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betteritlife22의 등록된 링크

 forbetteritlife22로 등록된 네이버 블로그 포스트 수는 154건입니다.

"스마트폰으로 시작하는 오디오" 전자책 소개 [내부링크]

저는 이 블로그와 티스토리의 블로그를 통해, PC, 스마트폰 중심으로 DAC, DDC, 헤드폰 앰프를 활용한 다양한 이어폰과 헤드폰의 리뷰와 추천을 그동안 진행해 왔습니다. 작년에 처음으로 블로그 내용을 기반으로 "스마트폰으로 시작하는 오디오"라는 PDF 전자책을 크몽을 통해 출판했는데, 올해 아래와 같은 내용들을 대폭 보완하면서 개정 2판을 전자책 전문 출판사인 "유페이퍼"를 통해 e-pub 형식으로 교보문고, Yes24, 알라딘, 리디북스 등에 출판하였습니다. 스마트폰으로 시작하는 오디오 전자책 "스마트폰으로 시작하는 오디오"는 아래와 같은 분들을 위한 입문서로 준비되었습니다. 스마트폰으로 유튜브 뮤직, 멜론, 애플뮤직,타이달과 같은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대로 활용하고 싶으신 분 아이폰/안드로이드폰을 무손실 파일을 비트 퍼펙트로 감상하고자 하는 분 유/무선 이어폰, 헤드폰, DAC, DDC, 헤드폰 앰프의 연결 방법과 가격대별 추천 제품을 찼고자 하는 분 목차 "스마트폰으로

간편하고 안정적인 맥세이프 충전기, 앤커 맥고 마그네틱 2in1 폴더블 무선 충전기 리뷰 [내부링크]

애플의 무선 충전 기술인 맥세이프 (MagSafe)는 자석을 이용하여 안전하고 편리하게 충전을 제공하는 기술인데 맥북의 전원 충전단자에 사용되어 오다가 아이폰 12를 시작으로 아이폰에도 본격적으로 도입이 시작되었습니다. 그동안 스마트폰의 무선 충전 기술들은 무선 충전기의 충전 가능한 공간에 스마트폰을 정확하게 일치 시켜야 충전이 원활히 동작하는 불편함이 있었는데, 자석으로 정확한 충전 위치를 가이드 해주는 맥세이프는 이러한 불편함을 없애주었습니다. 맥세이프 호환 충전기로는 크게 아래와 3가지로 구분해 볼 수 있습니다. 애플 정품 액세서리 애플의 MFM (Made For MagSafe) 인증 제품 맥세이프 호환 (Magsafe Compatible) 제품 애플의" MFM인증 제품"들은 애플의 가이드에 따라 개발 및 엄격하게 Test 되고 애플 정품 액세서리와 동일하게 무선으로 최대 15W까지 충전이 가능합니다. "맥세이프 호환 제품"의 경우에는 자석으로 부착은 가능하지만 무선 충전에서는

슬림 노트북을 위한 C타입 멀티허브 리뷰: 아트뮤 USB C타입 8in1 MH330 멀티허브 사용 후기 [내부링크]

주변에 맥북 에어, 갤럭시 북, 그램, 서피스 프로와 같이 슬림한 노트북을 사용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저도 개인용으로 사용하는 노트북은 휴대가 편리한 서피스 프로인데 경량 슬림한 노트북들의 단점은 USB나 HDMI 등 확장 포트가 부족하다는 것입니다. 최근에 출시되는 노트북들은 대부분 USB4 나 선더볼트 단자가 내장되어 있어 노트북의 충전, 외장 모니터 연결, 데이터 전송 등을 하나의 포트로 수행할 수 있어 c타입멀티허브를 활용하면 슬림 노트북의 기본 포트가 부족한 단점을 보완할 수 있습니다. 노트북의 USB-C 포트 하나로 노트북 PD 충전과 외장 모니터 연결, 외장 하드나 SD카드 연결을 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PD 충전의 경우에는 최소 65W 급 이상, 외장 하드의 경우에는 SSD 사용까지를 감안하면 최소 5Gbps의 대역을 지원하는 c타입멀티허브 제품을 추천합니다. 이번에 100W급 PD 충전, 대형 4KTV 연결이 가능한 4K@60hz 해상도 지원, USB A와 C 포트

코드 휴고2를 위한 레고형 파워앰프, Suzi 공개 [내부링크]

영국의 코드는 CD플레이어 시절부터 고음질 디지털 음악 재생을 위한 DAC Solution을 지속적으로 발표해 왔습니다. 코드의 장점이자 단점은 매달 신제품이 출시되는 중국산 차이 파이 제품들 대비 제품의 라이프 사이클이 매우 길다는 것입니다. 지난 2018년 출시된 휴대용(?) DAC 겸 헤드폰 앰프인 휴고 2는 현시점에서도 현역으로 사용하기에 충분한 성능과 가격이 대폭 할인되어 가성비 관점에서도 매우 우수하다는 리뷰를 이전에 공유해 드렸습니다. 그런데 놀랍게도 지난주 진행된 세계 최대 Hi-Fi 오디오 쇼 중 하나인 뮌헨 오디오 박람회에서 휴고 2를 레고 블록처럼 조립이 가능한 파워앰프 솔루션인 SUZI가 올가을에 출시 예정으로 실물이 공개되었습니다. 휴고 2는 RCA 라인 출력을 지원하고 볼륨 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과거에도 패시브 스피커를 연결하기 위한 코드사의 제품으로는 다른 오디오 소스가 없다면 코드 휴고 TT2 용 파워앰프인 BERTTI를 활용하거나 Qutest 용 인티

24년 가격대별 고음질 유선 이어폰 추천 [내부링크]

무선이어폰 보다 좀 더 고음질로 음악을 감상하기 위해서는 유선 이어폰이 고려 대상입니다. 유선 헤드폰의 경우에는 밀폐형보다는 감상하는 사운드가 바로 들리는 오픈형 제품들이 많기 때문에 대중교통이나 카페 등 외부에서 사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습니다. 이런 경우 유선 이어폰을 DAP나 스마트폰에 연결된 꼬다리형DAC에 연결하면 무선이어폰과는 비교할 수 없는 원음 그 자체의 감상이 가능해집니다. 앞서, 작년 기준 유선 이어폰 끝판왕과 10만 원대 입문용 유선 이어폰과 게임에 특화된 게이밍 유선 이어폰 추천 내용을 알아보았는데 고음질 유선 이어폰 구입 시 고려 사항과 가격대별 추천 제품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고음질 유선 이어폰 구입 시 고려 사항 1. 오픈형과 밀폐형 (커널형) 유선 이어폰의 착용감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 중 하나는 유선 이어폰이 외부의 공기가 귀의 외이도와 통하는 오픈형인지, 외이도를 막는 밀폐형이냐는 것입니다. 커널형: 가수들이 노래를 할 때 사용하던 귀를 막

아이즈 포맥스 폼팁 사용 후기 [내부링크]

무선이나 유선 이어폰 중에서 특히 최근 많이 사용되고 있는 커널형의 경우에는 헤드폰과 달리 귀의 외이도에 직접적으로 접촉하게 됩니다. 따라서 이어폰 중에서도 외이도에 직접적으로 접촉하게 되는 이어팁은 일차적으로는 이어폰을 귀에 편안하게 장착하는 역할을 하지만 이어팁의 종류에 따라 음색, 음질, 차음성등 전반적인 이어폰의 성능에 이어폰 케이블 보다도 큰 영향을 미치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본인의 귀에 맞지 않거나 거북한 느낌의 이어팁을 장시간 사용하게 되면 외이도에 염증까지 발생되어 이어폰을 사용할 수 없게 될 수도 있기 때문에 본인에게 맞는 이어팁의 선정은 매우 중요합니다. 이어팁의 경우 재질에 따라 일반적인 실리콘 팁과 메모리폼으로 만들어진 폼팁으로 크게 구분해 볼 수 있는데 폼팁은 장점과 단점이 뚜렷한 제품으로 호불호가 큰 제품입니다. 폼팁의 장점 1. 개인 귀에 맞춤형 착용감 폼팁은 장작 하게 되면 외이도 안에서 팽창하여 편안하고 안정적인 착용감을 제공합니다. 2.

USB DAC내장 인테리어스피커 , 칸토오디오 YU2 리뷰 [내부링크]

책상에서 데스크탑 PC나 노트북과 스피커와의 연결은 보통 AUX 선을 통해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하지만 최근에는 PC의 내장 사운드카드를 이용하는 AUX선 대신 음질 강화를 위해 외장 USB DAC를 내장된 스피커들도 많이 출시되고 있습니다. 저가의 컴퓨터 스피커들은 특정 대역만을 강조하여 각 대역의 밸런스가 틀어지거나 저역이 제대로 표현되지 못하는 제품들이 많습니다. 고음질을 추구하는 오디오 파일들을 위한 컴퓨터스피커로 세련된 디자인으로 인테리어 소품으로도 가능하며 작고 가벼워서 설치가 간편한 칸토오디오의 YU2를 리뷰할 기회가 생겨 공유드리고자 합니다. 칸토오디오 2007캐나다에서 설립된 칸토오디오는 대규모 회사에 OEM 방식으로 제품을 공급하기 시작하였고 "음악과 함께하는 풍요로운 일상"이라는 모토 아래 다채로운 색상의 데스크탑/북쉘프스피커, 밀폐형 서브우퍼, 독특한 디자인의 스피커 스탠드를 선보이며 칸토오디오 만의 디지털 라이프스타일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초장기 오디

24년 가격대별 음질 좋은 블루투스 헤드폰 추천 [내부링크]

에어팟 맥스의 인기 덕분인지 이제는 지하철이나 버스 같은 대중교통에서 블루투스 헤드폰을 착용하고 계신 분들을 심심치 않게 만나볼 수 있게 되었습니다. 현재 에어팟 맥스로 대표되는 블루투스 헤드폰은 헤드폰 고유의 기능은 음악 감상뿐만 아니라, 대중교통이나 장거리 비행 시 매우 유용한 ANC (액티브 노이즈 캔슬링) 기능이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되었습니다. 에어팟 맥스를 구입할 수 있는 가격대인 50만 원대에서 소니, 보스 등이 ANC와 음질을 모두 만족하는 제품을 지속적으로 출시하고 있지만, 전통적인 HiFi 오디오 업체들에서도 본격적인 블루투스 헤드폰을 출시해 오고 있습니다. 작년에는 음질 좋은 블루투스의 선정기준과 주요 제품들을 추천하였었는데, 올해는 블루투스 코덱 부분에서는 압축효율이 높은 LE 오디오와 함께 CD 수준 음질인 16bit/44.1Khz PCM 음원을 무손실로 전송할 수 있는 AptX Lossless Codec을 탑재한 제품들도 선보이기 시작하고 있습니다. 또한 아이

기상청 사람들 OST 고해상도 음원 [내부링크]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들이 작년부터 원음에 손실을 가하는 MP3, AAC 압축방식에서 16bit/44Khz의 CD음질이나 24bit/48Khz 나 96Kz의 고해상도 음원 서비스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해외의 Tidal, Qobuz같은 서비스에는 팝이나 클래식, Jazz같은 경우와 달리 가요의 경우에는 고해상도 음원이 많이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국내에서는 고음질 서비스를 빨리 시작한 벅스의 경우에도 CD음질 수준의 음원들은 많으나, 24bit/96Khz의 음원은 찼아보기가 쉽지 않습니다. 작년 말 서비스를 시작한 애플뮤직에는 예상과 달리, 많은 최신 가요들과 24bit/96khz의 고해상도 음원을 쉽게 찼아볼수가 있게 되었습니다. 이번에는 최근에 종용한 "기상청 사람들"의 드라마 OST도 애플뮤직에서 24bit/96Khz의 음원으로 서비스가 있어 소개해 드리고자 합니다. "기상청 사람들 : 사내연애 잔혹사편 OST Special"은 2장의 CD로 구성되어 있는데, 첫번째 CD

출력이 좋은 꼬다리 DAC , 샨링 UA5 [내부링크]

많은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에서 무손실 고음질 음원 서비스를 지원하게 되면서, 많은 분들이 사용하시는 블루투스 이어폰이나 블루투스 헤드폰에서는 대역폭의 문제로 이를 제대로 감상하는 것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소니의 LDAC과 같은 블루투스 고음질 코덱도 손실 압축 방식이기 때문에 무손실 고음질 음원을 제대로 감상하기에는 부족함이 있습니다. 무손실 고음질 음원을 감상하기에는 아직은 유선 연결이 좀 더 유리한 선택인데, 최근 스마트폰에서는 유선 헤드폰이나 이어폰 연결을 위한 3.5mm 단자가 없어지게 되었고, 스마트폰 자체의 내장된 DAC가 이제는 없어진 LG전자의 쿼드 DAC 같이 음악에 특화된 경우가 아니라면, 그리 좋은 성능을 보여주지 못하기 때문에 일명 "꼬다리 DAC"라는 것을 고음질 음원을 감상하기 희망하시는 분들이 선택하고 있습니다. 이 꼬다리 DAC 시장은 많은 중국 업체들에서 다양한 제품을 출시하고 있는데, 그중 최근에 출시된 샨링 UA5를 살펴보

4.4mm 밸런스드 출력이 필요할 때는 Fiio KA3 DAC [내부링크]

이전 블로그에서 샨링의 최신 꼬다리 DAC인 UA5를 살펴보았습니다. UA5는 ESS의 최신 2채널 DAC 중 최상급인 ES9038Q2M을 2개 탑재하고, 헤드폰 앰프도 2개를 탑재하여 높은 성능을 보여주고, 최근 많이 사용되고 있는 4.4mm 밸런스드 출력을 지원한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가격이 만만치 않아, 배터리가 내장되어 좀 더 좋은 음질을 ifi의 Hip Dac 2와의 경쟁에서 쉽게 선택되기 어려운 점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UA5의 ES 9038Q2M과 4.4mm 밸런스드 출력 장점을 고스란히 계승하면서도 가격이 직구로는 10만 원 이하에서도 구입할 수 있는 Fiio KA3 꼬다리 DAC를 살펴보고자 합니다. 1. 디자인 디자인은 전형적인 USB-C 케이블 분리형 꼬다리 DAC의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별도의 디스플레이는 없고, 상태를 표시해 주는 LED 1개가 장착되어 있으며, 물리적인 버튼도 없어, 스마트폰 앱을 통해 제어하게 되어 있습니다. Fiio KA3

단단하고 묵직한 저음이 필요할 때면, 퀘스타일 m15 DAC [내부링크]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의 USB 전원을 이용하고, ESS의 싱글 비트 DAC 칩을 사용한 꼬다리 DAC는 전원의 한계와 칩의 특성상 중고역대의 해상도는 매우 높지만, 저역의 질감과 풍부함에서는 부족한 경우가 많습니다. 작년에 중국의 차이 파이 업체 중 고음질 DAC와 헤드폰 앰프를 출시해온 퀘스타일에서 최초로 꼬다리형 DAC인 m12를 발표하면서 ESS의 DAC 칩을 사용하면서도 퀘스타일 독자의 전류 증폭 방식을 사용하여 이러한 선입견을 불식시켜 주었습니다. m12는 물론 R-2R ladder 방식이나 영국 ifi가 채택하고 있는 버브라운의 멀티 비트 방식의 배터리나 독자 전원을 가지고 있는 상급기와 직접 비교하기는 어렵지만, 꼬다리 DAC 형태에서는 저음이 가장 좋은 제품 중 하나입니다. 그런데 이 퀘스타일에서 기존 m12를 좀 더 업그레이드한 m15 dac를 최근 출시하여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디자인 전체적인 외관 디자인에서는 큰 차이가 없으나, 전면을 투명창을 장

아날로그 감성의 R2R 꼬다리DAC , CAYIN RU6 [내부링크]

최근 HiFI 오디오의 최고급형 DAC에는 일반적인 상용칩인 AKM이나 ESS의 원칩 솔루션을 사용한 제품보다는 약 20년 전 고급형 CDP에서 사용되던 초창기의 DAC에서 사용되던 R2R Ladder 방식이 적용되고 있습니다. R2R Ladder 방식의 최대 장점은 디지털 음악 특유의 차가움을 극복하고, 아날로그 사운드에 가장 가깝게 재생이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R2R Ladder의 방식의 단점은 처리 가능한 비트 수의 2배 만큼 초정밀 저항이 필요하다는 것입니다. 물론 최근 제품 중에는 R2R Ladder를 저항 단품으로 구성한 제품도 있고, 의료용에 사용되는 R2R 회로를 하나의 칩으로 구성한 제품도 많습니다. 중국의 가성비 차이 파이 브랜드 중에서 국내에는 진공관을 사용하여 독특한 아날로그 감성을 제공하는 DAP로 유명한 CAYIN에서 최근에 R2R 방식을 적용한 꼬다리 DAC인 CAYIN RU6를 발표하여 이 제품을 살펴보고자 합니다. 1.Design CAYIN RU

HiFi 오디오 제작사가 만든 꼬다리 DAC , Earmen Colibri [내부링크]

최근 스마트폰과 모바일 기기의 음악 스트리밍이 대세가 되면서, DAC 시장의 가장 큰 특징은 거치형 제품에서는 DAC 단품보다는 네트워크 오디오 플레이어나 인티앰프 등에 DAC가 통합되기도 하고, 휴대용 제품에서는 휴대용 DAC 단품은 꼬다리형태가 많이 출시되고 있습니다. 중국의 차이 파이 업체들 위주로 많은 꼬다리 DAC들이 출시되고 있는 상황에서 진공관 앰프와 DAC 등을 전문적으로 만들어온 Earmen에서 배터리 내장형 꼬다리 DAC인 Earmen Colibri를 출시하였습니다. Auris은 동구권인 세르비아에서 2013년에 창립한 진공관 앰프, LP 톤암 등의 고가 제품들을 판매하는 회사이고, 전원 트랜스를 독자 제작하고, 캐패시터 부품 등도 최고급 제품을 선별해 사용하는 것으로 유명한 회사입니다. 이 Auris의 자매 회사인 Earmen은 Auris의 아날로그 기술을 휴대용 기기에 적용하여 거치형 DAC, 휴대용 헤드폰 앰프, 거치형 진공관형 헤드폰 앰프 등의 다양한 제품들

스테레오파일 2022 헤드폰 추천 결과 [내부링크]

오디오를 취미로 하시는 분들께서는 한 번쯤 미국의 "스테레오파일" (Stereophile)이란 잡지의 추천 결과를 들어보셨을 것입니다. 많은 오디오 기기 회사들과 오디오 평론가, 전문가들이 제품을 소개할 때, 스테레오파일의 추천을 자랑스럽게 여깁니다. 이 스테레오파일에서는 1년에 한번 각 오디오의 제품 종류별로 등급을 매겨, 가장 좋은 제품인 A+등급부터 여러 가지 제품들을 추천하고 있습니다. 가성비 유럽 브랜드 제품을 주로 소개하는 영국의 "What HiFi", 가격 등급별로 헤드폰 관련 제품을 추천하는 일본의 "HiVi"와 달리 스테레오파일의 제품들은 쉽게 접하기 어려운 최고의 성능을 가지는 고가의 제품들이 많습니다. 하지만, 가끔 눈을 의심하게 만드는 저가의 제품들이 당당히 이 추천에서 A등급으로 추천되기도 합니다. 국내의 많은 리뷰에서도 언급되기 때문에 이번 스테레오파일 2022 헤드폰과 헤드폰 액세서리 분야의 선정 제품들을 살펴보고자 합니다. [A+등급] Ampsandsou

마샬 윌렌 블루투스 스피커 출시 [내부링크]

Markshall (마샬)은 오래된 기타 앰프 브랜드였지만, 몇 년 전부터 중대형 블루투스 스피커를 소개하면서 국내에도 많이 알려진 브랜드가 되었습니다. 최근에 마샬은 기존의 중대형 블루투스 스피커에서 소형 스피커 쪽으로 라인업을 확대하고 있으며 탁상용으로 Emverton 2에 이어서 최근에는 이보다 더 작은 사이즈의 마샬 윌렌을 출시하였습니다. 1. 디자인 마샬 윌렌은 다른 마샬의 스피커와는 달리 이번에는 직사각형 형태가 아닌 가로/세로 10cm의 정사각 형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두께는 4cm 정도이고 색상은 검은색과 베이직의 2가지 색상으로 발표되었는데, 베이직 색상은 출시가 좀 늦어져 이번 가을에나 출시가 된다고 합니다. 무게는 0.31kg으로 매우 가볍고 후면에는 다양한 장소에 쉽게 거치할 수 있는 고무 스트랩이 위치하고 있습니다. 자전거 등에도 쉽게 연결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윌렌 검은색 윌렌 베이지색 윌렌 후면 스트랩 2. 스펙 - 드라이버 : 한 개의 2인치 10

LP, CD플레이어를 위한 네트워크 오디오 장치, bluesoud hub [내부링크]

음악을 감상하는 방법이 LP/카세트 -> CD에 이어 멜론, 벅스와 같은 구독형 스트리밍 시장으로 급속히 재편되었고, 몇 년 전부터는 음질이 낮은 손실 음원만 스트리밍 되던 것이 Tidal, Qobuz 등 해외 서비스부터 고음질의 무손실 음원 스트리밍 서비스가 시작되었습니다. 작년부터 대부분의 국내 가요를 포함한 약 9천만 곡의 애플 뮤직 서비스가 제공되면서, 고음질로 원하는 음악을 쉽게 감상할 수 있는 시대가 되었습니다. 하지만, 시장은 아이러니하게도, 과거의 카세트, LP가 다시 붐이 일면서, LP 1장에 10만 원이 넘는 경우도 쉽게 접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음악을 디지털 파일이나 스트리밍 중심으로 감상하게 되면서, 처음에는 PC를 플레이어로 많이 사용하였지만, PC의 소음과 노이즈로 인해 별도의 네트워크 오디오 플레이어와 NAS로 구성된 네트워크 오디오 시스템이 보급되기 시작하였습니다. 이 네트워트 오디오는 가정 내에 설치된 유선랜과 무선랜 기반으로 작동하며, 여러 가지 제

아이폰 꼬다리 DAC, 어쿠스튠 AS2000 [내부링크]

스마트폰에서 고음질 음악을 감상하기 위해 이미 여러 제품의 꼬다리형 DAC를 소개해 드렸습니다. 하지만, 지금까지 소개해 드린 제품은 모두 스마트폰의 단자가 USB-C 단자를 설정하고 만든 제품들이어서, 라이트닝 포트를 가지고 있는 아이폰이나 아이패드 기본형의 경우는 애플의 카메라 키트나 별도의 OTG 케이블이나 단자를 사용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습니다. 이런 아이폰을 위해 라이트닝 포트에 직접 연결할 수 있는 꼬다리형 DAC의 제품들은 일반적인 USB-C 형태의 DAC보다 출시되는 제품이 매우 적고 판매도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제품은 매우 한정적입니다. 최근에 1DD 이어폰 명가로 알려진 어쿠스튠에서 아이폰 꼬다리 DAC인 AS2000을 출시하여 이 제품을 살펴보고자 합니다. 어큐스튠은 일본에서 디자인하고, 홍콩에서 개발하며, 중국에서 생산하는 다국적 브랜드로 그동안 높은 성능의 이어폰들을 선보여와서 이번 꼬다리 DAC의 출시도 기대가 됩니다. 1.Design 어쿠스튠 A

소니 WH-1000XM4 후속, WH-1000XM5 무선 헤드폰 출시 [내부링크]

소니의 블루투스 무선 헤드폰 기함으로 액티브 노이즈 캔슬링 블루투스 헤드폰으로는 가장 강력한 노이즈 캔슬링 성능을 보여주었던 WH-1000XM4의 후속 제품인 WH-1000XM5가 금일 발표되었습니다. 지난 4번의 WH-1000시리즈들은 모두 가을에 출시되었던 것에 비해, 이번 신제품은 지난달 디자인 렌더링 루머가 나온 지 1달 만에 정식 신제품 발표를 하였습니다. 많은 분들이 관심을 가지고 계시는 제품이고, 전작의 4개 제품들은 비슷한 디자인 콘셉트를 유지하였으나 이번 신제품은 디자인 측면과 헤드폰 성능 모두에서 변화가 많아, 상세히 전작과 비교해 보고자 합니다. 1. 디자인 이미 지난달 루머에 나왔던 사진과 동일한 제품으로 헤드폰 밴드와 이어 컵의 연결 부위가 이전 세대의 제품들과 다르게 힌지가 안쪽으로 숨어 있는 고급스러운 디자인으로 변경되어 WH-1000XM5가 출시되었습니다. 색상도 블랙과 실버 2가지 색상입니다. 환경을 위해 헤드폰 본체가 재생 플라스틱을 사용한 점이 특징

아스텔앤컨 신형 꼬다리DAC, AK HC2 출시 [내부링크]

아스텔앤컨은 과거 아이리버 MP3 플레이어부터 시작해서, 최근 프리미엄 DAP까지 일관되게 디지털 음악의 재생기기를 고급화하여 국내보다도 해외에서 더 인정을 받고 있는 브랜드입니다. DAP 이외에도 몇 년 전에는 베이어 다이나믹과의 협업을 통해 헤드폰을 출시하였고, 최근에는 독자 브랜드로 블루투스 무선 이어폰을 출시하거나 미국의 Campfire 회사와 협업을 통해 고성능 BA드라이버가 탑재된 유선 이어폰을 출시하는 등 다양한 제품들을 출시해 왔습니다. 작년에는 스마트폰에서 쉽게 사운드를 향상시킬 수 있는 꼬다리 DAC인 PEE51을 출시하였고, 사운드 면에서는 꼬다리 DAC 중 높은 품질의 사운드를 들려준 것으로 소비자들의 평이 있었으나 아이폰에서 구동이 안되고, 출력이 3.5mm 만 가능한 단점이 있었습니다. 이번에 PEE51의 단점을 극복한 AK HC2를 아스텔앤컨에서 발표해서 좀 더 자세한 내용을 살펴보고자 합니다. 1.Design 아스텔앤컨의 AK HC2는 전작인 PEE51과

초경량 액티브 노이즈 캔슬링 이어폰, 소니 링크버즈 S 출시 [내부링크]

이제는 무선 이어폰은 하나쯤 보유하고 계신 분들이 정말 많은 시대가 되었습니다. 이어폰 시장도 거의 매일 다양한 브랜드에서 수많은 무선 이어폰 제품들이 쏟아지고 있습니다. 외부의 소음을 차단해 주는 액티브 노이즈 캔슬링 이어폰의 경우, 애플의 에어팟 프로가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했다면, 소니의 WF-1000시리즈는 고음질 LDAC을 지원하면서, 액티브 노이즈 캔슬링 기능을 지속적으로 Upgrade 하고 있습니다. 최근 소니에서는 최근 링크버즈, WH-1000XM5등 다양한 무선 이어폰과 헤드폰을 예전보다는 빠른 속도로 다양한 제품들을 출시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소니에서 새로 발표한 "링크버즈 S"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우선 "링크버즈 S"는 액티브 노이즈 캔슬링 기능이 적용된 제품 중 에어팟 프로의 5.4g , 갤럭시버즈2의 5g 대비 가장 가벼운 무게인 이어폰 1개의 무게가 4.8g으로 장시간 착용이 매력적인 제품입니다. 1. 디자인 기존에 출시되었던 "링크버즈"의 제품은 이

iFi의 꼬다리 DAC, iFi Go Bar 출시 [내부링크]

영국의 iFi는 ZEN 시리즈 등으로 가성비가 좋은 다양한 디지털 오디오 기기 등을 출시하고 있습니다. 포터블 DAC와 헤드폰 앰프로는 유선 제품으로는 배터리가 내장된 Hip DAC 제품이 많은 사랑을 받았고, 최근에는 소형 블루투스 DAC와 헤드폰 앰프인 Go Blu와 프리미엄 사운드를 들려주는 xDSD Gryphon을 출시하여 이어폰 사용자분들로 부터도 좋은 호평을 받고 있습니다. 상당히 많은 제품들을 출시하고 있는 브랜드인데, 이번에는 꼬다리형 DAC로 Go Bar라는 제품을 출시하였습니다. Go Blu라는 26g이라는 초경량에 사이즈가 믿기지 않은 좋은 헤드폰 출력을 갖추고 있으나, 블루투스 음원의 한계로 인해 음원 처리가 24bit/96Khz까지인 한계가 있었습니다. 이번 iFi Go Bar 제품은 USB-C나 라이트닝 포트에 유선으로 연결하여, 더 높은 고해상도의 음원을 처리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1. 디자인 iFi Go Bar는 전형적인 꼬다리 DAC 형태를 가지고 있

새로운 AK4493SEQ DAC 칩이 탑재된 샨링 UA3 [내부링크]

최근 몇 년 동안 DAC 칩 시장은 AKM과 ESS 두 개 사가 양분하여, 많은 제품들이 출시되었고 두 칩의 사운드 특성이 차이가 나 AKM 특유의 단단하고 따듯한 사운드를 선호하시는 분들도 많았습니다. 하지만, 지난 2020년 AKM의 일본 공장 화재가 장기간의 생산 중단으로 이어지면서, 작년에 AKM을 탑재했던 많은 DAC와 DAP들이 ESS 칩셋으로 교체되었고, 최근 출시되는 제품들도 ESS와 Cirrus Logic 등의 칩이 적용되고 있습니다. 공장 정상화가 어렵다는 소문만 무성하던, AKM에서 지난달 AKM의 최상급 칩셋인 AK4499의 후속으로 AK4499EX를 발표하였고, 올해 하반기에서 내년 상반기에 이를 적용한 신제품 출시 예상을 발표하였습니다. 그런데 차이 파이 DAC 명가 중 하나인 샨링에서는 AKM의 보급형 DAC 칩인 AK4493SEQ를 탑재한 꼬다리 DAC인 샨링 UA3의 출시를 발표하였습니다. 샨링에 따르면 올해 초부터 AKM에서 DAC 칩들이 나오기 시작

HiFi 오디오를 위한 블루투스 송수신기, Fiio BTA30 Pro [내부링크]

이제는 많은 분들이 블루투스 이어폰이나 블루투스 헤드폰들을 하나씩은 보유하고 계십니다. 블루투스 이어폰이나 헤드폰의 가장 큰 장점은 선이 없는 휴대성이나 가장 큰 단점 중 하나는 유선 이어폰이나 헤드폰보다 음질이 좋지 않다는 것입니다. 많은 업체들이 1Mbps의 낮은 대역폭을 갖는 블루투스 기술상에서 MP3 나 AAC 압축 방식보다 좀 더 좋은 사운드의 음원을 전송하기 위한 기술을 발전시켜 왔으며, 소니의 LDAC과 퀄컴의 aptX Adaptive, aptX Lossless 같이 24bit 음원을 전송할 수 있는 기술이 제품에 적용되고 있습니다. 이 중에서 현재 시장에는 있는 고급형 블루투스 이어폰에 적용되어 있는 LDAC의 경우에는 최근 연결 안정성이 좋아지면서 일반인들은 유선 제품과 큰 차이를 느끼지 못할 만큼 성능이 향상되었습니다. 그런데 LDAC은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에서만 지원되고 있고, 스마트 TV나 PC 등에서는 지원되고 있지 않아, TV의 사운드를 LDAC으로 감상을 희

애플 M2 칩셋 공개 [내부링크]

미국시간으로 6월 6일, 한국시간으로는 오늘, 애플은 기존 M1 칩셋의 후속으로 애플 M2 칩셋을 공개하였습니다. 애플 M2 칩셋은 M1의 고성능인 M1 Pro나 M1 Ultra 보다 더 고성능 칩셋은 아니고, M1의 후속 모델로 애플은 이번에 이를 적용한 새로운 디자인의 "맥북에어" 와 기존 13인치 맥북 프로의 칩셋을 교체한 업그레이드 제품도 같이 발표하였습니다. 1. 주요 Spec M1과 동일한 5nm 공정 기반 제품이나 같은 5nm라도 2세대라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CPU : M1과 동일하게 총 8개의 Core로 구성되며, 성능 코어가 4개, 효율 코어가 4개입니다. GPU : M1은 GPU가 7개와 8개인 모델이 있었는데, 이번에는 8개와 10개 코어의 2가지로 공개되었습니다. 메모리 대역폭 : M2는 CPU, GPU, 메모리가 모두 통합된 형태로 메모리 대역폭이 중요한데, M1의 50GB/s 대비 2배 증가한 100GB/s로 강화되었습니다. 내장 RAM : M1이 최대 1

Fiio의 온라인 직판 브랜드 Jade Audio [내부링크]

하이파이 오디오를 입문하는 많은 분들은 크게 스피커로 입문하시거나 이어폰이나 헤드폰으로 입문하시는 분들로 구분될 수 있습니다. 이 중에서 이어폰과 헤드폰 분야에서 최근 몇 년 동안 가성비를 앞세운 중국 브랜드를 지칭하는 "차이파이"라는 단어가 마니아 분들이 계시는 카페에서 쉽게 들어보실 수 있었습니다. 수많은 차이 파이 브랜드 중에서 꾸준히 신제품을 출시하면서 높은 가성비의 제품들을 출시하는 대표적인 브랜 중 하나인 Fiio가 있습니다. 국내에도 정식 수입되어 많은 분들이 헤드폰 앰프나 DAC를 사용하셨고, 최근 몇 년 동안에는 입문기가 아닌 중 고급형 이어폰들도 출시되어 헤드폰 앰프 못지않은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그런데 올해 Fiio에서 온라인 직판을 통해 가성비를 좀 더 극대화하는 산하 브랜드로 "Jade Audio"를 출시하고 기존 Fiio의 입문형 꼬다리 DAC와 이어폰들을 이 브랜드로 판매를 시작하였습니다. 국내에서 정식 수입되는 것도 있고, Aliexpress의 Shop

블루투스 휴대용 앰프, DAC의 새로운 강자, Fiio BTR7 [내부링크]

이어폰이나 헤드폰의 많은 시장들이 블루투스 이어폰이나 블루투스 헤드폰으로 넘어갔지만, 아직도 프리미엄급 이어폰과 헤드폰은 여전히 유선 케이블을 사용한 제품 위주입니다. 아무래도, 블루투스의 대역폭에 따라, 고가의 이어폰이나 헤드폰이 들려줄 수 있는 고음질의 사운드를 전송하는 데 한계가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손실이기는 하지만, LDAC과 같이 24bit/96Khz까지 감상할 수 있는 블루투스 코덱이 보편화되면서, 고가의 유선 이어폰이나 헤드폰을 보유하고 계신 분들 중에서 스마트폰과 LDAC으로 간편하게 연결하여 비교적 고음질의 음원을 감상하고자 하시는 분들도 있습니다. 올해 출시해서 많은 인기를 끌었던 iFi의 Gryphon과 같이 DAC와 블루투스 수신기를 겸하는 휴대용 앰프 같은 제품들이 많은 관심을 받는 것도 이러한 이유 때문입니다. 최근에 꼬다리 DAC 업계도 스펙을 계속 업그레이드하면서 30~40만 원대 제품들이 흔하게 나오고, ifi의 신형 Go bar같은 제품은 50

디자인 꼬다리DAC, 수월우 DAWN [내부링크]

최근에는 일주일에 몇 종류씩 정말 수많은 꼬다리 DAC들이 출시되고 있습니다. 최근의 꼬다리 DAC들은 주로 출력 단자에 따라, 가격대가 3.5mm 단자만 채택하고 있는 입문기, 4.4mm 단자만 채택하고 있는 중급기, 그리고 3.5mm 단자와 4.4mm 단자를 모두 채택하고 있는 고급형 제품들로 출시되고 있습니다. 워낙 꼬다리DAC의 인기가 좋으니, 기존의 Fiio, Questyle 등외에도 많은 이어폰이나 헤드폰을 전문적으로 만들던 업체들도 꼬다리 DAC들을 출시하고 있습니다. 가성비 이어폰으로 널리 알려져 있는 차이 파이의 강자 중 하나인 수월 위에서 기존의 직사각형 검은색 위주의 꼬다리 DAC 시장에 원통형 디자인과 깔끔한 White Color가 인상적인 수월우 DAWN 을 출시하였습니다. 1.디자인 검은색 직사각형의 천편일률적인 꼬다리 DAC 제품들 중에서 수월우 DAWN의 원통형 White 색상은 매우 인상적인 디자인의 제품입니다. 원통은 플라스틱이 아닌 알루미늄을 CNC

샨링 M6 Ultra [내부링크]

스마트폰의 보급으로 인해 완전히 없어질 줄 알았던 MP3 플레이어는 무손실 고음질 음원을 재생하는 DAP (Digital Audio Player)로서 변신을 하여 오디오를 취미로 하는 오디오 파일 분들에게 인기가 있는 제품입니다. 이 DAP 시장은 우리나라 브랜드인 아이리버가 사명을 바꾼 Astell & Kern 이 몇 년 전부터 이끌어 오고 있는데, 최근에는 Fiio 나 샨링등 중국의 차이 파이 업체들이 가성비를 내세워 무섭게 치고 올라오고 있습니다. 그중 샨링에서는 AKM의 DAC 칩들을 활용한 다양한 DAP들을 출시하였었습니다. 대표적인 모델로는 두 개의 AK4499를 탑재한 프리미엄 제품인 M9, AK4497을 두 개 탑재한 준 프리미엄 제품인 M8에 AKM의 공장 화재로 ESS의 DAC 칩을 채택한 다양한 모델들을 최근까지 출시하였었습니다. 그런데 지난달 AKM의 공장이 정상화되기 시작하면서, AKM의 새로운 칩들을 채택한 제품들을 출시하기 시작하였었는데, 지난달 말 AK4

수월우 헤드폰 3종 공개 [내부링크]

수월우(Moondrop)은 가성비가 매우 우수하면서 여성 캐릭터를 이용한 독특한 박스 포장으로 유명한 중국의 차이 파이 이어폰 업체입니다. 지난 리뷰에서도 수월우가 디자인이 강화된 꼬다리형 DAC 신제품인 DAWN을 공개한 것으로 소개해 드렸었습니다. 지난 7월 1일 수월우에서는 유튜브를 통해, "수월우 2022 여름 신제품 출시 콘퍼런스"를 실시하였는데, 이번에 발표된 제품은 놀랍게도 그동안 수월에서는 발표되지 않았던 헤드폰을 동시에 3제품을 발표하였습니다. 그런데 더 놀라운 것은 같은 정전형, 평판 자력형, 다이나믹 드라이버 방식의 완전히 서로 다른 구동 방식의 3제품을 동시에 발표하였다는 것입니다. 그럼 이번 발표된 3제품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정전형 플래그십 헤드폰, MOONZERO 우선 MoonZero의 디자인은 중국 차이 파이 헤드폰의 가성비 끝판왕 중 하나인 하이파이맨의 서스 바라를 연상시키는 헤드밴드 외관의 메탈 프레임이 인상적입니다. 10mm 원형 정전판은

VGP2022 여름 선정 게이밍 모니터 [내부링크]

오디오, TV 등 A/V기기를 추천하는 많은 매체들이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영국의 WHAT HIFI의 추천 내용을 마트의 전자기기 매장에서 간혹 확인해 볼 수 있으며, A/V 마니아분들 중에서는 일본의 HIVI 와 함께, VGP의 추천 결과도 많이 참고하시는 경우가 있습니다. HIVI가 전문가 5~8명의 추천을 종합 점수화하는데 비해, VGP의 경우는 전문가 추천에 추가하여 실제 전자제품 유통매장의 추천까지 받아 집계하기 때문에 좀 더 대중적이라고도 볼 수 있습니다. VGP는 각 부분의 대상 제품, 특별상 외에도 각 카테고리별로 세밀한 가격대로 제품을 구분하고, 금상과 일반 수상 제품을 선정하고 있습니다. VGP는 1년에 2번 선정하는데, VGP2022의 경우, 작년 연말에 이미 선정되어 발표되었고, 이번에 VGP 2022 여름 제품이 선정되었는데, 최근 개인적으로 관심이 많은 게이밍 모니터의 선정 제품들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VGP2022 여름 선정 게이밍 모니터는 10만

세계 최초 aptX lossless 이어폰 NuraTrue Pro [내부링크]

애플의 아이폰과 에어팟은 최근 몇 년 동안 모바일에서 음악을 감상하는 경험을 유선에서 무선으로 완전히 변화 시켰습니다. 이제는 이어폰 시장은 무선 이어폰이 대세이고, 1주일에도 다양한 브랜드에서 몇 개씩 신제품들이 쏟아지고 있습니다. 음악을 이용하는 경험도 CD와 같은 물리적 매체에서 스트리밍 서비스로 전환되었고 작년부터 음악을 스트리밍 서비스하는 업체 중에서 무손실 고음질 음원 서비스를 CD(16bit/44Khz)나 24bit/48Khz ~96Khz의 고음질 서비스를 진행하면서 특히 해외 사이트들인 Tidal, Apple Music 등에서는 이러한 고음질 음원의 수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러한 고음질 음원 서비스를 무손실로 제대로 감상하려면 현재 블루투스 기반의 무선 이어폰에서는 블루투스의 대역폭 한계와 코덱 때문에 제대로 감상하는 것에 한계가 있었고, 스마트폰에 외장 DAC를 연결하고 유선 이어폰이나 유선 헤드폰을 연결하여 감상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습니다. 무선이어폰

새로운 Fiio의 커케 LC-RE Pro 2022 [내부링크]

스마트폰으로 음악을 감상하는 가장 쉬운 방법은 멜론이나 벅스 같은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를 블루투스 이어폰으로 간편하게 듣는 것입니다. 하지만, 24bit 이상의 고음질 무손실 음원을 감상하시는 분들께서는 블루투스의 한계 때문에 DAC나 유선 이어폰이나 유선 헤드폰을 활용하시는 경우도 많습니다. 그런데 막상 유선 이어폰이나 헤드폰을 구입하여 음악을 감상하다 보면, 자연스럽게 현재 제품보다 좀 더 좋은 음질을 감상할 수 있는 방법이 무엇일지를 검색하기 시작하는데, 그중 한 가지 방법이 유선 이어폰이나 헤드폰의 케이블을 변경하는 것입니다. 소위 커케 (커스톰 케이블)라는 것이 이것인데, 커케의 정의는 쉽게는 유선 이어폰이나 헤드폰을 구입하였을 때 기본으로 제공되는 것 이외에 추가로 별도 구매하는 것이라고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물론 유선 이어폰이나 헤드폰의 브랜드에서 가격 때문에 3.5mm 케이블 이외에 4.4mm , XLR 밸런스드 케이블을 별도로 판매하고 있는 경우도 있지만, 중국과

하이파이맨 순다라 밀폐형 헤드폰 [내부링크]

하이파이맨은 비교적 최근에 설립된 중국 오디오 회사지만, 특유의 평판 자력형 기술을 지속적으로 발전시키면서 헤드폰 끝판왕 중에 하나인 서스바라로 많은 분들에게 선호되는 브랜드입니다. 서스바라와 같은 끝판왕 말고도 40~100만 원 사이의 가격대에 순다라, 최근의 Edition XS까지 높은 가성비들의 제품들을 출시해 오고 있습니다. 또한 밀폐형으로는 평판 자력이 아닌 다이나믹 드라이버 방식으로 소니의 오래된 헤드폰의 디자인을 복각한 R-10 시리즈로 특유의 울림 좋은 소리를 제공해 왔습니다. 특히 순다라의 경우 40만 원대의 가격대가 믿기지 않은 수준 높은 사운드로 케이블 정도만 보강해 주면, 해당 가격대의 오픈형 헤드폰에서는 경쟁자를 찼아볼 수 없는 제품이었습니다. (관련 리뷰 참조) 그런데 지난 7월27일 하이파이맨에서는 순다라의 평판 자력 기술이 탑재된 오픈형이 아닌 밀폐형 헤드폰인 "순다라 밀폐형"을 출시하였습니다. 1. 디자인 순다라 밀폐형의 디자인은 밀폐된 이어컵을 제외하

맥을 위한 USB-C 와 선더볼트 모니터 [내부링크]

하나의 포트로 충전과 디스플레이를 겸하면서, USB-C 포트나 선더볼트 단자를 확장할 수 있는 모니터는 선더볼트 모니터는 맥을 사용하는 사용자분들에게 책상을 깨끗이 정리할 수 있는 필수품 중 하나입니다. 원도우 노트북 중에서도 최신 인텔 칩셋들이 선더볼트 4를 탑재하고 있어. 노트북과 모니터를 선더볼트로 연결하면 전원 충전, 모니터 연결, 데이터 포트 확장까지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애플은 Pro Display XDR이라는 모니터와 최근의 Studio Display를 통해 이러한 선더볼트 모니터의 장점을 선보였으나, 너무 비싼 가격으로 일반인들이 사용하기에는 한계가 있었습니다. 최근에 "9to5Mac"이라는 매체에서 추천한 제품들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LG 32UL950-W 32인치 4K 모니터 모니터로 얇은 베젤에 2개의 선더볼트 3 단자와 2개의 USB-C 3.0 단자, 1개의 USB-C (PD90W)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주요 스펙은 다음과 같습니다.

HiFi 디지털 음악을 위한 DAP 일체형 헤드폰 앰프, Shanling EM7 [내부링크]

디지털 음악을 감상하는 방법은 크게 MP3나 Flac 같은 파일 형태로 듣거나 멜론, 벅스, Tidal, 애플 뮤직 같은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스마트폰과 블루투스 이어폰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디지털 음악을 감상하시는 분들도 많지만, 고음질 음악의 감상을 선호하시는 "오디오 파일"분들은 DAC, DAP , 헤드폰 앰프들을 유선 이어폰이나 헤드폰을 활용하여 감상하시는 분들도 있습니다. 휴대용 DAC나 DAP를 감상하시다 보면, 휴대용의 한계로 인해 거치형 제품들로 넘어오게 되는데, 작년부터 거치형 "DAC+헤드폰 앰프"에 안드로이드 기반의 DAP가 All in one으로 포함된 제품들이 Astell & Kern이나 Shanling 등에서 출시해 오고 있습니다. 사실 HiFi 오디오 업계에서는 대형 디스플레이가 탑재된 제품들은 대부분 네트워크 오디오 플레이어나 뮤직 서버의 역할을 하게 되는 경우가 많았고, 대부분 헤드폰의 활용을 전제로 하기보다는 스피커와 앰프의

가성비 블루투스 리시버, 아스텔앤컨 AK XB10 [내부링크]

퇴근후 거실 소파에 앉아 TV를 보는 것도 최근에는 저녁 늦게는 아파트의 경우 층간 소음 때문에 조심 스러운 상황이 되었습니다. 다행히 최근의 스마트 TV들은 대부분 블루투스 연결을 지원하여, 블루투스 이어폰이나 헤드폰을 연결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그런데 이미 음질이 좋은 유선이어폰이나 임피던스가 낮은 유선 헤드폰을 보유하고 계신 경우에는 블루투스 이어폰이나 헤드폰을 추가로 구입하지 않고도, 블루투스로 TV와 연결하여 영상이나 음악을 감상할수 있게 할수 있는 방법이 블루투스 앰프를 활용하는 방법입니다. 이미 소개해 드렸던 FIIO의 BTR7이나 80만원이 넘는 IfI의 Gryphon처럼 휴대용 블루투스 앰프도 프리미엄화 하고 있는 것이 최근 추세입니다. 이런 제품들의 경우는 고음질 음원을 블루투스에서 지원하기 위해 LDAC을 지원하는데, LDAC은 딜레이가 길고, 잦은 끊김현상과 대부분의 스마트TV에서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좀더 저렴한 제품을 찼아보고 있습니다. TV가 지원하는 블루

1DD+4BA 하이브리드 이어폰, Fiio FH7S [내부링크]

중국 차이파이 오디오 브랜드 중 활발하게 DAP, DAC , 이어폰 등을 다양하게 출시하고 있는 Fiio는 최근에는 가성비뿐만 아니라, DAP와 이어폰 부문에서 일본을 중심으로 높은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그동안 꾸준히 신제품을 출시해온 DAP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이어폰 부분에서도 DD 전용, BA 전용, DD+ BA 하이브리드 제품 등 다양한 제품들을 출시하고 있고, 하이브리드 라인업의 FH9 , DD 전용라인업의 FD7은 Hivi의 프리미엄 이어폰 부분 추천에서 젠하이저의 IE900이나 IE600 그리고 오디지의 Euclid처럼 유명한 제품들과 같이 추천되고 있습니다. 8월의 마지막 날에 하이브리드 라인업의 최신 제품으로 Fiio FH7S를 출시하였습니다. 1.Design Fiio의 FH7S의 전반적인 디자인은 기존 하이브리드 라인업의 기함인 FH9의 형상을 계승하여 좀 더 미래 지향적인 각진 모습이 강조되었고 공간감을 위한 특유의 세미 오픈형 디자인입니다. FH7S 디자인 2.

가성비 태블릿pc , 레노버 P11 2세대 출시 [내부링크]

유튜브나 넷플릭스 같은 OTT를 간편하게 볼 때는 노트북 보다는 아이패드와 같은 태블릿PC를 많이 사용하게 됩니다. 동영상 시청이나 간단한 웹브라우징 정도라면 최소 40만 원대의 아이패드 보다는 많은 분들이 10~20만 원대의 안드로이드 태블릿PC를 선호하시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제는 환율이 너무 올라 어렵지만, 최근 몇 년 동안 10만 원 이하는 프라임 데이 할인을 이용한 아마존의 Fire 10 태블릿PC가 인기가 있었고, 20만 원 이하에서는 Fire 10 태블릿PC의 단점인 CPU와 메모리 성능을 해소할 수 있는 레노버의 P11이 많은 분들이 선호하시는 제품입니다. 9월 1일 레노버는 P11의 2세대 제품을 출시하여 기존 제품 대비 어떤 변화가 있는지 확인해 보고자 합니다. 1.Design 레노버 P11 2세대는 전작 1세와 같은 디자인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후면 약 1/4 정도를 투톤으로 처리한 색상 처리도 유사합니다. 후면 카메라의 데코 형태는 전작이 작은 원형인데 반해,

가성비 입문용 DAP , Fiio M11S 출시 [내부링크]

Fiio는 이전에 소개해 드렸던 Shanling 과 함께 중국산 고급형 차이 파이 DAP를 대표하는 브랜드입니다. 사실 고급형 MP3 Player인 DAP는 우리나라의 아이리버의 프리미엄 브랜드인 "아스텔 앤 컨"에서 새롭게 제품을 정의하고 10년 넘게 신제품을 출시해 전 세계에서 많은 사랑을 받고 있지만, 최근 2~3년 동안 중국의 Fiio와 Shanling 과 같은 업체들에서 가성비가 매우 뛰어난 제품들을 출시해 오고 있습니다. Fiio는 입문기로부터 시작해 가장 프리미엄 제품은 M17까지 다양한 DAP 제품들을 출시하고 있는데, 9월 8일 입문기 가격대에 해당하는 Fiio M11의 후속작으로 3년 반 만에 신제품으로 Fiio M11S를 출시하여, 디자인과 주요 기능을 살펴보고자 합니다. 1.Design 5인치 720P 화면을 탑재한 Fiio M11S는 Fiio DAP의 특유의 직사각형 디자인에 벌집 모양의 6각형 버튼 채택 등 Fiio DAP 디자인 헤리티지를 계승하였습니다.

포칼의 헤드폰 끝판왕, 2022 New 유토피아 , 뉴토피아 [내부링크]

유선 헤드폰의 끝판왕 중에서 젠하이저의 HD800 시리즈와 함께 많이 언급되는 제품은 2016년에 첫 출시된 프랑스 포칼의 유토피아 입니다. 포칼은 사실 스피커로 더 유명하지만, 포칼의 헤드폰 라인업 중에서 프리미엄 라인업 제품으로 특유의 섬세하고 공간감이 좋은 소리를 들려줍니다. 헤드 파이에 입문하신 분들은 꼭 한 번은 들어본다는 명기인데, 최근 포칼에서 이 유토피아의 신제품인 "2022 New 유토피아" 제품을 출시하였습니다. 1.Design 전체적인 외관의 디자인은 큰 차이가 없으나, 이어 컵의 벌집 모양의 허니콤 패턴과 블랙 크롬링 디테일이 추가되었고 이어컵 중앙 부문에도 레드&블랙의 더블 그릴 디자인이 적용되었습니다. 2022 New 유토피아 의 요크 부문은 재활용 탄소가 적용되어 사진에서 보면 마치 얼룩이 진 것 같은 모양을 보여 줍니다. 2022 New Utopia 디자인 구형 유토피아 디자인 2. 주요 스펙 포칼에서는 2022 New 유토피아의 주요 특징을 전작 대비

DAP 끝판왕 , 아스텔앤컨 SP3000 [내부링크]

우리나라의 아스텔앤컨은 스마트폰이 대중화되면서 없어진 MP3 Player를 Hifi 오디오로 변신시킨 DAP라는 제품군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고가의 가격 정책 때문에 국내에서는 많이 대중화되지는 못했지만, 일본 등 해외에서 오히려 더 인기가 있는 브랜드입니다. 최근 아스텔앤컨에서는 프리미엄 DAP의 최신작인 SP3000을 발표하였고, 지난 주말에는 국내에서 청음회도 진행하였습니다. 이에 이번 신작의 주요 특징들을 살펴보고자 합니다. 1.Design 아스텔앤컨 SP3000은 5.46인치 Full HD 디스플레이가 탑재된 전형적인 DAP의 형태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번 아스텔앤컨 SP3000의 가장 큰 특징은 일반적인 스테인리스 스틸보다 더욱 단단하고 가공이 어려워 몇 배의 노력이 필요해 명품 시계에서만 일부 사용되었던 904L 스테인리스 스틸이 적용되어 고급감을 높였습니다. SP3000 이전 SP1000과 SP2000이 제품 내부에서 밖으로 빛이 퍼져나가는 산란을 표현했다면, 이번 S

새로운 휴대용 헤드폰 앰프의 강자, Fiio Q7 출시 [내부링크]

노트북을 이용하여 외부나 집에서 간단히 음악 감상이나, 프로용 음악 작업을 할 경우에 휴대용 헤드폰 앰프는 간단하게 노트북과 USB로 연결하여 노트북의 사운드 카드 출력과는 차원이 다른 사운드를 감상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이러한 제품군 중에도 배터리가 내장되어 좀 더 고 출력 헤드폰 구동이 가능한 프리미엄 제품들이 있는데 Chord의 MOJO2나 iFi Audio의 XDSD GRYPHON 같은 제품들이 가장 대표적인 제품입니다. 이번 9월 말 가성비가 매우 좋은 DAP와 휴대폰 앰프, 이어폰으로 유명한 Fiio에서 휴대용 헤드폰 앰프 제품 중에서 가장 프리미엄 제품인 Q7을 출시하였기에 자세한 내용을 살펴보고자 합니다. 1. Design 이번 Fiio의 Q7의 외관 디자인은 Fiio의 최고급형 DAP인 M17을 연상시키는 단단한 직사각형 외형입니다. 측면의 버튼들도 Fiio DAP들의 최신 디자인 아이덴티티인 벌집형 스위치 모양과 빗살 모양의 LED를 계승하고 있습니다. 전면의 커다

포칼 베티스 (Focal Bathys) 와 셀레스트 비교 청음기 [내부링크]

최근 출시된 포칼 배티스 (Focal Bathys)는 스피커와 유선 헤드폰의 강자 포칼이 무선 헤드폰 시장에서도 최고의 가격과 함께 최고의 음질을 제공하는 제품을 출시하였습니다. 10월 10일인 오늘이 하이마트의 출시 기념 할인 가격으로 구매할 수 있는 마지막 날이어서, 대학로의 이어폰 숍을 방문하여 포칼의 100만 원 가격대의 유선 헤드폰인 셀레스티와 비교 청음을 하였습니다. 1. 디자인 우선 전체적인 사이즈와 무게는 배티스가 작고 가벼웠습니다. 헤드폰의 장력은 셀레스티가 좀 더 편안하게 착용할 수 있었으나, 제가 머리가 큰 편인데 배티스의 착용도 불편하지는 않았습니다만, 이어 컵 안에서 귀가 약간 걸려 착용을 귀에 잘 맞추어 주면 어느 정도 걸리지 않고 청음이 가능하였습니다. 전반적인 외관 디자인은 셀레스티에 뒤지지 않을 만큼, 고급스러운 외장이었으나, 오른쪽 이어 컵의 하단부에 위치한 볼륨 조절 버튼 등 물리 버튼은 무광 플라스틱 재질인 것이 아쉬웠습니다. 셀레스티 와 배티스

CD플레이어 신제품, Shaning EC3 [내부링크]

음악 감상 시장이 최근에는 멜론, 벅스 같은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 시장으로 완전히 대체되었습니다. 이제는 MP3나 AAC 위주의 음악 스트리밍 시장이 좀 더 고음질 음원 감상을 희망하는 분들을 위해 무손실 음원 서비스를 지원하는 Tidal, Qobuz, Apple Music 등으로 확대되고 있습니다. 이렇게 음악 스트리밍 시장이 대세인 요즘에도 오래된 매체인 LP나 그동안 많이 모아온 CD를 여전히 활용하여 음악을 감사하시는 분들도 계시는데, 요즘 복고 붐으로 LP 플레이어는 신제품이 종종 출시되고 있으나, CD플레이어의 경우에는 HiFi 감상용으로는 일본을 중심으로 CD가 가능한 SACD 플레이어만 신제품이 주로 출시되는 상황입니다. 그런데 최근, 중국의 차이 파이 업체인 Shaning에서 EC3라는 CD플레이어를 출시하여 이 제품을 살펴보고자 합니다. 우선 Shanling은 이번에 처음으로 CD플레이어를 출시한 것이 아니라, 자신들의 제품 소개를 통해 지난 30년 동안 보급형에서

메르세데스 벤츠, 애플 뮤직 돌비애트모스 적용 [내부링크]

최근 1억 곡을 돌파한 애플 뮤직은 돌비애트모스를 적용한 공간 음향을 중요한 차별화 요소로 마케팅을 하고 있습니다. 기존의 가상 3차원 음향효과들은 영화 쪽에서 많이 사용되어 왔고, 음악 쪽에서는 기술 소개에만 그치고 본격적인 보급은 안되었는데, 애플은 가수, 음악 스튜디오 들과 협업하여, 음악 제작 단계에서 돌비애트모스 기술을 적용한 믹스를 제작하고, 이를 적극적으로 애플 뮤직과 에어팟에 적용하여 공간 음향이라는 단어로 마케팅하고 있습니다. 유럽 현지시간 10월 16일 메르세스 벤츠 본사에서는 한 가지 흥미 있는 홍보기사를 발표했는데,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메르세데스 벤츠는 차량에서 애플 뮤직의 돌비애트모스 공간 음향을 제공하는 첫 번째 비애플 디바이스가 되었다는 것입니다. 애플 뮤직 계정이 있는 고객은 스마트폰 없이 메르세데스 벤츠 차량의 카오디오 시스템에서 애플 뮤직에 로그인 하여 애플뮤직이 제공하는 돌비 애트모스 기반의 공간 음향 곡들을 감상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M2칩을 탑재한 아이패드 프로 출시 [내부링크]

애플은 현지시간 10월 18일 별도의 행사 없이 보도자료 배포를 통해 M2칩을 탑재한 아이패드 프로를 출시하였습니다. M2칩을 탑재한 신형 아이패드 프로는 기존과 동일한 디자인으로 11인치와 12.9인치 2모델로 출시되었으며, WIFI 전용과 WIFI+Cellurar 모델로 저장용량은 128, 256,512GB, 1TB, 2TB에서 선택이 가능합니다. 색상은 스페이스 그레이와 실버 2가지 색상 중 선택이 가능합니다. M2 탑재 아이패드 프로 혁신적인 성능의 M2 탑재 전작에 이어 맥북에 탑재된 M2칩셋을 아이패드 프로에 탑재하였습니다. 애플은 M1 대비 CPU는 15%, GPU는 35% 향상되었다고 주장합니다. 사실 이 정도의 벤치마크 속도는 동영상 편집 시 렌더링을 걸어놓았을 경우 렌더링이 완료되는 시간이 약간 줄어드는 수준으로 예상되는데 M2의 경우 통합 메모리 대역폭이 100GB/s로 M1 대비 50% 향상되었기 때문에 메모리와 SSD의 성능이 잘 조합이 된다면, CPU나 GP

오래된 TV를 스마트 TV로 변신, 애플TV4K 2022 출시 [내부링크]

현지시간 10월 18일 애플은 M2 칩이 탑재된 아이패드 프로 2종류와 아이패드의 가장 기본형 모델은 10세대 아이패드의 신제품을 별도의 행사 없이 보도자료를 통해 공개하였습니다. 이번 신제품 발표에는 10세대 아이패드, M2 칩이 탑재된 아이패드 프로와 함께 일반 TV에 스마트 TV 기능을 부여하는 "애플TV4K"도 신제품이 발표되었습니다. 이번 애플TV4K 2022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아이폰 14에 탑재된 A15 Bionic 칩 적용으로 더 빠른 성능과 보다 매끄러운 게임 플레이가 가능 전작에 적용된 Dolby Vision에 추가로 삼성과 아마존이 리딩하고 있는 HDR10+를 지원 터치 지원 클릭패드가 적용된 시리 리모컨, 충전은 USB-C 포트 적용 2가지 SKU로 판매 : WI FI만 적용된 64GB 와 기가비트 이더넷과 와이파이가 적용된 128GB 애플TV 4K 2022 애플TV4K 2022 기가비트 이더넷 SKU 시네마급 홈 시어터 경험 애플이 강조하는 애플T

초소형 DAP , Shanling M0Pro , M1s 발표 [내부링크]

애플의 MP3 플레이어인 아이팟은 스마트폰이 보급되면서, 휴대용 디지털카메라와 함께 시장에서 사라진 제품입니다. 그런데 약 10년 전 국내의 MP3 플레이어 업체인 아이리버에서 무손실 디지털 음원인 FLAC, DSD 등을 감상할 수 있는 Digital Audio Player (DAP)라는 이름으로 출시하면서 프리미엄 MP3 플레이어 시장을 개척하였습니다. 최근에는 아이리버의 프리미엄 브랜드인 "아스텔 앤 컨" 뿐만 아니라 중국의 Fiio , Shanling 등에서 다양한 가격대의 DAP들을 출시되고 있는데 과거 애플의 아이팟 나노처럼 초소형 DAP는 시장에 제품이 많지 않고, 필립스나 Shanling이 지난 2016년에 출시했던 M1과 후속작으로 더 소형화된 M0 같은 제품들이 있었습니다. 지난 10월 20일 Shaling에서는 초소형 DAP인 M0와 M1의 후속작으로 M0Pro와 M1s를 발표하였는데, 아직 자세한 스펙은 공개되지 않아, 주요 내용을 먼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코로나 입원 시 미처 챙기지 못한 것 [내부링크]

지난 2년을 넘게 코로나에 걸리지 않고, 잘 버텨 왔는데, 결국은 코로나에 걸리게 되었습니다. 많은 분들이 자가 격기로 잘 이겨내시는데 저 같은 경우는 지난 11월 2일 확진을 받고 코로나가 폐렴으로 급속히 번지게 되어 급하게 1주일 넘게 경기도의 코로나 지정 병원 중 한 군데에 입원하게 되었습니다. 첫 3일은 정신이 멍한 상태에서 코로나 치료를 계속 받다 보니, 잠을 자는 것인지 멍한 상태를 유지했습니다. 문제점 그런데 4일째가 되니 몸이 좀 정상적이면서 몇 가지 불편한 점이 있었는데 그중 가장 큰 것은 소음이었습니다. 제가 입원하고 있는 병실은 6인실에 창문 쪽에 아래와 같은 음압 장치가 24시간 동안 동작하고 총 3명이 입원하는 구조입니다. 그런데 이 음압 장치의 소리가 잠을 자기에는 만만치 않은 소음이 납니다. 1차 시도 처음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동원된 것은 제 스마트폰과 같이 가져갔던 애플의 에어팟 프로입니다. 커널형 이어폰이고, 액티브 노이즈 캔슬이 어느 정도 되는

aptX Adaptive 를 지원하는 프로젝트 리파인 T18R 리뷰 [내부링크]

이번에 운이 좋게도 0디비에서 진행한 프로젝트 리파인의 두 번째 프로젝트인 T18R의 체험단에 선정되어, 그동안 궁금했던 aptX Adaptive의 사운드를 감상해 볼 수 있는 좋은 기회를 얻었습니다. 이미 알려진 것처럼 T18R은 QCY가 올해 출시한 T18에 프로젝트 리파인에서 다이나믹 드라이버를 교체하고 사운드 튜닝을 진행했으며 아이폰용 앱을 지원하는 장점이 있는 제품입니다. 1. 설정 - 사용 환경 : 아이폰 Xs , iOS 16.1.1 - 블루투스 페어링 : T18R의 뚜껑을 열고 우측의 버튼을 4초 이상 누르면 쉽게 아이폰과 페어링이 되었습니다. - 앱 Download : T18R 용 앱은 애플의 앱스토어에서 "Project Refine Control"로 검색하시면 하기와 같이 Download 받을 수 있습니다. T18R 아이폰 앱 - F/W Upgrade : "Project Refine Control"을 실행 후, 하기 3번째 메인 메뉴에서 우측 상단부의 햄버거 메뉴를

젠하이저 IE300 커스텀 케이블 사용 후기, 줄질의 시작 [내부링크]

지난 불프 Early Sale 시 젠하이저 코리아를 통해 IE300을 30% 할인해서 구입하였습니다. 사실 IE300의 경우에는 이번 여름부터 가격이 많이 내려가서, 30% 할인 가격으로 종종 살수 있었는데, 그동안 관심을 가지고 있다고 이번에 구입을 하게 되었습니다. IE300은 기본 사양으로 3.5mm 일반 케이블만 기본 제공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제가 주로 사용하고 있는 ifi ZEN DAC V2 + ifi ZEN CAN Signature은 4.4mm 밸런스드 출력을 사용하고 있어 4.4mm 케이블이 필요하게 되었습니다. 그동안 헤드폰의 커스텀 케이블을 여러 번 사용해 보았는데, 제가 가지고 있는 일반 MMCX 이어폰 케이블은 IE300에는 맞지를 않아, 하기와 같이 몇 가지 후보를 검토해 보았습니다. IE300을 위한 4.4mm 밸런스드 케이블 후보 젠하이저 코리아의 정품 : 정가가 18만 9천 원으로 일반적인 커스텀 케이블 가격을 감안하면, 중가 이상인데, 동급의 커케대비

BMW F10 후기형 애플 뮤직 음질 향상 방법 [내부링크]

BMW의 5 시리 중 2016년 이전 모델은 F10이라는 기본 플랫폼을 사용하고 있고, 오디오 시스템은 전기형과 달리 NBT라는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 NBT 시스템은 2016년 이후 출시 차량들에는 있는 애플 카플레이나 안드로이드 오토 지원은 불가능합니다. 최근에는 음악 감상을 애플 뮤직을 통해 CD 음질 수준의 이상의 무손실 음원을 주로 감상하는데, BMW의 경우 LDAC이나 aptx Adaptive 같은 고음질 블루투스 코덱은 지원하지 않고, 해상도가 낮은 AAC 코덱을 만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애플 뮤직의 무손실 음원이나 고해상도 무손실 음원의 음악들을 BMW의 블루투스로 연결하게 되면, MP3 수준의 낮은 해상도와 손실 압축된 사운드로만 듣게 되는 단점이 있습니다. 이는 최신 제품에 적용되고 있는 에어플레이를 무선으로 연결시에도 같은 문제점이 있습니다.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으로는 스마트폰과 BMW F10 차량과의 연결을 블루투스가 아닌 유선으로

ifi 입문용 꼬다리 DAC, Go Link 출시 [내부링크]

영국의 ifi는 ZEN 시리즈로 유명한 가성비 높은 다양한 DAC와 헤드폰 앰프를 출시하는 업체입니다. 이 업체는 다양한 제품을 쏟아내는 것으로도 유명한데, 올해 초에도 프리미엄 휴대용 DAC/앰프인 그리폰을 시작으로 기존 ZEN 시리즈의 염가형 모델인 ZEN AIR 시리즈를 출시하였고, 고급형 꼬다리 DAC인 Go Bar도 출시하였습니다. 그런데 이번에는 휴대용 시리즈인 Go 시리즈의 가장 입문형 꼬다리 DAC로 "Go Link"를 발표하여, 주요 내용을 살펴보고자 합니다. 1. 디자인 ifi Go Link는 전형적인 보급형 꼬다리 DAC의 디자인인 USB-C 단자 일체형입니다. 재료비를 최소화하기 위해 케이블 분리형이 아닌 일체형 디자인을 채택하였습니다. 헤드폰 단자도 3.5mm 한 개만 탑재하고 있고, 재생 중인 음원의 상태를 표시하는 하나의 LED를 탑재하고 있습니다. 사이즈는 135 X 12.6 X 7.6mm로 꼬다리 DAC의 평균적인 사이즈이고 케이블 길이는 60mm, 전

게임, 영화, 음악 감상을 위한 DAC , iFi Uno 출시 [내부링크]

최근, 블루투스 보다 좀 더 고음질의 음악 감상을 희망하시는 분들 위주로 꼬다리형이나 거치형 DAC (Digital To Analog Conver)에 관심을 가지는 분들이 계십니다. 기존의 DAC들은 많은 업체들이 주로 음악 감상 목적에 최적화된 제품들을 출시하였었고, PC용 사운드카드 회사로 유명한 크리에이티브의 사운드 블래스터 G6, G5 같은 제품들이 게임에 최적화된 DAC로서 시장에 선보여 왔습니다. 그런데 이번에 영국의 디지털 하이파이 전문 업체인 iFi에서 기존의 음악 전용 제품에 추가로 게임, 영화, 음악 감상을 위한 통합형 DAC 제품인 UNO가 출시되어 주요 기능을 살펴보고자 합니다. UNO는 스페인어와 이태리어로 숫자 1을 의미하는 것인데, 앞으로 iFi가 게임, 영화, 음악 감상을 통합하는 DAC를 시리즈로 출시할 수도 있다는 상상을 해 봅니다. 1.Design iFi Uno는 손바닥에 올라갈 정도의 작은 사이즈로 크기는 88 X 81 X 26 mm, 무게는 92

AK4497EX를 탑재한 샨링 H7 휴대용 DAC 출시 [내부링크]

올해는 PC나 스마트폰에 쉽게 연결해서 고음질 음원을 감상할 수 있는 DAC (Digital to Analog Converter)가 다양한 형태로 출시된 한 해였습니다. DAC는 현재 시중에 출시되고 있는 제품의 형태는 크게 3가지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1. 꼬다리형 DAC : 스마트폰과 PC의 USB-C 단자에 쉽게 연결할 수 있는 꼬다리의 조그마한 직사각형으로 휴대가 가능하면서 내장 배터리가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대표적인 제품으로는 iFi의 Go link , 퀘스타일의 M12 같은 제품이 있습니다. 2. 휴대용 DAC : 꼬다리형 DAC에 배터리가 내장된 형태로 일반적으로는 꼬다리형 DAC보다 사이즈가 크고, 스마트폰만 한 사이즈의 제품들이 있습니다. 대표적인 제품으로는 Chord의 모조2, 휴고2, ifi의 디아블로, 그리폰등이 있습니다. 올해에는 차이 파이의 강자인 Fiio에서 ESS의 최고칩인 ES9038 Pro를 탑재한 Q7을 출시하여 많은 인기를 얻었고, 금번 소개하는

또 하나의 음질 끝판왕 무선이어폰, Final ZE8000 [내부링크]

올 한 해 무선 이어폰 시장에는 수많은 제품들이 쏟아졌습니다. 시장에는 촘촘한 가격대의 수많은 신제품들이 출시되었는데, 올 한 해 무선 이어폰의 주요 제품군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초 가성비 : QCY T20과 같이 2~3만 원대의 수많은 제품들이 한 달에도 몇 종류씩 신제품이 쏟아져 나왔습니다. 10만 원대 : Anker의 A40처럼 높은 스펙의 가성비 제품들과 삼성의 갤럭시 버즈 2, 버즈 라이브 같은 제품들이 할인을 많이 하면서 서로 경쟁하고 있습니다. 30만 원대 이상 : 소니의 WF-1000XM4 , 드비알레 제미니, 노블오디오의 포커스 프로, B&W의 PI7처럼 음질이 강화된 무선이어폰 제품들이 쏟아졌으나, 대역폭이 적은 블루투스 코덱으로 인해 유선 이어폰의 고음질 감상을 아직 따라가기에는 한계가 있었습니다. 그런데, 퀄컴의 aptX adaptive 코덱을 적용한 무선이어폰들이 22년 하반기부터 하나둘씩 출시되고 있는데, 이들 제품의 특징은 기존 무선이어폰의 사이즈 때문에

[2022 마이 블로그 리포트] 올해 활동 데이터로 알아보는 2022 나의 블로그 리듬 [내부링크]

열린 마음으로 새로운 도전의 연속 2022 마이 블로그 리포트 2022년 올해 당신의 블로그 리듬을 알아볼 시간! COME ON! campaign.naver.com

한국 사람들은 음악 감상을 어떻게 하고 있을까? [내부링크]

새해 들어 "더 나은 음악 감상을 어떻게 하면 좋을까?" 하는 생각으로 새로운 연간 프로젝트를 시작하고자 합니다. 개인적으로는 PC와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외장 DAC를 사용하여 PC에 저장된 고음질 음원이나 애플 뮤직이나 Tidal 같은 고음질 음원을 스트리밍 하는 서비스를 활용하고 있습니다만, 좀 더 많은 분들에게 도움이 되고자 "실제 한국 사람들은 음악 감상을 어떻게 하고 있을까?"라는 질문에서부터 시작해 보고자 합니다. 문화체육관광부 와 한국 콘텐츠진흥원에서 발간하는 "2021 음악 산업백서"를 통해 한국 사람들은 어떤 기기와 어떤 방법을 통해 음악 감상을 하고 있는지부터 살펴보고자 합니다. 한국 사람들은 어떤 방법으로 음악 감상을 하는가? 첫 번째 질문은 "음악 감상을 어떤 방법으로 하는가?"입니다. 음악 감상 시 이용수단으로 한국 사람들은 "온라인 동영상 사이트" (81%)를 가장 많이 이용하였고, 그 뒤로 "음원 스트리밍" (63.2%), 텔레비전 음악 프로그램(39.8%

유튜브뮤직 과 멜론, 국내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 1위 접전 [내부링크]

지난 포스팅에서 한국 사람들은 음악을 감상하는데 유튜브나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를 이용하여 스마트폰의 자체 스피커나 무선 이어폰이나 헤드폰을 통해 감상하시는 비중이 가장 높은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그럼 많이 사용하시는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는 어떤 것인지 확인해 보고자 합니다. 한국 사람들은 어떤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를 많이 사용하고 있는가? 국내를 대표하는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 혹은 음악 구독 서비스는 멜론과 벅스 같은 서비스가 많은 분들에게 오랜 기간 동안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앱/리테일 분석 서비스인 "와이즈앱 리테일 굿즈"가 작년 11월 발표한 22년 10월 기준 한국인 만 10세 이상 안드로이드 앱 사용자 추정 기준으로 "한국인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음악 스트리밍 앱"은 유튜브뮤직이었습니다. 유튜브뮤직은 22년 10월 사용자 459만 명으로 처음으로 기존의 부동의 1위 서비스인 멜론의 454만 명을 넘어서 1위로 등극하였습니다. 유튜브뮤직과 멜론에 이어 3위는 KT의 손자회

유튜브뮤직 고음질 설정 방법 [내부링크]

국내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 중에서 최근 시장 점유율이 1위로 가장 많은 분들이 사용하시는 서비스는 지난 10월 기준으로 유튜브뮤직 이었습니다. 그럼 많이 사용하시는 유튜브뮤직으로 음악을 감상하실 때 좀 더 좋은 음질로 감상하실 수 있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3년 1월 기준으로 유튜브뮤직은 무손실 음원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고 있으며, 아래와 같은 총 3가지의 음질 설정이 가능합니다. 높게 : AAC 256kbps 보통 : AAC 128kbps 낮게 : AAC 48Kbps 유튜브 뮤직은 아직까지 FLAC등 무손실 음원을 지원하고 있지 않습니다. 유튜브뮤직앱에서 고음질 설정 방법 유튜브뮤직앱에서 고음질을 설정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유튜브뮤직앱을 실행시키면 아래 맨 좌측 화면과 같은 유튜브뮤직앱의 홈 화면이 나옵니다. 홈 화면의 우측 상단에 보시면 "계정을 설정" 할 수 버튼이 있는데 본인의 계정 명의 영어 이니셜이나 한글 이니셜로 표기됩니다. 2. 계정 설정 버튼을

멜론 고음질 설정 방법 [내부링크]

유튜브뮤직에 이어 토종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 중에서 가장 많은 분들이 이용하시는 "멜론"의 고음질 설정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3년 1월 기준으로 멜론은 오프라인 재생이 되지 않는 무제한 듣기 요금제는 크게 2가지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손실 압축 방식의 일반적인 무제한 듣기는 월 7,900원의 "스트리밍 클럽"이라는 요금제가 있고, 16bit/44Khz 이상의 FLAC 음원을 무제한 듣는 "Hi-Fi 스트리밍 클럽"은 월 12,000원입니다. 멜론 스트리밍 클럽의 음질 종류 손실 압축 방식의 멜론 스트리밍 클럽은 아해와 같이 4가지 음질로 나누어져 있으며 가장 고음질은 AAC 320Kbps입니다. AAC+ AAC 128K MP3 320K AAC 320K 멜론 Hi-Fi 스트리밍 클럽의 음질 종류 멜론 Hi-Fi 스트리밍 클럽의 음질은 애플 뮤직처럼, 무손실 음원, 고해상도 무손실 음원처럼 나누어져 있지 않고, 고음질 음원을 WI FI 환경에서만 감상할 것인지, WI FI와

지니 고음질 설정 방법 [내부링크]

유튜브뮤직, 멜론에 이어 국내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 중에서 3번째로 많은 분들이 이용하시는 "지니"의 고음질 설정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지니는 KT의 자회사인 "지니 뮤직"이 운영하는 서비스로, 스마트폰을 KT로 사용하시는 분들에게 할인 혜택이 있습니다. 23년 1월 기준으로 지니는 오프라인 재생이 되지 않는 무제한 듣기 요금제는 크게 2가지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손실 압축 방식의 일반적인 무제한 듣기는 월 7,400원의 "스마트 음악 감상"이라는 요금제가 있고, 16bit/44Khz 이상의 FLAC 음원을 무제한 듣는 "5G 고음질 전용관"은 월 14,000원입니다. 지니 스마트 음악 감상의 음질 종류 손실 압축 방식의 지니의 "스마트 음악 감상" 요금제는 아래와 같이 5가지 음질로 나누어져 있으며 가장 고음질은 AAC 320Kbps입니다. 멜론 보다 MP3 192K의 음질이 하나 더 있으나, 사실상 큰 의미는 없습니다. AAC+ AAC 128K MP3 192K MP3 3

노블 오디오 FoKus Mystique 출시 [내부링크]

스마트폰의 3.5mm 이어폰 단자가 없어지면서, 많은 분들이 블루투스 이어폰이나 블루투스 헤드폰을 사용하고 계십니다. 대중적으로 많이 알려진 애플의 에어팟 시리즈나 삼성의 갤럭시 버즈 시리즈, 그리고 QCY와 같은 초저가의 중국산 블루투스 이어폰뿐만 아니라 수많은 제조사들이 한 달에도 수십 종류의 블루투스 이어폰들을 시장에 쏟아 내고 있습니다. 이러한 대중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블루투스 이어폰들은 통화, 노이즈 캔슬링, 그리고 음악 감상의 목적으로 활용되는데 고음질 음악 감상이라는 것만을 놓고 보면, 같은 가격대의 유선 이어폰보다는 해상도, 볼륨, 저음과 고음의 부족 등 많은 문제가 있어 왔었습니다. 하지만, 1~2년 전부터 많은 브랜드에서 고음질 음악 감상을 위한 블루투스 이어폰들을 출시하기 시작하였으며 블루투스 대역폭의 한계로 인해 고음질 전송 자체가 불가능한 환경에서 LDAC이나 aptX adaptive처럼 무손실은 아니지만 24bit/96Khz까지의 고음질 음원을 이전보다는 2

2023년 음질 좋은 블루투스 이어폰 추천 [내부링크]

그동안 무선 블루투스 이어폰의 음질은 블루투스의 대역폭과 블루투스 이어폰의 물리적인 사이즈의 한계 때문에 유선 이어폰의 음질을 따라 잡기에는 한계가 있었습니다. 하지만, 작년부터 그동안의 블루투스 이어폰의 음질 한계를 뛰어넘고자 하는 다양한 시도들이 있었고, 이제는 이동 중이거나 야외에서 간편하게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를 좀 더 고음질로 감상하는 것이 가능해졌습니다. 제가 생각하는 음질 좋은 블루투스 이어폰의 선정 조건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음질 좋은 블루투스 이어폰의 선정 기준 1. 블루투스 버전 : V5.3이나 V5.2가 적용된 블루투스 이어폰들은 음질 자체에 영향을 준다기보다는 블루투스의 연결성이 좀 더 강화되어 끊김을 줄일 수 있다는 의미로 생각됩니다.. 하지만, 최신 버전의 블루투스도 만원 지하철과 같이 많은 사람들이 밀집해 있고, 블루투스 기기들이 많은 경우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2. 블루투스 코덱 기존 고음질 블루투스 코덱이라면 LDAC이 있었는데, 최대 전송속도가 990

애플뮤직 고음질 설정 방법 [내부링크]

국내 음악 스트리밍 시장에서 "애플뮤직"의 시장 점유율은 매우 미비합니다. 현재 시장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유튜브 뮤직, 멜론, 지니 같은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의 주력은 MP3 나 AAC처럼 손실 압축된 음원입니다. 물론, 멜론과 지니 같은 경우 별도의 고음질 서비스를 이용하려면, 월 서비스 요금을 더 내야 하고, 무손실 음원의 숫자가 생각보다 많지 않은 문제점이 있습니다. "애플뮤직"의 경우 2021년 6월 무손실 음원 서비스를 시작한 이후로, 현재 1억 곡 이상의 음원을 서비스 중인데, 대부분의 곡들이 16bit/44.1Khz의 CD 수준의 음원 서비스를 진행하고 있고, 24bit/48Khz 나 24bit/96Khz의 고음질 무손실 음원들도 생각보다 많은 곡들이 지원하고 있습니다. "애플뮤직"의 경우 사실 마케팅적인 주력 서비스는 돌비 애트모스를 탑재한 "공간 음향"이고 무손실 서비스에 대해서는 별도의 마케팅을 크게 하고 있지는 않고 있지만 일반 소비자에게는 별도의 추가 요금

타이달 고음질 설정 방법 [내부링크]

타이달은 현재 국내에서는 공식 서비스를 하고 있지 않습니다. 하지만 좀 시간이 지난 가요음원은 없는 경우가 있지만, 최신 가요 및 해외 음악의 경우에는 총 9천만곡 이상의 풍부한 음원과 MQA라는 고음질 전송방식을 채택해서 우수한 사운드를 들려주는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입니다. 국내에 공식으로 서비스 되고 있지 않지만, 수많은 오디오파일분들은 타이달의 풍부한 음원, 높은 음질과 더불어 일부 국가에서 환율때문에 한화로 2천원도 안되는 금액에 타이달의 최고 음질 요금제인 "HiFi Plus"를 이용할수 있었서 많은 관심을 가지고 VPN을 활용하여 직접 가입하시거나 , 소위 타이달 아르헨티나 버스를 이용하셔서 타이달의 패밀리 요금제를 공유 하시기도 하셨읍니다. 현재는 VPN을 이용한 타이달 아르헨티나 이용은 국내 신용카드로는 대부분 결재가 막혀 있는 상황이고 , VPN으로 미국으로 접속하면 국내 신용카드를 직접 등록하는 것은 안되지만, Paypal에 국내신용카드를 등록하면 가능합니다. 타이

23년 블루투스 헤드폰 추천 [내부링크]

스마트폰으로 좀 더 좋은 음질을 감상하는 방법으로 가장 손쉬운 방법은 이전에 소개해 드렸던 많이 사용하고 계시는 블루투스 이어폰을 좀 더 음질 좋은 제품으로 변경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블루투스 이어폰의 경우 사람의 귀에 편안한 착용감을 위해서는 지속적으로 무게와 크기가 줄어들고 있어, 10mm 이내의 다이나믹 드라이버나 음질 향상을 위해 다이나믹 드라이버에 BA 드라이버나 정전형 드라이버를 추가하는 경우에도 2개 이상의 BA 드라이버나 정전형 드라이버를 추가하는 것은 현재로서는 물리적인 한계가 있습니다. 한 가지 더 대부분의 블루투스 이어폰이 ANC(액티브 노이즈 캔슬링) 기능을 위해 귀에 쏙 넣은 커널형 타입인데, 이 커널형 타입의 경우 밀폐된 상태로 장시간 착용하게 되면 사용자에 따라 귀에 염증이 생기는 경우도 있습니다. 커널형 블루투스 이어폰을 불편하게 느끼시고, 블루투스 이어폰의 무선의 이점을 살리면서 좀 더 좋은 사운드를 감상할 수 있는 방법이 "블루투스 헤드폰"을 사용하

아이폰 고음질 음악 감상 시 고려 사항 [내부링크]

그동안 아이폰으로 고음질 음악을 감상할 시 국내의 Top3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인 유튜브 뮤직, 멜론, 지니에서 고음질 설정을 하는 방법과 무손실 음원 스트리밍 서비스를 기본으로 하고 있는 해외 음원 스트리밍 서비스인 타이 달과 애플 뮤직에서 고음질 음악을 감상할 수 있는 방법을 살펴보았습니다. 이번에는 아이폰에서 고음질 음악을 감상 시 고려해야 될 사항을 전체적으로 리스트 업해 보고, 향후 하나씩 고음질 음악 감상 시 고려 사항을 점검해 보고자 합니다. 우선 아이폰에서 고음질 음악 감상을 위해서는 아이폰의 음악 출력이 가능한 가능한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아이폰으로 고음질 음악 감상 시 고려 사항 라이트닝 단자 애플의 충전과 데이터 전송을 위한 기본 단자입니다. 애플은 라이트닝 단자를 통한 오디오 출력은 최대 24bit/48Khz로 제한하고 있습니다. 애플과 Mfi 인증을 받은 호환 오디오 케이블이나 DAC 모두 24bit/48Khz의 제한 사항이 있습니다. 하지만, 애플의 카메

스마트폰으로 시작하는 오디오 [내부링크]

그동안 스마트폰에서 고음질 음악 감상을 하기 위해서, 국내에서 많이 사용하시는 뮤직 스트리밍 서비스에서 고음질을 설정하는 방법과 현재 국내에서 가성비 높게 무손실 음원이나 고음질 MQA 음원을 스트리밍 받을 수 있는 타이달 과 애플 뮤직에서 고음질 설정 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여러분들의 Feedback을 통해, 스마트폰을 통해 좀 더 좋은 음질의 음악을 감상하시는 분들을 위해 기존 오디오 시스템 대비 스마트폰으로 시작하는 음악 감상의 구성을 다시 한번 정리해 보고자 합니다. 전통적인 방식의 오디오 시스템 지난 수십 년간 집에서 감상하는 오디오 시스템은 크게 하기와 같이 3가지 핵심 요소로 스피커를 통해 음악을 감상해 왔습니다. 소스 기기 : LP 턴테이블, 카세트 덱 플레이어, CD 플레이어, FM 튜너, CD플레이어 등 음원의 기술 발전에 따라 다양한 매체에 저장된 음악을 Play 할 수 있는 다양한 기기들이 있습니다. 최근에는 PC와 연결할 수 있는 DAC나 네트워크 오디오 플레

스마트폰으로 시작하는 오디오 관련 용어 [내부링크]

오디오 관련 전문 용어들이 많은데, 익숙하지 않은 경우 제품의 선택이나 관련 커뮤니티에서 정보를 얻는데 불편함이 있어 최소한의 정보만을 정리해 보고자 합니다. 오디오 용어는 정량적으로 측정 가능한 음질 부문과 숫자로 표현하는 데 한계가 있는 음색 부문으로 크게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1. 오디오 음질 해상도 (Resolution) 일반적으로 TV에서 이야기하는 해상도는 HD, 4K와 같이 하나의 화면에서 가로와 세로축으로 얼마나 많은 정보를 넣을 수 있느냐 하는 것입니다. 오디오에서의 해상도는 가로축은 1초에 얼마나 빠르게 정보를 담을 수 있는지를 의미하는 샘플링 주파수로 음의 높이를 나타나게 됩니다. 예를 들면 CD 음질에서 44.1khz란 1초에 44,100번을 아날로그 파형을 샘플링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가로축은 음의 강약을 얼마나 많은 정보로 표현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bit로 나타납니다. CD 음질에서 16bit란 2^16 인 65,536개로 음의 강약을 표현할 수

23년 DAC 추천 [내부링크]

CD나 LP와 같은 물리적 매체를 이용하여 음악을 감상하는 시대에서 음원 파일을 다운로드하거나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나 유튜브를 활용하여 음악을 감상하는 시대로 변경되었습니다. PC나 스마트폰에서의 음악 감상하는 비중이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는데, PC나 스마트폰에 사운드 카드의 역할을 하는 외장 DAC (Digital to Analog Conver)를 연결해 주는 것만으로도 음질과 음색 모두 비약적인 향상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외장 DAC의 종류 거치형 : 전통적인 HiFi 오디오의 단품 형태이거나, PC와 같이 책상에서 사용할 수 있는 형태로 전원은 AC 전원을 직접 공급받는 형태와 DC 어댑터를 통해 공급받는 2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전원 공급과 가장 고성능의 DAC 제품 형태입니다. 시중에는 DAC 단품 제품과 헤드폰 앰프가 복합된 제품이 판매되고 있습니다. 배터리 내장형 휴대용 : 노트북이나 스마트폰에 연결하여 이동 중이나 외부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스마트폰 블루투스 고음질 감상 [내부링크]

스마트폰으로 오디오를 감상할 수 있는 가장 간단한 방법은 스마트폰의 3.5mm 단자에 유선 이어폰을 연결하는 것이었습니다. 하지만 아이폰을 시작으로 스마트폰의 3.5mm 단자가 없어지게 된 현재에는 블루투스 이어폰이나 블루투스 헤드폰을 무선으로 연결하는 것이 가장 간단한 방법이 되었습니다. 블루투스는 대역폭의 한계로 인해 CD 음질 이상의 원음을 손실 없이 전송하는 것은 현재 불가능하지만, LDAC이나 aptX Adaptive 같은 코덱을 사용하면 유선보다는 못하지만, 근접한 고음질 사운드를 감상하실 수 있습니다. 스마트폰의 블루투스를 사용함에 있어서 몇 가지 고려할 사항들을 살펴보겠습니다. 1. 블루투스 버전 현재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블루투스 기기 중 가장 최신 버전은 블루투스 V5.3 제품입니다. 하지만 블루투스의 오디오적인 측면에서 보면, 블루투스 기기를 스마트폰과 연결하기 위한 페어링 기능은 V4.0부터 적용되었으며, 5.0 이후의 기기들은 끊김을 방지하고 멀티 페어링,

우드 드라이버가 탑재된 JVC HA-FW1000T 사용 후기 [내부링크]

Drop.com에서는 JVC의 우드 드라이버 이어폰들을 간간이 판매해 왔는데, 올해 초 우드 드라이버가 탑재된 무선 이어폰인 HA-FW1000T도 $149에 할인해서 판매하였습니다. 저도 2월 2일 구매한 제품을 한 달 넘게 배송이 걸려 받아 사용해 본 후기를 공유드립니다. JVC Wood 시리즈 컨셉 JVC는 나무로 만들어진 악기의 아름답고 자연스러운 사운드를 감상해 보자는 컨셉으로 다이나믹 드라이버의 돔에 나무를 적용한 이어폰과 헤드폰 라인업입니다. 2008년부터 유선 이어폰, 유선 헤드폰 등 다양한 제품들을 출시해 왔고 2018년에 출시된 우드 시리즈 10주년 기념으로 출시된 HA-FW10000은 국내에도 1DD 유선 이어폰 끝판왕 중 하나로 알려진 제품입니다. HA-FW1000T는 우드 시리즈의 최초 무선 블루투스 이어폰으로 HA-FW10000에 탑재되었던 11mm 우드 다이나믹 드라이버가 탑재된 고음질에 특화된 제품입니다. JVC 우드 시리즈 JVC HA-FW1000T 첫인

스마트폰 OTG젠더 추천 [내부링크]

스마트폰으로 고음질 오디오를 감상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외장 DAC를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스마트폰과 외장 DAC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OTG젠더가 필요하며, DAC의 입력은 일반적인 거치형 DAC들은 USB-B, 휴대용이나 꼬다리형 DAC들은 대부분 USB-C 포트를 사용하나, 일부 구형들은 USB-A 포트가 장착되어 있습니다. OTG젠더의 형태 라이트닝 포트나 USB-C에 연결 가능한 OTG젠더는 크게 다음과 같은 종류가 있습니다. 제조사 정품 앞서 소개해 드린 애플의 정품 “Lighting-USB 카메라 어댑터” 2종류가 대표적인 제품입니다. 삼성에서도 USB-C OTG 젠더를 판매 중입니다. 제가 사용 경험상으로는 호환성이나 노이즈 측면에서 가장 안정적인 제품들입니다. 최근 스마트폰들은 라이트닝 포트나 USB-C 포트의 전류 출력 제한이 걸려 있는 경우가 많아 배터리나 별도 전원공급을 받지 않고 스마트폰의 배터리를 사용하는 꼬다리 DAC의 경우에는 제품 연결 자체가 되지 않는

10만 원대 유선이어폰 추천 [내부링크]

스마트폰 번들 이어폰이나 블루투스 이어폰을 사용하다가 한 단계 좋은 사운드를 감상하기 위해 첫 번째로 고민해 보는 가격대는 10만원대 의 유선 이어폰인 것 같습니다. 10만원대에는 중국산 차이 파이 제품들이 정말 수많이 쏟아지고 있는데, 국내 유튜브의 리뷰도 공동구매 형태나 청음 숍에서 자신들이 판매하는 제품 위주로 리뷰하는 경우가 많아, 객관적인 평가를 하기가 쉽지는 않은 것 같습니다. 그나마 일본의 VGP나 HIVI에서는 가격대별 추천 제품을 매년 2번 정도씩 추천하고 있는데, 이번에는 HiVI의 23년 유선 이어폰 추천 제품 중에서 10만 원 제품을 확인해 보고자 합니다. 1.Fiio FF3 10만원대 에서 1위 제품으로 추천받은 제품은 프리미엄 차이 파이 제품들을 출시하면서 국내에서도 가성비로 인정받고 있는 FIIO의 FF3입니다. FF3는 최근에 많은 제품들이 귀를 꼭 막는 구조를 가지고 있는데 반해서, 애플의 유선 이어폰이나 에어팟과 같은 오픈형 구조의 이어폰입니다. 보통

23년 DAP 추천 [내부링크]

스마트폰으로 고음질 음악을 감상하려면 블루투스 이어폰이나 블루투스 헤드폰으로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무손실 고음질 음원이나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를 활용하시는 오디오 마니아분들께서는 유선 이어폰이나 유선 헤드폰을 사용할 수 있는 DAP (Digital Audio Player)가 좋은 대안이 됩니다. 23년 DAP 추천 DAP의 장점 하나의 기기로 고음질 음악 감상이 가능 DAP는 쉽게 스마트폰 이전의 MP3 Player의 고급 버전이라고 생각하시면 되고, 스마트폰 + DAC + 헤드폰 앰프가 하나의 제품으로 통합된 제품입니다. 2. OS 상에서 오디오 처리 최적화 안드로이드 OS는 고음질 오디오 처리에 최적화되어 있지 않습니다. 안드로이드의 기본 오디오 드라이버는 CD 음질 이상의 고음질 음원을 처리하는 데 한계가 있으며, 대부분의 DAP들은 비트퍼펙트, MQA 패스스루등 스트리밍 되는 음원을 중복되는 오디오 처리 없이 최적화되어 고음질 음악 감상을 할 수 있게 OS와 오디오 드라이버

입문용 유선 헤드폰 추천 [내부링크]

헤드폰으로 고음질 HIFI 음악을 감상하는 헤드파이에 처음 입문하시는 분들의 입문용 유선 헤드폰의 가격 상한선은 대략 최대 약 50만 원 정도인 것 같습니다. 시장의 유선 헤드폰도 대략 다음과 같은 라인업을 가지고 있는 것 같습니다. 입문기 (~50만 원 미만) : 대략 20~30만 원의 DAC나 헤드폰 앰프와 잘 매칭되며, 해상도나 S/N, 공간감에서 유선 이어폰과는 우수한 사운드를 들려줍니다. 중급기 ( ~100만 원 미만) : 각 브랜드의 고급기의 주요 기능들이 탑재되어 가성비가 좋은 제품들이 많습니다. 고급기 (100만 원 이상) : 과거에는 100~200만 원대에서 각 브랜드의 프리미엄 라인업들이 있었는데, 최근 들어서는 500 ~1,000만 원의 고급 제품들도 쏟아지고 있습니다. Hivi의 23년 헤드폰 추천 중에서 50만 원 이하의 입문기 추천 내용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입문용 유선 헤드폰 추천 입문용 유선 헤드폰 추천 슈어 SRH-840A 1위로 추천받은 이 제품은

가격대별 블루투스 스피커 추천 [내부링크]

스마트폰으로 간편하게 음악을 감상하는 방법 중 하나는 블루투스 스피커를 활용하는 것입니다. 시중에는 다양한 형태의 블루투스 스피커들이 판매되고 있는데, 음질이 좋은 블루투스 스피커를 선택 시 고려 사항을 먼저 살펴보고, VGP2023의 가격대별 블루투스 스피커 추천 내용을 확인해 보고자 합니다. 블루투스 스피커 추천 음질이 좋은 블루투스 스피커 선택 시 고려 사항 사용할 공간에 적합한 제품 선택 스피커는 사용하는 용도에 맞는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책상, 거실, 부엌, 가게, 아웃도어 등 사용할 공간에 최적의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무리 음질이 좋아도, 지나치게 큰 공간에 사용하여 출력이 따라가지 못하면 스피커를 통해 감상하시는 사운드는 기대에 못 미치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중저음이 강한 스피커를 책상에 올려놓고 사용하게 되면, 진동이 억제되지 않아 균형 잡힌 사운드를 감상하는 것이 어려운 경우도 있습니다. 2. 스피커의 기본 성능 중요 현재 시중에 판매

유선 게이밍 이어폰 추천 [내부링크]

컴퓨터 게이밍 이어폰은 일반적으로 음악 감상을 하는 유선이이폰과는 다음과 같은 차이점이 있습니다. 유선 게이밍 이어폰 선택 시 고려 사항 공간감 : 날아오는 총탄이나 적의 위치를 쉽게 알기 위해서는 게이머의 위치에서 쉽게 인지할 수 있는 넓은 공간감이 필요합니다. 대부분의 게이밍 이어폰에서 제일 먼저 강조하는 것이 이 공간감입니다. 이 공간감을 잘 인식하기 위해서는 이어폰의 좌/우 밸런스가 잘 잡혀 있는 것이 중요합니다. 저음역대 강조 : 대부분의 게임의 배경음악은 저음역대가 많기 때문에 저음의 질감과 양이 모두 중요합니다. 발소리 증폭 : FPS 게임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발소리이기 때문에 발소리가 잘 들리는 주파수를 대부분의 게이밍 이어폰에서는 강조해 놓았습니다. 팀플레이를 위한 선명한 음성 통화 : 일반적인 음악 감상용 이어폰에도 마이크와 4극 단자가 적용되어 있으나, 게이밍 이어폰에서는 게임을 같이 즐기는 친구들과의 대화를 위한 마이크의 성능이 중요합니다. 특히 자

블루투스 리시버 추천 [내부링크]

현재 보유하고 있는 스피커나 오디오, 그리고 유선 이어폰이나 유선 헤드폰 그리고 블루투스 기능이 없거나 블루투스 고음질 코덱을 지원하지 않는 카오디오를 보유하신 분들이 손쉽게 블루투스 고음질 음악을 감상하실 수 있는 장법은 "블루투스 리시버"를 활용하는 것입니다. 블루투스 리시버 블루투스 리시버 종류 현재 시중에 판매 중인 블루투스 리시버는 연결하는 대상에 따라 크게 3종류로 구분됩니다. 거치용 블루투스 리시버 블루투스 기능이 없는 스피커나 오디오 제품에 이 제품을 장착하게 되면 손쉽게 스마트폰을 블루투스로 연결하여 음악을 감상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거치용 블루투스 수신기는 상시 사용을 위해 AC/DC 전원 어댑터를 내장하고, 스피커나 오디오와의 연결을 위해서는 3.5mm AUX 출력이나 RCA 출력 단자를 지원합니다. 대표적인 제품으로는 블루투스 수신기와 발신기 역할을 모두 하는 "Fiio의 BTA 30 Pro"와 4.4mm 밸런스드 출력과 광/동축 디지털 출력을 모두 지원하는

수영이 가능한 골전도이어폰 추천 [내부링크]

아직은 쌀쌀하지만, 본격적으로 야외 활동이 많아지면서 운동이나 수영 중에도 음악 감상을 원하시는 분들이 있습니다. 이런 분들에게는 기존의 블루투스 이어폰으로는 완전 방수가 안되기 때문에 골전도이어폰 중에서도 수영이 가능한 이어폰을 선택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수영이 가능한 골전도이어폰 추천 [골전도이어폰 선택 시 고려 사항] 1. 방수 성능 당연한 이야기이겠지만, 수영이 가능하도록 완벽한 방수가 되어야 합니다. 현재 시중에는 방수 등급이 높은 IP68이나 IPX8로 표기된 제품들을 추천드립니다. IP67이나 IPX7등급은 15cm~1M 깊이의 물속에서 30분 동안 보호할 수 있는 스펙이고, IP68이나 IPX8등급은 1M 이상 제조사가 권고하는 깊이의 물속에서 보호할 수 있는 스펙입니다. 이 정도 스펙이면 야외에서도 비를 맞아도 충분히 사용할 수 있습니다. 2. 자체 MP3 플레이어 운동할 때도 가능한 스마트폰 없이 사용하는 것이 좋지만, 수영 시는 스마트폰과의 블루투스 연결이 10M

23년 게이밍헤드셋 추천 [내부링크]

"헤드폰"과 "헤드셋"의 차이점은 "헤드셋"은 헤드폰에 마이크가 추가된 형태의 제품이라는 것입니다. 게이밍 주변기기 중에서 마우스, 키보드와 함께 많은 분들이 선호하시는 기기는 "게이밍헤드셋"인 것 같습니다. 앞서 설명드린 "유선게이밍 이어폰 추천"에서 게이밍이어폰은 공간감, 대역별 밸런스, 발자국 소리, 총소리와 같은 특정 주파수의 강조 등으로 일반 음악 감상용 이어폰의 선택 기준과 다르다는 것을 이미 설명드렸습니다. 게이밍헤드셋도 일반적인 음악 감상용과는 다른 게이밍이어폰의 속성들을 모두 가지고 있고, 이어폰보다도 더 넓은 공간감, 다양한 가상 서라운드 기술 지원, 무선일 경우 일반적인 블루투스보다는 지연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전용 무선 기술 적용 등 게이밍헤드셋 선택 시의 고려 사항이 추가적으로 있습니다. 현재 시중에는 블루투스 이어폰만큼이나 다양한 유무선 게이밍헤드셋들이 출시되고 있는데, VGP2023의 가격대별 추천 제품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게이밍헤드셋 추천 1. 30만

마이크로소프트 서피스 프로 주변기기 사용 후기 [내부링크]

마이크로소프트의 서피스 프로 시리즈는 Windows 기반의 태블릿 혹은 2 in 1 노트북 형태의 제품으로 작년 말 최신 기종인 서피스 프로 9가 출시될 만큼, 10년 정도 지속적으로 제품을 출시해 오고 있고 일반 문서 작업과 원격근무를 위한 기기로 포지션 하고 있습니다. 늦었지만, 지난 1월 구입한 서피스 프로 7+를 약 3개월 사용해 보면서, 이 제품과 잘 어울리는 주변기기들을 사용해 보면서 추천할 만한 제품들을 소개해 보고자 합니다. 서피스 프로 주변기기 추천 USB-C to 서피스 충전 케이블 서피스를 사용하다 보면, 가장 불편한 것은 USB 포트가 USB-A와 USB-C 포트가 하나씩 밖에 없다는 것입니다. 서피스의 기본 충전 어댑터의 사이즈가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휴대용으로는 사이즈가 작은 65W 급 USB-C PD 충전기와 연결하는 것이 유리한데, 서피스의 USB-C 포트를 충전용으로만 사용하게 가뜩이나 부족한 USB 포트가 더 부족하게 됩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23년 게이밍 노트북 추천 [내부링크]

일반적으로 노트북에 들어가는 주요 부품들은 데스크탑에 사용되는 부품과 달리 발열과 배터리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고, 노트북에 장착할 수 있게 "경박단소"한 형태로 개발되어 왔습니다. 휴대성과 고성능이 양립할 수 없었던 노트북에 몇 년 전부터 그동안 고성능 데스크탑에서만 실행이 가능하였던 헤비 한 게임들을 원활히 구동할 수 있는 "게이밍 노트북"이 이제는 보편화 단계에 접어들고 있습니다. 강력한 GPU를 바탕으로 CPU도 저전력이 아닌 고성능이고 디스플레이도 게임을 위해 응답속도와 샘플링 레이트가 빠른 제품 이어 게임뿐만 아니라, 4K 동영상 편집이나 3D 그래픽 렌더링 등 과거 워크스테이션급에서 하던 일을 이제는 게이밍 노트북에서도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게이밍 노트북 구매 시 고려 사항] 1. 최고의 성능을 위한 발열 게이밍 노트북들은 고성능의 CPU와 GPU가 탑재되어 발열이 상당합니다. 노트북 자체의 발열 성능이 매우 우수하지 않으면 발열로 인한 성능 저하가 발생됩니다. 따라서

23년 게이밍 마우스 추천 [내부링크]

앞서 소개해 드린 게이밍 노트북을 사용하는 데 있어서 가장 필수적인 주변기기는 "게이밍 마우스"입니다. 시중에는 다양한 가격대와 브랜드의 게이밍 마우스들이 있는데 막상 가격만 생각하다 보면, 성능이나 내구성에서 1년도 제대로 사용하지 못하는 제품들도 많습니다. 지난번 게이밍 노트북과 마찬가지로 "PC Gamer"잡지에서 올해 추천한 게이밍 마우스를 살펴보고자 합니다. 게이밍 마우는 고성능의 감도와 최적의 그립감을 제공하기 때문에 게임은 하지 않자만, CAD나 2D/3D 그래픽, 동영상 편집, 음악 편집 작업처럼 섬세한 조작이 필요한 마우스 용도로도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게이밍 마우스 구매 시 고려 사항] 23년 게이밍 마우스 추천 1. 유선 Vs 무선 게이밍 마우스를 선택할 때 가장 먼저 생각하는 것은 사용이 편리한 무선 마우스를 게임에도 사용할 수 있느냐는 것입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블루투스 방식의 무선으로는 딜레이가 생길 수밖에 없으나, 2.4Ghz의 전용 무선을 사용하는

23년 게이밍 모니터 추천 [내부링크]

앞서 본격적인 게이밍을 즐기기 위한 게이밍 노트북, 게이밍 마우스, 게이밍 헤드셋 등을 추천드렸습니다. 하지만 본격적인 게임을 즐기기 위해서 많은 분들이 고민하는 주변기기 중 대표적인 것이라면 게이밍 모니터가 있습니다. 게이밍 모니터는 시각적인 요소가 많은 부문을 차지하는 게임에서 가장 중요한 항목 중 하나로 몰입감 높고, 섬세한 게임 플레이를 위한 필수 요건입니다. 현재 시중에는 144hz를 주사율을 지원하는 24인치 이상, FHD 이상의 게이밍 모니터가 20 ~ 30만 원대에 구입이 가능하며 많이 찼으니는 스펙입니다. 하지만 좀 더 생생한 게임을 즐기기 위해 시중에는 34인치 이상의 사이즈에 2K, 4K까지 해상도를 지원하는 고급형 게이밍 모니터부터 다양한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어, "PC Gamer"의 추천 제품들을 살펴보고자 합니다. 23년 게이밍 모니터 추천 먼저 제가 생각하는 게이밍 모니터 구매 시 먼저 고려해 볼 만한 내용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게이밍 모니터 구매 시 고

23년 컴퓨터 스피커 추천 [내부링크]

일반적으로 데스크톱 PC 나 노트북용 컴퓨터 스피커는 HiFi 오디오용 스피커를 사용해도 되지만, 음악 감상뿐만 아니라, 주 사용목적이 게이밍 스피커와 영화나 드라마 등 영상 시청 목적도 큽니다. 일반적으로 컴퓨터에 사용하는 HiFi 오디오용 스피커는 좌/우의 2 채널로 구성된 스테레오 액티브 스피커 구성인데 비해, 컴퓨터용 스피커는 좌/우 채널에 우퍼가 포함되어 저음이 강조된 2.1 채널의 구성이 많습니다. 23년 컴퓨터 스피커 추천 [게이밍 스피커 구매 시 고려 사항] 1. 스피커 기본 성능 컴퓨터 스피커도 기본적인 사운드 품질을 위해 저음을 담당하는 우퍼와 중고음을 담당하는 트위터로 분리되어 전 대역의 사운드를 고르게 내어 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2. 2.1채널, 5.1 채널, 7.1채널 일반적으로 스테레오 사운드를 감상하는 것은 2.1채널 만으로도 충분합니다. 영화나 라이브 공연같이 영화관에서와 같은 공간 음향을 즐기기 위해서 전면의 2.1채널에 후면이나 측면 등에 스피커를

유선 이어폰 끝판왕 추천 [내부링크]

대중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블루투스 이어폰 보다 좀 더 좋은 사운드를 감상하기 위한 방법은 외장 DAC와 유선 이어폰이나 유선 헤드폰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그동안 VGP, HiVi, Whathifi 등 해외 잡지에서 선정한 다양한 가격대의 유선 이어폰을 소개해 왔는데, 이번에는 일본의 청음샵중 규모가 큰 e-earphone에서 추천한 유선 이어폰 끝판왕 Top10 추천 내용을 살펴보고자 합니다. e-earphone 리뷰는 스태프들이 평가한 이어폰의 음색과 소비자들이 평가한 내용을 같이 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이어폰 간의 차이점을 쉽게 정량지표로 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1. 소니 IER-Z1R 소니가 2019년에 소니 시그니처 시리즈의 유선 이어폰으로 발표했던 IER-Z1R은 12mm 다이나믹 드라이버, 초고역을 위한 5mm 다이나믹 드라이버, 그리고 추가로 BA까지 총 3개의 드라이버가 마그네슘 하우징에 장착된 고급 모델입니다. 출시 당시 국내 가격이 250만 원으로 매

23년 스테레오파일 헤드폰 부문 추천 [내부링크]

작년 5월에도 22년 스테레오파일의 헤드폰 부문 추천 결과를 공유하는 글을 포스팅하였는데, 벌써 1년이 지나 23년 스테레오파일의 헤드폰 부문 추천을 전하게 되었습니다. 미국의 스테레오파일은 오디오를 취미로 하시는 분들에게는 널리 알려진 잡지로 일본의 Stereo Sound와 함께 본격적인 HiFi 제품들을 추천하고 있습니다. 스테레오 파일은 1년에 두 번 4월과 10월경에 HiFi 오디오의 여러 부문별로 A+ ~ D 등급까지의 제품을 추천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헤드폰 분야는 헤드폰과 DAC와 헤드폰 앰프 등을 추천해 오고 있으며 A+ ~ C 등급까지의 제품들이 추천돼 오고 있습니다. Class A+등급은 SACD나 24bit 이상의 고음질 음악을 듣는데 최적화된 시스템, Class A등급은 16bit/44.1Khz의 CD 음질을 듣는데 최적화된 시스템을 의미합니다. 헤드폰 분야에서 각 등급의 추천 제품들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23년 스테레오 파일 헤드폰 부문 추천 [23년 Cl

하이파이맨 EF1000 VS EF600 [내부링크]

중국 차이파이 프리미엄 브랜드인 하이파이맨은 평판 자력형 헤드폰인 서스바라가 스테레오 파일의 A+ 제품으로 꾸준히 추천받고 있고, 국내에서도 평판 자력형 헤드폰의 끝판왕으로 많은 분들에게 인기가 높은 브랜드입니다. 그런데 하이파이맨의 서스바라는 웬만한 헤드폰 앰프로는 제 성능을 충분히 구동시킬 수 없고, 출력이 강력한 헤드폰 앰프가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작년부터 하이파이맨에서는 히말라야 하는 이름의 R2R DAC를 탑재한 헤드폰 앰프인 EF400을 출시하여 거치형 DAC와 헤드폰 앰프로 국내에서도 일부 카페에서 공구가 진행되었을 만큼 관심을 끈 제품입니다. 최근 하이파이맨에서는 EF400에 탑재된 히말라야 R2R DAC를 히말라야 프로로 업그레이드한 EF600 제품과 함께 DAC가 없는 순수 헤드폰 앰프인 EF1000을 출시하였기에 살펴보고자 합니다. 1. 하이파이맨 EF600 EF400은 거치형 DAC/헤드폰 앰프로는 드물게 세로형으로 헤드폰을 거치할 수 있는 디자인입니다.

23년 게이밍 무선이어폰 추천 [내부링크]

PC 게이밍을 위한 게이밍 키보드와 마우스의 경우에는 블루투스의 딜레이 한계로 인해 반응이 빠른 쾌적한 게임을 위해서는 유선 제품을 사용하거나 블루투스가 아닌 2.4Ghz의 무선 대역을 제조사 독자 방식의 무선 방식으로 대체한 게이밍 무선 키보드와 무선 마우스들을 소개해 드렸습니다. 게이밍 헤드셋 분야에서도 유선뿐만 아니라 2.4Ghz의 제조사 독자 방식의 무선 방식을 채택한 제품들이 있었는데,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은 무선이어폰에서도 블루투스뿐만 아니라 제조사 독자 방식의 무선 기술을 탑재한 게이밍 전용 무선이어폰들이 있어 추천드리고자 합니다. 23년 게이밍 무선이어폰 추천 [게이밍 무선이어폰 선택 시 고려 사항] 블루투스 딜레이 감소 기술 탑재 블루투스 코덱 중에서 가장 딜레이가 적은 코덱은 블루투스의 기본 코덱인 SBC입니다. 하지만 SBC는 본격적인 게임 사운드를 충실히 들려줄만한 성능으로는 부족합니다. 따라서 딜레이가 적은 aptX-LL (Low Latency) 나 aptX-

23년 돌비 애트모스 헤드폰 추천 [내부링크]

영화나 게임의 몰입감을 높이기 위한 3차원 서라운드 오디오로는 여러 종류가 있어왔으나, 최근에는 넷플릭스나 디즈니+같은 OTT에서도 3차원 서라운드 기술인 "돌비 애트모스"를 채택하고 있고, 애플이 아이폰과 에어팟에서 "공간 음향"이라는 브랜드로 "돌비 애트모스"를 사용하고 있어 이제는 3차원 서라운드 기술에서 대세화되고 있습니다. 돌비 애트모스는 원래는 극장용으로 개발된 시스템이지만, 현재는 크게 가정에서 대화면 TV나 빔프로젝터와 연결하여 구성하는 홈시어터 시스템용과 PC나 XBOX,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용 도로 나누어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홈시어터용 돌비 애트모스] 돌비의 홈페이지에 따르면 스피커 셋업을 설명하고 있는 가장 대중적인 스피커 구성은 다음과 같이 3종류이지만, 실제 구성은 훨씬 다양한 구성이 가능합니다. 5.1.4 : 전통적인 5.1 채널 스피커 시스템에 4개의 돌비 애트모스용 스피커를 추가하는 것인데, 4개의 스피커는 천장에 설치하거나 일반적인 스탠드에 설치하

23년 돌비 애트모스 사운드바 추천 [내부링크]

앞선 돌비 애트모스 헤드폰 추천에서 돌비 애트모스는 극장용, TV와 연결되는 홈시어터, 그리고 PC와 게임기를 위한 헤드폰용으로 크게 3가지 종류가 있다고 설명드렸습니다. 그중에서 TV와 연결해서 돌비 애트모스를 집에서 감상할 수 있는 방법은 아래와 같이 몇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1. TV 자체가 돌비애트모스와 넷플릭스 등 돌비애트모스를 지원하는 OTT를 지원하는 경우 최근의 중고가 스마트 TV들 중에는 넷플릭스, 디즈니+, 애플TV와 같이 돌비 애트모스를 지원하는 OTT 서비스를 스마트 TV에서 지원하면서 돌비 애트모스까지 지원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돌비 애트모스를 지원하는 사운드바를 TV와 HDMI eARC로 연결만 하면 돌비 애트모스를 감상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합니다. 만약 사운드바 보다 좀 더 본격적인 서라운드 시스템을 구축하려면 돌비 애트모스를 지원하는 A/V 리시버와 함께 최소 5.1.4 채널의 스피커 시스템이 필요합니다. 2. TV가 돌비 애트모

층간 소음 없이 서라운드 TV 시청 방법 [내부링크]

도심에서 거주하시는 많은 분들은 단독주택보다는 아파트나 빌라처럼 다세대 주택에 거주하시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런 경우 층간 소음이나 벽간 소음 때문에 저녁 늦게는 영화 감상이나 TV 시청을 원하는 음량으로 감상하는 것이 어렵고, 특히 아기가 있거나 학생들이 있는 집에서는 더군다나 영화 감상이나 TV 시청을 제대로 된 사운드로 감상하는 것이 불가능한 현실입니다. 이런 경우에도 TV 시청을 할 수 있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블루투스 헤드폰/이어폰 활용 : 이제는 많은 분들이 하나씩 보유하고 계신 블루투스 이어폰이나 블루투스 헤드폰을 활용하는 방법이 가장 간편한 방법입니다. 이 경우에는 TV가 블루투스 송신 기능을 가지고 있거나, TV에 오디오 출력이 가능한 경우 별도의 블루투스 송신기를 추가하여야 가능합니다. 다만, TV나 블루투스 송신기 와 보유하신 블루투스 헤드폰/이어폰의 튜닝이 잘 맞지 않으면 소위 화면과 소리가 맞지 않는 현상이 발생될 우려도 있습니다. TV 전용 헤드폰 활용

23년 내장 SSD 추천 [내부링크]

반도체 수요가 줄어들면서, 삼성전자의 매출은 급격히 줄어들었지만, 작년 말부터 내장 SSD의 가격은 급속히 떨어지고 있습니다. 특히 수요가 많은 1TB SSD 도 이제는 제품에 따라서는 10만 원 이하에서도 구입이 가능하게 되어 PC나 PS5 콘솔을 보유하고 계신 분들께서는 내장 SSD를 업그레이드하기 좋은 시기가 되었습니다. 국내에서는 A/S와 호환성이 우수한 삼성과 하이닉스의 SSD가 인기가 좋은데, 미국의 40년 된 PC 전문잡지인 "PC 매거진"에서 자체 테스트한 각 분야별 SSD 추천 제품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3년 내장 SSD 추천 SK하이닉스 Platinum P41 일반적인 용도로 업그레이드할 때 전반적인 성능이 가장 우수한 제품으로 선정된 제품은 SK하이닉스의 Platinum P41입니다. "PC 매거진"의 자체 시험한 "PCMark 10" 과 "3D Mark"의 벤치마크 결과 우수한 점수가 나오면서도 가성비가 높은 제품으로 추천되었습니다. 256bit AES 하

팀스 인증 화상스피커, Microsoft 모던 USB-C 스피커 사용 후기 [내부링크]

이제 6월 1일부터는 코로나로 인한 제약사항이 완전히 없어지게 되었습니다. 코로나라는 기존에는 상상할 수 없던 전염병으로 인해 학교나 기업에서의 공부와 일하는 방식도 원격 강의나 원격화상회의가 급속도로 대중화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기업에서는 원격 화상회의를 위해서는 고화질의 카메라나 전문적인 화상 회의용 스피커폰 시스템이 필요했으나, 3~4명 정도 회의실에서 진행되는 소규모 회의에서는 노트북의 카메라, 빔프로젝터, 그리고 간단히 USB 방식의 화상스피커을 활용하여 화상회의 솔루션인 Microsoft의 "Teams"나 시스코의 "Webex" , 그리고 대중적인 "Zoom"등을 쉽게 활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시중에도 이러한 화상회의를 위한 화상스피커들이 많이 출시되었는데, 그중에서도 Microsoft에서 자사의 화상회의 솔루션인 "Microsoft Teams " 인증 제품으로 완벽한 호환성을 제공하는 고품질스피커인 "Microsoft 모던 USB-C 스피커"를 "다나와 체험단"을

유튜브마이크로 활용 가능한 핀마이크 , BOYA BY-M3 사용 후기 [내부링크]

지난 리뷰에는 원격 화상회의를 위한 USB-C 스피커폰의 리뷰를 진행하였습니다. USB-C 스피커폰은 2~4명 정도의 소규모 화상회의를 진행하기에는 최적의 솔루션중 하나입니다. 그런데, 만약 혼자 화상회의를 진행할 경우, 노트북의 마이크 성능이나, 마이크가 포함된 이어폰이나 헤드폰의 마이크 성능이 부족할 경우에는 핀마이크를 활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핀마이크는 화상회의 이외에도 다음과 같은 경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유튜브 방송용 녹음 인터뷰 진행시 상대방의 목소리를 녹음할 경우 강의용 일반적으로 핀마이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핀마이크의 출력이 3.5mm AUX 단자인 경우가 많아, AUX 입력이 가능한 PC나 노트북, 태블릿이나, 좀 더 전문적인 녹음을 위해서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나 무선 마이크 인터페이스 등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최근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 기능이 포함된 USB-C 나 라이트닝 단자용 핀마이크들도 출시되고 있어, 이러한 핀마이크는 스마트폰에 간단히 연결

2만 원대 유선 이어폰, Simgot EW100 후기 [내부링크]

몇 년 전부터 중국의 오디오 제품을 의미하는 "차이 파이" 제품들이 시장에 쏟아져 나오고 있고, 가성비에 있어서도 시간이 지날수록 놀라운 속도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이미 DAC, DAP, 앰프 분야에서는 중저가를 벗어난 고가의 제품들까지 차이 파이 제품들이 진출하고 있고, 유선 이어폰에서도 "TRZ", "KZ" 같은 초 저가 제품, "Fiio", "수월우" 같은 중가 라인업 그리고 "유니크 멜로디"처럼 초 고가의 다양한 브랜드들이 매월 신제품들을 쏟아 내고 있습니다. "Simgot"도 가성비가 매우 뛰어난 제품들을 출시해온 브랜드인데, 이번에 공구 기회 있었던 초 저가 유선 이어폰 "EW100" 공동 구매에 참여하게 되어 사용 후기를 공유드리고자 합니다. EW100은 총 4가지 제품군으로 공동구매가 진행되었는데, 저는 3.5mm & 이어폰 제품을 회사 노트북 용도로 구입했다가 뛰어난 성능에 놀라, 개인용 노트북용으로 USB-C 제품도 추가 구매하였습니다. [simgot EW100 라

75W 3포트 초소형 멀티충전기, 아트뮤 접지충전기 GE920 후기 [내부링크]

이동 중에 충전이 필요한 대표적인 제품들은 노트북, 스마트폰, 스마트워치 혹은 무선이어폰을 들 수 있고, 개인에 따라서는 전자담배 같은 것도 있을 수 있습니다. 그런데 애플의 맥북뿐만 아니라 최근 출시되는 노트북들의 전원들이 USB-C 포트를 활용한 PD 충전 방식이 도입되고 있어, 이제는 아이폰과 일부 아이패드 모델을 제외하면 대부분의 제품들의 충전단가가 USB-C로 통합되고 있습니다. 저도 주말에는 외부에서 작업이 많아, 여러 개의 충전기와 보조 배터리를 항상 가지고 다니고 있는데, 포트가 여러 개 있는 멀티 충전기들의 문제는 생각보다 사이즈가 크고 무게가 꽤 나간다는 것과 노트북과 스마트폰, 무선이어폰을 동시에 충전하기 위해서는 대부분의 노트북들이 최대 65W 급 PD 충전을 요구하기 때문에 대용량의 멀티충전기가 필요하다는 것입니다. 최근에는 멀티충전기의 대용량과 소형화, 발열을 줄일 수 있게 태양전지 등에 사용되어 왔던 질화 갈륨(GaN)을 사용한 반도체를 활용하여 충전용량은

2023년 아마존 프라임데이 일자 확정, 얼리 프라임 딜 살만한 제품 [내부링크]

올해 아마존의 최대 할인행사 중 하나인 프라임 데이 일정이 미국 시간 "7월 11일~7월 12일"로 확정되었습니다. 2023년 아마존 프라임 데이 현재 환율이 1293원대로 높아, 예전과 같이 직구 열기가 높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아마존 프라임데이에는 아마존의 킨들, 아마존 Fire TV와 같은 아마존 자체 제품은 최대 60% 이상의 할인을 진행하고 특히 TV, 노트북 등의 IT 제품의 리퍼비쉬 제품 할인율도 매우 높습니다. 아마존에서는 올해 프라임데이 할인 관련 전용 페이지를 만들고 벌써부터 할인 내용들을 소개하고 있지만, 아직 할인율이 공개된 제품들은 많지 않고, 예년의 사례를 보면, 앞으로 지속 발표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2023 아마존 프라임 데이 이번 아마존 프라임 데 임시 기대해 볼만 IT 제품을 추천해 보면 첫 번째로는 11인치로 최근 출시된 아마존 Fire Max 11입니다. 예전 아마존 태블릿들의 두께와 무게를 대폭 개선한 제품입니다. 현재 4GB RAM/64GB의

2023 TASCAM 신제품 런칭 참관 [내부링크]

TASCAM (타스캠)이란 브랜드는 프로용 오디오를 다루는 분들에게는 널리 알려진 브랜드이지만 일반인들에게는 널리 알려진 브랜드는 아닙니다. TASCAM은 "TEAC AUDIO SYSTEM COMPANY of AMERICA"의 약자로 카세트 플레이어 및 HIFI 오디오기기로 알려진 일본 TEAC의 프로 오디오 브랜드입니다. 1971년 설립된 브랜드로 50년이 넘는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특히 Tape 녹음기, 플레이어 부문에서 수많은 명기를 남기고 뛰어난 품질과 내구성을 바탕으로 오랜 기간 동안 방송국과 녹음 현장에서 애용된 브랜드이기도 합니다. 이번에 TASCAM 신제품 런칭 행사가 홍대의 네버마인드에서 진행되었고, 운이 좋게도 초대가 되어 신제품 런칭 행사를 참관한 내용을 소개 드리고 자 합니다. 2023 TASCAM 신제품 런칭 행사 이번에 TASCAM 신제품 런칭 행사는 크게 다음과 같은 순서로 진행되었는데, 시작 전에 간단한 다과까지 준비되고 장마가 시작되었지만, 많은 분들이

타이달 FLAC 고음질 출시 시기 및 타이달 아르헨티나 가격 인상 [내부링크]

이번 주 고음질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인 타이달에서는 2가지 새로운 소식이 알려졌습니다. 첫 번째는 MQA의 법정관리로 인해 타이달의 CD 음질을 뛰어넘는 고음질 서비스를 MQA에서 FLAC으로 전환한다는 소식은 이미 알려져 있었지만, 좀 더 구체적인 서비스 시작 시점이 알려졌고, 두 번째는 국내의 많은 이용자들이 사용하고 계시는 타이달 아르헨티나의 월 구독 가격이 상승한다는 것입니다. 타이달 FLAC 고음질 출시 reddit에 Tidal CEO가 알려진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아이폰에서 Tidal의 고해상도 FLAC을 지원하기 위한 베타서비스(EAP, Early Access Program)가 시작되었음 기존의 MQA를 이용할 수 있었던 HiFi Plus 가입자를 대상으로 최대 24bit/192Khz까지 고음질 서비스를 시범 서비스함 시범 서비스는 6백만 곡 이상의 고해상도 FLAC 음원 서비스로 시작되고, 현재 타이달과 음반 레이블, 아티스트들과 지속적으로 FLAC 컨버전 진행 중

DAC 연결을 위한 아이폰 라이트닝 OTG 젠더 / 케이블 비교 [내부링크]

USB OTG (On The Go) 기능이란 컴퓨터 없이도 기기 간 USB로 통신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2001년에 스펙이 정해진 오래된 기능으로 스마트폰에서 키보드, 마우스, 게임패드, 조이스틱 등 다양한 USB 기기를 사용하기 위한 기능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 OTG 기능은 스마트폰을 활용하여 외장 DAC를 연결할 때 반드시 지원되어야 하는 기능입니다. 안드로이드에서는 2011년부터, 애플은 2012년부터 라이트닝 포트에 OTG 기능을 적용해 오고 있습니다. 지난번 리뷰에서는 안드로이드폰이나 라이트닝 포트를 가진 아이폰에서 활용 가능한 다양한 OTG 젠더를 소개 드린 적이 있는데, 그동안 다양한 DAC 들에 라이트닝 포트가 있는 아이폰을 연결해 보면서, 여러 가지 라이트닝 OTG 젠더들이나 케이블을 사용해 보았는데, 최근에 많이 사용하고 있는 아래 3가지 제품에 대해서 리뷰해 보고자 합니다. 애플 정품 라이트닝 카메라 키트 + 벤션 USB A to C 케이블 DDHi

무선 TV 시청을 위한 블루투스 리시버, Fiio BTR15 리뷰 [내부링크]

블루투스 리시버는 블루투스 기능이 없는 기기에 블루투스 기능을 추가해 주는 기기로 크게 다음과 같은 종류로 활용이 가능합니다. 자동차 : 차량에 블루투스 기능이 없거나, 고음질 블루투스 코덱을 지원하지 않을 경우 유선 이어폰, 유선 헤드폰 : 고음질의 유선 이어폰이나 헤드폰에 고음질 블루투스 코덱을 연결하고 싶을 경우 블루투스 이어폰, 헤드폰 : 최대 볼륨으로 해도 음량이 부족하거나 볼륨 조절 단계가 10단계 이내여서 상세한 볼륨 조절이 필요한 경우 저는 거실에서 LG webos 5.0이 적용된 스마트 TV를 사용하는데, 같은 블루투스 헤드폰도 LG 스마트 TV 연결 시에는 볼륨이 충분하지 않고, 그동안 아스텔앤컨의 블루투스 리시버인 AK XB-10을 사용해 왔는데 이번에 기능이 대폭 개선된 Fiio의 BTR15를 10만 원 초반대에 구입할 기회가 있어, 사용 후기를 공유드리고자 합니다. Fiio BTR15 장점과 단점 BTR15는 가성비 좋고 우수한 품질의 차이 파이 브랜드인 Fi

24년 가격대별 DAP 추천 [내부링크]

스마트폰으로 무선 이어폰을 이용한 음악 감상에서 좀 더 고음질 감상을 위해 유선 이어폰의 세상을 접하게 되면 바로 고민하는 것이 DAC를 추가하는 것입니다. 입문용으로는 꼬다리형 DAC나 스마트폰의 전원을 이용하지 않는 자체 배터리를 사용하는 휴대용 DAC들을 활용할 수도 있지만, 좀 더 오디오의 세상에 깊숙이 빠지게 되면 한 번쯤 고민해 보는 기기는 DAP (Digital Audio Player)입니다. 이미 몇 번의 리뷰에서 "입문용 DAP Top3 추천"과 "DAP의 장점과 DAP 선정 시 고려 사항"에 대해서 설명드려 왔습니다. 이번에는 현시점에서 시중에서 구입할 수 있는 DAP의 가격대와 가격대별로 추천 제품들을 VGP2024와 HiVI 최신 추천을 참조하여 소개해 드리고자 합니다. DAP 구입 가격대 현재 시중에서 구입할 수 있는 DAP는 아래와 같이 3가지 가격대로 형성되어 있습니다. 100만 원 이하 DAP 입문기 : DAP를 처음 구입하시는 분들이 많이 입문하시는 가

스마트폰에 SPDIF 광출력이나 동축 케이블이 필요할 때, SMSL PO100Pro 리뷰 [내부링크]

스마트폰에서 고음질 음악 감상을 하기 위해 가장 기본적인 준비물은 외장형 DAC (Digital To Analog Converter)입니다. 그런데 별도의 소스 기기가 없는 PC-FI의 경우에는 PC에 저장된 음원이나 Tidal을 감상할 때는 PC가 비트 퍼펙트와 MQA Full Decoding을 지원하지만 애플 뮤직의 경우에는 비트 퍼펙트를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아이폰이나 아이패드를 활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습니다. 안드로이드 기반의 DAP이나 최근 많은 인기를 끌고 있는 DMP-A6 같은 거치형 소스 기기를 활용하면 문제가 해결되지만 최소 100만 원 이상의 추가적인 지출이 발생되게 됩니다. 디지털 입력이 하나만 있는 DAC 활용방법 PC와 아이폰을 모두 소스 기기로 활용하여야 하는 경우, 가장 좋은 방법은 디지털 입력 자체가 여러 개인 DAC를 활용하는 것인데 대부분의 입문형 DAC에서는 디지털 입력을 USB 하나만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런 경우 USB 입력 2개를 하나로

24년 가격대별 고음질 유선헤드폰 추천 [내부링크]

오디오파일들이 음악 감상을 하는 데 있어서, 귀에 가장 가까운 스피커는 음악의 감동을 전달해 주는 가장 직접적인 기기입니다. 하지만, 우리나라와 같이 아파트나 여러 세대가 공동으로 거주하는 형태에서는 층간 혹은 벽간 소음 문제 때문에 스피커를 통해 제대로 된 음악 감상을 하기는 쉽지 않습니다. 또한 책상에서 감상하는 니어필드 스피커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스피커에서 전달하는 직접 음보다는 간접음을 더 많이 듣게 되는데 일반 가정집에서 제대로 된 룸 튜닝을 하는 것은 좀처럼 쉽지 않은 작업입니다. 이러한 공간의 제약에서 벗어나 비록 스피커보다는 부족하지만, 이어폰보다는 풍성하고 입체감 있는 사운드를 감상할 수 있는 것이 유선 헤드폰입니다. 다이나믹 헤드폰이 발명된지는 약 100년 정도 되었지만, 최근 몇 년 동안에 고음질 유선 헤드폰 업계에도 비약적인 기술발전이 이루어졌다고 생각합니다. 그럼, 고음질 유선헤드폰을 구입 시 고려 사항과 함께 가격대별 추천 제품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고음

e-earphone에서 베이어다이나믹 T5 3세대 정품 밸런스드 케이블 구입 후기 [내부링크]

밸런스드 헤드폰 케이블이란? 일반적인으로 유선 헤드폰에 많이 사용되는 3.5mm나 6.35mm 단자의 경우에는 음향신호를 좌우 채널로만 나누어서 전송하게 됩니다. 하지만 4.4mm 나 2.5mm 밸런스드 케이블의 경우에는 하나의 채널을 다시 정상파형과 정상파형의 위상을 반전시킨 역상 파형으로 각각 전송하게 됩니다. 이렇게 하나의 채널을 두개로 나누어 전송하게 되면 전송 중 노이즈나 왜곡이 발생했을 때 두 개의 파형을 합치면 노이즈나 왜곡이 상쇄되고 원래의 신호만이 남게 되는 방식을 밸런스드 전송 방식이라고 합니다. 이 방식을 채택한 밸런스드 헤드폰 케이블은 시중에 크게 4pin XLR, 4.4mm, 2, 5mm의 3가지 방식이 존재하고 있습니다. 4.4mm 밸런스드 Vs 3,5mm 3극 밸런스드 헤드폰 케이블의 장점 밸런스드 헤드폰 케이블의 장점은 크게 두 가지로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1. 출력이 향상 밸런스드 케이블은 일반 케이블보다 출력이 두 배 높습니다. 이는 밸런스드 케이

TV에서 무선 넷플릭스 공간음향 구현 방법 [내부링크]

공간음향 (Spatial Audio) 기술은 청자를 중심으로 360도 전 방향에서 소리를 전달하고자 하는 기술로 소리의 위치와 움직임, 공간감을 재현하는 할 수 있습니다. 홈시어터에서 많이 사용되는 5.1 채널 서라운드 기술과의 차이점은 크게 다음과 같습니다. 공간음향은 좌/우 두 개의 이어폰/ 헤드폰에서 구현이 가능하며 가상의 입체음향 사운드를 재현 가정용 홈시어터 시스템에서 많이 사용되는 5.1 채널 서라운드 기술 같은 경우 총 5개의 스피커가 앞, 뒤에 배치되어 각 스피커에서 해당 위치의 소리가 나오게 되나, 공간음향 기술은 일반적인 헤드폰이나 이어폰에서도 구현이 가능합니다. PC용 게이밍 헤드폰 등에서 다양한 공간음향 기술들이 사용되어 왔는데, 애플에서 머리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공간을 표현해 주는 애플의 공간음향 기술로 발전시키고, 애플 뮤직, 애플TV 등의 다양한 음악, 영상에 이 기술이 접목되면서 과거 게임에 국한되어 사용돼 왔을 때 보다 좀 더 활성화가 되었습니다. 넷플

오타니헤드폰 ,에어팟 맥스의 대안, 비츠 스튜디오 프로 리뷰 [내부링크]

애플의 에어팟 맥스 블루투스 헤드폰은 뛰어난 디자인과 강력한 액티브 노이즈 캔슬링 기능, 그리고 무선으로 돌비 애트모스를 지원하는 공간음향 기능의 성능은 매우 우수하나, 사운드 대비 지나치게 높은 가격과 출시된 지 오래돼서 곧 후속작이 나올 것이라는 점 때문에 구매를 망설이게 합니다. 그런데 층간 소음이나 저녁에 다른 가족들 때문에 현실적으로 큰 볼륨으로 영상 시청이 어려운 분들을 위해서 애플의 애플TV 4K 셋탑박스와 에어팟 맥스를 활용하게 되면 무선으로 TV에서 돌비 애트모스를 공간음향으로 감상하게 해주는 최적의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저도 애플TV 4K를 활용하여 일반 블루투스 헤드폰을 활용해서 영상 시청을 해왔는데 아무래도 애플TV, 넷플릭스, 디즈니+의 돌비 애트모스를 공간음향을 제대로 감상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습니다. 작년 말 애플의 비츠에서는 "비츠 스튜디오 프로"라는 블루투스 헤드폰을 출시하였는데 애플의 H1 칩을 사용하지 않지만 애플의 공간음향을 지원하고 애플

안정적인 오디오 전원 어댑터, iFi iPower2 Vs iPowerX [내부링크]

오디오 기기에서 전원의 중요성은 따로 말할 필요가 없이 매우 중요한 항목 중 하나입니다. DAC , 헤드폰 앰프 위주로 음악 감상을 주로 하고 있는 필자에게도 각 기기의 전원은 큰 역할을 한다고 생각합니다. 고가의 하이엔드 DAC나 헤드폰 앰프들은 리니어 전원부를 사용하여, AC 전원을 자체 박스에서 DC로 변환하여 사용하나, 중저가의 가성비 제품들은 고가의 리니어 전원이 아닌 가성비 높은 SMPS 방식의 전원 어댑터를 보통 사용하고 있습니다. SMPS 방식의 전원 어댑터는 가격이 싼 장점이 있지만 스위칭 방식으로 직류를 얻는 과정에서 전자기 간섭이 발생되는 노이즈를 발생시키고 이 노이즈가 전원 선을 통해 오디오 기기에 유입되어 음질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SMPS 방식을 적용한 오디오 제조사들은 영국의 CHORD와 같이 기기 자체의 노이즈 방지 및 전원 보상회로를 탑재하여 자신들이 제공한 전원 어댑터를 사용할 것을 권장하는 회사들도 있지만, 대부분의 중저가 오디오 제

24년 봄 거치형 DAC 고급기 추천 [내부링크]

앞선 몇 번의 글에서 스트리밍으로 대변되는 디지털 음악 감상을 좀 더 고음질로 감상하기 위한 장치로 DAC (Digital Analog Converter)를 DAC 종류, DAC 선정 시 고려 사항 등 여러 각도에서 소개 드려 왔습니다. 이번 글에서 24년 봄인 현시점에서 거치형 DAC 중에서 입문기를 벗어난 본격적인 고급기에는 어떤 제품들이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현재 시장의 거치형 DAC는 제가 보기에는 크게 다음과 같은 가격대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1. 프리미엄 고가의 HiFi 오디오 시스템용으로 최소 500만 원에서 수천만 원의 가격대를 형성하고 있으며 dCS, Weiss, Bricasty , TAD , Chord, CH Precision , Bel Canto , Lumin, Merdian, TAD , T+A 등의 브랜드에서 다양한 제품들을 출시하고 있습니다. ESS나 AKM의 상용칩보다는 R2R이나 독자 FPGA 등을 기반으로 브랜드 고유의 사운드를 내어주는 것이 특

24년 10만 원대 입문용 거치형 DAC 추천 [내부링크]

앞선 여러 번의 DAC 리뷰에서 DAC의 종류가 다양하게 있지만, 물리적인 형태로 크게 나누어 보면 거치형, 배터리 내장형 휴대용 그리고 꼬다리형태의 제품으로 나누어 볼 수 있고, 음질 좋은 DAC의 선정 시 고려 사항으로 해상도, 지원 음원, 아날로그 출력, 음색, 입출력 단자 등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고 말씀드린 적이 있습니다. 스마트폰에서 음악 감상을 블루투스 이어폰으로 하시다가 유선 이어폰으로 입문하시면서 첫 번째 사용해 보시는 것은 꼬다리형 DAC가 많습니다. 최근에는 3만 원대부터 수십만 원의 프리미엄 꼬다리형 DAC까지 다양한 중국의 차이 파이 제품들이 시중에 출시되고 있습니다. 그런데 꼬다리형DAC의 가장 큰 문제 중의 하나는 자체 전원이 없고 스마트폰이나 PC의 전원을 USB-C 포트나 라이트닝 포트를 통해 공급받는다는 것입니다. 오디오 기기의 전원의 중요성은 따로 강조할 필요 없이 음질에 큰 영향을 주게 되는데 스마트폰이나 PC 모두 고주파 노이즈가 전원에 섞이게

2024년 바라본 코드 휴고2 장점과 단점 [내부링크]

2018년부터 국내에 판매되기 시작한 영국 코드의 휴고2는 뿌연 장막을 걷어낸 것 같은 높은 해상도와 다른 DAC와 달리 DAC 과정을 독자 FPGA로 구현하고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할 때 디지털 신호의 부족한 부문을 메꾸어 주는 보간 필터가 4만 9천 개 이상 있어 좀 더 아날로그적인 사운드를 들려주는 매력적인 제품입니다. 코드 휴고2 이 제품을 써오면서 2024년 현시점에서의 장점과 단점 및 이의 해결 방안에 대해서 공유드리고자 합니다. 코드 휴고2의 장점 1. 뛰어난 음질과 코드 특유의 매력적인 음색 DAVE라는 코드의 DAC 기함의 많은 기술들이 접목된 휴고2는 배터리 전원, 헤드폰 앰프 등을 탑재한 올인원 박스로서 PCM은 32bit/768khz, DSD는 512까지 지원하여 2024년 현시점의 프리미엄 DAC 들과 비교해도 손색이 없으며 현존하는 대부분의 상업용 음원을 재생하거나 스트리밍 서비스를 지원하는데 큰 문제가 없습니다. 2. 출시가 보다 할인이 많이

디테일링 세차예약 플랫폼, 오토카지 실내세차 [내부링크]

차량을 새롭게 구입하시는 분들이 관심 있는 분야 중 하나는 구입 시의 차량 컨디션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세차입니다. 많은 분들이 주유 시 주유소에 같이 있는 기계식 세차장을 활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고급차세차 나 실내세차가 필요한 경우에는 기계실 세차장에서는 처리가 제대로 안되는 단점이 있습니다. 몇 년 전부터 이러한 고급차세차 위주로 전문적인 세차가 가능한 디테일링 실내세차 전문점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자동차 디테일링 세차란, 자동차의 내부와 외부를 전문적인 기술과 제품을 사용하여 깨끗하고 보호하는 세차 방법입니다. 일반적인 세차와는 달리, 눈에 보이지 않는 오염물까지 제거하고, 차량의 표면을 광택과 코팅으로 마무리하여 새 차와 같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디테일링 세차는 다음과 같은 이유로 필요합니다. - 자동차의 내구성과 가치를 높여줍니다. 자동차는 외부 환경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도색이나 플라스틱 부품이 햇빛, 비, 눈, 모래, 먼지, 타르, 철분 등에 의해

[2023 마이 블로그 리포트] 데이터로 알아보는 블로그 속 숨은 직업 찾기! [내부링크]

올 한해도 주 1회 발행을 할수 있어 다행이었습니다. 부족한 내용을 5만명 넘게 방문해 주신 분들에게 감사의 말씀을 올립니다. 2023 마이 블로그 리포트 올해 블로거들의 직업을 공개합니다! 내 직업 확인하고, 2024년 행운도 뽑아보세요! https://mkt.naver.com/p1/2023myblogreport

맥세이프 차량용 거치대를 포함하는 코딩 맥인카 차량용 충전기 리뷰 [내부링크]

아이폰 12부터 탑재된 애플의 무선 충전 기술인 "맥세이프"는 최근 아이폰 15까지 지속적으로 탑재되면서 이를 지원하는 다양한 주변기기들이 생겨나고 있습니다. 가장 대표적인 주변 기기로는 맥세이프 호환 카드 지갑, 책상용 무선 충전기, 차량용 무선 충전기 등을 들 수 있습니다. 특히 맥세이프 차량용 충전기의 경우에는 초기에는 자력이 약해서 주행 중에 도로의 요철을 넘거나 할 때 쉽게 분리되는 제품들도 있었지만, 최근에는 맥세이프로의 자력을 대폭 강화하여 과속방지턱에서도 흔들림 없이 안정적인 충전이 가능하고, 무선 충전의 불편사항 중 하나인 발열을 개선한 제품들이 많이 출시되고 있습니다. 이번에 맥세이프 차량용 충전기 중에서 성능이 개선된 "코딩 맥인카 차량용 충전기"를 구입하여 리뷰한 내용을 공유드리고자 합니다. Unbox "코딩 맥인카 차량용 충전기"의 전면 박스는 마치 애플 제품의 박스와 유사하게 해상도 높은 제품 사진과 깔끔한 하얀색 배경으로 되어 있습니다. 코딩 맥세이프 차량

창업자를 위한 마케팅 공부, 정세윤의 "생존패키지" [내부링크]

새로 사업을 창업하신 분들이거나 창업을 준비하시는 분, 그리고 사업을 하고 있지만 몇 년째 정체기를 겪고 계시는 분들이라면 한 번쯤 마케팅에 관심을 가져보신 적이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시중의 마케팅 관련 서적은 MBA의 교재로 실전에 바로 써먹기에는 너무 이론에 치중한 내용들이 많은 것이 현실입니다. 이러한 사업하시는 분들에게 제일 중요한 것 중 하나인 마케팅을 가장 쉽고 알차게 배울 수 있는 내용이 있어 소개하고자 합니다. 한번 학습으로 평생 내 실력으로 내재화되고 와디즈에서 1억 이상 팔린 강의라고 좀 더 믿음이 생깁니다. 현재는 와 디즈에서 12월 19일까지 펀딩이 일단 끝나고 재오픈 신청 만을 받고 있는 상황입니다. 매출 발생의 근간이 되는 마케팅 핵심 원리와 실전 노하우를 초보자의 눈높이에 맞춰진 생존 패키지는 비즈니스의 본질을 쉽고, 명료하게 풀어낸 "생존비기" 전자책, 마케팅 매출 발생에 필요한 핵심 비법만을 담은 "생존 노트" 전자책 중심으로 구성돼 있습니다. 생존

비닐하우스열풍기에 적합한 웰템 산업용열풍기 [내부링크]

전기열풍기는 공기를 가열하여 따뜻한 바람을 내보내는 난방기기로, 넓은 공간이나 특수한 환경에서 난방이 필요한 경우에 사용됩니다. 산업용열풍기는 다음과 같은 경우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습니다. 산업용열풍기는 다른 난방 기기에 비해 빠르고 강력하게 공간을 따뜻하게 할 수 있습니다. 전기열풍기는 공기를 빠르게 가열하여 바로 따뜻한 바람을 내보내기 때문에, 작동 시 바로 난방 효과를 느낄 수 있습니다. 또한, 전기열풍기는 강력한 송풍력을 가지고 있어, 넓은 공간이나 돌출몰이 있는 부분에도 골고루 따뜻한 바람을 전달할 수 있습니다. 산업용열풍기는 다양한 환경에 적용할 수 있습니다. 전기열풍기는 전기 콘센트만 있으면 어디서든 사용할 수 있어서, 설치나 연결에 별도의 비용이 들지 않습니다. 또한, 전기열풍기는 작고 가벼워서 이동이 쉽고, 다양한 기능과 디자인을 가지고 있습니다. 산업용열풍기는 농업, 건설, 도장, 건조, 실내 난방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산업용열풍기를 구

2024년 aptX Lossless 제품 본격 출시로 블루투스도 무손실로 감상 가능 [내부링크]

스마트폰과 함께 많은 분들이 휴대하시는 제품으로는 블루투스 이어폰이나 헤드폰이 있습니다. 편리한 블루투스 이어폰이나 헤드폰에도 연결 끊김, 유선보다 음질 저하, 배터리 사용시간 등의 문제점이 있었는데 최근 출시되는 제품들은 연결 끊김이나 배터리 사용 시간에 있어서는 많은 기술발전이 있었으나, 유선 보다 부족한 음질 개선에는 손실 압축이라는 한계가 있었습니다. 그동안은 블루투스의 적은 대역폭에서 그동안 가장 고음질로 음악 감상을 할 수 있었던 것은 소니의 LDAC이나 퀄컴의 aptX Adaptive 코덱을 사용하여 최대 24bit/96Khz까지의 디지털 음원을 손실 압축 방식으로 처리할 수 있었습니다. 이마저 소니의 LDAC는 소니의 라이선스 인증기간과 비용이 발생하여 이를 탑재한 블루투스 이어폰이나 헤드폰이 한정적이었고, 최고 음질인 990kbps의 속도에서는 사람이 많은 대중교통 등에서는 끊김이 많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습니다. Software로 구현되는 LDAC과 달리 퀄컴의 블

애플TV 4K에서 타이달 사용 매뉴얼 [내부링크]

애플TV 4K는 스마트TV를 보유하지 않은 일반 TV를 보유한 분들이 손쉽게 애플TV, 애플 뮤직, 애플 아케이드 같은 애플의 서비스를 이용하거나 아이폰, 아이패드, 맥북과 에어플레이2를 통해 손쉽게 Content를 공유할 수 있는 유용한 제품입니다. 특히 돌비 애트모스를 블루투스로 지원하기 때문에 에어팟 3 나 에어팟 프로, 에어팟 맥스나 비츠의 돌비애트모스를 지원하는 무선 이어폰이나 무선 헤드폰이 있는 경우 손쉽게 돌비 애트모스 감상이 가능합니다. 또한 애플의 홈 팟 스피커가 연결되어 있으면 TV와 eARC/ARC 연결을 통해 TV의 사운드를 홈 팟에서도 감상이 가능하게 됩니다. 애플TV 4K의 뛰어난 화질과 돌비 애트모스 처리 능력 때문에 오디오/비디오 마니아 분들 중에서는 애플TV 4K 셋탑박스를 소스 기기로 활용하여 AV 센터나 하이파이 오디오에 연결하여 영상과 사운드를 감상하시는 분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애플TV 4K의 문제점 이 제품의 문제점은 애플 계정을 기반으로 동

스마트폰을 하이파이로 활용할 수 있는 꼬다리 DAC 입문기 추천 [내부링크]

꼬다리DAC란 무엇인가? 꼬다리DAC란 스마트폰의 3.5mm 오디오잭이 사라지게 되면서, 유선 이어폰과 유선 헤드폰을 연결하는 목적으로 만들어지게 되었습니다. 가장 대표적인 제품으로는 아이폰이 3.5mm 잭을 제거하면서 내놓은 애플의 "라이트닝 - 3.5mm 헤드폰 잭 어댑터"가 있습니다. 이후 삼성도 갤럭시 스마트폰에서 USB-C 단자만을 남겨 놓게 되면서, "USB-C to 3.5mm 오디오 잭 어댑터"라는 이름으로 나오게 됩니다. 꼬다리DAC는 마치 생김이 꼬다리 같다고 붙여진 이름으로 젠더, 어댑터, 동글 등의 이름으로도 불리고 있습니다. 애플 라이트닝 3.5mm 헤드폰 잭 어댑터 Vs 삼성 USB C to 3.5 mm 오디오 잭 어댑터 꼬다리DAC의 기능은 USB나 블루투스 같은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Digital to Analog Converter (DAC)" 역할과 변환된 아날로그 신호를 증폭하는 헤드폰 앰프 기능이 합쳐진 제품으로 스마트폰이나

애플뮤직 고해상도 무손실 소스 기기 추천 [내부링크]

국내 음악 스트리밍 시장은 유튜브 뮤직, 멜론 같은 서비스가 시장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본격적인 고음질 음악 감상을 취미로 하시는 분들에게는 유튜브 뮤직은 손실 음원만 서비스하고 있고, 멜론, 지니, 벅스 같은 국내 서비스는 무손실 음원 서비스를 하지만, 국내 가요 위주이고 서비스에 따라 일반 요금제 보다 비싼 요금을 지불해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고음질 음원 서비스를 주력하는 하는 타이달이나 코부즈 서비스의 경우에는 국내에 공식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아 해외 계정으로 가입을 해야 하는 불편함과 함께 국내 가요의 경우에는 CD 이상의 음질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애플뮤직의 경우는 CD 음질인 16bit/44.1Khz ~ 24bit/48Khz까지의 "무손실음원"을 대부분 기본적으로 제공하고, 24bit/96Khz ~ 192Khz의 고해상도 무손실 음원도 꽤 많은 곡들을 기본요금제에서 서비스한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특히 가요, Jazz, J-POP을 위주

MAXTILL GM-GHC100 C타입 7.1채널 RGB 올인원 게이밍 헤드셋 리뷰 [내부링크]

"게이밍헤드셋"은 기본적으로 헤드폰을 기반으로 한 제품이지만 몇 가지 차이점이 있습니다. 마이크 유무 "게이밍헤드셋"은 게임을 하면서 음성 채팅을 하기 위해서 기본적으로 마이크가 장착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일반적인 음악 감상이나 영화 감상을 위한 헤드폰의 경우에는 유선의 경우에는 대부분 마이크가 제외되어 있고, 무선의 경우에는 전화 통화를 위해 마이크가 내장되어 있습니다. 2. 소리의 방향성 FPS 게임을 하시는 분이라면 "사플" (Sound Play의 줄임말)이라는 단어를 들어 보셨을 것입니다. FPS 게임에서는 날라오는 총알의 방향이나 적의 움직임 등을 잘 파악하는 것이 중요한데, "게이밍 헤드셋"의 경우는 소리의 방향성을 강조해서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적의 위치를 파악하는데 유리합니다. 하지만, 이 소리의 방향성을 강조한다는 것이 음악이나 영상을 감상할 시에는 원래 소리를 왜곡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대부분의 입문용 게이밍헤드셋"으로는 고해상도 무손실 음악 감상용으로는 적절하지

5월종합소득세신고를 스스로, 예스폼 간편장부 프로그램 엑셀 리뷰 [내부링크]

매년 5월이 되면, 회사원이 아닌 자영업자나, 회사원이라도 부가적인 수입이 있으신 분들은 5월종합소득세신고를 해야 합니다. 회사원들은 추가 수입이 많지 않은 경우, 국세청 홈페이지를 통해 간단하게 신고가 가능하지만, 매일 사업을 하시는 개인이나 소규모 자영업자분들에게는 5월종합소득세신고는 결코 간단한 일이 아닙니다. 예스폼은 2003년에 설립된 업계 1위의 문서 양식 사이트인데, 개인이나 소규모 사업자분들이 회계적인 전문지식이 없더라도 쉽게 마이크로소프트의 엑셀을 활용하여 업무를 처리할 수 있게 "엑셀 공작소"를 설립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간편장부 프로그램"은 이 예스폼의 "엑셀공작소"의 제품 중 하나로 개인이나 소규모 사업자가 수입과 지출의 발생 현황을 일자별로 간단하게 기록만 하면 회계지식이 없어도 쉽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제작된 프로그램입니다. 그런데 "간편장부기입"를 사용할 수 있는 사업자는 모든 사업자가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니고 업종별로 다음과 같은 제한이

냉각쿨링 맥세이프차량충전기, 파워윈 맥세이프 블리자드 3in1 고속 무선충전거치대 리뷰 [내부링크]

애플의 아이폰과 에어팟을 위한 "맥세이프" 무선 충전 기술은 기존의 무선 충전 기술이 충전기의 코일이 제대로 정렬되지 않는 경우 충전 효율이 떨어지거나 충전이 아예 진행되지 않아 사용자가 기기와 충전기의 위치를 수동으로 재조정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결하는 것을 목표로 지난 2021년 아이폰 12부터 탑재된 기술입니다. 애플은 "맥세이프"를 무선 충전 기술뿐만 아니라, 자석을 위한 지갑과 거치대 등에 활용하여 다양한 액세서리를 선보였고, 수많은 업체들이 맥세이프를 활용한 다양한 액세서리들을 시중에 선보이고 있습니다. 차량에서도 스마트폰을 내비게이션으로 활용하는 경우가 많아, 내비게이션과 함께 무선 충전 거치대가 다양한 제품들이 출시되었는데, 이러한 무선 충전 거치대의 단점은 장시간 내비게이션을 사용하면서 충전을 하거나, 여름과 같이 기온이 상승하여 차량 Dash Board 쪽에 기온이 올라가는 경우에는 무선 충전기와 스마트폰의 온도가 높아져 제대로 무선 충전이 안 되는 경우가 발생하였습

아이폰15용 CtoC케이블,아트뮤 실키 초고속충전케이블 리뷰 [내부링크]

안드로이드폰에서는 예전부터 사용돼 오던 USB-C to C 케이블이 올해 발표된 아이폰 15에 적용되면서, 아이폰 15 시리즈나 아이폰 15 프로 시리즈를 구입하신 분들은 기존의 아이폰에서 사용하였던 라이트닝 케이블에서 USB-C 케이블로 교체해야 합니다. 하지만 같은 USB-C 단자라도 USB 스펙과 탑재하는 기기에 따라, 데이터 전송속도, 충전 용량, 영상전송의 해상도 등이 다르고,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수많은 USB CtoC케이블도 데이터 전송만 가능한 케이블, 충전만 되는 케이블, 데이터 전송 속도와 충전용량이 다양한 케이블, 4K 해상도 전송이 가능한 케이블, 이 모두를 지원하는 USB 4 나 선더볼트 케이블처럼 수많은 종류의 USB CtoC케이블이 존재하기 때문에 자신의 기기 스펙을 정확히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고, USB C 충전기도 CtoC케이블과 기기의 스펙과 맞추는 것이 필요합니다. 예를 들면, 아이폰 15 시리즈와 와 아이폰 15 프로 시리즈에서 사용되는 USB C

안드로이드 외장형ODD, HLDS GPM1NB10 리뷰 [내부링크]

ODD는 "Optical Disc Drive"의 약자로 음악 CD, DVD , 데이터 CD/DVD 등을 읽거나 쓸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합니다. 과거 ODD는 컴퓨터의 기본 보조 기억장치로 거의 모든 데스크톱에 장착되어 있었으나, 이제 음악이나 영화/드라마 등을 모두 스트리밍으로 보는 시대가 되었고, 데이터도 USB 메모리나 외장 HDD의 가격이 저렴해졌고, 클라우드 서비스를 사용하시는 분도 많아져서 ODD는 새로운 컴퓨터에서는 거의 자취를 감추고 있습니다. 하지만 오랜 기간 동안 취미생활로 음악 CD를 수집해온 필자처럼, 아직도 많은 분들이 CD와 DVD 등의 저장 매체를 보유하고 계신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분들은 CD플레이어나 DVD 플레이어처럼 전용 재생장치가 없는 경우에는 최근 PC나 노트북, 태블릿, 혹은 안드로이드 스마트 TV 등에서 보유한 음악CD나 DVD를 재생하는 것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아직까지 HiFi Audio 업체 중에서는 일부 업체만이 CD와 SACD

무인 공유오피스 창업, 제로아이즈 무인매장솔루션 X 워크히어24 리뷰 [내부링크]

집 주위의 가계들이 더 이상 사람이 주문을 받지 않고 키오스크를 설치한 곳이 점점 더 늘어나고 있고 아예 사람이 없는 무인카페 나 무인 편의점들도 하나둘씩 생겨나고 있습니다. 이러한 무인가게들이 생겨나면서 무인가게를 운영할 수 있는 솔루션들도 다양하게 출시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무인가게를 운영할 수 있는 솔루션중 하나인 "제로아이즈"는 이용권 기반의 무인 매장 운영 서비스로 현재 전국 450여 개의 가맹점에서 24시간 무인으로 운영되고 있는데, 고객에게는 키오스크와 모바일앱을, 점주에게는 관리자 페이지와 매장 내 IoT 제어를 통합 제공하고 있습니다. "제로아이즈"는 자체 전문 역량을 가진 기획/디자인/개발/데이터 분석 팀을 보유하여 모든 S/W를 100% 자체 개발하고 있는데, 2019년 6월 첫 가맹점이 생긴 이후로 4년간 매년 140% 성장, 약 80만 명의 고객들이 제로아이즈를 체험해 보았습니다. 2023년 5월 기준으로는 한 달에 약 5만 명의 신규 고객들이 제로아이즈를 경

IT개발자를 위한 시작, 국비지원/취업까지 디벨로켓 [내부링크]

최근 기업들이 신성장 동력으로 이야기하는 AI, 바이오, 클린 에너지 (전기/수소 등), 반도체 등의 분야에서 꼭 필요한 기본이 있다면 SW 및 IT개발자들입니다. 이제는 대기업부터 스타트업, 심지어 1인 기업까지 IT 기술이 적용되지 않는 곳이 없으며, 이렇게 많은 분야에서 IT 개발자가 필요하기 때문에 대학의 정규 과정뿐만 아니라, 전문 학원을 통해서도 다양한 교육 및 취업까지 비전공자도 IT 개발자가 될 수 있는 기회가 있습니다. "경일 게임아카데미"는 고용노동부와 한국직업 능력 심사평가원을 통해 전국에서 단 43개의 디지털 혁신 교육 중 하나로 선정되었으며 블록체인, AI, 메타버스, 웹 개발까지 확장하여 기업과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문제 해결이 강한 실무중심적인 인재를 육성하여 "2023년 K-DIGITAL TRAIING 최우수 훈련 기관"을 획득하였습니다. 이러한 "경일 게임아카데미"의 IT개발자 육성을 위한 브랜드가 "디벨로켓"입니다. 디벨로켓 브랜 디벨로켓 위치 "디벨

가성비태블릿, 레노버 P12 내수용 반글화 매뉴얼 [내부링크]

레노버 P 시리즈는 10만 원대의 가성비 태블릿 중에서도 가장 제품 완성도가 높은 제품 중 하나로 많은 분들이 유튜브나 넷플릭스를 시청하거나 자녀분들의 첫 번째 태블릿으로 선택하는 제품입니다. 몇 년 전에는 아마존의 Fire HD 10 태블릿이 아마존 프라임 데이 할인을 하게 되면 한국 배송비까지 10만 원이 안돼 많은 인기를 끌었는데, RAM이 부족하고 두께가 너무 두껍고 무게가 나가는 단점이 있었습니다. 레노버 P 시리즈는 P11부터 슬림한 디자인과 넉넉한 하드웨어 스펙으로 많은 인기를 끌었고, 최근에는 후속작인 P12가 퀄컴 AP를 탑재하고도 10만 원 초반대에 전용 케이스까지 포함하여 구입할 수 있게 할인을 하고 있습니다. 저도 최근에 4GB/128GB 내수용 제품을 구입하여 한글화하는 과정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레노버 P12는 "중국 내수용 제품" 과 "글로벌 ROM" 제품으로 나눌 수 있는데, "글로벌 ROM"제품은 별도의 한글화 과정 없이 설정에서 바로 사용할 수 있지만

에어팟리퍼 서비스, 리팟 후기 [내부링크]

애플 아이폰을 사용하시는 분들에게는 이제는 필수품이 되어 버린 에어팟은 배터리가 내장된 제품이라 구입한지 1년이 넘게 되면 배터리의 성능이 떨어지게 됩니다. 배터리의 성능이 80% 미만이 될 경우에는 소비자가 인지할 수 있을 만큼, 평소보다 끊김이 많아지거나, 잘 연결이 안 되거나, 충전이 100% 안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습니다. 에어팟을 구입 시 애플케어를 같이 가입하신 경우에는 기본 무상 서비스 기간인 1년 이후에도 최대 2년까지는 이러한 배터리의 문제가 생기면 무상으로 교체가 가능하나, 애플케어를 가입하지 않거나, 기본 무상 서비스 기간이 종료된 경우에는 에어팟프로 1세대 기준으로 이어버드 한쪽에 15만 원씩, 케이스 15만 원까지 전체를 다 교체하게 되면 총 45만 원의 비용이 발생되어 제품을 새로 구입하는 것보다 서비스 비용이 더 나오게 됩니다. 에어팟리퍼 서비스, 리팟 이러한 서비스 기간이 종료된 에어팟의 서비스를 위해 "에어팟 반값 수리"를 슬로건으로 내건 애플 출신

[20.Blog] 기록이 쌓이면 역사 된다 [내부링크]

특정 주제에 대해 지속적인 기록은 결국 해당 분야의 역사가 된다고 생각 합니다 네이버 블로그 20주년 캠페인 기록이 쌓이면 뭐든 된다! 모든 기록이 뭐든 될 수 있는 곳, 블로그 https://mkt.naver.com/p1/blog-20th-anniversary

[20.Blog] 10월 27일 오늘의 블로깅 [내부링크]

오늘의 식사 저녁은 간단하게 샐러드 네이버 블로그 20주년 캠페인 기록이 쌓이면 뭐든 된다! 모든 기록이 뭐든 될 수 있는 곳, 블로그 https://mkt.naver.com/p1/blog-20th-anniversary

PCIe4.0 SSD, 이메이션 Z971 M.2 NVMe 1TB 리뷰 [내부링크]

주요 반도체 업체들이 가격 방어를 위해 감산이 진행 중이고, 삼성전자의 경우는 메모리의 가격을 상승시키고 있습니다. 그동안 DRAM과 SSD의 가격이 낮아져 컴퓨터를 업그레이드하기에 좋은 시기였는데, 올가을이 현재로서는 그 마지막 시기가 될지도 모를 것 같습니다. 이번에 3M에서 분리된 데이터 저장 및 이미징 전문 브랜드인 "이메이션"의 M.2 NVMe SSD 1TB를 리뷰할 기회가 생겨 후기를 공유드리고자 합니다. 현재 시중에는 "이메이션"의 최신 M.2 NVME SSD 라인업 중 PCIe4.0을 지원하는 제품은 최고 읽기 속도가 7,000MB/s인 "Z991"이고 "Z991" 히트싱크가 부착된 제품도 있습니다. "이메이션"의 "Z971"은 PCIe4.0을 지원하는 DRAM이 없는 TLC 기반의 갓성비SSD로 최대 읽기 속도는 "Z991"보다는 부족하지만 최대 읽기 속도는 "5,100MB/s", 최대 쓰기 속도는 4,700MB/s로 안정성과 빠른 속도를 지원하여 일반적인 게이밍 S

슬림 하고 가벼운 Gan충전기, 아트뮤 GC620 [내부링크]

아이폰 15의 충전 포트가 USB-C로 변경되면서 USB-PD 충전기가 이제는 스마트폰뿐만 아니라, 태블릿, 노트북까지 하나의 충전기로 사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스마트폰의 경우 20~30W의 충전기로도 충분하지만, 일반 노트북까지 충전하려면 65W 급의 충전기가 필요한데, 최근에는 질화 갈륨(GaN)을 적용하여 소형 경량화된 제품들이 다양하게 출시되고 있습니다. 이전에 아트뮤의 질화 갈륨을 적용하고, 접지까지 가능한 75W급 3포트와 65W급 2포트 충전기들을 리뷰 하였었는데, 이번에도 접지가 가능한 65W급 GaN 충전기인 "GC620"을 리뷰할 기회가 생겨 검토한 내용을 공유드리고자 합니다. 아트뮤 65W ~75W GaN 충전기 아트뮤 "GC620"의 경우 같은 65W 지만 USB-C 포트가 2포트인 "GC820"과 박스 사이즈가 동일하고 포트 수만 1개로 변경된 제품이고, 75W 급 3포 제품인 "GE920"과 비교해 보면, 전체 길이는 약간 길지만, 폭이 좀 더 슬림 합니

좀비베리아 아마존 FireHD10 퓨어 저반사 보호필름 리뷰 [내부링크]

아이패드와 달리 10만 원대의 안드로이드 타블렛들의 대부분의 용도는 유튜브, 넷플릭스와 같은 동영상 시청이나, 이북과 같은 전자책의 용도가 크다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앞선 두 가지 용도가 클 경우, 보호필름을 선택할 때 고민이 생기게 됩니다. 동영상 시청에는 타블렛 LCD의 밝기를 최대한 손상되지 않는 투명한 보호필름이 좋고, 전자책을 사용할 경우에는 아무래도 타블렛 LCD의 빛 반사를 최소화해 줄 수 있는 저반사 필름이 좋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일반적인 저반사 필름의 경우에는 동영상 시청 시 아무래도 LCD의 선명한 최고 화질을 보여주기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보호필름을 전문적으로 취급하는 업체들에서는 이러한 소비자의 Needs를 만족시키기 위해서, 적당한 빛 반사 차단의 저반사 종이 질감과 동영상 시청 시의 선명한 화질을 모두 만족시키는 보호필름들을 출시하고 있는데, 이번에 이러한 두 가지 특성을 모두 가지는 "좀비베리어"의 "퓨어 저반사 지문방지" 보호필름을 리뷰할 기회가 있어

중급기 저음괴물, Fiio FH7s 후기 [내부링크]

중국의 오디오 브랜드를 의미하는 "차이 파이"의 대표주자 중 한 회사인 Fiio는 국내에는 가성비가 매우 좋은 DAP와 BTR7이나 BTA30Pro와 같은 블루투스 송수신기나 블루투스 휴대용 앰프로 유명한 브랜드입니다. Fiio에서는 DAP나 블루투스 기기 외에도 다양한 이어폰을 출시하고 있고, 최근에는 헤드폰과 액티브 스피커까지 제품 라인업을 다양화하고 있습니다. Fiio의 이어폰들은 국내보다 먼저 이어폰의 본고장인 일본에서 높은 가성비의 평가를 받았고, 최근에는 VGP 나 HiVi의 입문기 뿐만 아니라 중/고급기에서도 높은 평가를 받기 시작하였습니다. Fiio의 FH7s는 다이나믹 드라이버와 BA 드라이버가 혼합된 형태의 제품으로 출시된지는 약 1년 가까이 된 제품입니다. 이전 제 블로그에서 출시 정보를 소개해 드렸는데, 이번에 중고로 저렴한 가격에 구입할 수 있어서 사용 후기를 공유드리고자 합니다. 첫인상 잘 알려진 것처럼 Fiio FH7s의 이어폰 디자인은 일반적인 유선 이어

가정용 WIFI6 인터넷공유기, 넷기어 RAX10 사용 후기 [내부링크]

물, 공기, 태양과 함께 현대인에 있어 없어서는 안 될 것이 인터넷이 되었습니다. 저희 가족들은 각자 스마트폰, 아이패드, 노트북과 PC를 모두 가지고 있고, 집에 있으면 항상 WIFI에 연결하여 이들 기기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대부분의 분들이 KT, SKT, LG U+ 같은 통신 사업자들의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하면서 WIFI가 필요한 경우, 통신 사업자의 무선공유기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통신사의 공유기를 사용하게 되면, 매달 공유기 사용료를 추가로 부담해야 하는 단점이 있고, 최신의 무선 공유 기술을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어, 별도로 인터넷공유기를 구입하시는 분들도 있습니다. 이번에 넷기어의 가정용 WIFI6 인터넷 공유기인 RAX10을 체험할 기회가 생겨 그 내용을 공유드리고자 합니다. 우선 WIFI6가 이전 버전의 무선랜과 차이점이 무엇인지를 확인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Wi-Fi"라는 용어 자체는 비영리 기관인 "Wi-Fi Alliance"에서 만들고 관리하고 있는

65W 접지충전기, 아트뮤 GC820 후기 [내부링크]

금속 재질의 노트북을 만질 때 전기가 찌릿하거나, 터치가 되는 펜을 아이패드나 터치가 되는 노트북에 사용할 때 펜이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경우는 노트북이나 아이패드의 충전기가 전원 접지가 되지 않아서 발생되는 문제입니다. 지난번 접지가 되는 75W 급 3포트 충전기인 아트뮤 GE920의 사용 후기를 공유드린 후, 현재까지도 제 가방에 노트북과 함께 항상 자리 잡고 잘 사용해 오고 있습니다. 이번에 아트뮤의 질화 갈륨(GaN)을 사용한 부품을 활용하여 대용량, 소형화 및 발열을 줄일 수 있는 65W 급 2포트 접지충전기인 아트뮤 GC820을 리뷰할 기회가 생겨 사용 후기를 공유드리고자 합니다. 외관 포장 및 내용물 아트뮤 접지충전기 GC820은 포장 박스는 65W 급 충전기 치고는 박스 사이즈가 작고, 75W급 접지 충전기인 GE920보다는 박스의 폭이 확실히 작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아트뮤 GC820 박스 전면 포장 박스 후면에는 USB-PD 65W급 충전과 삼성의 P

타이달 MAX 표시 방법 변경 [내부링크]

지난 8월2일 고음질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중 하나인 타이달은 기존의 MQA방식에 더불어 24bit/192Khz까지의 고해상도 FLAC 스트리밍 서비스를 시작한 내용을 이전 블로그를 통해 공유하였습니다. 고해상도 FLAC 서비스를 시작하면서, MQA와 고해상도 FLAC음원을 모두 지원하는 "MAX"라는 설정 값을 타이달에서는 새로 도입하였습니다. 그런데 , 타이달 앱에서 MAX 모드의 문제점은 FLAC과 MQA를 구분 하지 않고 MAX로만 표기하였다는 것입니다. 저도 이 부분이 제가 사용하고 있는 DAC에서 FLAC과 MQA를 구분하여 LED를 별도로 표시해 주어 큰 불편함은 없었는데, 인터넷 커뮤니티를 통해 많은 분들이 불편을 호소한 부문입니다. 그런데 지난 9월13일 타이달은 PC, 아이폰, 안드로이드의 앱을 모두 업데이트 하면서, 음질 설정을 MAX로 하게되면, FLAC 스트리밍은 "FLAC"으로, MQA 스트리밍은 "MQA"로 앱에서의 표시 방법을 변경하였습니다. 타이달 MAX

벽걸이 TV에 애플TV 4K 셋탑박스 무타공 설치 [내부링크]

이제는 지상파나 셋탑박스를 활용하여 IPTV나 케이블 TV를 시청하는 것보다, 넷플릭스, 디즈니+같은 해외 OTT나 웨이브, Tving과 같은 국내 OTT를 시청하는 분들이 점점 더 늘어나고 있습니다. 최근 판매되는 스마트 TV나, IPTV 셋탑박스에는 이러한 OTT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지만, 스마트 TV나 셋탑박스의 종류에 따라 지원하는 OTT 서비스의 종류가 한정되어 있거나, OTT 서비스를 지원하는 않는 구형 TV를 보유한 경우에는 애플이 판매 중인 셋탑박스인 "애플TV 4K 셋탑박스"만 구입하게 되면, 대부분의 OTT 서비스와 유튜브뿐만 아니라, 블루투스 이어폰이나 헤드폰, 스피커를 연결할 수도 있어 매우 유용한 제품입니다. 저는 LG의 webOS를 지원되어 대부분의 OTT 서비스를 지원하는 스마트 TV를 사용 중이나, 영상의 생상한 사운드를 살려주는 돌비 애트모스를 에어팟 프로로 감상하기 위해 "애플TV 4K 셋탑박스"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보유하신 TV가 벽걸이 형

DAP 입문기 Top3 추천 [내부링크]

스마트폰으로 블루투스 보다 좋은 음질을 감상하기 위해서, 가장 편리한 방법은 꼬다리 형태의 DAC를 연결하는 것이지만, 휴대용으로 좀 더 편리하게 고음질 음악 감상을 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는 DAP (Digital Audio Player)를 활용하는 것입니다. 이미 작년 말 발표된 HiVi의 DAP 추천 결과를 공유드렸는데, 이번 여름의 Hivi 추천 내용 중 100만 원 이하의 입문기 제품 추천 내용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DAP의 선정 시 고려 사항과 DAP의 장점들에 대해서는 이전의 블로그 내용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1. 소니 ZX-707 DAP의 끝판왕 중 하나로 언급되는 제품에는 소니의 "금덩이 2"라고 불리는 "NW-ZM1ZM2"가 있습니다. 금 도금된 무산소동 새시가 일품인 제품인데, 100만 원 이하 DAP 추천 제품 중 1위로 선정된 제품은 이러한 소니 프리미엄 DAP의 속성을 계승 받은 중급기인 ZX-707이 선정되었습니다. 알루미늄 바디에 디지털 회로

홈캠, 베이비캠, 팻켐으로 활용 가능한 iptime C500 홈CCTV 리뷰 [내부링크]

우리나라에서는 거리에서 CCTV가 없는 지역을 찼아보기 어렵게 많은 CCTV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거리뿐만 아니라, 사무실, 식당과 카페 같은 곳에서도 CCTV의 설치는 필수입니다. 하지만, 가정에서는 홈CCTV를 그동안 많이 활용하지는 않았지만, 반려동물의 숫자가 급속히 늘어나면서 평일에 혼자 집에 남아 있는 반려동물의 상태를 점검할 수 있고, 내 목소리까지 전달할 수 있는 홈CCTV는 "펫캠"이라는 이름이 붙을 만큼 이제는 친숙한 제품이 되었습니다. 평소에 몇 가지 IP 방식의 홈CCTV를 사용해 볼 수 있는 기회가 있었는데, 이번에 공유기로 유명한 국내 업체인 iptime의 홈CCTV인 C500을 리뷰할 기회가 생겨 사용 후기를 공유드리고자 합니다. 첫인상 홈CCTV인 iptime C500은 iptime 특유의 깔끔한 박스 디자인을 유지한 채 정사각형의 박스 형태입니다. iptime C500 박스 정면 박스 후면에는 상세한 제품의 스펙이 표시되어 있습니다. 주요 제품의 특징은

2023가을, 스테레오파일 헤드폰 부문 선정 제품 [내부링크]

미국의 스테레오파일 잡지는 Hi-Fi 오디오를 취미로 하시는 분들에게는 널려 알려진 잡지로 HiFi 오디오 기기와 Software에 대해서 1년에 2번 추천 제품들을 선정하고 있습니다. 22년 추천 제품부터 스테레오파일의 선정 제품들을 살펴보고 있는데, 올해 5월에 공유했던 23년 추천 제품 대비 23년 가을의 헤드폰 부문 선정 제품들에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합니다. 스테레오파일에서는 SACD나 24bit 이상의 고음질 음악을 듣는데 최적화된 시스템을 추천하는 Class A+, CD 음질을 듣는데 최적화된 Class A와 그보다 못한 Class B와 Class C 제품으로 나누어 추천하고 있습니다. 2023가을, 스테레오파일 추천 CLASS A+ 22년 가을과 23년 헤드폰 분야의 CLASS A+ 추천에서는 변화가 없었으나, 이번 CLASS A+ 추천 리스트에는 3개의 신제품들이 추가되었고, 나머지 제품들은 올 5월 추천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Abyss Diana TC F

해외여행 시 맥북, 애플워치, 아이폰충전기를 하나로, Innergie C6 [내부링크]

주위를 보면, 이번 여름휴가를 해외로 떠나는 분들이 많은 것 같습니다. 저 같은 경우에는 해외여행을 위한 준비물 중 가장 중요한 것 중 하나는 아이폰과, 아이패드, 애플워치, 노트북과 배터리를 위한 고속 충전기입니다. 최근 시중에는 노트북까지 충전이 가능한 다양한 고속 충전기들이 많이 출시되고 있는데, 제가 생각하는 해외여행용으로 필요한 고속 충전기의 선정시 고려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해외여행용 고속 충전기 선정 시 고려 사항 충전용량 최근의 고속 충전기들은 대부분 USB-PD 고속 충전을 지원합니다. 일반 맥북이나 노트북은 60W급, 아이폰은 20W급, 애플워치와 에어팟 5W급 충전용량이 필요합니다. 일부 시중의 60W급 고속 충전기들은 충전용량이 작은 애플워치나 에어팟 같은 제품은 충전이 잘 안되는 경우도 있으니 주의가 필요합니다. 저도 안정적인 충전을 위해서, 노트북/아이패드와 아이폰충전기와 애플워치충전기를 별도로 그동안 사용해 왔습니다. 전원 소켓 다들 아시는 것처럼 일반적

좀비베리어 서피스 프로 7+ 보호필름 사용 후기 [내부링크]

제가 개인용 노트북으로 사용하고 있는 마이크로소프트의 서피스 프로 7+의 단점 중 하나는 화면의 반사가 무척 심하다는 것입니다. 화면을 끈 상태에서는 검은 LCD 화면이 마치 거울과 같다는 것입니다. 서피스 프로 7+를 처음 사용하였을 때는 큰 불편함이 없었는데 시간이 좀 지나고 노트북 사용량이 많아지다 보니, LCD 화면이 거울과 같이 미치는 것은 좀 불편한 점이 있습니다. 그런데 처음 구매 시 저반사 보호필름을 부착하면 좋았을 텐데, 고강도 강화유리를 부착하다 보니, 서피스 프로 7+의 화면 반사는 아래와 같이 마치 거울을 보는 듯하게 심하게 반사가 되고 있습니다. 서피스 프로 7+ 강화유리 화면 반사 또 한 가지 문제는 서피스 프로 7+가 화면 터치 제품인데, 현재 사용하고 있는 강화유리는 터치 시 손가락의 유분이 고스란히 화면에 묻어, 매우 지저분하게 보인다는 것입니다. 아래와 같이 정면뿐만 아니라, 서피스 프로 7+를 측면에서 보았을 때 터치로 화면이 매우 지저분한 상태를

타이달 고해상도 FLAC 서비스 시작 , 아이폰과 PC 설정 방법 [내부링크]

지난 7월 초 타이달에서 고해상도 FLAC 서비스 시작을 베타 시험 중이고 8월 중 서비스 예정이라는 안내가 있었습니다. 저는 현재 타이달 아르헨티나의 HIFI-Plus 서비스를 사용하고 있는데, 23년 8월 2일부터 타이달의 고해상도 FLAC 서비스가 시작되었습니다. 아이폰 타이달 고해상도 FLAC 서비스 애플의 App Store에서 타이달의 고해상도 FLAC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는 버전은 2.87.0입니다. 타이달은 앱 업데이트 소개에서 "HI-FI Plus" 회원들은 6백만 곡 이상의 고해상도 FLAC 파일을 WI FI, Moblile , 오프라인 다운로드 모든 옵션에서 사용할 수 있다고 안내하고 있습니다. 타이달 2.87.0 타이달 Max 음질 설정 방법 타이달은 기존에 음질의 설정을 Normal, High, HiFi, Master의 4가지로 나누어 서비스하였고, MQA는 Master 설정으로 사용할 수 있었습니다. 아이폰의 이번 앱 업 업데이트에서는 음질을 다음과 같이 설

23년 유선 이어폰 입문기 Top3 추천 [내부링크]

많은 분들이 사용하시는 블루투스 이어폰의 경우, LDAC이나 apt-X Adaptive 같은 고해상도 블루투스 코덱을 사용하게 되면, 유선에 근접한 사운드를 들려주나, 블루투스는 손실 압축 방식이고, 작은 사이즈에 배터리와 이어폰 및 ANC 회로들이 모두 들어가야 하기 때문에 음질에 모든 물량을 투입한 유선 이어폰과의 음질은 비슷한 가격대에서는 차이가 날 수밖에 없다고 생각합니다. 이미 몇 번의 유선 이어폰 입문기 들 과 최근 차이파이 브랜드 중에서 Simgot, 키위이어스등의 제품이 놀라운 가성비를 보여주고 있는데. 이번 여름 HiVi의 20만 원 이하 유선 이어폰 추천 제품들을 살펴보면서, 앞으로 리뷰할 제품들을 확인해 보고자 합니다. 1. Fiio JD7 이제는 믿고 듣는 차이파이의 대표적인 브랜드인 Fiio는 국내에서도 가성비가 뛰어난 DAP나 BTR7과 같은 블루투스 휴대용 앰프로 많이 알려져 있는데, 다양한 구동방식의 이어폰과 최근에는 헤드폰까지 라인업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가성비 WD SSD , WD Blue SN570 M.2 NVMe 500GB 사용 후기 [내부링크]

반도체의 공급과잉에 따라 DRAM과 SSD의 가격이 인하되면서, 컴퓨터를 업그레이드하기에 좋은 시기입니다. 이번에 삼성, 하이닉스만큼이나 잘 알려 웨스턴디지털(WD) SSD인 "Western Digital WD Blue SN570 M.2 NVMe"의 500GB 용량 제품을 리뷰할 기회가 생겨 사용 후기를 공유드리고자 합니다. 우선 웨스턴디지털의 내장형 SSD 라인업은 크게 아래와 같이 색상으로 4가지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그린 : 웹브라우징과 문서작업 등 간단한 컴퓨터에 적합 블루 : 크리에이터를 위한 용량 중심 SSD 블랙 : 게임용 고성능 SSD 레드 : NAS 용으로 안정적인 성능, 신뢰성, 용량의 SSD 웨스턴디지털 SSD 라인업 제가 이번에 리뷰한 "Western Digital WD Blue SN570 M.2 NVMe"는 용량 중심의 가성비가 매우 좋은 SSD로서 연속 읽기 성능이 최대 3500MB/초이고 최대 5년 동안의 보장을 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첫인상 "WD Blu

타이달 칠레 이주기 [내부링크]

그동안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로 타이달 아르헨티나를 이용하면서 월 3천 원대 가격에서 타이달의 고음질 스트리밍 서비스를 잘 사용해 왔습니다. 하지만, 많은 분들이 아시는 것처럼, 지난 8월 22일 타이달 아르헨티나 측으로부터 아래와 같이 아르헨티나 은행에서 발급된 신용카드가 아니면 더 이상 결재가 되지 않는다는 통보를 받았습니다. 타이달 아르헨티나 8월 22일 안내 메일 전문 (영어 원문) Hi, We would like to provide you with an important update regarding the acceptance of payment cards in light of recent changes in the handling of Argentine Peso (ARS) currency exchange by Visa and Mastercard. As a result of these changes, our payment processor will now only accept

2023년 에어팟 프로 배터리 교체 후기 [내부링크]

애플의 에어팟은 많은 분들이 한 번쯤은 사용해 보실 만큼, 대중적으로 인기가 높은 제품입니다. 음악 감상을 위한 음질이 뛰어난 제품은 아니지만, 통화음질과 ANC의 성능이 우수하여 약 2년 전쯤에 에어팟 프로 1세대 제품을 사용해 볼 기회가 생겨 출퇴근 및 비행기나 기차를 탈 때 요긴하게 사용해 오고 있습니다. 그런데, 많은 분들이 겪으시는 것처럼, 저도 잘 사용해 오던 에어팟 프로가 배터리 사용시간이 급격히 줄어드는 현상이 발생되었고, 이번에 애플의 공인 서비스 센터 중 하나인 "위니아 에이드"를 방문하여 배터리 교체한 후기를 소개 드리고 자 합니다. "위니아 에이드"방문 애플의 서비스센터들은 악명 높은 대기시간으로 유명한데, 저희 동네의 "위니아 에이드"의 경우에는 주말에는 100% 예약제로만 운영되기 때문에, 사전에 예약하게 되면 긴 대기 시간이 필요 없이 바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었습니다. 위니아 에이드 매장 서비스 접수자분께 증상을 설명드리니, 에어팟 배터리 교

23년여름 헤드폰앰프 추천 [내부링크]

PC나 스마트폰에서 좀 더 좋은 음질을 감상하기 위해서, 유선 이어폰이나 유선 헤드폰을 구입하였는데, 좀더 좋은 사운드를 감상하기 위해 필요한 장비는 DAC와 헤드폰 앰프가 있습니다. 입문기에서는 DAC와 헤드폰앰프가 일체화된 제품들도 많지만, 좀 더 풍부한 사운드를 감상하기 위해서는 DAC와 헤드폰 앰프가 별도의 제품으로 분리된 중고가 이상의 제품들도 많이 있습니다. 헤드폰 앰프 관련해서 많은 분들이 질문하시는 몇가지 내용들을 정리해 보고, "23년 여름 HIVI"에서 추천한 헤드폰 앰프 제품들을 살펴 보고자 합니다. DAC와 헤드폰앰프의 차이 DAC (Digital to Analog Converter)는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사운드로 변환해 주는 기기로 PC나 스마트폰의 사운드 카드와 같은 개념인데 HIFI음악 감상을 위해서 사운드카드 대비해서 해상도, SNR, THD등 음질과 음색을 모두 업그레이드 할수 있는 제품입니다. DAC의 입력은 USB, 광, 동축과 같은 디지털 신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