zadara의 등록된 링크

 zadara로 등록된 네이버 블로그 포스트 수는 55건입니다.

[Service] IT 지출을 줄이기 위해 서비스형 스토리지를 사용하는 방법 [내부링크]

서비스 프로바이더와 IT 관리자들은 정기적으로 자다라(Zadara)에 IT 비용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을 묻습니다. IT 지출을 줄이고 운영 민첩성을 향상하고자 하는 기업들을 위해 더 적은 비용으로 더 많은 작업을 수행해야 하며 효율적인 스토리지 관리가 매우 중요합니다. 기존 스토리지 인프라는 초기 자본 비용이 많이 들고, 자금 조달이 유연하지 못하며, 지속적으로 서포트 라이센스 수수료가 들기 때문에 스토리지 인프라를 유지하는 총자산비용에 대한 부담이 상당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자다라는 2011년부터 서비스형 스토리지(Storage as a Service, STaaS)의 선구자로서 고객이 자산 관리를 최적화하고, 예산 책정을 간소화하며, 클라우드와 같은 이점을 활용할 수 있도록 방법을 제공해 왔습니다. STaaS는 지속적으로 인기를 있는데, 그 이점이 처음처럼 현재도 여전히 존재하기 때문에 납득할 만한 현상입니다. 가트너(Gartner)는 2023년 엔터프라이즈 자본 지출의 10%

[+α] 클라우드 네이티브는 무엇일까요? [내부링크]

클라우드 네이티브는 무엇일까요? 최근 몇 년간, 사회 전반에서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이 빠르게 이루어졌습니다. 그 중심에는 클라우드가 있습니다. 많은 기업과 공공기관이 레거시 환경에서 클라우드 환경으로 이동했습니다. 하지만 이렇게 가속화된 클라우드 전환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레거시 환경에 기반한 애플리케이션이 사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경우에는, 클라우드 컴퓨팅을 충분히 활용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그래서 클라우드 네이티브가 주목받고 있습니다. 클라우드 네이티브란 클라우드 환경에 맞게 애플리케이션을 구축 및 실행, 관리하여 클라우드의 확장성, 유연성, 복원성 등의 이점을 최대한 활용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클라우드 네이티브의 구현 클라우드 네이티브를 구현할 때 사용되는 기술이나 방법론은 어떤 것이 있을까요? 관련해서 자주 언급되는 요소들에 대해서 간단히 설명해보겠습니다.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Microservice Arch

[Service] 성능 일관성 관점에서, Zadara의 스토리지는 다릅니다 [내부링크]

자다라는 멀티 테넌트 구조에서 싱글 테넌시를 경험할 수 있는 서비스형 스토리지(StaaS)에 대한 차별화된 접근 방식을 제공합니다. 많은 클라우드 프로바이더는 성능에 대해서 스토리지 IOPS(초당 입출력 작업 수)와 같은 특징으로 고객들을 설득할 수 있습니다. 그 IOPS 값으로 비용을 나눠서 매력적인 IOPS당 비용을 산출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클라우드 인프라를 통한 멀티 테넌시(Multi-tenancy)의 특성을 고려할 때, 이렇게 제시하는 수준의 성능을 클라우드의 프로바이더가 일관되게 제공하고 있다고 확신하시나요? 자다라(Zadara)가 고유한 StaaS(Storage-as-a-Service, 서비스형 스토리지) 솔루션을 처음 제공한 지 10년이 지났지만, 그 접근 방식은 여전히 경쟁 우위에 있습니다. 싱글 테넌시 경험을 제공하는 차별화된 멀티 테넌시 효율성은 이를 가능하게 하는 주요 요인 중 하나입니다. 10년이 흐르면서, 이 특별한 구조가 MSP와 기업에 어떠한 이점을

[+α] 디지털플랫폼정부에 대해 알아봅시다 [내부링크]

디지털플랫폼정부, 우리에게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디지털플랫폼정부’에 대해 들어보셨나요? 디지털플랫폼정부란, AI와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각 부처와 정부기관에 흩어져 있는 데이터를 하나의 플랫폼으로 일원화하여 국민이 공공서비스를 이용하는 데 편의를 높이고, 정부의 생산성을 제고하는 윤석열 정부의 주요 정책입니다. 기본 원칙 디지털플랫폼정부는 아래와 네 가지를 기본 원칙으로 하고 있습니다. 안전한 환경에서 국민이 원하는 방식으로 공공서비스를 제공하여 국민의 편의성을 보장한다는 국민중심, 부처 간 칸막이를 없애고, 행정 전반의 프로세스를 혁신한다는 하나의 정부, 공공데이터를 사람과 인공지능이 읽을 수 있는 방식으로 개방하고, 인공지능과 데이터를 바탕으로 정책결정을 과학화한다는 인공지능·데이터 기반, 민관이 함께 혁신하고 성장하여 국제 사회에 기여한다는 민관 협력입니다. 진행 현황 정부는 대통령 직속으로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를 설치 및 운영하여 디지털플랫폼정부 관련 정책 사항을 심의·조정

[자료] Zadara zStorage 브로슈어 [내부링크]

첨부파일 Zadara zStorage_brochure.pdf 파일 다운로드

[News] Yoram Novick: 자다라 CEO로 합류하게 된 이유 [내부링크]

지난 4월, 저는 자다라에 CEO로 합류했습니다. 자다라 고객, 파트너, 잠재 고객, 자다라 직원분들께 자다라에 대한 견해와 이 기회를 기쁘게 생각하는 이유에 대해서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자다라 설립자들과 알고 지낸 지는 25년 이상 되었습니다. 제가 IBM Haifa에서 스토리지 R&D를 관리하고 있을 때, 우리는 처음 만났습니다. 자다라의 Nelson Nahum, Eli Shapira, Robi Hartman은 IBM 미드레인지 제품용 스토리지 컨트롤러를 개발한 IIS에 있었습니다. 우리는 같은 분야에서 일하고 같은 도시에 살면서 교류했습니다. 2000년 즈음, Nelson, Eli, Robi와 저는 새로운 사업을 시작하기로 결정했습니다. 그들은 StoreAge를 설립했고, 저는 IBM의 3명의 훌륭한 엔지니어인 Danit, Erez, Yigal과 함께 Topio를 설립했습니다. 그 후, 저와 Nelson은 각자 여러 기술 회사를 설립했고, 비슷한 경험을 하고, 같은 문제에 직면

[Service] Kasten by Veeam과 Zadara로 하이브리드 환경에서 클라우드 네이티브 복원력 확보하기 [내부링크]

기업은 빠르게 진화하는 글로벌 기술 시장의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클라우드 네이티브 방식으로 플랫폼을 전환하고 있습니다. 이는 개별 비즈니스 애플리케이션 요구사항에 맞춰 표준화되고 자동화된 접근 방식을 제공해야 하는 필요성 때문에 추진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다양한 클라우드 서비스가 실현되면서, 복잡성은 배포 및 관리 측면에서 본질적인 문제가 되었습니다. CI/CD(Continuous Improvement/Continuous Development) 모델에서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배포하면 많은 이점이 있지만, 새로운 리스크가 발생하고 기존 리스크도 부각됩니다. 꾸준히 증가하는 랜섬웨어 공격의 빈도 및 심각성, 내부자 또는 공급망 공격, 개발자 또는 코드 오류, 지진, 기후 변화 기반 사고와 같은 자연재해 또는 데이터 센터 다운타임에 이르기까지 나타날 수 있는 위협은 다양합니다. 컨테이너 기반 애플리케이션 구축은 지난 10여 년에 걸쳐 발전해 왔습니다. 도커 컨테이너(Docker Cont

[Insight] 클라우드 컴퓨팅이 약속하는 것은 무엇일까요? [내부링크]

그리고 그것은 항상 기대에 부응할까요? 호황과 불황이 반복되는 경제 사이클을 언제부터 인식했는지 확실하지 않습니다. 제가 아는 것은 역사에 대해 더 많이 살펴볼수록, 지리 정치적, 사회학적, 법적 환경 그리고 끊임없이 진화하는 기술 환경(예: 클라우드 컴퓨팅) 등 우리 일상의 여러 영역에서 유사한 반복 주기를 더 많이 발견한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주기들이 기하급수적인 속도로 빨라지는 것처럼 보인다는 사실이 분명해지고 있습니다. 이는 기술의 발전과 관련해서 가장 주목할 만하고, 우리가 이 기술을 소비하는 방식에 있어서 보다 지배적인 것이기도 합니다. 최근, 소비자와 기업이 사용한 만큼 지불하는 ‘서비스형(as a service)' 제공 메커니즘에서, 점점 더 많은 혁신이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예는 클라우드 컴퓨팅입니다. 이러한 빠른 변화 속도로 인해 공공기관, 기업, 브랜드는 시장 변화에 발맞추기 위해 적응하려고 하기 때문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적응하는 것

[News] 자다라, 2022 가트너 매직 쿼드런트 프라이머리 스토리지 부문 ‘비저너리’ 선정 [내부링크]

자다라는 이 보고서에 2년 연속 이름을 올렸습니다. 에지 클라우드 서비스의 선두 기업인 자다라(Zadara)는 2022 가트너(Gartner Inc.) 매직 쿼드런트 프라이머리 스토리지 부문에 2년 연속 등재되었다고 밝혔습니다. 자다라는 zStorage 오퍼링으로 비저너리에 선정되었습니다. 이 보고서는 "주요 스토리지 시장의 사용자는 소프트웨어 정의 인프라와 자산 소비 모델로 구축된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IT 운영 및 통합 데이터 서비스 전략을 수용하고 있다. I&O 리더들은 IT 및 데이터센터 운영을 혁신하기 위해 스토리지 벤더 플랫폼 이니셔티브와 협력할 것이다"라고 밝혔습니다. 자다라 zStorage는 모든 위치에서 모든 데이터 유형, 모든 프로토콜을 우수한 성능으로 지원합니다. zStorage는 가장 까다로운 워크로드와 복잡한 데이터 보호 요구사항을 지원하는,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으며 대규모로 확장 가능한 스토리지를 제공합니다. 자다라는 하이브리드와 멀티 클라우드 환경을 제공하

[Service] Veeam을 위한 100% OpEx 멀티 티어 백업 [내부링크]

비즈니스 크리티컬 데이터의 Veeam 3-2-1 백업 및 복구를 위한 유일한 유니파이드 100% OpEx 멀티 티어 스토리지 현대 하이브리드 IT 환경의 데이터 보호는 전통적인 백업 시스템이 처리하기 힘든 과제를 제시합니다. 이 때문에 Zadara와 Veeam은 협력하여 여러 기술 없이도 완벽한 3-2-1 백업 보호 기능을 가진 유일한 100% OpEx 유니파이드 멀티 티어 데이터 보호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기술 장애, 자연 재해, 유해 요인 등 언제나 존재하는 위협으로부터 데이터를 보호합니다. Zadara + Veeam은 데이터가 생성되거나 저장되는 위치에 상관없이 과도한 비용을 발생시키거나 복잡하지 않은 포괄적인 보호 기능을 제공합니다. Zadara + Veeam은 다음과 같은 백업 요구사항 또는 워크로드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Microsoft Office 365, Sharepoint, Exchange OneDrive 백업 NAS 백업 랜섬웨어 보호 VMware 백업 하이브리드

[Insight] Zadara 2023 기술 전망 [내부링크]

2023년에는 또 다른 경제 불확실성에 직면하게 되더라도, 기술은 다시 크게 발전할 것이 확실합니다. 자다라는 곧 경제 변화가 나타나고 그 영향이 클 것으로 예상합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클라우드 및 스토리지 요구사항을 계속 충족하려는 기업들에 대해 낙관적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클라우드가 진화하면서 기술 프로바이더의 다각화는 필수가 되었고, 특히 이는 스토리지 분야에서 핵심적인 요소입니다. 순수한 스토리지 벤더의 시대는 끝났습니다. 내년에는 이러한 기업이 인수되거나 확장된 서비스 프로바이더로 비즈니스 형태를 전환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스토리지 관리는 숙련된 스토리지 담당자의 고용 및 유지와 함께 계속 문제가 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전환은 급속도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많은 기업들은 데이터 관리가 아닌 핵심 비즈니스에 집중하기 위해 서비스형 스토리지 모델을 채택하는 방안을 더 모색하고 있습니다. 대안 클라우드 스토리지 프로바이더는 벤더 락인(lock-in)을 방지하고 전송 수수료가

[Service] 서비스형 스토리지의 이점 그리고 Zadara가 유일한 진정한 목적 기반 솔루션인 이유 [내부링크]

스토리지 분야는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클라우드 컴퓨팅이 나타나면서 서비스형 스토리지의 인기는 점점 더 높아지고 있습니다. 인프라 솔루션을 아웃소싱하는 기업이 증가함에 따라 안정적이고 비용 효율적이며 확장 가능한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는 공급업체를 찾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해졌습니다. 자다라(Zadara)는 진정한 목적 기반 서비스형 스토리지 솔루션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다른 공급업체와 차별화됩니다. 처음부터 서비스형 스토리지를 위해 설계되어 다른 솔루션에 비해 차별화된 이점을 제공했습니다. GigaOm의 서비스형 스토리지에 관한 조사에서 자다라는 선도적인 공급업체로 선정되었으며, 7가지 기준 모두에서 "Exceptional"이라는 최고 등급을 받은 유일한 기업입니다. 이러한 평가는 다른 업체와 비교되는 자다라의 우수성을 강조합니다. 아래는 서비스형 스토리지 프로바이더로서 자다라의 차별화된 이점입니다. 비용 부담 감소: 자다라의 고객에게 요구되는 비용 부담은 다른 서비스형

[Service] Veeam Data Platform과 Zadara를 활용한 하이브리드 환경에서의 데이터 복원력 [내부링크]

기업은 데이터 복원력과 비즈니스 운영 측면에서 더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다양한 규모, 형태의 조직에서 랜섬웨어 공격의 빈도와 강도가 계속 증가하고, 지진과 같은 자연 재해, 기후 변화로 인한 영향, 극심한 열기로 인한 데이터 센터 가용성 문제 등 여러 위협 요소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이러한 위험들은 지난 몇 년간 세계 경제에 전례 없는 영향을 끼쳤습니다. 모든 기업은 BCP(Business Continuity Plan, 업무 연속성 계획)를 구축해야 합니다. BCP는 데이터 관리의 기밀성, 무결성, 가용성, 즉 CIA(Confidentiality, Integrity and Availability) 측면에서 정의된 보안 원칙을 활용하여 가치가 높은 데이터 자산을 포함해야 합니다. 85%의 기업은 지난해 최소 한 번 이상의 랜섬웨어 공격을 경험* 67%의 백업이 클라우드 서비스에서 이루어짐 28%의 기업이 1년에 1회 이상 복구 계획 업데이트** SaaS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Event] 자다라가 kt cloud summit 2023에 참여했습니다! [내부링크]

자다라(Zadara)는 지난 18일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에서 열린 'kt cloud summit 2023'에 참여했습니다. 이번 행사는 '디지털 비즈니스 혁신은 위한 AI Cloud, Cloud, IDC 산업'을 주제로 진행되어, 총 30개 세션과 15개 기업이 참여한 전시 부스를 통해 관련 시장 동향 및 최신 기술과 전략을 공유할 수 있었습니다. kt cloud summit 2023에서 자다라는 전시 부스를 운영하여, 글로벌 로케이션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Zadara Cloud Services를 소개하고 활용 방안에 대한 질의 시간을 가지는 한편, 추억의 뽑기 이벤트를 진행해 다양한 선물을 제공했습니다. 비즈니스 연속성을 위한 자다라 DRaaS/BaaS 전략 자다라 조순현 상무 자다라는 전시 부스에서뿐만 아니라 세션을 통해서도 참가자들을 만났습니다. 자다라의 조순현 상무가 '비즈니스 연속성을 위한 자다라 DRaaS/BaaS 전략'을 주제로 발표했습니다. 비즈니스 연속성

[Insight] DRaaS로 서비스 프로바이더가 고객에게 엔터프라이즈 재해 복구를 제공할 수 있는 방법 [내부링크]

예상치 못한 재해가 발생했을 때 고객에게 엔터프라이즈 재해 복구를 제공할 준비가 되어있나요? 재해가 발생할 경우, 기업의 규모와 관계없이 예상치 못한 상황에서 가장 중요한 기능이 중단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기업이 최대한 짧은 시간 안에 운영을 재개할 준비가 잘 되어 있지 않다면, 기업의 생존이 위협받고 있다는 사실을 갑자기 발견할 수도 있습니다. 통계가 보여주는 수치는 냉정합니다. 미국 중소기업청에 따르면 재해로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기업의 90% 이상이 2년 내에 파산할 것이라고 합니다. 실제로, 미 연방재난관리청(FEMA)에 의하면, 사고 이후에 해당 사업체의 40%가 폐업된다고 보고습니다. 그러나 많은 중소기업은 재해가 발생했을 때 제대로 대응할 준비가 되어 있지 않습니다. 효과적인 재해 복구(DR) 솔루션을 구현하는 데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게 가장 큰 이유입니다. 기존의 접근 방식은 기업의 메인 데이터 센터가 비활성화된 경우 인계받을 수 있는 지리적으로 분리된 이중화 구성

[Service] 클라우드 내 독립적인 가상 네트워크 공간 VPC [내부링크]

VPC(Virtual Private Cloud) 자다라 VPC는 Virtual Private Cloud의 약자로 자다라 클라우드 내에서 논리적으로 격리된 네트워크 공간을 뜻합니다. 가상의 네트워크에서 여러 클라우드 리소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VPC 자체 IP CIDR 범위를 지정하고, 그 범위 내에서 서브넷과 라이팅 테이블 및 게이트웨이를 구성하여 가상 네트워크 환경을 제어할 수 있습니다. VPC 구성요소 서브넷(Subnet) VPC 내부에서도 서비스의 목적에 따라 IP Block을 구분할 수 있습니다. 이 구분된 IP Block을 서브넷이라고 합니다. VPC와 서브넷 모두 IP Block을 CIDR 형태로 지정해야 합니다. 또한, 서브넷의 종류도 두 가지가 있습니다. 서브넷 네트워크 트래픽이 인터넷 게이트웨이로 라우팅 되면 퍼블릭(Public) 서브넷이라 하고, 인터넷 게이트웨이로 라우팅 되지 않아 인터넷 통신이 되지 않는 서브넷을 프라이빗(Private) 서브넷이라고 합니다.

[보도자료] 자다라, GS네오텍에 zStorage 오브젝트 스토리지 공급 [내부링크]

자다라(Zadara)는 GS네오텍에 zStorage 오브젝트 스토리지를 공급했다고 6일 밝혔다. 국내 1위 CDN(Content Delivery Network) 사업자인 GS네오텍은 CDN 오리진 스토리지로 이용하기 위해 자다라 zStorage 오브젝트 스토리지를 채택했다. GS네오텍은 CDN 서비스 수요 증가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도록 클라우드 기반의 스토리지로 전환하고자 했다. 자다라의 오브젝트 스토리지는 키-값 스토어 구조로 무한한 확장이 가능하며, 필요에 따라 컨트롤러 및 디스크 사양 유연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사용량에 따라 과금되는 요금 체계를 채택하고 네트워크 트래픽 및 리퀘스트 비용을 과금하지 않아 비용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오브젝트 스토리지다. GS네오텍에 제공된 자다라의 오브젝트 스토리지는 지리적으로 떨어진 두 데이터센터 간 액티브-액티브(Active-Active) 이중화 구성으로 구축됐다. 하드웨어 또는 데이터센터에 장애가 발생해도 이중화를 통해 운영에

[Service] 네트워크 트래픽을 분산시키는 zCompute 로드밸런서 [내부링크]

로드밸런서란? 서버나 장비의 부하를 분산하기 위해 사용하는 네트워크 기술을 말합니다. 네트워크 트래픽을 분배해주며 로드밸런싱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를 로드밸런서라고 합니다. IT 서비스의 규모가 커지면 물리 서버 한 대로 모든 서비스 트래픽을 감당하기 어려운 시점이 오게 됩니다. 또한, 서비스를 단일 서버에서 운영할 때 장애가 발생하면 처리될 때까지 서비스 연속성을 보장할 수 없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로드밸런서를 사용합니다. 동일한 서비스를 하는 다수의 서버나 VM을 한 로드밸런서에 등록하고 서비스 요청이 오면 등록된 다수의 서버로 요청을 분산시켜서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서비스할 수 있습니다. 로드밸런서에 웹 서비스를 위한 가상의 IP를 하나 제공하고 이 IP를 통해서 서비스 요청을 받게 됩니다. 로드밸런서 헬스 체크 방식 서비스 TCP 포트 사용 가장 기본적이고 많이 사용되는 헬스 체크 방식은 오픈되어있는 TCP 서비스 포트를 확인하는 방법입니다. 예를 들어,

[Insight] 다음 프로젝트를 위해 알아야 할 에지 컴퓨팅의 세 가지 이점 [내부링크]

클라우드가 등장하고 클라우드 채택이 많아지면서, 기업들은 다양한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상황을 경험하고 있습니다. 클라우드로 모든 데이터를 이동하는 것, 온프레미스 데이터센터와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과 같은 프라이빗 클라우드와 퍼블릭 클라우드 환경의 조합으로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전략을 채택하는 것이 선호되어 왔습니다. 워크로드 마이그레이션의 용이성, 규모의 경제의 이점, 클라우드의 편재성은 대부분의 현대 조직이 클라우드를 어느 정도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사실, 현재의 클라우드 채택은 '만약'의 문제가 아니라 '얼마나’의 문제입니다. 퍼블릭과 프라이빗 클라우드, 그리고 하이브리드 클라우드까지, 클라우드가 가지고 있는 특성은 컴퓨팅, 네트워크, 스토리지가 애플리케이션과 떨어진 거리에 상관없이 특정 저장소에 보관된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중앙 집중식 컴퓨팅 패러다임은 여전히 “클라우드"에서 실질적인 표준입니다. 정보가 필요하거나 저장되면, 클라우드에서 호출됩니다. 그리고 클라우드

[Service] 고가용성, 빠른 확장이 가능한 zCompute 오토 스케일링 [내부링크]

Zadara zCompute 오토 스케일링 클라우드가 아닌 온프레미스로 특정 서비스 시스템을 구성한다고 했을 때, 서비스 최대치를 예측하고 산정하여 하드웨어를 구매를 해야 합니다. 초기에 많은 투자가 필요하여 비용 부담이 크며, 서비스 예측이 잘못되었을 경우 과잉 투자가 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또한, 서비스 사용자가 줄어들어서 시스템 규모를 줄여야 할때도 하드웨어를 처분하기가 곤란합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자다라의 오토 스케일링(Auto Scaling)을 사용하면 초기 하드웨어 투자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서비스 오픈 후에 사용자의 증감에 맞춰서 오토 스케일링을 통해 VM 인프라를 자동으로 확장 또는 축소할 수 있어서 비용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zCompute의 오토 스케일링 기능은 다음과 같습니다. 애플리케이션 가용성을 손쉽게 관리 관리자가 정의한 조건에 따라 VM 자동으로 확장 축소 가능 실행 중인 VM 수를 원하는 수로 조정 가능 서비스 트래픽이 증가할 경우

[Event] 자다라가 KINX CloudHub Day에 참여했습니다! [내부링크]

지난 10월 27일, 자다라(Zadara)가 코엑스에서 개최된 KINX의 CloudHub Day에 참여했습니다. 이번 세미나는 ‘클라우드허브를 통한 하이브리드, 멀티 클라우드 구성 전략’을 주제로 진행되었습니다. 자다라에서는 조순현 이사가 ‘하이브리드/멀티 클라우드를 위한 자다라 서비스 전략’을 주제로 발표했습니다. 자다라의 세션에서는 클라우드 시장의 트렌드를 알아보고, KINX의 클라우드허브를 통해 제공하는 zStorage에 대해 설명했습니다. 클라우드허브에서 자다라 zStorage 제공하는 방식, zStorage의 특징과 장점, zStorage의 이용 사례에 대해 소개했습니다. 더 나아가, KINX와의 협업의 다음 단계가 될 수 있는 자다라 클라우드 서비스에 대한 내용도 전달했습니다. 많은 참가자들이 코엑스를 방문하여 세미나에 대한 관심을 보여주었습니다. 세션 후 Q&A를 통해 자다라에 대한 궁금증을 해결할 수 있는 시간도 가졌습니다. 자다라는 이번 세미나를 통해 멀티/하이브리드

[Service] 자다라 에지 클라우드 서비스, UnionBank의 고객 성장을 이끌다 [내부링크]

아세안의 선도적인 디지털 은행이 자다라(Zadara) zStorage로 고객을 확보하고 높게 평가받은 방법 CHALLENGES IN FINANCIAL SERVICES 규제 압력 완화 금융 기업들은 규정 준수에 대한 리스크와 비용을 줄이고자 합니다. 퍼블릭 클라우드 사용은 데이터 레지던시와 같은 이슈를 더욱 복잡하게 하고 새로운 인프라의 승인을 늦출 수 있습니다. 고객의 기대 충족 팬데믹 이후, 계좌를 개설하거나 옮기려는 고객들은 기본적으로 강력한 디지털 서비스를 기대합니다. 디지털 네이티브와의 경쟁 디지털 서비스를 중심으로 구축된 핀테크 기업 및 챌린저 은행과 경쟁이 필요한 것이 혁신의 핵심입니다. 더 민첩해지기 금융 기업들은 IT에 의해 뒤처지지 않고, 경쟁력 있는 새 서비스를 보다 빠르고 효율적으로 시장에 선보여야 합니다. 자다라 솔루션 유니온 뱅크에 구축된 자다라의 zStorage는 온프레미스 스토리지를 클라우드처럼 100% 운영비(OpEx) 비용 모델로 제공합니다. 유니온뱅크

[Service] 클라우드 컴퓨팅과 자다라 엣지 클라우드 서비스 [내부링크]

클라우드 서비스 동향 요즘 IT에서 가장 주목받고 있는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은 인터넷 통신을 활용한 컴퓨팅 서비스 종류의 하나입니다. 즉, IT 리소스 등을 인터넷을 통해 다른 곳에서 필요한 만큼 사용할 수 있는 IT 서비스 및 기술입니다. 요즈음 기업은 클라우드 컴퓨팅으로 서버를 직접 사서 소유하는 것이 아니라, 필요할 때마다 사용하는 환경으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또한, 가까운 미래에는 자동차를 비롯한 모든 사물들이 인터넷으로 연결된 사물 인터넷, 빅데이터와 AI 환경에서 굉장히 많은 데이터가 실시간으로 발생하게 됩니다. 이렇게 실시간으로 방대하게 발생하는 데이터는 아무리 빠른 클라우드 컴퓨팅이라 하더라도, 중앙에 데이터를 모아서 처리하는 클라우드의 특성상 모두 한꺼번에 처리하기에는 어려울 수 있습니다. 이런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을 보완할 기술로 "엣지 컴퓨팅(Edge Computing)"이라는 기술이 등장하였습니다. 엣지 컴퓨팅은 데이터를 중앙의 클라우드

[Service] 멀티존 고가용성(Multi-Zone High Availability) [내부링크]

가용 영역(Zone) 전체에 장애가 발생할 경우 데이터 가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보호할 수 있는 영역을 확장 특장점 동기화 복구 지점 목표(Recovery Point Objectives, RPO)를 최적화하기 위해 모든 로컬 및 원격 데이터 동시에 작성 심플함 VSSA 페일오버 처리 기능 활용 보안 사용자 관리 키로 암호화 안전 연중무휴 사전예방적으로 모니터링 원활하고 효과적인 멀티존 고가용성(Multi-Zone High Availability)으로 스토리지가 AWS 멀티존 컴퓨팅 가용성을 보완할 수 있게 합니다. 자다라 멀티존 고가용성은 가용 영역 전체에 장애가 일어나는 경우에도 데이터 이용을 보장할 수 있도록 보호 영역을 확장하는 VPSA를 제공합니다. 자다라의 멀티존 HA로, VPSA는 동일한 리전 안에 별도의 물리적 시설에 위치한 다른 보호 영역에 분산된 리소스로 구성됩니다. 네트워크 또는 전원 장애, 국지성 홍수 등으로 보호 영역에 접근하기 어려워지면, VPSA 페일오버

[Service] 확장성과 안정성 높은 자다라 zCompute [내부링크]

물리 서버와 스토리지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IT 서비스 및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해 설계된 컴퓨터를 서버라고 합니다. 어떤 서비스 및 프로세스인지에 따라 일반 데스크탑도 서버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서버는 개인용 컴퓨터보다 더 고성능의 사양과 IT 리소스를 가지고 있습니다. 서비스 용도에 따라 서버용 OS와 소프트웨어가 설치됩니다. 확장성과 안정성이 높은 자다라 zCompute VM 자다라 zCompute VM 이러한 서버는 물리적 장비를 구입하지 않고, 자다라 zCompute VM으로 가상의 서버를 구성하여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서비스할 수 있습니다. 자다라의 zCompute VM은 zCloud 상에서 안정적이며 크기 조정이 가능한 컴퓨팅 서비스입니다. 자다라 zCompute VM을 사용하면, 기존의 물리 서버를 도입하는 기간과 절차를 대폭 축소하면서, 몇 분만에 새로운 가상 서버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자다라 zCompute VM의 특징 단일 VM부터 수백 V

[Service] 자다라 zStorage의 멀티테넌시와 서비스 품질(QoS) [내부링크]

zStorage의 QoS로 고객의 SLA를 강화하세요. QoS 특장점 하나의 워크로드가 전체 스토리지 성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방지 중요한 애플리케이션이 요구하는 성능을 중단 없이 달성할 수 있도록 지원 'Noisy Neighbor' 애플리케이션 관련 잠재적 문제 제거 Use Cases 클라우드 호스팅 인프라 데브옵스 환경 데이터베이스 오늘날 서비스 프로바이더와 엔터프라이즈 IT 조직에 대한 요구와 변화의 속도는 끊임없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사용자는 더 많은 애플리케이션을 더 빨리 구축하기를 원하며,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 리소스는 변화하는 요구에 보다 민첩하고 적응해야 합니다. 서비스 공급자와 엔터프라이즈 IT 조직은 예측 가능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온디맨드 인프라 솔루션을 찾고 있습니다. 이러한 솔루션을 통해 운영 효율성을 획기적으로 높이고, 보다 신속하게 혁신하며, 애플리케이션 및 비즈니스 과제에 그 어느 때보다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어야 합니다. 서비스형 인프

[Case Study] H게임사, 자다라 zStorage로 보안 인증 요건 충족 [내부링크]

퍼블릭 클라우드 외부에 별도의 백업 공간을 확보하여 서비스 안정성 향상 Highlights AWS 외부 환경에서 백업 데이터를 저장함으로써 보안 및 비즈니스 연속성 측면 강화 ISMS 인증 요건 충족 게임 콘텐츠를 안정적으로 서비스 H게임사는 다수의 PC 온라인 및 모바일 게임을 국내에 퍼블리싱하며 한국 게임 산업 성장에 크게 기여한 게임 서비스 기업입니다. 최근에는 글로벌 시장에 진출하여 각 현지 시장 상황에 맞춰 다양한 게임 콘텐츠를 선보이며 비즈니스 영역을 넓혀가고 있습니다. H게임사는 기존 대형 게임 퍼블리싱 회사에서 글로벌 게임 콘텐츠 서비스 회사로 거듭나고 있습니다. 단순 대형 게임 퍼블리싱이 아닌, 게임의 기획과 개발부터 퍼블리싱과 마케팅, 홍보까지 전사적인 게임 산업을 아우르며 각 시장 환경에 맞는 최적의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H게임사의 비전과 전략입니다. H게임사가 클라우드 환경에서 서비스를 운영하면서, 자다라 스토리지는 보안 및 비용에 대한 과제를 해결하고

[IT 개념] 로드 밸런서(Load Balancer) 부하 분산 알고리즘 [내부링크]

부하 분산 알고리즘 로드 밸런서가 그룹 내의 서버로 트래픽을 분산할 때, 사전에 미리 설정한 분산 알고리즘을 통해서 트래픽 분산이 이루어집니다. 부하 분산 알고리즘은 아래와 같이 여러 종류가 있습니다. 라운드 로빈 현재 그룹 내에 구성된 서버들로 부하를 순차적으로 균등하게 분산하는 알고리즘입니다. 각 서버들의 응답 시간에 관계없이 그룹 내의 모든 서버들에 동일하게 분산처리 됩니다. 최소 접속 방식 현재 그룹 내의 구성된 서버들 중에 가장 오픈 커넥션 수가 적은 서버로 부하를 보내는 방식입니다. 클라이언트가 로드 밸런서를 통해 균등한 응답을 받고, 그룹 내의 전체 서버들이 균일한 성능을 유지하기 위해 처리 속도가 가장 빠른 서버가 더 많은 트래픽을 처리하게 됩니다. 가중치 기반 최소 접속 방식 최소 접속 방식과 동일하지만, 그룹 내의 각 서버들에 특정 가중치를 추가하여, 가중치 값이 더 높은 서버로 더 많은 트래픽을 분산시키는 방식입니다. 해시 방식 해시 알고리즘을 사용한 부하분산 방

[IT 개념] 로드 밸런서(Load Balancer) 동작 모드 [내부링크]

오늘은 로드 밸런서 동작 모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트랜스패런트 모드 트랜스패런트 모드는 로드밸런서가 L2 스위치에 연결된 것처럼, 서비스 VIP와 웹 서버들이 같은 네트워크에 위치하는 구성입니다. 웹 서버들과 같은 네트워크 대역에 위치하기 때문에 웹 서비스 확장으로 인해 로드밸런서를 추가 구성하는 경우 네트워크 재구성을 고려하지 않아도 되고, 기존 서비스 망에 영향없이 손쉽게 구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사용자가 로드 밸런서의 VIP로 서비스를 요청하면, 로드 밸랜서에서 패킷의 목적지 주소를 로드 밸런서의 VIP에서 실제 웹 서버의 내부 IP로 변경하여 트래픽을 처리합니다. 목적지 MAC 주소도 로드 밸런서의 MAC 주소에서 실제 웹 서버의 MAC 주소로 변경됩니다. 이 과정을 Destinaion NAT되었다고 부릅니다. 반대로 웹 서버에서 사용자에게 응답할 때는 로드 밸런서에서 출발지 주소가 웹 서버 주소에서 로드 밸런서 VIP로 변경이 되고, 목적지 MAC 주소는 변경되

[보도자료] 자다라, 애터미에 자다라 스토리지 VPSA 공급 [내부링크]

자다라(Zadara)는 글로벌 네트워크마케팅 기업인 애터미에 자다라 스토리지 VPSA(Virtual Private Storage Array)로 블록 및 파일 스토리지를 제공했다고 28일 밝혔다. 애터미는 온라인 쇼핑몰 운영과 내부 IT 인프라 고도화를 위한 클라우드 전환 과정에서 스토리지 성능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자다라 스토리지를 도입했다. 주기적인 웹 서버 코드 업데이트 수행 과정에서 급격히 증가하는 부하에 맞춰 성능을 개선하고자 했다. 애터미는 고성능의 자다라 VPSA 도입하면서 성능 병목 현상 등의 이슈를 최소화하고 자다라 서포트 팀의 즉각적인 대응을 활용하여 서비스 안정성을 제고했다. 애터미-자다라 스토리지 탄력적으로 변경이 가능한 자다라의 성능 사양으로 코로나19 확산 이후 이커머스 분야가 확대되면서 늘어난 애터미 온라인 쇼핑몰 트래픽에 안정적으로 대응할 수 있었다. 박성현 애터미 DX사업총괄 실장은 “다른 스토리지와 비교해 보아도, 자다라 스토리지만큼 애터미의 성능 요구

[보도자료] 자다라, ‘KT·KT DS × Zadara와 함께하는 공동 세미나’ 개최 [내부링크]

자다라(Zadara)가 지난 25일 KT 클라우드 오픈 스페이스에서 기업 고객 및 KT 총판을 초대하여 ‘KT·KT DS × Zadara와 함께하는 공동 세미나’를 개최했다고 26일 밝혔다. 세미나는 KT클라우드의 가치를 더하고 KT클라우드를 더욱 효과적으로 활용하도록 하는 자다라의 에지 클라우드 서비스와 KT DS의 OneBackup 솔루션을 소개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번 세미나에서 이창훈 자다라 코리아 솔루션 아키텍트는 효율적인 데이터 관리를 위한 서비스형 엔터프라이즈 스토리지와 다양한 클라우드 환경에 적합한 엔터프라이즈 에지 클라우드 플랫폼으로 자다라 에지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안했다. 자다라 코리아 솔루션 아키텍트 이창훈 차장 이기순 KT DS Cloud사업강화팀 차장은 KT DS가 베리타스와 협력해 출시한 클라우드 기반의 저렴하고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는 원격 백업 서비스 OneBackup 솔루션의 강점, 서비스 모델, 레퍼런스를 소개하는 내용으로 발표했다. 조순현 자다라 코

[Case Study] 애터미, 안정적인 서비스를 위해 자다라 스토리지 도입 [내부링크]

자다라 스토리지로 성능 병목 현상을 제거하고 요구사항에 맞게 스토리지 사양을 유연하게 확장 Highlights 높은 성능으로 서비스 안정성 향상 유연한 성능 변경으로 요구사항 충족 SSD와 HDD를 함께 사용하여 VPSA를 구성함으로써 다양한 워크로드에 맞게 스토리지 이용 자다라 팀의 24/7/365 서포트로 빠르게 이슈 대응 애터미는 글로벌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화장품, 건강기능식품, 리빙, 패션 등 높은 품질의 다양한 제품을 판매하는 기업입니다. 20여 개 국가에서 약 1500만 명의 회원을 보유하여 유통 채널의 파워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애터미는 온라인 쇼핑몰 운영과 내부 IT 인프라 고도화를 위해 클라우드 전환을 고려하던 중 웹 서버에 연결할 스토리지가 필요했고, 스토리지에 대해 성능 측면에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자다라 스토리지를 도입하여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The Challenge 기존에 애터미는 IDC에서 레거시 인프라를 구성하여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었습니다. 기존 환경

[Case Study] LG전자, 자다라 스토리지로 효율적인 데이터 수집 및 분석을 위한 환경 구축 [내부링크]

스토리지 비용 효율성을 제고하고 데이터 저장 가시성 확보하여 보안 정책 충족 Highlights AWS, Microsoft Azure, Google Cloud 등 퍼블릭 클라우드 인스턴스와 원활하게 연동 타 클라우드 대비 추가 비용이 최소화된 단순하고 직관적인 비용 체계 완전하게 분리된 리소스로 데이터 저장 가시성 확보 및 일관된 성능 보장 무중단 스토리지 업그레이드로 서비스 영향 최소화 LG전자는 전자, 가전 분야를 중심으로 글로벌 시장을 선도하는 기업입니다. IT, 에너지, 자동차 등 다양한 분야로 기술 혁신의 영역을 넓히고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며 차별화된 기업으로 자리매김했습니다. 또한, LG전자는 전 세계적으로 분산되어 있는 LG 제품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활용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인사이트를 확보함으로써 생산 과정의 효율성을 높이고, 다양한 고객에 최적화된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초를 만들기 위한 프로젝트입니다. 이 프로젝트를 진행

[IT 개념] 고가용성을 위한 이중화 기술 [내부링크]

오늘 이야기를 이어나갈 IT 개념 주제는 고가용성을 위한 이중화 기술입니다. 현재 대부분 운영 중인 대규모의 IT 인프라 환경은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인프라의 각 모든 요소들을 이중화 및 다중화로 구성합니다. 네트워크, 서버 및 VM, 스토리지, 방화벽과 각 하드웨어 및 Rack 전원과 애플리케이션도 이중화 합니다. 이중화를 위해 동일한 장비를 두 대 이상 묶어서 구성하거나 하나의 서버 및 스토리지의 인터페이스, 전원 등 내부 요소를 다중으로 구성하기도 합니다. Single Point of Failure Sing Point of Failure는 단일 장애 지점이라고도 불리는데, 장애가 발생하면 전체 시스템 서비스 및 하드웨어 장애로 서비스 중단을 초래하는 지점을 말합니다. 대규모 IP인프라에서 중단 없는 서비스, 고가용성(High Availability, HA)를 위해서는 이 단일 장애 지점을 제거해야 합니다. IT 인프라에서 빠르고 신속한 서비스 응답시간도 중요하지만,

[IT 개념] 링크 애그리게이션(Link Aggregation)-LACP [내부링크]

링크 애그리게이션(Link Aggregation)은 시스템을 네트워크에 연결할 때 가용성과 부하분산 및 클러스터 구성을 위해 여러 네트워크 포트 링크를 하나로 묶어서 사용하는 기술을 말합니다. 여러 포트를 하나로 묶음으로써 한 포트에서 낼 수 있는 최대 대역폭을 확장할 수 있고, 링크 중 하나에 장애가 발생하였을 때 다중화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 방식의 명칭은 서버 계열, 네트워크 계열에 따라 다르고, 네트워크 장비도 각 벤더 별 지칭하는 명칭이 다릅니다. * 서버 계열: Teaming(윈도우), bonding(리눅스) * 스위치 계열: Ether-channel, Port-channel, Port-trunking. LACP(Link Aggregation Control Protocol) 예전에는 포트를 묶는 기술을 각 네트워크 밴더들이 각자의 독자적인 방법으로 개발하였으나, 이기종 스위치끼리 연결할 때 호환성 문제가 발생하였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상호 호환이 가능한 연결 계층 표

[IT 개념] 링크 애그리게이션(Link Aggregation)-MLAG [내부링크]

MLAG(Multi-Chassis Link Aggregation Group) 지난 포스팅에서는 LAC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여러 개의 물리 포트를 하나의 논리 인터페이스로 묶는 방법을 살펴보았습니다. LACP로 묶인 각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물리 MAC주소 중에 하나를 메인으로 하여 1:1로 매칭하여 사용합니다. 스위치에서 서로 다른 장비 및 다른 스위치의 포트 간 하나의 MAC 주소를 사용하면 이중화 구성도 가능합니다. 이 기술이 MLAG (Multi-Chassis Link Aggregation Group) 기술입니다. MC-LAG 기술을 사용하면 서로 다른 스위치 간에 가상의 MAC 주소를 생성하여 LACP를 구성할 수 있습니다. 이 MLAG 기술은 각 네트워크 스위치 밴더 별로 지칭하는 이름이 다릅니다. 시스코에서는 VPC, 주니퍼에서는 MC-LAG, 아리스타와 멜라녹스에서는 MLAG, HP Aruba 스위치에서는 Distributed Trunking이라고 지칭합니다. MLAG

[IT 개념] 게이트웨이 이중화 - VRRP [내부링크]

게이트웨이 이중화가 필요한 이유 여러 네트워크가 서로 연결된 대규모 네트워크 환경에서는 출발지와 목적지가 같은 네트워크가 아닌 원격지의 서로 다른 네트워크에 있습니다. 이러한 L3 환경에서 출발지와 목적지가 통신하기 위해서는 네트워크의 게이트웨이를 통해야만 통신이 가능합니다. 게이트웨이의 설정이 잘못되었거나 장애가 발생한 경우에는 내부 네트워크 간에만 통신이 되고, 외부의 원격지 네트워크는 통신이 불가능하게 됩니다. 11.11.1.0/24의 네트워크가 있다고 가정하고, 이 네트워크가 게이트웨이가 11.11.1.1 이라고 하면, 이 네트워크에 속한 장비들은 게이트웨이인 11.11.1.1을 통해 다른 네트워크와 L3통신을 합니다. 11.11.1.1 게이트웨이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연결된 케이블에 문제가 발생하면 게이트웨이 통신이 안되기 때문에 이 네트워크의 호스트들은 외부와 통신을 할 수 없습니다. 또한 직접적으로 게이트웨이가 아닌 게이트웨이까지의 경로 상에 스위치나 문제가 발생하면 마찬

[IT 개념] 로드 밸런서(Load Balancer) [내부링크]

로드밸런서를 주제로 IT 개념 포스팅을 이어나가도록 하겠습니다. 로드밸런서란? 서버나 장비의 부하를 분산하기 위해 사용하는 네트워크 기술을 말합니다. 네트워크 트래픽을 분배해주는 기능을 하며 4계층 이상에서 동작하며 가장 많이 사용되는 환경은 웹 서버의 트래픽 부하분산입니다. IT 서비스의 규모가 커지면 물리 서버 한 대로 모든 서비스 트래픽을 감당할 수 없는 시점이 오게 됩니다. 또한 서비스를 단일 서버에서 운영하였을 때, 장애가 발생하게 되면 처리될 때까지 서비스 연속성을 보장할 수가 없습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로드밸런서를 사용합니다. 동일한 서비스를 하는 다수의 서버나 VM을 한 로드밸런서에 등록하고 서비스 요청이 오면 등록된 다수의 서버로 요청을 분산시켜서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서비스를 할 수 있습니다. 로드밸런서에 웹 서비스를 위한 가상의 IP를 하나 제공하고 이 IP를 통해서 서비스 요청을 받게 됩니다. 로드밸런서 그룹의 헬스 체크 로드밸런서에서는 부하 분산을

[IT 개념] VLAN 모드 [내부링크]

포트 기반 VLAN에서는 스위치의 각 포트에 사용할 각각의 VLAN을 설정합니다. 이렇게 되면, 1대의 스위치에 연결하더라도 서로 다른 VLAN이 설정된 포트 간에는 통신할 수 없습니다. 3계층 장비를 사용하여 라우팅을 설정하여야 합니다. VLAN이 다르면 각각 다른 물리 스위치로 취급되기 때문에, 여러 VLAN이 존재하는 환경에서 스위치를 서로 연결해야 하는 경우에는 VLAN 개수만큼의 포트와 다수의 스위치가 필요합니다. VLAN 태그 이런 환경에서 VLAN 태그 기능을 사용하면 하나의 물리 포트에 여러 VLAN에 해당하는 패킷을 전송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설정된 포트를 Trunk 포트/태그 포트라고 부릅니다. 이 Trunk 포트는 패킷의 이더넷 프레임 중간에 VLAN ID를 추가하여 통신을 합니다. 즉, 패킷에 VLAN ID를 붙여 이 패킷이 어떤 VLAN에 포함되어 있는지 구분하는 역할을 합니다. VLAN ID는 Trunk/태그 포트에서 VLAN을 구분하는 용도로 사용합니다.

[보도자료] 젠레이어, 자다라와의 파트너십으로 에지에서 완전히 관리되는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 제공 [내부링크]

젠레이어 고객, 자다라 에지 클라우드 서비스의 100% OpEx 엔터프라이즈 레디 zStorage 이용 가능 IRVINE, Calif. 2021년 9월 28일 - 에지 클라우드 서비스 분야의 인정받는 선두주자인 자다라(Zadara)는 최근 선도적인 글로벌 에지 클라우드 서비스 공급자인 젠레이어(Zenlayer)와의 파트너십을 발표했다. 자다라의 엔터프라이즈급으로 완전하게 관리되는 소비 기반 zStorage는 현재 젠레이어의 북미 지역에서 이용할 수 있으며, 인도, 중국, 남아메리카 등의 신흥 시장으로 곧 확대될 예정이다. 로렌스 리(Lawrence Lee) 젠레이어 파트너십·제휴 부문 부사장은 "젠레이어에서 우리는 디지털 환경 개선을 가장 중요시하며, 고객이 WOW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수준을 넘어서고 있다"며 "이렇게 탁월함을 위해 헌신하는 것은 우리가 최고의 사람들과만 협력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자다라는 엔터프라이즈 서비스형 스토리지(SaaS)의 선구자이고 이를 처음으로 제공

[IT 개념] 스패닝 트리 프로토콜(STP) [내부링크]

이번주 포스팅에서는 스패닝 트리 프로토콜에 관련된 내용을 설명드리겠습니다. IT 인프라에서 시스템 개별 요소들의 장애로 인해 발생하는 서비스 중단을 피하기 위해 각 단계 구성 요소들을 이중화, 다중화로 설계합니다. 네트워크에서도 이러한 싱글 포인트 장애를 피하기 위해 스위치 및 기타 장비들을 이중화, 다중화 네트워크로 구성합니다. 장애를 피하기 위해 2대 이상의 스위치로 네트워크를 구성을 하면 패킷이 네트워크를 따라 계속 전송되는 네트워크 루프 현상이 발생하게 됩니다. 루프란? 루프(Loop)는 네트워크가 고리처럼 구성되어 전달된 패킷이 되돌아오게 구성된 형태을 말합니다. 루프가 발생하게 되면 네트워크가 마비되고 통신이 되지 않는데 그 문제 원인은 대부분 루프 구조에서의 브로드캐스트 스톰으로 인해 발생하게 됩니다. 브로드캐스트 스톰 루프 구조의 네트워크에 연결된 단말에서 브로드캐스트를 발생시키면 스위치는 이 패킷을 모든 포트로 플러딩합니다. 플러딩된 패킷이 루프 구조에서 없어지지 않

[보도자료] 자다라, 사익스테라 데이터 센터에 완전 관리형 온디맨드 컴퓨팅 및 스토리지 제공 [내부링크]

사익스테라, 자다라 zCompute로 기업에 완전 관리형 온디맨드 클라우스 서비스 도입 IRVINE, Calif. 2021년 10월6일 − 에지 클라우드 서비스의 선두주자로 인정받아 온 자다라(Zadara)는 전 세계 데이터 센터 코로케이션 및 상호연결 서비스의 선두주자인 사익스테라(Cyxtera)와 기술 파트너십을 확대한다고 이날 발표했다. 이제 사익스테라의 고객은 컴퓨팅, 스토리지, 네트워킹을 포함한 자다라의 엔터프라이즈급 전문 관리형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두 회사의 협력으로 고객은 진정한 운영 비용(OpEx) 소비 기반 프라이빗 클라우드를 통해 IT 환경을 업그레이드하고 기존 서비스 범위를 활용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지난해 봄에 시작된 파트너십으로 사익스테라가 보유한 전 세계 61개 초연결 하이브리드 데이터 센터에서 자다라의 완전하게 관리되는 서비스형 스토리지(Storage-as-a-Service)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파트너십이 자연스럽게 연장되면서, 현

[IT 개념] 라우터의 동작 방식과 역할 (1) [내부링크]

이번 IT 개념 포스팅에서는 라우터의 동작 방식과 역할을 주제로 이야기해보겠습니다. 라우터 라우터는 3계층에서 동작하는 여러 네트워크 장비로 네트워크의 경로를 지정해주는 장비입니다. 라우터에 들어오는 패킷의 목적지를 확인하여 라우팅 테이블의 정보를 활용해 최적의 경로로 패킷을 전송합니다. 이러한 라우터는 원격지 네트워크와 연결 시 필수적으로 필요한 장비입니다. 라우터의 역할 라우터의 역할은 크게 다음과 같습니다. 경로 지정 라우터의 가장 중요한 기능입니다. 다양한 경로가 저장된 라우팅 테이블을 가지고 패킷의 목적지 IP주소를 확인하여 최선의 경로를 지정합니다. 이 역할을 위해 라우터는 2가지 작업을 수행하는데, 첫번째는 경로 정보를 얻어서 저장하는 작업, 두번째는 경로 정보를 확인하여 패킷을 전달하는 작업입니다. 해당 2가지 작업 방식은 뒤에 자세히 설명 드리겠습니다. 브로드캐스트 컨트롤 패킷의 목적지 주소가 라우팅 테이블에 없으면 패킷을 버립니다. 또한 헤더의 TTL값을 확인하여

[IT 개념] 라우터의 동작 방식과 역할 (2) [내부링크]

지난 포스팅에 이어서 라우터의 동작 방식과 역할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스위칭 앞서 라우터는 여러 원격 네트워크로의 경로 정보를 수집하고 그 경로 중 들어오는 패킷에 대해 예상 최적 경로를 찾아 라우팅 테이블에 저장한다고 하였습니다. 실제 네트워크 패킷이 라우터로 유입되어 목적지 네트워크까지 라우팅 테이블에서 확인된 최적의 경로를 찾아 패킷을 다음 목적지로 보내는 작업을 스위칭이라고 합니다. 이러한 스위칭 작업시에도 여러 가지 라우터의 내부 작업이 필요로 합니다. 라우터에 들어온 패킷의 목적지가 라우팅 테이블의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도 있지만, 비슷하거나 없는 경우도 있기 때문입니다. 일치하는 케이스는 그 라우팅 경로를 참조하여 스위칭을 하면 되고, 아예 경로가 없는 경우에는 패킷을 버리지만 비슷할 경우에는 라우터 내에서 목적지 주소와 라우팅 테이블 정보를 매칭하는 기법을 사용하여 처리합니다. 롱기스트 프리픽스 매치(Longest Prefix Match) 알고리즘을 사용하는데, 목적지

[IT 개념] 2계층 통신 vs 3계층 통신 [내부링크]

이번 포스팅에서는 '2계층 통신 vs 3계층 통신'이라는 주제로 두 통신 방식의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계층 통신, L2의 경우 클라이언트 및 서버끼리 연결해주는 네트워크 장비에서 2계층까지만 확인하여 통신하고, MAC 주소 확인을 위해 ARP 요청을 보낼 시에 브로드캐스트를 사용합니다. 출발지와 목적지가 다른 네트워크에 위치하는 원격지 통신을 해야 하는 경우에는 라우터와 같은 3계층 장비의 도움이 필요하고, 패킷을 전송하는 네트워크 장비에서 3계층 정보를 확인해야 하며 이것을 3계층 통신, L3 라고 합니다. 네트워크 통신에서 출발지와 목적지의 네트워크가 ‘같다’와 ‘다르다’라는 조건에 따라 통신방식이 달라지는데 이런 차이는 L2 로컬 통신과 L3 원격 통신을 위한 ARP 동작 방식이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통신하려는 두 단말이 같은 네트워크에 있으면 상대방의 MAC주소를 알아내기 위해 ARP브로드캐스트를 사용하고, 상대방의 MAC 주소를 알아내면 패킷을 캡슐화하여

[Service] 탄소 발자국을 줄이는 데 자다라 활용하기 [내부링크]

오늘은 '탄소 발자국 줄이는 데 자다라 활용하기'라는 주제로 이야기를 해보겠습니다. 기업들은 관리형 서비스 프로바이더를 통한 인프라 운영으로 전환하면서 유연성과 확장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클라우드가 비즈니스 효율성뿐만 아니라 환경에 미치는 영향에도 도움이 된다는 사실은 알아차리지 못할 수 있습니다. 로컬 IT 리소스에서 데이터를 관리하고 처리하는 것은 탄소 배출량을 크게 증가시키지만, 관리형 서비스 파트너를 통해 인프라 이용 방식을 전환하면 지속가능성 목표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탄소 발자국을 줄일 수 있습니다. 자다라 에지 클라우드 서비스로 가능합니다: 에너지 효율적인 인프라 기술을 활용하세요 에너지와 비용에 대한 효율성은 자다라 에지 클라우드 서비스에 따라오는 것입니다. 안전한 멀티테넌시를 사용하면 물리적 설치 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중복 제거, 압축, 씬 프로비저닝, 복제 기술 등은 모두 디스

[IT 개념] VLAN [내부링크]

오늘은 가상 랜, VLAN을 주제로 포스팅 이어나가겠습니다! VLAN(Virtual Local Area Network) VLAN이란 물리적 구성에 관계없이 하나의 스위치에서 다수의 가상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사용할 수 있는 기술입니다. 네트워크가 점점 복잡해지고 여러 단말기 및 시스템들이 네트워크에 연결됨에 따른 과다한 브로드캐스트와 성능 저하 및 보안을 위해서라도 네트워크 분리가 필요합니다. VLAN을 나누면 하나의 스위치에서 서로 다른 네트워크를 갖도록 논리적으로 분할한 것이기 때문에 유니캐스트뿐 아니라 브로드캐스트도 VLAN간 통신을 할 수 없습니다. 같은 스위치의 다른 VLAN끼리의 통신이라도 3계층 장비의 라우팅 기능이 필요합니다. VLAN의 장점 1 네트워크 리소스의 보안 향상 네트워크 그룹 설정을 변경하거나 이동하게 되면, 보안 상의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지만 VLAN을 이용하면 실제적인 네트워크 그룹의 이동이 없어도 되어 보안상의 문제를 쉽게 줄일 수 있습니다. 2 비

[Case Study] 미국 주요 통신사, 자다라 퍼블릭 클라우드 스토리지를 통해 인스턴트 메시징 제공 [내부링크]

지난 6년 동안 미국에서 가장 큰 통신사 중 하나는 자다라의 도움을 받아 자사의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에 일관된 스토리지 인프라 성능을 제공했습니다. 이러한 장기적인 관계의 시작점에서, 고객은 대부분의 다른 클라우드 스토리지 프로바이더가 지금도 충족시키기 어려운 요구 사항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다른 스토리지 테넌트에서 사용하는 물리적 스토리지 드라이브를 우리가 사용하는 드라이브와 분리할 수 있나요? 해당 통신사의 책임자는 멀티 테넌트 아키텍처에서 싱글 테넌트 경험을 원했습니다. 고객은 다른 많은 클라우드 프로바이더에 문의했지만, 모두 어렵다는 답만 돌아왔습니다. 하지만 우리의 대답은 확실한 Yes였습니다. 더그 주리(Doug Jury), 자다라 파트너 마케팅 부사장 클라우드 스토리지에서 멀티 테넌시는 일반적으로 고객이 스토리지 드라이브를 다른 많은 사용자와 공유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클라우드 프로바이더는 일반적으로 물리적 드라이브에서 수백 또는 수천 개의 풀을 만들고 드라이브 여유

[Case Study] 성장하는 클라우드 프로바이더 QuadraNet, 자다라 파트너십으로 차별화 [내부링크]

MSP(Managed Service Provider)는 균형을 맞추는 까다로운 작업에 직면합니다. 재해 복구, 자동화와 같은 고객 문제를 해결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잘 알려진 대규모 클라우드 플랫폼을 활용하는 것입니다. 동시에 MSP는 시장에서 차별화되어야 경쟁 우위를 확보하고 성장할 수 있습니다. 퍼블릭 클라우드 플랫폼은 비용 면에서 유연하지만, 메모리 사용 및 데이터 액세스 등에 대한 비용이 증가함에 따라 비용 효율성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할 수 있습니다. 미국과 유럽에서 10개의 데이터 센터를 운영하는 풀스택 서비스 프로바이더인 쿼드라넷(QuadraNet)의 경우, 차별화되고 효율적인 소프트웨어 정의 스토리지 제품을 개발한다는 목표 때문에 자다라와 파트너십을 맺게 되었습니다. 쿼드라넷은 파트너십을 통해 자다라의 zStorage 및 zCompute 기반 QNStor와 QNOutpost라는 사내 서비스를 구축하고, 경쟁사가 해결할 수 없는 주요 고객 과제를 해결할 수 있었습

[Case Study] 자다라로 확장성 · 성능 과제를 해결한 이코노미스트 [내부링크]

이코노미스트는 이코노미스트 그룹이 소유하고 런던에서 발행되는 주간 신문입니다. 1843년에 계속 발행을 시작하고 현재 발행부수는 150만 부 이상입니다. 서드파티 솔루션의 한계를 마주하다 이코노미스트는 빠르게 늘어나는 이미지 라이브러리, 고객 데이터베이스, 콘텐츠 관리 시스템을 지원하기 위해 서드파티 호스팅 서비스를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기존 호스팅 서비스의 아키텍처 한계에 다다르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운영/인프라 부문 부사장 브렌단 맥파틀란(Brendan McPartlan)은 "호스팅 서비스는 완전히 관리되는 것이었지만 사실상 제대로 관리되지 않았기 때문에 용량이 계속 부족했습니다. 이렇게 용량 관리가 어려웠던 점이 생산성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라고 밝혔습니다. 또한, 이전에 사용했던 호스팅 솔루션은 내부 요구사항을 지원하는 데 필요한 전반적인 성능을 제공하지 못했습니다. 미디어/출판 업계는 빠르게 돌아가기 때문에 마감일을 맞추기 위해 데이터를 즉시 사용할 수 있어야 합

[IT 개념] ARP [내부링크]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는 데이터 통신을 위한 2계층 물리적 주소 (MAC 주소)와 3계층 논리적 주소인 IP 주소를 연계하여 서로 바꾸어 주는 역할을 하는 프로토콜입니다. 처음 통신을 시작할 때, 패킷 캡슐화를 수행해야 하는데, 2계층 캡슐화를 위해서는 MAC 주소를 알아야 합니다. 목적지의 MAC 주소를 모르는 상태에서 IP주소로 MAC 주소를 알아내기 위하여 사용하는 프로토콜이 ARP, 반대로 해당 MAC 주소에 맞는 IP값을 알아오는 프로토콜을 RARP (Reverse Address Resolution Protocol)라고 합니다. 목적지의 MAC주소를 알아내려면 ARP 브로드캐스트를 사용하여 네트워크 전체에 MAC 주소를 질의해야 합니다. ARP 브로드캐스트를 받은 상대방은 자신의 MAC 주소를 응답하게 됩니다. ARP는 요청과 응답으로 구성된 프로토콜로 라우팅 되지 않는 단일 L2

[Case Study] 서비스 프로바이더 IPDS, 자다라의 전용 클라우드 스토리지로 안정적인 백업 서비스 제공 [내부링크]

백업과 재해 복구(DR)는 비즈니스 연속성과 규정 준수 모두에 필수적인 서비스입니다. 기업마다 백업 요구사항이 매우 다를 수 있지만, 안정성과 단순성은 최우선 과제입니다. 솔루션에 통합된 스토리지 공급자가 정기적으로 운영 중단을 겪는 경우, 서비스 프로바이더는 이것이 고객이나 비즈니스를 위험에 빠뜨릴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산업 전문가들에 의해 2007년에 설립된 메릴랜드 소재 IPDS(IP Data Systems, Inc.)는 의학 연구부터 TV 방송, 우주 원격 측정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의 기업을 위한 최신 IT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IPDS는 뛰어난 관리 서비스 제공에 집중함으로써 강력한 레퍼런스 기반으로 성장했습니다. 그러나 회사가 더 다양한 범위의 고객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IPDS는 필요한 단순성, 데이터 가용성, 성능을 제공할 수 있는 스토리지 파트너를 찾는 데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고객의 어떤 백업 요구 사항이든 충족하기 위해서 솔루션을 설계한 경험이 있

[IT 개념] 서브넷과 게이트웨이 [내부링크]

서브넷(Subnet) IP주소를 분배할 때 클래스 단위로 네트워크를 분류합니다. 이 때문에 어떤 곳에서는 적은 양의 주소가 필요한데, 필요 이상의 네트워크 클래스를 할당 받아 IP주소에 여유가 생기게 됩니다. 반면에 어떤 곳에서는 많은 양의 IP 주소가 필요한데, 작은 크기 네트워크 클래스를 할당 받아 IP주소가 부족해지는 현상이 발생했습니다. IP를 클래스 단위로 할당을 하게 되면 원하는 적절한 크기의 네트워크로 구분하기가 어려워 비효율적입니다. 이러한 이유로 클래스리스(Classless) 방식의 IP주소 분류 방식이 등장하였습니다. 클래스보다 작게 네트워크를 분할하는 것을 서브네팅(Subnetting)이라고 하고 나누어진 네트워크를 서브넷(Subnet) 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서브넷 마스크(Subnet Mask)를 사용하여 서브넷 네트워크, 즉, 브로드캐스트 영역을 분할할 수 있습니다. 이런 서브넷을 통해 A Class 네트워크와 같은 매우 큰 네트워크를 작게 나눠서 사용하면서,

[Service] MHSP가 자다라 에지 클라우드 서비스를 선호하는 다섯 가지 이유 [내부링크]

오늘은 MHSP가 자다라 에지 클라우드 서비스를 선호하는 다섯 가지 이유를 주제로 이야기하려 합니다. MHSP(Managed Hosting Service Provider)는 빠르게 변화하는 시장에서 움직이고, 비즈니스 계획을 지속적으로 적절하게 조정해야 합니다. 퍼블릭 클라우드 컴퓨팅은 다수의 MSP가 서비스를 다시 만들게 했습니다. 코로나 바이러스 팬데믹과 같은 예측 불가능한 사건에 적응할 수 있도록 MHSP는 불확실성을 고려한 비즈니스 전략을 발전시켜야 합니다. 자다라 에지 클라우드 서비스(Zadara Edge Cloud Services)는 재무, 운영, 기술 리스크를 최소화하고 새로운 수익원을 창출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MHSP를 위해 구축되었습니다. Delighted가 측정한 업계 최고 71점의 순추천지수를 받은 것을 공유하게 되어 자랑스럽습니다. 자다라의 성공은 파트너의 성공을 기반으로 합니다. 보안, 풍부한 기능, 높은 성능의 자다라 에지 클라우드 플랫폼은 고유하고 혁신적

[보도자료] 자다라 클라우드 서비스 기반 Federated Edge 네트워크, 전 세계 신규 MHSP 클라우드로 확대 [내부링크]

자다라 에지 클라우드 서비스 기반 MHSP 컨소시엄 Federated Edge, 단 몇 개월만에 성장세 보여 IRVINE, Calif. 2021년 9월2일 – 에지 클라우드 서비스의 선두주자로 인정받아 온 자다라(Zadara)는 오늘 자사 페더레이티드 에지(Federated Edge, FE) 프로그램이 첫 출시 이후 단 몇 개월만에 큰 반향을 일으키고 있다고 밝혔다. FE 프로그램은 완전하게 관리 가능한 새로운 분산형 클라우드 아키텍처를 도입했으며, 글로벌 규모의 관리형 호스팅 서비스 제공 업체(Managed Hosting Service Providers, MHSP)를 지원하는 용도로 설계되었다. FE를 통해 MHSP 글로벌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하드웨어나 기술, 인적 자본에 투자하지 않고도 MHSP 구성원을 위한 새로운 사례와 수익 모델을 실현할 수 있다. 자다라는 30여 개의 파트너를 프로그램에 추가 영입했고, FE 운영 업체와 솔루션 제공업체가 이용할 수 있는 60여 개의 신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