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gital-seniority의 등록된 링크

 digital-seniority로 등록된 티스토리 포스트 수는 53건입니다.

미디어 전략 PESO (Paid, Earned, Shared, Owned) 모델 알아보기 [내부링크]

마케팅 전략 수립 시, 미디어 플랜을 준비하면서 PESO 모델을 한 번쯤은 들어보셨을 것입니다. 정해진 예산에서 극대화된 마케팅 효과를 내려면 PESO 미디어 전략을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합니다. 오늘은 PESO 용어와 마케팅에서 미디어 전략 활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PESO 의미 -Paid Media (페이드 미디어) -Earned Media (언드 미디어) -Shared Media (쉐어드 미디어) -Owned Media (온드 미디어) 이 앞 글자들을 딴 것이 PESO 미디어입니다. Paid Media 말 그대로 돈을 내고 사용하는 미디어를 말합니다. TV, 라디오, 디지털 배너 광고, 신문/잡지, 키워드 광고 등 미디어에 비용을 지불하고 집행하는 모든 광고를 일컫는 말입니다. 기업에서 많은 비..

테일러메이드 IFC몰 매장 오픈 방문 후기 [내부링크]

어제 여의도 IFC몰에서 골프 브랜드 테일러메이드 서울 매장이 새로 오픈했습니다. 첫 플래그십 스토어 오픈이라 그런지 미국 본사에서도 CEO가 방한하고 투자사 임원들과 브랜드 엠버서더들도 오픈 행사에 참가했습니다. 브랜드 엠버서더로 남자는 다니엘 헤니, 여자는 소녀시대 유리가 맡아서 같이 매장에서 사진을 찍었습니다. 그리고 스포츠 선수 대표로 전직 야구선수인 박찬호, 윤석민도 참가했습니다. 오전에는 오픈 행사가 있어 일반인은 들어갈 수 없었고 공식 소비자 대상 매장 오픈은 오후 12시부터 이루어졌습니다. 12시가 되어가자 리미티드 에디션인 라이더컵 드라이버를 사기 위해 사람들이 줄을 서기 시작합니다. 저도 인스타그램에서 디자인을 봤었는데 기존 스텔스 2 드라이버보다 알록달록하게 화려한 디자인이 눈에 띄었..

디지털마케터가 말하는 디지털 마케팅 역량과 역할 #2 [내부링크]

앞선 글에서는 디지털 마케팅이란 무엇인지, 그리고 디지털 마케팅 성과가 측정 가능하다는 특징으로 왜 중요한지, 그리고 디지털 마케터 업무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디지털 마케팅 KPI까지 살펴보았었는데요. 지난글-디지털 마케팅 의미와 디지털 마케터 업무 디지털마케터가 말하는 디지털 마케팅 역량과 역할 #1 디지털마케터가 말하는 디지털 마케팅 역량과 역할 #1 이제는 디지털이라는 단어가 너무나 일상화되었고 이 단어를 더이상 사용하지 않을 정도로 디지털 시대가 되었습니다. 그렇다면 다들 들어보신 디지털 마케팅(Digital marketing)은 정확히 무엇을 digital-seniority.tistory.com 오늘은 이어서 디지털 마케터 역량에 대해서 살펴보면서 어떤 점들을 강조하면 마케팅 취업에 어필..

디지털마케터가 말하는 디지털 마케팅 역량과 역할 #1 [내부링크]

이제는 디지털이라는 단어가 너무나 일상화되었고 이 단어를 더이상 사용하지 않을 정도로 디지털 시대가 되었습니다. 그렇다면 다들 들어보신 디지털 마케팅(Digital marketing)은 정확히 무엇을 지칭하는 것이고, 디지털 마케팅을 담당하는 마케터는 어떤 역할과 역량이 필요한지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디지털 마케팅이란 여러가지 디지털 매체를 통해 브랜드나 제품을 알리는 포괄적인 모든 마케팅 활동을 말합니다. 이제는 해외와 국내 가릴 것 없이 TV 광고 시장보다 디지털 광고 시장이 급격하게 성장했고, 디지털 광고 시장 규모가 TV 광고 시장을 넘어선 지가 2017년부터이니 무려 6년이 되었습니다. 인터넷 사용 확산과 더불어 스마트폰 사용이 보급화 되고 발전되면서 모바일 시장이 더욱 커지고, 여러 플랫폼들이..

SWOT 분석 STP 전략 4P 전략 마케팅 믹스하기 - 실무에 바로 적용하세요 [내부링크]

마케터라면 SWOT분석, STP 용어와 4P 용어를 다들 들어보셨을 겁니다. 하지만 각각 따로 무엇인지는 알겠는데 마케팅 전략을 짤 때 실제로 어떤 순서로 어떻게 실무에 활용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다소 헷갈릴 수 있습니다. 이 글을 통해 알고만 있던 SWOT분석, STP전략과 4P 전략을 어떻게 마케팅 기획 시 활용할 수 있는지 정리해 보겠습니다. Step1. SWOT 분석이 기본이다브랜드 신제품을 출시하거나 내년 마케팅 전략을 수립할 때 가장 먼저 해야 하는 것이 바로 SWOT 분석입니다. SWOT은 Strength(강점), Weakness(약점), Opportunity(기회), Threat(위협요소)를 줄인 말입니다. 우리 제품이나 브랜드가 갖고 있는 특장점, 시장 상황상 유리하거나 불리한 점, 위..

주차 뺑소니 기준과 처벌 한번에 알아보기 [내부링크]

정상적으로 내 차를 주차해 두고 일을 보고 돌아왔는데, 갑자기 차가 긁혀있는 것을 발견했다면? 이런 황당한 상황은 누구나 언제든지 맞닥들일 수 있는 일이기에 갑자기 겪게 되면 어떻게 해야 할지 막상 떠오르지 않을 수 있습니다. 그러니 미리 이런 주차 뺑소니 상황 대처법을 알아두고 빠르게 대응하시기를 바랍니다. 주차 뺑소니 기준 엄연히 말하자면 '뺑소니'라는 단어는 차 안에 사람이 있을 때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이고 마트나 아파트 주차장에서 사람 없이 주차된 차량을 긁거나 파손하고 사후조치 없이 도망가는 경우에는 '물피 도주' 또는 '사고 후 미조치'라고 칭합니다. 그러니까 지금 주차해두었던 차에 갑자기 파손이 생겼다면 '물피 도주'라고 검색하시는 것이 맞습니다. 주차장 뺑소니 대처방법 Step 1. 현장 ..

디지털 마케팅 효율 vs 효과, 무엇이 중요할까? [내부링크]

하반기 중반 정도를 들어서면 모든 브랜드 마케터들은 내년 마케팅 계획을 수립합니다. 이런 디지털 마케터에게 주어지는 숙제가 바로 내년에는 어떤 매체를 집행할 건지, 클릭률이나 노출량이 높았던 지면은 무엇이었는지, 얼마의 예산이 필요한지 등을 잘 정리해 윗사람들을 설득하는 일인데요. 디지털 마케팅은 TV나 잡지 등 ATL과 달리 노출이나 클릭, 전환율 등 모든 결과가 수치 등으로 나오기 때문에 더욱 평가나 실적이 직접적으로 판단됩니다. 그렇다면 내년 예산을 짤 때, 효과가 중요할까요 효율이 중요할까요? 효율적인 광고 매체란디지털 마케팅을 진행하는 브랜드라면 배너나 영상 광고 시 클릭을 하면 랜딩되는 홈페이지가 있을 것입니다. 저렴한 비용에 많이 노출되고 그만큼 클릭 수도 비례하는 네트워크 광고가 효율적인 ..

구매를 끌어내는 마케팅 심리학 - 손실 회피 성향 [내부링크]

마케팅 부서에서 특정 전공을 요구하지는 않지만 선호되는 전공이 있다면 바로 심리학 전공인데요. 그만큼 마케팅이라는 것 자체가 소비자의 마음을 움직이게 하고 결국 구매로 이끌게 하는 행위이기 때문입니다. 그러한 소비자 심리 중에서도 많은 사람들이 갖고 있는 강력한 성향이 바로 '손실 회피'입니다. 가위바위보를 한번 더 해서 이기면 100만 원을 준다 반대로 지는 경우에는 100만 원을 잃게 된다 여러분은 위 상황에서 어떤 게 더 강하게 작용하나요? 로또와 같이 무료로 이득을 얻을 수 있는 기회에 대한 기대감보다 잃는 것에 대한 두려움이 일반적으로 더 크다고 합니다. 이러한 사람의 심리를 이용한 마케팅 사례들을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1. 배너 광고 카피 쿠폰이나 이벤트, 할인 행사 등을 홍보할 때, 그저 "..

무신사 브랜드 성장 전략 한번에 참고하기 [내부링크]

국내 최대 규모 온라인 편집숍인 1위 패션 플랫폼 무신사. 대한민국 10번째 유니콘 기업인 무신사가 글로벌 투자자로부터 2000억 투자 유치를 성공해 기업 가치가 1조 원 정도 더 올라 3조 중반 정도가 되었습니다. 2018년에 천 원억 매출로 시작해 4년 뒤인 2022년 7천억 원으로 무려 7배나 성장했기에 올해 1조가 넘을 것이라는 예측도 있어, 이러한 무서운 성장세가 반영되어 기업 가치가 많이 뛰게 된 것입니다. 무신사의 행보 처음에는 커뮤니티로 시작했던 무신사. '무진장 신발 사진 많은 곳'이라는 의미로 지어진 패션 커뮤니티가 바로 무신사의 시초인데요. 이제는 온라인 커머스 뿐만 아니라 콘텐츠를 만들고 성수, 한남, 홍대는 물론 도쿄에서까지 브랜드 팝업 스토어를 운영하면서 파급력을 온오프라인 구분..

당근마켓 이름 변경, 이제 당근이 된 이유? [내부링크]

"당근이세요?" "나 어제 그거 당근 했어"라는 유명한 문구, 이제 진짜 기업 이름이 되어버렸습니다. 2023년 8월 28일 당근마켓은 이제 '마켓'자를 떼고 그냥 '당근'으로 명칭을 공식적으로 변경했는데요 제 핸드폰에 깔린 당근마켓 어플에서도 이제 자동으로 '당근'으로만 되어 있어 어플 그림과 잘 어울려 귀엽더라고요. 당근이라는 단어는 최초에 앱이 출시될 때부터 "당신 근처"라는 의미로 서비스앱 명칭을 당근으로 설정했습니다. 저는 마치 아이폰의 애플과 같이 그런 느낌을 내려고 일부러 당근이라고 지은 줄 알았는데... 그런 의도도 있었을까요? 하하 아무튼 당근마켓이 '마켓'을 떼버린 이유 그 이유는 바로 '마켓' 서비스에서만 한정되지 않고 이제는 지역 연결 서비스를 더욱 강화해 지역 생활 커뮤니티로서의..

마케터의 Chat GPT 활용법 [내부링크]

Open AI,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네이버 등 요즘 모든 기업에서 개발하고 있는 AI 기술, 그중에서도 Chat GPT는 핫한 키워드로 자리 잡고 있는데요. Chat GPT를 들어봐서 무엇인지는 알지만 실제 사용법을 잘 모르신다면, 그리고 마케팅에 어떻게 접목할 수 있는지 궁금하시다면 이 글을 잘 읽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Chat GPT란? 대화형 인공지능 챗봇으로, 사람처럼 대화하는 듯이 질문에 맞는 답변을 만들어내는 것이 가장 큰 특징입니다. 보통 우리가 구글이나 네이버에서 키워드 검색을 하면 키워드와 관련된 정보와 링크를 보여주고, 우리가 그 중 원하는 정보를 찾으려면 한 번 더 그중에 클릭을 하는 액션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ChatGPT는 질문의 의도와 맥락을 이해하고 그에 맞게 정보를 ..

브랜드가 소비자와 커뮤니케이션하는 방법 3가지 [내부링크]

브랜드 마케터에게는 브랜드 입장에서 소비자들과 소통하고 커뮤니케이션하는 것이 아주 중요한 업무입니다. 하지만 일방적인 소통 방식은 통하지 않는 요즘, 커뮤니케이션 채널도 TV나 광고 이외에 다양한 소셜 미디어 채널, 팝업 스토어 등 여러 가지 소비자 접점이 생겨났는데요. 어떻게 소비자에게 접근하면 효과적으로 커뮤니케이션할 수 있을지 정리해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1/브랜드 앰배서더를 통한 브랜드 친밀도 상승 광고의 일환으로 요즘 브랜드들이 많이 활용하고 있는 것이 바로 브랜드 앰배서더입니다. 뉴진스, BTS, 아이브 등 요즘 핫한 아이돌들을 샤넬, 루이비통, 프라다 등 대형 명품 브랜드들이 적극적으로 브랜드 앰배서더로 활용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브랜드가 브랜드 앰배서더를 쓰는 이유는 브랜드..

브랜드 엠버서더를 활용한 브랜딩 전략, 더 깊이 알아보기 [내부링크]

어느 순간 자주 사용되고 있는 용어 '브랜드 엠버서더'. 브랜드 엠버서더는 브랜드 광고 모델과는 또 다른 역할과 활용 대상인데요. 특히 명품 브랜드들이 대표적으로 이러한 브랜드 엠버서더를 적극 활용하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광고 모델과 브랜드 엠버서더의 차이 브랜드에서 신제품을 런칭하거나 시즌 상품에 대한 홍보 캠페인의 차원에서 발탁하는 것이 광고 모델이라면, 브랜드 엠버서더는 제품 포커스보다도 브랜드 얼굴로서 브랜드의 이미지를 소비자에 전달하고 브랜드와 소비자 관계를 강화하기 위한 역할입니다. 그래서 광고 모델은 한 사람이 런칭 시기나 시즌에 대한 단기 계약 위주로 해당 브랜드와 광고 계약이 형성되지만, 브랜드 엠버서더는 좀 더 긴밀한 관계로서 서로 원한다면 장기적인 계약도 가능합니다. 브랜드..

[마케팅 사례] 시너지 내는 MZ세대 브랜드 콜라보레이션 사례 소개 [내부링크]

브랜드 콜라보레이션이란 개념은 새로운 것이 아니지만 어떤 브랜드 두 개가 만나느냐에 따라 그 임팩트는 굉장히 상이해지고 신선하게 다가옵니다. 오늘은 몇 가지 참고하면 좋을만한 시너지가 잘 나는 브랜드 콜라보레이션 사례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1. 코카콜라 X 라이엇 게임즈 업계의 탑 브랜즈 두 곳이 만났습니다! 식음료계의 굳건한 제왕 코카콜라와 리그 오브 레전드 게임으로 유명한 게임 회사 라이엇 게임즈의 만남. 업계가 다른 두 브랜드인 만큼 더욱 눈길을 사로잡고 머릿속에 임팩트가 생기는데요. 코카콜라는 코카콜라 크리에이션(Coca-Cola Creations)의 네 번째 국내 프로젝트에서 리그 오브 레전드와 손잡은 콜라보 제품인 '코카콜라 제로 레전드' 한정판을 출시했습니다. 단순히 이렇게만 보면 뭐가..

효과적인 배너 만들기를 위한 3가지 방법 [내부링크]

디지털 마케터가 하는 업무 중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 중 하나가 바로 디지털 광고나 소셜 미디어 이미지를 제작하는 것입니다. 이때 디지털 광고 배너는 우리 회사의 신제품 출시나 프로모션 이벤트를 알리는 내용이 대부분일 텐데요. 신제품에 대한 설명, 프로모션 이벤트에 대한 설명 등 말하고 싶은 내용이 너무 많은데 이 작은 사이즈에 어떻게 이걸 표현할 수 있는지, 그리고 어떻게 배치해야 사람들이 그 광고를 보고 클릭할 수 있을지가 정말 중요하겠죠. 오늘은 효과적인 배너를 만들 수 있는 3가지 방법에 대해 이야기해 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1. 가독성 무조건 가독성이 제일 중요!!!!!!! 에이전시와 배너 시안을 제작하면서 핑퐁 하는 첫 번째 이유는 가독성이 좋지 않아서입니다. 예를 들..

[마케팅 트렌드] 헝거 마케팅, 없을수록 더 잘 팔리는 이유와 종류 [내부링크]

허니버터칩과 명품 대란을 얘기할 때 언뜻 '헝거 마케팅'이라는 단어를 들어보셨을 것입니다. 헝거 마케팅이란 제한된 물량을 판매해 소비자들의 구매 욕구를 더욱 극대화하는 마케팅을 말합니다. Hunger(배고픔)이라는 단어를 써서 일부러 고객들이 더 배고픈 상태로 만드는 방법입니다. 시장은 수요와 공급이 균형이 맞아야 하는데, 수요량은 매우 높지만 시장에는 적은 공급을 제공해 항상 상품이 부족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죠. 이러한 상품의 희소성이 의도적으로 소비자의 수요 욕구를 자극하는 심리를 활용한 마케팅 전략입니다. 최근 이러한 헝거 마케팅의 대표적인 예시가 바로 농심 먹태깡인데요, 요즘 MZ세대들 사이에서 이 먹태깡이 아주 핫한 아이템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헝거 마케팅 종류 1. 공급 낮추기 일반 마트나..

OTT 스트리밍 대세 현황과 스트림플레이션의 뜻 [내부링크]

여러분은 요즘 사용하고 계시는 OTT는 무엇인가요? 저는 넷플릭스, 디즈니, 티빙 세 가지를 모두 보다가 결국 지금은 넷플릭스 하나로 정착했습니다. 최근 뉴스나 인터넷에서 자주보이는 이 OTT라는 단어, 여러분은 정확히 무슨 뜻인지 알고 계시나요? 오늘은 OTT의 뜻과 종류, 요즘 현황은 어떤지, 그리고 관련된 단어인 '스트림플레이션'은 무슨 뜻인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OTT 뜻 OTT란 Over-The-Top으로, 셋톱박스(Top)를 넘어선다는 것을 말합니다. 즉 셋톱박스라는 하나의 플랫폼이 아니라 컴퓨터와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등 여러 가지 플랫폼을 통해 다양한 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입니다. 인터넷을 통해 영상을 전송한다는 면에서 IPTV(인터넷 TV)와 비슷하지만, IPTV는 통신망..

마켓컬리 마케팅 확장 전략 살펴보기 [내부링크]

새벽 배송의 대표주자로 떠오르는 마켓컬리. SSG 쓱배송과 쿠팡 로켓배송의 어깨를 나란히 하는 '빠르고 편한 새벽 배송'을 내세워 급부상하게 된 브랜드입니다. 저 또한 냉장고가 비거나 당장 내일 먹고 싶은 것이 생기면 찾게 되는 것이 마켓컬리 어플인데요. 이러한 스타트업과 같은 마켓컬리, 마케팅 횡보를 살펴보려 합니다. 1. 서비스 지역 확장 최초에는 서울과 수도권에서만 새벽 배송 서비스가 진행되었었습니다. 아무래도 최초부터 전국으로 하기 보다는, 핵심 타겟 지역을 설정하고 운영하면서 소비자들의 반응과 피드백을 살피고 운영에 대한 효율적인 프로세스 구축과 안정화 과정이 필요했겠지요. 눈에 톡 튀는 보라색 브랜드 컬러와 깔끔하고 편안한 UI를 가진 마켓컬리 어플은 분명 3040 여성들의 눈길을 사로잡았을 ..

[마케팅 트렌드] Z세대의 레트로 사랑…유행은 돌고 돌아 [내부링크]

요즘 아이돌들은 흔히 아이돌 무대 의상하면 생각나는 타이트한 미니스커트가 아니라, 와이드 팬츠와 크롭탑과 같이 예전 90년대 아이돌 1세대의 Y2K 패션을 컨셉으로 하고 있습니다. 패션뿐만 아니라 뮤직비디오 컨셉도 2000년대에 유행하던 뮤직드라마 형식을 적용해 (여자)아이들의 '퀸카' 뮤직비디오를 제작하기도 합니다. 지금 핫한 아이돌 그룹인 뉴진스는 이러한 Y2K 컨셉을 유지하고 있는데요, 길거리에 학생들 가방에는 우리가 어릴적 달고 다니던 키링 인형들, 그리고 데이트 코스 필수이자 길거리 핫템인 인생 네컷과 같은 스티커 사진이 유행을 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레트로 트렌드, Y2K 트렌드는 왜 붐이 계속 이어지는 것인지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Y2K란 Year(년)와 1000을 의미하는 K가 합쳐진 단어..

인텐트 마케팅이란 [내부링크]

요즘 구글이든 아이폰이든 서드 파트 쿠키 사용 금지로 마케팅 업계에 발등이 불이 떨어졌습니다. 리타겟팅 마케팅과 퍼포먼스 마케팅이 한창 떠오르고 있다가 확 궤도가 바뀐 것인데요. 구글의 제3자 쿠키 제한 정책과 애플의 앱 추적 투명성 정책이 대표적입니다. 사용자들의 앱/웹 방문 기록을 바탕으로 소비자 행동을 추적해 광고를 진행할 수가 있었는데, 이제는 이러한 흔적을 활용하지 못하게 된 것입니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급부상한 것이 바로 인텐트 (intent, 의도) 마케팅입니다. 인텐트 마케팅(intent marketing) 뜻 인텐트 마케팅이란 소비자가 원하는 것 (의도)을 정확히 이해하고 이에 부합하는 서비스나 제품을 제공하는 것을 말합니다. 마케팅에서 소비자의 의도, 즉 니즈를 파악하는 포인트는 굉..

일론 머스크와 마크 저커버그 싸움 예고 (X된 X를 보여줄게) [내부링크]

테슬라와 X (전 트위터) 소유주인 일론 머스크가 미국 테크놀로지의 대표인 메타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CEO 마크 저커버그와의 격투를 선고했습니다. 이게 갑자기 무슨 말일까요?난데없이 갑자기 트위터를 없애버리고 공식 명칭을 X로 변경한 일론 머스크. 그저 몇 글자 단문 메시지만 작성하는 기능이 있는 게 불만족스러웠는지 그는 트위터를 없애버리고 X 플랫폼을 쇼핑, 금전거래, 부동산, 소통 등 다양한 기능들을 하나의 앱으로 할 수 있는 슈퍼 앱으로 만들겠다고 선언했는데요. 마치 중국의 위챗과 같이 만드는 걸 목표로 하는 듯 합니다. 중국에서는 민증처럼 위챗 하나로 결제 쇼핑 메신저 통화 등을 다 하고 있는 것 처럼요. 그런 그가 자신의 새로 탈바꿈한 X를 홍보하기 위해서인지 난데없이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

[마케팅 트렌드] 식품업계 핫한 대용량 마케팅 - 스벅 트렌타 출시 [내부링크]

미니백이 유행하던 시절에도 큰 가방이라 유명했던 에르메스 버킨백. '거거익선'이라는 단어도 생기면서 드디어 식품업계에도 대용량 마케팅이 뜨겁게 시작되었습니다. 바로 스타벅스에서 대용량 트렌타가 출시하면서 이슈가 되었었는데요. 톨 (Tall) - 그란데 (Grande) - 벤티 (Venti) 순서로 큰 사이즈가 있었는데 여기에 벤티보다 더 큰 사이즈인 트렌타가 추가된 것입니다. 트렌타는 이탈리아어로 30을 뜻하는데, 용량은 30온스로 887ml의 대용량입니다. 벤티 591 ml보다 1.5배 정도 더 커진 것이죠. 트렌타 사이즈는 원래 미국 일부에서만 운영되었던 것인데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이 사이즈를 추가한 나라는 한국이 유일하다고 합니다. 미국에서 이 사이즈를 꾸준히 구매하는 소비자들이 있었기에 한국에..

[마케팅 트렌드] 직원을 인플루언서로 내세운 '임플로이언서' 대세 [내부링크]

'인플루언서' 단어는 익숙한데, '임플로이언서'는 뭘까요? 바로 '임플로이 (Employee - 직원)'와 '인플루언서 (Influencer)' 두 단어가 조합된 단어입니다. 유튜브를 둘러보다가 'X리브영 직원이 추천하는 찐템', 'A사 영업팀 브이로그'와 같은 제목의 콘텐츠를 보신 적 있으시죠? 이처럼 소셜 미디어에서 영향력을 펼치는 직원이 바로 '임플로이언서'입니다. 브랜드를 더욱 친근하게 만드는 역할 유튜브에서 신입사원이 회사에서 브이로그를 찍는 모습을 조롱하는 콘텐츠들이 나오곤 했었는데요. 이런 모습을 부정적으로 보던 시절이 있었지만 요즘은 회사들이 이런 임플로이언서를 더욱 적극적으로 활용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그 이유를 1. 적은 비용과 브랜드 가이드라인 컨트롤 셀러브리티나 거대 인플루언서를 사..

마케팅 경력이 없는 마케팅 취준생들을 위한 자소서/면접 팁 [내부링크]

전공과 가장 관계없이 일할 수 있는 팀 중 하나가 바로 마케팅팀입니다. 그만큼 사전 지식 같은 것보다는 현재 상황에 맞는 트렌드나 사람을 대하는 스킬, 표현하는 능력과 같이 나 자신의 특징을 잘 활용하면 마케팅 팀에 끼워맞출 수 있다는 것이죠. 마케팅 팀에서 일하고 싶다면, 바로 나 자신에 대해서 많은 분석을 해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1. 나의 강점을 나열해보자 나는 외향적인 성향인가? 그렇다면 외부 파트너사와의 교류나 협업, 소비자 응대 등을 잘 할수 있다고 엮을 수 있습니다. 내향적인 성향이라면? 내부 타팀과의 협업, 소비자 분석이나 트렌드를 보고 브랜드에 적용하는 업무에 더 잘 할 수 있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표현력이 좋다면 홈페이지 문구나 상세페이지 제작, 브랜드 소셜미디어 운영, PR 보도자료..

[마케팅 트렌드] 식음료 업계 - 활발한 여자 아이돌 마케팅 [내부링크]

요즘 유독 트렌드라고 느껴졌던 것이 바로 식음료 업계에서의 여자 아이돌 모델 활용입니다. 주요 타겟층인 Z세대를 위한 스타 마케팅 활동이 눈에 자주 들어왔습니다. 그 이유는 브랜드가 케이팝 아이돌을 내세워 소비자와 더 소통하고 한층 더 가까운 이미지를 갖기 위함입니다. 이러한 외식업계의 아이돌 마케팅, 현황은 어떤지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1. 굽네 - 르세라핌 굽네는 모델로 르세라핌을 선정했는데요. 멤버들이 실제로 피자를 먹고 즐기는 영상을 공개해 누적 조회수 7천만뷰를 기록하기도 했습니다. 각 멤버별 이미지와 르세라핌 단체 컷을 활용하고 있는 굽네. 모델로 선정된 만큼, 굽네 플레이타운에서 르세라핌 팬 사인회까지 진행되었습니다. 2. 맥도날드 / 코카콜라 - 뉴진스 3월부터 맥도날드 모델 활동 중인 뉴..

테슬라의 마케팅 전략, 브랜딩의 힘 [내부링크]

전기차하면 떠오르는 대표 브랜드, 테슬라. 스마트폰 업계의 아이폰이라 불리우기도 하는데요. 자동차 업계에서 엄청난 신생 브랜드인데 어떻게 이렇게 전기차 분야에서 강자로 떠오를 수 있었는지 테슬라의 마케팅 전략을 살펴보고 브랜딩이 얼마나 중요한지 살펴보겠습니다. 테슬라는 친환경 전기차 브랜드인만큼 시장 진입, 기술 혁신, 브랜드 전략까지 기존의 다른 자동차 브랜드와는 다른 길을 걷고 있습니다. 1> 브랜드 포지셔닝 자동차 업계는 기술집약적인 산업이기에 진입 장벽이 높아 새로운 기업이 생겨나기가 굉장히 어렵습니다. 그래서 테슬라는 다른 전략을 썼는데요. 기존 자동차 브랜드는 친환경 규제로 인해 전기차를 만들어야할 때, 저렴한 제품을 내놓아 시장점유율을 점차 넓히면서 고가 라인으로 확장하는 방법을 선택해왔습니..

[마케팅 사례] 재미있는 식음료 마케팅 - 콜라보와 트렌드 [내부링크]

예전에도 있긴 했으나 요즘 유행처럼 만연한 트렌드가 바로 브랜드 콜라보입니다. 메인 브랜드들뿐만 아니라 이제는 우리가 일상에서 자연스레 접하는 업계들까지에서도 재미있는 마케팅이 펼쳐지고 있는데요. 오늘은 식음료 분야에서 어떤 마케팅을 하고 있는지 몇 가지 사례를 소개하겠습니다. 1. 곰표 캔맥주 거의 초창기 원조 멤버입니다. 밀가루의 대표 브랜드인 곰표는 오래된 브랜드로서 자신의 브랜드를 MZ세대에도 알리기위해 이러한 다양한 콜라보레이션을 진행했는데요. CU가 밀가루 포대 컨셉으로 '곰표 팝콘'을 만들고 성공하자 후속작으로 맥주까지 출시했습니다. 출시 일주일만에 30만개가 팔리고 오픈런 현상까지 일어날만큼 대박이 터졌습니다. 지금은 아래처럼 다양한 콜라보 맥주들이 줄줄이 출시되며 보편적인 현상이 되어버렸..

마케팅 기획안 작성 TIP - 이거 하나로 뼈대잡기 끝! [내부링크]

브랜드 마케터의 메인 업무 중 가장 중요한 일은 바로 마케팅 기획안 작성입니다. 뭐 하나 새로운 거 하려고하면 기획 PPT 만들어서 윗선에 보고하고 컨펌을 받아야 비로소 실무를 시작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렇게 경영진 앞에서 기획 PT를 하게될 경우, 깔끔하고 잘 만든 기획안으로 '이 친구 일 잘하네'하는 인상을 심어주고 눈에 띌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마케터의 능력, 마케팅 기획안은 어떻게 작성하면 좋을지 팁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서론] 발표의 명분 만들기 지금 회의실에 모인 이 사람들이 왜 여기 앉아있는지를 얘기해야 합니다. "WHY"가 중요한 거죠. 즉 Objective (목적)을 가장 첫 장에 넣거나, 필요시 그에 대한 백그라운드를 첫 장에 집어 넣습니다. 이 부분에서 모두 관심이 있고 필요로 ..

[마케팅 전략] 마케팅 믹스전략 4P와 5C [내부링크]

제품이나 서비스를 판매하기 위한 마케팅 믹스 전략에는 4P와 5C가 있습니다. 이러한 마케팅 전략은 제품/서비스를 출시하기 전 반드시 거쳐야하는 전략입니다. 이외에도 기초적인 마케팅 이론이 여러가지가 있지만 가장 먼저 진행해야하는 4P, 이에 더한 5C까지 알아보겠습니다. 4P의 개념 -Product (제품/서비스) -Place (유통) -Price (가격) -Promotion (판촉,프로모션) 위 4가지에 대한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바로 마케팅 4P 전략입니다. Product는 내가 판매하고자 하는 제품이나 서비스, Place는 이러한 제품/서비스를 어떤 채널이나 장소에서 제공하고 판매할 것인지, Price는 가격 전략을 고가, 저가, 중저가 중 어떤 방향으로 갈 것인지, Promotion은 1+1 ..

루이비통 재단 소장품 전시회 관람 후기 <신디 셔먼: 온 스테이지 파트2> [내부링크]

루이비통 재단이 소장하고 있는 작품 전시회가 있다고 하여 다녀왔습니다. 신디 셔먼의 작품 10점이 한국 청담에 있는 에서 무료 전시회를 하고 있습니다. 신디 셔먼이 누군가요? 신디 셔먼은 미국의 사진 예술가로, '여성'과 '몸'을 주제로 가부장적인 사회의 여성에 대한 전형적인 선입견들을 깨고자 활동하고 있습니다. 특이한 점은 본인이 여러 분장을 통해 아주 다양한 여성성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때 여성성은 아주 솔직한 내면과 꾸밈없는 모습을 연출한다는 점이 신디 셔먼의 작품 색깔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루이비통 작품 전시회 사진 아주 눈에 확 들어왔던 사진 작품은 요 작품이었습니다. 주변을 의식하지 않고 슬픔을 그대로 드러내고 있는 여성의 모습. 눈물에 번진 마스카라와 손끝에 닿을듯한 타들어가는 담배가..

비즈니스 전략의 기본 - SWOT 분석, STP 전략 [내부링크]

회사에서 새로운 제품을 내놓을 때 항상 하는 것이 있습니다. 바로 SWOT 분석, STP 전략입니다. 이 용어들은 마케터를 꿈꾸는 취준생이라면 무조건 알아야하는 마케팅의 기본 개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이 용어들을 알아보고, 어떤 식으로 비즈니스 전략과 마케팅에서 활용되는지 확인해보겠습니다. 회사에 신제품을 만든다면, 무조건 가격을 붙여 내놓으면 소비자들이 구매할까요? 아닙니다. 이 제품이 공략할 타겟층을 결정하고, 경쟁사와는 어떻게 다른 차별점을 가질 것인지, 어떤 채널에서 판매될 것인지 등에 대한 전략적 기획이 필요합니다. STEP 1. SWOT 분석 SWOT은 Strength(강점), Weakness(약점), Opportunity(기회), Threat(위협요소)를 줄인 말입니다. 우리 회사..

[마케팅 전략] 팬덤을 모아주는 커뮤니티 마케팅 [내부링크]

아이돌에만 팬덤이 있는 것이 아니라 브랜드에도 팬덤이 있습니다. 특히나 요즘 소비자층은 자신이 지향하는 가치와 방향이 맞는 기업과 브랜드를 애용한다고 하죠. 그리고 소셜미디어가 발달함에 따라, 다른 소비자들의 의견이나 추천, 평판에 많이 움직이게 됩니다. 이런 흐름일수록 브랜드는 더욱 자신들을 위한 찐팬들을 관리하고 모아야 하는데요. 이러한 팬덤을 모아주는 '커뮤니티 마케팅'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팬덤이 있는 브랜드, 어디가 떠오르시나요? 룰루레몬 마케팅 어느 순간 짠하고 나타나 바로 에슬레저 룩과 스포츠웨어 업계의 리더로 나타난 브랜드, 룰루레몬. 룰루레몬 홈페이지에는 '커뮤니티' 탭이 별도로 존재합니다. 커뮤니티 탭을 클릭하면 위 이미지와 같이 "스웻라이프(Sweat Life)"라는 비전을 내세우고..

[마케팅 전략] 아이폰이 갤럭시를 이기는 3가지 이유 [내부링크]

요즘 2030들은 아이폰을 갤럭시보다 훨씬 많이 쓴다고 합니다. 2023년 한국갤럽에서 1000명을 대상으로 조사했을 때, 18세 이상 30세 미만에서 아이폰 유저가65%, 갤럭시 유저는 32%였습니다. 두 제품간 간극이 30% 포인트 차이가 나는 것은 엄청난 차이가 아닐 수 없습니다. 이러한 애플의 아이폰 점유율이 젊은 층에서 점차 확대될 수 있었던 전략은 무엇일까요? 1. 아이폰의 Lock in 전략 누구에게나 오픈되어있는 안드로이드와 달리, 폐쇄적 성향을 가진 애플. 아이폰의 기능도 이와 다르지 않습니다. 물론 요즘 일부 풀리긴 했으나 출시 당시에 강력하게 아이폰 유저들만이 사용할 수 있었던 아이메세지와 페이스 타임, 그리고 에어드랍이 있었습니다. 아이폰이 아니라면 이러한 무료 문자인 아이메시지 사..

일상에서 마케팅 인사이트 얻는 습관 들이기 5가지 [내부링크]

마케터가 되고 싶고 마케팅을 하고 싶지만 뭐 부터 어떻게 해야할지 모르겠는 예비 마케터들을 위해 평소 일상에서 어떻게 마케팅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는지에 대해 한번 얘기해보려 합니다. 무언가 돈들이고 어렵게 하는 것이 아니라, 평소 일상에서 조금만 의식해서 신경쓰면 할 수 있는 것들로 말씀드리려하니 편하게 읽고 생각해주세요. 아래 5가지만 실천해서 일상에서 쉽게 마케팅 인사이트를 얻어보아요! 1. 다양한 업계 친구들 만나기 우선 마케팅은 항상 새로운 아이디어와 통찰력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가만히 안주하는 성격보다는 일부러라도 내 활동 영역 밖의 일들을 알아보려고 노력해야 합니다. 매일 만나는 회사사람들이나 남자/여자친구의 익숙한 패턴과 대화 내용이 아니라, 나의 일상과 다른 세상에 몸담고 있는 친구들의..

[마케팅 전략] 프라이빗 골프 스튜디오 장단점 [내부링크]

코로나 시대에 많이 유입되었던 골린이 층이 코로나가 종결되면서 골프 업계에서 많이 빠져나갔다고 합니다. 아무래도 골프는 시간과 돈 측면에서 허들이 높은 스포츠기 때문에, 취미로 유지하기가 어려운 편입니다. 현재는 핵심 골퍼들만 다시 남아있는 상태라고 하는데요, 우후죽순으로 생겨났던 골프 레슨도 가성비 좋은 곳과 프리미엄한 곳으로 나뉘어졌습니다. 두 곳 모두 사용해본 유저로서 장단점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더 프라자 골프 스튜디오 같은 곳을 생각하시면 됩니다. 많은 골프 유튜버들이 이 스튜디오에서 촬영하죠. 장점 1. 나 혼자 온전히 룸을 사용하기 때문에 주변 눈치를 보지 않고 마음껏 스윙하며 연습할 수 있습니다. 보통 생크가 나거나 스윙이 완전히 다듬어지지 않은 상황에서는 옆사람 타석으로 볼이 날아가거..

샤넬 코드 컬러 팝업 스토어 방문 후기 [내부링크]

요즘 핫한 마케팅 트렌드 중 하나가 바로 팝업 스토어입니다. 디올 성수로 시작해 이제 샤넬도 성수에 팝업 스토어를 열었는데요, 예전에는 가로수길 팝업이 대세였다면 지금은 성수동이 팝업의 핫 플레이스입니다. 과연 샤넬이 팝업 스토어를 열면 어떤 특별함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사전 방문 예약을 했습니다. *주소: 서울 성동구 아차산로9길 41 레이어41 샤넬 팝업 스토어는 사전 예약제로 운영됩니다. 방문 시간대는 촘촘하게 되어 있진 않고 세시간 정도로 잡혀있으며, 저는 저녁 시간대 (5시~8시)로 예약했습니다. *입장 마감 시간은 7시까지이니 참고하세요! 비가 오는 날이지만 대기 줄이 굉장히 길었고, 커플보다는 메이크업 브랜드 팝업 스토어인만큼 여성들이 친구끼리 많이 왔습니다. 실제로도 샤넬 팝업 스토어는 ..

올팜 작물 빨리 키우는 법 3가지와 앱 마케팅 전략 [내부링크]

내가 게임에서 키운 작물이 실제 집으로 온다? 올웨이즈 라는 회사에서 만든 모바일 게임 "올팜" 여러가지 작물 (오렌지, 사과, 고구마, 아보카도 등) 중 하나를 선택해 물을 주면서 레벨업하여 작물이 다 자라면, 내가 선택한 작물이 실제 집으로 배송되는 재미있는 컨셉의 앱테크 모바일 게임입니다. 올팜 작물을 빨리 키울 수 있는 방법과 이를 사례로 보는 앱 마케팅 전략을 말씀드리겠습니다. [1] 출석보상 활용하기 처음 올팜을 시작하는 팜린이에게 연속 출석 시 아래 이미지와 같이 매일 다른 리워드를 제공합니다. 아무래도 처음 시작 때 속도가 붙어야 유저들이 계속 하게 되니까요. 물, 고급비료 (경험치 2배로 작물 빨리 자라게 함), 올웨이즈 할인 쿠폰, 바둑이가 혜택으로 주어집니다. 바둑이는 4시간마다 무언..

브랜드 광고 모델 선정은 어떻게 할까? [내부링크]

브랜드가 신제품을 출시할 때, 가장 고심하고 오래 걸리는 단계 중 하나가 바로 TV CF 모델 선정입니다. 브랜드가 소비자에게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는 가장 빠르고 효과적인 수단이 TV 광고이기 때문입니다. 같은 제품을 들고 있더라도 이민정이 들고 있으면 엘레강스, 이효리가 들고 있으면 섹시한 이미지가 느껴지는 것처럼요. 1> 마케팅 전략 수립 :우선은 신제품의 마케팅 전략을 먼저 수립합니다. 타겟은 누가될 것인지 성별, 나이, 특이사항 등을 결정하고 어떤 식으로 소비자에게 접근할 것인지에 대한 굵직한 방향을 먼저 정립합니다. 그 후에 커뮤니케이션 전략이 시작됩니다. 2> 에이전시 RFP 공유 : RFP란 Request for Proposal의 약자로, 한마디로 "제안 요청서"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위..

스레드 (Threads), 현실에서 브랜드 계정 사용 현황 [내부링크]

가장 빠르게 트렌드가 변하는 것이 바로 소셜 미디어이나, 한동안 페이스북에서 인스타그램으로 트렌드가 넘어간 이후 계속 잠잠하게 이러한 기조가 유지되었습니다. (물론 틱톡이 있었지만.. 중국의 프라이버시 문제로 제외하겠습니다) 그러다 얼마 전 7월 9일,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을 운영하는 메타(Meta)에서 텍스트 기반 플랫폼 스레드 (Threads)를 출시했습니다. 3일만에 1억명 가까이 가입자를 만들어냈다며 흥행 예고를 했습니다. 이에 소셜 미디어 담당인 저는 고민에 빠졌습니다... 과연 브랜드 계정들도 트위터처럼 텍스트가 메인인 이 플랫폼을 앞으로 활발하게 사용하게 될지 말이죠. "우리 브랜드는 스레드를 사용해야 할까?" 브랜드 스레드 계정 활용 현황 일단 재미있는 댓글을 달며 소통하는 계정인 넷플릭스..

[마케팅 전략] 메가박스 부티크관 ㅡ 미션 임파서블7 데드 레코닝 [내부링크]

톰 크루즈가 오토바이로 벼랑 떨어지는 씬을 CG없이 찍은 걸로 유명한 2023 미션 임파서블 7 데드 레코닝 편을 메가박스 부티크관에서 관람했습니다. 일반석 영화관은 코엑스 기준으로 지하로 내려가지만, 부티크관은 위층에서 별도의 체크인과 음료 판매대를 운영하면서 특별한 서비스를 경험할 수 있도록 섹션이 구분되어 있었는데요, 부티크관을 따로 운영하는 메가박스의 마케팅 전략, 직접 경험해보면서 한번 논의해보려 합니다. 미션 임파서블 영화는 아무래도 긴박감과 스릴 넘치는 장면들 위주로 연출되기에, 부티크관과 같이 더 선명한 화질과 음향, 그리고 더 편안한 관람이 가능한 곳에서 경험해보았습니다. 메가박스는 현재 일반 영화관 이외에 특별관을 운영하면서 고객들에게 좀 더 차별화된 경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특별관은..

이제는 DOOH시대, 요즘 디지털 옥외광고 (DOOH) 알아보기 [내부링크]

옥외 광고(OOH)는 Out of Home 이라고 해서 집 밖의 장소에서 접하는 미디어 광고를 뜻한다고 했었습니다. 고층건물에 전광판이나 버스 정류장, 지하철 정거장 등에서 볼 수 있는 것이 대표적이죠. 그렇다면 DOOH는 무엇일까요? **이전 글 참고 눈에 띄는 마케팅 옥외광고 (OOH) 사례 눈에 띄는 마케팅 옥외광고 (OOH) 사례 예전에는 Awareness를 높이려면 TV와 같은 매스 미디어를 활용했지만, 최근에는 디지털 마케팅이 대세입니다. 하지만 아무래도 한번에 많은 사람들의 시선을 받고 주목도를 높이려면 옥외광고만한 digital-seniority.tistory.com DOOH란? 바로 Digital Out of Home 이라고 해서 디지털 옥외광고를 뜻합니다. 다른 용어로 말하면 디지털 사..

디지털 마케터가 되고 싶은 취준생이 갖춰야할 역량 [내부링크]

디지털 마케팅하면 떠오르는 단어는 Sns 마케팅, 디지털 광고, 인플루언서 마케팅 등등일 것입니다. 네, 맞습니다. 요즘 1070까지 모두 스마트폰을 쓰는 세상, TV보다는 OTT나 유튜브를 활용하는 세상이니까요. 그렇다면 디지털 마케팅하는 사람들은 어떤 역량을 갖춰야하는지 궁금하실 텐데,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디지털 마케터에게 필요한 역량과 경험 마케터가 되려면 전공이 마케팅이나 경영이어야 할까요? 그렇지 않습니다. 마케팅은 활용 범위를 한정짓지 않기 때문에 오히려 더욱 전공에 한계를 두지 않고 뽑는 경우가 더 많습니다. 오히려 면접을 본다면 개인의 업무 스타일이 어떤지 그리고 강점이 무엇인지 등 개인의 특성을 확인하여 해당 직무에 도움이 되는지를 확인하게 됩니다. 이때, 꼭 해당 직무의 경험이 없어도..

눈에 띄는 마케팅 옥외광고 (OOH) 사례 [내부링크]

예전에는 Awareness를 높이려면 TV와 같은 매스 미디어를 활용했지만, 최근에는 디지털 마케팅이 대세입니다. 하지만 아무래도 한번에 많은 사람들의 시선을 받고 주목도를 높이려면 옥외광고만한 게 없죠. 유동인구가 많은 지역에 위치하거나, 참신한 광고물을 활용하면 자연스럽게 바이럴이 되어 사람들의 SNS나 기사 등을 통해 온라인으로도 퍼져나갈 수 있기 때문입니다. 최근에 제 기억에 남았던 OOH 사례 몇 가지를 소개해보겠습니다. [기억에 남는 OOH #1] 메이블린 마스카라 옥외광고하면 스크린에 띄워지는 영상이나, 스틸 이미지 또는 조형물 정도가 흔히 떠오릅니다. 하지만 이번 메이블린 마스카라 광고물을 보고 굉장히 참신하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공간의 한 부분만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연관된 오브제를 활..

[마케팅 전략] 고급 뷔페로 오픈한 마키노차야 블랙, 성공할까? [내부링크]

10년 전쯤에 가족 외식으로 즐겨 가던 음식점이 강남에 있는 마키노차야 역삼점이었습니다. 그러다 1-2년 전쯤 없어져서 굉장히 아쉬웠습니다. 뷔페 중 그래도 퀄리티가 높고 해산물도 먹을만한 음식 위주로 나왔었기 때문입니다. 요즘 점점 마키노차야 지점이 줄어든다 싶었는데, 지난주 7월 7일 잠실 롯데월드타워 31층에 이라는 이름으로 오픈을 했더군요. 100달러 해산물 뷔페로 유명한 바이킹스워프 롯데월드몰점과는 어떻게 다를지도 궁금했습니다. 이러한 고급화 마케팅 전략을 마키노차야 블랙 사례로 확인해보겠습니다. 1/ 가격 요소 가격은 원래 기존 5만원대에서 12만 5천원으로 높게 책정하여 오픈했습니다. (성인 디너 기준) 가격부터 '이전 일반 지점과는 뭔가 다르겠구나'하고 느껴졌고, 가격에서 부터 퀄리티에 대..

디지털마케터 하루 업무 루틴 공개 (feat. 외국계 회사 마케팅) [내부링크]

디지털마케터의 하루 업무 일과는 어떻게 될까요? 마케터를 꿈꾸는 취업 준비생분들, 혹은 이직을 꿈꾸며 마케팅 직무가 궁금하신 분들이 맛보기 할 수 있도록 디지털마케터의 업무 루틴을 적어보고자 합니다. 업계와 회사 규모에 따라 상이하겠지만, 우선 외국계 마케팅 기준으로 작성해보겠습니다. 1. 소셜 미디어 포스팅 준비 외국계 회사를 다닌다면 글로벌 전체에서 브랜드가 갖는 이미지와 메시지를 한국에서도 일관성있게 전달해야 합니다. 기본적으로는 본사 계정에서 올라오는 포스팅을 국내 브랜드 계정에도 업로드해야 합니다. 그래서 매일 아침 가장 먼저 본사 계정 포스팅을 확인하고, 로컬라이제이션 (Localization) 하여 포스팅을 합니다. 만약 우리나라 문화와 맞지 않거나, 해외에서만 진행되는 행사 소식, 국내에 ..

[마케팅 전략] 퍼스널라이제이션의 힘 - 의미있는 브랜드 경험 주기 [내부링크]

최근에는 어떤 업계든 퍼스널라이제이션 (Personalization, 개인화)이 얼마나 잘 되는가가 효과적인 마케팅의 핵심입니다. 퍼스널라이제이션이란 소비자 개인의 취향, 관심사, 구매이력, 나이 등을 기반으로 특정 고객에게 정교하게 맞춤형을 제공하는 것을 뜻합니다. 그것이 서비스든, 제품이든, UI/UX든 상관없습니다. 내가 원하는 것과 내 취향에 얼마나 맞춰서 타겟팅되는지가 요즘 마케팅 트렌드이고 이를 통해 브랜드에 호감도를 느끼고 로열티가 쌓이면서, 구매와 관계 형성이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그럼 이러한 퍼스널라이제이션 전략과 사례를 알아보겠습니다. 1. UI/UX 사례 - 넷플릭스 넷플릭스는 각 개인의 취향을 파악해 각기다른 추천 영상과 큐레이션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브랜드입니다. 시청 콘텐츠, 평..

[마케팅 사례] 음료로 알아보는 소비자 머리속에 브랜드 각인시키는 법 [내부링크]

사람들의 뇌는 사실 굉장히 단순합니다. 복잡한 정보를 최대한 축약해 저장하기 위해 키워드 중심으로 기억을 합니다. 이러한 점을 브랜드가 노리고 광고를 만들거나 소비자와 커뮤니케이션을 하고 있는데요, 대표적인 음료 브랜드들을 예시로 어떻게 소비자 머릿속에 브랜드를 각인시키는지 확인해보겠습니다. 마라톤 끝나면 먹는 파워에이드 마라톤과 같은 행사가 있을 때 완주 지점에 꼭 들어서려고 하는 브랜드가 바로 펩시 또는 코카콜라입니다. 길고 힘든 여정 끝에 이렇게 시원한 음료를 통해 갈증 해소와 함께 마라톤 완주의 기쁨을 시원하게 맛본다는 "경험"을 브랜드와 함꼐 녹여 체험시킴으로써, 사람들의 뇌에 브랜드 이미지가 박힐 수 있기 때문입니다. 색깔 또한 시원한 파란색을 사용했습니다. 이렇게 오감으로 한번에 브랜드를 경..

블라인드 앱 광고 효과, 제작 가이드 - 디지털마케터의 경험과 고찰 [내부링크]

직장인 익명 커뮤니티 블라인드 앱, 다들 아시죠? 처음엔 이직하려고 각 기업의 솔직한 회사 내부 이야기와 평가가 알고 싶어 가입했는데 알고보니 정말 그냥 직장인들이 모여서 익명으로 블라블라 떠드는 앱이어서 당황했는데요. 그만큼 더 많은 사람들이 편하게 접속하고 자주 접속한다는 뜻이 되기도 하죠. 이런 블라인드 앱에 우리 브랜드 광고를 하면 과연 효과가 어떻게 되는지 알아볼게요. 디지털 배너 광고 효과 - 블라인드편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클릭율은 배너 소재와 카피에 따라 물론 다르지만, 저희 브랜드 기준 다른 디지털 플랫폼 지면들보다 확실히 네트워크 지면이다보니 노출(impression) 및 클릭율이 높게 나오는 매체입니다. 동일한 디지털 배너를 네이버 GFA와 비교해본 결과, 블라인드 앱 피드 광고 클릭..

마케팅 기획에 필요한 기본 스킬 [내부링크]

마케팅 기획서 작성 전, 글로 표현하기 전에 먼저 머릿속에 정리가 잘 되어야 한번에 빨리 작성할 수 있는데요. 디테일한 항목을 생각하기 전에 큰 그림을 생각해야 해요. 그러기 위해서 마케터라면 기본적으로 머릿속에 가지고 있어야 하는 프로세스를 말씀드리려 합니다. 아래 항목을 보면서 지금 내가 가지고 있는 프로젝트를 천천히 뜯어보시면 막연했던 뜬구름이 조금씩 뚜렷하게 보일 수 있을 거예요. THINK 프로세스Task (프로젝트 분석)-주제 파악 -목표 설정 -목표 달성을 위한 장애물과 활용가능한 자원은 각각 무엇이 있나 -SWOT 분석 (Strenghts, Weakness, Opportunity, Threat) -예상 결과 (구체적이고 측정가능한 액션으로 표현) -타임라인 설정 Hypothesis (가정)..

현직 브랜드 마케터가 말하는 마케팅 직무 종류와 분석 - 면접을 한방에 [내부링크]

기업마다 브랜드 마케팅 직무는 Product별로 구분하는 곳이 있고, Functional로 구분하는 곳이 있어요. 제가 다니고 있는 외국계 회사를 기준으로 설명 드릴게요. Product별 구분이란, 각 담당자들이 제품 카테고리별로 매니저가 되어 자신이 담당한 제품의 출시 전략 기획부터 디자인, 런칭 이벤트, 소비자 커뮤니케이션 등을 모두 플랜하고 콘트롤하는 거예요. 반면 Functional이란 제품으로 구분하지 않고 마케팅 기능적으로 구분하는 거예요. 일반적으로는 브랜드 마케팅팀 안에서는 디지털 마케팅, 이커머스 마케팅 (CRM 마케팅) , 트레이드 마케팅, PR 홍보 정도로 마케팅 직무가 구분되어요. 즉 제품이 무엇이든 간에 마케팅 활동이 이루어지는 영역에 따라 디지털 마케팅/이커머스 마케팅/트레이드 ..

퍼포먼스 마케팅 vs 브랜드 마케팅 하는 일과 차이점 [내부링크]

마케팅 하는 일 또는 직무 등을 찾다보면 퍼포먼스 마케팅이라는 단어가 많이 보일 거예요. 기술이 발달하면서 Data-driven 이 중요해지고, 온라인 광고 시장이 커지면서 퍼포먼스 마케팅이 급부상했던 때가 있습니다. 하지만 퍼포먼스 마케팅만 존재할 수는 없을 텐데요, 그러면 앞 글에서 설명드렸던 브랜드 마케팅과 퍼포먼스 마케팅은 어떤 차이가 있는지, 이 둘은 어떻게 하는 일이 다른지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퍼포먼스 마케팅이란 퍼포먼스 마케팅은 온라인 광고나 앱에서 구매/클릭/가입 등의 액션이 이루어졌을 때만 광고비가 지불되는 마케팅을 말해요. '퍼포먼스(성과)'라는 단어에서 느껴지듯이, 브랜드가 광고에 투자한 비용에 대해 어떤 성과(결과)가 있었는지가 바로바로 보일 수 있죠. 돈을 썼으면 효과가 얼마나 ..

인하우스 마케터 vs 마케팅 대행사 마케터 하는 일과 차이점 [내부링크]

'마케팅'이라는 단어가 굉장히 포괄적이라, 취준생 입장에서 마케팅은 굉장히 막연하게 느껴져요. 하지만 어떤 회사에서 마케팅 취업에 성공하여 내가 마케팅 업무를 하느냐에 따라, 하게 되는 일이 굉장히 달라지는데요. 취준하면서 본 인하우스 마케터는 무엇인지, 마케팅 대행사들은 어떤 차이가 있는지 궁금하셨을 거예요. 나는 그 중에 어떤 마케팅 직무를 하고 싶은지, 이 글을 보면서 큰 방향을 정리해봅시다. 1. 인하우스 vs 대행사 인하우스 마케터란, 기업 내에서 브랜드 관리와 마케팅 업무를 하는 마케터로 보면 돼요. 삼성전자 마케팅 부서 안에서 마케팅 기획부터 액션까지 모든 것을 관리하면서 브랜드를 소비자에 전달하는 과정을 담당하는 게 인하우스 마케터라고 할 수 있죠. 쉽게 말하면 기업에 소속된 마케터에요. ..

헷갈리는 용어 정리, '브랜드' '브랜딩' '브랜드마케팅' 개념 총정리 [내부링크]

안녕하세요 디지털마케터줏대감입니다. "브랜드, 브랜딩, 브랜드 마케팅" 이 세 단어를 들으면 뭔지는 알겠는데.. 한 마디로 정리하기는 어려운데요 마케터가 되고 싶지만, 또는 마케터 라고 자칭하지만 스스로도 머릿속에 개념 정리가 명확하지 않다면, 이번 글 보고 한번에 정리해보아요. 1. 브랜드란? 아마 가장 쉬울 거예요. '난 이 브랜드가 좋아' '요즘 저 브랜드가 핫하대' 와 같이, 브랜드는 제품/서비스를 만든 회사 나 특정 업종/제품군을 대표하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즉, 사람들이 어떤 회사의 제품이나 서비스를 경험해보면서 머릿속에 남는 총체적인 이미지 라고 볼 수 있습니다. 역시나 대표적인 예가 애플이 되겠습니다. 애플이라는 회사를 들었을 때 내 머릿속에 느껴지는 그 이미지가 바로 브랜드인 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