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oyung421의 등록된 링크

 jooyung421로 등록된 네이버 블로그 포스트 수는 31건입니다.

[2차 왕자의 난] 이방원과 이방간의 대결 [내부링크]

지난 시간, 1차 왕자의 난은 기본적으로 전처와 후처 소생 간의 정치적 갈등에서 비롯된 것임을 알아보았다...

이흔암의 역모 사건 [내부링크]

간신들을 처형하다918년 6월 21일 한찬(韓粲) 박질영을 시중에 임명했다. 소판(蘇判) 종간은 젊어서 승...

안견의 몽유도원도 등 조선 전기 회화의 특징 [내부링크]

조선 초기에는 두 가지 측면의 회화가 발달하였는데, 기록화와 감상화가 그것이다. 기록화는 왕실이나 선...

신라 하대(下代) 3. 동요하는 6두품들 [내부링크]

신라 하대(下代) 시리즈 오늘은 그 세 번째로 6두품 출신들이 신라 후기의 사회 불만 계층으로 떠오르는 ...

광해군의 중립 외교와 정묘호란, 병자호란 [내부링크]

1592년 조선에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명은 원군을 보내어 일본군을 격퇴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그러나 이...

[1차 왕자의 난] 이방원과 정도전의 승부 [내부링크]

조선 건국 초, 왕위 계승을 둘러싸고 태조 이성계의 아들 사이에서 일어난 반란을 왕자의 난이라 부른다. ...

조선 전기의 건축물과 정원의 특징 [내부링크]

조선 초기의 건축은 국가의 건축 정책에 영향을 받아 고려 시대의 건축과 비교하여 두 가지 새로운 특징이 ...

신라 하대(下代) 2. 김헌창의 난과 귀족들의 왕위 쟁탈전 [내부링크]

지난 시간에는, 김양상이 37대 선덕왕이 됨으로써, 36대 혜공왕까지 이어지던 무열왕계의 왕위 세습이 단...

광종의 왕권 강화책 (상) 호족들의 노비를 몰수하라, 노비안검법 [내부링크]

평소 고려의 역사에 관심을 두고 있던 분이라면 누구나 머릿속에는 "광종 =왕권 강화"라...

신라 하대(下代) 1. 태종무열왕계의 단절과 내물왕계의 등장 [내부링크]

7세기 후반, 태종무열왕과 문무왕 대의 능란한 외교술과 강철같은 내부 결속으로 통일을 이룩한 신라는, ...

고려 2대 왕 혜종, 왕규와 요(堯)와의 3자 대결 [내부링크]

고려를 건국했던 태조 왕건이, 26년 만에 세상을 떠나자(943년), 태자인 무(武)가 왕위를 이었다. 이가 ...

삼국 시대 때 편찬된 역사서들 [내부링크]

삼국은 중앙집권적 귀족 국가 체제를 정비해가는데 맞추어 왕실에 대한 신하와 백성의 충성을 집중시키기...

고려 시대 이혼 백태, 남편을 쫓아낸 아내는 어떻게 되었을까? [내부링크]

고려 시대에는 가족 관계에서 남녀의 지위가 대체로 평등했던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이에 따라 남녀유...

이두와 향찰 등 한글 이전의 문자 생활 [내부링크]

우리 민족은 원래 태고의 문자가 있었던 것으로 전해진다. 그러나 그 정확한 형태나 기원에 대해서는 아...

훈민정음 서문 풀이, 창제 배경과 한글의 구성 원리 [내부링크]

우리나라는 중국의 문자인 한자를 빌려서 써오는 동안 말(語)과 글(文)이 불일치하여 불편함이 많았다. ...

삼국의 신분 제도 (상) 신라 골품제의 자세한 구조 [내부링크]

삼국의 정치는 왕을 중심으로 하는 중앙집권적 관료 조직에 의해서 운영되었다. 그러나 중앙집권의 정도...

[조선왕조실록 정종 3회] 해인사 대장경 인쇄 불사에 시주하다 [내부링크]

정종 1년 1399년 1월 9일1월 8일 자 기록은 없고, 1월 9일에는 총 16개의 기사가 수록되어 있다. 1. ...

16세기 전세, 공납, 군역, 환곡 등 점점 문란해지는 사회 기강 [내부링크]

15세기 안정되었던 농민의 삶은 16세기에 들어, 국역 제도상의 여러 모순이 늘어나며 흔들리기 시작했다....

의창과 상평창, 고려 시대의 사회 복지 제도 [내부링크]

어느 시대나 그랬듯이 고려 역시 일반 농민의 삶은 넉넉지 못하였다. 그런데다가 자연재해나 전염병 등이...

고려 시대 사람들의 밥과 반찬, 그리고 집은 어땠을까? [내부링크]

1. 음식 문화우리나라에서 식단이 밥과 반찬을 중심으로 차려지기 시작한 것은 삼국 시대 후기로 추정...

16세기 토지 겸병과 부상대고(富商大賈)의 출현 [내부링크]

16세기에 들어서며, 왕실 주변 세력가들의 정치적 입지가 강화되는 과정에서 이들의 축재 행위가 도를 넘...

가야의 혼인 풍습 (하) 국제결혼의 성행과 폐백의 경제적 의미 [내부링크]

지난 시간에는 고구려, 옥저가 여성 중심의 결혼 제도를 갖고 있었는데 반해 같은 시대의 가야는 남성 중...

가야의 혼인 풍습 (상) 수로왕과 허왕후 결혼식에서 벌어진 해프닝 [내부링크]

삼국지 위지 동이전(三國志 魏書 東夷傳)에는 전기 가야인들의 혼인 풍속에 대해 "시집가고 장가가...

논어 위정편 제20장. 정치 패거리에 중독된 사회 [내부링크]

論語 爲政篇 第20章<논어 위정편 제20장>季康子問 계강자문使民敬忠以勸 사민경충이권如之何...

[조선의 개항] 일본의 경제 침탈과 방곡령(防穀令) [내부링크]

일본과의 강화도 조약을 시작으로 서구 열강들과의 개항이 이루어지자, 서양 문물은 봇물 터지듯 쏟아져 들...

고구려사 이야기 7. 유리왕의 황조가(黃鳥歌) [내부링크]

동명왕은 주변의 작은 나라들을 정복하며 영토를 넓혀갔다. 고구려는 만주와 한반도 지역에서 가장 강력한 ...

[고려사 순종] 팔관회를 열고, 요(遼)나라에 부음을 전하다 [내부링크]

<고려사(高麗史)> 선종(宣宗)고려 제13대 선종은 참 특이하고 애틋한 사정을 안고 왕위에 올랐음...

이황(李滉)과 이이(李珥), 조선 성리학의 양대 거봉 [내부링크]

16세기 후반은 정치적으로 사림 정치가 확립된 시기인 동시에 사상적으로 성리학의 이론에 대한 연구가 ...

성리학의 발달, 이황의 주리론과 이이의 주기론 비교 [내부링크]

고려 말 새로운 지배 세력으로 성장한 신진 사대부는 성리학을 수용하여 학문적 기반으로 삼고 사회 개혁...

18세기 농민 생활의 변화, 지주전호제, 타조법, 도조법 쉬운 설명 [내부링크]

18세기 지주전호제의 일반화 1. 18세기 조선 후기 농민 생활의 가장 큰 변화: 지주전호제의 일반화 2. 지주...

문벌 귀족의 권력 독점과 요동치는 고려 사회 [내부링크]

문벌 귀족의 탄생고려 6대 왕 성종 이후로는, 호족 출신들과 6두품 계열의 유학자 계열을 중심으로 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