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visiblemate7의 등록된 링크

 invisiblemate7로 등록된 티스토리 포스트 수는 8건입니다.

고관절굴곡근에 대해 알아보자! 홍대pt [내부링크]

고관절 굴곡근(Hip flexor)의 종류!? 오늘은 고관절 굴곡근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고관절 굴곡근 중에서도 특히 봉공근(Sartorius), 대퇴직근(Rectus femoris), 치골근(Pectineus), 장요근(IIiopsoas)에 대해 포스팅해볼건데, 근육의 부착부위나 기능에 맞춰 봐주시면 개인운동 하실때 많은 도움이 되실거라 생각합니다. 고관절 굴곡근과 같이 골반과 무릎 2가지 부위에 부착된 다관절(Two joint muscles)은 단일관절에 비해 단축이 잘 되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평상시에 근막이완 이나 스트레칭등을 이용해 잘 풀어주시면서 관리해주셔야 합니다. 고관절 굴곡근(Hip flexor)의 기시(Origin),정지(Insertion),기능(Action)!? 1. 봉공근(Sar..

골반회전을 알아야 더 정확한 다이어트 운동이 가능하다!? [내부링크]

골반회전(Pelvic rotation)이란!? 골반회전은(Pelvic rotation)위의 사진과 마찬가지로 골반이 오른쪽 또는 외쪽으로 틀어진 형태의 체형을 뜻합니다. 과거 포스팅에서도 설명드렸듯, 골반이 정렬보다 앞 또는 뒤로 이동된 형태인 골반 전방경사(Pelvic anterior tilt)또는 골반의 후방경사(Pelvic posterior)외의 하나의 회전개념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골반회전(Pelvic rotation)의 가장 큰 문제는 신체의 불균형한 패턴으로 몸에서 보상작용을 발생시킨다는 점입니다. 사람들 각각 본인마다 다양한 신체 패턴을 갖고 있고, 모두에게 다 적용되진 않지만, 간단히 생각했을때 왼쪽 골반이 앞으로 나와 오른쪽으로 회전하는 패턴이 있을때, 상체의 왼쪽 어깨부분 역시 올라..

굽은등교정기 없이도 개선 가능한 라운드숄더운동방법 [내부링크]

굽은등! 라운드 숄더(Round shoulder)란!? 요즘은 라운드 숄더(Round shoulder)라는 체형이 빈번하기 때문에, 많은 분들이 이 체형에서 생활을 하시며 목,승모,등,가슴등의 불편감과 통증을 호소하시고 계십니다. 이 체형의 경우 위 사진만 봐도 왼쪽(이상적 정렬 / ideal posture)과 비교했을때 오른쪽의 체형(라운드 숄더(Round shoulder)이 더 구부정해보이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라운드 숄더란 쉽게 말해 등과 어깨과 둥글게 말려 있는 체형이며, 어깨에 비해 고개가 앞으로 많이 밀려 나와있는 거북목(forward head)형태를 띄고 있습니다. 여기서 알고 있어야 할 부분은 상담시 본인이 "거북목"이다 또는 "등이 굽었다"라고 따로 알고 계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근육긴장과 근육약화에 따른 상부교차증후군,하부교차증후군 [내부링크]

근육의 긴장상태와 약화된 근육상태를 모르고 운동을 한다!? 만성으로 생기는 근육의 통증을 신경학적인 관점에서 보자면 하나의 사이클을 갖고 있다. 1차적으로 우리가 보행시 발목접지름등으로 부상을 당하거나, 오랜 좌식생활을 톻해 허리와 고관절에 염증이 생길수 있게 된다고 가정했을때, 이는 "근육의 불균형"을 유발하게 된다, 이 근육의 불균형의 발생과정은 앞서서의 부상이나, 평상시 잘못된 좌식생활로 인한 염증이 오래되어 근경련이 생기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근육유착이 생겨 근신경계로의 변화도 일어나게 되는데 이게 최종적으로 몸을 타이트하게 또는 약화되게 만드는 근육 불균형 상태로 변형되게 한다. 이는 곧 움직임도 부자연스럽게 만들어, 움직임 패턴도 바꾸고 결국 자세변화를 일으켜 손상된 움직임 패턴과 자세변화를..

감각운동시스템이 운동의 퀄리티를 결정!? [내부링크]

감각운동시스템(Sensorimotor system)이란!? 감각운동시스템(Sensorimotor system)이란, 위의 사진을 보면 이해하기가 쉽다. 최초로 말초신경에서 감각정보를 감지하고(입력단계), 들 신경을 통해 뇌와 척수에서 중추신경을 처리하며(처리단계), 날신경을 통해 운동반응이 발현된다. . 이 운동반응이 출력단계를 통해서 우리 몸은 관절 위치 및 움직임(motion) 감각을 인지하며, 다시 말초신경에서 감각정보를 받아들이게 된다. 쉽게 말해 운동반응에서,관절 위치 및 움직임(motion) 감각으로의 출력은 내가 스쾃(Squat)를 진행하고 있는데, 이동 작시 골반은 한쪽으로 밀리지 않고 잘 움직이고 있는지?, 무릎은 안 또는 밖으로 밀렸는지? 정도로 이해하면 된다. 근육 불균형을 일으키는 ..

후방경사된 골반 정확히 이해하기! [내부링크]

후방경사(Posterior tilt)란!? 후방경사(Posterior tilt)란 위의 사진과 같이 골반이 정상적인 기울기보다 후방으로 회전된 자세를 뜻한다. 이상적인 자세(Ideal posture)는 전방으로 살짝 기울기가 있어 요추의 커브가 있는 반면에 후방경사(Posterior tilt)는 골반의 기울기가 거의 수평에 가깝기 때문에, 요추의 정상커브를 방해하고, 척추를 플랫(flat)한 일자허리로 변형시킵니다. 이렇게 골반이 후방으로 변형시, 요추기립근(erector spinae muscles)은 약화되고, 둔근(Gluteus)은 처지면서 약화, 햄스트링(Hamstring)근육의 긴장, 고관절굴곡근(Hip flexor Muscle)의 약화를 유발시킵니다. 또한 내복사근이 타이트해져, 골반을 뒤쪽으로..

허리통증을 유발하는 전방경사란!? [내부링크]

허리 통증을 유발하는 전방경사란!? 우선 체형적으로 문제가 생기는 가장 큰 이유중 하나로는 평상시 자세에 대한 안좋은 습관, 운동부족, 관리소홀등으로 체형적인 문제가 생기게 됩니다. 이 과정중에서 어떤 근육은 긴장(Tight)해지고, 어떤 근육은 쓰이지 않아서 약해지게(Weak)됩니다. 골반의 전방경사(Pelvic anterior tilt)의 원인으로 긴장된 근육과 약화된 근육을 잘 체크 후 운동을 진행해야 합니다. 골반의 정상범위 보다 더 앞으로 기울어진 경우, 골반이 많이 틀어져 있다고 판단을 할 수 있는데, 이때 여자의 경우 60도 이상, 남성들의 경우 55도 이상 더 기울어진 경우를 기준으로 판단이 가능합니다. 요추는 원래 전방경사의 커브 모양인데, 그것보다 더 많은 각도의 전만으로 기울어진 경우..

봉공근과 거위발근육에 대해 1분안에 이해하기 [내부링크]

1.봉공근 이란!? 봉공근은 무릎관절에 있어서, 내측표면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거위발 근육중 하나이다. 봉근근은 장골의 전상장골극(ASIS of ilium)에서 시작해서, 경골(정강이뼈)의 내측(Medial condyle of tibia)에서 끝난다. 가장 큰 특징은 인체에서 가장 긴 근육이며, 엉덩관절과 무릎관절을 지나는 다관절이다. 그래서 엉덩관절과 무릎관절에서 작용을 한다. 봉공근은 인체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어서, 근육의 주동근역할을 하며, 큰 힘을 발휘한다. 특히 일상생활시 보행,달리기, 의자에서 앉거나 일어나는 동작을 할 때 사용된다. 봉공근은 엉덩관절과 무릎관절 2부분에서 움직일때 사용되는데, 엉덩관절의 경우 고관절을 굴곡시키거나 외전, 외회전시에 무릎관절에서는 자연스러운 보행이 무릎이 굴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