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ydens의 등록된 링크

 jaydens로 등록된 티스토리 포스트 수는 15건입니다.

(ETF)ProShares UltraPro QQQ: TQQQ 란 무엇인가? [내부링크]

6월 8일, 2023년 기준 작성 금일 종가 34.98(-1.88/-5.10%) ETF 투자자들이라면 많이들 들어보셨을 ProShares UltraPro QQQ. 한국에서는 TQ라고 많이들알고 계시는데 나스닥 지수를 추종하는 QQQ의 3배 레버리지 상품으로 이해하시면 편하겠습니다. ETF란, Exchange Trade Fund의 약자로 거래소에 등록된 펀드를 거래한다는 의미로 한국말로는 '상장지수 펀드'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여러 종류의 자산 상품을 하나의 상품으로 유형 또는 성격들로 나눠 묶어 투자하는 방식을 펀드라고 하는데요, 이 펀드를 주식처럼 한 주당으로 가격을 책정해 거래하는 방식입니다. 이는 보통 증권 거래소에 등록된 상품을 직접적으로 거래하는 것이 아닌, 투자회사나 은행들을 거쳐 대리 거래가..

(미장)마이크로 소프트 MSFT [내부링크]

6월 5일 개인적으로 미국 주식시장의 큰 형은 마이크로 소프트(MSFT)와 애플(AAPL)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제 포트폴리오 또한 기존 각 두 회사에 35%씩의 비중을 두고 있었으며 중간에 AAPL을 익절하고 다시 TQQQ로 옮겨 상승장의 맛을 제대로 느껴보려고 하고있습니다. 그럼 최근 MSFT의 추세를 보겠습니다. 금일 335.94불로 장을 마감하며 전일대비 $0.54(+0.16%) 상승하였습니다. 23년만 보아도 $96.36(+40.22%) 상승하였는데 여타 기술주들과 견주어도 그 상승폭이 절대 작지 않습니다. 역시 대장주답게 나스닥 상승의 견인차 역활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미장에 별 관심이 없으신 분들은 마이크로 소프트하면 윈도우나 워드 등 오피스 소프트 웨어를 떠올리고 좀 나아간다면 한..

꿈과 희망의 나라 Disney Land [내부링크]

전 세계 엔터테인먼트의 트렌드와 문화를 통솔하는 LA. 흔히 엔터와 문화를 생각하면 떠오르는 미국의 도시는 할리우드일 겁니다. 하지만! 할리우드만 갖고 전 세계의 트렌드를 움직인다고 하기는 무리지 않나라고 생각하신다면 정답입니다. 한국어린이들의 꿈과 희망의 나라는 롯데월드라면 전세계 아이들 특히나 미국아이들에게는 단순히 놀이공원이 아닌 성지와도 같은 디즈니는 1923년 10월 월트 디즈니와 로이 디즈니가 만든 회사입니다. 회사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다 보면 이야기가 길어지니 엔터와 문화를 휘어잡은 LA에 위치한 Disney Land에 대해서 한번 이야기 나눠보도록 하겠습니다. 디즈니랜드는 많은이들이 잘 모르지만 전 세계에서 최초로 생긴 '테마파크'입니다. 1955년 7월 17일에 개장하였다고 알려지는데요,..

(Socal vs NorCal) 2. 스포츠 [내부링크]

미국에 오고나서 많이 느껴지는 점들 중 한가지가 바로 남녀 노소 차이 없이 스포츠에 진심인 사람들이 많다는 점입니다. 미국 내에서도 인구가 많고 경제적으로 풍족한 주로 손꼽히는 캘리포니아 답게 많은 스포츠팀들이 연고지를 두고 있습니다. 한국에서는 생소하지만 미국내에서는 엄청난 인기를 끄는 미식 축구를 필두로 전세계에서 가장 많은 관심을 끄는 야구 리그와 농구리그를 포함 미국내에서 큰 인기가 없다고 칭해지지만 많은 인구를 바탕으로 엄청난 팬을 소유한 축구 리그와 하키 리그 등 정말 생각할 수 있는 거의 모든 스포츠팀들이 '프로'리그로 미국에서 진행이 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것이라 생각됩니다. 그리고 그 많고 많은 리그들에 거의 모두 포함되어 있는 지역이 바로 '캘리포니아' 이기도 하지요. 역시나 이 ..

(Socal vs NorCal) 1. 인구와 지리 비교 [내부링크]

1. (캘리포니아 남부와 북부) 인구와 지리 비교 이번편에서는 같은 주지만 너무나도 다른 북부와 남부 캘리포니아 인구와 지리적인 면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미국의 인구 통계인 2020년 Census 발표에 따르면 북부 캘리포니아 약 1500만명이 거주하는 반면 남부는 2300만명이 거주한다고 합니다. 평균 수입은 가구당 평균수입이 12만불에 달하는 북부 캘리포니아가 11만불인 남부 캘리포니아에 비해 조금 더 많다고 합니다. 기본산업이 IT에 집중되어 있는 북부 캘리포니아가 엔터에 집중된 남부에 비해 조금 더 높은 평균수입을 이루지만 북부 캘리포니아 내에서는 위 그림인 실리콘 벨리Silicon Valley에 그 고수입자 대부분이 모여있는것이 큰 문제로 지적되고 있습니다. 지나치게 높은 소득자들인 IT전문..

쏘칼(SoCal)?? VS 노칼(NorCal)?? [내부링크]

멋진 바다와 푸른 하늘이 있고 다양한 민족들이 모여 더욱 다양하고 맛있는 음식이 많은 캘리포니아! 이 캘리포니아에서도 캘리포니아인들은 SoCal과 NorCal로 남부 캘리포니아와 북부 캘리포니아로 나누어 생각합니다. 위 지도를 보시면 남부와 북부 캘리포니아의 대표적 도시들이 나와 있습니다. 흔히들 미국의 동부와 서부를 나눌때 뉴욕과 엘에이를 중심으로 생각하고는 하는데, 동부는 경제, 금융와 패션, 서부는 엔터, 문화, 관광 등을 떠올리곤 합니다. 이유는 당연히 아시는 바와 같이 동부 뉴욕에는 월스트리트를 비롯하여 금융과 관련된 회사들이 많이 모여 유명한 지역들이 많고 서부에는 할리우드나 유니버셜과 같이 문화엔터 관련 사업체들이 많이 모여있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캘리포니아에서는 다들 문화/엔터 사업만 ..

미국 살아남기 1탄- 비자편 [내부링크]

미국 정착에 대해 설명하기 위해 첫 번째로 알아볼 점은 바로, 비자입니다. 미국에서 살고 싶은지, 단기/장기 여행으로 가고 싶은지, 일을 하고 싶은지 다양한 방식으로 미국을 꿈꾸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하지만, 이 모든 꿈을 시작하기 위해서는 신분문제 즉 VISA문제가 해결이 되어야 합니다. 이미 미국 내에서도 많은 분들이 이 신분문제로 인해 고통받고 있으십니다. 어떤 이에게는 너무나도 쉽게 해결되지만 어떤 이들에게는 평생의 한이라 부를 만큼 고통스럽게 만드는 비자... 그럼 이 첫번째 관문과도 같은 비자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1. 비자의 구분 비자는 우선 크게 이민비자, 비이민비자, 무비자 세 가지로 나뉠 수 있습니다. 이민비자 비이민비자 무비자 명칭에서 알수 있듯 이민 즉 지속적인 주거의 의지를 ..

빠른 은퇴를 위한 나의 자산관리 법 (2)-1탄 배당주 고르기 [내부링크]

빠른 은퇴를 꿈꾸는 Jayden이 생각하는 경제적 자유를 위한 투자에 대한 이야기를 한번 더 나눠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번에는 제가 나눈 3가지의 투자처 중 균형 투자처에 속하는 배당금에 대해 더 자세히 알아볼까 합니다. 배당금 주식이나 ETF에 대해 부정적인 시선을 갖고 비난하시는 분들도 많으십니다. 하지만, 언제나 그러하듯, 투자에 대한 정답은 없습니다. 모두가 각기 다른 판단으로 각자의 투자를 진행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제가 판단하는 기준에 대해 흔들리지 않도록 저 스스로 되새겨보며 다시 정리를 통해 더 나은 투자에 대한 지식을 쌓기 위해 쓰는 글이니 의견 교류는 좋으나 비난은 삼가해주시기 바랍니다. 그렇다면, 투자를 이제 시작하시는 분들을 위해 배당금이 무엇인지부터 시작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배당..

미국 살아남기 3탄- 거주지 정하기 (2부-멀티하우스편) [내부링크]

오늘은 미국으로 이주를 하기 위해 비자문제를 해결하고, 직장을 정하거나 사업체를 정해서 살 곳을 정하셨다면 이제 어디에서 지낼지? 어떤 형태의 거주지에서 정할지에 대해 이야기를 나눠볼까 합니다! 다양한 미국의 거주지 형태 골라보기! 출처: Mashvisor 미국에서 흔히 지내실 거주지의 형태는 크게 아래 두 가지로 나뉩니다. 싱글 하우스(주택) 멀티 하우스(타운하우스, 아파트, 콘도 등) 말그대로 건축물 하나에 몇 가구가 사는지를 기준으로 싱글(Single) 즉 한가구만 사는지, 멀티(Multi) 여러 가구가 사는지로 나눕니다. 그럼, 하나씩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다세대 주택 (Multi House) 이번편에서는 이전 편에 이어 단독주택과는 다른 다세대 주택에 대해 알아보시겠습니다. 싱글하우스 즉..

미국 살아남기 3탄- 거주지 정하기 (1부-싱글하우스편) [내부링크]

오늘은 미국으로 이주를 하기 위해 비자문제를 해결하고, 직장을 정하거나 사업체를 정해서 살 곳을 정하셨다면 이제 어디에서 지낼지? 어떤 형태의 거주지에서 정할지에 대해 이야기를 나눠볼까 합니다! 다양한 미국의 거주지 형태 골라보기! 미국에서 흔히 지내실 거주지의 형태는 크게 아래 두가지로 나뉩니다. 싱글 하우스(주택) 멀티 하우스(타운하우스, 아파트, 콘도 등) 말그대로 건축물 하나에 몇 가구가 사는지를 기준으로 싱글(Single) 즉 한가구만 사는지, 멀티(Multi) 여러 가구가 사는지로 나눕니다. 그럼, 하나씩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주택 (Single House) 미국의 대도시를 제외한 지역에서 가장 일반적인 거주지의 형태로 아메리칸 드림의 상징이기도 합니다. 싱글하우스라고도 불리는데, 말 ..

[맛집] 미국 햄버거의 자존심 인앤아웃(IN-N-OUT) [내부링크]

이번에 제가 소개해드릴 식당은 캘리포니아 사람이라면 자부심을 갖고 있는 수준이 아니라 자칫 잘못 말했다가는 혼나고 비난받을 수도 있는 캘리포니아 햄버거의 자존심 IN-N-OUT 인 앤 아웃이에요! 진정한 캘리포니안이라면 최애라고 당당히 말할 수 있는 버거 가게 인 앤 아웃. 미국에는 3대 버거가 있습니다. 서부의 인 앤 아웃, 동부의 쉐이크 쉑 버거와 최근 한국에 진출한 파이브가이즈 버거. 하지만... 캘리포니안인 제가 자부심을 갖고 당당히 말씀드리는데, 만약 인 앤 아웃이 동부에도 진출했다면, 쉐이크쉑 버거와 파이브가이즈 버거는 사라졌을겁니다... 인앤아웃이 짱이예요!! :) ㅎㅎㅎㅎ 그럼 인 앤 아웃의 역사부터 간단히 시작해서 제가 직접 가서 찍은 사진들로 이야기를 이어가 보겠습니다~ 인 앤 아웃..

(Socal vs NorCal) 3. 캘리포니아 10대 관광지(2) [내부링크]

이번에는 너무나도 다르면서 또 닮은 듯한 두 지역의 관광지들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USNEWS의 Best Places to visit in california 2023에 선정된 관광지들 top10 중 전편에 이어 5위부터 1위까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번에도 마찬가지로, 북부 관광지는 빨간색으로 남부 관광지는 파란색으로 구분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5위. Monterey 몬테레이는 놀라운 자연미와 소도시의 아름다움이 여행자들로 하여금 그 발길을 계속 이어지게 하고 있습니다. 지도상으로는 캘리포니아 중부에 위치하고 있는데 그림처럼 완벽한 해변과 매력적인 해변 지역이 넘쳐 납니다. 미국 최고의 수족관 중 하나인 Monterey Bay Aquarium 이 있는 곳이기도 합니다. Monterey를 방..

(Socal vs NorCal) 3. 캘리포니아 10대 관광지(1) [내부링크]

이번에는 너무나도 다르면서 또 닮은 듯한 두 지역의 관광지들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USNEWS의 Best Places to visit in california 2023에 선정된 관광지들 중 top10에 대해 알아보시겠습니다. 북부 관광지는 빨강색으로 남부 관광지는 파란색으로 구분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10위. Kings Cayon National park 요세미티국립공원과 세쿼이아 국립공원을 방문한 후 아직 더 캘리포니아 북부의 자연을 즐기고 싶으시다면 추천되는 킹스 캐년 국립공원입니다. 공원에는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나무인 제너럴 그랜트 나무가 있으며 이 공원에서 가장 유명합니다. 1867년 율리스 미국 전 대통령의 이름을 따서 명명된 나무는 1926년부터 "Nation's Christmas..

미국 살아남기 2탄- 취업 또는 사업 [내부링크]

합법적 신분을 갖고 미국에 들어온 당신. 다음으로 필요한 것이 무엇일까요? 사람이 살아가는데 가장 필요한 것들 중 하나가 바로 '돈'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그리고 그 돈을 벌기 위해 우리는 일을 해야 하지요. 제가 미국을 오기 전에 먼저 미국으로 이민을 가셨던 어떤 분께 충고를 받은 적이 있습니다. "미국에 이민을 올 거라면 2-3년 정도 놀고먹어도 문제없을 만큼 준비가 됐을 때 오게나" 무슨 뜻이지? 왜 저런 말을 하지? 했습니다. 나중에 다시 물어보니 미국이라는 나라의 화려한 껍데기만 보고 들떠서 왔다가 괜히 대충 아무런 직장을 갖거나 준비되지 않은 사업을 시작하면 10의 9는 망하고 돌아간다는 것이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2-3년 정도 느긋하게 미국 문화도 즐기고 앞으로 내가 무엇을 하며 살면 좋을..

빠른 은퇴를 위한 나의 자산관리 법 (1) [내부링크]

30대 중반을 살아가고 있는 저는 와이프와 빠른 은퇴에 대한 꿈을 쉬지 않고 꾸고 있습니다. 아직 많은 경험이 없고 금전적으로도 여유가 많지 않은 상황이다 보니 말 그대로 꿈만 꾸고 있는 상황입니다만 앞으로 스스로 지켰으면 좋겠는 미래의 저를 다잡고자 하는 마음에 규칙을 정해볼까 합니다. 이는 지극히 개인적인 견해가 담긴 글이므로 누군가가 읽으신다면 다른 사람의 견해 정도로 이해해 주시기 바라며 비난보다는 서로 좋은 방법에 대해 공유하며 모두가 경제적 자유를 이룰 수 있길 바랍니다. 1. 투자 전략 은행이나 투자사에 투자를 많이들 사용하시는데 제가 사용하는 KB금융에서는 투자를 진행할 때 꼭 해야하는 절차가 있다. 바로 자신의 투자 성향을 파악하게 만드는 설문지 같은 형식의 절차인데 자신이 공격적인 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