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stc의 등록된 링크

 artistc로 등록된 티스토리 포스트 수는 76건입니다.

대리화음이란 무엇일까? [내부링크]

Diatonic 음악은 T, D, SD 이 세가지 기능으로 모든 진행을 만들 수 있어요! 각 기능의 본래 코드인 1도 4도 5도 화음만으로 만들 수 있지만 화음을 좀 더 풍성하고 음악 진행이 지루하지 않게 하기 위해 같은 기..

근음 진행 Root motion [내부링크]

diatonic 화음이 진행하는 방법은 크게 세 가지가 있어요 그중 가장 강한 진행을 가지고 있는 것은 5도 간격으로 진행을 하는 것이에요 대표적으로 5도 진행으로는 5도 세븐 코드가 1도 maj7으로 진행하는 것과 4..

완전5도 진행은 무엇일까? [내부링크]

음악에 조금이라도 관심이 있으시거나 어릴 때 악보를 보면서 피아노를 연주해 본 경험이 있으신 분들은 악보 앞에 Key를 보고 샵이나 플랫이 많으면 한숨을 내쉬면서 연주를 시작하신 경험 많으실 텐데요~ 오늘은..

메이져 스케일의 다이아토닉 하모니 [내부링크]

다이아토닉이란 그 곡의 바탕이 되는 스케일에서 벗어나지 않고, 그 스케일의 음으로만 이루어진 멜로디, 혹은 하모니를 말해요, 예를 들어 C 메이저의 곡에서 C 메이저 스케일의 구성음(CDEFGAB)으로만 이루어진..

꼭 알아야 할 모드 스케일의 기본과 역사 [내부링크]

그리스 Scale의 구조 서양음악의 뿌리를 이루는 메이저 스케일과 마이너 스케일은 고대 그리스에서 사용하던 것을 가져온 것으로 중세시대 교회음악에서 단선율 음악으로 사용하던 스케일이에요 원래 총 7개의 스..

코드마다 텐션을 넣을 수 있는게 다르다고? [내부링크]

지난번 포스팅에 이어 글을 작성하겠습니다 지난번 포스팅에서 메이저 7에 들어갈 수 있는 코드와 마이너 7에 들어갈 수 있는 코드를 알려드렸습니다 오늘은 좀 더 복잡한 코드들에 대해서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Mi..

텐션은 무엇이고 왜 써야하는 것일까? [내부링크]

이번 포스팅은 코드의 확장인 텐션입니다! 세련된 화성, 혹은 음악을 주기위한 첫번째 화성학 단계예요 앞 포스팅에서 배운 7th 코드 위에 3도씩 음을 더 쌓아서 코드를 더욱 풍성하게 만드는 방법을 살펴보겠어요..

코드의 자리바꿈은 어떻게 할까? [내부링크]

지난번 포스팅에서 각 코드들에 대해서 나열을 하듯 게시글을 써서 한 번에 정리한 표를 가져와봤습니다 7th chord들의 코드톤을 표기한 것입니다 각 코드톤들의 특징들을 한눈에 확인하기 편할 것입니다 오늘은..

마이너 계열의 코드 [내부링크]

마이너 메이저 7th 코드 단화음에 장7도 음을 쌓아서 만들어지는 화음을 Minor major 7th코드라고 합니다 표기는 -maj7 이나 mi(maj7)이라고 표기합니다 이 화음의 이름에서 볼 수 있듯이 7th 코드의 이름의 처음..

다이아토닉 트라이더 코드와 세븐코드 [내부링크]

다이아토닉이라는 용어는 다른 음의 추가 ㅇ벗이 스케일의 구성 음으로만 이루어진 멜로디 시스템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C 메이저의 다이아토닉은 C 메이저 스케일의 음으로만 만들어진 멜로디나 코드를 말하죠..

3화음 가장 기본적인 코드 [내부링크]

세개의 음이나 그 이상의 음이 함께 쌓여서 소리를 만들어내는 화음을 바로 코드라고 하죠? 이 부분은모두 아시겠죠?^^ 수백 년의 서얌음악 역사 속에 정형화 된 코드의 기본적인 형태는 모두 음들이 3도씩 쌓여있..

이명동음 같은 음 다른 표기 방식 [내부링크]

음에 따라서 2가지 이상의 다른 이름을 갖는 음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G#과 Ab은 같은 음이지만 이름이 서로 다르죠? 이런 음을 바로 '이명동음' 이라고 합니다. 이 이명동음이라는 이론으로 인해, 피아노 건반상..

기본음정의 숫자와 종류, 음정 찾는방법 [내부링크]

음정의 이름은 항상 C 메이저 스케일(C Major Scale)을 기준으로 만들어집니다 무조건 C 메이져 스케일을 기준으로 삼을 필요는 없지만 피아노의 하얀 건반 만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점에서 많은 사람들이 이를 기..

음악의 기초 음정이란 무엇일까 ? [내부링크]

음향을 쓰는데 콘텐츠에 대한 한계가 점점 생겨서 작곡 준비하던 시절 배웠던 실용음악책을 한번 더 펼쳐서 읽어보면서 오랜만에 완전 생이론으로 돌아가 보려고 합니다! 음악에서 가장 기초적인 이론은 바로 화성..

아날로그 레코딩용 마스터링은 무엇이 다를까? [내부링크]

음원을 한 번쯤 완성해본 사람이라면 알 수 있듯이 디지털 음원용 마스터링은 음원 유통회사에 따라 조금씩은 다르겠지만 규격과 사이즈가 대충 정해져있어요 44/16 라거나 48/24 라거나 96/24 등 사이즈가 정해..

음압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일까? [내부링크]

만약 80년대에 발매된 CD를 가지고 있다면 DAW에서 인코딩해서 최근에 발매된 CD와 인코딩한 음원을 비교해보면 엄청난 음량 차이 때문에 꽤나 놀랄 것입니다. 최근 CD는 음량이 아주 작아지는 부분을 제외한 전체..

리버스 효과 [내부링크]

아날로그 시대 때부터 엔지니어가 자주 만들던 효과음이 바로 Reverse 효과입니다. 그때 당시에는 오픈릴 테이프를 반대로 감아서 녹음한 다음, 원래대로 되돌려서 재생하는 방법으로 당시에는 손이 굉장히 많이..

딜레이의 피드백효과, 핑퐁 딜레이 [내부링크]

핑퐁 딜레이를 설명하기 전에 딜레이에서 큰 역할을 차지하는 Feedback이라는 파라 매터에 대해서 먼저 얘기해볼게요 한국말로는 피드백입니다 살면서 정말 많이 들어본 단어이죠? 피드백의 사전적인 의미는 '출력..

보컬 노이즈 잡는 해결하는 방법 [내부링크]

프로 음향 스튜디오나 개인 작업실이나 홈 리코딩에서 가장 많이 하는 녹음은 아마 Vocal Recording일 것입니다 Vocal Recording은 쉽고 간편하고 오디오 인터페이스 장비 하나만 있다면 누구나 할 수 있다는 장점..

테이프 레코더 사운드를 사운드에 적용해보자 [내부링크]

테이프 사운드는 테이프 컴프레션에 의한 디스토션, 즉 세츄레이션에 관한 것입니다 그렇다고 디스토션 계열 이펙터로만 만들어 낼 수 있는 것은 아니에요 아날로그 테이프 레코더와 빈티지 아날로그 컴프레서들은..

마스터링은 도대체 무엇을 하는 작업일까? [내부링크]

음원을 발매 하기전에는 많은 과정을 거쳐야합니다 보통 작사 작곡 편곡 프로듀싱 녹음 믹싱 마스터링 순으로 진행되는데 일반인분들도 음악하시는 분들도 프로듀싱까지의 작업은 어느정도 이해를 하고 알고 있는..

기타 이펙터 연결 순서로 소리가 달라진다 [내부링크]

기타리스트들의 필수 아이템은 바로 페달 보드입니다 기타 꾹꾹이 이펙터를 오랫동안 접해오신 분들은 페달 보드만 봐도 그 기타리스트의 성향을 알 수가 있다고 합니다. 처음에는 꾹꾹이 하나로 시작하다가 점점..

멀티 이펙터의 장점과 단점 [내부링크]

멀티 이펙터의 정의에 대해서 설명을 해보겠습니다. 이름만 들어도 대충 감이 오시지 않나요? 멀티 이펙터란 하나의 장비에 여러 가지의 이펙터를 내장시킨 장비인데 일반적으로 멀티 이펙터는 2가지 종류로 구분..

음원을 복구시켜주는 리스트레이션 계열 이펙터 [내부링크]

리스트 레이션이란 회복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00년대 이후에 플러그인 이펙터의 발전과 컴퓨터 CPU의 발전으로 인해서 대부분의 DAW는 리스트 레이션 계열의 플러그인들이 기본적으로 내장되기 시작했으며..

기타 녹음의 끝판왕 앰프 시뮬레이터 [내부링크]

앰프 시뮬레이터라고 불리는 것은 원래 라이브에서 사용하기 힘든 기타 앰프를 개인 녹음실에서 앰프와 같은 출력의 소리를 재현하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따라서 독자적인 사운드를 만들어내는 이펙터라고 보기..

음악을 3D처럼 들을 수 있는 이유 [내부링크]

가장 최근 몇 년 사이에서 제 기준에서 음향에서 가장 이슈 있었던 토픽들은 마스터링 엔지니어를 대체할 인력으로 쓰일 izotope 회사의 Ozone 마스터링 플러그인 이슈와 3D계열 플러그인 등장 및 발전이라고 생각..

스테레오 이미지, 음악의 확산감은 어떻게 생길까? [내부링크]

스테레오 이미지란 공간 계열과는 사뭇 다른 형태의 이펙 터이에요 Delay나 Reverb는 원음에 메아리와 울림을 추가해서 특정 공간의 울림을 재현하지만 스테레오 이미지와 3D 계열 이펙터는 공간 자체를 재현하는..

Leslie 스피커, 로터리 사운드 구급차소리 [내부링크]

로터리 사운드란 오르간용 Leslie 스피커의 사운드를 의미하며, 이러한 로터리 사운드를 전자적으로 재현한 것이 로터리 사운드입니다 음악을 진행하다가 좀 더 특별한 사운드를 원하고 찾게 되면 알게 되는 사운..

LFO의 기본적인 원리와 효과들 [내부링크]

모듈레이션 계열의 이펙터 중에서 정말 중요한 이론이 하나 있습니다 세럼이나 매시브를 많이 사용하시는 분들은 아시겠지만 여기에서도 바로 LFO 이론이 있습니다 간혹 많은 프로듀서나 작곡가분들이 이 제품을..

일렉기타에서 임피던스가 중요한 이유 [내부링크]

어릴 때 어떤 악기를 연주해봤느냐에 따라서 그 사람이 가지게 될 음악적 정체성은 엄청나게 큽니다 제가 봐온 결과 피아노를 치는 사람들은 미디의 스킬적인 부분들을 엄청나게 잘 다뤄 스펙트럼이 넓고 베이스를..

Insert와 Send/Return의 다른점은 무엇일까? [내부링크]

Effect 연결방법으로 구분하면 크게 2 종류로 나눌 수 있습니다 하나는 원음과 출력사이에 바로 효과를 집어넣어서 소리에 직접적인 변화를 발생시키는 방식이 있고 여기에는 대표적으로 다이내믹 계열의 효과, 드..

이펙터의 역사, 이펙터는 무엇일까? [내부링크]

음악을 디지털 오디오 워크스테이션(DAW)을 통해 만드는 세상인 지금 음악에서 사운드는 굉장히 중요한 역할을 차지합니다 사운드가 좋아질수록 그 노래의 진가가 더욱 발휘되고 장르의 특성을 좀 더 표현할 수 있..

음악에서 바라본 디지털에서 발생하는 문제점 [내부링크]

아날로그 시그널이 디지털 시그널로 컨버팅 되어 디지털 세상으로 오면 아날로그에서는 들리지 않던 소리들이 디지털화되면서 들리지 않았던 음들이 생기는데 이런 현상을 에일리어싱이라고 합니다. 이것은 음향뿐..

옛날 녹음기의 종류와 특성은 어떠한 것들이 있을까? [내부링크]

디지털 시대가 아닌 아날로그 시대 때 음향 스튜디오에서 리코딩을 할 때는 어떠한 종류의 녹음기로 녹음을 진행했을까요? 통상적으로 녹음기는 사용할 수 있는 트랙수로 분류를 했습니다 트랙 수는 말 그대로 몇..

아날로그 오프릴 녹음기 [내부링크]

요즘 시대에는 많은 음원들이 컴퓨터를 리코딩되는 게 일반적입니다 컴퓨터를 통해 리코딩을 하다 보니 더욱더 접근성이 쉬워졌고 진입장벽이 현저히 낮아졌습니다 이를 통해 개인작업자들이 굉장히 많이 늘어나면..

큐 시스템 [내부링크]

음향 스튜디오에서 녹음을 할 때 가수는 녹음 부스에서 엔지니어나 프로듀서는 컨트롤룸에 있습니다 그러면 어떻게 마이크에 있는 신호가 엔지니어에게 도달해서 컴퓨터에 녹음이 되는 것일까요 마이크 케이블이..

니어 필드 시스템 [내부링크]

대형 라우드 스피커 모니터링은 스피커 스탠드 위에 설치하는 것이나 밖에 설치하는 것이 아닌 스튜디오 벽을 뚫어서 벽 안에 설치하는 방식입니다 저음 악기의 음색과 볼륨 밸런스를 매우 섬세하게 조정할 수 있..

크로스오버 기울기와 필터 [내부링크]

지난 포스팅에서 말씀드린 스피커와 크로스오버 네트워크, 모니터링 시스템에 대해서 좀 더 말을 덧붙이고자 포스팅을 해보겠습니다 지난번에 크로스오버 네트워크는 스피커 출력 신호를 드라이버에 필요한 주파수..

라우드스피커 시스템, 스피커 구조 [내부링크]

작곡을 시작하게 되고 장비를 하나씩 세팅하다 보면 마이크, 프리앰프, 오디오 인터페이스, 스피커 등 눈에 들어오는 게 많아집니다 여기서 좀 더 발전을 해보면 좋은 마이크와 프리앰프를 구축하는게 먼저일까 아..

대중가요에 쓰이는 드럼 멀티 마이킹 테크닉 [내부링크]

일반 사람들이나 음악 하는 사람들조차도 콘덴서 마이크가 다이내믹 마이크보다 우월하다는 인식이 있습니다 심지어 음향을 하는 사람들 조차도 다이내믹 마이크가 별로라고 인식하는 사람들이 있는데요 이는 매우..

마이킹 대표적인 녹음 공식툴 [내부링크]

많은 스튜디오에서 보컬을 녹음할 때는 엄청나게 많은 공식이 없습니다. 전형적인 보컬 리코딩 공식은 마이크를 너무 멀리 떨어지지 않은 채로 가까이 설치하고 공간감은 디지털 리버브를 통해 부여합니다 마이크..

대표적인 오디오 케이블과 커넥터 [내부링크]

음악을 시작하고 장비를 점점 늘려 나가다 보면 추가적으로 발생하는 돈이 있는데 그것은 바로 케이블입니다. 실제 컴퓨터 하나에도 많은 케이블링이 발생되고 오디오 장비는 생각하기도 싫을 만큼 많이 추가됩니..

플랜저와 페이저, 모듈레이션 이펙터 [내부링크]

가끔씩 음악을 듣다보면 괴상한 이펙터가 나오는 경우가 있는데 일반인들은 알아차리지 못할정도입니다 이러한 괴상한 이펙터들을 바로 모듈레이션 계열의 이펙터라고 하는데 이들은 꽤나 신기하고 괴기스러운 소..

패치베이란 무엇일까? [내부링크]

현재 디지털 시대에서 음악을 하기 위해는 많은 장비가 필요하지는 않습니다 어떻게 보느냐에 따라 다르긴 하지만 디지털 프로그램들이 워낙 기존 아날로그 장비들을 너무 잘 카피해서 개인 작업자들에게는 많은..

베이스 트랩과 흡음 장치 [내부링크]

아무래도 실내 음악 환경에 대한 포스팅이 길어지네요 ^^... 할 수 있는 얘기가 많기도 하고 좋은 콘텐츠인 것 같습니다 아무래도 정사각형의 룸의 정재파와 공진들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마주 보는 면들을 경사..

실내 공진, 정재파 [내부링크]

일반사람들이 많이 착각하는 게 있는데 가끔 난 목욕탕이나 욕실에서 노래를 부르면 좋게 들려라고 하시는 분들이 있습니다. 실제로 좋게 들리는 것은 맞지만 이는 콘서트홀 잔향과는 매우 다른 울림입니다 한마디..

앰비언스 마이킹과 라이브와 데드 녹음환경 [내부링크]

앰비언스 마이킹(Ambience Miking)은 말 그대로 공간을 녹음한다는 것입니다 특정 장소마다 특정 위치마다 모두 소리가 다르기 때문에 신경을 쓸 필요가 있지요 이는 임계 거리라는 것과 상당히 밀접한 관련이 있..

음악에서 바라본 역제곱 법칙 [내부링크]

초보자로서 한 번쯤 녹음을 해본 사람이라면 생각해봤을 건데 만약에 보컬 녹음을 하는 도중에 특정 부분을 너무 크게 불러서 피크가 떠서 레벨을 절반으로 줄여야 한다면 가수가 그 부분을 작게 불러야 할까요?..

실내 음향, 룸 어쿠스틱 모니터링 환경 개선 [내부링크]

작업을 많이 하다 보면 의문점이 많이 생기기 시작합니다 특히 모니터링이라는 관련 카테고리에서 굉장히 많은 고뇌와 고통의 시간을 가지게 되죠 자신의 작업실에서 녹음한 보컬과 악기 소리가 어둡고 둔탁하게..

보컬 녹음, 콤 필터링의 위험성 [내부링크]

이번 포스팅에서는 마이킹 테크닉에 대해서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외국 유명 엔지니어들만 보아도 마이킹에 대해서 몇십 년을 연구하고 음향에 일가견이 있으신 분들이 있지만 저는 그에 비하면 새발의 피라서....

음원 잡음 제거하는 법 [내부링크]

초보자분들께서 작곡 프로그램을 통해 녹음을 하게 되면 그 결과물은 썩 좋은 결과를 얻지 못하게 됩니다 잡음이 정말 많이 들어가는 경우를 저도 겪어봤고 주변에서도 그런 파일을 많이 받았기 때문이죠 어떻게..

사이드 체인의 역할과 거는법 [내부링크]

제가 앞서 말씀드린 포스팅에서의 노이즈 게이트의 역할은 사이드 체인이라고 불리는 기술적인 프로세서를 통해서도 해결을 할 수 있습니다 때로 드럼 킥 사운드의 강한 어택음과 앰비언스를 함께 녹음하기 위해..

노이즈 게이트와 익스팬더의 사용법 [내부링크]

곡을 쓸 때 가장 먼저 하는 것이 소스를 고르는 것입니다 물론 아날로그식으로 하자면 음악노트에 음표와 박자를 필기한 후에 시퀀싱을 시작하지만 요즘 디지털 음악이 굉장히 많이 발달되고 클래식은 아니더라도..

멀티밴드 컴프레서의 용도와 목적 [내부링크]

이퀄라이저와 컴프레서를 쓰다 보면 내 맘 같지 않게 소스가 변할 때가 많습니다. 저 같은 경우는 어떤 경우가 가장 마음에 들지 않았냐면 어떠한 소스에 200Hz 정도에 서지컬적인 문제가 생겼다고 하면 이큐로 없..

마이크 지향성과 레코딩 잘하는법 [내부링크]

마이크는 지향성이라는 단어가 존재합니다 지향성이라는 것은 무엇일까요? 마이크는 그 종류에 따라서 360도 모든 방향의 음을 받아들이기도 하고 특정한 방향만의 음을 수용하기도 합니다. 따라서 마이크 지향성..

마이크의 정의와 종류 [내부링크]

지금은 작곡을 취미로 하시는 분들도 워낙 많기도 하고 인터넷 방송이나 유튜브 방송을 하시는 분들도 꽤 많이 늘어났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마이크에 대한 관심도가 최근 몇 년 사이 정말 많이 올라갔습니다...

딜레이의 정의와 플러그인 추천 [내부링크]

딜레이라는 것은 리버브와 더불어 음악시장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공간계 이펙터입니다. 딜레이 시스템은 원음과 같은 음을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지연시켜서 만들어내는 오디오 이펙터입니다. 지금은 플러그인 하..

리버브 플러그인의 종류 [내부링크]

리버브에는 굉장히 많은 종류와 카테고리들이 있습니다 그 이유는 굉장히 단순한데요 세상에는 정말 많은 공간이 있죠? 그 공간마다 들리는 각각의 소리의 특성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리버브 플러그인의 프..

리버브에서 일어난 실수 [내부링크]

작곡 프로그램을 통해 많은 초보자들이 실수하는 것들 중에 가장 큰 한 가지가 있습니다 사운드에 너무 많은 리버브를 입혀서 어떤 소스가 있는지도 구별을 하지 못하게 만드는 능력입니다 몇 달 전에 유튜브에서..

소리의 정의, 소리에 관한 이야기 [내부링크]

작곡을 하기 위해 이것을 알아야 하나 싶지만.. 음향을 배운 저로서는 간단하게 소리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고 싶어서 포스팅을 해봅니다 음악하는 사람에게 소리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세요? 라고 하면 정확하게 얘..

뮤지컬 컴프레서와 써지컬 컴프레서 [내부링크]

제목을 보고 무슨 말인지 하시겠지만 컴프레서에는 여러 카테고리가 나뉩니다 앞에 포스팅에서 언급했다시피 가장 큰 카테고리 분류는 아무래도 어떤 회로가 들어가 있느냐에 따라 많이 바뀌지 않나 생각합니다!..

아날로그 컴프레서의 방식 [내부링크]

사운드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이큐와 컴프레서를 설명중 컴프레서는 너무 많은 이야기가 진행될 것 같아서 2탄으로 나눠봤습니다 이어서 얘기를 해보자면 컴프레서는 굉장히 많은 종류로 나뉘는데 아날로그 방식을..

사운드 이해의 기초 컴프레서 [내부링크]

지난번에는 작곡 프로그램을 시작하면서 가장 처음 접하게 되는 이펙터인 이퀄라이저에 대해 알려드렸는데 이퀄라이저를 다루기 시작하면 사운드에 대한 불만이 또 생기기 시작합니다 평소 듣던 노래들과 안정감도..

이퀄라이저란 무엇일까? [내부링크]

이퀄라이저는 일반인 분들도 많이 들어봤을 법한 용어인데요 음향학적으로 설명하자면 음향 신호를 주파수 대역별로 에너지를 조절하는 것인데요 처음 작곡을 시작하시는 분들이 인서트에 가상악기를 걸고 악기를..

디지털 음악 레코딩의 역사와 문제점 [내부링크]

사운드 클라우드에 올라오는 많은 개인 작업자들의 노래를 들어보면 정말 프로페셔널한 앨범의 곡들도 많지만 많은 사람들의 앨범을 들어보면 리코딩이 제대로 진행되지 않았다는 게 제대로 티가 납니다 작업자들..

마스터 키보드와 가상악기의 관계 [내부링크]

저번에는 꼭 필요한 음악장비에 대해서 소개를 드렸다면 오늘은 디지털 음악에서 편리하게 작업하기 위해 선택하는 장비 중 하나인 마스터키보드에 대해서 잠깐 설명해볼까 합니다 많은 분들이 시퀀서 프로그램을..

Instrument 트랙과 MIDI 트랙의 차이점 [내부링크]

지난번 포스팅을 보셨다면 이제 새로운 세션을 만들 수 있을 겁니다 그렇게 되면 가장 먼저 보이는 믹스 창에는 어떤 행동을 해야 할까요? 저도 마찬가지였지만 저처럼 음악이 정말 좋아서 게임처럼 시작해서 아무..

디지털 음악의 기초 이론 Bit Depth 이론 [내부링크]

 지난 포스팅에서 초보 음악가 분들이 세션을 처음 만들 때 만나는 음향 기초 이론이 바로 Sample Rate와 Bit depth라고 말씀드렸습니다. 샘플 레이트에서 다시 간단하게 짚어보면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로 변환..

디지털 음악의 기초의 시작 Sample Rate 이론 [내부링크]

ㅇ지난번 포스팅에서 작곡 프로그램마다 장단점을 얘기해드리고 구분을 좀 나눠봤는데 오늘은 공통적인 사항에 대해서 알려드릴려고 합니다 가장 먼저 작곡프로그램을 실행하게 되면 세션을 만들어야 합니다 세션(..

시퀀싱 프로그램 추전 큐베이스/로직/프로툴/에이블톤 [내부링크]

처음 작곡을 시작하고 싶어서 처음 시퀀싱 프로그램을 알아보시는 분들이 많을 겁니다 몇 년 전만 해도 크렉이 너무 많았는데 요즘은 그냥 기본 베이스인 것 같아요 너무 안타깝습니다.. 음악 하는 사람이 음악을..

디지털 음악 시장에서 녹음(레코딩) 잘하는 법 [내부링크]

지난번 포스팅에서 녹음에 대해 얘기를 해봤는데 오늘은 자세한 이야기에 대해 다뤄보겠습니다 리코딩에는 정말 많은 종류가 있는데 개인 작업자들이 가장 많이 하는 리코딩은 바로 보컬 리코딩입니다 몇 년 전부..

액티브 스피커와 패시브 스피커의 차이와 모니터링 [내부링크]

지난 시간에 컴퓨터의 성능과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고르는 방법에 대해 알려드렸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오인페와 컴퓨터 뒤에 붙어야 하는 스피커와 모니터 컨트롤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디지털 음악을 하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쓸 때 알아야 할 기본 이론 [내부링크]

저번 포스팅에 이어서 오디오 인터페이스에 대해 다뤄볼 건데 앞으로 편의상 오인페라고 부르겠습니다 오인페를 고를 때는 어떤 기준으로 골라야 할까요? 사실 돈만 있다면 Universal audio 사의 아폴로 오디오 인..

간단한 오디오 인터페이스의 정확한 역할과 역사 [내부링크]

요즘은 음악에 대한 진입장벽이 굉장히 많이 낮아져서 취미로 음악을 즐기는 사람들도 많아졌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시퀀싱 프로그램을 쓰는 건 필수가 되었습니다 저 또한 가장 처음에는 기타프로 5 라는 프로그램..

디지털 음악의 저장장치 HDD와 SSD [내부링크]

지난번 포스팅에서 컴퓨터의 부품에 대해서 소개를 해드리다가 멈췄는데 CPU와 RAM까지 설명을 했습니다 추가로 정말 중요한 마지막 부품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드리겠습니다 저장장치라는 것은 컴퓨터를 다루는 데..

작곡프로그램과 컴퓨터의 부품과 밀접한 관계 [내부링크]

지난 포스팅에 이어 DAW의 이론을 말씀드리겠습니다 한번 더 말씀드리자면 DAW는 디지털 신호들이 오고가는 통로입니다 단순히 작곡 프로그램 시퀀서로 인식하지 않고 무작정 인스트로먼트 트랙만 만들어서 가상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