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c_ai의 등록된 링크

 rnc_ai로 등록된 네이버 블로그 포스트 수는 25건입니다.

라이앤캐처스, 세종시 푸른작은도서관에 신간도서 기증 [내부링크]

I 라이앤캐처스, 동네의 숨겨진 보물 ‘작은 도서관’ 기증으로 나눔의 참의미 다져 라이앤캐처스, 세종시 푸른작은도서관에 도서 200여 권 기증 데이터 테크기업 라이앤캐처스가 세종시 푸른작은도서관에 200권의 도서를 기증했다고 14일 밝혔습니다. 라이앤캐처스는 지난 8월에도 발달장애인과 함께하는 리사이클 사업 ‘숲스토리’에 도서 300여 권을 기증한 바 있으며, 지속적인 도서 기증을 실천할 예정이예요. 라이앤캐처스는 사회공헌활동을 실천하고 있는 기업입니다^^ “사람들에게 큰 도서관은 멀게 느껴질 수도 있는데 동네에 있는 이런 작은 도서관이야말로 숨겨진 보물 같은 곳이다. 동네 구석구석 이런 작은 도서관이 많이 생긴다면 사람들은 책에 더욱 많은 관심을 갖게 될 것이다. 미래의 주역인 어린이들이 책을 읽고, 상상하며 건강하게 자라길 바라는 마음에서 의미있는 기증을 하게 됐다” 라이앤캐처스 허윤 대표 “도서관은 여러 어려움 속에서도 7년째 운영이 되고 있다. 그렇다보니 도서 구입의 지원이나

신입 개발자의 고군분투 홀로 개발기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라이앤캐처스 프론트엔드 개발자 안유일입니다. 최근 경험한 백오피스 회고입니다. 신입으로 진행한 첫 프로젝트이다보니 지나고 나니 아쉬움이 많이 남네요. 프로젝트 개요 이 프로젝트는 고객사의 추천시스템을 확인하기 위한 백오피스 개발이었어요. 저희 회사에 ML팀 분들이 추천시스템을 개발하셨고 그 결과를 확인하기 위함이었죠. 프론트엔드는 저 혼자라 모든 것을 처음부터 만들어야 했어요. 신입의 치기어린 욕심이라고 해야할까요? 잘 성공해서 좋은 결과로 인정받고 싶은 마음에 혼자 끙끙 앓기도 했어요. 지금 생각해보면 다른 팀에 계신 개발자분께 도움도 많이 요청할 걸 싶습니다. (많이 질문하자고요!!) 사진출처: pixabay 시작 시작부터 큰 난관이었어요. 도커를 사용해본 경험이 없는데 개발셋팅을 도커로 해야 했어요. 도커를 깊게 이해하기 보다는 빠르게 이용할 수 있는 방법으로 공부를 했어요. 환경설정만 3일은 걸렸답니다! 로그가 없다고? 환경설정을 하고 이제 개발을 해볼까 싶었는데,

데이터 엔지니어는 ‘경험’, AI 엔지니어는 ‘논리’? (feat. 비슷해보이지만 다른 차이점에 대하여) [내부링크]

지난시간 21세기에 가장 매력적인 직업 '데이터 엔지니어'편에서 데이터 직군에 관한 이야기를 해보았는데요. 요새 이 직군들이 대세긴 대세인가 봅니다. 요 며칠새 블로그를 찾아주시는 분들의 호응도가 정말 정말 높았습니다 오늘은 데이터 직군에서 더 세분화하여 ‘데이터 엔지니어’와 ‘AI 엔지니어’에 관해 심층 분석해보려합니다. 이 두직군은 얼핏 겹치는 기술들이 많아서 같은 직업으로 인식하기 쉽지만 실제로는 전혀 다른 업무를 하는 직무입니다. 미국의 애널리틱스가 꼽은 이들의 차이점은 이렇습니다. 데이터 엔지니어 데이터 엔지니어링은 데이터 분석과 수집의 실제 응용을 다루는 데이터 과학의 한 분야로써, 데이터 엔지니어는 데이터 생산에서 활용까지 전 과정을 담당하는 기술자를 일컫는다. 이들은 비즈니스 의사 결정에 직접 연관되지는 않지만, 정보와 데이터를 누구나 더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다. AI엔지니어 AI 엔지니어는 데이터를 추출해 알고리즘을 설계하고 머신

라이앤캐처스, 퍼포먼스 마케팅 대행 강화를 위한 업무 협약식 [내부링크]

레코벨의 ‘퍼포먼스 마케팅’과 라이앤캐처스의 ‘데이터 전문 기술’이 만나다 레코벨과 라이앤캐처스는 ‘퍼포먼스 마케팅 대행 강화’ 협약식을 진행했다. 왼쪽부터 레코벨 이정찬 대표, 라이앤캐처스 허윤 대표 라이앤캐처스와 레코벨은 ‘추천솔루션 기반 퍼포먼스 마케팅 대행 강화를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고 14일 밝혔습니다. 협약식에는 라이앤캐처스 허윤 대표와 레코벨 이정찬 대표 등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했는데요. 협약에 따라 데이터 테크 기업인 라이앤캐처스는 AI추천 솔루션을 개발·제공하게 됩니다. 이와 더불어 레코벨은 10여 년간 축적된 매체에 대한 노하우와 경험을 바탕으로 최상의 퍼포먼스 마케팅을 제공할 예정이어서 두 기업의 시너지를 기대해 볼 수 있게 됐습니다. 보통, 고객이 이커머스 사이트에 접속해서 결제에 이르기까지 1)메인페이지 2)카테고리 페이지 3)검색페이지 4)상품 상세 페이지 5) 장바구니 6)결제 페이지의 총 6단계를 거치게되는데요. 이커머스 매출증가의 비밀은 고객이

21세기에 가장 매력적인 직업 '데이터 엔지니어'(feat. 하는일이 궁금하다면?) [내부링크]

데이터 과학자: 21세기에 가장 섹시한 직업 이 기사는 벌써 10년이 넘은, 그래서 관계자들에게 많이 인용된 기사라고 합니다. 또 소셜미디어 링크드인에 따르면 2020년 미국에서 가장 주목받은 직업은 ‘빅데이터 엔지니어’와 ‘인공지능 엔지니어’였습니다. 이처럼 데이터 직군은 21세기에 가장 매력적인 직업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정작 ‘어떤 일을 하는지’에 대해서는 덜 알려진 편입니다. 특히 ‘데이터 엔지니어’는 업무의 중요도에 비해 정보를 알기 어렵고, 해당일을 하는 사람을 만나기도 쉽지 않기 때문입니다. 라이앤캐처스에도 데이터 직군의 많은 개발자가 있기때문에 오늘의 주제가 더욱 흥미롭게 다가옵니다. 오늘은 업계 관계자가 아니면 잘 알지 못하는 데이터 직군 특히 ‘데이터 엔지니어’의 업무에 대한 전반적인 이야기를 들려드리려 합니다. 데이터 엔지니어의 핵심 목표 데이터 엔지니어의 핵심 업무는 ‘데이터를 잘 가져오고, 잘 사용할 수 있게 정리한다’입니다. 조금 더 전문적인 단어

React-Native 에 새로운 아키텍처를 도입하다(feat. 앱 개발은 처음이라)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라캐 입사한지 이제 3개월 된, 신입 병아리(?) 개발자 Becky입니다. 저는 최근 진행했던 프로젝트를 통해 React-Native(이하 RN)를 처음 접했는데요. 앱 개발은 처음이라 React와 RN는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 디바이스와의 커뮤니케이션은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지는지 공부가 필요했습니다. 또한 Facebook의 RN팀은 최근 새로운 아키텍처를 도입했는데, 이전 아키텍처와 변경된 아키텍처는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 궁금했어요. 그래서 관련 내용을 정리하고 공유하게 됐습니다. React-Native? React Native "Learn once, write anywhere" Javascript 라이브러리인 React에 기반을 둔 RN는 iOS와 안드로이드에서 동작하는 네이티브 모바일 앱을 만드는 라이브러리입니다. React가 웹, 웹 앱, SPA 등 개발을 위해 사용되는 라이브러리라면, RN은 iOS와 안드로이드 앱 개발을 위해 사용됩니다. 보통 앱을 개발하기 위

Nestjs에서 custom validator 적용하기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라이앤캐처스 백엔드 개발자 유정은 입니다. NestJS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작성했던 custom validator를 공유하고자 합니다. 아래와 같은 케이스에서는 class-validator 라이브러리가 제공하는 기본 데코레이터(@IsInt(), @IsEnum() ...)만으로는 검증하기 힘들다고 판단했습니다. 데이터 오브젝트(DTO)의 필드 간 종속성이 있을 경우 저장된 데이터를 사용해서 요청 데이터 검증이 필요한 경우 그래서 class-validtor가 제공하는 ValidatorConstraintInterface 인터페이스를 상속받아 커스텀한 validation class를 작성했습니다. ValidatorConstraintInterface import { ValidationArguments } from './ValidationArguments'; /** * Custom validators must implement this interface to provide cus

[논문리뷰] Deep Neural Networks for YouTube Recommendations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라이앤캐처스 딥러닝 엔지니어 조녁입니다. 오늘은 구글의 유튜브(YouTube)추천 논문 3편 중 2번째 논문인 Deep Neural Networks for YouTube Recommendations를 리뷰해보려합니다. 원논문의 순서를 따라 리뷰했으며, 내용에 있어 어떠한 의견도 늘 환영입니다!! 0. 논문 선정 이유 시작하기 전에, 6년전 논문임에도 원논문을 선정한 이유에 대해서 얘기해보고 싶습니다. 유튜브는 제가 겪어본 가장 강력한 추천 시스템이기에 선정했습니다. 지금도 매달 만원이상의 돈이 제 통장에서 빠져나가고 있습니다 ㅎ.. (유튜브 프리미엄 못잃어..) 연구가 아닌, 실제 서비스를 기반으로 작성된 논문이라서 선정하게되었습니다. 이전에 주로 사용되던 MovieLens , Netflix, Music Recsys 등 데이터셋은 몇십만인데 비해, 실제 서비스에선 몇천만 이상의 데이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연구에서 SOTA를 찍은 모델들일지라도, 실제 서비스

검색엔진 최적화(SEO)를 위한 가장 중요한 10가지 요소 [내부링크]

“우리 동네 뷰티샵 사장님이 sns를 하기 시작했다” “치킨집 사장님 배민 배너 제작을 고민하고 있다” 요즘은 sns나 온라인 마케팅을 안하는 사람이 거의 없을 정도로 붐인데요. 그러다보니 ‘검색엔진 최적화(SEO)’가 다시금 핫한 키워드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기술 블로그를 운영하는 저 역시, 요즘 검색엔진 최적화에 대해 고민이 많은데요. 마케터들이 왜 그렇게 ‘상위노출, 검색’에 열을 올리는 지 알 것만 같습니다. 도대체 ‘검색엔진 최적화(SEO)’가 무엇이길래? 검색엔진 최적화(SEO)는 ‘Search Engine Optimization’ 또는 ‘Search Engine Optimizer’의 약자로, 구글과 네이버 같은 검색엔진이 기업이나 개인의 사이트를 쉽게 이해하고 검색 상위 노출시키도록 하는 작업을 말합니다. 쉽게 말해 어떤 단어를 입력했을 때, 가장 상단이나 위에 표시될 수 있도록 검색이 잘 되게 도와주는 것이죠. 검색엔진이 SERP(Search Engine Resuit

라이앤캐처스, ‘숲스토리’ 도서 기증으로 착한기업 동참 [내부링크]

I 라이앤캐처스, 도서 AI추천 서비스에서 의미있는 도서 기증까지 데이터 테크기업 라이앤캐처스가 착한기업에 동참했다는 소식을 알리려해요! 라이앤캐처스는 지난 1일, 발달장애인과 함께하는 리사이클 사업 ‘숲스토리’ 지원을 위한 도서를 기증했다고 밝혔는데요. 지금 그 생생한 현장 소식을 들려드릴께요. 책 기증 후 숲스토리로부터 받은 감사장 희망을심는나무 사회적협동조합이 운영하는 숲스토리는 기업의 후원과 개인의 기부·나눔으로 운영하는 리사이클 매장입니다. 판매한 수익금으로 발달장애인들이 자립할 수 있도록 일자리 제공도 연계하고 있는데요. 공개채용으로 직원을 선발하고 있으며 물류와 영업, 판매, 행정 등의 직무를 담당하고 있어요. 실제로 발달장애인의 대부분 고용문제로 인한 어려움을 겪거나 직원으로 고용이 되더라도 기본적인 대우를 받지 못해 이탈자가 많은 실정이에요. 그렇기에 숲스토리의 이런 지원은 장애인들에게 행복한 일자리 제공은 물론, 경제적 자립을 돕고 있는 셈이에요. 발달장애인의 일자

스타트업으로 시작해 유니콘 기업으로 성장, 그 시작은 ‘벤처기업 인증’ [내부링크]

I 라이앤캐처스, 인공지능 데이터 영역 기술 인정받아 벤처기업은 고도의 전문지식 · 새로운 기술과 아이디어를 가지고 창조적, 모험적 경영을 하는 기업을 포괄적으로 지칭해요! 미국의 반도체사, 소프트웨어 회사, 서비스 분야 기업들이 벤처나 스타트업 형태로 시작한 사례가 많고, 실리콘밸리의 성공신화는 계속해서 나오지만 미국에서조차 스타트업의 성공 확률은 1%미만으로 알려져있어요. 성장속도가 빠른 반면 도산될 위험도 그만큼 큰 시장이기때문인데요. 그렇지만 지금도 많은 초기 스타트업 창업가들은 네카라쿠배당토(네이버·카카오·라인·쿠팡·배달의민족·당근마켓·토스)와 같은 스타트업으로 시작해 유니콘으로 성장한 기업들을 롤모델 삼고 있습니다. 물론 그 시작은 벤처기업 인증 획득이 우선일 거예요. 라이앤캐처스 또한 인공지능 데이터테크 전문기업으로서 기술력을 인정받아 벤처기업 인증을 획득했습니다. 유니콘 기업으로 성장하기 위한 발판을 마련한 셈이죠. 라이앤캐처스는 2022년 6월 22일, 벤처기업확인

mock 프레임워크인 mockito와 jest에 대하여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라이앤캐처스 백엔드 개발자 유정은&프론트엔드 개발자 정성재 입니다. 백엔드는 Spring JPA, 프론트는 React 기반의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의존하고 있는 서비스가 개발이 완료되지 않은 시점에서 상태 기반 unit Test로만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기에는 무리가 있었습니다. 그래서, 프로젝트에 mock 테스트를 적용하고자 mock 프레임워크인 mockito와 jest에 대해 공부하고 조사했습니다. 해당 내용을 공유합니다. 상태 기반 VS 행위 기반 테스트 상태 기반 테스트 특정한 메소드를 거친 후 객체의 상태에 대해 예상값과 비교 행위 기반 테스트 특정한 동작이 수행됐는가 여부를 확인. 즉, 행위를 점검하는 것으로 테스트 케이스를 만든다. ex) 특정 argument에 대해 A인 경우에는 methodA가 호출-methodB는 호출X, B인 경우에 methodA는 호출X-methodB만 호출 되는 상황이 있다고 가정하자. 이 때는 각각의 argument A, B에 대해

개발자가 올바른 TDD를 적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부제: TDD 종류, 사용예시, 장단점, 필요성, 원칙 등)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라이앤캐처스 프론트엔드 개발자 김순홍입니다. TDD를 어떻게 사용하는지에 대한 기술적인 접근보다는 TDD란 무엇인지, 프로젝트에 TDD를 적용하면 어떤 이점이 있고 적용하기 위해 어떤 검토가 필요한지 어떻게 적용하는 것이 올바른 TDD 인지 기술하도록 하겠습니다. TDD란 무엇인가 TDD란 테스트 주도 개발(Test-Driven Development)의 약자로서 코드를 작성하기 전 테스트 코드를 먼저 작성하는 개발 방법론 중 하나입니다. 테스트란 제품 혹은 서비스의 품질을 확인하는 과정의 총칭입니다. 즉, 우리가 생산해 내는 제품(프로그램)의 의도치 않는 버그를 찾아내는 과정입니다. 우리가 생산해 내는 제품이 어떤 환경이나 플랫폼 위에서 동작하기 원하는지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테스트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Test의 종류 테스트 방법엔 대표적으로 독립적인 함수, 모듈, 클래스 등을 개별적으로 테스트하는 단위 테스트와 여러 개의 단위를 묶였을 때 상호작용을 테스트하는 통

싱글스레드인 자바스크립트 동작 방식과 비동기 처리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라이앤캐처스 프론트팀 리뷰입니다. Javascript가 웹에서 동작하는 아주 기본적인 개념에 대한 주제에 대해 얘기해보고자 합니다. 저희가 개발공부를 하면서 아주 지겹도록 듣고 들었던 동기 비동기! 결론은, 자바스크립트는 동기적언어입니다. 코드를 작성하다보면 의도적으로 코드를 비동기처리하는 방식을 사용해와서 이때문에 멀티스레드인걸로 착각할 수도 있겠지만 자바스크립트는 하나의 call stack과 하나의 memory heap을 가진 싱글스레드 언어입니다. 그럼, 자바스크립트는 왜 비동기처리를 하며, 싱글스레드인 자바스크립트 코드를 어떻게 비동기적으로 실행 시킬지 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자바스크립트의 메인 스레드인 이벤트루프가 싱글스레드이기 때문에 자바스크립트를 싱글스레드 언어라고 부릅니다. 하지만 이벤트 루프만 독립적으로 실행되는게 아니라, 웹 브라우저나 Node JS같은 멀티스레드 환경에서 실행됩니다. 따라서 자바스크립트는 싱글스레드가 맞지만, 자바스크립트 런타임

화장하기 귀찮은 당신께! (부제: 화장해주는 인공지능 구현)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라이앤캐처스 딥러닝 엔지니어 조녁입니다. “Hey Google~ 날씨 알려줘!” 아침마다 대신 날씨를 알려주는 구글홈이 있기에, 우리는 날씨 찾아보는 시간을 아낄 수 있습니다. 이렇듯, 인공지능은 어느새 우리의 삶에 스며들어와 일상을 편리하게 해주고 있습니다. 이 외에도 인공지능은 다양한 쓰임새로 활용되고 있는데요, 혹시 이런 생각은 해본 적 없으신가요? 매일 아침 누군가 나에게 딱 맞는 화장을 해준다면 얼마나 좋을까? 하고요. 그래서 준비했습니다. 화장하기 귀찮은 당신을 위해! 오늘은 제가 대신 화장 해주는 인공지능에 대해 소개해보려 합니다. 오늘의 과제 : 다른 사람의 화장을 내 얼굴에 입히는 Makeup transfer를 구현해봐요! 0. 이론 : BeautyGAN: Instance-level Facial Makeup Transfer with Deep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 출처: 미리캔버스 : 두장의 사진이 있습니다. 한장은 쌩얼(

테크인이라면 알아야 할 '지대IT신' 1탄 (부제: 지적 대화를 위한 IT 신조어) [내부링크]

어쩔티비? 저쩔티비? 쿠쿠루삥뽕? 킹받네? 이런 낯선 단어에 당혹감을 느낀 적 없으신가요? 혹은 세대차이를 느껴본 적 없나요? (저요;; 쭈글;;) 시대의 변화에 따라 새롭게 만들어지는 단어들을 ‘신조어’라고 합니다. 이 단어들은 대체로 변화와 유행에 민감한 세대에서 만들어지는데요. 그렇지만 기술의 발전과 함께 찾아온 IT 신조어 쯤은 꼭 알고 가야 할 것 같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테크인이라면 꼭 알아야할 IT 신조어를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메타 사피엔스 메타버스는 초월, 가상을 뜻하는 ‘메타’와 우주, 세계를 뜻하는 ‘유니버스’의 합성어로 현실을 초월한 가상세계를 의미하는데요. 가상현실보다 한 단계 더 진화한 개념이에요. 메타 사피엔스(Meta Sapiens)는 상상력과 기술의 결합이 만들어낸 메타버스를 살아갈 신인류를 뜻하는 신조어지요. 영화 ‘레디 플레이어 원’에서 주인공 웨이드가 가상세계 오아시스에 접속하는 모습 영화 ‘아바타’, ‘매트릭스’, ‘HER’, ‘레디 플레이어 원

데이터테크 전문기업 라이앤캐처스, 기술역량 우수기업 인증 ‘T3등급’ 획득 [내부링크]

라이앤캐처스, ‘인공지능 기반의 맞춤형 서점 앱 개발’ 및 ‘데이터 분석 플랫폼 개발 기술’로 기술평가 우수기업 최우수 ‘T3등급 획득 데이터테크 전문기업 라이앤캐처스(대표: 허윤)는 나이스디앤비의 기술평가에서 기술역량우수기업 인증 ‘T-3’등급을 획득했다고 밝혔습니다. 기술역량우수기업 인증은 기업이 보유한 기술의 경제적 가치, 경영역량, 시장성 및 사업성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평가하는 인증 제도인데요. 기술역량평가(TCB: Tech Credit Bureau)를 통해 기업의 기술등급과 신용등급을 합산,산출하는데 기술등급을 가장 중요한 평가의 지표로 삼고있어요. 기술등급은 T1~T10까지 총 10등급으로 나뉘며 최상위 기술력 기업(T1-T2), 상위 기술력 기업(T3-T4), 기술력 보통 기업(T5-T6)으로 구분됩니다. T3-T4 등급의 상위 기술력 보유 기업, 고용 효과 높아 한국신용정보원에 따르면, 기업의 기술경쟁력이 우수할수록 고용창출 효과가 높은 것으로 분석됐는데 상위 기

최초의 서술형 언어 모델 구글 PaLM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라이앤캐처스 데이터 과학자 이태규입니다. 0. Introduction 오늘은 구글에서 22년 4월 선보인 최신 언어 모델 PaLM에 대해 소개합니다. 논문은 여기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PaLM: Scaling Language Modeling with Pathways Large language models have been shown to achieve remarkable performance across a variety of natural language tasks using few-shot learning, which drastically reduces the number of task-specific training examples needed to adapt the model to a particular application. To further our understanding of t... arxiv.org 주로 얘기할 부분은 Pathways, Trainin

라이앤캐처스, ‘AI바우처 지원사업’ 최종 선정 [내부링크]

I 인공지능 기반 데이터 테크 기업, 라이앤캐처스 개인화 추천 및 이커머스 솔루션 활용 데이터 테크기업 라이앤캐처스(대표 허윤)가 정보통신산업진흥원 주관 ‘2022 AI 바우처 지원 사업’에 공급 기업으로 선정됐습니다. ‘인공지능 기반 개인화 추천 및 이커머스 솔루션’으로 AI 바우처 사업을 수행하게 되는데요. 쇼핑 등 이커머스 솔루션을 비롯하여 스마트 물류 시스템, 프로덕트 추천이 가능한 각종 커머스에 적용하거나 솔루션화가 가능하며, 자사의 비블리 서비스를 비롯하여 타기업과의 프로젝트에서 인적 자원 활용 극대화 및 시너지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라이앤캐처스 허윤 대표는 “인공지능 기반으로 한 자연어 처리와 고객 행동으로부터 패턴을 추출하거나 분류·예측하여 의미있는 데이터화 및 기술을 활용한 개인화 추천기술로 AI 솔루션을 활용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아이러니하게도 코로나19의 언택트 문화는 디지털 전환의 촉매제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이를 계기로 디지털 전환은 가속화되고 있으며,

인공지능은 인간처럼 대화할 수 있을까? [내부링크]

이 기사는 누가 보면 좋을까요? 모든 개발자 컴퓨터 언어의 원리를 이해하고 싶다면 인공지능 자연어가 궁금한 누구나 “시리야, 오늘 날씨 어때?” 저의 하루는 시리에게 날씨를 묻는 것으로 시작 됩니다. “헤이, 구글 신나는 노래 틀어줘” 피곤한 아침 출근준비, 흥을 돋구는 노래는 필수가 된 지 오래죠. 인공지능(AI)과의 대화로 하루를 여는 것이 익숙해진 요즘, 이 기술을 바로 ‘자연어처리(Natural Language Processing)’라고 합니다. 컴퓨터를 이용해 사람의 자연어(Natural Language)를 분석하고 처리하는데요. 인간과 기계 사이의 상호작용을 다루는 인공지능의 한 분야 입니다. 이 자연어처리를 통해 인공지능은 사람과의 대화 뿐 아니라 소설이나 신문기사 등 문장을 만들어 내고 있습니다. 출처 : 본지DB 인공지능에게 의식이 있다고? 2011년 애플이 AI 음성인식 ‘시리’를 처음 선보인 이래, 몇 년 전까지만해도 엉뚱한 인식을 한다거나 불러도 대답을 하

유튜브 개미지옥을 만드는 비밀, 알고리즘에 있다? [내부링크]

이 기사는 누가 보면 좋을까요? 오늘도 유튜브 추천영상을 보고있다면 어떤 경로로 나에게 이런 영상이 뜨는지 궁금한 사람이라면 알고리즘의 원리가 궁금한 누구나 오늘도 알 수 없는 유튜브 알고리즘에 이끌려 *추천영상을 보고계신 당신! 유튜브 개미지옥에 빠져 허우적대게 만드는 이 *알고리즘에 대해 궁금하지 않으신가요? *추천영상이란? 유튜브 접속 시, 맨 처음 화면에 나타나는 영상 리스트를 말합니다. 구독 채널이 아닌데도 평소 내가 자주 시청하는(흥미로운) 분야의 영상이 있어 클릭했던 경험이 있나요? 바로 그 영상들이 유튜브 자동 추천영상입니다. *알고리즘이란? 사전적 의미로는 어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절차, 방법, 명령어들의 집합으로 쓰이는데요. 유튜브의 경우, 특유의 인공지능 기술을 통해 전 세계 사용자들의 개별 특성을 분석하고 추천 영상을 제공하는 알고리즘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연령, 성별, 거주지 등 기초 인구 통계는 물론, 출처 : 유튜브 “어떤 영상을 몇 초동안 시청했는

웹 개발자도 AR 개발하는 시대 올까? [내부링크]

저희 라이앤캐처스는 인공지능 기반 테크 기업으로써, 매월 테크 세션을 진행하고 있는데요. 개발자들의 경험, 프로젝트, 보유 기술, 테크 트렌드 등의 전반적 내용을 다루고 있습니다. 그 내용을 함께 공유합니다. 안녕하세요 14개월차 기발자(기자 겸 개발자) 김광회입니다. 제가 발표할 주제는 증강현실, 바로 AR이란 기술입니다. AR을 주제를 정한 이유는 여기에 관심이 있어서도 있지만, 메타버스 시대의 도래와 함께, 프론트 또는 앱 개발자가 AR 개발까지 떠안을 수도 있겠다는 느낌이 강해서입니다. Q. 웹 개발자도 AR 개발하는 시대가 올까? 일단, 제목부터 ‘웹 개발자도 AR 개발하는 시대 올까?’ 인데요. 웹에다 앱 개발까지 하느라 바쁜데 AR이라니, 제가 지은 제목이지만 참 한숨이 많이 밀려오는 제목 같습니다. 아주~ 다행스럽게도 이건 저의 순수한 질문이고요, 오늘 발표는 그 질문에 대한 답을 찾아가며 준비한 내용입니다. 확정된 미래가 아니라, 하나의 가능성을 확인하는 차원에서 편

기업에 디지털을 입히다,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내부링크]

“정보의 양이 너무 빠르게 증가하고 있어, 현재의 인류가 이틀 동안 생산한 정보의 양이 동굴벽화시대부터 2003년까지 생산한 모든 정보의 양보다 많다” 구글회장 에릭 슈미트 데이터 홍수의 시대를 살고 있는 지금, 이 말은 계속 유효해 보이는데요. 한국IDC(IT 시장분석 및 컨설팅 기관)는 최근 발간한 ‘국내 인공지능(AI) 시장 전망, 2021-2025’ 연구 보고서에서 국내 AI 시장은 21년 대비 24.1% 성장한 9435억 원의 매출 규모를 형성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향후 5년간 연평균 15.1%의 성장률을 기록하며 2025년까지 2조 원 가까이 커진다고 예측한 것인데, 진짜 놀라운 것은 그 데이터의 양에 있습니다. 한국IDC에 따르면, 오는 2025년에는 163ZB(제타바이트)의 데이터가 생성될 것이라고 해요. 1제타바이트는 1024엑사바이트(1EB=1024PB)로 1조1000억 기가바이트(GB)에 해당되기때문에 163ZB는 정말 상상도 가지 않는 수치네요!!! 이것은 데

리액트 개발자는 객체지향 패러다임을 적용할 수 없는걸까 ?(부제: 리액트에서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내부링크]

저희 라이앤캐처스는 인공지능 기반 테크 기업으로써, 매월 테크 세션을 진행하고 있는데요. 개발자들의 경험, 프로젝트, 보유 기술, 테크 트렌드 등의 전반적 내용을 다루고 있습니다. 그 내용을 함께 공유합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라이앤캐처스에서 프론트 개발을 하고있는 Leo입니다. 2019년 리액트 팀에서는 리액트 16.8에 Hook을 도입하였습니다. 리액트 16.8 이전에는 함수형 컴포넌트에서 상태관리를 할 수 없어 클래스 컴포넌트를 생성하여 개발을 하였습니다. 그러나 Hook이 도입되어 함수형 컴포넌트에서 상태관리 뿐만 아니라 여러 기능들을 통해 생산성을 높일 수 있게 되었습니다. 출처: https://dev.to/sanajitjana/what-is-hooks-in-react-js-41l2 React 팀에서는 왜 React Hook을 권장하는가? React 문서에서 Hook을 도입한 동기를 아래와 같이 3가지로 서술하였습니다. 1. 컴포넌트 사이에서 상태 로직을 재사용하기 어렵습니

‘라이앤캐처스’, 교보로부터 프리시리즈 A 투자유치 [내부링크]

라이앤캐처스, 프리시리즈 A 투자유치 도서 추천서비스를 시작, 서점 3.0 북커머스 론칭 데이터 아키텍처 및 파이프라인 구축 등의 데이터 기술력확보 '라이앤캐처스'가 교보생명 CVC 펀드 운용사인 교보증권의 단톡 투자를 유치했습니다. 라이앤캐처스는 도서 추천 서비스 ‘비블리’를 시작, ‘찾아가는 서점’으로 서점3.0을 표방하는 인공지능 기반의 북커머스를 런칭했습니다. 책장을 찍으면 자동 인식해 책을 분류, 빅데이터를 통해 취향의 책을 추천 받을 수 있는 ‘비블리’는 라이앤캐처스의 간판 서비스로써 시장에 매니아층을 형성해왔습니다. 그렇기에 각자 서재에 책을 평균 200권 이상 보유한 헤비 유저들이 많은 것이 특색입니다. 나만의 서재를 만들어주는 ’비블리’서비스 라이앤캐처스는 도서 서비스로 지식콘텐츠 산업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지만, 사실 회사의 핵심 역량은 개인화 추천기술을 필두로 데이터 아키텍처 및 파이프라인 구축 등의 데이터 기술력에 있습니다. 이는 이번 교보CVC가 라이앤캐처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