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rrrgr0501의 등록된 링크

 grrrgr0501로 등록된 네이버 블로그 포스트 수는 43건입니다.

드디어 오피셜 공지..스타크넷 에어드랍 수량체크!! [내부링크]

스타크넷(Starknet) 오피셜 트위터에서 드디어 스타크넷 토큰 $STRK의 에어드랍 수량을 확인할 수 있는 사이트를 공지했다. 출시일은 2월 20일 오후 9시!! 최근 Argent와 Braavos에서 계속 STRK 에어드랍이 임박했음을 암시해왔고 월렛상에는 STRK 토큰도 등장해서 이젠 정말 곧 나오겠구나 생각은 했다. 테스트넷부터 정말 길고 긴 시간동안 작업을 해왔는데 과연 얼마나 줄까? 수량도 중요한데 얼마나 먹여줄까? 에어드랍 3대장 중 첫 번째로 공지를 날린 스타크넷의 내 에어드랍 수량은 3,600개다. 스타크넷 에어드랍 수량 스타크넷 토큰인 STRK의 총 유통량은 100억개인데 당연히 한방에 전부 유통되는게 아니라 상당히 긴 기간동안 조금씩 언락된다. 그래서 전체 유통량보다 초기 유통량이 중요한데..계산이 잘 안된다..하하.. 스타크넷 에어드랍 자료 이번 에어드랍은 약 7억개 토큰이 할당됐다고 하기에 에어드랍외 토큰의 유통량을 확인하려고 토큰노믹스를 조금 뒤져봤는데 토큰

최애 EVM 지갑과 코인 자산관리 툴!! 래비월렛(Rabby Wallet), 디뱅크(DeBank) 에어드랍 파밍하기(Backer. 코인베이스) [내부링크]

래비월렛(Rabby Wallet)은 개인적으로 EVM 지갑 중 가장 좋아하는 지갑이다. 강력한 포트폴리오 추적과 편리한 기능들(revoke, 위험성 알림 등)로 나의 코인 관리가 너무나도 편리해졌다. 래비월렛은 디뱅크(DeBank)에서 개발한 지갑으로 디뱅크의 포트폴리오 추적 툴을 기반으로 지갑내 보유하고 있는 코인 수량만이 아니라 디파이에 들어가 있는 자산까지 나의 투자리스트를 전체적으로 확인 가능하다. (폰 교체시 1순위로 설치하는 DeBank!!) 래비월렛은 그동안 모바일용 어플이 나오지 않았었는데 이틀 전 안드로이드용 모바일 월렛이 출시됐다. (아이폰용 빨리좀..) 디뱅크(DeBank) 모바일 월렛 출시 래비월렛은 Rabby Point 제도를 얼마 전부터 시작했는데 이 포인트가 디뱅크의 에어드랍 재료로 쓰일 것으로 예측된다. 래비월렛 내에서 포인트 조회가 가능하고 하루에 한 번씩 아래 사진처럼 미션을 통한 추가 포인트 획득이 가능하다. 래비 포인트, 데일리 미션 그리고 래비

셀레스티아, 디멘션 등 코스모스 생태계 코인 스테이킹으로 프리즘(Pryzm) 코인 파밍하기(Stake Drop) [내부링크]

요즘 코인판은 셀레스티아($TIA), 디멘션($DYM) 등 에어드랍한 코인들이 떡상하면서 코스모스 생태계 에어드랍 파밍이 핫하다. 하나를 에어드랍 받았더니 다른 코인을 또 주는 1+1행사 느낌? 원래 코스모스쪽 코인들이 스테이킹을 통한 에어드랍을 많이 진행해 왔는데 요즘 더욱 핫해진 상황이다. 그리고 프리즘(PRYZM)도 TIA와 DYM 등 코스모스 생태계 코인 스테이커에게 $PRYZM을 에어드랍할 예정이다. 프리즘 에어드랍을 받기 위해서는 해당 코인(TIA, DYM 등) 스테이킹시에 Validator를 PRYZM으로 지정해야 한다. Pryzm Validator Name (Validator는 스테이킹 이자에 대한 커미션을 받을 수 있다.) Pryzm StakeDrop 퀘스트(Zealy) 위 사진처럼 Pryzm Zealy에서는 StakeDrop이라고 해당 코인들을 보여주고 있는데 인젝티브($INJ), 코스모스($ATOM), 오스모시스($OSMO), 루나($LUNA)가 있다.(프리즘은

마진파이(Marginfi)로 솔라나 생태계 꼬꼬무 에어드랍 파밍하기(Backer. 판테라, 솔라나) [내부링크]

앞선 블로그 글에서 언급한대로 솔라나 생태계에서 Jito($JTO) 에어드랍을 놓친 이후, 솔라나에 무심했던 나를 반성하며 급하게 에어드랍 먹거리를 찾아 보았다. 아직 토큰이 발행되지 않은 프로젝트 중 언급이 많고 나름 커뮤니티 구축이 잘 되어 있는 프로젝트로 몇 가지를 추렸는데 그 중 하나가 마진파이(Marginfi)다. 좀 더 크게 먹기 위해서는 아직은 조용한, 숨은 보석을 찾는게 좋지만 솔라나 계열은 신경쓰지 않은지 꽤 지나서 우선은 당장 진입하기 좋은 프로젝트로 골랐다. 솔라나라는 하나의 생태계 프로젝트를 작업하는건 꼬리에 꼬리를 무는 꼬꼬무 에어드랍 파밍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꼬꼬무 에어드랍 프로젝트로 진행한 건 마진파이(Marginfi), 주피터(Jupiter, 에어드랍 완료), 카미노 파이낸스(Kamino Finance), 메테오라(Meteora)다. 먼저 마진파이에 bSOL을 예치하고, JitoSOL을 빌렸다. 여기서 빌린 JitoSOL을 주피터에서 다시 bSO

스타크넷 렌딩 프로토콜 대장 노스트라 파이낸스(Nostra Finance) 에어드랍 파밍하기(Backer. GSR, 윈터뮤트) [내부링크]

그동안 스타크넷 렌딩 프로토콜은 해시스택(HashStack)에다 풍차를 돌려뒀었는데 이럴수가..잠시 신경을 안쓴 동안 해시스택 에어드랍 이벤트 기간이 끝난걸 몰랐다..(어쩐지 TVL이 훅 빠졌더라니) 해시스택 에어드랍 트위터 트위터 공지대로 1월 22일로 $HASH 파밍 이벤트는 끝났고 약 2주간 아까운 자금을 묵혀두고 있었다.. 오늘 파악하고 자금을 어디로 옮길지 살짝 고민했는데 대상 프로젝트는 노스트라(Nostra)와 zkLend 였다. zkLend 또한 훌륭한 투자를 받았는데 시드 라운드로 5백만 달러, VC 또한 델파이와 스타크웨어 등으로 아주 괜찮다. 그래도 우선 대장부터 파밍하는게 나을 것 같아 Lending 프로젝트 TVL 1위 노스트라로 결정했다. 참고로 노스트라와 zkLend 모두 스타크넷 선정 스타크넷 DeFi 위원회 위원으로 있는 프로젝트다. 결론은 둘 다 아주 파밍 매력이 넘치는 프로젝트라는 뜻!! <스타크넷 DeFi 위원 소속 프로젝트> Argent : 스타크

크립토 곡괭이 일기장 사이트맵 [내부링크]

블로그 개설하고 글을 써나가기 시작한지 얼마 안됐는데 아직은 귀찮음보다는 재미가 더 큰 것 같다. 그동안 크립토판에서 스캠짓에도 당해보고 러그풀도 당해보고 밈코인 매매하다 날려먹기도 하고(응?좋은 일이 없네??c) 별별 일이 많았는데 하나씩 정리한다는 생각으로 작성 중이다. 아무래도 최근 작업분을 쓰는 일이 많을테지만 틈틈이 과거 작업(주로 실패기가 될 듯하다)도 블로그할 예정이다. 아직 글은 적지만 사이트맵을 구성해서 진행했던 프로젝트들을 하나씩 정리해봐야겠다. 나중에 글 쌓이면 더 힘들 것 같다. 글 쓸때마다 업데이트 해보자. 크립토 곡괭이 일기장 사이트맵 에어드랍 헌터가 되어보자 모음 Ep.0 코인판에서 어떻게 돈을 벌까?(에어드랍 헌터, 디파이 농부되기) Ep.1 더 넓은 코인 생태계 탐험을 위한 필수 요소 - 개인지갑 생성하기(feat. 메타마스크) Ep.2 당장 크립토판에 자금투입이 꺼려진다면? 무자본 에어드랍을 위해 테스트넷 사용을 해보자!!_예시 프로젝트 : 보타닉스(

Dymension($DYM) 에어드랍 Genesis Rolldrop 완료! 에어드랍 수량은?(바이낸스 상장완료) [내부링크]

코스모스 기반 L1 프로젝트인 디멘션(Dymension)은 얼마전 Genesis Rolldrop 이라는 에어드랍 클레임을 진행했는데 에어드랍 자격 요건은 아래와 같다. 디멘션 에어드랍 자격요건 조건을 보면 1) ATOM, TIA, OSMO 스테이킹 2) 이더리움 L2 활동 3) 솔라나 관련 활동 4) 특정 NFT소유 인데 내가 해당하는 항목은 1), 2) 항목으로 총 수량은 575개 정도다. 솔라나 웜홀은 정말 예전에 좀 사용했는데 안걸렸다..c DYM 에어드랍 수량 제네시스 롤드롭 이후에 아직 코인 분배에 대한 공지가 없는데(내가 못찾는건가?) 오늘(2월 5일) 바이비트에서 디멘션 상장을 공지했기에 ‘그 전에 토큰 에어드랍을 진행해주지 않을까?’ 하는 기대를 가지게 한다. <상장일은 2월 7일 00시> Bybit 트위터 공지 $DYM 코인은 우선 안팔고 보유할 예정인데 불장 떡상을 기원해본다. 나중에 분배 끝나고 토큰 가격이 나오면 블로그 업데이트 진행해야겠다. <2월6일 업데이트

한국 웹3게임은 떡상할까? 곰블 게임즈(Gomble Games) 무료 게임도 하고 에어드랍도 챙겨보기(Backer. 바이낸스) [내부링크]

곰블 게임즈(Gomble Games)는 바이낸스를 백커로 둔 한국 캐주얼 게임 개발사다. 한창 에어드랍 이벤트가 진행 중인 머지라이언(MergeLion) 외에도 럼비 스타즈(Rumby Stars)라는 게임을 출시해서 운영중인 것 같다. ‘111%’라는 모바일 게임 회사의 자회시라고 한다. 솔직히 요즘 게임에는 큰 관심이 없어서 111%라는 회사는 잘 모르겠다.(게임은 와우가 거의 마지막인듯..) 그냥 몇몇 인플 매체에 에어드랍 이벤트 소개가 나오고 백커가 바이낸스라는 매력적인 유혹에 진행해 본 케이스다. 머지라이언 게임 머지라이언은 위 사진처럼 같은 종류 동물 두마리를 합쳐 사자를 만드는 게임인데 생각보다 어렵다..최근에 사자 두마리 만드는 퀘스트는 못 깼다는..(물론 시간 많이 들이면 가능하긴하다) 럼비스타즈는..안해봤다.. 현재 에어드랍 시즌1은 끝났고 시즌2 진행 중으로 시즌2 Ep1은 2월14일 13시까지 진행이다. 커뮤니티 및 게임 퀘스트 포인트 외에 일일 출석 포인트가 있

Ep.2 당장 크립토판에 자금투입이 꺼려진다면? 무자본 에어드랍을 위해 테스트넷 사용을 해보자!!_예시 프로젝트 : 보타닉스(Botanix) [내부링크]

메타마스크와 같은 개인 암호화폐 지갑은 만들었는데 뭘해야 할지 난감하다면...당장 업비트, 빗썸 등에서 코인 출국시킬 상황이 아니거나, 아직은 자본 투입을 하고 싶지 않은 경우에 시간을 투자해 에어드랍을 노려보는 테스트넷 작업을 할 수 있다. 내 블로그상에서는 딸깍투언, 테스트넷 작업 등으로 올리는 프로젝트들이 그런 경우에 활용하기 좋은 프로젝트이다. 테스트넷은 실제 토큰이 투입되는 메인넷 이전 단계로 테스트넷상의 토큰을 사용해 여러 기능들을 테스트해보고 문제가 생기는 부분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이다. 꽤 많은 프로젝트들이 인센티브 테스트넷이라고 하여 테스트를 참여해 준 유저에게 보상을 주고 있다. 만약 아주 극초기에 프로젝트 유저로 참여한다면 흔히 OG 라고 부르는 프로젝트 고인물 인증을 받을 가능성도 있다. 나중에 해당 프로젝트가 하이프가 생겨 많은 유저가 참여한다면 디스코드내 수많은 사람들로부터 'OG 개부럽' 이라는 채팅을 받을 수도 있다.(그만큼 얼리 유저는 보상을 챙겨주는

ZkFair의 $ZKF 에어드랍 완료! 수익은? [내부링크]

(기존 티스토리 작성본 옮기기 프로젝트) 솔직히 있는줄 몰랐던 프로젝트.. 갑자기 스테이블 코인을 가스피로 사용한다고 하며 에어드랍 공지. 감사하게도 한거 없이 5만개 가량 $ZKF 클레임 완료!! 혹시나 에어드랍 줄까 싶어 조금씩 작업하던 Polygon zkEVM 가스피 쓴게 좀 챙겨줬다. ZKF 에어드랍 수량 처음 클레임시에는 2-300 달러 정도의 가치라 그냥 스테이킹 박음. 상승 시작하더니 $1000 돌파후 현재는 $500 정도. 생각도 없던거라 그냥 감사합니다 1. 총 에어드랍 수량 : 52,401 ZKF (2월3일 개당 0.0089달러) 2. Vesting 기간 : Vesting이 뭐야? 100% TGE시 에어드랍 완료 3. Zkfair는? Zkfair는 Polygon CDK와 Celestia DA를 기반으로 하는 최초의 커뮤니티 ZK-L2입니다. Lumoz가 제공하는 ZK-RaaS를 사용합니다. USDC를 가스 토큰으로 사용하며, 100% EVM 호환성, 뛰어난 성능,

알트레이어(AltLayer) $ALT 에어드랍 완료! 수익은? [내부링크]

(기존 티스토리 작성본 옮기기 프로젝트) 알트레이어 에어드랍이 완료되었다. 아..아직 완료는 아니다. 셀레스티아(TIA) 스테이커에 대한 할당 분배가 안되었으니.. 어쨌든 에어드랍은 진행되었고 결과는 나왔다. 아쉬운 부분이 있지만 받았다는 것에 감사한다. VC에 바이낸스랩스가 있고 근본 프로젝트다보니 역시 한방에 바낸 상장!! TIA 스테이커 에어드랍 빨리 줘!! 2월 16일 오후 5시 TIA 스테이커 에어드랍, 현재 접수중! 1. 에어드랍 수량 이미 유명했던 근본 프로젝트. OG 뱃지 NFT 사고 싶었으나…내 플랑크톤 시드로는 부담스러웠다. 올해초부터 떡상해서 뱃지 7이더 이상까지 갔으니..(그래도 샀어야했다..뱃지 보유자 에어드랍 수량이..) 작년에라도 샀으면 좀 저렴했겠지만 여기저기 파밍하느라 묶인 자금들을 옮기기 쉽지 않았다. 어쨌든 몇개 받앗나보니.. AltLayer 에어드랍 수량 1600개 받았다.(2월3일 기준 개당 0.3435달러) *TIA 스테이커 추가 에어드랍 물량

제타체인(Zeta Chain) $ZETA 에어드랍 완료! 수익은? [내부링크]

(기존 티스토리 작성본 옮기기 프로젝트) 제타체인의 에어드랍 관련 수량 확인 사이트가 열렸다. 꽤 오래 작업한 프로젝트라 나름 기대를 하면서 봤는데..솔직히 수량은 좀(상당히) 실망스럽다. Join Date Range and Multiplier 2022–08–01 to 2022–11–17: 25% multiplier ZETA CHAIN MEDIUM 내 ZETA 조인 날짜(‘22.8.17)가 최대 추가 보상을 받을 수 있는 구간임에도 수량이 겨우c 인플 형님들을 이길 순 없겠지만 Zeta 관련해서 이것저것 했는데..음.. 초기 유통량이 몇개인지 모르겠지만 좀 먹여줘!! TGE, 에어드랍 날짜는 공지 기다려봐야할 듯 하다. (2월2일 완료) 어쨌든 홀딩 간다!!! $ZETA 에어드랍 수량 : 스냅샷 ‘23.8.20 에어드랍 갯수 156개..응????정말???리얼??? 현재가 개당 1.472$ Total Supply : 2.1B - 수량 확인 사이트 - Airdrop 관련 Medium

주피터(Jupiter) 에어드랍 완료! 조금이지만 수익은? [내부링크]

(기존 티스토리 작성본 옮기기 프로젝트) 솔라나 체인의 DEX 주피터(Jupiter)가 에어드랍 및 상장을 진행했다. 1) 에어드랍 클레임 시작 : 2월 1일 00시경 2) 바이낸스 거래 시작 : 2월 1일 01시 00분 바이낸스 상장 공지 3) 빗썸 입금 및 거래 시작 : 입금 2월 1일 10시, 거래 2월 1일 12시 14시 빗썸 상장 공지 FTX 파멸 이후, 한동안 솔라나 생태계는 거의 신경쓰지 않았어서(솔라나 NFT 투자 실패에 대한 분노도 한몫) 너무 늦게 알았다… Jito의 광기어린 에어드랍을 보고 솔라나가 아직 죽지 않았음을 늦게나마 깨달았기에 MarginFi 풍차 돌리기 용으로 JitoSOL->bSOL 10번 정도만 스왑을 한 줄 알았는데!!! 히스토리를 봤더니 최초 스왑은 약 2년 전이긴 하더라… 주피터 거래 기록 기억도 안나지만 팬텀 월렛에서 그냥 스왑하다 진행된 듯 하다. 그래봐야 18번 정도 트젝 발생, 총 볼륨은 1000달러도 안된다cc 그래서 수량 확인할 때

셀레스티아(TIA) 스테이킹을 통한 생태계 관련 코인 에어드랍 노리기 [내부링크]

(기존 티스토리 작성본 옮기기 프로젝트) 셀레스티아 스테이킹은 에어드랍 받은 수량을 스테이킹한거라 투자비용은 안들었다. 최초 수령 에어드랍 물량 296.5개 중 1/3은 INJ로 바꿔서 그리폰 파이낸스에 파밍 중이다. (가지고 있을걸..) 인젝티브(INJ) 스테이킹으로 그리폰 파이낸스(Gryphon Finance) 에어드랍 파밍하기 (기존 티스토리 작성본 옮기기 프로젝트, 마무리!) 인젝티브(INJ) 기반 스테이킹 프로젝트다. 이더리움... m.blog.naver.com TIA는 최근 가장 고마운 에어드랍 중 하나로 폭발적인 상승을 보여주면서 현재가 기준 5천달러 가량 애드를 해줌 코스모스 생태계 종특에 따라 관련 프로젝트들의 추가 에어드랍을 노려보고 있다. 불장이 오면 추가적인 현물 단가 상승도 노려봄. (현재 TIA 스테이커 에어드랍 할당 프로젝트 : Dymension, Altlayer, Saga 등) 1. 주요 사항 1) 투자 VC : 폴리체인, 베인캐피탈, Hashkey, 코

인젝티브(INJ) 스테이킹으로 그리폰 파이낸스(Gryphon Finance) 에어드랍 파밍하기 [내부링크]

(기존 티스토리 작성본 옮기기 프로젝트, 마무리!) 인젝티브(INJ) 기반 스테이킹 프로젝트다. 이더리움의 stETH나 rETH처럼 INJ코인 스테이킹시 nINJ코인을 민트하여 유동성을 활용할 수 있다. 인젝티브 팀과 여러 교류가 있는 것으로 보이는데 만약 인젝티브 생태계가 지속 성장하면 나쁘지 않은 에어드랍 수익을 가져다 줄 거라 믿는다.(과연??) 현재는 Vault 풀캡이 다차서 nINJ, nATOM 민트는 막혀있다. 다음 시즌이 열리면 추가로 좀 더 예치해야겠다. 현재는 Gryphon Vault 예치는 막혔다. 1. 주요 사항 1) TVL : $1.05M (‘24. 2. 3 디파이라마 기준) Gryphon TVL 2) 투자 VC : 미확인 3) 펀딩 금액 : 미확인 2. 에어드랍 진행방식 현재 포인트 제도 운영중으로 포인트에 따른 할당량 배분이 될 것으로 보인다. 3. 파밍용 투척액 : INJ 36.4개(제발 상승만 하자c) 4. 프로젝트 설명 Gryphon Finance는 I

엠비언트 파이낸스(Ambient Finance) LP공급하고 에어드랍 파밍하기(Backer. Circle) [내부링크]

엠비언트 파이낸스(Ambient Finance)는 블록타워 캐피탈(BlockTower Capital), 써클(Circle, USDC 발행사) 등에서 650만 달러 투자를 받은 DEX 프로젝트다. 예전에는 크록스왑(CrocSwap) 이라는 브랜드로 진행하다 네이밍을 변경했다. 크립토판 넘버원 Dex인 유니스왑의 대항마로 등장한 프로젝트로 유니스왑의 V2, V3간 유동성 분산 문제를 해결할 기술을 개발했다. 하지만 유니스왑에서 V4 기능을 공개하면서 자신들의 기술을 베낀거라고 비판하기도 했다. 그만큼 기술력은 뛰어난 프로젝트라고 봐야겠지만 전문가 아닌 나같은 사람이야 기술적인건 그렇다치고 아직 토큰출시가 안됐고 시드 펀딩을 괜찮게 받은 프로젝트니 ’우선 진입해보자‘ 라는 마인드로 파밍 중이다. 처음 투자시에는 ETH체인 하나뿐이라 이더체인에 ETH-USDC LP를 넣어뒀었는데 이더체인에는 가스비도 비싸고 Scroll 체인 트젝도 발생시킬 겸 Scroll 체인에 LP 공급 중이다. 1.

쓰라렸던 루나(LUNA)의 잔재, 게임스위프트(GSWIFT) 에어드랍 클레임 완료! 수익(손실만회분)은? [내부링크]

나에게 루나(LUNA)라는 코인은 크립토판이 얼마나 무서울 수 있는지 여실히 보여준 프로젝트였다. 나에겐 크나큰 손실과 함께 20%의 이율로 스테이블 코인 UST를 스테이킹할 수 있었던 루나는 나에게 혁신과 같은 코인이었다. 은행이자도 개판인 마당에 20%이율이면 대출받아 집어넣었어야할 판이었으니.. 그래서 밤잠 설쳐가며 참가했던 코인리스트 ICO 수익(IMX는 와우!!)과 NFT작업으로 에어드랍받은 DEVT라는 잡코인을 기가 막히게 정리해 벌었던(나중에 블로그로 써볼지도..?) 자금에다 기존 시드분까지 총 시드의 70% 이상을 루나와 UST에 때려넣고 있었고 하루하루 떡상하던 루나를 보며 즐거워했다.(서칭하다 루나와 UST에 대한 부정적인 얘기들도 물론 보았고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았으나 늘어가는 계좌에 눈이 멀어 무시했다..나는 곧 퇴사할 줄 알았다) ‘22년 5월 루나 대폭락이 시작되었을 때도 당연히 페깅이 맞춰질거라 생각했으나 떡락은 멈추지 않았다. 다행인건 실제로 마통에서 꺼

베라체인(BeraChain) 테스트넷 작업하고 에어드랍 노리기!(Backer. Polychain, OKX) [내부링크]

폴리체인(PolyChain), OKX 등에서 42백만 달러(!!) 투자를 받고 요즘 크립토판에서 가장 핫한 레이어1(L1) 프로젝트 중 하나인 베라체인(BeraChain)에서 테스트넷을 진행중이다. 크립토 지갑 하나만 가지고 있으면 무조건 참여해 봐야할 프로젝트!!! 베라체인은 약간 독특하고 흥미로운 구조를 가지고 있는데 PoL(Proof of Liquidity)라는 유동성 증명 합의를 사용한다. 즉, 타 프로젝트의 PoS, PoW와 달리 유동성 공급에 따라 보상 토큰을 획득할 수 있다. 베라체인은 BERA, HONEY,BGT 세 개의 토큰으로 구성되어 있고 쓰임새가 각각 다르다. 아주 간단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1) BERA : 가스로 쓰이는 토큰, 가스로 사용시 소각 2) HONEY : 생태계 스테이블 코인, 특정 코인(BTC, ETH 등) 예치 후 발행 가능 3) BGT : 거버넌스 토큰(전송불가)으로 유동성 공급을 통해서만 획득 가능. BERA와 1:1 교환 가능 거버넌스

Ep.1 더 넓은 코인 생태계 탐험을 위한 필수 요소 - 개인지갑 생성하기(feat. 메타마스크) [내부링크]

코인 생태계를 제대로 경험하기 위해서는 업비트, 빗썸을 벗어나야 한다. 오로지 현물 매매만 가능한 국내 거래소에서는 할 수 있는 작업이 거의 없다. 선물 매매, NFT 매매, 디파이 파밍, 에어드랍 파밍 등을 위해서는 해외 거래소에 대한 계정 생성, 메타마스크와 같은 개인 가상화폐 지갑 생성이 필수적이다. 이번 블로그에서는 가장 기본적인 EVM 지갑(feat. 메타마스크)을 생성해보려고 한다. 요즘은 많이들 개인 지갑을 가지고 있고 너무 쉬운 작업이지만 크립토판은 언제나 신규 유저에 목말라 있기에 신규 유저 대상 블로그이다. 1. 개인 지갑 종류 개인 지갑을 만들 때는 어떤 블록체인의 생태계를 위한 지갑을 만들건지 정해야 한다. 이더리움, 코스모스, 솔라나, 수이, 앱토스 등 수많은 블록체인이 존재하고 많은 작업을 위해서는 다 있어야 하지만 다하겠다는건 인간이 할 짓이 아니다. 지쳐버릴 듯..우선 가장 일반적인 이더리움 기반의 EVM 지갑부터 만들어 보는게 좋다. EVM 지갑도 종류

브라보스(Braavos)와 아르젠트(Argent) 월렛도 에어드랍을 줄까? 줄거지?(feat. 스타크넷) [내부링크]

ETH를 가스로 사용하는 일반적인 이더리움 L2 프로젝트와 달리 스타크넷은 스타크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하기에 메타마스크 같은 EVM지갑은 호환이 안된다. 기술적인건 어려워 모르겠다. 그냥 안된다. 그래서 브라보스(Braavos), 아르젠트(Argent)와 같은 스타크넷용 월렛을 사용하게 되는데 이 월렛 프로젝트들의 VC와 펀딩 금액이 아주 훌륭하다. 나는 브라보스를 좀 더 선호했는데(어차피 둘다 사용중이지만..), 테스트넷부터 모바일에 꽤 친화적이었어서 PC를 잘 사용하지 않는 나에게 맞춤이었다. 아르젠트 모바일 어플은 PC버전의 Argent X와 달리 처음엔 zkSync를 위한 지갑이었는데 지금은 zkSync는 접고 스타크넷에 올인 중이다. 스타크넷의 두 월렛 프로젝트가 과연 에어드랍을 줄 것인지는 확실치 않다. 아직 메타마스크도 에어드랍을 안주는데 음..그럼에도 VC, 펀딩 금액을 보면 어떻게든 받아내야 할 거 같다. 1. 주요 사항 브라보스(Braavos) 월렛 1) 투자 VC

수프라 오라클(Supra Oracles) 딸깍투언으로 SUPRA 토큰 에어드랍 파밍하기(Backer. 코인베이스) [내부링크]

(기존 티스토리 작성본 옮기기 프로젝트) 수프라 오라클(Supra Oracle)은 상당한 펀딩 금액($24M)에다 특A급 투자 VC 코인베이스(Coinbase), 애니모카(Animoca Brands), 해시드(Hashed) 등이 백커로 있음에도 생각보다 핫하지 않은 듯한 프로젝트다. ‘23년 10월에 SUPRA 토큰의 퍼블릭 세일도 진행했는데 상당히 널럴하게 구매가 가능했다. 그 당시 판매 가격이 $0.048 이었는데 최대 공급량이 100억개. 너무 비싼가? 싶었지만 그냥 무지성으로 샀다. 앞서 언급한 것처럼 퍼블릭 세일에 대한 하이프가 너무 없었던거 같아 크게 기대하지는 않는데 그래도 코베 상장이라도 해준다면??하는 기대감으로 $300가량 극소액 매수했다. 토큰 세일은 끝났으니 지금은 에어드랍을 위한 작업을 조금씩 하고 있다. 간편한 딸깍투언 방식에다 일주일에 한번하는 거라 메일 오면 그냥 별 생각없이 진행 중이다. SUPRA 에어드랍 진행 방식은 사이트에서 일주일에 한 번씩 수프

GRVT Waitlist 등록해두고 미스테리 박스(에어드랍용?) 획득하기 (feat. zkSync) [내부링크]

(기존 티스토리 작성본 옮기기 프로젝트) zkSync, Starknet에 구축될 것으로 보이는 크립토 파생상품 거래소다. zkSync / Matter Labs 에서 직접 투자하기도 했고 zkSync와 깊은 교감이 있어보이므로 하이프가 꽤 높을 수 있을 것 같다. 현재는 Waitlist 등록 단계로 출시 전 얼리 유저 혜택을 받을 수 있는 단계. 아직 Waitlist 등록 외에는 할게 없어서 우선 등록해두고 지켜보면 될 듯하고 KYC도 진행할 듯 하다. 1. 주요 사항 1) 투자 VC : Delphi Digital, zkSync / Matter Labs 등 GRVT 투자 VC 2) 펀딩 금액 프리 시드 $2.1M + 시드 $5M 시드로는 적지 않은 금액이다 GRVT 펀딩 금액 2. 에어드랍 진행방식 waitlist 등록 후 초대를 통한 포인트 획득과 소소한 퀘스트가 있다. GRVT task 3. 파밍용 투척액 없음! 아직은 등록말고 할게 없다. 4. 프로젝트 설명 GRVT는 하이브리드

오더리 네트워크(Orderly Network)를 관련 프로젝트 사용으로 오더리 에어드랍 노려보기(Backer. 판테라) [내부링크]

(기존 티스토리 작성본 옮기기 프로젝트) 오더리 네트워크(Orderly Network)는 판테라, 점프 크립토, 드래곤플라이 등 좋은 VC가 투자했고 시드 라운드 금액이 무려 $20M이다!!(놓치면 안돼) 오더리는 사용할 자체 플랫폼이 없기에 에어드랍을 노려보기 위해서는 오더리 위에 구축된 프로젝트를 사용해보는 방법이 가장 무난하고 확실해 보인다.(물론 zealy, galxe는 기본이다.) Near를 기반으로 한 프로젝트였지만 현재는 EVM 체인으로 확장한 상황이고 내가 오더리 간접 사용을 하고 있는 주력 프로젝트는 앞서 설명한 LogX다. 로그X(LogX) 코인 선물 트레이딩으로 에어드랍 파밍하기(Backer. 코인베이스) (기존 티스토리 작성본 옮기기 프로젝트) 코인베이스와 해시드 등 아주 매력넘치는 VC 투자를 받은 선물 ... m.blog.naver.com 그리고 요즘 코인판 에어드랍에는 zealy와 galxe는 기본으로 해야 해서(에어드랍에 반영이 안될지 몰라도 우선 깔고

마인드 네트워크(Mind Network) 테스트넷 진행으로 에어드랍 노려보기(Backer. 바이낸스) [내부링크]

(기존 티스토리 작성본 옮기기 프로젝트) 메인넷 출시전 테스트넷 단계(이더 Sepolia, 폴리곤 Mumbai)로 투자비용이 아직 없어도 되고, 아주 괜찮은 VC들이 붙어 있어 파밍 매력이 있는 프로젝트이다.(그냥 바이낸스만 붙어 있으면 기본은 깔고 간다.) 요즘 대부분 프로젝트가 그렇지만 질리 퀘스트와 Galxe 퀘스트를 반드시 진행해 두는게 좋을 것으로 보인다. 아직 테스트넷 진행중인 프로젝트로 테스트넷 사용을 통한 Galxe 점수, Zealy 퀘스트 점수로 어느정도 할당해 주지 않을까 생각함. 1. 주요 사항 1) 투자 VC : Hashkey, Big Brain, Binance 등 마인드 네트워크 VC 2) 펀딩 금액 : 시드 $2.5M 마인드 네트워크 펀딩 금액 2. 에어드랍 진행 방식 : 공식적인 건 없음. 3. 테스트넷 방식 테스트 체인은 ETH Sepolia, POLYGON Mumbai 2개 테스트 체인에서 진행중이다. 1) Transfer : 간단한 토큰 전송 기능,

아반티스(Avantis) Early LP 예치 및 트레이딩으로 에어드랍 노리기(Backer. 판테라, 베이스 에코시스템 펀드) [내부링크]

(기존 티스토리 작성본 옮기기 프로젝트) 아반티스(Avantis)는 판테라(Pantera)와 베이스 에코시스템 펀드(Base Ecosystem Fund)에서 $4M 의 시드 투자를 받은 프로젝트로 베이스(BASE) 체인 위에 구축된 선물 거래소다. 작업해야할 선물 거래소가 또 늘었다… 얼리 LP 예치 화이트리스트 신청은 1월 31일 마감됐는데 해당자는 디스코드에 “Early LP Applicant”라는 롤이 생겼다. 현재는 얼리 LP 예치를 2월 2일까지 진행 중이다. 얼리 혜택을 받기 위한 예치 조건은 $2500 USDC 이상 예치해야하고 락업을 걸어 최소 한달 이상 묵혀야한다. 그렇다. 자금이 상당기간 잠긴다는 얘기다…그 전에도 수수료를 내고 인출은 가능하지만 보상은 사라진다. 그럼에도 놓칠 수 없었던 이유는 판테라도 그렇지만 베이스 에코시스템 펀드의 투자 때문이다. 베이스 에코시스템 펀드 베이스 에코 시스템 펀드를 좀 알아보니 BASE체인을 구축한 코인베이스 주도의 펀드로 베이

BP-FLAC wod 브릿지하고 메달 획득으로 에어드랍을 노려보자 [내부링크]

(기존 티스토리 작성본 옮기기 프로젝트) 아래 프로젝트 설명을 읽어보았지만 지식이 짧아 정확히 어떤 프로젝트인지 아직은 파악이 덜됐다. 하지만 레이어 1 프로젝트라는 것과 AI 관련 프로젝트인 것으로 보여 올해 코인 메타에 부합할 수 있겠다고 단순히 생각해봤다. 거기에 적지 않은 펀딩 금액(천만 달러) 또한 관심을 가지게 만들기 충분했기에 Galxe에서 얼리버드 롤 참여하고 이번에 브릿지도 진행했다. (난 주로 모바일로 작업을 하는데 BP-FLAC은 모바일 월렛으로는 TOKEN POCKET만 지원이 되는지 다른 월렛으로는 안들어가진다. 모바일 하시는 분들은 참고) 현재(‘24.1.29) BP-FLAC 브릿지 캠페인을 시작해서 메달을 획득할 수 있다. (ETH체인 or BSC체인 -> Wod체인) $10 이상 브릿지 : LV1. 메달 $100 이상 브릿지 : LV1,2 메달 $500 이상 브릿지 : LV1,2,3 메달 팀을 개설하거나 가입할 수 있는데 개설해서 캡틴이 된 후 팀 멤버를

에쿠보(Ekubo Protocol) LP 예치로 포인트 파밍하기(Backer. 유니스왑) [내부링크]

(기존 티스토리 작성본 옮기기 프로젝트) 에쿠보 프로토콜(Ekubo Protocol)은 유니스왑으로부터 $12M 투자를 받았고 기존에 있던 JediSwap, MySwap 등을 누르고 현재 스타크넷 TVL 1위를 하고 있는 프로젝트다. 일반적인 LP공급시 유동성 공급 총 금액에 따라 포인트를 주는 경우가 많은데 Ekubo는 LP공급 후 획득한 거래 수수료 금액 기준으로 포인트를 준다. LP구간 설정을 잘하고 관리를 한다면 물량으로 승부를 내는 방식보다는 개미들에게 쪼끔(아주 쪼끔) 더 나은 방식이라고 본다. 1. 주요 사항 1) TVL : $10.2M(‘24. 2. 3 디파이라마 기준) 에쿠보 TVL 2) 투자 VC : 유니스왑(UniSwap) 에쿠보 투자 VC 3) 펀딩 금액 : $12M 에쿠보 펀딩 금액 2. 에어드랍 진행 방식 : LP 공급 수수료 획득에 따른 포인트 배분 방식 3. 파밍용 투척액 Braavos Wallet, Argent Wallet 의 혹시모를 에어드랍도 노려보

스타크넷(Starknet)은 스냅샷을 찍었을까? 그 동안의 에어드랍 작업 리마인드 [내부링크]

(기존 티스토리 작성본 옮기기 프로젝트) 크립토 쪽에서는 굳이 설명이 필요없는 초대형 프로젝트. 패러다임, 코인베이스, 판테라에 이더리움 개발자 비탈릭 부테린까지 수많은 투자를 유치했다. LayerZero, zkSync와 함께 에어드랍 3대장으로 불림. 에어드랍을 위한 스냅샷이 찍혔는지 안찍혔는지 말이 많은 프로젝트 중 하나이기도 하다. 그 말은 에어드랍이 머지 않았다는 이야기!! 지극히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스냅샷은 이미 찍혔다고 생각한다.(물론 아닐 수 있다.) 스냅샷이 이미 찍혔다면 이후의 작업은 $STRK 에어드랍에 의미가 없지만 스타크넷 생태계 프로젝트들의 에어드랍은 노려볼 수 있다. 1. 주요 사항 1) 투자 VC : Paradigm, Pantera, Coinbase, Vitalik Buterin 등 거를 타선이 없다. Starkware 투자 VC 2) 펀딩 금액 : 시드 $6M + Series A~D $255M Starkware 펀딩 금액 2. 에어드랍 진행방식 대부분의

LI.FI / Jumper 브릿지를 사용해 여러 블록체인에 코인 전송 및 에어드랍도 노려보기(Backer. 코인베이스) [내부링크]

(기존 티스토리 작성본 옮기기 프로젝트) 코인베이스와 서클(Circle, USDC 발행사)의 투자를 받은 LI.FI는 꽤 오랫동안 사용해온 주력 브릿지 Jumper의 개발사다. Jumper를 사용해 브릿지를 하면 여러 브릿지 프로젝트를 비교하고 고를 수 있는데 개인적으로는 좋아하는 브릿지다. Jumper 홈페이지에 들어가면 뭔가 설명이 복잡하고 이해하기 어려운데 난 그냥 LI.FI는 브릿지 집계 프로토콜이고 Jumper는 LI.FI라는 프로토콜을 활용해서 브릿지 시켜주는 프로덕트라고 단순하게 생각하기로 했다. 내가 뭔 블록체인 전문가도 아니고c 어쨌든 매우 좋은 VC와 매혹적인 펀딩을 받았기에 지속 사용할 예정이다. Jumper OG 롤도 따놨는데 나중에 먹여주길 간절히 바라고 있다. Lizard NFT도 있는데 여유 자금이 없어 못사겠다c 그리고 비슷한 Socket/Bungee 프로젝트도 간간히 트젝 발생시켜 주고 있다. 요즘에는 Jumper에서 지원이 안되는 체인들도 있어서 Or

쉘 프로토콜(Shell Protocol) $SHELL 에어드랍 수익은? [내부링크]

(기존 티스토리 작성본 옮기기 프로젝트) 아비트럼 체인 위에 구축된 프로젝트로 에어드랍 포인트 마이닝 시즌3 진행중 크랩 홀더 대상 에어드랍 베스팅 관련 투표를 진행했다. TGE시 클레임 0%~ 20%까지 투표! 당연히 그나마 초기에 많이 받을 수 있는 20%로 해야하는거 아닌가?라는 개미의 생각과는 달리..결과는…0%..ㅋㅋ 결과를 보고 ‘아 이건 실패다‘ 싶어서 LP 전부 출금. 팀에서는 고래들이 0%를 선택해서 나온 결과라고 ’응 니네가 선택한거야‘라는 입장.. 애초에 0%를 왜 넣어 이런 XX.. 어쨌든 결과는 나왔고..‘24.1.23 부터 vesting 시작. 현재(2월3일) 클레임 가능 수량 27SHELL..c 1. 에어드랍 복기 LP 예치로 Shell Point 획득 시스템 1) 시즌1 : 일부 LP파밍했는데 늦었는지 포인트 획득 실패 2) 시즌2 : 393,738 point, 978.76CRAB 3) 시즌3 : 140,813 point, 741.15CRAB 총 1719

로그X(LogX) 코인 선물 트레이딩으로 에어드랍 파밍하기(Backer. 코인베이스) [내부링크]

(기존 티스토리 작성본 옮기기 프로젝트) 코인베이스와 해시드 등 아주 매력넘치는 VC 투자를 받은 선물 거래 프로젝트다. Perp Dex는 GMX 이후 계속 핫한 종목이라 하나하나 빼놓기가 어렵다.(자금이 계속 묶인다…) 거기에 코인베이스??아..이건 놓치면 나중에 배가 아파질 확률이 90% 이상이다. 정확하게 코인베이스가 투자한 건 LogX 프로젝트는 아니고 모회사? 개발사? 격인 Flint Labs(트위터)가 받았다. 플린트 랩스는 LogX외에 GasPay라는 프로젝트도 같이 개발한 것으로 보이는데 안써봐서 모르겠다. 퀘스트를 통해 포인트 뻥튀기용 NFT를 에어드랍해주는데 놓친 것들 중 좀 싸게 나오는건 따로 NFT 매수도 진행하고 있다. 지금도 많은 고래들이 포인트 채굴 중이지만 더 많은 고래들이 엄청난 자금력으로 헉 소리나는 포인트를 모으기 전에 빨리 토큰 에어드랍 진행해주길 간절히 기원 중이다. cc 1. 주요 사항 1) Total trading volume : $12억 이

아크 디지털(Aark Digital) 선물 트레이딩으로 에어드랍 파밍하기(Backer. 델파이, OKX) [내부링크]

(기존 티스토리 작성본 옮기기 프로젝트) Delphi Digital, 빅브레인, OKX라는 나쁘지 않은(꽤 괜찮은) VC의 투자를 받은 선물 거래소다. 아비트럼 체인에 구축한 프로젝트로 타 선물 거래 프로젝트와 마찬가지로 트레이딩, LP 공급에 따른 토큰 파밍을 진행 중이다. 예전엔 트레이딩하고 받는 스톤깡해서 토큰도 주고 티어 포인트도 줬는데 지금은 따로 주진 않는다. 지금도 오픈씨 구매 가능하지만 아직 쓸 수 있는지는 모르겠다. TVL이 타 프로젝트 대비 크지 않고 LP 이율도 괜찮아(현재 APR 약79%) 예치 금액을 좀 늘려볼까 생각 중이다. 2월 2일 Dune 확인 토탈 유저 6,139명으로 아직 할만하다. 1. 주요 사항 1) Total trading volume : $4.7B 이상(‘24. 2. 2, Dune 기준) Aark 트레이딩 Volume 2) 자체 LP TVL : $4M(‘24. 2. 2, 디파이라마 기준) Aark TVL 3) 투자 VC : 델파이 디지털, B

킨자 파이낸스(Kinza Finance) 예금, 대출 사용하고 에어드랍 파밍하기(Backer. 바이낸스) [내부링크]

(기존 티스토리 작성본 옮기기 프로젝트) 킨자 역시 바이낸스라는 놓칠 수 없는 VC가 투자한 Lending 프로젝트다. 대출 프로젝트의 포인트 파밍 역시 고래를 이길 방법이 없어서 선호하지는 않는데 바이낸스라서 그냥 했다. TVL $10M도 안될때 들어가서 풍차 돌린다고 돌렸지만 플랑크톤 시드로는 파밍이 너무 미약하다. 다른 프로젝트 찾으면 옮길 예정이라 지금까지 모은 극소량의 포인트라도 좀 챙겨주길 기도 중이다. c **‘24.1.29 전량 인출, TVL이 너무 높아… 1. 주요 사항 1) TVL : $114M(‘24. 2. 2 디파이라마 기준) 이젠 너무 커졌다. Kinza TVL 2) 투자 VC : 바이낸스 Kinza 투자 VC 3) 펀딩 금액 : 미공개 2. 에어드랍 방식 대출 프로토콜이므로 예치(Supply), 대출(Borrow) 을 통해 Airdrop 포인트 획득 총 토큰 공급 수량 1억개 3. 파밍용 투척액 : $2500 USDC 풍차 돌림 4. 프로젝트 설명 Kinza

KiloEx에서 코인 레버리지 트레이딩으로 포인트 파밍하기(Backer. 바이낸스) [내부링크]

(기존 티스토리 작성본 옮기기 프로젝트) 바이낸스 인큐베이팅 Perp DEX로 쉽게 설명하면 레버리지를 이용한 선물 거래소다. 바이낸스 인큐베이팅이라는 단어만으로 파밍 들어가긴 충분했다. 이것도 꽤 초반에 들어갔는데 이젠 TVL과 트레이딩 볼륨이 상당해졌다. 트레이딩 금액으로는 고래들과 싸움이 안돼서 opBNB체인에 넣어뒀던 Vault만 유지 중이다. 조만간 뺄지도??? **‘24. 2. 1 전량 인출 - 고래가 너무 많아졌다. Avantis로 이동! 아반티스(Avantis) Early LP 예치 및 트레이딩으로 에어드랍 노리기(Backer. 판테라, 베이스 에코시스템 펀드) (기존 티스토리 작성본 옮기기 프로젝트) 아반티스(Avantis)는 판테라(Pantera)와 베이스 에코시스템 펀... m.blog.naver.com 1. 주요 사항 1) Total trading volume : $4B 이상(‘24. 2. 2 디파이라마 기준) KiloEx 트레이딩 볼륨 2) 자체 LP TVL

헬리오 프로토콜(Helio Protocol) 예금, 대출 사용하고 에어드랍 노리기!(Backer. 바이낸스) [내부링크]

(기존 티스토리 작성본 옮기기 프로젝트) 아직 에어드랍에 대한 정확한 공지는 없고 토큰을 줄지 안줄지 모르지만(에어드랍 공지가 올라왔다) 찍먹도 안하고 놓치기엔 투자 금액($10M)과 투자한 VC(바이낸스)가 너무 매력적인 프로젝트다. 헬리오에 BNB, ETH 등의 예치 및 빌린 HAY 수량 에 따른 포인트 산정 방식이지 않을까??? 딸린 프로젝트가 있어서 Synclub에 BNB 스테이킹해서 받을 수 있는 snBNB와 헬리오에서 빌린 HAY를 활용한 디파이 농사 등도 포인트 적립이 될거라 생각한다. <‘24. 2. 2 기준 업데이트> : 리스타(헬리오) 에어드랍 이즈 커밍 및 Lista Dao 관련 공지 Helio 트위터 공지 1. 주요 사항 1) TVL : $72M.. 참 많이 늘었다.. Helio TVL 2) 투자 VC : 바이낸스 Helio 투자 VC 3) 펀딩 금액 : $10M Helio 펀딩 금액 2. 파밍용 투척액 1) Supply : 5.6BNB + 0.26ETH 예치

Unblocked 딸깍투언으로 $LOYAL 토큰 무료 파밍하기(Backer. Dapper Labs) [내부링크]

(기존 티스토리 작성본 옮기기 프로젝트) NFT플랫폼이라는데 솔직히 어떤 방식의 NFT플랫폼인지 잘 모르겠다. 그냥 에어드랍 포인트 작업하기가 매우 간단하고 메일로 하루하루 알림을 보내줘서 까먹지 않고 하고 있는 중이다. 거기에 펀딩 금액이 만만치 않다(15백만 달러!!!) 퀴즈 퀘스트 진행시 빌보드, 스포츠 관련 퀴즈들 나오고 난 거의 모르는 내용들이 많기에 매번 ai한테 물어봐서 정답을 맞춰나가는 편이다.(틀려도 UCP는 준다) 하루하루 진행하는 일일 퀘스트들이 몇 가지 있는데 그 중 하나! 1. 주요 사항 1) 투자 VC : Tiger Global, Dapper Labs 등 Unblocked 투자 VC 2) 펀딩 금액 : 총 $15M(프리 시드 $5M + 시드 $10M) Unblocked 펀딩 금액 2. 에어드랍 진행 방식 현재 daily quest(퀴즈) 완료를 통한 UCP 획득 UCP는 차후 $LOYAL 토큰으로 클레임 현재 채굴상황, 최대한 모아보자!! 3. 파밍용 투척액

스와프 파이낸스(Swaap Finance) 디파이 LP 예치로 SWAAP토큰 미리 파밍하기 [내부링크]

(기존 티스토리 작성본 옮기기 프로젝트) 스와프 파이낸스(Swaap Finance)는 ‘22년 1월 테스트넷 시작으로 ’23년 7월부터 V2 메인넷 진행 중인 AMM 프로젝트로 꾸준히 개발을 진행하고 있고 TVL도 조금씩이나마 지속 상승하고 있다. 스와프 TVL 그래프 ‘22년 6월에 폴리곤에서 인센티브 베타를 진행했었는데 그 때 참여를 못한게 아쉽지만 4달전부터 조금씩 금액 투입시켜서 파밍중이다. 혹시나 고래들 유입이 많아져 TVL이 급상승한다면 잽싸게 튈 예정이다. 어차피 상대가 안될거라… 1. 주요 사항 1) TVL : $4.5M Swaap Finance TVL 2) 투자 VC : Signature Ventures, C2 Ventures 등 Swaap Finance 투자 VC 3) 펀딩 금액 : 시드 $4.5M Swaap Finance 펀딩 금액 2. 에어드랍 진행방식 ETH, POLYGON, ARB 체인에 LP 공급시 기본 APR 외에 SWAAP 토큰에 대한 추가 이자 획득

MYX Finance 테스트넷 사용으로 포인트 채굴하기(Backer. OKX) [내부링크]

(기존 티스토리 작성본 옮기기 프로젝트) MYX Finance는 현재 테스트넷(아비트럼 세폴리아) 운영중인 Perp Dex로 트레이딩을 통한 Shell 포인트 획득이 가능하다. Shell 포인트는 향후 에어드랍 재료로 쓰일 소지가 다분해 보여 최대한 빨리 작업하는게 좋아보인다. 테스트 토큰 클레임 후 트레이딩 거래 수익 15$당 1포인트, 펀딩피 3$당 1포인트 획득 가능하다. 개인적으로는 손실보는건 따로 포인트 마이너스가 안되는거 같아 이더 롱+비트 숏 등 서로 헷징하면서 작업중이다. 펀딩피 포인트가 거래 수익 포인트보다 더 쌓였다. (트레이딩에 재능이 없음c) MYX Shell 포인트 채굴 1. 주요 사항 1) Backer : Hongshan, Hashkey, OKX 등 MYX 투자 VC 2) 펀딩 금액 : 시드 $5M MYX 펀딩 금액 2. 에어드랍 진행방식 메인넷 출시 후에는 어떻게 될지 모르겠지만..그래도 테스트넷에 번듯하게 포인트가 있으니 거래로 쌓인 SHELL포인트로 좀

어베일 프로젝트(Avail Project) 노드 운영으로 로또 보상 노리기 [내부링크]

(기존 티스토리 작성본 옮기기 프로젝트) 셀레스티아에 대항할만한 프로젝트로 현재 인센티브 테스트넷이 진행중이라 Node 운영 보상을 노리고 Full node 운영중이다. Node 운영은 VPS 비용만 나가고 아무 혜택도 없을 수 있지만 보상을 주면 대박으로 주는 경우가 많아 노드 운영거리 더 찾는중이다. 노드 1.10버전으로 업데이트 해줘야겠다c <2월 6일 노드 업데이트 완료했으나..뭐가 꼬였는지 에러나서 갈아엎고 다시 했다> 1. 주요 사항 1) 투자 VC : 미확인 2) 펀딩 금액 : 미확인 3) 노드 운영 방법 Avail 디스코드에 노드 가이드가 여러가지 있어 골라서 따라하면 된다. 따로 글을 써볼까 했는데 잘 알지도 못하는게 작성해봐야 헷갈리기만 한다. 개인적으로는 아래 링크의 방법으로 진행했다. GitHub - DinhCongTac221/Install-Avail-Full-Node: Install Avail Project Node Install Avail Project No

브라켓X(BracketX) 홀짝 베팅으로 에어드랍 노리기(Backer. 바이낸스) [내부링크]

(기존 티스토리 작성본 옮기기 프로젝트) 브라켓X는 바이낸스의 투자를 받은 프로젝트 중 아직 사용자가 그리 많지 않은 프로젝트 중 하나다. 펀딩 금액이($2M) 조금 아쉽지만 시드라운드라는 걸 감안하면 매력은 있다. 추후 에어드랍이 있을지는 알 수 없지만(제발 좀..c) 고래들의 본격적인 활동이 시작되기 전에 뭐라도 해보려면 지금 부지런히 작업해둬야겠다. 아래 사진처럼 거래 이벤트 중인데 50불 정도 짤짤이로 하고 있는데도 리더보드 상단에 있다;; 고래형들 이건 안해?? 추후 어떤 기능들이 더 추가될지 모르지만 현재는 PASSAGE라는 재밌는 기능 하나만 운영중이다. VAULT가 열려 있었다면 예치를 좀 하고 싶은데 현재는 다 닫혀있다. 1. 방법은 그냥 홀짝이다. 처음 사이트에 들어가보면 '어쩌라는 건가' 싶은데 현재는 그냥 홀짝 개념의 베팅이다. BTC 또는 ETH의 가격 변동에 따른 STAY IN(범위내), BREAK OUT(범위이탈) 중 하나로 베팅! 거래 범위 조정 사진의

Ep.0 코인판에서 어떻게 돈을 벌까?(에어드랍 헌터, 디파이 농부되기) [내부링크]

(기존 티스토리 작성본 옮기기 프로젝트) 코인판에서 수익창출은 어떻게? 1) 현물 코인, 토큰 축적(비트코인, 이더리움 등) 대표적인 방법으로 대부분 알고 있는 업비트, 빗썸 등에서 코인을 구매해서 시세 차익에 따른 수익 창출이 가능하다. 국내 대표 거래소 2) 선물 거래를 통한 수익 창출(손실 창출도 가능하다) 트레이딩에 재능이나 운이 있다면 소액의 자본으로도 큰 돈 벌기 좋은 방법이다. 선물 거래시 레버리지 1배나 2배로 거래하시는 분들은 많이 없을 듯 하다. 베팅의 민족답게 고배율 레버리지 사용으로 수익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물론 손실도 극대화 된다!!!) 선물 트레이딩으로 수익을 많이 벌었어도 정말 한순간에 청산돼서 모든 자산을 날려버릴수도 있다.(난 쫄보에 고점 판독형 인간이라 아주 소소하게 한다) 항상 조심하시길.. 선물 거래부터는 국내 거래소에서 해외 거래소 또는 개인 지갑으로 코인 전송이 필요하다. 선물 거래에는 2가지 방식이 많이 사용된다. 첫 번째는 일반적인 해외

아이겐레이어(EigenLayer)에 ETH 리스테이킹하고 에어드랍 파밍하기(Backer. 코인베이스) [내부링크]

(기존 티스토리 작성본 옮기기 프로젝트) 아이겐레이어는 정말 무지성으로 투자한 프로젝트다. 강력한 VC와 투자금액을 보면 놓칠 수 없는 프로젝트니까… 처음에 예치할 땐 이 프로젝트가 뭘 하는지, 어떤 점이 좋은 건지 생각도 없이(지금도 잘 모른다. ) Max Cap 도달하기 전에 빨리 넣어야겠다는 생각뿐이었다. 요즘은 열리면 예치까지 약간 여유가 생겼지만 예전에는 가스피 전쟁이었다.(예전이래봐야 불과 두세달 전이다..c) 그 때 이더리움 여유분이 소량이라 많이 넣지 못했는데 요즘은 꼭 아이겐레이어 안에 예치 안하고 타 프로젝트에 스테이킹 넣어도 아이겐레이어 포인트 채굴이 되는 프로젝트가 많아 기존에 넣은 cbETH, swETH 외에 Pendle에 집어넣은 Ether.Fi의 eETH도 자동 포인트 채굴 중이다. 1. 주요 사항 1) TVL(Total Value Locked) : 디파이라마 기준 20억 달러의 스테이킹 이더가 예치된 괴물 리스테이킹 프로젝트 아이겐레이어 TVL(‘24.

이더.파이(Ether.fi)에 ETH 스테이킹하고 에어드랍 포인트 파밍하기(Backer. 애링턴 캐피탈) [내부링크]

(기존 티스토리 작성본 옮기기 프로젝트) 스테이킹으로 묶인 이더리움에 유동성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스테이킹 프로젝트이다. Lido나 로켓풀처럼 이러한 유형의 프로젝트는 꽤 많이 나와 있고 엄청난 차이는 없어보인다. 특히나 이더리움 체인은 코인판 최대 고래들의 놀이터라 건질게 있나 싶었지만 그럼에도 시드라운드 $5.3M은 매력적으로 보여 발을 한 번 담궈보기로 했다. 이 프로젝트에서 약간의 특이점으로 NFT에 이더리움을 예치하는 방식을 꼽을 수 있겠다. Lido의 stETH, 로켓풀의 rETH처럼 토큰 형태로 거래가 가능한게 아니라 NFT에 본인이 투자한 자금이 들어가는데 인출 수수료가 나가는 등 아직 인출 기능이 제대로 활성화되어 있지 않아 NFT를 거래하는 방식이 사용되었다. (지금은 eETH 토큰 형태로 스테이킹 가능하다.) 첫 번째 NFT 시즌이 마법사 그림 형태, 두 번째가 오징어 그림 NFT였는데 마법사 형태때는 놓치고 오징어 NFT에 스테이킹 진행했다. 그 때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