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an_o의 등록된 링크

 wan_o로 등록된 네이버 블로그 포스트 수는 40건입니다.

메타마스크 지갑 만드는 방법 [내부링크]

오늘은 DEX(탈중앙화 거래소)인 메타마스크 지갑 생성에 대해서 알아보겠다! DEX(탈중앙화 거래소) 관련 포스팅 DEX(탈중앙화 거래소)와 CEX(중앙화거래소) 차이점, 장단점 DEX(탈중앙화 거래소)와 CEX(중앙화 거래소)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자 ! CEX(Centralized Echa... blog.naver.com 메타마스크 지갑 만드는 방법 메타마스크 공식 홈페이지에 접속 후 다운로드를 클릭한다. (metamask.io) 2. 겟겟 3. 이용약관 동의 후 새 지갑 생성을 누른다. 4. 동의 ! 5. 비빌번호를 입력한다. 6. 내 지갑 보안을 클릭한다. 메타마스크 지갑을 처음 이용한다면 영상 시청하는 것을 추천! 7. 비밀복구구문 공개를 누르면, 12개의 영어 단어가 나열되어 있는데 순서대로 백업하여 보관해야 한다. 8. 기록해둔 영어 단어를 순서대로 적는다. 9. 지갑 생성 성공! 보안에 관한 내용이 적혀있다. · 메타마스크는 비빌복구구문을 복구할 수 없습니다. · 메타

[코인테마] 디핀(DePIN) 알아보기 (뜻/종류) [내부링크]

오늘 알아볼 코인 테마는 디핀(DePIN) ! 디핀(DePIN) 디핀은 Decentralized Physical Infrastructure Network의 약자로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하여 물리적 시스템과 인프라를 분산화하는 개념이다. 실제 세계의 인프라를 분산화된 방식으로 구축하는 새로운 트렌드로, 블록체인의 장점을 물리적 시스템에 확장하여 보안성과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쉽게 말하면 현재는 통신사들이 인터넷 통신망을 깔아놓고 그 사용료로 요금제를 받아간다. 그런데 이걸 통신사가 하는 것이 아니라 개인이 인프라에 활용되는 통신 장비를 직접사서 집에 두고 이웃들에게 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라고 보면 된다. 이러한 사람들이 많아지고 분산화되면 한 개의 통신사가 제공하는 서비스보다 더 효율적이고 공정해진다. 디핀은 암호화폐 개념을 현실 세계에 적용하여 더욱 높은 가치를 창출하는데 주목을 받고 있다. AI 산업과 결합을 통해 더욱 발전할 수 있을 것!! AI 산업은 데이터

스택스(STX)상승하는 이유: 비트코인 연관성, 나카모토 업그레이드 [내부링크]

최근 스택스가(STX)가파르게 상승하고 있다. 오늘은 스택스가 오르는 이유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듬. 스택스(STX) 스택스는 비트코인 네트워크 위에 프로그래밍 가능한 스마트 컨트렉트를 제공하는 플랫폼이다. 플랫폼에서 트랜잭션을 처리하거나 스마트 컨트랙트의 수수료로 지불되며 스테이킹이나 채굴자에게 보상으로 사용되고 있다. 총 발행한도는 1,818,000,000 STX이며 현재 유통량은 1,444,896,778개이다. 현재 시가총액은 71,324억원, 18위로 높은 편이며 대부분의 거래소에 상장되어 있다. 현재 시세는 5,219원으로 최근 저점 대비 48% 정도 상승했다. 작년 말까지만 해도 900원대였는데.. 4개월간 약 400% 상승한 것이다.. ㅎㄷㄷ 스택스는 비트코인 시세와 유사한 모습인데.. 이제 비트코인 시세도 살펴보쟈 비트코인의 상승 스택스는 비트코인에 영향을 많이 받는 코인이다. 최근 비트코인이 1억을 넘기면서 스택스의 가격도 함께 상승했는데 시세를 보면 비트코인과 비

2024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대상 조건 신청방법 지원금신청 [내부링크]

청년들의 일자리 창출을 지원하는 정부지원금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에 대해서 알아보겠다.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이란 우선지원대상기업(5인이상)에서 취업애로청년을 정규직으로 채용하고, 6개월 이상 고용을 유지할 경우, 최장 2년간 최대 1,200만원을 지원하는 기업지원금이다. 이 사업은 취업에 어려움을 겪는 청년들이 일자리를 찾고, 기업은 청년들에게 훈련과 초기적응 지원을 제공하도록 돕는다. 지원 대상 1)5인 이상 우선지원대상기업이 2)만 15세~34세의 3)취업애로청년을 정규직으로 채용하여 6개월 이상 고용을 유지하는 경우 지원받을 수 있다. 기업 지원 대상이 되려면 기업에서는 사업참여 신청 직전 월부터 이전 1년간 평균 고용보험 피보험자수 기준으로 피보험자(피고용자)수가 5인 이상인 우선지원 대상기업 사업주여야 한다. 5인 미만 기업이더라도, 지식서비스·문화콘텐츠·신재생에너지 산업, 청년창업기업, 미래유망기업, 지역주력산업, 고용위기지역 소재 기업, 특별고용지원업종 등

2024년 서울시 청년월세지원 신청방법 대상 [내부링크]

2024년 서울시 청년월세지원 신청 조건 및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다. 서울시 청년월세지원 사업 서울시 청년월세지원이란 청년들의 주거비용 절감과 안정적인 주거를 위해 월 20만원의 월세를 지원하는 사업이다. 서울 원룸이나 오피스텔에 거주하면 한달 월세만 50만원 이상이다.. 전용 5평의 신축 오피스텔은 90만원 이상인 곳도 많다. 이처럼 원룸 오피스텔 등에 거주하는 청년들의 주거비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지원사업이다. 신청기간 및 진행일정 신청기간: 2024. 4. 3.(수) 10:00 ~ 4. 23.(화) 18:00 선정심사: 2024. 6월(예정) 심사결과 발표: 2024. 7월 초 이의신청 접수: 2024. 7월 초~중순 최종선정자 발표: 2023. 7월 첫 지급: 8월 말 지원내용 월 20만원 월세 지원(최대 12개월/ 240만원) 생애 1회 20만원 미만 월세 계약은 임대차계약서에 표기된 차임금액만 지원 예시) 차임(월세 10만원은 월 10만원 지원/ 관리비가 포함된 경우 관

실업급여 구직급여 신청방법 절차 조건 [내부링크]

실업급여란? 고용보험 가입 근로자가 비자발적 사유로 이직하여 재취업활동을 하는 기간에 소정의 급여를 지급함으로써 실업으로 인한 생계불안을 극복하고 생활의 안정을 도와주며 재취업 기회를 제공해주는 지원급여이다. 지원 대상 실직 전 18개월 동안 고용보험이 적용되는 사업장에서 고용보험 가입 기간 180일 이상 - 이전 직장에서 고용보험 가입한 기간도 포함 가능 비자발적 퇴사 적극적인 재취업 노력 * 예술인: 이직일 이전 24개월간 피보험단위기간 9개월 이상(예술인으로서 3개월 이상) * 노무제공자: 이직일 이전 24개월간 피보험단위기간 12개월 이상(노무제공자로서 3개월 이상) 지원 내용 및 금액(2024년 기준) 지원 내용 이직일의 다음 날부터 12개월(수급기간) 내에서, 피보험기간과 연령에 따라 120일-270일간 이직 전 3개월간 평균임금의 60%를 지급한다. * 예술인, 노무제공자는 이직 전 12개월간 평균보수의 60% 지원 금액 · 이직 전 3개월간 평균임금의 60% · 상한

이더리움 사냥꾼 ! 솔라나에 대해 알아보자 [내부링크]

최근 비트코인 하락에도 지속적으로 우상향중인 솔라나! 오늘은 솔라나에 대해서 공부해보도록 하겠슴다~~~ 솔라나(SOL) 솔라나는 솔라나 랩스의 아나톨리 야코벤코(Anatoly Yakovenko)가 2017년에 설립하고 FTX 거래소 대표인 샘 뱅크만 프라이드(Sam Bankman Fried)가 지원하는 지분증명방식(PoS) 기반의 퍼블릭 블록체인 프로토콜이다. *PoS 지분 증명: 작업량이 아닌 지분에 비례하여 블록에 기록하 권한이 더 많이 부여되는 방식 이더리움, 폴카닷 등과 같이 스마트 컨트랙트를 지원하며 레이어2, 샤딩 등의 기술을 통한 기존의 확장성에 대한 방식들과 다르게 프로토콜 수준에서 확장성 문제를 해결하였다. 솔라나는 스마트 계약을 실행하고, 탈중앙화 애플리케이션(DApp)을 연결하기 위한 토큰 솔(SOL), 탈중앙화 시스템을 모두 제공한다는 점에서 이더리움 블록체인과 유사하다. 기존 퍼블릭 블록체인의 문제점이었던 확장성(속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솔라나는 역사증명

[코인테마] NFT 알아보기(뜻/특징/작동원리/활용/종류) [내부링크]

오늘은 ~ NFT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요.. NFT에 대해서 언급은 자주 했던 것 같은데 구체적으로 다룬적은 없는 것 같아서 올리는 포스팅.. NFT(Non-Fungible Token) 자 먼저 NFT란 무엇일까? Non-Fungible Toke의 약자로 문자 그대로 해석하면 대체 불가능한 토큰 이라는 뜻이다. 무슨 말인지 잘 이해가 안될 수 있는데, 단순하게 생각하면 '원본' 이라고 보면 된다. NFT는 교환이 가능한 다른 암호화폐와 달리 각 토큰에 고유한 인식 값이 부여되어 있어서 서로 대체할 수 없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단순히 거래 내역만이 아니라 소유권 및 판매 이력 등 디지털 자산 자체에 대한 정보를 블록체인에 저장하기 때문에 최초 발행자를 언제든 확인할 수 있어서 위변조가 불가능하다. 서로 대체할 수 없는 개별적인 자산이기 때문에 예술 작품, 동영상, 음악 등 다양한 디지털 콘텐츠에서 소유권을 나타낼 수 있다. 이는 블록체인에 거래내역을 영구적으로 기록하여 세

[차트기초] 추세 분석하기(추세선 그리는 방법/추세대란/ 추세 분석을 이용한 매매 방법) [내부링크]

오늘은 추세분석을 이용한 매매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듬 ! 차트분석 무작정 따라하기라는 책을 보다가 차트분석에 대한 내용이 꼼꼼하게 잘 나와있어서 정리해보았다~ 추세 분석이란? 차트를 보면 일정한 기간동안 같은 방향으로 추세를 형성하고 움직이려는 속성이 있다. 차트위에 추세선을 그려보면 알 수 있는데, 규칙없이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지만 추세선을 그려보면 상승, 하락, 횡보 중 어느 하나의 추세선을 따라 움직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성질을 이용하여 향후 시세를 예측하는 것을 추세 분석이라고 한다. 추세선 그리는 방법 추세선은 상승추세선, 하락추세선, 횡보추세선으로 구분된다. 1. 상승추세선 저점과 고점을 높여가며 가격이 지속적으로 상승중일 때 상승추세에 있다고 한다. 이때 가격의 저점과 저점을 이은 선을 상승추세선이라고 한다. 2. 하락추세선 고점과 저점이 점점 낮아지며 가격이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을 때 하락 추세에 있다고 한다. 이때 가격의 고점과 고점을 이은 선을

[코인용어] 스테이킹(Staking)이란? (뜻/작동원리/주의사항) [내부링크]

우리가 은행에 돈을 맡기면 이자를 받는 것 처럼 암호화폐도 은행처럼 일정 금액을 거래소에 맡기면 이자를 받을 수 있는 제도가 있다. 바로 스테이킹! 오늘은 스테이킹에 대해서 알아보겠당 스테이킹이란? 스테이킹이란 암호화폐의 일정량을 지분으로 고정하는 행위를 말한다. 내가 가지고 있는 코인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맡기는 방식으로, 네트워크에 맡긴 암호화폐를 블록체인 검증에 활용하도록 하고 그에 대한 대가로 암호화폐를 받게 되는 구조이다. 쉽게 말해서 기간을 정해 돈을 넣어두면 정해진 이율만큼 수익을 돌려주는 은행의 예적금과 비슷한 개념이다. 작동원리 스테이킹은 '지분 증명'알고리즘이 가능한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가능한데,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각 노드마다 식별자 아이디를 만들어 지분의 양을 계산한다. *지분 증명(PoS: Proof of Stake): 자신이 가진 암호화폐의 양에 따라서 블록을 생성할 권한을 주는 방식 비트코인처럼 채굴이 필한 '작업 증명' 방식과 달리 암호를 풀지 않고 보

업비트 스테이킹 방법(이더리움, 코스모스, 에이다, 솔라나, 폴리곤, [내부링크]

스테이킹 먼저 스테이킹에 대해서 간단하게 말하면 내가 가지고 있는 암호화폐의 일정량을 네트워크에 맡기는 행위로, 맡긴 암호화폐를 블록체인 검증에 활용하고 그에 대한 대가로 해당 암호화폐를 보상으로 주는 것을 말한다. 간단하게 설명하면 은행 예적금을 가입하여 돈을 맡기고 나중에 이자를 받는 것과 비슷하다. (업비트의 경우 수수료 10%뺀 90% 이자를 지급) 중요한 것은 스테이킹이 되는 순간 매도를 할 수 없고 내 자산목록에서도 확인할 수 없다. 스테이킹 현황에서 따로 확인할 수 있으며 해지한 후에 매도가 가능하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포스팅 참고 [코인용어] 스테이킹(Staking)이란? (뜻/작동원리/주의사항) 우리가 은행에 돈을 맡기면 이자를 받는 것 처럼 암호화폐도 은행처럼 일정 금액을 거래소에 맡기면 이자를... blog.naver.com 언스테이킹 언스테이킹은 블록체인 네트워크상 스테이킹을 중단하는 것을 의미한다. 은행 예적금이라고 생각하면 예적금을 해지하고 맡긴 돈을 찾는

[코인테마] RWA코인이란? (뜻/중요성/STO차이점/종류/거래소) [내부링크]

며칠 전, 블랙록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첫 RWA 펀드를 신청했다. 현물 상장지수펀드 대표 주자인 블랙록이 증권형 토큰 펀드 출시 소식으로 RWA 관련 테마가 주목을 받았던 것인데, 최근 폴리매쉬가 급등했던 계기라고 볼 수 있다. 그래서 오늘은 RWA는 무엇인지, 어떤 코인들이 있는지 살펴보도록 하겠다~ RWA란? RWA란 Real World Asset의 약자로 실물 자산화 토큰을 의미한다. 쉽게 말해서 부동산, 채권, 주식, 금 등 모든 가치가 있는 자산들을 코인화 시켜서 거래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즉, 실물자산을 코인화 시킨다는 것이다. RWA는 오래전부터 금융의 비효율성을 낮출 수 있는 분야로 주목받아왔다. 그러나 개인 투자자 위주의 시장 환경과 실사용 사례 부족 등으로 금융 기관 진입이 어려워 한동안 관심을 끌지 못했다. 하지만 올해를 기점으로 다시 RWA가 뜨고 있다!! 비트코인 현물 ETF 시대 본격화를 통한 기관 자금 유입이 예상되면서, 다양한 실물자산에

[코인용어] 메인넷이란? (플레이댑 아발란체 서브넷 메인넷) [내부링크]

며칠 전 플레이댑이 업비트와 빗썸에서 상장폐지 됐었는데.. 아발란체 서브넷을 통해 메인넷 출시를 한다는 기사를 접했다.. 그렇다면 여기서 말하는 메인넷은 무엇일까? 메인넷 메인넷은 메인 네트워크의 줄임말로 실제 트랜잭션이 발생하는 기본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실제로 운영하는 네트워크라고 볼 수 있다. 독립적인 플랫폼으로 새로운 생태계를 구성하고 자체 지갑을 생성하는 것으로, 네이티브 암호화폐가 사용된다. 모든 코인이 메인넷을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니며 각 코인의 용도나 필요에 따라서 결정하게 된다. 메인넷을 가지지 않은 코인을 토큰이라고 하는데, 대부분은 이더리움 등 다른 플랫폼 위에서 돌아가는 토큰의 형태를 띄게 된다. 그러니까 자체 프로토콜이 메인넷을 보유하고 있다면 코인, 다른 플랫폼에서 파생되어 만들어진 것을 토큰이라고 한다. 쉽게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완오는 토마토를 직접 키워서 먹기도 하고, 팔아서 돈도 벌고 싶었다. 그런데 집이 너무 좁아서 토마토를 많

[코인테마] 게임파이(GameFi)란?(뜻/종류/엑시인피니티/디센트럴랜드/샌드박스/위믹스) [내부링크]

오늘 알아볼 테마는.....게임파이 !! 게임파이(GameFi) · Game + Finance 게임파이는 게임(Game)과 파이낸스(Finance)의 합성어로 P2E 게임을 통해 수익을 창출하기 위한 금융 시스템을 의미한다. P2E(Play to Earn)과 비슷한 개념인데, 게임파이의 개념이 더 크고 P2E는 한 카테고리라고 보면 된다. 게임파이는 다양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게임 안에서 미션을 수행하고 받는 보상이 될 수도 있고, 게임 내 재화를 사고파는 행위를 통해 이득을 얻는 것을 말하기도 한다. 배경 게임파이라는 용어는 언 파이낸스의 CEO인 안드레 크로네가 2020년에 게시한 트윗에서 처음 사용했다. 게임파이는 블록체인기술, NFT(대체 불가능 토큰), 게임 메커니즘을 결합하여 플레이어가 참여하고 보상으로 토큰을 받을 수 있는 가상 환경을 구성하고 있다. 최근까지 비디오 게임은 중앙집중식 서버에서 운영되어 개발자가 게임 내의 권한을 가지고 있었다. 그래서 플레이어가 게

DEX(탈중앙화 거래소)와 CEX(중앙화거래소) 차이점, 장단점 [내부링크]

DEX(탈중앙화 거래소)와 CEX(중앙화 거래소)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자 ! CEX(Centralized Echange): 중앙화 거래소 CEX(중앙화 거래소)는 중앙화된 주체가 중개나 상장 등을 관리하는 거래소이다. 흔히 알고 있는 전통적인 거래소처럼 제 3자를 거쳐서 거래가 진행된다. 거래를 하기 위해서 은행에 돈을 맡기는 것처럼 거래소에 돈을 맡기고 거래소가 대신해서 거래를 해준다. 흔히 알고 있는 업비트, 빗썸, 코인원, 바이낸스 등이 중앙화 거래소(CEX)이다. 어떤 장단점이 있을까? · 장점 쉽다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친숙하여 초보자도 쉽게 거래가 가능하다. 2. 빠르다 중앙화된 서버에서 모든 거래를 처리하기 때문에 거의 즉시 거래가 이루어진다. 3.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거래 외에도 대출이나 스테이킹이 가능하다. · 단점 1. 해킹의 위험이 있다 모든 자산이 중앙 서버에 집중되어 있기 때문에 해킹의 위험이 있다. 거래소가 해킹 당하면 내 자산은..!! T_T 2. 투

업비트 빗썸 AI 코인 종류 [내부링크]

최근 AI 관련된 코인들이 급상승했다. 오픈AI가 새로운 생성형 인공지능을 공개한 데 이어 해당 분야 선두주자인 엔비디아가 호실적을 기록하는등 AI 관련 호재가 잇따르자 코인시장에서도 AI테마 코인 거래량이 급증했다. AI 대장 월드코인은 3주 간 4배 가까이 올랐고.. 더그래프도 3주동안 106% 상승.. 니어프로토콜 52%.. ㅎ AI가 돌아가는데 필요한게 컴퓨터 성능과 데이터 저장이라 최근 저장관련 코인도 급등했었다.. (시아가 최근에 날뛴 이유..ㅋ) 그래서 오늘은 업비트와 빗썸에서 거래 가능한 AI코인들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음,. 업비트 더그래프(GRT) - AI 데이터 탐색 니어프로토콜(NEAR)- AI 서비스 개발 오션프로토콜(OCEAN) - AI학습데이터 매매 뉴메레르(NMR) - AI 시장 예측 빗썸 월드코인(WLD) - AI 홍채 인증 싱귤래리티넷(AGIX) - AI 서비스 제작 아캄(ARKM) - AI 온체인데이터 분석 더그래프(GRT) - AI 데이터 탐색

[차트기초] 코인 주식 차트 보는 법 캔들 양봉 음봉 [내부링크]

코인이나 주식을 하면 가장 기본적으로 알아야 하는 것이 차트이다. 차트만 잘 분석해도 어느정도 시장 참여자들의 심리나 매수세, 매도세를 예측할 수 있어서 꼼꼼하게 알아두는 것이 좋다. 오늘은 캔들에 대해서 알아보겠음~~ (왼) 양봉 (오) 음봉 위 그림에 보이는 것을 캔들이라고 한다. 빨간 색은 양봉, 파란 색은 음봉이라고 부른다. 여러 개의 캔들이 연속적으로 발생하며 하나의 완성된 차트를 그리게 된다. 캔들은 3가지 파트로 나누어 보면 됨 윗꼬리 몸통 아랫꼬리 당일 시가가 종가보다 크게 되면 양봉이 되고 , 시가보다 종가가 낮아지면 음봉이 만들어지게 된다. *시가: 캔들 시작될 때 가격 *종가: 캔들 마감될 때 가격 1) 장대양봉/ 음봉 윗꼬리와 아랫꼬리 없이 몸통이 꽉차고 킨 캔들을 장대봉이라고 한다. 장대양봉이 뜰 경우에는 매수세가 강력하여 상승 추세를 이어갈 확률이 높지만, 반면 장대음봉은 매도세가 강력한 것으로 하락 추세를 이어갈 확률이 높다. 2) 망치형 망치형 망치형 캔

[차트기초] 이동평균선 매매 기법 의미 차트 분석 [내부링크]

이동평균선은 기술적 분석의 기본이라고 할 수 있다. 사전적 의미부터 살펴보자. 사전적 의미로는 일정기간 동안의 주가를 산술 평균한 값인 주가이동평균을 차례로 연결해 만든 선이다. 그러니까 쉽게 얘기하자면.. 5일선: 5일간의 종가를 합하여 5로 나눈 값 20일선: 20일간의 종가를 합하여 20으로 나눈 값 60일선: 60일간의 종가를 합하여 60으로 나눈 값 120일선: 120일간의 종가를 합하여 120으로 나눈 값 숫자가 나타내는 기간동안 사람들이 투자한 평균 가격 이라고 보면 된다. 아래 차트를 보면 왼쪽 위 MA에 숫자가 써있고 그 색깔대로 차트에 선이 있다. 이게 '이동평균선' 이다! (줄여서 이평선이라고도 함) 5일선이 제일 위에 위치하고 20, 60, 120, 240선 순으로 진행된다면 정배열, 5일선이 제일 밑에 위치하고 20, 60, 120, 240선 순으로 높아진다면 역배열이라고 한다. 정배열은 상승추세, 역배열은 하락추세라고 보면 된다. 저는 정배열과 역배열을 쉽게

[코인테마] 밈코인 알아보기 (뜻/종류/상장거래소/시세/페페/시바이누/도지코인/플로키) [내부링크]

최근 핫한 밈코인! 여러 밈코인들이 일주일간 100%가 넘는 급등을 보이면서 큰 주목을 받고 있다. 밈코인들의 상승세가 쉽게 끝나지 않을 분위기인데.. 그래서 오늘은 요즘 핫한 밈코인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음 ! ! 밈코인이란? MEME=밈 밈코인에 대해서 알기 전에 밈이라는 단어를 먼저 알 필요가 있다. 사전적 의미를 살펴보자. 즉 밈이란 인터넷에서 시작된 유행어로 커뮤니티나 SNS 등을 통해 재창작되는 패러디물을 말한다. 그렇다면 밈코인이란 무엇일까? 이런 짤들을 밈이라고 합니다 밈코인이란 인터넷, SNS 상에서 농담하면서 얻은 영감으로 만든 암호화폐라고 볼 수 있다. 특별한 목표도 없고 기술력도 없이 재미를 목적으로 만들어졌는데, 2021년 일론머스크가 도지코인을 언급하면서 주목을 받았었다.. 밈코인은 보통 도지코인처럼 최대 공급량을 제한해두지 않거나 시바이누처럼 1,000조개의 정도로 공급량이 많은데, 공급량이 많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낮은 가격으로 유통된다. 이렇게 유통규모

코인매매시 알아두면 도움되는 유용한 사이트 추천 [내부링크]

코인 매매를 하다보면 여러 정보가 필요할 때가 많다. 그럴때 도움되는 사이트 몇가지를 정리해보았다. 1. 트레이딩뷰 트레이딩뷰에서는 모든 거래소의 코인를 검색할 수 있다. 내가 찾고자하는 코인이 내가 주로 쓰는 거래소에 없다고 해보자. 코인 차트를 보려면 그 코인이 상장되어 있는 거래소가 무엇인지 찾아야하고, 또 그 거래소로 가서 코인을 찾아봐야 하는데 너무 번거롭다… ㅜㅜ 이럴때 트레이딩뷰로 해결 가능 ! 트레이딩뷰 하나면 모든 거래소에 있는 코인 차트를 쉽게 확인 할 수 있다. 어플도 있어서 핸드폰으로도 쉽게 검색 가능 ~~ 2. 코인360 코인360은 현재 코인 시장을 시각화해서 보여주는 사이트다. 지금 어느 섹터가 주된 상승을 이루고 있는지 판단하기에 좋다. 3. 크립토버블 크립토버블도 코인360과 마찬가지로 코인 시장을 시각화해서 보여주는 사이트이다. 코인들이 상승률에 따라서 버블 모양으로 보이는데, 버블을 클릭하면 코인에 대한 정보가 뜬다. 그리고 코인별 전체상승률도 한눈

[코인 테마별 총정리] 코인 테마 종류 [내부링크]

정리된 테마를 한눈에 보고 싶은데.. 보기 쉽게 정리해 놓은 걸 못찾아서 그냥 직접함.. - 플랫폼: 응용 서비스의 플랫폼 블록체인 - 레이어1: 블록체인 생태계 기초 - 레이어2: 블록체인 확장성 솔루션 - AI: 인공지능 관련 블록체인 - IoT: 사물인터넷 관련 블록체인 - 스토리지: 분산형 클라우드 플랫폼 -LSDFi: 유동성 스테이킹 파생상품 - 디파이: 탈중앙화 금융 - DEX: 탈중앙화 암호화폐 거래소 - NFT: 대체 불가능 토큰 - X2E: X to Earn -오라클: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 페이먼트: 결제, 송금 기반 토큰 - 프라이버시: 익명성 강화 암호화폐 - 메타버스: 3차원의 가상세계 - DID: 블록체인 기반 신원인증 솔류션 - RWA: 실물자산 토큰 -소셜파이:소셜 미디어와 금융의 합성어 - 크로스 체인: 브릿지 - 거래소 토큰: 중앙화거래소 자체 토큰 - BRC-20: 비트코인 생태계 프로젝트 - 팬토큰: 스포츠클럽 기반 유틸리티 토큰 - 밈

업비트 매수 매도시 주의사항&팁 (지정가, 시장가, 예약가) [내부링크]

얼마전 매매를 하다가 예약가 매도로 걸어둬야 할 것을 지정가 매도로 걸어둬서 원하지 않는 금액에 매도를 해버린 적이 있었다…ㅠㅠ 매매할때마다 헷갈리는 지정가, 시장가, 예약가 ! 그래서 오늘은 매매시 주의사항에 대해서 제대로 알아보겠다! 지정가 지정가란 내가 구매하고 싶은 코인의 수량과 가격을 직접 결정하는 주문 방식이다. 가격을 정해두고 정해둔 지정가가 되면 매수/매도가 가능하다. 원하는 금액에 매수/매도가 가능하지만 매매 체결이 바로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원하는 가격의 매매를 놓칠 수가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시장가 시장가는 가격을 지정하지 않고 현재 가격에 즉시 체결시키는 주문방식이다. '총액'을 기입한 후 매도/매수를 클릭하면 자동으로 현재가에 빠르게 거래가 가능하다. 단타를 위해 변동이 심한 코인에 투자할 경우에는 지정가에 걸어두면 거래가 되지 않을 수 있으니 빠르게 매매할 때는 시장가를 이용하면 된다. 예약가 예약가는 예약한 금액에 코인을 주문하는 방식이다. 가격 감시

[코인테마] BRC-20이란? (개념/종류/상장거래소) [내부링크]

코인의 불장 시기마다 코인 메타가 존재한다. 이전에의 메타가 디파이나 NFT 였다면, 이번 트렌드는 BRC-20 !! 코인 커뮤니티 글이나 기사만 봐도 BRC-20에 대한 이야기가 굉장히 많이 나오고 있는데 .. BRC-20은 무엇일까? BRC-20이란? BRC-20( Bitcoin Request for Comment)이란 비트코인 네트워크를 기반으로한 대체 가능한 토큰 표준으로 오디널스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한다. 이 토큰은 도모(Domo)라는 개발자에 의해 2023년 3월에 만들어졌으며, 이더리움의 블록체인의 가장 대표적인 토큰 표준인 ERC-20에서 이름을 따왔다. 오디널스 프로토콜 오디널스 프로토콜은 비트코인의 최소 단위인 사토시에 데이터를 첨부하여 고유한 NFT를 만들고 저장할 수 있게 구현한 기술이다. 1비트코인에는 1억개의 사토시로 이루어져 있는데, 각각의 사토시에는 번호가 자동적으로 매겨지고 이때 부여되는 번호를 오디널스라고 한다. 오디널스 프로토콜이란 이 오디널스라는

[코인테마]중국 코인 종류 알아보기(네오/트론/비체인/퀀텀/온톨로지/저스트) [내부링크]

오늘 알아볼 코인은 중국코인 ! 중국 코인이란? 중국 코인은 중국에서 개발되었거나 중국 암호화폐 시장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디지털 자산이다. 암호화폐 및 공식 디지털 화폐 규제 법안이 발행되면서 21년부터 꾸준하게 중국 코인들의 시세가 급락했다. 중국은 암호화폐 분야에서 주요한 역할을 해왔으며 네오, 트론 등 여러 주목할만한 코인들을 만들어 넀다.. 중국 코인의 종류는 아주 많은데 그 중 몇개만 살펴보도록 하겠다. 종류 1) 네오(NEO) 네오는 중국 최초의 암호화폐로, 디지털 자산, 스마트 컨트랙트, 디지털 신원을 결합하여 스마트 경제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블록체인 플랫폼이다. (중국의 이더리움이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음) 2014년 엔트셰어에서 2017년 7월에 네오라는 이름으로 바뀌었다. 2)트론(TRX) 트론은 탈중앙화된 인터넷을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하는 블록체인 플랫폼으로, 리플과 더불어 전송용으로 아주 성능이 좋은 코인이다. 3) 비체인(VET) 비체인은

업비트 코인 시총 순위별 정리 [내부링크]

업비트 원화 코인 시총 순위별로 살펴볼겸 정리해 놓은 것이당.. 빨간색은 1조이상 노란색은 5천억 이상 초록색은 1천억 이상 파랑색은 그 미만으로 구분했으니 참고하시길! 2024-03-10 업비트(KRW)

2024년 연말정산 기간 및 하는 법(홈택스 간소화서비스/소득공제/세액공제) [내부링크]

13월의 월급!이라고 불리는 연말정산 ! 개인마다 매년 공제 항목이 달라지기 때문에 13월의 월급이 될수도 13월의 세금이 될 수도 있다.. 그런데 연말정산을 하면서도 이게 뭔지, 왜 하는지 잘 모르는 사람들이 많은 것 같다 ㅎㅎ 할때마다 새롭고 하면서도 뭔지 잘 모르겠고 .. 그래서 오늘은 연말정산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음 ! 연말정산이란? 급여소득에서 원청징수한 세액의 과부족을 연말에 정산하는 행위 먼저 연말정산이 무엇인가? 연말정산의 사전적 의미는 급여소득에서 원천징수한 세액의 과부족을 연말에 정산하는 행위이다. 다시 말해 같은 연봉이어도 사람에 따라서 부양가족 등 사정이 다르기 때문에 각자 형편에 맞게 세액의 과부족을 연말에 정산하는 행위를 말한다. 월급에서 미리 빠져나갔던 세금과 실제로 내가 내야할 세금을 비교해서 더 내거나 돌려받는 것 !! 소득공제와 세액공제 연말정산 시 소득세를 계산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공제 항목들이 영향을 주게 된다 . 이때 영향을 주는 항목은 소득

2024 연말정산 바뀐 점/대비전략/소득공제 제외항목 [내부링크]

연말정산은 제도가 자주 바뀌기 때문에 무엇이 바뀌는지 알아야 대비할 수 있다. 오늘은 2024 연말정산에는 어떤 것이 바뀌었는지 살펴보겠음!! 2024년 연말정산 바뀐 점 몇 가지 변경사항을 살펴보자. 1. 일부 과세표준 구간 조정 2024년에는 이 과세표준 기준금액이 1200만원 -> 1400만원 이하 1200만원~4600만원 -> 1400만원~5000만원 4600만원~8800만원-> 5000만원~8800만원 로 상향되었음. 2. 신용카드 사용 금액 공제 변경 그동안은 도서, 공연티켓, 박물관 입장권 등을 구입할 때 소득공제가 가능했다. 올해부터는 연소득 7천만원 이하인 경우에는 영화관람료도 문화비에 포함되어 소득공제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원에 영화표를 샀다면 30%인 3천원을 공제받을 수 있음) 또한 대중교통 공제율도 40%에서 80%로 상승했다. 3. 식대 비과세 한도 확대 식대로 나간 금액은 과세대상이 아니라 나중에 환급 받을 수 있다! 이전에는 월 10만원 이하까지

시가총액이란? 코인 시가총액 순위 알아보기 [내부링크]

오늘은 시가총액과 순위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음. 암호화폐 시장에서 시가총액은 주식시장에서 처럼 자금의 유입과 유출을 판단할 수 있는 중요한 지표이다. 이는 코인 투자 규모와 시장 상태를 평가하는데 사용되기도 하고.. 다른 코인들의 경쟁력을 비교하기 위해서도 활용되어짐. 암호화폐 시장에서의 시가총액과 주식시장 시가총액은 조금 다르다. 발행된 코인이 아닌 시장에 공급되는 코인이 기준! 주식시장 시가총액 = 발행 주식 수 X 주가 코인시장 시가총액 = 시장 내 유통 공급량 X 코인 가격 *유통공급량 : 시중에 유통되고 상장되어 거래되는 코인의 양 (주식시장에서 즉시 구할 수 있는 주식수와 유사함) 예를 들어서 현재 비트코인의 유통량은 19,613,225개, 가격은 43,312.27 이므로 비트코인 시가총액은 19,613,225 X 43,312.27이다. 따라서 시총이 높은 코인= 자금 유입이 많고 대중적인 코인 시총이 낮은 코인 = 자금 유입이 적은 신생코인 또는 사람들의 관심이 없는

이더리움,솔라나,BNB 알아보기 [내부링크]

오늘 알아볼 것은 알트코인! 알트코인이란 쉽게 말하자면 비트코인을 제외한 다른 모든 암호화폐들을 말한다. 이더리움, 이더리움클래식, 리플, 등과 같은 코인들을 전부 알트코인이라고 함. 그 중에서도 오늘은 이더리움, 솔라나 BNB에 대해서 살펴보겠음! 이더리움 이더리움은 2014년 비탈릭 부테린이 개발한 가상화폐이다. (World Technology Awards IT소프트웨어 부문에서 마크 저커버그를 제치고 최종 수상자로 선정된 인물) 이더리움은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스마트 계약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분산 컴퓨터 플랫폼이자 플랫폼의 자체 통화명임. 비트코인 다음으로 시가총액이 가장 높은 알트코인이며 ETH 로 단위가 표시된다. 비트코인만큼 대표적인 암호화폐로 알려져 있지만 이더리움의 가장 큰 차이는 적용 범위에 있다. 스마트폰 하나로 다양한 앱을 사용하는 것처럼, 이더리움의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도 다양한 앱을 실행할 수 있다. 비트코인은 주로 결제 및 거래 시스템, 즉 화폐 기능에

비트코인 도미넌스 알아보기 [내부링크]

오늘은 비트코인 도미넌스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음. 도미넌스? 먼저 도미넌스(dominance)란 영어로 지배, 군림 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비트코인의 지배, 즉 전체 암호화폐 시장에서 비트코인이 차지하고 있는 비율을 의미!! 만약 비트코인 도미넌스 비율이 50%라면 나머지 알트코인이 50%를 차지하는 것이라고 보면 됨. 주식시장에서 코스피, 코스닥 지수가 존재하는 것처럼 비트코인 도미넌스 차트를 보면 가상화폐 시장의 전체적인 흐름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된다. 상승 비트코인 도미넌스의 상승은 비트코인에 대한 투자 비중이 늘어났음을 나타내며, 이는 알트코인이 하락할 수 있다는 신호일 수 있다. 또는 전체 코인 가격이 엄청나게 상승할 수 도 있다. 그러나 전체 시장이 상승해도 비트코인 도미넌스가 높아지지 않거나 너무 낮은 경우가 있을 수 있는데 이럴때는 알트코인과 관련된 뉴스를 살펴보는 것이 중요하다. 새로운 알트코인 발행이나 알트 관련 호재가 있을 수 있음. 상승장이 시작되면 자금

블록체인 쉽게 이해하기 [내부링크]

오늘은 블록체인에 대해서 간단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음. 암호화폐는 블록체인이라는 시스템에서 오고가는 데이터이다. 기존의 거래 방식은 중앙 집중형 서버(은행)에서 모든 장부를 관리한다. 은행 사이트를 이용하려면 은행 사이트를 관리하고 운영하는 서버가 있고 우리는 그곳에 접속하여 이용해야 한다. 그러나 블록체인은 다르다. 장부를 중앙 서버에서 관리하는 것이 아니라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사용자가 나누어 가진다. 수 많은 컴퓨터가 모여서 서로 다 같이 일하고 다 같이 검증하는 네트워크 그렇다면 중앙 서버 없이 어떻게 블록체인 시스템이 유지가 될까? 바로 수 많은 컴퓨터들이 서로 일을 잘 하는지 확인하면서 다 같이 네트워크를 돌리는 것이다 ! 수 많은 컴퓨터들이 일을 잘하는지, 틀린 것은 없는지 확인하면서 서로 검증하고 견제할 수 있는 시스템이라고 볼 수 있다. 블록체인이 왜 좋을까? 옛날에는 대부분의 나라가 독재정치였다. 하지만 지금은 여러 나라들이 민주주의 체제를 가지고 있음. 독재정치의 단

[코인테마] 레이어1, 레이어2 코인 종류 장단점 정리 [내부링크]

오늘은 코인 섹터 중 레이어1, 레이어2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듬. 코인을 하다보면 이 코인이 어떤 코인인지, 어디에 쓰이는지 잘 모를 때가 있다. 주식에서도 에너지, 원자재, 의료 등등 섹터가 나뉘듯 코인에서도 마찬가지다. 내가 산 코인이 무엇인지도 모르고 사면 안되니 이 코인이 어떤 코인인지 잘 알고 있어야 한다. 여러 코인 테마 중 오늘 알아볼 코인 섹터는 레이어1, 레이어2! 간단하게 알아보도록 하겠땅 레이어는 말 그대로 층을 의미한다. 견고하고 높은 층을 쌓아올리려면 튼튼하고 안전하게 쌓아 올려야 한다. 블록체인 기술에서도 마찬가지다. 레이어 1 출처: 업비트투자자보호센터 레이어1은 블록체인 네트워크와 애플리케이션의 기본이 되는 기본 블록체인이다. 다른 네트워크의 영향을 받지 않는 독립적인 네트워크이며 각 네트워크에서 트랜잭션을 생성하고 처리한다. 레이어1 섹터에는 대부분의 플랫폼 코인이 있다. 메인넷을 보유하고 플랫폼의 거버넌스로 활용되는 코인이 대부분 레이어1에 해당

김프? 김치프리미엄 알아보기 (뜻/ 보는 방법 /김프매매 / 사이트 추천) [내부링크]

코인 커뮤니티 글이나 기사만 봐도 김프가 얼마나 꼈네~ 김프 몇퍼다~ 이런 얘기를 많이 볼 수 있다. 김프는 코인 투자를 한다면 꼭 알아야 하는 용어 중 하나라서 오늘은 김프에 대해 간단히 설명해보겠당. 김프(김치 프리미엄) 의미 먼저 김프는 김치 프리미엄의 준말이다. 한국을 상징하는 '김치'와 정가보다 높은 가격을 의미하는 '프리미엄'을 결합한 용어이다. 코인 시세가 외국과 비교했을때 국내 거래소에서 비싸게 거래되는 경우에 김프가 꼈다고 표현한다. 예를 들어서 해외거래소에서 비트코인 가격이 7000만원, 한국 거래소에서는 7350만원에 거래되고 있다면 김프가 5% 꼈다고 볼 수 있다. * 외국에 비해서 한국 거래소의 시세가 낮게 형성되는 경우에는 역프리미엄 이라고 함 김프가 생기는 이유 그렇다면 김프가 왜 생길까? 공급 대비 수요 증가 (국내 채굴업자 부족) 국내에서 공급 대비 수요가 늘어나면서 가격이 올라가는 현상이다. 채굴자는 없으니 공급이 부족한 반면 투자자는 많아서 그렇다.

[코인테마] 플랫폼 코인 알아보기 의미 종류 [내부링크]

오늘 알아볼 테마는 플랫폼 코인! 플랫폼이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기차나 지하철 승강장을 떠올린다. 하지만 IT 분야에서는 어플리케이션을 작동시킬때 기반이 되는 OS(Operating System)의 종류나 환경, 설정을 말한다. (마이크로소프트의 Windows나 애플의 Mac OS 등) 요즘에는 유튜브와 같은 동영상 플랫폼, 티빙, 넷플릭스 같은 OTT 플랫폼, 구글 네이버와 같은 검색 플랫폼 등 다방면으로 사용되고 있당. 그렇다면 코인에서의 플랫폼은 무엇일까? 플랫폼 코인 가상화폐는 크게 플랫폼 코인과 유틸리티 토큰으로 나뉜다. 플랫폼 코인은 구글 안드로이드나 애플 iOS 같은 운영체제(OS)역할을 하고, 유틸리티 토큰은 그 위에서 구동하는 애플리케이션이라고 보면 된다. 플랫폼 코인이란 다양한 서비스와 토큰에서 사용하는 공통된 기능을 모아서 제공하는 플랫폼에 사용되는 암호화폐이다. 즉, 거래와 관련된 정보뿐만 아니라 블록체인을 스마트계약 또는 분산 응용 어플리케이션(디앱)을 개발할

커플링코인 알아보기 / 디커플링 / 종류 [내부링크]

오늘 알아볼 것은 바로 코인별 커플링!! 코인 시장에서 커플링이란 두개 혹은 그 이상이 같은 방향으로 가격이 형성 되는 것을 말한다. 어떤 코인들이 커플링으로 움직이는지 알 알고 있으면 매매할 때 도움이 되겠징 원리 코인 커플링의 심리적인 원리는 쉽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만약 A코인이 전날 급등했다고 생각해보자. 그렇다면 사람들은 A코인과 비슷한 B코인도 같이 상승하지 않을까? 재료가 비슷한데 B도 같이 오르지 않을까? 하며 B코인을 매수하고 B코인도 함께 상승하는 것이다. 이와 반대되는 개념으로는 디커플링이 있다. A코인이 오르면 B코인은 다른 방향으로 가격이 형성되는 것이다. 그렇다면 어떤 코인들이 같이 움직일까? 1. 같은 재료 2. 같은 테마 3. 비슷한 가격대 4. 비슷한 이름 (생각보다 단순한 이유로 같이 움직임..ㅎ) 종류 아래는 대표적으로 많이 알려진 커플링 코인들이다. 알파쿼크/코박토큰/톤 네오/가스/온톨로지/온톨로지가스 쎄타퓨엘/쎄타토큰 솔라나/세럼/스테픈/앱토

비트코인 ETF 상장 승인! 앞으로의 영향은? [내부링크]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비트코인 ETF를 승인했습니다. 이에따라 11일부터 블랙록 프랭클린, 피델리티, 위즈덤트리, 반에크, 인베스코, BZX, 발키리, 블랙록, 해시덱스, 그레이스케일, 비트와이즈 등이 신청한 11개 펀드가 거래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비트코인 ETF 현재 비트코인 시세는 6500만원까지 올라갔습니다. 비트코인 ETF가 승인된다는 것은 개인과 기업이 모두 살 수 있는 시스템이 만들어지는 것인데요. 금융기관들이 예상하는 유입 자금 규모만 130조원이 넘습니다. 반감기, 대선, 부채한도 협상 등 주요 이벤트가 2024년 이후 이어지면서 가격이 우상향 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영국 대형은행 스탠다드차타드(SC)는 최근 보고서에서 2025년까지 비트코인 가격이 20만달러(2억 6210원)로 급등할 것이라는 전망을 보이기도 했습니다. 현물 ETF 상장 영향 지금까지는 가상화폐에 투자하려면 절차가 꽤 복잡했습니다. 별도에 코인거래소를 통해서 계좌를 열고 별도의 코인 거래소

비트코인이란?뜻 블록체인 채굴보상 [내부링크]

오늘은 비트코인에 대해서 살펴보려고 한다. 요즘 코인에 대한 기사와 관련 영상이 많이 뜨는데 기초부터 차근차근 알아보자. 코인 세계 ! 무엇? 비트코인 창시자는 "나카모토 사토시"라는 사람이다. 이름때문에 일본인으로 추측하고 있지만 그의 성별, 나이, 이름 등 무엇이 진실인지는 아무것도 밝혀진게 없다고 한다. (사람이 아닌게 아닐까???) 2008년 10월 31일, 9장 분량의 논문이 올라왔다. '비트코인: 일대일 전자 화폐시스템(Bitcoin: A Peer-to-Peer Electronic Cash) 완벽한 전자화폐 시스템은 온라인을 통해 일대일로 직접 전달할 수 있다. 이 이과정에서 금융기관은 필요하지 않다. 중앙집권화된 금융시스템에 위험성을 느끼고 중앙기관 없이 개인 간 거래가 가능한 블록체인을 고안한 것으로 추측되어진다. 블록체인과 비트코인 채굴 비트코인 기사를 읽어보면 블록체인.. 채굴.. 이런 말이 많이 나온다.. 그렇다면 블록체인은 무엇일까? 누구나 열람할 수 있는 장부

비트코인 반감기: 디지털 화폐의 핵심 이벤트 [내부링크]

요즘 코인 관련 기사를 보면 마지막 반감기다..! 반감기에 대비해야 한다 ! 는 얘기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마지막 반감기! 불장!! 이러면서 지금 뭔가 하지 않으면 안될 것 처럼 불안감 조성하는 글+영상들이 엄청 많은데.. 도대체 반감기가 뭐냐?? 반감기는 무슨 의미? 일단 반감기의 정확한 의미를 찾아보니 방사능과 관련된 용어로 방사성 물질에서 전체 원자들의 절반이 붕괴되는 데에 걸리는 시간 이라고 한다.. 이를 다른 분야에서 사용할 시 어떤 양의 초기값이 절반이 되는데 걸리는 시간이라는 의미로 사용된다는데... 그러면 코인이 뭐 절반으로 떨어진다는 소린가? 더 알아보자 비트코인의 반감기 비트코인 채굴의 보상이 절반으로 줄어드는 시기 그렇다면 반감기는 왜 만들어졌나? 1) 희소성 유지 비트코인은 총 발행량이 21,000,000개로 제한되어 있다. 채굴 보상을 절반으로 줄이면서 새로운 코인의 발행 속도를 감소시켜 희소성을 촉진한다! 이로써 빝코인은 더 높은 가치를 유지하게 됨! 2

미래에는 현금이 사라진다! CBDC 뜻 장단점 도입현황 전망 영향력 [내부링크]

오늘 알아볼 기초 용어는 CBDC ! 요즘 금융 분야에서 많이 얘기되는 CBDC라는 용어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음 ! CBDC란 중앙은행 디지털 통화라는 뜻이다. 간단하게 말해서 우리가 사용하는 현금을 디지털 형태로 만들어서 중앙은행에서 발행하는 것 !! 이렇게 되면 현금과 같은 가치를 가지면서도 온라인 상에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CBDC 의 기본 개념 이해하기 · CBDC란? Central Bank Digital Currency의 약자로 중앙은행에서 발행하는 디지털 화폐이다. CBDC는 현금과 유사한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더욱 편리하고 안전한 결제 수단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우리가 알고 있는 비트나 알트코인은 일종의 투자수단이지만 CBDC는 투자 목적이 아닌 실용화된 화폐의 기능을 한다는 것이 특징 !! 기존 화폐는 동전이나 지폐 형태로 물리적 보관이 가능하지만 CBDC 는 전자기록이나 디지털 토큰으로 표시된다는 차이점이 있다! 장단점을 살펴보자~~ 먼저 장점에

CBDC와 비트코인의 관계: CBDC 발행 이후 비트코인 전망 [내부링크]

CBDC에 대해서 알아보다가 CBDC가 나오면 비트코인은 어떻게 되는지 궁금했다.. 두 개념 모두 디지털 화폐인데 똑같은거 아니야? CBDC가 나오면 비트코인은 어떻게 되는거야? 공존할 수 있을까??? 이 궁금증을 오늘 풀어보겠슴다! 어제에 이어서 오늘은 비트코인과 CBDC의 관계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음!! CBDC와 비트코인 먼저 CBDC와 비트코인의 기능을 살펴보자. 두 개념 모두 결제를 위해 돈을 주고 받고 가치를 저장하고 어떤 상품이나 자산의 가치를 가늠할 수 있는 기능이 있다. CBDC는 국가의 공식적인 통화이기 때문에 안정적인 가치를 가지고 있다. 반면 비트코인의 가치는 시장의 수요와 공급에 의해서 결정되며 변동성이 있을 수 있움 CBDC와 비트코인의 차이점을 살펴보자. CBDC 비트코인 발행주체 중앙은행 없음 발행량 지속 발행 가능 2100만개로 고정 비트코인은 누구든 블록체인 거래 검증에 참여하면 보상으로 비트코인을 받을 수 있다. 반면 CBDC는 현금처럼 소비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