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jinc의 등록된 링크

 wejinc로 등록된 네이버 블로그 포스트 수는 14건입니다.

탄소배출권 거래제 개편 탄소배출권 가격 오르나?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AI 에너지 빅데이터 기반 에너지&탄소중립 솔루션 ZURiGo의 위제이입니다. 최근들어 급격하게 하락하고 있는 탄소배출권 가격으로 인하여 이번에 탄소배출권 거래제 제도가 개편될 예정입니다. 이번에 공청회가 열렸는데, 공청회 내용을 기반으로 어떻게 변경될지 향후 탄소배출권 가격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탄소배출권 거래제란? 탄소배출권 거래제란 온실가스 감축제제로서, 정부가 온실가스를 배출하는 사업장을 대상으로 연단위 배출권을 할당하여 할당범위 내에서 배출행위를 할 수 있도록 하고, 할당된 사업장의 실질적 온실가스 배출량을 평가하여 여분 또는 부족분의 배출권에 대해서 사업장 간 거래를 허용하는 제도입니다. 우리나라의 탄소배출권 거래제도는 2015년 1월 1일부터 시행중에 있습니다. [탄소배출권 거래제 출처 : KRX] 온실가스 감축여력이 높은 사업장은 보다 많이 감축하여 정부가 할당한 배출권 중 초과감축량을 시장에 판매할 수 있고, 감축 여력이 낮은 사업장

23년 2사분기 전기요금 인상 분석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AI 에너지 빅데이터 기반 에너지&탄소중립 솔루션 ZURiGo의 위제이입니다. 오늘은 23년 2사분기 한전 전기요금 인상에 대해서 분석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전기요금 인상 분석 23년 1사분기 한전 전기요금 인상 이후에 2사분기에도 다시 한 번 전기요금이 인상되었습니다. 22년 4분사분기와 23년 1사분기에 산업용 전기요금이 총 23.3원/kWh ~ 28원/kWh가 인상되었고, 추가로 8원/kWh이 인상이 되었습니다. 추가로 23년 1사분기에 기후환경요금도 7.3원/kWh에서 9원/kWh로 상승하였습니다 23년 2사분기에 최종적으로 인상된 금액은 kWh당 8원입니다. [전기요금 인상 출처 : 한전 사이버지점] 전기요금 인상에 따른 연간 인상액 이번에 기업에서 주로 쓰는 산업용 전기요금제 인상폭과 실제 연간 인상액이 얼마나 되는지 분석해보겠습니다. [최근 전기요금 인상 한전의 전기요금을 분석하면 크게 6가지 항목으로 구성이 되어있습니다. 1) 기본요금 : 계약전력 및 피크치

배출권거래제 할당대상업체 탄소중립설비 지원사업 4차 공고 리뷰(대기업도 지원)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AI 에너지 빅데이터 기반 에너지&탄소중립 솔루션 ZURiGo의 위제이입니다. 최근에 기업들이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서 가장 많이 검토하시는 설비가 자가발전 태양광 설비입니다. 자가발전 태양광 설비는 발전사업과 다르게 다양한 정부의 보조금 지원사업 이 존재합니다. 가장 대표적인 보조금 지원사업으로는 ① 산업통상자원부 사업으로 한국에너지공단에서 진행하는 건물지원사업 ② 환경부 사업으로 한국환경공단에서 진행하는 배출권거래제 할당대상업체 탄소중립설비 지원사업이 있습니다. 이번에는 5월에 진행했던 배출권거래제 할당대상업체 탄소중립설비 지원사업 4차 공고를 리뷰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배출권거래제 할당대상업체 탄소중립설비 지원사업 4차 공고 # 지원분야 온실가스 감축설비 지원사업, 할당대상업체 상생프로그램, 저탄소 청정연료 전환사업이 있습니다. 그중에서 가장 많이 진행되고 있는 사업이 배출권거래제 할당대상업체 온실가스 감축설비 지원입니다. 사 업 명 사 업 내 용 ① 온실가스 감축설비

배출권거래제 할당대상업체 탄소중립설비 지원사업 대기업 수익성 분석(30% 보조금)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AI 에너지 빅데이터 기반 에너지&탄소중립 솔루션 ZURiGo의 위제이입니다. 오늘은 대기업 및 중견기업이 배출권거래제 탄소중립설비 지원사업 지원금을 받아서 태양광 발전설비를 설치하는 경우 전기요금 절감효과, 온실가스 감축 효과 및 투자비 회수 기간 등 수익성 분석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배출권거래제 탄소중립설비 지원사업 조건 지원조건을 보면 대기업은 30%를 지원해줍니다. 대기업이 배출권거래제 탄소중립설비 지원사업을 통해 1MW급의 자가소비형 태양광을 설치 시 전기요금 절감액, 온실가스 감축량 및 투자비 회수기간을 분석해보도록 하겠습니다. 투자비는 1MW에 13억이라고 계산하겠습니다. # 발전량 분석 1,000kW 설치시 예상 발전시간은 3.8시간으로 가정을 해봅시다. 요즘 양면형 모듈과 스트링 인버터를 많이 사용하니 발전은 많이 되는 것 같습니다. 1,000kW * 3.8시간 * 365일 = 1,387,000kWh입니다. 생산된 전기는 잉여전기가 0.3% 정도 발생한다

배출권거래제 할당대상업체 탄소중립설비 지원사업 사업계획서 작성 노하우(70% 보조금)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AI 에너지 빅데이터 기반 에너지&탄소중립 솔루션 ZURiGo의 위제이입니다. 배출권거래제 할당대상업체 탄소중립설비 지원사업에 대해서 계속해서 리뷰를 하고 있습니다. 아무래도 배출권거래제 지원사업은 기업으로부터 인기가 많은 정부지원사업이기 때문에 지원사업에 대한 여러가지 문의가 많이 들어오고 있습니다. 특히 가장 기업이 지원하시는데 힘들어하시는 부분이 각종 신청서류 작성과 사업계획서 작성부분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사업계획서나 신청서류를 작성하는 방법에 대해서 리뷰를 하도록 하겠습니다. 배출권거래제 탄소중립설비 지원사업 사업계획서 작성 우선 관련서류를 다운로드 받아서 압축을 풀어보면 아래와 같은 많은 첨부서류들이 나옵니다. 첨부서류가 아주 많지만 저희는 감축설비 지원사업이기 때문에 첨부3, 첨부4, 첨부5, 첨부9를 작성하면 됩니다. 첨부파일별로 뭐가 있는지 하나씩 열어보면 됩니다. [탄소배출권거래제 탄소중립설비 지원사업 사업계획서 양식 출처 : 환경공단] # 첨부3 파일

2023년 상반기 태양광발전 고정가격계약 경쟁입찰 결과 분석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AI 에너지 빅데이터 기반 에너지&탄소중립 솔루션 ZURiGo의 위제이입니다. 5월 26일에 2023년 상반기 태양광발전 고정가격계약 경쟁입찰 선정 결과가 발표되었습니다. 많은 분들이 예상한것처럼 요즘 높은 SMP와 REC로 인해 고정가격계약에 대한 수요가 적어서 지원이 많이 미달되었네요. 오늘은 상반기 태양광 고정가격계약 공고와 결과를 리뷰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태양광발전 고정가격계약 경쟁입찰 # 공고용량 공고용량은 설비용량 기준 총 1,000MW 이내입니다. 지원이 미달이 될 것으로 예상이 되어 공고 용량보다 지원용량이 적으면 경쟁률을 강제로 1.1:1로 해서 100% 선정은 되지 않게 제도가 수정이 되었습니다. # 입찰용량 최종 지원 용량은 총 298.214MW 1,064개소입니다. 공고용량 대비 30%도 안되는 용량입니다. 당연히 공고용량에 비해 미달이 되었기 때문에 경쟁률은 1.1:1이 되었습니다. 구분 발전소(개소) 용량(kW) 기존시장 21 6,586 신규

전기요금 인상 4사분기 또 인상되나?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AI 에너지 빅데이터 기반 에너지&탄소중립 솔루션 ZURiGo의 위제이입니다. 한전의 누적되는 적자로 인해서 최근에 전기요금 인상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가장 최근을 거슬러보면 23년 2사분기에도 kWh당 8원의 전기요금 인상이 되어 블로그 리뷰를 한 적이 있습니다. 23년 3사분기에는 원래 전기요금 단가가 높은 하계철이라서 추가적인 인상은 안했습니다만, 현재 한전의 누적되는 적자로 인해서 4사분기에 전기요금 인상은 피하기 어렵지 않을까 싶습니다. 한전의 현황 최근에 한전 적자에 대한 기사가 워낙 많이 나서 오늘 하루동안 나온 기사를 한번 보겠습니다. 저는 구글알리미를 통해서 제가 원하는 키워드를 입력해서 매일 한번씩 관련 기사를 아침마다 보는데, 한전 관련 키워드 관련해서 오늘 나온 기사 모음입니다. 이건 거의 조만간 파산할 기업의 기사라고 보일 정도로 심각한 상황인것 같습니다. 어찌되었든 한국의 전기요금은 여전히 낮은편이고, 전력 시스템도 아주 우수한데 그 중심에 있던

24년 태양광발전 정부지원 보조금 예산 대폭 축소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AI 에너지 빅데이터 기반 에너지&탄소중립 솔루션 ZURiGo의 위제이입니다. 최근에 태양광 등 전력기금 부정 사용 5,824억 적발 및 한국형 FIT 종료 등 계속해서 태양광발전 사업에 대한 안좋은 시그널이 많이 나와서 리뷰도 했었고, 계속해서 걱정을 했었는데 본격적으로 내년도 태양광발전 사업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예산안에 큰 폭으로 반영이 되었습니다. 재생에너지 지원금에 대한 전체적인 지원 축소가 이미 예상되었지만 어찌되었든 태양광발전 설비의 보급이 점차 어려워지고 있는 것은 사실인 것 같습니다. 우선 기획재정부가 국회에 제출한 2024년 산자부 예산안에 따르면 전력산업기반기금의 '재생에너지 지원' 예산은 6,054억원으로 올해 1조 490억원 대비 42.3%가 급감했다고 합니다. 특히 신재생에너지 보급 지원사업 예산은 올해 2,470억원에서 1,595억원으로 35.4%가 줄었다고 합니다. 신재생에너지 발전 차액 지원은 65%, 신재생에너지 금융 지원 부문은 28

농사용 전기요금 인상액 분석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AI 에너지 빅데이터 기반 에너지&탄소중립 솔루션 ZURiGo의 위제이입니다. 23년 1사분기 한전 전기요금 인상 이후에 2사분기에도 다시 한 번 전기요금이 인상되었습니다. 5월에 인상된 금액은 kWh당 8원입니다. 농사용 전기요금 인상액 전기요금 인상으로 인해 기업에 쓰는 전기, 주택에서 쓰는 전기 모두 올랐지만 농사용 전기도 많이 인상되었습니다. 하기표를 보시다시피 농사용 전기는 다른 전기요금에 비해 상당히 낮은 편입니다. 당연히 농업의 증진을 위해서 농사용 전력이 일반 전력에 비해 낮은 것은 당연하지만, 최근에 이슈가 되고 있는 점은 전기요금인상이 정률(비율%)대로 올라가는것이 아니라 kW당 인상(정액제)이 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200원 단가가 10원 오르는 것과, 100원 단가가 10원 오르는 것은 느끼는 체감이 완전 다를수 밖에 없습니다. 일반용전력(갑) 선택I 농사용전력(을) 고압 A 기본요금 7,170 1,210 사용량요금 여름철 봄가을철 겨울철

축사 농사용 전기요금 절감을 위한 태양광 건물지원사업 정부보조금 사업 소개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AI 에너지 빅데이터 기반 에너지&탄소중립 솔루션 ZURiGo의 위제이입니다. 오늘은 농사용 전기요금 인상액 분석에 이어 실제로 축사가 농사용 전기요금을 절감할 수 있는 태양광 건물지원사업 정부보조금 사업을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축사 태양광 사업 종류 축사의 농사용 전기요금 절감을 위해서 크게 2가지 태양광 사업을 많이 검토하십니다. ① 기존에는 축사지붕에 태양광 발전설비를 설치해서 한전에 전기를 팔아서 수익을 올리는 태양광 발전사업을 많이 진행하셨습니다. 축사이기 때문에 REC도 1.5배 받고 요즘 SMP, REC 가격이 고공행진을 하고 있기 때문에 여전히 많이 진행되고 있는 사업입니다. ② 다음으로 축사지붕에 태양광 발전설비를 설치해서 생산된 전기를 직접 사용해서 농사용 전기요금을 절감하는 자가발전 태양광 설치사업이 있습니다. 기존에는 농사용 전기가 워낙 낮다보니까 정부보조금이 많이 나와도 전기요금 절감을 통한 투자비 회수기간이 오래걸리다 보니 아무래도 많이 진행이

농사용 전기요금 절감을 위한 태양광설치보조금 수익성 분석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AI 에너지 빅데이터 기반 에너지&탄소중립 솔루션 ZURiGo의 위제이입니다. 오늘은 농사용 전기요금 인상액 분석, 축사 태양광 건물지원사업에 이어 실제로 축사에 태양광설비보조금 지원이 나오는 태양광 건물지원사업으로 태양광 발전설비를 설치했을때 절감액 밎 투자비 회수기간을 분석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농사용 전기요금 절감을 위해 태양광설비보조금을 받아서 설치하는 경우 지원조건을 보면 축사는 일반모듈로 설치하는 경우 kW당 1,120,000원(부가세 포함)을 지원해주고 있습니다. 부가세 별도로 감안하면 1,018,000원입니다. 축사는 태양광 발전설비를 200kW까지 설치할 경우 특정시간대에 전력이 남을 가능성도 높기 때문에, 적정용량인 100kW만을 설치하기로 합니다. 투자비는 100kW에 1.25억이라고 계산하겠습니다. # 발전량 분석 100kW 설치시 예상 발전시간은 3.8시간으로 가정을 해봅시다. 요즘 양면형 모듈과 스트링 인버터를 많이 사용하니 발전은 많이 되는 것

제3자PPA 전력거래계약 고시 개정안 리뷰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AI 에너지 빅데이터 기반 에너지&탄소중립 솔루션 ZURiGo의 위제이입니다. RE100 이행수단 중 제3자PPA의 고시 개정안 공청회가 있었습니다. 큰 변경안이 있던것은 아니고 제도의 원할함을 위해 일부 수정이 되는 수준이였습니다. 이번 개정안을 간단히 리뷰해보겠습니다. 제3자PPA란? RE100 이행수단 중 하나입니다. 한전 중개로 전기소비자와 재생에너지 발전사업자 간 전력구매계약(PPA)을 체결하여 재생에너지전력을 구매하고, 전기소비자가 재생에너지 전력을 구매하고 발급받은 「재생에너지 사용 확인서」로 RE100 및 온실가스 감축 이행에 활용하는 방법입니다. [제3자PPA 출처 : 신재생에너지센터] 실제로 RE100 이행수단 중 많이 활성화되고 있지는 못합니다. 우선 기본적으로 현재 SMP+REC 현물시장 단가가 워낙 높기도 하기 때문에 기업에게 재생에너지를 공급할 재생에너지발전사업자로부터 구하기가 어렵습니다. 추가로 기업입장에서는 전력구매금액 외에 망이용요금, 전력

RE100 이행수단 녹색프리미엄 하반기 입찰 공고 리뷰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AI 에너지 빅데이터 기반 에너지&탄소중립 솔루션 ZURiGo의 위제이입니다. RE100 이행수단 중 가장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RE100 녹색프리미엄의 2023년 2차 입찰공고가 나왔습니다. 온라인 설명회까지 있었는데 오늘은 RE100 이행수단중 녹색프리미엄 입찰에 대한 리뷰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RE100 녹색프리미엄이란? RE100 이행수단중 녹색프리미엄은 재생에너지 전기를 소비하고 이를 인증 받기를 희망하는 전기사용자가 자발적으로 납부금액을 약정하고 기존전기요금에 별도 프리미엄을 추가하여 구매하는 순수 기부 프리미엄입니다. 소비자가 사용하고 납부하는 전기요금과는 별도로 소비자가 납부하기를 희망하는 녹색프리미엄 가격과 물량을 입찰을 통해 결정됩니다. 소비자가 납부한 프리미엄으로 조성된 재원은 한국에너지공단에서 재생에너지 재투자에 활용됩니다. 현재로서 가장 손쉽게 RE100을 이행할 수 있는 수단이지만 온실가스 감축에 활용은 되지 않습니다. 가장 큰 한계죠.. [

2ab7fa5695854c5282d94e383dbfeffc [내부링크]

2ab7fa5695854c5282d94e383dbfeff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