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ark의 등록된 링크

 joark로 등록된 네이버 블로그 포스트 수는 74건입니다.

[전인구경제연구소]진짜 PER구하기 [내부링크]

PER는 무엇일까? PER=시가총액 / 당기순이익 = 주가 / EPS(주당순이익) =100 / 기대수익률(%) *시가총액 = 주가 X 주식 수 *당기순이익 : 일정 회계기간 동안 발생한 기업의 전체수익에서 비용을 차감한 금액 ex. PER 10 이면 현재 당기순이익을 10년동안 달성하면, 시가총액 달성한다는 뜻임 PER은 몇배가 적당할까? 일반적으로 성장성이 꾸준한 기업은 6%정도의 기대수익률을 기대함(동영상 기준) PER은 16.6정도가 평균적(PER = 100 / 기대수익률 : 100/6=16.6) 그러나 업종별, 경제 상황별 다름. (리스크의 크기가 다르기 때문에) ex. 코로나 시국에 기대수익률이 1.5% 정도로 기대되면 PER는 65정도가 산출됨 우량주 기준 적정 PER : 16~33 (기대수익률이 3~6% 정도 되기 때문에) "개인투자자가 연간 10% 수익을 내는 것은 불가능에 가까울 것" 워런버핏 PER가 높은 기업은 왜 투자할까? 삼성바이오로직스, S-Oil, 두산퓨얼

[전인구경제연구소]ROE 제대로 공부하자 [내부링크]

ROE의 개념 ROE (자기자본이익률)=당기순이익/자본총계 *자본총계=자산-부채 (실투자금으로 이해하기) 사업의 효율성을 나타내는 지표 그 자본으로 어느정도의 순이익을 창출해내는가 ROE의 성격 주가와 상관 없음 주가의 변동과 상관없이 확실한 지표를 보여줌 워런버핏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지표 씨즈 캔디 사례를 보면 알 수 있음 장기투자자들에게 중요한 지표 ROE 높은 기업 사례 분석 아프리카TV 사업구조 측면에서 플랫폼 사업이기 때문에, 대규모 자본이 필요하지 않음 사업이 커져도 적당한 자본에서 이익 성장 가능 코웨이 구조조정이나 비용절감을 통해 높은 ROE를 만든 상태임 SK머티리얼즈 매출과 순이익이 급격하게 증가하면서 높은 ROE ROE의 특징 ROE=당기순이익/자본총계 *(1)자본이 줄거나 (2)당기순이익이 증가 하면 ROE가 상승 (1) 매출이 높으면 당기순이익이 증가하면서 ROE가 상승할 수 있음 (2) 그러나 비용 절감을 통해 자본이 줄어들면서 ROE가 상승할 수도 있음 자

[전인구경제연구소]PSR로 저평가 주식 찾는법 [내부링크]

PSR 개념 PSR=시가총액/매출 *시가총액=주가X주식수 <매출 계산> 치킨 2만원 1달에 1000마리 월매출=2000만원 매출 매출 - (월세, 인건비, 재료비) =영업이익 영업이익 - (세금, 이자) = 순이익 <매출을 활용한 지표가 필요한 이유> 인건비나 세금과 같은 비용이 기업마다 다를 수 있음 만약 기존에 부채가 많은 기업의 경우 이자 비용이 너무 많아서 실제 매출에 비해 순이익이 저평가될 수 있기 때문임 순이익만으로는 기업 간 영업 실적을 파악하기 어려울 수 있기 때문에 매출을 활용한 지표가 필요함 PSR 한계 "치킨게임의 우려가 있음" 1. 업종 내 매출이 크면? 시장 점유율이 높다는 의미 점유율 높음, 규모 커짐, 마진 커짐 2. 매출이 적은 기업들의 경영 상태가 악화됨 경쟁자들이 점유율 확보 어려움으로 인해 퇴출됨 3. 시장이 과점이나 독점 상태가 됨 이후 가격 인상을 통해 초과 수익을 얻음 <실제 사례 : 반도체> 매출이 큰 기업일수록 호황을 누릴 가능성이 커짐 매

[터틀트레이딩 요약]위대한 터틀실험의 시작, 시장을 바라보는 관점 [내부링크]

터틀트레이딩 저자 마이클 코벨 / 역자 오인석 전설적인 트레이더 리처드 데니스와 윌리엄 에크하르트의 터틀 실험을 추적한 책이다. 실제 터틀 실험에 참여한 인원들과 인터뷰를 한 내용들과 당시 기사들을 기반으로, 리처드 데니스가 어떠한 방식의 투자 원칙을 내세웠는지 분석한 책이다. 이 책의 가장 눈에 띄었던 점은 기존의 투자 규칙과는 벗어난 방법으로 수익을 거두었다는 점이다. 기존의 가장 보편적인 트레이딩 규칙은 "저렴한 가격에 매수(Long)하여 높은 가격에 매도(Short)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터틀들의 방식은 달랐다. 그들의 규칙은 "추세매매" 전략이었다. 이러한 추세매매 전략의 기저에는 투자자는 시장을 절대로 이길 수 없다는 점이 있다. 장기적인 추세에 벗어나는 자산에 대해서는 시장의 반응이 일시적일 뿐, 결국에는 그러한 장기적인 추세를 이길 수는 없다는 이야기를 한다. 그 추세에 맞추어 투자하면, 그 상승흐름에 쉽게 승차할 수 있다는 것이 터틀 트레이딩의 기본적인 주장이다.

[터틀트레이딩 감상]터틀의 투자기법 분석과 개인적인 생각 [내부링크]

투자 기법 추세를 이용한 트레이딩 윌리엄 에크하르트는 시장에는 추세가 있으며 그 추세는 예상과 다른 모습으로 형성될 수 있음을 풀어 설명하고 있었다. 수련생들이 돈을 하나의 변수로 생각하기를 원했다. 그렇게 하면 규모에 상관 없이 늘 올바른 매매결정을 내릴 수 있기 때문이다. 수련생들은 시장은 제로섬 게임이므로 조금이라도 이익을 내려면 다른사람들로부터 돈을 따와야 한다는 사실을 터득했다. 다시 말해 누구나 활용하는 기법을 써서는 게임에서 이길 수 없다. 이는 다시 말해 돈을 벌려면 '추세'가 있어야 한다는 뜻이다. 추세추종 트레이더들은 늘 시장이 추세를 보일 때를 기다려 투자한다. 수익이 목표이기 때문에 위로든 아래로든 큰 추세를 따라잡아 매매한다. 첫번째 투자 방식은 "추세매매" 이다. 시장에는 물론 기업의 주식이 상품으로써 매매되는것이 옳다. 그러나 그 시장에는 단순히 거래되는 상품만 있는 것이 아니다. 그 상품을 거래하는 "수요자"인 매수인과 공급자인 매도인이 있다. 그리고 과

글로벌 무역 형태에 변화의 바람이 불다 [내부링크]

서론 자유무역주의...보호무역주의... 과연 앞으로의 방향성은? 자유무역주의는 애덤스미스의 자유무역론, 리카도의 무역 상대우위론을 기반으로 하여 국제 무역 질서의 근간이 되었다. 하지만 최근 코로나19 펜데믹과 미중무역분쟁으로 인해 변화된 무역 양상에 대해, 기존의 자유무역의 주장은 점점 힘을 잃고 있다. 본론 외국인 직접투자가 소수 국가에 집중되는 상황 그림 1. 글로벌 수출현황-교역지역 Top5 (왼쪽부터 2018년, 2019년, 2020년) (단위: 백만달러) (출처:KOTRA) 그림 1의 글로벌 수출 현황을 보면, NAFTA1와 USMCA2의 결과로 멕시코, 캐나다의 대미수출규모가, CEPA 3의 결과로 중국의 대 홍콩 수출규모가 상대적으로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중국의 대미수출이 전세계적으로 가장 큰 규모를 차지하는 이유는 국제 자유무역의 관점에서 해석하기는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현상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자유무역의 관점보다는 글로벌 가치사슬 측면에서 평가하는

[Mini Report]소셜 카지노의 선두주자, 저평가는 덤_더블유게임즈 기업분석(21.3Q) [내부링크]

밸류에이션 현재 주가: 64200(21.11.19 장마감 기준) 목표주가: 77800원(상승 여력: +17.47%) 의견: 매수 산출과정 순이익 예상 순이익: 1600억원 일회성 비용을 차감햇다고 가정했을 때의 순이익:1300억원 일회성 비용을 300억원이라고 가정함 동분기 영업 외 손익이 약 80억원이고, 전분기 영업 외 손익은 -22억원이었음 앞으로 적극적인 M&A나 투자가 활발할 것으로 보이므로, 일회성 비용은 증가할 것으로 가정함 이에 주가 계산 시 일회성 비용을 차감했다고 가정했을 때의 순이익을 대입하기로 함 영업실적 순이익이 매년 10%씩 증가하고 있음 21년의 경우 컨센서스가 높은 이유는 비영업이익 실적이 높았기 때문임 영업 이익도 10% 증가하고 있음 사업 다각화를 통해 카지노 게임 이외에 캐주얼 게임으로의 사업 포트폴리오를 확장할 계획이 있기에 업계 전체의 성장 정체성에 대한 리스크가 다양한 게임 포트폴리오로 상쇄 가능하다고 생각함 그러므로 시가총액 또한 안정적으로

[Mini Report]한국 대표주, 1등을 위한 준비_삼성전자 종목 분석(21.3Q) [내부링크]

밸류에이션 현재 주가: 78000원(22.01.10 장마감 기준) 목표주가: 80400원(상승 여력: +3.07%) 의견: HOLD 산출과정 순이익: 40조 예상 순이익: 최대: 51.63조(하나금융투자)/ 최소: 36.66조(이베스트투자증권)/ 평균: 42.72조 최근 삼성전자의 당기순이익 증권사 컨센서스가 39조-40조 정도로 추정되고 있음 작년 순이익이 26조 규모임을 고려하고, 최근 3년간 가장 큰 규모였던 2018년 44조원 순이익과 비슷한 규모의 순이익 규모를 보일 것으로 예상하여 40조원을 책정함 출처: DeepSearch 당기순이익이 11퍼센트 정도이나 21년 1-3분기 당기순이익을 보았을 때 기말 순이익에 대한 연간 순이익률은 약 14%정도 수준으로 가정함. 이는 영업이익률의 성장세를 반영한 것임 영업이익 최대: 68.99조(하나금융투자)/ 최소: 48.04조(이베스트투자증권)/ 평균: 56.59조 영업이익률이 올해 기준 약 20%정도 된다고 판단함. 연간 실적을 고

PER 유효한 지표일까? [내부링크]

여러 투자 총서들을 보면 가장 많이 나오는 이야기가 있다. 기업의 펀더멘탈을 정확하게 분석하여, 장기투자하라. 기업의 성장성과 함께 여러가지 주가 관련 비율들을 보면서 투자 종목을 선정한 후, 투자하라 하지만 이러한 이야기에 대한 신뢰도는 과연 어느정도나 될까? 이에 대해 이야기를 나눠보고자 한다. PER 주가를 주당순이익으로 나눈 주가의 수익성지표 위의 개념은 네이버 사전에서 검색한 PER의 정의이다. PER는 주가가 그 회사 1주당 수익의 몇 배가 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로써, 주가를 EPS로 나눈 값이다. PER=주가/EPS PER을 알아보기 전에 이를 구성하는 EPS라는 개념부터 살펴보자 EPS 기업이 벌어들인 순이익을 그 기업이 발행한 총 주식수로 나눈 값 EPS는 쉽게 이야기하면 1주 당 기업이 이익을 얼마나 창출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이다. EPS는 순이익을 이용한 지표이기 때문에, 내가 이 주식을 통해 순이익을 어느정도분 소유하고 있는지를 간접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하는

[종목]LG에너지솔루션, 하락원인 분석 및 앞으로의 대응 [내부링크]

LG에너지솔루션이 첫날 -15.41% 하락이라는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모두가 기대했던 LG 에너지솔루션이 왜 하락했는지 그 이유에 대해 분석해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1. 외국인의 폭풍 매도? 첫번째의 가능성은 외인들의 엄청난 매도세입니다. 외국인들이 2거래일 연속 엄청난 양의 주식을 매도하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는데 외국인들의 투자 성향은 보통 환율과 많이 엮여있다고 이야기 합니다. 그렇다면 환율 추이를 살펴볼까요? 계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는 모습 실제로 환율은 22년 1월 기준으로 보았을 때 큰 폭으로 상승했음을 알 수 있습니다. 환율이 크게 상승하면 환율에 의한 투자 위험이 증가하기 때문에 외국인 투자자들의 투자심리가 위축될 수 밖에 없습니다. 출처: 연합뉴스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파월의장의 금리에 관한 언급도 영향을 미쳤습니다. 파월 의장은 정례회의에서 "노동시장을 위협하지 않고도 금리를 인상할 수 있는 여지가 꽤 많다고 생각한다." 라고 말했는데요 이는 현재

[뉴욕주민의 진짜 미국식 주식투자 요약] 가치투자자가 가져야할 기본적인 태도 [내부링크]

뉴욕주민의 진짜 미국식 주식투자 저자: 뉴욕주민 뉴욕주민 '금융 지식의 보편화'를 향한 뉴욕주민 프로젝트. Financial Literacy For All. [email protected] www.youtube.com 저자인 뉴욕주민은 구독자 약 25만명(2022.03.04 기준) 유튜버이다. 원래 유튜브를 챙겨서 보는 편은 아니었지만, 다양한 주식 용어들을 쉽고 간단하게 설명해주는 분인 것 같다. 뉴욕주민의 진짜 미국식 주식투자 “이 책을 읽기 전에 미국 주식을 시작한다면 수익의 반은 버린 것과 같다!”실전 트레이딩 스킬로 더욱 완벽해진 전면개정판 출간!‘뉴욕주민’의 인사이트가 더 강력하게 업그레이드되어 돌아왔다!씨티 그룹, JP 모건 등 글로벌 투자은행을 비롯해 사모펀드, 헤지펀드를 거치며 세계 주식시장의 중심 월가에서 치열하게 트레이딩을 해온 유튜버 ‘뉴욕주민’의 미국 주식 입문서인 《뉴욕주민의 진짜 미국식 주식투자》의 전면개정판이 출간됐다. 《뉴욕주민의 진짜 미

[슈퍼스톡스 요약]매출을 보면 그 기업의 영업이익이 보인다 [내부링크]

저자 소개 켄 피셔 켄 피셔는 현재 피셔 인베스트먼트의 대표이사를 역임하고 있는 사람으로써 벤저민 그레이엄과 초창기 투자이론을 만들어 낸, 성장주 투자의 대가 필립 피셔의 아들이다. 켄 피셔는 전통적 투자 기법에 탈피하여 자신만의 시장 예측 방법을 개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그 중 하나가 PSR이다. 이번에 소개할 <슈퍼스톡스>라는 책에서는 PSR을 어떻게 쓰는지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있다. 우선 PSR에 대해서 이야기 해보자면 PSR(주가매출액비율)은 주가를 주당 매출액으로 나눈 것으로 기업의 성장성에 주안점을 두고 상대적으로 저평가된 주식을 발굴하는데 이용하는 성장성 투자지표이다. 지금부터 켄 피셔가 시장 예측을 위한 지표로써, PSR이라는 개념을 도입한 이유에 대해서 본격적으로 탐구해보고자 한다. *슈퍼스톡과 슈퍼컴퍼니는 다른 개념이다. *슈퍼컴퍼니는 성장성이 뛰어난 기업이다. *슈퍼 스톡은 슈퍼 컴퍼니 중 저평가된 주식을 이야기한다. 슈퍼 스톡의 조건 켄 피셔는 슈퍼 스톡의

[파이썬]투자자산별 상관계수 히트맵으로 나타내기, 데이터 시각화 [내부링크]

결과물 2017년 1월1일~2022년 3월 2일동안 각 투자자산 간 상관계수를 구함 위는 파이썬을 이용하여 기간 내의 투자자산 간 상관계수를 시각화한 도표입니다. 우선 어떻게 이 프로그램을 만들었는지 그 코드를 공유하고, 앞으로 이 도구를 사용하여 기간 별 투자자산의 상관계수가 왜 이렇게 나타나는지 분석하는 시간을 주기적으로 갖도록 하겠습니다. 사용한 프로그램 사용한 프로그램은 우선 파이썬을 이용하여 프로그램을 짜기 위해서는 여러가지 도구들이 있습니다. 많은 분들이 사용하시는 프로그램은 Visual Code, Jupyter Notebook, Pycharm 등이 있습니다. 저는 이와는 조금은 다른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습니다. 구글 Colaboratory 저는 구글 Colaboratory, 흔히들 구글 코랩이라고 많이 불리는 툴입니다. 구글 colaboratory의 가장 큰 장점은 컴퓨터 하드웨어의 성능과는 무관하게 코딩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구글 코랩은 클라우드 컴퓨팅 기

[매크로]스태그플레이션과 가까워지는 경제 [내부링크]

유진투자증권 김지나 실제로 채권의 구조는 간단하다. 채권은 장기적으로 안전자산이라는 평가가 많다. 이는 고정된 표면 금리로 인한 일정한 현금흐름이 있다는 점이 가장 주요한 원인이다. 하지만 이 또한 신용이 좋은 국채나 우량 회사채들의 이야기이고, 신용 등급이 낮은 기업의 채권들의 경우에는 다른 양상을 보이기도 한다는 점을 이해하자. 채권의 기본 구조는 채권의 수익률과 가격과의 관계이다. 채권의 가격이 높아진다는 것은 채권의 수익률이 그만큼 낮아진다는 것이다. 위 리포트에서 이야기하는 금리는 이 채권 수익률, 채권금리를 이야기하는 것이다. 더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다면 아래의 사이트를 확인해보며 기본적인 구조를 확인해보는 것이 좋다. 채권수익률과 가격결정 | click 경제교육 | KDI 경제정보센터 지난 뉴스 한 토막, 유로존 재정위기 여파가 그리스를 넘어 이탈리아까지 위협하고 있다. 이탈리아의 10년물 국채금리가 7.4%를 넘어 위험수준에 이르렀다.는 기사가 눈에 띈다. 채권은 무엇

[월가의 퀀트 투자 바이블 요약]성공 투자 전략은 근거를 가진 투자법을 지속적으로 이어나가는 것 [내부링크]

평가 이 책이 주장하는 바는 합리적인 전략을 일관되게 유지하면 높은 수익률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이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합리성과 일관성이다. 이 두가지 요소가 제대로 되지 못하는 이유는 인간의 감정적 판단 때문이다. 인간은 계속 합리적인 척은 하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못하다. 여러가지 근거들을 보면서도 실제로는 그렇게 행동하기에는 자신의 주관적 판단을 더 맹신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시장 폭락 상황에서의 투자자의 반응은 더하다. 패닉셀이라고 불리는 여러가지 현상이 일어나는데 과연 이러한 행동들이 이성적이거나, 합리적인가 라고 하면 개인적으로는 그렇지 못하다고 생각한다. 실제로 이 책에서 다루는 투자 기준은 여러가지이다. CH5-21까지는 투자 지표를 이용한 투자전략에 대한 이야기들이다. 위 챕터에서는 시가총액, PER, EV/EBITDA, PCR, PSR, PBR, 배당 수익률, 자사주 매입 수익률, 주주 수익률, 재무 비율, 가치요소, EPS 증가율, 순이익률, ROE, 상대 가격

[매크로]실적은 오르고, 주가는 내리고...역금융장세의 징조 [내부링크]

최근의 장세에 대한 판단이다. 리포트에서는 금리의 완만한 상승을 가정하며, 보수적인 전망치인 PER 10배를 예상하고 있다. 레포트의 가장 핵심이라고 생각한다. 최근의 주식 시장은 매우 아이러니하다. 경기 둔화 우려와 증시 하락에도 불구하고 이익 전망치는 상향되고 있다. 즉 주가 결정 요인 중 펀더멘탈이라고 불리는 이익 전망치는 계속해서 상승하는 반면, 주가는 하락하고 있다 현재의 펀더메탈 성장은 과연 기업 실적의 증가일까? 개인적으로는 그렇지 않다고 생각한다. 최근의 가장 큰 이슈는 인플레이션 이슈이다. 심지어 스태그플레이션의 이야기도 나오고 있다. 기업 실적은 P(가격)과 Q(수량)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다. 보통 Q의 증가가 기업 실적의 성장을 불러일으키는데, 최근의 현상은 P의 상승으로 이루어진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있다. 그렇다면 주가는 인플레이션에 대한 효과를 왜 누리지 못하는걸까? 돈의 양이 많아지면 당연히 주가도 인플레이션율을 따라가야하는 것 아닐까? 이에 대한 개

[피터린치의 이기는 투자 요약]자신이 투자하는 대상을 알고 투자하자 [내부링크]

책 소개 오늘의 책은 [피터린치의 이기는 투자]이다. 피터린치는 저평가주들을 찾아 투자하는 것으로 유명한 투자자이다. 피터린치의 책들의 가장 좋은 점은 가독성이 매우 좋다는 것이다. 피터린치가 쓴 책들을 보면 독자들에게 여러가지 어려운 투자 지표나 투자 논리를 제시하지 않는다. 오히려 간단하게 설명이 불가하면 종목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것으로 여긴다. 투자에 대해 여러가지 수치 지표나 복잡한 구조를 이해하기 어려운 독자들에게는 오히려 쉽게 자신의 투자 논리를 이야기하는 피터린치의 책들을 추천하는 이유이다. 피터린치의 책들 중 [이기는 투자]는 과연 우리가 어떻게 수익을 얻는, 남들과는 다른 이기는 투자를 할 수 있느냐에 대한 이야기이다. 가장 간단하게 이야기하자면, 종목에 대한 완전한 이해와 함께, 각 종목 별 특성을 고려하여 투자 종목 스크리닝부터 시작하여, 매매 방식도 종목 별로 세분화해야한다는 것이다. 위 책은 총 21장으로 이루어져있다. 간단하게 구분하자면 1장-2장: 성 아

[Mini Report]다각화된 화공 사업 영역, 안정적 배당주_삼영무역(22.1Q) 주가전망 [내부링크]

기업 개요 기업 개요 삼영 무역은 수출입업 미 동대행업을 영위할 목적으로 1959년 10월 16일에 설립된 기업으로 1988년 3월 28일 유가증권 시장에 상장하였다. 국내 화학 산업 분야에 기초 석유 화학의 유도체인 화공 약품을 국내외 제조업체에 공급하는 화공약품 판매 사업과 당사의 관계사에서 생산한 시력 보정용 플라스틱 안경렌즈 판매 사업을 주요 사업으로 하고, 최근 자동차 부품 제조업에도 주력하고 있다. 지분구조 삼영무역의 이승용 대표이사가 최대주주이며, 21%의 지분율을 가지고 있음 이외의 대주주는 대부분 친인척 및 게열사 임원이다. 배당정책 최근인 제 63기에 550원의 배당을 진행하였음 배당 수익률은 결산일 종가 기준 3.70%의 배당 수익률을 보여줌 과거 배당 이력을 보았을 때에도 결산 배당을 연속 35회 진행하고 잇으며, 평균 배당 수익률을 최근 3년간 기준 3.49%, 최근 5년간 기준 3.27%를 보여주고 있다. 산업 개요 사업 부문 및 주요 제품 사업 부문은 크게

[파이썬]종목 정보 한눈에 보기(데이터 시각화) [내부링크]

코드 설명 사용한 모듈 PYKRX stock bond Pandas MATPLOTLIB rcParams pyplot Seaborn 가장 주요하게 쓰인 모듈은 PYKRX라는 모듈이다 위 모듈의 경우 주식과 채권 데이터를 크롤링 해오는 모듈로 현재 Github에 공유되고 있다. 다양한 재무 정보를 확인하고 싶다면 아래 사이트를 통해 직접 코드를 작성해 보는 것도 좋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https://github.com/sharebook-kr/pykrx GitHub - sharebook-kr/pykrx: KRX 주식 정보 스크래핑 KRX 주식 정보 스크래핑. Contribute to sharebook-kr/pykrx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얻을 수 있는 데이터 지수 추이 채권시장 수익률 종목 정보 종목 역사 주가 추이 투자 지표 시장 지표(시가총액, 거래량, 거래대금, 상장주식수) 외국인 지분 현황 공매도 잔고

[인플레이션에서 살아남기 요약]앞으로 펼쳐질 인플레이션의 미래 [내부링크]

인플레이션에서 살아남기 책 소개 오늘 소개할 책은 [인플레이션에서 살아남기]이다. 인플레이션에서 살아남기 40년 만에 찾아온 인플레의 역습, 당신의 자산이 무너지기 시작했다!200만 구독자의 열렬한 사랑을 받는 「삼프로TV」는 경제 분야 1위 유튜브 채널이다. 내로라하는 TOP급 전문가들이 출연해 국내외 시황 등의 정보를 나누는데, 요즘처럼 금리가 뛰어오르고 환율이 고공행진 하는 등 혼란스러운 시장이 펼쳐질 때 독자들이 한마음 한뜻으로 찾는 사람이 있다. 바로 신한은행 WM그룹의 부부장, 오건영 저자다. ‘글로벌 경제 1타 강사’로 불리는 오건영 저자의 또 다른 애칭은 ‘대한민국 최고의 FED(연준) 전문가’다. 글로벌 시장의 폭주를 ... book.naver.com 저자는 '오건영'으로 대표작으로는 [부의 대이동] 이 있다. 위 책은 최근 많은 사람들의 경제 및 투자에 대한 관심의 증가와 공급망 이슈로 인한 인플레이션, 더 나아가 스태그플레이션에 대한 이야기가 대두되면서 베스트셀러

[Mini Report]태양광 패널의 효율 높이는 것이 목표 _한화솔루션(22.1Q) 주가전망 [내부링크]

기업 개요 기업 개요 주요 사업 부문은 기초소재 부문, 신재생 에너지 부문, 가공 소재 부문, 리테일 부문, 기타 인사이트 부문이 있다. 기초소재 부문에는 PE, PVC, CA, TDI 제품 등을 생산ㆍ판매한다. 신재생에너지 부문은 셀과 모듈 등의 태양광 제품 등을 담당하고 있다. 가공소재 부문은 자동차 부품, 산업용 소재, 전자소재, 태양광 소재 등을 담당하고 있다. 리테일 부문은 의류/잡화/화장품/주류 등의 상품 매출을 담당하고 있다. 기타 인사이트 부문은 부동산 사업 등을 담당하고 있다. 지분구조 한화가 약 36%의 지분을 가진 최대주주이며, 국민연금공단과 우리사주 조합이 그 뒤를 잇는다. 우리 사주 조합은 2021년부터 3%대의 지분을 가지고 있다 배당정책 중간배당은 따로 실시하지 않으며, 결산 배당은 2003년(제 30기)부터 2019년(제46기)까지 17회 연속 결산배당을 한 이력이 있다. 하지만 2020년(제47기) 및 2021년(제48기)는 결산배당을 하지 않았다. 산

[코인]루나코인 사태로 알아보는 비트코인과 다른 알트 코인들의 미래 [내부링크]

새로운 자산의 등장 코로나 19의 발생과 함께 급격한 자산 시장의 하락은 잠시... 단기간의 급반등으로 인해 주식 뿐만 아니라 다른 자산들 또한 급등하였다. 실제로 다양한 자산들이 그 당시 상승하였다. 부동산, 주식 뿐만 아니라 원자재 또한 가격이 큰 폭으로 상승하였다. 하지만 그 어떠한 자산도 암호화폐의 수익률을 뛰어넘을 수는 없었다. 위는 다양한 자산의 가격 그래프이다. 대표적인 자산인 S&P, 코스피, 원유 모두 엄청난 상승폭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다양한 자산들 중 가장 눈에 띄는 것은 당연하게도 비트코인이다. 그래프만 보아도 엄청난 수익률을 보였던 비트코인과 함께 다양한 암호화폐들이 주목을 받는 가운데, 암호화폐 시장은 엄청난 상승세를 유지하였다. “가상화폐, 단기적으론 롤러코스터… 결국엔 시장 커진다” 가상화폐, 단기적으론 롤러코스터 결국엔 시장 커진다 세계경제포럼 실라 워런 디지털자산 최고 담당자 www.chosun.com 세계 경제 포럼(WEF)의 실라 워런 블록체인,

[종목]아프리카TV를 보면서 느낀 것 [내부링크]

출처: 네이버 증권 현재 아프리카 TV의 3년간의 주가 그래프이다. 아프리카 TV는 2020년도 4만원 대에서 최고가 기준 20만원 이상을 육박한 기업이다. 하지만 최근 아프리카 TV는 거듭 하락을 유지하면서 2022년 6월 22일 장 마감 기준 87000원을 기록하고 있다. 어떻게 아프리카 TV는 계속해서 엄청난 주가 상승세를 이어 갔으며, 왜 이렇게 하락세를 멈추지 못할까에 대해 분석해보도록 하겠다. 아프리카TV의 주가는 왜 상승했을까?? 아프리카 TV의 주가가 엄청나게 상승했던 이유는 무엇이었을까? 엄청난 주가 상승의 이유는 크게 두가지 시각으로 분석할 수 있다. 인터넷/게임 업종의 꾸준한 주가 상승 기업의 성장률 증가 인터넷/게임 업종의 꾸준한 주가 상승 당시 아프리카 TV의 폭발적인 주가 상승세를 보여준 이유는 업종의 이유가 매우 컸다. 당시 인터넷/게임 업종의 주가 수익률과 FWD PER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당시 평균 12M FWD PER가 카카오 기준 80.2배를 기록

주식은 결국 수요와 공급! 거래량 지표 알아보기 [내부링크]

위는 삼성전자의 주가 그래프이다. 주가 그래프에서 투자자들은 크게 2가지 정도의 정보를 얻는다. 주가 정보 거래량 정보 우리는 이러한 두가지 정보를 통해 다양한 투자 지표를 개발한다. 주가 관련 비율에는 PER, PBR이 있다. 이들의 특징은 약자 앞에 P가 주로 있다는 것이다. 이는 투자 지표에서의 P가 주식의 가격을 나타내는 'Price'를 줄인 말이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거래량에 관한 지표들은 어떠한 글자를 쓸까? 거래량은 영어로 'Volume'으로 나타낸다. 그렇기 때문에 거래량과 관련된 지표에는 V가 많이 들어간다. 거래량은 어떻게 쓰이나 거래량 지표는 사실 주식보다 부동산 시장에서 많이 쓰인다. 주식과 부동산의 가장 큰 차이점은 유동성이다. 주식의 경우 시장에서 거래가 홟발하다. 이는 1주의 가격이 비교적 부동산에 비해 저렴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부동산의 경우 자산의 유동성이 작다. 시장 자체의 유동성이 적기 때문에 시장의 위축되어 수요와 공급이 원활하지 않으면 부동산 가

VC 개념과 엑시트 전략 (증권투자와의 차이점/벤처기업투자소득공제) [내부링크]

최근 점점 시장이 다양화되면서 기관들은 다양한 투자처를 찾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다보니 상장사들뿐만 아니라 벤처투자에 대한 관심도 점점 증가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벤처투자를 주요하게 다루는 VC에 대한 간단한 개요와 함께, 벤처투자는 무엇을 목표로 하는지, 그리고 이에 따른 LP(출자자)와 GP(운용사)의 태도 차이에 대해 간단하게 알아보고자 한다 벤처 캐피탈의 개념과 목표 엑시트의 다양한 방법 벤처 투자 는 말 그대로 벤처기업에 투자하는 것을 말한다 우리는 이러한 투자를 보여주는 사람들을 벤처 캐피털리스트라고 한다 *우리가 흔히 말하는 심사역들이 이들에 해당한다 그리고 우리는 이러한 목표들을 달성할 때 EXIT(엑시트) 했다고 이야기한다. 엑시트는 쉽게 이야기하자면 자신의 투자를 종결하는 것으로, 주식으로 이야기하자면 매수한 주식을 파는 행위를 말한다 이러한 엑시트의 방법은 매우 다양하지만 이 글에서는 대표적인 것들만 소개하고자 한다 IPO, M&A VC의 가장 주된 수익원 벤처캐

재간접펀드(모태펀드)의 투자방식 [내부링크]

재간접펀드 재간접펀드란 자산운용사가 직접 주식이나 채권에 투자하는 것이 아니라, 주식이나 채권 등에 투자하는 펀드에 재투자하는 펀드로, 여러 펀드에 분산투자해 위험을 최소화하면서 투자를 진행한다. 재간접펀드는 모태펀드라고도 불리는데, 투자받는 펀드를 자펀드, 투자를 하는 펀드를 모태펀드라고 하여 모태펀드에서 자펀드에 투자하는 개념을 가지고 있는 용어를 쓰기도 한다. 시장의 다양한 주체들이 이러한 재간접펀드의 형태로 펀드를 결성하고 있다. 대표적인 플레이어는 물론 정부가 결성하는 정책펀드이지만, 최근 다양한 운용사의 대체운용팀에서도 이러한 재간접펀드들을 많이 결성하고 있는 추세이다. 정책 펀드 본질적으로 대부분의 정책펀드들의 타깃은 벤처기업 투자이다. 벤처 기업들의 경우 투자 유치를 하려고 해도 적자가 나는 기업들이 태반이기 때문에 투자금 유치가 어렵다. 그렇기 때문에 개인들의 벤처기업에 대한 투자에 소득공제를 해주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벤처 투자를 활성화하는 방향성을 띄는데, 재간접

채권 수익률과 스프레드(Credit/Term/옵션조정)의 개념과 활용 [내부링크]

채권 수익률은 채권 투자로부터 얻을 수 있는 수익률이다 채권을 투자하다보면 채권의 만기 수익률을 쉽게 찾아볼 수 있을 것이다. 채권의 수익률은 채권 투자로부터 얻을 수 있는 수익률로써, 만기까지의 연평균 수익률을 나타내기 때문에 만기수익률, 채권 이자율 등 다양한 방식으로 불리고 있다. 채권의 수익률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명목 수익률 (Nominal Yield): 채권의 연간 쿠폰 지급액을 채권의 액면가로 나눈 비율입니다. 이는 채권이 발행될 때 정해지며, 시장 상황의 변화에 따라 변하지 않습니다. 현재 수익률 (Current Yield): 연간 쿠폰 지급액을 채권의 현재 시장 가격으로 나눈 비율입니다. 이는 채권 가격의 변동에 따라 변할 수 있습니다. 만기 수익률 (Yield to Maturity, YTM): 채권을 현재 시장 가격으로 구매하여 만기까지 보유했을 때 예상되는 평균 연간 수익률입니다. 이 계산에는 쿠폰 지급, 만기 시 원금 상환, 그리고 채권 가격의 변동이 모두 포

전략적 투자자(SI), 재무적 투자자(FI) 개념 알아보기(워런버핏, 조지소로스) [내부링크]

출처: Corporate Finance Institute 개념 전략적 투자자(Strategic Investors; SI) 전략적 투자자는 장기적인 시각을 가지고 투자를 진행. 장기적 목표를 통해 자산을 효과적으로 운용' 자산배분을 통해 리스크를 분산시키며 주식, 채권, 부동산 등 다양한 자산 클래스에 투자 정기적으로 포트폴리오를 검토하고 리밸런싱하여 원래의 자산배분 목표를 유지가 목표 주로 안정적이고 예측 가능한 성과를 추구하며, 단기적인 시장 변동성에 크게 반응하지 않음 재무적 투자자(Financial Investors; FI) 주로 단기적인 이윤을 추구하며, 시장의 단기적인 변동성을 활용해 수익을 창출하려고 함 시장 분석 및 기술적 분석을 통해 단기적인 시장 동향을 파악하고 빠르게 대응하려고 함 대부분 주식 시장에 중점을 두고 투자하며, 기업의 실적, 주가 등을 주시하면서 투자 결정을 함 빠른 의사결정과 행동이 필요하며, 시장의 변화에 민첩하게 대응함 두 유형은 투자 목표와 기간

[보험]IFRS 17과 CSM(계약서비스마진) 개념과 보험사 운용 전략 [내부링크]

출처: FETV 손해 보험사들의 실적이 새로운 국면을 맞이했다. 이는 새로운 보험 국제 회계기준인 IFRS 17의 영향으로 계리적 가이드라인이 변하면서 실제로 측정된 실적이 이전과는 다르게 측정되는데에 기인한다. 이러한 상황에 대해 이해하기 위해서는 IFRS 17 과 CSM(Contract Service Margin, 계약서비스마진)에 대해 알아보아야하는데 이 포스트에서는 위의 개념과 이에 따른 보험사들의 운용전략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IFRS 17 개념 IFRS 17은 국제 회계기준(IASB)에서 발표한 새로운 보험 계약 회계 표준으로, 2022년 1월 1일 이후에 시행된다 출처: 생명보험협회 IFRS 17 특징 1. 계약 기간 동안 손익 인식 : IFRS 17은 보험계약의 계약 기간 동안 손익을 인식하는 "계약별 손익" 모델을 도입하였는데, 보험사가 계약 기간 동안 서비스를 제공함에 따라 손익을 차례로 인식하게끔 한다. 2. 자산과 부채의 현실적인 반영 : 자산과 부채를 현실적

[반도체]반도체 투자를 위한 반도체 8대 공정 총정리(by 삼성전자) [내부링크]

반도체 산업에 투자하기 위해서는 업계와 밸류체인도 중요하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제조 공정이다 각 기업들이 현재 어떠한 공정의 일을 하고 있는지를 알아야, 최근 반도체 공정이 미세해지고 정교해지는 과정에서 어떠한 반도체 장비가 수혜를 볼 수 있을지를 알 수 있기 때문이다. 반도체에는 크게 8개의 공정이 있는데, 이 글은 삼성전자 뉴스룸에서 있는 자료들을 취합하여 정리한 자료로, 더 자세한 내용을 보고 싶다면 아래의 링크를 클릭하여 자세한 내용을 확인하기를 바란다 [반도체 백과사전] 반도체 8대 공정 한 눈에 보기! 반도체 산업에 관심 있다면 꼭 알고 있어야 하는 내용 중 하나가 바로 ‘반도체 8대공정’입니다. 어렴풋이 알고는 있지만 맥락을 다시 살피고 싶은 여러분들을 위해 반도체 제조공정을 한 눈에 볼 수 있는 콘텐츠를 준비했습니다. 각 단계를 클릭하면 자세한 설명이 담긴 게시글로 이동할... news.samsungsemiconductor.com 집적회로(IC, Intergrated

[상품]원유, 금 선물투자 기초. 핵심은 보관비용에 있다 (원자재 선물 가격) [내부링크]

출처: 메리츠증권 * 위 글은 메리츠 증권에서 발행한 "고금리가 바꾼 원자재 시장" 리포트를 참고하여 작성하였습니다. 원자재의 보관비용 주식 투자와의 가장 큰 차이 출처: investing.com 원자재는 원유, 금, 은 등 다양한 실물 자산에 가격이 연동되어 있는데, 보통 1개월 이후에 그 자산을 매수하는 계약인 선물 계약의 거래로 이루어진다. 원자재는 보통 인도, 롤오버 과정에서 보관비용이 발생한다. 왜냐하면 원자재의 실제 인도는 미래이기에, 실제로 인도되기 전까지 보관하는 비용이 생긴다. 보통 원자재의 가격 전망 불확실성이 바로 이 보관비용에서 발생한다. 실제로 예측할 수 없는 매크로 이슈(재해, OPEC 합의 등)에 따라 재고, 생산량 등에 변동이 생길 수 있다. 이러한 점이 원자재의 현재 수요와 공급으로 결정된 펀더멘털보다 앞서 이야기한 보관 비용이 가격 변동에 주요 원인으로 손꼽히는 이유이다. 원자재 선물 가격 결정식 주식투자와 가장 다른 점은 보관비용 실제 원자재 선물

[건설]아파트 브랜드별 건설사 총정리(+재개발 수혜받을 건설사는?) [내부링크]

최근 서울의 도시 재개발이 진행되면서 어떠한 건설사에게 수주가 갈 것인지 등 다양한 브랜드들에 대해 관심이 많을 것이다. 아마도 아파트 브랜드에 대해서는 익히 들어보았겠으나, 그 브랜드가 어떤 회사의 것인지 알지 못하는 투자자들도 많다고 생각된다. 그래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각 건설사들이 어떠한 아파트 브랜드를 가지고 있는지 알아보고, 브랜드 평판 순위들을 보며 어떤 기업에 투자를 해야할지 고민해보는 시간을 가지도록 하겠다. 아파트 브랜드별 건설사 정리 아파트 브랜드 기업 힐스테이트 현대건설 푸르지오 대우건설 아이파크 현대산업개발 롯데캐슬 롯데건설 더샵 포스코이앤씨 e편한세상 DL이앤씨 래미안 삼성물산 위브 두산건설 자이 GS건설 우미린 우미건설 서희스타힐스 서희건설 한화포레나 한화건설 더플래티넘 쌍용건설 하늘채 코오롱글로벌 SK뷰 SK건설 호반베르디움 호반건설 한라비발디 한라건설 데시앙 태영건설 코아루 한국토지신탁 센트레빌 동부건설 동문굿모닝힐 동문건설 리슈빌 계룡건설 스위첸 KCC

[Macro Letter]시장은 기준 금리 인하 가능성에 베팅, 국내는 PF 문제 해결부터 시작 [내부링크]

조기 인하 기대감이 적었던 주 초반 미국 11월 고용지표 발표 주 초반에는 금리 인하 가능성이 낮게 평가되었다 그 이유는 미국 11월 고용이 예상보다 견고했다는 점이다 미국 경기가 둔화 국면에는 있지만, 경기 경착륙 기대감은 후퇴하고 조기 기준 금리 인하 가능성도 낮아졌기 때문이다. 사실 연준이 Data dependant 기조를 보였기 때문에, 고용이 견조하다는 점은 금리 인하가 빠른 시일 내에 이루어지지는 않을 것이라고 생각되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미국 10년물 금리는 5% 상승 시도 후 4% 초반으로 반락하였다. 이러한 낙폭은 경제 지표와 연계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당시는 헤지펀드들의 유동성과 캐리 트레이드로 인한 영향으로 보는 시각이 지배적이었다. FOMC 성명문에 환호한 시장 점도표는 그대로지만 고용보고서와 소비자물가가 견조한 모습을 보이면서, 시장은 이미 내년 급격한 금리 인하 가능성을 반영하고 있었다. 언제일지는 모르지만 내년에 금리 인하는 무조건 일어난다는 의견이 지배적

금본위제와 변동환율제 / 인플레이션 발생 원인 / 브레튼우즈체제, 환율조작 [내부링크]

2023년의 화두는 인플레이션 2023년의 시장을 주름잡았던 키워드는 인플레이션이었다. 사실 코로나19 이전에는 이와는 완전히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었다. 인플레이션이 1% 근처에서 횡보하는 모습을 보이자, 당시에는 금리를 인상하여 인플레이션을 일으켜야한다는 주장도 많았다. 하지만 코로나 19로 인해 시장이 무너지는 것을 막기 위해, 양적완화를 통해 엄청난 돈이 시장에 흘러들어갔다. 이는 결국 엄청난 소비자 물가의 상승을 이끌어냈다. 하지만 인플레이션은 너무 가팔랐고, 기준 금리는 엄청난 속도로 인상되는 등 경기 침체의 양상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인플레이션은 왜 일어나는 것일까? 인플레이션의 역사를 알기 위해서는 금본위제와 변동환율제에 대해 알아야 한다 금본위제 브레턴우즈체제 개념 금본위제는 화폐단위를 금과 연계하여 유지하는 제도로, 간단하게 이야기하자면 통화의 가치를 금에 연동하는 제도를 이야기한다 금본위제는 금의 자동조정기능에 기초한다. 우선 정부가 금 가격을 보장하여, 국내적

[채권]채권의 수익률로 보는 침체 전망 [내부링크]

출처: 이베스트증권 요약 과거 수익률 반전이 경기 침체의 시그널로써의 역할을 해나갔는데, 최근 수익률 반전이 다시 일어나고 있고 이에 따라 경기 침체의 가능성이 높아짐 단순히 채건 수익률만 볼 것이 아니라, 인플레이션을 고려한 조정 수익률 곡선을 이용하여 판단해볼 필요가 있다 결과론적으로 1975년과 1981년의 경기침체는 명목 수익률 곡선이 실질 수익률 곡선보다 더 잘 예측함(명목수익률 곡선이 경기 침체 예측에 우위) 수익률 곡선으로 보았을 때에는 상대적으로 경기 침체 가능성이 높지만 확실한 전망은 아직 없다

업종 내 Long/Short 비중에 따른 수익률 추이 분석(통신업종) [내부링크]

대부분의 일반 투자자들은 공매도가 불가하기에 Long 포지션만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고 있다 하지만 전문 투자자들은 헤지 등 다양한 이유들로 short 포지션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하지만 궁금증이 생겼다. 같은 업종 내에서 Long과 Short의 비율에 따라 수익률이 어떻게 변화하는지에 대해서이다. 이러한 궁금증을 해결하기 위해 간단하게 아래와 같은 비중으로 2017년부터 최근까지의 수익률 추이를 비교하여 보았다. result1 result2 result3 sk텔레콤 1 3 3 kt -2 -2 -1 lg유플러스 1 -1 -2 위의 표를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result1은 sk:kt:lg=1:-2:1의 비중으로,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에 대해 1단위 씩 Long 포지션을 구축하고, kt를 2단위 short 포지션을 구축했음을 의미한다. 모든 종목을 1:1:1로 매수 포지션을 구축했을 때를 벤치마크(bm)으로 정했다. 통신업종를 다룬 이유는 업종의 영향력이 강하고, 비교적 수익

[채권]2023년 10월 금통위 3.50%로 기준금리 동결, Higher For Longer 기조는 유지될 듯 [내부링크]

기준금리 연 3.50% 동결…美 긴축 장기화, 이·팔 분쟁, 가계부채 고려 19일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통화정책방향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연 3.50%로 동결했다. 지난 2월과 4월, 5월, 7월, 8월에 이어 이번.. news.tvchosun.com 한국은행이 6연속 기준금리를 3.5%로 동결하였다. 특징적인 점은 금통위원 6명 중 5명이 금리 추가 인상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다는 점이다. 금통위 내에서도 금리를 추가적으로 인상해야한다는 인원이 점점 늘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는 크게 소비자물가,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가계부채의 3가지 정도의 원인이 있다고 보인다. [BondView] 9월 소비/생산 동반 서프라이즈의 이면 하나증권 우선 최근 미국 CPI가 컨센서스를 크게 뛰어넘었다. CPI MoM 예상치는 0.4%였는데, 실제로는 0.7%로 나타났다. 이는 유가 상승으로 인해 물건 가격은 올라갔지만, 소비는 견조하였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좀 더 소비자들의 소비를 포괄적으로 보고

[반도체]메모리 반도체 업계 밸류체인 한눈에 보기(IDM, 팹리스, 파운드리, OSAT) [내부링크]

오늘은 나이스 신용평가에서 발행한 "메모리 반도체 산업 전망 및 소부장 업계 현황"이라는 자료를 보며 메모리 반도체 산업에 대해 간단하게 알아보도록 하자 반도체 산업 개요 반도체 공급사슬 및 경쟁구도(시장점유율) EDA(Electronic Design Automation) 설계단계에서 반도체가 규격을 만족하는지 사전에 검증. 반도체의 동작을 예측하고, 약속한 규칙대로 주어진 작업을 시간 내에 수행하는지 확인한다 10대 EDA 기업 대부분이 미국 기업이고, 독일, 일본, 오스트레일리아 기업들도 있다. [김정호의 AI시대의 전략] 반도체기업 진짜 실력, EDA로 판가름 난다 김정호의 AI시대의 전략 반도체기업 진짜 실력, EDA로 판가름 난다 제품 성능 검증하는 소프트웨어 세계 톱10 중 7개가 美 기업 수백억 개 미분방정식 풀며 반도체 설계 정확성·효율성 검증 반도체 패권경쟁의 최후 병기 걸음마 수준 국내 기업 키워야 www.chosun.com IDM (메모리 업계) 반도체의 설계,

국민연금공단, 카카오 등 6개사에 대해 단순투자에서 일반투자로 전환(국민연금공단 증권 보유 목적) [내부링크]

2023년 11월 1일, 국민 연금 공단은 거버넌스 이슈를 이유로 6개사를 단순투자에서 일반투자로 상향했다고 밝혔다. 6개사는 카카오, 카카오페이, 키움증권, BNK금융지주, 현대로템, CJ대한통운이다. 국민연금공단에서는 이 회사들을 어떤 이유로 단순투자에서 일반투자로 전환는지 알아보도록 하자 자익권과 공익권 우선 단순투자와 일반투자를 알기 위해서는 자익권과 공익권에 대해서 알아야한다 자익권 : 주주의 경제적 이익 확보 목적 (예: 이익배당청구권, 신주인수권, 잔여재산분배청구권 등) 공익권 : 회사의 경영 참가 및 관련하여 행사하는 권리 (예: 주주제안권, 대표소송제기권 등) 보통 개인투자자들은 주식을 매입하면서 자익권을 얻는다. 배당이나 신주 인수를 통해 경제적 이익을 얻기 때문이다. 하지만 기관투자자, 특히 국민연금의 경우에는 공익권도 함꼐 고려하여 투자를 진행하는데 ,실제 사례로 한진칼은 국민연금공단에서 적극적으로 영향력을 행사를 하고 있다. 국민연금, 강성부 펀드와 손 잡나…

공매도 금지 조치 장단점. 단기적 호재이나 장기적으로는 악재 [내부링크]

2023년 11월 6일 종가 기준 공매도 금지가 2023년 11월 5일 일요일에 기습발표되고, 이러한 상황에서 다음날 거래가 시작되었다. 실제로 공매도 금지의 영향으로 KOSPI는 5.66%, 코스닥은 7.34% 오른 채로 마감되었다. 특히 기존에 공매도가 많았던 2차 전지주들이 *숏커버링 및 기존 주가 레벨이 낮다는 이유 등으로 대거 상한가를 기록하는 등의 모습을 보여주었다. 숏 커버링 1)주식시장- 주식시장에서 공매도(빌려서 판) 한 주식을 되갚기 위해 다시 사는 환매수를 말한다. 일단 주가가 하락할 것으로 예상되면 주식을 빌려서 파는 공매도를 하게 된다. 이후 주가가 하락하면 싼 가격에 사서 돌려줌으로써 차익을 챙길 수 있지만 예상과는 달리 주가가 상승할때는 손실을 줄이기 위해 주식을 매수하게 된다. 대체로 공매도는 주가 하락을 유발하지만 거꾸로 숏커버링은 주가 상승을 부추기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공매도를 주도한 세력이 외국인 및 기관투자자 이기 때문에 쇼트 커버링도 당연히 이

기관들의 무차입공매도, 어떻게 이뤄지는가?(불법공매도의 역사/공매도 원리/공매도 개념) [내부링크]

국내 공매도의 역사는 꽤나 오래되었다. 하지만 다양한 문제도 뒤따랐다 특히 글로벌 금융위기가 터질 때마다 우리나라 금융당국은 공매도 금지를 통해 시장의 안정화를 꾀하였다. 그럴 때마다 금융 당국의 든 이유는 공매도 제도의 정비였다. 실제로 2023년 초 일부 종목들에 대해 공매도를 허용하면서 이제는 공매도 제도가 완전히 정비가 되었다고 생각했으나, 2023년 11월 다시 공매도를 금지하면서 공매도 제도에 대한 논의가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다. 우리나라 공매도 제도는 어떠한 문제점이 있는지, 그리고 어떻게 하면 해결할 수 있을지에 대해서 간단하게 이야기해보도록 하겠다 공매도 우선 공매도에는 두가지 종류가 있다 차입 공매도 : 타인의 주식 또는 채권을 빌려 매도(short) 무차입 공매도 : 타인의 주식 또는 채권을 빌리지 않고 매도 우리나라의 공매도 제도는 차입 공매도는 허용하지만 무차입 공매도는 허용하지 않고 있다. 즉 매도 포지션을 잡을 때에는 무조건 증권을 담보로 해야한다는 것이다

[공지]기업 섹터 분류 및 섹터 별 위험도 총정리("NICE평가정보" 신용등급 평가론 취합자료) [내부링크]

주식이나 채권에 투자할 때 기업을 분석하고자 할 때 가장 먼저 보는 것이 무엇일까? 다양한 방법이 있지만, 개인적으로는 해당 기업이 어떤 업종에 속해있는가를 먼저 보는 것 같다 왜냐하면 기업은 분명히 섹터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 포스트에서는 개인적으로 어떠한 방식으로 섹터를 분류하고 있는지에 대해 소개해보고자 한다. 참고사항 "아침에 슥_SK증권_20231108"을 참고하여 섹터를 분류함 모든 가격 및 기업 정보는 20231107 기준으로 함 업종의 위험도 "NICE평가정보" 신용등급 평가방법론을 참고함 요약 에너지 석유화학, 정유 소재 화학섬유, 철강, 비철금속, 시멘트, 제지 산업재 종합상사, 물류, 항공운송, 해상운송, 시멘트, 건설, 조선 자유소비재 호텔, 소매유통, 의류, 자동차, 자동차부품 필수소비재 식품, 외식 IT 메모리반도체, 디스플레이패널, SI 의료 제약 통신서비스 통신서비스, 방송서비스 금융 은행, 증권, 손해보험, 생명보험, 대부업, 저축은행

LP(Limited Partners), GP(General Partners) 개념과 차이점 [내부링크]

[요약] LP(Limited Partners) : 자본을 제공하는 투자자. 투자한 금액만큼 손실을 볼 수 있다. GP(General Partners) : LP에게 자본을 받아 투자 의사결정을 진행하는 투자자. 펀드 성과에 따라 무제한의 책임을 가질 수도 있다. LP와 GP 개념 Limited Partners (LP)와 General Partners (GP)는 투자 파트너십이나 펀드 등에서 주로 나오는 표현이다 이 둘의 개념을 알아보자면 아래와 같다. Limited Partner (LP) 역할: LP는 주로 자본을 제공하는 투자자. 투자 파트너십 또는 펀드에 자본을 출자하고, 펀드의 운영에 직접적으로 참여하지 않는다. 책임: 투자한 금액으로 제한. 투자한 자본을 초과하는 손실에 대한 책임이 없으며, 투자에 관한 의사 결정에 대한 책임도 제한됨 General Partner (GP): 역할: GP는 펀드나 파트너십의 운영을 총괄하고 투자 결정을 내리는 주체. 펀드를 설립하고 관리하며, 투

금융의 두가지 축, 바이(Buy)사이드, 셀(Sell)사이드. [내부링크]

사업을 위해서는 대규모 자금이 필요한데, 그것을 현금으로 가지고 있는 사업장은 없기 때문에 기업들은 주식이나 채권을 통해 자본을 조달한다 기업은 주식을 통해 기업의 지분을 주고 자기자본을 조달하고, 원리금 상환을 담보로 채권을 발행하여 타인자본을 조달한다 우리는 이러한 주식과 채권을 통틀어 증권이라고 말한다 우리가 주로 다루는 주식, 채권과 같은 증권 뿐만 아니라 이를 연계해서 만든 여러가지 파생상품, 펀드 등 다양한 들이 시장에 존재하며 시장에서 항상 거래되고 있다 이러한 금융 상품들이 거래되기 위해서는 그 상품을 "사는 사람"과 "파는 사람"이 존재해야 한다 우리는 이러한 상품을 사는 사람들을 보통 "바이(Buy)사이드", 파는 사람들을 "셀(Sell)사이드"라고 이야기한다 셀(Sell)사이드 셀사이드는 기본적으로 발행된 증권들을 시장에 파는 사람들을 이야기한다 대표적으로 증권사, 상업은행, 투자은행이 있다 당연하게도 셀사이드에서는 증권들을 보유하고 있어야한다. 그렇다면 기업들의

최근 주식 쏠림 현상 원인 분석. 그 중심에는 외인과 ETF가 있다 [내부링크]

최근 주식 시장의 특징이라고 하면 특정 섹터주들이 엄청난 상승폭을 보이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쏠림 현상에 대해서 메리츠 증권 이정연 애널리스트, 이진우 애널리스트의 리포트를 보면서 이야기해보도록 하겠다 2차전지와 반도체의 강세를 이끈 외인 매수세 메리츠 이정연 최근 코스피의 상승을 이끈 것은 외인들이라고 볼 수 있다 위의 자료를 보면 코스피 투자 주체별 누적 순매수 추이가 있다. 대체로 개인들은 순매수를 이어나갔지만 기관과 외인들은 매도세를 보이고 있다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전보다 코스피의 외국인 지분율 추이가 낮은 수준에서 머물고 있으나, 눈에 띄는 점은 최근 외인들의 순매수가 다시 상승세를 그리고 있다는 점이다 이전과 다르게 외국인들의 수급이 특정 섹터에 몰리고 있다 지난해 하반기의 경우 2차전지 섹터에 엄청난 쏠림이 있었다. 위의 그래프처럼 에코프로 그룹주,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등 2차 전지 관련주들의 주가가 엄청난 상승폭을 보였었다 최근에는 반도체주들의 주가 증가

MSCI 모멘텀 지수로 종목 모멘텀 알아보기 [내부링크]

MSCI 모멘텀 지수 알아보기 MSCI는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이 발표하는 세계 지수로 다양한 펀드 운용의 주요 기준으로 사용되는 지수이다. 우리가 흔히 이야기하는 MSCI지수는 MSCI 종합지수로 선진국 지수(MSCI WORLD INDEX), 신흥국 지수(MSCI EMERGING MARKETS INDEX), 프런티어마켓지수(MSCI FRONTIER MARKETS)로 구성되어 있다 한국은 이 중 신흥국 지수에 편입되어 있는 상황이다 MSCI는 단순 종합 지수 이외에도 다양한 지수들을 발표하고 있는데, 오늘 다뤄볼 지수는 MSCI 한국 모멘텀 지수 이다. MSCI 한국 모멘텀 지수는 라지, 미드, 스몰 캡 전반을 다루고 있다. 기본적인 구조는 12개월 ,6개월 성과가 좋은 주식들을 조합해서 지수를 만드록 있는데, 기본적인 모멘텀 가치는 주식의 모멘텀 스코어에 따라 리스크 조정되고 있다 각 종목은 최대 지수 구성 비중을 30%를 넘지 않도록 구성되며, 2개의 모멘텀 팩터를 가중하여 5

증권사 부서 알아보기(IB,WM,S&T,PI/프론트,백오피스) [내부링크]

최근 개인들의 주식 투자가 인기를 끌면서 증권업 쪽으로 진로를 정하는 취준생들이 많아지고 있다 이들이 주로 떠올리는 직장은 증권사이다. 하지만 처음 증권사에 대해 찾아보게 되면 프런트와 백오피스의 차이점이 무엇인지, 세일즈 부서는 무엇인지, 운용부서는 어떠한 자산을 다루는지... 다양한 궁금증이 있을 것이다 이 글에서는 간단하게 미래에셋증권의 업무 조직도를 통해 증권사 업무에 대해 알아보자 회사소개 | 미래에셋증권 ci.securities.miraeasset.com 증권사의 업무 미래에셋증권의 경우 크게 5가지의 사업 부문을 가지고 있다. Global business IB(Investment Banking) Trading WM(Wealth Management) Principal Investment Global Business 우선 Global Business는 국외 선진시장, 신흥국 시장에서 Sales & Trading, 자기자본투자(PI), 주식/채권 중개(트레이딩), IB 업무를

주식은 인플레이션 헤지에 효과적인 수단일까? [내부링크]

최근 인플레이션이 엄청난 이슈이다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소비자가 느끼는 물가가 엄청나게 상승하였고, 시장도 위축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대중들은 주식과 같은 위험자산에 투자하면서 인플레이션을 회피하고자 하는 움직임을 보였다 그렇다면 과연 주식에 투자하는 것이 인플레이션 회피에 실제로 효과가 있었을까? 이를 확인해보기 위해 아래의 가정을 세우고 검증해보았다 [가정] 분석 대상: 주가지수, CPI(MoM) 분석기간: 2018년 9월~2023년 6월 분석 방법: 시작 시점인 2018년 9월을 100으로 가정하고, 수익률에 따라 해당 기간동안 수치가 얼마나 변화하는지 분석 국가별 벤치마크 비교 주가 지수 및 소비자 인플레이션 주가 지수 비교 미국의 주가 지수인 S&P와 나스닥의 성과가 우수했고, 한국의 주가 지수는 그보다는 좋지 못한 모습을 보여주었다 특이한 점은 미국과 국내 모두 비교적 성장주들이 많이 분포해있다고 하는 코스닥과 나스닥이, 비교적 우량주들로 구성된 S&P와 코스피 지수의 성과

인플레이션을 이기는 미국 우량주 투자 [내부링크]

이전 코로나 19 기간동안 코스피가 급격하게 상승하면서, 삼성전자를 매달 일정 금액씩 예금처럼 투자하는 방식이 유행하였다 하지만 과연 개별 우량주들은 시장 벤치마크를 초과하는 수익을 냈을까? 이를 검증해보기 위한 가정은 아래와 같다 [가정] 분석 대상: 주가지수, CPI(MoM), 한국과 미국의 시가총액 상위주 분석기간: 2018년 9월~2023년 6월 분석 방법: 시작 시점인 2018년 9월을 100으로 가정하고, 수익률에 따라 해당 기간동안 수치가 얼마나 변화하는지 분석 한국 및 미국의 우량주들은 인플레이션과 주가지수를 초과하는 수익률을 보여주었을지 지금부터 확인해보도록 하자 국내 시장 분석 벤치마크(BM) 분석 주가 지수 및 소비자 인플레이션 최근 5년 간 한국의 주가 지수 상승률과 소비자 인플레이션율은 거의 비슷한 수준이라는 점을 알 수 있다 이는 한국 시장의 주식들이 장기적으로는 인플레이션 헤지 정도의 성과를 보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이한 점은 변동성이 CPI 변동폭에

유커의 귀환. 중국발 수요는 한국 시장을 상승 전환시킬 수 있을까?(+중국경제전망) [내부링크]

출처;아이뉴스24 최근 중국인의 한국 단체 여행이 가능해지면서 중국발 수요가 다시 돌아올 조짐을 보이고 있다 이에 가장 빠르게 반응한 섹터는 바로 화장품, 면세점이다 이 섹터들은 중국발 수요가 계속해서 부진하면서 실적 예상치를 지속적으로 하회하였고, 이를 역전시키기 위해서는 중국발 수요가 절실히 필요했기 때문이다 이에 주가가 상승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었다. 주가 월봉(좌: 아모레퍼시픽 우: 파라다이스, 기준일: 230816) 아모레퍼시픽은 고점 대비 현재 거의 1/3 정도 수준의 주가를 보이고 있었는데, 최근 중국인들의 유입에 대한 기대감으로 상승추세로 차트가 전환하고 있다 파라다이스 또한 중국발 수요가 주목되면서 다시 주가 밴드의 상단을 터치하고 있는 모습이다 하지만 이러한 중국발 수요는 한국 시장에 어떠한 영향을 줄 수 있을지, 그리고 장기적으로 긍정적인지 전망해보도록 하겠다 이전의 중국과는 다른 매크로 지표 생산 지표가 부진하다 중국은 전세계의 공장이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을만큼

셀트리온 그룹 3사 합병 이슈. 관건은 셀트리온제약의 합병 성사 여부 [내부링크]

2023년 8월 17일, 셀트리온 그룹이 기습 상장 3사 합병을 발표하였다 합병하는 방식은 1) 셀트리온이 셀트리온헬스케어를 우선적으로 흡수하고, 2) 6개월 내 셀트리온제약을 추진하는 내용이다 그렇다면 왜 셀트리온은 이렇게 기습적으로 합병 발표를 하였을까? 개요 우선 주당 합병 가액은 아래와 같다 셀트리온: 14만 8853 셀트리온헬스케어: 6만 6874원 즉 셀트리온헬스케어 보통주 1주 당 셀트리온 보통주 0.4492620주를 배정한다는 것이다 합병 반대의 사 통지 접수 기간은 2023년 9월 25일~ 10월 20일까지이며, 합병 승인에 관한 주주총회는 2023년 10월 23일 주식 매수 청구권 행사기간은 10월 23일~ 11월 13일 주식 매수 청구 대금 지급 예정일은 12월 13일 합병 예정일은 12월 28일이다 즉 합병이 이루어지는데 3~4개월 정도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간담회 내용: 규모의 경제 실현 출처: 더 벨 셀트리온 그룹은 이번 합병 이유로 회사의 경쟁력 제고를 들

[채권]장단기 금리 역전은 왜 일어날까? 커브 스티프닝과 플래트닝 [내부링크]

장단기 금리가 역전되었다? 최근 기준금리가 상승하면서 예금이나 금과 같은 안전자산에 대한 수요가 집중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비교적 안전자산이라고 평갑다는 채권의 경우에도 많은 영향을 받았는데요 장·단기 금리역전 한달…14년전 '금융위기' 이후 처음 - 머니투데이 국내 채권시장에서 만기가 짧은 채권 금리가 장기물보다 높은 장·단기 금리 역전 현상이 한달 째 이어지고 있다. 미국 중앙은행 격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와 한국... news.mt.co.kr 최근 기사를 보면 장단기 금리가 역전되는 상황이라고 하면서 시장의 불확실성이 증가하고 있다는 식의 기사가 많이 나오고 있습니다 장단기 금리가 역전되는 것이 어떠한 의미를 가지는지 혹시 아시나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장단기 금리 역전의 일어난 배경과 장단기 금리 역전이 시사하는 바에 대해 설명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장단기 채권 이자는 왜 차이가 날까? 기준금리와 채권금리? 기준금리는 한 나라의 금리를 대표하는 정책금리로서, 콜금리, 장단기 시

[보험]보험사 LDI(Liability Driven Investment,부채연계투자) 뜻 알아보기 [내부링크]

[마켓PRO]영국발 신용위험, 위기의 최고조이자 막바지일 수 있다 [마켓PRO]영국발 신용위험, 위기의 최고조이자 막바지일 수 있다, 김동윤 기자, 뉴스 www.hankyung.com 2022년 일어난 영국발 국채 위기가 터졌다. 당시 영국의 새로운 총리인 리즈 트러스가 9월 하순 경 세금 감면을 포함한 대규모 감세안을 발표하면서 이 사태가 시작되었다 감세안으로 인해 안그래도 좋지 않았던 영국의 재정상태가 더 악화될 것이라는 점과 영국의 물가는 계속해서 상승할 것이라는 시장의 우려로 인해 영국 국채인 길트 금리가 수일만에 150bp(1.5%) 가까이 급등한 사건이다 금리 상승=국채 매도=영국의 신용도 하락 전망 이러한 이유로 달러화 대비 파운드화 환율도 역사상 최저치를 찍는 등 영국 경제에 대한 시장의 신뢰도가 엄청나게 떨어졌다 이러한 상황에서 가장 주목을을 많이 받은 것이 바로 LDI이다 당시 LDI의 부도 가능성을 이야기하면서, LDI 사태가 경제 전반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까에

SVB 파산사태 타임라인과 연준의 BTFP 한눈에 알아보기 [내부링크]

SVB 파산사태 개요 SVB 은행 소개 전체 상업 은행 자산 대비 비중은 0.95% 수준으로 기술산업과 관련된 투자회사와 기술 산업 스타트업 기업에게 금융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중점을 준 은행이다 2023년 3월 SVB 은행 파산 사태 상황적 요인: 집중된 고객층 1 ) 부채(수신) 기반이 테크기업들에 집중되어 불안정했고, 2) 자산 중 대출 또한 테크 기업과 VC 등 성장산업에 집중되어 있었으며 3) 자산 중 채권을 비중이 커서 금리 리스크가 과도하게 커짐 예금 규모: 대규모 자금 이러한 상황에서 은행의 예금 중 예금자보호대상 예금이 3% 에 불과했고, 대부분 예금 기반이 거액 예금이었다는 점이 급속한 뱅크런을 야기하였다 투자 자산: 금리 리스크에 취약 보유 채권 대부분이 만기 10년 이상의 채권으로, 금리 상승에 취약하여 금리 상승으로 인한 수신 기반 유지가 어려웠고(리파이낸싱 실패) 장부가로 평가해온 자산의 실질 가치 하락으로 유동성 자금이 부족해진 상황 타임라인 3/8 유동성 확

BTFP에 대한 시장 반응과 시사점, 그리고 앞으로의 전망 [내부링크]

BTFP 발표에 대한 시장의 반응 BTFP 발표 이전 금융시장에서 SVB 은행 파산 사태의 파장을 우려 - AA급 은행이 금융시장에서 전혀 예상하지 못할 정도로 예금 지불 정지에 이르렀음 - 발생한 배경이 가파른 금리 상승에 따른 채권 평가 손실이라는 점 BTFP 발표 이후 빠른 조치였다는 판단(긍정) - 금융기관이 보유한 국채와 모기지 채권에 대해 평가손실과 무관하게 액면가만큼 단기 유동성올 제공하겠다는 정책 - 중소형 은행들에 유동성을 지원하기 위한 기금인 BTFP가 긴축의 완화 효과를 내며 기존의 인플레이션 억제 방침과 다르게 실질적으로 QE와 같은 효과를 가짐 모럴 해저드에 대한 우려 상존(부정) - 담보가치를 시장가가 아닌 액면가 기준으로 평가하는 것에서 기인 - AFS(매도가능증권)로 분류된 자산보다는 HTM(만기보유증권)으로 분류된 자산을 담보로 대출이 이뤄지는 형태가 될 것으로 전망하지만, 향후 담보 자산에 대한 디테일 살펴볼 필요가 있음 예금 전액 보호 발표에도 타

[환율]달러, 환율의 향방은?_하나증권 [내부링크]

펀더멘털을 반영한 달러-원 환유의 적정 레벨 구하기 하나증권 유로존 CPI yoy 유로 금리는 기본적으로 금리 인상 사이클이 끝나지 않은 것으로 보임 현재 유로존 CPI 연성장률은 여전히 5%를 유지하고 있음. 이전 Peak에 비해 낮아진 수준이기는 하지만 그 정도가 미미하다는 점에서 기준금리 인하의 가능성이 크지는 않은 상황 현재 국내 기준금리는 3.50%, 미국의 기준금리는 5.25%. 두 국가 간 금리 스프레드는 175bp나 벌어진 상황 이전과 같은 상황이라면 이러한 금리 격차에 대한 우려가 많았을 수 있으나, 현재 국내 인플레이션이 미국만큼 높은 상황은 아니라는 점에 시장도 어느정도 이 금리 스프레드를 인정하는 상황 환율 또한 장기적으로는 평균으로 회귀되어 절상될 가능성은 있지만 단기적으로는 기준 금리에 변동이 거의 없을 것으로 예상되어 환율 또한 기존 1300원 대를 유지하지 않을까...?라고 생각함 출처: SK 증권230630 기준 하지만 현재 한국 시장의 P/E를 보았을

[Macro]경제 지표 또한 안개속으로..._키움증권 [내부링크]

현재 미국의 경제지표는 향방을 알 수 없고 이에 따라 시장 참가자(증권시장, 연준) 또한 어떻게 해야할지를 정확하게 알지를 못하는 상황 일단 기본적인 연준의 스탠스가 매파적인 상황이므로 금리의 하방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보여지고 관건은 기준금리가 상향될 것인가인데 현재 시장은 인상에 베팅하는 상황. 시장이 인상에 베팅하는 상황 속에서 아마 연준은 최근에 언급한 그대로 금리 인상을 강행할 가능성이 높다고 보여짐 유로존의 상황은 조금은 다름. 미국은 이제 인플레이션이 꺾였다고 볼 수 있지만 유로는 아직 인플레이션이 꺾였다고 보기에는 증거가 부족한 상황 실제로 독일의 경우 경기 침체 우려가 증가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고, 인플레이션 또한 6%대를 보여주는 실정이므로 이번 IFO 기업환경지수가 컨센서스를 하회하는 것은 어찌보면 당연한 실정 미국의 경우 서비스업의 경우 호조를 보이고 있다고 볼 수는 있으나 제조업은 계속해서 부진하는 상황. 이러한 상황으로 인해 연준이 쉽게 금리를 인하할 수

[화장품주]중국발 수요로 인한 부진? 빠져나올 수 있을까? [내부링크]

화장품 산업...어쩌다 이렇게 되었을까? 최근 화장품 섹터의 주가 부진이 이어지고 있다 물론 다른 섹터들도 부진하기는 하지만 화장품 섹터의 경우 그 정도가 다른 섹터들에 비해 훨씬 심한 상황이다 대표적으로 LG생활건강, 아모레G 등 기존 대형 화장품 업체들의 주가 부진이 뚜렷하게 나타난다. 하지만 시가총액이 비교적 낮은 코스메카코리아, 씨앤씨인터내셔널, 클리오 등의 기업들의 상승세가 뚜렷하다. 왜 이러한 일들이 일어났을지에 대해 생각해보자 중국발 화장품 시장 수요 부진 키움 메리츠 대부분의 증권사에서 공통적으로 언급하는 부분은 중국발 소비의 부진임 원래 기존 화장품 업계는 중국의 리오프닝을 기대했으나, 실제로는 그 효과가 미미했다. 앞으로 화장품 업계의 성장률에 대한 시나리오가 추가적으로 나오지 않는다면 이러한 화장품 업황은 장기적으로도 좋을 수 없을 것이다 업계의 변화 중소형 업체의 강세와 제조 업체의 강세 화장품 시장의 구조도 많이 변하였다. 이전에는 대형사들을 위주로 수요가 집

[230705]ISM제조업지수와 PCE지수 하향 기조. 수요 부진으로 인한 현상 발현중 [내부링크]

6월 미국 ISM 제조업: 수요부진 지속 한화투자증권 제조업 업황은 그렇게 좋지 않을 예정 눈에 띄이는 것은 운송장비. 수출 물량이 저하되었기 때문으로 보임 하반기 미국 소비 둔화 우려는 여전 DS투자증권 수요 측에서는 일단 초과 저축의 고갈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지금까지는 코로나 지원금 등 여러가지 정부 지원책들로 인해 그나마 견조한 수요를 보여주고 있었으나 초과 저축이 고갈됨에 따라 앞으로의 소비 지표가 좋지 못할 가능성이 높다 수요의 둔화는 오히려 연준의 입장에서는 베스트 시나리오일 수 있다. 하지만 Core CPI와 PCE를 주목해서 볼 필요가 있다 현재 Core CPI는 5.3%, Core PCE는 4.7%. 현재는 하향 추세이나 그 정도가 아직은 추세라고 부르기는 어려운 수준임을 기억할 필요가 있 근원 미국 CPI YoY 근원 PCE YoY

[Macro]인플레이션에서의 각 국가별 통화정책 알아보기 [내부링크]

최근 환율의 급등세가 두드러지고 있다. 최근의 연준 금리 인상과 함께 인플레이션이 함께 닥치면서 비교적 안전자산인 달러로 자금이 몰린 까닭이다. 과연 이러한 상황에서 각국의 환율 대처방안은 어떤 상황인지 알아보자 영국 신재생 에너지>감세안 발표>국채 긴급 매입 영국은 최근 자국의 금융시장 안정을 위해 650억 파운드, 거의 100조원 상당의 국채를 매입하는 결정을 하였다. 사실 이러한 금융시장의 하락은 9월 23일 쿼지 콰텡 재무장관의 대규모 감세안을 발표하면서 파운드화가 역대 최저 수준으로 급락한데서 시작한다. 이러한 감세안은 트러스 총리의 2.5% 성장을 목표로 인플레이션 억제를 위한 에너지 비용 대처, 기업 지원, 가계 지원에 중점을 둔 새 성장계획을 발표하면서 생긴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50년만의 최대 감세는 정부부채 부담 우려를 증식시키면서 영국의 국채 금리가 상승하였다. 국가의 신뢰도가 어느정도 하락했기 때문일 것이다. 금융시장 혼란에 영국 대규모 국채 매입 영국 중앙은

[Python]전고점 분석을 통한 하락 기간 예측하기 [내부링크]

준비물 우선 필요한 모듈들을 소개하겠습니다. 1. yfinance: 야후 파이낸스의 정보를 가져오는 모듈 2. pandas: 데이터 시트 만들기 위해 사용 3. Numpy: 결측치 처리를 위해 사용 데이터 정리 우선 kospi라는 함수에 코스피의 티커를 입력해주었습니다. 기간은 최대치로 하였고 변화율은 소수점 둘째자리에서 반올림해주었습니다. 변화율, 해당 연도/월/일을 따로 인덱싱 해주었습니다. 최대치, 최소치, 평균치, 중위값을 구하기 위해 값을 설정해주었습니다. Concat 함수를 이용하여 각 열의 정보를 하나의 데이터 프레임 내로 입력하였습니다. Cummax함수를 이용하여 지금까지의 고점을 기준으로 하여 누적 고점을 high 열에 입력해주었습니다. 마지막 데이터 프레임은 전체를 입력한 결과입니다. 데이터 프레임 확인 코딩을 다 완료하면 이렇게 데이터 프레임이 드러납니다. cummax 함수를 이용하여 신고점이 어디였는지를 시각화하였습니다. 고점, 저점 찾기 df2에 df를 그대로

[종목]역사적 고점을 통해 보는 네이버와 카카오의 반등 가능성 분석 [내부링크]

국내 플랫폼 사업자들의 주가 방향성 네이버, 카카오의 주가 분석 최근 증시가 살짝 반등하고 있는 상황이다. 코스피와 코스닥 모두 주봉 기준으로 상승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이것이 단기적인 반등일지 아니면 장기적인 전환일지는 그 누구도 모르겠지만 실제로 이번주의 증시의 모습은 상당히 긍정적이다. 하지만 이러한 상황에서 고전을 면치 못하는 기업이 두개 있다. 바로 네이버와 카카오이다. 네이버와 카카오는 다른 시가총위 상위 종목들과는 달리 네이버와 카카오의 주가 추이는 하락추세이다. 실제로 네이버와 카카오의 경우 하락을 보이기는 하지만 대체로 음봉을 보이고 있다는 점에서 상승 추이에 어느정도 시장의 반응에 의문이 생기고 있다는 점이다. 이에 역사적 전고점을 통해 네이버와 카카오가 어느정도 저평가 구간인지 확인함으로써 과연 투자하기에 좋은지에 대해 생각해보도록 하자. [Python]전고점 분석을 통한 하락 기간 예측하기 준비물 우선 필요한 모듈들을 소개하겠습니다. 1. yfinance:

증권사 IB 업무 정리 [내부링크]

코로나 19 이후로 많은 사람들이 주식 투자에 관심을 가지면서 자신의 직업 자체를 증권 투자업계 쪽으로 희망하는 사람들이 많아졌다. 하지만 전체적으로 증권사들의 규모나 그들의 특징에 대해서 알 수 있는 곳이 많지는 않다. 오늘은 증권사들이 어떠한 업무들을 하는지 간단하 정리해보고자 한다. 증권사 업무 구분 우선 증권사의 업무는 크게 4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DCM, ECM, M&A, Fees DCM DCM은 Debt Capital Market의 준말로, 채권자본시장을 이야기한다. 대체로 채권이 주요한 상품으로 다루고 있는데, 일반 개인들에게는 채권 시장이 그리 친숙하지는 않지만 채권 시장의 규모는 엄청나다. 대표적으로 국내 채권을 대표로 주관하거나, 인수하는 업무를 하며 다양한 종류의 채권을 담당한다. 출처: 파이낸셜 뉴스 ECM ECM은 Equity Capital Market의 준말로, 증권 자본시장을 말한다. 대체로 우리에게 익숙한 주식과 같은 증권을 다루고 있다. 단순히 증권

[Mini Report]현대차는 모빌리티의의 승리자가 될 수 있을까?현대차 기업분석 [내부링크]

기업 사업 영역 현재 현대차는 3가지 사업부를 가지고 있다. 바로 자동차부문, 금융부문, 기타부문이다. 자동차 부문은 우리가 흔히 아는 자동차 제조 및 판매를 담당하는 부문이다. 금융부문은 자동차 리스나 할부에서 오는 금융 수익을 담당하는 부문이다. 기타 부문에는 철도 제작 등의 활동을 진행하고 있는 부문이다. 기업 실적 사업부 실적 현재 사업부별 매출 현황은 위와 같다. 자동차 부문이 코로나 19로 인해 수요가 2021년에 급증한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금융 부문의 경우 영업 이익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데, 현재의 금리 상승으로 이러한 성장세는 둔화될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현대차는 최근 충당부채 이슈가 있었기 때문에 유심히 지켜보아야 한다. 기타 부문의 경우에도 성장세가 꾸준하다. 지속적인 성장세가 기대되기는 하나 규모가 작아 전체적인 주가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력은 작을 것으로 보인다. 분기별 실적 분기별로 확인하였을 때에는 전체적으로 고른 성장세를 보여주고 있다. 즉 계절적

[Mini Report]실적은 최악이지만 주가는 확실한 저평가 구간. LG생활건강 기업분석 [내부링크]

기업 사업 영역 현재 LG생활건강은 3가지 사업부를 가지고 있다. 바로 생활용품, 화장품, 음료 부문이다. 생활용품 부문은 데일리 뷰티와 홈케이로 나눌 수 있다. 데일리 뷰티 섹터에는 샴푸, 바디워시, 치약과 같은 제품들을 다루는 사업부이고, 홈케어 섹터에는 집안 청소나 의류 세탁에 사용되는 생활용품이다. 회사의 가장 오래된 사업으로서 국내 시장에서 굳건한 1위 지위를 가지고 있는 부문이다. 화장품 부문은 브랜드 '후', '숨', '오휘'를 성장동력으로 하는 부문이다. 이외에도 '더페이스샵', 더마 브랜드 'CNP', 메이크업 강점 있는 'AVON' 브랜드 등의 브랜드를 가지고 있다. 음료 부문에서는 '코카콜라'의 보틀링 파트너 위치를 가지고 있다. 보틀링은 원액을 구매해 국내에서 제조하여 판매하는 방식의 비즈니스 모델을 이야기한다. 탄산 음료 외에도 비탄산음료인 주스, 커피, 생수 등의 제품도 제조하여 판매하고 있따. 기업 실적 사업부 실적 현재 사업부별 매출 현황은 위와 같다.

[주식시장은 어떻게 반복되는가 요약]비정상적인 시장은 존재하지 않는다 [내부링크]

주식시장은 어떻게 반복되는가 저자: 켄 피셔, 라라 호프만스 출판: 에프엔미디어 이 책은 성장주 투자를 중요시하고, PSR이라는 개념을 주창한 켄 피셔의 책이다. 켄 피셔는 필립 피셔의 아들로, 피셔 인베스트먼트를 설립하여, 현재는 2000억달러를 운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있는 성장주 투자의 대가이다. 개인적으로는 슈퍼스톡스라는 책을 재미있게 읽으면서, 투자는 단순히 가치 평가에서 끝나는 것이 아닌, 시장의 반응에 따라 투자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슈퍼스톡스 요약]매출을 보면 그 기업의 영업이익이 보인다 저자 소개 켄 피셔는 현재 피셔 인베스트먼트의 대표이사를 역임하고 있는 사람으로써 벤저민 그레이엄과 ... blog.naver.com 이번에 소개할 [주식시장은 어떻게 반복되는가]는 전체적인 주식 시장은 알고보면 장기적으로는 매우 안정적이고 정상적인 상태를 유지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항상 현재의 시장이 역대급 시장, 전례없는 상이라고 이야기들을 하지만, 알고

기업의 자금은 어떻게 조달할까, ECM&DCM 비교 [내부링크]

기업은 어떻게 자금을 조달하는걸까? 보통 대중들은 주로 주식을 통해 기업들이 자금을 조달한다고 알고 있다. 증자나 IPO 등을 통해 자금을 조달하는 등 주식과 관련된 여러가지 자금 조달 방식이 있다. 하지만 주식 시장은 기업이 자금을 조달하기 위한 방법의 일부일 뿐이다. 이 글에서는 기업들이 어떻게 자금을 조달하는지 DCM과 ECM의 개념을 통해 알아보고자 한다. ECM과 DCM 비교 ECM: 자기자본시장 DCM: 타인자본시장 ECM(자기자본시장) ECM은 자기자본시장을 의미하는 용어로, Equity Capital Market의 줄임말이다. 자기자본발행을 통해 자본 조달을 하는 시장을 이야기한다. 자기자본이란, 기업의 자본 중 출자자에 귀속되는 자본 부분이다. 쉽게 이야기하자면 기업이 자신에게 필요한 자금을 조달할 때 기업의 지분의 일정부분을 제공하면서 자금을 조달하는 방법이라고 보는 것이 옳다. 우리가 흔히 말하는 주식이 대표적인 사례이고, 이외에도 기업공개(IPO), 전환사채(C

채권의 연초효과에 대하여 [내부링크]

채권에 투자하는 것도 아닌데 굳이 채권시장을 알아야할까? 아마 이 글을 누른 대부분의 분들이 이렇게 생각하고 들어왔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실제로 채권에 투자하는 것도 아닌데 굳이 채권의 동향을 보아야하는 것이 아닐까? 채권은 너무 어려운데 굳이 내가 이걸 알아야할까? 그러한 생각이 들었다면 아래의 기사를 한번 살펴 봅시다 [KIWOOM 채권 및 매크로 이슈 점검]연초 효과 나타날까 연초 효과 나타날까 invest.kiwoom.com 채권의 연초효과, 1월 효과에 대해 들어본 적이 있으신가요? 채권시장은 연초에 자금 집행이 시행되면서 1분기에 매수가 집중되는 양상을 보입니다 이는 2001년부터 기관들의 순매수 동향을 보면 전월대비 순매수 규모가 상대적으로 확대되는 경향을 가지는 것에서 나온 효과인데요 채권의 연초효과는 단순히 채권시장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닙니다 채권이 연초효과로 인해 채권 매입이 활발해지면 다른 자산 시장으로의 자금 유입이 적어질 수 있다는 뜻이 되기도 한다 우리

[돈의 심리학 요약]투자에도 심리가 작용할까? 행동경제학이 강조되는 이유 [내부링크]

위는 이 책의 저자인 모건 하우절이 이 책을 쓰게 된 이유에 관한 영상이다. 사람들은 대부분 돈에 대해 여러가지 숫자나 검증을 통한 객관적인 분석이 필요하다고 이야기한다. 하지만 이 책의 저자인 모건 하우절은 이에 대해 반대한다. 모든 돈은 수학의 영역이 아니라 소프트 사회과학에 가깝다고 이야기하면서, 심리와 깊게 관련되어 있다고 이야기하였다. 공포와 탐욕 사이에 어떻게 균형을 맞추어 나갈 것인지, 누구를 믿을 것인지에 대한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이야기한다. 이 책에서는 단순히 돈을 버는 것에 대해서만 이야기하는 것이 아니다. 돈을 어떻게 버는지, 그리고 그 돈을 어떻게 지켜나갈 것인지에 대한 견해도 함께 전달하고 있다. 주요 구문들을 보며 이 책의 내용을 함께 훑어보도록 하자. 주요 구절 배경 많은 사람들은 자신의 목표에 따라 합리적인 선택을 하고 있다고들 이야기한다. 실제 경제학의 기본 원리인 '모든 주체는 합리적이다'도 여기에서 출발한다. 하지만 이러한 실제로 모든 개인들이 합

하락장의 끝? ETF 포트폴리오 구성하기(친환경에너지, 2차전지 ETF) [내부링크]

현재의 침체는 1970년과 유사하다 1970년과 현재의 침체는 매우 비슷한 양상이다. 두 상황 모두 인플레이션과 함께 시장이 전체적으로 하락세를 보였다. 1970년대의 경우 4~5년간 박스권 장세가 이어졌는데 이번 코로나 19 이후에도 약 3년간 큰 폭의 박스권을 유지했다고 보여지기에 박스권이 유지될 가능성이 높다. 경기 침체 상황에서는 비교적 안전 자산이라고 평가받는 금이 높은 수익률을 보여주고 있다. 즉 현재의 박스권에서 어떠한 것에 투자할지가 고민된다면 금 투자를 적극적으로 추천한다. 하지만 금의 경우 경기 침체가 어느정도 회복될 시에는 다시 하락세를 보이기에 장기적인 투자보다는 헤지에 가까운 느낌으로 투자하는 것이 좋다고 본다. 1970년대에도 물가 피크 이후에 주가가 바닥을 보였다. 현재 물가가 어느정도 안정된 상황과 함께 3년 정도에 걸친 시장의 박스권은 앞으로 이러한 침체가 회복될 것이라는 기대감을 시장에 주고 있다. 하지만 지금 당장 회복하기는 어렵다고 생각한다. 러시

[맥킨지 인사이트]성장하는 기업의 10가지의 규칙을 보면 저평가주를 찾을 수 있다 [내부링크]

The ten rules of growth McKinsey Insight 오늘은 맥킨지 인사이트의 'The ten rules of growth'를 소개해보겠다. 많은 사람들은 투자과정에서 성장하는 기업을 찾기 위해 여러가지 정보들을 활용한다. 예를 들어 성장률 지표를 보거나, 기업의 수주량을 보면서 앞으로의 성장성을 예측한다. To buck these trends, business leaders need to follow a holistic growth blueprint consisting of three core elements: a bold aspiration and accompanying mindset, the right enablers embedded in the organization, and clear pathways in the form of a coherent set of growth initiatives. 이 아티클에서 이야기한 성장을 위한 청사진을 구성하는 3가지

파월의 매파적 발언, 미국 증시를 흔들다 feat. 금리인상, 인플레 [내부링크]

미국 증시 단기 하락 2022.08.16 기준 전날 미국 증시가 엄청난 낙폭을 보여주었다. 이는 파월이 지속적인 금리 인상을 통해 인플레이션을 잡겠다는 의지를 보여주면서 나타난 현상이다. 경기 회복이 기대되었던 미국 증시 최근 미국 시장의 흐름이 경기 회복을 기대하며 이전의 하락치를 회복하는 흐름이었다. 실제로 코스피의 경우 3개월 전의 지수를 전혀 회복하지 못하는 상황이었으나 S&P는 3개월치 낙폭을 상회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달러 또한 이러한 미국 중심의 경기 회복 가능성을 기대하면서 급속도로 상승하였다. 이러한 점에서 최근 시장 플레이어들은 미국 중심의 경기 회복, 그리고 인플레이션에 대한 공포가 많이 줄어들고 다시 경기 회복기로 갈 수 있다는 기대감을 보여주었다. 인플레이션과 파월의 기준 금리 정책 하지만 연준의 생각은 달랐다. 대부분의 시장 플레이어들은 3% 이내의 금리를 예상하였다. 이는 코로나 19 이전의 FED 금리가 2.5%였기에 현재의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 2.

[ETF]유망섹터 클린에너지. 신재생 에너지에 투자할 때_TIGER Fn신재생에너지 [내부링크]

클린에너지 섹터에 관심을 가져야 클린 에너지 섹터에 대한 시장의 관심 출처: 이베스트증권 최근 클린 에너지에 대한 시장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실제로 이베스트 증권의 자료를 보면 글로벌 VC에서 주목하는 섹터로 Clean Tech를 주목하고 있다. 자원의 집중을 막기 위해 다양한 나라에서 클린 에너지 섹터에 투자를 하고 있으나, 자금 조달 규모 면으로는 미국이 압도적이다. 그리고 유로 또한 태양광과 풍력과 관련되어 RepowerEUPlan 등을 시행하면서 클린 에너지 섹터에 대해 적극적으로 투자를 유치하고 있는 상황이다. 그리고 아시아의 경우 중국의 성장이 두드러졌으나, 최근 중국의 에너지 산업이 주춤하면서 한국의 클린에너지 섹터의 성장성이 기대되는 상황이다. 전통적 에너지 공급에의 변화 메리츠증권 메리츠 증권의 리포트를 보면 현재 전통 에너지 공급의 구조적 변화가 시장의 핵심 팩터라고 분석하고 있다. 최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천연가스 대란, 코로나 19로 인한 글로벌

[달러는 왜 비트코인을 싫어하는가 요약]불건전 화폐의 종말, 비트코인의 부상!(건전화폐, 금본위제) [내부링크]

책 소개 최근 증시나 경제에 가장 중요한 이슈는 무엇일까? 여러가지 이슈가 있겠지만 그 중 단연코 가장 화두가 되는 것은 인플레이션이라고 할 수 있다. 지금까지의 소비자 물가지수는 그렇게 크게 증가하지 않았다. 이전의 소비자 물가 상승률이 이렇게 낮았다는 것을 보면 지금 현재의 인플레이션이 이전에 억압되었던 인플레이션이 살아났다고 보는 것이 옳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성장하는 섹터들의 하락세가 두드러졌다. 실제로 대표적인 성장주인 테슬라와 메타만 보아도 현재 성장주에 대한 비관적인 시장 반응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은 코인 시장에 더 큰 타격을 주었다. 대표적인 암호화폐인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은 1년 간 추세 하락을 보여주었다. 이는 시중 통화량 자체가 줄어들면서 코인 시장 자체의 유동성이 줄어든 결과라고 볼 수 있다. 하지만 기대 인플레이션율은 점점 떨어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현재의 증시 하락은 인플레이션의 영향이 매우 크다고 볼 수 있는데, 이러한 추세가 약해지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