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mymy77의 등록된 링크

 ktmymy77로 등록된 네이버 블로그 포스트 수는 10건입니다.

[챗지피티(ChatGPT) 활용법] 글쓰기 문체 바꾸는 방법 [내부링크]

1.문제점 기본적인 ChatGPT의 답변은 '하십시오'체가 사용된다. ChatGPT는 기본적으로 '~입니다.', '~습니다.'와 같은 하십시오체를 사용한다. ChatGPT의 답변을 다른 문체로 변환하기엔 시간이 오래걸린다. 완변한 복붙을 위해선 ChatGPT를 통해 변환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2.해결방안(프롬포트/명령어) (문체를 변환할 답변 내용 및 지시어) 의 답변을 '~이다'체로 바꿔 줘 위와 같은 프롬포트/명령어를 사용하여 해결할 수 있다. 답변의 문체를 변환하여 글쓰기에 유용하기 사용하거나 레포트나 과제 수행에 참고할 수 있다. 아래는 사용 예시이다. 지시대명사를 이용한 문체 변환 내용을 지시하여 문체를 변환한 예시 '위'와 같은 지시대명사를 사용하여 답변 내용을 지시하여 사용할 수 있다. ChatGPT의 답변내용 이외에도 직접 텍스트을 넣어 프롬포트로 사용할 수 있다. 아래는 텍스트을 직접 넣어 프롬포트를 사용했다. 텍스트를 활용한 문체 변환 텍스트을 직접넣어 문체를 변환

대학생/청소년 공모전/대외할동 사이트 추천 모음 [내부링크]

1. 위비티 https://www.wevity.com/ 공모전 대외활동 - 위비티 대학생 공모전 사이트 대외활동 서포터즈 모집 추천 아이디어 마케팅 광고 일러스트 디자인 웹툰 만화 미술 사진 소설 문학 시 ucc 영상 창업 경진대회 www.wevity.com 가장 추천하는 공모전/대외할동 사이트. 전반적으로 공모전의 질이 좋고 가독성이 좋은 사이트이다. 2. 캠퍼스픽 https://www.campuspick.com/contest 대학생 공모전 - 캠퍼스픽 모든 분야의 공모전 소식을 확인하고, 함께 참여할 대학생 팀원을 모집해보세요. www.campuspick.com 대학생이 참여할만한 공모전 위주로 올라오는 사이트, 대학생에게 알맞는 공모전과 대외활동, 스터디, 동아리 등 다양한 대학생 위주 활동들이 모여있다. 3. 씽굿 https://www.thinkcontest.com/ 씽굿-대한민국 대표 공모전 미디어 씽굿 수상작갤러리 캠퍼스 인터뷰 행정안전부 자전거 이용 활성화를 위한 사진·

잎꾼개미-최초의 농사꾼 곤충의 모든 것 [내부링크]

잎꾼개미(Leaf-cutter ant) 다른 이름으로는 가위개미라 불리고 있다. 에타속(Atta)과 에크로머맥스속(Acromyrmex)에 속하며 출처: 위키백과 우리에게는 인간보다 5000만 년 전에 농사를 지은 곤충이라고 알려져 있다. 이 곤충들은 식물의 잎사귀를 잘라 자기들의 집으로 가져가 농사를 짓는다는 것이 특징이다. 이렇게 잎꾼개미는 재밌는 특징을 가지고 있는데 이러한 곤충에 대해 자세하게 알아보겠다. 학명: Atta sexdens 서식지: 남아메리카 열대 우림 가장 북쪽에 있는 멕시코와 중앙아메리카 (파나마, 코스타리카, 과테말라, 니카라과)를 거쳐 남미 (에콰도르, 콜롬비아, 페루, 볼리비아, 베네수엘라, 가이아나, 브라질, 수리남).에 분포한다. 잎꾼개미는 생명력이 강하여 넓은 서식지에 분포하고 있다. 강한 생명력과 광범위한 서식 능력으로 많은 농작물과 건축물을 손상시키는 유해한 해충으로 간주된다. 신비한 곤충이지만 하는 짓은 해충과 다름없다. 현지에서는 아주 심각한

세계에서 가장 큰 독수리: 부채머리수리(Harpy eagle) [내부링크]

부채머리수리(Harpy eagle) 학명: Harpia harpyja 위키백과 출처 크기 몸길이: 1m 날개 길이: 2m 무게: 4~9kg 분포 멕시코 남부에서 중남미를 거쳐 아르헨티나 북부까지 서식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위키백과 출처 생태 둥지는 먹이와 나무를 찾을 수 있는 낮은 고도에 있다. 부채머리수리는 날개가 상대적으로 짧아 숲에서 빠르게 방향 전환을 할 수 있다. 먹이는 나무늘보나 원숭이, 개미핣기, 카피바라 같은 큰 포유류를 주로 잡아먹고 뱀 종류를 즐겨 잡는다. 물론 매우 큰 아나콘다도 잡아먹는 근본 있는 새다. 발톱으로 원숭이나 나무늘보는 즉사시킬 수 있을 정도로 강하고 엄청나다. 생식은 일부일처제이고 평생 한 쌍으로만 산다. 그래서 번식률이 저조하다. 낮에 활동적이며, 땅보다 나무와 하늘에서 더 많은 시간을 보낸다. 이런 습성이 정글에서 부채머리수리를 관찰을 어렵게 하기도 한다. 애내들은 옆에서 보면 독수리 중에서 가장 강하다는 말과 같이 엄청난 카리스마를 가지지만

우리나라 사마귀의 종류 [내부링크]

여름마다 길을 가다보면 거만하게 바닥에서 움직이지 않는 사마귀를 볼 수 있을 것이다. 많이 접하는 곤충이므로 호기심이 생길 수 있다. 그럴 때 사마귀에 종류을 알면 유식해 보일 수 있다. 왕사마귀 가장 큰 사마귀 왕사마귀 갈색 폼 학명: Tenodera sinensis Saussure 몸길이: 70~95 mm 특징: 몸이 크고 녹색 또는 갈색이다. 밑부에 흑색의 큰 무늬가 있다. 우리나라에 서식하고 있는 사마귀 중 가장 크다. 우리나에 전체적으로 퍼져 있고 많이 보이는 종류이다. 사마귀는 겉모습이 다 비슷하지만 많이 보면 한 눈에 구별하기 쉽다. 왕사마귀의 경우 등을 보면 쉽게 구별 할 수 있는데 다른 사마귀에 비해 등이 길고 곧다고 생각이 들면 왕사마귀 이다. (간단) 넓적배 사마귀 인기많은 사마귀 위키백과 출처 학명: Hierodula patellifera 몸길이: 40mm~70mm 특징: 앞날개 가장자리에는 하얀 점이 있고, 갈색 개체는 희귀하게 나타난다. 몸 길이에 비해 앞다

쇠뜨기-봄에 만나는 식물 [내부링크]

쇠뜨기 출처 위키백과 쇠뜨기의 뱀밥 (출처 위키백과) *위의 사진 참고* 봄즈음에 땅에서 줄기가 올라오는 데 이것을 뱀밥이라고 한다. 쇠뜨기 속새과 꽃: 홀씨 줄기 3~4월에 출현 열매: 민꽃식물이라서 없다. 높이: 25~40cm 종류: 여래해살이풀 쓰임: 홀씨 줄기-식용, 나물 영양 줄기-이뇨제 원자폭탄이 떨어진 곳에서도 자랄 수 있을 만큼 뿌리를 깊게 내리는 식물이다. 햇빛이 잘 드는 곳에서 자라고 뱀밥이 생긴다. 초록색 영양 줄기가 나는데 잎이 사각기둥처럼 생겼다. 이런 이유로 마디마디 이여 져 있는 생김새를 하고 있다. 잎과 줄기가 마디로 이여 져 있어 서로 탈부착이 가능하다.(블록처럼 뗐다 붙였다 할 수 있다.)

중국장수도롱뇽-세계에서 가장 큰 도롱뇽 [내부링크]

중국장수도롱뇽(중국왕도롱뇽) 세계에서 가장 큰 도롱뇽 위키백과 출처 학명: Andrias davidianus 크기: 최대 180cm 수명: 100년 정도 특징: 성체는 아가미 없이 피부호흡만 한다. 미세한 진동을 느끼는 감각절을 이용하여 생활한다. 중국의 호수나 바위계곡에 서식한다. 쓰임: 중국에서 음식재료나 한약제로 쓰인다. 점액은 화상을 치료하는 약재로 쓰인다.(멸종위기종이라 잡으면 안된다.) 남획과 환경오염으로 인해 현재 멸졍위기종이다. 그리고 많이 못생겼다 맞아서 얼굴이 부은 것 처럼 생겼다. 위키백과 출처

광합성을 하는 동물-갯민숭달팽이(엘리시아 클로로티카) [내부링크]

엘리시아 클로로티카((Elysia chlorotica)) 광합성을 해요! 이번 동물은 연체동물인 갯민숭달팽이이다. 갯민숭달팽이 중에 엘리시아 클로로티카라는 친구는 광합성을 한다. (?) 여기서 광합성은 식물들만의 특별한 산물인데 어떻게 동물이 광합성을 할까? 라는 생각이 들것이다. 감히 동물 주제에 광합성을? 일단 사진부터 보자 위키백과 위키 백과 생긴 것이 나뭇잎이랑 비슷하게 생겼다. 굳이 말하자면 초록색깔 설탕묻은 젤리같다. 이 녀석은 단순하게 황색조류 진핵생물인 바우체리아(Vaucheria litorea)을 주식으로 삼고 옴뇸뇸하고 먹는다. 그러면 소화가 될 것이다. 그때 바우체리아의 세포속의 엽록체만 소화시키지 않고 소화관 주변의 세포안으로 보낸다. 엽록체가 세포안에 자리 잡으면 수개월 동안 죽지않고 갯민숭달팽이를 광합서을 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로써 수개월동안은 먹이를 먹지 않고 광합성을 하여 포도당을 만들어 살 수 있다. 결론: 먹으면 엽록체를 빼앗아 광합성 한다.

일본왕개미-사육정보 [내부링크]

일본왕개미 사육방법을 애기해 보겠다. 간단하게 정리한 것이라 심화적인 내용은 아니다. 일본왕개미 일본왕개미(Camponotus japonicus ) 크기: 일개미: 7~13mm 여왕개미: 17~18mm 일반적인 개미의 모습과 생활양식을 가지고 있다. 관찰하기 쉽게 크고 질긴 생명력을 가지고 있어 사육용으로 적합한 개미이라고 할 수 있다. https://youtu.be/OrBAGyp7Pac 사육정보 성격: 호전적인 종은 아니다. 난이도: 생명력이 질기고 먹성이 좋다. 1.습도 습도 : 사냥 구역 : 30-50 % 둥지 : 50-70 % 개미는 습도가 중요하다. 습도유지 중요 휴지에 물을 뿌려 여왕 옆에 놓으면 된다. 휴지가 촉촉할 정도만 적셔주면 습도조절에 용이하다. 자주 교체해 주어야 한다. 2.온도 온도 : 사냥 구역 : 18-35 C 둥지 : 24-28 C 보통 실내 사육을 하기 때문에 너무 덥거나 춥지만 아는면 된다. 3.먹이 생밀웜, 말린 밀웜, 꿀물, 곤충젤리 먹이가 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