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madzeze의 등록된 링크

 nomadzeze로 등록된 티스토리 포스트 수는 4건입니다.

보증보험가입vs전세권설정, 뭐가 더 좋을까? 비용 차이점 전입신고 확정일자 [내부링크]

전세권설정vs전세보증금반환보증보험, 무엇이 더 좋을까? 안녕하세요, 온라인복덕방 운영자 재재입니다. 저번 글에서 세입자로 들어갈때 들어야 하는 보증보험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이번에는 전세보증금반환보증보험과 함께 많이 고려하는 전세권 설정에 대해 알아보고, 둘 중 무엇을 가입하는게 좋을지 알아보겠습니다. 전세권설정이란? 전세권 설정은 전세기간이 만료되었을 때 전세금을 반환받을 권리를 등기부등본상에 등재하여 보장받는 행위입니다. 그래서 전세권설정을 하면 전세권 설정하였다는 문구가 등기사항전부증명서 을구에 기록됩니다. 전세금 받을 권리가 있다는 것을 등기에 표시하는 것이죠. 전세권설정의 효력은 크게 네 가지가 있는데요, ① 임대인으로부터 전세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하는 상황이 왔을 때 다른 채권자보다 먼저 변제..

주택임대보증보험 미가입, 일부가입 조건 완벽정리 [내부링크]

주택임대보증보험 미가입 조건 / 일부가입 조건 알아보기 (20.08.18.) 민간임대주택법 시행 이후 등록한 임대주택은 등록 즉시 가입 대상이 됩니다. 임대사업자가 보증보험에 가입하지 않으면 최대 3천만원의 과태료과 부과된다는 점에서 법이 매우 엄격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하지만 예외로 '임대보증금 보증' 가입 의무가 면제되거나, 일부만 가입이 가능한 임대사업자들도 있는데요, 다음 3가지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면 보증에 가입하지 않아도 됩니다. 집주인이 임대사업자라면? 전세보증보험가입 의무입니다. 집주인이 임대사업자라면? 전세보증보험가입 의무입니다. 안녕하세요! 여러분의 재산을 지켜드리는 재재복덕방입니다. 오늘은 여러분이 세입자로 집에 들어갈때 임대인이 임대사업자인 경우 nomadzeze.tisto..

집주인이 임대사업자라면? 전세보증보험가입 의무입니다. [내부링크]

집주인이 임대사업자라면? 전세보증보험가입 의무입니다. 안녕하세요! 여러분의 재산을 지켜드리는 재재복덕방입니다. 오늘은 여러분이 세입자로 집에 들어갈때 임대인이 임대사업자인 경우 꼭 읽어야하는 임대보증보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1. 주택임대사업자 보증보험이란 2. 해당 임대사업자가 보증보험에 가입하지 않을 경우 3. 전세보증금 반환보증보험 vs 임대보증보험 차이점? 1. 주택임대사업자 보증보험이란?! 임대사업자가 임대보증금을 반환하지 않는 경우, 보증회사가 임차인에게 임대보증금 반환을 책임지는 임차인을 위한 보증 상품입니다. 주택을 임대하고 주택임대사업자로 등록했다면 임대보증금에 대한 보증보험을 의무적으로 들어야 합니다. 등록임대사업자(지자체에 등록한 임대사업자)는 의무 가입 대상입니다. 법에 따라..

임대인 미납세금(국세/지방세) 확인 방법 및 주의사항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여러분의 재산을 지켜주는 온라인 제제복덕방 입니다. 오늘은 여러분이 세입자로 들어갈때 꼭 확인해야하는 임대인의 미납세금(국세/지방세) 열람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여러분이 확인해야할 임대인의 미납 세금은 국세/지방세로 두 종류입니다. 국세와 지방세는 각각 다른 곳에서 관리함으로 열람기관이 다릅니다. 국세는 국세청에서, 지방세는 행정안전부에서 담당합니다. 미납세금 열람에 대한 국세와 지방세의 공통 사항은 아래와 같습니다. - 임차보증금이 1천만원을 초과하는 경우 - 계약체결 이후부터 임대차 계약기간이 시작되는 날까지 임대인 동의 없이 미납세금을 열람 - 계약일 이후에 임대인의 미납 지방세를 열람하려는 임차인은 신분증과 임대차계약서 사본 지참 >>> 즉, 임차인은 임대차 계약서(사본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