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arninglanguage의 등록된 링크

 learninglanguage로 등록된 티스토리 포스트 수는 31건입니다.

25. 수동태 사용하는 이유, 심화단계로 넘어가보자. [내부링크]

지난 시간에 수동태를 왜 사용하는지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안 보셨다면 꼭 알고 있어야 하는 내용이니 아래 링크 클릭하셔서 복습하고 오시기 바랍니다. 토익이나 영어시험을 준비하는 수험생이든, 영어회화나 비즈니스 영어를 준비하는 직장이든 누구나 반드시 알고 계셔야 합니다. 24. 수동태 사용하는 이유, 왜 사용하는가? 수동태 왜 사용하는지 이유를 설명할 수 있는 분, 몇 분이나 계시나요? 아마도 대답을 명쾌하게 하시는 분들이 많지는 않을 거란 생각이 듭니다. 이 부분에서 고민을 한 번도 해 본적이 없었다면 learninglanguage.tistory.com 1. Everybody respected him. (능동태) --> He is repected by everybody. (수동태) : 1번처럼 him이..

24. 수동태 사용하는 이유, 왜 사용하는가? [내부링크]

수동태 왜 사용하는지 이유를 설명할 수 있는 분, 몇 분이나 계시나요? 아마도 대답을 명쾌하게 하시는 분들이 많지는 않을 거란 생각이 듭니다. 이 부분에서 고민을 한 번도 해 본적이 없었다면 이번 시간에 한 번 생각해 보도록 해요. 먼저 수동태가 뭔지도 모르시는 분을 위해, 동사의 모양부터 만드는 순서와 의미는 대략 어떻게 되는지 알아보도록 합시다. ※ 동사의 모양 is/am/are/was/were/be/being/been + p.p. ---> 수동태 문장 형식(모든 be동사 + p.p.) ※ 수동/ 능동 문장 만들기 1. She is playing the piano. : She라는 주체(주어)가 하나이고 이 주체가 서술어(동사) 앞자리면 능동이라고 한다. 2. He kissed her. : 주체는 he..

23. 다양한 조동사(can, may, must, will만 조동사가 아니야) [내부링크]

정말 오랜만에 글 올려봅니다. 이사한다고 한동안 정신없이 물건도 정리하고 일도 정신없이 처리하고 ㅎㅎ ^^; 이제 정신차리고 컴백했습니다. 오랜만에 글쓰러 오니 제 자리로 온 것 마냥 기분이 좋네요. 혹시라도 제 블로그로 공부하시는 분들에게는 맥 끊기게 해서 죄송합니다. 자주 업데이트해서 하나씩 완성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그동안의 우리에게 익숙했던 조동사보다는 마치 숙어로 외우다시피한 그런 조동사를 소개해드릴까 합니다. 영어공부 조금이라도 해 보신 분들은 한번씩 들어보셨을법한 그런 표현들 일겁니다. 제가 조동사는 뭐라고 말씀드렸죠? 네. 맞습니다. 무드(mood) 즉, 분위기나 느낌을 다 표현할 수 있으면 그게 다 조동사라고 말씀드릴 수 있어요. 왜냐면 '~했다'처럼 딱딱하게 끊어낸 말투보다..

22. 조동사의 과거 이렇게 만들면 된다. [내부링크]

정말 오랜만에 글을 올립니다. ^^ 그동안 개인적으로 많은 일이 있어서 피곤을 핑계로 내일을 모레로 모레 처리해야 할 일을 일주일 뒤로 계속 미루다보니 저도 ㅠㅠ 10월 한달 계속 게을리하고 있었네요. 사실은 이사도 해야 하고, 일도 많은데 운동과 잠깐의 여행도 포함되어 있어서 조금 힐링하고 돌아왔습니다. 이제부터는 주중보다는 주말 토, 일 위주로 업로드 하나씩 할 수 있을 듯해요. 자~~ 오늘은 오랜만에 왔으니 이전 21강에서 했던 부분에 대해서 복습을 해보고, 조동사의 과거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아직 21강 못 보신 분들은 아래 클릭하여 먼저 공부하고 아래 복습 해주세요. 21. 조동사 should가 생략되어도 의미는 should가 숨어 있다! should에 대해서 재미난 현상을 하나 말씀드려 볼..

[영어공부방법] 꾸준함! 이것만이 영어를 계속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원동력! [내부링크]

제목에서처럼, 정말 뻔한 이야기가 될 수도 있습니다. ^^ 여기서 제 이야기를 잠깐 해 볼까 합니다. 저도 처음에 영어공부할 때의 생각이 어렴풋이 납니다. 지금도 영어공부는 저도 진행 중입니다. 계속 누군가를 수준에 맞게 또는 그 수준을 끌어올려 레벨 점프가 될 수 있도록 가르치려면 저도 공부를 계속 할 수밖에 없다는 사실을 늘 느낍니다. 누구한테는 지루한 나날이 계속 된다고 생각할 지도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저는 그런 지루함을 덜 느끼는 사람인듯 합니다. 저도 사람이니 지루할 때도 당연히 있죠. 하지만 금방 싫증내고 돌아서고 하는 행동을 상대적으로 덜 하는 듯 해요. 그래서 꾸준히 15년을 해온 것 같습니다. 해가 거듭 될수록 투자한 시간과 세월을 생각하면 쉽사리 놓지 않는 것이 있는데, 그게 저에게..

21. 조동사 should가 생략되어도 의미는 should가 숨어 있다! [내부링크]

should에 대해서 재미난 현상을 하나 말씀드려 볼까 합니다. 아래 두 가지 경우에 that이하의 주절의 동사는 VR(동사원형)을 사용해준다는 겁니다. 그 이유는 should라고 하는 조동사가 생략이 되어 동사원형만 남겨 놓을 수 있다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형태는 아래와 같으니 잘 살펴 봐주세요. ^^ 1. V that S(주어) + VR(동사원형) --> V(동사)가 주장/요구/제안/명령일 경우, that 이후 VR(동사원형) 2. It is 형용사 that S(주어) + VR(동사원형) --> 형용사가 주장/요구/제안/명령일 경우, that 이후 VR(동사원형) 1) She said that I must do it myself. --> 이 문장에서는 must 생략할 수 없다. 2) She insis..

20. 조동사(modal Verbs) should VS. had better 어감이 다르다? [내부링크]

should라는 조동사를 알아보기 앞서, 아래 should, must, had better 의 느낌을 먼저 살펴보고 가 볼게요. * 먹는것 좀 줄여야겠다. (먹는것 좀 줄여.) --> You should eat less. (상대에게 거부감 없이 말을 건네주기에 가장 좋은 표현) --> You must eat less. (절대 ~ 해야된다는 느낌으로 "먹는 것을 줄이는 것 밖에는 방법이 없다"라는표현) --> You'd better eat less. (먹는것 좀 줄여라, [안그러면 ........] 대괄호의 암시적인 말투처럼 "만약 먹는 것을 안 줄일 경우, 무슨 위험이나 문제가 일어날 수있다"는 느낌의 표현) 대강 이번 시간에 무엇을 얘기 드릴지 감이 오시나요? ^^ ㅎ 자세히 이제 설명해 볼게요. ~~..

19. 조동사 must '반드시 ~ 해야 한다'는 의미만 있는 것이 아니다! [내부링크]

오늘 이 시간에는 조동사(modal verbs) must에 대해서 말씀드려 보겠습니다. ※ must 1. I'm sure 1) You must be joking.(≒You are joking.) : must보다는 be동사를 쓰는 것이 좀 더 formal한 느낌의 문장이 되기도 한다. 2) You must be James. 보다는 Are you James? or You are James, aren't you? 라고 하는 것이 formal한 느낌의 문장이 될 수 있다. 그 이유는 must는 거의 100% 확신을 가지고 하는 말이기 때문에 틀리는 상황이 되면 상대방에게 예의에 어긋나는 발언이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2. It is imperative S V : 반드시 ~ 해야 한다./ 꼭 ~ 해야 한다. -..

18. 추측의 could 의미와 may,might 소심한 의미만 있는 것이 아니다 [내부링크]

[추측] 1) It could be a vase. : 꽃병인거 같은데. 2) Kim's plane could arrive early. : 김씨의 비행기가 일찍 도착할지도 몰라. 3) That could be true. : 그거 사실일지도 몰라. 4) I could be late tonight. : 오늘밤 나 늦을지도 몰라. ** 가정법표현이 소심한말투로 대부분 쓰이지만 아래문장과 같이 과장법이 되어 센말의 어감이 될 수도 있다. 1) I could kill him! : 죽여버려. (him이 죽이고 싶을 만큼 너무 미울 때) 2) I can kill him! : 내가 죽일 수 있어.(살벌한 말) -> I have an ability to kill him. 이라는 말과 같다. (살인청부업자) 3) I cou..

17. could VS. was/were able to do 엄연히 다른 뜻? [내부링크]

1. 시제일치: Could + VR(동사원형) 2. 공손한표현 3. Could + have + p.p. : 후회와 아쉬움을 나타내는 과거표현 4. 가정법 ---> 가정법할 때 자세히 다룰 예정이다. 5. was/were able to VR 지난시간에 16강에서 could의 느낌을 배웠죠? 아직 숙지가 되지 않았다면 반드시 16강 아래 클릭하셔서 보고 오세요. 16. 조동사 Can VS. Could 비슷하면서도 늬앙스가 다르다? 지난 시간에는 Can을 살펴봤습니다. 아직 못보셨다면 아래 클릭하여 강의 꼭 보고 오세요. helping verbs => 더 정확하게 얘기하면 modals/ auxiliaries verbs라고 말한다. 사전 용어를 찾아보면, 도울 조[助] learninglanguage.tistor..

16. 조동사 Can VS. Could 비슷하면서도 늬앙스가 다르다? [내부링크]

지난 시간에는 Can을 살펴봤습니다. 아직 못보셨다면 아래 클릭하여 강의 꼭 보고 오세요. 15. Modals 조동사 느낌을 살리고 살리고 ~~~ modals => helping verbs => 더 정확하게 얘기하면 modals/ auxiliaries verbs라고 말한다. 사전 용어를 찾아보면, 도울 조[助]를 써서 보조동사를 의미한다. 보조동사란, 의미있는 일반동사의 풍미를 더 살려준 learninglanguage.tistory.com Can은 무조건 '~할 수 있다'만 알고 있었다면, '~해도 돼. ~하세요.'라는 의미도 알았으니 얼마나 유용하게 우리말로 해석이 가능한지 제 경험을 하나 예로 들겠습니다. 제가 오래전에 영화를 보러갔었는데, 그 영화의 배경이 히말라야산처럼 온통 눈이 휘날리고 주인공과..

[영어공부방법] 영영사전별 활용법 및 특징 [내부링크]

영어공부하다 모르면 직행하는 곳이 바로 사전입니다. 그 중에 제일 대표적인 영영사전과 영한사전에 대해서 제 견해로 말씀드려 볼까 합니다. 사람마다 선호하는 사전의 형태와 유형이 있을 겁니다. 어떤 사전이 좋을 지 많은 사전을 접해보고, 개인에 맞는 사전을 찾아보면 좋을 듯 하네요. [영영사전 소개 및 특징] https://www.merriam-webster.com/ Dictionary by Merriam-Webster: America's most-trusted online dictionary The dictionary by Merriam-Webster is America's most trusted online dictionary for English word definitions, meanings, ..

15. Modal Verbs 조동사 느낌을 살리고 살리고 ~~~ [내부링크]

modals => helping verbs => 더 정확하게 얘기하면 modals/ auxiliaries verbs라고 말한다. 사전 용어를 찾아보면, 도울 조[助]를 써서 보조동사를 의미한다. 보조동사란, 의미있는 일반동사의 풍미를 더 살려준다는 뜻이기도 하다. 풍미란 의미를 더 느낌있게 살려준다는 뜻이다. 1. modals : can, may, should 등 우리가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조동사를 얘기한다. 이것을 주로 강의할 것이다. 2. auxiliaries : have, be동사, do와 같은 의미가 없지만 도와주는 역할만 수행하는 동사를 말한다. --> ex) What do you do? : 앞의 do가 도와주는 역할만 수행하는 동사로 3가지를 말해준다. ① 의문문이라는것을 표현 ② 주어는 yo..

14. Future 미래시제 : Will VS. be going to do 늬앙스 차이가 또 있다? [내부링크]

지난 12강 강의를 안보시고 오신 분들은 이해가 잘 안 될테니, 꼭 한 번 읽어보시고 14강 내용을 보셨으면 좋겠습니다. 먼저 will과 be going to do(여기서 be는 미래에 대한 이야기이므로 is/am/are에 해당)를 미래의 단계라는 내용으로 비교를 했었죠. 해석 : 장담하는데 저 남자 분명 떨어진다. (미래의 일을 다 안다는 듯한 점쟁이 말투가 될 수 있다.) 2) He is going to fall into the hole. (O) --> is/am/are going to V는 "미래의 정황을 예측하듯" 말할 때 사용한다. 구분이 가셨나요? will은 의지, 결심이라고 말씀드렸는데, 어떻게 타인(he)의 의지를 마치 내 의지인것 처럼 추측해서 말을 할 수 있겠어요? 그런 말투가 아니라,..

[영어공부방법] 외국인이 무슨 말 하는지 하나도 안 들려서 큰일이에요. [내부링크]

지난 시간에 처음으로 영어공부법에 대해서 언급을 해봤습니다. 바로 Reading이었습니다. 읽고 또 읽어서 읽는대로 머릿속에 그림이 그려지면 어느 정도 숙달이 되신것이고 리딩이 잘 되는 것이며 말로 연습을 하면 스피킹도 자연스레 나오게 되는 경험을 쌓아갈 수 있을 겁니다. 처음에는 신기하고 재미있기까지 합니다. 저도 처음에 이해하는 제 모습이 너무나도 신기했으니까요. 물론 다 이해하면서 읽지는 못합니다. 이해가 안되는 부분은 물어보기도 하고 사전을 찾아보기도 하며 구글신에게 힘을 빌려 웹서치를 하기도 합니다. 그러면서 하나씩 알아갈 때 "이거구나~~~ 아하~~~~"하고 깨달을 때 너무나도 기분이 좋아집니다. ^^ 그런 경험과 공부한 내용을 영어를 정말 배우고 싶어하는 분들에게 공유하고 있는 겁니다. 제 ..

13. Future 미래인데, 단순현재(Simple Present)형을 사용한다고? [내부링크]

지난 시간에 이어, 4번과 5번의 Future에 대한 이야기 마저 해 볼까 합니다. 1. will + VR 2. is/am/are going to VR 3. is/am/are Ving 4. is/am/are about to VR is/am/are to VR 5. 현재시제 - ① 공공의 반복 - ② ~때/~라면 4번은 "~하려고 해." 라고 하는 하나의 표현입니다. 많이 들어보셨을 거에요. be about to do/ be to do로 to부정사 설명할 때 나오는 표현입니다. 구(Phrase) 챕터에서 배울 내용인데, 그럼 왜 시제에서 설명을 하는가? 라는 질문에서 저는 기존 영문법책의 챕터와 다르게, 미래에 대한 이야기를 한 곳에 모아놓고 다 말씀드리면 어떨까?하고 작성된 내용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그래..

12. Future 미래는 3단계가 존재해요! [내부링크]

미래시제하면 뭐가 떠오르시나요? 수강생들한테 물어보면 "will이요."하고 소심하게 한마디 하고는 입을 꾹 다뭅니다. 그래서 "또 없나요?" 하고 물어보면, "단순미래부터 미래완료진행시제까지 4가지로 구분됩니다."라고 대답하는 똑부러진(?) 수강생들 몇 분 빼고는 거의 다 미소를 지으며 '제 대답이 어떻게 나오나' 하고 호기심이 가득한 눈빛을 발사합니다. 그때 전 "영어에서 미래는 단계라고 생각하면 좋습니다."라고 호기심을 더 자극 시킵니다. ^^ 미래시제라고 하면 다들 책 첫 단락에 Tense, 즉 시제라고해서 단순미래부터 미래완료진행형까지 설명이 되어있을텐데요. 저는 그 구성의 틀을 깨고, 미래라는 것에 중점을 두고 기본 표현에 대해 언급 해보면서 이해를 먼저 하도록 도와드릴거에요. 지난 시간 현재완..

11. 현재완료진행(Present Perfect Progressive) 그 동안 써 먹을 일이 없었다? 어떤 의미인지 제대로 보여주게쓰!! [내부링크]

현재완료진행 형식 : have/has been + Ving 아래 (1) VS. (2) 번을 한번 비교해 보자! 두 가지 의미가 다 있다!! (1) It has been raining. --> 어, 비왔네. (지금은 비가오지 않지만 마치 과거에 비를 본 마냥 이야기를 하고 싶을 때 사용한다.) (2) It has been raining for 2 hours. --> "for 2 hours"라는 부사덕분에 2시간동안 비가 내려서 지금도 오고 있는 상황이된다. ※ Ving : 해석동사(~했다) have/has : 시제(현재) --> 1) "현재시점에서 마치 과거를 본 것 마냥 생동감있게", "과거에 불보듯 뻔한 상황"에서 말하고 싶을때 2) "얼마의 기간 동안 지금도 상황이 여전히 지속"이 되어 있는 경우..

10. 현재완료 이 표현은 반드시 외우자! [내부링크]

지금까지 제가 설명드린 문법은 이해를 하면서 머릿속에 그림을 그리면 얼마든지 어렵지 않게 따라오셨을 거라 생각이 듭니다. 하지만 아래 표현은 단어처럼 외워주는 표현이고, 고정되어 있는 표현이니 반드시 이거 하나는 외워 줍시다. ^^ "~해봤다" 라는 경험의 표현 : ever이라는 단어와 잘 어울려 쓰인다. 반드시 have + been을 사용한다. 1. 너 중국 가봤니? --> Have you ever gone to China? (X) --> Have you ever been to China? (O) "가다" 라고 하니 머릿속에 생각이 나서 적어본다. 우리말은 "가다" 하나로 표현하지만 영어로는 여러가지 표현이 있다. ; go, come, get, be 등 표현할 수 있다. 1) go : 출발지에서 발을 ..

9. 드디어 현재완료(Present Perfect)와 과거 비교!! [내부링크]

"그녀는 갔다." 라는 표현은 She went. 뿐만아니라 She has gone. 으로도 쓸 수있다. have/has + p.p. ① 시제를 표현한다. --> 현재를 나타냄. ② 해석하는 동사다. 해석은 과거로 한다. --> ~했다. 그래서 현재 기준으로 과거에 ~했다는 일로 표현하고 싶을 때 사용한다. 말그대로 현재에 완료된 상황을 말해준다는 것!! 1. Q : Are you hungry? A : 뭐 좀 먹었어요. --> I ate sth. () --> I have eaten sth.(O) : 현재 배고프냐고 물어봤는데, 과거에 먹었다는 말로 알맞게 잘 썼다. 2. Q : Is Kimberly here? A : She went out. () She has gone out. (O) : 지금 바깥에 ..

8. 과거진행(Past Continuous) VS. 과거완료(Past Perfect)비교 분석 [내부링크]

had + p.p VS. was/were ~ing 를 비교한 느낌은 아래와 같다. 1. I had studied english when my mom came in. -> 영어 공부가 끝나고 나서 엄마가 들어왔다. 2. I was studying english when my mom came in. -> 영어 공부를 하고 있는 중에 엄마가 들어왔다. 그래서 전자는 엄마한테서 칭찬을 못받고 후자는 엄마한테 칭찬을 받을 수 있는 상황이 된다는 말이다. 1. This time last year I was living in Seoul. --> 작년 이맘때 나는 서울에 잠깐 살고 있었다. --> was living 대신에 lived라고 했다면 과거 서울에 쭉~ 살고 있었다는 느낌인 반면에 was living은 잠깐 ..

7. Past 과거는 순서다 [내부링크]

지난 시간에 6편에서 단순현재와 현재진행형에 대해서 설명을 드렸죠. 그러면 현재시제에서 총 4가지이니 2가지가 더 남았네요. 바로 현재완료와 현재완료진행형입니다. 그런데, 오늘 이 시간에는 과거완료(Past Perfect)와 과거진행(Past Continuous)에 대해서 배워볼거에요. 왜 순서를 바꿨을까요? 우리말로 해보면 금방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지난 시간에는 단순현재와 현재진행형은 우리말에도 있는 표현이라 별로 어렵지 않았을 겁니다. 하지만 오늘부터 진행하는 시제는 영어에서 나타나는 독특한 표현법입니다. 우리말로 하면 현재완료나 단순과거, 과거완료도 '~했다'라는 의미로 같을 거에요. 그래서 언제 현재완료로 사용하고 언제 단순과거나 과거완료로 사용하는지 비교를 해 볼 겁니다. 그래서 현재완료를..

6. 단순 현재 VS. 현재 진행형(Simple Present VS. Present Continuous) 비교 해보자 [내부링크]

단순현재는 지금만 하는 행동이나 행위가 아니라 늘, 항상 하고 있는 그림이다. 어제도 그랬고 오늘도 그랬고 내일도 반복될 일이다. 얼추 같은 시간에 같은 행동을 하면 단순현재를 사용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7시에 일어나서 세수하고, 7시 반에 밥먹고, 8시에 출근하러 집에서 나서는 주중의 일련의 반복이 단순현재로 나타낸다는 것이다. 그럼, 실질적으로 그렇게 사용하는지 그림으로 한번 볼까요? 위 그림이 단순 현재의 그림이고, 생각이다. 1. He goes to school. : 그는 늘 학교에 갑니다. ----> 학교에 다녀요. (반복의 의미, 단순현재) 2. He is going to school. : 그는 지금 학교에 갑니다. ---> 이 순간에 학교에 가고 있다 (반복 아님, 현재진행) 1. Wh..

5. 시제(Tense) 맛보기 [내부링크]

강의에 앞서 퀴즈 하나 맞춰보실래요? " 걔(여자아이)는 갔어요. "라는 말을 영작 한번 해보실래요? 상황없이 10초 드릴테니 영작 가능한 문장 다 만들어보세요. 10...9...8...7...6... 5... 4... 3... 2... 1 땡 땡~~~~~ 시간 다 되었습니다. 혹시 She went. 라는 문장 하나 만드셨나요? 물론 이것도 잘 만드셨습니다. 그렇지만, 상황과 어떤 기준 시간을 생각하지 않고 문장을 만든다면 이것 외에도 영어문장은 더 만들어 볼 수 있습니다. 1. She went. ----> 갔어. 2. She has gone. -----> 떠났어. (슬픈느낌) 3. She has been going. ----> 어, 갔네. (지금보니 얘가 없네) 4. She had gone (befor..

[영어공부방법] 영어 좀 한다는 사람들의 공통적인 학습방법 단 한가지! [내부링크]

요즘 날씨가 아침, 저녁으로 쌀쌀해지기 시작했습니다. 완연한 가을이네요. 와~~~ 진짜 좋습니다. ^^ 여행하기에도 독서하기에도, 운동하기에도 정말 좋은 날씨인 것 같아요. 제가 개인적으로 제일 좋아하는 계절이기도 합니다. 계절상으로 보면 하반기에 접어들면서 내년에는 어떤 것을 해 볼까? 올해는 무엇이 잘 되었고, 안 되었나? 점검하면서 쉬엄쉬엄 생각해 볼 수 있는 계절이기도 하거든요. 대부분 사람들이 겨울 연말이 되어서야 또 한 해가 훌쩍 간다며 한탄하고 아쉬워하면서 내년 계획을 멋드러지게 세울때 이맘때 9~10월쯤 그런 실천한 내용을 종종 점검해 보고 미리 계획도 생각해 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서두가 좀 길었죠? ^^ ㅎ 서두에서 얘기한 바와 같이 정말 독서하기에도 좋은 날씨인데요. 제가 이 이야기..

4. 구(Phrase)와 절(Clause)을 활용하여 정도의 표현을 이해하자 [내부링크]

1. Because Tom is smart he can solve it. (X) --> 어법상으로는 맞는 문장이지만 실제 이렇게 사용하지 않는다. --> 절 그럼, 아래 2번 문장으로 넘어가보자. 2. Tom is so smart that he can solve it. (O) --> 형용사/부사와 함께 서술어를 표현할때는 so~that절을 사용한다. --> 절 --> Tom에 대해서 잘 알고 있을 때 쓸 수 있는 표현이다. --> so~that은 정도를 생각하는 말이다. --> 한 예로, The table is so heavy that I can't move it. : 그 table을 보고 무게 정도를 알 수 있을 때 사용할 수 있다. 3. Tom is smart enough to solve it.(O)..

3. 너무나 심플한 구(Phrase)와 절(Clause)의 형태 [내부링크]

※ 구(Phrase)의 종류 1. to+VR (to+동사원형) 2. Ving (동사+ing) 3. Ving/ Ved (분사) 4. 전치사 + N : 전치사구 위에 적힌 4가지 이외에 더 이상의 구의 형태는 없고, 접속사로 시작하여 S+V의 형태를 갖춘 형태는 절(Clause)이라고 한다. 그래서 영어의 형태는 너무나 심플하다. 앞서 설명한 동사의 형태 4가지와 구의 형태 4가지만 알면 영어의 문법 구조는 끝이 나버린다. 그럼 구조는 이리도 간단한데 왜 영어가 어렵다고 느껴질까?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영어는 우리말과 어순이 달라 중요한 말을 먼저 던져주고 뒤에 계속 덧붙여 문구가 아무리 길어져도(물론 무한대로 무작정 길어질 수는 없다. 상대방이 읽을 때와 들을 때 지치지 않을 정도의 범위) 괜찮은 언어인..

2.동사의 구조는 이것으로 끝! [내부링크]

go-went -gone goes -going 파란색 부분 : 동사 --> 서술어자리이다. 빨간색 부분 : 형용사 --> 서술어자리가 될 수 없다. 그러면 형용사가 서술어자리로 쓰일려고 하면 be동사 + 형용사 또는 have/has/had + p.p. 형태로 쓰면 된다. 아래 초록색 부분 : 동사이다. 1) He goes to school. : 동사 2) He is going to school. : 동사구 3) He went to school. : 동사 4) He has gone to school. : 동사구 단어 하나는 동사이고 두개 이상의 동사는 동사구라고 하는 것 뿐이다. ∴ 동사구(VP)는 1. have/has/had + p.p. --> 완료시제 2. is/am/are/was/were + p.p...

1.영어 구조의 이해 [내부링크]

1. 영문법은 자리결정의 문제다. - 서술어가 기준이 되어서 앞, 뒤를 결정한다. 주어는 형태가 다양하기 때문에 기준으로 두지 않는다. ※ 서술어 형태는 딱 3가지로 나뉜다. 1) has/ have/ had 2) is/ am/ are/ was/ were 3) 조동사 ※ S, O, C, V, (M) : 주어, 목적어, 보어, 동사, (수식어) 로 문장은 구성이 된다. 2. 1) 단어(words) 동사의 자리는 V (adj) --> 형용사의 자리는 N와 관련이 있다. (M : 수식어자리) (adv) --> 부사의 자리는 N와 관련이 없다. (M : 수식어자리) 대명사 전치사 접속사 감탄사 ex) It is true. (Words) 2) ex) Telling him the secret is true. (Phr..

[영어 구조화 실전 연습] 실제 사용하는 영어표현을 가지고 파악해보자! [내부링크]

2편에서는 1편의 '영어구조화 입문' 섹션과 같이 봐도 좋습니다. 같이 병행해서 보시면 훨씬 실력이 빠르게 향상될 겁니다.물론 영어 입문생으로 일명 영어 초짜라면 1편을 가볍게나마 한번은 쭉~ 훑어보고 와야지만 쉽게 이해가 되는 부분도 있을 겁니다. 여기 2편에서는 제목 그대로 실전 연습을 해 볼 겁니다. 영어책이나 기사(딱딱한 표현을 선호하는 정통적인 신문지가 아니라 대중들이 많이 보고 많이 사용하는 대중신문이나 매거진, 사설 등)에서 입말(실제 사람들이 평상시 많이 사용하는 말)을 발췌하여 어떤 상황에 어울려 사용할 수 있는지 대중의 언어로 썰을 풀어보려고 합니다. 앞으로 재미있게 봐 주시고 실전에서 바로 써 먹는 영어 공부가 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

영어, 어떻게 생겨 먹었는지를 먼저 고민해보자! [내부링크]

영어를 공부하기로 했다면 일단 싫든 좋든 영어가 어떻게 생겨먹은 언어인지를 알 필요가 있습니다. 영어라는 도구를 가지고 말로 하고, 글로 쓰고 듣고 싶다면 꼭 먼저 해야 할 일이 있다는 겁니다. 구조를 모르고서 무작정 교과서적으로 일관되게 패턴화하여 외우는 것은 '서울에서 김서방 찾기'와 같은 행위다라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이 김서방이라는 인물이 나이는 어떻게 되고 인상착의는 어떻게 되는지, 서울 어디에 사는지 등 찾을 수 있는 필요한 기본 정보는 꼭 알아야 내가 감이라도 잡고 찾기를 시작하듯이 영어라는 언어를 배우는 것도 마찬가지입니다. 쌩판 아무것도 모르고 무작정 외우면 술술 ~~ 언젠가는 말하게 되고 듣게 되리라는 쉬운 생각은 버려주시면 좋겠습니다. 그렇다고해서 과거의 중고등학교때 배운 딱딱한 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