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rcupp의 등록된 링크

 starcupp로 등록된 네이버 블로그 포스트 수는 5건입니다.

2022년 절반이 지났다!! [내부링크]

0. 솔직히 블로그 뭐 쓸려고 해도 쓸 소재가 없다. 예전에 할 일 리스트를 블로그에 끄적이듯이 적은 게 있는데 요즘 보니 그때 생각도 나고 그러길래 나중에 이맘때쯤을 추억해 보려고 요즘 드는 생각을 의식의 흐름으로 적어볼 거다. 1. 2020년 초에 전역하고 1년 동안 아무것도 하기 싫어서 푹 쉬었었다. 태어나서 이렇게 게임을 열심히 한 적이 있을까? 게임 중독이 진짜 심해진 6월부터 10월까지는 오후 2시에 일어나서 새벽 5시까지 게임했었다. 지금은 게임 1시간도 못하겠던데 그때는 어떻게 매일매일 10시간 이상 한지 모르겠다. 2. 2021년에는 코로나로 학교에 딱 네 번 가봤다. 일 년 동안 46학점을 들으며 딱 네 번..!! 나머지 시간도 대부분 집에서 놀았던 것 같다. 동네 친구들도 두세 달에 한 번 만났다. 가평 빠지를 꼭 가고 싶었는데 친구들과 일정을 잡으면 코로나 현황이 악화되며 결국 못 가게 되었다. 3. 그래서 2022년의 실습은 살짝 도전 같기도 했다. 어찌 보면

제 40회 대학생 수학경시대회(대수경) 2분야 후기 [내부링크]

후기가 거의 없는 것 같길래 남겨본다. 1교시 2교시 각각 1시간 30분 동안 본다. 의외로 시간이 많이 부족했다. 준비는 거의 하지 못했다. 기출을 훑어봐도 풀 수 있는 것/없는 것이 너무 명확했고 준비하더라도 어려운 문제는 맞힐 수 없겠다는 확신이 들었다. 또한 나는 공부를 진짜 하기 싫어한다 ㅋㅋ.. 경시대회 전날에도 게임하는 나를 보며 정말 대단하다고 느꼈다. 그러면서 게임은 안 껐다 ㅋㅋ 제대로 푼 건 1개년이고 시험 당일 일찍 일어나서 5개년 정도의 '풀 수 있는 문제들'을 풀어보고 풀 수 없는 문제는 답지만 한번 훑어봤다. (풀 수 있는 문제가 적었기에 5개년을 몇 시간 만에 볼 수 있었다.) 그래서 시험 당일까지도 응시할지 말지 계속 고민하다 그냥 응시했다. 내가 쉬우면 남들도 쉽겠지만, 결과적으론 '풀 수 있는 것'이 꽤 나왔고 수상은 운이 좀 따라야 할 것 같다. 아는 문제가 꽤 나와서 그런지 응시하지 말까 고민하던 아침의 나를 반성하며 하지도 않고 포기하지 말자라

삼성전자 DS부문 장기현장실습 합격 후기 [내부링크]

인간적으로 너무 정보가 없는 게 아닌가 싶어서 합격하면 꼭 후기를 작성해야지 생각하고 있었다. 이런 착한 마음(?)을 알아봐 주셨는지 붙여주셨다. ㅋㅋㅋㅋㅋㅋ 작년에 올라온 공고 포스터 삼성전자 장기현장실습이란? 학교를 한 학기 다니지 않고 삼성전자에서 인턴을 하면서 학점을 인정받는 제도이다. 학교마다, 과마다 인정받는 학점은 다르지만 보통 12학점 정도 인정받고 그중에서 3~6학점 정도를 전공으로 인정받는 것 같다. 물론 작년과 재작년은 코로나로 인한 온라인 수업으로 인해 1~2과목 정도는 병행 가능했던 것 같다. 이제 대면임에도 불구하고 몇몇 수업은 온라인으로 열려서 나도 전공 하나 재수강할 생각이다. 삼성에서 직무에 관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해 준다. 지원 가능한 전공, 추천 과목, 추천 역량, 우리가 뭐 하는 직무인지 등등.. 위 사진과 같이 2022년 상반기 기준 28개 정도의 직무에서 75명가량을 선발한다. 왜 그런지는 모르겠는데 삼성전자와 장기현장실습 연계되어 있는 학교가

삼성전자 장기현장실습 Tip [내부링크]

삼성전자 장기현장실습을 치고 내 블로그에 온 사람들이 많아졌길래 정보글을 작성해보려 한다. 일단 알아야 할 것은 대부분은 사바사 부바부 팀바팀이라는거다. (사업부 by 사업부, 부서 by 부서, 팀 by 팀) 나도 하기 전에 궁금했던게 많았어서 도움이 될진 모르겠지만 .. 뇌피셜도 많이 들어가있음 Q. 가서 뭐 하는건가요? A. 이거랑 진짜 완전 똑같았다. 나랑 근무하는 건물도 같아서 진짜 더 똑같다고 느꼈다. 근데 저건 노는것만 나온거고 과제를 아침 3시간, 점심 먹고 3시간씩 정도는 한다. 저기선 1분만에 오전 개인 과제 수행이 지나갔지만 실제로는 3시간이다. ㅋㅋ 과제는 걍 멘토 맘대로 정해주는거다. 공부할거를 주고 논문을 많이 찾아보게 해서 그 팀에서 다루는 반도체 시스템을 어떻게 개선할지 고민해볼수도 있고, 프로그램을 간단히 가르쳐줘서 뭔가 시뮬레이션을 돌릴 수도 있는거고, 도면을 그려보고 살짝 수정해볼 수도 있는거고 동기들마다 과제는 되게 다양하다. 사실 거기 사람들은 장

해야할 것 [내부링크]

겨울학기 신청 신호및시스템 과제 (다음주 토) 레포트 4 레포트 5 텀프 도서관 가서 MATLAB 책 빌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