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ustdaily의 등록된 링크

 justdaily로 등록된 티스토리 포스트 수는 38건입니다.

Redhat Linux 8 LVM 볼륨 생성방법 [내부링크]

이번 포스팅에서는 Redhat linux 8 서버에서 lvm 볼륨을 만들고 파일 시스템을 생성하여 볼륨을 마운트 하는 과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포스팅은 아래의 버전에서 테스트한 내용을 기반으로 작성하였..

Lifekeeper 클러스터 shutdown failover 정책 설정하기 [내부링크]

이번 포스팅에서는 Lifekeeper의 failover 정책 중 shutdown 정책에 대해 알아보고 정책의 적용 및 해제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포스팅은 아래의 버전에서 테스트한 내용을 기반으로 작성하였습니..

서울 불꽃축제 일정 [내부링크]

2019년 이후 코로나로 인해 중단되었던 서울 불꽃축제가 3년 만에 다시 개최됩니다. 서울 불꽃축제에 방문 계획이 있으시다면 장소와 일정, 불꽃축제 시간 대중교통 정보 등을 미리 파악하고 참여하시면 도움이 될..

Redhat Linux 8.6 ifup ifdown 사용하기 [내부링크]

Redhat 8.6 버전부터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up, down 할 때 “ifup”, “ifdown” 명령어를 사용하기 위해선 별도의 rpm 패키지를 설치해야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Redhat 8.6 버전에서 ifup, ifdown 명령어를..

Lifekeeper 리소스 체크 주기 변경방법 [내부링크]

Lifekeeper는 설정된 리소스 체크 주기에 의해 주기적으로 등록된 리소스의 헬스 체크를 진행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Lifekeeper에 설정된 리소스 체크 주기 값을 확인하고 변경 및 적용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

Redhat Linux 8 bonding 구성 [내부링크]

Redhat Linux 8 서버에서 nmcli 명령을 통해 network bonding 설정을 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포스팅은 아래의 버전에서 테스트한 내용을 기반으로 작성하였습니다 Linux : Red Hat Enterpris..

애드센스 무한 검토 그리고 승인 [내부링크]

제가 겪은 애드센스 검토 과정을 정리해 보고자 합니다. 애드센스 “무한 검토”에 빠져 고민을 하고 계신 분들이 있으시다면 이글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1. 애드센스 신청 전 과정 북 클럽 스킨..

Lifekeeper 중지 기동 방법 [내부링크]

이번 포스팅에서는 Lifekeeper로 이중화 구성된 시스템에서 lifekeeper를 중지하는 “lkstop” 명령과 기동 하는“lkstart” 명령어의 사용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포스팅은 아래의 버전에서 테스..

Redhat Linux 8 nmtui ip 설정 [내부링크]

이번 주제는 Redhat Linux 8에서 NetworkManager를 컨트롤할 수 있는 “nmtui” 명령을 통해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ip를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포스팅은 아래의 버전에서 테스트한 내용..

Lifekeeper failover 명령 perform_action [내부링크]

이번 포스팅에서는 Lifekeeper 로 이중화 구성된 시스템에서 Active – Standby 서버 간 failover가 필요할 경우 manual failover를 수행하게 하는 “perform_action” 명령어의 사용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

Redhat Linux 8 nmcli 사용방법 (NetworkManager 컨트롤) [내부링크]

Redhat Linux 8부터 Network 설정 및 관리는 NetworkManager를 통해서만 컨트롤할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NetworkManager를 컨트롤하기 위해 제공되는 “nmcli” 명령을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Lifekeeper 복제볼륨 동기화 상태 확인하기 mirror_status [내부링크]

이번 포스팅에서는 Lifekeeper로 구성된 복제볼륨 리소스의 동기화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mirror_status” 명령어의 사용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포스팅은 아래의 버전에서 테스트한 내용을 기..

Redhat Linux 8 locale 변경하기 [내부링크]

이번 포스팅에서는 Linux 8 서버에서  locale 설정을 변경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포스팅은 아래의 버전에서 테스트한 내용을 기반으로 작성하였습니다 Linux : Red Hat Enterprise Linux re..

Lifekeeper 클러스터 상태 확인하기 lcdstatus [내부링크]

이번 포스팅에서는 Lifekeeper 클러스터의 구성정보와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lcdstatus” 명령어의 사용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포스팅은 아래의 버전에서 테스트한 내용을 기반으로 작성하였..

Lifekeeper 이중화 리소스 의존성 설정하기 [내부링크]

지난 포스팅에서 Lifekeeper를 통해 VIP, 복제볼륨, DB 리소스를 생성하는 과정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지금까지 생성한 리소스들의 의존성을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 포스팅은..

Lifekeeper for Linux postgresql DB 이중화 구성하기2 [내부링크]

Lifekeeper for Linux postgresql DB 이중화 구성하기1 포스팅에 이어서 진행합니다. 2022.09.20 - [IT/lifekeeper] - Lifekeeper for Linux postgresql DB 이중화 구성하기1 Lifekeeper for Linux postgresql DB..

Lifekeeper for Linux postgresql DB 이중화 구성하기1 [내부링크]

이번 포스팅에서는 Linux 서버에 설치된 postgresql DB를, Lifekeeper를 통해 이중화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postgresql DB는 1,2번 서버에 동일 버전 및 동일한 설정으로 설치되어 있어야 하며,..

Lifekeeper for Linux 이중화 설정 – 복제볼륨 (Disk replication) 설정2 [내부링크]

Lifekeeper for Linux 이중화 설정 – 복제볼륨 (Disk replication) 설정1 포스팅에 이어서 진행합니다. 2022.09.18 - [IT/lifekeeper] - Lifekeeper for Linux 이중화 설정 – 복제볼륨 (Disk replication) 설정1..

Lifekeeper for Linux 이중화 설정 – 복제볼륨 (Disk replication) 설정1 [내부링크]

Active – Standby 구조로 이중화된 시스템에서 Active 서버에서 장애가 발생할 경우 Standby 서버에서는 장애발생 직전 최종 데이터로 DB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일반적으로 공유 볼륨..

Lifekeeper for Linux 이중화 설정 – VIP 설정2 [내부링크]

Lifekeeper for Linux 이중화 설정 – VIP 설정1 포스팅에 이어서 진행합니다. 2022.09.17 - [IT/lifekeeper] - Lifekeeper for Linux 이중화 설정 – VIP 설정1 Lifekeeper for Linux 이중화 설정 – VIP 설정1 L..

Lifekeeper for Linux 이중화 설정 – VIP 설정1 [내부링크]

Lifekeeper for Linux에서 VIP 리소스를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포스팅은 아래의 버전에서 테스트한 내용을 기반으로 작성하였습니다 Linux : Red Hat Enterprise Linux release 8.5 Li..

Lifekeeper for Linux 이중화 설정 - heartbeat 설정 ( commpath ) [내부링크]

이중화 리소스를 구성하기 위한 첫 번째 단계로 서버 간 heartbeat을 연결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포스팅은 아래의 버전에서 테스트한 내용을 기반으로 작성하였습니다 Linux : Red Hat Enter..

Lifekeeper for Linux 이중화 설정 - GUI 연결 [내부링크]

이번 포스팅에서는 Lifekeeper 환경 설정및 기동 포스팅에 이어, 이중화 리소스를 구성하기 위한 첫 번째 단계로 Lifekeeper의 GUI 환경에 연결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Lifekeeper 환경설정 및..

Linux 서버에 lifekeeper (HA 서버이중화) 설치하기3 – 환경설정 및 기동하기 [내부링크]

이번 포스팅에서는 Lifekeeper install 포스팅에 이어 Lifekeeper의 사용 환경을 설정하고, 기동 절차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Lifekeeper install 정보는 아래의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s://ju..

Linux 서버에 lifekeeper (HA 서버이중화) 설치하기2 - install [내부링크]

이번 포스팅에서는 지난 사전 설치 요구사항 포스팅에 이어 실제로 Linux 서버에 Lifekeeper 소프트웨어를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사전 설치 요구사항은 아래의 링크를 참조하여 준비를 해..

Linux 서버에 lifekeeper (HA 서버이중화) 설치하기1 - 사전작업 [내부링크]

이번 포스팅에서는 Linux 서버에 구동되는 DB, 애플리케이션 등을 이중화할 수 있는 Lifekeeper 이중화 소프트웨어를 Linux 서버에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포스팅은 아래의 버전에서 테..

Linux 서버에 postgresql DB 설치하기 [내부링크]

이번 포스팅에서는 Linux 서버에 postgresql DB 를 설치 및 기동 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포스팅은 Red Hat Enterprise Linux release 8.5 에서 테스트한 내용을 기반으로 작성하였습니다. 1...

Linux selinux 끄기 [내부링크]

Linux 서버를 설치하면 기본적으로 selinux는 ON(enforcing) 상태입니다. enforcing 상태는 보안이 적용된 상태이지만 대체로 여러 프로그램들의 요구사항에 의해 selinux를 비활성화하는 작업이 필요합니다. 이번..

Linux timezone 변경하기 [내부링크]

Linux 서버를 설치 후 설치 과정에서 timezone을 지정하지 않은 경우 서버가 설치된 후 지역에 맞는 timezone을 설정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timezonectl 명령을 사용하여 timezone을 변경하는 방..

Linux 볼륨타입 GPT(GUID 파티션 테이블)로 변경하기 [내부링크]

Linux 서버에서 볼륨 파티션을 생성하면 기본적으로 disklabel type 이 dos로 생성됩니다. 하지만 경우에 따라 볼륨 파티션을 GPT(GUID 파티션 테이블)로 변경을 해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f..

Linux SSH X11-Forwarding 사용하기 [내부링크]

이번 포스팅에서는 Linux SSH환경에서 X11-Forwarding을 설정하여 GUI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을 로컬 PC에서 실행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포스팅은 Red Hat Enterprise Linux release 8.5..

Linux firewalld IP 허용 설정하기 [내부링크]

이번 포스팅에서는 포트 허용 방법에 이어서 Linux의 firewalld 사용시 특정 IP를 허용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포스팅은 Red Hat Enterprise Linux release 8.5 에서 테스트한 내용을 기반으..

Linux firewalld 포트 허용 설정하기 [내부링크]

Linux에서는 firewalld 라는 방화벽을 기본으로 제공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Linux의 firewalld 사용시 특정 포트를 허용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포스팅은 Red Hat Enterprise Linux rele..

Linux 8 hostname 변경하기 hostnamectl [내부링크]

Linux를 설치하면서 hostname 설정을 하지 않았다면 기본으로 localhost로 설정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Linux 서버에서 hostname을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hostnamectl 로 hostname..

VMware Linux Disk 추가하기 [내부링크]

VMware에서 가상 머신 생성 시 Disk 추가 설정을 하지 않았다면 기본으로 1개의 Disk 만 생성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VMware 환경에서 Disk 추가 등록이 필요할 경우 Disk를 추가하고 linux 서버에서 추가 볼륨..

Redhat Linux 8 서버에 local yum repository 설정하기 [내부링크]

Linux 서버를 설치 후 설치 과정에서 설치하지 않은 linux rpm 패키지를 설치해야 할 경우가 있습니다. Redhat linux의 경우 subscription을 등록해야만 yum 명령을 통해 rpm 패키지를 인스톨할 수 있기 때문에, s..

VMware Linux NIC 추가하기 [내부링크]

VMware에서 가상 머신 생성 시 NIC 추가 설정을 하지 않았다면 기본으로 1개의 NIC만 생성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VMware 환경에서 NIC 추가 등록이 필요할 경우 NIC를 추가하고 IP를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 알..

VMware linux 설치 redhat8 [내부링크]

첫 포스팅입니다. VMware 환경에서 redhat8 linux 설치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VMware에서 가상 머신 만들기 VMware home 화면에서 Create a New Virtual Machine을 선택합니다. New Virtual Ma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