는 탄산침용과 세미 탄산침용을 하고 일부는 15일에 걸쳐 직접 침용을 하며 토착효모로 발효를 진행하며 압착 후 각 20, 40, 60 헥토리터의 오크 푸드르에서 6개월 숙성 후 228리터의 1~5년 정도 숙성에 쓰인 재사용 헌 오크 배럴에서 추가 숙성을 거치고 정제와 여과없이 병입한다 [보졸레 10크뤼] 출저 와인폴리 기준 보졸레 10크뤼 표, 물랭아방 다음으로 볼드한 크뤼로 분류되어 있다 와인 오픈 전 앞부분 사진 와인 오픈 전 뒷부분 사진 도멘 마르셀 주베르 모르공 꼬뜨 뒤 피 2019 Domaine Marcel Joubert Morgon Cote de Py 2019 종류: 레드와인 빈티지: 2019 생산국: 프랑스 (France) 생산지: 부

[로제] Camparo Qui e Ora Rose 2019 깜빠로 퀴 에 오라 로제 2019 이탈리아 피에몬테 네비올로 로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2년 7월 31일 이탈리아 북부 피에몬테에서 네비올로 품종으로 만든 내추럴 로제 와인으로 수확한 포도를 송이 째 파쇄(Whole Cluster)하여 침용을 짧게 거치며 야생 효모를 이용해 발효를 진행하고 스테인리스 스틸 탱크에서 숙성 후 출시한다 깜빠로 퀴 에 오라 로제 2019 Camparo Qui e Ora Rose 2019 종류: 로제와인 빈티지: 2019 생산국: 이탈리아 (Italy) 생산지: 피에몬테 (Piemonte) 생산자: 깜빠로 (Camparo) 품종: 네비올로(Nebbiolo) 100% 당도: 1.3 / 산도: 4.2 / 타닌: 2.7 / 바디: 3 알콜: 13% 시음온도: 9~12도 용량: 750ml 가격대: 4만원대 수입사: 모멘텀와인컴퍼니 구매처: 베럴댄보틀샵 - 테이스팅 노트 와인 글라스: 가브리엘 글라스 골드 에디션 (Gabriel Glas Gold Edition) 이탈리아 대표 품종 중 하나인 네비올로로 만든 로제가 궁금해서 수소문하여 구하

[레드]알레한드로 페르난데즈 뻬스께라 레세르바 2016 Alejandro Fernandez Pesquera Reserva 2016 스페인 템프라니요 리제르바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2년 8월 6일 스페인에서 카스티야 & 레온 지역의 리베라 델 두에로 라는 생산지는 일반적으로 리오하 지역에 비해 기후가 좀 더 따뜻하여 같은 템프라니요 품종도 좀 더 진한 풍미를 가지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이 지역의 잘 만든 와인은 가격대가 리오하보다 좀 더 고가로 출시된다, 평균 수령 20~40년된 나무에서 수확한 포도를 줄기는 제거하고(De Stemmed) 스테인리스 스틸 탱크에서 천연효모로 발효를 진행 후 225리터 미국산 오크 배럴에서 24개월 숙성, 이후 병입 후 병에서 12개월 더 숙성 후 출시한다 와인 오픈 전 앞부분 사진 와인 오픈 전 뒷부분 사진 알레한드로 페르난데즈 뻬스께라 레세르바 2016 Alejandro Fernandez Pesquera Reserva 2016 종류: 레드와인 빈티지: 2016 생산국: 스페인 (Spain) 생산지: 카스티야 & 레온 (Castilla y Leon) -> 리베라 델 두에로 (Ribera del Duero) 생산자:

[화이트] 이그나시오 마린 디비니스 마카베오 NV Ignacio Marin Divinis Macabeo NV 스페인 까리네나 지역 마카베오 화이트 와인 [내부링크]

시음일 2022년 8월 7일 스페인, 아라곤에서도 까리레나 라는 생산지의 마카베오라는 품종으로 만든 화이트와인으로 이 품종은 스페인의 스파클링 와인, 까바(Cava)에 들어가는 주요 품종 중 하나로 유명하다, 공식 홈페이지에도, 해외 판매처에도 양조노트가 없다, 가볍게 만든 스타일이라 아무래도 스테인리스 스틸탱크에서 발효 및 숙성을 거치고 다른해의 리저브 와인과 섞어서 균일한 품질로 출시가 되는듯 와인 오픈 전 앞부분 사진 와인 오픈 전 뒷부분 사진 이그나시오 마린 디비니스 마카베오 NV Ignacio Marin Divinis Macabeo NV 종류: 화이트와인 빈티지: NV (Non Vintage) 생산국: 스페인 (Spain) 생산지: 아라곤 (Aragon) -> 까리레나 (Carinena) 생산자: 이그나시오 마린 (Ignacio Marin) 품종: 마카베오(Macabeo) 100% 당도: 1.5 / 산도: 3.7 / 타닌: 1 / 바디: 2.7 알콜: 12.5% 시음온도:

[위스키] 캐나디언 클럽 1858 Canadian Club 1858 캐나다 가성비 캐나디안 위스키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2년 8월 7일 캐나다 위스키로 최초는 미국 디트로이트(Detroit)에 하이렘 워커 (Hiram Walker)가 증류소를 설립하며 시작되고 큰 인기를 누리다 미국의 금주법 시행으로 캐나다로 이전하게 된다, 주재료는 옥수수와 호밀로 증류된 원액을 희석 후 아메리칸 오크에서 6년 숙성한다, 역시 캐나디언 위스키는 아메리칸 위스키, 스카치 위스키, 아이리시 위스키(아일랜드), 재패니즈 위스키와 함께 세계 5대 위스키로 꼽힌다 위스키 오픈 전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캐나디언 클럽 1858 Canadian Club 1858 종류: 캐나디안 위스키 - 블렌디드 위스키 숙성연수: 6년 생산국: 캐나다 (Canada) 생산지: 온타리오 (Ontario) -> 윈저 (Windsor) -> 워커빌 증류소 (WalkerVille Distillery) 생산자: 하이램 워커 & 선즈 (Hiram Walker & Sons Ltd) 재료: 옥수수, 호밀 당도: 3.6 / 집중도: 곡물류 / 알콜:

[맥주] 칸티용 괴즈 Cantillon Gueuze 벨기에 람빅 Lambic 깐띠용 오드 우드 괴즈 [내부링크]

시음일 2022년 8월 27일 벨기에 람빅이라는 생산지에서 만들어지는 사우어 에일로 일반적으로 다른 과일을 넣어 그 과실향을 풍부하게 느끼게 하는 스타일이 있다면 근본이라고 볼 수 있는 스타일이 있으니 바로 괴즈(Gueze)다 지난 3분수, 혹은 3 폰테이넌 오드 괴즈가 괴즈 스타일이에서 좀 더 마시기 편한 스타일이라면 이거는 정 반대의 캐릭터를 표현한, 보리 65%에 밀 35%를 적절한 홉과 같이 끓여 이후 온도를 급속도로 낮춘 뒤 자연효모와 함께 섞인 박테리아를 이용해 발효가 자연스레 일어나도록 하고 이후 효모와 함께 와인에 사용된 오크 배럴에서 수년동안 숙성 후 병입하고 출시되며 보통 20년 넘게 숙성 잠재력이 있다 맥주 오픈 전 앞부분 사진 맥주 오픈 전 뒷부분 사진 칸티용 괴즈 Cantillon Gueuze 생산국: 벨기에 (Belgium) 원재료: 정제수, 보리맥아, 밀, 홉 스타일: 에일(Ale) - 사워 에일(Sour Ale) - 람빅(Lambic) 탄산: 1.7 /

[레드] 그리팔코 알리아니코 델 불투레 그리코스 2019 Grifalco Aglianico del Vulture Gricos 2019 이탈리아 알리아니꼬 가성비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2년 8월 14일 이탈리아, 바실리카타 에서 알리아니코 로 만드는 레드와인으로 이 품종은 남부의 네비올로 혹은 바롤로라는 별명이 있다, 수확한 포도를 10일동안 낮은 온도로 조절하며 침용, 토착효모를 사용하여 스테인리스 스틸탱크에서 발효, 50헥토리터의 오크 배럴과 프렌치 오크 바리크를 혼용하며 6개월 숙성, 이후 스테인리스 스틸탱크에서 6개월 더 숙성하고 5micron 여과지에 필터링 진행, 병입 후 4개월 추가 숙성을 진행한다 와인 오픈 전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그리팔코 알리아니코 델 불투레 그리코스 2019 Grifalco Aglianico del Vulture Gricos 2019 종류: 레드와인 빈티지: 2019 생산국: 이탈리아 (Italy) 생산지: 바실리카타 (Basilicata) 생산자: 그리팔코 (Grifalco) 품종: 알리아니코(Aglianico) 100% 당도: 1.2 / 산도: 3.8 / 타닌: 3.6 / 바디: 3.5 알콜: 13% 시음온도:

[스푸만테] 칸티 아스티 세코 뀌베 C.21 NV Canti Asti Secco Cuvve C.21 NV 이탈리아 모스카토 드라이 스파클링 와인 가성비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2년 8월 13일 이탈리아 북부 피에몬테의 아스티 지역 스파클링 와인으로 보통 달콤한 모스카토 다스티가 유명하지만 이 와인은 모스카토 품종으로 드라이한 스타일로 만든 스파클링와인으로 기압도 샴페인 못지 않게 강하다, 수확한 포도를 스테인리스 스틸 탱크에서 발효 후 리저브와인들과 함께 2차 발효를 메쏘드 샤르마(Methode Charmat) 방식으로 진행한다 와인 오픈 전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칸티 아스티 세코 뀌베 C.21 NV Canti Asti Secco Cuvve C.21 NV 종류: 스파클링와인 -> 스푸만테 빈티지: NV (Non Vintage) 생산국: 이탈리아 (Italy) 생산지: 피에몬테 (Piemonte) -> 아스티 (Asti) 생산자: 칸티 (Canti) 품종: 모스카토(Moscato) 100% 당도: 1.7 / 산도: 3.8 / 타닌: 1 / 바디: 2.6 도사쥬: 미기재 알콜: 11% 시음온도: 7~9도 용량: 750ml 가격대: 1만원대 수입사

[레드] 부켄하우츠클로프 포큐파인 릿지 시라 2020 Boekenhoutskloof Porcupine Ridge Syrah 2020 남아공 웨스턴 케이프 시라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2년 8월 17일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코스탈 리젼의 스와르트랜드 쉬라 품종으로 만든 레드와인으로 수확시기를 조절해 수확한 포도로 와인양조에 개입을 최소화하고 프렌치 오크 바리크에서만 발효와 숙성을 한다 오크 풍미보다 과실 뉘앙스를 중시한다는걸 보니 중고 오크를 사용하는듯(새오크 쓴다고 다 좋은건 아님, 양조기술의 하나일뿐) 와인 오픈 전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부켄하우츠클로프 포큐파인 릿지 시라 2020 Boekenhoutskloof Porcupine Ridge Syrah 2020 종류: 레드와인 빈티지: 2020 생산국: 남아프리카 공화국 (the Republic of South Africa) 생산지: 코스탈 리젼 (Coastal Region) -> 스와르트랜드 (Swartland) 생산자: 부켄하우츠클로프 (Boekenhoutskloof) 품종: 시라/쉬라즈(Syrah/Shiraz) 100% 당도: 1.7 / 산도: 3.8 / 타닌: 3.8 / 바디: 3.9 알콜:

[까바] 보히가스 리제르바 까바 브뤼 NV Bohigas Cava Brut Reserva NV 스페인 가성비 까바 스파클링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2년 8월 21일 스페인의 페네데스 지역에서 유명한 까바중 가성비 톱급으로 국내서 유명한 까바로 품종은 마카베오 30%, 빠레야다 20%, 자렐로 50%의 비율로 블렌딩되어 병내 탄산을 만들기 위한 2차 발효는 지하 양조실의 온도가 낮은곳에서 진행, 지하 숙성실에서 15개월 숙성 후, 효모 배출 작업과 도사주를 진행하며 6g/L의 당분을 더 추가한다 와인 오픈 전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보히가스 리제르바 까바 브뤼 NV Bohigas Cava Brut Reserva NV 종류: 스파클링와인 -> 까바 빈티지: NV (Non Vintage) 생산국: 스페인 (Spain) 생산지: 페네데스 (Penedes) 생산자: 보히가스 (Bohigas) 품종: 마카베오(Macabeo) 30%, 빠레야다(Parellada) 20%, 자렐로(Xarel.lo) 50% 당도: 1.8 / 산도: 3.7 / 타닌: 1 / 바디: 3.4 도사지: 6g/L (리터당 잔여당) 알콜: 12% 시음온도:

[레드] 데 리치 비노 노빌레 디 몬테풀치아노 리제르바 소랄도 2016 De' Ricci Vino Nobile Di Montepulciano Riserva Sorldo 2016 [내부링크]

시음일 2022년 8월 27일 이탈리아 토스카나의 몬테풀치아노 라는 유명한 생산 지역에서 생산되는 산지오베제(Sangiovese) 와인으로 끼안티나 브루넬로 디 몬탈치노(BDM)에 비해 비록 유명세가 낮지만 그로인해 가격대비 질 좋은 와인이 꽤 만들어지며 이 와인은 리제르바급으로 좋은 해의 싱글빈야드에서 소량 생산된다, 수확한 포도를 발효 후 프렌치 오크 토노(Tonneaux)에서 12개월 숙성, 그리고 다시 크기가 작은 프렌치 오크 배럴에서 18개월 숙성하고 이후 병에서 추가 숙성하고 출시된다 와인 오픈 전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데 리치 비노 노빌레 디 몬테풀치아노 리제르바 소랄도 2016 De' Ricci Vino Nobile Di Montepulciano Riserva Sorldo 2016 종류: 레드와인 빈티지: 2016 생산국: 이탈리아 (Italy) 생산지: 토스카나 (Toscana) -> 몬테풀치아노 (Montepulciano) 생산자: 데 리치 (De' Ricci) 품

[화이트] 라스 모라다스 알비요 레알 2019 Las Moradas Albillo Real 2019 스페인 마드리드 화이트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2년 9월 3일 스페인의 비노스 데 마드리드 라는 생산지에서 알비요 라는 품종으로 만든 화이트 와인으로 수확한 포도를 송이째 압착하고 토착효모로 3주에 걸쳐 발효를 하고 500리터 용량의 재사용 및 중고, 헌 오크 배럴에서 6개월 숙성하며 보름달에 바토나주(Batonages)를 진행, 와인중 30%는 아황산염 없이 만들며 젖산발효(MLF)를 거쳐 출시한다 와인 오픈 전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라스 모라다스 알비요 레알 2019 Las Moradas Albillo Real 2019 종류: 화이트와인 빈티지: 2019 생산국: 스페인 (Spain) 생산지: 비노스 데 마드리드 (Vinos de Madrid) 생산자: 라스 모라다스 데 산 마르틴 (Las Moradas de San Martin) 품종: 알비요(Albillo) 100% 당도: 1.5 / 산도: 3.6 / 타닌: 1 / 바디: 3.6 알콜: 13% 시음온도: 9~11도 용량: 750ml 가격대: 4만원대 수입사:

[레드] 도멘 드 바첼리 바첼리 루즈 2018 Domaine de Vaccelli Vaccelli Rouge 2018 프랑스 코르시카 샤카렐로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2년 9월 4일 프랑스 코르시카 섬의 아작시오 라는 생산지에서 샤카렐로 품종으로 만든 레드와인으로 시야카렐로 품종은 본래 이탈리아 토스카나에서 마몰로(Mammolo) 품종으로 근래는 코르시카섬의 대표품종으로 유명하다, 평균수령 15~50년의 나무에서 선별하여 손으로 수확한 포도로 스테인리스 스틸탱크에서 발효 후 스테인리스 스틸탱크와 시멘트 탱크에서 숙성을 진행한다 시멘트 혹은 콘크리트 탱크, CBC News에서 이미지 가져옴 와인 오픈 전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도멘 드 바첼리 바첼리 루즈 2018 Domaine de Vaccelli Vaccelli Rouge 2018 종류: 레드와인 빈티지: 2018 생산국: 프랑스 (France) 생산지: 코르시카 (Corsica) -> 아작시오 (Ajaccio) 생산자: 도멘 드 바첼리 (Domaine de Vaccelli) 품종: 샤카렐로(Sciaccarellu) 100% 당도: 1.8 / 산도: 3.9 / 타닌: 2.9 / 바디:

[화이트] 얄룸바 Y 시리즈 리슬링 2020 Yalumba Y Series Riesling 2020 호주 에덴 밸리, 바로사 밸리 리슬링 화이트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2년 9월 8일 호주의 사우스 오스트레일리아 지역 바로사 밸리와 에덴 밸리에서 각각 수확한 리슬링으로 만든 화이트 와인으로 스테인리스 스틸 탱크에서 발효와 숙성을 거치고 출시된다, 스타일은 프랑스 알자스의 리슬링 스타일을 담고있어 독일보다 잔당감이 낮고 더 상쾌한 느낌을 준다 와인 오픈 전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얄룸바 Y 시리즈 리슬링 2020 Yalumba Y Series Riesling 2020 종류: 화이트와인 빈티지: 2020 생산국: 호주 (Australia) 생산지: 사우스 오스트레일리아 (South Australia) -> 바로사 밸리(Barossa Valley), 에덴 밸리(Eden Valley) 생산자: 얄룸바 (Yalumba) 품종: 리슬링(Riesling) 100% 당도: 1.5 / 산도: 4.2 / 타닌: 1 / 바디: 2.8 알콜: 11.5% 시음온도: 8~10도 용량: 750ml 가격대: 1~2만원대 수입사: 나라셀라 판매처: 롯데마트, 코스트코

[와인글라스] 레만 글라스 랭스 호미지 72CL 69CL 45CL 버건디 보르도 화이트 와인 글라스 무게 및 와인잔 비교 추천 사용 리뷰 [내부링크]

구매일 2022년 9월 7일 특징: 프랑스에서도 샴페인으로 유명한 샹파뉴 지역 그 중심부인 랭스(Reims)에서 탄생한 와인글라스 브랜드인 레만의 미들급 와인글라스 라인업중 하나로 특히 다른 라인업에 비해 긴 스템과 아름다운 곡선의 쉐입이 너무 너무 아름다운 제품으로 특히 프랑스 샹파뉴 지방에서는 이 호미지 라인업을 고급 레스토랑에서 대부분 쓰고 있다, 핸드메이드가 아닌 머신메이드로 가격대 또한 디자인에 비해 비교적 합리적인 가격대에 핸드메이드에 비해 튼튼한 편이며, 보올에서 림까지 급격하게 좁아지며 아로마를 잘 모아 세어나가지 않도록 하는 인상적인 디자인을 가지고 있다 레만 글라스 호미지 72CL 레만 글라스 호미지 69CL 레만 글라스 호미지 45CL 레만 글라스 랭스 호미지 72CL Lehmann Glass Reims Hommage 72 CL 스펙 국가: 프랑스 소재: HP 무연 크리스탈 공정: 머신메이드 높이: 23.9cm 용량: 720ml 무게: 150.5g (직접 측정한

[샴페인] 필리뽀나 로얄 리저브 브뤼 NV Philipponnat Royale Reserve Brut NV 프랑스 샹파뉴 샴페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2년 9월 12일 프랑스 샴페인중 독특한 솔레라 방식(Solera System)으로 숙성을 하기로 유명한 와인으로 샹파뉴 중심부에서 재배되는 프리미에 크뤼(Premier Crus)의 포도만을 쓰며 품종 비율은 피노 누아 65%, 샤르도네 30%, 피노 뮈니에 5% 비율로 블렌딩, 필자가 마신건 2016년 베이스 와인으로 27%는 솔레라 방식으로 숙성한 리저브 와인(Reserve Wine)을 블렌딩하고 전체가 아닌 일부만 젖산발효(MLF)를 진행, 12도의 일정한 온도의 지하 숙성실에서 3년간 숙성 후 2020년 11월에 데고르주망을 했다 와인 오픈 전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필리뽀나 로얄 리저브 브뤼 NV Philipponnat Royale Reserve Brut NV 종류: 스파클링와인 -> 샴페인 빈티지: NV (Non Vintage) 생산국: 프랑스 (France) 생산지: 샹파뉴 (Champagne) 생산자: 필리뽀나 (Philipponnat) 품종: 피노 누아(P

[레드] 샤또 샤스 스플린 2018 Chateau Chasse Spleen 2018 프랑스 보르도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2년 9월 18일 프랑스 보르도의 메독에서도 작은 산지인 물리 에서 생산되는 크뤼 브루주아(Cru Bourgeois) 와인으로 카베르네 소비뇽 45%, 메를로 40%, 쁘띠 베르도 10%, 카베르네 프랑 5%의 품종 블렌딩에 수확 후 발효는 스테인리스 스틸 탱크에서 하고 프렌치 오크 배럴로 옮겨져 12~14개월을 숙성되며 새 오크 비율은 30~40%정도이다 와인 오픈 전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샤또 샤스 스플린 2018 Chateau Chasse Spleen 2018 종류: 레드와인 빈티지: 2018 생산국: 프랑스 (France) 생산지: 보르도 (Bordeaux) -> 메독 (Medoc) -> 물리 (Moulis) 생산자: 샤또 샤스 스플린 (Chateau Chasse Spleen) 품종: 카베르네 소비뇽(Cabernet Sauvignon) 45%, 메를로(Merlot) 40%, 쁘띠 베르도(Petit Verdot) 10%, 카베르네 프랑(Cabernet Franc)

[화이트] 오르페우스 앤 더 레이븐 슈냉 블랑 2019 Orpheus and The Raven Chenin Blanc 2019 남아공 슈냉블랑 화이트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2년 9월 23일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타이거버그 라는 지역의 더반빌 이라는 따뜻하면서도 해풍으로 냉각효과도 있어 질 좋은 포도가 자라는 산지의 슈낭 블랑 품종으로 만든 와인으로 46년된 수령의 나무에서 손으로 수확한 포도를 분류 및 줄기 제거, 분쇄, 압착 및 저온에서 이틀동안 침용 및 일부는 야생 효모를 이용해 암포라(Amphora)에서 펌핑 및 발효, 나머지는 배양 효모로 프렌치 오크 배럴에서 발효 및 총 12개월을 숙성, 그 중 일부는 젖산발효(MLF)를 한다, 2021년 3월 16일 병입되었다 와인 오픈 전 앞부분, 옆부분, 뒷부분 사진 오르페우스 앤 더 레이븐 올드 블러쉬 슈냉 블랑 2019 Orpheus and The Raven Old Blush Chenin Blanc 2019 종류: 화이트와인 빈티지: 2019 생산국: 남아프리카 공화국 (the Republic of South Africa) 생산지: 타이거버그 (Tygerberg) -> 더반빌 (Durba

[레드] 세멜리 네메아 리저브 2017 Semeli Nemea Reserve 2017 그리스 아기오르기티코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2년 9월 24일 그리스의 토착품종인 아기오르기티코 라는 품종은 타닌은 중간정도에 해발고도가 높은곳에서 주로 재배되며 붉은과실이나 메이킹에 따라 다양한 풍미를 낸다, 이 품종 100%로 펠로폰네소스 라는 지역의 아르골리다 라는 소지역에서도 네메아 라는 생산지가 이 품종으로 유명하며 손으로 수확한 포도를 먼저 냉각후 찬물에 5일동안 담가두었다가 풍미를 최대화하기 위해 저온에서 침용과 압착, 발효까지 하고 이후 프렌치 오크 배럴에서 12개월 숙성 후 병입하고 추가 12개월 숙성까지 한다 와인 오픈 전 앞부분과 옆부분 사진, 뒷부분은 수입사에서 붙힌 레이블 세멜리 네메아 리저브 아기오르기티코 2017 Semeli Nemea Reserve Agiorgitiko 2017 종류: 레드와인 빈티지: 2018 생산국: 그리스 (Greece) 생산지: 펠로폰네소스 (Peloponnesos) -> 아르골리다 (Argolida) -> 네메아 (Nemea) 생산자: 세멜리 (Semeli Ne

[샴페인] 샴페인 자크송 뀌베 넘버 745 엑스트라 브뤼 Champagne Jacquesson Cuvee No 745 Extra Brut 프랑스 샹파뉴 빈티지 블렌딩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2년 10월 1일 프랑스 샹파뉴에서도 스파클링와인을 고정시키는 뮤즐렛을 개발한 하우스로도 또 샴페인 크룩(Krug)의 설립자 요한 조셉 크룩이 와인 메이킹을 배울만큼 유명한 하우스였다가 침체기를 겪은 후 근래 메이킹 방법을 바꿔서 새롭게 다시 부상한 하우스다, 넘버 745는 2017 빈티지 와인을 80% 기반으로 리저브 와인을 20% 블렌딩 하며 3개의 그랑크뤼 밭과 2개의 프리미에 크뤼 밭에서 생산 된 포도만 쓰고 샤르도네 60%, 피노 누아 20%, 피노 뮈니에 20%의 비율로 품종 블렌딩, 데고르주망은 2021년 11월이며 총 4년을 숙성하고 도사쥬는 0.75g/L이다 와인 오픈전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샴페인 자크송 뀌베 넘버 745 엑스트라 브뤼 Champagne Jacquesson Cuvee No 745 Extra Brut 종류: 스파클링와인 -> 샴페인 빈티지: 2017 베이스 + 리저브 와인 20% 생산국: 프랑스 (France) 생산지: 샹파뉴 (Champ

[레드] 샤또 뒤 세드르 까오르 말벡 2019 Chateau du Cedre Cahors Malbec 2019 프랑스 까오르 말벡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2년 10월 2일 프랑스 남서부 쪽 카오르 지역은 아르헨티나와는 또 다른 느낌의 말백 생산지로 또 말벡의 고향으로 보르도에 이어서 그 다음으로 유명하다, 말벡으로 파워풀하고 타닌이 강한 와인부터 섬세하고 아로마 좋은 스타일까지 다양한 뀌베들이 생산되며 이 와인은 말벡에 추가적으로 품종 메를로 5%와 따나 5%를 블렌딩하며 수확한 포도를 잎과 줄기를 제거하고 30일동안 침용과 발효를 진행하고 이후 프렌치 새오크와 재사용 중고 오크 배럴과 대형 오크 푸드르에서 20개월 숙성한다 와인 오픈 전 앞부분, 옆부분, 뒷부분 사진 샤또 뒤 세드르 까오르 말벡 2019 Chateau du Cedre Cahors Malbec 2019 종류: 레드와인 빈티지: 2019 생산국: 프랑스 (France) 생산지: 사우스웨스트 프랑스 (Southwest France) -> 까오르(Cahors) 생산자: 샤또 뒤 세드르 (Chateau du Cedre) 품종: 말벡(Malbec) 90%, 메를로

[화이트] 도멘 기베르토 소뮈르 블랑 2018 Domaine Guiberteau Saumur Blanc 2018 프랑스 루아르 슈냉 블랑 화이트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2년 10월 8일 프랑스 루아르 라는 큰 지역에서 앙쥬-소뮈르 라는 소지역, 거기서도 소뮈르 라는 생산지에서 슈냉 블랑으로 만든 화이트 와인으로 수령이 낮은 나무부터 오래된 수령의 나무들에서 손으로 수확한 포도를 스테인리스 스틸 탱크에서 부드럽게 압착하고 토착효모로 발효 후 재사용 혹은 헌 프렌치 오크 배럴에서 숙성 시킨다 와인 오픈 전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도멘 기베르토 소뮈르 블랑 2018 Domaine Guiberteau Saumur Blanc 2018 종류: 화이트와인 빈티지: 2018 생산국: 프랑스 (France) 생산지: 루아르 (Loire) -> 앙쥬-소뮈르 (Anjou-Saumur) -> 소뮈르 (Saumur) 생산자: 로카 디 몬테그로시 (Rocca Di Montegrossi) 품종: 슈냉 블랑(Chenin Blanc) 100% 당도: 1.6 / 산도: 4.1 / 타닌: 1 / 바디: 3.3 알콜: 13% 시음온도: 10~13도 용량: 750ml 가격대

[레드] 샤또 달레이 트루소 2019 Chateau d'Arlay Trousseau 2019 프랑스 쥬라 트루쏘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2년 10월 9일 프랑스 쥐라 지역에서도 중심부인 꼬뜨 드 쥐라 에서 트루스라는 품종으로 만든 레드와인, 트루스 품종은 토착품종으로 붉은 과실과 함께 스파이시한 향, 꽃향등 피노누아와 이 지역의 풀사르드(Poulsard) 품종의 중간정도 뉘앙스를 가졌다고 한다, 손으로 수확한 포도를 줄기를 제거하고(De Stemmed) 토착효모로 발효를 진행하며 이후 재사용, 혹은 중고 오크 바리크에서 6개월 숙성 후 여과와 정제 없이 병입된다 와인 오픈 전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샤또 달레이 트루소 2019 Chateau d'Arlay Trousseau 2019 종류: 레드와인 빈티지: 2019 생산국: 프랑스 (France) 생산지: 쥐라 (Jura) -> 꼬뜨 드 쥐라 (Cotes du Jura) 생산자: 샤또 달레이 (Chateau d'Arlay) 품종: 트루스(Trousseau) 100% 당도: 1.6 / 산도: 3.9 / 타닌: 2.8 / 바디: 3.1 알콜: 14.5% 시음온

[화이트] 도피오 파소 그릴로 2021 Doppio Passo Grillo 2021 이탈리아 시칠리아 그릴로 품종 화이트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2년 10월 9일 이탈리아 시칠리아(시실리, Sicily)섬의 품종 그릴로라는 청포도 품종으로 만든 화이트 와인으며 이 품종은 본래 시칠리아의 주정강화와인인 마르살라를 만들때 주로 쓰이며 레몬을 비롯 시트러스한 초록 노란 계열 과실의 풍미가 두드러지고 무게감과 구조가 좋다라고 한다, 그래서인지 단독으로 만든 화이트와인이 생각보다 꽤나 시칠리아 와이너리 포드폴리오에서 보인다, 이 와인은 보터 라는 와이너리에서 손으로 수확하고 압착 후 과실의 풍미를 온전히 살리고자 스테인리스 스틸 탱크에서 17~18도에서 15~20일동안 발효되며 스테인리스 스틸 탱크에서 숙성한다 와인 오픈 전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도피오 파소 시칠리아 그릴로 2021 Doppio Passo Sicilia Grillo 2021 종류: 화이트와인 빈티지: 2021 생산국: 이탈리아 (Italy) 생산지: 시칠리아 (Sicilia) 생산자: 보터 (Botter) 품종: 그릴로(Grillo) 100% 당도: 1.

[로제] 로카 디 몬테그로시 로사토 2019 Rocca Di Montegrossi Rosato 2019 이탈리아 토스카나 산지오베제 로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2년 10월 18일 이탈리아 토스카나 에서 키안티 지역의 산지오베제 품종으로 만든 로제 와인으로 흔하지 않지만 끼안티 지역 산지오베제의 붉은과실과 꽃향기를 잘 담은 와인이다, 와이너리 최상급 빈야드인 산 마르첼리노 빈야드에서 수확한 포도로 짧은 침용과 발효, 그리고 숙성까지 모두 스테인리스 스틸탱크에서 진행하며 3개월동안 효모앙금숙성(Lees, Lee Contact)도 같이 한다 와인 오픈 전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로카 디 몬테그로시 로사토 2019 Rocca Di Montegrossi Rosato 2019 종류: 로제와인 빈티지: 2019 생산국: 이탈리아 (Italy) 생산지: 토스카나 (Toscana) -> 키안티 (Chianti) 생산자: 로카 디 몬테그로시 (Rocca Di Montegrossi) 품종: 산지오베제(Sangiovese) 100% 당도: 1.5 / 산도: 4 / 타닌: 2.6 / 바디: 3.1 알콜: 13% 시음온도: 9~12도 용량: 750ml

[레드] 들라스 방뚜 2020 Delas Ventoux 2020 프랑스 남부 론 벙뚜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2년 10월 20일 프랑스 론에서 남부 론의 꼬뜨 뒤 벙뚜 AOC로 남부론의 다른 AOC에 비해 좀 더 가볍고 과실 캐릭터를 잘 살린 스타일로 유명하다, 그르나슈 기반에 쉬라 품종을 20% 블렌딩하며, 수확한 각각의 품종을 따로 분류하여 스테인리스 스틸탱크에서 그르나슈는 매일 펌핑을 통해 색과 타닌을 얻고 시라는 줄기와 함께(Whole Cluster) 상대적으로 펌핑 작업이 거의 없이 침용을 거친다, 발효와 젖산발효 모두 끝나고 와인을 블렌딩 한 뒤 에어컨이 있는 스테인리스 스틸 탱크에서 6~8개월 숙성한다 와인 오픈 전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들라스 방뚜 2020 Delas Ventoux 2020 종류: 레드와인 빈티지: 2020 생산국: 프랑스 (France) 생산지: 론 (Rhone) -> 남부 론 (Southern Rhone) -> 꼬뜨 뒤 벙뚜 (Cotes du Ventoux) 생산자: 들라스 (Delas) 품종: 그르나슈(Grenache) 80%, 시라/쉬라즈(

[화이트] 도멘 갸데 페레 에 피스 뮈스카데 세브르 에 멘 수르 리 페닌술라 2018 Domaine Gadais Pere et Fils Muscadet Sevre et Maine [내부링크]

시음일 2022년 10월 21일 프랑스 루아르, 뻬이 낭떼 의 유명한 품종인 뮈스카데는 부르고뉴 샤르도네 와인을 만들때 쓰는 수르 리 숙성으로 다양한 풍미를 내기로 유명하다, 또한 이 지역에서는 이 품종을 믈롱 드 부르고뉴(Melon de Bourgogne)라고 부르며 이 와인은 완전히 익은 포도를 수확해 낮은 온도에서 천천히 3주 정도 발효하며 이후 정제 및 여과를 거치지 않고 오크통에서 리 숙성(Lees, Lee Contact)과 함께 14개월 숙성한다 와인 오픈 전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도멘 갸데 페레 에 피스 뮈스카데 세브르 에 멘 수르 리 페닌술라 2018 Domaine Gadais Pere et Fils Muscadet Sevre et Maine Sur Lie Peninsula 2018 종류: 화이트와인 빈티지: 2018 생산국: 프랑스 (France) 생산지: 루아르(Loire) -> 뻬이 낭떼(Pays Nantais) > 뮈스까데 세브르 에 멘느(Muscadet Sev

[레드] 도멘 드지어 쁘띠 뿔사르 드 펄르 2019 Domaine Desire Petit Ploussard de Feule 2019 프랑스 쥐라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2년 10월 28일 프랑스 쥐라 지역의 쀠삘랑 이라는 생산지에서 AOC 아흐보아의 레드와인으로 독특한 토착품종인 풀사르드로 만든 레드와인으로 평균 수령 24년 이상의 나무에서 손으로 수확한 포도를 스테인리스 스틸 탱크에서 줄기를 모두 제거(De Stemmed)하고 토착효모로 발효를 진행하고 4개월 숙성 후 재사용 혹은 헌 오크통에서 다시 숙성을 진행 후 정제와 여과를 하지 않고 병입한다 와인 오픈 전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도멘 드지어 쁘띠 뿔사르 드 펄르 2019 Domaine Desire Petit Ploussard de Feule 2019 종류: 레드와인 빈티지: 2019 생산국: 프랑스 (France) 생산지: 쥐라 (Jura) -> 쀠삘랑 (Pupillin) -> 아흐보아 (Arbois) 생산자: 도멘 드 지어 쁘띠 (Domaine Desire Petit) 품종: 풀사르드(Poulsard) 100% 당도: 1.5 / 산도: 4.3 / 타닌: 2.7 / 바디: 2.

[화이트] 무똥 까데 보르도 소비뇽 블랑 2020 Moutin Cadet Bordeaux Sauvignon Blanc 2020 프랑스 보르도 쇼블 화이트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2년 10월 29일 프랑스 보르도의 소비뇽 블랑 품종으로 만든 화이트 와인으로 샤또 무똥 로칠드로 유명한 바론 필립 드 로칠드 사에서 데일리 라인업으로 만드는 무똥 까데 시리즈 중 하나로 특히 본래 보르도 블랑에는 세미용 품종이 들어가나 뉴질랜드 소비뇽 블랑을 겨냥해 해외 수출용으로 만들었다고 한다, 엄선하여 수확한 포도를 스테인리스 스틸 탱크에서 발효 및 4개월 동안 숙성을 거치며 리 숙성(Sur Lie, Lees Contact)도 같이 진행한다 와인 오픈 전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무똥 까데 보르도 소비뇽 블랑 2020 Moutin Cadet Bordeaux Sauvignon Blanc 2020 종류: 화이트와인 빈티지: 2020 생산국: 프랑스 (France) 생산지: 보르도 (Bordeaux) 생산자: 바론 필립 드 로칠드 (Baron Philippe de Rothschild) 품종: 소비뇽 블랑(Sauvignon Blanc) 100% 당도: 1.3 / 산도: 4.

[레드] 킬리카눈 더 슬라우치 쉬라즈 2019 Kilikanoon The Slouch Shiraz 2019 호주 쉬라즈 가성비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2년 10월 29일 호주의 남호주, 클레어 밸리에서 쉬라 품종으로 만든 레드와인으로 롯데칠성음료, 즉 롯데주류와 킬리카눈 와이너리가 손을 잡고 다른 와인에 비해 비용절감을 하여 소비자가를 대폭 낮춰 데일리 와인으로 출시한 와인으로 수확한 포도를 오크 배럴에서 발효 및 숙성 후 출시한다(자세한 양조노트가 없음) 와인 오픈 전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킬리카눈 더 슬라우치 쉬라즈 2019 Kilikanoon The Slouch Shiraz 2019 종류: 레드와인 빈티지: 2019 생산국: 호주 (Australia) 생산지: 사우스 오스트레일리아 (South Australia) -> 클레어 밸리 (Clare Valley) 생산자: 킬리카눈 (Kilikanoon) 품종: 시라/쉬라즈(Syrah/Shiraz) 100% 당도: 1.5 / 산도: 3.7 / 타닌: 3.3 / 바디: 3.7 알콜: 14.5% 시음온도: 16~18도 용량: 750ml 가격대: 만원대 수입사: 롯데칠성음료

[샴페인] 랑송 르 블랙 리저브 브뤼 Lanson Le Black Reserve Brut 프랑스 샹파뉴 샴페인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2년 11월 5일 프랑스 샹파뉴에서 유명 NM샴페인 하우스 중 하나인 랑송의 엔트리 와인으로 그랑크뤼와 프리미에 크뤼 밭의 포도를 70%나 블렌딩하며 국내서 높지 않은 유명세에 비해 스펙이 훌륭한 샴페인, 피노 누아 50%, 샤르도네 35%, 피노 뮈니에 15%의 비율로 품종 블렌딩을 하며 젖산발효(MLF)는 하지 않고 2014빈티지를 베이스로 모두 오크통에서 숙성한 리저브와인이 무려 45%나 블렌딩 되며 그 중 일부는 20년 이상 숙성된 리저브 와인도 들어간다, 이후 최소 5년 이상 지하 숙성실에서 숙성 후 출시한다 와인 오픈 전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랑송 르 블랙 라벨 리저브 브뤼 Lanson Le Black Label Reserve Brut 종류: 스파클링와인 -> 샴페인 빈티지: 2014 베이스 + 리저브 와인 45% 생산국: 프랑스 (France) 생산지: 샹파뉴 (Champagne) 생산자: 랑송 (Lanson) 품종: 피노 누아(Pinot Noir) 50%,

[레드] 파파리 밸리 3 크베브리 테라스 사페라비 2020 Papari Valley 3 Qvevri Terraces Saperavi 2020 조지아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2년 11월 12일 조지아의 카헤티 지역에서 생산된 조지아의 토착 적포도 품종인 사페라비로 만든 레드와인으로 수확한 포도를 총 3개의 크베브리라는 큰 항아리에서 발효 및 숙성을 거치며 이 와이너리의 독특한 토착효모를 쓰는데 이 효모가 높은 알콜도수까지 발효를 끌어낸다, 이후 2번째 3번째 크베브리에 와인을 넣고 지하 깊숙히 묻은 뒤 10개월을 숙성 후 필터링 없이 병입한다 와인 오픈 전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파파리 밸리 3 크베브리 테라스 사페라비 2020 Papari Valley 3 Qvevri Terraces Saperavi 2020 종류: 레드와인 빈티지: 2020 생산국: 조지아 (Geogia) 생산지: 카헤티 (Kakheti) 생산자: 파파리 밸리 (Papari Valley) 품종: 사페라비(Saperavi) 100% 당도: 1.5 / 산도: 4.1 / 타닌: 4.5 / 바디: 4.2 알콜: 14.5% 시음온도: 17~19도 용량: 750ml 가격대: 7만~8만

[위스키] 제임슨 아이리시 위스키 스탠다드 Jeson Irish Whisky Standard 아일랜드 가성비 아이리쉬 위스키 추천 [내부링크]

오픈 시음일 2022년 11월 5일 세계 5대 위스키 중 스카치, 아메리칸, 아이리쉬, 캐나디안, 재패니안중 하나로 위스키의 시초라고 불리며 스카치 위스키 이전의 위스키로 유명하다, 그 중에서 쉽게 만날 수 있는 브랜드로 무려 3중 증류를 통해 캐나디안 위스키 못지않은 없거나 약하다 싶이 한 피트향과 그를 통해 부드러운 목넘김을 시그니처로 삼고있다, 일반적인 위스키와 다르게 맥주를 보관했던 오크통에서 숙성하며 6년 숙성 후 병입하고 출시한다 위스키 오픈 전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제임슨 아이리시 위스키 스탠다드 Jeson Irish Whisky Standard 종류: 아이리시 위스키 숙성연수: 6년 생산국: 아일랜드 (Ireland) 생산지: 더블린 (Dublin) 생산자: 아이리시 디스틸러스 페르노리카 (Irish Distillers Pernod Ricard) 재료: 보리, 맥아 당도: 4.2 / 집중도: 과실, 곡물류 / 알콜: 4.7 / 바디: 4.3 알콜: 40% 용량: 700

[화이트] 메종 카스텔 쥐랑송 블랑 쁘띠 망상 2019 Maison Castel Jurancon Blanc Petit Manseng 2019 프랑스 쁘띠 만생 화이트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2년 11월 13일 프랑스의 사우스웨스트프랑스에서 쥐랑송 이라는 생산지의 흔히 쁘띠망상이라고 알고 있는 청포도 품종인 쁘띠 만생 으로 만든 세미스위트 계열 화이트와인으로 메종 카스텔이라는 와이너리에서 만들었으며 같은 날짜에 선별하여 수확한 포도를 지하 양조실에 옮겨 배양된 효모로 발효 후 12~18개월동안 숙성한다(오크배럴인지 스테인리스 스틸 탱크인지는 기재되어있지않음) 와인 오픈 전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메종 카스텔 쥐랑송 블랑 쁘띠 망상 2019 Maison Castel Jurancon Blanc Petit Manseng 2019 종류: 화이트와인 빈티지: 2019 생산국: 프랑스 (France) 생산지: 사우스웨스트프랑스(Southwest France) -> 쥐랑송(Jurancon) 생산자: 메종 카스텔 (Maison Castel) 품종: 쁘띠 만생(Petit Manseng) 100% 당도: 2.7 / 산도: 4.1 / 타닌: 1 / 바디: 4 잔류당: 70g/L(

[레드] 알파 에스테이트 에코시스템 시노마브로 리저브 비에이 비뉴 2017 Alpha Estate Ecosystem Xinomavro Reserve Vieilles Vignes [내부링크]

시음일 2022년 11월 20일 그리스, 마케도니아의 아민데오 라는 생산지역에서 시노마브로(Xinomavro) 품종으로 만든 레드와인으로 알파 에스테이트라는 와이너리에서 만들었으며 손으로 수확한 포도를 줄기는 제거하고 가볍게 분쇄, 저온에서 침용하며 특정 블록에서 분리한 토착효모로 발효 후 24개월을 리 숙성(Sur Lie, Lees)을 주기적으로 저으며 진행하고 미디엄 그레인, 화이트 토스트의 굽기로 구워진 새 프렌치 오크 캐스크에서 24개월 오크숙성, 이후 병입 후 12개월을 병숙성 후 정제나 여과없이 출시한다 와인 오픈 전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알파 에스테이트 에코시스템 시노마브로 리저브 비에이 비뉴 2017 Alpha Estate Ecosystem Xinomavro Reserve Vieilles Vignes 2017 종류: 레드와인 빈티지: 2017 생산국: 그리스 (Greece) 생산지: 마케도니아 (Macedonia) -> 아민데오 (Amindeo) 생산자: 알파 에스테이

[오렌지] 다리오 프린칙 야콧 2017 Dario Princic Jakot 2017 이탈리아 프리울리 프리울라노 앰버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2년 11월 22일 "오렌지 와인은 오렌지로 만들지 않고 순수 청포도로만 만듭니다" 이탈리아 프리울리 베네찌아 줄리아 라는 지역에서 프리울라노라는 품종으로 만든 오렌지 와인이며 이 품종은 야콧, 소비뇽나쎄, 소비뇽 베르트라는 다양한 이름으로 불린다, 내추럴 와인으로 유명한 다리오 프린칙 와이너리에서 내추럴 방식으로 재배 및 손으로 수확한 포도를 22일동안을 껍질과 같이 침용하고 토착 효모로 자연 발효를 거치고 오래된 오크 배럴에서 24개월 숙성하고 정제나 여과없이 병입 후 출시한다 와인 오픈전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다리오 프린칙 야콧 2017 Dario Princic Jakot 2017 종류: 오렌지와인 (앰버와인) 빈티지: 2017 생산국: 이탈리아 (Italy) 생산지: 프리울리 베네찌아 줄리아 (Friuli Venezia Giulia) 생산자: 다리오 프린칙 (Dario Princic) 품종: 프리울라노(Friulano) 100% 당도: 1.7 / 산도: 3.7 /

[레드] 토마시 라파엘 발폴리첼라 클라시코 수페리오레 2019 Tommasi Rafael Valpolicella Classico Superiore 2019 이탈리아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2년 11월 23일 이탈리아 베네토 지역의 아마로네로 유명한 발폴리첼라 생산지의 레드와인으로 아마로네와 동일한 품종으로 보통 만들지만 포도를 말리지 않고 수확한 포도를 12일동안 온도가 조절되는 스테인리스 스틸 탱크에서 침용과 발효 후 슬로베니안 오크 캐스크에서 15개월간 숙성한다, 품종은 코르비나 베로네제 60%, 론디넬라 25%, 몰리나라 15%의 비율로 블렌딩 된다 와인 오픈 전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토마시 라파엘 발폴리첼라 클라시코 수페리오레 2019 Tommasi Rafael Valpolicella Classico Superiore 2019 종류: 레드와인 빈티지: 2019 생산국: 이탈리아 (Italy) 생산지: 베네토 (Veneto) -> 발폴리첼라 (Valpolicella) 생산자: 토마시 (Tommasi) 품종: 코르비나 베로네제(Corvina Veronese) 60%, 론디넬라(Rondinella) 25%, 몰리나라(Molinara) 15% 당도: 1.

[화이트] 떼레도라 피아노 디 아벨리노 2020 Terredora Fiano di Avellino 2020 이탈리아 캄파니아 삐아노 화이트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2년 11월 26일 이탈리아 깜빠니아 에서 아벨리노 라는 생산지의 피아노 품종으로 만든 화이트와인이며 이 지역의 피아노 품종이 유명하다, 또 떼레도라라는 이 와이너리가 피아노로 와인을 잘 만들기로 엄청 유명하다, 수확한 포도를 먼저 몇시간 정도 껍질과 같이 침용을 하며 이후 부드럽게 압착을 하고 토착이 아닌 선별한 배양효모로 발효하며 최대한 서늘한 양조실에서 진행하며 풍미를 최대화하며 스테인리스 스틸 탱크에서 발효 및 숙성까지 하며 효모앙금숙성(리 숙성, Sur Lie, Lees)도 같이 한다 와인 오픈 전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떼레도라 피아노 디 아벨리노 2020 Terredora Fiano di Avellino 2020 종류: 화이트와인 빈티지: 2020 생산국: 이탈리아 (Italy) 생산지: 깜빠니아 (Campania) -> 아벨리노 (Avellino) 생산자: 떼레도라 (Terredora) 품종: 피아노(Fiano) 100% 당도: 1.7 / 산도: 3.6 /

[레드] 비에티 바르베라 다스티 트레 비그네 2019 Vietti Barbera d'Asti Tre Vigne 2019 이탈리아 바르베라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2년 11월 27일 이탈리아 피에몬테의 아스티 지역에서 바르베라 라는 품종으로 만든 레드와인으로 La Crena 포도원에서 수확한 포도와 Asti 주변 언덕에 있는 여러 마을에서 공급 받은 포도로 약 2주 동안 스테인리스 스틸 탱크에서 펌핑 오버와 탈수 작업을 하여 침용과 발효를 하고 오크 바리크로 옮겨져 젖산발효(MLF)를 하고 약 12개월동안 슬로베니안 오크 바리크와 배럴, 그리고 스테인리스 스틸 탱크에서 숙성한다 와인 오픈 전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비에티 바르베라 다스티 트레 비그네 2019 Vietti Barbera d'Asti Tre Vigne 2019 종류: 레드와인 빈티지: 2019 생산국: 이탈리아 (Italy) 생산지: 피에몬테 (Piemonte) -> 아스티 (Asti) 생산자: 비에티 (Vietti) 품종: 바르베라 (Bardera) 100% 당도: 1.8 / 산도: 3.9 / 타닌: 3.4 / 바디: 3.6 알콜: 14% 시음온도: 15~17도 용량

[스파클링] 헌터스 미루미루 NV Hunter's Miru Miru Non Vintage 뉴질랜드 샴페인 방식 스파클링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2년 12월 3일 뉴질랜드 말보로 지역에서도 와이라우 밸리 라는 산지의 샴페인 방식으로 만든 스파클링 와인으로 샤르도네 41%, 피노 누아 51%, 피노 뮈니에 8%으로 수확한 포도로 각각 스테인리스 스틸 탱크에서 발효 후 젖산발효(MLF, 말로락틱)까지 진행하며 띠라쥬(Tirage) 직전에 블렌딩하고 전통적인 방식으로 12~18개월 숙성한다 와인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뭐가 그리 급했는지 오픈부터 해버렸다 헌터스 미루미루 NV Hunter's Miru Miru Non Vintage 종류: 스파클링와인 빈티지: NV (Non Vintage) 생산국: 뉴질랜드 (New Zealand) 생산지: 말보로 (Marlborough) -> 와이라우 밸리 (Wairau Valley) 생산자: 헌터스 와인즈 (Hunter's Wines) 품종: 샤르도네(Chardonnay) 41%, 피노 누아(Pinot Noir) 51%, 피노 뮈니에(Pinot Meunier) 8% 당도: 1.8 /

[레드] 양가라 에스테이트 올드바인 그르나슈 2016 Yangarra Estate Old Vine Grenache 2016 호주 맥라렌 베일 그르나슈/가르나차 레드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2년 12월 4일 호주, 사우스 오스트레일리아에서도 유명한 산지인 맥라렌 베일에서 그르나슈 품종으로 만든 레드와인으로 선별하여 손으로 수확한 포도를 야생 효모로 발효하고 매우 부드럽게 펌핑오버를 하여 껍질과 접촉이 좀 더 되도록 하여 색상과 타닌을 얻고 침용기간은 약 21일이지만 일부는 140일까지 침용한다, 프레싱을 사용하지 않고 발효된 와인은 오래된 프렌치 오크 펀천과 푸드르, 세라믹 숙성기, 암포라등 다양한 숙성용기를 통해 숙성된다 와인 오픈 전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수입사 라벨이 백레이블을 완전 가려놓음.. 양가라 에스테이트 올드바인 그르나슈 2016 Yangarra Estate Old Vine Grenache 2016 종류: 레드와인 빈티지: 2016 생산국: 호주 (Australia) 생산지: 사우스 오스트레일리아 (South Australia) -> 맥라렌 베일 (McLaren Vale) 생산자: 양가라 (Yangarra) 품종: 그르나슈/가르나차(Gren

[화이트] 마시 마시앙코 2019 Masi Masianco 2019 이탈리아 피노그리지오 베르두초 아파시멘토 화이트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2년 12월 10일 이탈리아 베네토의 발폴리첼라 지역 화이트 와인으로 피노 그리지오 75%에 베르두초 프리울라노 25%로 수확한 포도 중 피노그리지오는 발효 후 3개월 스테인리스 스틸 탱크에서 숙성, 베르두쪼 품종은 약 3주 가량을 아파시멘토로 포도를 말려서 살짝 건포도가 된 상태에서 발효 및 45일간 숙성 후 최종 병입 전 블렌딩 한다 와인 오픈 전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마시 마시앙코 2019 Masi Masianco 2019 종류: 화이트와인 빈티지: 2019 생산국: 이탈리아 (Italy) 생산지: 베네토 (Veneto) -> 발폴리첼라 (Valpolicella) 생산자: 마시 (Masi) 품종: 피노 그리지오(Pinot Grigio) 75%, 베르두초 프리울라노(Verduzzo Friulano) 25% 당도: 1.6 / 산도: 4.1 / 타닌: 1 / 바디: 3.7 알콜: 13% 시음온도: 9~11도 용량: 750ml 가격대: 3만원대 수입사: 레뱅드매일 구매처:

[레드] 오 봉 클리마 피노 누아 산타 바바라 카운티 2020 Au Bon Climat Santa Barbara County 2020 미국 캘리포니아 피노누아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2년 12월 11일 미국 캘리포니아의 산타 바바라 카운티에서 자란 피노 누아로 만든 레드와인으로 총 6개의 프리미엄 해안 포도원인 Bien Nacido, Rancho Vinedo, Le Bon Climat, Los Alamos Vineyard, Kick-On Vineyard 및 Pence Ranch에서 선별하여 수확한 포도로 약 2주간 오픈 탑 탱크에서 발효 후 프렌치 오크 배럴에서 10개월 동안 숙성한다 와인 오픈 전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오 봉 클리마 피노 누아 산타 바바라 카운티 2020 Au Bon Climat Santa Barbara County 2020 종류: 레드와인 빈티지: 2020 생산국: 미국 (U.S.A) 생산지: 캘리포니아 (California) -> 산타 바바라 카운티 (Santa Barbara County) 생산자: 오 봉 클리마 (Au Bon Climat) 품종: 피노 누아(Pinot Noir) 100% 당도: 1.7 / 산도: 3.8 / 타닌

[로제] 도멘 샤를 오두앙 마르사네 로제 2019 Domaine Charles Audoin Marsannay Rose 2019 프랑스 부르고뉴 피노누아 로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2년 12월 17일 프랑스에서 부르고뉴, 꼬뜨 드 뉘 지역의 막사네 라는 생산지에서 만들어지는 피노누아 100%의 로제와인으로 수확한 포도를 단 1시간만 스킨컨택(침용)을 하며 이후 포도를 압착하고 발효와 숙성은 오크통에서 진행한다, 총 8개월을 숙성하고 병입한다 와인 오픈 전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도멘 샤를 오두앙 마르사네 로제 2019 Domaine Charles Audoin Marsannay Rose 2019 종류: 로제와인 빈티지: 2019 생산국: 프랑스 (France) 생산지: 부르고뉴 (Bourgogne) -> 꼬뜨 드 뉘 (Cote de Nuits) -> 막사네 (Marsannay) 생산자: 도멘 샤를 오두앙 (Domaine Charles Audoin) 품종: 피노누아(Pinot Noir) 100% 당도: 1.7 / 산도: 3.8 / 타닌: 1.9 / 바디: 3.3 알콜: 12.5% 시음온도: 9~11도 용량: 750ml 가격대: 4만원대 수입사: 비티스

[레드] 로베르토 보에르지오 돌체토 달바 프리아비노 2020 Roberto Voerzio Dolcetto d'Alba Priavino 2020 이탈리아 돌체토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2년 12월 18일 이탈리아, 피에몬테에서 알바 라는 지역의 돌체토 라는 품종으로 만든 레드와인으로 수확한 포도를 스테인리스 스틸 탱크에서 발효 및 숙성도 스틸 탱크에서 10개월 숙성 후 출시한다 와인 오픈 전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로베르토 보에르지오 돌체토 달바 프리아비노 2020 Roberto Voerzio Dolcetto d'Alba Priavino 2020 종류: 레드와인 빈티지: 2020 생산국: 이탈리아 (Italy) 생산지: 피에몬테 (Piemonte) -> 알바 (Alba) 생산자: 로베르토 보에르지오 (Roberto Voerzio) 품종: 돌체토(Dolcetto) 100% 당도: 1.3 / 산도: 3.9 / 타닌: 3.6 / 바디: 3.4 알콜: 12.5% 시음온도: 15~17도 용량: 750ml 가격대: 3만원대 수입사: 에노테카코리아 구매처: 마수리와인샵 - 테이스팅 노트 와인 글라스: 지허 비전 인텐스 보르도 (Zieher Vision Intense

[화이트] 윌리 기셀브레슈트 트라디씨옹 뮈스카 2020 Willy Gisselbrecht Tradition Muscat 2020 프랑스 알자스 뮈스까 품종 화이트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2년 12월 20일 프랑스, 알자스에서 게뷔르츠트라미너, 리슬링, 피노그리 다음으로 그랑크뤼에 들수있는 품종인 뮈스까 품종으로 만든 화이트와인으로 유명하지만 사실 극소량으로 알자스의 총 생산량중 3%만 재배된다, 공식홈페이지나 정보를 찾아봐도 양조에 대한 부분은 기재되어 있지않다 와인 오픈 전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윌리 기셀브레슈트 트라디씨옹 뮈스카 2020 Willy Gisselbrecht Tradition Muscat 2020 종류: 화이트와인 빈티지: 2020 생산국: 프랑스 (France) 생산지: 알자스 (Alsace) 생산자: 윌리 기셀브레슈트 (Willy Gisselbrecht) 품종: 뮈스까 (Muscat) 100% 당도: 2.1 / 산도: 3 / 타닌: 1 / 바디: 2.5 알콜: 12% 시음온도: 10~12도 용량: 750ml 가격대: 3만원대 수입사: 르셀리에 구매처: 와인비포베드 - 테이스팅 노트 와인 글라스: 지허 비전 스트레이트 화이트 (Zieh

[레드] 라이놀디 발텔리나 수페리오레 그루멜로 2019 Riainoldi Valtellina Superiore Grumello 2019 이탈리아 롬바르디아 네비올로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2년 12월 21일 이탈리아 롬바르디아 지역의 발텔리나 라는 생산지에서 네비올로라는 품종으로 만들어지는 레드와인으로 수확한 포도를 오크 배럴에서 발효 후 25~56헥토리터의 오크 배럴에서 약 20개월을 숙성하고 스테인리스 스틸탱크에서 2개월을 숙성, 병입 후 어둡고 시원한 셀러에서 6개월 추가 숙성 후 출시된다 와인 오픈 전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라이놀디 발텔리나 수페리오레 그루멜로 2019 Riainoldi Valtellina Superiore Grumello 2019 종류: 레드와인 빈티지: 2019 생산국: 이탈리아 (Italy) 생산지: 롬바르디아 (Lombardia) 지역의 발텔리나 (Valtellina) 생산자: 알도 라이놀디 (Aldo Rainoldi) 품종: 네비올로 (Nebbiolo) 100% 당도: 1.6 / 산도: 3.8 / 타닌: 3.3 / 바디: 3.6 알콜: 13.5% 시음온도: 15~17도 용량: 750ml 가격대: 7만원대 수입사: 비노비노

[스파클링] 녹턴 빈야드 스파클링 NV Nocton Vineyard Sparkling NV 호주 타즈매니아 샴페인 방식 스파클링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2년 12월 24일 호주에서 태즈매니아의 남쪽 콜 리버 밸리 에서 재배 및 수확 한 샤르도네 60%와 피노 누아 40%로 만든 스파클링 와인으로 샴페인과 같은 전통방식으로 만들며 오크통에서 오랫동안 숙성시킨 리저브 와인을 블렌딩하고 2년 이상 숙성한다, 도사쥬는 기재되어있지 않다 와인 오픈 전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녹턴 빈야드 스파클링 NV Nocton Vineyard Sparkling NV 종류: 스파클링와인 빈티지: NV (Non Vintage) 생산국: 호주 (Australia) 생산지: 태즈매니아 (Tasmania) -> 콜 리버 밸리 (Coal River Valley) 생산자: 녹턴 빈야드 (Nocton Vineyard) 품종: 샤르도네(Chardonnay) 60%, 피노 누아(Pinot Noir) 40% 당도: 1.8 / 산도: 4.3 / 타닌: 1 / 바디: 3 알콜: 12% 시음온도: 8~10도 용량: 750ml 가격대: 5만원대 수입사: 레드카이트 구매처

[레드] 꽁떼 디 깜삐아노 아빠씨멘토 네그로마로 파시토 2021 Conte di Campiano Appassimento Negromaro Passito 2021 코스트코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2년 12월 25일 이탈리아 뿔리아 지역에서 네그로아마로 품종으로 포도를 건조시켜 진득하게 만든 와인으로 수확한 포도가 수분이 어느정도 증발해 쪼글쪼글해져 본래 수확량 대비 50% 정도 더 많은 포도량이 양조에 들어가며 온도가 제어되는 스테인리스 스틸탱크에서 발효 및 펌핑 오버를 하며 발효 후 스테인리스 스틸탱크에서 짧게 숙성 후 병입하고 출시된다 와인 오픈 전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꽁트리 스푸만티 꽁떼 디 깜삐아노 아빠씨멘토 네그로마로 파시토 2021 Contri Spumanti Conte di Campiano Appassimento Negromaro Passito 2021 종류: 레드와인 빈티지: 2021 생산국: 이탈리아 (Italy) 생산지: 뿔리아 (Puglia) 생산자: 꽁트리 스푸만티 (Contri Spumanti) 품종: 네그로아마로(Negroamaro) 100% 당도: 2.1 / 산도: 3.2 / 타닌: 3.2 / 바디: 3.8 알콜: 14% 시음온도:

[화이트] 오시앙 오시앙 2018 Ossian Vinas Viejas Verdejo 2018 스페인 카스티야 이 레온 베르데호 화이트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2년 12월 31일 스페인 루에다 지역에서 알토 (Aalto)라는 와이너리가 베르데호 품종으로 만든 화이트 와인으로 각 작은 구획에서 먼저 개별 양조가 된 와인들을 블렌딩하며 포도나무의 수령은 최대 200년이 된 고목에서도 수확을 진행한다, 손으로 수확한 포도를 가볍게 압착한 후 228~600리터의 오크통에서 토착효모로 발효하며 역시 오크배럴에서 9개월동안 숙성하며 리 숙성(Sur Lie, Lees Contact)도 같이 겸한다 와인 오픈 전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오시앙 오시앙 2018 Ossian Vinas Viejas Verdejo 2018 종류: 화이트와인 빈티지: 2018 생산국: 스페인 (Spain) 생산지: 루에다 (Rueda) 생산자: 오시앙 비데스 Y 비노스 (Ossian Vides Y Vinos) 품종: 베르데호(Verdejo) 100% 당도: 1.7 / 산도: 4 / 타닌: 1 / 바디: 3.8 알콜: 14.5% 시음온도: 11~13도 용량: 750ml

[레드] 아리안나 오끼핀티 일 프라파토 2017 Arianna Occhipinti Il Frappato 2017 이탈리아 시칠리아 프라파토 품종 내추럴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3년 1월 1일 이탈리아 남쪽 시칠리아의 토착 품종인 프라파토 라는 적포도로 만드는 레드와인으로 40년 이상된 수령의 나무에서 수확한 포도를 토착효모, 자연효모로 30일간 침용과 발효를 진행하고 이후 25헥토리터의 슬라보니안 오크 배럴에서 14개월 숙성 후 병입하고 추가 1개월 숙성하며 필터링은 진행하지 않는다 와인 오픈 전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아리안나 오끼핀티 일 프라파토 2017 Arianna Occhipinti Il Frappato 2017 종류: 레드와인 빈티지: 2017 생산국: 이탈리아 (Italy) 생산지: 시칠리아 (Sicilia) 생산자: 아리안나 오끼핀티 (Arianna Occhipinti) 품종: 프라파토(Frappato) 100% 당도: 1.4 / 산도: 4 / 타닌: 3.3 / 바디: 3.9 알콜: 12.5% 시음온도: 15~17도 용량: 750ml 가격대: 9만원대 수입사: 비노비노 구매처: 비노비노 직영샵 - 테이스팅 노트 와인 글라스: 시도

[오렌지] 인디제노 모스코 2021 Indigeno Mosca 2021 이탈리아 모스카토 뮈스까 품종 앰버 내추럴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3년 1월 6일 이탈리아에서 몬테풀치아노 품종으로 유명한 아브루쪼 지역에서 독특하게 뮈스까 품종인 모스카토 품종으로 만든 오렌지, 앰버와인으로 수확한 포도를 줄기는 제거하고 14일간 침용을 하며 토착 효모로 자연발효를 하고 이후 6개월동안 피버글라스라는 유리로 된 숙성 용기에서 숙성 후 병입한다, 정제와 여과는 하지 않는다 와인 오픈 전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칸티나 인디제노 모스코 2021 Cantina Indigeno Mosca 2021 종류: 오렌지와인 (앰버와인) 빈티지: 2021 생산국: 이탈리아 (Italy) 생산지: 아브루쪼 (Abruzzo) 생산자: 칸티나 인디제노 (Cantina Indigeno) 품종: 모스카토(Moscato) 100% 당도: 1.5 / 산도: 3.9 / 타닌: 3.1 / 바디: 2.4 알콜: 11% 시음온도: 9~13도 용량: 750ml 가격대: 7만원대 수입사: 카보드 구매처: 제이픽와인 - 테이스팅 노트 와인 글라스: 가브리엘 글라스

[레드] 그랜트 버지 힐콧 바로사 메를로 2019 Grant Burge Hillcot Barossa Merlot 2019 호주 바로사밸리 멜롯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3년 1월 8일 호주, 사우스 오스트레일리아의 바로사 밸리에서 메를로 품종으로 만든 레드와인으로 수확한 포도를 정적 발효기(?)로 분쇄하고 껍질과 과육을 함께 침용 및 24~28도 사이의 온도에서 발효, 이후 15개월을 프렌치 오크와 아메리칸 오크에 나눠 숙성 후 블렌딩하여 병입한다 와인 오픈 전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그랜트 버지 힐콧 바로사 메를로 2019 Grant Burge Hillcot Barossa Merlot 2019 종류: 레드와인 빈티지: 2019 생산국: 호주 (Australia) 생산지: 사우스 오스트레일리아 (South Australia) -> 바로사 밸리(Barossa Valley) 생산자: 그랜트 버지 (Grant Burge) 품종: 메를로(Merlot) 100% 당도: 1.8 / 산도: 3.5 / 타닌: 3.5 / 바디: 3.8 알콜: 14.5% 시음온도: 16~18도 용량: 750ml 가격대: 4만원대 수입사: 롯데칠성음료 구매처: 롯데백화점

[화이트] 피에르 모레이 부르고뉴 알리고떼 2019 Pierre Morey Bourgogne Aligote 2019 프랑스 부르고뉴 알리고테 품종 화이트 와인 [내부링크]

시음일 2023년 1월 14일 프랑스 부르고뉴에는 샤르도네 품종 말고도 알리고테 라는 청포도 품종이 있는데 이 품종으로 만든 화이트와인으로 보통 레지오날급으로 만들어지며 수확한 포도를 스테인리스 스틸탱크에서 발효 및 12개월동안 숙성 후 병입하고 출시한다 와인 오픈 전 앞부분과 뒷부분, 옆부분 사진, 옆면에 용량과 알콜이 기재되어 있다 피에르 모레이 부르고뉴 알리고떼 2019 Pierre Morey Bourgogne Aligote 2019 종류: 화이트와인 빈티지: 2019 생산국: 프랑스 (France) 생산지: 부르고뉴 (Bourgogne) 생산자: 피에르 모레이 (Pierre Morey) 품종: 알리고테(Aligote) 100% 당도: 1.6 / 산도: 4.2 / 타닌: 1 / 바디: 3.2 알콜: 13.5% 시음온도: 9~12도 용량: 750ml 가격대: 4만원대 수입사: 에노테카코리아 구매처: 에노테카 직영 와인샵 - 테이스팅 노트 와인 글라스: 레만 글라스 호미지 45 C

[레드] 미켈레 끼아를로 바르바레스코 아실리 2016 Michele Chiarlo Barbaresco Asili 2016 이태리 피에몬테 네비올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3년 1월 21일 이탈리아 피에몬테에서도 바르바레스코 지역, 아실리라는 크뤼 포도원에서 생산되는 네비올로로 만드는 바르바레스코 DOCG 와인으로 수확한 포도를 55hl 오크통에서 껍질과 함께 17~18일동안 부드럽게 발효 및 침용을 거치고 27~30도의 온도에서 캡을 적시는 샤워 시스템과 젖산발효(MLF)를 진행한다, 이후 최소 2년 이상 숙성에 사용한 일반적인 크기의 오크 배럴에서 18개월 동안 숙성하고 병입 전 정제를 거친다 와인 오픈 전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미켈레 끼아를로 바르바레스코 아실리 2016 Michele Chiarlo Barbaresco Asili 2016 종류: 레드와인 빈티지: 2016 생산국: 이탈리아 (Italy) 생산지: 피에몬테 (Piemonte) -> 바르바레스코 (Barbaresco) 생산자: 미켈레 끼아를로 (Michele Chiarlo) 품종: 네비올로(Nebbiolo) 100% 당도: 1.4 / 산도: 3.9 / 타닌: 3.4 / 바

[샴페인] 플뢰리 로제 드 쎄니에 브뤼 Fleury Rose de Saignee Brut 프랑스 샹파뉴 로제 샴페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3년 1월 24일 프랑스 샹파뉴에서 만들어지는 로제 샴페인은 보통 일반 샴페인에 레드와인을 소량 블렌딩하는 방식 혹은 짧은 침용을 통해 색을 얻으나 이 샴페인은 피노누아 100%로 만들며 침용시간을 약간 더 길게해서 색과 타닌을 얻어 만든다, 30년 된 수령의 포도나무에서 2015년에 수확한 포도를 베이스로 온도가 조절되는 스테인리스 스틸 탱크에서 발효 및 젖산발효(MLF)도 같이 진행하며 이후 2016년 병입을 할때 오크통에서 솔레라 방식으로 숙성한 리저브 와인을 블렌딩, 2021년 1월에 데고르주망을 했다 오픈 전 와인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플뢰리 로제 드 쎄니에 브뤼 Fleury Rose de Saignee Brut 종류: 스파클링와인 -> 샴페인 빈티지: 2015 베이스 + 리저브 와인 (리저브 비율 미표기) 생산국: 프랑스 (France) 생산지: 샹빠뉴 (Champagne) 생산자: 플뢰리 (Fleury) 품종: 피노 누아(Pinot Noir) 100% 당도:

[레드] 알루아도 알리칸테 부쉐 2020 Aluado Alicante Bouschet 2020 포르투갈 알리칸테 부세 품종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3년 1월 29일 포르투갈에서 리스본 지역의 레드와인으로 알리칸테 부쉐라는 본래는 남프랑스의 적포도 품종이나 포르투갈에서 가성비 좋게 생산해내는 와인으로 수확한 포도를 줄기는 제거하고 침용과 선별된 효모로 발효를 진행하며 온도조절과 젖산발효(MLF)를 진행하며 발효 후 머스트를 30일 동안 담가둔다, 이후 프렌치 오크 배럴에서 6개월동안 숙성한다 와인 오픈 전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알루아도 알리칸테 부쉐 2020 Aluado Alicante Bouschet 2020 종류: 레드와인 빈티지: 2020 생산국: 포르투갈 (Portugal) 생산지: 리스본 (Lisboa) 생산자: DFJ 비노스 (DFJ Vinhos) 품종: 알리칸테 부쉐 (Alicante Bouschet) 100% 당도: 1.8 / 산도: 3.4 / 타닌: 3.2 / 바디: 3.4 알콜: 13% 시음온도: 16~18도 용량: 750ml 가격대: 2만원대 수입사: 레드와인 앤 제이와이 구매처: 비노클럽 - 테

[화이트] 얄룸바 버질리어스 비오니에 2018 Yalumba Virgilius Viognier 2018 호주 이든밸리 비오니에 화이트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3년 2월 4일 호주 사우스 오스트레일리아, 바로사에서도 에덴밸리에서 생산되는 고향이 프랑스인 국제품종 비오니에로 만드는 화이트와인으로 손으로 수확한 포도를 여러번 숙성에 사용된 프렌치 오크통에서 발효를 진행하며 야생효모로 발효하고 이후 프렌치 오크 배럴에서 10개월 숙성한다 와인 오픈 전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얄룸바 버질리어스 비오니에 2018 Yalumba Virgilius Viognier 2018 종류: 화이트와인 빈티지: 2018 생산국: 호주 (Australia) 생산지: 사우스 오스트레일리아 (South Australia) -> 에덴밸리 (Eden Valley) 생산자: 얄룸바 (Yalumba) 품종: 비오니에(Viognier) 100% 당도: 1.5 / 산도: 3.6 / 타닌: 1 / 바디: 3.7 알콜: 13% 시음온도: 11~14도 용량: 750ml 가격대: 7만원대 수입사: 나라셀라 구매처: 롯데백화점 와인갤러리 - 테이스팅 노트 와인 글라스: 잘토 덴

[레드] 제이 로어 와일드플라워 발디귀에 2021 J.Lohr Wildflower Valdiguie 2021 미국 캘리포니아 나파 가메 발디기에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3년 2월 5일 미국 캘리포니아, 몬터레이 카운티의 와인으로 여기서 재배하고 수확한 발디기에(Valdiguie)라는 적포도 품종으로 만든 레드와인으로 수확한 포도를 스테인리스 스틸 탱크에서 발효 및 숙성까지 진행한다 와인 오픈 전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제이 로어 와일드플라워 발디귀에 2021 J.Lohr Wildflower Valdiguie 2021 종류: 레드와인 빈티지: 2021 생산국: 미국 (USA) 생산지: 캘리포니아 (California) -> 몬터레이 카운티 (Monterey County) 생산자: 제이 로어 빈야드&와이너리 (J.Lohr Vineyards&Wines) 품종: 발디기에(Valdiguie) 100% 당도: 1.7 / 산도: 4 / 타닌: 2.8 / 바디: 3.1 알콜: 12.5% 시음온도: 14~16도 용량: 750ml 가격대: 3만원대 수입사: 바쿠스 구매처: 몽뱅 - 테이스팅 노트 와인 글라스: 리델 소믈리에 레드타이 버건디 그랑크뤼 (Ri

[피노데샤랑트] 레이냑 피노 데 샤랑트 로제 NV Reynac Pineau des Charentes Rose NV 프랑스 꼬냑 피노 데 샤랑떼 주정 강화 와인 [내부링크]

시음일 2023년 2월 11일 프랑스 꼬냑 지역의 피노 데 샤랑트라는 주정강화 와인으로 까베르네 소비뇽, 까베르네 프랑, 멜롯까지 세가지 품종을 블렌딩하여 발효전에 이 지역 특색에 따라 오드비인 꼬냑을 첨가하여 발효를 중단시키고 이후 프렌치 오크에서 최소 8개월 이상 숙성한다 와인 오픈 전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레이냑 피노 데 샤랑트 로제 NV Reynac Pineau des Charentes Rose NV 종류: 주정강화와인 -> 피노 데 샤랑트 빈티지: NV (Non Vintage) 생산국: 프랑스 (France) 생산지: 꼬냑 (Cognac) 생산자: 레이냑 피노 데 샤랑트 (Reynac Pineau des Charentes) 품종: 카베르네 소비뇽(Cabernet Sauvignon), 카베르네 프랑(Cabernet Franc), 메를로(Merlot) 당도: 4.7 / 산도: 2.9 / 타닌: 1 / 바디: 4.2 알콜: 17% 시음온도: 10~15도 용량: 500ml 가격대:

[레드] 아마란타 몬테풀치아노 다부르쪼 2018 Amaranta Montepulciano d'Abruzzo 2018 코스트코 이태리 아부르쪼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3년 2월 17일 이탈리아 아부르쪼 지역의 레드와인으로 이 지역의 대표 토착품종인 몬테풀치아노로 만들며 수확할때 선별하여 수확하는데 일부는 과숙한 포도를 수확하며 15~20일을 침용하고 24~26도의 온도가 제어되는 스테인리스 스틸 탱크에서 발효 후 고급 프렌치 오크 및 미국 오크 바리크에서 9~12개월 숙성한다 와인 오픈 전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아마란타 몬테풀치아노 다부르쪼 2018 Amaranta Montepulciano d'Abruzzo 2018 종류: 레드와인 빈티지: 2018 생산국: 이탈리아 (Italy) 생산지: 아부르쪼(Abruzzo) 생산자: 테누타 울리세 (Tenuta Ulisse) 품종: 몬테풀치아노(Montepulciano) 100% 당도: 1.8 / 산도: 3.5 / 타닌: 3.4 / 바디: 3.9 알콜: 14% 시음온도: 16~18도 용량: 750ml 가격대: 3만원대 수입사: 문도비노 구매처: 코스트코 - 테이스팅 노트 와인 글라스: 리델 소

[빈티지차트] 2023 WE 와인 빈티지 차트 2023 WE Vintage Chart 점수 평가 리포트 Wine Enthusiast 로버트 파커 Wine Spectator [내부링크]

드디어 2023년 올해도 어김없이 와인 엔수지아스트에서 빈티지 차트가 나왔다! 아무래도 와인을 구매하면서 제일 접근성 좋게 그 해의 빈티지가 어땠는지를 참고할수 있는게 이 빈티지 차트가 아닐까 싶다, 작년 빈티지 차트 대비 역시 같은 해의 점수가 조금씩 변경된 국가의 지역이 존재하니 올해 업데이트가 새로이 된 이 빈티지 차트를 참고하면 될듯하다 참고로 하기의 표는 'Wine Enthusiast'의 표로 대중적으로 제일 보기 좋게 만든다, 줄여서 WE라고 부르며 'Wine Spectator'(WS)와 'Robert Parker'(RP) 의 빈티지 차트의 점수와도 다른 성향을 보인다 - 출저 Wine Enthusiast 및 Wine Spectator, Wine Advocate의 Vintage Chart에서 퍼옴 밑에 표에 보게 될 박스에서 당연히 숫자는 점수며 박스의 색깔에 따라 숙성을 해야 될지 최악은 마실 수 없는 와인일지 보여준다 [Ratings] 98 - 100 : 최상위(권위있

[위스키] 아마하간 월드 몰트 에디션 NO 3 Amahagan World Molt Edition NO 3 일본 재패니즈 블렌디드 몰트 위스키 추천 [내부링크]

첫 시음일 2023년 1월 14일 일본 재패니즈 위스키 중 최근 주가가 상승하고 있는 위스키로 교토, 시가현 비와호수 북부에 위치한 증류소로 일본에서 가장 작은 증류소중 하나인 나가하마 증류소에서 자체적으로 증류한 몰트 위스키 원액과 스코틀랜드를 비롯, 유명 각 나라별로 가져온 몰트 위스키 원액을 블렌딩 하고 버번 배럴에서 3년 숙성 후 일본의 참나무인 미즈나라 우드(Quercus Crispula) 캐스크에서 추가 숙성한다, 냉각 여과와 색소 첨가를 하지 않는다 위스키 오픈 전 케이스와 병의 앞부분, 뒷부분 각 레이블 사진 아마하간 월드 몰트 에디션 NO 3 Amahagan World Molt Edition NO 3 종류: 재패니즈 위스키 숙성연수: 3년 생산국: 일본 (Japan) 생산지: 교토 (Kyoto) -> 시가현 (Shiga-ken) 생산자: 나가하마 증류소 (NAGAHAMA Roman Brewery) 재료: 보리 맥아(Orge Malt) 100% 당도: 3.9 / 집중도

[화이트] 비에티 로에로 아네이스 2020 Vietti Roero Arneis 2020 이태리 아르네이스 품종 화이트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3년 2월 18일 이탈리아 북부 피에몬테에서도 로에로라는 생산지에서 유명한 아르네이스 품종으로 만든 화이트와인, 평균 수령은 27년 정도의 나무에서 수확한 포도를 줄기제거와 부드러운 압착, 스테인리스 스틸 탱크에서 14~16도의 온도로 천천히 알콜 발효를 하며 발효 중간 탱크를 밀봉하여 소량의 천연 CO2가 녹아들겠금한다, 이후 젖산발효는 생략하고 스테인리스 스틸 탱크에서 숙성하며 리숙성(효모앙금숙성, Sur Lie, Lees Contact)도 같이 진행한다, 코르크는 디암 5년이다 와인 오픈 전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비에티 로에로 아네이스 2020 Vietti Roero Arneis 2020 종류: 화이트와인 빈티지: 2020 생산국: 이탈리아 (Italy) 생산지: 피에몬테 (Piemonte) -> 로에로 (Roero) 생산자: 비에티 (Vietti) 품종: 아르네이스(Arneis) 100% 당도: 1.6 / 산도: 4.1 / 타닌: 1 / 바디: 3.2 알콜: 13

[레드] 도피오 파소 프리미티보 2021 Doppio Passo Primitivo 2021 이태리 풀리아 프리미티보 품종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3년 2월 19일 이탈리아 뿔리아 지역의 유명품종이자 미국의 진판델(Zinfandel) 품종과 형제 혹은 같은 품종으로 유명한 프리미티보로 만든 레드와인으로 수확시 완전히 익은 포도를 수확하여 침용과 발효 중 포도의 말린 껍질을 한번 더 중간에 넣어서 독특한 풍미를 낸다, 이후 스테인리스 스틸 탱크에서 숙성한다 와인 오픈 전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도피오 파소 프리미티보 2021 Doppio Passo Primitivo 2021 종류: 레드와인 빈티지: 2021 생산국: 이탈리아 (Italy) 생산지: 뿔리아 (Puglia) 생산자: 보터 (Botter) 품종: 프리미티보(Primitivo) 100% 당도: 1.9 / 산도: 3.3 / 타닌: 3.2 / 바디: 3.7 알콜: 13% 시음온도: 16~18도 용량: 750ml 가격대: 만원대 수입사: 인디팬던트리쿼코리아 구매처: CU편의점 및 세븐일레븐 - 테이스팅 노트 와인 글라스: 리델 소믈리에 올 블랙타이 BB 보르도 그

[레드] 카잘 파르네토 라크리마 2018 Casal Farneto Lacrima 2018 이태리 마르케 라크리마 디 모로 달바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3년 2월 25일 이탈리아 마르케 지역의 토착 품종인 라크리마 품종으로 만든 레드와인으로 9월에서 10월에 손으로 수확한 포도를 줄기는 분리하고 껍질과 침용은 약 6일동안 진행하며 온도 조절이 되는 스테인리스 스틸 탱크에서 발효 후 정제를 거치고 4개월 숙성 후 병으로 옮겨져 추가 2개월 숙성한다 와인 오픈 전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카잘 파르네토 라크리마 2018 Casal Farneto Lacrima 2018 종류: 레드와인 빈티지: 2018 생산국: 이탈리아 (Italy) 생산지: 마르케 (Marche) 생산자: 카잘 파르네토 (Casal Farneto) 품종: 라크리마(Lacrima) 100% 당도: 1.6 / 산도: 3.8 / 타닌: 2.7 / 바디: 3.4 알콜: 13% 시음온도: 14~16도 용량: 750ml 가격대: 2만원대 수입사: 엘비 구매처: 와인공간 - 테이스팅 노트 와인 글라스: 시도니오스 르 쎕뗀뜨리오날 (Sydonios Le Septentrion

[스파클링] 파스칼 토소 브뤼 NV Pascual Toso Brut NV 아르헨티나 멘도자 샤르도네 스파클링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3년 3월 1일 아르헨티나 멘도사에서 만들어지는 블랑 드 블랑(Blanc de Blanc) 스타일의 스파클링 와인으로 샤르도네 100%로 수확한 포도를 스테인리스 스틸 탱크에서 샤르마 방식(Methode Charmat)으로 발효와 3개월 동안 숙성을 거치며 이후 병입 전 여과를 거쳐 병에서 3개월 추가 숙성을 거친다 와인 오픈 전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파스칼 토소 브뤼 NV Pascual Toso Brut NV 종류: 스파클링와인 빈티지: NV (Non Vintage) 생산국: 아르헨티나 (Argentina) 생산지: 멘도사 (Mendoza) 생산자: 파스칼 토소 (Pascual Toso) 품종: 샤르도네(Chardonnay) 100% 당도: 1.8 / 산도: 3.6 / 타닌: 1 / 바디: 3.4 잔류당: 8.05g/L (리터당 잔여당) 알콜: 11.5% 시음온도: 8~11도 용량: 750ml 가격대: 만원대 수입사: 까사데멘도사 구매처: WCH와인샵 - 테이스팅 노트

[레드] 1865 셀렉티드 빈야드 까베르네 소비뇽 2021 1865 Selected Vineyard Cabernet Sauvignon 2021 편의점 중저가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3년 3월 4일 칠레 마이포밸리에서 선별한 포도원의 포도를 수확하여 만든 와인으로 1865는 와이너리의 설립연도를 뜻하지만 또 골프용어인 18홀 65타라는 별칭도 가지고 있다, 수확한 포도를 27도 이하의 온도에서 8~10일간 발효 및 하루 3회 펌핑오버를 한다, 이후 프렌치 오크통에서 12개월 숙성을 하며 이 중 30%는 새 오크통에서 숙성한다 와인 오픈 전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예전에 비하면 레이블이 상당히 세련되게 바뀌었다 1865 셀렉티드 빈야드 까베르네 소비뇽 2021 1865 Selected Vineyard Cabernet Sauvignon 2021 종류: 레드와인 빈티지: 2021 생산국: 칠레 (Chile) 생산지: 마이포 밸리(Maipo Valley) 생산자: 산 페드로 (San Pedro) 품종: 카베르네 소비뇽(Cabernet Sauvignon) 100% 당도: 1.8 / 산도: 3.6 / 타닌: 3.4 / 바디: 3.8 알콜: 14% 시음온도: 1

[와인글라스] 조세핀 유니버셜, 레드 와인잔 Josephinen No2, No3 와인 글라스 무게 및 비교 추천 사용 리뷰 [내부링크]

구매일 2023년 3월 7일 특징: 오스트리아산 명품 와인글라스이자 잘토의 후속작이고 평을 받고 있는 와인잔으로 2022년부터 유명세를 타고 국내 와인 애호가들의 많은 사랑을 받게 되었고 실제로 잘토 브랜드의 이름을 걸고 메인 디자인을 했던 Kurt Zalto라는 디자이너가 잘토를 나와 새롭게 이름을 걸고 만든 브랜드의 와인잔으로 그동안의 노하우를 바탕으로 새롭게 만든 와인잔이다, 그래서인지 자연스럽게 잘토와 비교를 할 수 밖에 없는 대상이며 좀 더 가벼워지고 독특한 디자인이 특징이다 조세핀 No 3 레드 와인 조세핀 No 2 유니버셜 조세핀 No 3 레드 와인 Josephinen No 3 Red Wine 스펙 국가: 오스트리아 소재: 무연 크리스탈 공정: 핸드메이드 높이: 24cm 용량: 800ml 무게: 103g (직접 측정한 무게, 핸드메이드라 조금씩 편차가 있음) 사용기 조세핀에서는 버건디와 보르도를 구분짓지 않고 그냥 레드와인잔 하나다, 그래서 레드와인 마실때 좀 더 편

[화이트] 얀 샤브 크로즈 에르미타주 블랑 2018 Yann Chave Crozes Hermitage Blanc 2018 프랑스 북 론 막싼 후싼 화이트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3년 3월 11일 프랑스, 론에서도 북부 론(Northen Rhone)의 크로즈-에르미타주 지역의 화이트와인으로 대표 품종인 마르산느 70%, 루산느 30%로 만들며 수확한 포도를 적당한 압착 후 포도의 자연효모, 즉 천연효모로 발효를 하며 온도는 18도를 초과하지 않도록 온도가 조절되는 스테인리스 스틸탱크에서 진행하고 이후 6개월을 스테인리스 스틸 탱크에서 숙성한다 와인 오픈 전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얀 샤브 크로즈 에르미타주 블랑 2018 Yann Chave Crozes Hermitage Blanc 2018 종류: 화이트와인 빈티지: 2018 생산국: 프랑스 (France) 생산지: 론 (Rhone) -> 크로즈-에르미타주 (Crozes-Hermitage) 생산자: 얀 샤브 (Yann Chave) 품종: 마르산느(Marsanne) 70%, 루산느(Roussanne) 30% 당도: 1.5 / 산도: 3.3 / 타닌: 1 / 바디: 3.2 알콜: 13% 시음온도: 11~

[레드] 689 셀라즈 서브미션 까베르네 소비뇽 2019 689 Cellars Submission Cabernet Sauvignon 2019 미국 카베르네 소비뇽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3년 3월 12일 미국 캘리포니아에서도 소노마 카운티(Sonoma County), 나파 밸리(Napa Valley), 로디(Lodi), 멘도시노 카운티(Mendocino County)에서 선별한 카베르네 소비뇽 85%, 메를로 10%, 쁘띠 베르도 5%의 보르도 블렌딩으로 발효 후 프렌치 오크 배럴에서 30%의 새 오크 비율로 숙성한다 와인 오픈 전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앞부분 레이블에 까끌까끌한 질감이 독특하다 689 셀라즈 서브미션 까베르네 소비뇽 2019 689 Cellars Submission Cabernet Sauvignon 2019 종류: 레드와인 빈티지: 2019 생산국: 미국 (U.S.A) 생산지: 캘리포니아 (California) 생산자: 689 셀라즈 (689 Cellars) 품종: 카베르네 소비뇽(Cabernet Sauvignon) 85%, 메를로(Merlot) 10%, 쁘띠 베르도(Petit Verdot) 5% 당도: 2 / 산도: 3.5 / 타닌

[레드] 레 비뉴 Z 랑테흔 후즈 2020 Les Vignes Z Lanterne Rouge 2020 프랑스 루아르 그롤로 누아 품종 내추럴 레드 와인 [내부링크]

시음일 2023년 3월 15일 프랑스 루아르 지역의 내추럴 레드와인으로 그롤로 누아라는 생소한 품종 100%로 만들며 수확한 포도를 12일간 세미탄산침용, 가볍게 으깬 포도를 30% 정도는 밑에 깔고 그 위에 포도 전체를 올려 무게에 의해 포도가 으깨지고 발효가 되도록 하며 청징, 여과를 하지않고 스테인리스 스틸 탱크에서 숙성한다 오픈 전 와인 앞부분과 옆부분 사진, 뒷면에는 그냥 수입사 라벨이라 안찍었다 레 비뉴 Z 랑테흔 후즈 2020 (랑테른 루즈) Les Vignes Z Lanterne Rouge 2020 종류: 레드와인 빈티지: 2020 생산국: 프랑스 (France) 생산지: 루아르(Loire) 생산자: 토마스 주바크 (Thomas Zurbach) 품종: 그롤로 누아(Grolleau Noir) 100% 당도: 1.4 / 산도: 3.7 / 타닌: 2.7 / 바디: 2.8 알콜: 11.5% 시음온도: 13~15도 용량: 750ml 가격대: 5만원대 수입사: 조이인터네셔날 구매

[피노데샤랑트] 레이냑 피노 데 샤랑트 블랑 NV Reynac Pineau des Charentes Blanc NV 프랑스 꼬냑 피노 데 샤랑떼 주정 강화 와인 [내부링크]

시음일 2023년 3월 18일 프랑스 꼬냑 지역의 피노 데 샤랑트라는 주정강화 와인으로 로제와 블랑 두가지 스타일 중 이번엔 블랑이다, 우니 블랑, 폴레 블랑슈, 콜롱바르 세가지 품종을 블렌딩하여 발효전에 이 지역 특색에 따라 오드비인 꼬냑을 첨가하여 발효를 중단시키고 이후 프렌치 오크에서 최소 8개월 이상 숙성한다 와인 오픈 전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레이냑 피노 데 샤랑트 블랑 NV Reynac Pineau des Charentes Blanc NV 종류: 주정강화와인 -> 피노 데 샤랑트 빈티지: NV (Non Vintage) 생산국: 프랑스 (France) 생산지: 꼬냑 (Cognac) 생산자: 레이냑 피노 데 샤랑트 (Reynac Pineau des Charentes) 품종: 우니 블랑(Ugni Blanc), 폴레 블랑슈(Folle Blanche), 콜롱바르(Colombard) 당도: 5 / 산도: 2.7 / 타닌: 1 / 바디: 4.6 알콜: 17% 시음온도: 6~9도 용량:

[화이트] 맥매니스 비오니에 2020 McManis Viognier 2020 미국 캘리포니아 River Junction AVA 비오니에 화이트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3년 3월 25일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비오니에 품종으로 만든 화이트와인으로 품종 100%라고 표기되어있지만 사실 소량의 슈냉 블랑(Chenin Blanc)과 Muscat Canelli 품종을 블렌딩하여 향을 좀 더 풍성하게 한다, 이후 발효와 숙성을 모두 스테인리스 스틸 탱크에서 진행한다 와인 오픈 전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맥매니스 비오니에 2020 McManis Viognier 2020 종류: 화이트와인 빈티지: 2020 생산국: 미국 (USA) 생산지: 캘리포니아 (California) 생산자: 맥매니스 와이너리 (McManis Winery) 품종: 비오니에(Viognier) 100% 당도: 1.6 / 산도: 3.5 / 타닌: 1 / 바디: 3.8 알콜: 13.5% 시음온도: 10~14도 용량: 750ml 가격대: 4만원대 수입사: 와인투유코리아 구매처: 신세계백화점 와인하우스 - 테이스팅 노트 와인 글라스: 조세핀 No 2 유니버셜 (Josephinen No 2 U

[레드] 샤또 삐뽀 생떼밀리옹 그랑 크뤼 2018 Chateau Pipeau Saint-Emilion Grand Cru 2018 프랑스 보르도 생떼밀리옹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3년 4월 2일 프랑스 보르도에서 우안지역인 생-떼밀리옹 그랑 크뤼 지역에서 재배 및 수확 후 양조한 샤또의 와인으로 메를로 90%, 카베르네 소비뇽 5%, 카베르네 프랑 5%의 비율로 블렌딩하고 발효 후 100% 새 오크 배럴에서 12개월을 숙성한다 와인 오픈 전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샤또 삐뽀 생떼밀리옹 그랑 크뤼 2018 Chateau Pipeau Saint-Emilion Grand Cru 2018 종류: 레드와인 빈티지: 2018 생산국: 프랑스 (France) 생산지: 보르도 (Bordeaux) -> 생-떼밀리옹 그랑 크뤼 (Saint-Emilion Grand Cru) 생산자: 샤또 삐또 (Chateau Pipeau) 품종: 메를로(Merlot) 90%, 카베르네 소비뇽(Cabernet Sauvignon) 5%, 카베르네 프랑(Cabernet Franc) 5% 당도: 1.6 / 산도: 3.6 / 타닌: 3.5 / 바디: 3.7 알콜: 14% 시음온도: 16~18

[화이트] 돈나푸가타 리게아 2020 Donnafugata Lighea 2020 이탈리아 지비보 품종 화이트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3년 4월 9일 이탈리아 시칠리아 섬에서 지비보 라는 청포도 품종으로 만든 화이트 와인으로 수확한 포도를 압착하고 스테인리스 스틸 탱크에서 14~16도의 온도조절을 하며 발효, 이후 스테인리스 스틸 탱크에서 2개월 숙성, 병입 후 3개월 숙성한다 와인 오픈 전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돈나푸가타 리게아 2020 Donnafugata Lighea 2020 종류: 화이트와인 빈티지: 2020 생산국: 이탈리아 (Italy) 생산지: 시칠리아 (Sicilia) 생산자: 돈나푸가타 (Donnafugata) 품종: 지비보(Zibibbo) 100% 당도: 1.6 / 산도: 3.3 / 타닌: 1 / 바디: 3.5 알콜: 12.5% 시음온도: 9~12도 용량: 750ml 가격대: 3만원대 수입사: 나라셀라 구매처: 롯데백화점 와인갤러리 - 테이스팅 노트 와인 글라스: 지허 비전 스트레이트 화이트 (Zieher Vison Straight White) 지허 화이트 와인잔, 다른잔에 비해 용도

[로제] 도멘 데 디아블 로제 봉봉 2021 Domaine des Diables Rose Bonbon 2021 프랑스 프로방스 로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3년 4월 15일 프랑스 프로방스 (Provence) 지역에서도 꼬뜨 드 프로방스 (Cotes de Provence)라는 생산지에서 재배 및 생산되는 로제와인으로 쌩쏘 50%, 시라/쉬라즈 30%, 그르나슈 20%의 비율로 수확한 포도를 스테인리스 스틸 탱크에서 3시간동안 사전 발효 및 저온에서 침용, 저온에서 발효하고 6개월을 숙성하며 효모앙금숙성(리 숙성, on the Lees)도 같이 진행한다 오픈 전 와인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도멘 데 디아블 로제 봉봉 2021 Domaine des Diables Rose Bonbon 2021 종류: 로제와인 빈티지: 2021 생산국: 프랑스 (France) 생산지: 프로방스 (Provence) -> 꼬뜨 드 프로방스 (Cotes de Provence) 생산자: 도멘 데 디아블 (Domaine des Diables) 품종: 쌩쏘(Cinsault) 50%, 시라/쉬라즈(Syrah/Shiraz) 30%, 그르나슈(Grenache) 2

[레드] 돈나푸가타 술 불카노 에트나 로쏘 2017 Donnafugata Sul Vulcano Etna Rosso 2017 이탈리아 시칠리아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3년 4월 16일 이탈리아 남쪽 시칠리아, 에트나라는 화산으로 유명한 이 생산지에서 만들어지는 레드와인으로 네렐로 마스칼레제 품종 기반에 소량의 네렐로 카푸치오를 블렌딩하며 수확한 포도를 최신 시스템을 통해 선별하고 스테인리스 스틸 탱크에서 25도의 온도로 8~10일 동안 침용과 발효를 진행하며 이후 일부는 스테인리스 스틸 탱크에서, 또 나머진 2~3번 숙성에 사용되었던 프렌치 오크 바리크에서 14개월을 숙성하며 이후 병입하고 7개월 보관 후 출시한다 와인 오픈 전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돈나푸가타 술 불카노 에트나 로쏘 2017 Donnafugata Sul Vulcano Etna Rosso 2017 종류: 레드와인 빈티지: 2017 생산국: 이탈리아 (Italy) 생산지: 시칠리아 (Sicilia) -> 에트나 (Etna) 생산자: 돈나푸가타 (Donnafugata) 품종: 네렐로 마스칼레제(Nerello Mascalese), 네렐로 카푸치오(Nerello Cappucc

[오렌지] 에체베리아 로미 오렌지 소비뇽 블랑 2021 Echeverria Romi Orange Sauvignon Blanc 2021 칠레 소비뇽 블랑 오렌지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3년 4월 18일 "오렌지 와인은 오렌지로 만들지 않고 순수 청포도로만 만듭니다" 칠레 쿠리코 밸리에서 생산되는 내추럴 오렌지와인으로 소비뇽 블랑 100%로 유기농으로 재배하고 수확한 포도를 중성 프렌치 오크에서 45일 침용과 발효 과정을 거치며 이후 1년을 숙성한다, 병입 전 청징, 여과, 이산화황은 첨가 없이 병입한다 와인 오픈 전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에체베리아 로미 오렌지 소비뇽 블랑 2021 Echeverria Romi Orange Sauvignon Blanc 2021 종류: 오렌지와인 (앰버와인) 빈티지: 2021 생산국: 칠레 (Chile) 생산지: 쿠리코 밸리 (Curico Valley) 생산자: 에체베리아 (Echeverria) 품종: 소비뇽 블랑(Sauvignon Blanc) 100% 당도: 1.6 / 산도: 3.9 / 타닌: 2.5 / 바디: 3.4 알콜: 13.5% 시음온도: 11~13도 용량: 750ml 가격대: 4만원대 수입사: 지에프비노 구매처

[스파클링] 살타레 MCC 브뤼 나뛰르 NV Saltare Methode Cap Classique Brut Nature NV 남아공 스파클링 와인 메쏘드 캡 클라시크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3년 4월 22일 남아공, 웨스턴 케이프에서 스텔렌보쉬 지역의 가장 서늘한 생산지에서 Biodynamic 방식으로 재배한 피노 누아 55%와 로버트슨(Robertson) 지역의 선별 된 샤르도네 45%를 손으로 수확하여 홀펀치로 압착한 뀌베를 오크배럴과 스테인리스 스틸 탱크에서 발효 및 6개월을 리 숙성(Lees, Sur Lie)을 하고 20%의 리저브와인을 또 블렌딩한다, 이후 병입하고 2차 발효 후 18개월 숙성하고 데고르주망을 한다 와인 오픈 전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살타레 메쏘드 캡 클라시크 브뤼 나뛰르 NV Saltare Methode Cap Classique Brut Nature NV 종류: 스파클링와인 빈티지: NV (Non Vintage) 생산국: 남아프리카 공화국 (the Republic of South Africa) 생산지: 웨스턴 케이프 (Western Cape) 생산자: 살타레 (Saltare) 품종: 피노 누아(Pinot Noir) 55%, 샤르도

[레드] 후안길 실버 라벨 2020 Juan Gil Jumilla Silver Label 2020 스페인 후미야 모나스트렐 무르베드르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3년 4월 29일 스페인 후미야 지역에서 모나스트렐 품종으로 만든 레드와인으로 수령이 오래된 나무가 많은 포도원에서 수확하며 발효 후 프랑스산 목재(?)와 접촉하여 숙성한다 와인 오픈 전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후안길 실버 라벨 2020 Juan Gil Jumilla Silver Label 2020 종류: 레드와인 빈티지: 2020 생산국: 스페인 (Spain) 생산지: 후미야 (Jumilla) 생산자: 보데가스 후안길 (Bodegas Juan Gil) 품종: 모나스트렐(Monastrell) 100% 당도: 1.9 / 산도: 3.7 / 타닌: 3.7 / 바디: 4 알콜: 15% 시음온도: 16~18도 용량: 750ml 가격대: 3만원대 수입사: 케이엔제이와인앤스피리츠 구매처: 와인공간 - 테이스팅 노트 와인 글라스: 자페라노 울트라 라이트 보르도 (Zafferano Ultra Light Bordeaux) 자페라노 울트라 라이트 보르도, 참 예쁘게 생겼지만 스월링이 그렇게

[화이트] 벨레노시 베르디키오 데이 까스텔리 디 예지 2019 Velenosi Verdicchio dei Castelli di Jesi 2019 이탈리아 베르디끼오 품종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3년 4월 30일 이탈리아 마르케 지역에서 베르디키오 비앙코 라는 청포도 품종으로 만든 화이트와인으로 수확한 포도를 부드럽게 분쇄하고 약간의 압착을 거쳐 주스를 만들고 온도가 제어되는 스테인리스 스틸 탱크에서 발효 및 숙성을 거친다 와인 오픈 전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벨레노시 베르디키오 데이 까스텔리 디 예지 2019 Velenosi Verdicchio dei Castelli di Jesi 2019 종류: 화이트와인 빈티지: 2019 생산국: 이탈리아 (Italy) 생산지: 마르케 (Marche) 생산자: 벨레노시 (Velenosi) 품종: 베르디키오 비앙코(Verdicchio Bianco) 100% 당도: 1.5 / 산도: 3.9 / 타닌: 1 / 바디: 3.5 알콜: 13% 시음온도: 10~13도 용량: 750ml 가격대: 3만원대 수입사: 더뱅셀렉션 구매처: 라빈리커스토어 - 테이스팅 노트 와인 글라스: 자페라노 울트라 라이트 루아르 (Zafferano Ultra

[레드] 라이놀디 스포르자또 디 발텔리나 프루따이오 까리찌에리 2018 Rainoldi Sforzato di Valtellina Fruttaio Ca'Rizzieri 2018 와인 [내부링크]

시음일 2023년 5월 5일 이탈리아 롬바르디아 지역에서도 발텔리나라는 소지역에서 생산되며 특히 발텔리나 수페리오레 (Valtellina Superiore)라는 생산지의 네비올로로 아파시멘토 과정을 거쳐 아마로네처럼 만든 와인이다, 해발 400~650m에서 재배하고 수확한 포도를 해발 500m의 높이의 asl에서 약 두달동안 건조한 후 침용과 발효, 압착을 거치고 이후 18개월간 작은 오크통에서 숙성한다, 병입 전 스테인리스 스틸 탱크에서 블렌딩하고 두달을 안정화 후 병입하고 1년동안 어둡고 서늘한 지하실에서 병숙성을 진행한다 오픈 후 와인의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라이놀디 스포르자토 디 발텔리나 프루타이오 카리치에리 2018 Rainoldi Sforzato di Valtellina Fruttaio Ca'Rizzieri 2018 종류: 레드와인 빈티지: 2018 생산국: 이탈리아 (Italy) 생산지: 롬바르디아 (Lombardia) -> 발텔리나 (Valtellina) 생산자: 알도

[크레망] 도멘 피니에 크레망 드 쥐라 브뤼 나뚜르 NV Domaine Pignier Cremant du Jura Brut Nature NV 프랑스 쥐라 스파클링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3년 5월 6일 프랑스 쥐라 라는 지역에서 생산되는 포도로 샴페인처럼 전통방식으로 만든 스파클링 와인으로 프랑스의 대표 8지역에서는 각 지역의 명칭을 따 크레망이라고 부른다, 그 중 쥐라 지역의 크레망으로 샤르도네 85%, 피노 누아 15% 비율로 수확한 포도를 야생효모로 발효 후 오크배럴에서 숙성하고 병입 및 2차 병 발효와 숙성을 15~18개월 하고 이후 데고르주망을 실시한다, 추가 도사쥬는 없다 와인 오픈 전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도멘 피니에 크레망 드 쥐라 브뤼 나뚜르 NV Domaine Pignier Cremant du Jura Brut Nature NV 종류: 스파클링와인 -> 크레망 빈티지: NV (Non Vintage) 생산국: 프랑스 (France) 생산지: 쥐라 (Jura) 생산자: 도멘 피니에 (Domaine Pignier) 품종: 샤르도네(Chardonnay) 85%, 피노 누아(Pinot Noir) 15% 당도: 1.6 / 산도: 3.7 / 타닌:

[레드] 이기갈 지공다스 2019 E.Guigal Gigondas 2019 프랑스 남부 론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3년 5월 20일 프랑스 론 지역에서 남부 론의 지공다스라는 생산지에서 만들어지는 레드와인으로 그르나슈 70%, 시라/쉬라즈 20%, 무르베드르 10%, 비율로 블렌딩, 전통적인 침용방식으로 긴 시간동안 침용과 발효 후 오크 푸드레에서 2년동안 숙성하며 새 오크 비율을 50%다 와인 오픈 전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이기갈 지공다스 2019 E.Guigal Gigondas 2019 종류: 레드와인 빈티지: 2019 생산국: 프랑스 (France) 생산지: 론 (Rhone) -> 남부 론(Southern Rhone) -> 지공다스 (Gigondas) 생산자: 이 기갈 (E.Guigal) 품종: 그르나슈(Grenache) 70%, 시라/쉬라즈(Syrah/Shiraz) 20%, 무르베드르(Mourvedre) 10% 당도: 1.6 / 산도: 3.8 / 타닌: 3.3 / 바디: 3.7 알콜: 15% 시음온도: 16~18도 용량: 750ml 가격대: 5만원대 수입사: 신세계엘앤비 구매

[화이트] 도프 & 이리옹 그랑 크뤼 스포렌 피노 그리 2018 Dopff & Irion Grands Crus Sporen Pinot Gris 2018 프랑스 알자스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3년 5월 21일 프랑스 알자스에서 피노 그리 품종으로 만든 화이트와인으로 스포렌(Sporen)이라는 그랑크뤼 밭에서 수확한 포도로 낮은 압력으로 부드럽게 압착 후 온도가 조절되는 스테인리스 스틸 탱크에서 발효 후 4개월 동안 효모앙금숙성(리 숙성, Lees)을 진행하고 이후 9개월을 추가 숙성 후 병입하고 안정화 후 출시한다 와인 오픈 전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도프 & 이리옹 그랑 크뤼 스포렌 피노 그리 2018 Dopff & Irion Grands Crus Sporen Pinot Gris 2018 종류: 화이트와인 빈티지: 2018 생산국: 프랑스 (France) 생산지: 알자스 (Alsace) 생산자: 도프 & 이리옹 (Dopff & Irion) 품종: 피노 그리(Pinot Gris) 100% 당도: 3 / 산도: 3.4 / 타닌: 1 / 바디: 3.6 알콜: 14% 시음온도: 8~11도 용량: 750ml 가격대: 7만원대 수입사: 가자주류 구매처: 가자주류 와인샵

[레드] 아이들와일드 바르베라 폭스 힐 빈야드 2016 Idlewild Barbera Fox Hill Vineyard 2016 미국 캘리포니아 바르베라 품종 와인 [내부링크]

시음일 2023년 5월 27일 미국 캘리포니아의 멘도치노 카운티라는 생산지에서 생산되는 바르베라 품종으로 만든 레드와인으로 수확한 포도를 천연효모로 대형 슬로베니아 오크 보띠에서 발효 및 1년을 숙성하고 병입 후 추가 1년을 더 숙성한다 와인 오픈 전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아이들와일드 바르베라 폭스 힐 빈야드 2016 Idlewild Barbera Fox Hill Vineyard 2016 종류: 레드와인 빈티지: 2016 생산국: 미국 (USA) 생산지: 캘리포니아 (California) -> 멘도치노 카운티 (Mendocino County) 생산자: 아이들와일드 (Idlewild) 품종: 바르베라(Barbera) 100% 당도: 1.4 / 산도: 3.8 / 타닌: 3.5 / 바디: 3.3 알콜: 14.1% 시음온도: 14~17도 용량: 750ml 가격대: 6만원대 수입사: 보들샤크 구매처: 클론와인셀라 - 테이스팅 노트 와인 글라스: 잘토 덴크 아트 버건디 (Zalto Den'k

[크레망] 프레셔스 데이 크레망 드 보르도 브뤼 NV Precious Day Cremant de Bordeaux NV 프랑스 보르도 스파클링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3년 5월 28일 프랑스 보르도의 스파클링 와인으로 샴페인 방식과 동일한 전통방식으로 생산하며 프랑스에선 샹파뉴 이외의 지역에서 나오는 스파클링 와인을 보통 크레망(Cremant)이라고 부른다, 세미용 60%, 메를로 40%의 블렌딩하고 손으로 수확한 포도를 16~18도의 온도조절이 가능한 양조실에서 발효 후 병입 후 2차 발효, 이후 9개월 숙성하고 데고르주망을 한다 오픈 전 와인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프레셔스 데이 크레망 드 보르도 브뤼 NV Precious Day Cremant de Bordeaux NV 종류: 스파클링와인 -> 크레망 빈티지: NV (Non Vintage) 생산국: 프랑스 (France) 생산지: 보르도 (Bordeaux) 생산자: 프레셔스 데이 (Precious Day) 품종: 세미용(Semillon) 60%, 메를로(Merlot) 40% 당도: 1.7 / 산도: 3.8 / 타닌: 1 / 바디: 3.3 알콜: 11.5% 시음온도: 8~11도 용량

[레드] 엠 샤푸티에 바케라스 2020 M. Chapoutier Vaqueras 2020 프랑스 남부 론 바께라스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3년 6월 3일 프랑스 론에서도 남부 론 지역, 거기서도 바께이라 지역에서 생산되는 AOC 레드와인으로 그르나슈 기반에 무르베드르를 블렌딩하며 수확한 포도를 줄기를 제거하고 온도가 조절되는 콘크리트 탱크에서 발효 및 부드러운 펌핑 오버를 매일 진행한다, 4주간 발효 및 침용 후 주로 콘크리트 탱크와 나머진 600리터의 오크 배럴에서 12개월 숙성한다 오픈 전 와인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엠 샤푸티에 바케라스 2020 M. Chapoutier Vaqueras 2020 종류: 레드와인 빈티지: 2020 생산국: 프랑스 (France) 생산지: 론 (Rhone) -> 남부 론(Southern Rhone) -> 바께이라 (Vacqueyras) 생산자: 엠 샤푸티에 (M. Chapoutier) 품종: 그르나슈(Grenache), 무르베드르(Mourvedre) 당도: 1.6 / 산도: 3.6 / 타닌: 3.2 / 바디: 3.6 알콜: 15% 시음온도: 16~18도 용량: 750ml

[화이트] 그란바잔 리무진 알바리뇨 2018 Granbazan Limousin Albarino 2018 스페인 리야스 바이사스 화이트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3년 6월 4일 스페인 북서부의 리아스 바이사스 지역, Valle del Salnes라는 생산지에서 알바리뇨 100%로 만든 화이트와인으로 선별하여 수확한 포도를 줄기를 제거하고 8~10시간 동안 낮은 온도에서 껍질과 침용한다, 이후 스테인리스 스틸 탱크에서 발효하고 프렌치 오크 배럴에서 4~6개월 숙성을 진행한다 와인 오픈 전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와인이 셀러 길이보다 더 길어서 보관이 좀 힘들다 그란바잔 리무진 알바리뇨 2018 Granbazan Limousin Albarino 2018 종류: 화이트와인 빈티지: 2018 생산국: 스페인 (Spain) 생산지: 리아스 바이사스 (Rias Baixas) 생산자: 그란바잔 (Granbazan) 품종: 알바리뇨(Albarino) 100% 당도: 1.4 / 산도: 3.9 / 타닌: 1 / 바디: 3.4 알콜: 13% 시음온도: 10~12도 용량: 750ml 가격대: 7만원대 수입사: 주식회사 오센 구매처: 와인컬렉터 - 테

[레드] 아이들와일드 네비올로 폭스 힐 빈야드 2017 Idlewild Nebbiolo Fox Hill Vineyard 2017 미국 캘리포니아 네비올로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3년 6월 10일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멘도치노 카운티라는 생산지의 네비올로 품종으로 만든 레드와인으로 이탈리아 피에몬테의 전통방식으로 수확한 포도를 송이째 발로 밟아 으깨고 슬로베니아산 오크통에서 천연효모로 발효하고 침용은 무려 90일동안 진행한다, 이후 슬로베니아 오크통에서 1년 숙성에 대형 슬로베니아 오크 보띠에서 추가 1년 숙성, 병입 후 1년 숙성한다 와인 오픈 전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아이들와일드 네비올로 폭스 힐 빈야드 2017 Idlewild Nebbiolo Fox Hill Vineyard 2017 종류: 레드와인 빈티지: 2017 생산국: 미국 (USA) 생산지: 캘리포니아 (California) -> 멘도치노 카운티 (Mendocino County) 생산자: 아이들와일드 (Idlewild) 품종: 네비올로(Nebbiolo) 100% 당도: 1.6 / 산도: 3.7 / 타닌: 3.6 / 바디: 3.2 알콜: 13.9% 시음온도: 14~17도 용량: 750m

[로제] 베린저 메인 & 바인 화이트 진판델 2021 Beringer Main & Vine White Zinfandel 2021 미국 캘리포니아 로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3년 6월 11일 미국 캘리포니아 (California)에서 진판델(Zinfandel) 품종으로 만든 로제와인으로 조금 일찍 수확한 포도를 부드럽게 압착하여 껍질과 침용을 약 3시간 정도 짧게 하고 스테인리스 스틸 탱크에서 저온 발효 후 숙성하고 출시한다 와인 오픈 전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베린저 메인 & 바인 화이트 진판델 2021 Beringer Main & Vine White Zinfandel 2021 종류: 로제와인 빈티지: 2021 생산국: 미국 (USA) 생산지: 캘리포니아 (California) 생산자: 베린저 빈야드 (Beringer Vineyards) 품종: 진판델(Zinfandel) 100% 당도: 3.2 / 산도: 3.3 / 타닌: 2 / 바디: 3.6 잔류당: 36g/L 알콜: 10% 시음온도: 9~11도 용량: 750ml 가격대: 만원 후반대 수입사: 금양인터네셔날 구매처: 롯데백화점 와인갤러리 - 테이스팅 노트 와인 글라스: 가브리엘 글라스 골드

[레드] 테누타 산 귀도 귀달베르토 2020 Tenuta San Guido Guidalberto 2020 이탈리아 슈퍼 투스칸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3년 6월 16일 이탈리아 토스카나에서 가장 유명한 슈퍼 투스칸 와인중 하나인 사시까이야(Sassicaia)의 세컨드 와인으로 카베르네 소비뇽 60%, 메를로 40% 비율로 블렌딩, 손으로 수확한 포도를 밭에서 직접 분류하고 양조실로 가져와 송이를 부드럽게 압착하고 줄기는 제거한다, 외부 효모는 추가하지 않고 온도가 제어되는 스테인리스 스틸 탱크에서 발효 및 메를로는 12~14일, 카베르네 소비뇽은 13~16일을 공기중에 자주 펌핑오버와 오프로드(?)도 진행한다, 이후 MLF를 하고 프렌치 오크와 일부는 아메리칸 오크로 옮겨 20~25개월 숙성한다 와인 오픈 전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테누타 산 귀도 귀달베르토 2020 Tenuta San Guido Guidalberto 2020 종류: 레드와인 빈티지: 2020 생산국: 이탈리아 (Italy) 생산지: 토스카나 (Toscana) 생산자: 테누타 산 귀도 (Tenuta San Guido) 품종: 카베르네 소비뇽(Cabern

[레드] 안티노리 티냐넬로 2017 Antinori Tignanello 2017 이탈리아 슈퍼 투스칸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3년 6월 17일 이탈리아 토스카나의 슈퍼투스칸 와인중 5대 슈퍼 투스칸에 해당되며 산지오베제 80%, 카베르네 소비뇽 15%, 카베르네 프랑 5%의 비율로 블렌딩하며 선별과 분류과정을 통해 원뿔형 탱크에서 발효 및 침용을 하고 껍질과 분리 후 젖산발효(MLF)를 하며 작은 오크통에서 진행한다, 각 포도원과 품종 개별적으로 발효시킨 다음 블렌딩을 하며 발효 후 프렌치 오크와 헝가리산 오크통에 옮겨져 14~16개월 동안 숙성한다, 새오크 위주에 일부는 2번째 사용되는 오크에서 숙성 후 병입하고 12개월 추가 병 숙성을 진행한다 와인 오픈 전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안티노리 티냐넬로 2017 Antinori Tignanello 2017 종류: 레드와인 빈티지: 2017 생산국: 이탈리아 (Italy) 생산지: 토스카나 (Toscana) 생산자: 마르께시 안티노리 (Marchesi Antinori) 품종: 산지오베제(Sangiovese) 80%, 카베르네 소비뇽(Cabernet

[세미스파클링] 비에티 모스카토 다스티 2022 Vietti Moscato d'Asti 2022 이탈리아 모스카토 다스티 3대장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3년 6월 24일 이탈리아 북부 피에몬테 지역의 아스티라는 생산지의 모스카토 품종으로 만들며 손으로 수확한 포도를 섬세하게 압착, 차갑게 디켄팅 후 스테인리스 스틸 탱크에서 매우 낮은 온도로 보관, 1년 내내 12~14도 온도에서 알콜 발효를 진행, 약 5~5.5%의 알콜이 되면 급냉해서 발효를 중지하고 부분적으로 발효된 와인은 여과한다, MLF를 거치지 않고 멸균여과를 통해 병입한다 와인 오픈 전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비에티 모스카토 다스티 2022 Vietti Moscato d'Asti 2022 종류: 세미 스파클링와인 빈티지: 2022 생산국: 이탈리아 (Italy) 생산지: 피에몬테 (Piemonte) -> 아스티 (Asti) 생산자: 비에티 (Vietti) 품종: 모스카토(Moscato) 100% 당도: 4.1 / 산도: 3.5 / 타닌: 1 / 바디: 3.4 알콜: 5% 시음온도: 6~8도 용량: 750ml 수입사: 나라셀라 구매처: 디오니스토어 - 테이스팅

[레드] 샤를 조게 레 샤름 쉬농 2016 Charles Joguet Les Charmes Chinon 2016 프랑스 루아르 까베르네 프랑 레드 와인 [내부링크]

시음일 2023년 6월 25일 프랑스 루아르의 뚜렌느 지역, 쉬농이라는 유명한 생산지의 카베르네 프랑 품종으로 만든 와인으로 35년 된 수령의 포도나무에서 수확한 포도를 5일정도 저온에서 침용하고 24~26도의 온도에서 15일 알콜 발효를 진행, 프리런 와인과 프레스와인을 블렌딩하고 MLF를 오크배럴에서 진행한다, 이후 프렌치 오크 배럴에서 6~8개월 숙성한다 와인 오픈 전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샤를 조게 레 샤름 쉬농 2016 Charles Joguet Les Charmes Chinon 2016 종류: 레드와인 빈티지: 2016 생산국: 프랑스 (France) 생산지: 루아르 (Loire) -> 뚜렌느 (Touraine) -> 쉬농 (Chinon) 생산자: 샤를 조게 (Charles Joguet) 품종: 카베르네 프랑(Cabernet Franc) 100% 당도: 1.4 / 산도: 4 / 타닌: 3 / 바디: 3.2 알콜: 13% 시음온도: 15~17도 용량: 750ml 가격대: 7

[샴페인] 페리에 주에 그랑 브뤼 NV Perrier Jouet Grand Brut NV 프랑스 샹파뉴 샴페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3년 7월 5일 프랑스 샹빠뉴 지역의 대표적인 샴페인 하우스의 엔트리급 샴페인으로 코트 드 블랑 최고의 포도밭에서 수확한 샤르도네와 몽타뉴 드 랭스, 그리고 발레 드 라 마른의 피노누아와 피노뮈니에를 블렌딩하여 만들고 비율은 샤르도네 20%, 피노 누아 40%, 피노 뮈니에 40%이고 12~14%가 리저브와인이며 2년동안 지하 숙성실에서 숙성한다 와인 오픈 전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페리에 주에 그랑 브뤼 NV Perrier Jouet Grand Brut NV 종류: 스파클링와인 -> 샴페인 빈티지: NV (Non Vintage) 생산국: 프랑스 (France) 생산지: 샹빠뉴 (Champagne) 생산자: 페리에 주에 (Perrier Jouet) 품종: 샤르도네(Chardonnay) 20%, 피노 누아(Pinot Noir) 40%, 피노 뮈니에(Pinot Meunier) 40% 당도: 1.5 / 산도: 4 / 타닌: 1 / 바디: 3.4 도사쥬: 11g/L (리터당 잔여

[레드] 캐논캅 카데트 케이프 블렌드 2018 Kanonkop Kadette Cape Blend 2018 남아공 레드 블렌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3년 7월 8일 남아공, 코스탈 리젼의 스텔린보쉬에서 생산되는 와인으로 피노타주 37%, 카베르네 소비뇽 33%, 메를로 26%, 카베르네 프랑 3%, 쁘띠 베르도 1%의 블렌딩을 하며 개방형 콘크리트 탱크에서 28도의 온도로 발호를 하고 3~5일 껍질과 침용, MLF를 하고 12개월동안 프렌치 오크배럴에서 숙성한다 와인 오픈 전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캐논캅 카데트 케이프 블렌드 2018 Kanonkop Kadette Cape Blend 2018 종류: 레드와인 빈티지: 2018 생산국: 남아프리카 공화국 (the Republic of South Africa) 생산지: 코스탈 리젼 (Coastal Region) -> 스텔린보쉬 (Stellenbosch) 생산자: 캐논캅 (Kanonkop) 품종: 피노타주(Pinotage) 37%, 카베르네 소비뇽(Cabernet Sauvignon) 33%, 메를로(Merlot) 26%, 카베르네 프랑(Cabernet Franc) 3%,

[프리잔테] 라 스피네따 모스카토 다스티 브리코 콸리아 2022 La Spinetta Moscato d'Asti Bricco Quaglia 2022 이탈리아 모스카토 3대장 와인 [내부링크]

시음일 2023년 7월 15일 이탈리아 북부 피에몬테 (Piemonte) 지역의 아스티 (Asti) 라는 생산지의 모스카토(Moscato) 100%로 만들며 Bricco Quaglia라는 싱글 빈야드에서 수확한 포도를 줄기를 제거하고 부드럽게 압착해 약 3개월 동안 온도가 조절되는 오토클레이브(스테인리스 스틸 탱크)에서 천천히 발효 및 숙성한다 와인 오픈 전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라 스피네따 모스카토 다스티 브리코 콸리아 2022 La Spinetta Moscato d'Asti Bricco Quaglia 2022 종류: 프리잔테(세미 스파클링 와인) 빈티지: 2022 생산국: 이탈리아 (Italy) 생산지: 피에몬테 (Piemonte) -> 아스티 (Asti) 생산자: 라 스피네따 (La Spinetta) 품종: 모스카토(Moscato) 100% 당도: 4.4 / 산도: 3.2 / 타닌: 1 / 바디: 3.6 알콜: 5% 시음온도: 7~9도 용량: 750ml 가격대: 3만원대 수입사

[레드] 도멘 페블레 마르사네 2018 Domaine Faiveley Marsannay 2018 프랑스 부르고뉴 막사네 피노누아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3년 7월 16일 프랑스 부르고뉴, 꼬뜨 드 뉘의 막사네라는 마을단위 빌라쥐 피노 누아 레드와인으로 손으로 수확한 포도를 줄기를 어느정도 같이 사용하고 일부는 제거하며 침용시 매일 펀칭을 실시한다, 19일동안 침용과 발효 후 부드럽게 압착하고 이후 프렌치 오크통에서 14개월을 숙성한다, 새 오크통 비율은 20~30%며 병입 후 2개월 안정화를 거친다 와인 오픈 전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도멘 페블레 마르사네 2018 Domaine Faiveley Marsannay 2018 종류: 레드와인 빈티지: 2018 생산국: 프랑스 (France) 생산지: 부르고뉴 (Bourgogne) -> 꼬뜨 드 뉘 (Cote de Nuits) -> 막사네 (Marsannay) 생산자: 도멘 조셉 페블레 (Domaine J. Faiveley) 품종: 피노 누아(Pinot Noir) 100% 당도: 1.4 / 산도: 3.9 / 타닌: 3.2 / 바디: 3.2 알콜: 13.5% 시음온도: 14~16

[레드] 7 컬러즈 싱글 빈야드 레드 블렌드 2018 7 Colores Single Vineyard Red Blend 2018 칠레 블렌딩 레드 와인 [내부링크]

시음일 2023년 7월 22일 칠레, 마울레 밸리에서 만드는 와인으로 카베르네 소비뇽 30%, 카르메네르 25%, 카베르네 프랑 22%, 시라/쉬라즈 15%, 까리냥 8% 비율의 품종이 블렌딩 되었으며 손으로 수확 후 각 품종 개별적으로 스테인리스 스틸 탱크에서 발효 후 블렌딩하여 프렌치 오크통에서 18개월을 숙성한다 오픈 전 와인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7 컬러즈 싱글 빈야드 레드 블렌드 2018 7 Colores Single Vineyard Red Blend 2018 종류: 레드와인 빈티지: 2018 생산국: 칠레 (Chile) 생산지: 마울레 밸리 (Maule Valley) 생산자: 7 컬러즈 (7 Colores) 품종: 카베르네 소비뇽(Cabernet Sauvignon) 30%, 카르메네르(Carmenere) 25%, 카베르네 프랑(Cabernet Franc) 22%, 시라/쉬라즈(Syrah/Shiraz) 15%, 까리냥(Carignan) 8% 당도: 1.3 / 산도: 3.9

[프리잔테] 파올로 사라꼬 모스카토 다스티 2021 Paolo Saracco Moscato d'Asti 2021 이탈리아 모스카토 달콤한 화이트 스파클링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3년 7월 23일 이탈리아 북부 피에몬테의 아스티 지역에서 모스카토 품종으로 만들어지는 프리잔테 와인으로 Castiglione Tinella, Santo Stefano Belbo, Castagnole Lanze, Calosso에 위치한 포도밭으로 부터 수확한 포도를 부드럽게 압착하고 포도의 가장자리부터 향긋한 과즙을 추출바고 머스트는 -3도의 온도조절이 되는 스테인리스 스틸 탱크에서 보관하며 이후 양조시기에 맞춰 오토클레이브에서 발효 후 미세 여과 후 병입한다 오픈 전 와인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다른 모스카토 다스티 대비 코르크로 되어있는게 특징이다 파올로 사라꼬 모스카토 다스티 2021 Paolo Saracco Moscato d'Asti 2021 종류: 프리잔테(세미 스파클링 와인) 빈티지: 2021 생산국: 이탈리아 (Italy) 생산지: 피에몬테 (Piemonte) -> 아스티 (Asti) 생산자: 파올로 사라꼬 (Paolo Saracco) 품종: 모스카토(Mos

[레드] 페우디 디 산 그레고리오 타우라시 2017 Feudi di San Gregorio Taurasi 2017 이탈리아 캄파니아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3년 7월 29일 이탈리아 남부 깜빠니아의 타우라시라는 생산지에서 알리아니코 품종으로 만든 레드와인으로 수확한 포도를 스테인리스 스틸 탱크에서 3주에 걸쳐 침용과 발효를 진행하며 이후 미디엄으로 토스팅된 프렌치 오크 배럴에서 18개월을 숙성한다 오픈 전 와인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페우디 디 산 그레고리오 타우라시 2017 Feudi di San Gregorio Taurasi 2017 종류: 레드와인 빈티지: 2017 생산국: 이탈리아 (Italy) 생산지: 깜빠니아(Campania) -> 타우라시 (Taurasi) 생산자: 페우디 디 산 그레고리오 (Feudi di San Gregorio) 품종: 알리아니코(Aglianico) 100% 당도: 1.3 / 산도: 3.8 / 타닌: 4.3 / 바디: 3.7 알콜: 14% 시음온도: 16~18도 용량: 750ml 가격대: 7만원 수입사: 무학주류상사 구매처: 떼루아와인아울렛 - 테이스팅 노트 와인 글라스: 자페라노 울트라 라이

[레드] 알타 비스타 아템포랄 블렌드 2018 Alta Vista Atemporal Blend 2018 아르헨티나 말벡 블렌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3년 7월 30일 아르헨티나 멘도사의 우코밸리에서 생산되는 레드와인으로 말벡 62%, 카베르네 소비뇽 30%, 쁘띠 베르도 8%의 품종이 블렌딩 되며 손으로 수확하고 작은 상자로 양조장까지 운반, 콘크리트 탱크에서 낮은 온도로 3일 침용, 25~27도의 온도로 발효하며 품종별로 다양한 방법으로 껍질과 재 침용이 되도록 한다, 이후 225리터 프렌치 오크 배럴에서 12개월 숙성한다 오픈 전 와인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알타 비스타 아템포랄 블렌드 2018 Alta Vista Atemporal Blend 2018 종류: 레드와인 빈티지: 2018 생산국: 아르헨티나 (Argentina) 생산지: 멘도사 (Mendoza) -> 우코밸리 (Uco Valley) 생산자: 알타 비스타 (Alta Vista) 품종: 말벡(Malbec) 62%, 카베르네 소비뇽(Cabernet Sauvignon) 30%, 쁘띠 베르도(Petit Verdot) 8% 당도: 1.6 / 산도: 3.6 / 타

[화이트] 도멘 드자이어 쁘띠 레센시엘 2019 Domaine Desire Petit L'Essen'ciel 2019 프랑스 쥐라 사바냥 품종 화이트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3년 8월 4일 프랑스 쥐라 지역에서도 아흐보아 쀠삘랑 이라는 생산지의 사바냥이라는 품종으로 만드는 화이트 와인으로 600리터의 오크통에서 발효되고 지속적으로 효모앙금을 휘저어 Lees의 풍미가 입혀지겠금하며 이후 18개월을 오크통에서 숙성하되 중간중간 바토나주를 실시한다 오픈 전 와인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도멘 드자이어 쁘띠 레센시엘 2019 Domaine Desire Petit L'Essen'ciel 2019 종류: 화이트와인 빈티지: 2019 생산국: 프랑스 (France) 생산지: 쥐라 (Jura) -> 아흐보아 쀠삘랑 (Arbois Pupillin) 생산자: 도멘 드자이어 (Domaine Desire) 품종: 사바냥(Savagnin) 100% 당도: 1.5 / 산도: 4.1 / 타닌: 1 / 바디: 3.7 알콜: 14% 시음온도: 9~11도 용량: 750ml 가격대: 6만원대 수입사: 골든브릿지 구매처: 프리크와인샵 - 테이스팅 노트 와인 글라스: 자페라노 울트

[포트] 그라함 20년 토니 포트 NV Graham's 20 Years Tawny Port NV 포르투갈 달콤한 스위트 주정 강화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3년 8월 5일 포르투갈 도우루 지역의 경사가 높은 언덕의 밭에서 잘 익은 투리가 나시오날, 틴타 바로카, 투리가 프란카 품종을 수확 후 양조시 블렌딩하여 발효 중 5~9%의 알콜도수에서 포도로 만든 블랜디라는 증류주를 첨가하여 당분은 남기고 알콜을 18~20%내외로 올리며 발효는 중단되고 주정을 강하게 만들었다하여 주정강화와인으로 20년산은 작은 오크통에서 산화 작용을 겪으며 마스터 블렌더에 의해 여러 숙성연수의 합산 연수가 평균 20년이 되어야 한다, 병입연도는 2021년이다 오픈 전 와인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병이 작고 뚱뚱한 스타일이다 그라함 20년 토니 포트 NV Graham's 20 Years Tawny Port NV 종류: 주정강화와인 -> 포트 -> 타우니포트 빈티지: NV (Non Vintage) 생산국: 포르투갈 (Portugal) 생산지: 도우루 (Douro) -> 포르투 (Porto) 생산자: 그라함 포트 (Graham's Port) 품종: 투리가

[레드] 리뽄 머추어 바인 피노 누아 2019 Rippon Mature Vine Pinot Noir 2019 뉴질랜드 리폰 센트럴 오타고 피노누아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3년 8월 12일 뉴질랜드 사우스 아일랜드, 최남단의 센트럴 오타고에서 생산되는 피노 누아 품종 레드와인으로 손으로 수확 후 작은 상자로 운반되며 피노누아 품종에서도 다양한 클론을 사용하여 복합미를 더하며 스테인리스 스틸 탱크에서 토착 효모로 발효 및 14~28일을 스킨 컨택한다 이후 12개월을 16.6%의 새오크와 총 4년까지 쓴 프렌치 오크배럴에서 숙성하며 여과와 정제없이 병입한다 오픈 전 와인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뉴질랜드 와인은 보통 스크류캡을 쓰는데 특이하게 코르크로 마감이 되어있다 리뽄 머추어 바인 피노 누아 2019 Rippon Mature Vine Pinot Noir 2019 종류: 레드와인 빈티지: 2019 생산국: 뉴질랜드 (New Zealand) 생산지: 사우스 아일랜드 (South Island) -> 센트럴 오타고 (Central Otago) 생산자: 리뽄 (Rippon) 품종: 피노 누아(Pinot Noir) 100% 당도: 1.5 / 산도: 4

[샴페인] 샴페인 드라피에 브뤼 나뚜르 제로 도자쥬 NV Champage Drappier Brut Nature Zero Dosage NV 프랑스 샹파뉴 블랑드누아 샴페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3년 8월 13일 프랑스 샹빠뉴 지역의 샴페인으로 블랑 드 누아(Blanc de Noir) 스타일로 피노 누아 품종으로만 만들며 토양은 쥐라기 시대의 Kimmeridgian과 석회암이 주를 이루며 수확한 포도를 기계식 저압 프레스로 추출된 첫 뀌베와 중력을 통해 자연적으로 침전물을 제거하고 MLF를 진행, 필터링과 정제를 거치지 않고 매우 적은 양인 35mg/L 미만의 이산화황을 최소화하고 효모 앙금(Lees, Sur Lie)과 함께 36개월을 숙성한다 오픈 전 와인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백레이블에 피노누아 100%에 제로 도사쥬임을 강조하고 있다 샴페인 드라피에 브뤼 나뚜르 제로 도자쥬 NV Champage Drappier Brut Nature Zero Dosage NV 종류: 스파클링와인 -> 샴페인 빈티지: NV (Non Vintage) 생산국: 프랑스 (France) 생산지: 샹빠뉴 (Champagne) 생산자: 샴페인 드라피에 (Champage Drappier

[레드] 더 프리즈너 레드 블렌드 2018 The Prisoner Red Blend 2018 미국 캘리포니아 블렌딩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3년 8월 19일 미국, 캘리포니아에서도 나파밸리를 포함, 인기가 높고 작황이 좋은 생산지의 엄선된 포도를 수확하며 만드는 블렌딩 레드와인으로 진판델, 카베르네 소비뇽, 시라/쉬라즈, 쁘띠 시라, 샤르보노 품종이 블렌딩 되었고 진판델이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 수확 후 침용과 발효 후 프렌치 오크 배럴과 아메리칸 오크 배럴에서 15개월간 숙성하며 새오크 비율은 55%이다 오픈 전 와인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백레이블에 와인컴퍼니는 오크빌에 위치하고 있다고 하지만 실제 포도는 오크빌 포도가 아니다 더 프리즈너 레드 블렌드 2018 The Prisoner Red Blend 2018 종류: 레드와인 빈티지: 2018 생산국: 미국 (USA) 생산지: 캘리포니아 (California) -> 나파밸리(Napa Valley) 생산자: 더 프리즈너 와인 컴퍼니 (The Prisoner Wine Company) 품종: 진판델(Zinfandel), 카베르네 소비뇽(Cabernet Sauv

[화이트] 도멘 라뻬 페르낭 베르쥴레쓰 1er 크뤼 끌로 뒤 빌라쥬 2017 Domaine Rapet Pernand Vergelesse 1er Cru Clos du Village [내부링크]

시음일 2023년 8월 20일 프랑스 부르고뉴의 꼬뜨 드 본에서 뻬르낭-베르즐레스 라는 마을, 끌로 뒤 빌라쥬라는 프르미에 크뤼 밭의 샤르도네 품종 화이트와인으로 수확한 포도를 최대한 손상이 없도록 작은 상자로 양조장에 운반하며 또한 공압 압착기로 압착을 진행한다, 2시간 압착 후 저온에서 24시간동안 주스를 뽑아내고 프렌치 오크배럴에서 발효를 하며 숙성 또한 프렌치 오크배럴에서 진행, 새오크 비율은 30%며 바토나쥬를 통해 효모앙금숙성(리숙성, Sur Lee)도 같이 한다 오픈 전 와인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사실 레이블 앞면에 와인명에 빈티지에 알콜까지 모두 기재되어 있다 도멘 라뻬 페르낭 베르쥴레쓰 1er 크뤼 끌로 뒤 빌라쥬 2017 Domaine Rapet Pernand Vergelesse 1er Cru Clos du Village 2017 종류: 화이트와인 빈티지: 2017 생산국: 프랑스 (France) 생산지: 꼬뜨 드 본 (Cote de Beaune) -> 뻬르낭-베

[레드] 체사리 발폴리첼라 클라시코 2020 Cesari Valpolicella Classico 2020 이탈리아 베네토 블렌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3년 8월 25일 이탈리아 베네토의 발폴리첼라 지역에서 코르비나 50%, 코르비노네 25%, 론디넬라 25%, 의 비율로 블렌딩 하며 수확한 포도를 10일 동안 침용 후 젖산발효(MLF)를 거치여 스테인리스 스틸 탱크에서 최소 4개월을 숙성, 이후 병에서 안정화를 거치고 출시된다 오픈 전 와인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레이블이 시원시원하게 생겼다 체사리 발폴리첼라 클라시코 2020 Cesari Valpolicella Classico 2020 종류: 레드와인 빈티지: 2020 생산국: 이탈리아 (Italy) 생산지: 베네토 (Veneto) -> 발폴리첼라 (Valpolicella) 생산자: 체사리 (Cesari) 품종: 코르비나(Corvina) 50%, 코르비노네(Corvinone) 25%, 론디넬라(Rondinella) 25% 당도: 1.5 / 산도: 3.9 / 타닌: 3 / 바디: 3.4 알콜: 12.5% 시음온도: 15~18도 용량: 750ml 가격대: 2만원 수입사:

[오렌지] 레 시갈 단스 라 포르밀리에르 라 폴로네즈 2021 Les Cigales dans la Fourmiliere La Polonaise 2021 프랑스 뮈스까 내추럴 와인 [내부링크]

시음일 2023년 8월 26일 "오렌지 와인은 오렌지로 만들지 않고 순수 청포도로만 만듭니다" 프랑스 남쪽, 서던 프랑스의 랑그독 루씨용 지역에서 만들어진 오렌지와인으로 뮈스까 블랑 쁘띠 그랑, 클레렛, 두 품종을 블렌딩하며 15~20년 수령의 나무에서 수확 후 줄기는 모두 제거하고 껍질과 함께 Skin Contact(침용)를 4일동안 진행, 젖산발효(MLF)도 하고 5일간 하루에 한번 Pigeage를 하고 이후 유리 섬유 탱크에서 6개월 동안 숙성한다 오픈 전 와인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내추럴 와인답게 굉장히 심플하다, 심지어 레이블의 그림도.. 레 시갈 단스 라 포르밀리에르 라 폴로네즈 2021 Les Cigales dans la Fourmiliere La Polonaise 2021 종류: 오렌지와인 (앰버와인) 빈티지: 2021 생산국: 프랑스 (France) 생산지: 서던 프랑스 (Southern France) -> 랑그독 루씨용 (Languedoc Roussillon) 생

[레드] 그란 셀로 템프라니요 시라 2020 Gran Sello Tempranillo Syrah 2020 스페인 블렌드 가성비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3년 9월 2일 스페인 카스티야 지역에서 생산되는 와인으로 템프라니요 60%, 시라 40% 비율로 품종 블렌딩이 되며 수확한 포도를 침용 및 발효하고 아메리칸 오크 80%, 프렌치 오크 20%에서 4개월을 숙성한다 오픈 후 와인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백레이블에 오크숙성기간과 테이스팅 노트, 시음온도등 다양한 정보가 있다 그란 셀로 템프라니요 시라 2020 Gran Sello Tempranillo Syrah 2020 종류: 레드와인 빈티지: 2020 생산국: 스페인 (Spain) 생산지: 카스티야 (Castilla) 생산자: 보데가스 그란 셀로 (Bodegas Gran Sello) 품종: 템프라니요(Tempranillo) 60%, 시라/쉬라즈(Syrah/Shiraz) 40% 당도: 1.8 / 산도: 3.7 / 타닌: 3.7 / 바디: 3.5 알콜: 14% 시음온도: 16~18도 용량: 750ml 가격대: 1만원대 수입사: 비욘트 구매처: 세노야 방배점 - 테이스팅 노트

[화이트] 트라피체 브로켈 토론테스 2021 Trapiche Broquel Torrontes 2021 아르헨티나 멘도자 가성비 화이트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3년 9월 3일 아르헨티나, 멘도사 지역에서도 까파야떼라는 생산지에서 아르헨티나의 대표 청포도 품종인 토론테스로 만들어지는 화이트와인으로 토론테스(Torrontes) 95%, 소비뇽 블랑(Sauvignon Blanc) 5%로 소량 블렌딩 되며 15~16도의 온도가 조절되는 스테인리스 스틸 탱크에서 저온 발효를 진행, 이후 효모앙금숙성(Lees, Sur Lie)과 함께 5개월 숙성한다 오픈 전 와인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앞 뒤 레이블 모두 심플한 느낌을 준다 트라피체 브로켈 토론테스 2021 Trapiche Broquel Torrontes 2021 종류: 화이트와인 빈티지: 2021 생산국: 아르헨티나 (Argentina) 생산지: 멘도사 (Mondoza) -> 까파야떼 (Cafayate) 생산자: 트라피체 (Trapiche) 품종: 토론테스(Torrontes) 95%, 소비뇽 블랑(Sauvignon Blanc) 5% 당도: 1.7 / 산도: 3.8 / 타닌: 1 / 바

[뱅존] 도멘 필립 반델 뱅존 2016 Domaine Philippe Vandelle Vin Jaune 2016 프랑스 쥐라 쥐역 뱅죤 화이트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3년 9월 3일 프랑스 쥐라 지역의 독특한 와인으로 뱅존이라고 부르며 사바냥 품종으로만 오직 만들 수 있도록 허용되며 일반 화이트 와인처럼 발효까지 진행하고 이후 225리터의 프렌지 오크통에서 수 브알(Sous Voile)이라고 해서 마치 오크통을 꽉 채우지 않고 공간을 남겨 피노 셰리와인처럼 효모층이 생기겠금 해서 숙성을 하는데 효모층이 생기기까지 2~3년동안 산소에 노출되어 산화 숙성을 거치고 이후 효모층이 생기며 생물학적 숙성을 진행하며 총 6년 3개월을 숙성하며 이 와인은 쥐라에서도 레뚜알이라는 생산지의 와인이다 오픈 전 와인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앞레이블에 와인의 왠만한 정보가 다 기재되어 있다 도멘 필립 반델 뱅존 2016 Domaine Philippe Vandelle Vin Jaune 2016 종류: 뱅존 빈티지: 2016 생산국: 프랑스 (France) 생산지: 쥐라 (Jura) -> 레뚜알 (L'Etoile) 생산자: 도멘 필립 반델 (Domaine P

[레드] 자이언트 스텝스 야라 밸리 피노 누아 2022 Giant Steps Yarra Valley Pinot Noir 2022 호주 빅토리아 주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3년 9월 9일 호주 빅토리아 주의 야랴 밸리에서 재배 및 생산되는 피노 누아 품종으로 만든 레드와인으로 야라밸리 지역 전체에서 공급받은 포도로 양조하며 이 중 50%는 상위급 포도밭에서 가져오며 손 수확한 포도를 밤새 온도를 낮춰 식히고 스테인리스 스틸 탱크에서 절반은 송이째 탄산침용을 실시해 중력을 통해 침용이 일어나도록 하고 나머지는 줄기를 제거하고 껍질과 직접적인 스킨 컨택을 한다, 21일동안 상온에서 침용 후 온도를 낮춰 4도의 차가운 온도에서 저온발효를 4일동안 진행, 서서히 온도를 올려 야생 효모와 함께 발효시키고 프렌치 오크로 옮겨져 8개월을 숙성하며 새 오크 비중은 10%, 오래된 오크 비중은 90%이다, 각자 포도원에서 공급받은 포도 및 클론들은 따로 양조 후 최종 병입 전 블렌딩되며 이후 정제나 여과는 생략한다 오픈 전 와인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생산지와 품종, 빈티지, 알콜등 기본적인 정보가 앞뒤로 기재되어 있다 자이언트 스텝스 야라 밸리 피노 누

[오렌지] 줄리앙 알타베 섹스탕 플런 포 2020 Julien Altaber Sextant Plein Po 2020 프랑스 부르고뉴 샤르도네 오렌지 와인 추천 [내부링크]

"오렌지 와인은 오렌지로 만들지 않고 순수 청포도로만 만듭니다" 시음일 2023년 9월 16일 프랑스 부르고뉴 지역의 샤르도네 품종으로 만든 오렌지 와인으로 점토와 석회암으로 이루어진 토양에서 재배 된 포도를 수확 후 12일간 껍질과 함께 스킨 컨택트(침용) 진행, 발효 후 여러번 사용된 헌 오크 배럴에서 숙성한다 오픈전 와인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누구도 좋아하지 않을만한 밀랍(파라핀)으로 감싸져 있다 줄리앙 알타베 섹스탕 플런 포 2020 Julien Altaber Sextant Plein Po 2020 종류: 오렌지와인 (앰버와인) 빈티지: 2020 생산국: 프랑스 (France) 생산지: 부르고뉴 (Bourgogne) 생산자: 줄리앙 알타베 섹스탕 (Julien Altaber Sextant) 품종: 샤르도네(Chardonnay) 100% 당도: 1.4 / 산도: 3.9 / 타닌: 2.7 / 바디: 3.5 알콜: 14% 시음온도: 10~13도 용량: 750ml 가격대: 8만원대

[레드] 펜폴즈 빈 138 쉬라즈 그르나슈 마타로 2018 Penfolds Bin 138 Shraz Grenache Mataro 2018 호주 바로사 밸리 블렌드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3년 9월 17일 호주, 사우스 오스트레일리아에서도 바로사 밸리에서 생산되는 레드와인으로 시라/쉬라즈 68%, 그르나슈 22%, 마타로 10%, 비율로 블렌딩하며 올드바인, 즉 오래된 포도나무에서 일부는 100년 이상 수령의 나무에서 수확한 포도로 침용과 발효를 진행하고 이후 토스팅이 좀 된 프렌치 오크 배럴과 아메리칸 오크 배럴에서 12~15개월 숙성한다 오픈 전 와인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앞레이블과 뒷레이블 모두 빈티지가 기재되어 있고 기본적인 설명은 다 기재되어 있다 펜폴즈 빈 138 쉬라즈 그르나슈 마타로 2018 Penfolds Bin 138 Shraz Grenache Mataro 2018 종류: 레드와인 빈티지: 2020 생산국: 호주 (Australia) 생산지: 사우스 오스트레일리아 (South Australia) -> 바로사 밸리 (Barossa Valley) 생산자: 펜폴즈 (Penfolds) 품종: 시라/쉬라즈(Syrah/Shiraz) 68%, 그르

[레드] 샤또 딸보 2015 Chateau Talbot 2015 프랑스 보르도 메독 생 줄리앙 그랑크뤼 클라세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3년 9월 23일 프랑스, 보르도의 메독 지역에서도 생-쥴리앙이라는 생산지의 보르도 그랑크뤼(Grand Cru) 4등급의 레드와인으로 평균 수령 50년의 나무에서 재배한 포도로 만들며 카베르네 소비뇽 66%, 메를로 31%, 쁘띠 베르도 3%의 블렌딩이며 9월 21일부터 10월 8일까지 손으로 수확한 포도를 대형 오크통에서 침용과 발효를 진행하고 이후 일반적인 사이즈의 프렌치 오크 배럴에서 15개월간 숙성하며 새오크 비율은 50%이다 오픈 전 와인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사진에는 안나오지만 병목 왼쪽에 정품인증 스티커가 있고 QR코드를 찍어서 스티커의 시크릿 코드를 입력하면 정품인지 확인해준다 샤또 딸보 생 쥴리앙 그랑 크뤼 클라세 2015 Chateau Talbot Saint-Julien Grand Cru Classe 2015 종류: 레드와인 빈티지: 2015 생산국: 프랑스 (France) 생산지: 보르도 (Bordeaux) -> 메독 (Medoc) -> 생-쥴리앙

[화이트] 산 펠리체 베르멘티노 2020 San Felice Vermentino 2020 이탈리아 토스카나 화이트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3년 9월 24일 이탈리아 토스카나 지역의 베르멘티노 품종 화이트 와인으로 마렘마라는 생산지에서 Perrolla라는 사유지의 언덕에서 완벽하게 익힌 포도, 베르멘티노 85%, 소비뇽 블랑 15%의 비율로 소량의 소비뇽 블랑을 더해 복합적인 아로마와 와인의 구조감을 더하며 손으로 수확한 포도를 24시간 동안 8도의 저온에서 발효, 이후 스테인리스 스틸 탱크에서 최종 발효 후 한달간 숙성하며 효모앙금숙성, 즉 리 숙성을 같이 진행한다 오픈 전 와인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와인의 느낌을 잘 표현해주듯 흰 바탕에 연두색 포인트를 주었다 산 펠리체 베르멘티노 2020 San Felice Vermentino 2020 종류: 화이트와인 빈티지: 2020 생산국: 이탈리아 (Italy) 생산지: 토스카나 (Toscana) -> 마렘마 (Maremma) 생산자: 산 펠리체 (San Felice) 품종: 베르멘티노(Vermentino) 85%, 소비뇽 블랑(Sauvignon Blanc)

[레드] 페드라롱가 도우미아 2018 Pedralonga Doumia 2018 스페인 리야스 바이사스 멘시아 품종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3년 10월 1일 스페인 리아스 바이사스에서 멘시아, 카이노 틴토, 에스파데이로의 블렌딩에 따라 만든 와인으로 멘시아의 붉은 과실 품종 특징이 지배적인 와인이다, 손으로 수확한 포도를 스테인리스 스틸 탱크에서 자연효모로만 발효 후 9~12개월 효모 찌꺼기 위에서 숙성, 즉 효모앙금숙성(리숙성)을 진행한다 오픈 전 와인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앞에는 그림 하나만 그려져있고 뒤에 백레이블에 모든 정보가 다 기재되어 있다 페드라롱가 도우미아 2018 Pedralonga Doumia 2018 종류: 레드와인 빈티지: 2018 생산국: 스페인 (Spain) 생산지: 리아스 바이사스 (Rias Baixas) 생산자: 페드라롱가 (Pedralonga) 품종: 멘시아(Mencia), 카이노 틴토(Caino Tionto), 에스파데이로(Espadeiro) 당도: 1.6 / 산도: 3.7 / 타닌: 3.2 / 바디: 3.4 알콜: 12% 시음온도: 15~17도 용량: 750ml 가격대:

[로제] 돈나푸가타 루메라 로자토 2022 Donnafugata Lumera Rosato 2022 이탈리아 시칠리아 매력적인 로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3년 10월 2일 이탈리아 시칠리아에서 생산되는 로제 와인으로 네로 다볼라, 시라/쉬라즈, 피노 네로, 노세라, 품종이 블렌딩 되며 피노누아인 피노네로부터 첫 수확, 이후 네로다볼라, 시라 수확, 마지막 노세라 품종을 수확 후 약 10도 정도의 저온에서 12~24시간 동안 프레스로 침용하며 스테인리스 스틸 탱크에서 발효 후 2개월을 일정한 온도에서 숙성, 병에서 3개월 숙성한다 오픈 전 와인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백레이블에 품종 및 간단한 와인 소개와 시음온도까지 설명되어 있다 돈나푸가타 루메라 로자토 2022 Donnafugata Lumera Rosato 2022 종류: 로제와인 빈티지: 2022 생산국: 이탈리아 (Italy) 생산지: 시칠리아 (Sicilia) 생산자: 돈나푸가타 (Donnafugata) 품종: 네로 다볼라(Nero d'Avola), 시라/쉬라즈(Syrah/Shiraz), 피노 네로(Pinot Nero), 노세라(Nocera) 당도: 1.5 / 산

[레드] 낀따 도 크라스토 수페리오르 2018 Quunta do Crasto Superior 2018 포르투갈 레드 블렌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3년 10월 7일 포르투갈, 도우루 지역에서 만드는 레드와인으로 투리가 나시오날, 투리가 프란카, 틴타 로리즈, 수자오까지 총 4가지 품종으로 블렌딩하며 수확한 포도를 상자로 운반 후 분류 테이블에서 상태 체크후 줄기를 제거하고 살짝 포도들이 으깨지게 한다음 온도가 조절되는 스테인리스 스틸 탱크에서 발효 후 프렌치 오크통에서 12개월을 숙성한다 오픈 전 와인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백레이블에 블렌딩 된 품종도 표기가 되어 있다 낀따 도 크라스토 수페리오르 2018 Quunta do Crasto Superior 2018 종류: 레드와인 빈티지: 2018 생산국: 포르투갈 (Portugal) 생산지: 도우루 (Douro) 생산자: 낀따 도 크라스토 (Quinta do Crasto) 품종: 투리가 나시오날(Touriga Nacional), 투리가 프란카(Touriga Franca), 틴타 로리즈(Tinta Roriz), 수자오(Souzao) 당도: 1.6 / 산도: 3.8 /

[화이트] 돈나푸가타 안띨리아 2020 Donnafugata Anthilia 2020 이탈리아 시칠리아 돈나푸가타 안씰리아 화이트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3년 10월 8일 이탈리아 시칠리아 섬에서 만들어지는 화이트와인으로 이곳의 대표 품종인 카타라토 50%, 안소니카 50%의 블렌딩을 하고 수확한 포도를 파쇄 및 압착을 하고 이후 14~16도의 온도의 스테인리스 스틸 탱크에서 발효하고 2개월 동안 스테인리스 스틸 탱크에서 숙성 후 병입하고 최소 2개월 이상 병숙성을 하고 출시한다 오픈 전 와인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빈티지가 살짝 옆쪽으로 표기되어 있어 사진에는 제대로 표기가 안나왔다 돈나푸가타 안띨리아 2020 Donnafugata Anthilia 2020 종류: 화이트와인 빈티지: 2020 생산국: 이탈리아 (Italy) 생산지: 시칠리아 (Sicilia) 생산자: 돈나푸가타 (Donnafugata) 품종: 카타라토(Catarratto) 50%, 안소니카(Ansonica) 50% 당도: 1.5 / 산도: 3.7 / 타닌: 1 / 바디: 3.3 알콜: 12.5% 시음온도: 9~12도 용량: 750ml 가격대: 3만원대

[레드] 크리스톰 마운틴 제퍼슨 피노 누아 2018 Cristom Mt. Jefferson Pinot Noir 2018 미국 오레곤 윌라멧 밸리 피노누아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3년 10월 14일 미국, 오리건에서 윌라메트 밸리의 에오라-아미티 힐즈라는 생산지에서 생산되는 피노 누아 품종의 레드와인으로 다양한 포도원에서 수확 후 공급받은 포도로 40%는 줄기를 남기고 나머지는 줄기제거 후 양조하며 토착효모로 발효하고 매일 1~3회 펌핑오버를 실시하여 침용을 하며 중력을 통해 프렌치 오크통으로 옮긴 뒤 11개월을 숙성하며 병입전 달걀 흰자로 정제하고 여과는 진행하지 않는다 오픈 전 와인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백레이블에 와이너리의 포도밭에서 어떤 품종을 기르는지 지도로 자세히 표현했다 크리스톰 마운틴 제퍼슨 피노 누아 2018 Cristom Mt. Jefferson Pinot Noir 2018 종류: 레드와인 빈티지: 2018 생산국: 미국 (USA) 생산지: 오리건 (Oregon) -> 윌라메트 밸리 (Willamette Valley) -> 에오라-아미티 힐즈 (Eola-Amity Hills) 생산자: 크리스톰 빈야드 (Cristom Viney

[로제] 돈나푸가타 술 불카노 로사토 2020 Donnafugata Sul Vulcano Rosato 2020 이탈리아 시칠리아 에트나 로제 와인 [내부링크]

시음일 2023년 10월 21일 이탈리아 남쪽 섬, 시칠리아에서도 에트나라는 화산으로 유명한 생산지에서 마스칼레제 품종 100%로 만들어지는 로제와인이다, 다양한 밭에서 손으로 수확한 포도를 상자에 담아 양조장으로 운반 후 10도의 저온에서 프레스로 침용과정을 6~12시간 진행하고 스테인리스 스틸 탱크에서 발효하며 온도가 조절되는 스테인리스 스틸 탱크에서 3개월 숙성, 병입 후 2개월 숙성한다 오픈 전 와인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백레이블에 시음노트가 기재되어 있고 시음온도까지 친절하게 설명되어 있다 돈나푸가타 술 불카노 로사토 2020 Donnafugata Sul Vulcano Rosato 2020 종류: 로제와인 빈티지: 2020 생산국: 이탈리아 (Italy) 생산지: 시칠리아 (Sicilia) -> 에트나 (Etna) 생산자: 돈나푸가타 (Donnafugata) 품종: 마스칼레제(Nerello Mascalese) 100% 당도: 1.5 / 산도: 3.8 / 타닌: 2.4 /

[레드] 메티스 그르나슈 2018 Mathis Grenache 2018 미국 캘리포니아 그르나슈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3년 10월 27일 미국 캘리포니아의 소노마 카운티에서도 소노마 밸리에서 그르나슈 83%, 쁘띠 시라 9%, 까리냥 5%, 알리칸테 부쉐 3% 품종 비율로 블렌딩하며 수확 한 포도에 줄기를 없애고 으깨지 않고 그대로 침용하며 이후 포도에 자체 존재하는 토착효모를 사용하고 하루에 2~3번의 부드러운 펌핑 오버를 하며 5톤의 개방형 탱크에서 12일간 발효 및 침용 후 압착하고 60갤런의 중성 프렌치 오크통에서 19개월 동안 숙성한다 오픈 전 와인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앞이나 뒤나 레이블이 심플하고 뭔가 설명이 없다 메티스 그르나슈 2018 Mathis Grenache 2018 종류: 레드와인 빈티지: 2018 생산국: 미국 (USA) 생산지: 캘리포니아 (California) -> 소노마 카운티 (Sonoma County) -> 소노마 밸리(Sonoma Valley) 생산자: 매티스 (Mathis) 품종: 그르나슈(Grenache) 83%, 쁘띠 시라(Petite Sira

[화이트] 파토리아 파가노 팔랑기나 2020 Fattoria Pagano Falanghina Campania 2020 이탈리아 캄파니아 팔랑기나 품종 화이트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3년 10월 28일 이탈리아 깜빠니아 지역에서도 로카몬피나라는 화산 경사면에서 재배되는 팔랑기나 품종으로 만든 화이트 와인으로 손으로 수확한 포도를 첫번째 압착주스(First Pressed Juice)와 프리 런 주스(Free Run Juice)를 섞어 온도가 조절되는 스테인리스 스틸 탱크에서 발효 후 스테인리스 스틸 탱크에서 숙성, 숙성 개월은 미표기, 이후 병입 후 2개월을 더 숙성한다 오픈 전 와인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백레이블에 성의없이 기재 된 빈티지(Annata)와 알콜 도수 파토리아 파가노 팔랑기나 2020 Fattoria Pagano Falanghina Campania 2020 종류: 화이트와인 빈티지: 2020 생산국: 이탈리아 (Italy) 생산지: 깜빠니아 (Campania) -> 로카몬피나 (Roccamonfina) 생산자: 파토리아 파가노 (Fattoria Pagano) 품종: 팔랑기나(Falanghina) 100% 당도: 1.7 / 산도: 3.

[위스키] 더 맥캘란 12년 더블 캐스크 The Macallan 12 Years Old Double Cask 스코틀랜드 스카치 싱글 몰트 위스키 추천 [내부링크]

첫 시음일 2023년 10월 14일 스코틀랜드의 스카치 위스키중 가장 유명한 브랜드 중 하나인 더 맥캘란 증류소는 스페이사이드에 있으며 보리맥아 100%로 만들며 맥아 건조시 이탄 처리를 거의 하지 않아 1~2시간정도 피트(이탄 훈연) 과정을 거쳐 피트향을 주는 페놀이 1ppm정도이며 스페인산으로 셰리와인 숙성에 쓰인 유러피안 올로로쏘 셰리 캐스크와 미국산 화이트 오크로 만든 아메리칸 셰리 캐스크에서 증류를 마친 원액을 각각 숙성 시킨 후 최종 블렌딩하고 병입한다 오픈 전 위스키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백레이블에서 아주 친절하게 양조 노트가 기재되어 있고 심플하면서 고급진 케이스도 준다 더 맥캘란 12년 더블 캐스크 The Macallan 12 Years Old Double Cask 종류: 스카치 위스키 숙성연수: 12년 생산국: 스코틀랜드 (Scotland) 생산지: 스페이사이드 (Speyside) 생산자: 더 맥캘란 (The Macallan) 재료: 보리 맥아(Orge Malt)

[레드] 앙리 쇼베 엉소바제 2021 Henry Chauvet Ensauvages 2021 프랑스 오베르뉴 가메 내추럴 레드 와인 [내부링크]

시음일 2023년 11월 4일 프랑스 오베르뉴 지역에서 재배 및 생산되는 가메이 품종 레드와인으로 300m 이상의 가파른 경사면에 위치한 2개의 포도원에서 수확한 포도로 스테인리스 스틸 탱크에서 줄기와 함께 침용 및 토착효모로 발효하며 다양한 크기의 1년 사용 된 오크배럴에서 숙성되며 이후 정제 및 여과는 진행하지 않고 이산화황을 넣지 않는 내추럴 와인이다 오픈 전 와인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내추럴 와인답게 병목에 캡씰이 씌어져 있지 않고 또 코르크는 밀랍으로 봉인되어 있다(딱 코르크 위치만) 앙리 쇼베 엉소바제 2021 Henry Chauvet Ensauvages 2021 종류: 레드와인 빈티지: 2021 생산국: 프랑스 (France) 생산지: 오베르뉴 (Auvergne) 생산자: 앙리 쇼베 (Henry Chauvet) 품종: 가메이(Gamay) 100% 당도: 1.5 / 산도: 3.7 / 타닌: 2.8 / 바디: 3.2 알콜: 12% 시음온도: 14~16도 용량: 750ml

[프로세코] 라 또르데라 알네 프로세코 밀레지마토 2021 La Tordera Alne Prosecco Millesimato 2021 이탈리아 샴페인 가성비 스파클링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3년 11월 9일 이탈리아 베네토 지역에서 만들어지는 스파클링 와인이자 이탈리아를 대표하는 스파클링 와인이다, 라 또르데라의 프로세코는 글레라 95%, 샤르도네 5%, 품종 블렌딩을 하며 수확한 포도를 부르럽게 압착하고 온도가 조절되는 스테인리스 스틸탱크에서 발효, 2차 발효는 온도가 조절되는 가압탱크에서 저온으로 탄산이 생기도록 발효한다 오픈 전 와인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빈티지 프로세코라 앞면과 뒷면에 빈티지는 확실히 기재되어 있다 라 또르데라 알네 프로세코 밀레지마토 2021 La Tordera Alne Prosecco Millesimato 2021 종류: 스파클링와인 -> 프로세코 빈티지: 2021 생산국: 이탈리아 (Italy) 생산지: 베네토 (Veneto) 생산자: 라 또르데라 (La Tordera) 품종: 글레라(Glera) 95%, 샤르도네(Chardonnay) 5% 당도: 1.6 / 산도: 4 / 타닌: 1 / 바디: 2.6 도사쥬: 15g/L (리터

[레드] 블랙 스탈리온 까베르네 소비뇽 2019 Black Stalliin Cabernet Sauvignon 2019 미국 캘리포니아 나파밸리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3년 11월 11일 미국 캘리포니아에서도 나파 카운티의 나파 밸리 레드와인으로 카베르네 소비뇽 80%, 쁘띠 시라 11%, 메를로 3%, 기타품종 6%의 블렌딩으로 양조되고 오크숙성을 거치는데 35%는 새 오크통, 65%는 헌 오크통에서 숙성하며 그 중 80%는 프렌치 오크, 20%는 아메리칸 오크통에서 진행한다 오픈 전 와인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백레이블엔 와인에 대한 소개일뿐 메이킹 노트가 기재되어 있진 않다 블랙 스탈리온 까베르네 소비뇽 2019 Black Stalliin Cabernet Sauvignon 2019 종류: 레드와인 빈티지: 2019 생산국: 미국 (USA) 생산지: 캘리포니아 (California) -> 나파 카운티 (Napa County) -> 나파 밸리(Napa Valley) 생산자: 블랙 스탈리온 (Black Stalliin) 품종: 카베르네 소비뇽(Cabernet Sauvignon) 80%, 쁘띠 시라(Petite Sirah) 11%, 메를

[와인잔] 지아코모 콘테르노 즈위젤 센서리 소피앤왈드 피닉스 버건디 와인 글라스 무게 및 비교 추천 사용 리뷰 [내부링크]

센서리 구매일 2023년 11월 22일 소피앤왈드 구매일 2023년 5월 24일 특징: 센서리 와인잔은 독일산이며 소피앤왈드 피닉스 버건디는 오스트리아산으로 둘 다 버건디 스타일의 와인에 적합하도록 디자인 되었다, 특히 소피앤왈드 피닉스 라인업은 온라인에서 구매시 반드시 영상으로 강조하는게 잔이 매우 튼튼함을 강조하여 영상에서 탁자에 내리쳐도 부숴지지 않는 내구성을 자랑하며 센서리 와인잔은 디자이너가 이탈리아 피에몬테 네비올로로 유명한 와인들을 만들어내는 오너 와인 메이커가 직접 디자인에 관여한 와인잔으로 일반적으로 네비올로 전용잔이라고도 부른다 지아코모 콘테르노 즈위젤 센서리 소피앤왈드 피닉스 버건디 지아코모 콘테르노 즈위젤 센서리 Giacomo Conterno Zwiesel Sensory 스펙 국가: 독일 소재: 무연 크리스탈 공정: 핸드메이드 높이: 21.8cm 용량: 960ml 무게: 114g (직접 측정한 무게, 핸드메이드라 조금씩 편차가 있음) 사용기 최근 와인21에서

[화이트] 칸테 말바지아 2019 Kante Malvasia 2019 이탈리아 말바시아 화이트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3년 11월 18일 이탈리아 프리울리 베네찌아 줄리아 지역에서도 카르소 라는 생산지의 말바시아 품종으로 만든 화이트와인으로 손으로 수확한 포도를 부드럽게 압착하여 발효 후 오래된 프렌치 오크 바리크에서 12개월 숙성하고 이후 스테인리스 스틸 탱크에서 6개월을 추가 숙성한다 오픈 전 와인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흰색바탕의 레이블에 꽤나 심플한 구성이다 에디 칸테 말바지아 2019 Edi Kante Malvasia 2019 종류: 화이트와인 빈티지: 2019 생산국: 이탈리아 (Italy) 생산지: 프리울리 베네찌아 줄리아 (Friuli Venezia Giulia) -> 카르소 (Carso) 생산자: 에디 칸테 (Edit Kante) 품종: 말바시아(Malvasia) 100% 당도: 1.6 / 산도: 3.9 / 타닌: 1 / 바디: 3.2 알콜: 13% 시음온도: 10~12도 용량: 750ml 가격대: 7만원대 수입사: 비노비노 구매처: 비노비노 직영샵 - 테이스팅 노트 와

[레드] 마테오 꼬레지아 안토스 2018 Matteo Correggia Anthos 2018 이탈리아 피에몬테 브라케토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3년 11월 19일 이탈리아 북부, 피에몬테에서도 알바라는 지역의 레드와인으로 본래는 프리잔테이자 스위트와인으로 유명한 브라케토 다퀴의 브라케토 품종으로 드라이하게 만들었으며 손으로 수확한 포도를 스테인리스 스틸 뱃에서 6~8일 침용을 하고 발효 후 동일하게 스테인리스 스틸 뱃에서 최소 4개월 숙성한다 오픈 전 와인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백레이블은 되게 심플하다 마테오 꼬레지아 안토스 2018 Matteo Correggia Anthos 2018 종류: 레드와인 빈티지: 2018 생산국: 이탈리아 (Italy) 생산지: 피에몬테 (Piemonte) -> 알바 (Alba) 생산자: 마테오 꼬레지아 (Matteo Correggia) 품종: 브라케토 다퀴(Brachetto d'Acqui) 100% 당도: 1.7 / 산도: 4 / 타닌: 2.8 / 바디: 2.7 알콜: 13% 시음온도: 12~14도 용량: 750ml 가격대: 4만원대 수입사: 루벵코리아 구매처: 디오니 와인 스

[레치오토] 빌라 지라르디 레치오토 델라 발폴리첼라 클라시코 2016 Villa Girardi Recioto della Valpolicella Classico 2016 이탈리아 [내부링크]

시음일 2023년 11월 21일 이탈리아 베네토 지역의 발폴리첼라라는 소지역에서 유명한 스위트와인으로 바로 아마로네가 당분을 거의 알콜로 발효를 한거라면 이 와인은 아마로네가 되기전 당분을 남겨 만든 아마로네의 시초라고 알려져있으며 코르비나 65%, 론디넬라 30%, 몰리나라 5%의 품종 비율로 블렌딩 되며 수확 한 포도를 건조실에서 무려 5개월을 건조과정을 거치며 아마로네가 평균 3개월임을 감안하며 매우 긴 건조과정이다, 이후 양조를 통해 발효를 하고 5헥토리터의 토노 오크통에서 1년을 숙성한다 오픈 전 와인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백레이블에 품종과 간단한 양조 노트가 적혀져 있다 빌라 지라르디 레치오토 델라 발폴리첼라 클라시코 2016 Villa Girardi Recioto della Valpolicella Classico 2016 종류: 스위트와인 -> 레치오토 빈티지: 2016 생산국: 이탈리아 (Italy) 생산지: 베네토 (Veneto) -> 발폴리첼라 (Valpolicel

[레드] 안젤리카 자파타 메를로 알타 2017 Angelica Zapata Merlot Alta 2017 아르헨티나 멘도자 메를로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3년 11월 22일 아르헨티나라는 말벡의 나라에서 멘도사 (Mendoza)라는 말벡의 또 대표 산지에 독특하게 메를로(Merlot) 100%로 만든 레드 와인으로 수확한 포도를 선별된 배양 효모를 사용하여 최고 29도의 높은 온도에서 12일동안 껍질과 침용을 하고 30일에 걸쳐 발효를 한다, 이후 프렌치 오크에서 16개월을 숙성하며 이중 40%는 새오크에서, 나머지는 헌오크에서 숙성하며 3회에 걸쳐 랙킹을 한다 오픈 전 와인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레이블 앞면에 와인명과 품종, 빈티지가 있고 백레이블엔 수입사에서 붙힌 레이블로 구성되어 있다 안젤리카 자파타 메를로 알타 2017 Angelica Zapata Merlot Alta 2017 종류: 레드와인 빈티지: 2017 생산국: 아르헨티나 (Argentina) 생산지: 멘도사 (Mendoza) 생산자: 카테나 자파타 (Catena Zapata) 품종: 메를로(Merlot) 100% 당도: 1.7 / 산도: 3.7 / 타닌

[와인오프너] 듀란드 빈티지 코르크 오프너 Durand Vintage Wine Cork Removal 올드 빈티지 코르코 오프너 추천 [내부링크]

구매일: 2023년 11월 16일 와인을 마시다 보면 10년 정도는 가뿐히 넘는 올드 빈티지 와인을 만날때가 있으며 그런 올트 빈티지 와인들이 코르크 상태가 정말 좋으면 일반적인 코르크 오프너로 오픈이 가능하나 보통 보관 상태가 양호하지 않아 오픈할때 코르크가 부숴지는 경우가 많다, 그럴때 아소를 쓰는데 문제는 아소 오프너로 코르크를 찌르거나 혹은 밀어서 병속으로 빠트리는 경우가 많다, 물론 필자도 유경험자라 꼭 사야지 하다가 결국 지르게 되었지만 올빈 와인을 자주 접한다면 결코 가격대가 아깝지 않은 든든한 오프너다 일반적으로 20만원대가 넘는 고가의 오프너라 케이스 재질 또한 코르크 조각으로 만들어진 목재 케이스다 이를 한번 더 잡아주는 종이 곽에 뒷부분, 메이드 인 대만(...) 비슷한 하이브리드 오프너로 '더 뒤레'가 있지만 평이 썩 좋지 않아 결국 오리지널로 구매했다 생각보다 아소의 칼날이 매우 날카로워 베일 뻔 했다, 조심! 스크류와 아소의 분리 사진 스펙 국가: 미국 생

[화이트] 블랑 섹 드 쉬뒤로 2017 Blanc Sec de Suduirant 2017 프랑스 보르도 블렌딩 화이트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3년 11월 25일 프랑스 보르도에서 만들어지는 화이트와인으로 이 와인을 만드는 와이너리는 소테른에 위치했으며 세미용 51%, 소비뇽 블랑 49%의 블렌딩으로 수확한 포도를 압착 및 발효하여 숙성을 스테인리스 스틸 뱃에서 66%, 나머지 34%는 오크배럴에서 6개월을 숙성하며 10%는 새오크를 쓴다 오픈 전 와인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뭔가 보르도스럽지 않은 앞레이블과 백레이블에는 어떤 품종들이 블렌딩 되었고 간단한 소개도 되어있다 블랑 섹 드 쉬뒤로 2017 Blanc Sec de Suduirant 2017 종류: 화이트와인 빈티지: 2017 생산국: 프랑스 (France) 생산지: 보르도 (Bordeaux) 생산자: 샤또 쉬드로 (Chateau Suduirant) 품종: 세미용(Semillon) 51%, 소비뇽 블랑(Sauvignon Blanc) 49% 당도: 1.7 / 산도: 3.5 / 타닌: 1 / 바디: 3.7 알콜: 13.5% 시음온도: 9~11도 용량: 75

[레드] 라 스피네따 핀 몬페라토 로쏘 2017 La Spinetta Pin Monferrato Rosso 2017 이탈리아 피에몬테 네비올로 바르베라 블렌딩 와인 [내부링크]

시음일 2023년 11월 26일 이탈리아 북부 피에몬테에서도 몬페라토라는 생산지역의 품종 블렌딩 레드와인으로 네비올로 65%, 바르베라 35%로 양조되며 수확한 포도를 온도가 조절되는 스테인리스 스틸 탱크에서 침용 및 발효를 12일간에 걸쳐 진행, MLF와 숙성은 프렌치 오크 배럴에서 진행하며 비중은 30% 새 오크통, 나머지는 두번 사용한 오크통이며 12개월 숙성하고 병입 후 6개월간 병 숙성을 한다 오픈 전 와인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라 스피네타의 코뿔소과 앞레이블 밑쪽에 그려져 있고 백레이블도 일반적인 피에몬테 와인들처럼 평범하다 라 스피네따 핀 몬페라토 로쏘 2017 La Spinetta Pin Monferrato Rosso 2017 종류: 레드와인 빈티지: 2017 생산국: 이탈리아 (Italy) 생산지: 피에몬테 (Piemonte) -> 몬페라토 (Monferrato) 생산자: 라 스피네따 (LaSpinetta) 품종: 네비올로(Nebbiolo) 65%, 바르베라(Bar

[뱅존] 도멘 메르 에 피스 뱅 존 아르부아 2014 Domaine Maire & Fils Vin Jaune 2014 프랑스 쥐라 아흐보와 사바냥 품종 화이트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3년 12월 2일 프랑스 쥐라 지역의 아르부아라는 소지역에서 생산되는 뱅 존 와인으로 사바냥 품종으로 양조되며 수확시 최대한 숙성이 더 되어 과숙성이 된 9상태에 귀부에 노출된 포도까지 같이 기계와 손으로 수확한다, 이후 직접 압착과 일반적인 드라이 화이트 와인으로 양조하고 효모앙금(리 숙성)과 같이 짧게 숙성하고 다음 오크통에 옮긴뒤 5리터의 Small Day로 토닝하여 빠르게 효모층이 생기도록하며 다양한 오크통을 통해 우디한 나무향이 강하지 않도록 조절, 최소 6년 3개월 숙성 후 전용 병에 각각 담는다 오픈 전 와인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백레이블에 양조과정이 기재되어 있다, 병목에는 밀랍으로 처리가 되어있어 오픈할때 제일 짜증나는 포인트다 도멘 메르 에 피스 뱅 존 아르부아 2014 Domaine Maire & Fils Vin Jaune 2014 종류: 뱅존 빈티지: 2014 생산국: 프랑스 (France) 생산지: 쥐라 (Jura) -> 아르부아 (Arbois)

[레드] 코만도 G 엘 옴브레 발라 2017 Commando G El Hombre Bala 2017 스페인 가르나차 붉은 과실향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3년 12월 9일 스페인, 마드리드의 레드와인으로 가르나차로 독특하게 붉은 과실향을 기반으로 피노누아, 북론의 시라가 떠오르는 풍미를 표방하며 만들었으며 50~90년이 된 올드바인에서 손으로 수확한 포도를 줄기는 모두 제거하고 프렌지 오크배럴에서 발효를 진행했으며 약 30일동안 저온에서 침용 및 발효를 하고 이후 400리터와 700리터의 프렌치 오크통에서 10개월 숙성을 거친다 오픈 전 와인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신의 물방울에서도 소개 된 저 레이블이 매우 유명하다, 심플한 백레이블에 자연스럽게 잘 붙혀진 수입사 레이블 코만도 G 엘 옴브레 발라 2017 Commando G El Hombre Bala 2017 종류: 레드와인 빈티지: 2017 생산국: 스페인 (Spain) 생산지: 마드리드 (Madrid) 생산자: 코만도 G (Commando G) 품종: 가르나차(Garnacha) 100% 당도: 1.7 / 산도: 3.8 / 타닌: 3.6 / 바디: 3.2 알콜: 14

[레드] 카베르네 소비뇽 반병 2021 Cabernet Sauvignon Half Bottle 2011 칠레 까베르네 소비뇽 가성비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3년 12월 9일 칠레, 센트럴 밸리에서 CU와 대선주조가 합작해 만들어낸 레드와인, 카베르네 소비뇽 품종 100%로 만든 레드와인으로 발효 후 오크통에서 숙성 시켰다고 한다 오픈 전 와인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그냥 소주병에 와인을 담았다 카베르네 소비뇽 반병 2021 Cabernet Sauvignon Half Bottle 2021 종류: 레드와인 빈티지: 2021 생산국: 칠레 (Chile) 생산지: 센트럴 밸리 (Central Valley) 생산자: 대선주조 품종: 카베르네 소비뇽(Cabernet Sauvignon) 100% 당도: 1.7 / 산도: 3.7 / 타닌: 3 / 바디: 3.2 알콜: 13% 시음온도: 16~18도 용량: 360ml 가격대: 3천원 수입사: 대선주조 구매처: CU편의점 - 테이스팅 노트 와인 글라스: 잘토 덴크 아트 버건디 (Zalto Den'k Art Burgundy) 잘토 버건디 와인잔, 이 날 마시던 레드와인을 다 마시고 이 와인을

[까바] 마르께스 데 모니스트롤 빈티지 까바 브뤼 2019 Marques de Monistrol Vintage Cava Brut 2019 스페인 샴페인 가성비 스파클링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3년 12월 12일 스페인 지역은 까바로 유명한 지역이다, 이곳에서 마카베오(Macabeo), 자렐로(Xarel.lo), 빠레야다(Parellada), 품종 블렌딩으로 양조하며 수확한 포도를 1차 발효 후 2차 병에서 전통적인 방식(샴페인 방식)으로 발효하여 탄산이 생겨나며 이후 효모와 앙금숙성을 최소 9개월하고 데고르주망을 한다, 도사쥬는 미표기 오픈 전 와인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빈티지가 언제인지 표기가 되어있기 때문에 장기 숙성에 도전해볼수도 있다 마르께스 데 모니스트롤 빈티지 까바 브뤼 2019 Marques de Monistrol Vintage Cava Brut 2019 종류: 스파클링와인 -> 까바 빈티지: 2019 생산국: 스페인 (Spain) 생산지: 페네데스 (Penedes) 생산자: 마르께스 데 모니스트롤 (Marques de Monistrol) 품종: 마카베오(Macabeo), 자렐로(Xarel.lo), 빠레야다(Parellada) 당도: 1.7 /

[레드] 테 마타 불노즈 시라 2019 Te Mata Bullnose Syrah 2019 뉴질랜드 혹스 베이 잘 만든 시라 & 쉬라즈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3년 12월 14일 뉴질랜드, 노스 아일랜드에서도 혹스 베이에서 만들어지는 시라/쉬라즈 품종 100% 레드와인, 각 Estate의 Bullnose, Hotspur 및 Isosceles라는 포도원에서 수확하여 양조장 이동 후 각각 줄기제거, 비교적 높은 온도에서 발효와 침용을 장기간에 걸쳐 진행, 압착 후 MLF 발효와 각 포도원 별 개별적으로 양조 후 새 오크통과 이미 숙성에 쓰인 프렌치 오크 바리끄를 혼합하여 각각 14개월에 걸쳐 오크 숙성하고 블렌딩 후 병입한다 오픈 전 와인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앞 레이블에 와인너리, 와인명, 품종, 빈티지 및 와인산지가 기재되어 있고 백레이블에 자세한 와인 노트가 기재되어 있으며 테이스팅 노트도 간단히 기재되어 있다 테 마타 불노즈 시라 2019 Te Mata Bullnose Syrah 2019 종류: 레드와인 빈티지: 2019 생산국: 뉴질랜드 (New Zealand) 생산지: 노스 아일랜드 (North Island) -> 혹

[화이트] 콘차이 토로 디아블로 샤르도네 2022 Concha y Toro Casillero del Diablo Chardonnay 2022 칠레 가성비 샤르도네 화이트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3년 12월 16일 칠레 코킴보에서 리마리 밸리라는 비교적 서늘한 기후대의 지역에서 샤르도네 품종으로 만든 화이트 와인으로 수확한 포도를 스테인리스 스틸 탱크에서 발효 후 30%는 프렌치 오크에서 나머지는 스테인리스 스틸 탱크에서 숙성한다(새오크 및 숙성기간 미표기) 콘차이 토로 디아블로 샤르도네 2022 Concha y Toro Casillero del Diablo Chardonnay 2022 종류: 화이트와인 빈티지: 2022 생산국: 칠레 (Chile) 생산지: 코킴보 (Coquimbo) -> 리마리 밸리 (Limari Valley) 생산자: 콘차이 토로 (Concha y Toro) 품종: 샤르도네(Chardonnay) 100% 당도: 1.6 / 산도: 4.3 / 타닌: 1 / 바디: 3.2 알콜: 13.5% 시음온도: 9~11도 용량: 750ml 가격대: 9,900원 수입사: 아영 에프비씨 구매처: GS25 편의점 - 테이스팅 노트 와인 글라스: 잘토 덴크 아트

[화이트] 옐로우 테일 샤도네이 2022 Yellow Tail, Chardonnay 2022 호주 가성비 입문용 화이트 와인 리뷰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3년 12월 16일 호주, 뉴 사우스 웨일즈 (New South Wales)에서 재배 및 양조되는 샤르도네 품종 100% 화이트 와인으로 수확한 포도를 압착 및 발효를 거치고 프렌치 오크통에서 숙성한다(숙성개월 및 새오크 사용비율 미기재) 오픈 전 와인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편의점에서 많이 보고 지나친 와인 1위라고 해도 무방할 만큼 익숙한 캐릭터 옐로우 테일 샤도네이 2022 Yellow Tail, Chardonnay 2022 종류: 화이트와인 빈티지: 2022 생산국: 호주 (Australia) 생산지: 뉴 사우스 웨일즈 (New South Wales) 생산자: 옐로우 테일, 카셀라 와인 (Yellow Tail, Casella Wines) 품종: 샤르도네(Chardonnay) 100% 당도: 1.8 / 산도: 3.4 / 타닌: 1 / 바디: 3.7 알콜: 13% 시음온도: 9~11도 용량: 750ml 가격대: 만원대 수입사: 롯데칠성음료 구매처: GS25 편의점 -

[레드] 안셀모 멘데스 비냐웅 에스콜냐 2021 Anselmo Mendes Vinhao Escolha 2021 포르투갈 비뉴 베르데 가성비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3년 12월 17일 포르투갈 북부 비뉴 베르데 지역에서 생산되는 레드와인, 국내서는 쉽게 볼 수 없는 비냐웅 품종으로 양조되며 손으로 수확한 포도를 작은 박스에 담아 빠른 시간내로 와이너리로 운반 후 포도 줄기는 제거하고 포도껍질과 스킨 컨택을 차가운 온도에서 48시간 진행하고 이후 스테인리스 스틸 탱크에서 14~18도의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 발효 후 스틸 탱크에서 장기간 숙성한다 오픈 전 와인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품종 이름이 아주 대문짝하게 표기되어 있고 생산지, 빈티지 그 다음 와이너리가 좀 작게 표기되어 있다 안셀모 멘데스 비냐웅 에스콜냐 2021 Anselmo Mendes Vinhao Escolha 2021 종류: 레드와인 빈티지: 2021 생산국: 포르투갈 (Portugal) 생산지: 비뉴 베르데 (Vinho Verde) 생산자: 안셀모 멘데스 (Anselmo Mendes) 품종: 비냐웅(Vinhao) 100% 당도: 1.4 / 산도: 3.9 / 타닌: 2.

[귀부] 샤또 데레즐라 아스주 6 푸토뇨즈 2015 Chateau Dereszla Aszu 6 Puttonyos 2015 헝가리 고급 스위트 디저트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3년 12월 23일 헝가리에서도 더 노스이스트의 토카이-헤갈라야라는 지역에서 만들어지는 디저트와인으로 세계 3대 귀부와인중 하나인 토카이라는 스위트와인이며 푸르민트 70%, 할스레베루20%, 제타 10%의 품종 블렌딩에 손으로 하나하나 선별해서 수확한 포도를 온도가 조절되며 통제된 온도에서 발효되며 이때 6푸토뇨스는 6바구니에 해당되는 양의 귀부화가 된 포도를 추가하며 발효 후 헝가리 오크통에서 3년을 숙성한다 오픈 전 와인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이번에는 스탠다드 보틀로 마셨는데 토카이는 스탠다드 보틀 용량이 500ml이며 그만큼 아주 귀한 스위트 와인이다 샤또 데레즐라 아스주 6 푸토뇨즈 2015 Chateau Dereszla Aszu 6 Puttonyos 2015 종류: 스위트와인 -> 귀부와인 -> 토카이 빈티지: 2015 생산국: 헝가리 (Hungary) 생산지: 더 노스이스트 (The Northeast) -> 토카이-헤갈라야 (Tokaj-Hegyalja) 생산

[레드] 샤또 비유 라베르뉴 생떼밀리옹 그랑크뤼 2015 Chateau Vieux Lavergne Saint-Emilion Grand Cru 2015 프랑스 보르도 레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3년 12월 22일 프랑스 보르도의 우안, 생-떼밀리옹에서 생산되는 레드와인으로 메를로 70%, 카베르네 소비뇽 15%, 카베르네 프랑 15%의 비율로 블렌딩, 석회질의 모래, 자갈토양으로 구성된 떼루아에 평균 수령 40년의 올드바인에서 수확하여 양조 후 프렌치 오크배럴에서 12개월을 숙성하며 새오크 비율은 25%다 오픈 전 와인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굉장히 클래식해 보이는 샤또(성, 혹은 대저택)까 보이며 백레이블은 의외로 심플하다 샤또 비유 라베르뉴 생떼밀리옹 그랑크뤼 2015 Chateau Vieux Lavergne Saint-Emilion Grand Cru 2015 종류: 레드와인 빈티지: 2018 생산국: 프랑스 (France) 생산지: 보르도 (Bordeaux) -> 생-떼밀리옹 (Saint-Emilion) 생산자: 샤또 비유 라베르뉴 (Chateau Vieux Lavergne) 품종: 메를로(Merlot) 70%, 카베르네 소비뇽(Cabernet Sauvi

[레드] 바디아 아 파시냐노 끼안티 클라시코 그랑 셀레지오네 2020 Badia a Passignano Chianti Classico 2020 이탈리아 키안티 산지오베제 와인 추천 [내부링크]

시음일 2023년 12월 30일 이탈리아 토스카나의 키안티 클라시코 지역에서 생산되는 레드와인으로 산지오베제 품종으로 생산되며 수확한 포도를 줄기를 제거하고 선별한 다음 부드럽게 압착, 알콜 발효는 약 10일 동안 진행하고 이후 머스트는 껍질과 함께 10~12일 동안 침용을 거친다, 랙킹을 거쳐 젖산발효(MLF)를 하고 헝가리 오크와 프렌치 오크통에서 18개월 숙성, 이후 스테인리스 스틸 탱크에서 6개월 숙성 또 추가로 병입 후 6개월 이상 병숙성을 거친다 오픈 전 와인 앞부분과 뒷부분 사진 그랑 셀레지오네는 산지오베제 90% 이상에 국제품종은 블렌딩이 금지되어있다 바디아 아 파시냐노 끼안티 클라시코 그랑 셀레지오네 2020 Badia a Passignano Chianti Classico 2020 종류: 레드와인 빈티지: 2020 생산국: 이탈리아 (Italy) 생산지: 토스카나 (Toscana) -> 키안티 클라시코 (Chianti Classico) 생산자: 마르께시 안티노리 (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