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techpedia의 등록된 링크

 jatechpedia로 등록된 티스토리 포스트 수는 96건입니다.

[물가지수] BEI(기대인플레이션) 개념 총정리 [내부링크]

- 개념 - 물가지수 총정리 포스팅에서 다뤘듯이 물가와 관련된 지표로는 다양한 지수들이 있으며, 크게 실제측정/기대심리/시장추정 물가지수로 나눌 수 있습니다. 오늘 다뤄볼 BEI는 시장추정 물가지수의 가장 대..

[물가지수] CPI & PPI 스프레드 (+주가 예측 모델) [내부링크]

- CPI & PPI - CPI(소비자물가지수)는 소비자 관점에서 바라본 물가상승률이며 소비자의 구매력을 보여줍니다. 반면, PPI(생산자물가지수)는 생산자 관점에서 바라본 물가상승률로 기업의 비용부담과 관련이 있습..

[물가지수] PPI(생산자물가지수) 개념 총정리 [내부링크]

- 개념 - PPI는 Producer Price Index의 약자로 우리말로 하면 생산자물가지수입니다. 풀어서 설명하자면, PPI는 국내 시장의 도매수준에서 기업(생산자) 상호간에 거래되는 상품과 서비스의 종합 평균적인 가격변..

[물가지수] CPI(소비자물가지수) 개념 총정리 [내부링크]

- 개념 - 물가지수 중에 가장 많이 통용되는 지표가 소비자물가지수(consumer price index, CPI)입니다. 그렇기에 CPI의 발표는 기준금리, 정책방향, 소비심리, 월급인상율, 실업률, 환율 등 경제 전반에 걸쳐 많..

[ETF 분석] ① ETF 장단점 및 체크리스트 [내부링크]

- ETF 정의 - ETF는 Exchange-Traded Fund의 약자로 우리말로는 상장지수펀드라고 합니다. 먼저 펀드란 투자기관과 같은 운용사가 고객이 맡기 투자금을 약속된 금융상품 또는 실물상품에 투자하여 투자실적을 투..

[ETF 분석] ④ AUM(시가총액) & ADV(거래대금) [내부링크]

- AUM - ETF의 AUM이란 Asset Under Management의 약자로 해당 ETF에서 운용하는 총자산규모를 의미합니다. AUM은 발행한 ETF수에 현재 가격을 곱하여 구해지니 어떻게 보면 ETF의 시가총액이라고 부를 수 있겠네..

[ETF 분석] ③ 추적오차 & 괴리율 (+ 순자산가치) [내부링크]

- 기초지수 - ETF는 우리말로 상장지수펀드라고 하며 정의 자체가 기초지수의 성과를 추적하는 목표를 갖고 주식시장에 상장된 금융상품입니다. 따라서 모든 ETF는 추종하는 기초지수(벤치마크 지수)가 존재하며,..

[ETF 분석] ② 숨어 있는 총비용 [내부링크]

- ETF 비용 - 이번 포스팅에서는 ETF의 비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ETF는 개별 주식 투자와 달리 운용사에 비용을 지불해야 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비용만큼 실제 수익률에서 마이너스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

[선물 지표]암호화폐 선물시장의 펀딩비 [내부링크]

- 펀딩비 - 펀딩비(funding rate)란 무기한 선물에서 롱 또는 숏 비율이 어느 한 쪽으로 쏠렸을 때, 비율이 높은 포지션의 투자자들이 주기적으로 반대 포지션의 투자자에게 지불하는 비용을 의미합니다. 무기한..

[기타지표] 일목균형표 ⑤ 형보론 [내부링크]

먼저 일목균형표에 대한 기본적인 설명은 이전 포스팅 일목균형표 ① 참고바랍니다. 일목균형표 이론은 크게 시간론, 가격론, 파동론, 형보론으로 구성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일목균형표 이론의 마지막 형보..

[기타지표] 일목균형표 ④ 파동론 [내부링크]

먼저 일목균형표에 대한 기본적인 설명은 이전 포스팅 일목균형표 ① 참고바랍니다. 일목균형표 이론은 크게 시간론, 가격론, 파동론, 형보론으로 구성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일목균형표 이론의 기본이 되는..

[기타지표] 일목균형표 ③ 가격론 [내부링크]

먼저 일목균형표에 대한 기본적인 설명은 이전 포스팅 일목균형표 ① 참고바랍니다. 일목균형표 이론은 크게 시간론, 가격론, 파동론, 형보론으로 구성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일목균형표 이론의 기본이 되는..

[기타지표] 일목균형표 ② 시간론 [내부링크]

먼저 일목균형표에 대한 기본적인 설명은 이전 포스팅 일목균형표 ① 참고바랍니다. 일목균형표 이론은 크게 시간론, 가격론, 파동론, 형보론으로 구성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일목균형표 이론의 기본이 되는..

[기타지표] 일목균형표 ① 정의, 계산, 설정, 활용 [내부링크]

- 정의 - - 매수세와 매도세간 균형이 어느 쪽으로 쏠려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 주가의 움직임을 예측하기 위해 5개의 의미 있는 선을 이용합니다. - 새로운 추세가 나타날 때 일정한 시간적인 수열에 따..

신종자본증권 (하이브리드 채권) [내부링크]

- 정의 - 신종자본증권은 주식의과 채권의 성격을 복합적으로 갖고 있는 금융상품으로 다른 말로는 하이브리드채권(hybrid bond)이라고도 합니다. 위의 말만 들으면 이전에 다룬 메자닌채권과 다를 것이 없어 보이..

메자닌 (전환사채, 신주인수권부사채, 교환사채) [내부링크]

- 메자닌 - 메자닌(mezzanine)은 건물 1층과 2층 사이에 있는 라운지 공간을 의미하는 이탈리어입니다. 금융시장에서 메자닌은 채권과 주식의 중간적인 성격을 가진 금융상품을 말합니다. 기본적으로 채권이기 때..

[선물 지표]암호화폐 선물시장의 미체결약정 [내부링크]

먼저 코인/주식 선물시장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가 없으신 분들은 이전 선물시장의 청산 관련 포스팅 참고바랍니다. - 미체결약정 - 선물시장에서 롱/숏 포지션에 진입하는 것을 포지션을 오픈(open)한다라는 말을..

[선물 지표]암호화폐 청산맵 (+ 숏 커버링 & 스퀴즈) [내부링크]

- 청산 - 청산(liquidation)이란 투자에서 취했던 포지션을 종료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여기서 포지션이란 롱과 숏 두 가지가 있는데 해당 자산의 가격이 상승할 때 수익을 번다면 롱(long) 포지션이라 하고, 반대..

[거래소 지표] 오더북 기반의 CVD & Fire 차트 [내부링크]

- CVD - CVD란 Cumulative Volume Delta의 줄임말로 누적된 거래량 델타라는 의미입니다. 여기서 '델타'란 얼마나 시장참여자들이 공격적으로 매매하는지를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보통 공격적으로 매매하려면 지정..

물가연동채(TIPS) [내부링크]

- 정의 - 물가연동채는 물가에 따라 원금 및 이자가 변동하는 국채를 의미합니다. 영어로는 Treasury Inflation Protected Securites로 줄여서 TIPS라고 흔히 부릅니다. 구체적인 수익구조를 살펴보면, 발행된 채..

[배당 관련 용어] 배당락, 배당성장주, 배당귀족, 우선주 [내부링크]

먼저 배당에 대한 개념과 관련 지표(DPS, 배당수익률, 배당성향)는 이전 포스팅 참고바랍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배당 관련되서 많이 쓰이는 용어들을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https://jatechpedia.tistory.com/3..

액면분할 & 액면병합 [내부링크]

- 액면가 - 액면가(par value)는 회사 설립 시 투자한 자본금을 바탕으로 처음 설정한 1주의 가격을 말합니다. 액면가는 주식을 발행할 때 주식의 수를 정하는 역할을 합니다. 자본금 = 액면가 x 발행주식수 예를..

무상감자 개념정리 (+ 자본잠식, 출자전환) [내부링크]

먼저 증자와 감자에 대한 기본적인 설명은 해당 링크 참고바랍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감자의 한 종류인 무상감자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유상감자에 대한 설명은 해당 포스팅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유상감자 개념정리 (+ 자사주 취득 후 소각) [내부링크]

먼저 증자와 감자에 대한 기본적인 설명은 해당 링크 참고바랍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감자의 한 종류인 유상감자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무상감자에 대한 설명은 해당 포스팅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유상증자 개념정리 (+ 권리락, 신주인수권) [내부링크]

먼저 증자와 감자에 대한 기본적인 설명은 해당 포스팅 참고바랍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증자의 한 종류인 유상증자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무상증자에 대한 설명은 링크를 누르시면 확인하실 수 있습니..

무상증자 개념정리 (+ 권리락, 주식배당, 액면분할) [내부링크]

먼저 증자와 감자에 대한 기본적인 설명은 해당 포스팅 참고바랍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증자의 한 종류인 무상증자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유상증자에 대한 설명은 링크를 누르시면 확인하실 수 있습니..

증자 & 감자 [내부링크]

- 증자 - 기업이 자금을 조달하기 위한 방법은 크게 보면 2가지가 있습니다. 첫째는 신주를 발행하여 회사의 일정부분 지분을 나눠주고 투자받는 '자기자본 조달'이 있으며 둘째는 채권을 발행하거나 대출을 받아..

미국주식의 공포 탐욕 지수 (CNN Fear & Greed Index) [내부링크]

- 시장심리 - 주식이나 암호화폐의 가격을 움직이는 것은 펀더멘덜도 있지만 시장의 심리도 매우 크게 작용합니다. 시장의 낙관론이 과도해지고 시장참여자들의 탐욕이 커지면 가격은 펀더멘털보다 훨씬 높게 형성..

[시장강도지표] MFI ② 다이버전스 [내부링크]

먼저 MFI에 대한 기본적인 설명은 이전 포스팅 [시장강도지표] MFI 참고바랍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MFI에서 더욱 유의미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다이버전스를 알아보겠습니다. - 다이버전스 - 차트분석에서 다이..

[시장강도지표] MFI ① 정의, 계산, 설정, 활용 [내부링크]

- 정의 - - Money Flow Index의 약자로 자금흐름지수라고 번역됩니다. - 대표적인 시장강도 지표로 자금의 유입 강도를 나타냅니다. - RSI 지표에 거래량까지 함께 고려한 지표로 볼 수 있습니다. - 계산 - TP(typ..

[변동성지표] 볼린저밴드 ③ DBB 기법 [내부링크]

먼저 볼린저밴드에 대한 기본적인 설명은 이전 포스팅 볼린저밴드 ① 참고바랍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볼린저밴드를 사용한 매매 기법 중 하나인 DBB(더블 볼린저밴드) 기법에 대해 소개해보겠습니다. - 설정 - -..

[변동성지표] 볼린저밴드 ② 파생지표(BBW, %B) [내부링크]

먼저 볼린저밴드에 대한 기본적인 설명은 이전 포스팅 볼린저밴드① 참고바랍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볼린저밴드에서 파생되는 2 가지 지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BBW 개념 - BBW = (상단선 - 하단선) / 중심..

[변동성지표] 볼린저밴드 ① 정의, 계산, 설정, 활용 [내부링크]

- 정의 - - 볼린저밴드(Bollinger Bands)는 가장 대표적인 변동성 지표로 줄여서 볼밴(BB)라고도 부릅니다. - 볼린저밴드의 기본 가정은 통계학적 특성에 의거하여 주가의 변동폭이 전과 유사하게 움직인다는 것을..

PEGY - 피터 린치와 존 네프의 투자기준 [내부링크]

이번 포스팅에서 설명하는 PEGY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PER, EPS 성장률, 배당 수익률, PEG의 개념을 알아야합니다. 혹시 이 단어들에 대해 잘 모르신다면, 해당 개념들은 주식투자를 한다면 반드시 알아야 하..

물가지수 총정리 (CPI, PCE, BEI, 기대인플레이션) [내부링크]

- 물가 - 물가(price)란 말 그대로 물건의 값을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여러가지 상품 및 서비스의 값을 종합적이고 평균적으로 나타낸 개념입니다. 물가의 향방은 실제 국민들의 살림살이, 소비력에 큰 영향을 주게..

[채굴 지표]채굴자 포지션 지표(MPI) [내부링크]

- 채굴자 관련 지표 - 비트코인 시장에서 매매 주체는 크게 개인, 세력, 채굴자 이렇게 나눌 수 있습니다. 여기서 주식에선 볼 수 없는 채굴자라는 집단이 존재하는데 이들은 대개 고래에 해당할 정도로 지분이 많..

내부자 거래 - 확실한 주가향방 시그널 [내부링크]

- 내부자 거래 - 내부자란 회사와 이해관계가 얽혀있는 기업 임직원이나 주요 주주를 의미합니다. 내부자 거래(insider trading)는 내부자들이 해당 기업의 주식을 매수 또는 매도하는 것이겠죠. 기업의 내부자들..

자사주 매입 & 소각 - 주주환원정책 [내부링크]

- 주주환원정책 - 주주환원정책이란 주주들에게 이익을 돌려주어 주주가치를 제고할 수 있는 정책을 의미합니다. 기업이 주주환원정책을 적극적으로 수행해야 주주들은 회사를 믿고 장기적으로 투자할 수 있습니다..

PEG (주가 순이익 성장 비율) [내부링크]

- PEG - PEG = PER / (EPS 성장률 X 100) PEG(Price Earning to Growth ratio)는 주가 순이익 성장 비율로 PER을 EPS 성장률로 나누어 구해집니다. 가끔 PEGR로 부르는 경우도 있습니다. 여기서 EPS 성장률은 보통..

잉여현금흐름(FCF) & 자본적지출(CAPEX) [내부링크]

- FCF - 잉여현금흐름(Free Cash Flow, FCF)은 기업이 영업활동을 하면서 벌어들인 현금흐름 중 세금, 영업비용, 설비투자액 등을 제외하고 남은 현금을 의미합니다. 이렇게 남은 잉여현금흐름은 배당, 자사주매입..

[현금흐름표] 영업활동/투자활동/재무활동 현금흐름 [내부링크]

- 현금흐름표란? - 재무제표는 기업이 제공하는 기업의 재무상태와 경영성과를 체계적으로 보여주는 자료입니다. 재무제표는 재무상태표, 손익계산서, 자본변동표, 현금흐름표, 주석으로 이루어집니다. 이번 포스..

[자본변동표] 자본금, 자본잉여금, 자본조정, 이익잉여금 [내부링크]

- 자본변동표란? - 재무제표는 기업이 제공하는 기업의 재무상태와 경영성과를 체계적으로 보여주는 자료입니다. 재무제표는 재무상태표, 손익계산서, 자본변동표, 현금흐름표, 주석으로 이루어집니다. 이번 포스..

[인간 지표]암호화폐 시장의 공포 탐욕 지수 (Fear & Greed Index) [내부링크]

- 시장심리 - 주식이나 암호화폐의 가격을 움직이는 것은 펀더멘덜도 있지만 시장의 심리도 매우 크게 작용합니다. 시장의 낙관론이 과도해지고 시장참여자들의 탐욕이 커지면 가격은 펀더멘털보다 훨씬 높게 형성..

RSI + MACD 조합 [내부링크]

- RSI & MACD - RSI는 가장 대표적인 모멘텀지표이며, MACD는 대표적인 추세지표입니다. RSI는 추세의 강도와 방향을 알려주며, 이를 통해 현재 주가가 과매도/과매수인지 판단할 수 있습니다. MACD는 두 이동평균..

[추세지표] MACD ② 다이버전스 [내부링크]

먼저 MACD에 대한 기본적인 설명은 이전 포스팅 [추세지표] MACD 참고바랍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MACD에서 더욱 유의미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다이버전스를 알아보겠습니다. - 다이버전스 - 차트분석에서 다이..

[추세지표] MACD ① 정의, 계산, 설정, 활용 [내부링크]

- 정의 - - Moving Average Convergence Divergence의 약자 - 말 그대로 이동평균선 간 수렴/확산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는 지표 - 장기. 단기 이동평균선의 차이를 통해 주가의 추세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추세지..

건들락 지표 - 구리/금 가격비율 [내부링크]

- 구리와 금의 특징 - 구리와 금은 대표적인 금속 원자재이며, 투자목적으로도 선물 시장에서 활발하게 거래됩니다. 금메달과 동메달을 생각하면 이 둘은 어느정도 비슷한 성격을 가질 것 같지만 그 특징와 쓰임새..

Dr. Copper - 구리가격은 곧 경기선행지표 [내부링크]

- 구리의 특징 - 구리(copper)는 원자번호 29번인 금속원소로 '동'이라고도 부릅니다. 동메달에서 볼 수 있는 적갈색 광택있는 금속이 대표적인 구리라고 할 수 있죠. 구리의 첫번째 특징은 열과 전기 전도성이 매..

시니어 론 오피서 서베이 - 대출기준 강화 순응답비율 [내부링크]

- 시니어 론 오피서 서베이  - 시니어 론 오피서 서베이(senior loan officer survey, SLOS)란 연준에서 시중은행 대출책임자를 대상으로 실시하는 대출기준 관련 설문조사입니다. 미국 국내 은행이 제공하는..

[모멘텀지표] RSI ③ 더블 RSI 기법 [내부링크]

먼저 RSI에 대한 기본적인 설명은 이전 2개의 포스팅 [모멘텀지표] RSI, 다이버전스 참고바랍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RSI를 사용한 매매 기법 중 하나인 더블 RSI 기법에 대해 소개해보겠습니다. - 설정 - - 2개..

[모멘텀지표] RSI ② 다이버전스 [내부링크]

먼저 RSI에 대한 기본적인 설명은 이전 포스팅 [모멘텀지표] RSI 참고바랍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RSI에서 더욱 유의미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다이버전스를 알아보겠습니다. - 정의 - - 다이버전스(divergence)..

[모멘텀지표] RSI ① 정의, 계산, 설정, 활용 [내부링크]

- 정의 - - Relative Strength index의 약자로 상대강도지수라고 번역됩니다. - 대표적인 모멘텀 지표로 추세의 강도와 방향을 나타냅니다. - 계산 - U(up) : 전날 주가보다 오늘 주가가 상승할 때의 주가 상승폭..

[거래소 지표]거래소 보유량 및 입금량 [내부링크]

- 거래소와 지갑 - 암호화폐를 매수하기 위해선 첫번째 관문이 있습니다. 바로 업비트와 같은 중앙화된 거래소이죠. 한국을 예로 들면 업비트, 빗썸과 같은 정부에서 하가가 된 거래소에서만 자신의 실명인증된 은..

하이일드 스프레드 - 채권시장의 경기위험지표 [내부링크]

- 하이일드채권  - 하이일드 채권이란 말 그대로 높은 수익률(금리)을 주는 회사채를 말합니다. 회사에서 채권자에거 높은 금리를 주는 이유는 해당 기업의 신용도가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

[차트 모델]비트코인/이더리움 Pi-cycle [내부링크]

- 이동평균선 - 기술적 분석의 가장 기본이 되는 지표는 뭐니 뭐니 해도 이동평균선입니다. SMA, EMA 등 이동평균선 종류에 대해 모르신다면 이동평균선 포스팅 참고바랍니다. 이동평균선을 활용하는 유명한 방법..

[채굴 지표]비트코인 퓨엘 멀티플 [내부링크]

- 채굴자 동향 - 비트코인은 작업증명방식(PoW)으로 채굴되는 코인입니다. 다시 말해, 비트코인을 얻는 방법은 이미 공급된 코인을 시장에서 매수하는 것 말고도 그래픽카드를 돌려 새로 공급되는 코인을 채굴할..

[채굴 지표]비트코인 해시레이트 & 해시리본 [내부링크]

- PoW - 코인을 채굴하는 방식에는 크게 작업증명방식(PoW)과 지분증명방식(PoS)이 있습니다. 먼저 작업증명방식은 그래픽카드가 일한만큼 코인을 채굴해가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코인 채굴을 많이 하기 위해선 좋..

장단기 금리차 역전과 경기침체 역사 [내부링크]

먼저 채권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이 없다면 이전에 올렸던 채권시장 포스팅을 참고바랍니다. 이번 포스트에서 다룰 내용을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실거에요. 채권의 기본개념 (정의, 특징, 종류) (tistory.com)..

기술적 분석 보조지표 종류 정리 [내부링크]

- 기술적 분석 - 기술적 분석은 간단히 말하면 차트 분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시장에서 차트의 과거 움직임에서 근거를 찾아 미래의 움직임을 예측하는 방식입니다. 기술적 분석은 주식시장의 역사동안 지속해..

투자 일지 작성의 중요성 [내부링크]

- 투자의 근거 - 투자에는 논리와 근거가 있어야합니다. 물론 논리와 근거가 있다고 수익을 보장해주는 것은 아니지만 내가 생각한 논리를 염두에 두고 있다면 예상치 못한 상황이 왔을 때 합리적인 대응을 할 수..

[도미넌스 지표] 스테이블코인(USDT + USDC) 도미넌스 [내부링크]

- 스테이블 코인 - 루나 테라 사건으로 크립토 투자자가 아니어도 스테이블 코인은 한번쯤 들어봤을텐데요. 스테이블 코인은 특정 가격을 유지하도록 설계된 코인이란 의미로 보통 1달러를 유지하게 설계된 코인입..

[배당 관련 지표] DPS, 배당수익률, 배당성향 [내부링크]

- 배당 - 주식 투자자들이 얻을 수 있는 수익은 크게 시세차익과 배당금 두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배당(dividend)은 회사가 주주들에게 투자를 해준 대가로 회사가 번 돈을 소유지분에 따라 현금이나 주식으로..

[재무비율] 기업 가치평가 (PER, PBR, PSR, PCR, EV/EBITDA) [내부링크]

주식투자에서 기본적분석을 할 때 재무제표, 그 중 특히 재무상태표와 손익계산서는 매우 중요한 자료입니다. 하지만 해당 자료에 나타나는 각각의 절대적인 수치만으로는 유의미한 분석이 힘듭니다. 좀 더 유의미..

[재무비율] 활동성 지표 (회전율) [내부링크]

주식투자에서 기본적분석을 할 때 재무제표, 그 중 특히 재무상태표와 손익계산서는 매우 중요한 자료입니다. 하지만 해당 자료에 나타나는 각각의 절대적인 수치만으로는 유의미한 분석이 힘듭니다. 좀 더 유의미..

[재무비율] 성장성 지표 (매출액 증가율, 영업이익 증가율) [내부링크]

주식투자에서 기본적분석을 할 때 재무제표, 그 중 특히 재무상태표와 손익계산서는 매우 중요한 자료입니다. 하지만 해당 자료에 나타나는 각각의 절대적인 수치만으로는 유의미한 분석이 힘듭니다. 좀 더 유의미..

명목금리와 실질금리의 차이 [내부링크]

이전 포스팅에서 기준금리에 대해 다뤄보았는데요. https://jatechpedia.tistory.com/31 이번에는 명목금리와 실질금리에 대해 다뤄보겠습니다. - 명목금리 - 각 나라 중앙은행의 통화정책 결정기구에서 기준금리..

기준금리 결정이 주식과 채권에 미치는 영향 [내부링크]

- 기준금리 - 기준금리(base rate)는 각 나라 중앙은행(한국의 경우에는 한국은행)의 최고 결정기구에서 국내외 경제활동 상황이나 물가 변동 등을 고려하여 결정하는 금리를 의미합니다. 다른 말로는 정..

채권 직접 투자 (장내채권 & 장외채권) [내부링크]

이번 포스팅에서는 개별 채권에 직접투자하는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채권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이 부족하다면 아래 포스팅 먼저 읽고 오시길 추천합니다. 채권의 기본개념 (정의, 특징, 종류..

채권 투자 방법 (개별 채권 vs 채권 ETF) [내부링크]

채권을 투자하는 방법은 개별적인 채권을 직접 매수하는 직접투자 방식과 ETF, 펀드, Wrap 등을 통해 매수하는 간접투자 방식이 있습니다. 간접투자 방식은 기본적으로 운용수수료가 있는데,..

채권 가격과 금리의 상관관계 [내부링크]

이번 포스팅에서는 채권의 가격과 수익률(금리)와의 상관관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채권에 대한 기본 개념이 부족하면 채권의 기본개념 (정의, 특징, 종류)  이전 포스팅을 참고해주세요. - 채권 금리 정..

채권의 기본개념 (정의, 특징, 종류) [내부링크]

금융시장의 양대산맥은 주식과 채권입니다. 대부분의 일반투자자들은 주식투자에 대해서는 어느정도 이해하고 경험도 있지만, 채권투자에 대해서는 해본 적도 없고 잘 모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레버리지 투자] ② 바닥 잡기 전략 [내부링크]

레버리지란 영어로 지렛대를 의미합니다. 지렛대는 고정축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서 적은 힘으로도 큰 힘을 낼 수 있게 해주죠. 따라서 투자 분야에서 레버리지란 적은 자기 자본으로 큰 투자 효과를 내는 투자를..

[레버리지 투자] ① 적정 레버리지 장기 투자 전략 [내부링크]

레버리지란 영어로 지렛대를 의미합니다. 지렛대는 고정축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서 적은 힘으로도 큰 힘을 낼 수 있게 해주죠. 따라서 투자 분야에서 레버리지란 적은 자기 자본으로 큰 투자 효과를 내는 투자를..

[재무비율] 수익성 지표 (ROE, ROA, 영업이익률) [내부링크]

주식투자에서 기본적분석을 할 때 재무제표, 그 중 특히 재무상태표와 손익계산서는 매우 중요한 자료입니다. 하지만 해당 자료에 나타나는 각각의 절대적인 수치만으로는 유의미한 분석이 힘듭니다. 좀 더 유의미..

[포괄손익계산서] 매출, 수익, 비용, 이익 [내부링크]

- 포괄손익계산서란? - 재무제표는 기업이 제공하는 기업의 재무상태와 경영성과를 체계적으로 보여주는 자료입니다. 재무제표는 재무상태표, 포괄손익계산서, 자본변동표, 현금흐름표, 주석으로 이루어지며 이..

초장기 투자전략 (대부분의 존버는 잘못되었다.) [내부링크]

오늘은 초장기투자 전략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기본적인 가정은 20년 이상 포트폴리오를 수정하지 않고 특정 자산을 묻어두거나 기계식으로 적립해가는 상황입니다. 보통 개인연금이나 퇴직연금을 운영할 때나..

[재무비율] 안정성 지표 (부채비율, 유동비율, 유보율) [내부링크]

주식투자에서 기본적분석을 할 때 재무제표, 그 중 특히 재무상태표와 손익계산서는 매우 중요한 자료입니다. 하지만 해당 자료에 나타나는 각각의 절대적인 수치만으로는 유의미한 분석이 힘듭니다. 좀 더 유의미..

[재무상태표] 자산, 부채, 자본 [내부링크]

- 재무상태표란? - 재무제표는 기업이 제공하는 기업의 재무상태와 경영성과를 체계적으로 보여주는 자료입니다. 재무제표는 재무상태표, 손익계산서, 자본변동표, 현금흐름표, 주석으로 이루어지며 이 중 손익계..

[재무제표] 기본 개념과 구성 [내부링크]

- 재무제표란? - 주식투자의 기본은 기업분석이고 그럼 재무제표 정도는 어느정도 보고 분석할 수 있어야 합니다. 기업의 재무제표도 확인하지 않고 개별 기업을 투자하는 것은 투자가 아닌 투기라 생각합니다. 재..

[리츠 분석] 입주율(Occupancy) - 명확한 수익성 지표 [내부링크]

- 리츠의 기본 비즈니스 - 리츠는 기본적으로 소유하고 있는 부동산을 임대해주고 임대료 수익을 얻는 비즈니스입니다. 따라서 아무리 좋은 부동산을 가지고 있다해도 임대가 이루어져야 현금흐름을 만들어 투자자..

[리츠 분석] PBR 말고 P/NAV로 자산가치 평가하기 [내부링크]

- 주식과 리츠의 차이 - 일반 기업을 가치평가할 때 가장 많이 쓰이는 지표중 하나는 PBR(주당 순자산가치)입니다. PBR을 계산할 때 순자산은 장부상의 가치를 기준으로 하는데요. 이를 리츠에 그대로 적용하기엔..

[리츠 분석] PER 말고 P/FFO로 수익성 평가하기 [내부링크]

- 주식과 리츠의 차이 - 리츠는 일반적인 주식과 다른 비즈니스 모델이기 때문에 리츠를 평가 분석할 때 사용되는 기본적 지표들도 주식의 기준과는 다소 상이합니다. 주식에는 가장 유명한 밸류에이션 지표로 PER..

[리츠 추천] AMT - 미국 셀타워 리츠 [내부링크]

- 성장성 리츠 - 부동산 간접투자라고 할 수 있는 리츠는 생각보다 다양한 섹터가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아직 리츠의 역사가 길지 않고 종목도 많지 않아 오피스에 치중되있는데 반해, 미국은 역사가 오래된만큼..

[ETF 추천] S&P500 ETF 완벽 비교정리(SPY, IVV, VOO, 국내상장) [내부링크]

가장 인기많은 ETF인 미국 S&P500 지수를 추종하는 인덱스 ETF에 대해 어떤 종목을 고르는 것이 유리할지 비교분석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 S&P500 인덱스 ETF의 장점 - 1. 시장지수에 포함된 500여개의 기업에 자..

[ETF 추천] JEPI -S&P 500 고배당(월배당) 커버드콜 ETF [내부링크]

- 개요 - JEPI(JPMorgan Equity Premium Income ETF)는 JP morgan에서 2020년 5월 출시한 역사가 오래되지 않은 ETF이지만, 유명한 운용사와 운용 전략의 특성이 잘 살려지면서 운용규모도 빠르게 증가하고 있습니..

[자산배분전략] 레이 달리오의 올웨더 포트폴리오 [내부링크]

자산배분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포트폴리오라고 할 수 있는 올웨더 포트폴리오에 대해 소개하겠습니다. -배경- 레이달리오(Ray Dalio)는 세계 최대 헤지펀드인 브리지워터의 창립자이자 유명한 투자자입..

분산투자의 기본 5법칙 [내부링크]

투자하면서 이 말을 한번쯤은 들어봤을 겁니다. '계란을 한 바구니에 담지 말라' 즉, 분산투자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오래된 투자 격언이죠. 그러나 저는 분산투자가 항상 정답만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일..

성장 산업 투자전략 [내부링크]

성장 산업이란 무엇일까요? 위키피디아에 따르면 '기술혁신이 발전되고 산업사회의 진전 속에서 급속하게 성장하는 산업'입니다. 즉 미래 시대의 변화에 따라 성장할 것이라고 기대되는 산업입니다. 전기자, 2차전..

장기투자전략의 오해와 진실 [내부링크]

오늘은 주식투자자들의 잘못된 통념에 대해 말해보겠습니다. 1. 자본주의에서 모든 자산은 장기적으로 우상향한다. 2. 자본주의에서 주식은 장기적으로 우상향한다. 3. 우량주는 장기투자하면 결국엔 상승할것이라..

투자전략의 3요소와 트릴레마. (+투자전략의 분류) [내부링크]

대부분의 투자자들은 저마다의 투자 전략을 갖고 있습니다. 수많은 투자전략 중 어떤 것이 좋은 전략이고 어떤 것이 나쁜 전략이라고 말할 수 있을까요? 이를 평가하기 위해서 저는 3가지 요소가 고려되어야 한다..

한국 수출액과 무역수지 [내부링크]

한국은 수출로 먹고 사는 나라이기 때문에 한국의 주식시장과 수출액은 무려 0.95의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수출액이 증가하면 기업의 이익이 개선됨을 의미하므로 EPS 증가율과 수출증가율도 비슷한..

VIX: 미국 증시의 기대 변동성 지수 [내부링크]

미국 주식을 하는 투자자라면 한번쯤은 들어봤을 VIX 지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VIX는 변동성지수 혹은 공포탐욕지수라고도 불리는데요. 사실 기술적 지표에서 쓰이는 대표적인 변동성지표인 볼린저밴드나 ATR..

[추세지표] 추세의 가장 기본 이동평균선 [내부링크]

- 정의 - - 이동 평균선은 설정한 최근 기간동안의 주가를 평균내어 주가의 변동을 유연하게 그려냅니다. - 순간의 변동이 아닌 일정 기간동안의 흐름(추세)를 보여줍니다. - 영어로는 Moving Average이며 약어로..

친환경에서의 대체육의 필요성 [내부링크]

최근 핫한 트렌드인 ESG에서 가장 중점적으로 다루어지는 것이 바로 'E' 환경문제입니다. 기업에서도 정부에서도 지구 온난화의 주범으로 불리는 탄소를 절감하려고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죠. 이에 따라 친환경..

전기차, 자율주행 시대에서 의외의 간접수혜 산업 [내부링크]

앞으로 모빌리티 시장에서 일어날 변화와 흐름을 생각해보면 누구나 알다시피 전기차, 자율주행으로의 변화가 확실하죠 2030년에는 전기차가 자동차 시장에서 30% 이상을 차지할 것으로 전망되며, 2040년에는 54%..

재테크 필수 구독 뉴스레터 추천!! (주식, 코인, 부동산...) [내부링크]

어떤 투자를 하던 산업 및 경제의 흐름을 알고 돈이 어디로 향하는지를 아는 것이 매우 중요한데요. 투자자들은 정보를 얻기 위해 뉴스, 리포트, 유튜브, 블로그, SNS 등 많은 매체를 이용하곤 하죠. 하지만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