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ngjun4848의 등록된 링크

 sungjun4848로 등록된 네이버 블로그 포스트 수는 6건입니다.

진실, 진실을 판단하는 나만의 기준 [내부링크]

진실을 알 수 없을 때 어떡해야 하지?? 초등학교로 봉사활동을 하러 가는 날이었다. 여름이어서 많이 더웠고 3박 4일로 봉사활동을 가게 되었다. 초등학교에서 다양한 활동을 진행하고 아이들을 가르치는 입장에서 봉사를 하게 되었다. 익숙하지 않은 환경 익숙하지 않은 상황들이 당연히 많이 펼쳐졌다. 그 많은 이야기 중 하나를 이야기해 보고자 한다, 아이들 중 한 명이 울면서 나한테 찾아왔다. 나는 그 아이가 왜 우는지 몰라 이유를 물어봤다. 같은 반 친구가 자신이 가지고 놀던 장난감을 가지고 갔다고 그 친구는 이야기해 주었다. 그래서 나는 그 친구를 불러서 그 친구의 이야기를 또한 들어봤다. 그런데 그 친구의 이야기는 달랐다. 허락을 받고서 장난감을 가지고 갔다는 것이었다. 심지어 다른 친구가 옆에서 들었다고 하였다. 그래서 다른 친구의 이야기도 들어봤는데 허락을 받고 장난감을 가지고 갔다고 나한테 이야기해 주었다. 그런데 나는 서로가 말을 잘 못 들어서 생긴 오해라는 생각이 들었다. 한

옳음(나만의 해석), 옳은 것을 옳음의 기준에서 판단하기(좋음과 옳음의 비교) [내부링크]

옳음의 정의 사전적 정의 옳음 1. 사리에 맞고 바르다. 2. 격식에 맞아 탓하거나 흠잡을 데가 없다. 3. 차라리 더 낫다. 네이버 사전 나만의 해석 옳음 모두가 받아들일 수 있는 기준, 나와 타인을 지키는 배려 모두가 받아들일 수 있는 기준(사리에 맞고 바르다) 어떤 메뉴가 좋아?? 이런 말을 들어본 적이 있을 것이다. 이럼 말들을 보면 좋은 것과 옳은 것의 차이를 확실하게 알 수 있다. 좋은 것은 타인을 향하여 물어봤다. 즉 너와 내가 다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고 사람마다 반영되는 성향과 좋아하는 것에 영향을 받는다는 것이다. 옳음은 어떨까?? 치킨은 항상 옳다 항상 옳다. 즉 호불호가 많이 생기지 않는다는 음식이라고 우리에 말하고 있는 것이다. 여기서 옳음의 성질을 하나 살펴볼 수 있다. 옳음은 호불호가 생기지 않는, 즉 모두가 인정하고 받아들일 수 있는 기준이어야 한다. 위이 예문에서는 치킨이 기준이었다고 생각해 볼 수 있다. 이처럼 옳음은 좋음과 성질이 다르다. 그렇다면

[교육] 행동주의 (행동주의자의 관점) [내부링크]

행동주의란 무엇인가? 관찰 가능한 행동과 그 행동이 환경 속에 있는 자극으로부터 영향을 받는 방법을 이용하여 학습을 설명하는 이론 교육심리학(학자사,신종호 옳김) 행동주의 세 가지의 전제조건 행동주의의 개념은 세 가지의 전제가 필요합니다. 1. 관찰 가능한 행동 2. 자극이 환경 속에 존재해야 한다. 3. 위 행동이 자극에 영향을 받아야 한다. A 는 버스를 타기 위해 뛰었지만 놓쳐 다음부터는 버스를 타기 위해 뛰지 않습니다. 1. 관찰 가능한 행동 A가 버스를 타기 위해 뛰었다. 2.자극이 환경 속에 존재해야 한다. 버스를 놓친 경험(실패) 3. 위 행동이 자극에 영향을 받아야 한다. 버스를 타기 위해 뛴 행동 + 버스를 놓친 경험 (실패) 행동주의의 관점에서의 행동주의에 대해서 다루었다.

[교육 이슈]국가교육위원회에 대해 알아보자!!!(교육부는 어떻게 되는 걸까??) [내부링크]

요즘 교육관련 뉴스를 보다보면 아래와 같이 국가교육위원회라는 명칭을 자주 접하실 수 있습니다. “국가교육위원, 국민 참여 가능한 공개 추천 필요” 그런데 국가교육위원에 대한 뉴스를 접할 뿐 국가교육위원회가 출범 후 어떤 역할을 하게 되는지 등, 국가교육위원회에 대해 모르는 사람이 많습니다. 국가교육위원회는 무엇일까요?? 그래서 국가교육위원회, 줄여서 국가교육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국가교육위원회란 어떤 기관인가요?? 국가교육위원회는 2021년 7월 1일에 국회에서 국가교육위원회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 제정안이 통과되어 대통령 직속으로 설치될 대한민국의 교육정책 관련 합의제 행정위원회(행정기관)입니다. 국가교육위원회의 출범 후 역할은 무엇인가요?? 국가교육위원회는 크게 세 가지 역할을 합니다. 국가교육발전계획 수립(국가 중장기 교육정책)을 만드는 역할을 합니다. 국가교육과정 수립 및 모니터링을 합니다. 국민의견 수렴 및 조정을 합니다. 최근 국가교육위원회는 사무처에 사무처장

슬픔, 나만의 해석 [내부링크]

슬픔이란 무엇인가에 대해 나의 사유를 남기고자 한다. 나의 생각을 남기기 전에 이성적 판단의 단어, 사전의 뜻을 확인하고 나의 감성 철학 '슬픔'에 대하여 남기려한다. ( 개인적인 주관이 많이 들어가 있습니다. ) 사전전 정의 슬픔 1. 슬픈 마음이나 느낌 2. 정신적 고통이 지속되는 일 출처: 네이버 국어 사전 나의 감성 철학 단어 슬픔 1. 긍정적 감정의 뿌리 2. 과유불급 1. 긍정적 감정의 뿌리(슬픈 마음이나 느낌) 나무는 하나의 뿌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나뭇가지와 나뭇잎은 모두가 알고 있듯이 나무 뿌리에서 출발한 것들 입니다. 슬픔도 감정이라는 나의 뿌리에서 출발한 것입니다. 적어도 나에게 나는 항상 긍정의 존재이기를 바랍니다. 우리의 모든 감정은 이런 소망에서 탄생한다고 생각합니다. 슬픔도 내가 항상 긍정적 존재이기를 바라는 마음에 뿌리를 두었습니다. 슬픔도 긍적적 감정의 뿌리를 두고 있습니다. 저는 저에게 슬픔이 힘들었던 상황을 이겨내고 다시 걸어갈 힘을 주었습니다. 마

위로,나만의 해석 [내부링크]

여러분은 위로라는 단어를 생각하면 어떤 것이 떠오르시나요?? 위로라고 하면 저는 따뜻함과 서글픔의 감정이 섞여있는 감정이 생각나곤 합니다. 위로에 대한 사전적 정의를 이야기하고 제가 생각하는 위로의 정의를 이야기하겠습니다. ( 주관적인 생각이 많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사전적 정의 따뜻한 말이나 행동으로 괴로움을 덜어 주거나 슬픔을 달래 줌. 출처: 네이버 사전 나의 감성 단어 흔들리는 물 위에 물방울 하나 떨어뜨리기 ‘감성’ 단어 흔들리는 물 위에 떨어지는 물방울 ronymichaud, 출처 Pixabay 여러분은 마음을 어떻게 생각하나요.? 저는 마음을 떠올리면 공간,바다, 나무 등이 떠오릅니다. 마음이 아프고 함들 때 보통 저희는 위로를 받습니다. 그렇기에 저는 위로가 이미 흔들리고 있던 물결 속에 “당신을 생각합니다” 라는 감정 하나, 눈물 한방울을 상대방의 마음 속에 넣는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참 어렵습니다. 누군가를 위로하는 일 … 사람마다 아픈 부분이 다르고 마음의 울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