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ine_sp의 등록된 링크

 shine_sp로 등록된 네이버 블로그 포스트 수는 29건입니다.

[계장/Valve] Pneumatic Actuator (1) [내부링크]

I/P Converter Typical I/P Converter Pneumatic Actuator를 동작시키는 Air Pressure는 Pneumatic Process Controller에 의해 직접 공급되거나, Electrical Signal → Air Pressure Signal 로 바꿔주는 Signal Transducer 또는 Converter에 의해 공급된다. Control valve의 경우엔 I/P Converter라고 알려져 있는데 그 이유는 4~20 mA의 Electrical Signal 을 3~15 psi의 Air Pressure Signal로 바꿔주기 때문에 그렇게 부른다. Electrical Current Signal Input을 받아서 그에 비례한 Air Pressure Signal을 Output으로 내보낸다. 대게 외부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Heavy Cast-metal Housing이고 Electrical Conduit Fitting이 되어 있다. 내부 구조

[계장/Level] Level Gauge Dimension [내부링크]

Dimension Table Magnetic Type 기본 Side-Side Hook-up 으로 C-C와 V-L이 동일하다. Glass Type (Reflex, Transparent) Glass Size 및 개수, Hook-up type 별로 V-L이 달라지는데, 아래 Dimension Table 참조.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Top-Bottom Hook-up 에서 [V-L] = [C-C] - 230mm 로 적용될 때가 많다. Supporter Fitting Gauge Dimension이 2000mm~3000mm 이상이 되는 경우, Maker 및 Model에 따라 Supporter를 설치한다. Hook-up Type Magnetic type 기본 Side-Side hook-up. Glass type (Reflex, Transparent) 기본 Top-Bottom Hook-up. Top-Bottom Hook-up일 때, 현장 상황에 따라 Orientation을 수정하기 용이하

[계장/Level] Level Gauge Specification [내부링크]

Gauge Glass & Body Option 1) Gauge Type Magnetic Float type Reflex type Transparent type Tubular type (예전에 사용되던 type으로 지금은 Reflex, Transparent로 대체되어 잘 사용되지 않음.) Large chamber type Welding Pad type 상세 내용은 하단 링크 참조 유체 특성을 모르거나 Type이 결정되지 않은 경우에는 Reflex type으로 사용한다. [계장/Level] Level Gauge Type Magnetic Float Type 1) 구조 및 원리 Body 안에 Magnetic Float가 들어있고 Level 이 변함에 따라 ... blog.naver.com 2) C-C (Center to Center) 및 V-L (Visual Length) C-C : Connection 간 간격. (Upper Nozzle과 Lower Nozzle 간격) V-L : 실제 확인

[계장/Flow] Vortex Flow Meter [내부링크]

개요 Vortex flowmeter은 Steam, Gas 등 상대적으로 낮은 점성을 가진 유체의 Flow 측정을 위한 범용 Flowmeter이다. 이전에 D/P flowmeter을 이용하여 측정하던 많은 측정 위치에 이 Vortex Flowmeter로 대체되어 사용되는 추세이다. Karman Vortex Street (vortex : 소용돌이, 와류) Vortex Flowmeter의 동작은 Karman 원리 (Karman Vortex Street) 에 기초를 두고 있다. 이 원리는 물리학자 Theodor von Karman의 이름에서 유래하였으며, 그는 Vortex Street (소용돌이 흐름) 의 발생 및 형성에 대한 연구를 했던 인물이다. 높은 Reynolds Number (레이놀즈 수 : 낮으면 점성력이 크고 층류에 가까워지고, 높으면 관성력이 크고 난류에 가까워짐)를 가지고 있는 유체가 Stationary Object (=Bluff Body) 를 통과하게 되면, Object의

[계장/Flow] Coriolis Mass Flow Meter [내부링크]

개요 다른 타입의 Flowmeter들은 주로 압력, 온도 등에 민감히 변화하는 Volumetric flow를 기준으로 측정해왔다. 그래서 온도, 압력 등에 의해 변화된 값을 보정해야 했다. 그러나 Mass flowmeter은 압력, 온도 등의 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는 Mass Flow를 직접, 연속으로 측정하여 정밀하고 신뢰도 높은 계측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유속분포는 Pipe Fitting, Reducer, Strainer, Elbow, Valve 등을 거치면서 영향을 받으므로 대부분의 Flowmeter는 전, 후단 직관거리를 확보하는 것이 기본이다. Mass Flowmeter는 유속분포에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직관거리가 필요하지 않다. Coriolis Force ‘Coriolis Force’는 ‘전향력’의 또 다른 이름이다. 이 전향력은 관성의 한 종류인데, 프랑스의 공학자이자 수학자인 Gustave Gaspard Coriolis가 회전 기계의 역학을 연구하다 발견해 Corio

[MTL] Clad, Hard Facing, Stellite [내부링크]

Clad 압력 용기 (Pressure Vessel, 등) 내부에 부식성이 강하거나 Carbon Steel이 견디기 힘든 특정 유체가 흐를 때 내부식성, 내마모성 등에 유리한 Alloy Steel을 사용해야 하나 경재적인 이유로 Carbon Steel 위에 Alloy Steel을 폭착, Over-ray, 등 접착 방법을 사용해 만든 것 Integrally Clad : 폭착 등 Clad상태로 제작업체 납품되는 것 Over-ray : 제작업체에서 Carbon Steel 에 용접을 통해 Alloy Steel 올리는 것 Hard Facing (표면 경화) Valve 의 Shutter (Trim 부) 쪽에 유체가 흐르면서 Carbon Steel 등 내마모성, 내부식성 등이 약한 Steel 의 경우 Damage 가 날 수 있어서 Shutter 표면에 Alloy Steel 을 Over-ray 후 가공하는 방법으로 적용하는 방법, 일반적으로 GTAW 수동 또는 자동 용접으로 진행되어야 함. (경도가

[계장/Valve] Actuator Type 분류 [내부링크]

개요 Actuator의 목적은 Valve Mechanism 동작을 위한 구동력 (Motive Force) 을 제공하는 것이다. Control Valve의 Actuator은 Pneumatic, Hydraulic, Electric, Manual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 Pneumatic Actuator : Valve Mechanism을 움직이기 위한 Diaphragm이나 Piston에 동력을 주입하기 위해 Air Pressure을 사용 - Hydraulic Actuator : Valve Mechanism을 움직이기 위해 Liquid Pressure을 사용 - Motorized Actuator : Valve Mechanism을 움직이기 위해 Electric 또는 Air Motor를 사용 (일반적으로 Motorized Actuator는 Electric Motor Operated Actuator를 의미) 신뢰성이 높고, 조작이 간단하며, 효율이 경제적인 Pneumatic Type이 공정제

[MTL] Forging & Casting 비교 [내부링크]

Forging (단조) 쇠를 두들겨서 원하는 모양을 만드는 방법. 쇠에 열을 가하여 쇠의 모양이 쉽게 변하게 만든 뒤 두들겨 만드므로, 그 조직이 단단하여 원래의 강도보다도 훨씬 강해지는 성질이 있다. 고온, 고압에서 더 잘 견딘다. Ex> A105, A182-F304, A182-F316 Casting (주조) 쇠에 열을 가해서 액체로 또는 유동성 좋게 만든 뒤 형틀에서 모양을 만들고 굳히는 방법. 단조에 비해 다양한 모양으로 만들 수 있어 형상이 복잡한 제품을 만드는데 사용한다. 단조에 비해 취약하지만 경도는 높다. Ex> A216 Gr. WCB, A351 Gr. CF8 (SUS304), A351 Gr. CF8M (SUS316) Valve Body를 Casting보다 Forging을 사용하는 것은 고온, 고압에서 잘 견디기 위함. Butterfly Valve는 형태상 고온, 고압에서 사용하는 Valve가 아니기 때문에 보통 Casting으로 제작된다. 주조/단조강 비교표-1 주조/

[계장/etc.] Grounding System [내부링크]

접지 (Earthing, Grounding) 접지의 기본적인 기능은 절연되지 않은 각종 설비 및 전기기기의 외함 (철판)에 흐르는 누전으로 인해 발생하는 전기적 위험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함이다. 적정한 Earthing system을 갖추면, 누설 및 고장전류는 Fuse나 차단기가 Trip되면서 안전하게 빠져나간다. 또한 Lighting, Power Surge에 의한 전기적 왜란에 대한 방지도 가능하며, 정전기 (Static Electric Charge) 제거에도 효과적이다. 접지 관련 용어 대지 (Earth, Ground) 그 전위가 어느 점에 있어서도 Zero가 되는 지구의 도전성 (Conductive) 부분 접지전극 (Ground Electrode) 접지봉이라고도 한다. 대지에 확실히 접촉되고 전기적 접속을 제공하는 도체 보통 Main Grid와 연결된다. Main Ground Grid 지중에 깔린 메인 접지도선망을 의미한다. Ground Electrode와 접지를 하는 설비 간

[MTL] 니켈 합금의 종류 [내부링크]

금속특성표 Nickel 합금의 종류 1. 고용체 강화형 합금 NICKEL γ상을 Cr, Mo, W 등으로 강화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Cr을 많이 함유시켜 내산화성이 뛰어나고 용접성도 좋다. HASTELLOY- X, INCONEL 600, INCONEL 625 등이 여기에 해당된다. 1) Hastelloy B-2 (Ni-28% Mo-2% Fe) 각종 산중에서 가장 부식성이 강한 염산에 대하여 내식성이 있고, 가공성과 용접성을 겸비한 합금이다. 그러나 이 합금은 용접 열영향부의 입계 부근에 탄화물의 석출에 의한 Mo결핍층을 생성하여 입계 부식 (knife line attack)을 일으킨다. 이 합금은 Fe량을 낮추고 (2.0% 이하) C량 및 Si량도 낮춤으로써 ( C 0.025% 이하, Si0.10%이하) 용접한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개량 합금이다. 또 순도가 높아진 결과 내부식성, 성형성이 향상하고 용접시의 고온 응고균열 감수성이 낮은 특징이 있다. 황산, 인산, 초산, 개미산

[계장/Bulk] 계장용 Cable 기본 [내부링크]

중저압 Cable 분류 Cable 기본 용어 Conductor 개수에 따른 Cable 분류 - C : Core / P : Pair / T : Triad Core (선심)는 Conductor 1개에 비닐 등으로 절연체를 입힌 것이다. Pair는 Core선 2개를 꼬고(Twist), 차폐선(Shielding Wire)을 추가하여 정전기 유도작용에 의한 잡음(Noise)를 감소시킨다. 2개의 선이 보통 상대적인 +, -가 있어서 Pair라고 부른다. 이렇게 Stranded Pair OR Triad로 된 선들은 2쌍씩 혹은 3쌍씩 꼬아서 만든 Cable로 Twisted Cable이라고도 부른다. - Core Cable : 1 Core = 1 Conductor 주로 Power용이나 Digital Signal용으로 사용 Digital Signal은 0 아니면 1(24Vdc)이기 때문에 Noise에 민감하지 않아 Core로도 무방 - Pair Cable : 1 Pare = 2 Conductor

[etc.] 보호등급 [내부링크]

표기방법 Protection Concept 유입 방폭구조 (o) : 전기기기의 불꽃, 아크, 고온이 발생하는 부분을 기름 속에 넣어 기름면 위에 존재하는 폭발성가스, 증기에 인화될 우려가 없도록 한 구조 내압 방폭구조 (d) : 용기 내부에서 폭발성 가스 또는 증기가 폭발하였을 때 용기가 그 압력에 견디며, 접합부, 개구부 등을 통해서 외부의 폭발성 가스, 증기에 인화될 우려가 없도록 한 구조 압력 방폭구조 (p) : 용기 내부에 보호가스(신선한 공기 또는 불연성 가스)를 압입하여 내부 압력을 유지함으로서 폭발성 가스 또는 증기가 용기 내부로 유입하지 않는 구조 안전증 방폭구조 (e) : 정상운전 중에 폭발성 가스 또는 증기에 점화원이 될 전기불꽃, 아크, 고온부분 등의 폭발을 방지하기 위하여 기계적, 전기적 구조상 또는 온도 상승에 대해서 특히 안전도를 증가시킨 구조 본질안전 방폭구조 (ia, ib) : 정상 시 및 사고 시 (단선, 단락, 지락 등) 에 발생하는 전기불꽃, 아크,

[계장/Level] Level Gauge Type [내부링크]

Magnetic Float Type 1) 구조 및 원리 Body 안에 Magnetic Float가 들어있고 Level 이 변함에 따라 Indicating Column 에 부착된 작은 Colored Wafer가 Magnetic Force에 의해 젖혀지면서 Level을 표시한다. 엄밀히 말하면 Magnetic Force는 Gauge Indicating 역할만 수행할 뿐, 실제로 Level을 재는 원리는 Float의 부력으로 측정한다고 보면 된다. 2) 특징 Indicator가 Glass 로 되어 있지 않고, Fluid 와 직접 접촉하지 않는다. 부식성 유체, 유독성 유체, 대기조건에서의 증발성이 있는 유체 등 Glass를 사용할 수 없는 곳에 사용. 비중 (Sp. Gr.) 에 따라 Float 설계가 달라지므로 신경써야하며, 비중이 너무 낮으면 (0.4 이하) Float이 커져서 Magnetic type 적용이 어려울 수 있다. Level Switch나 Level Transmitter로

[계장/Valve] PST (Partial Stroke Test) 개요 [내부링크]

ESV (Emergency Shut-off Valve) 긴급차단밸브. 긴급시에 급속한 Close가 요구되는 밸브의 총칭이며, 안전 계장시스템에서 최종 기계요소 (Final Element) 로 분류된다. 긴급시란 현장의 이상 혹은 고장이 발생한 경우이며, 신속하고 안전하게 설비를 정지시키기 위 해 높은 신뢰성을 가진 긴급차단밸브를 사용하게 된다. 비상시에만 개폐를 하는 Safety valve 등이 대표적인 예. 각종 법규로 긴급차단밸브 설치를 의무화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Butterfly Valve, Ball Valve와 같은 90도 Rotary valve를 많이 사용하며, Actuator는 다양하지만 주로 Diaphragm, Cylinder형의 공압식 Spring-return actuator가 사용된다. PST (Partial Stroke Test) 의 필요성 ESV는 설비 운전 시 작동하는 빈도가 극히 적다. 그러다 보니 Trim부의 부식이나 Encrustration (이물질, 화

[계장/Valve] PST 구현 방법 [내부링크]

PST의 구현 방법 ESV는 일반적으로 플랜트 운전 중에 Full Open 상태로 되어있다. PST 중 ESV가 잘못 닫히면 플랜트 운전에 지장을 줄 뿐 아니라 중대한 사고로 연결된다. 따라서 PST에서는 긴급차단변의 개도를 강제적으로 제한하여 ESV가 닫히는 사고가 발생하지 않는 방법으로 실시할 필요가 있다. Valve 유량 특성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PST 시 밸브 Opening은 70-90% (Full open에서는 10-30%) 로 설정하는 것이 많다. PST에는 각종 방법이 있지만, 기계적인 방법과 소프트웨어적인 방법으로 나눌 수 있다. 1) PST 구동부 Type : 기계적 방법 2) Mechanical Lock Type : 기계적 방법 3) Smart Positioner Type : 소프트웨어적 방법 PST 구동부 Type 그림은 KTM사에서 특허를 소유하고 있는 구동부 타입의 PST 기기이다. 평상시에는 왼쪽 Solenoid Valve로 구동을 한다. - Sol

[계장/Sys.] Wiring Type [내부링크]

2-wire / 3-wire / 4-wire Instrument는 Power를 공급받아야 되는데, 그 결선 구조에 따라 크게 3가지 Type으로 분류할 수 있다. 2-Wire (=Loop Power Type) DCS/PLC의 Analog Input Module에서 전원이 온다. (Module 자체에서 공급할 수도 있고, DCS/PLC Panel의 배선을 통해 줄 수도 있다.) 여기서 Cable 자체에 실려 있는 24Vdc Power (=Loop Power)를 받아 Instrument에서 발생하는 4~20mA Signal을 DCS/PLC로 전달한다. 즉 Signal Line에서 power를 같이 보낸다. 일반적인 Instrument (Transmitter, Control Valve 등) 는 2-wire를 사용한다. 24Vdc Power를 System에서 받아 이용하므로 별도의 Power Supply가 필요없다. Instrument에서 System까지 2가닥을 형성하는 구조이다. <P

[계장/PRD] PSV(Pressure Safey & Relief Valve) 관련 용어 [내부링크]

Pressure 관련 용어 Operating Pressure : Equipment 또는 Pipe의 Normal Operation 동안 나타나는 Pressure Design Pressure : 설계시 목표로서 잡는 압력. Operating 시 가장 Severe 한 Condition을 Cover 하는 기준으로 결정한다. PSV가 설치되는 Pipe의 Engineering Spec.으로 보면 된다. MAWP : Maximum Allowable Working Pressure Equipment 자체 내구성의 의미 (실제 제작된 Material 및 두께 기준) 로 보면 되며, 해당 Equipment 상부에서 허용가능한 최고 Pressure을 의미한다. Design pressure와 동등 또는 그 이상이어야 한다. <P.S> Design Pressure vs MAMP Equipment 제작 시에는 Design Pressure 에서 요구하는 Material 및 두께보다 상위의 Spec.으로 제

[공정] PSV Design Basis (일반사항) [내부링크]

일단은 계장파트에서 구매에 관여하는 PRD (Pressure Safety & Relief Device) 관련 내용이라 계장 내 PRD 폴더로 포함시켜 놨는데, Safety Senario (Case) 를 고려한 PSV 용량 및 Set Press. 결정을 비롯한 Design 의 큰 부분은 공정파트에서 이루어진다. 그래도 계장은 공정과 여러모로 뗄래야 뗄 수 없는 관계인 만큼 굳이 타공정 카테고리로 분리는 안 하려고 한다. PSV Design 일반사항 1) Case 적용 - 관련없는 두개 이상의 Fail은 동시에 고려하지 않는다. - Operator의 실수는 잠재적 발원지로 고려한다. - Fail-safe Device나 Automatic Start-up Equipment는 Safety valve를 대신할수 없다. - Interlock System도 PSV를 대신할수 없다. - 한 Overpressure의 조건이 또다른 경우를 연속적으로 야기한다면 동시에 고려한다. 2) Type (size

[공정] PSV Design Basis (Load Calculation) [내부링크]

Case Type의 결정은 공정설계의 몫이고, 이와 관련하여 계장 파트에서 PSV 구매 시 고려할 부분은 Fire Case에 해당하느냐/아니냐 이외에는 크게 없다. 현 포스팅의 내용들은 업무를 하면서 Inform 받게 되는 여러가지 Case 들에 대한 개인적인 호기심으로 스크랩 해온 자료인데 내가 이해하기에는 아직 어려움이 있지만, 나중에 제대로 공부해볼 기회가 되면 좋을 것 같다. (일단은 명칭 정도만 익숙해지는 걸로..) Blocked Outlet - 정상 운전 중 압력용기의 배출 Valve를 모두 잠근 경우 - Control Valve는 Normally Open이고 Air Failure Function은 Emergency 상황에서 그 기능을 수행하지 못한다. - Load는 Overpressure의 원인이 되는 모든 유량 (Pump, Comp'r, HP Supply Header, Process Heat 등) 을 고려한다. - Rotating Machine은 성능곡선 상의 최대유량

[계장/PRD] PSV Type & Specification [내부링크]

PSV Type 의 선정 1) Conventional Type - Built-up Back Press.가 Set Press.의 10% 미만으로 일반적인 유체의 조건에 사용 2) Bellows Type - Built-up Back Press.가 Set Press.의 10%를 넘는 경우 사용 (상한선은 Maker마다 다르지만 보통 10~50% Cover) - Superimposed Back Press.가 Variable인 경우 사용 - Fluid가 부식성 유체,유독성 유체 & 고점도 유체인 경우 사용 <P.S> Back Press.와 Bellows Type의 선정 Superimposed Back Pressure이 Constant의 경우는 Conventional Type을 사용하더라도 Spring Range의 조정으로 Valve Open에 문제가 없으나, Variable이 걸리는 경우는 그 효과를 없애기 위해 Bellows를 사용해야 한다. 그러나 API Code에는 Built-up Ba

[계장/Bulk] Conduit Size 선정 Table [내부링크]

전선관 선정 방법 KS, ANSI 규격을 사용하는지, 단면적 Spare율을 어떻게 하는지, Cable Spec. (종류, Shield 등에 따라 두께가 다름), Cable Maker (동일 Cable Spec.이어도 Maker에 따라 두께가 다름) 에 따라서 달라진다. 예를 들어 아래의 Multi를 예로 들어보자. TFR-CVV-I/C AMS 10P x 1.5SQ - (대한전선 기준) O.D : 32 mm, 단면적 : 16^2*3.14 = 804 mm2 - (LS전선 기준) O.D : 27.5 mm, 단면적 : (27.5/2)^2*3.14 = 594 mm2 Conduit의 경우, KS규격 기준으로 1.1/4" = 36 mm Conduit - I.D : 36.9 mm - (Spare 53% 기준) 단면적 : 556.8 mm2, (100% 기준) 1069.4 mm2 1.1/2" = 42 mm Conduit - I.D : 42.8 mm - (Spare 53% 기준) 단면적 : 696.3

[계장/Hook-up] Valve Manifold [내부링크]

개요 Transmitter 전단에 부착하는 Accessory이다. Manifold의 재질은 Tubing 재질과 함께 하는데, Tubing이 316L이 적용됬다면 Manifold도 316L로 가야한다. 보수, 점검, 수리, 교체 등 Maintenance 시에 측정 유체를 일시적으로 차단하여 계기에 충격을 주지 않기 위해서 사용한다. 종류별로 사용되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2-Way Valve Manifold : Pressure Gauge (PG), Pressure Transmitter (PT) 3-Way Valve Manifold : Differential Pressure Transmitter (FT, LT, PDT) 5-Way Valve Manifold : 3-Way 와 같은 경우 Process Line 1개당 Block Valve, Vent Valve가 각각 1개씩 필요하다. 그러므로 도압관이 1개인 PT는 2 Valve가 적용, 도압관이 2개인 FT, LT, PDT는 3 Valv

[계장/Valve] Leakage Class [내부링크]

Seat Leakage Classification Valve 선정 시 ANSI/FCI 70.2에 준하는 Leakage Class를 P&ID 상의 공정 Requirement 에 맞게 기입한다. (TSO - Tight Shut Off 등) TSO가 P&ID상 표기되어 있지 않다면 Globe Valve의 경우 Standard하게 Class IV로 해도 무리는 없다. TSO가 요구되는 경우 Metal Seat Valve 는 Class V, Soft Seat Valve 는 Class VI를 적용한다. Metal Seat Valve : Metal Plug & Metal Seat Valve Soft Seat Valve : Soft (Teflon or similar) Plug or Seat or Both ANSI B16.104-1976의 Control Valve 규정에 의하면 Cv가 0.1 이상일 때 Class 6 가지로 구분된다. 이 표준은 품질의 균일을 위한 것이며 실제조건 하에서 기밀을 측정

계장 카테고리를 신설하면서의 각오 [내부링크]

첫 게시글부터 제목이 비장해 보인다. 출산, 육아로 인해 2년간의 업무 공백기를 가졌던 나는 이제 곧 복직을 할 예정에 있다. 여러모로 설렘과 걱정이 공존하고 있는데. 음.. 가장 큰 문제는 어떻게 일했는지 가물가물하다는 것이다. c 어학자격증 만료 기한이 2년인데, 업무도 별반 다를 것 없더라. (사실 어학 감각도 많이 떨어진 것 같다.) 자전거나 자동차 운전같이 몸이 기억하는 것 아니고서야 세월에 장사가 없다고. 복직하고 나서 멘탈 붕괴와 허우적거림을 방지하기 위해 얼마 남지 않은 시간이나마 공부에 좀 시간을 써보기로 했다. 과거에 일할 때 참고하려고 정리해놨던 자료들을 소스로 재정리하면서 잊어먹은 지식을 다시 쌓아가볼 생각이다. 워낙 예전에 여기저기서 긁어모으거나 패러프레이징 했다 보니 출처 확인이 얼마나 될지 모르겠다. 하여튼 그 계획의 첫 관문이 블로그이다. 특히나 이 카테고리는 상당히 나를 위해 쓰는 내용들이 주를 이룰 것이고, 그것이 다른 이에게도 정보로써의 도움이 된다

[계장/Valve] Sizing [내부링크]

Valve Opening (밸브개도) Control Valve는 이론적으로는 개도가 0부터 100%까지 조절되지만 실제적으로는 처음 5%정도 이하는 일단 열리는 유체 압력에 의하여, 마지막 5%정도는 변화하는 유량이 많아 잘 조절된다고 볼 수 없어 Control Valve의 제어기능 범위는 개도가 5~95%로 보나, 실제적으로 사용하는 범위는 10~90%로 보는 것이 옳다. 최대유량 (Max. Flowrate) 과 차압 (Pressure Drop) 이 정확하다 해도 Cv 계산식도 실험에 의한 식이기 때문에, 많은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정상운전 상태의 유량 (Normal Flowrate) 일 때 Opening이 50~70% 상태, 최소 (Min. Flowrate) 일 때 10%이상, 최대 (Max. Flowrate) 일 때 90%이하로 하는 것이 이상적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이것도 유체의 Velocity, Noise Level 등을 고려하여 Opening range 내에

[공부] 사회복지사 1급 한 달 준비로 합격한 수기 [내부링크]

1. Prologue 합격한 건 22년도 3월인데 이러한 수기를 쓸 기회가 없어서 내 기억이 휘발되기 전에 한번 작성해 보려 한다. 전자전기 쪽 전공으로 졸업해서 엔지니어하는 사람이 뜬금없이 사회복지사? 나도 관련 업에 종사하는 가족의 권유 및 개인적인 사정으로 취득하게 된 거라 거창한 동기는 아니다. 그럼에도 오히려 내가 종사하는 일과 연관성이 없으니 이 과정 자체로 리프레시가 된 유익한 경험이었다. 이전에 전기기사와 건설안전기사를 취득했었기 때문에 그것도 수기를 올렸으면 좋았겠지만, 거의 5년이 더 됬으니 유감스럽게도 이와 관련된 내용은 기억이 하~나도 안 난다^^;; 그래도 의외로 사회복지사 1급이 기사시험들과 같은 Q-Net 주관 시험이어서 그런지, 사회복지사 1급도 시험 형태에 대해 어느정도 감이 잡혔던 건 장점. 나는 2022년도 사회복지사 1급 시험에 응시해서 합격했으며, 그 과정은 다음과 같았다. 2021.12.06 사회복지사 1급 시험 접수 (Q-Net) 2021.1

[계장/Valve] Valve의 Characteristic [내부링크]

Valve Coefficient (밸브 유량계수) 모든 밸브는 각각의 유량계수를 가지고 있고, 이는 밸브를 통과하는 유체를 어떻게 흐르게 설계한 것인지에 대하여 달라진다. 유량계수는 어떤 유체시스템에서 가장 적합한 밸브를 선택하도록 하는 중요한 기준으로 사용되는 설계인자라고 할 수 있다. 주로 쓰는 계수는 아래의 3가지이며 그 의미는 다음과 같다. Cv : 60 (15.6 ) 물이 ∆P = 1 psi 로 흐를 때 유량 Q [gal/min] (US gallon = 3.7854 ℓ) Kv = Cv / 1.167 : 5~30 물이 ∆P = 1 kgf/cm2 로 흐를 때 유량 Q [m3/h] Av = Cv × 24/10 : 국제단위계 (SI) 로 유량을 표시- Q : 유량 [gal/min or m3/h] K : Valve Coefficient Cv or Kv ∆P : Pressure Drop (밸브 Inlet과 Outlet의 압력차) SG : Specific Gravity (비중)

[계장/Flow] 유체의 기본 특성 (23.04.09 추가) [내부링크]

Flow Flow은 온도, 압력과 함께 Chemical Process에 있어 가장 중요한 variable 중 하나이다. 온도, 압력이 Plant의 상태 및 제품의 질에 깊게 관계된다면, Flow은 주로 제품의 양에 관계하여 Process Material Balance를 결정한다. 압력, 온도, Level 등 다른 Process Variable에는 반드시 Flow이 관계되고, 이 Flow을 변화시켜 이러한 Process를 제어하기 때문에 Flow을 Process의 기본 조작량이라고 한다. Flow Measurement를 위한 최선의 Method를 선택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유체의 몇 가지 기본적인 특징을 아는 것이 중요하다. - Sample Phase (Liquid or Vapor/Gas or Both) / Clear or Opaque / Clean or Dirty / Wet or Dry / Erosive or Corrosive / Turbulent or Laminar - V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