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sm-safety-environment의 등록된 링크

 psm-safety-environment로 등록된 티스토리 포스트 수는 811건입니다.

탱크로리 하역 및 출하장의 누출방지설비의 종류 및 적용 기준 [내부링크]

탱크로리 하역 및 출하장의 누출방지설비의 종류 및 적용 기준 1. 누출방지설비의 종류(1) 탱크로리 등의 하역 및 출하장에서 액상 화학물질의 외부 확산방지를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설비의 종류는 아래와 같다. (가) 방류턱 (Curbing)화학물질의 누출 시 다른 곳으로 흘러가지 못하도록 대상물을 중심으로 둘러친 턱으로 소용량의 누출방지에 적용된다. 탱크로리 하역 및 출하장에 적용될 수 있다.(나) 액체받이 (Drip pans)화학물질 취급설비 등의 아래에 설치하여 누출된 화학물질이 포집되도록 한 기름받이이며, 소용량의 누출 시에 적용되며, 고정식의 누출방지설비의 설치가 곤란한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다) 트렌치 (Trench), 지하배수로 또는 드레인 시스템화학물질의 누출 시 외부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

한계농도 [내부링크]

화학물질의 분류 및 표시 등에 관한 규정[시행 2022. 12. 7.] [국립환경과학원고시 제2022-81호, 2022. 12. 7., 일부개정] 한계농도  「산업안전보건법」제104조에 따른 유해성·위험성 물질로 분류된 구성 성분은 물질안전보건자료 작성대상입니다. 다만, 해당 구성 성분이 정해진 농도 미만이라면 해당 성분에 대한 정보를 물질안전보건자료에 포함하지 않을 수 있으며 그 농도를 ‘한계농도’라고 합니다 ⅰ. 관련 법령- 고시 제2023-9호「화학물질의 분류·표시 및 물질안전보건자료에 관한 기준」 제11조제9항ⅱ. 판단기준- 혼합물 내 함유된 화학물질 중 물리적 위험성 분류기준에 해당하는 화학물질의 함유량이 한계농도인 1% 미만이거나 건강 및 환경 유해성에 해당하는 화학물질의 함유량이 별표6에서 ..

물질안전보건자료의 작성 및 제출 제도에서 중간생성물 관련하여(산업안전보건법 제110조) [내부링크]

"물질안전보건자료의 작성 및 제출" 제도에서 중간생성물 관련하여(산업안전보건법 제110조) 중간생성물 관련 1. 관련용어 중간생성물(중간체) 중간체란 다른 화학물질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생성되어 그 화학공정에서 전량 사용되어 소멸되는 물질 또는 통제된 조건하에서 동일한 또는 다른 제조현장으로 이송되어 해당 후속공정에서 전량(全量) 사용되어 소멸되는 화학물질을 말합니다. 또한 중간체는 의도적인 분리 여부에 따라 아래와 같이 나뉠 수 있습니다. 비분리 중간체 다른 화학물질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생성되어 그 화학공정에서 전량(全量) 사용되어 소멸되는 화학물질로서 제조되는 설비로부터 의도적으로 제거·분리되지 아니하는 화학물질 현장분리 중간체 다른 화학물질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생성되어 통제된 조건 하에서 동일한 제조..

연소 소각법에 의한 휘발성 유기화합물(VOC) 처리설비의 기술지침(P-66-2021)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NFPA 86 Standard for Ovens and Furnaces 2019 - NFPA 68 Standard on Explosion Protection by Deflagration Venting 2018 - API Publ 535, RP 556, Std 560, Publ 2028 - 설비제작업 및 엔지니어링업체 기술기준 - 미국 DuPont 기술기준 - KOSHA GUIDE D – 1, “미압 배관에서의 폭연폭발구 설치에 관한 기술지침” I. 제정이유 NFPA 86 Standard for Ovens and Furnaces, KOSHA GUIDE D - 1 –2021 미압 배관에서의 폭연폭발구 설치에 관한 기술지침과 이 전면 개정됨에 따라 변경사항을 개정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산업안전보건법에서의 안전거리 기준 [내부링크]

산업안전보건법에서의 안전거리 기준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71조(안전거리) 사업주는 별표 1 제1호부터 제5호까지의 위험물을 저장ㆍ취급하는 화학설비 및 그 부속설비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폭발이나 화재에 따른 피해를 줄일 수 있도록 별표 8에 따라 설비 및 시설 간에 충분한 안전거리를 유지하여야 한다. 다만, 다른 법령에 따라 안전거리 또는 보유공지를 유지하거나, 법 제44조에 따른 공정안전보고서를 제출하여 피해최소화를 위한 위험성 평가를 통하여 그 안전성을 확인받은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별표 8] 안전거리(제271조 관련) 구분 안전거리 1. 단위공정시설 및 설비로부터 다른 단위공정시설 및 설비의 사이 설비의 바깥 면으로부터 10미터 이상 2. 플레어스..

특정고압가스 사용신고 대상 및 기준 [내부링크]

특정고압가스 사용신고 대상 및 기준 특정고압가스 종류 및 사용신고 대상 [ 근거 : 「고압가스 안전관리법」 제20조(사용신고 등) ] 종류(20종)「고압가스 안전관리법」 제20조제1항 수소 산소 액화암모니아 아세틸렌 액화염소 천연가스 압축모노실란 압축디보레인 액화알진 포스핀 셀렌화수소 게르만 디실란 오불화비소 오불화인 삼불화인 삼불화질소 삼불화붕소 사불화유황 사불화규소 사용신고 대상「고압가스 안전관리법」 제20조제1항 - 배관으로 특정고압가스(천연가스는 제외)를 공급받아 사용하거나 자동차 연료용으로 특정고압가스를 공급받아 사용하는 경우는 가스 종류와 관계없이 사용신고 대상임. 특정고압가스 사용의 신고를 한 것으로 보는 경우 -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로서 허가받은 내용이나 등..

냉동제조 수수료 산정방법 [내부링크]

냉동제조 수수료 산정방법 ( 기술검토 및 검사를 위한 수수료) 가. 응축기(Condenser)와 증발기(Evaporator)는 냉동톤(단위: RT, 이하 같다)으로 계산하여 적용(1 RT = 3,320 /h) [예시] 1. 응축기가 50,000 /h 경우 : 50,000 ÷ 3,320 = 15 RT 수수료 적용 2. 증발기가 25,000 /h 경우 : 25,000 ÷ 3,320 = 7.5 RT 수수료 적용 나. 고압·저압 수액기(Reciever)는 고법 시행규칙 별표 1 제2호에 따른 저장능력 산정기준을 적용하여 무게(단위: kg)로 산정 [예시] W = 0.9 × d × V d = 상용온도에서의 액화가스의 비중 (kg/ℓ) (암모니아 : 40에서 0.5795) V = 내용적 (ℓ) (5,000ℓ..

아세틸렌 저장능력 산정기준 [내부링크]

아세틸렌 저장능력 산정기준 (제1-6-6조제4항, 제1-9-6조제4항 관련) 1. 아세틸렌은 용해가스로서 그 저장능력 산정시 용제의 특성(용해도 및 온도)에 의하여 그 양이 결정되므로 표준상태로 환산하여 그 양을 선정함. 고법 시행규칙 별표 1 제1호 산식은 단순히 최고충전압력 및 내용적과 표준상태의 압력 및 부피의 비로서 그 양을 산정하기 때문에, 압축가스인 경우는 산정이 가능하나, 용해가스인 아세틸렌의 경우는 용해된 mol 농도 및 정상상태(온도를 15, 압력 : 0.1 MPa)로 환산하여 아세틸렌의 저장량〔V()〕을 산정하여야 함 2. 압축가스()로 수수료를 산정함. 구 분 최 고 충 전 압 력 용 기 내 용 적 가 스 량 4.0kg용기 1.5 (15에서) 24ℓ(0.024) 3.64 ..

고압가스 저장량 합산에 따른 저장허가 판정기준 [내부링크]

고압가스 저장량 합산에 따른 저장허가 판정기준 여러 가지 종류의 고압가스 저장설비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는 다음의 합산기준으로 산정하 여 허가대상을 판정한다. 1. 저장설비(탱크, 용기)상호간의 연결이 배관에 의해 연결된 경우는 합산 2. 저장설비상호간의 연결이 배관에 의해 연결되지 않은 경우 o 저장설비(탱크, 용기) 상호간 30m 이하인 경우 합산 o 저장설비 (탱크, 용기)가 동일 구축물 내에 있는 경우 합산 3. 액화가스 10kg을 1로 본다. ※ 계산 예 : 동일 구축물 내에 4종류의 가스가 있는 경우 - 압축가스 A : 200 - 압축가스 B : 100 - 액화가스 C : 2,000kg - 액화가스 D : 50kg (200 + 100) / 500 + (2,000 + 5..

환기장치(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내부링크]

환기장치(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72조(후드) 사업주는 인체에 해로운 분진, 흄(fume, 열이나 화학반응에 의하여 형성된 고체증기가 응축되어 생긴 미세입자), 미스트(mist, 공기 중에 떠다니는 작은 액체방울) 증기 또는 가스 상태의 물질(이하 “분진등”이라 한다)을 배출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국소배기장치의 후드가 다음 각 호의 기준에 맞도록 하여야 한다. 1. 유해물질이 발생하는 곳마다 설치할 것 2. 유해인자의 발생형태와 비중, 작업방법 등을 고려하여 해당 분진등의 발산원(發散源)을 제어할 수 있는 구조로 설치할 것 3. 후드(hood) 형식은 가능하면 포위식 또는 부스식 후드를 설치할 것 4. 외부식 또는 리시버식 후드는 해당 분진등의 발산원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 설치할 제73조(덕트) ..

가스충전소 및 주유소에서의 재해방지에 관한 기술지침(E-13-2012)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KOSHA GUIDE E-89-2011(정전기 재해예방에 관한 기술지침) - KOSHA GUIDE E-113-2011(정전기 위험성평가 및 대책에 관한 기술지침) - NFPA 77 : Recommended practice on static electricity - NFPA 30A : Code for motor fuel dispensing facilities and repair garages o 관련법령․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편 제3장(전기로 인한 위험방지) 제4절(정전기 및 전자파로 인한 재해예방) 가스충전소 및 주유소에서의 재해방지에 관한 기술지침(E-13-2012) 1. 목적 2. 적용범위 3. 정의 4. 가스충전소 및 주유소 작업시 요구사항 5. 가..

PSM, 공정안전보고서 개요 및 인허가 내용 [내부링크]

A. 공정안전보고서 개요 1. 공정안전보고서 취지 석유화학공장 등 중대산업사고를 일으킬 가능성이 높은 유해·위험 설비를 보유한 사업장으로 하여금 공정안전자료, 공정위험성평가, 안전운전계획 및 비상조치계획 수립 등에 관한 사항을 기록한 공정안전보고서를 작성 하게 하고 이를 이행하도록 함으로써 중대산업사고를 예방하는 공정안전관리(PSM, Process Safety Management)제도를 시행함 * 중대산업사고 : 대통령이 정하는 유해·위험설비로부터의 위험물질의 누출·화재·폭발 등으로 인하여 사업장내의 근로자에게 즉시 피해를 주거나 사업장 인근지역에 피해를 줄 수 있는 사고 2. 공정안전보고서 법적근거 o 산업안전보건법 제44조(공정안전보고서의 작성·제출) / 산업안전보건법 제45조(공정안전보고서의 심사 ..

파렛트 사용에 관한 안전 기술지침(M-158-2012) [내부링크]

관련규격 및 자료 - KS T 2001:2009 - 파렛트 용어 - PM 15-2002 : Safety in use of pallets 관련법규․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 182조 (팔레트 등) 파렛트 사용에 관한 안전 기술지침(M-158-2012) 1. 목 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사고원인 5. 설계 시 고려사항 6. 파렛트 운영 계획 7. 파렛트의 사용과 유지보수 8. 파렛트 검사 1. 목 적 산업안전보건 기준에 관한 법칙 제 182조 (팔레트 등)에 의거 파렛트 사용사업장에서 파렛트의 디자인, 제조, 구매와 사용에 관련한 정보를 제공하며, 신규 또는 중고 파렛트의 검사와 사용법에 대한 기술적인 사항을 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2. 적용범위 이 지침은 ..

분상․ 입상 저장물의 저장설비 기술지침(M-97-2012)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ISO 8456(Storage equipment for loose bulk materials-safety code) o 관련 법규․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 기준에 관한 규칙 제2편 제3장 제4절 제325조 (정전기로 인한 화재 폭발 등 방지) 분상․ 입상 저장물의 저장설비 기술지침(M-97-2012) 1. 목 적 3. 용어의 정의 2. 적용범위 4. 안전기준 1. 목 적 이 지침은 산업안전보건기준에관한규칙(이하 “안전보건규칙”이라 한다) 제2편 제3장 제4절 제325조 정전기로 인한 화재 폭발 등 방지)의 규정에 따라 분상이나 입상형태의 저장물(이하 "저장물"이라 한다)을 저장하는 저장설비에서 발생하는 재해 예방을 위하여 저장설비에 관한 지침을 정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접지계획+PSM+유해위험방지계획서 [내부링크]

접 지 계 획 1) 적용법규 및 규격 산업안전보건법 KSC IEC 62305 전기설비 기술기준 NEC 2) 적용범위 이상 전류 및 이상 전압 등으로 인한 전기설비의 손상방지 및 보호계전기의 확실한 동작 확보를 위한 계통 접지 인명 보호 목적의 전기기기 외함 접지 낙뢰 등으로 인한 기기 및 구조물의보호를 위한 피뢰 접지 정전기 발생 등으로 인한 생산장비 보호용 약전 회로용 접지 기타 등전위용 접지 등 3) 접지방식 가) 접지계통 ① 접지는 공정지역, 건물, 구조물, 전기설비실, 변전실 등을 포함한 모든 주변에 대하여 계통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접지계통은 케이블루우프, 접지부스, 접지극 및 대상기기 등에 대하여 접지용 도체(이하, 도체라 함)로 구성하여야 한다. ② 계통의 ..

건설공사 굴착면 안전기울기 기준에 관한 기술지침(C-104-2023) [내부링크]

관련규격 및 자료 - 건설공사 표준품셈(국토교통부) - 도로설계기준 토공편(한국도로공사) - 암판정기준(한국전력공사) - 지반조사편람(서울특별시) - 지반조사 표준품셈(한국엔지니어링 진흥협회) - 지반설계기준․ 지반공사 표준시방서(국토교통부) 관련법규․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편 제4장 제2절(굴착작업 등의 위험방지) 건설공사 굴착면 안전기울기 기준에 관한 기술지침(C-104-2023) 1. 목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굴착비탈면 안전 사항 4.1 사전 검토사항 4.2 일반 검토사항 4.3 지반종류별 준수사항 4.4 비탈면 안정해석 실시 5. 굴착면 안전기울기 5.1 안전기울기 기준 5.2 안전기울기 준수를 위한 유의사항 [부록] 토질 및 지반 분류 기준..

가스시설 폭발위험장소의 설정 시 누출공 크기(Hole size)의 결정 [내부링크]

가스시설 폭발위험장소의 설정 시 누출공 크기(Hole size)의 결정 연속누출등급 및 1차누출등급의 경우, 누출 홀 크기는 누출이 일어날 수 있는 방출구(예: 각종 통기관 및 브리더 밸브 등의 오리피스)의 크기로 한다. 누출이 어쩔 수 없이 이뤄져야 하는 경우로, 이런 경우 밸브 등의 제조사에서 공차 등을 감안하여 스펙(specification)으로 제시해야 한다. 2차누출등급의 경우, 정상상태에서는 누출이 되지 않는 상황으로 볼 수 있으나, 너무 미세한 값으로 누출공의 실측이 힘들기 때문에 품목 및 누출상황에 따라서 누출공의 크기를 표로 제시하였다. 누출공 크기는 Table 5에 따라 구한다. 압축 섬유 개스킷(compressed fibre gasket) 플랜지[12] 스파이럴 와운드 개스킷(spir..

가스폭발위험장소의 설정에서의 건물 개구부에서의 누출 기준 [내부링크]

가스폭발위험장소의 설정에서의 "건물 개구부에서의 누출" 기준 다음은 건물 또는 벽의 개구부(Opening)의 예로, 이 내용은 엄격히 적용하려는 의도는 아니므로 특정상황에 따라 적합하게 변경할 필요가 있다. 7.1 누출원의 개구부 구역 사이의 개구부는 누출원으로 간주하며, 누출등급은 다음에 따라 좌우된다. - 인접구역의 위험장소의 종별 - 개구부의 열림 주기의 빈도와 지속시간 - 밀봉 부분/연결부분의 유효성 - 관련 구역사이의 압력차 7.2 개구부의 분류 (1) 개구부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 A형, B형, C형 및 D형으로 구분한다. (가) A형(Type A) B, C 또는 D형으로 규정된 특징을 충족하지 않는 개구부. - 접근용 또는 유틸리티용 개구부 통로(벽, 천장 및 바닥을 통과하는 닥트 또는 ..

작업장내 안전한 적재 및 하역작업을 위한 기술지침(M-49-2023)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INDG-199 : Workplace transport safety - INDG-378 : Safe use of skip loaders o 관련 법규․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177조(싣거나 내리는 작업)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편 제1장 제10절 (차량계 하역운반기계 등) 작업장내 안전한 적재 및 하역작업을 위한 기술지침(M-49-2023) 1. 목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배송 및 수거 5. 적재 및 하역 6. 경사면에서의 적재 및 하역(Tipping) 7. 추락 방지 1. 목 적 이 지침은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이하 “안전보건규칙”이라 한다) 제177조 (싣거나 내리는 작업)에 의거 작업장내 적재 및 하역작업 시 ..

적격 수급업체 선정 및 도급사업 안전보건관리에 관한 지침(Z-4-2023)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Ensuring competence in the selection and management of contractors and temporary workers”, IIRSM, 2011 - “Managing contractors: A guide for employers”, HSE, 2011 - “적격 수급업체 선정을 위한 도급사업 안전보건관리 매뉴얼”, 고용노동부, 2022 o 관련법규·규칙·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법 제5장 제1절 제61조(적격 수급인 선정 의무) - 산업안전보건법 제2절(도급인의 안전조치 및 보건조치) 적격 수급업체 선정 및 도급사업 안전보건관리에 관한 지침(Z-4-2023) 1. 목 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일반 사항 5. 도급관리 절차 1...

방폭전기설비 설계, 선정, 설치 및 최초 검사에 관한 기술지침(E-190-2023)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KS C IEC 60079-14 (폭발성 분위기– 제14부: 전기설비 설계, 선정, 설치) - KS C IEC 60079 시리즈 모든 부 o 관련법규·규칙·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편 제3장(전기로 인한 위험방지) 제311조(폭발위험장소에서 사용하는 전기기계·기구의 선정 등) 1. 목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방폭전기설비 설계, 선정 및 설치 시 일반 요구사항 5. 방폭기기의 표기에 관한 사항 이해 6. 방폭기기의 선정에 관한 사항 이해 7. 전기가열(히터 등) 시스템 선정, 설치 및 사용에 대한 이해 8. 위험한(점화성) 스파크로부터의 보호에 대한 이해 9. 전기적 보호에 대한 이해 10. 전원 차단 및 전기 분리에 대한 이해 11. 케이블 및..

끼임·절단재해 예방을 위한 기술지침(M-26-2023)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Safeguarding Equipment and Protecting Workers from Amputations Small Business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Series(OSHA 3170(2001)) o 관련 법규․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편 제1장 제1절 제87조(원동기·회전축 등의 위험 방지) 끼임·절단재해 예방을 위한 기술지침(M-26-2023) 1. 목적 2. 적용범위 3. 정의 4. 일반적인 안전대책 4.1 일반사항 4.2 기본 원칙 4.3 가드 설치에 따른 일반 원칙 4.4 관리 5. 기계별 안전대책 5.1 기계식 프레스 5.2 동력식 절곡기 5.3 컨베이어 5.4 인쇄기 5.5 롤 성형기, 롤 벤딩기 5...

정전기로 인한 화재 폭발 등 방지(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내부링크]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325조(정전기로 인한 화재 폭발 등 방지) ①사업주는 다음 각 호의 설비를 사용할 때에 정전기에 의한 화재 또는 폭발 등의 위험이 발생할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해당 설비에 대하여 확실한 방법으로 접지를 하거나, 도전성 재료를 사용하거나 가습 및 점화원이 될 우려가 없는 제전(除電)장치를 사용하는 등 정전기의 발생을 억제하거나 제거하기 위하여 필요한 조치를 하여야 한다. 1. 위험물을 탱크로리·탱크차 및 드럼 등에 주입하는 설비 2. 탱크로리·탱크차 및 드럼 등 위험물저장설비 3. 인화성 액체를 함유하는 도료 및 접착제 등을 제조·저장·취급 또는 도포(塗布)하는 설비 4. 위험물 건조설비 또는 그 부속설비 5. 인화성 고체를 저장하거나 취급하는 설비 6. 드라이클리닝설비, ..

파쇄기의 방호조치에 관한 기술지침(M-126-2013)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EN 1009 : Crushing machines for mechanical processing of minerals and similar solid material- safety requirements - ILO 94: Crushers, grinding mills and pulverizers o 관련 법규․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 기준에 관한 규칙 제2편 제1장 제1절 제87조(원동기·회전축 등의 위험방지) 파쇄기의 방호조치에 관한 기술지침(M-126-2013) 1. 목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파쇄기의 방호 1. 목적 이 지침은 산업안전보건기준에관한 규칙(이하 “안전보건규칙”이라 한다) 제2편 제1장 제1절 제87조(원동기·회전축 등의 위험방지)의 규정..

굴착공사 안전작업 지침(C-39-2023)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실무규정(Code of practice) : 굴착공사(서호주 산업안전위원회) - 지하매설물 안전관리 요령(국토해양부) - 가설공사 표준시방서(KCS 21 00 00, 국토교통부) - 지반 설계기준(KDS 11 00 00, 국토교통부) - 지반공사 표준시방서(KCS 11 00 00, 국토교통부) - 흙막이지보공 안전교육(산업안전교육원) o 관련 법규․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편 제4장 제2절(굴착작업 등의 위험방지) - 고용노동부고시 제2023-35호(굴착공사 표준안전 작업지침) 굴착공사 안전작업 지침(C-39-2023) 1. 목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조사 4.1 사전조사 사항 4.2 시공 중 조사 사항 5. 굴착작업 안전기준 6. 굴..

용접․ 용단 작업 시 화재예방에 관한기술지침(F-1-2023)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NFPA 51B, "Standard for fire prevention during welding, cutting, and other hot work", 2020. - NFPA, Fire protection handbook, Section 9.6 : Welding, cutting, and other hot work, 2008. - Indg 297 : Safety in gas welding cutting and similar processes, 2012 - KS B 4601:2021 : 수동 가스 용접기, 절단기 및 가열기 - 이근원, “안전망 화재확산방지를 위한 적정 방염처리 방안 연구”, 연구원 99-30-100, 산업안전보건연구원, 1999. o 관련법규․ 규칙․ 고시 등 -..

인력작업에 관한 안전지침(G-8-2023)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Manual handling operations regulations, HSE Guidance, 1992 - 산업안전보건용어사전,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o 관련법규ㆍ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편 제5장 (중량물 취급 시의 위험방지)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편 제6장 (하역작업 등에 의한 위험방지) 인력작업에 관한 안전지침(G-8-2023) 1. 목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일반적인 위험사항 5. 인력작업시의 위험요소 5.1 화물에 대한 위험요소 5.2 작업환경에 대한 위험요소 5.3 개인의 능력에 따른 위험요소 6. 인력작업 시 상해위험 예방대책 6.1 일반적인 위험 예방대책 6.2 상황별 위험 예방대책 6.3 교육훈련 6.4 ..

작업장 내 운반차량의 운행에 관한 안전지침(G-10-2023) [내부링크]

관련규격 및 자료 - Workplace transport safety, HSE, 2005 - INDG-199 : Workplace transport safety - 산업안전보건용어사전,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관련법규ㆍ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편, 제1장, 제10절(차량계 하역운반기계 등) 작업장 내 운반차량의 운행에 관한 안전지침(G-10-2023) 1. 목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일반사항 5. 위험요소 5.1 위험요소의 종류 5.2 위험요소 확인 6. 위험요소 공지 및 작업 시 유의사항 6.1 위험요소 공지 6.2 작업 시 유의사항 7. 위험요소의 예방대책 7.1 교통 통로 7.2 임시 통로 7.3 시야 확보 7.4 차량의 후진 7.5 차량 신호수(..

소용량 탱크 및 드럼의 화기작업에 관한 안전지침(G-1-2023)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안전보건기술지침「용접 용단 작업시 화재예방에 관한 기술지침」 - Hot work on small tank and drum, HSE, 1999 - HSE INDG-314 : Hot work on small tanks and drums, 2013 - 산업안전보건용어사전,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o 관련법규ㆍ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편 제2장 제2절(화기 등의 관리) 소용량 탱크 및 드럼의 화기작업에 관한 안전지침(G-1-2023) 1. 목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위험성 4.1 위험요소 4.2 위험성 평가 5 화기작업 허가와 훈련 5.1 작업 허가 5.2 훈련 6 탱크 및 드럼에 대한 화기작업 시 안전조치 6.1 격리 6.2 배출 6.3 청..

벨트 슬링 사용·점검 등에 관한 기술지침(G-132-2023)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KS B 6241 “섬유제 벨트 슬링 ”, 2017 - EN 1492-1:2008. Textile slings – Safety – Part 1: Flat woven webbing slings made of man-made fibres for general purpose use. - OSHA, Synthetic Web Slings : Guidance on Safe Sling Use o 관련법규ㆍ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법 제38조 (안전조치)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55조 (작업발판의 최대적재하중)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58조 (비계의 점검 및 보수)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63조 (달비계의 구조)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편 제..

체인 슬링 사용·점검 등에 관한 기술지침(G-134-2023)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KS B 6243:2016, 호이스트용 체인 슬링 - EN 818-6:2000+A1:2008, Short link chain for lifting purposes. Safety. Chain slings. Specification for information for use and maintenance to be provided by the manufacturer. - ISO3056:1986, Non-calibrated round steel link lifting chain and chain slings — Use and maintenance - OSHA / Alloy Steel Chain Slings: Guidance on Safe Sling Use 관련법규ㆍ 규칙․ 고시 등 ..

태양광 발전설비 설치에 관한 기술지침(E-170-2023)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IEC 60364-7-712(2017, Requirements for special installations or locations - Solar photovoltaic (PV) power supply systems) 태양광 발전설비 설치에 관한 기술지침(E-170-2023) 1. 목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일반 특성 평가 4.1 접지 시스템의 형식 4.2 감전 방지 4.3 직류측 과부하 방지 4.4 단락 전류 방지 4.5 건물 내 전자파 간섭(EMI)에 대한 보호 5. 전기기기의 선정 및 설치 5.1 일반사항 5.2 배선 시스템 5.3 개폐장치 5.4 접지 설비, 보호 접지도체 및 보호 본딩 도체 3상교류시스템의 예시 1. 목 적 이 지침은 태양광 발전설비 설치..

건조설비(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내부링크]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5절 건조설비 제280조(위험물 건조설비를 설치하는 건축물의 구조) 사업주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위험물 건조설비(이하 "위험물 건조설비"라 한다) 중 건조실을 설치하는 건축물의 구조는 독립된 단층건물로 하여야 한다. 다만, 해당 건조실을 건축물의 최상층에 설치하거나 건축물이 내화구조인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1. 위험물 또는 위험물이 발생하는 물질을 가열·건조하는 경우 내용적이 1세제곱미터 이상인 건조설비 2. 위험물이 아닌 물질을 가열·건조하는 경우로서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의 용량에 해당하는 건조설비 가. 고체 또는 액체연료의 최대사용량이 시간당 10킬로그램 이상 나. 기체연료의 최대사용량이 시간당 1세제곱미터 이상 다. 전기사용 정격용량이 10킬..

공정용 안전밸브의 기술지침(D-26-2023)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API STD 526, “Flanged steel pressure-relief valves” - API STD 520, “Sizing, selection, and installation of pressure-relieving devices” - BS 6759 Part 1/2/3, “Safety valves” - ISO 4126-1, “Safety devices for protection against excessive pressure” o 관련법규ㆍ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61조 (안전밸브 등의 설치) 공정용 안전밸브의 기술지침(D-26-2023) 1. 목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오리피스의 명칭별 면적 5. 안전밸브의 규격 6. 안전밸..

화재감시자 지정·배치 [내부링크]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41조의2(화재감시자) ① 사업주는 근로자에게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장소에서 용접·용단 작업을 하도록 하는 경우에는 화재감시자를 지정하여 용접·용단 작업장소에 배치해야 한다. 다만, 같은 장소에서 상시·반복적으로 용접·용단작업을 할 때 경보용 설비· 기구, 소화설비 또는 소화기가 갖추어진 경우에는 화재감시자를 지정·배치하지 않을 수 있다. 1. 작업반경 11미터 이내에 건물구조 자체나 내부(개구부 등으로 개방된 부분을 포함한다)에 가연성물질이 있는 장소 2. 작업반경 11미터 이내의 바닥 하부에 가연성물질이 11미터 이상 떨어져 있지만 불꽃에 의해 쉽게 발화될 우려가 있는 장소 3. 가연성물질이 금속으로 된 칸막이ㆍ벽ㆍ천장 또는 지붕의 반대쪽 면에 인접해 있..

건설현장의 중량물 취급 작업계획서(이동식 크레인) 작성지침(C-102-2023)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KOSHA GUIDE M-85-2011 크레인 달기기구 및 줄걸이작업에 관한 기술지침 - KOSHA GUIDE M-49-2012 작업장내 안전한 적재 및 하역작업을 위한 기술지침 - KOSHA GUIDE C-99-2014 이동식 크레인 양중작업의 안정성 검토 지침 - 고용노동부고시 제 2012-70호 운반하역 표준안전 작업지침 -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Module형 교재 2007-M-065, 줄걸이 작업 안전 - 호종관 저, 이동식 크레인, 구미서관, 2012 o 관련법규․ 규칙․ 고시 등 - 고용노동부고시 제 2020-26호 운반하역 표준안전 작업지침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38조(사전조사 및 작업계획서의 작성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39조(작업지휘자..

비상구의 설치(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내부링크]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17조(비상구의 설치) ① 사업주는 별표 1에 규정된 위험물질을 제조·취급하는 작업장과 그 작업장이 있는 건축물에 제11조에 따른 출입구 외에 안전한 장소로 대피할 수 있는 비상구 1개 이상을 다음 각 호의 기준을 모두 충족하는 구조로 설치해야 한다. 다만, 작업장 바닥면의 가로 및 세로가 각 3미터 미만인 경우에는 그렇지 않다. 1. 출입구와 같은 방향에 있지 아니하고, 출입구로부터 3미터 이상 떨어져 있을 것 2. 작업장의 각 부분으로부터 하나의 비상구 또는 출입구까지의 수평거리가 50미터 이하가 되도록 할 것 3. 비상구의 너비는 0.75미터 이상으로 하고, 높이는 1.5미터 이상으로 할 것 4. 비상구의 문은 피난 방향으로 열리도록 하고, 실내에서 항상 열 수 있는 ..

공정사고 조사계획 및 시행에 관한 기술지침(P-100-2023)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미국 화학공학회, “Guideline for incident investigation” - 노동부․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공정안전관리 12대 실천과제 매뉴얼” - GI․ OSHA, “Process safety management risk and risk management planning(Auditing handbook a checklist approach)” o 관련법규ㆍ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제50조(공정안전보고서의 세부내용 등) 공정사고 조사계획 및 시행에 관한 기술지침(P-100-2023) 1. 목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공정사고조사 5. 아차사고 6. 동종업종 사고사례 수집 및 유사사고 방지대책 수립 1. 목적 이 지침은 사업주가 ..

안전거리(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내부링크]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71조(안전거리) 사업주는 별표 1 제1호부터 제5호까지의 위험물을 저장·취급하는 화학설비 및 그 부속설비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폭발이나 화재에 따른 피해를 줄일 수 있도록 별표 8에 따라 설비 및 시설 간에 충분한 안전거리를 유지하여야 한다. 다만, 다른 법령에 따라 안전거리 또는 보유공지를 유지하거나, 법 제44조에 따른 공정안전보고서를 제출하여 피해최소화를 위한 위험성평가를 통하여 그 안전성을 확인받은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별표 1 ] 위험물질의 종류(제16조ㆍ제17조 및 제225조 관련) 1. 폭발..

안전난간의 구조 및 설치요건(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내부링크]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13조(안전난간의 구조 및 설치요건) 사업주는 근로자의 추락 등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안전난간을 설치하는 경우 다음 각 호의 기준에 맞는 구조로 설치하여야 한다. 1. 상부 난간대, 중간 난간대, 발끝막이판 및 난간기둥으로 구성할 것. 다만, 중간 난간대, 발끝막이판 및 난간기둥은 이와 비슷한 구조와 성능을 가진 것으로 대체할 수 있다. 2. 상부 난간대는 바닥면·발판 또는 경사로의 표면(이하 “바닥면등”이라 한다)으로부터 90센티미터 이상 지점에 설치 하고, 상부 난간대를 120센티미터 이하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중간 난간대는 상부 난간대와 바닥면등의 중간에 설치 하여야 하며, 120센티미터 이상 지점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중간 난간대를 2단 이상으로 균등하게 설치하고 난..

배출물질의 처리(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내부링크]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67조(배출물질의 처리) 사업주는 안전밸브등으로부터 배출되는 위험물은 연소·흡수·세정(洗淨)·포집(捕集) 또는 회수 등의 방법으로 처리하여야 한다. 다만,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배출되는 위험물을 안전한 장소로 유도하여 외부로 직접 배출할 수 있다. 1. 배출물질을 연소·흡수·세정·포집 또는 회수 등의 방법으로 처리할 때에 파열판의 기능을 저해할 우려가 있는 경우 2. 배출물질을 연소처리할 때에 유해성가스를 발생시킬 우려가 있는 경우 3. 고압상태의 위험물이 대량으로 배출되어 연소·흡수·세정·포집 또는 회수 등의 방법으로 완전히 처리할 수 없는 경우 4. 공정설비가 있는 지역과 떨어진 인화성 가스 또는 인화성 액체 저장탱크에 안전밸브등이 설..

비상조치계획 수립에 관한 기술지침(P-101-2023)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국제노동기구(ILO)협약 174호, “중대산업사고예방 실무지침” - 미국산업안전보건법 OSHA 1910. 119 o 관련법규ㆍ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제50조(공정안전보고서의 세부내용 등) 비상조치계획 수립에 관한 기술지침(P-101-2023) 1. 목적 2. 비상사태의 구분 3. 비상사태 파악 및 분석 4. 유해·위험물질의 성상조사 5. 비상조치계획의 수립 6. 비상조치계획의 검토 7. 비상대피 계획 8. 비상사태의 발령 9. 비상경보체계 10. 비상사태의 종결 11. 사고조사 12. 비상조치위원회 13. 비상통제 조직의 기능 및 책무 14. 비상통제소의 설치 15. 운전정지 절차 16. 비상훈련의 실시 및 조정 17. 주민홍보계획 1. 목적 이 지침은 사업..

안전운전절차서 작성에 관한 기술지침(P-108-2023)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국제노동기구(ILO)협약 174호, “중대산업사고예방 실무지침” - 미국산업안전보건법, “CFR 1910. 119 공정안전관리제도” - 미국화학공학회(CCPS), “공정안전보고서 작성” o 관련법규ㆍ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제50조(공정안전보고서의 세부내용 등) 안전운전절차서 작성에 관한 기술지침(P-108-2023) 1. 목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안전운전절차서에 대한 책임 5. 안전운전절차서 작성 원칙 6. 안전운전절차서의 내용 7. 안전운전절차서의 작성절차 8. 안전운전절차서의 승인 9. 안전운전절차서의 변경 10. 안전운전절차서의 관리 등 안전운전 절차서의 목차(예시) 1. 목적 이 지침은 안전 운전 절차서를 작성하는데 필요한 사항을 제..

화학물질폭로영향지수(CEI) 산정에 관한 기술지침(P-91-2023)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미국 화학공학회(AIChE) 기술지침 o 관련법규ㆍ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제50조(공정안전보고서의 세부내용 등) 화학물질폭로영향지수(CEI) 산정에 관한 기술지침(P-91-2023) 1. 목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계산절차 5. 누출시나리오별 누출량 산출방법 6. 비상대응계획 수립지침(ERPG) 농도 7. 대기 확산량 계산 8. 화학물질폭로영향지수 9. 위험거리 10. 화학물질폭로영향지수 요약서 화학물질폭로영향지수 검토절차 제한 및 최소화 점검표 1. 목적 이 지침은 위험성평가기법의 하나인 상대위험순위결정기법 중 독성화학물질의 누출사고로 인하여 사업장 및 주변 사업장의 근로자와 지역사회의 주민에 대한 건강상의 위험을 상대적으로 등급화 하는 화..

시스템폼(RCS폼, ACS폼 중심)안전작업 지침(C-1-2011)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KOSHA GUIDE C-40-2011(갱폼(Gang form) 제작 및 사용안전 지침) - KOSHA GUIDE C-38-2011(슬립폼(Slip form) 안전작업 지침) - 산업안전보건연구원, 2009년 : 초고층 건축물 안전관리 시스템 및 안전모델 연구 관련 기술자료 - 시스템폼(RCS, ACS) 제작사의 설계기준 및 사용지침 관련 기술자료 o 관련 법규․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편 제4장 제1절(거푸집동바리 및 거푸집) 시스템폼(RCS폼, ACS폼 중심)안전작업 지침(C-1-2011) 1. 목 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시스템폼의 구성 부재 5. 시스템폼 설계도서 검토사항 6. 시스템폼 제작 및 설치 순서 7. 시스템폼의 작업 ..

누출원 모델링에 관한 기술지침(P-92-2023) [내부링크]

o 관련규격 - 미국 CCPS의 "Guidelines for consequence analysis of chemical release" - 미국 AIChE의 "Consequence Assessment and Mitigation" o 관련법규 -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제50조(공정안전보고서의 세부내용 등) 누출원 모델링에 관한 기술지침(P-92-2023) 1. 목적 2. 적용범위 3. 정의 4. 누출원인 및 상태 5. 누출원의 면적 6. 화학설비에서 누출되는 경우 7. 배관에서 누출되는 경우 1. 목적 이 지침은 공정위험성 평가시 화재․ 폭발, 누출과 같은 사고시의 피해정도 및 피해범위 등을 정량적으로 산정하고 피해최소화 대책 등을 수립하는데 필요한 누출량 등을 산정하는데 필요한 사항을 제시하는데 그..

사고피해영향 평가에 관한 기술지침(P-88-2023) [내부링크]

o 관련규격 - CCPS : Guideline for Chemical Process Quantitative Risk Analysis - 캠브리지대학교 : Probit Analysis o 관련법규ㆍ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제50조(공정안전보고서의 세부내용 등) 사고피해영향 평가에 관한 기술지침(P-88-2023) 1. 목 적 2. 적용범위 3. 정의 4. 사고영향 평가 절차 5. 화재시 피해영향 산정 6. 폭발시 영향 산정 7. 독성물질 누출시 영향 산정 복사열 영향평가 예시 폭발의 영향평가 예시 독성물질 영향누출의 예시 1. 목적 이 지침은 중대산업사고 예방을 위하여 사업장에서 사고피해영향을 평가하는데 필요한 사항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2. 적용범위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

건설공사 돌관작업 안전보건작업 지침(C-5-2016)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KOSHA GUIDE C-52-2012 야간 건설공사 안전보건작업 지침 o 관련법규․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편 제4장 건설작업 등에 의한 위험 예방 건설공사 돌관작업 안전보건작업 지침(C-5-2016) 1. 목 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건설공사 주체별 의무 5. 돌관작업 계획 수립 시 유의사항 6. 돌관작업 시 현장관리 7. 비상시 긴급 안전조치 8. 작업의 중지 1. 목 적 이 지침은 당초의 계획된 공사기간 내 공사 목적물의 완성을 위해 불가피하게 돌관작업을 추진하는 경우 산업재해 예방을 위해 준수하여야 할 안전보건지침을 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2. 적용범위 이 지침은 일기불순, 공사관련 민원, 인력․ 자재․ 장비의 품귀 등 당초의..

가설계단의 설치 및 사용 안전보건작업 지침(C-11-2012) [내부링크]

o 관련 법규․ 고시․ 규격 및 자료 1.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1∼30조(제1편 총칙 제3장 통로) 2. 노동부고시, 제2009-38호(가설공사 표준안전 작업지침) 3. KOSHA GUIDE G-85-2012(작업장의 통로 및 계단설치에 관한 기술지침) 4. KOSHA GUIDE M-80-2011(기계 및 설비의 통로설치에 관한 기술지침) 5. 가설공사 표준시방서(한국건설가설협회, 2006) 6. 건설공사 가시설물 안전점검 편람(한국건설기술연구원, 1995) 7. 건축기술지침(대한건축학회, 2006) 8. KS : 작업발판, KS F 8012 : 2009 9. BS : temporary works-equipment (BS EN 12811-1 : 2003) part 1 : scaffolds-p..

LNG 및 인화성가스 저장탱크의 위험성평가에 관한 기술지침(X-78-2018)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KS B 6971(2009) : LNG저장탱크-위험성평가 - KGS AC115(2016) : 액화천연가스용 저장탱크 제조의 시설·기술·검사 기준 o 관련법령․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법 제41조의 2(위험성평가) LNG 및 인화성가스 저장탱크의 위험성평가에 관한 기술지침(X-78-2018) 1. 목적 2. 적용 범위 3. 용어의 정의 4. 위험성평가 수행 단계 5. 위험성평가 수행 기준 6. 위험성 평가기준 1. 목적 이 지침은 액화천연가스 및 인화성가스 저장탱크에서 LNG 및 인화성가스가 누출될 때 이로 인한 위험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정량적 위험성 평가 기준을 제시하고 피해최소화 대책을 수립하기 위해 필요한 사항을 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2. 적용 범위 (1) 이 지침..

작업중지에 관한 지침(Z-50-2022)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안전보건경영시스템 작업중지에 관한 지침(Z-50-2022) 1. 목 적 2. 적용범위 4. 일반사항 3. 용어의 정의 5. 책임 6. 실행 7. 절차 1. 목 적 이 지침은 근로자가 자신이 근무하는 상황(장소, 직무 등)이 자신, 동료, 수급인, 공공 안전에 위험을 초래하고 있다고 믿을 때 작업을 중단할 수 있는 책임과 권한을 부여하도록 하는데 필요한 절차와 방법을 설명하여 작업중지 권리를 효과적으로 운영되도록 하며, 결과적으로 위험상황 발생을 감소시켜 산업재해 및 공공재해를 예방하여 조직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도모함에 그 목적이 있다. 2. 적용범위 이 지침은 작업중지 권한을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운영하여 산업재해 및 공공재해를 예방에 대하여 지속적인 개선성과를 이루고자 하는 모..

가동전 안전점검에 관한 기술지침(P-97-2023) [내부링크]

관련규격 및 자료 - 국제노동기구(ILO) Convention No. 174, “The Prevention of major industrial accidents”, 1993 - 미국 산업안전보건법 CFR 1910.119, “Process safety management of highly hazardous chemicals” 관련법규ㆍ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제50조(공정안전보고서의 세부내용 등) 안전보건기술지침의 적용 및 문의 가동전 안전점검에 관한 기술지침(P-97-2023) 1. 목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점검내용 5. 점검팀 구성 6. 점검시기 7. 점검표 작성 8. 점검보고서 작성 9. 점검결과의 처리 10. 점검에 필요한 자료 가동전 안전점검표에 포..

회분식 공정의 안전운전지침(P-89-2023) [내부링크]

관련규격 및 자료 - CCPS, “Guidelines for Engineering Design for Process Safety” - 일본 중앙노동재해방지협회, “뱃치프로세스의 안전” 관련법규ㆍ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제50조(공정안전보고서의 세부내용 등) 회분식 공정의 안전운전지침(P-89-2023) 1. 목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제조공정의 위험성에 관한 조사 5. 설비적 안전대책 6. 관리적 안전대책 7. 원료 및 제품의 저장 8. 화학반응 9. 증류 10. 건조 11. 분쇄 1. 목적 이 지침은 사업주가 작성하여야 할 회분식 공정 안전운전지침서의 원활한 작성에 필요한 사항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2. 적용범위 이 지침은 화학설비 및 그 부속설비 중..

위험도 계산카드 사용기법에 관한 기술지침(P-103-2023)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호주의 국립안전협의회 기준 o 관련법규ㆍ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제50조(공정안전보고서의 세부내용 등) 위험도 계산카드 사용기법에 관한 기술지침(P-103-2023) 1. 목적 2. 위험도 산정방법 3. 위험도 판정 4. 개선비용의 타당성검토 5. 확인 1. 목적 이 지침은 사업주가 수행하여야 할 공정위험성 평가시에 위험도를 산정하고 개선사항의 타당성을 쉽게 할 수 있도록 필요한 사항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2. 위험도 산정방법 위험도는 위험도 계산카드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산정한다. 카드를 사용할 때에는 한번에 하나의 시나리오를 선택하여야 한다. 2.1 치명도 산출 (STEP 1) 사고는 일반적으로 위험에의 노출로부터 시작된다. 사고는 인명 손상, ..

화학공장의 피해최소화대책 수립에 관한 기술지침(P-110-2023)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CCPS, "Guideline for chemical process quantitative risk analysis", AIChE, New York, 1989. - CCPS, "Guideline for investigating chemical process incidents", AIChE,New York, 1992. - Lee, F. P., "Loss prevention in the process industries", 2nd ed., Butterworths, London, 1996. - API, "API Recommended practice 521 3rd ed“, American petroleum institute, 1987. - API, "API Recommended prac..

연속공정의 위험과 운전분석(HAZOP)기법에 관한 기술지침(P-82-2023)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국제노동기구(ILO)협약 174호, “중대산업사고예방 실무지침” - 미국 화학공정안전센터(CCPS) 지침 - 영국 ICI사 표준 - 미국 Flour Daniel사 표준 o 관련법규ㆍ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제50조(공정안전보고서의 세부내용 등) 연속공정의 위험과 운전분석(HAZOP)기법에 관한 기술지침(P-82-2023) 1. 목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일반사항 5. 위험성평가 수행 6. 위험성평가보고서 작성 7. 개선권고사항의 후속조치 1. 목적 이 지침은 사업주가 수행하여야 할 공정 위험성평가에 활용할 수 있는 기법 중 위험과 운전분석(이하 “위험성평가”라고 한다)기법에 필요한 사항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2. 적용범위 이 지침은 화..

제조업 등의 정비보수절차에 관한 지침(Z-30-2022)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안전보건공단 화학설비 정비보수작업 안전보건관리 매뉴얼, 2013 - KOSHA GUIDE P-154-2016 “정비·보수작업계획서 작성에 관한 기술지침” - KOSHA GUIDE O-4-2011 “ 화학공장의 정비·보수에 관한 안전관리 지침” - KOSHA GUIDE O-3-2011 “전기설비의 정비를 위한 일반 기술지침” - Plant Maintenance HSE Manual, Broken Hill Solar Plant, 2016 - KS B ISO 8927 “토공기계-기계가용성-용어“ 제조업 등의 정비보수절차에 관한 지침(Z-30-2022) 1. 목 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정비·보수 개념 1. 목 적 디지털 기반 신기술과 특수화학 설비의 제조업 투입이 확산되..

작업자 실수분석 기법에 관한 기술지침(P-90-2023)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미국화학공정안전센터;CCPS, “Guidelines for preventing human error in process industries” - 영국화학공학회;IChemE, “Institution of Chemical Engineers)의 Human behavior and human error” - KOSHA GUIDE, “사고유발요인 파악 모델 사용지침” o 관련법규ㆍ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제50조(공정안전보고서의 세부내용 등) 작업자 실수분석 기법에 관한 기술지침(P-90-2023) 1. 목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위험성 평가준비 5. 평가절차 6. 보고서 작성 및 후속조치 적용 및 보고서 작성 사례 1. 목적 이 지침은 사업주가 작성해야..

위험성평가에서의 체크리스트(Checklist)기법에 관한 기술지침(P-81-2023)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국제노동기구(ILO)협약 174호, “중대산업사고예방 실무지침” - 미국 산업안전보건법 1910.119, "Process Safety Management“ o 관련법규ㆍ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제50조(공정안전보고서의 세부내용 등) 위험성평가에서의 체크리스트(Checklist)기법에 관한 기술지침(P-81-2023) 1. 목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일반사항 5. 위험성평가 수행 6. 후속조치 1. 목적 이 지침은 사업주가 수행하여야 할 공정 위험성평가에 활용할 수 있는 기법 중 체크리스트기법에 필요한 사항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2. 적용범위 이 지침은 체크리스트기법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설비, 절차 등에 대한 위험성평가를 수행하는 경우..

화학설비 배관 등의 비파괴검사 및 열처리에 관한 기술지침(D-10-2023)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KS B 0888, “배관 용접부의 비파괴검사 방법” - ASME B 31.1, “Power piping”, 2016 - ASME B 31.3, “Process piping”, 2016 - ASME B31.4, “Pipeline transportation systems for liquids and slurries”, 2016 - ASME B31.8, Gas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piping systems, 2004 - AS4041, “Australian Standard Pressure piping”, 1998 - KOSHA GUIDE (M-72), “자분탐상과 침투탐상에 관한 기술지침” - 고용노동부고시 제2023-9호, “화학물질의 분류·표시 및..

사고조사의 실시 및 활용에 관한 지침(Z-8-2023)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KOSHA MS: 2019 - ISO 45001: 2018 - Safety and health program management guidelines, OSHA, 2015 - Safety Management, Grimaldi·Simonds, 1989 사고조사의 실시 및 활용에 관한 지침(Z-8-2023) 1. 목 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조직의 상황 5. 리더와 작업자의 참여 6. 기획 7. 기획 8. 운용 9. 성과평가 10. 개선 1. 목 적 이 지침은 사업장 내에서 발생한 재해(질병)에 신속 대응하며 정확하고 체계적인 보고/조사/처리/대책수립·시행을 통해 근본원인을 파악하고 대책을 수립함으로써 동종사고 재발방지 및 사고를 예방하는데 있다. 2. 적용범위 조직의..

폐합성수지 열분해 공정의 안전관리에 관한 기술지침(P-180-2023)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산업안전보건연구원, “폐플라스틱 열분해 유화 공정의 안전관리 방안”, 2022 - KOSHA GUIDE P-69-2012, 화학공정 설비의 운전 및 작업에 관한 안전관리기술지침 - KOSHA GUIDE O-4-2011, 화학공장의 정비보수에 관한 안전관리지침 - KOSHA GUIDE P-6-2021, 연소 소각법에 의한 휘발성 유기화합물(VOC)처리설비의 기술지침 o 관련법규ㆍ 규칙․ 고시 등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편, 제2장, 제4절(화학설비·압력용기 등) 폐합성수지 열분해 공정의 안전관리에 관한 기술지침(P-180-2023) 1. 목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폐합성수지 열분해 주요 공정 및 유해·위험성 4.1 주요 열분해 공정 4.2 열분해 생성..

경고표지를 이용한 화학물질 관리에 관한 기술지침(P-51-2023)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INDG 352, "Read the label - How to find out if chemicals are dangerous", 2004 -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용어사전” - HSE CS 24, "The interpretation and use of flash point information", 1999 - CCPS, "Reactive material hazards - What you need to know", 2001 - E-Facts 41, "Cleaners and dangerous substances", EU, 2008 - KOSHA GUIDE, “물질안전보건자료 작성지침” - KOSHA GUIDE, “화학물질의 유해위험성 분류지침” 경고표지를 이용한 화학물..

안전보건표지 설치 및 유지관리에 관한 지침(Z-28-2022)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Safety signs and signals, HSE, 2009 - KOSHA GUIDE G-36-2012 안전보건표지에 관한 기술지침 안전보건표지 설치 및 유지관리에 관한 지침(Z-28-2022) 1. 목 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사업주의 책무와 안전보건표지의 종류 5. 안전보건표지의 사용방법 6. 화재안전표지 1. 목 적 신 기술 도입으로 인해 유해 위험 요소가 증가하고 있는 사업장은 다양한 안전 조치가 필요하다. 여러 조치를 취했음에도 불구하고 근로자와 다른 사람의 건강과 안전에 심각한 위험이 남아 있는 경우 안전 표지를 한다. 이 가이드라인은 사업장 유해위험요소가 잠재하는 곳에 안전사고예방을 위한 안전보건표지 및 신호에 관한 표준과 기술적 사항을 안내함을 ..

화재 위험성평가에 관한 지침(Z-41-2022)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KOSHA-MS 3. 용어의 정의 - ISO 45001 3. Terms and definitions - Investigating accidents and incidents : HSE 화재 위험성평가에 관한 지침(Z-41-2022) 1. 목 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화재위험성 평가 1. 목 적 최근 급속히 발전하고 있는 과학기술과 산업발달에 따라 사업장 내 위험물의 사용, 저장 및 운송물이 날로 증가하고 있으며, 많은 설비 장치들이 복잡 시스템으로 전기로 작동되고, 고온 작업 등이 흔하다. 이러한 환경은 전기로 인한 화재와 인화 폭발로 인한 화재라는 잠재 위험성을 가지고 있다. 이 지침은 사업장 내 화재위험의 사전 예측 및 예방 활동을 위해 화재위험성을 평가하는데 ..

사고분석에 관한 지침(Z-29-2022)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Safety-I and Safety-II: The past and future of safety management: 2014, Ashgate Publishing, Ltd. - Safety-II in practice: Developing the resilience potentials: 2017, Taylor & Francis - Systems thinking for safety: Ten principles A white paper: 2014, EUROCONTROL - Accident and operational safety analysis Volume 1: 2012, Department of Energy 사고분석에 관한 지침(Z-29-2022) 1. 목 적 2. 적용범위 3. 용..

LOTO에 관한 지침(Z-40-2022)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Work-related stress and how to tackle it - HSE LOTO에 관한 지침(Z-40-2022) 1. 목 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LOTO 절차 5. 책임과 권한 6. 업무절차 7. 교육훈련 및 표준화 8. 안전 준수사항 9. 잠금장치/꼬리표 부착절차 검토 및 시정조치 1. 목 적 이 지침은 중대재해처법법이 시행되는 환경하에서 기계기구 및 설비 등의 점검 및 정비, 수리작업 시 설비의 불시 가동, 임의 조작 등으로 인한 재해 및 각종 사고를 예방하는 데 있다. 2. 적용범위 이 지침은 사업장 내 유해·위험요소가 잠재되어 있는 작업을 시행하는 협력업체 및 해당 작업에 관련된 작업자 모두에 대하여 적용한다. 3. 용어의 정의 3.1 잠금(..

볼트․ 너트의 선정 및 체결에 관한 기술지침(O-2-2023)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ISO 808 : MECHANICAL PROPERTIES OF FASTENERS - IRI(Industrial Risk Insurers)(죔쇠의 조임력) - 한국산업규격 : KS B 0101 (나사 용어), KS B 0140 (나사의 조임 통칙), KS B 0200(나사의 표시 방법), KS B 0201 (미터보통나사), KS B 0204 (미터가는나사), KS B 0233(강제볼트․ 작은나사의 기계적 성질), KS B 0234 (강제너트의 기계적 성질), KS B 0241(내식 스테인리스 강제 나사부품의 기계적 성질), KS B 0246 (나사 부품 각부의 치수의 호칭 및 기호), KS B 0547 (체결용부품-표면결함-제1부:일반용 볼트, 나사 및 스터드 볼트), KS B 1..

들기 작업에 관한 기술지침(M-46-2012)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INDG-143 : Getting to grips with manual handling o 관련 법규․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3편 제12장(근골격계부담작업으로 인한 건강장해의 예방) 들기 작업에 관한 기술지침(M-46-2012) 1. 목 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안전작업 대책 5. 위험성 평가 1. 목 적 이 지침은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이하 “안전보건규칙”이라 한다) 제3편 제12장(근골격계부담 작업으로 인한 건강장해의 예방)에 의거 들기 작업 시 발생되는 위험상황 등에 관한 기술적 사항을 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2. 적용범위 이 지침은 들기 작업 시에 적용한다. 3. 용어의 정의 (1) 이 지침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

피부 부식성/자극성(화학물질의 분류 및 표시사항) [내부링크]

피부 부식성/자극성(화학물질의 분류 및 표시사항) 가. 물질의 분류 기준 화학물질의 피부 부식성 또는 피부 자극성 분류기준은 아래 표 3.2.1과 같다. 표 3.2.1 물질에 대한 피부 부식성/자극성 분류기준 구 분 분류기준 1 (피부 부식성) 실험동물을 노출시킨 후 4시간 안에 적어도 한 마리라도 피부조직 파괴현상, 즉 표피를 지나 진피까지 가시적인 괴사를 일으키는 경우 구분 1A 3분 이하의 노출 후 1시간의 관찰시간 동안에 적어도 한 마리의 동물에서 부식성 반응을 일으키는 경우 구분 1B 3분 초과, 1시간 이하 노출 후 14일 동안의 관찰기간 동안에 적어도 한 마리의 동물에서 부식성 반응을 일으키는 경우 구분 1C 1시간 초과, 4시간 이하 노출 후 14일 동안의 관찰기간 동안에 적어도 한 마리의..

급성 독성(화학물질의 분류 및 표시사항) [내부링크]

급성 독성(화학물질의 분류 및 표시사항) 가. 물질의 분류기준 화학물질의 급성독성 분류기준은 아래 표 3.1.1과 같다. 경구, 경피 또는 흡입 노출에 대해 다음의 구분 중 하나로 분류하되, 급성독성 값(LD50, LC50 또는 급성독성 추정치(ATE))이 분류기준의 한계 값과 동일한 경우는 해당 구분으로 분류한다. 표 3.1.1 물질에 대한 급성독성 분류기준(한계 값) 구분 노출 경로별 급성독성 값 경구 (ATE, /) 경피 (ATE, /) 흡입 (ATE, 4시간) 가스(ppm) 증기(/L) 분진/미스트(/L) 1 5 50 100 0.5 0.05 2 50 200 500 2.0 0.5 3 300 1,000 2,500 10 1.0 4 2,000 2,000 20,000 20 5 ※ 가스, 증기, ..

금속부식성 물질(화학물질의 분류 및 표시사항) [내부링크]

금속부식성 물질 가. 분류기준 금속 부식성 물질 또는 혼합물은 아래 표 2.16.1과 같이 다음의 구분으로 분류한다. 구 분 분류기준 1 강철 및 알루미늄 모두에서 시험된 경우, 두 재질 중 어느 하나의 표면 부식속도가 55에서 1년간 6.25 mm를 넘는 물질 나. 표시사항 금속 부식성 물질 또는 혼합물의 표시사항은 아래 표 2.16.2와 같다. 구분 1 그림문자 운송 그림문자 신호어 경고 유해ㆍ위험문구 금속을 부식시킬 수 있음 (H290) 예방조치문구 예방 P234 대응 P390 저장 P406 폐기 없음 주) 금속부식성물질이 아니라는 증거가 없는 경우 피부부식성물질 구분1은 금속부식성물질 구분1(H290)로 분류할 수 있다. 단, 액체인 경우에 한한다. 다. 분류기준에 관한 추가 사항 (1) 강철 ..

국소배기장치에서 유해물질 처리 시 안전검사 대상에 되는 유해물질 49종 [내부링크]

국소배기장치에서 유해물질 처리 시 안전검사 대상에 되는 유해물질 49종 [ 안전검사 대상 규격 및 적용범위 ] 다음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유해물질(49종)에 따른 건강장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설치한 국소배기장치는 사업장에 끝난 날로부터 3년 이내에 최초 안전검사를 실시하고 그 이후부터 2년마다 안전검사를 받아야 한다. 1) 디아니시딘과 그 염 2) 디클로로벤지딘과 그 염 3) 베릴륨 4) 벤조트리클로리드 5) 비소 및 그 무기화합물 6) 석면 7) 알파-나프틸아민과 그 염 8) 염화비닐 9) 오로토-톨리딘과 그 염 10) 크롬광 11) 크롬산 아연 12) 황화니켈 13) 휘발성 콜타르피치 14) 2-브로모프로판 15) 6가크롬 화합물 16) 납 및 그 무기화합물 17) 노말헥산 18) 니켈(불용성 무기화..

저압 감전방지장치 등의 선정 및 설치에 관한 기술지침(E-103-2011)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IEC 60364-5-53 : Electrical installations of buildings - Selection and erection of electrical equipment - isolation, switching and control (2005) - IEC 60364-4-41 : Electrical installations of buildings - Protection for safety - Protection against electric shock (2005) - IEC 60364-4-43 : Electrical installations of buildings - Protection for safety - Protection against over-current..

연료가스 배관의 사용전 작업의 위험관리에 관한 기술지침(P-23-2012) [내부링크]

o 관련 규격 및 자료 - CSB, Safety Bulletin (2009-12-1-NC), Danger of purging gas piping into buildings - CSB, Urgent recommendation (2009-12-1-NC-RC2) - KOSHA GUIDE (가동전 안전점검에 관한 지침) - 기타 사고사례 연료가스 배관의 사용전 작업의 위험관리에 관한 기술지침(P-23-2012) 1. 목 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연료가스 배관의 사용전 작업의 위험요인 5. 연료가스 배관의 사용전 작업 시 안전대책 1. 목 적 이 지침은 연료가스 배관을 설치하거나 변경한 후 사용 전에 실시하는 배관의 청소작업 중 발생할 수 있는 화재 및 폭발의 위험성을 파악하고 이를 방지하기 위하..

작업장에서의 소음측정 및 평가방법(W-23-2016)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OSHA, Appendix III:A. Instruments Used to Conduct a Noise Survey o 관련법규·규칙·고시 등 - 작업환경측정 및 지정측정기관 평가 등에 관한 고시, 고용노동부고시 제2013-39호 - 화학물질 및 물리적인자의 노출기준, 고용노동부고시 제2016-41호 - 소음 및 진동에 의한 건강장해 예방, 안전보건공단, 2007 - 소음노출저감을 위한 작업환경관리 및 측정방안, 안전보건공단 2007 작업장에서의 소음측정 및 평가방법(W-23-2016) 1. 목적 2. 적용 범위 3. 용어의 정의 4. 소음측정의 기본개념 5. 소음기기 및 사용기준 6. 소음수준의 평가 1. 목적 이 지침은 작업장에서 소음에 노출되는 근로자를 대상으로 산업안전보건..

경질폴리우레탄폼 취급시 화재예방에 관한 기술지침(F-3-2014)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Alliance for the polyurethanes industry, “Fire safety guidelines for use of rigid polyurethane and polyisocyanurate foam insulation in building construction”, USA, 2014. - Spray polyurethane foam alliance, “Spray polyurethane foam systems for cold storage facilities operating between -40 and + 10 ”, USA, 2014 - American Chemical Council, "Working with Polyurethane Foam Products; ..

사업장 위험성평가에 관한 지침(고용노동부고시 제2023-19호) [내부링크]

사업장 위험성평가에 관한 지침 - 고용노동부고시 제2023-19호 제정 2012. 9. 26. 고용노동부고시 제2012-104호 개정 2013. 12. 31. 고용노동부고시 제2013-79호 개정 2014. 3. 13. 고용노동부고시 제2014-14호 개정 2014. 12. 1. 고용노동부고시 제2014-48호 개정 2016. 3. 25. 고용노동부고시 제2016-17호 개정 2017. 7. 1. 고용노동부고시 제2017-36호 개정 2020. 1. 14. 고용노동부고시 제2020-53호 개정 2023. 5. 22. 고용노동부고시 제2023-19호 제1장 총칙 제1조(목적) 이 고시는 「산업안전보건법」제36조에 따라 사업주가 스스로 사업장의 유해ㆍ위험요인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고 이를 평가하여 관리ㆍ개선하..

암모니아에 대한 작업환경측정․ 분석 기술지침(A-176-2019)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NIOSH Manual of Analytical methods (NMAM), 5th ed, www.cdc.gov/niosh/nmam -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dministration (U.S.A), Sampling and Analytical method, www.osha.gov/dts/sltc/methods/index.html - Health and Safety Executive (U.K.), Methods for the Determination of Hazardous Substances (MDHS) guidance, www.hse.gov.uk/p..

호흡보호구의 선정·사용 및 관리에 관한 지침(H-82-2020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산업안전보건연구원 : 화학물질 노출 근로자를 위한 호흡보호구 선정 지침 개발. 2013-연구원-1203 - OSHA : 1910. 134, Respiratory Protection, revised 6/8/2011 - OSHA : Small Entity Compliance Guide for the Respiratory Protection Standard, 2011 - NIOSH : Guide to industrial respiratory protection, 1987 - NIOSH : NIOSH Respirator Selection Logic, 2005 - HSE : Respiratory protective equipment at work – a practical guide, 20..

공기재킷의 제작․사용에 관한 기술지침(G-76-2011)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안전보건기술지침 「용접․ 용단작업시 화재예방 기술지침」 - 안전보건기술지침 「배관제작 및 설치에 관한 기술지침」 - KS규격 KS M 6543 (2003년, 용접 및 절단용 고무호스) - 고압가스안전관리법 시행규칙 별표 24 (용기의 도색 및 표기) o 관련법규․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 233조(가스용접 등의 작업)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 241조(통풍 등이 충분하지 않은 장소에서의 용접 등) 공기재킷의 제작․사용에 관한 기술지침(G-76-2011) 1.목적 2. 적용범위 3. 정 의 4. 제작상의 안전조치 5. 사용상의 안전조치 6. 관리상의 안전조치 1.목적 이 지침은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33조 (가스용접 등의 작업) 제2..

저압 개폐장치의 정비에 관한 기술지침(E-18-2012)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KOSHA GUIDE E-85-2011(전기설비 설치상의 안전에 관한 기술지침) - KOSHA GUIDE E-105-2011(전기작업 안전에 관한 기술지침) - KOSHA GUIDE O-3-2011(전기설비의 정비를 위한 일반 기술지침 - Code of practice for maintenance of electrical switchgear and controlgear for voltage up to and including 1 kV BS 6423 : 1983, BSI - Electrical switchgear and safey : concise guide for users, INDG 372, HSE, 2003 o 관련법령․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편 제3장..

밀폐공간 작업 프로그램 수립 및 시행에 관한 기술지침(H-80-2-21)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Permit-Required Confined Spaces, OSHA 3138-01R 2004. - Criteria for recommended standard-working in confined spaces, NIOSH, 1979 - BS : Confined spaces regulations 1997 (SI 1997, L101) - BS : Safe work in confined spaces (BS guidance INDG-258, L101) - 질식재해 발생 특성별 예방 매뉴얼 개발(안전보건공단 연구보고서 2015-보건-1076) - KOSHA Guide X-68-2015 밀폐공간 위험관리에 관한 기술지침 o 관련 법규 ․ 규칙 ․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법 제39조(보건조치)..

실험실 안전보건에 관한 기술지침(G-82–2018) [내부링크]

o 관련규격 - Occupational exposure to hazardous chemicals in laboratories - OSHA 1910.1450 - Chemical hygiene in laboratories - 1910.1450 App. A(NSC recommendations) o 관련 법규, 규칙, 고시 - 산업안전보건법 제 23조(안전상의 조치), 제 24조(보건상의 조치)의 규정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편 제2장 폭발ㆍ 화재 및 위험물누출에 의한 위험방지 - 사업장 위험성평가에 관한 지침(고용노동부고시) - 연구실 안전환경 조성에 관한 법률, 시행령, 시행규칙 실험실 안전보건에 관한 기술지침(G-82–2018) 1. 목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실험실의 안전보건..

고열로부터 용기 보호에 관한 기술지침(D-30-2012)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영국 ICI Standard o 관련법규․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43조 (소화설비) 고열로부터 용기 보호에 관한 기술지침(D-30-2012) 1. 목 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용기보호지침 5. 지면의 경사유지 6. 외부 보온 7. 물분무 8. 내부 감압 9. 전열가열용기 10. 단열용기 제1장 일반사항 1. 목 적 이 지침은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이하 “안전보건규칙”이라 한다) 제243조(소화설비)의 규정에 의거 고열로부터 용기를 보호하여 용기의 폭발을 예방하고자 하는 기술적 사항을 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2. 적용범위 이 지침은 안전보건규칙 별표1(위험물질의 종류)의 제4호, 제5호 및 제7호에서 규정하는 위험물질을 취급하는..

수작업에 관한 안전가이드(G-8-2011)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Manual handling operations regulations, HSE Guidance, 1992 - 산업안전보건용어사전,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o 관련법규ㆍ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편 제5장 (중량물 취급 시의 위험방지) 제6장 (하역작업 등에 의한 위험방지) 수작업에 관한 안전가이드(G-8-2011) 1.목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일반적인 위험사항 5. 수작업시의 위험요소 6. 수작업시 상해위험 예방대책 1.목적 이 지침은 수작업에 의한 기계설비 또는 화물 취급시의 재해예방을 위한 기술적인 사항을 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2. 적용범위 (1) 이 지침은 크레인, 리프트, 트럭 등과 같은 기계설비나 차량에 의한 화물 취급과는 ..

물질안전보건자료교육 실시에 관한 지침(H-158-2021) [내부링크]

관련규격 및 자료 - KOSHA GUIDE W-15-2020 물질안전보건자료 작성 지침 - KOSHA GUIDE W-2-2021 물질안전보건자료의 신뢰성 평가 지침 - 최재욱 등. 화학물질의 유해성 소통 활성화에 관한 연구(2012-연구원-929). 산업안전보건연구원, 2012 - OSHA Hazard Communication Standards. Safety data sheets for substances and preparations dangerous for supply (Second edition). - Guidance on regulation 6 of the Chemicals (hazard information and packaging for supply) Regulations 1994 Appr..

지게차의 안전작업에 관한 기술지침(M-185-2015) [내부링크]

관련규격 및 자료 - 일본 노동성고시 제89호(포크리프트의 구조규격) - Safety in working with Lift Trucks, HSE, 2008 관련법규․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관한규칙 제2편 제10절 차량계 하역운반기계 등(제 171조~제183조) - 건설기계 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제2장 제4절 지게차 및 제3장 건설기계 공통사항(국토교통부령 제7호) - 건설기계 관리법 제6장 건설 기계 조종사 면허 지게차의 안전작업에 관한 기술지침(M-185-2015) 1. 목 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적용 지게차 5. 일반사항 6. 지게차의 작업조건 7. 운행경로 8. 안전점검 등 9. 안전작업방법 10. 지게차 운전자의 고용과 훈련 1. 목 적 이 지침은 산업안전보..

불산 취급공정의 안전에 관한 기술지침(P-21-2010) [내부링크]

관련규격 및 자료 - API RP 751 2nd edition, Feb. 1999 “Recommended Practice for Safe Operation of Hydrofluoric Acid Alkylation Units” - ATSDR (미국 독성물질 질병등록국) 불산관련 안전보건자료 - 산업안전보건용어사전,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2006) 불산 취급공정의 안전에 관한 기술지침(P-21-2010) 1. 목 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불산의 위험성 5. 근원적인 안전확보 6. 개인보호구 7. 안전운전계획 8. 입·퇴실 절차 9. 방문자 관리 10. 불산 등의 누출사고에 대한 대응 11. 사고 조사 및 보호 1. 목 적 이 지침은 불산을 취급하는 공정에서의 안전․ 보건에 관하여 필요한 ..

정전기에 의한 화재·폭발 재해조사에 대한 기술지침(E-182-2021) [내부링크]

관련규격 및 자료 - 정전기 핸드북, 일본정전기학회 - 정전기안전, 동화기연, 2001년 관련법규·규칙·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325조(정전기로 인한 화재·폭발 등 방지) 정전기에 의한 화재·폭발 재해조사에 대한 기술지침(E-182-2021) 1. 목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정전기 재해 분석에 대한 일반 사항 5. 정전기 재해 분석기법에 대한 기술적 사항 6. 정전기 재해 사례와 분석 1. 목적 이 지침은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325조(정전기로 인한 화재·폭발 등 방지)에 따라 화재·폭발 발생사업장에서 재해조사 시에 점화원으로써 정전기로 규정하기 위해서 고려하여야 할 정전기적 파라미터 및 재해조사에 대한 기술적 사항을 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2. 적용범..

수소충전소의 안전에 관한 기술지침(P-30-2021) [내부링크]

관련 규격 및 자료 - ISO/TS 20100:2008, "Gaseous hydrogen - Fuelling stations", 2008 - ISO 19880-5:2019, "Gaseous hydrogen — Fuelling stations — Part 5:Dispenser hoses and hose assemblies", 2019 수소충전소의 안전에 관한 기술지침(P-30-2021) 1. 목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수소충전소의 설계 5. 화재․폭발 방지대책 6. 충전소 호스와 호스어셈블리 1. 목적 이 지침은 사업장에서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장 제1절 (위험물 등이 취급) 등에서 수소를 충전하는 수소충전소의 안전에 관한 사항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2. 적용범위 이..

침지탱크의 작업안전 관리 기술지침(P-17-2012) [내부링크]

o 관련 규격 및 자료 - U.S.A. OSHA, Regulation(Standards-29 CFR), Dipping and coating operations: Coverage and definitions -1910.123, 1910.124, 1910.125, 1910.126 - NFPA 30, Flammable and combustible liquids code, 1993 - NFPA 34, Standard for Dipping and coating processes using flammable or Combustible Liquids, 1995 - ACGIH의 "Industrial Ventilation: A Manual of Recommended Practice" (22nd ed., 1995): - ..

공정안전(PSM)보고서에서의 "장치 및 설비 명세 작성방법" [내부링크]

공정안전(PSM)보고서에서의 "장치 및 설비 명세 작성방법" 1. 작성예시 2. 작성방법 1) 장치번호 : P&ID와 일치하게 기입 2) 장치명 : Column/Tower류, 반응기류, Drum/Vessel류, 열교환기류, Heater/Furnace류, 탱크류, 원심분리기, 집진기 등의 Stationary Equipment(고정장치 - 열교환기는 동체측과 튜브측(또는 Hot side와 Cold side)을 구분하여 기입 - Jacket/Coil이 부착되는 장치 또는 Inner pipe/Outer pipe 등과 같이 서로 다른 유체가 통과하는 장치는 유체가 접촉되는 부분을 구분하여 작성(Shell/Coil, Shell/Jacket 구분) 3) 용량 : 장치 및 설비의 직경 및 높이 등을 기재 - Tower..

공정안전(PSM)보고서에서의 "동력기계 명세 작성방법" [내부링크]

공정안전(PSM)보고서에서의 "동력기계 명세 작성방법" 1. 작성예시 2. 작성방법 1) 동력기계번호 : P&ID와 일치하게 기입 2) 동력기계명 : 펌프류, 압축기류, Fan류, 교반기류, 전동 Shutter, Crane/Hoist, 컨베이어, 원심기, 포장용 로봇, 주조기, 기타 Machinery류 - Rotary valve, MOV, Damper 등에 부착된 모터는 제외한다. 3) 명세 - 펌프류 : 용량(/hr)×토출압력(MPa)×분당회전수(RPM). 왕복동형식 또는 다이아프램식은 분당회전수 대신 분당스트로크수(SPM) 작성 - 압축기류 : 용량(/hr)×토출압력(MPa)×분당회전수(RPM). 왕복동형식 또는 다이아프램식은 분당회전수 대신 분당스트로크수(SPM) 작성 - Fan 및 Blower..

관리대상 유해물질의 종류(제420조, 제439조 및 제440조 관련) [내부링크]

관리대상 유해물질의 종류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별표 12] 관리대상 유해물질의 종류(제420조, 제439조 및 제440조 관련) 1. 유기화합물(117종) 1) 글루타르알데히드(Glutaraldehyde; 111-30-8) 2) 니트로글리세린(Nitroglycerin; 55-63-0) 3) 니트로메탄(Nitromethane; 75-52-5) 4) 니트로벤젠(Nitrobenzene; 98-95-3) 5) p-니트로아닐린(p-Nitroaniline; 100-01-6) 6) p-니트로클로로벤젠(p-Nitrochlorobenzene; 100-00-5) 7) 디(2-에틸헥실)프탈레이트(Di(2-ethylhexyl)phthalate; 117-81-7) 8) 디니트로톨루엔(Dinitrotoluene; 2..

공정안전(PSM)보고서에서의 " 내화구조 명세 작성방법" [내부링크]

공정안전(PSM)보고서에서의 "내화구조 명세 작성방법" 1. 작성예시 [내화도면 평면도 예시] [내화도면 입면도 예시] 2. 작성방법 1) 설비내의 철구조물에 대한 내화(Fire Proofing) 처리 여부를 고용노동부 고시 별지 제18호서식의 내화구조 명세에 기재 - 내화대상도면은 리스트로 표시할 수 있고, 리스트에는 해당부위별로 내화시공방법 표시 - 내화 처리방법 및 부위는 내화방법의 종류별로 1종씩 작성 (예, 철근콘크리트, 내화페인트 등) 3. 참고사항 1) 내화대상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70조) (1) 가스 또는 분진폭발위험장소에 설치되는 다음 부분. 다만, 건축물 등의 주변에 화재에 대비하여 물분무 시설 또는 폼헤드설비 등의 자동소화설비를 설치하여 건축물 등이 화재 시에 2시간 이..

【별표 2】자율안전확인대상기계등의 규격 및 형식별 적용범위(제2조제2항 관련) [내부링크]

안전인증ㆍ자율안전확인신고의 절차에 관한 고시(고용노동부고시 제2020-40호) 【별표 2】자율안전확인대상기계등의 규격 및 형식별 적용범위(제2조제2항 관련) 번호 기계․기구 규격 및 형식별 적용범위 1 연삭기 또는 연마기 (휴대형은 제외)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연삭숫돌 또는 연마재 등을 사용하여 금속이나 그 밖의 가공물의 표면을 깍아내거나 절단 또는 광택을 내기 위해 사용되는 것 2 산업용 로봇 직교좌표로봇을 포함하여 3축 이상의 메니퓰레이터(엑츄에이터, 교시 펜던터를 포함한 제어기 및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를 구비하고 전용의 제어기를 이용하여 프로그램 및 자동제어가 가능한 고정식 로봇 3 혼합기 회전축에 고정된 날개를 이용하여 내용물을 저어주거나 섞는 것. 다만,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

고압가스 특정제조(처리) 및 저장능력 산정기준 [내부링크]

고압가스 특정제조(처리) 및 저장능력 산정기준 고압가스 특정제조시설 제조(처리) 및 저장능력 산정기준은 다음의 각 호에 따른다. 1. 제조(처리)능력 산정방법 가. 제조(처리)능력 산정방법은 PFD(Process Flow Diagram)의 각 운전 Case별 Material Balance를 기준으로 액화가스(Ton/day), 압축가스(0, 게이지압력 0Kg/)로 환산한 처리량(N/day)을 계산한다. 나. 제조(처리)능력 세부산정방법 ① 원료가 고압가스이고 최종 제조가스가 고압가스이면 원료와 제조가스 전부를 처리량으로 계산한다. 다만, 원료와 제조가스가 같은 것이 있는 경우 처리량이 중복 계산되지 않도록 한다. ② 원료가 고압가스이고 최종 제조가스가 고압가스가 아니면 원료가스를 가스 종류별로 구분하..

산업안전보건법에서 압력용기 등 안전검사 대상 재검사 주기 [내부링크]

산업안전보건법에서 압력용기 등 안전검사 대상 재검사 주기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시행 2020. 1. 16] [고용노동부령 제272호, 2019. 12. 26, 전부개정] 제126조(안전검사의 주기와 합격표시 및 표시방법) ① 법 제93조제3항에 따른 안전검사대상기계등의 안전검사 주기는 다음 각 호와 같다. 1. 크레인(이동식 크레인은 제외한다), 리프트(이삿짐운반용 리프트는 제외한다) 및 곤돌라 : 사업장에 설치가 끝난 날부터 3년 이내에 최초 안전검사를 실시하되, 그 이후부터 2년마다(건설현장에서 사용하는 것은 최초로 설치한 날부터 6개월마다) 2. 이동식 크레인, 이삿짐운반용 리프트 및 고소작업대 : 「자동차관리법」 제8조에 따른 신규등록 이후 3년 이내에 최초 안전검사를 실시하되, 그 이후부터 ..

공정안전(PSM) 보고서 "전기 단선도" 작성범위 및 심사기준 [내부링크]

공정안전(PSM) 보고서 "전기 단선도" 작성범위 및 심사기준 1. 전기 단선도 작성방법 1) 작성범위 o 수전설비의 책임분기점부터 저압변압기의2차측(부하설비1차측)까지 2) 주요 포함 내용 o 부스바 또는 케이블의 종류,굵기 및 가닥수 등 o 변압기의 종류,정격(상수, 1・2차 전압), 1・2차 결선 및 접지방식,보호방식, 전동기 등 연동장치와 관련된 기기의 제어회로 o 각종 보호장치(차단기,단로기)의 종류와 차단 및 정격용량,보호방식 등 o 예비 동력원 또는 비상전원 설비의 용량 및 단선도(첨부 자료) o 부하용량 및 전원측에 설치된 차단기의 차단전류 ※ 필요시 단락용량 계산서 및 비상전원설비 용량 산출계산서 첨부 3) 심사 주안점 o 범위의 누락 여부 o 변압기의 종류,정격,결선방법,접..

고압가스 특정제조시설 중간검사 방법 및 판정기준 [내부링크]

고압가스 특정제조시설 중간검사 방법 및 판정기준 중간검사 방법 및 판정은 KGS CODE FP111(이하 “FP111”이라 한다) 4.2.1 및 아래의 기준에 따라 실시한다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별표 7] 화학설비 및 그 부속설비의 종류 [내부링크]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별표 7] 화학설비 및 그 부속설비의 종류(제227조부터 제229조까지, 제243조 및 제2편제2장제4절 관련) 1. 화학설비 가. 반응기ㆍ혼합조 등 화학물질 반응 또는 혼합장치 나. 증류탑ㆍ흡수탑ㆍ추출탑ㆍ감압탑 등 화학물질 분리장치 다. 저장탱크ㆍ계량탱크ㆍ호퍼ㆍ사일로 등 화학물질 저장설비 또는 계량설비 라. 응축기ㆍ냉각기ㆍ가열기ㆍ증발기 등 열교환기류 마. 고로 등 점화기를 직접 사용하는 열교환기류 바. 캘린더(calender)ㆍ혼합기ㆍ발포기ㆍ인쇄기ㆍ압출기 등 화학제품 가공설비 사. 분쇄기ㆍ분체분리기ㆍ용융기 등 분체화학물질 취급장치 아. 결정조ㆍ유동탑ㆍ탈습기ㆍ건조기 등 분체화학물질 분리장치 자. 펌프류ㆍ압축기ㆍ이젝터(ejector) 등의 화학물질 이송 또는 압축설비 2...

[별표 1] 안전인증대상기계등의 규격 및 형식별 적용범위(제2조제1항 관련) [내부링크]

안전인증ㆍ자율안전확인신고의 절차에 관한 고시(고용노동부고시 제2020-40호) [별표 1] 안전인증대상기계등의 규격 및 형식별 적용범위(제2조제1항 관련) 번호 기계․기구 규격 및 형식별 적용범위 1 프레스 동력으로 구동되는 프레스, 전단기 및 절곡기. 다만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프레스, 전단기 및 절곡기는 제외 가. 열간 단조프레스, 단조용 해머, 목재 등의 접착을 위한 압착프레스, 톰슨프레스(Tomson Press), 씨링기, 분말압축 성형기, 압출기, 고무 및 모래 등의 가압성형기, 자동터릿펀칭프레스, 다목적 작업을 위한 가공기(Ironworker), 다이스포팅프레스, 교정용 프레스 나. 스트로크가 6밀리미터 이하로서 위험한계 내에 신체의 일부가 들어갈 수 없는 구조의 프레스, 전단기..

전기감응 방호장치의 선정 및 사용에 관한 기술지침(E-8-2012)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KOSHA GUIDE E-94-2011(산업용 기계설비의 전기장치 설치에 관한 기술기준) - HSG180 Electro-sensitive protective equipment - IEC 61496-2 Safety of machinery - Electro-sensitive protective equipment - Part 2: Particular requirements for equipment using active opto-electronic protective devices - BS EN 61496-1 Safety of machinery. Electro-sensitive protective equipment. General requirements and tests o 관련법령․..

체인 슬링 사용·점검 등에 관한 기술지침(G-134-2020) [내부링크]

관련 규격 및 자료 KS B 6243:2016, 호이스트용 체인 슬링 EN 818-6:2000+A1:2008, Short link chain for lifting purposes. Safety. Chain slings. Specification for information for use and maintenance to be provided by the manufacturer. ISO3056, Non-calibrated round steel link lifting chain and chain slings — Use and maintenance OSHA / Alloy Steel Chain Slings: Guidance on Safe Sling Use 관련법규·규칙·고시 등 산업안전..

화학설비 배관 등의 열처리 [내부링크]

화학설비 배관 등의 비파괴검사 및 열처리에 관한 기술지침(D-12-2112) 화학설비 배관 등의 열처리 1 용접전 열처리 (1) 모재를 용접 전에 의 가열온도 이상으로 가열하고 용접하여야 한다. (2) 작업장의 기온이 0 이하에서 의 권장가열 온도란에 수치가 기재되어 있는 모재를 용접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권장가열 온도 이상으로 가열한 후 용접하여야 한다. 2 용접부의 후열처리 (1) 배관 용접부의 후열처리는 의 기준에 따른다. (2) 안전보건규칙 의 제7호에서 규정하는 독성물질을 취급하는 배관은 제(1)호의 규정에도 불구하고 관의 두께와 무관하게 후열처리 하여야 한다. 다만, 후열처리 하지 않는 재질은 그러하지 아니하다. (3) 에서 정한 P-3, P-4 및 P-5 모재에 대하여는 후열처리 한 후에 ..

공정안전보고서 가스누출감지경보기 설치계획 작성방법 [내부링크]

1. 작성예시 가스누출감지경보기 설치계획 2. 작성방법 심사대상 설비에서 취급・저장하는 화학물질의 누출로 인한 화재・폭발 및 독성물질의 중독 등에 의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누출이 예상되는 장소에는 해당 화학물질에 적합한 가스누출감지 경보기 설치계획을 고용노동부고시 별지 제17호의5서식의 가스누출감지경보기 설치계획에 작성하고 감지대상 화학물질별 수량 및 감지기의 종류・형식, 감지기 종류・형식별 배치도 등의 서류 및 도면 등을 작성한다. 3. 참고사항 (가) 감지대상 인화성 가스 인화점이 35 이하인 액체의 증기 (다만, 인화점 100미만인 물질을 인화점이상으로 취급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급성 독성물질 (대기중에서 기체, 증기, 흄, 미스트 등의 상태인 것) (나) 설치위치 건축물 밖 ..

공정안전관리제도 관련 질의 및 회시 사례(2013년도 상반기) [내부링크]

공정안전관리제도 관련 질의 및 회시 사례 (2013년도 상반기) ※ 본 질의답변 내용은 고객질의에 대한 응답서비스차원에서 제공해드리는 것이며, 산업안전보건법령,고시 등의 적용에 대한 유권해석은 고용노동부의 권한사항임을 알려드립니다. 사례 1 [질의] 도시가스 취급량은 일일 사용량 기준입니까? 설계기준입니까? 공정안전보고서 제출 대상 관련 문의를 드립니다. 당사는 공정에 도시가스를 연료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공정안전보고서 제출대상 기준이 설계기준인가요? 실제 사용량기준인가요? 설계기준이라면 추후에도 연소기 추가증설이 없을시 부담 없이 사용할 수 있을 것 같은데, 만약 실제 사용량 기준이라면 매일매일 사용량을 체크하여 일사용량 5,000kg 초과여부를 검토해야하는 불편함과 부담감이 있습니다. 이에 대한 답변..

공정안전보고서 유해·위험물질 목록 작성방법 [내부링크]

공정안전보고서 유해·위험물질 목록 작성방법 1. 작성예시 2. 작성방법 (1) “자료없음”과 “해당없음”의 명확한 구분 - 자료없음 : 부득이 어느 항목에 대해 관련 정보를 얻을 수 없는 경우에 기재, 가능한 한 문헌이나 실험을 통해 확인 - 해당없음 : 적용이 불가능하거나 대상이 되지 않는 경우 기재 (2) 화학물질 : 제출대상 설비에서 제조 또는 취급하는 모든 화학물질 ( 원료,부원료, 첨가제, 촉매, 촉매보조제, 부산물, 중간생성물, 중간제품, 완제품 등 ) (3) 분자식 : 구조식 또는 분자식 기입 ※ 혼합물인 경우는 성분 또는 탄소 개수 기입 (4) 폭발한계 : 대기중 폭발 상·하한계 기입 (5) 노출기준(TWA, ppm 또는 /) : 고용노동부장관이 고시한 화학물질 및 물리적인자의 노출기준..

급성 독성 [내부링크]

급성 독성 가. 물질의 분류기준 화학물질의 급성독성 분류기준은 아래 표 3.1.1과 같다. 경구, 경피 또는 흡입 노출에 대해 다음의 구분 중 하나로 분류하되, 급성독성 값(LD50, LC50 또는 급성독성 추정치(ATE))이 분류기준의 한계 값과 동일한 경우는 해당 구분으로 분류한다. 표 3.1.1 물질에 대한 급성독성 분류기준(한계 값) 구분 노출 경로별 급성독성 값 경구(ATE,/) 경피(ATE,/) 흡입(ATE, 4시간) 가스(ppm) 증기(/L) 분진/미스트(/L 1 5 50 100 0.5 0.05 2 50 200 500 2.0 0.5 3 300 1,000 2,500 10 1.0 4 2,000 2,000 20,000 20 5 ※ 가스, 증기, 분진 및 미스트에 대한 정의는 본문 제2조..

물질안전보건자료의 신뢰성 평가 지침(W-2-1019) [내부링크]

관련규격 및 자료 - Globally harmonized system of classification and labelling of chemicals(GHS) (Fifth revised edition, 2013) - Safety data sheet for chemical products-Content and order of sections(ISO 11014-1, 2009) 관련법규·규칙·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법 제41조(물질안전보건자료의 작성․ 비치등) -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제92조의2(물질안전보건자료의 작성방법) - 고용노동부 고시(화학물질의 분류․ 표시 및 물질안전보건자료에 관한 기준) 물질안전보건자료의 신뢰성 평가 지침(W-2-1019) 1. 목 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끼임·절단재해 예방을 위한 기술지침(M-26-2013)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Safeguarding Equipment and Protecting Workers from Amputations Small Business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Series(OSHA 3170 2001) o 관련 법규?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편 제1장 (기계? 기구 및 그 밖의 설비에 의한 위험예방) 끼임·절단재해 예방을 위한 기술지침(M-26-2013) 1. 목 적 2. 적용범위 3. 정 의 4. 일반적인 안전대책 5. 기계별 안전대책 1. 목 적 이 지침은 끼임 또는 절단재해 등의 예방을 위하여 당해 설비별 위험 요인, 기술적 대책, 관리적 대책 등을 정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2. 적용범위 이 지침은 끼임 또는 절단..

유리섬유강화 플라스틱(GRP)탱크제조 및 사용 등에 관한 기술지침(M-154-2012)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BS 4994 ; Design and manufacture of nonmetallic storage tanks - BS EN 13121-4: Inspection and Test - HSE Guidence Note PM75: Glass reinforced plastic vessel and tanks에 대한 advice to users (3rd Edition,플랜트 및 기계분야) - 산업안전보건법 - KS F4811: 유리섬유강화 폴리에스테르 물탱크 o 관련법규․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편 제1장(기계·기구 기타 설비에 의한 위험예방) 유리섬유강화 플라스틱(GRP)탱크제조 및 사용 등에 관한 기술지침(M-154-2012) 1. 목 적 2. 적용범위 3. ..

작업시작 전 점검사항(제35조제2항 관련) [내부링크]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별표 3] 작업시작 전 점검사항(제35조제2항 관련) 작업의 종류 점검내용 1. 프레스등을 사용하여 작업을 할 때(제2편제1장제3절) 가. 클러치 및 브레이크의 기능 나. 크랭크축ㆍ플라이휠ㆍ슬라이드ㆍ연결봉 및 연결 나사의 풀림 여부 다. 1행정 1정지기구ㆍ급정지장치 및 비상정지장치의 기능 라. 슬라이드 또는 칼날에 의한 위험방지 기구의 기능 마. 프레스의 금형 및 고정볼트 상태 바. 방호장치의 기능 사. 전단기(剪斷機)의 칼날 및 테이블의 상태 2. 로봇의 작동 범위에서 그 로봇에 관하여 교시 등(로봇의 동력원을 차단하고 하는 것은 제외한다)의 작업을 할 때(제2편제1장제13절) 가. 외부 전선의 피복 또는 외장의 손상 유무 나. 매니퓰레이터(manipulator) 작동..

전기작업안전에 관한 기술지침(E-105-2011) [내부링크]

ㅇ 관련규격 - NFPA 70E (Standard for Electrical safety in the workplace (Chapter Ⅰ, Ⅱ) - KOSHA GUIDE E-85-2011 (전기설비설치상의 안전에 관한 기술지침) - KOSHA GUIDE E-86-2011 (정전작업에 관한 기술지침) - KOSHA GUIDE E-48-2011 (가스폭발위험분위기에서의 전기설비 설계, 선정 및 설치에 관한 기술지침) - KOSHA GUIDE E-109-2011 (활선작업 및 활선근접작업에 관한 기술지침) ㅇ 관련법규․규칙․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편 제3장(전기로 인한 위험방지) 전기작업안전에 관한 기술지침(E-105-2011) 제 1 장 일 반 사 항 1. 목적 2. 적용 범위 3. ..

위험물질의 기준량(제273조 관련) [내부링크]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별표 9] 위험물질의 기준량(제273조 관련) 위험물질 기준량 1. 폭발성 물질 및 유기과산화물 가. 질산에스테르류 10킬로그램 니트로글리콜ㆍ니트로글리세린ㆍ니트로셀룰로오스 등 나. 니트로 화합물 200킬로그램 트리니트로벤젠ㆍ트리니트로톨루엔ㆍ피크린산 등 다. 니트로소 화합물 200킬로그램 라. 아조 화합물 200킬로그램 마. 디아조 화합물 200킬로그램 바. 하이드라진 유도체 200킬로그램 사. 유기과산화물 50킬로그램 과초산, 메틸에틸케톤 과산화물, 과산화벤조일 등 2. 물반응성 물질 및 인화성 고체 가. 리튬 5킬로그램 나. 칼륨ㆍ나트륨 10킬로그램 다. 황 100킬로그램 라. 황린 20킬로그램 마. 황화인ㆍ적린 50킬로그램 바. 셀룰로이드류 150킬로그램 사. 알킬알..

공정안전(PSM)보고서 작성 시 참고 KOSHA GUIDE [내부링크]

공정안전(PSM)보고서 작성 시 참고 KOSHA GUIDE 구분 관련 기준 및 지침 비고 공정 안전 자료 유해위험물질 목록 1. 고용노동부고시 제2020-48호(화학물질 및 물리적 인자의 노출기준 2. 고용노동부고시 제2016-19호(화학물질의 분류 및 물질안전보건 자료에 관한 기준 유해위험설비 목록 및 명세 1. 고용노동부고시 제2020-40호(안전인증, 자율안전확인신고의 절차에 관한 고시) 2. D-11-2012(긴급차단밸브 설치에 관한 기술지침) 3. D-14-2018(통기설비 설치에 관한 기술지침) 4. D-18-2016(안전밸브 등의 배출용량 산정 및 설치 등에 관한 기술지침) 5. D-31-2012(열팽창용 안전밸브의 기술지침) 6. P-70-2012(화염방지기 설치 등에 관한 기술지침) 7...

흙막이공사(강널말뚝, Sheet Pile)의 안전보건작업지침(C-76-2013) [내부링크]

관련규격 및 자료 - 토목공사 표준일반시방서(2005, 대한토목학회) - 가설공사 표준시방서(2006, 건설교통부) - 한국산업표준규격 (2011,산업통상자원부) - KOSHA GUIDE C-39-2011(굴착공사 안전보건작업지침) 관련법규․ 규칙․ 고시 등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편 제4장 제2절 굴착작업 등의 위험방지 - 운반하역 표준안전작업지침 - 크레인작업 표준신호지침 흙막이공사(강널말뚝, Sheet Pile)의 안전보건작업지침(C-76-2013) 1. 목 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강널말뚝 흙막이공사 시공전 안전조치 사항 5. 강널말뚝 흙막이공사 안전조치 사항 6. 기타 안전조치 사항 1. 목 적 이 지침은「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이하 “안전보건규칙”..

PSM 이행실태 평가・점검 준비 서류 [내부링크]

PSM 이행실태 평가・점검 준비 서류 일반 - 회사 조직도(평가자 수만큼 준비, 조직도에 관리감독자 표시) - 최근 2년간 고용노동부로부터 산업안전(PSM점검 포함)관련 점검받은 경우 관련서류 일체(시정지시서 및 개선결과 보고서 등) - 회사 소개 자료(PSM 적용 공정, 주요 물질 및 위험요소, PSM 이행실적 등 소개) - 산업안전보건위원회 회의록 - 지자체, 소방서 등에 신고한 위험물(유독물) 사용 허가내역 - 연간 PSM 세부 추진 계획 - 사업장 안전보건 문제점 발굴 실적, PSM 추진 관련 문제점 발굴 실적. - 공장등록증 공정안전자료 - 공정안전보고서(지침은 각 지침별로 분리하여 준비) - 최근 1년 내 새로 도입된 원․부재료, 제품 등 화학물질 목록(유해․위험물질 목록에 모두 등재된..

천장주행크레인의 안전작업에 관한 기술지침(M-42-2012)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ISO 12480-1 : Cranes - Safe use - Part 1 : General o 관련 법규․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139조 (크레인의 수리 등의 작업)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146조(크레인 작업 시의 조치) - 위험기계․ 기구 의무안전인증 고시 제3장(크레인) 천장주행크레인의 안전작업에 관한 기술지침(M-42-2012) 1. 목 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안전작업방법 5. 안전설비 설치기준 1. 목 적 이 지침은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이하 “안전보건규칙”이라 한다) 제139조, 제146조의 규정에 의하여 천장크레인 작업시 위험지역 내 출입과 보수․ 점검시 발생하는 재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필요한 지침을 정..

공정안전(PSM)보고서의 "건물 설비의 배치도 작성 방법" [내부링크]

공정안전(PSM)보고서에서의 "건물 설비의 배치도 작성 방법" 1. 전체배치도 각종 건물, 설비의 전체 배치도에는 건물 및 설비위치, 건물과 건물 사이의 거리, 건물과 단위설비 간의 거리 및 단위설비와 단위설비 간의 거리 등의 사항들이 표시되어야 하고 축척에 의하여 표시하여야 한다. 각종 건물 및 설비의 위치 건물과 건물 사이의 거리 건물과 단위 공정설비간의 거리 단위공정 설비간의 거리 단위공정설비와 플레어스택 간의 거리 중앙제어실과 단위공정설비간의 거리 안전거리(안전보건규칙 제271조 별표 8) 구 분 안전거리 1. 단위공정시설 및 설비로부터 다른 단위공정 시설 및 설비 1. 설비의 외면으로부터 10m 이상 2. 플레어스택으로부터 단위공정시설 및 설비, 위험물질 저장탱크 또는 ..

10가지 소음억제 기술에 관한 기술지침(M-63-2012)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KOSHA GUIED M-51-2010「작업장의 소음제어에 관한 기술지침」 - HSE : Top 10 noise control techniques o 관련 법규․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3편 제4장(소음 및 진동에 의한 건강장해의 예방) 10가지 소음억제 기술에 관한 기술지침(M-63-2012) 1. 목 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소음 제어기술 1. 목 적 이 지침은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이하 “안전보건규칙”이라 한다) 제3편 제4장(소음 및 진동에 의한 건강장해의 예방)에 의거 모든 산업현장에서 정상 작동 또는 사용에 영향을 끼치지 않고 빠르고 쉽게 소음을 저감하기 위하여 널리 적용되는 10가지 소음 억제 기술을 제시함을 목적으로..

PSM(공정안전보고서)에서 “고용노동부장관이 정하는 주요 구조부분을 변경” 이란? [내부링크]

PSM(공정안전보고서)에서 “고용노동부장관이 정하는 주요 구조부분을 변경” 이란? 산업안전보건법 시행령 제45조(공정안전보고서의 제출) ① 사업주는 제43조에 따른 유해하거나 위험한 설비를 설치(기존 설비의 제조ㆍ취급ㆍ저장 물질이 변경되거나 제조량ㆍ취급량ㆍ저장량이 증가하여 별표 13에 따른 유해ㆍ위험물질 규정량에 해당하게 된 경우를 포함한다)ㆍ이전하거나 “고용노동부장관이 정하는 주요 구조부분을 변경” 할 때에는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법 제44조제1항 전단에 따른 공정안전보고서를 작성하여 고용노동부장관에게 제출해야 한다. 공정안전보고서의 제출‧심사‧확인 및 이행상태평가 등에 관한 규정(고용노동부 고시 제2020-55호) 제2조(정의) ① 이 고시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다. 1.「산..

PSM관련 산업안전보건법(법, 시행령, 시행규칙) [내부링크]

PSM 관련 산업안전보건법 (법, 시행령, 시행규칙 등) 산업안전보건법 [시행 2020. 6. 9] [법률 제17433호, 2020. 6. 9, 일부개정] 산업안전보건법 시행령 [시행 2020. 3. 3] [대통령령 제30509호, 2020. 3. 3, 타법개정]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시행 2020. 1. 16] [고용노동부령 제272호, 2019. 12. 26, 전부개정] 제44조(공정안전보고서의 작성ㆍ제출) ① 사업주는 사업장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유해하거나 위험한 설비가 있는 경우 그 설비로부터의 위험물질 누출, 화재 및 폭발 등으로 인하여 사업장 내의 근로자에게 즉시 피해를 주거나 사업장 인근 지역에 피해를 줄 수 있는 사고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고(이하 "중대산업사고"라 한다)를 예방하기..

고압가스 기술검토 등 업무수행 비용에 관한 규정 [내부링크]

고압가스 기술검토 등 업무수행 비용에 관한 규정 ◁2003. 6. 26 제정▷ ◁2005. 12. 29 개정▷ ◁2006. 5. 16 개정▷ ◁2006. 8. 28 개정▷ ◁2010. 6. 23 개정▷ ◁2010. 12. 22 개정▷ ◁2012. 3. 22 개정▷ ◁2013. 3. 1 개정▷ ◁2014. 3. 5 개정▷ ◁2014. 8. 4 개정▷ ◁2015. 1. 5 개정▷ ◁2015. 4. 29 개정▷ ◁2019. 9. 16 개정▷ ◁2022. 3. 11 개정▷ 제1조(목적) 이 규정은 고압가스안전관리법(이하“법”이라 한다.) 시행령 제22조의 규정에 의하여 한국가스안전공사가 업무수행에 소요되는 비용과 관련하여 필요한 사항을 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2조(적용범위) 법 시행령 제22조에서 규정한 업무..

고소작업대 작업의 리스크 확인지침(X-44-2016) [내부링크]

관련규격 및 자료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186조(고소작업대 설치 등의 조치) - CEN, Mobile elevating work platform- Design calculation-Stability criteriaConstruction-safety-Examinations and tests(Final Draft prEN 280) - KS B ISO 16368, 이동식 승강 작업대(MEWP) 설계계산, 안전요건 및 시험방법 - KOSHA GUIDE M-86-2011, 고소작업차 안전운전에 관한 기술지침 - ANSI, Vehicle-Mounted Elevating and Rotating Aerial Devices 고소작업대 작업의 리스크 확인지침(X-44-2016) 1. 목 적 2. 적용범위 ..

비파괴검사와 용접이음효율 [내부링크]

1. 압력용기의 비파괴검사와 용접이음효율 비파괴검사율(RT) 100 % SPOT NO 용접이음효율 100 % 85 % 70 % 2. 압력용기의 비파괴 검사 실시 대상 1) 전길이 방사선투과시험 다음 각목에 해당하는 용접이음은 그 전길이에 대하여 방사선투과시험을 해야 한다. 가. 산업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별표1]의 제7호에서 규정하는 "독성물질"을 취급하는 압력용기의 용접이음 나. 탄소 강판제의 동체, 경판 그 밖에 이와 유사한 부분의 용접이음으로서 두께 38를 초과하는 것 다. 저합금강 및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300계열)의 동체 및 경판 그 밖에 이와 유사한 부분의 용접이음으로서 두께가 25를 초과하는 것 라. 기압시험을 하는 압력용기의 용접이음 마. 용접이음의 효율로서 전길이 방사선투과시험..

압력용기 용접 후열처리 대상 [내부링크]

압력용기 용접 후 열처리에 관한 기술지침(M-184-2015) - 압력용기 용접 후열처리 대상 - (1) 탄소강 또는 저합금강으로 제작하는 치사성 물질 또는 독성물질 취급 압력용기 (2) 탄소강 또는 저합금강으로 제작하는 비직화식 증기 보일러 (3) 직화식 압력용기 또는 부품으로 탄소강(P-No. 1)의 용접이음부 두께가 16 를 초과하는 경우와 저합금강(P-No. 1의 강 제외)의 모든 용접이음부 (4) 두께 3 를 초과하는 페라이트계(Ferritic) 재료를 전자빔 용접방법으로 용접할 때 또는 관성 연속 구동 마찰 용접방법으로 임의 두께의 P-No. 3, P-No. 4, P-No.5A, 5B, 5C, P-No. 10, P-No. 15E의 재료를 용접할 때 (5) 이음부 두께 38 를 초과하는 페..

화학설비 배관 등의 열처리 [내부링크]

화학설비 배관 등의 비파괴검사 및열처리에 관한 기술지침(D-12-2012) - 화학설비 배관 등의 열처리 - 1. 용접전 열처리 (1) 모재를 용접 전에 의 가열온도 이상으로 가열하고 용접하여야 한다. (2) 작업장의 기온이 0 이하에서 의 권장가열 온도란에 수치가 기재되어 있는 모재를 용접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권장가열 온도 이상으로 가열한 후 용접하여야 한다. 2. 용접부의 후열처리 (1) 배관 용접부의 후열처리는 의 기준에 따른다. (2) 안전보건규칙 의 제7호에서 규정하는 독성물질을 취급하는 배관은 제(1)호의 규정에도 불구하고 관의 두께와 무관하게 후열처리 하여야 한다. 다만, 후열처리 하지 않는 재질은 그러하지 아니하다. (3) 에서 정한 P-3, P-4 및 P-5 모재에 대하여는 후열처리 ..

고압가스 특정제조시설 완성,정기검사 방법 및 판단기준 [내부링크]

고압가스 특정제조시설 완성, 정기검사 방법 및 판단기준

압력용기제작기준·안전기준및검사기준-용접이음,후열처리,비파괴검사, 내압시험- [내부링크]

압력용기제작기준·안전기준및검사기준 - 용접이음, 후열처리, 비파괴검사, 내압시험 - [시행 2002. 1. 1.] [노동부고시 제59호, 2001. 10. 10., 일부개정] 제23조(용접설계 일반) ① 용접이음의 효율은 다음에 따른다. 1. 계산에 사용하는 용접이음의 효율은 에 따른다. 2. 은 방사선 투과시험을 하는 경우를 포함한 용접이음의 효율을 규정하고 있으며 이 수치는 설계시 반영되어야 한다. 용접이음의 효율 제26조(용접 후 열처리) ① 용접 후 응력제거를 위한 열처리 수행시 다음 규정을 따라야 한다. 1. 용접후 열처리는 다음의 경우에 실시하여야 한다. 다만, KS B 6732(압력 용기의 용접 시공방법의 확인시험)의 부표1에 의한 P번호 8A, 21, 22, 23, 25, 27, 31, 3..

안전인증 대상 및 적용범위 [내부링크]

안전인증 대상 및 적용범위 대상 적용범위 프레스 동력으로 구동되는 프레스, 전단기 및 절곡기. 다만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프레스, 전단기 및 절곡기는 제외 가. 열간 단조프레스, 단조용 해머, 목재 등의 접착을 위한 압착프레스, 톰슨프레스(Tomson Press), 씨링기, 분말압축 성형기, 압출기, 고무 및 모래 등의 가압성형기, 자동터릿펀칭프레스, 다목적 작업을 위한 가공기(Ironworker), 다이스포팅프레스, 교정용 프레스 나. 스트로크가 6밀리미터 이하로서 위험한계 내에 신체의 일부가 들어갈 수 없는 구조의 프레스, 전단기 및 절곡기 다. 원형 회전날에 의한 회전 전단기, 니블러, 코일 슬리터, 형강 및 봉강 전용의 전단기 및 노칭기 전단기 절곡기 크레인 동력으로 구동되는 정격하..

2101-15 고압가스 특정제조시설 검사업무 처리지침(통합) [내부링크]

2101-15 고압가스 특정제조시설 검사업무 처리지침(통합) 제 1 장 총 칙 제1조 (목적) 이 지침은 「고압가스안전관리법」의 고압가스 특정제조시설 검사업무를 처리함에 있어 세부기준을 정하여 검사업무의 일원화와 표준화를 기하고자 한다. 제2조 (적용범위) 본 지침은 「고압가스안전관리법」(이하 “고법”이라 한다) 시행령 (이하 “영”이라 한다) 및 시행규칙 (이하“규칙”이라 한다) 제3조의 고압가스특정제조 허가시설의 기술검토 처리, 중간·완성·정기검사 수수료 징구, 검사처리, 증명서 발급업무와 부속시설에 대한 검사업무 처리시 적용한다. 제3조 (용어의 정의) 이 지침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다. 1. “주제조시설”이란 혼합물 또는 화합물 중에서 고압가스를 제조하거나, 두 가지 이상의 가스를 압..

흙막이공사(SCW 공법)의 안전보건 작업지침(C-92-2013) [내부링크]

관련규격 및 자료 - 토목공사 표준일반시방서(2005, 대한토목학회) - 가설공사 표준시방서(2006, 건설교통부) - 한국산업표준규격 (2011,산업통상자원부) - KOSHA GUIDE C-39-2011(굴착공사 안전작업 지침) 관련법규․ 규칙․ 고시 등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편 제4장 제2절 굴착작업 등의 위험방지 - 운반하역 표준안전작업지침 - 크레인작업 표준신호지침 흙막이공사(SCW 공법)의 안전보건 작업지침(C-92-2013) 1. 목 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SCW 공법의 시공순서 5. SCW 공법의 일반 안전조치 사항 6. SCW 공법의 각 공정별 안전조치 사항 7. 기타 안전조치 사항 1. 목 적 이 지침은「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이하 “안전..

관로매설공사 안전보건작업 기술지침(C-15-2017) [내부링크]

관련규격 및 자료 - 굴착공사 표준안전작업 지침(고용노동부 고시 2015-57호) - KOSHA GUIDE C-39-2011(굴착공사 안전작업 지침) - KOSHA GUIDE C-37-2011(지하 매설물 굴착공사 안전작업 지침) - KOSHA GUIDE C-87-2013(중소규모 관로공사의 안전보건 작업 지침) - KOSHA GUIDE C-104-2014(건설공사 굴착사면 안전기울기에 관한 기술지침) - KOSHA GUIDE C-105-2016(굴삭기 안전보건 작업지침) - 가설공사 표준 시방서(국토교통부 고시 제2016-309호) 관련법규․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1편 제2장(작업장의 안전기준)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편 제4장(건설작업 등에 의한 위험예..

작업장 안전확인 및 점검에 관한 지침(Z-6-2022) [내부링크]

관련규격 및 자료 - Global 기업 안전확인점검 Checklist Practice 안전보건 경영관리 가이드라인 제정배경 - 법규준수와 인증유지를 목적으로 운영되는 안전보건경영시스템의 한계를 극복하여 안전보건의 현장 작동성을 강화하고 반복되는 산업재해의 근본원인 파악 을 통한 안전시스템의 해결책 수립을 지원하고자 본 가이드라인을 제정하였다. - 사업장의 안전보건상의 기술적인 문제점 해결과 관리 수준향상을 위해 제정된 안전보건 기술지침이나 법규 상에서 언급되는 용어의 정의와 기준 적용 방식에 있어 일부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작업장 안전확인 및 점검에 관한 지침(Z-6-2022) 1. 목 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안전확인점검 역할 및 책임 5. 일반사항 6. 안전확인점검 수행 7...

중대산업재해 관련 [내부링크]

중대재해처벌법 해설 - 중대산업재해 관련 - 중대산업재해 법 제2조(정의) 이 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다. 2. “중대산업재해”란 「산업안전보건법」 제2조제1호에 따른 산업재해 중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결과를 야기한 재해를 말한다. 가. 사망자가 1명 이상 발생 나. 동일한 사고로 6개월 이상 치료가 필요한 부상자가 2명 이상 발생 다. 동일한 유해요인으로 급성중독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직업성 질병자가 1년 이내에 3명 이상 발생 1. 개념 중대산업재해 ㅇ 중대재해처벌법에서 "중대재해"(주1) 란 중대산업재해와 중대시민재해를 말함 ㅇ 중대재해 중 "중대산업재해" 란 - 산업안전보건법 제 2조제 1호에 따른 산업재해 중 ➊ 사망자가 1명 이상 ➋ 동일한 사고로 6개월 이상..

사고조사의 실시 및 활용에 관한 지침(Z-8-2023) [내부링크]

관련규격 및 자료 - KOSHA MS: 2019 - ISO 45001: 2018 - Safety and health program management guidelines, OSHA, 2015 - Safety Management, Grimaldi·Simonds, 1989 사고조사의 실시 및 활용에 관한 지침(Z-8-2023) 1. 목 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조직의 상황 5. 리더와 작업자의 참여 6. 기획 7. 기획 8. 운용 9. 성과평가 10. 개선 1. 목 적 이 지침은 사업장 내에서 발생한 재해(질병)에 신속 대응하며 정확하고 체계적인 보고/조사/처리/대책수립·시행을 통해 근본원인을 파악하고 대책을 수립함으로써 동종사고 재발방지 및 사고를 예방하는데 있다. 2. 적용범위 조직의..

산업안전보건위원회 구성 및 운영에 관한 지침(Z-2-23) [내부링크]

관련규격 및 자료 - KOSHA MS: 2019 - ISO 45001: 2018 - Health and safety committees, HSE - “Safety and health program management guidelines”, OSHA, 2015 - “Safety Management”, Grimaldi·Simonds, 1989 - “Safety Committees Data 안전보건t 631”, National Safety Council 관련법규·규칙·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법 제2장 제1절 제24조(산업안전보건위원회) 산업안전보건위원회 구성 및 운영에 관한 지침(Z-2-23) 1. 목 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3. 용어의 정의 4. 기본사항 5. 1단계 : 실행계획 6. 2..

경질폴리우레탄폼 취급시 화재예방에 관한 기술지침(F-3-2014)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Alliance for the polyurethanes industry, “Fire safety guidelines for use of rigid polyurethane and polyisocyanurate foam insulation in building construction”, USA, 2014. - Spray polyurethane foam alliance, “Spray polyurethane foam systems for cold storage facilities operating between -40 and + 10 ”, USA, 2014 - American Chemical Council, "Working with Polyurethane Foam Products; ..

목재가공시설의 화재․ 폭발 예방기준(F-2-2011) [내부링크]

o 관련 규격 및 자료 - NFPA 664 : Standard for the prevention of fires and explosions in wood processing and woodworking facilities - 노동부 고시 제 93-21호 : 피뢰침의 설치에 관한 기술상의 지침 o 관련 법령 ·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관한규칙 제236조 (화재의 위험이 있는 작업의 장소 등) 목재가공시설의 화재․ 폭발 예방기준(F-2-2011) 1. 목 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건물의 구조 5. 폭발압력 방산구 6. 작업장 관리 7. 점화원의 관리 8. 소방시설 9. 목분진 처리설비 10. 열매체 가열 시스템 11. 미세한 목재분쇄작업 12. 합판공장 1. 목 적 이 지침은 산업안전보..

화학설비의 압력시험에 관한 기술지침(D-54-2022)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KS B 6750, “압력용기 - 설계 및 제조일반”, 2017 - ASME Boiler & pressure vessel code Ⅷ division 1, “Rules for construction of pressure vessels”, 2015 - ASME B31.3, “Process piping”, 2016 - ASME B16.5, “Pipe flanges and flanged fittings”, 2003 화학설비의 압력시험에 관한 기술지침(D-54-2022) 1. 목 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일반사항 5. 압력시험 방법 6. 기록 관리 1. 목 적 이 지침은 화학설비 및 부속설비의 수압 및 기압 시험 절차, 안전조치 등에 필요 한 사항을 정하는데 그 목적이 ..

덤프트럭 및 화물자동차 안전작업 지침(C-114-2020)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KOSHA GUIDE C-106-2016 덤프트럭안전보건작업 지침 - KOSHA GUIDE C-107-2016 일반 화물자동차 안전보건작업 지침 - KOSHA GUIDE C-48-2012 건설기계 안전보건작업 지침 - KS R 6003-1: 2001 토공기계-덤프트럭-제1부:용어 및 시방항목(한국표준협회) - 건설기계 시공안전기준 제정에 관한 연구(한국건설기술연구원) o 관련법규․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관한규칙 제171조∼178조(차량계 하역운반기계 등), 제187조∼190조(화물자동차), 제196조∼206조(차량계 건설기계 등), 제385조∼386조(중량물 취급시의 안전조치), 제387조∼393조(화물취급 작업 등) - 고용노동부고시 제2020-26호(운반하역 표..

작업장비 사용에 관한 기술지침(M-5-2012)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INDG 229 : USING WORK EQUIPMENT SAFELY o 관련 법규․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편 제1장 (기계· 기구 및 그 밖의 설비에 의한 위험예방) 작업장비 사용에 관한 기술지침(M-5-2012) 1. 목 적 2. 적용범위 3. 정 의 4. 위험요인 및 위험성 5. 위험저감 대책 6. 교육 및 훈련 1. 목 적 이 지침은 작업장비의 사용 시 등에 관한 기술적 사항을 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2. 적용범위 이 지침은 작업장비의 사용 시에 적용한다. 대표적인 작업장비로는 둥근 톱, 스크류 드라이버, 칼, 수동 톱, 드릴링 기계, 복사기, 제초기, 트랙터 등이 있으며 상세한 예는 “4.2 대표적인 작업장비”를 참조한다. 3. 정 의 (1..

국소배기장치 점검․ 보수시 안전보건 관리지침(H-76-2015) [내부링크]

o 관련법규․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법 제24조(보건조치) - 산업안전보건법 제36조(안전검사) -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제74조(검사원 자격) 국소배기장치 점검․ 보수시 안전보건 관리지침(H-76-2015) 1. 목 적 2. 적용범위 3. 작업별 안전․ 보건관리 4. 화재, 폭발 등의 방지 5. 유해인자의 관리 6. 보호구(부록참조) 1. 목 적 이 기술지침은 산업안전보건법(이하 “법”이라 한다) 제24조(보건조치), 제36조(안전검사) 및 같은 법 시행규칙 제74조(검사원의 자격) 규정에 의한 국소배기장치의 안전검사 및 보수작업시 발생할 수 있는 산업재해예방을 위한 작업관리지침을 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2. 적용범위 이 지침은 국소배기장치의 안전검사, 점검 및 보수작업에 대하여 적용한다. ..

넘어짐 방지를 위한 위험관리 기술지침(G-11-2017)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Slips and trips: Guidance for employers on identifying hazards and controlling risks, HSE, 1996 - 안전보건기술지침「세라믹바닥재의미끄러짐측정과평가에관한기술지침」 o 관련법규ㆍ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3조 (전도의 방지) 넘어짐 방지를 위한 위험관리 기술지침(G-11-2017) 1. 목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넘어짐의 위험성평가, 위험요소 및 위험관리 5. 넘어짐 방지대책 1. 목적 이 지침은 작업장에서 자주 발생하는 근로자의 미끄러짐, 걸림, 헛디딤 등에 의한 넘어짐 재해를 감소시키기 위한 기술적인 사항에 대해 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2. 적용범위 이 지침은 ..

추락재해방지표준안전작업지침(고용노동부고시 제2020-8호) [내부링크]

추락재해방지표준안전작업지침 제정 1992.12.29. 고시 제1992-50호 개정 2001. 1. 9. 고시 제2001-11호 제정(폐지후 재발령) 2009. 9. 25 고시 제2009-43호 개정 2012.9.25. 고용노동부고시 제2012-95호 개정 2015.9.25. 고용노동부고시 제2015-53호 개정 2020.1.7. 고용노동부고시 제2020-8호 제1장 총 칙 제1조(목적) 이 고시는 「산업안전보건법」제13조에 따라 추락 재해방지를 위하여 사용되는 방망, 안전대, 지지로우프, 표준안전난간의 설치 및 관리에 관하여 사업주에게 지도․권고할 기술상의 지침을 규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2조(정의) ①이 지침에서 사용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 각호와 같다. 1. “방망”이라 함은 그물코가 다수 연속된 ..

열가소성 탱크의 유지관리에 관한 기술지침(M-71-2011)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HSE PM86 : Thermoplastic tank integrity management 열가소성 탱크의 유지관리에 관한 기술지침(M-71-2011) 1. 목 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열가소성 탱크 개요 5. 탱크의 설계 및 제작 6. 탱크의 설치 7. 운전과 유지관리 8. 사용 조건의 변경 및 중고 탱크 1. 목 적 이 지침은 열가소성 탱크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필수적인 요구 사항을 기술하고 사업장에서 사용되는 고정식 열가소성 탱크의 사양, 설계, 제작, 설치, 사용 그리고 검사에 관한 지침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2. 적용범위 이 기술지침은 사업장에서 열가소성 탱크를 유지관리 하는데 적용한다. 3. 용어의 정의 (1) 이 지침에서 사용되는 용어의 정의는..

항타기·항발기 사용 작업계획서 작성지침(C-101-2022)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KOSHA GUIDE C-85-2013 트럭 탑재형 크레인(Cargo Crane) 안전보건 작업지침 - KOSHA GUIDE C-48-2022 건설기계 안전보건작업 지침 - KOSHA GUIDE M-86-2011 고소작업차 안전운전에 관한 기술지침 - KOSHA GUIDE M-185-2015 지게차의 안전작업에 관한 기술지침 o 관련법규․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제100조(기계등 대여자의 조치) -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제103조(기계등 대여사항의 기록・ 보존)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38조(사전조사 및 작업계획서의 작성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92조(정비 등의 작업 시의 운전정지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98조(제한..

굴착기 안전보건작업 지침(C-105-2022) [내부링크]

관련규격 및 자료 - KOSHA GUIDE C-39-2011 굴착공사 안전작업 지침 - 건설기계 시공안전기준 제정에 관한 연구(한국건설기술연구원) - KS B ISO 7135:2020 토공기계– 유압굴삭기– 용어 및 상용 사양 - KS B ISO 6165:2019 토공기계– 기본– 식별과 용어 및 정의 관련법규․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관한규칙 제196조∼제206조(차량계 건설기계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관한규칙 제338조∼제347조(굴착작업 등의 위험방지) - 운반하역표준안전작업지침(고용노동부고시 제2020-26호) - 굴착공사표준안전작업지침(고용노동부고시 제2020-5호) - 건설기계안전기준에 관한 규칙(국토교통부령 제751호) 제10조∼제12조 - 사업장 위험성평가에 관한 지침..

작업의자형 달비계 안전작업 지침(C-33-2022)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KCS 21 60 10 :2020) 비계 ․ [자재] 2.5 기타비계-달비계 ․ [시공] 3.6 기타비계-달비계 o 관련 법규․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35조(관리감독자의 유해·위험 방지 업무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45조(지붕 위에서의 위험 방지)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7장 제4절(달비계, 달대비계 및 걸침비계) - 고용노동부고시 제2020-3호 가설공사 표준안전작업지침 작업의자형 달비계 안전작업 지침(C-33-2022) 1. 목 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작업의자형 달비계 작업순서 및 구성요소에 대한 안전조치 사항 5. 작업의자형 달비계 작업 시 안전준수사항 6. 관리감독자의 유해· 위험 방지 직무수행 사..

안전 KPI 설정 및 성과측정에 관한지침(Z-44-2022) [내부링크]

관련규격 및 자료 - 안전보건경영시스템 안전 KPI 설정 및 성과측정에 관한지침(Z-44-2022) 1. 목 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안전·보건 성과측정 5. 안전보건 성과지표 6. 안전보건 성과측정 1. 목 적 이 지침은 사업장 안전 KPI를 설정하여 성과측정을 실시하고, 측정 결과는 근로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정량화하여 주기적으로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작업장의 안전보건 수준의 변화를 유도하고, 작업장 안전보건 관찰기법의 보급을 촉진하며, 궁극적으로는 쾌적한 작업환경 조성과 산업재해 예방 및 사업장의 안전문화 형성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 적용범위 본 가이드라인은 안전·보건관리 실무담당자, 인증 내부 심사원 그리고 안전 감독관에게 적용된다. 3. 용어..

작업량 평가 지침(Z-35-2022) [내부링크]

관련규격 및 자료 - 안전보건경영시스템 작업량 평가 지침(Z-35-2022) 1. 목 적 2. 적용 범위 3. 용어의 정의 4. 작업량 측정을 위한 기본 개념 5. 작업량 측정 1. 목 적 작업량은 근로자 비 기술 역량 요소인 스트레스의 가장 큰 동인이다. 사업장의 생산성을 높이고 안전보건 사고를 사전 예방하기 위해서는 작업량은 근로자와의 합의 원칙에 따라서 운영되어야 한다. 사업장의 리더는 모든 작업을 표준화하고 과학화하여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담당 근로자 또는 존재하는 경우, 근로자 대표와 작업량을 협의하는 프로세스를 수립, 실행 및 유지해야 한다. 본 지침은 이와 관련된 개념과 기법들에 관하여 안내한다. 2. 적용 범위 본 지침은 원칙적으로 산업안전보건법 제39조 제1항 제5호에 따라서, 인체..

작업장 안전확인 및 점검에 관한 지침(Z-6-2022) [내부링크]

관련규격 및 자료 - Global 기업 안전확인점검 Checklist Practice 작업장 안전확인 및 점검에 관한 지침(Z-6-2022) 1. 목 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안전확인점검 역할 및 책임 5. 일반사항 6. 안전확인점검 수행 7. 불안전한 행위 및 상태 8. 문서화 9. 품질 유지 및 감사 1. 목 적 이 지침은 특정 작업에 대해 작업지침서에 따라 안전하고 적정하게 작업을 수행하는지 관찰하고, 작업지침서의 적합성과 방법에 대해 지속적인 개선을 통하여 안전하고 효율적인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2. 적용범위 조직의 사업주, 관리자 및 안전관련 인원이 안전확인점검에 관한 절차를 신규로 제정하거나 기존의 절차의 실효성을 검토하여 개선하는데 본 지침을 활용할 수 있다. 3..

물류창고에서 화재 리스크 감소에 관한 기술지침(X-46-2011) [내부링크]

관련규격 및 자료 - Mark Tweeddale, Managing Risk and Reliability of Process Plants, 2003 - KOSHA GUIDE X-1-2011, 리스크 관리의 용어 정의에 관한 지침 - KOSHA GUIDE X-2-2011, 리스크 처리 방법에 관한 지침 물류창고에서 화재 리스크 감소에 관한 기술지침(X-46-2011) 1. 목 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물류창고에 존재하는 화재 유해위험요인 5. 물류창고 화재에 의한 독성가스 유해위험요인 6. 화재 리스크 감소방안 1. 목 적 이 지침은 물류창고에서 다양한 화학물질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여러 유형의 사고 중에서 가장 빈번하고 심각하게 발생하는 화재의 리스크를 감소시키기 위해 필요한 기술적 ..

절연용 (고무)보호구의 선정, 사용 및 관리 등에 관한 기술지침(E-189-2022)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 안전인증·자율안전확인신고의 절차에 관한 고시 - 보호구 안전인증 고시 - KS C IEC 60903 (활선작업-전기 절연 장갑) - KS C IEC 60984 (활선작업-전기 절연 소매) - ASTM F496 Standard Specification for In-service Care of Insulating Gloves and Sleeves - ASTM F1236 Standard Guide for Visual Inspection of Electrical Protective Rubber Products 관련법규·규칙·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편 제3장(전기로 인한 위험방지) 절연용 (고무)보호구의 선정, 사용 및 관리 등에 ..

화약공장 안전에 관한 기술지침(G-126-2018) [내부링크]

ㅇ 관련 규격 및 자료 - Manufacture and storage of explosives manufacture and storage of explosives regulations 2004, HSC 03/131(Annex) - Process Safety Management for Explosives and Pyrotechnics Manufacturing, OSHA 3912-03 2017 - 「火薬類製造所における 保安指針」 平成2 8 年3 月改訂版, 日本火薬工業会 - KOSHA GUIDE C-46-2016(발파공사 안전보건작업 지침) - KOSHA GUIDE E-89-2017(정전기 재해예방에 관한 기술지침)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325조(정전기로 인한 화재·폭발 등 방지) 화약공장 안전에..

이동식 인화성 액체 저장용기의 안전에 관한 가이드(P-7-2011) [내부링크]

o 관련 규격 및 자료 - NFPA 30 「Flammable and Combustible Liquids Code」 o 관련 법령 ·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관한규칙 제2편 제2장(위험물 등의 취급 등)과 제2편 제2장 제2절(화기 등의 관리) 이동식 인화성 액체 저장용기의 안전에 관한 가이드(P-7-2011) 1. 목 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용기의 구조 및 용량 5. 내부 액체 저장지역의 설계, 구조, 운전 6. 위험물 저장 라커 7. 옥외 저장 8. 점화원 제어 1. 목 적 이 가이드는 산업안전보건기준에관한규칙(이하 “안전보건규칙”이라 한다)」 제2편 제2장(위험물 등의 취급 등)과 제2편 제2장 제2절(화기 등의 관리) 규 정에 의거 이동식 저장용기의 설계 및 구조, 용량, 관..

지하매설 저장탱크의 안전진입에 관한 기술지침(P-61-2012) [내부링크]

o 관련 규격 및 자료 - NFPA 326, “Standard Procedures for the Safe Entry of Underground Storage Tanks”, 1999 Ed., 1999 지하매설 저장탱크의 안전진입에 관한 기술지침(P-61-2012) 1. 목적 2. 적용범위 3. 정의 4. 일반 예방조치 5. 탱크 진입 절차 6. 탱크 청소 작업 1. 목적 이 지침은 지하에 매설된 인화성 물질을 저장하고 있는 저장탱크의 검사 또는 보수 등에 필요한 사항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2. 적용범위 이 지침은 정상적으로 대기압에서 작동하며, 인화성 물질을 저장하고 있거나 저장했던 지하 저장탱크의 진입에 적용한다. 다만, 불활성 가스로 보호된 탱크에는 적용하지 않는다. 3. 정의 (1) 이 지침..

밀폐공간의 방수공사 안전보건작업 지침(C-14-2012)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BS : confined spaces regulations 1997 (SI 1997, L101) - BS : safe work in confined spaces (BS guidance INDG-258, L101) o 관련법규․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39조, 제296조 - 산업보건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3조 ~ 제34조, 87조 ~ 96조 - KOSHA GUIDE H-80-2012 밀폐공간 보건작업 프로그램 시행에 관한 기술지침 - KOSHA GUIDE W-1-2012 산업환기설비에 관한 기술지침 - KOSHA GUIDE H-57-2012 현장 응급처치의 원칙 및 관리지침 - KOSHA GUIDE H-59-2012 현장 인공호흡 및 심폐소생술 시행지..

전열기기의 안전한 사용에 관한 기술지침(E-133-2013)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KS C IEC 60519-1 전기가열 설치시의 안전성 - 제1부 : 일반 요구사항 - KS C IEC 60519-2 전열설비의 안전성 - 제2부 : 저항 가열장치를 위한 개별 요구사항 - KS C 2830 전열기기용 히터 및 석영관 - BS 1945 Fireguards for heating appliances - BS 3456 The testing and approval of household electrical appliances. o 관련법령․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편 제3장(전기로 인한 위험방지) 제1절(전기기계․ 기구 등으로 인한 위험방지) 전열기기의 안전한 사용에 관한 기술지침(E-133-2013) 1. 목적 2. 적용범위 3. 정의 4. 안전 ..

황산에 대한 작업환경측정․ 분석 기술지침(A-179-2019)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NIOSH Manual of Analytical methods (NMAM), 5th ed, www.cdc.gov/niosh/nmam -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dministration (U.S.A), Sampling and Analytical method, www.osha.gov/dts/sltc/methods/index.html - Health and Safety Executive (U.K.), Methods for the Determination of Hazardous Substances (MDHS) guidance, www.hse.gov.uk/p..

절연용 방호구의 선정, 사용 및 관리 등에 관한 기술지침(E-55-2022)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 안전인증 및 자율안전확인의 신고절차에 관한 고시 - 방호장치 안전인증 고시 - KS C IEC 61229(교류 전기설비 활선작업용 방호덮개) - KS C IEC 61479(활선작업-전선 덮개(선로 호스) - KS C IEC 61111(활선작업-절연 매트) - KS C IEC 61112(활선작업-전기 절연용 블랭킷) - ASTM D 1050(Standard specification for rubber insulating line hoses) - ASTM D 1049(Standard specification for rubber insulating covers) - ASTM D 1048(Standard specification for rubber ins..

황을 사용하는 공정의 화재 및 폭발방지에 관한 기술지침(P-55-2012) [내부링크]

o 관련 규격 및 자료 - NFPA 655, "Standard for Prevention of Sulfur Fires and Explosions", 1993 Ed., 1993 황을 사용하는 공정의 화재 및 폭발방지에 관한 기술지침(P-55-2012) 1. 목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일반 요구사항 5. 미세한 황의 대량 취급 6. 굵은 황의 대량 취급 7. 액체 황의 취급 8. 154 를 초과하는 온도에서 액체 황 및 황 증기의 취급 1. 목적 이 지침은 황을 가공 및 취급하는 공정에서 화재 및 폭발의 가능성을 제거하거나 위험을 경감시킴으로써 인명과 재산의 손실을 막고, 공정을 안전하게 유지하는데 필요한 사항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2. 적용범위 이 지침은 황의 분쇄, 연마, 미..

夏日絶句(하일절구) [내부링크]

夏日絶句(하일절구) 生當作人傑 (생당작인걸) 살아서는 당연 사람들 중 호걸이었고 死亦爲鬼雄 (사역위귀웅) 죽어서도 역시 귀신들 중 영웅이리라 至今思項羽 (지금사항우) 지금도 항우를 그리워함은 不肯過江東 (불긍과강동) 그가 강동으로 후퇴하지 않았기 때문이니. - 이청조(李淸照) -

지게차 운전자의 안전교육훈련에 관한 기술지침(G-100-2013)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INDG 462, Lift-truck training: Advice for employers, HSE, 2013 - L 117, Rider-operated lift trucks, HSE, 2013 - KOSHA GUIDE G-10-2011, 작업장 내 운반차량의 운행에 관한 안전가이드 - 산업안전보건용어사전,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2006 지게차 운전자의 안전교육훈련에 관한 기술지침(G-100-2013) 1. 목 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지게차 운전자 안전교육훈련에 관한 사업주의 의무 5. 교육훈련 시 고려사항 6. 지게차 운전자의 자격 7. 안전교육훈련의 종류와 내용 8. 교육훈련담당자의 자격과 안전교육훈련 시설 9. 모니터링과 평가 1. 목 적 이 지침은 지게..

전기장치에서의 SF6 가스 분석과 처리에 관한 기술지침(E-123-2012)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IEC 60480 (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 2004) /Guideline for the Checking and Treatment of Sulfur Hexafluoride (SF6) taken from Electrical Equipment and Specification for its re-Use) o 관련법령․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편 제2장(위험물 등의 취급 등)과 제2편제 2장제2절(화기 등의 관리)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4편(폭발, 화재 및 위험물 누출에 의한 위험방지) 전기장치에서의 SF6 가스 분석과 처리에 관한 기술지침(E-123-2012) 1. 목적 2. 적용범위 3 정의 4..

인화성 액체의 분무 공정에서 화재·폭발 예방에 관한 가이드(P-6-2011) [내부링크]

o 관련 규격 및 자료 - HSG 178 The Spraying of Flammable Liquids - NFPA 33 Standard for spray Application Using Flammable or Combustile Materials - CFR 1910.107 - KOSHA GUIDE 폭발위험장소에서의 전기설비 설치에 관한 기술지침. o 관련 법령 ·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관한규칙 제225조(위험물질 등의 제조 등 작업시의 조치), 제232조(폭발 또는 화재 등의 예방) 인화성 액체의 분무 공정에서 화재·폭발 예방에 관한 가이드(P-6-2011) 1. 목 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분무공정의 화재 또는 폭발 위험 5. 분무공정의 위험성평가(Risk assessment) ..

스플래쉬 필링(Splash Filling)으로 인한 정전기 화재사고 예방에 관한 기술지침(E-171-2018) [내부링크]

관련규격 및 자료 - 안전보건기술지침 「정전기 재해예방에 관한 기술지침」 - NFPA 77 : Recommended practice on static electricity, 2014 Edition 관련법령․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325조(정전기로 인한 화재 폭발 등 방지) 스플래쉬 필링(Splash Filling)으로 인한 정전기 화재사고 예방에 관한 기술지침(E-171-2018) 1. 목 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스플래쉬 필링의 위험성 5. 스플래쉬 필링 사고 예방 대책 1. 목 적 이 지침은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이하 “안전보건규칙”이라 한다) 제325조(정전기로 인한 화재 폭발 등 방지)의 규정에 따라, 스플래쉬 필링에 의한 정전기 화재·폭발사고 형..

있는 그대로가 좋다 [내부링크]

있는 그대로가 좋다 풀과 나무들은 저마다 자기다운 꽃을 피우고 있다. 그 누구도 닮으려고 하지 않는다. 그 풀이 지닌 특성과 그 나무가 지닌 특성을 마음껏 드러내면서 눈부신 조화를 이루고 있다. 풀과 나무들은 있는 그대로 그 모습을 드러내면서 생명의 신비를 꽃피운다. 자기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자신들의 분수에 맞도록 열어 보인다. 옛 스승(임제선사)은 말한다. “언제 어디서나 모든 것을 긍정적으로 생각하라. 그러면 그가 서 있는 자리마다 향기로운 꽃이 피어나리라.” 자신의 존재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지 못하면 불행해진다. 진달래는 진달래답게 피면되고, 민들레는 민들레답게 피면된다. 남과 비교하면 불행해진다. 이런 도리를 이 봄철에 꽃한테서 배우라. 아름다움의 본질에 대해서 옛 스승은 다시 말한다...

작업장내 기계 소음평가에 관한 기술지침(M-37-2012)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EIS-26 : Noise in engineering o 관련 법규․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3편 제4장 (소음 및 진동에 의한 건강장해의 예방) 작업장내 기계 소음평가에 관한 기술지침(M-37-2012) 1. 목 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일반사항 5. 소음문제 6. 소음평가 1. 목 적 이 지침은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이하 “안전보건규칙”이라 한다) 제3편 제4장 (소음 및 진동에 의한 건강장해의 예방) 에 의거 작업장내 기계 소음문제 및 평가에 관한 기술적 사항을 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2. 적용범위 이 지침은 작업장내 기계 소음평가시에 적용한다. 3. 용어의 정의 (1) 이 지침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가..

기계의 제작․사용시 안전기준에 관한 기술지침(M-137-2012)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日本厚生勞動省 2007. 7. 31 : 機械の包括的な 安全基準に關する 指針 - ISO14121 : Safety of machinery - Principles of risk assessment o 관련 법규․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편 제1장 제1절 제89조(운전 시작전 조치) 기계의 제작․사용시 안전기준에 관한 기술지침(M-137-2012) 1. 목 적 2. 적용범위 3. 정의 4. 기계의 설계 또는 제조자의 이행사항 5. 기계를 사용하는 사업주의 이행사항 6. 기계사용 사업주의 의무사항 1. 목 적 이 지침은 산업안전보건기준에관한 규칙(이하 “안전보건규칙”이라 한다) 제2편 제1장 제1절 제89조(운전 시작전 조치)의 규정에 따라 기계의 안전화를 도..

양중기에 관한 일반 안전지침(M-162-2013) [내부링크]

관련규격 및 자료 - HSE, Lifting equipment at work :A brief guide - HSE, Safe use of lifting equipment. Lifting operations and lifting equipment regulations ; Approved code of practice and guidance, 1998 관련법규․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편 안전기준, 제9절 “양중기” 양중기에 관한 일반 안전지침(M-162-2013) 1. 목 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양중기 재해 유형 5. 양중기 안전 고려사항 6. 양중기의 방호조치 7. 안전 확인사항 8. 양중기의 유지관리 1. 목 적 이 지침은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

비상설비 구동용 엔진의 보수유지에 관한 기술지침(M-145-2012)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IRI : Emergency engine maintenance - NFPA110 : Standard for emergency and standard power systems o 관련 법규․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 기준에 관한 규칙 제2편 제1장 제1절 제91조(고장난 기계의 정비 등) 비상설비 구동용 엔진의 보수유지에 관한 기술지침(M-145-2012) 1. 목 적 2. 적용범위 3. 비상설비의 보수유지에 유의할 사항 4. 비상설비의 일반관리사항 5. 비상설비 구동용 엔진의 유지관리 1. 목 적 이 지침은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이하 “안전보건규칙”이라 한다) 제2편 제1장 제1절 제91조(고장난 기계의 정비 등)의 규정에 따라 공장에서 오랜 기간 사용되고 있는 설..

회전기계 예비품관리에 관한 기술지침(M-144-2012)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IRI (INDUSTRIAL RISK INSURERS) SPARE ROTATING ELEMENTS o 관련 법규․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 기준에 관한 규칙 제2편 제2장 제7절 제300조(기밀시험 시의 위험방지) 회전기계 예비품관리에 관한 기술지침(M-144-2012) 1. 목 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회전부 예비부품 5. 설치예비기기 6. 회전부 예비부품의 저장 1. 목 적 이 지침은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이하 “안전보건규칙”이라 한다) 제2편 제2장 제7절 제300조(기밀시험시의 위험방지)의 규정에 따라 불활성기체 등을 이용한 기밀시험방법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2. 적용범위 이 기술기준은 터빈, 펌프, 팬, 공기압축기, 전동기 등 대형..

건축허가 시 유해위험방지계획서, 공정안전보고서 대상 여부 협의 [내부링크]

건축허가 시 유해위험방지계획서, 공정안전보고서 대상 여부 협의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유해위험방지계획서, 공정안전보고서 관련 건축허가 시 "산업집적활성화 및 공장설립에 관한 법률" 및 "중소기업창업 지원법"에 따라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과 협의하여야 한다. 산업집적법 및 중소기업창업법에 따라 지방자치단체와 건축 인허가 협의 시 산업안전보건공단에서 확인해야 하는 유해위험방지계획서·공정안전보고서 대상여부 확인 의뢰서 양식으로 건축 인허가 시 해당 양식을 작성하여 세움터 협의도서등록도구에 첨부하여 주시거나, - 첨부위치 : D(도면) - A(건축) - 1(개요) - A11(설개개요) 건축허가 지역을 관할하는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세움터 협의 담당자에게 메일 또는 팩스로 송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아울러, 대상판단을 위한..

안전대의 죔줄에 관한 기술지침(M-43-2013)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INDG-367 : Inspecting fall arrest equipment made from webbing or rope o 관련 법규·규칙·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42조(추락의 방지) 안전대의 죔줄에 관한 기술지침(M-43-2013) 1. 목 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일반사항 5. 점검 1. 목 적 이 지침은 안전대의 죔줄과 관련하여 발생되는 위험상황 등에 관한 기술적 사항을 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2. 적용범위 이 지침은 안전대의 죔줄에 적용한다. 3. 용어의 정의 (1) 이 지침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가) “죔줄”이라 함은 안전대의 벨트 또는 안전그네를 구명줄 또는 구조물 등 그 밖의 걸이설비와 연결하기 위한 줄모..

소화수조 및 저수조의 화재안전성능기준(NFPC 402) [내부링크]

소화수조 및 저수조의 화재안전성능기준(NFPC 402) [시행 2022. 12. 1.] [소방청고시 제2022-56호, 2022. 11. 25., 전부개정.] 소방청(소방분석제도과), 044-205-7532 제1조(목적) 이 기준은 「소방시설 설치 및 관리에 관한 법률」(이하 "법"이라 한다) 제2조제1항제6호가목에 따라 소방청장에게 위임한 사항 중 소화용수설비인 소화수조 및 저수조의 성능기준을 규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2조(적용범위) 이 기준은 「소방시설 설치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이하 "영"이라 한다) 별표 4 제4호에 따른 소화수조 및 저수조의 설치 및 관리에 대해 적용한다. 제3조(정의) 이 기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1. "소화수조 또는 저수조"란 수조를 설치하고 ..

저압 개폐장치 및 제어장치의 오작동방지에 관한 기술지침(E-131-2012) [내부링크]

o 관련 규격 및 자료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327조 (전자파에 의한 기계·설비의 오작동방지) - KS C IEC 60947-1(2009.12.31, 저전압 개폐장치 및 제어장치-제1부:일반규정) - IEC 60947-3 Ed. 3.1 b(2012.04.27, Low-voltage switchgear and controlgear - Part 3: Switches, disconnectors, switch-disconnectors and fuse-combination units - KS C IEC 61000 시리즈 (전기자기적합성(EMC)) - KOSHA GUIDE E-6-2012 (전기개폐장치의 관리에 관한 기술지침) - KOSHA GUIDE E-18-2012 (저압 개폐장치의 정비에 관한 기..

배선기구의 정비에 관한 기술지침(E-31-2014)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안전보건기술지침(산업용 기계설비의 전기장치 설치에 관한 기술 기준) - NFPA 70B Recommended practice for electrical equipment maintenance CH 18(Wiring devices) o 관련법규․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편 제3장(전기로 인한 위험방지) 배선기구의 정비에 관한 기술지침(E-31-2014) 1. 목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일반사항 5. 접속기 및 콘센트 6. 어댑터 7. 스냅스위치 8. 덮개 판 9. 박스 10. 플러그 1. 목적 이 지침은 스위치, 플러그, 코드 접속기, 콘센트 등의 배선기구의 안전한 사용 및 정비에 관한 기술적 사항을 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2. 적용범위..

용접․ 용단 작업 시 화재예방에 관한 기술지침(F-1-2020)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NFPA 51B, "Standard for fire prevention during welding, cutting, and other hot work", 2020. - NFPA, Fire protection handbook, Section 9.6 : Welding, cutting, and other hot work, 2008. - 이근원, “안전망 화재확산방지를 위한 적정 방염처리 방안 연구”, 연구원 99-30-100, 산업안전보건연구원, 1999. o 관련법규․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 제232조 (폭발 또는 화재 등의 예방) ․ 제233조 (가스용접 등의 작업) ․ 제234조 (가스등의 용기) ․ 제236조 (화재 위험이 있는 작업의 장소 등) ․..

윤활유 분석에 의한 고장진단 기술지침(M-114-2012)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IRI (INDUSTRIAL RISK INSURERS) Lubricating oil analysis - ISO / DIS 14830-1 Tribology based monitoring and diagnostics of machines - Part 1 : General guidelines o 관련 법규․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 기준에 관한 규칙 제2편 제1장 제1절 제91조(고장난 기계의 정비 등) 윤활유 분석에 의한 고장진단 기술지침(M-114-2012) 1. 목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윤활유의 기능 5. 윤활유의 선정기준 6. 윤활유 품질관리 7. 윤활유 분석 8. 윤활유 분석 시험 종류 1. 목적 이 지침은 산업안전보건기준에관한 규칙(이하 “안전보건규..

소형탱크 세정작업을 위한 안전에 관한 기술지침(P-3-2012) [내부링크]

o 관련 규격 및 자료 - NFPA 327「Cleaning or Safeguarding Small Tanks and Containers without Entry」 - KOSHA GUIDE (화학공장의 화재예방에 관한 기술지침) o 관련 법규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32조 (폭발 또는 화재 등의 예방) 소형탱크 세정작업을 위한 안전에 관한 기술지침(P-3-2012) 1. 목적 2. 적용범위 3. 정 의 4. 세정작업의 필요성 5. 세정작업 시 주의사항 6. 세정작업 절차 7. 세정 확인절차 1. 목적 이 지침은 출입구가 없는 소형 탱크, 용기로부터 나온 인화성 증기, 액체, 가스, 고체 등의 안전한 제거와 기타 다른 수단에 의해 용기를 안전하게 세정하는 작업에 대한 기술지침을 정하는데 그 목적..

연료전지의 설계 및 취급 안전 기술지침(D-7-2012) [내부링크]

o 관련 규격 및 자료 - HSE, Fuel cells: Understand the hazards, control the risks, 2004 - KOSHA GUIDE (비상조치 계획 수립 지침) 연료전지의 설계 및 취급 안전 기술지침(D-7-2012) 1. 목 적 2. 적용범위 3. 정의 4. 연료전지 원리, 종류 및 특성 5. 연료전지 장치와 관련된 위험요인 6. 화재 및 폭발에 대한 위험관리 7. 일반적인 안전 고려사항 1. 목 적 이 지침은 연료전지의 설계자와 사용자에게 연료전지와 연료전지에 사용되는 물질의 위험을 파악하여 이들을 안전하게 취급할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2. 적용범위 이 지침은 전해질이 산성이거나 알칼리성 또는 고온인 연료전지에 적용된다. 3. 정의 (1) 이 지..

혼합기의 안전작업에 관한 기술지침(M-125-2012)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영국 MTTA 코드 o 관련 법규․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편 제1장 제1절 제87조(원동기.회전축 등의 위험방지)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3편 제10장 제2절 제619조(밀폐공간 보건작업 프로그램 수립ㆍ 시행 등) 혼합기의 안전작업에 관한 기술지침(M-125-2012) 1. 목 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혼합기의 방호조치 5. 혼합기의 작업안전 6. 명판 및 취급설명서 1. 목 적 이 지침은 산업안전보건기준에관한규칙(이하 “안전보건규칙”이라 한다) 제2편 제1장 제1절 제87조(원동기.회전축 등의 위험방지) ⑧ 및 제3편 제10장 제2절 제619조(밀폐공간 보건작업 프로그램 수립ㆍ 시행 등) 의 규정을 반영하여 혼합기의 재해..

사업장 화재 및 응급서비스에 관한 리스크 관리지침(X-30-2012)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Recommended Practice in Emergency Service Organization Risk Management: NFPA, 2009 사업장 화재 및 응급서비스에 관한 리스크 관리지침(X-30-2012) 1. 목 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5. 리스크 확인 및 분석 6. 리스크 관리서비스 체계화 7. 리스크 관리서비스 선택 8. 리스크 관리서비스 실행 9. 리스크 관리 체계 감시 1. 목 적 사업장 화재 및 응급서비스의 효과적인 리스크 확인, 통제, 재정 관리를 위해 리스크관리 프로그램을 개발, 실행, 평가하기 위한 최소한의 기준을 제시함을 목적으로 한다. 2. 적용범위 이 지침은 사업장 내의 비상대응, 화재 진압 등 관련 활동을 제공하는 화재 및 응급서비..

2022년도 엔지니어링업체 임금실태조사 보고서 [내부링크]

유의사항 및 일러두기 수록된 통계자료는 엔지니어링산업진흥법 제21조에 의거하여 신고한 엔지니어링사업자로부터 수집한 자료를 기초로 산정 엔지니어링활동은 엔지니어링산업진흥법 제2조에 의해 정의 제2조(정의) 이 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다. 1. "엔지니어링활동"이란 과학기술의 지식을 응용하여 수행하는 사업이나 시설물에 관한 다음 각 목의 활동을 말한다. 가. 연구, 기획, 타당성 조사, 설계, 분석, 계약, 구매, 조달, 시험, 감리, 시험운전, 평가, 검사, 안전성 검토, 관리, 매뉴얼 작성, 자문, 지도, 유지 또는 보수 나. 가목의 활동에 대한 사업관리 다. 가목 및 나목에 준하는 것으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활동 엔지니어링기술자는 엔지니어링산업진흥법 시행령 제4조에 따른 별표..

전자산업에서의 특수가스 취급안전 기술지침(P-12-2012) [내부링크]

o 관련 규격 및 자료 - BCGA, "Code of Practice CP 18: The safe storage, handling & use of special gases in the micro-electronic & other industries", revision 2, 2005 o 관련 법규 · 규칙 ·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법 제23조 (안전조치) - 산업안전보건기준에관한규칙 제225조(위험물질 등의 제조 등 작업시의 조치) - 산업안전보건기준에관한규칙 제232조(폭발 또는 화재 등의 예방) - 산업안전보건기준에관한규칙 제239조(위험물 등이 있는 장소의 화기 등의 사용금지) - 산업안전보건기준에관한규칙 제267조(배출물질의 처리) 전자산업에서의 특수가스 취급안전 기술지침(P-12-2012) 1...

고정식 사다리의 제작에 관한 기술지침(G-3-2022)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Safety code for fixed ladder, ANSI, 2003 - 산업안전보건용어사전,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o 관련법규ㆍ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 24조 (사다리식 통로 등의 구조) - KS B ISO 14122-4(2014) 기계 안전 - 기계설비에 대한 영구적 접근 수단 제4부(고정식 사다리) 고정식 사다리의 제작에 관한 기술지침(G-3-2022) 1. 목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일반 사항 5. 고정식 사다리의 설계기준 6. 고정식사다리의 등받이 울에 대한 설계조건 7. 고정식 사다리의 추락방지장치 8. 고정식 사다리의 사다리참 9. 사다리의 고정 부품 1. 목적 이 지침은 고정식 사다리의 안전한 사용을 목적으로 고정식..

Major Performance [내부링크]

주요실적 비고 o 파이롯트공장 공정안전보고서 및 고압가스기술검토서 컨설팅 o 애경유화(울산) o 증설공장 고압가스기술검토서 컨설팅 o 효성화학(울산) o 증설공장 공정안전보고서 및 고압가스기술검토서 컨설팅 o SK에스케이머티리얼즈리뉴텍(울산) o 증설공장 공정안전보고서 컨설팅 o 한화솔루션 울산1공장(울산) o 신규공장 유해위험방지계획서 및 고압가스기술검토서 컨설팅 o 오션브릿지(충북 보은) o 파이롯공장 HAZOP Study Report o GS에코메탈(울산 온산공단) o 기존공장 HAZOP Study 재실시 Report o 오드펠터미널코리아(울산 온산공단) o 기존설비 PSV 배출용량(Required Capacity) 계산서 작성 o 고려아연(울산 온산공단) o 증설공장 공정안전보고서 컨설팅 o 코스..

건조염소 배관시스템에 관한 기술지침(P-33-2012) [내부링크]

o 관련 규격 및 자료 - Pamphlet 6, "Piping Systems for Dry Chlorine", 미국 염소협회, 15ed, 2005 - Pamphlet 95, "Gaskets for Chlorine Service", 미국 염소협회, 4ed, 2008 - ILO 중대산업사고 매뉴얼 - Report No 2002-04-1-MO, "Investigation Report - Chlorine Release", CSB, 2002 건조염소 배관시스템에 관한 기술지침(P-33-2012) 1. 목 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일반사항 5. 배관설계 6. 관 및 관 부속품 7. 밸브 8. 기타 부속품 9. 계장 설비 10. 비철금속 튜빙 시스템 11. 이송용 콘테이너 연결장치 12. 프라스틱 재..

화학설비의 건전성 모니터링에 관한 기술지침(P-169-2020) [내부링크]

o 관련 규격 및 자료 - API RP 571, “Damage Mechanisms Affecting Fixed Equipment in the Refining Industry”, 3rd Edition, March 2020 - API RP 580, “Risk-Based Inspection”, 3rd Edition, February 2016 - API RP 581, “Risk-Based Inspection Methodology”, 3rd Edition, April 2016 - API RP 584, “Integrity Operating Windows”, 1st Edition, May 2014 - API RP 970, “Corrosion Control Documents”, First Edition, Decembe..

중소규모 사업장의 리스크평가 관련 유해위험요인 분류를 위한 기술지침(X-13-2012)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Richtlinie 89/391/EWG des Rates ueber die Durchfuehrung von Massnahhmen zur Verbesserung der Sicherheit und Gesundesheitsschutzes der Arbeinehmer bei der Arbeit, 2003. - Leitfaden fuer die Gefaehrdungsbeurteilung, Verlag Technik & Information, 2005. - Gefaehrdungsbeurteilung Praxishilfe, Verlag Technik & Information, 2005. 중소규모 사업장의 리스크평가 관련 유해위험요인 분류를 위한 기술지침(X-13-2012) 1. 목 적 2. ..

화학물질 리스크 관리를 위한 작업공정별 관리요령에 관한 지침(X-27-2012) [내부링크]

o 관련 규격 및 자료 - 산업안전보건법 제41조제6항, 시행규칙 제92조의7. - Technische Regeln fuer Gefahrstoffe 555, 2009. - Technische Regeln fuer Gefahrstoffe 400, 2009. 화학물질 리스크 관리를 위한 작업공정별 관리요령에 관한 지침(X-27-2012) 1. 목 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적용방법 5. 작업공정별 관리요령 6. 교육 1. 목 적 이 지침은 산업안전보건법 제41조(물질안전보건자료의 작성 비치 등) 제6항의 규정에 의거 화학물질 또는 화학물질을 함유한 제재(이하 “화학물질”이라 한다.)를 취급하는 작업공정별로 게시하는 관리요령의 작성 및 물질안전보건자료의 활용 방법에 대하여 제시함을 목적으로 한다..

유기도료 제조설비의 안전관리 기술지침(P-62-2012) [내부링크]

o 관련 규격 및 자료 - NFPA 35, “Standard for the Manufacture of Organic Coatings”, 2006 Ed., 2006 유기도료 제조설비의 안전관리 기술지침(P-62-2012) 1. 목적 2. 적용범위 3. 정의 4. 제조 공장 및 건물 5. 공정 장치 및 작동 6. 물질 저장 및 취급 7. 화재 방지 8. 교육훈련 및 유지관리 1. 목적 이 지침은 유기도료 제조시설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화재 및 폭발로부터 인명과 재산 을 보호하기 위하여 필요한 기술적 사항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2. 적용범위 이 지침은 인화성 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유기도료를 제조, 저장하는 시설에 적용한다. 3. 정의 (1) 이 지침에서 사용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가) “유기..

무수암모니아 저장에 관한 기술지침(D-34-2013) [내부링크]

o 관련법규․ 규칙․ 고시 등 - 국제노동기구(ILO) Convention NO. 174 : The prevention of major industrial accident, 1993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99조 및 제450조에 의거 작성됨. 무수암모니아 저장에 관한 기술지침(D-34-2013) 1. 목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일반사항 5. 저온저장 설비 6. 비저온 저장설비 1. 목적 이 지침은 독성물질에 해당하는 무수암모니아의 저장에 관한 필요한 사항을 정하여 암모니아 누출 등으로 인한 중대산업사고를 예방하는데 목적이 있다. 2. 적용범위 이 지침은 무수암모니아를 액체 상태로 저장하는 설비의 설계, 검사, 위치 선정 및 설치 등에 대하여 적용한다. 3. 용어의 정의 3.1..

배관 주요사고 대비 비상계획에 관한 기술지침(M-157-2012)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HSE, Further guidance on emergency plans for major accident hazard pipelines, 2006 - 배관제작 및 설치에 관한 기술지침(KOSHA Code M-26-2006) o 관련법규․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법시행규칙 제 11장 화학물질의 유해․ 위험성조사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 2장 폭발ㆍ 화재 및 위험물누출에 의한 위험방지 배관 주요사고 대비 비상계획에 관한 기술지침(M-157-2012) 1. 목 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배관 파손에 관한 비상계획 1. 목 적 이 지침은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장 “폭발ㆍ 화재 및 위험물누출에 의한 위험방지”에 의거 배관 운영 시 발생할 수 있..

유해 폐기물 취급 및 비상대응에 관한 기술지침(P-50-2012) [내부링크]

o 관련 규격 및 자료 - 미국 OSHA의 Report No. OSHA 3114-07R "Hazardous Waste Operations and Emergency Response", 2008 - 미국 29 CFR1910.120 “Hazardous Waste Operations and Emergency Response” 유해 폐기물 취급 및 비상대응에 관한 기술지침(P-50-2012) 1. 목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방제설비운용 사업장의 유해 폐기물 처리 및 비상대응 5. TSD 설비의 운용 및 비상대응 6. 유해위험 물질의 누출 시에 비상대응에 근로자가 참여하는 사업장의 운용 및 비상대응 1. 목적 이 지침은 유해 폐기물 취급 및 비상대응 시에 근로자 및 관계자의 안전 및 보건에 관하여 ..

지게차의 안전작업에 관한 기술지침(M-185-2015)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일본 노동성고시 제89호(포크리프트의 구조규격) - Safety in working with Lift Trucks, HSE, 2008 o 관련법규․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관한규칙 제2편 제10절 차량계 하역운반기계 등(제 171조~제183조) - 건설기계 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제2장 제4절 지게차 및 제3장 건설기계 공통사항(국토교통부령 제7호) - 건설기계 관리법 제6장 건설 기계 조종사 면허 지게차의 안전작업에 관한 기술지침(M-185-2015) 1. 목 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5. 일반사항 4. 적용 지게차 6. 지게차의 작업조건 7. 운행경로 8. 안전점검 등 9. 안전작업방법 1. 목 적 이 지침은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편 제10절 ..

죔쇠의 조임력에 관한 기술지침(M-106-2012)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IRI(Industrial Risk Insurers)(죔쇠의 조임력) o 관련 법규․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 기준에 관한 규칙 별표 7(화학설비 및 그 부속설비의 종류) 죔쇠의 조임력에 관한 기술지침(M-106-2012) 1. 목 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죔쇠작업 사양서에 포함할 내용 5. 죔쇠에 대한 일반사항 6. 죔쇠의 파손요인 7. 토크가 걸린 상태에서 윤활의 영향 8. 죔쇠를 조이기 위한 방법 1. 목 적 이 지침은 산업안전보건기준에관한 규칙(이하 “안전보건규칙”이라 한다) 별표 7(화학설비 및 그 부속설비의 종류)의 규정에 의한 화학설비 배관에 있어서 연결 조임에 사용되는 죔쇠의 조임력에 관한 기술적 사항을 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2. 적용범위 ..

공정안전보고서 심사결과 적정, 조건부 적정, 부적정 판단기준 [내부링크]

*********************************************************************************************************************** 공정안전보고서 심사결과 적정, 조건부 적정, 부적정 판단기준 ***************************************************************************************************************** 공정안전보고서 심사·확인업무 처리에 관한 규칙 개정 2020.06.26. 규칙 제932호 제11조(심사결과 통보) ① 심사실시기관의 장은 보고서 심사가 끝나면 심사규정 제11조, 제12조제1항 및 제2항에 따라 조치하되, 별지 제6호..

화재 리스크 평가에 관한 기술지침(X-31-2012)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ISO/TS 16732, Fire safety engineering - guidance on fire risk assessment - ISO 921:1997, Nuclear energy - Vocabulary - ISO 2394:1998, General priciples on reliability for structure - ISO/TR 13387 (all parts), Fire safety engineering - ISO 13943:2000, Fire safety - Vocabulary 화재 리스크 평가에 관한 기술지침(X-31-2012) 1. 목 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화재 리스크 관리 (Fire risk management) 5. 화재 리스크 예측의 절차 ..

유지공장의 용제추출공정 안전설계 및 운전에 관한 기술지침(D-3-2012) [내부링크]

o 관련 규격 및 자료 - NFPA 36, Standard for Solvent Extraction Plant, 2001 edition. NFPA. o 관련법규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32조(폭발 또는 화재 등의 예방)와 제236조(화재 위험이 있는 작업의 장소 등) 유지공장의 용제추출공정 안전설계 및 운전에 관한 기술지침(D-3-2012) 1. 목적 2. 적용범위 3. 정 의 4. 용제추출공정의 기본 규칙 5. 벌크 용제 하역과 저장 6. 준비와 밀 종료 공정 7. 추출 공정 1. 목적 이 지침은 가연성 탄화수소 액체를 이용하는 추출공정의 설계․ 구조․ 조작을 위한 요구사항, 추출공정 그리고 준비 및 마무리 부분에서 화재와 폭발 예방을 위한 요구사항, 공정과 조작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 새..

압력용기 등의 초음파탐상시험에 관한 기술지침(M-107-2012)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KS B 0817('06) : 금속재료의 펄스 반사법에 따른 초음파 탐상 시험방법 통칙 - KS B 0831('01) : 초음파 탐상시험용 표준 시험편 - KS B 0896('99) : 강 용접부의 초음파 탐상 시험방법 - KS D 0233('05) : 압력용기용 강판의 초음파 탐상 검사방법 - KS B 0534('00) : 초음파 탐상장치의 성능 측정방법 - KS B 0550('06) : 비파괴 시험 용어 o 관련 법규․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법 제36조(안전검사) - 산업안전보건법 제36조의2(자율검사프로그램에 따른 안전검사) 압력용기 등의 초음파탐상시험에 관한 기술지침(M-107-2012) 1. 목적 2. 적용범위 3. 정의. 4. 일반사항 5. 탐상시험 준비 6...

불활성기체 등을 이용한 기밀시험방법에 관한 기술지침(M-150-2022)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ASME section Ⅴ Nondestructive examination - ASTM E-432 Standard recommended guide for the selection of a leak testing - ASTM E-479 Recommended guide for preparation of a leak testing specification o 관련 법규․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 기준에 관한 규칙 제2편 제2장 제7절 제300조(기밀시험 시의 위험방지) 불활성기체 등을 이용한 기밀시험방법에 관한 기술지침(M-150-2022) 1. 목 적 2. 적용범위 3. 정의 4. 일반사항 5. 측정기기의 교정 6. 절차 7. 시험방법 8. 문서 1. 목 적 이 지침은 산업안..

이황화탄소 드럼작업에 관한 기술지침(P-126-2012) [내부링크]

o 관련 규격 및 자료 - Akzo Nobel, "Carbon disulfide drum handling guide", 1990 - State of New Jersey, " Hazardous substance face sheet - Carbon disulfide", 2010 - US OSH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guideline for carbon disulfide", 1996 - http://msds.kosha.or.kr/web/kosha/MsdsSearch.jsp 이황화탄소 드럼작업에 관한 기술지침(P-126-2012) 1. 목 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이황화탄소의 드럼 하역 5. 공 드럼의 취급과 오염제거 6. 누설 시 취급 요령 7. 소방활동..

인화성 액체의 혼합작업에 관한 기술지침(P-26-2012) [내부링크]

o 관련 규격 및 자료 - Loss Prevention Data 7-36, 1989 인화성 액체의 혼합작업에 관한 기술지침(P-26-2012) 1. 목 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위험 요인 5. 안전시설 및 작업자 교육 1. 목 적 이 지침은 페인트, 바니쉬, 락카, 프린트 잉크, 접착제 및 인화성 액체를 포함하는 물질을 제조 취급 사용할 때 사용되는 인화성 액체의 혼합작업을 안전하게 수행하는 방법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2. 적용범위 이 지침은 페인트, 바니쉬, 락카, 프린트잉크, 접착제 및 인화성액체를 포함하는 물질을 제조, 취급 및 사용할 때 사용되는 인화성 액체의 혼합작업에 적용한다. 3. 용어의 정의 (1) 이 지침에서 사용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가) “봉상주수 ..

인력운반 작업 위험성평가에 관한 기술지침(M-35-2012)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INDG-383 : Manual handling assessment chart o 관련 법규․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35조 (관리감독자의 유해·위험방지 업무 등) 인력운반 작업 위험성평가에 관한 기술지침(M-35-2012) 1. 목 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배경 5. 평가 지침 1. 목 적 이 지침은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이하 “안전보건규칙”이라 한다) 제35조 (관리감독자의 유해·위험방지 업무 등) 에 의거 인력운반 작업 시 발생되는 위험상황 등에 관한 기술적 사항을 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2. 적용범위 이 지침은 인력운반 작업 시에 적용한다. 3. 용어의 정의 (1) 이 지침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가) ..

배관이나 덕트로 연결된 설비사이의 폭발격리시스템 설치에 관한 기술지침(D-4-2012) [내부링크]

o 관련 규격 및 자료 - 미국 NFPA 69(폭발예방시스템) - KOSHA GUIDE (화염방지기 설치 등에 관한 기술지침) - KOSHA GUIDE (폭발억제장치의 설치에 관한 기술지침) 배관이나 덕트로 연결된 설비사이의 폭발격리시스템 설치에 관한 기술지침(D-4-2012) 1. 목적 2. 적용범위 3. 정 의 4. 폭발격리시스템 구성요소별 설치 시 고려사항 1. 목적 이 지침은 배관이나 덕트로 연결된 공정설비의 한 쪽에서 폭발이 발생했을 때 다른 설비로의 폭발전이를 예방하기 위한 공정설비 간 폭발격리시스템 설치에 필요한 사항을 정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2. 적용범위 이 지침은 공정설비의 폭발위험이 있는 인화성 및 폭발성 물질(가스, 미스트, 분진 등, 이하 “폭발위험물질”이라 한다)을 취급하는 배..

수소 분리 및 정제를 위한 압력변환흡착(PSA) 시스템의 안전에관한 기술지침(P-178-2022)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ISO/TS 19883, “Safety of pressure swing adsorption systems for hydrogen separation and purification”, 2017 - EIGA Doc 210/17 “Hydrogen pressure swing adsorber(PSA) mechanical integrity requirements” - KOSHA GUIDE P-173, “수소 취급설비의 안전에 관한 기술지침” 수소 분리 및 정제를 위한 압력변환흡착(PSA) 시스템의 안전에관한 기술지침(P-178-2022) 1. 목적 2. 적용범위 3. 정의 4. 기본 사항 5. PSA시스템의 안전 요구사항 1. 목적 이 지침은 수소분리 및 정제를 목적으로 하는 압력변환흡착(..

혼합가스의 폭발성 여부 판정 및 폭발하한계 산정에 관한 기술지침(P-179-2022) [내부링크]

o 관련 규격 및 자료 - ISO 10156, Gases and gas mixtures – Determination of fire potential and oxidizing ability for the selection of cylinder valves outlets,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2010 - EIGA, Document 169/19, Classification and labelling guide in accordance with EC Regulation 1272/2008 (CLP Regulation), European Industrial Gases Association (EIGA), 2019 - KOSHA GUIDE D-22– 20..

불활성가스 치환에 관한 기술지침(P-80-2022) [내부링크]

o 관련 규격 및 자료 - Chemical process safety : Fundamentals with applications, 4th Ed, 2019 Daniel A. Crowl/Joseph F. Louvar - Standard on Explosion Prevention Systems, NFPA 69, 2019 - Loss prevention in the process industires, 4th Ed, 2012, Frank P. Lees 불활성가스 치환에 관한 기술지침(P-80-2022) 1. 목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일반규정 5. 최소산소농도 산정 6. 진공 치환 7. 압력 치환 8. 스위프 치환 9. 사이펀 치환 1. 목적 이 지침은 화학설비의 점검․ 정비시 화재․ 폭발을 예방..

공기압 시스템의 안전에 관한 기술지침(M-103-2017)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ISO 4414 Pneumatic fluid power - Recommendation for the application of equipment to transmission and control systems - 일본 안위법 o 관련 법규․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 기준에 관한 규칙 제2편 제2장 제4절 제261조(안전밸브 등의 설치) 공기압 시스템의 안전에 관한 기술지침(M-103-2017) 1. 목 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공기압 시스템 안전 5. 압축기 및 공기압 기기 안전 6. 공기압의 이송 및 저장기기 7. 공기압 제어기구 8. 공기압 부속기기 1. 목 적 이 지침은 산업현장에서 사용되는 기계류에서의 공기압 시스템에 관련된 일반지침을 정하고, 산업..

고압가스 특정제조시설의 완성검사 방법 [내부링크]

2101-4 고압가스특정제조시설의 중간・완성검사 처리지침 고압가스 특정제조시설의 완성검사 방법 제7조【완성검사 신청 및 검사수수료】 완성검사를 하는 경우에는 사업소(검사신청인)로부터 다음 각 호의 서류 및 완성검사 수수료를 받아야 한다. ① 완성검사 신청서 1부 : [규칙 별지 제21호 서식] ② 고압가스시설등의 검사 수수료 및 교육비 기준에 따른 완성검사 수수료 제8조【완성검사 방법 및 판정】 완성검사 방법은 제1, 2호에 의하여 실시하며, 판정은 제3호 이외의 사항이 있을 경우 불합격으로 처리한다. ① [별표 3] 고압가스 특정제조시설 세부검사방법 ② KGS FP111 4.2.2에 따라 실시 ③ 산업통상자원부령이 정하는 경미한 사항[규칙 제29조(임시사용)] 1. 계기실 : 양압 미유지 및 2중문 미..

고압가스 특정제조시설의 중간검사 [내부링크]

2101-4 고압가스특정제조시설의 중간・완성검사 처리지침 고압가스 특정제조시설의 중간검사 제4조【중간검사 신청 및 검사수수료】 중간검사를 하는 경우에는 해당사업소(검사신청인)로부터 다음 각 호의 서류 및 중간검사 수수료를 받아야 한다. ① 허가증 사본 1부 ② 사업소의 사업자 등록증 사본 1부(신규사업자에 한함) ③ 중간검사신청서 1부 : [규칙 별지 제20호 서식] ④ 고압가스시설 등의 검사수수료 및 교육비 기준에 의한 중간검사 수수료 제5조【중간검사 방법 및 판정】 용접기구, 용접봉 재료 사양서, 용접사 기량 Test Report 및 용접절차서는 중간검사[내압시험(수압, 기압)] 실시 전에 사업소(검사신청인)로부터 제출받아 확인하여야 하며, 세부검사 방법 및 판정은 [별표 2] 및 KGS FP111(..

상압저장탱크의 검사․ 변경 및 보수에 관한 기술지침(M-147-2012)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한국산업규격[KS B 6225-1980(2005 확인) : 강제 석유 저장 탱크의 구조] - 미국석유협회규격 (API Standard 650 : Welded steel tanks for oil storage) - 미국석유협회규격 (API Standard 653 : Tank inspection, repair, alteration and reconstruction) - 미국화재안전기준(NFPA 326 : National fire protection association) o 관련 법규․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 기준에 관한 규칙 제2편 제2장 제4절 제278조(개조․ 수리 등) 상압저장탱크의 검사․ 변경 및 보수에 관한 기술지침(M-147-2012) 1. 목 적 2. 적용범위..

사업장 위험성평가에 관한 지침(고용노동부고시 제2016-17호) [내부링크]

사업장 위험성평가에 관한 지침 제정 2012. 9. 26. 고용노동부고시 제2012-104호 개정 2013. 12. 31. 고용노동부고시 제2013-79호 개정 2014. 3. 13. 고용노동부고시 제2014-14호 개정 2014. 12. 1. 고용노동부고시 제2014-48호 개정 2016. 3. 25. 고용노동부고시 제2016-17호 제1장 총칙 제1조(목적) 이 고시는 「산업안전보건법」 제41조의2제3항에 따라 사업주가 스스로 사업장의 유해ㆍ위험요인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고 이를 평가하여 관리・개선하는 등 필요한 조치를 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하여 위험성평가 방법, 절차, 시기 등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고, 위험성평가 활성화를 위한 시책의 운영 및 지원사업 등 그 밖에 필요한 사항을 규정함을 목적으로 ..

고압가스 특정제조의 완성검사 및 정기검사 [내부링크]

고압가스 특정제조의 완성검사 및 정기검사 : 완성검사 및 정기검사 방법은 다음과 같으며, 시설검사 시 용기 등이 검사품인지 확인한다. 4.2.2.2.1 안전거리 고압가스처리설비 및 저장설비 외면과 제1종 보호시설 및 제2종 보호시설과 안전거리 유지 여부를 실측한다. 4.2.2.2.2 설비사이의 거리 설비사이의 거리 등이 다음 기준에 따라 적정하게 유지되어 있는지 도면과 비교확인 및 실측한다. (1) 가연성가스 또는 독성가스의 고압가스 설비가 구분된 안전구역 안에 설치되었는지 확인한다. (2) 안전구역 안의 고압가스 설비 외면으로부터 다른 안전구역 안에 있는 고압가스 설비 외면까지 30m 이상 유지되었는지 확인한다. (3) 가연성가스 제조시설과 다른 가연성가스 제조시설 및 산소 제조시설과의 이격거리를 유지..

운전중인 배관의 검사 기술지침(M-143-2012)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ASME B31.3 Chemical plant and petroleum refinery piping - API 570 Piping inspection code - Company international Ltd. Piping systems examination - ICI engineering Design guide for inspection of in-service piping o 관련 법규․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 기준에 관한 규칙 제2편 제2장 제4절 제256조(부식방지) 운전중인 배관의 검사 기술지침(M-143-2012) 1. 목 적 2. 적용범위 3. 정의 4. 일반사항 5. 검사 1. 목 적 이 지침은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이하 “안전보건규칙”이라 한다) ..

저압전기설비에서의 감전예방을 위한 기술지침(E-100-2021)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편 제3장 제1절(전기기계·기구 등으로 인한 위험방지) - KS C IEC 60364 : 건축전기설비 - 제4-41부 : 안전을 위한 보호 - 감전에 대한 보호 - KS C IEC 60364-5-54 : 건축전기설비 - 제5 - 54부 : 전기기기의 선정 및 시공 - 접지배치, 보호도체 및 결합도체 - KS C IEC 60449 : 건축 전기 설비의 전압 밴드 - IEC 91140 : 감전방지 - 설비 및 기기의 공통사항 - 한국전기설비규정(KEC)핸드북 o 관련법규․규칙․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편 제3장 제1절(전기기계․기구 등으로 인한 위험방지) 저압전기설비에서의 감전예방을 위한 기술지침(E-100-2021) 1. 목 적 ..

무엇을 택하겠는가 [내부링크]

무엇을 택하겠는가 「편한 길」을 택하면 보이는 경치는 언제나 같고, 「즐거운 길」을 택하면 보이는 경치는 언제나 바뀐다. 「타인」에게 기대하면 안절부절못하는 쪽으로 흘러가고, 「자신」에게 기대하면 두근두근하는 쪽으로 이끌린다. 「나는 안돼」라고 생각하면 장래는 어두운 쪽으로 흐르고, 「자신을 위해」 라고 생각하면 장래는 밝은 쪽으로 인도된다. 「할 수 없다」라고 마음먹으면 한계가 만들어지고, 「할 수 있다」라고 마음먹으면 가능성이 만들어진다. 「불평」만 늘어놓으면 발목 잡는 사람이 되고 「감사」만 열거하면, 손을 이끄는 사람이 된다. - 좋은 글 중에서 -

유해․위험물 탱크로리의 검사 및 입․출하 등에 관한 기술지침(G-70-2021) [내부링크]

o 관련 규격 - KS B 6750 압력용기 – 설계 및 제조일반 - KGS GC207(고압가스 운반차량의 시설․기술 기준) - 고용노동부고시 제2020-51호 : 정전기 예방을 위한 기술상의 지침 - ANSI B 31.3 : PROCESS PIPING - NFPA 30 : FLAMMABLE AND COMBUSTIBLE LIQUIDS CODE - CCPS : GUIDELINES FOR PROCESS SAFETY FUNDAMENTALS IN GENERAL PLANT OPERATIONS o 관련법규․규칙․고시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25조(위험물질 등의 제조 등 작업 시의 조치) 유해․위험물 탱크로리의 검사 및 입․출하 등에 관한 기술지침(G-70-2021) 1. 목 적 2. 적용범위 3. 용어..

발열 화학반응의 위험에 관한 일반안전 기술지침(P-38-2012) [내부링크]

o 관련 규격 및 자료 - INDG-254, "Chemical reaction hazards and the risk of thermal runaway", 1997 - HSG-143, "Designing and operating safe chemical reaction process", 2000 발열 화학반응의 위험에 관한 일반안전 기술지침(P-38-2012) 1. 목 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화학반응의 위험요인 5. 화학반응의 위험확인 절차 1. 목 적 이 지침은 화학반응이 가지는 위험성을 파악하고 이를 제거하거나 경감시키기 위해 화학반응 단계에서 실시하는 위험 요인의 확인 등 일반 안전에 관한 기술 지침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2. 적용범위 이 지침은 발열 화학반응 공정을 상업화..

인화성 액체 드럼 보관장소의 화재예방에 관한 기술지침(P-34-2012) [내부링크]

o 관련 규격 및 자료 - ICI Fire Protection Guide No. 3C, "Storage of Flammable Liquids in Drums", 인화성 액체 드럼 보관장소의 화재예방에 관한 기술지침(P-34-2012) 1. 목 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드럼 저장 및 보관 5. 포장 및 배수 6. 소화설비 및 위험표지 7. 비상대응절차 8. 교육 훈련 1. 목 적 이 지침은 인화성 액체 드럼보관 장소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화재 및 폭발을 방지하는데 필요한 적절한 화재예방 등의 안전대책을 수립하고 수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사항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2. 적용범위 이 지침은 인화성 액체 저장 드럼의 옥외 저장·보관 장소에 적용한다. 3. 용어의 정의 이 지침에서 사용하는 ..

알루미늄 분진의 폭발방지에 관한 기술지침(P-68-2012)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DUST Explosion in the process industries, 3rd Edition (2003). - NFPA 651 Standard for the machining and finishing of aluminum and the production and handling aluminum products (1998). - 2010-연구원-1038, “고기능성 금속 미분체의 발화 및 폭발특성 연구” (2010). 알루미늄 분진의 폭발방지에 관한 기술지침(P-68-2012) 1. 목 적 2. 적용범위 3. 정 의 4. 알루미늄의 연소 위험성 5. 점화원 방지대책 6. 설비에 따른 안전대책 7. 소화방법 1. 목 적 이 지침은 알루미늄 분체의 취급, 알루미늄 부품제조 및 가공..

용접세트의 선정에 관한 인간공학적 기술지침(M-12-2012)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KOSHA CODE G-06-1999「인력운반 안전작업에 관한 지침」 - Indg 390 : Safety in GAS WELDING cutting and similar processes o 관련 법규․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편 제2장 (폭발․ 화재 및 위험물누출에 의한 위험방지) 용접세트의 선정에 관한 인간공학적 기술지침(M-12-2012) 1. 목 적 2. 적용범위 3. 정 의 4. 위험요인 5. 방호조치 1. 목 적 이 지침은 용접세트를 이용한 용접, 절단 또는 유사 공정 시 인간공학적 안전을 고려한 용접세트의 선정에 관한 기술적 사항을 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2. 적용범위 이 지침은 용접세트를 이용한 용접, 절단 또는 유사 공정 작업 시에 적용..

운전중인 배관의 검사 기술지침(M-143-2012)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ASME B31.3 Chemical plant and petroleum refinery piping - API 570 Piping inspection code - Company international Ltd. Piping systems examination - ICI engineering Design guide for inspection of in-service piping o 관련 법규․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 기준에 관한 규칙 제2편 제2장 제4절 제256조(부식방지) 운전중인 배관의 검사 기술지침(M-143-2012) 1. 목 적 2. 적용범위 3. 정의 4. 일반사항 5. 검사 1. 목 적 이 지침은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이하 “안전보건규칙”이라 한다) ..

기계의 위험방지를 위한 신호체계에 관한 기술지침(M-120-2012)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EN981(1997) : SAFETY OF MACHINERY - SYSTEM OF AUDITORY AND VISUAL DANGER AND INFORMATION SIGNALS - ISO11429(1996) : ERGONOMICS - SYSTEM OF AUDITORY AND VISUAL DANGER AND INFORMATION SIGNALS o 관련 법규․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 기준에 관한 규칙 제1편 제2장 제19조(경보용 설비 등) 기계의 위험방지를 위한 신호체계에 관한 기술지침(M-120-2012) 1. 목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시청각신호의 설계와 적용에 관한 일반원리 5. 시청각 신호체계 6. 시험 1. 목적 이 지침은 산업안전보건기준에관한 규칙(..

세월과 인생 [내부링크]

세월과 인생 세월은 가는 것도, 오는 것도 아니며 시간 속에 사는 우리가 가고 오고 변하는 것일 뿐이다. 세월이 덧없는 것이 아니고, 우리가 예측할 수 없는 삶을 살기 때문에 덧없는 것이다. 해가 바뀌면 어린 사람은 한 살 더해지지만 나이든 사람은 한 살 줄어든다. 되찾을 수 없는 게 세월이니 시시한 일에 시간을 낭비하지 말고 순간순간을 후회 없이 잘 살아야 한다. 인간의 탐욕에는 끝이 없어 아무리 많이 가져도 만족할 줄 모른다. 행복은 마음에서 우러나오는 것이다. 가진 것 만큼 행복한 것이 아니며, 가난은 결코 미덕이 아니며 '맑은 가난'을 내세우는 것은 탐욕을 멀리하기 위해서다. 가진 것이 적든 많든 덕을 닦으면서 사는 것이 중요하다. 가능하다면 잘살아야 한다. 돈은 혼자 오지 않고 어두운 그..

하수슬러지 탄화공정의 안전작업에 관한 기술지침(P-156-2017)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오세천, “하수슬러지 탄화공정의 유해·위험에 대한 연구”, 연구원 2016-연구원-776, 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2016. - 神奈川県産業技術センター, “廃棄物処理工程における 火災・ 爆発事故解析”, 2008. - 丸善株式会社, “廃棄物安全処理・ リ サイ クルハンドブッ ク”, 2010. - 下水道新技術研究所, “汚泥由来の可燃性ガスと 汚泥製品の安全対策に関する 研究”, 水道新技術研究所年報, 2005. 하수슬러지 탄화공정의 안전작업에 관한 기술지침(P-156-2017) 1. 목 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하수슬러지 탄화시설의 공정흐름도와 유해·위험성 5. 하수슬러지 탄화설비의 안전조치 6. 하수슬러지 탄화설비의 작업자 안전대책 1. 목 적 이 지침은 하수슬러지 ..

작업장내 안전한 적재 및 하역작업을 위한 기술지침(M-49-2012)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INDG-199 : Workplace transport safety o 관련 법규․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177조(싣거나 내리는 작업) 작업장내 안전한 적재 및 하역작업을 위한 기술지침(M-49-2012) 1. 목 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배송 5. 적재 및 하역 6. 경사면에서의 적재 및 하역(Tipping) 7. 추락 방지 1. 목 적 이 지침은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이하 “안전보건규칙”이라 한다) 제177조 (싣거나 내리는 작업)에 의거 작업장내 적재 및 하역작업 시 발생되는 위험상황 등에 관한 기술적 사항을 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2. 적용범위 이 지침은 작업장내 적재 및 하역작업 시에 적용한다. 3. 용어의 정의 (1)..

언제나 너그러운 마음으로 [내부링크]

언제나 너그러운 마음으로 하찮은 것을 최상의 것으로 만들기가 어렵습니다. 생각을 먼저하고 행동을 나중에 하는 것은 어렵습니다. 언제나 마음을 진정시키는 것이 어렵습니다. 오늘 하루 동안만 친절하고 즐겁고 동정적이고 관심을 가져주고 이해하는 삶을 살도록 하세요. 최선을 다하는 겁니다. 무슨 일을 잘하지 못한다고 사람들을 나무라지 마세요. 어리석은 일을 저지른 사람이 있다면 용서하고 금방 잊어버리는 겁니다. 그래봐야 오늘 하루 뿐 인걸요. 누가 알아요. 그러다가 아주 좋은 날이 될지 가급적 약속을 하지 말되 일단 약속을 했다면 성실하게 지키세요. 어떤 희생을 치르더라도 말이죠. 당신을 만나는 모든 사람들이 당신이 그들을 아주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믿게 하세요. 즐거워하세요. 당신이 하찮은 일로 아..

도장공정에서의 화재·폭발위험방지에 관한 기술지침(E-28-2014)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안전보건기술지침(정전기 재해예방에 관한 기술지침) - 안전보건기술지침(가스폭발위험장소 설정 및 관리에 관한 기술지침) - 안전보건기술지침(가스폭발분위기에서의 전기설비 설계, 선정 및 설치에 관한 기술지침) - 안전보건기술지침(분진폭발 위험장소 설정에 관한 기술지침) - NEC Spray application, Dipping, and Coating Processes o 관련법규?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30조(폭발위험이 있는 장소의 설정 및 관리) 및 제311조(폭발위험장소에서 사용하는 전기기계기구의 선정 등) 도장공정에서의 화재·폭발위험방지에 관한 기술지침(E-28-2014) 1. 목적 2. 적용 범위 3. 용어의 정의 4. 폭발위험장소의 구분 5. ..

송풍기의 보수유지에 관한 기술지침(M-149-2012)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IRI IM. 6.5.2 VANEAXIAL FANS AND BLOWERS - NFPA 90A STANDARD FOR THE INSTALLATION OF AIR CONDITIONING AND VENTILATING SYSTEMS o 관련 법규․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 기준에 관한 규칙 제3편 제1장 제2절 제422조(관리대상 유해물질과 관계되는 설비) 송풍기의 보수유지에 관한 기술지침(M-149-2012) 1. 목 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송풍기의 안전한 사용 5. 송풍기의 이상 발생 종류 및 원인 6. 정기적인 점검 및 정비 1. 목 적 이 지침은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이하 “안전보건규칙”이라 한다) 제3편 제1장 제2절 제422조(관리대상 유해물질..

안전운송을 위한 작업장에 관한 기술지침(M-48-2012)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INDG-199 : Workplace transport safety o 관련 법규․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편 제1장 제10절(차량계 하역운반 기계 등) 안전운송을 위한 작업장에 관한 기술지침(M-48-2012) 1. 목 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일반사항 5. 안전한 운송을 위한 작업장 1. 목 적 이 지침은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이하 “안전보건규칙”이라 한다) 제2편 제1장 제10절 (차량계 하역운반기계 등)에 의거 안전운송을 위한 작업장에 관한 기술적 사항을 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2. 적용범위 이 지침은 작업장내 운송 시 에 적용한다. 3. 용어의 정의 (1) 이 지침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가) “작..

사업장의 일반안전규칙(General SafetyRules)에 관한 지침(G-62-2011)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Dupont의 General Safety Rules - Dow Chemical의 Safety Rules - Total의 Golden Rules for Safety at Work - BP Refinery General Safety Booklet - ABB General Safety Rules Handbook 사업장의 일반안전규칙(General SafetyRules)에 관한 지침(G-62-2011) 1. 목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책임과 권한 5. 사내 출입 안전규칙 6. 사업장 일반안전규칙 7. 작업지역 일반안전규칙 8. 사무실 일반안전규칙 1. 목적 이 지침은 사업장에 출입하는 모든 사람의 안전보건과 사업장의 재산을 보호하기 위해 사업장 내(이하 “사내”라 한다)..

題西林壁(제서림벽) - 서림사 담장에 부쳐 - [내부링크]

- 題西林壁(제서림벽)- - 서림사 담장에 부쳐 - 橫看成嶺側成峰 (횡간성령측성봉) 가로로 보면 고개요 세로로 보면 봉우리로다 遠近高低各不同 (원근고저각부동) 원근고저에 따라 모습이 제각각일세. 不識廬山眞面目 (불식여산진면목) 여산(廬山)의 참모습을 알지 못하는 까닭은 只綠身在此山中 (지연신재차산중) 단지 이 몸이 산 속에 있기 때문이지요. 蘇東坡(소동파)

전기작업시의 작업공간 확보에 관한 기술지침(E-114-2011) [내부링크]

o 관련규격 - KOSHA GUIDE E-85-2011 (전기설비 설치상의 안전에 관한 기술지침) - 미국전기기준 (NEC : National electrical code) Article 110 (Requirement for electrical installations) - 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 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60364 Part 7-729(Requirements for special installations or locations - Operating or maintenance gangways) ㅇ 관련법령․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301조(전기기계․ 기구 등의 충전부방호) 및 제 310조(전기기계․ 기구의 조작 시 ..

폭주반응 예방을 위한 열적위험성 평가에 관한 기술지침(P-67-2012) [내부링크]

o 관련 규격 및 자료 - 2010-연구원-1037, “화학반응공정에서 열적위험성 평가 기술 개발”, 2010 - Theodor Grewer, “Thermal hazards of chemical reaction”, 2004 - Francis Stoessel, “Theraml safety of chemical processes”, 2008 폭주반응 예방을 위한 열적위험성 평가에 관한 기술지침(P-67-2012) 1. 목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화학반응공정의 위험성 확인 5. 열적 위험성 평가절차 및 위험도 구분 6. 폭주반응 예방을 위한 위험감소 대책 1. 목적 이 지침은 발열반응을 수반하는 화학반응 공정을 설계하고자 할 때 폭주반응을 예방하기 위해 공정의 열적 위험성을 확인과 평가방법을 ..

리스크 관리의 용어 정의에 관한 지침(X-1-2014)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ISO GUIDE 73, Risk management-vocabulary, 2009 - ISO/IEC 73, Risk management-vocabulary-Guidelines for use in standards, 2002 - ISO/IEC GUIDE 51, Safety aspects-Guidelines for their inclusion in standards, 1999 - KOSHA GUIDE G-13-2011(프로젝트 위험관리에 관한 안전가이드) - KS A ISO/IEC GUIDE 73:2002(리스크 관리-용어-규격에 사용하기 위한 지침) - KOSHA GUIDE X-14-2014(4M 리스크 평가 기법에 관한 기술지침) 리스크 관리의 용어 정의에 관한 지침(X-1-2..

분상․ 입상 저장물의 저장설비 기술지침(M-97-2012)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ISO 8456(Storage equipment for loose bulk materials-safety code) o 관련 법규․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 기준에 관한 규칙 제2편 제3장 제4절 제325조 (정전기로 인한 화재 폭발 등 방지) 분상․ 입상 저장물의 저장설비 기술지침(M-97-2012) 1. 목 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안전기준 1. 목 적 이 지침은 산업안전보건기준에관한규칙(이하 “안전보건규칙”이라 한다) 제2편 제3장 제4절 제325조 정전기로 인한 화재 폭발 등 방지)의 규정에 따라 분상이나 입상 형태의 저장물(이하 "저장물"이라 한다)을 저장하는 저장설비에서 발생하는 재해 예방을 위하여 저장설비에 관한 지침을 정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나의 생각이 나의 운명이다 [내부링크]

나의 생각이 나의 운명이다 현대인의 불행은 모자람이 아니라 오히려 넘침에 있다. 모자람이 채워지면 고마움과 만족함을 알지만 넘침에는 고마움과 만족이 따르지 않는다. 우리가 불행한 것은 가진 것이 적어서가 아니라 따뜻한 가슴을 잃어 가기 때문이다. 따뜻한 가슴을 잃지 않으려면 이웃을 사랑해야 한다. 뿐만 아니라 동물이나 식물 등 살아 있는 생물과도 교감할 줄 알아야 한다. 자기 스스로 행복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행복하다. 마찬가지로 자기 스스로 불행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불행하다. 그러므로 행복과 불행은 주어진 것이 아니라 내 스스로 만들고 찾는 것이다. 행복은 이웃과 함께 누려야 하고 불행은 딛고 일어서야 한다. 우리는 마땅히 행복해야 한다. 자신의 생각이 곧 자신의 운명임을 기억하라. 우주의 법..

안전관련 시스템의 공통원인고장의 영향 정량화에 관한 기술지침(X-76-2018)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IEC 61508-6 Edition 2.0 2010-04 Functional safety of electrical/electronic/programmable electronic safety related systems– Part 6 Annex D: Guidelines on the application of IEC 61508-2 and IEC 61508-3 안전관련 시스템의 공통원인고장의 영향 정량화에 관한 기술지침(X-76-2018) 1. 목 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공통원인고장의 일반사항 5. β-factor를 이용한 공통원인고장의 확률 계산 1. 목 적 이 지침은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327조(전자파에 의한 기계설비의 오작동 방지) 등에 따라, 사업장..

과산화수소 저장설비의 안전에 관한 기술지침(D-53-2013) [내부링크]

o 관련규격 - 미국 FM Loss Prevention Data Sheets 7-84, "Hydrogen Peroxide", 2000 - 미국 NFPA 430, "Code for the Storage of Liquid and Solid oxidizing Material", 2004 o 관련법규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25조(위험물질 등의 제조 등 작업시의 안전조치) 과산화수소 저장설비의 안전에 관한 기술지침(D-53-2013) 1. 목 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일반사항 5. 저장설비 안전조치 6. 하역 시 안전조치 7. 희석 시 안전조치 8. 용기저장 시 안전조치 1. 목 적 이 지침은 산화성 액체인 과산화수소 수용액 저장설비와 그 부속설비 등의 설치 및 안전조치에 필요한 기..

지금 말하라 [내부링크]

지금 말하라 한 노신사가 이따금 뉴햄프셔의 어느 골동품 가게에 들러 고가구를 팔곤 했다. 하루는 그가 왔다 간 뒤 골동품 상인의 아내가 말했다. "저 분이 왔다 가면 참 기분이 좋아요. 이 얘기를 저분께 꼭 해 드리고 싶어요." 남편이 말했다. "다음 번에 그 사람이 들르면 직접 그렇게 말해 줍시다." 여름이 되자, 한 젊은 여성이 골동품 가게에 찾아와 그 노인의 딸이라고 말했다. 얼마 전에 자기의 아버지가 세상을 떠났다는 것이었다. 골동품 상인의 아내는 그 노신사가 지난 번 마지막으로 가게에 왔다 갔을 때 남편과 자기가 나눈 얘기를 딸에게 들려 주었다. 젊은 여성은 두 눈에 눈물을 글썽거렸다. 그녀는 울먹이며 말했다. "아버지가 그 말을 직접 들었더라면 얼마나 기뻐하셨을까요. 누군가 자기를 좋아..

의미 있는 날 [내부링크]

의미 있는 날 무소유란 아무 것도 갖지 않는다는 것이 아니다. 궁색한 빈 털털이가 되는 것이 아니다. 무소유란 아무 것도 갖지 않는 것이 아니라 불필요한 것을 갖지 않는다는 뜻이다. 무소유의 진정한 의미를 이해할 때 우리는 보다 홀가분한 삶을 이룰 수가 있다. 우리가 선택한 맑은 가난은 넘치는 부보다 훨씬 값지고 고귀한 것이다. 이것은 소극적인 생활태도가 아니라 지혜로운 삶의 선택이다. 우리가 만족할 줄 모르고 마음이 불안하다면 그것은 우리가 살고 있는 세상과 조화를 이루지 못하기 때문이다.. 내 마음이 불안하고 늘 갈등 상태에서 만족할 줄 모른다면 그것은 내가 살고 있는 이 세상과 조화를 이루지 못하기 때문에 그렇다. 우리는 우리 주위에 있는 모든 것의 한 부분이다. 저마다 독립된 개체가 아니다..

인력운반작업에 관한 안전가이드(G-119-2015)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영국 HSE : MANUAL HANDLING OPERATIONS REGULATION 1992. - 프랑스 INRS : MANUAL DE L'ANIMATEUR - Manual handling operations regulations, HSE Guidance, 1992 - 산업안전보건용어사전,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 Reducing Injuries caused by Sack Handling in the food and drink indusries, HSE, 2011 - Sandbags: Filling, Moving and Placing Sandbags During Flooding Disasters QuickCard, OSHA, 2010 - FIS-23 : Injuries and il..

FRP 제조시 화재폭발 위험관리 기술지침(P-14-2012) [내부링크]

o 관련 규격 및 자료 - HSE, "Plastics Processing Sheets No. 14 & 15" - KOSHA GUIDE (산업환기 설비에 관한 기술지침) - KOSHA GUIDE (유기과산화물 및 그 제제의 저장에 관한 기술지침) - KOSHA GUIDE (분진폭발 위험장소 설정에 관한 기술지침) - KOSHA GUIDE (분진폭발 방지에 관한 기술지침) - KOSHA GUIDE (집진설비 분진폭발방지 기술지침) o 관련 법규 · 규칙 ·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법 제23조 (안전조치) - 산업안전보건기준에관한규칙 제225조(위험물질 등의 제조 등 작업시의 조치) - 산업안전보건기준에관한규칙 제232조(폭발 또는 화재 등의 예방) - 산업안전보건기준에관한규칙 제236조(화재 위험이 있는 작..

용접방화포 등의 성능 및 설치기준에 관한 기술지침(F-4-2021)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ANSI FM 4950-2007(R2013) “Evaluating Welding Pads, Welding Blankets and Welding Curtains for Hot Work Operations” - NFPA 51B, "Standard for fire prevention during welding, cutting, and other hot work", 2020. - “용접용단 작업 등에서의 화재폭발 예방을 위한 제도개선방안 연구”, 2019-연구원-420, 산업안전보건연구원, 2019. 6. - 국토교통부고시 제2020-263호, “건축물 마감재료의 난연성능 및 화재확산 방지구조 기준” - 고용노동부고시 제2020-130호, “화학물질의 분류표시 및 물질안전보건자료에 관한..

인력운반 작업 위험성평가에 관한 기술지침(M-35-2012)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INDG-383 : Manual handling assessment chart o 관련 법규․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35조 (관리감독자의 유해·위험방지 업무 등) 인력운반 작업 위험성평가에 관한 기술지침(M-35-2012) 1. 목 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배경 5. 평가 지침 1. 목 적 이 지침은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이하 “안전보건규칙”이라 한다) 제35조 (관리감독자의 유해·위험방지 업무 등) 에 의거 인력운반 작업 시 발생되는 위험상황 등에 관한 기술적 사항을 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2. 적용범위 이 지침은 인력운반 작업 시에 적용한다. 3. 용어의 정의 (1) 이 지침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가) ..

진한황산 및 발연황산 저장탱크의 공정설계에 관한 기술지침(D-38-2012) [내부링크]

ㅇ 관련규격 - NACE RP0294-94 : Design, Fabrication, and Inspection of Tanks for the Storage of Concentrated Sulfuric Acid and Oleum at Ambient Temperatures ㅇ 관련 법규․규칙․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관한규칙 제225조(위험물질 등의 제조 등 작업 시의 조치) 및 제256조(부식방지) 진한황산 및 발연황산 저장탱크의 공정설계에 관한 기술지침(D-38-2012) 1. 목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설계 5. 탱크 설계 6. 제작 및 설치 7. 방유제 8. 세안․ 세척 시설 및 보호구 비치 1. 목적 이 지침은 산업안전보건기준에관한규칙(이하 “안전보건규칙”이라 한다) 제225조(..

용해로의 설치 및 유지보수에 관한 기술지침(P-143-2014) [내부링크]

o 관련 규격 및 자료 - EN 60519-1, "Safety in electroheat installations; Part 1: General requirements", 1993 - BS EN 1247 "Foundry machinery — Safety requirements for ladles, pouring equipment, centrifugal casting machines, continuous and semicontinuous casting machines”, 2004 용해로의 설치 및 유지보수에 관한 기술지침(P-143-2014) 1. 목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용해로 위험성 5. 용해로 설치 6. 용해작업 안전 7. 성능 유지 및 보수 1. 목적 용융 고열물을 취급하는 용해로..

지하매설물 굴착공사 안전작업 지침(C-37-2011)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지하매설물 안전관리요령(국토해양부) - 건설공사의 안전(건설업 노동재해방지협회) - 건설공사 안전점검편람(한국건설기술연구원) ㅇ관련 법규․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편 제4장 제2절(굴착작업 등의 위험방지) 지하매설물 굴착공사 안전작업 지침(C-37-2011) 1. 목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일반사항 5. 지하매설물 줄파기 작업 시 안전대책 6. 지하매설물별 안전대책 7. 안전점검 사항 1. 목적 이 지침은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이하“안전보건규칙”이라 한다) 제2편 제4장 제2절(굴착작업 등의 위험방지)의 규정에 따라 지하매설물 굴착공사의 안전지침을 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2. 적용범위 이 지침은 건설공사 현장의 지하매설물중 가스..

압축공기의 안전한 사용에 관한 기술지침(G-17-2017) [내부링크]

관련규격 및 자료 - Compressed air safety, HSE, 1998 - 산업안전보건용어사전,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2006 - 유체기계용어사전, 도서출판 봉명, 2006 - 유체역학, 텍스트북스, 2009 - ISO 4414, 2010 - OSHA (Standards – 29 CFR) 관련법규 · 규칙 ·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편 제2장 제4절 (화학설비 · 압력용기등) 압축공기의 안전한 사용에 관한 기술지침(G-17-2017) 1. 목 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압축공기의 사용에 따른 위험요소와 방지대책 1. 목 적 이 지침은 압축공기를 사용하는 작업에 따르는 위험요소와 이에 대한 대응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압축공기의 안전한 사용을 증진시키는 ..

빈 마음 [내부링크]

빈 마음 등잔에 기름을 가득 채웠더니 심지를 줄여도 자꾸만 불꽃이 올라와 펄럭거린다. 가득 찬 것은 덜 찬 것만 못하다는 교훈을 눈앞에서 배우고 있다. 빈 마음, 그것을 무심(無心)이라고 한다. 빈 마음이 곧 우리들의 본마음이다. 무엇인가 채워져 있으면 본마음이 아니다. 텅 비우고 있어야 거기 울림이 있다. 울림이 있어야 삶이 신선하고 활기차다. - 법정 스님 -

컨베이어의 안전에 관한 기술지침(M-101-2012)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ISO 1819 : Continuous mechanical handling equipment - safety code - General rules - ISO 7149 : Continuous mechanical handling equipment - safety code - Special rules o 관련 법규․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 기준에 관한 규칙 제2편 제1장 제11절 컨베이어 제191조(이탈 등의 방지) 컨베이어의 안전에 관한 기술지침(M-101-2012) 1. 목 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일반기준 5. 컨베이어 종류별 안전조치 1. 목 적 이 지침은 산업안전보건기준에관한규칙(이하 “안전보건규칙”이라 한다) 제2편 제1장 제11절 컨베이어 제191..

인생의 오르막길과 내리막길 [내부링크]

인생의 오르막길과 내리막길 우리 앞에는 항상 오르막길과 내리막길이 놓여 있다. 이 중에서 하나를 선택해야 한다. 각자 삶의 양식에 따라서 오르막길을 오르는 사람도 있고 내리막길을 내려가는 사람도 있다. 오르막길은 어렵고 힘들지만 그 길은 인간의 길이고 꼭대기에 이르는 길이다. 내리막길은 쉽고 편리하지만 그 길은 짐승의 길이고 구렁으로 떨어지는 길이다. 만일 우리가 평탄한 길만 걷는다고 생각해 보라. 십 년 이십 년 한 생애를 늘 평탄한 길만 간다고 생각해 보라. 그 생이 얼마나 지루하겠는가. 그것은 사는 것이라고 할 수 없다. 오르막길을 통해 뭔가 뻐근한 삶의 저항 같은 것도 느끼고, 창조의 의욕도 생겨나고, 새로운 삶의 의지도 지닐 수 있다. 오르막길을 통해 우리는 거듭 태어날 수 있다. 어려움..

저압용 전기설비의 접지설비 선정 및 설치에 관한 기술지침(E-102-2021) [내부링크]

ㅇ 관련규격 - IEC 60364-4-41 (2005) : Low-voltage electrical installations - Part 4-41 : Protection for safety - Protection against electric shock - IEC 60364-5-54 (2005) : Electrical installations of buildings - Part 5-54 : Selection and erection of electrical equipment - Earthing arrangements, protective conductors and protective bonding conductors - IEC 60449 amendment 1 (1979) : Amendment 1, Volt..

위험동력기계의 관리에 관한 기술지침(M-104-2012)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영국 ICI 그룹 엔지니어링 지침 o 관련 법규․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 기준에 관한 규칙 제2편 제1장 제7절 제116조(압력방출장치) 위험동력기계의 관리에 관한 기술지침(M-104-2012) 1. 목 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동력기계의 분류 5. 설계확인 6. 가동전 점검 7. 정기점검 8. 변경 9. 등록 및 기록 10. 감사 11. 위험동력기계의 고장 1. 목 적 이 지침은 산업안전보건기준에관한규칙(이하 “안전보건규칙”이라 한다) 제2편 제1장 제7절 제116조(압력방출장치)의 규정에 따라 유해․ 위험설비 중 동력기계의 안전운전을 유지하기 위하여 점검․ 유지에 관한 지침을 정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2. 적용범위 이 지침은 공정안전 보고서와 관련하..

액상유체 이송용 배관 시공 안전에 관한 기술지침(G-52-2017) [내부링크]

관련규격 및 자료 - A guide to the pipelines safety regulations, HSE, 1996 - 안전보건기술지침 「배관 내 이송물질의 표시에 관한 안전가이드」 - 산업안전보건용어사전,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2006 - 국내 엔진니어링·건설사 배관 시방서 액상유체 이송용 배관 시공 안전에 관한 기술지침(G-52-2017) 1. 목 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배관 시공 설계시 고려해야 할 안전 조치 5. 배관 시공 안전 조치 6. 배관 시공 시 현장 알림 표지판 1. 목 적 이 지침은 화학공장 등에서 사용하는 옥외 유체이송용 배관의 안전한 시공에 관한 사항을 정하는데 목적이 있다. 2. 적용범위 (1) 화학공장 등에 사용 또는 취급하는 액상 유체를 이송하는 옥외 ..

그냥 걷기만 하세요 [내부링크]

그냥 걷기만 하세요 한 걸음, 한 걸음 삶을 내딛습니다. 발걸음을 떼어놓고 또 걷고 걷고 지금까지 그렇게 살아왔지만 짊어지고 온 발자국은 없습니다. 그냥, 가 버리면 그만인 것이 우리 삶이고 세월입니다. 한 발자국 걷고 걸어온 그 발자국 짊어지고 가지 않듯 우리 삶도 내딛고 나면 뒷발자국 가져오지 말았으면 합니다. 그냥 그냥 살아갈 뿐 짊어지고 가지는 말았으면 하고 말입니다. 다 짊어지고 그 복잡한 짐을 어찌 하겠습니까 그냥 놓고 가는 것이 백번 천번 편한 일입니다. 밀물이 들어오고 다시 밀려 나가고 나면 자취는 없어질 것입니다. 그냥 내버려두세요. 애써 잡으려 하지 마세요. 없어져도 지금 가고 있는 순간의 발자국은 여전히 그대로일 겁니다. 앞으로 새겨질 발자국, 삶의 자취도 마음 쓰지 말고 가세..

<오래된 농담> [내부링크]

< 오래된 농담 > 회화나무 그늘 몇평 받으려고 언덕 길 오르다 늙은 아내가 깊은 숨 몰아쉬며 업어달라 조른다 홥환수 가지 끝을 보다 신혼의 첫 밤을 기억해 낸 늙은 남편이 마지못해 업는다 ............................................................................... 나무그늘보다 몇평이나 더 뚱뚱해져선 나, 생각보다 무겁지? 한다 그럼, 무겁지 머리는 돌이지, 얼굴은 철판이지, 간은 부었지, 그러니 무거울 수 밖에... 굵은 주름이 나이테보다 더 깊어보였다 ............................................................................... 굴참나무 열매 몇 되 얻으려고 언덕 길 오르..

창고 작업 시 안전에 관한 기술지침(G-109-2014) [내부링크]

o 관련 규격 및 자료 - HSE, Warehousing and storage (INDG412) o 관련 법규․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3조(전도의 방지)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4조(작업장의 청결)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32조(보호구의 지급 등) 창고 작업 시 안전에 관한 기술지침(G-109-2014) 1. 목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창고 작업 시 유해·위험요인 5. 작업 종류별 안전대책 1. 목적 이 지침은 창고 작업 시 안전에 관한 기술적인 사항을 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2. 적용범위 이 지침은 창고에서 이루어지는 작업에 적용한다. 3. 용어의 정의 (1) 이 지침에서 사용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가) “픽토그램(Picto..

폐기물 소각시설의 작업관리 지침(W-13-2012) [내부링크]

ㅇ 관련 규격 및 자료 - 日本 中央勞動災害防止協會, 勞働安全衛生規則, 2005 - 日本 中央勞動災害防止協會, 安全衛生 便覽, 2004 ㅇ 관련법규․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법 제14조 (관리감독자) - 산업안전보건법 제24조 (보건상의 조치) - 산업안전보건법 제27조 (기술상의 지침 및 작업환경의 표준) - 산업안전보건법 제31조 (안전․ 보건교육) - 산업안전보건법 제43조 (건강진단) 폐기물 소각시설의 작업관리 지침(W-13-2012) 1. 목적 2. 적용범위 3. 정의 4. 대상작업의 종류 5. 작업방법 및 건강장해 예방대책 1. 목적 이 지침은 산업안전보건법(이하 “법”이라 한다) 제24조(보건상의 조치) 및 같은 법 제27조(기술상의 지침 및 작업환경의 표준) 등에 의거 폐기물 소각재..

프로젝트의 위험관리에 관한 안전가이드(G-13-2011)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Project risk management - application guidelines, BSI, 2001 - 산업안전보건용어사전,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2006 - 사업장에서의 위험성 평가 길잡이, 한울, 2009 o 관련 법규ㆍ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법」 23조(안전조치), 24조(보건조치) 프로젝트의 위험관리에 관한 안전가이드(G-13-2011) 1. 목 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프로젝트의 위험관리 절차 5. 관리 기관의 책무 1. 목 적 이 지침은 프로젝트의 각 단계별로 적합한 위험관리절차에 대한 기술적 사항을 규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2. 적용범위 이 지침은 위험성 확인, 위험성 평가, 위험성 처리 등의 세부 절차에 관한 기술적인 내용을 포함하..

무소유의 삶과 침묵 [내부링크]

무소유의 삶과 침묵 무소유란 아무 것도 갖지 않는다는 것이 아니다. 궁색한 빈 털털이가 되는 것이 아니다. 무소유란 아무 것도 갖지 않는 것이 아니라 불필요한 것을 갖지 않는다는 뜻이다. 무소유의 진정한 의미를 이해할 때 우리는 보다 홀가분한 삶을 이룰 수가 있다. 우리가 선택한 맑은 가난은 넘치는 부보다 훨씬 값지고 고귀한 것이다. 이것은 소극적인 생활태도가 아니라 지혜로운 삶의 선택이다. 우리가 만족할 줄 모르고 마음이 불안하다면 그것은 우리가 살고 있는 세상과 조화를 이루지 못하기 때문이다. 내 마음이 불안하고 늘 갈등 상태에서 만족할 줄 모른다면 그것은 내가 살고 있는 이 세상과 조화를 이루지 못하기 때문에 그렇다. 우리는 우리 주위에 있는 모든 것의 한 부분이다. 저마다 독립된 개체가 아..

가스용접 및 절단작업에 관한 기술지침(G-7-1013)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INDG297(rev1) : Safety in gas welding, cutting and similar processes - KS B 4601 : 수동 가스 용접기, 절단기 및 가열기 o 관련법규ㆍ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33조 (가스용접 등의 작업) 제234조 (가스 등의 용기) 제240조 (유류 등이 있는 배관이나 용기의 용접 등) 제241조 (통풍 등이 충분하지 않은 장소에서의 용접 등) 가스용접 및 절단작업에 관한 기술지침(G-7-1013) 1. 목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작업허가와 훈련 5. 산소/연료가스 장비 6. 위험요인과 안전대책 1. 목적 이 지침은 용접, 절단 및 유사공정을 위해 고압가스를 사용하는 작업자들에게 ..

소용량 탱크 및 드럼의 화기작업에 관한 안전가이드(G-1-2011)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안전보건기술지침「용접 용단 작업시 화재예방 기술지침」 - Hot work on small tank and drum, HSE, 1999 - 산업안전보건용어사전,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o 관련법규ㆍ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 239조 (위험물 등이 있는 장소에서 화기 등의 사용금지) 소용량 탱크 및 드럼의 화기작업에 관한 안전가이드(G-1-2011) 1. 목적 2. 적용범위 3. 용의의 정의 4. 화기작업 허가와 훈련 5. 화기작업 시 안전조치 6. 위험평가 1. 목적 이 지침은 휘발유, 연료유, 페인트, 솔벤트 등과 같은 인화성액체와 그 증기를 함유하고 있는 드럼 및 탱크에서 화기작업을 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화재 또는 폭발 방지에 관한 기술적인 사항을..

가을이야기 [내부링크]

가을이야기 조금 차분해진 마음으로 오던 길을 되돌아볼 때, 푸른 하늘 아래서 시름시름 앓고 있는 나무들을 바라볼 때, 산다는 게 뭘까 하고 문득 혼자서 중얼거릴 때, 나는 새삼스레 착해지려고 한다. 나뭇잎처럼 우리들의 마음도 엷은 우수에 물들어간다. 가을은 그런 계절인 모양이다. 그래서 집으로 돌아가는 버스 안의 대중가요에도, 속이 빤히 들여다보이는 그런 가사 하나에도 곧잘 귀를 모은다. 지금은 어느 하늘 아래서 무슨 일을 하고 있을까, 멀리 떠나 있는 사람의 안부가 궁금해진다. 깊은 밤 등하에서 주소록을 펼쳐 들 친구들의 눈매를,그 음성을 기억해낸다. 가을은 그런 계절인 모양이다. 한낮에는 아무리 의젓하고 뻣뻣한 사람이라 할지라도 해가 기운 다음에는 가랑잎 구르는 소리 하나에, 귀뚜라미 우는 소..

수소 저장설비의 안전에 관한 기술지침(D-27-2021) [내부링크]

관련규격 및 자료 - 미국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29 CFR 1910.103 - 미국 NFPA 50A Standard for Gaseous Hydrogen Systems at Consumer Sites 1999 Edition - 미국 NFPA 55 Compressed Gases and Cryogenic Fluids Code 2013 Edition - KS B ISO13985 “액체수소-육상 차량용 연료 저장 용기”, 2019 - KOSHA GUIDE P - 166 – 2020 “가스누출감지경보기 설치 및 유지보수에 관한 기술지침” - KOSHA GUIDE D-42-2021 “수소 벤트스택 및 벤트배관의 공정설계에 관한 기술지침” - KOSHA GUIDE M-118–2..

미압 배관 등에서의 폭연 방산구 설치에 관한 기술지침(D-1-2012) [내부링크]

o 관련 규격 및 자료 - NFPA 68 Standard on Explosion Protection by Deflagration Venting 2018 o 관련법규 - 산업안전보건법 동법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81조(건조설비의 구조 등) 미압 배관 등에서의 폭연 방산구 설치에 관한 기술지침(D-1-2012) 1. 목적 2. 적용범위 3. 정 의 4. 설계 시 고려사항 5. 혼성혼합물의 폭연방산 6. 가스와 분진은 혼성혼합물의 폭연 방산 7. 용기의 직경에 대한 길이의 비(L/D)가 5 이상인 용기나 덕트인 경우 8. 폭연 방산 및 폭연 방산구 9. 설비 점검 및 관리 1. 목적 이 지침은 방산 배관 내 인화성 증기·가스 및 가연성 분진에 의한 폭연으로 설비나 덕트, 배관이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

아세틸렌 제조 및 충전 공정의 안전관리에 관한 기술지침(P-54-2012) [내부링크]

o 관련 규격 및 자료 - NFPA 51A, "Standard for Acetylene Cylinder Charging Plants", 2001 Ed., 2001 아세틸렌 제조 및 충전 공정의 안전관리에 관한 기술지침(P-54-2012) 1. 목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일반 요구사항 5. 아세틸렌 제조 및 충전 6. 화재 예방 및 방호 1. 목적 이 지침은 아세틸렌 실린더 충전공정의 설계, 건설, 설치에 대한 안전 요구사항을 제시함으로써 발생 가능한 화재와 폭발로부터 인명과 재산의 손실을 막고, 공정의 안전관리에 필요한 사항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2. 적용범위 이 지침은 아세틸렌의 생산과 압축, 그리고 아세틸렌 실린더 충전에 관련된 설비에 적용한다. 다만, 카바이트를 원료로 하지..

위험물질 취급작업장 위험표시에 관한 기술지침(G-9-2-2013)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Notification and marking of sites, HSE, 1990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별표 1 - 안전보건기술지침「경고 표지 작성지침」 o 관련법규ㆍ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제6조(안전 보건표지의 종류 형태 및 용도)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58조(밸브 등의 개폐방향의 표시 등) - 「위험물안전관리법 시행령」 제3조(위험물의 지정수량) 위험물질 취급작업장 위험표시에 관한 기술지침(G-9-2-2013) 1. 목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일반사항 5. 게시 6. 안전․ 보건 표지 1. 목적 이 지침은 위험물질을 취급하는 작업장의 위험표시에 관한 기술적인 사항을 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2. 적용범위 (1)..

염화비닐에 대한 작업환경측정․ 분석 기술지침(A-22-2019)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NIOSH Manual of Analytical methods (NMAM), 4th ed, www.cdc.gov/niosh/nmam -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dministration (U.S.A), Sampling and Analytical method, www.osha.gov/dts/sltc/methods/index.html - Health and Safety Executive (U.K.), Methods for the Determination of Hazardous Substances (MDHS) guidance, www.hse.gov.uk/p..

산화성 액체 및 고체의 안전관리에 관한 기술지침(P-45-2012) [내부링크]

o 관련 규격 및 자료 - NFPA 430, "Code for the Storage of Liquid and Solid Oxidizers", 2000 Ed., 2000 산화성 액체 및 고체의 안전관리에 관한 기술지침(P-45-2012) 1. 목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산화제 특성 5. 저장 및 취급 6. 화재 및 폭발 예방 7. 폐기물 처리 1. 목적 이 지침은 산화성 액체 및 고체를 사용하는 공정에서 산화제에 의한 화재 및 폭발의 위험으로부터 인명과 재산의 손실을 보호하기 위한 산화제의 안전관리에 필요한 사항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2. 적용범위 이 지침은 산화성 액체 및 고체를 사용하는 공정에 적용한다. 다만, 폭발성 물질, 질산암모늄 및 유기과산화물과 대규모 로켓 전동기의 상..

용해로의 설치 및 유지보수에 관한 기술지침(P-143-2014) [내부링크]

o 관련 규격 및 자료 - EN 60519-1, "Safety in electroheat installations; Part 1: General requirements", 1993 - BS EN 1247 "Foundry machinery — Safety requirements for ladles, pouring equipment, centrifugal casting machines, continuous and semicontinuous casting machines”, 2004 용해로의 설치 및 유지보수에 관한 기술지침(P-143-2014) 1. 목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용해로 위험성 5. 용해로 설치 6. 용해작업 안전 7. 성능 유지 및 보수 1. 목적 용융 고열물을 취급하는 용해로..

마음에 두면 좋은 11가지 메세지 [내부링크]

마음에 두면 좋은 11가지 메세지 첫번째 메시지 누군가를 사랑하지만 그 사람에게 사랑받지 못하는 일은 가슴 아픈 일입니다. 하지만 더욱 가슴 아픈 일은 누군가를 사랑하지만 그 사람에게 당신이 그 사람을 어떻게 느끼는지 차마 알리지 못하는 일입니다. 두번째 메시지 우리가 무엇을 잃기 전까지는 그 잃어버린 것의 소중함을 모르는 것이 사실입니다. 하지만 우리가 무엇을 얻기 전까지는 우리에게 무엇이 부족한지를 깨닫지 못하고 있는 것 또한 사실입니다. 세번째 메시지 인생에서 슬픈 일은 누군가를 만나고 그 사람이 당신에게 소중한 의미로 다가왔지만 결국 인연이 아님을 깨닫고 그 사람을 보내야 하는 일입니다. 네번째 메시지 누군가에게 첫눈에 반하기까지는 1분밖에 안걸리고 누군가에게 호감을 가지게 되기까지는 1시..

정유시설의 안전 운영에 관한 일반적인 위험관리에 대한 기술지침(P-174-2021) [내부링크]

o 관련 규격 및 자료 - BP, Hazards of Oil Refining Distillation Units, ICheme, 2008 - BP, Safe Furnace and Boiler Firing, ICheme, 2005 - BP, Hazardous Substances in Refineries, ICheme, 2005 - BP, Hazards of Water, ICheme, 2004 - BP, Hazards of Nitrogen and Catalyst Handling, ICheme, 2006 - BP, Hazards of Steam, ICheme, 2004 - Henry Z Kister, Distillation Operation, McGraw-Hill, 1990 - Norman P.Lieberman..

화학설비의 부식 관리문서 개발에 관한 기술지침(P-175-2021) [내부링크]

o 관련 규격 및 자료 - API RP 571, “Damage Mechanisms Affecting Fixed Equipment in the Refining Industry”, 3rd Edition, March 2020 - API RP 580, “Risk-Based Inspection”, 3rd Edition, February 2016 - API RP 581, “Risk-Based Inspection Methodology”, 3rd Edition, April 2016 - API RP 584, “Integrity Operating Windows”, 1st Edition, May, 2014 - API RP 970, “Corrosion Control Documents”, First Edition, Decemb..

이동식 사다리의 제작과 사용에 관한 기술지침(G-130-2020) [내부링크]

관련 규격 및 자료 Safety code for portable wood ladder, ANSI, 2008 관련법규․ 규칙․ 고시 등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4조 (사다리식 통로 등의 구조) 이동식 사다리의 제작과 사용에 관한 기술지침(G-130-2020) 1. 목적 2. 적용범위 3. 정의 4. 이동식 목재사다리의 재료와 제작 시 필요사항 5. 이동식 금속재 사다리의 제작 시 필요사항 6. 이동식 사다리의 사용 시 안전기준과 보관 및 관리 1. 목적 이 지침은 다양한 형태의 이동식 목재 및 금속 사다리의 제작, 관리, 사용을 위한 최소한의 필요사항들을 규정하여 이동식 사다리를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필요한 사항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2. 적용범위 이 지침은 인력으로 ..

전기설비 설치상의 안전에 관한 기술지침(E-85-2017)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KOSHA GUIDE E-88(감전방지용 누전차단기 설치에 관한 기술지침) - KOSHA GUIDE E-99(분진폭발 위험장소 설정에 관한 기술지침) - KOSHA GUIDE E-47(가스폭발위험장소의 설정 및 관리에 관한 기술지침 ) - KOSHA GUIDE E-48(가스 폭발분위기에서의 전기설비 설계, 선정 및 설치에 관한 기술지침) - KOSHA GUIDE E-114(전기작업시의 작업공간 확보에 관한 기술지침) - 미국 연방직업안전보건국(OSHA) CFR 1910-S(Safeguarding of employees in their workplace) o 관련법령․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편 제3장(전기로 인한 위험방지) 전기설비 설치상의 안전에 관한 기술..

공업용 가열로의 안전에 관한 기술지침(P-123-2012)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KS B 6110 : 공업용 연소로의 안전 통칙 2003 o 관련법령,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32조(폭발 또는 화재 등의 예방)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44조(방화조치)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73조(계측장치 등의 설치)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81조(건조설비의 구조 등) 공업용 가열로의 안전에 관한 기술지침(P-123-2012) 1. 목적 2. 적용범위 3. 정의 4. 안전에 대한 구조 및 기능 5. 안전운전 및 취급 6. 일상점검 및 유지보수 1. 목적 이 지침은 액체 및 기체연료를 사용하는 금속 압연 가열로, 단조 가열로, 금속용 열처리 등의 공업용 가열로(이하 가열로라 한다)의 구조, 기능 ..

폭발위험장소에서의 가스감지기 사용에 관한 기술지침(E-187-2021) [내부링크]

관련규격 및 자료 - ‘사용자를 위한 공장방폭설비가이드’, 노동안전위생총합연구소, 일본 관련법규·규칙·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30조(폭발위험이 있는 장소의 설정 및 관리)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32조(폭발 또는 화재 등의 예방) 폭발위험장소에서의 가스감지기 사용에 관한 기술지침(E-187-2021) 1. 목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폭발위험장소에서 가스감지기의 사용 1. 목적 이 지침은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30조(폭발위험이 있는 장소의 설정 및 관리) 및 제232조(폭발 또는 화재 등의 예방) 따라 폭발위험장소에서의 전기 설비의의 보수 시 등에 관련하여 가스감지기 사용과 연계시켜 방폭대책을 수립하기 위한 기술적 사항을 정함을 목적으로 ..

화학공장의 피해최소화대책 수립에 관한 기술지침(P-110-2012)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CCPS, "Guideline for chemical process quantitative risk analysis", AIChE, New York, 1989. - CCPS, "Guideline for investigating chemical process incidents", AIChE, New York, 1992. - Lee, F. P., "Loss prevention in the process industries", 2nd ed., Butterworths, London, 1996. - API, "API Recommended practice 521", 3rd ed., American petroleum institute, 1987. - API, "API Recommended p..

유해인자의 유해성ㆍ위험성 분류기준(제141조 관련) [내부링크]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별표 18] 유해인자의 유해성ㆍ위험성 분류기준(제141조 관련) 1. 화학물질의 분류기준 가. 물리적 위험성 분류기준 1) 폭발성 물질: 자체의 화학반응에 따라 주위환경에 손상을 줄 수 있는 정도의 온도ㆍ압력 및 속도를 가진 가스를 발생시키는 고체ㆍ액체 또는 혼합물 2) 인화성 가스: 20, 표준압력(101.3)에서 공기와 혼합하여 인화되는 범위에 있는 가스와 54 이하 공기 중에서 자연발화하는 가스를 말한다.(혼합물을 포함한다) 3) 인화성 액체: 표준압력(101.3)에서 인화점이 93 이하인 액체 4) 인화성 고체: 쉽게 연소되거나 마찰에 의하여 화재를 일으키거나 촉진할 수 있는 물질 5) 에어로졸: 재충전이 불가능한 금속ㆍ유리 또는 플라스틱 용기에 압축가스ㆍ액화가스..

사고 영향범위 산정에 관한 기술지침[화학물질안전원지침 제2021-2호(2021.6.18.)] [내부링크]

사고 영향범위 산정에 관한 기술지침 화학물질안전원지침 제2021-2호(2021.6.18.) 2015.1.28. 제정 2021.6.18 개정 제1장 개 요 1-1. 목적 이 기술지침의 목적은 「화학물질관리법」(이하 “법”이라 한다) 제23조, 같은 법 시행규칙(“규칙”이라 한다) 제19조의2에서 제19조3까 지 규정에 따른 화학사고예방관리계획서 작성에 필요한 사고시나리오에 따른 영향범위 산정을 위한 세부 사항을 정하는 것이다. 1-2. 적용범위 이 지침은 화학물질안전원 고시“화학사고예방관리계획서 작성 등에 관한 규정”에 따른 사고시나리오의 영향범위를 산정하기 위한 세부 조건에 적용된다. 1-3. 정의 ① 이 지침에서 사용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 각 호와 같다. 1) “유해화학물질”이란 유독물질, 허가물질,..

술잔에 머무는 그리움 만으로 [내부링크]

술잔에 머무는 그리움 만으로 술 잔에 머무는 그리움만으로 너를 기억하는 것이 오늘 나의 사치 인지 모른다. 빗겨 간 세월 아픔을 담아 둔 체 이 가녀린 정신에 맞게 궁핍 하지 않은 자양으로 술 잔을 따르라. 비워 버린 난장에 딩구는 속살 이제 만천하를 취하고 부족 함이 없으니 그대여 술잔이 비워 지는 만큼 아픔도 치유 되기를..... 좋은 글에서

제도성남장(題都城南莊) [내부링크]

제도성남장(題都城南莊) 去年今日此門中(거년금일차문중) 작년 오늘 이 집 앞을 지날 때 人面桃花相映紅(인면도화상영홍) 한 여인과 복사꽃이 서로 아름다운을 자랑하더니 人面不知何處去(인면부지하처거) 그 여인은 어디 갔는지 알 수 없는데 桃花依舊笑春風(도화의구소춘풍) 복사꽃만 옛같이 봄바람에 웃고 있구나 최호(崔護)

폐용제 정제공정의 안전에 관한 기술지침(P-161-2017) [내부링크]

o 관련 규격 및 자료 - FM Global 7-2 , “WASTE SOLVENT RECOVERY”, 2000 - KOSHA GUIDE D-2-2012, “활성탄흡착설비의 안전설치에 관한 기술지침” 폐용제 정제공정의 안전에 관한 기술지침(P-161-2017) 1. 목적 2. 적용범위3. 정의 3. 정의 4. 폐용제의 수거 및 반입 5. 정제설비의 설치 6. 안전운전계획의 운영 1. 목적 이 지침은 폐용제 정제설비의 안전에 필요한 사항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2. 적용범위 이 지침은 인화점이 150 이하로서 비등점이상으로 가열되는 폐 용제를 취급하는 설비로서, 패키지형태의 폐유기용제 정제설비 및 소규모의 정제설비에 대하여 적용한다. 다만, 석유화학공업 및 정제분리업종의 대단위 정제설비는 제외한다...

포장된 위험물의 창고저장에 관한 기술지침(P-74-2011) [내부링크]

o 관련 규격 및 자료 - HSG 71, "Chemical warehousing-The storage of packaged dangerous substances", HSE, 4 Ed., 2009 포장된 위험물의 창고저장에 관한 기술지침(P-74-2011) 1. 목적 2. 적용범위 3. 정의 4. 위험요인 확인 및 평가 5. 위험도 경감 및 제거 6. 폭발위험지역 구분 7. 비상조치 8. 정보 공유 및 교육 1. 목적 이 지침은 사업장에서 포장된 위험물의 창고저장 시 위험요인과 안전대책 등을 제시하여 위험물을 창고에 보관할 때 발생할 수 있는 화재 등의 사고를 예방하는데 필요한 사항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2. 적용범위 이 지침은 위험물을 포장된 상태로 보관하는 사업장에 적용한다. 3. 정의 (1)..

연구실험용 파일럿플랜트(Pilot plant)의 안전에 관한 기술지침(P-163-2018) [내부링크]

o 관련 규격 및 자료 - 이근원 등, “화학산업 파이럿플랜트의 안전기준개발”, 연구원 2017-연구원 -983, 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2017 - Francis X. McConville, “The Pilot Plant Real Book:A Unique handbook for the Chemical Process Industry”, 2nd ed. FXM Engineering and Design. 2002 - Richard P. Palluzi, “Pilot Plant Design, Construction and Operation”, McGraw-Hill, Inc. 1992 연구실험용 파일럿플랜트(Pilot plant)의 안전에 관한 기술지침(P-163-2018) 1. 목적 2. 적용범위 3. 용..

사고대비물질 KEY INFO GUIDE [내부링크]

- 사고대비물질 키인포 가이드 -2019년 개정판- 1. 사고대비물질의 정의 및 지정 근거 ····················· 1 2. 사고대비물질 97종 목록 ····················· 5 3. 사고대비물질 97종의 키인포가이드 ·················· 11 A Acrolein (아크롤레인) ·················· 14 Acrylic acid (아크릴산) ·················· 16 Acrylonitrile (아크릴로니트릴) ·················· 18 Acryloyl chloride (아크릴로일클로라이드) ·················· 20 Allyl alcohol (알릴알코올) ·················· 22 Allyl chlori..

사업장 소방대의 안전활동 기준에 관한 기술지침(P-73-2011) [내부링크]

o 관련 규격 및 자료 - NFPA 600, "Standard on Industrial Fire Brigades", 2000 Ed., 2000 사업장 소방대의 안전활동 기준에 관한 기술지침(P-73-2011) 1. 목적 2. 적용범위 3. 정의 4. 일반 요구사항 5. 소방대 활동 1. 목적 이 지침은 사업장 내에서 화재의 위험으로부터 인명과 재산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사업장 소방대의 조직, 운영, 훈련 및 장비의 최소 요구사항과 화재 진화 및 관련활동을 수행하는 중의 직업상 안전과 보건에 필요한 안전활동 사항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2. 적용범위 이 지침은 사업장 내에서 화재의 위험으로부터 인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하여 화재 진화 및 관련활동을 수행하는 사업장 소방대에 적용한다. 다만,..

전기작업에 관한 기술지침(E-7-2012)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BS EN 60903 Specification for gloves and mitts of insulating material for live working - IEC 60743 Live working-Terminology for tools, equipment and devices - HSG85 Electricity at Work : safe working practices o 관련법령․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편 제3장(전기로인한 위험방지) 전기작업에 관한 기술지침(E-7-2012) 1. 목적 2. 적용범위 3. 정의 4. 전기의 위험성과 전기설비 사용시의 안전 5. 전기작업의 안전성 평가 1. 목적 이 가이드는 전기위험이 있는 전기설비 또는 그 인근에서 작..

정전기 오염방지에 관한 기술지침(E-179-2020) [내부링크]

관련규격 및 자료 - 정전기 핸드북, 일본정전기학회 - KS C IEC 61340 시리즈, 정전기 관련법규·규칙·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325조(정전기로 인한 화재·폭발 등 방지) 정전기 오염방지에 관한 기술지침(E-179-2020) 1. 목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오염방지 대책 5. 오염 관리 방안 1. 목적 이 지침은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325조(정전기로 인한 화재·폭발 등 방지)에 따라 폭발위험장소에서의 정전기 오염(Contamination)으로 인한 ESD(Electrostatic Discharge) 방지와 오염 대책, 관리에 대한 기술적 사항을 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2. 적용범위 (1) 본 기술지침은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30조(..

봉구황(鳳求凰) & 白頭吟(백두음) [내부링크]

- 봉구황(鳳求凰) - 鳳兮鳳兮歸故鄕(봉혜봉혜귀고향) 봉아, 봉아, 고향에 찾아왔구나! 翱遊四海求其凰(고유사해구기봉) 너를 찾아 사해에서 찾기를 원하였지만 時未遇兮無所將(시미우혜무소장) 이제까지 그 원을 이루지 못하였는데 何悟今夕升斯堂(하오금석승사당) 오늘 밤에야 이 마루에 올라 만나게 되었구나 有艶淑女在閨房(유염숙녀재규방) 아름다운 낭자가 규방에 있으나 室邇人遐毒我腸(실이인하독아장) 방은 가까워도 사람은 멀어 비통하게 하는가 何緣交頸爲鴛鴦(하연교경위원앙) 그녀와 함께 한쌍의 원앙이 될 수 있는 방법만 있다면 胡頡頏兮共翱翔(호힐항혜공고상) 함께 저 높은 하늘을 날 수 있을텐데 鳳兮鳳兮從我棲(봉혜봉혜종아서) 봉(鳳)아, 봉아, 나를 따라 머무르렴 ! 得托孳尾永爲妃(득탁자미영위비) 부지런히 여신님을 위해 뒤..

비상 등기구 배터리의 관리에 관한기술지침(E-140-2013)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IEC 60598-2-22, Luminaries-Part 2-22 : Particular requirements– Luminaries for emergency lighting - KS C IEC 60598-1 등기구 - 제1부 : 일반적인 요구사항 및 시험 o 관련법령․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편 제3장(전기로 인한 위험방지) 제1절(전기기계․ 기구 등으로 인한 위험방지), 제3절(전기작업에 대한 위험방지) 비상 등기구 배터리의 관리에 관한기술지침(E-140-2013) 1. 목적 2. 적용범위 3. 정의 4. 비상 등기구의 배터리 종류 5. 비상 등기구 배터리의 관리사항 1. 목적 이 기술지침은 비상 등기구에 사용되는 배터리의 관리에 필요한 기술적 사항을 정..

건설현장의 중량물 취급 작업계획서(이동식 크레인) 작성지침(C-102-2014) [내부링크]

관련규격 및 자료 - KOSHA GUIDE M-85-2011 크레인 달기기구 및 줄걸이작업에 관한 기술지침 - KOSHA GUIDE M-49-2012 작업장내 안전한 적재 및 하역작업을 위한 기술지침 - KOSHA GUIDE C-99-2014 이동식 크레인 양중작업의 안정성 검토 지침 - 고용노동부고시 제 2012-70호 운반하역 표준안전 작업지침 -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Module형 교재 2007-M-065, 줄걸이 작업 안전 - 호종관 저, 이동식 크레인, 구미서관, 2012 관련법규․ 규칙․ 고시 등 - 고용노동부고시 제 2012-70호 운반하역 표준안전 작업지침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38조(사전조사 및 작업계획서의 작성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39조(작업지휘자..

굴착공사 안전작업 지침(C-39-2011)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실무규정(Code of practice) : 굴착공사(서호주 산업안전위원회) - 지하매설물 안전관리 요령(국토해양부) - 가설공사 표준시방서(국토해양부) - 흙막이지보공 안전교육(산업안전교육원) o 관련 법규․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편 제4장 제2절(굴착작업 등의 위험방지) 굴착공사 안전작업 지침(C-39-2011) 1. 목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조 사 5. 굴착작업 안전기준 6. 굴착작업계획 수립 및 준비 7. 굴착작업 안전 8. 붕괴재해예방 1. 목적 이 지침은 산업안전보건기준에관한규칙(이하 “안전보건규칙”이라 한다) 제2편 제4장 제2절(굴착작업 등의 위험방지)의 규정에 의하여 굴착공사 작업에 관한 안전지침을 정함을 목적으로 ..

화학물질을 사용하는 실험실 내의 작업 및 설비안전 기술지침(P-76-2011) [내부링크]

o 관련 규격 및 자료 - NFPA 45, "Standard on Fire Protection for Laboratories Using Chemicals", 2000 Ed, 2000 - 29 CFR 1910.1450, "Occupational Exposure to Toxic substances in Laboratory" - 29 CFR 1910.120, "Hazardous Waste Operations and Emergency Response" - ANSE Z9.5, "Laboratory Ventilation" - OSHA, "Laboratory Safety Pocket Handbook", 1996. - Product Steward ship. Code of management practices. 화학물질..

화학공장의 혼합공정에서 화재 및 폭발예방에 관한 기술지침(P-132-2013) [내부링크]

관련규격 및 자료 - 化学工業爆発火災防止対策指針策定委員会, "化学工業における 爆発火災防止対策指針", 1997 - Frank P. Lees, "Loss prevention in the process industries", 2nd Ed., Butterworth-Heinemann, 1996 화학공장의 혼합공정에서 화재 및 폭발예방에 관한 기술지침(P-132-2013) 1. 목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혼합공정의 위험에 따른 안전대책 1. 목적 이 지침은 화학공장의 혼합공정 작업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으로 인해 발생하는 화재 및 폭발 사고를 사전에 파악하고, 예방 및 방호 대책을 강구하는데 필요한 사항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2. 적용범위 이 지침은 화학물질을 사용하는 화학공장의 ..

피부보호구의 사용 지침-보호용 장갑(H-42-2021) [내부링크]

ㅇ 관련규격 및 자료 -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KOSHA CODE H-71-2015. 유기화합물 취급 관리지침 - Health and Safety Executive. HSG 262: Managing skin exposure risks at work. 2015 -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dministration. Regulations(Standards-29 CFR) PART 1910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Standards - Subpart I.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 Packham C. Gloves as Chemical Protection-Can They Really Work? Ann Occup Hyg 2..

정비·보수작업계획서 작성에 관한기술지침(P-154-2016)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안전보건공단, 화학설비 정비보수작업 안전보건관리 매뉴얼, 2013 - KOSHA GUIDE D-56 “맹판 설치 및 제거에 관한 기술지침” - KOSHA GUIDE P-140 “작업안전분석(Job safety analysis) 기법에 관한 기술지침” 정비·보수작업계획서 작성에 관한기술지침(P-154-2016) 1. 목 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일반사항 5. 정비·보수작업계획서 작성 1. 목 적 이 지침은 화학설비 등의 정비·보수작업 시 발생할 수 있는 중대산업사고 및 산업재해를 예방하기 위한 작업계획서 작성에 필요한 기준을 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 적용범위 이 지침은 화학설비의 정비·보수 시 수행하는 모든 작업에 대해 적용할 수 있지만, 화학설비 외의 정..

비상 등기구의 기능안전에 관한 기술지침(E-139-2013)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IEC 60598-2-22, Luminaries-Part 2-22 : Particular requirements– Luminaries for emergency lighting - KS C IEC 60598-1 등기구 - 제1부 : 일반적인 요구사항 및 시험 o 관련법령․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편 제3장(전기로 인한 위험방지) 제1절(전기기계․ 기구 등으로 인한 위험방지), 제3절(전기작업에 대한 위험방지) 비상 등기구의 기능안전에 관한 기술지침(E-139-2013) 1. 목적 2. 적용범위 3. 정의 4. 비상 등기구의 분류 5. 비상 등기구의 표시 6. 기능 안전 1. 목적 이 기술지침은 비상 등기구의 기능안전에 필요한 기술적 사항을 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2101-4 고압가스특정제조시설의 중간・완성검사 처리지침 [내부링크]

2101-4 고압가스특정제조시설의 중간・완성검사 처리지침 1999. 3. 7 제정, 2002. 5.31 개정 2006. 2.20 개정, 2009. 2.17 개정 2012. 1. 5 개정, 2016.12.29 개정 제 1 장 총 칙 제1조【목 적】 이 지침은 고압가스안전관리법(이하"법"이라 한다) 제16조 및 고압가스안전관리법 시행규칙(이하“규칙”이라 한다) 제28조, 제29조의 규정에 의한 중간·완성검사 업무의 표준화와 효율적인 플랜트의 안전관리를 확보하기 위하여 필요한 사항을 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2조【적용범위】 ① 이 지침의 적용범위는 규칙 제3조의 고압가스특정제조 허가의 대상을 말하며, 다음 각 호에 1에 해당하는 시설의 중간·완성검사에 적용한다. 1. 석유정제업자의 석유정제시설 또는 그 부대시..

법정스님 명언모음(12선) [내부링크]

법정스님 명언모음(12선) 정체성 1. 나는 누구인가? 스스로 물어라 자신의 속 얼굴이 드러나 보일 때까지 묻고 묻고, 또 물어야 한다 건성으로 묻지 말고, 목소리 속의 목소리로 귀 속의 귀에 대고 간절하게 물어야 한다 해답은 그 물음 속에 있다. 소유 2. 무소유란 아무것도 갖지 않는다는 것이 아니라 불필요한 것을 갖지 않는다는 뜻이다 우리가 선택한 맑은 가난은 부보다 훨씬 값지고 고귀한 것이다. 사랑 3. 우리가 지금 이 순간 전 존재를 기울여 누군가를 사랑하고 있다면 이 다음에는 더욱 많은 이웃들을 사랑할 수 있다 다음 순간은 지금 이 순간에서 태어나기 때문이다 지금이 바로 그때이지 시절이 따로 있는 것이 아니다 버리고 비우는 일 4. 버리고 비우는 일은 결코 소극적인 삶이 아니..

인화성물질 상압저장탱크의 안전작업에 관한 기술지침(P-165-2019)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유류 저장소의 안전 및 환경기준, 「번스필드 표준 태스크 그룹(BSTG) 최종 보고서, 2009 (Safety and environmental standards for fuel storage sites) - 산업안전보건용어사전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 KOSHA GUIDE D-35, “ 상압저장탱크의 설계에 관한 기술지침” - KOSHA GUIDE D-23, “ 저장탱크의 형식 선정에 관한 기술지침” -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 탱크터미널 작업안전 가이드” , 2014 - API std MPMS Chapter 3.1A, “ Manual of Petroleum Measurement Standards Chapter 3-Tank Gauging, Section 1A-Standard P..

부족함과 행복함 [내부링크]

부족함과 행복함 행복이란 만족한 삶이라고 했습니다. 자기가 만족할 수 있으면 무엇을 먹든, 무엇을 입든, 어떤 일을 하든 그건 행복한 삶입니다. 우리의 불행은 결핍에 있기보다 부족하다고 느끼는 결핍감에서 온다는 말이 있습니다. 그것도 다른 사람과 비교하면서 느끼는 상대적인 결핍감에서 비롯된다고 합니다. 첫째, 먹고 입고 살고 싶은 수준에서 조금 부족한듯한 재산. 둘째, 모든 사람이 칭찬하기에 약간 부족한 용모. 셋째, 자신이 자만하고 있는 것에서 사람들이 절반 정도밖에 알아주지 않는 명예. 넷째, 겨루어서 한 사람에게는 이기고 두 사람에게 질 정도의 체력. 다섯째,연설을 듣고도청중의 절반은 손뼉을 치지 않는 말솜씨가 그것입니다. 그가 생각하는 행복의 조건들은 완벽하고 만족할 만한 상태에 있는 것들..

크레인 달기기구 및 줄걸이 작업용 와이어로프의 작업에 관한 기술지침(M-186-2015)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 천정크레인 달기기구 및 줄걸이 작업의 안전(포항 99-2-358) -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 운반보조장비 취급요령 - 줄걸이 작업중심(전문교육 2901-A0-298-1) - KS규격 D 3514: 와이어로프 일반지침 - KS규격 B 6242: 와이어로프 슬링 - KS규격 B 1335:2001: 훅(Hooks) - ISO 4309: 와이어로프(Wire rope) - EN 13411-6: 비대칭 웨지 소켓(Asymmetric wedge socket) - EN 13411-7: 대칭 웨지 소켓(Symmetric wedge socket) - BGI 555(Berufsgenossenschaft Information): (독일 노동조합 일반정보)크레인 운영자 일반지침 ..

벨트 슬링 사용·점검 등에 관한 기술지침(G-132-2020) [내부링크]

관련 규격 및 자료 KS B 6241 “섬유제 벨트 슬링 ”, 2017 EN 1492-1:2008. Textile slings – Safety – Part 1: Flat woven webbing slings made of man-made fibres for general purpose use. OSHA, Synthetic Web Slings : Guidance on Safe Sling Use 관련법규·규칙·고시 등 산업안전보건법 제38조 (안전조치)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55조 (작업발판의 최대적재하중)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58조 (비계의 점검 및 보수)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63조 (달비계의 구조)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편 제1..

굴착기 안전보건작업 지침(C-105-2021) [내부링크]

관련규격 및 자료 - KOSHA GUIDE C-39-2011 굴착공사 안전작업 지침 - 건설기계 시공안전기준 제정에 관한 연구(한국건설기술연구원) - KS B ISO 7135:2020 토공기계–유압굴삭기– 용어 및 상용 사양 - KS B ISO 6165:2019 토공기계–기본–식별과 용어 및 정의 관련법규․규칙․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관한규칙 제196조∼제206조(차량계 건설기계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관한규칙 제338조∼제347조(굴착작업 등의 위험방지) - 운반하역표준안전작업지침(고용노동부고시 제2020-26호) - 굴착공사표준안전작업지침(고용노동부고시 제2012-100호) - 건설기계안전기준에 관한 규칙(국토교통부령 제882호) 제10조∼제12조 - 사업장 위험성평가에 관한 지침(고용..

인화성 액체 이송용 탱크차량의 안전에관한 기술지침(P-31-2012) [내부링크]

o 관련 규격 및 자료 - NFPA 385, "Standard for Tank Vehicles for Flammable and Combustible Liquids", 2000 인화성 액체 이송용 탱크차량의 안전에관한 기술지침(P-31-2012) 1. 목 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탱크차량의 설계 5. 아스팔트용 탱크차량 6. 탱크차량의 표시 7. 보조장치 8. 탱크차량의 운전 1. 목 적 이 지침은 인화성 액체를 저장․ 이송하는 차량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화재 및 폭발의 위험성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적절한 안전대책을 수립하는 등의 안전 확보에 필요한 기술적인 지침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2. 적용범위 본 지침은 아스팔트 및 인화점이 93 미만인 인화성 액체를 이송하는데 이용되는 차량..

항타기·항발기 사용 작업계획서 작성지침(C-101-2014) [내부링크]

관련규격 및 자료 - KOSHA GUIDE C-85-2013 트럭 탑재형 크레인(Cargo Crane) 안전보건 작업지침 - KOSHA GUIDE C-48-2012 건설기계 안전보건작업 지침 - KOSHA GUIDE M-86-2011 고소작업차 안전운전에 관한 기술지침 - KOSHA GUIDE M-88-2011 지게차의 안전작업에 관한 기술지침 관련법규․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제49조(기계등 대여자의 조치) -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제52조(기계등 대여사항의 기록・ 보존)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38조(사전조사 및 작업계획서의 작성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92조(정비 등의 작업 시의 운전정지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98조(제한속도의..

건설기계 안전보건작업지침(C-48-2013) [내부링크]

ㅇ 관련법규. 규칙.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편 제1장 제1절·제9절․ 제12절 -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토건연 84-4-25 (기술 기준 제 ․ 개정위한연구) - 건설재해예방기법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 건설기계 관리법(제2조) - 건설공사 인양장비 안전작업 매뉴얼 (건설 99-7-179) 건설기계 안전보건작업지침(C-48-2013) 1. 목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차량계 건설기계 5. 기초공사용 건설기계 6. 양중기(크레인, 건설작업용 리프트) 1. 목적 이 지침은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이하 “안전보건규칙”이라 한다) 제2편 제1장 제1절(기계등의 일반기준)·제9절(양중기)․ 제12절(건설기계 등), 제4장 제1절(거푸집동바리 및 거푸집)․ 제2절(굴착..

유해․ 위험물 취급용 플렉시블 호스의 사용안전에 관한 기술지침(M-119-2012)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CCPS : GUIDELINES FOR PROCESS SAFETY FUNDAMENTALS IN GENERAL PLANT OPERATIONS - DOW : CORPORAL LOSS PREVENTION - NFPA30 : FLAMMABLE AND COMBUSTIBLE LIQUIDS CODE - NFPA407 : STANDARD FOR AIRCRAFT FUEL SERVICING o 관련 법규․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 기준에 관한 규칙 제2편 제2장 제1절 제227조(호스 등을 사용한 인화성 액체 등의 주입) 유해․ 위험물 취급용 플렉시블 호스의 사용안전에 관한 기술지침(M-119-2012) 1. 목적 2. 적용범위 3. 정의 4. 호스의 구성 및 사양 5. 호스의 선택 및 설..

트럭 탑재형 크레인(Cargo Crane) 안전보건작업지침(C-85-2013) [내부링크]

관련규격 및 자료 - BS : safe use of cranes, mobile cranes - ANSI : safety code for cranes, derricks, and hoists - KOSHA Guide C-48-2012 건설기계 안전보건작업 지침 - KOSHA Guide C-44-2012 철골공사 안전보건작업 지침 관련법규․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147조~제150조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132조~제135조 - 운반하역 표준안전작업지침 - 크레인작업 표준신호지침 - 이동식크레인구조․ 규격에 관한 기술상의 지침 - KOSHA Guide C-69-2012 이동식 크레인 안전보건작업 지침 트럭 탑재형 크레인(Cargo Crane) 안전보건작업지침(C-8..

이동식 크레인 양중작업의 안정성 검토 지침(C-99-2015)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BS : safe use of cranes, mobile cranes - ANSI : safety code for cranes, derricks, and hoists - 건설기계 안전보건작업 지침(KOSHA GUIDE C-48-2012) - 철골공사 안전보건작업 지침(KOSHA GUIDE C-44-2012) - 이동식 크레인 안전보건작업 지침(KOSHA GUIDE C-69-2012) - 이동식크레인(구미서관, 호종관) 관련법규․규칙․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132조~제135조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147조~제150조 - 운반하역 표준안전 작업지침(고용노동부고시 제2012-70호) - 크레인작업 표준신호지침(고용노동부고시 제8호) - 이동식크레인 ..

전기재해예방 접지실무Ⅰ [내부링크]

전기재해예방 접지실무Ⅰ 제 1 장 접지관련 법령이해 및 접지개요와 접지공사(접지개요) 1-1. 개 요 1-2. 계통접지 1-3. 보호접지 제 2 장 지락사고(누전)검출 및 보호접지 방법 2-1. 누전 2-2. 감전재해 발생배경 2-3. 감전현상 2-4. 전류에 대한 인체의 반응 2-5. 누전에 의한 감전사례 2-6. 누전에 의한 감전 예방대책 2-7. 올바른 접지 2-8. 누전차단기 2-9. 접지와 누전차단기 2-10. 지락사고 검출 2-11. 중성점 접지방식과 지락보호 2-12. 접지방식별 지락보호 제 3 장 접지관련 법령이해 및 접지개요와 접지공사(접지규정) 3-1. 국내규정 3-2. 국외규정 3-3. 지락차단방지 시설기준 적용방법 3-4. 이동식 발전기 접지 제4장 접지관련 법령이해 및 접지개요와 ..

산소 과잉 분위기의 화재 위험성 및 방지대책에 관한 기술지침(P-138-2013) [내부링크]

o 관련 규격 및 자료 - EIGA IGC Doc 01/09, “Fire hazards of oxygen and oxygen enriched atmospheres” - EIGA IGC Doc 154/09 4항, “Safe location of oxygen and inert gas vents”, 5.3항, "Vent locations" - EIGA IGC Doc 138/09 5.1.4항, “Avoiding confusion” - EIGA PP-14 “Definitions of oxygen enrichment/deficiency safety criteria” - KGS 2009-180, 2.4.2항 “건강 유해성" - OSHA 29 CFR 1910.146, "Hazardous atmosphere" o 관련 ..

공장건물의 위험관리에 관한 기술지침(P-4-2012) [내부링크]

o 관련 규격 및 자료 - API 752 - KOSHA GUIDE「사고피해 예측기법」 - KOSHA GUIDE 「화학공장의 피해최소화대책 수립에 관한 기술지침」 관련 법규 - 산업안전보건법 제49조의 2(공정안전보고서의 제출 등), - 산업안전보건법 시행령 제33조의 7(공정안전보고서의 내용) -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제130조의 2(공정안전보고서의 세부내용 등) 공장건물의 위험관리에 관한 기술지침(P-4-2012) 1. 목적 2. 적용범위 3. 정 의 4. 공장건물 위험관리를 위한 공통사항 5. 화재 위험도 평가 6. 독성 물질 위험도 평가 1. 목적 이 지침은 공장건물 위치에 따른 상주자의 위험도를 최소화함으로써 중대산업사고의 예방을 위해 필요한 관리적 사항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2...

화학사고예방관리계획서제출대상 및 작성수준 판단 [내부링크]

화학사고예방관리계획서제출대상 및 작성수준 판단 기존의 장외형향평가와위해관리계획을 통합하여 화학사고예방관리계획서로 변경 시행('21.4.1)됨에 따라 각 사업장의 적용대상 판단은 아래와 같은 내용을 참조합니다. 1. 화학사고예방관리계획서 작성 제출 수량 기준 판단을 위한 물질별 규정수량(2021.4.1.자 시행) 1) 유독물질,제한물질,금지물질 및 허가물질의 규정수량에 관한 규정 [시행2021. 4. 1.] [환경부고시 제2021-51호, 2021. 3. 31.,제정] 2) 화학물질관리법 시행규칙[별표3의2]유해화학물질별 수량 기준 2. 화학사고예방관리계획서 적용대상 : 2군 사업장 이상 3. 화학사고예방관리계획서 제출구분 : 사업장 단위 제출 4. 화학사고예방관리계획서 제출단위 : 사업장 단위 또는 화학..

사고대비물질별 수량 기준 산정방법 [내부링크]

사고대비물질별 수량 기준 산정방법 1. 사고대비물질 제조·사용수량(연간) - 사고대비물질(Mi)을 설비에서 1년간 제조하거나 사용할 수 있는 최대수량 제조·사용시설 취급 형태 제조·사용 최대수량(kg) 산정방법 Mi 가 공급되어 전량 소모되는 경우 연간 공급량(kg) + 전체 취급시설의 체류 또는 보관량(kg) Mi 가 전량 생산되는 경우 연간 제조 또는 생산량(kg) + 전체 취급 시설 체류 또는 보관량(kg) Mi 가 시스템에서 계속 순환되는 경우 순환 시스템의 체류량(kg) + 연간 보충 량(kg) Mi 의 조성 또는 농도가 변경되는 경우 연간 공급량, 제조 또는 생산량 중 큰 용량(kg) + 전체 취급시설의 체류 또는 보관량(kg) * Mi 는 적용 기준 함량(예: 염산 10% 이상)에 해당하는 ..

사고대비물질의 지정 [내부링크]

사고대비물질의 지정 [시행 2021. 4. 12.] [환경부고시 제2021-75호, 2021. 4. 12., 일부개정] 환경부(화학안전과), 044-201-6833 제1조(목적) 이 고시는 「화학물질관리법」제2조제6호, 제39조, 같은 법 시행령 제17조의 규정에 의하여 화학물질 중에서 급성독성(急性毒性)ㆍ폭발성 등이 강하여 화학사고의 발생 가능성이 높거나 화학사고가 발생한 경우에 그 피해 규모가 클 것으로 우려되는 화학물질로서 화학사고 대비가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물질을 사고대비물질로 지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2조(대상 화학물질) 「화학물질관리법」 제2조제6호에 따른 사고대비물질은 「화학물질관리법 시행규칙」 별표 3의2 제1호의 ‘사고대비물질[영문명 및 화학물질 식별번호(CAS No.)]’란의 규정에 ..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 설치 및 관리 기준(화학물질관리법 시행규칙 별표 5) [내부링크]

화학물질관리법 시행규칙 [별표 5]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 설치 및 관리 기준(제21조제2항 관련) 1. 일반기준 가.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의 각 설비는 온도ㆍ압력 등 운전조건과 유해화학물질의 물리적ㆍ화학적 특성을 고려하여 설비의 성능이 유지될 수 있는 구조 및 재료로 설치해야 한다. 나.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의 제어설비는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의 정상적인 운전조건이 유지될 수 있는 구조로 설치되어야 하고, 현장에서 직접 또는 원격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다. 유해화학물질이 누출ㆍ유출되어 환경이나 사람에게 피해를 주지 않도록 사고예방을 위한 설비를 갖추고 사고 방지를 위해 적절한 조치를 해야 한다. 라. 취급시설을 설치ㆍ운영하는 자는 법 제23조제5항에 따라 적합통보를 받은 화학사고예방관리계획서(..

유독물질, 제한물질, 금지물질 및 허가물질의 규정수량에 관한 규정 [내부링크]

유독물질, 제한물질, 금지물질 및 허가물질의 규정수량에 관한 규정 [시행 2021. 7. 5.] [환경부고시 제2021-134호, 2021. 7. 5., 일부개정.] 환경부(화학안전과), 044-201-6833 제1조(목적) 이 고시는 「화학물질관리법 시행규칙」(이하 "규칙"이라 한다) 제19조제2항 및 제8항, 별표 3의 2제2호에 따라 유해화학물질 중 사고대비물질을 제외한 유독물질, 제한물질, 금지물질 및 허가물질의 상위 규정수량과 하위 규정수량을 규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2조(규정수량) 유해화학물질의 상위 규정수량과 하위 규정수량은 다음 각 호와 같다. 다만, 사고대비물질은 규칙 별표 3의2제1호의 사고대비물질별 수량 기준을 따른다. 1. 유독물질의 상위 규정수량과 하위 규정수량은 별표 1과 같다..

사업장 휴게시설 설치 의무화 제도 [내부링크]

상시 근로자 20명 이상을 사용하는 사업장이 설치 의무 대상이고, 배달·환경미화원·경비원 등 특정 직종의 경우 2인 이상 노동자가 포함된 사업장은 상시 근로자 10인 이상도 의무적으로 설치를 해야 합니다. 산업안전보건법 [시행 2021. 11. 19.] [법률 제18180호, 2021. 5. 18., 일부개정] 제128조의2(휴게시설의 설치) ① 사업주는 근로자(관계수급인의 근로자를 포함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가 신체적 피로와 정신적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도록 휴식시간에 이용할 수 있는 휴게시설을 갖추어야 한다. ② 사업주 중 사업의 종류 및 사업장의 상시 근로자 수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해당하는 사업장의 사업주는 제1항에 따라 휴게시설을 갖추는 경우 크기, 위치, 온도, 조명 등 고용노..

삶이 나에게 일러주는 것 [내부링크]

삶이 나에게 일러주는 것 나에게 없는 것을 욕심내기 보다는 내가 갖고 있는 것을 소중히 하고 감사히 여기라는 것을 ... 삶은 내게 또 일러주었네. 갖고 있는 것에 너무 집착하지 말기를 ... 그것에 지나치게 집착하다 보면 외려 잃을 수도 있다는 것을 ... 내가 가진 것이 무엇인가? 내가 가질 수 있고 가질 수 없는 것은 또 무엇인가? 나는 여지껏 욕심만 무겁게 짊어지고 있었네 ... 하지만 그 욕심을 잃을지라도 결행하는 것은 결코 욕심이 아니라고 내 마음이 나에게 이야기 하네 ... 우리는 언젠가 때가되면 육신마저 버리고 가야합니다. 그런데 무엇이 그리 필요할까요? 우리가 살아가는 동안 노력해야 할 것은 사실 얼마만큼 소유할 것인가가 아니라 ... 소유하고 있는 것에 대해 얼마만큼 감사해야 할..

화학보호의의 선정, 사용 및 유지에 관한 기술지침(P-117-2012) [내부링크]

o 관련 규격 및 자료 - BS 7184, "Selection, use and maintenacce of chemical protective clothingGuidance", BSI, 2001 화학보호의의 선정, 사용 및 유지에 관한 기술지침(P-117-2012) 1. 목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의복의 재질 선정 5. 사용 및 교육·훈련 1. 목적 작업장에 유해 위험한 화학물질의 노출을 경감하기 위한 수단을 강구함에도 불구하고 이들 물질이 근로자의 인체에 접촉 또는 노출이 우려될 때 화학물질로부터 근로자의 인체를 보호하기 위하여 착용하는 화학보호의의 선정, 사용 및 유지보수에 관한 기술지침을 제정하는데 목적이 있다. 2. 적용범위 이 지침은 고체나 액체 또는 기체상태의 화학물질로부터 근로..

방폭지역구분도 계산 기준 및 적용 Code [내부링크]

방폭지역구분도 계산 기준 및 적용 Code 1. 적용 CODE 1-1. KS C IEC 60079-10-1:2015 (폭발분위기 - 제10-1부 : 장소구분- 폭발성가스 분위기) 1-2. KOSHA Code E-180-2020(가스폭발위험장소의 설정에 관한 기술지침) 1-3. KGS GC101 2018(가스시설의 폭발위험장소 종류 구분 및 범위 산정에 관한 기준) 1-4. NFPA 497(Recommended practice for the classification of flammable liquids, gases, or vapors and of hazardous locations in electrical installations at chemical process areas) 1-5. API 505(C..

공기를 이용한 가연성 물질의 안전 운송에 관한 기술지침(P-1-2012) [내부링크]

o 관련 규격 및 자료 - NFPA 650 「Pneumatic Conveying Systems for Handling Combustible Materials」 - KOSHA GUIDE (폭발억제장치의 설치에 관한 기술지침) o 관련 법규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32조 (폭발 또는 화재 등의 예방) 공기를 이용한 가연성 물질의 안전 운송에 관한 기술지침(P-1-2012) 1. 목 적 2. 적용범위 3. 정 의 4. 공기운송시스템 설치 단계별 고려사항 5. 차량용 운송설비 6. 교육훈련 및 정기검사 1. 목 적 이 지침은 공기를 이용한 가연성 물질을 운송할 때 관련 설비의 화재 및 폭발예방과 이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기술지침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2. 적용범위 이 지침은 공기를..

수소 취급설비의 안전에 관한 기술지침(P-173-2021) [내부링크]

o 관련 규격 및 자료 - ISO/TR 15916, “Basic considerations for the safety of hydrogen systems”, 2015 - KOSHA GUIDE P – 166, “가스누출감지경보기 설치 및 유지보수에 관한 기술지침” 수소 취급설비의 안전에 관한 기술지침(P-173-2021) 1. 목적 2. 적용범위 3. 정의 4. 수소 취급설비의 일반사항 5. 수소 특성 6. 가스 및 액화수소 사용에 대한 안전 고려사항 7. 위험의 완화와 제어 1. 목적 수소를 사용하는 설비의 기본적인 위험을 정의하고, 안전과 관련된 수소의 특성을 설명하고, 안전을 확보하는데 필요한 사항을 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2. 적용범위 이 지침은 가스와 액체 형태의 수소를 취급하는 설비의 안전을 위..

자동버너 제어설비의 안전에 관한 기술지침(P-171-2021) [내부링크]

o 관련 규격 및 자료 - KS B 8216 가스버너 및 가스연소기에 사용되는 자동버너 제어 시스템, 2019 - KOSHA GUIDE P-123-2012, “공업용 가열로의 안전에 관한 기술지침” 자동버너 제어설비의 안전에 관한 기술지침(P-171-2021) 1. 목적 2. 적용범위 3. 정의 4. 성능 요구사항 5. 내부 결함에 대한 보호 6. 표시, 설치 및 작동 설명서 1. 목적 가스버너 및 가스 연소기용으로 사용되는 자동버너 제어설비, 프로그램 장치 및 이와 연관되는 불꽃 감지 장치의 구조, 기능상의 요구 및 표시에 필요한 사항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2. 적용범위 이 지침은 팬 부착 또는 팬 미부착 가스버너 및 가스 연소기에 사용되는 자동버너 제어설비에 한하여 적용한다. 다만, Ther..

배관내 이송물질 표시에 관한 안전가이드(G-4-2011)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Scheme for the identificatiom of piping systems, ANSI, 1997 - KS A 0503 배관계의 식별 표시, 기술표준원 - 산업안전보건용어사전,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o 관련법규ㆍ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58조 (밸브 등의 개폐방향의 표시 등) 배관내 이송물질 표시에 관한 안전가이드(G-4-2011) 1. 목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이송물질의 표시 5. 이송물질의 표시 방법 6. 비정상적 혹은 극단 상황 시의 표시 1. 목적 이 지침은 배관장치를 통해 이송되는 위험물질의 표시에 대한 통일된 체계를 수립하므로써 장치를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산업재해를 예방하고 쾌적한 작업환경을 조성함을 ..

소규모 사업장의 화기작업 안전에 관한 기술지침(P-35-2012) [내부링크]

o 관련 규격 및 자료 - CSB Safety Bulletin (2009-01-SB), "Seven key lessons to prevent worker deaths during hot work in and around tanks", 2009 - INDG 314, "Hot work on small tanks and drums", 1999 - HSG 250, "Guidance on permit-to-work systems: A guide for the petroleum, chemical and allied industries", 2005 - KOSHA GUIDE, “안전작업허가지침” 소규모 사업장의 화기작업 안전에 관한 기술지침(P-35-2012) 1. 목 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화기작업..

유해인자의 유해성ㆍ위험성 분류기준 [내부링크]

유해인자의 유해성·위험성 분류기준 -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별표 18] 유해인자의 유해성·위험성 분류기준(제141조 관련) - 1. 화학물질의 분류기준 가. 물리적 위험성 분류기준 1) 폭발성 물질: 자체의 화학반응에 따라 주위환경에 손상을 줄 수 있는 정도의 온도ㆍ압력 및 속도를 가진 가스를 발생시키는 고체ㆍ액체 또는 혼합물 2) 인화성 가스: 20, 표준압력(101.3)에서 공기와 혼합하여 인화되는 범위에 있는 가스와 54 이하 공기 중에서 자연발화하는 가스를 말한다.(혼합물을 포함한다) 3) 인화성 액체: 표준압력(101.3)에서 인화점이 93 이하인 액체 4) 인화성 고체: 쉽게 연소되거나 마찰에 의하여 화재를 일으키거나 촉진할 수 있는 물질 5) 에어로졸: 재충전이 불가능한 금속ㆍ유..

"액화석유가스 사용시설"의 설치 및 사용 [내부링크]

액화석유가스 사용시설의 설치 액화석유가스를 사용하려는 자는 산업통상자원부령으로 정하는 시설기준과 기술기준(「액화석유가스의 안전관리 및 사업법 시행규칙」 별표 20에 따른 시설기준과 기술기준)에 맞도록 액화석유가스의 사용시설과 가스용품을 갖추어야 한다 (「액화석유가스의 안전관리 및 사업법」 제44조제1항 및「액화석유가스의 안전관리 및 사업법 시행규칙」 제69조). 액화석유가스 사용시설에 대한 완성검사 가스시설시공업자는 액화석유가스를 사용하려는 자로서 산업통상자원부령으로 정하는 자(이하 “액화석유가스 특정사용자”라 한다)의 액화석유가스 사용시설의 설치공사나 산업통상자원부령으로 정하는 변경공사를 완공하면 액화석유가스 특정사용자가 그 시설을 사용하기 전에 시장ㆍ군수ㆍ구청장의 완성검사를 받아야 한다. (「..

어머니의 편지 [내부링크]

어머니의 편지 아들아, 보아라. 나는 원체 배우지 못했다. 호미 잡는 것보다 글 쓰는 것이 천만 배 고되다. 그리 알고, 서툴게 썼더라도 너는 새겨서 읽으면 된다. 내 유품을 뒤적여 네가 이 편지를 수습할 때면 나는 이미 다른 세상에 가 있을 것이다. 서러워할 일도 가슴 칠 일도 아니다. 가을이 지나고 겨울이 왔을 뿐이다. 살아도 산 것이 아니고, 죽어도 죽은 것이 아닌 것도 있다. 살려서 간직하는 건 산 사람의 몫이다. 그러니 무엇을 슬퍼한단 말이냐. 나는 옛날 사람이라서 주어진 대로 살았다. 마음대로라는 게 애당초 없는 줄 알고 살았다. 너희를 낳을 때는 힘들었지만, 낳고 보니 정답고 의지가 돼서 좋았고, 들에 나가 돌밭을 고를 때는 고단했지만, 밭이랑에서 당근이며 무며 감자알이 통통하게 몰려..

액화석유가스의 시설별 대상, 기술 ·검사기준 및 적용 KGS CODE [내부링크]

A. 「액법」에서는 가스용품 제조와 관련된 규제, 액화석유가스의 유통과 관련된 규제를 정하고 있습니다. B. 액화석유가스 시설 분야별 KGS CODE 안내 액화석유가스 시설별 대상, 기술 ·검사기준 및 적용 KGS CODE는 아래와 같습니다. 구 분 대 상 시설·기술· 검사 기준 KGS Code (상세기준) 충전허가 「액법」 제5조제1항 「액법 시행령」 제3조제1항제1호 허가관청 : 시장·군수 또는 구청장 o 용기 충전 액화석유가스를 용기에 충전 하여 공급하는 사업(자동차에 고정된 탱크를 이용하여 저장탱크, 마운드형 저장탱크 및 소형 저장탱크 에 공급하는 것 포함) ㅇ (제외) 자동차에 고정된 용기, 내용적(內容積) 1리터 미만의 용기 및 용기내장형 가스난방기용 용기는 제외 「액법 시행규칙」 [별표4] ..

고압가스의 시설별 대상, 기술 ·검사기준 및 적용 KGS CODE [내부링크]

고압가스의 시설별 대상, 기술 ·검사기준 및 적용 KGS CODE A. 고압가스란 「고법 시행령」 제2조 【고압가스의 종류 및 범위】 법의 적용을 받는 고압가스의 종류 및 범위는 아래와 갑습니다. 1. 상용의 온도에서 압력(게이지압력을 말한다. 이하 같다)이 1 이상이 되는 압축가스로서 실제로 그 압력이 1 이상이 되는 것 또는 35 C의 온도에서 압력이 1 이상이 되는 압축가스(아세틸렌가스는 제외한다) 2. 15 C의 온도에서 압력이 0 을 초과하는 아세틸렌가스 3. 상용의 온도에서 압력이 0.2 이상이 되는 액화가스로서 실제로 그 압력이 0.2 이상이 되는 것 또는 압력이 0.2 이 되는 경우의 온도가 35 C 이하인 액화가스 4. 35 C의 온도에서 압력이 0 을 초과하..

누전차단기의 일반관리에 관한 기술지침(E-54-2012)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KS C 4621 산업용 누전차단기 - KS C IEC 61009-1 주택용 및 이와 유사한 용도의 과전류 보호장치를 가진 누전차단기(RCBO) 제1부: 일반 요구사항 - 전기설비기술기준 및 판단기준 - NFPA 70B Recommended practice for electrical equipment maintenance, CH14(Ground-Fault protection) o 관련법규․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편 제3장(전기로 인한 위험방지) 누전차단기의 일반관리에 관한 기술지침(E-54-2012) 1. 목 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일반 사항 5. 누전차단기의 점검 1. 목 적 이 지침은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이하 “안전보건..

산업용기계설비의 비상정지장치 설계에 관한 기술지침(E-96-2011) [내부링크]

o 관련규격 - EN 418(1992) - Safety of machinery - Emergency stop equipment, functional aspects - Principles for design - EN 292-1(1991) - Safety of machinery - Basic concepts, general principles for design -part 1 : Basic terminology, methodology - EN 292-2(1991) - Safety of machinery - Basic concepts, general principles for design -part 2 : Technical principles and specifications - KOSHA GUIDE E-94..

지중 배전케이블 시공 등에 관한 기술지침(E-81-2011)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KS C IEC 60364-1 건축전기설비 제1부(일반원칙) - KS C IEC 60364-1 건축전기설비 제2부(용어정의) - KS C IEC 60364-1 건축전기설비 제5부(전기설비의 선정 및 시공) - 한국전력공사 설계기준 o 관련법규, 규칙,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3장(전기로 인한 위험방지) - 전기설비기술기준 및 판단기준 제5절(지중선로) 지중 배전케이블 시공 등에 관한 기술지침(E-81-2011) 1. 목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지중 배전케이블의 일반사항 5. 지중관로의 시공기준 6. 지중케이블의 접지기준 7. 내화기준 적용 1. 목적 이 지침은 전력용 지중 배전케이블의 시공에 관한 사항에 대하여 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2. 적용범..

지중관로 시설의 설치 등에 관한 기술지침(E-82-2011) [내부링크]

o 관련규격 - KS C IEC 60364-1 건축전기설비 제1부(일반원칙) - KS C IEC 60364-1 건축전기설비 제2부(용어정의) - KS C IEC 60364-1 건축전기설비 제5부(전기설비의 선정 및 시공) - 한국전력공사 설계기준 맨홀(핸드홀) - 대한전기협회 내선규정 제2150절(지중전선로) o 관련법령,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4장 제2절(굴착작업 등의 위험 방지) - 전기설비기술기준 및 판단기준 제5절(지중선로) - 공항 지하관로시설의 관리 및 운영에 관한 지침 지중관로 시설의 설치 등에 관한 기술지침(E-82-2011) 1. 목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지중관로의 일반사항 5. 지중관로의 매설기준 6. 지중관로 시설과 다른 지하 구조물간의 이격거리..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 제3장 통로 - [내부링크]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약칭: 안전보건규칙 ) [시행 2020. 4. 20] [고용노동부령 제251호, 2019. 4. 19, 일부개정] 제3장 통로 제21조(통로의 조명) 사업주는 근로자가 안전하게 통행할 수 있도록 통로에 75럭스 이상의 채광 또는 조명시설을 하여야 한다. 다만, 갱도 또는 상시 통행을 하지 아니하는 지하실 등을 통행하는 근로자에게 휴대용 조명기구를 사용하도록 한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제22조(통로의 설치) ① 사업주는 작업장으로 통하는 장소 또는 작업장 내에 근로자가 사용할 안전한 통로를 설치하고 항상 사용할 수 있는 상태로 유지하여야 한다. ② 사업주는 통로의 주요 부분에 통로표시를 하고, 근로자가 안전하게 통행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③ 사업주는 통로면으로부터 ..

[공지]PSM 보고서 작성 대행 및 컨설팅 기관 현황 [내부링크]

[ 한국산업안전공단 컨설팅기관 안내 제도 ] 산업안전보건법에서 정하는 유해·위험물질을 제조·취급·저장하는 설비를 보유한 사업장은 그 설비로부터의 위험물질 누출 및 화재·폭발 등으로 인한 ‘중대산업사고’를 예방하기 위하여 공정안전보고서를 작성·제출하여 심사·확인을 받아야 합니다. 사업장 내에 고용노동부 고시 제2020-55호(공정안전보고서의 제출·심사·확인 및 이행상태평가 등에 관한 규정)에 근거한 작성 자격을 갖춘 자가 없을 경우 계획서 작성에 필요한 자문을 받아 작성할 수 있는데 사업주가 전국적으로 소재한 안전보건컨설팅기관 및 컨설턴트 중에서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도록 컨설팅기관 안내제도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전문기술사업 컨설팅기관 안내제도 개요 - 공정안전보고서 및 제조업 등 유해·위..

공정안전관리(PSM) 제도 안내 [내부링크]

“주요구조부분 변경 시”란 ① 반응기를 교체 또는 추가로 설치하는 경우, ② 변경된 생산설비 및 부대설비의 해당 전기정격용량이 300킬로와트 이상 증가한 경우 및 ③ 플레어스택을 설치 또는 변경하는 경우 [관련 법규(고시)] 공정안전보고서의 제출·심사·확인 및 이행상태평가 등에 관한 규정 [시행 2020. 1. 16.] [고용노동부고시 제2020-55호, 2020. 1. 15., 일부개정] [안전안전보건공단 지침 등) 공정안전보고서 심사·확인업무 처리에 관한 규칙 [개정 2021.08.24. 규칙 제971호] 공정안전보고서 확인지침 [일부개정 2020.06.26. 지침 제260호] 공정안전보고서 제출 유해·위험물질 규정량 조정 안내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장 작업장" [내부링크]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약칭: 안전보건규칙 ) [시행 2020. 4. 20] [고용노동부령 제251호, 2019. 4. 19, 일부개정] 제 2 장 작 업 장 제3조(전도의 방지) ① 사업주는 근로자가 작업장에서 넘어지거나 미끄러지는 등의 위험이 없도록 작업장 바닥 등을 안전하고 청결한 상태로 유지하여야 한다. ② 사업주는 제품, 자재, 부재(部材) 등이 넘어지지 않도록 붙들어 지탱하게 하는 등 안전 조치를 하여야 한다. 다만, 근로자가 접근하지 못하도록 조치한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제4조(작업장의 청결) 사업주는 근로자가 작업하는 장소를 항상 청결하게 유지ㆍ관리하여야 하며, 폐기물은 정해진 장소에만 버려야 한다. 제4조의2(분진의 흩날림 방지) 사업주는 분진이 심하게 흩날리는 작업장에 대..

최악 및 대안의 사고 시나리오 선정에 관한 기술지침(P-107-2020) [내부링크]

o 관련 규격 및 자료 - 미국 환경보호청(EPA), "Risk Management Programs(RMP)" - 미국 환경보호청(EPA), “Acute Exposure Guideline Level(AEGL)" - 미국 에너지부(DOE), "Temporary Emergency Exposure Limit(TEEL)" - KOSHA GUIDE P-92-2012, "누출원 모델링에 관한 기술지침" - KOSHA GUIDE P-110-2012, "화학공장의 피해최소화 대책수립에 관한 기술지침" - API RP 581, "Risk-Based Inspection Technology)", 2008 최악 및 대안의 사고 시나리오 선정에 관한 기술지침(P-107-2020) 1. 목 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화학물질의 취급 및 시료채취 등에 관한 기술지침(P-167-2020) [내부링크]

o 관련 규격 및 자료 - KS M ISO 3165, "화학제품(산업용)의 시료 채취 - 시료 채취의 안전성", 2011 - KS M ISO 4257, "액화 석유 가스- 시료 채취방법", 2011 - KS M 2199, "방향족제품 및 타르제품의 시료 채취방법", 2007 화학물질의 취급 및 시료채취 등에 관한 기술지침(P-167-2020) 1. 목 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일반사항 5. 화학물질 취급 및 시료채취 작업 6. 위험물질별 취급 필수 요구사항 1. 목 적 산업용 화학물질의 취급 및 시료채취 등에 따른 안전을 확보하는데 필요한 사항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2. 적용범위 이 지침은 화학물질의 취급 및 시료채취 등을 할 때 안전작업에 적용한다. 다만, 일부 보건분야는 관련..

사업장의 일반안전규칙(General Safety Rules)에 관한 지침(G-62-2011)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Dupont의 General Safety Rules - Dow Chemical의 Safety Rules - Total의 Golden Rules for Safety at Work - BP Refinery General Safety Booklet - ABB General Safety Rules Handbook 사업장의 일반안전규칙(General Safety Rules)에 관한 지침(G-62-2011) 1.목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책임과 권한 5. 사내 출입 안전규칙 6. 사업장 일반안전규칙 7. 작업지역 일반안전규칙 8. 사무실 일반안전규칙 1. 목적 이 지침은 사업장에 출입하는 모든 사람의 안전보건과 사업장의 재산을 보호하기 위해 사업장 내(이하 “사내”라 한다)..

시스템 동바리 안전작업 지침(C-42-2020) [내부링크]

o 관련법규․ 규칙․ 고시 등 - 건설기술 진흥법 제62조 11항, 같은법 시행령 101조의2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편 제4장 거푸집동바리 및 거푸집 - 노동부 고시 제2020-3호(가설공사 표준안전작업 지침) - 고용노동부 고시 제2020-33호(방호장치 안전인증 고시) - 고용노동부 고시 제2020-53호(사업장 위험성평가에 관한 지침) 시스템 동바리 안전작업 지침(C-42-2020) 1. 목 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시스템 동바리 설치․ 해체 안전작업 절차 5. 조립계획 6. 조립 작업 7. 해체작업 1. 목 적 이 지침은「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이하 “안전보건규칙”이라 한다) 제2편 제4장 거푸집 동바리 및 거푸집 및 고용노동부고시 제2020-33호(방호장치..

작업장내 기계 소음평가에 관한 기술지침(M-37-2012)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EIS-26 : Noise in engineering o 관련 법규․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3편 제4장 (소음 및 진동에 의한 건강장해의 예방) 작업장내 기계 소음평가에 관한 기술지침(M-37-2012) 1. 목 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일반사항 5. 소음문제 6. 소음평가 1. 목 적 이 지침은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이하 “안전보건규칙”이라 한다) 제3편 제4장 (소음 및 진동에 의한 건강장해의 예방) 에 의거 작업장내 기계 소음문제 및 평가에 관한 기술적 사항을 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2. 적용범위 이 지침은 작업장내 기계 소음평가시에 적용한다. 3. 용어의 정의 (1) 이 지침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가..

수직형 추락방망 설치 기술지침(C-110-2018)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KOSHA GUIDE C-26-2017, 낙하물 방지망 설치 지침 - KOSHA GUIDE C-31-2017, 추락방호망 설치 지침 o 관련 법규․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43조(개구부 등의 방호 조치) - 고용노동부 고시 제2016-54호(방호장치 안전인증 고시) - 국토교통부 고시 제2016-309호(가설공사표준시방서) 수직형 추락방망 설치 기술지침(C-110-2018) 1. 목 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구조 및 재료 5. 성능 6. 설치 방법 7. 수직형 추락방망의 관리기준 1. 목 적 이 지침은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이하 “안전보건규칙”이라 한다) 제43조(개구부 등의 방호조치)의 규정에 따라 근로자가 추락할 위험..

지금 말하라 [내부링크]

지금 말하라 한 노신사가 이따금 뉴햄프셔의 어느 골동품 가게에 들러 고가구를 팔곤 했다. 하루는 그가 왔다 간 뒤 골동품 상인의 아내가 말했다. "저 분이 왔다 가면 참 기분이 좋아요. 이 얘기를 저분께 꼭 해 드리고 싶어요." 남편이 말했다. "다음 번에 그 사람이 들르면 직접 그렇게 말해 줍시다." 여름이 되자, 한 젊은 여성이 골동품 가게에 찾아와 그 노인의 딸이라고 말했다. 얼마 전에 자기의 아버지가 세상을 떠났다는 것이었다. 골동품 상인의 아내는 그 노신사가 지난 번 마지막으로 가게에 왔다 갔을 때 남편과 자기가 나눈 얘기를 딸에게 들려 주었다. 젊은 여성은 두 눈에 눈물을 글썽거렸다. 그녀는 울먹이며 말했다. "아버지가 그 말을 직접 들었더라면 얼마나 기뻐하셨을까요. 누군가 자기를 ..

압축가스 실린더의 압력방출장치에 관한 기술지침(P-48-2012) [내부링크]

o 관련 규격 및 자료 - 미국 CGA S-1.1 “Pressure Device Standards Part 1 - Cylinders for Compressed Gases” 13th ed., 2007 - 미국 49 CFR 178 “Specifications for Packings” - 카나다 “Transportation for Dangerous Goods Regulations”, 2008 - 카나다 표준규격 CSA B 339-08 “Cylinders, Spheres, and Tubes for the Transportation of Dangerous Goods”, 5th ed., 2008 압축가스 실린더의 압력방출장치에 관한 기술지침(P-48-2012) 1. 목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압력방..

작업의자형 달비계 안전작업 지침(C-33-2022)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KCS 21 60 10 :2020) 비계 ․[자재] 2.5 기타비계-달비계 ․[시공] 3.6 기타비계-달비계 o 관련 법규․규칙․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7장 제4절(달비계, 달대비계 및 걸침비계) - 고용노동부고시 제2020-3호 가설공사 표준안전작업지침 작업의자형 달비계 안전작업 지침(C-33-2022) 1. 목 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작업의자형 달비계 작업순서 및 구성요소에 대한 안전조치 사항 5. 작업의자형 달비계 작업 시 안전준수사항 1. 목 적 이 지침은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이하 “안전보건규칙”이라 한다) 제7장 제4절(달비계, 달대비계 및 걸침비계), 고용노동부 고시 제2012-92호 가설공사 표준안전작업지침 및 가설..

근로자 휴게시설 설치에 관한 기술지침(H-178-2015)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HSE. Workplace (health, safety and welfare) Regulation, 2013 - 안전보건공단. 2012-직업건강-345 근로자 건강 보호를 위한 휴게·세면·목욕시설 등 위생시설 설치에 관한 리플렛, 2012 - International Standard, ISO 8995: 2002(E)/CIE S 008/E-2001, Lighting of indoor work places -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 조도 기준, KS A 3011: 1998 (2013 확인), 1998 - 서울시. ‘청소근로자 근로환경 개선을 위한’ 청소근로환경시설 가이드라인, 2014 o 관련법규·규칙·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법 제5조(사업주 등의 의무)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기계류의 위험성평가 지침(M-123-2012)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ISO 14121 : Safety of machinery - Principles of risk assessment o 관련 법규․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 기준에 관한 규칙 제2편 제1장 제7절 제116조(압력방출장치) 기계류의 위험성평가 지침(M-123-2012) 1. 목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일반사항 5. 기계의 위험성평가 범위 결정 요소 6. 위험확인 7. 위험도 산정 8. 위험성 판단 9. 기록 유지 1. 목적 이 지침은 산업안전보건기준에관한 규칙(이하 “안전보건규칙”이라 한다) 제2편 제1장 제7절 제116조(압력방출장치)의 규정에 따라 기계류에 대한 위험성평가를 실시하여 기계의 안전성을 결정하기 위하여 필요한 지침을 정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발열반응 공정의 사고 예방 및 방호에 관한 기술지침(P-53-2012) [내부링크]

o 관련 규격 및 자료 - INDG-254, “Chemical reaction hazards and the risk of thermal runaway”, 1997 - HSG-143, “Designing and operating safe chemical reaction process”, 2000 발열반응 공정의 사고 예방 및 방호에 관한 기술지침(P-53-2012) 1. 목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발열반응 공정의 설계 시 고려사항 5. 예방대책 6. 방호대책 1. 목적 이 지침은 발열반응 공정을 설계하고자 할 때 공정의 위험성을 파악한 후 이를 제거하거나 경감시키기 위한 예방 및 방호 대책에 필요한 사항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2. 적용범위 이 지침은 발열반응 공정을 설계하는 단계에..

건조염소 배관시스템에 관한 기술지침(P-33-2012) [내부링크]

o 관련 규격 및 자료 - Pamphlet 6, "Piping Systems for Dry Chlorine", 미국 염소협회, 15ed, 2005 - Pamphlet 95, "Gaskets for Chlorine Service", 미국 염소협회, 4ed, 2008 - ILO 중대산업사고 매뉴얼 - Report No 2002-04-1-MO, "Investigation Report - Chlorine Release", CSB, 2002 건조염소 배관시스템에 관한 기술지침(P-33-2012) 1. 목 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일반사항 5. 배관설계 6. 관 및 관 부속품 7. 밸브 8. 기타 부속품 9. 계장 설비 10. 비철금속 튜빙 시스템 11. 이송용 콘테이너 연결장치 12. 프라스틱 재..

경보시스템의 효율적인 관리에 관한 기술지침(P-116-2012) [내부링크]

o 관련 규격 및 자료 - Chemical Information Sheet 6, "Better alarm handling", HSE, 2000 - HSG 48, "Reducing error and influencing behavior", 1999 - M L Bransby & J Jenkinson, "The management of alarm systems, CRR 166", HSE, 1998 - IEC 61511 Functional Safety – Safety Instrumented Systems for the process industry sector, First Edition, 2003 - IEC 61508 Functional Safety of electrical/electric/programmabl..

위험물질 저장,취급 화학설비의 고무라이닝에 관한 기술지침(D-20-2017) [내부링크]

o 관련 규격 및 자료 - 미국 ASTM - 영국 BS 6374 PT5 - KS M 6691 위험물질 저장,취급 화학설비의 고무라이닝에 관한 기술지침(D-20-2017) 1. 목적 2. 적용범위 3. 정의 4. 화학설비의 구조 5. 화학설비의 시험 6. 화학설비의 라이닝 7. 화학설비의 용접 8. 라이닝 재료 9. 화학설비의 재질에 따른 주의사항 10. 라이닝 시공 11. 표면처리 12. 라이닝 작업 1. 목적 이 지침은 부식에 의해 위험물질의 누출 방지를 위한 위험물질 저장․ 취급 화학설비의 고무라이닝 작업에 필요한 사항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2. 적용범위 이 지침은 화학설비 및 그 부속설비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내부에 고무라이닝을 하는 경우에 한하여 적용한다. 3. 정의 (1) 이 지침에..

인화성 잔류물이 있는 탱크의 청소 및 가스제거에 관한 기술지침(P-37-2012) [내부링크]

o 관련 규격 및 자료 - CS 15, "The Cleaning and Gas freeing of tanks containing flammable residues", 1985 인화성 잔류물이 있는 탱크의 청소 및 가스 제거에 관한 기술지침(P-37-2012) 1. 목 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잠재 위험요인(Hazard) 5. 탱크 청소 및 가스제거 절차 6. 가스제거 및 세척작업을 위한 사전 준비 7. 가스 제거방법 8. 세척 방법 9. 불활성화 1. 목 적 이 지침은 인화성 잔류물이 있는 탱크의 청소와 가스 제거 시 잠재된 화재 및 폭발의 위험을 설명하고 이를 예방하기 위해 고려하거나 실행하여야 할 조치 등에 관한 사항을 제시함으로서 작업 시 발생 가능한 화재나 폭발의 위험을 예방하는데..

열매유 보일러에 관한 기술지침(D-40-2013) [내부링크]

o 관련규격 - 미국 CCPS : Guidelines for engineering design for process safety - 미국 FM : LPDS 7-99 heat transfer by organic and synthetic fluids o 관련법령․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25조(위험물질 등의 제조 등 작업시의 조치) 등 열매유 보일러에 관한 기술지침(D-40-2013) 1. 목적 2. 적용범위 3. 정의 4. 열매유의 종류 및 특성 5. 열매유의 선정 및 취급 6. 열매유 보일러의 설계 및 설치 7. 열매유 보일러의 배치 및 건축물 8. 열매유 보일러 방호조치 9. 운전 및 유지관리 1. 목적 이 지침은 열매유 보일러의 설계․ 설치․ 운전․ 보수 및 점검에 관한 지침을 ..

서로 소중히 하며 사는 세상 [내부링크]

서로 소중히 하며 사는 세상 지금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세상 서로가 서로에게 얼마나 소중한 존재로 살아가고 있는지요. 운명이라는 것은 그림자와 같아서 언제 우리들 삶에 끼어 들어 서로를 갈라 놓을지 모르기에 서로 함께 있을 때 그 소중함을 깨달을 수 있어야 합니다. 화는 언제나 거칠은 입에서 나와 마음을 병들게 하여 악업의 원인이 되기에 항상 입을 조심하여 겸손해야 하며 작은말 한 마디 라도 타인에게 상처를 주지 않았는지 항상 자신을 돌아보아야 합니다. 타인에게 있어 소중한 사람이 되려면 먼저 타인을 소중히 해야 합니다. 고뇌를 많이 느끼게 하는 세상입니다. 참고 인내하지 않으면 서로 이별이 많을 수 밖에 없는 세상인 듯합니다. 우리가 살아가는 이 한세상 생각하면 한숨만 절로 나오는 세상 하지만 ..

가스상 급성 독성물질의 하역 및출하 시 안전기준에 관한 기술지침(D-57-2016)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CEFIC, ECTA & FECC, Best Practice Guidelines for Safe(Un)Loading of Road Freight Vehicles, 213 - KOSHA GUIDE P-136, 독성가스 검지 및 경보장치 등의 설치 및 보수에 관한 기술지침 - KOSHA GUIDE G-78, 유해·위험물 탱크로리의 검사 및 입·출하 등에 관한 기술지침 - KOSHA GUIDE K-1, 유해화학물질 저장 운반 및 취급에 관한 기술지침 - KOSHA GUIDE P-31, 인화성 액체 이송용 탱크차량의 안전에 관한 기술지침 - KOSHA GUIDE P-21, 불산 취급공정의 안전에 관한 기술지침 - 환경부고시 제2014-259호, 유해화학물질 취급자의 개인보호장구 착용에 ..

화학설비 배관 등의 비파괴검사 및 열처리에 관한 기술지침(D-10-2012)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KS B 0888 : 배관 용접부의 비파괴검사 방법 - ASME B 31.3 : Process piping o 관련법령․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56조 및 제277조의 규정에 의거 작성됨. 화학설비 배관 등의 비파괴검사 및 열처리에 관한 기술지침(D-10-2012) 1. 목 적 2. 적용범위 3. 정의 4. 비파괴검사 적용대상 5. 비파괴검사 6. 열처리 1. 목 적 이 지침은 산업안전보건법(이하 “법”이라 한다)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이하 “안전보건규칙”이라 한다) 제256조(부식방지) 및 제277조(사용 전의 점검 등)의 규정에 의한 화학설비 배관의 내면 및 외면의 손상, 변형, 부식 등으로 인한 재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배관 등의 비파괴검사 및 후..

화학공정의 시스템 디자인 크라이테리어(System design criteria)에 관한기술지침(D-5-2012) [내부링크]

o 관련 규격 및 자료 - KOSHA GUIDE 공정배관계장도 작성지침 - KOSHA GUIDE 상압저장탱크 공정설계 기술지침 - KOSHA GUIDE 화학설비 등의 공정설계지침 - 국․ 내외 엔지니어링 설계 매뉴얼 관련법규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장 4절(화학설비 압력용기 등) 화학공정의 시스템 디자인 크라이테리어(System design criteria)에 관한기술지침(D-5-2012) 1. 목적 2. 적용범위 3. 정 의 4. 시스템 엔지니어링 5. 공정장치 설계 기준 6. 배관 설계 7. 공정배관계장도(P&ID) 설계 8. 유틸리티 1. 목적 본 지침은 화학설비에 대한 공정 설계 및 그 부속설비에 대한 설계 기준을 제공하여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인 화학공장의 상세 설계를 위한 기술지..

비상설비 구동용 엔진의 보수유지에 관한 기술지침(M-145-2012)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IRI : Emergency engine maintenance - NFPA110 : Standard for emergency and standard power systems o 관련 법규․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 기준에 관한 규칙 제2편 제1장 제1절 제91조(고장난 기계의 정비 등) 비상설비 구동용 엔진의 보수유지에 관한 기술지침(M-145-2012) 1. 목 적 2. 적용범위 3. 비상설비의 보수유지에 유의할 사항 4. 비상설비의 일반관리사항 5. 비상설비 구동용 엔진의 유지관리 1. 목 적 이 지침은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이하 “안전보건규칙”이라 한다) 제2편 제1장 제1절 제91조(고장난 기계의 정비 등)의 규정에 따라 공장에서 오랜 기간 사용되고 있는 설..

회전기계 예비품관리에 관한 기술지침(M-144-2012)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IRI (Industrial Risk Insurers)Spare Rotating Elements o 관련 법규․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 기준에 관한 규칙 제2편 제2장 제7절 제300조(기밀시험시의 위험방지) 회전기계 예비품관리에 관한 기술지침(M-144-2012) 1. 목 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회전부 예비부품 5. 설치예비기기 6. 회전부 예비부품의 저장 1. 목 적 이 지침은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이하 “안전보건규칙”이라 한다) 제2편 제2장 제7절 제300조(기밀시험시의 위험방지)의 규정에 따라 불활성기체 등을 이용한 기밀시험방법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2. 적용범위 이 기술기준은 터빈, 펌프, 팬, 공기압축기, 전동기 등 대형 회..

유해․ 위험물 취급용 플렉시블 호스의 사용안전에 관한 기술지침(M-119-2012)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CCPS : Guidelines For Process Safety Fundamentals In General Plant Operations - Dow : Corporal Loss Prevention - NFPA30 : Flammable And Combustible Liquids Code - NFOA407 : Standard For Aircraft Fuel Servicing o 관련 법규․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 기준에 관한 규칙 제2편 제2장 제1절 제227조(호스 등을 사용한 인화성 액체 등의 주입) 유해․ 위험물 취급용 플렉시블 호스의 사용안전에 관한 기술지침(M-119-2012) 1. 목적 2. 적용범위 3. 정의 4. 호스의 구성 및 사양 5. 호스의 선택 및 설..

압력용기 보수에 관한 기술지침(M-113-2012)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KS B6733(압력용기 기반규격) - API 510(Pressure vessel inspection code) - ASME SEC. Ⅷ DIV.1(Pressure vessels) - NBIC(National board inspection code, march 31, 1998 o 관련 법규․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 기준에 관한 규칙 제2편 제2장 제4절 제256조(부식방지) 압력용기 보수에 관한 기술지침(M-113-2012) 1. 목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일반사항 5. 용접절차서 작성 6. 예열처리 및 후열처리 7. 용접부위의 결함 수정절차 8. 클래딩 부위의 결함 수정절차 9. 수정용접의 기록 10. 최고허용압력의 재평가 1. 목적 이 지침은 산업안전..

배관지지물 설치 및 유지에 관한 기술지침(M-112-2012)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ANSI B 31.3(Process piping for chemical plants) o 관련 법규․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 기준에 관한 규칙 별표 7(화학설비 및 그 부속 설비의 종류 : 제227조부터 제229조까지, 제243조 및 제2편제2장제4절 관련) 배관지지물 설치 및 유지에 관한 기술지침(M-112-2012) 1. 목 적 2. 적용범위 4. 배관 지지물의 종류 5. 배관지지물 설계 및 선정시 필요한 자료 6. 배관 지지물 설계 및 선정 7. 배관 지지점 선정 방법 8. 배관 지지물 설치 시 유의사항 9. 배관 지지물 검사 1. 목 적 이 지침은 산업안전보건기준에관한규칙(이하 “안전보건규칙”이라 한다) 별표 7의 “화학설비 및 그 부속설비의 종류” 중에 화학설비..

압력용기의 용접설계에 관한 기술지침(M-111-2015)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ASME SEC. Ⅸ : Welding and brazing qualification (2013) - ASME SEC. Ⅷ : Rules for Construction of Pressure vessels (2013) - KS B 6750 압력용기설계 및 제조일반 (2012) - KS B 6751 압력용기 용접일반 (2012) o 관련법규․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편 제2장 제4절(화학설비·압력용기 등) 압력용기의 용접설계에 관한 기술지침(M-111-2015) 1. 목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용접이음 설계 시 고려사항 5. 용접설계 및 제작 6. 시험 및 검사 1. 목적 이 지침은 산업안전보건기준에관한 규칙(이하 “안전보건규칙”이라 한다..

회전기계의 진동감시 기술기준(M-110-2012)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IRI (INDUSTRIAL RISK INSURERS) 기준 - KS B 0142 (ISO 2372) o 관련 법규․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 기준에 관한 규칙 제2편 제1장 제1절 제88조(기계의 동력차단장치) 회전기계의 진동감시 기술기준(M-110-2012) 1. 목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진동감시 주기 및 방법 5. 진동 제한치 설정 예시 6. 진동감시 절차 1. 목적 이 지침은 산업안전보건기준에관한 규칙(이하 “안전보건규칙”이라 한다) 제2편 제1장 제1절 제88조(기계의 동력차단장치) 의 규정에 따라 회전기계에서의 산업재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예방정비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게하는 진동감시에 관한 기술기준을 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2. 적용범위 이 기준은..

압력용기의 두께감소에 따른 위험성평가에 관한 기술지침(M-109-2012)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API 510 (Pressure vessel inspection code) - ASME code section Ⅷ Div.1 (Pressure vessels) - 압력용기 제작기준․ 안전기준 및 검사기준(노동부 고시 제2001-59호) - NATIONAL BOARD INSPECTION code o 관련 법규․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 기준에 관한 규칙 제1편 제5장 제35조(관리감독자의 유해·위험방지업무 등) 압력용기의 두께감소에 따른 위험성평가에 관한 기술지침(M-109-2012) 1. 목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최고허용압력의 결정 5. 부식율의 결정 6. 자율적 검사주기의 결정 7. 부식 및 최소두께의 평가 8. 두께 감소에 따른 위험성 평가 1. 목적..

배관응력 해석에 관한 기술지침(M-105-2012)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ASME/ANSI B31.3 : 석유화학공장 배관설계 지침 o 관련 법규․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 기준에 관한 규칙 제2편 제2장 제4절 제256조(부식방지) 및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별표 7 배관응력 해석에 관한 기술지침(M-105-2012) 1. 목 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배관 응력해석의 주목적 5. 배관응력 해석시 고려되어야 할 하중 6. 배관 응력 해석시 필요한 자료 7. 배관응력 해석 절차 8. 배관응력 평가기준 9. 배관응력 해석의 평가 10. 열응력 해석의 필요성에 대한 판단기준 1. 목 적 이 지침은 산업안전보건기준에관한 규칙(이하 “안전보건규칙”이라 한다) 별표 7의 규정에 의한 화학설비 배관에 있어서 배관계의 내압, 열응력, 자..

예비위험분석에 관한 지침(X-8-2012) [내부링크]

관련규격 및 자료 - H. R. Greenberg and J. J. Cramer (eds.), Risk Assessment and Risk Management for the Chemical Process Industry, ISBN 0-442-23438-4, Van Nostrand Reinhold, New York, 1991 - CCPS, Guideline for Chemical Process Quantitative Risk Analysis, AIChE, New York, 1999 - CCPS, Guideline for Hazard Evaluation procedures, AIChE, New York, 1989 예비위험분석에 관한 지침(X-8-2012) 1. 목 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설비보수용 용접재료 선정에 관한 기술지침(O-1-2011) [내부링크]

관련규격 및 자료 - KS D 7004: 2008 연강용 피복 아크 용접봉 - KS D 7006: 2008 고장력강용 피복아크 용접봉 - KS D 7022: 2007 몰리브덴강 및 크롬몰리브덴강 연강용 피복아크 용접봉 - KS D 7023: 2007 저온용강용 피복아크 용접봉 - KS D 7101: 2007 내후성강용 피복아크 용접봉 - ASME Section Ⅱ Part C Specifications for welding rods, electrodes, and filler metals 관련 법규․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관한규칙 제278조(개조․ 수리 등) 설비보수용 용접재료 선정에 관한 기술지침(O-1-2011) 1. 목 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피복아크 용접봉의 ..

고압가스 수입업․운반차량 기술검토 및 수입신고 등 [내부링크]

2100-1 고압가스관련 검사업무 처리지침(통합) 2002. 1. 10 통합 2004. 12. 30 개정 2004. 12. 30 개정 2005. 12. 2 개정 2005. 12. 27 개정 2007. 2. 16 개정 2007. 8. 27 개정 2007. 12. 개정 2008. 12. 31 개정 2009. 3. 11 개정 2010. 5. 4 개정 2010. 12. 23 개정 2011. 6. 23 개정 2013. 1. 7 개정 2014. 12. 18 개정 2015. 6. 12 개정 2015. 12. 28 개정 2017. 1. 4 개정 2017. 4. 4 개정 2018. 8. 31 개정 2019. 9. 9 개정 2019. 12. 20 개정 2020. 04. 20 개정 2020. 12. 15 개정 목 차 제 1..

건설공사 안전관리계획서 제출대상 및 제출주체, 제출시기 등 [내부링크]

건설공사 안전관리계획서 제출대상 및 제출주체, 제출시기 등 안전관리계획서란? 목적 착공 전에 건설사업자 등이 시공과정의 위험요소를 발굴하고, 건설현장에 적합한 안전관리계획을 수립·유도함으로써 건설공사 중의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함. 관련근거 수립 근거 : 『건설기술 진흥법』 제62조 ※ 제62조(건설공사의 안전관리) ① 건설사업자와 주택건설등록업자는 안전점검 및 안전관리조직 등 건설공사의 안전관리계획(이하 "안전관리계획"이라 한다)을 수립하고, 착공 전에 이를 발주자에게 제출하여 승인을 받아야 한다. 이 경우 발주청이 아닌 발주자는 미리 안전관리계획의 사본을 인ㆍ허가기관의 장에게 제출하여 승인을 받아야 한다. ② 제1항에 따라 안전관리계획을 제출받은 발주청 또는 인ㆍ허가기관의 장은 ..

기계․ 기구제조업 등의 위험성 평가지침(G-84-2012) [내부링크]

ㅇ 관련법규․ 규칙․ 고시 - 산업안전보건법 시행령 제3조의2(안전ㆍ 보건 경영체제 등의 추진) 기계․ 기구제조업 등의 위험성 평가지침(G-84-2012) 1. 목적 2. 적용 범위 3. 용어의 정의 4. 위험성 평가 실시 시기 5. 사업주의 책임과 역할 6. 위험성 평가시 주의하여 할 사항 7. 위험성 평가 준비 8. 위험성 평가 5단계와 절차 9. 평가 결과의 타당성 검토 및 보고 10. 위험성 평가 결과의 모니터링 1. 목적 이 지침은 산업안전보건법 시행령 제3조의2(안전ㆍ 보건 경영체제 등의 추진)규정에 의하여 안전보건경영체제를 구축하고자 하는 사업장에서 위험성 평가에 관한 사항을 정하여 이를 활용함으로써 산업 재해를 예방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2. 적용 범위 (1) 이 지침은 자율안전보건경영체..

설비배치 계획 및 변경시의 리스크 평가지침(X-60-2013) [내부링크]

제·개정 경과 - 2013년 9월 리스크관리분야 제정위원회 심의(제정) 관련규격 및 자료 - KOSHA GUIDE X-1-2011 (리스크 관리의 용어 정의에 관한 지침) - KOSHA GUIDE X-2-2012 (리스크 관리 절차에 관한 지침) - KOSHA GUIDE X-3-2012 (리스크 평가 절차에 관한 지침) - Muther, R., Systematic Layout Planning, 2nd ed., Cahners Books, 1973. - Tompkins, J.A., White, J.A., Bozer, Y.A., Frazelle, E.H., Tanchoco, J.M.A., and Trevino, J., Facilities Planning, John Wiley & Sons, New Yor..

리스크 분석 방법에 관한 지침(X-19-2012) [내부링크]

관련규격 및 자료 - HB 4360, Risk management guidelines - Companion to AS/NZS 4360, 2004 리스크 분석 방법에 관한 지침(X-19-2012) 1. 목 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리스크 분석 개요 5. 리스크 수준 결정 방법 6. 불확실성(Uncertainty) 및 기회(긍정적 리스크) 분석 7. 리스크 분석 문서화 1. 목 적 이 지침은 리스크 관리를 적용하고자 하는 수행주체(조직, 단체 또는 개인 등)에게 리스크 관리절차의 세부단계인 리스크 분석방법에 관한 사항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2. 적용범위 이 지침은 사업장에 대한 리스크 분석에 적용한다. 3. 용어의 정의 그 밖에 이 지침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이 지침에 특별..

압력용기 용접 후 열처리에 관한 기술지침(M-184-2015) [내부링크]

o 관련 규격 및 자료 - KS B 6750 압력용기 - 설계 및 제조 일반 2012. - KS B 6751 압력용기 - 용접일반 2012. - ASME Section Ⅷ, Division 1 - “Rules for Construction of Pressure Vessel”, 2012. - ASME Section Ⅸ, Appendix D P-Number Listing - ASME B 31.3 Process Piping o 관련법규·규칙·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법 제34조제1항 - 산업안전보건법 시행령 제28조제1항 제1호 - 고용노동부 고시 제2015-20호 위험기계ㆍ 기구 안전인증 고시 압력용기 용접 후 열처리에 관한 기술지침(M-184-2015) 1. 목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용접 ..

春望詞(춘망사) [내부링크]

春望詞(춘망사) 花開不同賞(화개부동상) 꽃 피어도 함께 즐길 수 없고 花落不同悲(화락부동비) 꽃이 져도 함께 슬퍼 못하네 欲問相思處(욕문상사처) 묻노니, 그대 어디 계신가 花開花落時(화개화락시) 꽃 피고 또 지는 이 시절에 攬草結同心(람초결동심) 풀 뜯어 동심결로 매듭을 지어 將以遺知音(장이유지음) 그대에게 보내려 마음먹는데 春愁正斷絶(춘수정단절) 그리워 타는 마음 잦아질 즈음 春鳥復哀吟(춘조부애음) 봄새가 다시 와 애타게 우네 風花日將老(풍화일장로) 바람에 꽃잎은 날로 시들고 佳期猶渺渺(가기유묘묘) 꽃다운 기약은 아득만 한데 不結同心人(불결동심인) 한마음 그대와 맺지 못하고 空結同心草(공결동심초) 공연히 동심초만 맺고 있다네 那堪花滿枝(나감화만지) 어쩌나 가지 가득 피어난 저 꽃 翻作兩相思)(번작양상사..

고장형태와 영향분석(FMEA)기법에 관한 지침(X-6-2012) [내부링크]

관련규격 및 자료 - CCPS, Guideline for Hazard Evaluation Procedures, AIChE, New York, 2008 - CCPS, Guideline for Chemical Process Quantitative Risk Analysis, AIChE, New York, 1999 고장형태와 영향분석(FMEA)기법에 관한 지침(X-6-2012) 1. 목 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일반사항5. 평가절차 6. 후속조치 1. 목 적 공정리스크 평가 관련 기법 중 고장형태와 영향분석 기법에 관한 내용을 제시함으로써 사업장에서 공정리스크 평가를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데 목적이 있다. 2. 적용범위 이 지침은 고장형태와 영향분석 기법에 의한 공정리스크..

축전지 취급에 관한 기술지침(E-10-2013)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안전보건기술지침(전기설비 설치상의 안전에 관한 기술지침) - 안전보건기술지침(가스폭발위험장소 설정 및 관리에 관한 기술지침) - 안전보건기술지침(가스폭발위험장소에서의 전기설비 설계, 선정 및 설치에 관한 기술지침) - 안전보건기술지침(배터리실의 폭발위험장소 설정에 관한 기술지침 - HSE, Using electric storage batteries safely, Guidance INDG 139 - IEC(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60079-14 : Electrical Apparatus For Explosive Gas Atmospheres o 관련법령․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편 제3장 제1절(전기기계․ ..

가스 폭발위험장소의 전기설비 검사 및 정비에 관한 기술지침(E-101-2014) [내부링크]

ㅇ 관련규격 - IEC Standard 60079-17 : Electrical atmospheres - Part 17: Electrical installations inspection and maintenance - IEC Standard 60079-0 : Electrical atmospheres - Part 0: Equipment - General requirements - 안전보건기술지침 (가스폭발위험장소의 설정 및 관리에 관한 기술지침) - 안전보건기술지침 (가스폭발위험장소에서의 전기설비 설계, 선정 및 설치에 관한 기술지침)) ㅇ 관련법령․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311조(폭발위험이 있는 장소에서 사용하는 전기 기계․ 기구의 선정 등) 가스 폭발위험장소의 전기설비 검사 및 정비..

국소배기장치 구입 및 사용 시 안전보건 기술지침(G-115-2014) [내부링크]

관련 규격 및 자료 - HSE : Clearing the air -A simple guide to buying and using local exhaust ventilation (LEV)-, 2010 - ACGIH : Industrial Ventilation -A manual of recommended practice for design, 27th ed., 2010 - 공기조화 및 환기설비의 안전관리 기술지침(KOSHA GUIDE, P-63-2012) - 산업환기설비에 관한 기술지침(KOSHA GUIDE, W-1-2014) 관련 법규․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429조, 제454조, 제500조(국소배기장치의 성능 등) - 안전검사 고시(노동부고시 제2010-15호) - 안전..

밀폐공간 작업 프로그램 수립 및 시행에 관한 기술지침(H-80-2021) [내부링크]

관련규격 및 자료 - Permit-Required Confined Spaces, OSHA 3138-01R 2004. - Criteria for recommended standard-working in confined spaces, NIOSH, 1979 - BS : Confined spaces regulations 1997 (SI 1997, L101) - BS : Safe work in confined spaces (BS guidance INDG-258, L101) - 질식재해 발생 특성별 예방 매뉴얼 개발(안전보건공단 연구보고서 2015-보건-1076) - KOSHA Guide X-68-2015 밀폐공간 위험관리에 관한 기술지침 관련 법규 ․ 규칙 ․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법 제39조(보건조치)..

밀폐공간 위험관리에 관한 기술지침(X-68-2015)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Criteria for recommended standard-Working in confined spaces, NIOSH, 1979. - Permit-required confined spaces - 29 CFR 1910.146, OSHA, 1994 - 국제노동기구(ILO)협약. 174호. "ILO Convention No.174" - KOSHA GUIDE H-80-2012, “밀폐공간 보건작업 프로그램 시행에 관한 기술지침” - KOSHA GUIDE H-57-2015, “현장 응급처치의 원칙 및 관리 지침” - KOSHA GUIDE H-59-2012, “현장 심폐소생술 시행지침” o 관련법규·규칙·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3편 제10장 - 미국 산업안전보건법. ..

과전류 보호장치의 선정 및 설치에 관한 기술지침(E-116-2021) [내부링크]

o 관련규격 - IEC 60364-4-43 : Electrical installations of buildings - Protection for Safety - Protection against over-current - 미국전기공사규정(NEC : National Electrical Code) Article 240 - KOSHA GUIDE (전기설비설치상의 안전에 관한 기술지침) - KOSHA GUIDE (저압감전방지장치 등의 선정 및 설치에 관한 기술지침) - 한국전기설비규정(KEC)핸드북 o 관련법령․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305조 (과전류 보호장치) 및 전기설비기술기준 과전류 보호장치의 선정 및 설치에 관한 기술지침(E-116-2021) 1. 목적 2. 적용범위 3. 정의 4. ..

파괴핀장치 설치에 관한 기술지침(D-68-2020) [내부링크]

o 관련 규격 및 자료 - KS B 6750 “압력용기 – 설계 및 제조일반 ”, 2004 (2017확인) - ASME Section VIII, Division 1. 2019 Edition - API RP 520, “Sizing, Selection, and Installation of Pressure– relieving Devices in Refineries”, 2014 - ISO 4126-3, Safety devices for protection against excessive pressure Part 3: Safety valves and bursting disc safety, 2006 파괴핀장치 설치에 관한 기술지침(D-68-2020) 1. 목적 2. 적용범위 3. 정의 4. 파괴핀장치 등 5. 파괴..

전기안전작업요령 작성에 관한 기술지침(E-53-2012)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 유해위험작업의 취업제한에 관한 규칙 - OSHA 29 CFR 1910(Occupational Safety & Health Standards) o 관련법규․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편 제3장(전기로 인한 위험방지) 전기안전작업요령 작성에 관한 기술지침(E-53-2012) 1. 목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일반사항 5. 전기안전 작업 요령 6. 절연용 보호구 등 7. 정전전로 인근에서의 전기 작업 8. 전기기기 등에서의 전기작업 9. 가공전선로 인근에서의 차량·기계장치 작업 10. 기타 전기작업 1. 목적 이 지침은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이하 “안전보건규칙”이라 한다.) 제319조(정전선로에서의 전기작..

전기기기의 코드 접속기구에 관한 기술지침(E-56-2013)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 전기설비 기술기준 및 판단가준 - 29 CFR 1910 Occupational Safety & Health Standards 336(h)(Portable electric equipment) - 미국 NFPA 70E(Handbook for Electrical Safety in the Workplace) - NFPA 70B Recommended practice for electrical equipment maintenance, CH 19(Portable electrical tools and equipment) - 안전보건기술지침(이동형 또는 휴대형 전기기계·기구의 사용 및 정비에 관한 기 술지침) o 관련법규․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

경고표지를 이용한 화학물질 관리에 관한 기술지침(P-51-2012) [내부링크]

o 관련 규격 및 자료 - INDG 352, "Read the label - How to find out if chemicals are dangerous", 2004 - HSE CS 24, "The interpretation and use of flash point information", 1999 - CCPS, "Reactive material hazards - What you need to know", 2001 - E-Facts 41, "Cleaners and dangerous substances", EU, 2008 - KOSHA GUIDE, 물질안전보건자료 작성지침 - KOSHA GUIDE, 화학물질의 유해위험성 분류지침 경고표지를 이용한 화학물질 관리에 관한 기술지침(P-51-2012) 1. 목적..

정유 및 석유화학 산업의 고정식 물분무설비(Water Spray System)의 설계 등에 관한 기술지침(P-162-2017) [내부링크]

o 관련 규격 및 자료 - API RP 2030, “Application of Fixed Water Spray Systems for Fire Protection in the Petroleum and Petrochemical Industries”, 2014 - API RP 2001, “Fire Protection in Refineries”, 2012 - NFPA 13, “Installation of Sprinkler Systems”, 2016 - NFPA 15, “Water Spray Fixed Systems for Fire Protection”, 2017 - KOSHA GUIDE P-115, “정유 및 석유화학 공장의 소방설비에 관한 기술지침” - NFSC 104, “물분무소화설비의 화재안전기준” - “..

작업장의 통로 및 계단 설치에 관한 기술지침(G-85-2015)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The European standard EN ISO 14122-1~3: 2001 Safety of machinery permanent means of access to machines Part 1: Choice of a fixed means of access between two levels Part 2: Working platforms and walkways Part 3: Stairways, stepladders and guard-rails - The European standard EN ISO 14122-4: 2004 Part 4: Fixed ladders o 관련법규·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1편 제3장(통로) 작업장의 통로 및 계단 설치에 관한 기..

사업장의 조명에 관한 기술지침(G-26-2013) [내부링크]

관련규격 및 자료 - HSG38 : Lighting at Work - KS A 3011 조도기준 - 안전보건기술지침 「사무실 작업환경 관리지침」 - 산업안전보건용어사전,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2006 관련법규․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7조(채광 및 조명), 제8조(조도) 사업장의 조명에 관한 기술지침(G-26-2013) 1. 목 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작업 시 조명의 문제점과 해결책 1. 목 적 이 지침은 작업을 위한 조명과 관련하여 필요한 사항을 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2. 적용범위 이 지침은 작업을 위하여 자연채광과 인공조명을 사용하는 모든 사업장에 적용한다. 3. 용어의 정의 (1) 이 지침에서 사용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가) “조도(..

아름다움의 비결 [내부링크]

아름다움의 비결 매력적인 입술을 갖고 싶다면 친절한 말을 하라. 사랑스런 눈을 갖고 싶다면 다른 사람의 좋은 점을 발견하라. 날씬한 몸매를 원하거든 굶주린 사람들과 음식을 나누어라. 아름다운 머리를 갖고 싶다면 하루 한 번 아이의 손으로 쓰다듬게 하라. 멋진 자태를 원한다면 결코 혼자 걷는 게 아님을 명심하라. 사물이야 말할 것도 없고 사람은 늘 회복되고 새로워지고 되살아 나고 개선되며, 다시 채워져야 하느니 그 누구도 외면해서 안 된다. 기억하라. 도움의 손길이 필요할 때 바로 그것이 네 손 끝에 있다는 것을 나이가 들면서 알게 될 것이다. 손이 왜 두 개인지, 여자의 아름다움은 옷이나 생김새, 머리모양이 아니라, 눈에서 나온다. 눈은 사랑스러운 마음의 문 진정한 아름다움은 얼룩의 매력이 아니라..

유해화학물질 저장 운반 및 취급에 관한 기술지침(K-1-2011)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International programme on chemical safety, chemical safety training modules - 동경소방청 예방부, 위험물 시설의 작업안전 메뉴얼 -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LPG저장 및 취급에 관한 안전 메뉴얼 -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UNEP 화학물질 저장 지침 -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농약 취급 안전 메뉴얼 o 관련 법령 ·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관한규칙 제2편 제2장 (위험물등의 취급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관한규칙 제3편 제1장 (관리대상 유해물질에 의한 건강장해의 예방) 유해화학물질 저장 운반 및 취급에 관한 기술지침(K-1-2011) 1. 목 적 2. 적용 범위 3. 용어의 정의 4. 화학물질의 저장 5. 화학물질의 ..

분진 폭발방지를 위한 폭연 방출구 설치방법에 관한 기술지침(P-41-2015)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규격 - NFPA, “Explosion Protection by Deflagration Venting”, 2007. - 한국화재보험협회 KFS 720 : 폭발벤팅 기준 - KOSHA Guide E-99-2013, “분진폭발위험장소 설정에 관한 기술지침” 분진 폭발방지를 위한 폭연 방출구 설치방법에 관한 기술지침(P-41-2015) 1. 목 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분진폭발에 영향을 주는 인자 5. 분진폭발에 대한 안전대책 6. 분진 폭연방출구의 설계시 유의사항 7. 분진 폭연방출구의 설계방법 1. 목 적 이 지침은 가연성 분진의 폭발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는데 필요한 폭연방출구의 설치에 필요한 사항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2. 적용범위 (1) 이 지침은 밀폐공간내..

회전기계의 안전덮개에 관한 기술기준(M-102-2012)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ISO 7475 : Balancing machines-Enclosures and other safety measures o 관련 법규․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 기준에 관한 규칙 제2편 제1장 제6절 제114조(회전시험 중의 위험방지) 회전기계의 안전덮개에 관한 기술기준(M-102-2012) 1. 목 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회전기계의 위험발생 5. 예방조치 6. 방호등급 7. 파편방지 덮개 등의 확인 시험 1. 목 적 이 지침은 산업안전보건기준에관한규칙(이하 “안전보건규칙”이라 한다) 제2편 제1장 제6절 제114조(회전시험 중의 위험방지) 의 규정에 따라 회전기계의 덮개나 기타 안전장치 등에 관한 기술적 사항을 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2. 적용범위 이 ..

불활성기체 등을 이용한기밀시험방법에 관한 기술지침(M-150-2012)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ASME section Ⅴ Nondestructive examination - ASTM E-432 Standard recommended guide for the selection of a leak testing - ASTM E-479 Recommended guide for preparation of a leak testing specification o 관련 법규․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 기준에 관한 규칙 제2편 제2장 제7절 제300조(기밀시험 시의 위험방지) 불활성기체 등을 이용한 기밀시험방법에 관한 기술지침(M-150-2012) 1. 목 적 2. 적용범위 3. 정의 4. 일반사항 5. 측정기기의 교정 6. 절차 7. 시험방법 8 문서 1. 목 적 이 지침은 산업안전..

사업장에서 리스크 평가 권고사항의우선순위에 관한 지침(X-50-2011) [내부링크]

관련규격 및 자료 - KOSHA GUIDE X-2-2011, 리스크 처리 방법에 관한 지침 - CCPS, Guidelines for Hazard Evaluation Procedures, American Institute of Chemical Engineers, 3rd Edition, 2008 사업장에서 리스크 평가 권고사항의우선순위에 관한 지침(X-50-2011) 1. 목 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리스크 평가 권고사항의 우선순위 5. 우선순위 부여 후 리스크 관리체계의 수립 6. 리스크 평가 권고사항 우선순위 부여절차 1. 목 적 자체적인 리스크 평가 절차서를 보유하고 있지 않은 사업장에서 리스크 평가를 수행한 후에 그 결과인 권고사항을 보다 유용하고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관리하기 위하..

휴먼에러에 대한 위험과 운전분석(Human error HAZOP)기법에 관한 지침(X-73-2017) [내부링크]

관련규격 및 자료 - G.R. Ellis, A. Holt (2009) A Practical application of ‘Human-HAZOP’ for critical Procedures. Symposium series no. 155, IChemE. - C.A. Ericson II (2005) Hazard Analysis Techniques for System Safety. Wiley-Interscience. - N.A. Stanton, P.M. Salmon, G.H. Walker, C. Baber, D.P. Jenkins (2005) Human Factors Methods – A Practical Guide for Engineering and Design. Ashgate. - KOSHA GUIDE P..

체크리스트를 이용한 사업장의 리스크평가 기술지침(X-38-2014) [내부링크]

ㅇ 관련규격 및 자료 - Nigel Hyatt, Guidelines for Process Hazards Identification & Risk Analysis, Dyadem Press, 2004 - 안전보건경영시스템(KOSHA 18001) 구축에 관한 지침(KOSHA GUIDE G-80-2012) - 기계․ 기구 제조업 등의 위험성 평가 지침(KOSHA GUIDE G-84-2012) - 4M 리스크 평가 기법에 관한 기술지침(KOSHA GUIDE X-14-2014) - 중소규모 사업장의 리스크 평가 관련 유해위험요인 분류를 위한 기술지침(KOSHA GUIDE X-13-2012) ㅇ 관련법규․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법 제4조(정부의 책무)제1항제5호 같은 법 시행령 제3조의2(안전보건경영체제 등의..

(M-HAZOP)기계공장에 대한 위험과운전분석기법(P-79-2011) [내부링크]

o 관련 규격 및 자료 - EN 292-1 : 기계류의 안전 - 기본개업, 설계일반원칙 - EN 292-2 : 기계류의 안전 - 기계안전전기술윈칙과 사양 - SA-0005-1999 : 기계의 위험성 평가 원칙에 관한 안전인증지침 (M-HAZOP)기계공장에 대한 위험과운전분석기법(P-79-2011) 1. 목 적 2. 적용범위 3. 평가절차 4. 가이드워드 및 변수 5. 이탈 및 가능한 원인 6. 기록 1. 목 적 이 가이드는 기계공장의 위험요소를 평가하기 위한 위험과 운전분석기법을 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2. 적용범위 기계공장의 특성을 위험요소별로 본다면 공정에 필요한 유해․ 화학물질을 취급하는 부분에서의 화재․ 폭발․ 독성물질누출 위험과 이송․ 가공․ 조립 공정에서의 충돌, 협착, 절단, 물림위험 등 크..

경고표지 작성 지침(W-14–2020) [내부링크]

관련규격 및 자료 - Globally harmonized system of classification and labelling of chemicals(GHS)(Sixth revised Edition, 2015) 관련법규·규칙·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법 제115조(물질안전보건자료대상물질 용기 등의 경고표시) -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제170조(경고표시 방법 및 기재항목) - 고용노동부고시 제2020-130호(화학물질의 분류․ 표시 및 물질안전보건자료에 관한 기준) 경고표지 작성 지침(W-14–2020) 1. 목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작성 원칙 5. 유해성․ 위험성 별 경고표지 요소 1. 목적 이 지침은 「산업안전보건법」 (이하 “법”이라 한다) 제115조(물질안전보건자료대상 물질..

내일이 있음은 참 좋은 일 입니다 [내부링크]

내일이 있음은 참 좋은 일 입니다 어제가 있고...... 오늘이 있고... 내일이 있다는 것은 참 좋은 일입니다 어제는...... 지나갔기 때문에 좋고... 내일은 올 것이기 때문에 좋고 오늘은 무엇이든 할 수 있기 때문에 좋습니다 나는 어제를 아쉬워하거나... 내일을 염려하기 보다는 주어진 오늘을 사랑하고 기뻐합니다 오늘 안에 있는 ...... 좋은 것을 찾고... 받아들이고 내일을 준비하는 것이 얼마나 즐거운지 모릅니다 하루 하루 새로운... 아침이 주어지는 것은 새 기회의 기쁨을 날마다 누리라는 뜻입니다 오늘 안에 있는...... 좋은 것이 어떤 ... 것인지는 누구보다도 자기자신이 잘 알고 있습니다 어떻게 하면 ...... 하루가 좋아지는지... 알고 있습니다 어제는 오늘을 소중히 여기..

사고예상질문/체크리스트분석 결합기법에 관한 기술지침(X-47-2011) [내부링크]

관련규격 및 자료 - CCPS, Guideline for Hazard Evaluation Procedures, AIChE, New York, 2008 - KOSHA GUIDE X-1-2011, 리스크 관리의 용어 정의에 관한 지침 - KOSHA CODE P-3-1998, 사고예상질문분석(WHAT-IF)기법 - KOSHA CODE P-1-2008, 위험성평가에서의 체크리스트(Check list)기법에 관한 기술지침 - KOSHA GUIDE 리스크 확인을 위한 정보 및 접근방법에 관한 지침 사고예상질문/체크리스트분석 결합기법에 관한 기술지침(X-47-2011) 1. 목 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일반사항 5. 분석절차 1. 목 적 이 지침은 사업주가 수행하는 공정리스크 평가에 활용할 수 있..

가스폭발위험장소의 설정에 관한 기술지침(E-180-2020)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KS C IEC 60079-10-1(폭발분위기- 제10-1부 : 폭발위험장소의 구분) - NFPA 497(Recommended practice for the classification of flammable liquids, gases, or vapors and of hazardous locations in electrical installations at chemical process areas) - EI 15(Area classification code for installations handling flammable fluids) - EN 1127-1(Explosive Atmospheres Explosion Prevention and Protection o 관련법규․ 규칙․ ..

추락방호망 설치 지침(C-31-2017)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KOSHA GUIDE C-26-2017(낙하물 방지망 설치 지침) - KS F 8082(추락방호망) - 일본의 가설기자재 구조기준 - 일본 가설공업회, 경년가설재의 관리에 관한 기술기준과 해설 추락방호망 설치 지침(C-31-2017) 1. 목 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구조 및 재료 5. 설치기준 6. 설치방법 7. 추락방호망의 관리기준 1. 목 적 이 지침은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이하 “안전보건규칙”이라 한다) 제42조(추락의 방지) 제2항, 제43조(개구부 등의 방호조치) 제2항, 제45조(지붕 위에서의 위험 방지) 및 제56조(작업발판의 구조) 제4호에 의하여 근로자가 추락할 위험 및 위험발생의 우려가 있는 장소에 설치하는 추락방호망의 설치 및 사용에..

PSM 시스템의 효과적인 운전 규범에 관한 기술지침(P-172-2021) [내부링크]

o 관련 규격 및 자료 - CCPS, Guidelines for Risk Based Process Safety, 2007 - CCPS, Conduct of Operations and Operational Discipline, 2011 - CCPS, Recognizing and responding to normalization of deviance, 2018 - CCPS, Essential practice for creating, strengthening, and sustaning process safety culture, 2018 - Jerry J.Forest, Management Discipline, Process Safety Progress, 2012 - Jerry J.Forest, Managemen..

집진설비 분진폭발 방지기술 지침(D-43-2012)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일본안전연구소기술지침 : 분진 및 관련기계의 분진폭발방지지침 1999(ISSN, 0911-8063) - KOSHA GUIDE D-6-2012 : 분진폭발방지에 관한 기술지침 - KOSHA GUIDE D-11-2012 : 폭발언제장치의 설치에 관한 기술지침 o 관련법규․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32조, 제236조, 제238조) 집진설비 분진폭발 방지기술 지침(D-43-2012) 1. 목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집진장치의 분진 폭발특성 5. 집진장치 및 닥트등 6. 집진장치의 안전장치 7. 집진장치 운전 사용상 안전대책 1. 목적 이 지침은 산업안전보건법(이하“법”이라 한다) 제27조 및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이하“안전보건규칙”이..

낙하물 방지망 설치 지침(C-26-2017)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KOSHA GUIDE C-31-2017(추락방호망 설치 지침) - KS F 8083(낙하물 방지망) - 일본의 가설기자재 구조기준 - 일본 가설공업회, 경년가설재의 관리에 관한 기술기준과 해설 o 관련 법규․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14조 및 제42조 - 고용노동부고시 제2016-54호(방호장치 안전인증 고시) 낙하물 방지망 설치 지침(C-26-2017) 1. 목 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구조 및 재료 5. 설치 방법 6. 낙하물 방지망의 관리기준 1. 목 적 이 지침은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이하 “안전보건규칙”이라 한다) 제14조(낙하물에 의한 위험의 방지) 및 제42조(추락의 방지)의 규정에 따라 근로자가 낙하물에 의한 ..

화학플랜트 개․ 보수 공사안전보건작업 기술지침(C-109-2017)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KOSHA GUIDE-P-94-2013(안전작업허가 지침) - KOSHA GUIDE-O-4-2011(화학공장의 정비보수에 관한 안전관리지침) - KOSHA GUIDE-X-68-2015(밀폐공간 위험관리에 관한 기술지침) o 관련 법규․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법 제42조2(공정안전보고서 제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78조(개조․ 수리 등) - 공정안전보고서의 제출 심사 확인 및 이행상태평가 등에 관한 규정(고용노동부고시 제2016-40호) 화학플랜트 개․ 보수 공사안전보건작업 기술지침(C-109-2017) 1. 목적 2. 적용범위 4. 주체별 주요 임무 5. 작업계획 수립 6. 고위험 작업별 안전보건 조치 1. 목적 이 지침은 화학플랜트 설비의 개․ 보수..

내게 온 고마운 인연에게 잘해 주세요... [내부링크]

내게 온 고마운 인연에게 잘해 주세요... 사랑해서 이별해서 아픈 건 맘이 아닙니다... 다신 볼 수 없단 사실입니다... 누가 더 사랑하고 누가 덜 사랑하고 줄다리기 인연이라도 붙들어 둘 수 없단 사실입니다.. 아파도 보고 싶어도 울고 있어도 위로해줄 그 님이 옆에 있을 수 없단 사실입니다... 맘 물론 심장 물론 아주 많이 갈기 갈기 찢어 졌으니 아픕니다.. 사실을 더해 아파옵니다... 사랑할 땐 세상이 이뻐 보이고 내편인 것 처럼 든든합니다.... 이별을 하면 유행가 가사가 내 이야기인 듯 아파오고 가만히 있어도 눈물이 납니다.. 사랑할 땐 그 사람이 하는 건 다 좋고 이뻐 보입니다...... 이별을 하면 그 사람과 함께 했던 추억 줄 놓기 싫어 날마다 심장을 옥 죄어야 합니다.. 사랑하..

리튬 이온 에너지저장장치(Electric Storage System) 설치 및 유지보수에 관한 기술지침(E-185-2021) [내부링크]

o 관련 규격 및 자료 - FM Global, FMDS 0533 Electrical Energy Storage Systems, 2020 - NFPA, NFPA 855 Installation of Stationary Energy Storage Systems, 2020 - 소방청, 전기저장시설의 화재안전기준 (NFSC 607) 제정(안), 2020 - 화재보험협회, KFS 412 리튬이온배터리 에너지저장시스템(ESS)의 안전관리 가이드,2018 - 한국전기안전공사, ESS 전기안전관리자 가이드북 - 한국전기산업진흥회, EESS(전기에너지저장시스템) 설치, 유지보수 및 안전관리 가이드, 2019 - 산업통상자원부, 공공기관 에너지저장장치(ESS) 설치 가이드라인, 2016 - HSE, Using electri..

정전기재해 예방을 위한 기술상의 지침(고용노동부고시 제2020-51호) [내부링크]

정전기재해 예방을 위한 기술상의 지침 [시행 2020. 1. 16.] [고용노동부고시 제2020-51호, 2020. 1. 14., 일부개정.] 고용노동부(화학사고예방과), 044-202-7760 제1조(목적) 이 고시는 「산업안전보건법」 제13조에 따라 정전기에 의한 화재 또는 폭발 등의 위험이 발생할 우려가 있는 설비에 대하여 정전기의 발생을 억제하거나 제거하기 위해 사업주에게 지도·권고할 기술상의 지침을 규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2조(적용범위) 이 고시는 인화성물질 또는 가연성의 가스나 증기 및 분진 등에 화재·폭발 위험이 있는 장소에서 정전기의 발생을 억제하거나 제거하기 위한 제반조치에 대하여 적용한다. 제3조(용어의 정의) ① 이 고시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 각 호와 같다. 1. "정전기..

엔지니어링사업 대가의 기준(산업통상자원부 고시 제2021-137호, 2021.7.29.) [내부링크]

엔지니어링사업 대가의 기준 산업통상자원부 고시 제2021-137호, 2021.7.29. 제1장 총칙 제1조(목적) 이 기준은 「엔지니어링산업 진흥법」 제31조제2항에 따라 엔지니어링사업의 대가의 기준을 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2조(적용) ① 「엔지니어링산업 진흥법」(이하 "법"이라 한다) 제2조제4호에 따른 엔지니어링사업자(이하 "엔지니어링사업자"라 한다)가 같은 법 제2조제7호 각 목 및 시행령 제5조의 각 호의 자(이하 "발주청"이라 한다)로부터 엔지니어링사업을 수탁할 경우에는 이 기준에 따라 엔지니어링사업대가(이하 "대가"라 한다)를 산출한다. ② 제1항에도 불구하고 엔지니어링사업자가 건설업자 또는 주택건설등록 업자로부터 위탁받아 작성하는 시공상세도의 경우에는 제21조 이하의 규정에 따라 대가를 ..

저장탱크 과충전방지에 관한 기술지침(P-2–2012) [내부링크]

o 관련 규격 및 자료 - NFPA 30「Flammable and Combustible Liquids Code」 - KOSHA GUIDE 「방유제 설치 기술지침」 o 관련 법규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25조(위험물질등의 제조등 작업시의 조치)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72조(방유제 설치)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73조(계측장치등의 설치) - 위험물안전관리법, 유해화학물질관리법 등 저장탱크 과충전방지에 관한 기술지침(P-2–2012) 1. 목 적 2. 적용범위 3. 정 의 4. 과충전 방지를 위한 고려사항 5. 과충전 방지장치 구성요소별 고려사항 6. 비상조치 절차 및 계획절차 1. 목 적 이 지침은 위험물의 제조, 저장 및 취급시설에 설치된 옥내 및 옥외 저장탱크에서 ..

저장탱크의 형식선정에 관한기술지침(D-23-2012)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대기환경보전법 - 미국 EPA 기준 - 엔지니어링사 표준 o 관련법규․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편 제2장 제4절 (화학설비․ 압력용기 등) 저장탱크의 형식선정에 관한기술지침(D-23-2012) 1. 목 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형식 선정 1. 목 적 이 지침은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이하 “안전보건규칙”이라 한다) 제2편 제2장 제4절(화학설비․ 압력용기 등)의 규정에 의거 작업환경 및 주위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사업장내에 설치되는 저장탱크의 형식선정에 관한 기술적 사항을 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2. 적용범위 이 지침은 작업환경 및 주위환경에 영향을 주는 위험물질을 저장하는 탱크에 대하여 적용한다. 3. 용..

용기는 절망에서 생긴다 [내부링크]

용기는 절망에서 생긴다 미국 여성 최초의 노벨 문학상 수상자인 펄 벅 여사는 선교사인 아버지를 따라 중국에서 어린 시절을 보냈다. 어느 해 심한 가뭄이 들었을 때이다. 아버지가 먼 여행으로 집을 비운 사이 마을에는 백인이었던 펄벅의 어머니가 신을 분노하게 만들어 가뭄이 계속된다는 소문이 돌았다. 사람들의 불안은 점점 분노로 변했고, 어느 날 밤 사람들은 몽둥이, 곡괭이, 도끼, 쇠스랑 등 무기가 될 만한 농기구를 가지고 펄벅의 집으로 몰려왔다. 그 소식을 들은 어머니는 집안에 있는 찻잔을 모두 꺼내 차를 따르게 하고 케이크와 과일을 접시에 담게 했다. 그리고 대문과 집안의 모든 문을 활짝 열어 두고는 마치 오늘을 준비한 것처럼 어린 펄벅에게 장난감을 가지고 놀게 하고 어머니는 바느질 감을 들었다...

(지침번호:2400-3) 가스시설 및 가스배관의 내진설계·성능확인 세부기술기준(2021.04.30 개정) [내부링크]

가스시설 및 가스배관의 내진설계·성능확인 세부기술기준(지침번호 : 2400-3) 목 차 제 1 장 총 칙 제1-1-1조【목적】 제1-1-2조【적용대상】 제1-1-3조【용어정의】 제 2 장 가스시설 및 지상 가스배관 내진설계 세부기술기준 제1절 내진설계 일반사항 제2-1-1조【일반사항】 제2-1-2조【제출서류】 제2-1-3조【하중조합】 제2-1-4조【지반분류】 제2-1-5조【구조감쇠비】 제2-1-6조【응답수정계수】 제2절 지진해석 방법 제2-2-1조【일반사항】 제2-2-2조【해석범위】 제2-2-3조【해석모델】 제2-2-4조【해석방법】 제3절 내진설계 표준도 제2-3-1조【소규모 가스저장탱크 내진설계 표준도 적용】 제2-3-2조【제출서류】 제 3 장 매설 가스배관 내진설계 세부기술기준 제1절 내진설계 일반사..

축전지 취급에 관한 기술지침(E-10-2013)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안전보건기술지침(전기설비 설치상의 안전에 관한 기술지침) - 안전보건기술지침(가스폭발위험장소 설정 및 관리에 관한 기술지침) - 안전보건기술지침(가스폭발위험장소에서의 전기설비 설계, 선정 및 설치에 관한 기술지침) - 안전보건기술지침(배터리실의 폭발위험장소 설정에 관한 기술지침 - HSE, Using electric storage batteries safely, Guidance INDG 139 - IEC(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60079-14 : Electrical Apparatus For Explosive Gas Atmospheres o 관련법령,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편 제3장 제1절(전기기계? ..

비상설비 등에 대한 전원공급설비의설치에 관한 기술지침(E-108-2011) [내부링크]

o 관련규격 - IEC 60364-5-56 : 건축전기설비(Electrical installation of buildings), 제5부 전기설비의 선정과 시공(Part 5 : Selection and erection of electrical equipment), 제56 장 안전공급(Chapter 56 : Safety service) - FM Loss Prevention Data Sheets 5-23 Emergency And Standby Power Systems o 관련법령․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73조(계측장치 등의 설치), 제274조(자동 경보장치의 설치 등), 제275조(긴급차단장치의 설치 등), 제308조(비상전원) 비상설비 등에 대한 전원공급설비의설치에 관한 기술지침(E-..

안전인증ㆍ자율안전확인신고의 절차에 관한 고시(고용노동부고시 제2021-21호) [내부링크]

고용노동부고시 제2021-21호 안전인증ㆍ자율안전확인신고의 절차에 관한 고시 제정 2008.12. 3 노동부고시 제2008-73호 개정 2009. 9.25 노동부고시 제2009-38호 개정 2009.12.23 노동부고시 제2009-80호 개정 2010. 2.19 노동부고시 제2010-14호 개정 2011.10. 7 고용노동부고시 제2011-45호 개정 2012. 1.26 고용노동부고시 제2012-15호 개정 2012. 7.23 고용노동부고시 제2012-54호 개정 2013. 2.6 고용노동부고시 제2013-13호 개정 2016. 2.29 고용노동부고시 제2016-12호 개정 2017. 4.17 고용노동부고시 제2017-24호 개정 2018. 6.29 고용노동부고시 제2018-54호 개정 2020. 1.1..

화재 및 화학물질 누출사고 대응을 위한 비상조치계획에 관한 지침(G-104-2020)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Human Factors Briefing Note No. 5, Emergency Response, HSE, 2012 - Common Topics, Common topic 1: Emergency Response, HSE, 2012 - HSG 191, Emgergency planning for major accidents, HSE, 1999 - Fire safety in contruction, HSG168(second edition, published 2010) - 위기상황 훈련가이드 핸드북(행정안전부, 2019) 화재 및 화학물질 누출사고 대응을 위한 비상조치계획에 관한 지침(G-104-2020) 1. 목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비상조치 계획의 목..

폭주반응에 대비한 파열판 크기 산출에관한 기술지침(P-65-2012) [내부링크]

o 관련 규격 및 자료 - Chemical Process safety : Fundamentals with Applications, 2nd ED by Daniel A. Crowl/Joseph F. Louvar 2002 - Design for Overpressure and Underpressure Protection : Introduction Reliefs Runaways safegurds. 폭주반응에 대비한 파열판 크기 산출에관한 기술지침(P-65-2012) 1. 목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폭주반응의 특성 5. 폭주반응을 대비한 파열판 크기 산출방법 1. 목적 이 지침은 반응폭주 등 급격한 압력상승이 우려되는 반응기에 설치하는 파열판의 방출면적(크기)를 산출하는 방법에 관한 기술을 정하는데..

내일을 위해 어제를 버려라... [내부링크]

내일을 위해 어제를 버려라... 우리는 과거를 지나 현재를 살아가고, 미래를 바라보아야 할 창조적인 존재들이다. 헛된 과거, 그릇된 현재를 교정하여 보다 나은 내일을 엮어가는 것은 개인적으로나 사회적으로나 우리에게 주어진 사명이다. 그러나 많은 사람들은 과거에 저질렀던 실패의 기억에 얽매여 자신의 정신과 육체를 파괴하고 있다. 그것은 자신에게 다가온 어떤 손해를 회복하려다가 더욱 더 큰 손해를 입는 어리석음과 이어진다. 어떤 일에 대하여 그에 합당한 대가를 치르라 그리고 그 이상의 지출은 그만두라. 그것은 마치 물건을 사면 돈을 지불하고 돌아서야 할 손님이 상인에게 무릎 끓고 계속 지갑을 열어 보이는 격이나 다름없다. 거기에는 "이제 그만"이라는 과감한 용기가 필요하다. ************..

파열판 점검 및 교환 등에 관한 기술지침(P-124-2112) [내부링크]

o 관련 규격 및 자료 - ISO 4126-6, Safety devices for protection against excessive pressure - Parts 6 : Application, selection and installation of bursting disc safety devices, 2003 o 관련 규격 및 자료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62조(파열판의 설치)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63조(파열판 및 안전밸브의 직렬설치) 파열판 점검 및 교환 등에 관한 기술지침(P-124-2112) 1. 목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1. 목적 압력용기 등에 설치한 파열판은 설계, 설치방법, 운전조건, 부식이나 오염 등의 설치 및 운전환경에 따라 검사 주기 또는 ..

산소감지경보기 등의 설치 및 보수에 관한 기술지침(P-137-2018) [내부링크]

o 관련 규격 및 자료 - KS C 6594, 산소 감지기의 성능시험방법 - KS C 6595, 산소 감지기의 설치, 운전 및 유지보수 - KS C IEC 60079-0, 방폭전기기계⦁ 기구-일반 요구사항 - KS C IEC 61000-6-2,4 전기자기적합성(EMC)-제6부 : 일반기준-제2절, 제4절 : 산업용 환경에서 사용하는 기기의 전기자기 내성기준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밀페공간작업으로 인한 건강장해의 예방 - 국가표준기본법, 교정대상 및 주기설정을 위한 지침 - KASTO기준, 일반가스측정기의 표준교정절차 산소감지경보기 등의 설치 및 보수에 관한 기술지침(P-137-2018) 1. 목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산소감지경보기의 사용(설치)장소 5. 산소가스경보기의 설치 ..

화학설비 설치에 관한 안전지침(M-108-2018)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KS B 6750 : 2012 (압력용기 - 설계 및 제조 일반) - ASME Sec Ⅷ Div 1 : 2013(Rules for Construction of Pressure Vessels) - 플랜트 건설공사 매뉴얼(일본 화학공업사) o 관련 법규․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1편 제5장 제38조(사전조사 및 작업계획의 작성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편 제2장 제4절 제277조(사용 전의 점검 등) - 고용노동부 고시 제2016-29호(위험기계기구 안전인증고시 제5장 압력용기) 화학설비 설치에 관한 안전지침(M-108-2018) 1. 목적 2. 적용범위 3. 정의 4. 설치작업의 계획 5. 설치 작업 시 고려사항 6. 건설기계의 운영 7...

보호구의 이해 [내부링크]

보호구의 이해 1. 보호구의 제한적 사용 ㅇ 사업주는 보호구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근로자가 유해․위험 작업으로부터 보호를 받을 수 있도록 자동화 또는 유해인자 발산원 밀폐 등의 필요한 설비개선 조치를 해야 하고 - 설비개선 조치가 어려운 경우에만 제한적으로 해당 작업에 맞는 보호구를 사용하는 것이므로(안전보건기준규칙 제31조) - 감독관은 우선 설비를 개선토록 지도하여야 하고, 보호구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작업에 적합한 보호구를 사용하도록 지도 2. 안전보건관리체제별 법상 의무 구 분 정부 안전보건 관리책임자 관리감독자 안전관리자 (안전관리 대행기관) 보건관리자 (보건관리 대행기관) 직 무 보호구의 안정성평가 및 개선 보호구 구입 시의 적격품 여부 확인에 관한 사항 보호구의 점검과 그 착용․사용에 관한 교육..

마음의 휴식이 필요할 때 [내부링크]

마음의 휴식이 필요할 때 삶에 대한 가치관들이 우뚝 서 있는 나날들에도 때로는 흔들릴 때가 있습니다. 가슴에 품어 온 이루고픈 깊은 소망들을 때로는 포기하고 싶을 때가 있습니다. 긍정적으로 맑은 생각으로 하루를 살다가도 때로는 모든 것들이 부정적으로 보일 때가 있습니다. 완벽을 추구하며 세심하게 살피는 나날 중에도 때로는 건성으로 지나치고 싶을 때가 있습니다. 정직함과 곧고 바름을 강조하면서도 때로는 양심에 걸리는 행동을할 때가 있습니다. 포근한 햇살이 곳곳에 퍼져 있는 어느날 도 마음에서는 심한 빗줄기가 내릴 때가 있습니다. 호흡이 곤란할 정도로 할 일이 쌓여 있는 날에도 머리로 생각할 뿐 가만히 보고만 있을 때가 있습니다. 내일의 할 일은 잊어 버리고 오늘만을 보며 술에 취한 흔들거리는 세..

일언부중 천어무용 (一言不中 千語無用) [내부링크]

일언부중 천어무용 (一言不中 千語無用) 한마디 말이 맞지 않으면 천 마디가 무슨 소용이 있으리 그 사람의 환경은 생각이 됩니다. 그 사람의 생각은 말씨가 됩니다. 침묵이 금이 될 수도 있고 한 마디 말이 천냥 빚을 탕감할 수 있는 것은 말의 위력입니다. 말(言)이 적은 친절이 기억에 오래 가는 것은 마음속 깊이 우러나오기 때문입니다. 비록 많은 말을 하지 않는 행동이 보는 이의 심금을 울려주겠지요 너그러운 마음씨가 혀를 고쳐준다고 합니다 적을 많이 가지고 있으면 불평하는 말도 그만큼 늘것이고 정신건강에 지대한 악영향을 줄 것입니다. 사랑의 말이 사랑을 낳고 미움이 말이 미움을 부릅니다. 내가 한 말은 반드시 어떻게든 돌아 옵니다 그래서 말씨는 곧 말의 씨앗인 것입니다 ****************..

산업환기설비에 관한 기술지침(W-1-2019)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ACGIH(American Conference of Governmental Industrial Hygienists) INDUSTRIAL VENTILATION /A Manual of Recommended Practice for Design 29th Edition o 관련 법규 ․ 규칙 ․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법 제24조(보건 조치) - 산업안전보건법 제 27조(기술상의 지침 및 작업환경의 표준) 산업환기설비에 관한 기술지침(W-1-2019) 1. 목 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전체환기장치 5. 국소배기장치 6. 산업환기설비의 유지관리 1. 목 적 이 지침은 산업안전보건법(이하 “법”이라 한다) 제24조(보건조치), 제42조(작업환경측정 등) 및 제48조(유해위험방..

일이 막힐 때는 무조건 걸어라 [내부링크]

일이 막힐 때는 무조건 걸어라 삶에서 부딪히는 문제에 맞서는 최고의 방법은 잡념이 생기지 않은 몸을 만드는 것입니다. 운동을 하고 나서 기분이 좋아집니다. 몸은 날아갈 듯 가볍고, 기분은 상쾌하고, 에너지는 가득 차 오르게 됩니다. 내 몸의 상태가 좋을 때는 어떤 문제도 더 이상 문제로 느껴지지 않습니다. 일이 막힐 때는 무조건 걸어보세요. 걷다 보면 불필요한 생각은 떨어져 나가고, 누군가에게 그 답을 구하지 않아도 스스로 답을 알게 됩니다. 신선한 에너지가 몸 구석구석까지 흐르기 시작하면 의식은 명료해지고 사고는 단순해집니다. 그래서 무엇이 중요한지 알게 되고 행동도 진취적으로 바뀌게 됩니다. 걸음을 잘 걷는 습관 한가지가 여러분의 운명을 바꿀 수 있습니다. ********************..

자분탐상과 침투탐상에 관한 기술지침(M-72-2011)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HSE NDT2(2002) : Magnetic particle and dye penetrant inspection 자분탐상과 침투탐상에 관한 기술지침(M-72-2011) 1. 목 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자분탐상과 침투탐상 개요 5. 검사 유의사항 6. 검사 효율성 7. 안전 대책 1. 목 적 이 기술지침은 자분탐상과 침투탐상을 이용하여 기존 설비를 검사하고 수리하는데 필요한 기술적 사항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2. 적용범위 이 기술지침은 사업장에서 구조물 또는 기계설비에 존재하는 결함을 탐지하기 위하여 시행하는 자분탐상과 침투탐상에 적용한다. 3. 용어의 정의 (1) 이 지침에서 사용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가) “자분탐상(Magnetic part..

분진폭발위험이 있는 설비의공정시스템 선정에 관한 기술지침(P-49-2012) [내부링크]

o 관련 규격 및 자료 - 영국 ICI사의 PSG No. 7 " Process Design of Systems with a Potential Dust Explosion Hazard" 분진폭발위험이 있는 설비의공정시스템 선정에 관한 기술지침(P-49-2012) 1. 목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공정시스템 선정 방법 1. 목적 분진을 취급하는 설비를 설계할 때 사전에 그 위험성을 파악하여 공정을 설계함으로써 그 설비에서 발생할 수 있는 폭발을 예방하는데 필요한 기술적인 사항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2. 적용범위 이 지침은 분진을 취급하는 설비의 공정설계 시에 적용하며 1차 폭발 예방에 한 한다. 다만, 2차 분진폭발 예방이나 실험에서 폭연 또는 폭굉을 일으키는 물질의 경우에는 적용하지 ..

무심하라‥ [내부링크]

무심하라‥ 다른사람이 잘하고 잘못하는 것을 내마음으로 분별하여 참견하지 말고 좋은 일을 겪던지 좋지 않은 일을 당하든지 마음을 항상 평안히 하고 무심하라‥ 때로는 숙맥같이 병신같이 소경같이 귀먹은사람같이 어린아이같이 지내면 마음에 절로 망상이 사라지나니 비록 뭄뚱이는 살아있으나 내마음을 찾으려면 이미 죽은 송장의 몸으로 여겨야하며 세상일이 좋으나 싫으나 한갓 꿈으로 알라 - 경허스님-

물질안전보건자료(MSDS) 제도가 확 바뀌었습니다 [내부링크]

물질안전보건자료(MSDS. Material Safety Data Sheets) 화학물질의 안전한 사용을 위한 설명서로서 화학물질의 유해성·위험성 정보, 응급조치요령, 취급방법 등을 비롯한 16가지 항목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물질안전보건자료대상물질? 화학물질 중 산안법 제104조에 따른 분류기준에 해당하는 물질(근로자에게 건강장해를 일으키는 화학물질 및 물리적 인자 등), 다만 동법 시행령 제86조에 따른 물질은 제외 [법적근거] 산안법 시행규칙 제141조(유해인자의 분류기준) 및 시행규칙 별표18 참고 MSDS 제출 및 대체자료 기재 심사 절차 21.1.16 ~ 무엇이 달라지는가? 1. MSDS 작성주체와 기재항목이 변경됩니다. 1-1. MSDS 작성 주체 1-2. MSDS 구성성분 및 함유량 2. 작..

볼트,너트의 선정 및 체결에 관한 기술지침(O-2-2016)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ISO 808 : MECHANICAL PROPERTIES OF FASTENERS - 한국산업규격 : KS B 0140 나사의 조임 통칙 KS B 0201 미터보통나사 KS B 0204 미터가는나사 KS B 0233 강제볼트․ 작은나사의 기계적 성질 KS B 0234 강제너트의 기계적 성질 KS B 0241 내식 스테인리스 강제 나사부품의 기계적 성질 KS B 0547 체결용부품-표면결함-제1부:일반용 볼트, 나사 및 스터드 볼트 KS B 1010 마찰 접합용 고장력 6각 볼트·6각 너트·평와셔의 세트 - KOSHA GUIDE M-106-2012 죔쇠의 조임력에 관한 기술지침 o 관련 법규․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관한규칙 제2편 제1절 기계 등의 일반기준 볼트,너트의..

내 생각과 같은 사람은 없습니다 [내부링크]

내 생각과 같은 사람은 없습니다 세상을 살다보면 많은 것을 보고 느끼며 경험하지만, 내 생각과 같은사람은 없습니다. 생김이 각자 다르듯 살아가는 모습도 모두가 다릅니다. 살아가는 사고방식이 다르고 비전(vision)이 다르고, 성격(性格) 또한, 다릅니다. 서로 맞추어 가며 살아가는 게 세상사는 현명한삶인데도 불구하고, 내 생각만 고집하고 타인의 잘못된 점만 바라보길 좋아하는사람이 의외로 많습니다. 흔히들 말을 합니다. "털어서 먼지 안나는 사람이 어디 있느냐고?" 칭찬과 격려는 큰 힘을 주지만, 상처를 주는 말과 일은 전혀 도움이 되지 못합니다. 또,감정을 절제하는 것은 수양(修養)된 사람의 기본적인 덕목입니다. 우선 남을 탓하기 전 나 자신을 한 번 돌아본다면, 자신도 남들의 입에 오를 수 있..

볼트,너트의 풀림방지에 관한기술지침(M-41-2012)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한국산업규격 : KS B 0101 나사 용어 KS B 0140 나사의 조임 통칙 KS B 0200 나사의 표시 방법 KS B 0233 강제볼트, 작은나사의 기계적 성질 KS B 0246 나사 부품 각부의 치수의 호칭 및 기호 KS B 1008 볼트의 분할 핀 구멍 및 철선 구멍 KS B 1324 스프링 와셔 KS R 2033 자동차용 분할핀 - KOSHA Code M-13-2002 죔쇠의 조임력에 관한 기술지침 - KOSHA Code O-10-1999 볼트, 너트의 선정 및 체결 기술지침 - 표준기계설계학(동명사, 2000년, 정선모, 한동철 공저) - 표준기계설계학(上)(동명사, 1996년, 정선모, 정인성 공저) o 관련 법규․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삶의 깊이를 느끼고 싶은 날 [내부링크]

삶의 깊이를 느끼고 싶은 날 한 잔의 커피에서 목을 축인다. 떠오르는 수많은 생각들 거품만 내며 살지는 말아야지 거칠게 몰아치더라도 파도쳐야지. 겉돌지는 말아야지 가슴 한복판에 파고드는 멋진 사랑을 하며 살아가야지. 나이가 들어가면서 늘 안타까운 마음이 든다 이렇게 살아서는 안 되는데 더 열심히 살아야 하는데 늘 조바심이 난다. 가을이 오면 열매를 멋지게 맺는 사과나무같이 나도 저렇게 살아야지 하는 생각에 삶의 깊이를 느끼고 싶은 날 한잔의 커피와 친구 사이가 된다. ************************************** - 용혜원, '삶의 깊이를 느끼고 싶은 날'-

액상 화학물질의 하역 및 출하장의 누출방지설비 설치에 관한 기술지침(D-55-2016)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미국환경보호청(EPA), Office of Emergency Management, SPCC Guidance for Regional Inspectors, 2013 - 미국환경보호청(EPA), Secondary containment and impracticability - 캐나다 온타리오 환경보호청, Guideline for Environmental Protection Measures at Chemical and Waste Storage Facilities - Dow AgroSciences, Bulk storage and handling guide - KOSHA GUIDE K-1, 유해화학물질 저장 운반 및 취급에 관한 기술지침 - KOSHA GUIDE G-78, 유해·위험물 탱크로..

春望詞(춘망사) [내부링크]

春望詞(춘망사) 花開不同賞 (화개부동상) 꽃이 피어도 함께 감상하지 못하고 花落不同悲 (화락부동비) 꽃이 져도 함께 슬퍼하지 못하네 欲問相思處 (욕문상사처) 그리운 임(상사) 계신 곳 묻고파 花開花落時 (화개화락시) 꽃은 피고 꽃은 지는데 攬草結同心 (남초결동심) 풀 뜯어 한 마음으로 엮어 將以遺知音 (장이유지음) 임(지음)에게 보내려다가 春愁正斷絶 (춘수정단절) 봄의 시름으로 끊고 마는데 春鳥復哀吟 (춘조복애음) 봄새가 다시 와 애달피 우네 風花日將老 (풍화일장로) 바람에 꽃은 날로 시들고 佳期猶渺渺 (가기유묘묘) 아름다운 만날 기약 아직 아득한데 不結同心人 (부결동심인) 사람의 마음은 함께 엮지 못하고 空結同心草 (공결동심초) 헛되이 풀만 같은 마음으로 엮네 那堪花滿枝 (나감화만..

배관제작 및 설치에 관한 기술지침(M-118-2016)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미국국가규격협회 규격(ANSI/ASME B 31.3 ; Chemical plant and petroleum refinery piping) o 관련 법규․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 기준에 관한 규칙 제2편 제2장 제4절 제255조(화학설비를 설치하는 건축물의 구조) 배관제작 및 설치에 관한 기술지침(M-118-2016) 1. 목적 2. 적용범위 3. 정의 4. 자재보관 5. 절단작업 6. 굽힘작업 7. 배관 용접부위 가공 8. 정렬 9. 배관 지지물 설치 10. 용접 11. 밸브 설치 12 . 비파괴검사 및 열처리 13. 조립 14. 내압시험 15. 배관의 식별표시 1. 목적 이 지침은 산업안전보건기준에관한 규칙(이하 “안전보건규칙”이라 한다) 제2편 제2장 제4절 제255..

인생 3모작 [내부링크]

인생 3모작 최근 자기계발 연구가들 사이에서 화제가 되고 있는 '인생 3모작'은 보다 적극적인 인생설계를 주문한다. 이렇게 나눈다. 첫 번째 시기는 30세 정도까지다. 무엇인가를 얻는(to have) 시기다. 배우고 익히고 경험하는 노력을 기울여 사회생활을 준비하는 단계다. 이 시기에 기울인 노력이 다음 무대의 베이스캠프가 된다. 두 번째 무대는 60세 정도까지 이르는 일하는 시기다. 이 구간은 무엇인가를 성취하는(to achieve) 때다. 비즈니스에서 성공하는 것을 비롯 각자의 일터에서 최고의 단계를 이루려고 노력하는 시기다. 보통의 경우는 여기까지를 현역으로 보고 이후는 은퇴라고 부른다. 그러나 3모작 인생경영에서는 이 두 번째 무대에서 이룬 것이 바탕이 돼 정말 중요한 제3막을 시작할 수 ..

산은 구름을 탓하지 않는다 [내부링크]

산은 구름을 탓하지 않는다 아무 자취도 남기지 않는 발걸음으로 걸어가라. 닥치는 모든 일에 대해 어느 것 하나라도 마다 하지 않고 긍정하는 대장부(大丈夫)가 되어라 무엇을 구(求)한다, 버린다 하는 마음이 아니라 오는 인연 막지 않고 가는 인연 붙잡지 않는 대수용(大收容)의 대장부가 되어라 일체(一切)의 경계에 물들거나 집착(執着)하지 않는 대장부가 되어라 놓아 버린 자는 살고 붙든 자는 죽는다 놓으면 자유(自由)요, 집착함은 노예(奴隸)다 왜 노예로 살려는가? 살아가면서 때로는 일이 잘 풀리지 않을 때도 있고 설상가상(雪上加霜)인 경우도 있다. 그런다고 흔들린다면 끝내는 자유인이 될 수 없다 이 세상에 빈손으로 와서 빈손으로 가는 데 무엇에 집착할 것인가? 짐을 내려놓고 쉬어라 쉼이 곧 수행(修行)..

손자병법의 인생 13계 [내부링크]

손자병법의 인생 13계 01.計 : 초윤장산(礎潤張傘) 주춧돌이 젖어 있으면 우산을 펼쳐라. 판단이 정확해야 위기에 대비책을 세울 수 있다. 상대의 언행,주변 등 조짐에서 결과를 예측하라. 02.計 : 난득호도(難得糊塗) 때로는 바보처럼 보여 상대의 허를 찾는다. 매도 먹이를 채려고 할 때는 날개를 움츠리며 나직이 난다. 03.計 : 화광동진(和光同塵) 내 광채를 낮추고 세상의 눈높이에 맞춰라. 권위주의 영웅주의는 버려라. 04.計 : 교토삼굴(狡免三窟) 똑똑한 토끼는 세 개의 굴(窟)을 가지고 있다. 준비된 사람은 언제든지 위기에서 벗어날 대안을 가지고 있다. 05.計 : 이이제이(以夷制夷) 적을 통해 적을 제압하라. 또 다른 상대방과 역학관계를 만들어 그들끼리의 경쟁을 통해 나의 이익을 유지하..

언제나 배우는 마음으로 살수만 있다면! [내부링크]

언제나 배우는 마음으로 살수만 있다면! 추위에 떨어 본 사람은 태양의 따뜻함을 알고 인생의 괴로움을 겪어 온 사람 일수록 생명의 소중함을 안다고 어느 시인은 말했다. 자신의 생명을 건 실천에서 스며 나온 말은 한마디 한마디가 사람들의 마음속에 등불이 되여 빛날 것입니다... 언제나 늘 배우는 마음으로 살아가고 싶다 나이가 들어가는 것은 어찌 보면 열정을 잃어 가는 삶일 수도 있지요.그러노라면 궁금해 지는 일도 많아지고 섭섭한 일도 많아지고 때론 노파심으로 말이 많아질 수도 있지요 경험한 수많은 사건들로 신중해지고 노련해 지기도 하지만 그 경험들이 스스로를 얽어 매여 굳어진 마음이 될 수도 있지요 언제나 너그럽고 지켜 볼 수 있는 아량을 갖게 되였으면 좋겠습니다 나이는 먹고 세월은 흘러가도 스스로 ..

화학공정에서의 분진폭발 방지에 관한기술지침(P-131-2013)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VDI 2263 Dust fires and dust explosions, Hazards, assessment, protective measures, 2010 - Guidelines for Safe Handling of Powders & Bulk Solids, AIChE CCPS, 2005 - NFPA 654 Standard for the Prevention of Fire and Dust Explosions from the Manufacturing, Processing, and Handling of Combustible Particulate Solids, 2006 - 부유성 금속분진의 발화위험성 연구,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 연구원, 2012-연구원-920, 2012 화학..

폭발위험장소 구조물의 피뢰시스템에 관한 기술지침(E-126-2012)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IEC 62561-3: 2012 Lightning Protection System Components(LPSC)-Part 3: Requirements for isolating spark gaps(ISG) - IEC 62305-3: 2007: Annex: Additional information for LPS in the case of structures with a risk of explosion - AfK-Empfehlung Nr. 5 : 2010 Kathodischer Korrosionsschutz in Verbindung mit explosionsgefahrdeten Bereichen - KS B ISO 15589-1:2011: 석유 및 천연가스 산업-배관수송계통의 음극방식..

원인결과분석(CCA)기법에 관한기술지침(X-43-2011)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CCPS, Guideline for Hazard Evaluation Procedures, AIChE, New York, 2008 - KOSHA GUIDE X-1-2010, 리스크 관리의 용어 정의에 관한 지침 - KOSHA GUIDE P-8-2000, 사건수 분석기법 - KOSHA GUIDE P-4-2005, 결함수 분석기법 원인결과분석(CCA)기법에 관한기술지침(X-43-2011) 1. 목 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일반사항 5. 평가절차 6. 후속조치 1. 목 적 이 지침은 사업주가 수행하는 공정리스크 평가에 활용할 수 있는 기법 중 원인결과분석(CCA)에 관한 기술적 사항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2. 적용범위 이 지침은 원인결과분석에 의한 공정리스크 ..

설계 및 재설계 과정에서의 재해예방 기술지침(P-120-2012) [내부링크]

o 관련 규격 및 자료 - ANSI/ASSE Z590.3, "Prevention through Design-Guidelines for Addressing Occupational Hazards and Risk in Design and Redesign Precesses", 2011 - 기타 관련 KOSHA Guide : [부록 1] 참조 설계 및 재설계 과정에서의 재해예방 기술지침(P-120-2012) 1. 목적 2. 적용범위 3. 정의 4. 설계 및 재설계 시에 안전보건의 검토 필요성 5. 경영층의 역할 및 책임 6. 공급자와의 관계 7. 설계단계에서 안전 검토 7. 설계단계에서 안전 검토 8. 위험 분석 및 위험성 평가절차 9. 위험 분석 및 위험성 평가기법 10. 통제단계(Hierarchy of con..

화학설비 배관 등의 비파괴검사 및열처리에 관한 기술지침(D-10-2012)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KS B 0888 : 배관 용접부의 비파괴검사 방법 - ASME B 31.3 : Process piping o 관련법령․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56조 및 제277조의 규정에 의거 작성됨. 화학설비 배관 등의 비파괴검사 및열처리에 관한 기술지침(D-10-2012) 1. 목 적 2. 적용범위 3. 정의 4. 비파괴검사 적용대상 5. 비파괴검사 6. 열처리 1. 목 적 이 지침은 산업안전보건법(이하 “법”이라 한다)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이하 “안전보건규칙”이라 한다) 제256조(부식방지) 및 제277조(사용 전의 점검 등)의 규정에 의한 화학설비 배관의 내면 및 외면의 손상, 변형, 부식 등으로 인한 재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배관 등의 비파괴검사 및 후열..

위험성평가 실시를 위한 우선순위결정기술지침(P-8-2012) [내부링크]

o 관련 규격 및 자료 - KOSHA GUIDE (화학물질폭로영향지수(CEI) 산정지침) - ICI Process Safety Guide No. 5 (How to establish priorities between existing plants for detailed hazard studies) o 관련 법규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32조 (폭발 또는 화재 등의 예방) 위험성평가 실시를 위한 우선순위결정기술지침(P-8-2012) 1. 목 적 2. 적용범위 3. 정의 4. 중요도 선정 시 고려 요소 5. 우선순위 평가방법 6. 판단 훈련 1. 목 적 이 지침은 기존설비의 위험성평가를 실행할 때에 상세위험성평가 수행의 우선순위 선정에 도움을 주는데 목적이 있다. 일반적으로 상세위험성평가는 많은 시..

사업장의 방화문 및 내화창 안전관리(P-57-2012) [내부링크]

o 관련 규격 및 자료 - NFPA 80, "Standard for Fire Doors and Fire Windows", 1999 Ed., 1999 - NFPA 72, "National Fire Alarm Code", 1996 Ed., 1996 사업장의 방화문 및 내화창 안전관리(P-57-2012) 1. 목적 2. 적용범위 3. 정의 4. 방화문 5. 내화창 6. 유지 및 보수 1. 목적 이 지침은 사업장의 건물 내에서 화재가 발생 시 화재 및 연기의 확산을 방지하고, 건물에 설치된 벽과 바닥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화문과 내화창의 설치 및 유지·보수에 필요한 안전관리 기술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2. 적용범위 이 지침은 벽, 바닥 및 천장의 개구부에 설치되어 화재 및 연기가 건물 내·외로 확..

상압저장탱크의 설계에 관한 기술지침(D-35-2017) [내부링크]

ㅇ 관련규격 - 한국산업규격(KS B 6225) : “강재석유저장탱크의 구조” - 미국석유협회 기준 (API 620) : “Recommended rules for design and construction of large, welded, low pressure storage tanks” - 영국표준(BS 2654) : “Manufacture of vertical steel welded non-refrigerated storage tanks with butt-welded shells for the petroleum industry” - 영국ICI사 매뉴엘 : “Design guide for design and construction of vertical cylindrical steel welded stor..

보령해저터널 개통 안면도-보령 90분에서 10분으로, 국내 1위 세계 5위 해저터널 [내부링크]

하루에 7m 씩 11년 #보령해저터널 개통 안면도-보령 90분에서 10분으로 | 국내 1위 세계 5위 해저터널 12월1일 개통 [Live편집본] " 쇼카스트리밍 SHOWCAR 진짜 차를 좋아하는 채널" 유튜브 https://www.youtube.com/watch?v=xJ-HevFPolw ***************************************************************************************************************************** https://psm-safety-environment.tistory.com/ BK S&E 컨설팅 안전&환경 인허가 psm-safety-environment.tistory.com https://blo..

폭발 위험장소 양압외함에 관한 기술지침(E-72-2011)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NFPA 496 Stand for purged and pressurized enclosure for electrical equipment, 2008 edition - IEC(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60079-2 : Explosive Atmosphere-part2 : Equipment Protection by Pressured Enclosure "P", 2007-02 edition o 관련법규·규칙·고시 등 - NFPA 70E (NEC:National Electrical Code) Art.500, Art.505, Class1, Class2, Zone 1, and 2 Location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30조 및 ..

전선의 종류, 식별 등에 관한 기술지침(E-29-2021)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KS C IEC 60204-1 기계류의 안전성 - 기계류의 전기 장비 - 제1부: 일반 요구 사항 - KOSHA GUIDE 산업용 기계설비의 전기장치 설치에 관한 기술 기준 - 내선규정 대한전기협회 -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Standards 1910.305 Wiring methods - 한국전기설비규정(KEC)핸드북 o 관련법규․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편 제3장(전기로 인한 위험방지) 전선의 종류, 식별 등에 관한 기술지침(E-29-2021) 1. 목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전선의 종류 5. 도체의 식별 및 배치 1. 목적 이 지침은 전선에 대하여 정의를 명확히 함과 동시에 전기의 안전한 사용과 정비..

접지시스템의 정비에 관한 기술지침(E-32-2013)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안전보건기술지침(접지설비 계획 및 유지관리에 관한 기술지침) - NFPA 70B Recommended practice for electrical equipment maintenance CH 29(Grounding) - TTAS.KO-04.0026 접지저항 측정기술표준,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o 관련법규․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편 제3장(전기로 인한 위험방지) 접지시스템의 정비에 관한 기술지침(E-32-2013) 1. 목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접지의 기능 5. 부적절한 접지의 현상과 원인 6. 접지시스템 검사, 시험 및 감시 7. 접지 문제점 해결 1. 목적 이 지침은 접지시스템의 정비에 관한 기술적 사항을 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2...

액위 계측장치 설치에 관한 기술지침(E-110-2011) [내부링크]

ㅇ 관련규격 - 미국 API MPMS 3.6 : Measurement of liquid hydrocarons by hybrid tank measurement systems - 영국 BS 6739 : Code of practice for instrumentation in process control systems installation design and practice - API RECOMMENDED PRACTICE 551 (1993) - Instrument Engineers Handbook (Bela G. Liptak, 1982) - Applied Instrumentation in the Process Industries (W. G. Andrew and H. B. Williams, 1979) ㅇ 관련법..

회분식공정의 안전운전지침(P-89-2012) [내부링크]

o 관련규격 - 미국 CCPS : Guidelines for Engineering Design for Process Safety - 일본 중앙노동재해방지협회 : 뱃치프로세스의 안전 o 관련법규 - 산업안전보건법 제49조의2의 규정에 의거 작성됨. 회분식공정의 안전운전지침(P-89-2012) 제 1 장 일반사항 1. 목적 2. 적용범위 3. 정의 제 2 장 공정전반에 대한 안전대책 4. 제조공정의 위험성에 관한 조사 5. 설비적 안전대책 6. 관리적 안전대책 제3장 주요 공정별 안전대책 7. 원료 및 제품의 저장 8. 화학반응 9. 증류 10. 건조 11. 분쇄 제 1 장 일반사항 1. 목적 이 지침은 산업안전보건법 제49조2, 같은 법 시행령 33조의7 및 같은 법 시행규칙 130조의2의 규정에 의해 사..

압력계측장치의 설치에 관한 기술지침(E-93-2011) [내부링크]

o 관련규격 - KS B 5305 : 2008 부르동관 압력계 - KS B 5520 : 2004 격막식 압력계 o 관련법령․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73조(계측장치등의 설치) 압력계측장치의 설치에 관한 기술지침(E-93-2011) 1. 목 적 2. 적용범위 3. 정의 4. 압력계측장치의 특징과 선정 5. 탄성압력계의 선정 및 설치 시 유의사항 6. 액주압력계의 설치 시 유의사항 7. 그 밖의 사항 1. 목 적 이 지침은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이하 “안전보건규칙”이라 한다) 제273조(계측장치 등의 설치)에 따라, 화학설비 및 부속설비에 압력계측장치를 설치하는 경우의 기술적 사항을 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2. 적용범위 이 지침은 화학설비 및 부속설비 등에 압력계측장치를 설치하는..

유해․위험방지계획서 작성요령- 설비 및 기계 목록표- [내부링크]

유해․위험방지계획서 작성요령 - 설비 및 기계 목록표- -시행규칙 제120조제5호, 고시 제2012-10호 별표1제1호 및 별지 제4호서식 관련)- 설비 및 기계 목록표 설비․기계 번호 설비․ 기계명 명세 주요재질 전동기용량 () 소음치 (dB(A)) 방호장치의 종류 비고 ① 기재대상 : 동력으로 구동되는 모든 기계 및 고정설비에 대하여 작성 - 동력기계류 : 원심기, 펌프류, 압축기류, Fan류, 교반기류, 컨베이어, 원심기 등 - 고정설비류 : 저장탱크, 열교환기, 압력용기 등 - 하역운반기계류 : 지게차, 화물자동차 등 ② 설비․기계 번호 : P&ID 도면상의 장치번호 기계배치도상의 번호 또는 작업장내 고유번호 등을 기재. 특별한 번호가 없을 시는 일련번호 기재 ③ 기계류 명세 : - 펌프류: 용..

유해위험방지계획서에서 "건축물 각 층의 평면도 및 입면도" 포함 내용 [내부링크]

유해위험방지계획서에서 "건축물 각 층의 평면도 및 입면도" 포함 내용 근거 :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제121조제1항제1호 관련 1. 건축물 각 층의 평면도 1) 심사대상 설비의 공장 내부 배치를 알 수 있도록 전체 배치도를 포함하고, 심사 대상 설비가 위치하는 장소의 건축물 평면도 및 입면도를 각 층별로 아래 사항 포함 (1) 전체 배치도 ① 포함될 내용 - 각종 건물 및 설비의 위치 - 건물과 건물 사이의 거리 - 건물과 단위 공정설비간의 거리 - 단위공정 설비간의 거리 - 단위공정설비와 플레어스택 간의 거리 - 중앙제어실과 단위공정설비간의 거리 ② 안전거리(안전보건규칙 제271조 별표8) 구 분 안전거리 1. 단위공정시설 및 설비로부터 다른 단위공정시설 및 설비 1. 설비의 외면으로부터 10m 이상..

건조설비 설치에 관한 기술지침(P-71-2012) [내부링크]

o 관련규격 - NFPA 86 : Standard for ovens and furnaces - BS 5410 : Code of practice for oil firing ; Part 3 Installations for furnaces, kilns, ovens and other industrial purposes - FM : Industrial ovens and dryers - KS B 6110(2003) 공업용 연소로의 안전 통칙 건조설비 설치에 관한 기술지침(P-71-2012) 1. 목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건조설비의 구조 5. 덕트 6. 댐퍼 7. 가연성가스의 제거 8. 배기설비 등 9. 온도조절 및 경보장치 10. 긴급차단장치 11. 폭발구 12. 컨베이어 13. 버너 ..

가스시설 및 가스배관의 내진설계·성능확인 세부기술기준 개정(안) [내부링크]

가스시설 및 가스배관의 내진설계·성능확인 세부기술기준 개정(안) 1. 개정사유 ㅇ 내진성능확인 기준지진 설정시, 사용목표수명*과 설계수명**에 대한 규정미비로 지진세기 적용에 혼란 발생 * 사용목표수명: 사업자가 해당시설에 대해 설정한 잔존사용연한 ** 설계수명: 시설물 설계단계에서 목표로 설정한 내구수명연한 - 교량, 터널 등 타 시설물 성능확인기준 개정으로 사용목표수명에 따른 지진세기 감소규정 삭제 * 국토부 소관시설물 교량(2019.10.25.), 터널(2020.6.30.) 등 개정조치 완료 ㅇ 소규모 가스저장탱크 내진설계 신뢰도 향상 및 중소사업자 업무편의를 위해 내진설계 표준도 제공 - (신뢰도 향상) 전문학회를 통해 내진성능이 검증된 도면 제공 - (사업자 지원) 내진 표준도 활용시 내진설계 ..

작업자 실수분석 기법에 관한 기술지침(P-90-2012) [내부링크]

o 관련규격 - 미국화학공정안전센터 (CCPS : Center for Chemical Process Safety)의 Guidelines for preventing human error in process industries - 영국화학공학회 (IChemE : Institution of Chemical Engineers)의 Human behavior and human error - KOSHA GUIDE (사고유발요인 파악 모델 사용지침) ㅇ 관련법규 - 산업안전보건법 제49조의2(공정안전보고서의 제출 등) - 산업안전보건법 시행령 제33조의7(공정안전보고서의 내용) -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제130조의2(공정안전보고서의 세부내용 등) 작업자 실수분석 기법에 관한기술지침(P-90-2012) 1. 목 적 2..

공정안전성 분석(K-PSR)기법에 관한기술지침(P-111-2012) [내부링크]

관련규격 및 자료 - PHR기법(영국 ICI사) 관련법령․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법』 제 49조의2 (공정안전보고서 제출 등) 공정안전성 분석(K-PSR)기법에 관한기술지침(P-111-2012) 1. 목적 2. 적용범위 3. 정의 4. 공정안전성 평가절차 5. 평가수행 1. 목적 이 지침은 「산업안전보건법」 제49조의2(공정안전보고서의 제출 등)』 ,「동법시행령」 제33조의7(공정안전보고서의 내용) 및 「같은 법 시행규칙」 제130조의 2(공정안전보고서의 세부내용 등) 규정에 의하여 사업주가 수행하여야 할 공정위험성평가에 활용할 수 있는 기법 중 공정안전성 분석기법에 관한 기술적 내용을 정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2. 적용범위 이 지침은 화학공장의 연속식 공정과 회분식 공정의 안전성을 평가하는..

고압가스시설 등의 검사수수료 및 교육비 기준(산업통상자원부고시 제2019-92호) [내부링크]

고압가스시설 등의 검사수수료 및 교육비 기준 산업통상자원부고시 제2019-92호 고압가스안전관리법(이하 "법"이라 한다) 제34조제2항의 규정에 의한 검사수수료 및 교육비 기준을 다음과 같이 정한다. 1. 검사수수료 및 교육비 등은 별표와 같다. 다만, 법제34조제2항제5호의 규정에 의하여 전문검사기관이 받는 수수료는 검사기관과 검사신청인이 협의하여 정할 수 있다. 2. 〈삭제 99.8.5〉 3. 〈삭제 12.4.19〉 4. 〈삭제 99.8.5〉 5. 수수료 및 교육비는 신청시 현금 또는 정보통신망을 이용한 전자화폐․전자결재 등의 방법으로 납부하고, 고압가스의 품질검사 수수료의 경우에는 시료채취가 완료된 날부터 10일 이내에 납부하며, 납부한 수수료 및 교육비는 반환하지 아니한다. 다만, 다음 각호에 의..

염산 및 질산의 탱크 저장에 관한기술지침(P-59-2012) [내부링크]

o 관련 규격 및 자료 - HSG 235, "Bulk storage of acids - Guidance on the storage of hydrochloric acid and nitric acid in tanks", 2003 염산 및 질산의 탱크 저장에 관한기술지침(P-59-2012) 1. 목적 2. 적용범위 3. 정의 4. 위험성 평가 5. 설비의 설계 등 6. 표지 및 개인 보호구 7. 설비의 유지보수 및 교육 훈련 8. 비상조치 1. 목적 이 지침은 사업장에서 염산 및 질산을 탱크에 저장·취급하는데 필요한 사항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2. 적용범위 이 지침은 사업장에서 염산 및 질산을 탱크에 저장·취급하는 경우에 적용한다. 3. 정의 (1) 이 지침에서 사용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

[공정안전보고서] "배관 및 개스킷 명세" 작성방법 [내부링크]

[공정안전보고서] "배관 및 개스킷 명세" 작성방법 1. 분류코드 : P&ID상의 재질 기호로 기입 - 사용하는 배관의 종류가 많지 않고, 설계조건(압력, 온도)이 유사한 경우에는 분류코드를 사용하는 대신에 해당배관에 직접 배관의 재질을 표시하고, 플랜지 규격 등을 P&ID의 Note에 표시하는 등의 방법으로 작성할 수 있음 - 배관의 표시 예 : 50A-CW(유체명)-A53B(재질)-1001(배관관리번호: 생략 가능)-H(50). 배관의 플랜지는 Note에 KS/JIS 10 k로 표시 ※ 배관을 적절히 관리할 수 있는 경우(설비와 설비 사이의 배관 등과 같이 관리하는 등)에는 배관관리번호를 생략할 수 있음 2. 유체의 명칭 또는 구분 : P&ID상의 유체명칭 기호와 유체 상태 기입 - 약어로 표시되는 ..

분진폭발 위험장소 설정에 관한기술지침(E-99-2013) [내부링크]

o 관련규격 - KS C IEC 61241-10(분진방폭 전기기계·기구 - 제10부 : 폭발위험장소) - KS C IEC 61241-14(분진방폭 전기기계·기구 - 제14부 : 선정 및 설치) - IEC 60079-10-2(Explosive atmospheres - Part 10-2 : Classification of areas - Combustible dusts atmospheres) o 관련 법규․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30조(폭발위험이 있는 장소의 설정 및 관리), 제311조(폭발위험장소에서 사용하는 전기 기계·기구의 선정 등) 분진폭발 위험장소 설정에 관한기술지침(E-99-2013) 1. 목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분진폭발 위험장소의 설정 5. 분진폭..

변전실 등의 양압유지에 관한 기술지침(E-98-2011) [내부링크]

o 관련규격 - 미국 화재보험협회 규격(NFPA 496) - 2003 : Standard for purged and pressurized enclosures for electrical equipment - 2003 edition - 국제전기기술위원회 보고서(IEC Report 79-13) : Construction and use of rooms or buildings protected by pressurization o 관련법령․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편 제3장(전기로 인한 위험방지) 변전실 등의 양압유지에 관한 기술지침(E-98-2011) 1. 목적 2. 적용범위 3. 정의 4. 양압설비의 종류 5. 양압설비의 설계 및 설치 6. 보호장치 7. 전원투입 8. 양압실패시 조치내용 ..

온도계측장치의 설치에 관한 기술지침(E-90-2011) [내부링크]

o 관련규격 - 미국 ISA의 Standard and practices for instrumentation, 1983 - KS A 0514 : 충만식 온도계 및 바이메탈식 온도계에 의한 온도측정방법, 2005 o 관련법령․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73조(계측장치 등의 설치) 온도계측장치의 설치에 관한 기술지침(E-90-2011) 1. 목 적 2. 적용범위 3. 정의 4. 온도계측장치의 특징과 선정 5. 보호관 1. 목 적 이 지침은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이하 “안전보건규칙”이라 한다) 제273조(계측장치 등의 설치)의 규정에 따라 화학설비 및 부속설비에 온도계측장치를 설치하는 경우의 기술적 사항을 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2. 적용범위 이 지침은 화학설비 및 부속설비에 온도계측..

산업안전보건법에서의 위험물질의 종류 [내부링크]

산업안전보건법에서의 위험물질의 종류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별표 1] - 위험물질의 종류(제16조·제17조 및 제225조 관련) - 1. 폭발성 물질 및 유기과산화물 가. 질산에스테르류 나. 니트로화합물 다. 니트로소화합물 라. 아조화합물 마. 디아조화합물 바. 하이드라진 유도체 사. 유기과산화물 아. 그 밖에 가목부터 사목까지의 물질과 같은 정도의 폭발 위험이 있는 물질 자. 가목부터 아목까지의 물질을 함유한 물질 2. 물반응성 물질 및 인화성 고체 가. 리튬 나. 칼륨·나트륨 다. 황 라. 황린 마. 황화인·적린 바. 셀룰로이드류 사. 알킬알루미늄·알킬리튬 아. 마그네슘 분말 자. 금속 분말(마그네슘 분말은 제외한다) 차. 알칼리금속(리튬·칼륨 및 나트륨은 제외한다) 카. 유기 금속화합..

아크용접장치의 설치 및 사용에 관한기술지침(E-76-2013)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BS 638-7 Arc welding power sources, equipment and accessories - KS P 8142 용접용 보호면 - KS K ISO 11611 용접 및 관련 공정에서 사용하는 보호복 o 관련법규․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3장 제1절(전기기계․ 기구 등으로 인한 위험방지) 제306조(교류아크용접기 등) 아크용접장치의 설치 및 사용에 관한기술지침(E-76-2013) 1. 목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일반 요구사항 5. 전기회로 6. 일반 안전 7. 감전재해 위험성이 높은 환경에서의 용접 작업 8. 교류 아크 용접 시 방호조치 1. 목적 이 지침은 아크용접장치에 의한 감전 및 화재 등의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아..

수변전설비의 설치와 유지관리에 관한기술지침(E-60-2012) [내부링크]

[ BK S&E 컨설팅 ] o 관련규격 및 자료 - NESC 12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of Equipment o 관련법규․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편 제3장(전기로 인한 위험방지) 수변전설비의 설치와 유지관리에 관한기술지침(E-60-2012) 1. 목 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전기설비 검사 시 요구사항 5. 보호접지 6. 충전부 보호 7. 전기설비와 관련된 작업공간 8. 활선작업 및 장비 9. 특수장소 10. 명판 1. 목 적 이 지침은 수변전실 전기설비의 설치와 유지관리에 있어서 작업하는 근로자의 안전한 작업을 위하여 필요한 기술적 사항을 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2. 적용범위 이 지침은 수변전실 전기설비에 적용한다. 3. 용어..

유량계측장치의 설치에 관한 기술지침(E-45-2012)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미국 ISA의 Practices(Flow) - Flow Measurement Engineering Handbook by R. W. Miller - KOSHA GUIDE E-93-2011(압력계측장치의 설치에 관한 기술지침) o 관련법규․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73조(계측장치 등의 설치) 유량계측장치의 설치에 관한 기술지침(E-45-2012) 1. 목 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유량계의 선정 5. 유량계의 설치 시 유의사항 1. 목 적 이 지침은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이하 “안전보건규칙”이라 한다) 제273조(계측장치 등의 설치)의 규정에 의하여 화학설비 및 부속설비에 설치하는 유량계측 장치(이하 “유량계”라 한다)의 설치에 관한..

비상전원의 선정 및 설치에 관한기술지침(E-84-2016) [내부링크]

ㅇ 관련규격 - NFPA 110 : Standard for emergency and standby power systems - NFPA 111 : Standard on stored electrical energy emergency and standby power systems - 옥내소화전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2) 제8조(전원) - 전기설비기술기준 제48조(비상용 예비전원의 시설) - 안전보건기술지침 (비상설비 구동용 엔진의 보수유지에 관한 기술지침) - IEE Std 242-2001 : General Protection Chapter 12 ㅇ 관련법규·규칙·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 308조(비상전원) 비상전원의 선정 및 설치에 관한기술지침(E-84-2016) 1. 목적 2..

양압 및 환기에 의한 변전실 등의 방폭 기술지침(E-174-2018)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IEC(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Part 13: Equipment protection by pressurized room "p" and artificially ventilated room "v“ o 관련법규·규칙·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312조(변전실 등의 위치) 양압 및 환기에 의한 변전실 등의 방폭 기술지침(E-174-2018) 1. 목적 2. 적용 범위 3. 용어의 정의 4. 실의 요구사항 5 청정 공기 공급 6. 양압실 요구사항 7. 강제환기실의 요구사항 8. 표시 9. 매뉴얼 등 1. 목적 이 지침은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312조(변전실 등의 위치)에 의거, 변전실 등의 내부 전기설비의 폭발..

통합환경허가 소개 [내부링크]

----------------------------------------------------------------------------------------------------------------------- ---------------------------------------------------------------------------------------------------------------- ------------------------------------------------------------------------------------------------------------------- -------------------------------------------------..

통합환경관리계획서 작성요령(2020.3) [내부링크]

출처:통합환경허가시스템 [첨부파일] 통합환경관리계획서작성요령(2020)

안전인증·자율안전확인신고의 절차에 관한 고시(고용노동부 제2021-21호) [내부링크]

안전인증·자율안전확인신고의 절차에 관한 고시 [시행 2021. 3. 11.] [고용노동부고시 제2021-21호, 2021. 3. 11., 일부개정.] 고용노동부(산업안전과), 044-202-7733 제1장 총칙 제1조(목적) 이 고시는「산업안전보건법」제83조부터 제92조까지, 「산업안전보건법 시행령」제74조 및 제77조,「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제107조부터 제123조까지의 규정에 따른 안전인증과 자율안전확인의 신고 등과 관련하여 위임된 사항과 그 시행에 필요한 사항을 규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2조(적용범위) ① 「산업안전보건법 시행령」(이하 "영"이라 한다) 제74조제2항에 따라 고용노동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안전인증대상기계등의 세부적인 종류, 규격 및 형식은 별표 1과 같다. ② 영 제77조제..

산재예방보상정책국 최근 7년간 질의회신 목록(2013년~2019년3월) [내부링크]

[첨부자료] 산재예방보상정책국 최근 7년간 질의회신 목록(2013년~2019년3월)

고용노동부 산재예방정책과 질의회신 내용 (기간 :2007.∼2020.7월) [내부링크]

고용노동부 산재예방정책과 질의회신 내용 (기간 :2007.∼2020.7월) < 차 례> 1. 정의 규정 관련 2. 법 적용범위 등 3. 산업재해 발생건수 등의 공표 4. 안전보건관리책임자 5. 관리감독자 6. 안전·보건관리자 7. 명예산업안전감독관 8. 산업안전보건위원회 9. 안전보건교육 10. 위험성평가 11. 안전·보건조치 등 12. 산업재해 발생 은폐 금지 및 보고 등 13. 도급인의 안전조치 및 보건조치 14. 산업안전보건 감독 등 15. 보칙 및 벌칙 16. 기타 질의회신 [첨부자료] 고용노동부 산재예방정책과 질의회신 내용 (기간 :2007.∼2020.7월)

엔지니어링 용어 [내부링크]

엔지니어링 용어 입찰 단계 ITB : Invitation to Bid 입찰안내서 RFQ : Reequest For Quotation 견적요청서 URS : User Requirements Specification 사용자 요구사양 ERS : Equipment Requirements Specification 설비 요구 사항 PQ : Prequalification 입찰이나 제안서의 제출을 위한 참가자의 자격을 사전 조사 PQ evaluation : 각 계약자로부터 제출된 자격조사용 서류를 평가하여 계약자를 선별 Clarification : 입찰전에 입찰상정자가 입찰서류에 대한 의문점등을 고객에게 질문하여 명확화하는것 Bid evaluation : 제출된 입찰의 내용을 비교검토하고 발주자를 결정하기까지 분석,평가..

산업안전보건법 시행령[별표13]-유해ㆍ위험물질 규정량(제43조제1항 관련)- [내부링크]

산업안전보건법 시행령 [별표 13] 유해ㆍ위험물질 규정량(제43조제1항 관련) 번호 유해ㆍ위험물질 CAS번호 규정량(kg) 1 인화성 가스 - 제조ㆍ취급: 5,000(저장: 200,000) 2 인화성 액체 - 제조ㆍ취급: 5,000(저장: 200,000) 3 메틸 이소시아네이트 624-83-9 제조ㆍ취급ㆍ저장: 1,000 4 포스겐 75-44-5 제조ㆍ취급ㆍ저장: 500 5 아크릴로니트릴 107-13-1 제조ㆍ취급ㆍ저장: 10,000 6 암모니아 7664-41-7 제조ㆍ취급ㆍ저장: 10,000 7 염소 7782-50-5 제조ㆍ취급ㆍ저장: 1,500 8 이산화황 7446-09-05 제조ㆍ취급ㆍ저장: 10,000 9 삼산화황 7446-11-09 제조ㆍ취급ㆍ저장: 10,000 10 이황화탄소 75-15-0..

사고시나리오에 따른 비상대응계획 작성에 관한 기술지침(P-163-2017) [내부링크]

O 관련 규격 및 자료 - KOSHA GUIDE P-101, “비상조치계획 수립에 관한 기술지침” - KOSHA GUIDE P-146, “소규모 화학공장의 비상조치계획 수립에 관한 기술지침” - KOSHA GUIDE P-102, “사고피해예측 기법에 관한 기술지침” - KOSHA GUIDE P-4, “공장건물의 위험관리에 관한 기술지침” - KOSHA GUIDE P-107, “최악 및 대안의 누출 시나리오 선정에 관한 기술지침” - Center for Chemical Process Safety(CCPS), “Guidelines for Chemical Process Quantitative Risk Analysis”, 1987 사고시나리오에 따른 비상대응계획 작성에 관한 기술지침(P-163-2017) [목 ..

최악 및 대안의 누출 시나리오 선정에 관한 기술지침(P-107-2016)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미국 환경보호청(EPA), "Risk Management Programs(RMP)" - 미국 환경보호청(EPA), “Acute Exposure Guideline Level(AEGL)" - 미국 에너지부(DOE), "Temporary Emergency Exposure Limit(TEEL)" - KOSHA GUIDE P-92-2012, "누출원 모델링에 관한 기술지침" - KOSHA GUIDE P-110-2012, "화학공장의 피해최소화 대책수립에 관한 기술지침" - API RP 581, "Risk-Based Inspection Technology)", 2008 최악 및 대안의 누출 시나리오 선정에 관한 기술지침(P-107-2016) [목 차] 1. 목 적 2. 적용범위 3. 용..

"2020 엔지니어링 임금실태조사결과 공표" 자료 [내부링크]

[첨부파일] "2020 엔지니어링 임금실태조사결과 공표" 자료

엔지니어링사업대가의 기준 [내부링크]

엔지니어링사업대가의 기준 [시행 2019. 1. 28.] [산업통상자원부고시 제2019-20호, 2019. 1. 28., 일부개정.] 산업통상자원부(엔지니어링디자인과), 044-203-4509 제1장 총칙 제1조(목적) 이 기준은 「엔지니어링산업 진흥법」 제31조제2항에 따라 엔지니어링사업의 대가의 기준을 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2조(적용) ① 「엔지니어링산업 진흥법」(이하 "법"이라 한다) 제2조제4호에 따른 엔지니어링사업자(이하 "엔지니어링사업자"라 한다)가 같은 법 제2조제7호 각 목 및 시행령 제5조의 각 호의 자(이하 "발주청"이라 한다)로부터 엔지니어링사업을 수탁할 경우에는 이 기준에 따라 엔지니어링사업대가(이하 "대가"라 한다)를 산출한다. ② 제1항에도 불구하고 엔지..

사고피해예측기법에 관한 기술지침(P-102-2012) [내부링크]

o 관련 규격 및 자료 - Consequence Analysis of Chemical Release(미국 CCPS) - Guidelines for Evaluating the Characteristics of Vapor Cloud Explosions, Flash Fires, and BLEVEs(미국 CCPS) - Chemical Process Quantitative Risk Analysis(미국 CCPS) - Consequence Assessment & Mitigation(미국 CCPS) - ILO Major hazard Control : A Practical Manual - API 521 - Loss Prevention in Process Industries(Frank Lees) - Use of Vapo..

누출원 모델링에 관한 기술지침(P-92-2012) [내부링크]

o 관련규격 - 미국 CCPS의 "Guidelines for consequence analysis of chemical release" - 미국 AIChE의 "Consequence Assessment and Mitigation" o 관련법규 - 산업안전보건법 제49조의2, 같은 법 시행령 제33조의7, 같은 법 시행규칙 제130조의 2 누출원 모델링에 관한 기술지침(P-92-2012) 1. 목적 2. 적용범위 3. 정의 4. 누출원인 및 상태 5. 누출원의 면적 6. 화학설비에서 누출되는 경우 7. 배관에서 누출되는 경우 1. 목적 이 지침은 산업안전보건법 제49조의 2, 같은 법 시행령 제33조의 7, 같은 법 시행규칙 제130조의 2의 규정에 의하여 공정위험성 평가시 화재·폭발, 누출과 같은 사고..

화학물질폭로영향지수(CEI) 산정지침(P-91-2012) [내부링크]

o 관련규격 - 미국 화학공학회(AIChE) 기술지침 o 관련법규 - 산업안전보건법 제49조의2(공정안전보고서의 제출 등) -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제130조의2(공정안전보고서의 세부내용 등) 화학물질폭로영향지수(CEI) 산정지침(P-91-2012) 1. 목 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계산절차 5. 누출시나리오별 누출량 산출방법 6. 비상대응계획 수립지침(ERPG) 농도 7. 대기 확산량 계산 8. 화학물질폭로영향지수 9. 위험거리 10. 화학물질폭로영향지수 요약서 1. 목 적 이 지침은 산업안전보건법 제49조의 2, 같은 법 시행규칙 제130조의 2 규정에서 정하고 있는 위험성평가기법의 하나인 상대위험순위결정기법 중 독성화학물질의 누출사고로 인하여 사업장 및 주변 사업장의 근로자와 ..

사고피해영향 평가에 관한 기술지침(P-88-2012) [내부링크]

o 관련규격 - CCPS : Guideline for Chemical Process Quantitative Risk Analysis - 캠브리지대학교 : Probit Analysis 사고피해영향 평가에 관한 기술지침(P-88-2012) 1. 목 적 2. 적용범위 3. 정의 4. 사고영향 평가 절차 5. 화재시 피해영향 산정 6. 폭발시 영향 산정 7. 독성물질 누출시 영향 산정 1. 목 적 이 지침은 산업안전보건법 제49조의 2(공정안전보고서의 제출 등), 동법 시행령 제33조의 7(공정안전보고서의 내용) 및 동법 시행규칙 제130조의 2(공정안전보고서의 세부내용 등)의 규정에 의한 중대산업사고예방을 위하여 사업장에서 사고피해영향을 평가하는데 필요한 사항을 정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2. 적용범위 산..

High-integrity pressure protection system(HIPPS) [내부링크]

High-integrity pressure protection system(HIPPS) A high-integrity pressure protection system (HIPPS) is a type of safety instrumented system (SIS) designed to prevent over-pressurization of a plant, such as a chemical plant or oil refinery. The HIPPS will shut off the source of the high pressure before the design pressure of the system is exceeded, thus preventing loss of containment through rup..

플레어시스템의 설계·설치 및 운전에관한 기술지침(D-59-2020) [내부링크]

o 관련 규격 및 자료 - API STD 520, “Sizing, Selection and Installation of Pressure-relieving Devices”, Part Ⅰ - Sizing and Selection, 9th Ed, 2014 - API STD 521, “Pressure– relieving and Depressuring Systems”, 6th Ed, 2014 - IChemE, “Relief System Handbook”, 1992 - Flour Engineering Manual, “Pressure Relieving System” - ICI Process SHE Guide No. 8, “Discharge and Disposal System Design” - ASME B31.3, “..

화학설비의 재질선정에 관한 기술지침(D-15-2012) [내부링크]

o 관련규격 - KS B 6750(압력용기-설계 및 제조일반) - 국내․ 외 엔지니어링 - API, ASME, NACE 등 o 관련법령․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56조(부식 방지) 화학설비의 재질선정에 관한 기술지침(D-15-2012) - 목 차 - 1. 목적 2. 적용범위 3. 정의 4. 재질 선정 기준 5. 재료의 검사 1. 목적 이 지침은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이하 "안전보건규칙"이라 한다) 제256조(부식방지)의 규정에 따라 화학설비 등에 사용하는 재질에 대하여 규정함으로서 사업주가 이를 활용하여 재질의 부식 등으로 인한 위험물질의 누출을 방지하고 누출로 인한 폭발․ 화재 등을 사전에 예방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2. 적용범위 이 지침은 안..

서어징(Surging) 현상 [내부링크]

서어징(Surging) 현상 1. 개요 터빈펌프, 압축기, 송풍기 등을 저유량 영역에서 사용하면 압력, 유량이 주기적으로 변동하여 정상적인 운전이 불가능하게 되는 것을 말한다. 2. 서어징 현상 ⑴ 서어징현상은 압력, 유량 변동으로 진동, 소음 등이 발생하며 장시간 계속되면 유체관로를 연결하는 기계나 장치 등의 파손을 초래한다. ⑵ 펌프의 경우 입구 및 출구의 진공계 또는 압력계의 침이 흔들리고 동시에 송출 유량이 변동하는데 이것을 외관적 현상이라 한다. 즉, 송출유량과 송출압력 사 이에 주기적인 변동이 생기는 것을 말한다. ⑶ 서어징 현상은 관로계가 복잡한 펌프의 장치 등에 주로 발생하며 송출유량을 조절하는 설치개소의 유무에 따라 관련이 있다. 3. Surging 발생원인 ⑴ 펌프의 양정곡선이 저(..

원심펌프의 최소유량 선정 및 펌프 설치 등에 관한 기술지침(D-64-2018) [내부링크]

o 관련 규격 및 자료 - API Std 610, “Centrifugal Pumps for Petroleum, Petrochemical and Natural Gas Industries”, 2010 - KS B 6889, “석유, 중화학 및 가스 산업용 원심 펌프-기본 설계”, 2001 - O.W. Woodside, “Protect Centrifugal Pumps From Low Flows”, 1995 - KOSHA GUIDE D-52, “배관계통의 공정설계에 관한 기술지침” - KOSHA GUIDE D-37, “화학설비 등의 공정설계에 관한 기술지침” - KOSHA GUIDE D-5, “화학공정의 시스템 디자인 크라이테리어(System design criteria)에 관한 기술지침” - M270, PDH..

비파괴검사 관련 법규 및 규정 [내부링크]

비파괴검사 관련 법규 및 규정 [ 산업안전보건법 ] 화학설비 배관 등의 비파괴검사 및 열처리에 관한 기술지침(D-10-2012) 관련규격 및 자료 - KS B 0888 : 배관 용접부의 비파괴검사 방법 - ASME B 31.3 : Process piping 관련법령․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56조 및 제277조의 규정에 의거 작성됨. 1. 목 적 이 지침은 산업안전보건법(이하 “법”이라 한다)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이하 “안전보건규칙”이라 한다) 제256조(부식방지) 및 제277조(사용 전의 점검 등)의 규정에 의한 화학설비 배관의 내면 및 외면의 손상, 변형, 부식 등으로 인한 재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배관 등의 비파괴검사 및 후열처리에 필요한 사항을 정하는..

안전밸브와 파열판 직렬설치에 관한 기술지침(D-67-2020) [내부링크]

o 관련 규격 및 자료 - KOSHA GUIDE D-18-2017, 안전밸브 등의 배출용량 산정 및 설치 등에 관한 기술지침 - KOSHA GUIDE D-26-2012, 공정용 안전밸브의 기술지침 - KOSHA GUIDE D-18-2017, 안전밸브 등의 배출용량 산정 및 설치 등에 관한 기술지침 - KS B 6750 “압력용기 – 설계 및 제조일반 ”, 2012 (2017확인) - ISO 4126-3, “Safety devices for protection against excessive pressure Part 3: Safety valves and bursting disc safety”, 2006 - ASME Section VIII, Division 1. 2019 Edition 안전밸브와 파열판 직렬..

안전밸브의 분출압력 및 시트기밀 시험에 관한 기술지침(D-66-2020) [내부링크]

o 관련 규격 및 자료 - API Recommended Practice 576 2nd Edition, “Inspection of Pressure-Relieving Device”, December 2000 - API Standard 527 4rd Edition, “Seat Tightness of Pressure Relief Valves”, July 2014 - API RP 520 7th, Sizing, “Selection, and Installation of Pressure-Relieving Devices in Refineries. Part I. Sizing and Selection”, January 2000 - KS B 6216, “증기용 및 가스용 스프링 안전밸브”, 1998 - KS B 6750, “..

안전밸브 배출배관의 설계에 관한 기술지침(D-63-2018) [내부링크]

o 관련 규격 및 자료 - API Std 520, “Sizing, Selection, and Installation of Pressure-Relieving Devices in Refineries”, 2008 - API Std 521, “Pressure-relieving and Depressuring Systems”, 2014 - M112, PDH Online, “Selection and Sizing of Pressure Relief Valves”, Randall W. Whitesides, 2008 - M270, PDH Online, “Selecting the Optimum Pipe Size”, Randall W. Whitesides, 2012 - ASHRAE Std 15, American Society ..

파열판의 크기 산정 및 설치 등에 관한 기술지침(D-50-2012)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ISO 4126-6 - API 521 o 관련법규,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법」 제27조 (기술상의 지침 및 작업환경의 표준)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61조 (안전밸브 등의 설치) 파열판의 크기 산정 및 설치 등에 관한 기술지침(D-50-2012) 1. 목적 2. 적용범위 3. 정의 4. 파열판 크기의 산정 5. 파열판 설치 배관의 크기, 재질 등 6. 파열판 설치기준 7. 파열판의 성능허용오차 8. 파열압력의 최대 허용치 및 최소 허용치 1. 목적 이 기준은 「산업안전보건법」 제27조 및「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61조에 따라 화학설비 및 그 부속설비에 설치하는 파열판의 크기 산정 및 설치 등에 관한 기술기준을 정하는데 있다. 2. 적용범위..

열팽창용 안전밸브의 기술지침(D-31-2012)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API RP 520 및 521 - BS 6759 - ICI CODE PSG No.8 o 관련법규․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61조(안전밸브 등의 설치) 열팽창용 안전밸브의 기술지침(D-31-2012) 1. 목 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설치대상 및 설치위치 5. 배출용량 및 크기 6. 설정압력 7. 선정 8. 배출물질의 처리 1. 목 적 이 지침은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이하 “안전보건규칙”이라 한다) 제261조(안전밸브 등의 설치)의 규정에 의거 열팽창용 안전밸브의 설치 등에 관한 기술적 사항을 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2. 적용범위 이 지침은 액체를 취급하는 배관에 설치하는 열팽창용 안전밸브의 설치대상, 배출용량, 크기, 설정압력..

공정용 안전밸브의 기술지침(D-26-2012)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API 526 및 API RP520 - BS 6759 Part 1, 2, 3 - ISO 4126-1 공정용 안전밸브의 기술지침(D-26-2012) 1. 목 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오리피스의 명칭별 면적 5. 안전밸브의 규격 6. 안전밸브의 최대 설정압력 7. 오리피스 크기의 산정 8. 초과압력의 산정 9. 사용재질 10. 설정압력의 허용 오차 1. 목 적 이 기준은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이하 “안전보건규칙”이라 한다) 제261조(안전밸브 등의 설치)의 규정에 의하여 화학설비 및 그 부속설비에 설치하는 안전밸브에 대한 기술적 사항을 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2. 적용범위 이 기준은 화학설비 및 그 부속설비에 설치되는 안전밸브로서 설정압력이 게이지 압력으로..

안전밸브 등의 배출용량 산정 및 설치 등에 관한 기술지침(D-18-2020) [내부링크]

관련 규격 및 자료 - API STD 520, “Sizing, Selection and Installation of Pressure-relieving Devices”, Part Ⅰ - Sizing and Selection, 9th Ed, 2014 - API STD 520, “Sizing, Selection and Installation of Pressure-relieving Devices”, Part Ⅱ - Installation, 6th Ed, 2015 - API STD 521, “Pressure– relieving and Depressuring Systems”, 6th Ed, 2014 - NFPA30, “Flammable and Combustible Liquids Code”, 2..

PSV 설치 안내서(PSV Installation Guide) [내부링크]

PSV 설치 안내서(PSV Installation Guide) 1. PSV normally be installed close to protected equipment. The safety valve is installed for protecting the equipment, so that the closer to the equipment is better. For example, from safety point of view, to install the PSV directly at vessel is better than at line outlet vapor. 1. PSV는 일반적으로 보호 장치 가까이에 설치된다. 장치를 보호하기 위해 안전 밸브가 설치되어 장치에 가까울수록 좋다. 예를 들어 안전 관점에서..

배관계통의 공정설계에 관한 기술지침(D-52-2013) [내부링크]

O 관련 규격 및 자료 - CCPS, “Guideline for Engineering Design for Process Safety”, 1993 - Chemical Engineering Magazine, “Process Piping Systems”, McGraw Hill Pub. Co., USA, 1980, - ASME Code B31.3, “Chemical Plant and Petroleum Refinery Piping” - CCPS, “Guideline for Design Solution for Process Equipment Failure”, 1994 배관계통의 공정설계에 관한 기술지침(D-52-2013) 1. 목적 2. 적용범위 3. 정의 4. 공정서비스의 범위 5. 재료의 사용 제한 6. 유속의..

배관두께 계산 및 검사 기술지침(M-115-2013)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ASME/ANSI B 31. 3(Process piping for chemical plants):석유화학공장 배관설계 지침 - ASME SEC. Ⅷ, DIV. 1(Pressure vessels) Part UG : 압력용기 기술지침 o 관련 법규․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편 제2장 제4절 제256조(부식방지) 배관두께 계산 및 검사 기술지침(M-115-2013) 1. 목 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배관두께 결정 절차 5. 배관두께 계산 방법 6. 배관두께 검사 1. 목 적 이 지침은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이하 “안전보건규칙”이라 한다) 제2편 제2장 제4절 제256조(부식방지)의 규정에 따라 화학설비의 부속설비인 배관의 두께..

배관재질 선정에 관한 기술지침(D-41-2017) [내부링크]

o 이 코드는 다음을 참조하여 작성 - 국내․ 외 엔지니어링사 표준 배관재질 선정에 관한 기술지침(D-41-2017) 1. 목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재질사양 5. 재질선정 6. 재질별 일반기준 7. 플랜지 및 개스킷 선정기준 1. 목적 유해․ 위험물질의 누출로 인한 화재․ 폭발 및 중독 등을 예방하기 위하여 유해․ 위험물질 등의 종류, 온도, 부식성 등에 적합한 배관, 플랜지 및 개스킷 등배관 재질사양 선정에 필요한 사항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2. 적용범위 이 지침은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이하 “안전보건규칙”이라 한다) 별표7 “화학설비 및 그 부속설비의 종류” 중 제2호 "가"항의 배관․ 밸브․ 관․ 부속류 등 화학물질 이송관련 설비(이하 "배관류" 라 한다)에 적..

플랜지 및 개스킷 등의 접합부에관한 기술지침(D-9-2016)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KS B1501 및 B1503 - 미국의 ASME/ANSI B 16.5 및 B 31.3 - 영국의 BS 1560 Part 3 - ISO 7005 Part 1, 2, 3 o 관련법규․규칙․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57조(덮개 등의 접합부)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433조(누출의 방지조치) 플랜지 및 개스킷 등의 접합부에관한 기술지침(D-9-2016) - 목 차 - 1.목적 2.적용범위 3.용어의 정의 4. 플랜지의 사용 조건 5. 플랜지의 선정 등 6. 개스킷의 선정 7. 개스킷의 관리 등 1. 목 적 이 지침은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이하 “안전보건규칙”이라 한다) 제257조(덮개 등의 접합부) 및 제433조(누출의 방지조치)의 규정에 의거..

화학물질의 유해성․ 위험성 분류 지침(W-16-2020)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Globally harmonized system of classification and labelling of chemicals(GHS)(Sixth revised edition, 2015 o 관련법규․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법 제110조(물질안전보건자료의 작성 및 제출) -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제156조(물질안전보건자료의 작성방법 및 기재사항) - 고용노동부 고시 제2020-130호(화학물질의 분류․ 표시 및 물질안전보건자료에 관한 기준) 화학물질의 유해성․ 위험성 분류 지침(W-16-2020) 1. 목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유해성․ 위험성의 분류 방법 및 절차 1. 목적 이 지침은 「산업안전보건법」 (이하 "법"이라 한다) 제110조(물질..

물질안전보건자료 작성 지침(W-15-2020) [내부링크]

관련규격 및 자료 - Globally harmonized system of classification and labelling of chemicals(GHS)(Sixth revised edition, 2015) 관련법규·규칙·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법 제110조(물질안전보건자료의 작성 및 제출) -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제156조(물질안전보건자료의 작성방법 및 기재사항) - 고용노동부고시 제2020-130호(화학물질의 분류․ 표시 및 물질안전보건자료에 관한 기준) 물질안전보건자료 작성 지침(W-15-2020) 1. 목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작성 대상 5. 형식 6. 작성 원칙 7. 항목별 작성 방법 1. 목적 이 지침은 「산업안전보건법」 (이하 “법”이라 한다) 제110조..

물질안전보건자료(MSDS) 질의회신집 [내부링크]

< 목 차 > Ⅰ. 물질안전보건자료 관련 법규 및 규정 Ⅱ. 물질안전보건자료 및 경고표지 질의・회시 1. MSDS 작성 및 제공방법 2. 경고표지 3. MSDS 게시・비치 및 교육 Ⅲ. 물질안전보건자료 교육 매뉴얼 부 록 1. 고용노동부고시 제2013-37호 (화학물질의 분류・표시 및 물질안전보건자료에 관한 기준) 2. 주요 용어정의 첨부자료 : 물질안전보건자료(MSDS) 질의회신집

산안법 개정으로 확 바뀐 "MSDS 제출 제도" 안내서 [내부링크]

"물질안전보건자료 (MSDS) 의 제출" 2021. 1. 16. 부터 산업안전보건법 제110조에 따라 물질안전보건자료대상물질을 제조하거나 수입하려는 자는 고용노동부고시 제2020-130호 의해 작성된 물질안전보건자료*를 공단으로 제출하여야 합니다. ++++++++++++++++++++++++++++++++++++++++++++++++++++++++++++++++++++ [첨부자료] MSDS 제출제도 안내서 출처 :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 Reference Site ≫ https://blog.naver.com/koshablog/222414065438 산안법 개정으로 확! 바뀐 MSDS제도, 어떻게 바뀌었을까요? 산업안전보건법이 개정됨에 따라 변경된 MSDS 제도가 2021년 1월 16일부터 시행되고 있..

물질안전보건자료(MSDS) Q&A [내부링크]

물질안전보건자료(MSDS) Q&A < 목 차 > 제1장 물질안전보건자료(MSDS) 작성·제출 제2장 물질안전보건자료(MSDS) 대체자료 기재 심사 제3장 국외제조자가 선임한 자 관련 제4장 경고표시 관련 제5장 기타 질의사항 (물질안전보건자료 제공, 게시 및 교육 등) 본 Q&A는 화학물질을 제조·수입하려는 자가 2021년 1월 16일부터 시행되는 「물질안전보건자료 작성·제출 및 대체자료 기재 심사」와 관련된 업무 수행 시발생할 수 있는 예상 질의를 중심으로 내용이 구성되어 있습니다. 제도시행 이후 관련 법 및 고시 개정 등에 따라 답변이 변동될 수 있음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본 Q&A에는 ‘물질안전보건자료 시스템’에 관한 내용이 없습니다. ‘물질안전보건자료 시스템’에 대한 내용은 홈페이지(msds..

화학물질의 분류·표시 및 물질안전보건자료에 관한 기준(고용노동부고시 제2020-130호) [내부링크]

화학물질의 분류·표시 및 물질안전보건자료에 관한 기준 [시행 2021. 1. 16.] [고용노동부고시 제2020-130호, 2020. 11. 12., 일부개정.] 고용노동부(화학사고예방과), 044-202-7757 제1장 총칙 제1조(목적) 이 고시는 「산업안전보건법」 제104조, 제110조부터 제116조까지, 같은 법 시행령 제86조, 같은 법 시행규칙 제141조, 제156조부터 제171조까지, 별표 18에 따른 화학물질의 분류, 물질안전보건자료, 대체자료 기재 승인, 경고표시 및 근로자에 대한 교육 등에 필요한 사항을 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2조(정의) ① 이 고시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 각 호와 같다. 1. "화학물질"이란 원소와 원소간의 화학반응에 의하여 생성된 물질을 말한다. 2. ..

화학물질 및 물리적 인자의 노출기준(고용노동부고시 제2020-48호) [내부링크]

화학물질 및 물리적 인자의 노출기준(고용노동부고시 제2020-48호) 제정 1986.12.22 (노동부고시 제86-45호) 개정 1988.12.23 (노동부고시 제88-69호) 개정 1991. 3.30 (노동부고시 제91-21호) 개정 1998. 1. 5 (노동부고시 제97-69호) 개정 2002. 2. 4 (노동부고시 제2002- 2호) 개정 2002. 5. 6 (노동부고시 제2002- 8호) 개정 2007. 6. 8 (노동부고시 제2007-25호) 개정 2008. 6.17 (노동부고시 제2008-26호) 개정 2009. 9.25 (노동부고시 제2009-38호) 개정 2010. 6.28 (노동부고시 제2010-44호) 개정 2011. 3. 2 (고용노동부고시 제2011-13호) 개정 2012. 3.26..

GHS 분류에 따른 MSDS 작성 방법 [내부링크]

Contents o GHS 화학물질 분류의 사업장 적용에 따른 일반원칙 o MSDS의 작성 및 관리의 체계화 o 경고표지의 구성요소 및 작성관리 o 공단의 GHS MSDS 정보제공과 사업장의 대응방안 (문제해결을 위한 질의응답) [첨부파일] GHS_분류에 따른 MSDS 작성방법 화학물질의 분류·표시 및 물질안전보건자료에 관한 기준 [시행 2021. 1. 16.] [고용노동부고시 제2020-130호, 2020. 11. 12., 일부개정.] 고용노동부(화학사고예방과), 044-202-7757 제1장 총칙 제1조(목적) 이 고시는 「산업안전보건법」 제104조, 제110조부터 제116조까지, 같은 법 시행령 제86조, 같은 법 시행규칙 제141조, 제156조부터 제171조까지, 별표 18에 따른 화학물질의 분류..

고압가스시설-가스누출 검지경보장치 설치 기준 [내부링크]

고압가스시설-가스누출 검지경보장치 설치 기준 고압가스 저장의 시설,기술,검사,안전성평가 기준(KGS FU111 2019) 2.8.2 가스누출경보 및 자동차단장치 설치 독성가스 및 공기보다 무거운 가연성가스의 저장시설에는 가스가누출될 경우 이를 신속히 검지하여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다음기준에 따라 가스누출검지경보장치(이하“검지경보장치”라 한다)를 설치한다. 다만, 누출되어 공기 중에서 자기발화하는 가스는 불꽃감지기를 검지경보장치 설치기준에 적합하게 설치한 경우 동 기준에 적합한 것으로 본다. 2.8.2.1 가스누출검지경보장치 기능 검지경보장치는 가연성가스나 독성가스의 누출을 검지하여 그 농도를 지시함과 동시에 경보를 울리는 것으로서 다음의 기능을 가진 것으로 한다. 2.8.2...

가스누출감지경보기 설치에 관한 기술상의 지침(고용노동부고시 제2020-49호) [내부링크]

가스누출감지경보기 설치에 관한 기술상의 지침 [시행 2020. 1. 16.] [고용노동부고시 제2020-49호, 2020. 1. 14., 일부개정] 고용노동부(화학사고예방과), 044-202-7760 [ 목 차 ] 제1조(목적) 제2조(용어의 정의) 제3조(선정기준) 제4조(설치장소) 제5조(설치위치) 제6조(경보설정치) 제7조(성능) 제8조(구조) 제9조(보수) 제10조(재검토기한) 제1조(목적) 이 고시는 「산업안전보건법」 제13조에 따라 가연성 또는 독성물질의 가스나 증기의 누출을 감지하기 위한 가스누출감지 경보설비 설치에 관하여 사업주에게 지도·권고할 기술상의 지침을 규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2조(용어의 정의) ① 이 고시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 각 호와 같다..

가스누출감지경보기 설치 및 유지보수에 관한 기술지침(P-166-2020) [내부링크]

O 관련 규격 및 자료 - KS C 6590, 가연성 가스감지기의 성능시험방법 - KS C 6591, 가연성 가스감지기의 설치, 운전 및 유지보수 - KS C 6592 독성 가스감지기의 성능시험방법 - KS C 6593, 독성 가스감지기의 설치, 운전 및 유지보수 - KS C IEC 60079-0, 방폭전기기계·기구-일반 요구사항 - KS C IEC 61000-6-2,4 전기자기적합성(EMC)-제6부 : 일반기준-제2절, 제4절 : 산업용 환경에서 사용하는 기기의 전기자기 내성기준 - NFPA, 329 “Recommended Practice for Handling Releases of flammable and Combustible Liquids and Gases”, 2005 - ANSI/ISA-92.00..

화학설비 및 부속설비에서 정전기의 계측제어에 관한 기술지침(P-114-2020) [내부링크]

o 관련 규격 및 자료 - 안전보건기술지침 “정전기 재해예방에 관한 기술지침” - P&G Process Safety Practice 301 "Control of Ignition Sources" - CCPS "Electrostatic Ignitions of Fires and Explosions" - Static Protective FIBC Fabrics "Risks of Ignition", 2005 - T.B. Jones :"Nomograms for assessment of ignition risk associated with capacitive discharges" - 일본, 노동안전위생총합연구소 “정전기 안전지침" 화학설비 및 부속설비에서 정전기의 계측제어에 관한 기술지침(P-114-2020) 1...

전기작업계획서의 작성에 관한 기술지침(E-154-2016)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OSHA 29 CFR 1910(Occupational Safety & Health Standards) - NFPA 70E(Standard for Electrical Safety in the Workplace) - HSG 85 Electricity at Work : safe working practices - 고용노동부고시 제 2013-54호(방호장치 의무안전인증 고시) - KS C IEC 61230(활선작업 - 접지 또는 단락접지용 휴대장비) - KS C IEC 61478(활선작업– 절연사다리) o 관련법규․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38조(사전조사 및 작업계획서의 작성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3절(전기작업에 대한 위험방지) 전기작업계획..

서지보호장치(SPD) 선정 및 설치에 관한 기술지침(E-112-2011)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IEC 60364-5-53: 2002. 6(Electrical installtions of buildings-Part 5: Selection and erection of electrical equipment -Section 534: Devices for protection against overvoltages) - IEC 61643-12: 2002. 2(Low-vlotage surge protective devices-Part 12: Surge protective devices connected to low-voltage power distribution systems-Selection and application principles) - KSC IEC 61643-12: 2005..

건축물 등의 피뢰설비 설치에 관한 기술지침(E-107-2011)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IEC 62305-1:2006(Protection of structures against lightning part 1, General principles) - IEC 62305-3:2006(Protection of structures against lightning part 3, Physical damage to structures and life hazard) - KSC IEC 62305-1: 2007(피뢰시스템-제1부: 일반원칙) - KSC IEC 62305-3: 2007(피뢰시스템-제3부: 구조물의 물리적 손상 및 인명위험) o 관련법령․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326조(피뢰침의 설치) 건축물 등의 피뢰설비 설치에 관한 기술지침(E-107-2011) ..

저압용 전기설비의 접지설비 선정 및 설치에 관한 기술지침(E-102-2011) [내부링크]

o 관련규격 - IEC 60364-4-41 (2005) : Low-voltage electrical installations - Part 4-41 : Protection for safety - Protection against electric shock - IEC 60364-5-54 (2005) : Electrical installations of buildings - Part 5-54 : Selection and erection of electrical equipment - Earthing arrangements, protective conductors and protective bonding conductors - IEC 60449 amendment 1 (1979) : Amendment 1, Volt..

석유화학공장의 전기설비 설치에 관한 기술지침(E-97-2011) [내부링크]

o 관련규격 - KOSHA GUIDE E-47-2010 (가스폭발위험장소의 설정 및 관리에 관한 기술지침) - KOSHA GUIDE E-48-2010 (가스폭발분위기에서의 전기설비 설계, 선정 및 설치에 관한 기술지침) - 미국석유협회(API : American petroleum institute) : Recommended practice 540 -Electrical installation in petroleum processing plants - 미국 전기설비기준(NEC : National electrical code) o 관련법령․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편 제3장 (전기로 인한 위험방지) 석유화학공장의 전기설비 설치에 관한 기술지침(E-97-2011) 1.목적 2. 적용..

정전기 재해예방에 관한 기술지침(E-89-2017) [내부링크]

ㅇ 관련규격 - NFPA 30 : Flammable and combustible liquids code - NFPA 77 : Recommended practice on static electricity 2014 Edition - British standards institution, BS 5958: Code of practice for control of undesirable static electricity, part 2 - 日本靜電氣學會(編), Handbook of electrostatics ㅇ 관련법령․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325조(정전기로 인한 화재 폭발 등 방지) 정전기 재해예방에 관한 기술지침(E-89-2017) - 목 차 - 제 1 장 일반사항 제 2 장 정전기의 위..

피뢰시스템의 리스크관리에 관한 기술지침(E-83-2011) [내부링크]

o 관련규격 - IEC 62305-2 Protection against lightning - Part 2 : Risk management o 관련법령․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3장(전기로 인한 위험방지) 피뢰시스템의 리스크관리에 관한 기술지침(E-83-2011) 1. 목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뇌격으로 인한 손상 5. 리스크 및 리스크 요소 6. 리스크 관리 1. 목적 이 지침은 낙뢰로 인한 위험요소의 리스크 평가 절차에 필요한 사항에 대하여 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2. 적용범위 이 지침은 구조물 및 인입설비의 낙뢰로 인한 위험 요소에 대하여 위험을 줄이거나 허용 범위 이하로 하기 위한 적절한 보호대책의 선택에 대하여 적용한다. 3. 용어의 정의 (1) 이..

정전 및 단락접지 절차에 관한 기술지침(E-59-2012)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 OSHA 29 CFR 1910(Occupational Safety & Health Standards) - NFPA 70B Recommended practice for electrical equipment maintenance, CH23(De-energizing and grounding of equipment to provide protection for Electrical maintenance personnel) o 관련법규․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편 제3장(전기로 인한 위험방지) 정전 및 단락접지 절차에 관한 기술지침(E-59-2012) - 목 차 - 1.목적 2.적용범위 3.용어의 정의 4. 일반 사항 5. 전..

전기단선도 작성에 관한 기술지침(E-46-2013)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KS C 0102(전기용 기호) - KS C 0103(시퀀스 제어 기호) - KS C 0301(옥내 배선용 기호) - KS C IEC 60050-441(국제 전기용어-배전반, 제어반 및 퓨즈) - 안전보건기술지침(공정배관계장도 작성지침) - 국내 엔지니어링 메뉴얼 o 관련법규․ 규칙․ 고시 등 - 공정안전보고서의 제출․ 심사․ 확인 및 이행상태평가 등에 관한 규정 전기단선도 작성에 관한 기술지침(E-46-2013) - 목 차 - 1. 목 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전기설비별 표시되어야 할 사항 5. 도면의 작성 6. 범례도 (legend) 7. 도면관리 1. 목 적 이 지침은 산업안전보건법(이하 “법”이라고 한다) 제 49조의 2(공정안전보고서의 제출 등), 같..

접지선과 접속방법에 관한 기술지침(E-38-2012)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NESC 093 Grounding conductor and means of connection - 전기설비기술기준 - 내선규정 o 관련법규․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편 제3장(전기로 인한 위험방지) 접지선과 접속방법에 관한 기술지침(E-38-2012) - 목 차 - 1. 목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접지선과 접속방법 1. 목적 이 지침은 현장에서 안전성을 제고할 수 있는 접지선과 접지선의 접속방법에 관한 기술적 사항을 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2. 적용범위 이 지침은 접지선의 구성, 접속 및 방호를 대상으로 한다. 3. 용어의 정의 (1) 이 지침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가) “중성선(Neutral cond..

접지도체의 연결점에 관한 기술지침(E-37-2012)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KOSHA GUIDE E-92-2011(접지설비 계획 및 유지관리에 관한 기술지침) - KOSHA GUIDE E-85-2011(전기설비 설치상의 안전에 관한 기술지침) - IEEE Std. 142 : Grounding of industrial and commercial power system - 미국 전기설비기술기준(NEC) o 관련법규․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302조 (전기기계․ 기구의 접지) 접지도체의 연결점에 관한 기술지침(E-37-2012) 1. 목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직류계통의 접지 5. 교류계통의 접지 6. 보조 접지도체 7. 울타리 접지 1. 목적 이 지침은 산업현장 근로자의 안전확보를 위해 실시되는 접지도체의 연결..

내화구조에 관한 기술지침(D-45-2012) [내부링크]

관련규격 및 자료 - API PUBL 2218(Fireproofing practices in petroleum and petrochemical processing plants) - IRI Information(Fireproofing for oil and chemical properties) - KSF 2257-1,6,7(건축 부재의 내화 시험 방법) - UL 1709(Rapid rise fire test of protection materials for structural steel) 관련법규․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70조(내화기준) 내화구조에 관한 기술지침(D-45-2012) 1. 목 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내화구조의 대상 및 범위 5. 내화성능 ..

접지설비 계획 및 유지관리에 관한 기술지침(E-92-2017)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IEEE Std. 142 : 전력계통시스템의 접지 (Grounding of industrial and commercial power system) - IEEE Std. 80 : IEEE 변전설비 접지지침 (IEEE guide for safety in AC substation grounding) - 미국 전기설비기술기준 (NEC) - 미국 연방직업안전보건국(OSHA) CFR 1910-S(Safeguarding of employees in their workplace) o 관련법령․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302조 (전기기계․ 기구의 접지) 접지설비 계획 및 유지관리에 관한 기술지침(E-92-2017) < 목 차 > 1. 목 적 2. 적용 3. 정의 4. 접..

KFS 202 -2018 ; 석유화학공장 내화처리기준 [내부링크]

KFS 202 -2018 ; 석유화학공장 내화처리기준 ( STANDARD ON FIREPROOFING IN OIL AND PETROCHEMICAL PLANTS) 제 정 경 과 『KFS-702, 석유화학공장 내화처리기준』은 1998년 11월에 제정되었으며, 2018년 7월, 9월 두 차례의 한국화재안전기준(KFS) 위원회의 전문위원회의 심의․의결 후, 2018년 11월 15일 총괄위원회의에서 최종 심의․의결을 거쳐 2018년 11월 27일에 제정되었다. KFS-702, 2018년판의 주요 변경사항으로는 석유화학공장에서 적용되는 획일적이었던 화재노출공간의 크기가 중요 설비별로 구분하는 등 국내․외의 기준을 반영하여 보완이 이루어졌다. 제정일자 : 1998년 11월 19일 (1차 개정일자 : 2018년..

수소 벤트스택 및 벤트배관의 공정설계에 관한 기술지침(D-42-2012) [내부링크]

o 관련규격 - CGA G-5.5 1996 : Hydrogen Vent Systems Compressed Gas Association - Relief Systems Handbook, CYRIL F. PARRY - API RP 521 : Guide for Pressure Relieving and Depressuring Systems - NFPA 50A : Gaseous Hydrogen Systems at Consumer Sites - NFPA 50B : Liquified Hydrogen Systems at Consumer Sites - NASA Safety Standard for Hydrogen and Hydrogen System o 관련 법규․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67조(..

플레어시스템의 역화방지설비 설계 및 설치에 관한 기술지침(D-61-2017) [내부링크]

o 관련 규격 및 자료 - API RP 520, “Sizing, Selection, and Installation of Pressure– relieving Devices in Refineries”, 2014 - API STD 521, “Pressure– relieving and Depressuring Systems”, 2014 플레어시스템의 역화방지설비 설계 및 설치에 관한 기술지침(D-61-2017) -목 차 - 1. 목적 2. 적용범위 3. 정의 4. 역화방지설비의 구성 및 종류 5. 액체 밀봉드럼의 설계 6. 플레어시스템의 역화방지설비 설치 7. 플레어헤더의 봉입 및 퍼지가스 1. 목적 이 지침은 플레어팁 등으로부터 공기가 유입되어 역화가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플레어시스템의 역화방..

플레어시스템의 녹아웃드럼 설계 및 설치에 관한 기술지침(D-60-2017) [내부링크]

O 관련 규격 및 자료 - API RP 520, “Sizing, Selection, and Installation of Pressure– relieving Devices in Refineries”, 2014 - API STD 521, “Pressure– relieving and Depressuring Systems”, 2014 플레어시스템의 녹아웃드럼 설계 및 설치에 관한 기술지침(D-60-2017) - 목 차 - 1. 목적 2. 적용범위 3. 정의 4. 녹아웃드럼의 분류 5. 녹아웃드럼에서 액적의 크기 기준 6. 녹아웃드럼의 크기 결정 7. 녹아웃드럼의 설치시 고려사항 1. 목적 이 지침은 안전밸브 방출물 등에 포함되어 있는 액체가 플레어스택으로 가스와 함께흘러들어 가지 않도록 액체를 분리․ 포집하기 ..

부식 및 금속재료 [내부링크]

부식 및 금속재료 I. 부식 일반 II. 부식의 종류 III. 장치산업의 부식 IV. 재료의 종류 및 특성 (장치산업) 첨부 : 부식 및 금속재료 (출저 : 한국산업안전교육원)

이종금속부식, 갈바닉(Galvanic) 부식 [내부링크]

이종금속부식, 갈바닉(Galvanic) 부식 1. 개요 두 이종금속이 용액 속에 담구어지게 되면 전위차가 존재하게 되고 따라서 이들 사이에 전자의 이동이 일어난다. 그리하여 귀전위(noble potential)를 가진 금속의 부식속도는 감소되고 활성전위(active potential)를 가진 금속의 부식속도는 촉진된다. 즉 전자는 음극이 되고 후자는 양극이 된다. 이러한 형태의 부식을 갈바닉부식 또는 이종금속접촉부식이라 한다. 2. 이종금속부식의 발생원인 1) 이종금속간의 부식은 근본적인 원인은 이종금속간의 전위차이다. 즉 금속간의 전위차가 클수록 부식이 심화된다. 2) 이종금속접촉 부식 또한 부식의 한 형태로 기본적인 부식과 마찬가지로 다음의 사항에 대해 영향을 받는다. 가) 수분의 부착..

지하-지상 배관 연결부의 플랜지 절연장치 설치에 관한 기술지침(D-51-2020) [내부링크]

o 관련 규격 및 자료 - 미국 NACE Standard Practice, SP0286-2007, “Electrical Isolation of Cathodically Protected Pipelines”, 2007 - 미국 NACE Standard Practice, SP0169-2007, “Control of External Corrosion on Underground or Submerged Metallic Piping Systems”, 2007 - 미국 NACE Standard Practice, SP0177-2007, “Mitigation of Alternating Current and Lightning Effects on Metallic Structures and Corrosion Control Sy..

긴급차단밸브의 설치에 관한 기술지침(D-11-2012)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NFPA 30 : Flammable and combustible liquid code - BS 5908 : Fire precautions in the chemical and allied industries - FM : Flammable liquids - NFPA 58 : Liquefied petroleum gas code - KLM Technology Group-Process design of emergency measures - Lee's Loss prevention in the process industries 3rd edition (2004) - HSE : Remotely operated shutoff valves o 관련법규,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

폭발위험장소에서의 보호시스템 안전성 평가방법에 관한 기술지침(E-22-2012)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KOSHA GUIDE E-105-2012(가스폭발위험분위기에서의 전기설비 설계, 선정 및 설치에 관한 기술지침) - BS EN15233:2007 Methodology for functional safety assessment of protective systems for potentially explosive atmospheres o 관련법령․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편 제3장(전기로 인한 위험방지) 폭발위험장소에서의 보호시스템 안전성 평가방법에 관한 기술지침(E-22-2012) 1. 목적 2. 적용범위 3. 정의 4. 일반 요구사항 5. 기능 안전성평가 절차 6. 문서 1. 목적 이 가이드는 폭발위험장소의 보호시스템을 설계할 때 필요한 기능 안전성 평가..

폭발위험장소에서의 폭발방지에 관한 기술지침(E-21-2012)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KOSHA GUIDE E-105-2012(가스폭발위험분위기에서의 전기설비 설계, 선정 및 설치에 관한 기술지침) - BS EN1127-1:2007 Explosive atmospheres-Explosion prevention and protection o 관련법령․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편 제3장(전기로 인한 위험방지)) 폭발위험장소에서의 폭발방지에 관한 기술지침(E-21-2012) 1. 목적 2. 적용범위 3. 정의 4. 위험성평가 요소 5. 위험감소 6. 사용정보 1. 목적 이 가이드는 폭발을 일으킬 수 있는 위험한 상황에 대한 검증 및 평가 방법과 이에 의한 안전설계 및 공사방법에 관한 사항을 기술함을 목적으로 한다. 2. 적용범위 (1) 이 가이드..

폭발위험장소에서의 필드부스에 관한 기술지침(E-11-2012)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IEC 60079-27 Electrical apparatus for explosive gas atmospheres-Part 27: Fieldbus intrinsically safety concept and Fieldbus non-incendive concept - IEC 60079-11 Electrical equipment for explosive atmospheres-Part 11: intrinsically safety circuits o 관련법령․ 고시 등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편 제3장(전기로 인한 위험방지) 폭발위험장소에서의 필드부스에 관한 기술지침(E-11-2012) 1. 목적 2. 적용범위 3. 정의 4. 전원공급 장치의 요구사항 5. 필드 장치의 요구사항..

보호도체의 건전성 검출 및 감시에 관한 기술지침(E-9-2012)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KOSHA GUIDE E-92-2011(접지설비계획 및 유지관리에 관한 기술지침) - KOSHA GUIDE E-102-2011(저압용 전기설비의 접지설비 선정 및 설치 에 관한 기술지침) - Electrical earth monitoring and protective conductor proving, BS 4444:1989 o 관련법령․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편 제3장(전기로 인한 위험방지) 제1절(전기기계․ 기구 등으로 인한 위험방지) 보호도체의 건전성 검출 및 감시에 관한 기술지침(E-9-2012) 1. 목적 2. 범위 3. 정의 4. 접지검증시스템 5. 접지감시시스템 6. 실용적인 방법 7. 케이블 8. 플러그, 콘센트 및 케이블 접속장치 9. ..

전기개폐장치의 관리에 관한 기술지침(E-6-2012)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KOSHA GUIDE E-88-2011(감전방지용 누전차단기 설치에 관한 기술지침) - KOSHA GUIDE E-103-2011(저압감전방지장치 등의 선정 및 설치에 관한 기술지침) - KOSHA GUIDE E-116-2011(과전류 보호장치의 선정 및 설치에 관한 기술지침) - HSE, Electrical switchgear and safety : A concise guide for users, Guidance INDG 372 o 관련법령․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편 제3장(전기로인한 위험방지) 제1절(전기기계․ 기구 등으로 인한 위험방지) 전기개폐장치의 관리에 관한 기술지침(E-6-2012) 1. 목적 2. 적용범위 3. 정의 4. 개폐장치의 안전..

이동식 작업등의 선정 및 사용에 관한 기술지침(E-5-2012)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309조(임시로 사용하는 전등 등의 위험방지) - KOSHA GUIDE E-119-2011(이동형 또는 휴대형 전기기계․ 기구의 사용 및 정비에 관한 기술지침) - KOSHA GUIDE E-48-2012(가스폭발위험분위기에서의 전기설비 설계, 선정 및 설치에 관한 기술지침) - Selection and use of electric handlamps, 영국 HSE o 관련법령․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편 제3장 (전기로인한 위험방지) 이동식 작업등의 선정 및 사용에 관한 기술지침(E-5-2012) 1. 목적 2. 적용범위 3. 정의 4. 이동식 작업등에 의한 감전위험 5. 이동식 작업등에 의한 감전예방 대책 6. 이동식 작업등..

아크용접장치의 선정 및 사용에 관한 기술지침(E-4-2012)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BS EN 1598 Health and safety in welding and allied processes. Transparent welding curtains, strips and screens for arc welding processes - BS EN ISO 15011-3 Health and safety in welding and allied processes. Laboratory method for sampling fume and gases generated by arc welding. - HSG 118 Electrical safety in arc welding o 관련법령․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편 제3장(전기로 인한 위험방지) 아크용접장치의 선..

에너지 차단장치의 잠금·표지에 관한 기술지침(E-91-2016)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29 CFR 1910.147 : The control of hazardous energy (lockout/tagout), USA o 관련 법규·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92조(정비 등의 작업시의 운전정지 등) 에너지 차단장치의 잠금·표지에 관한 기술지침(E-91-2016) 1. 목 적 2. 적용 범위 3. 정 의 4. 위험에너지 관리 5. 위험에너지 관리의 실행 6. 잠금장치·표지의 해제 7. 그 밖의 사항 1. 목 적 이 지침은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이하 “안전보건규칙”이라 한다) 제92조에 따라, 사업장에서 사용하는 기계·기구의 정비작업 시, 재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사업주가 취해야 할 에너지 차단장치의 잠금장치·표지의 관리절차 및 계획수립에..

화학공정 설비의 운전 및 작업에 관한 안전관리 기술지침(P-69-2012)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중대산업사고사례 데이터베이스,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1988-2008). - Frank P. Lees, "Loss prevention in the process industries, 2nd edition", Butterworth-Heinemann (1996). - 防火防爆対策技術ハンドブッ ク , テク ノ シス テム(1994). 화학공정 설비의 운전 및 작업에 관한 안전관리 기술지침(P-69-2012) [목 차] 1. 목 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설비 조작 시의 위험과 예방 5. 공정설비 작업시의 안전대책 1. 목 적 이 가이드는 화학공정에서 기기를 조작하거나 설비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사고 위험성과 화학물질 취급 작업 중에 일어날 수 있는 화재폭발 위..

화학공장의 정비·보수에 관한 안전관리 지침(O-4-2011)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API 650 - ASME SEC. Ⅷ Div.2 - OSHA PSM guideline o 관련 법령 ·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법 제27조, 제49조의 2, 산업안전보건기준에관한규칙 제278조의 규정에 의거 작성됨. 화학공장의 정비·보수에 관한 안전관리 지침(O-4-2011) [ 목 차 ] 1. 목적 2. 용어의 정의 2.1 정비 2.2 환기작업 2.3 화기작업 2.4 수압시험 (Hydraulic Test) 2.5 기밀시험 (Leakage Test) 2.6 용기 3. 일반사항 3.1 정비계획 3.1.1 정비계획의 준비 3.1.2 정비계획서의 작성 3.1.3 정비절차서의 작성 3.1.4 특수작업 허가서 및 절차서 3.1.5 정비작업 수행 및 결과 보고 3.2 정비에 대..

작업장내 차량 안전운행을 위한 기술지침(M-50-2012)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INDG-199 : Workplace transport safety o 관련 법규․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177조(싣거나 내리는 작업) 작업장내 차량 안전운행을 위한 기술지침(M-50-2012) [목 차] 1. 목 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차량의 후진 5. 차량 신호수(Signaller) 6. 주차 7. 차량의 연결(Coupling) 및 해제(Uncoupling) 8. 차량 전복사고의 방지 1. 목 적 이 지침은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이하 “안전보건규칙”이라 한다) 제 177조 (싣거나 내리는 작업)에 의거 작업장내 차량운행 시 발생되는 위험상황 등에 관한 기술적 사항을 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2. 적용범위 이 지침은 작..

인적에러 방지를 위한 안전가이드(G-120-2015)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Improving maintenance - a guide to reducing human error, HSE, 2000 - 산업안전보건용어사전,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2006 - 안전보건기술지침 「인적 인적에러와 행동에 대한 안전보건 가이드」 o 관련 법규ㆍ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법」 23조(안전조치), 24조(보건조치) 인적에러 방지를 위한 안전가이드(G-120-2015) [목 차] 1. 목 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인적 오류의 종류 5. 인적 오류의 원인 6. 인적 오류의 결과 7. 인적 오류의 방지대책 8. 인적 에러를 줄이기 위한 방안 9. 보수작업 시 인적 에러 방지대책 1. 목 적 이 지침은 작업자의 인적 에러로 발생할 수 있는 상해 및 질병..

개인보호구의 사용 및 관리에 관한 기술지침(G-12-2013)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안전보건기술지침「호흡용 보호구의 사용 지침」 - Personal Protective Eequipment at Work, HSE, 1992 - 산업안전보건용어사전,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o 관련법규ㆍ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법」 제34조, 제35조 - 「산업안전보건법 시행령」 제28조제1항제3호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1편제4장(보호구), 제3편 - 고용노동부고시 제2012-83호「보호구 의무안전인증 고시」 개인보호구의 사용 및 관리에 관한 기술지침(G-12-2013) [ 목 차 ] 1. 목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일반사항 5. 작업별 개인보호구의 선정 6. 개인보호구의 종류 7. 개인보호구에 대한 평가 8. 개인보호구 사용에 관한 교육훈련..

이동형 저압 발전기의 안전점검에 관한 기술지침(E-41-2012)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KOSHA GUIDE E-84-2011(비상전원의 선정 및 설치에 관한 기술지침) - KOSHA GUIDE E-88-2011(감전방지용 누전차단기 설치에 관한 기술지침) - KS C 4613-2002 누전차단기 - NFPA 110, Standard for emergency and standby power systems - NFPA 111, Standard on stored electrical energy emergency and standby power systems o 관련법규․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308조(비상전원) 이동형 저압 발전기의 안전점검에 관한 기술지침(E-41-2012) [목 차 ] 1. 목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일..

안전대 사용지침(C-49-2012)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미국 CFR (M-1926.502) : Fall Protection Systems And Practices o 관련 법규․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1편 제6장의 규정 - 노동부 고시 제2009-43호(추락재해방지 표준안전작업지침) - 노동부 고시 제2009-38호(보호구 의무안전인증 고시) 안전대 사용지침(C-49-2012) [목 차] 1. 목 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안전대의 종류 및 명칭 5. 안전대의 착용대상 작업 6. 안전대의 선정 7. 안전대의 사용 8. 안전대의 점검 9. 안전대의 보수 10. 안전대의 보관 11. 안전대의 폐기 1. 목 적 이 지침은 산업안전보건법(이하뺳법뺴이라 한다) 제27조 및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

위험물질 사고대응에 관한 기술지침(P-59-2012) [내부링크]

O 관련 규격 및 자료 - NFPA 471, "Recommended Practice for Responding to Hazardous Materials Incidents", 1997 Ed., 1997 - NFPA 472, "Standard for Professional Competence of Responders to Hazardous Materials Incidents", 1997 Ed., 1997 위험물질 사고대응에 관한 기술지침(P-59-2012) [목 차] 1. 목적 2. 적용범위 3. 정의 4. 사고 대응계획 5. 현장 안전 6. 개인 방호장비 7. 사고 완화 8. 오염 제거 1. 목적 이 지침은 위험물질의 누출로부터 사고에 대응하기 위한 최소 요구사항을 제시함으로써 추가적인 인명, 자산 및 환..

위험물 운송 시 탱크트럭의 정량적 리스크 분석에 관한 기술지침(X-49-2018) [내부링크]

관련 규격 및 자료 - KOSHA GUIDE P-31-2010 인화성 액체 이송용 탱크차량의 안전에 관한 기술지침 - NFPA 385, Standard for Tank Vehicles for Flammable and Combustible LiQuids, 2000 - 화학물질관리법 시행규칙(환경부령 제647호, 2016.4.7) 위험물 운송 시 탱크트럭의 정량적 리스크 분석에 관한 기술지침(X-49-2018) [목 차] 1. 목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일반사항 4.2. 운반경로에 대한 정보 5. 정량적 리스크분석 방법 1. 목적 이 지침은 탱크트럭을 이용한 위험물 운송 시 화재 및 폭발, 독성물질 누출 등 사고시나리오에 대한 정량적 리스크분석을 수행함으로써 사고발생 시 피해를 최소화..

산소 및 불활성 기체의 대기벤트 설계에 관한 기술지침(P-159-2017) [내부링크]

o 관련 규격 및 자료 - EIGA IGC 154/16, “Safe location of oxygen and inert gas vents”, 2016 - AIGA 067/17,“Safe location of oxygen and inert gas vent”,2017 - KOSHA GUIDE P-32-2012, “산소 공급설비의 안전기술지침” - KOSHA GUIDE P-102-2013,“사고피해예측기법에 관한 기술지침” - KOSHA GUIDE P-121-2012, “공기 분리설비의 안전설계 및 운영에 관한 기술지침” - KOSHA GUIDE P-138-2013, “산소 과잉 분위기의 화재 위험성 및 방지대책 에 관한 기술지침” - KOSHA GUIDE P-150-2015, “유해위험공간의 안전에 관한 기..

장거리 이송배관 안전관리에 관한 기술지침(P-158-2017) [내부링크]

o 관련 규격 및 자료 - EIGA IGC 13/12/E, “Oxygen Pipeline And Piping Systems”, 2013 - EIGA IGC 120/14/E,“Carbon Monoxide and Syngas Pipeline Systems”,2014 - EIGA IGC121/12,“Hydrogen Pipeline Systems”,2014 - Pipeline Safety Trust, Pipeline Briefing Paper #2: Pipeline Basics & Specifics About Natural Gas Pipelines, 2015 - 6th EGIG Report 1970-2004, Gas Pipeline Incidents, 2005 - AIChe CCPS, Guidelines for..

독성가스 취급시설 등의 안전관리에 관한 기술지침(P-153-2016) [내부링크]

독성가스 취급시설 등의 안전관리에 관한 기술지침(P-153-2016) [목 차] 1. 목 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일반사항 5. 일반적 관리 6. 설비별 대책 7. 독성가스 실린더 취급 안전관리 8. 비상대응 및 방재시설 1. 목 적 이 지침은 사업장에서 저장, 취급 또는 제조하는 독성가스에 의한 사고 방지에 관한 사항을 규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2. 적용범위 이 지침은 일반적으로 독성가스나 급성 독성물질 중 상온·상압에서 기화에 의해 유해성이 있는 독성물질을 저장, 취급 또는 제조하는 사업장에 적용한다. 단, 국내 타 법규에서 적용하는 사항은 해당 법규를 적용한다. 3. 용어의 정의 (1) 이 지침에서 사용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가) “독성가스”란 공기 중에 일정량 ..

유해위험공간의 안전에 관한 기술지침(P-150-2016) [내부링크]

관련규격 및 자료 - EIGA, IGC 44/09/E Hazards of Inert Gases and Oxygen Depletion - EIGA, SAG NL N 77/03/E, Safety Newsletter Campaign Against Asphyxiation, 2003 - AIGA, AIGA 008/11, Hazards of Inert Gases and Oxygen Depletion - CSB, Safety Bulletin Hazards of Nitrogen Asphyxiation, 2003 유해위험공간의 안전에 관한 기술지침(P-150-2016) 1. 목 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유해위험공간 및 위험성 5. 유해위험공간의 안전대책 6. 비상대응활동 1. 목 적 이 지침은 작..

화학공장 폐수 집수조의 안전조치에 관한 기술지침(P-148-2015) [내부링크]

o 관련 규격 및 자료 - NFPA 820, "Fire Protection in Wastewater Treatment and Collection Facilities" - KOSHA GUIDE P-108-2012, "안전운전절차서 작성에 관한 기술지침" - KOSHA GUIDE P-94-2013, "안전작업 허가지침" 화학공장 폐수 집수조의 안전조치에 관한 기술지침(P-148-2015) [목 차] 1. 목적 2. 적용범위 3. 정의 4. 폐수 집수조의 위험성 5. 폐수 집수조의 안전 조치 및 작업방법 1. 목적 인화성 물질이 유입되거나 발생할 수 있는 화학공장의 공정용 폐수를 집수하는 조(漕)(또는 용기, 이하 “집수조”라 한다.)의 안전 확보를 위한 설비 및 관리적 안전조치에 필요한 사항을 제시하는데 그..

소규모 화학공장의 비상조치계획 수립에 관한 기술지침(P-146-2015) [내부링크]

관련규격 및 자료 - OSHA, 29 CFR 1910. 38, “Principal Emergency Response and Preparedness Requirements and Guidance”, 2004 - KOSHA GUIDE P-101-2012, “비상조치계획 수립에 관한 기술지침” 소규모 화학공장의 비상조치계획 수립에 관한 기술지침(P-146-2015) [목 차] 1. 목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비상사태 파악 및 분석 5. 비상조치계획의 수립 6. 비상조치계획의 검토 7. 비상대피 계획 8. 비상통제 조직의 기능 및 책무 9. 비상통제센터(장소) 설치 10. 비상 훈련의 실시 및 조정 11. 주민 홍보계획 1. 목적 이 지침은 중소규모 화학공장의 공정이상 또는 화재, 폭발, 독..

화학공장의 도급업체 자율안전관리에 관한 기술지침(P-145-2015) [내부링크]

관련규격 및 자료 - HSE, “Managing contractors-A guide for employer” - KOSHA GUIDE P-95-2013, “도급업체의 안전관리계획 작성에 관한 기술지침” - 김태옥 등, “화학사고 예방을 위한 공정안전관리(PSM)제도 개선방안 마련 연구”,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2014 화학공장의 도급업체 자율안전관리에 관한 기술지침(P-145-2015) [목 차] 1. 목 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사업주 및 도급업체 사업주의 의무 5. 도급업체의 현장 입·출입 관리 6. 현장 안전관리 확인사항 7. 자율적 안전관리 방안 유도 1. 목 적 이 지침은 화학공장의 사업주가 도급업체의 안전보건 수준향상을 유도하고 지원하기 필요한 도급업체 ..

화학설비 고장율 산출기준에 관한 기술지침(P-130-2013) [내부링크]

o 관련규격 - 미국 화학공학회, “Guidelines for process equipment reliability data with data tables”, 1989 o 관련법규․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제130조의2항(공정안전보고서의 세부내용 등) 화학설비 고장율 산출기준에 관한 기술지침(P-130-2013) [목 차] 1. 목 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고장모드 및 고장심각도 5. 이용불능시간 산정방법 1. 목 적 이 지침은 산업안전보건법에 의하여 위험성평가를 실시하기 위하여 및 그 화학설비의 부속설비에 대한 고장율을 산출하는데 필요한 기준을 정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2. 적용범위 이 기준은 화학공장에서 공정의 정량적 위험성평가를 위해 화학설비 및 그 부속설비..

공기 분리설비의 안전 설계 및 운영에 관한 기술지침(P-121-2012) [내부링크]

o 관련 규격 및 자료 - FM Global 7-35, “Air Separation Process”, 2007 - FM Global 7-35R, “Air Separation Process”, 2007 - William P. Schmidt, Karen S. Winegardner, Martin Dennehy and Howard Gastle-Smith, “Safe Design and Operation of a Cryogenic Air Separation Unit”, 2001 공기 분리설비의 안전 설계 및 운영에 관한 기술지침(P-121-2012) [목 차] 1. 목적 2. 적용범위 3. 정의 4. 일반 사항 5. 공정 위험성 1. 목적 이 지침은 정유·석유화학 공장, 전기·전자 콤플렉스 및 제철·화력 발전..

화재방지를 위한 방화벽 및 방화방벽 설치에 관한 기술지침(P-25-2012) [내부링크]

관련 규격 및 자료 - NFPA 221, "Standard for Fire Walls and Fire Barrier Walls", 2000 Ed., 2000 화재방지를 위한 방화벽 및 방화방벽 설치에 관한 기술지침(P-25-2012) [목 차] 1. 목 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방화벽 및 방화방벽의 요구사항 5. 방화벽 및 방화방벽의 구조 6. 외부 방호 1. 목 적 이 지침은 화재 확산을 방지하여 화재로부터 자산을 보호하고, 인명을 안전하게 하기 위해 방화벽과 방화방벽의 설치기준, 건물의 세분화 또는 건물 구획에 필요한 사항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2. 적용범위 이 지침은 화재로부터 자산을 보호하고, 인명을 안전하게 하기 위해 사용되는 내력 방화벽 및 내화 방화방벽에 적용..

회분식공정의 인적오류 사고 방지 기술지침(P-20-2012) [내부링크]

관련규격 및 자료 - 산업안전보건용어사전,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2006). - Nick W. Hurst, Risk assessment : the human dimension, The Royal Society of Chemistry, Cambridge, U.K. (1998). - 黑田勲, ヒ ュ -マンフ ァ ク タ -を 探る , 中央労働災害防止協会 (1988). - 高圧ガス 保安協会, 石油精製及び石油化学装置事故事例集 (1996). - 高圧ガス 保安協会, コ ンビナート 事故事例集 (1991). 관련 법규 · 규칙 ·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법 제 23조 (안전조치) 회분식공정의 인적오류 사고 방지 기술지침(P-20-2012) [목 차] 1. 목 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주요 인적원..

인화성 물질의 누출에 대한 안전조치 기술지침(P-18-2012) [내부링크]

O 관련 규격 및 자료 - NFPA 329 Recommended Practice for Handling Release of Flammable and Combustible Liquids and Gases O 관련 법규 · 규칙 ·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관한규칙 제436조(작업수칙) 인화성 물질의 누출에 대한 안전조치 기술지침(P-18-2012) [목 차] 1. 목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인화성 액체 및 가스 5. 초기 대응 6. 누출원 조사 7. 탱크와 배관의 누출 감지 8. 지하 액체의 추적 9. 인화성액체의 제거 및 처치 1. 목적 이 기술지침은 인화성 액체가 누출되었을 때 이로 인한 화재 폭발을 방지하고 그 피해를 극소화하기 위한 안전조치 방안을 제시함을 목적으로 한다. 2..

위험기반검사(RBI) 기법에 의한 설비의 신뢰성 향상 기술지침(P-15-2012) [내부링크]

o 관련 규격 및 자료 - API Publication 581, "Risk-Based Inspection Based Resource Document", First Edition, May 2000 - API RP 580, "Risk-Based Inspection", First Edition, May 2002 - API RP 571, "Damage Mechanisms Affecting Fixed Equipment in the Refining Industry", First Edition, Dec. 2003 o 관련 법규 · 규칙 ·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법 시행령 제28조 (의무안전인증대상 기계․ 기구등) 위험기반검사(RBI) 기법에 의한 설비의 신뢰성 향상 기술지침(P-15-2012) [목 차] 1. 목적..

소형 염소설비의 안전작업 기술지침(P-10-2012) [내부링크]

o 관련 규격 및 자료 - HSE BOOKS, HSG40, “Safe handling of chlorine from drums and cylinders” o 관련 법규 · 규칙 ·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법 제23조 (안전조치) - 산업안전보건기준에관한규칙 제299조(독성이 있는 물질의 누출 방지) - 산업안전보건기준에관한규칙 제256조(부식방지) 내지 제275조(긴급차단장치의 설치 등) 소형 염소설비의 안전작업 기술지침(P-10-2012) [목 차] 1. 목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위험요인 확인 5. 염소시설의 설계 및 설치 위치 6. 운전절차와 훈련 7. 비상조치 1. 목적 이 기술지침은 소형 염소 실린더와 염소드럼의 안전설치와 안전취급에 관한 기술지침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PVC 제조공정의 화재폭발 위험성평가 및 비상조치 기술지침(P-9-2012) [내부링크]

o 관련 규격 및 자료 - 공정안전보고서 및 심사사례 - 국내 PVC 제조공장 매뉴얼 o 관련 법규 · 규칙 ·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법 제23조(안전조치) - 산업안전보건기준에관한규칙 제225조(위험물질의 제조 등 작업시의 조치) PVC 제조공정의 화재폭발 위험성평가 및 비상조치 기술지침(P-9-2012) [목 차] 1. 목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PVC 제조공정의 특성 및 위험요인 5. 위험성평가에 포함될 사항 6. 비상조치 절차 1. 목적 이 기술지침은 화학 및 석유화학 산업의 PVC(Poly vinyl chloride) 제조공정에서 인화성 물질 사용․ 취급 시 예상되는 위험요인을 파악하고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필요한 비상조치 기술지침을 정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2. 적용..

기기 및 배관의 부식관리 기술지침(M-116-2012)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설비진단핸드북(일본철강협회) - CORROSION ENGINEERING(M. G. FONTANA) - CORROSION(DENNY A. JONES) - API Code(미국 석유화학협회) - 금속부식공학(이 학 열) o 관련 법규․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 기준에 관한 규칙 제2편 제2장 제4절 제256조(부식방지) 기기 및 배관의 부식관리 기술지침(M-116-2012) 1. 목적 2. 적용범위 3. 정의 4. 일반사항 5. 부식시험의 종류 및 적용 6. 부식율 결정 7. 부식진단 방법 8. 부식방지대책 9. 부식방지 관리 1. 목적 이 지침은 산업안전보건기준에관한 규칙(이하 “안전보건규칙”이라 한다) 제2편 제2장 제4절 제256조(부식방지)의 규정에 따라 사업장내 기..

압력용기의 잔여수명 평가에 관한 기술지침(M-69-2012)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API 510 (Pressure vessel inspection code) - ASME code section Ⅷ Div.1 (Pressure vessels) - KS B 6750 압력용기 - 설계 및 제조일반 - KS B 6755 압력용기 - 사용중 검사 o 관련 법규․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35조(관리감독자의 유해·위험 방지 업무 등), 제36조(사용의 제한), 제120조(최고사용압력의 표시 등), 제2편 제2장 제4절 (화학설비·압력용기 등) 압력용기의 잔여수명 평가에 관한 기술지침(M-69-2012) [목 차] 1. 목 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부식률의 결정 5. 최대허용사용압력의 결정 6. 부식영역 분석의 적합성 7. 검..

고령화 설비의 손상평가와 수명예측에 관한 기술지침(M-146-2012)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신판 비파괴검사공학(일, 산보출판) - 미국석유협회규격 (API 510 : Pressure Vessel Inspection Code) o 관련 법규․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 기준에 관한 규칙 제2편 제1장 제1절 제91조(고장난 기계의 정비 등) 고령화 설비의 손상평가와 수명예측에 관한 기술지침(M-146-2012) [목차] 1. 목 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설비수명 일반 5. 수명의 지배인자 6. 경년손상 7. 수명예측의 기법 1. 목 적 이 지침은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이하 “안전보건규칙”이라 한다) 제2편 제1장 제1절 제91조(고장난 기계의 정비 등)의 규정에 따라 공장에서 오랜 기간 사용되고 있는 설비의 안전성․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

노후설비의 관리에 관한 기술지침(P-119-2012) [내부링크]

o 관련 규격 및 자료 - 영국 HSE, "Managing Ageing Plant - A Summary Guide", 2010 - 영국 HSE Research Report RR823, "Plant Ageing Study - Phase 1 Report", 2010 노후설비의 관리에 관한 기술지침(P-119-2012) [목 차] 1. 목적 2. 적용범위 3. 정의 4. 관리하여야 할 노후설비 5. 노후화 메커니즘 6. 노후화 설비 관리 7. 전기 및 제어 시스템(E&CI)에 대한 특수 지침 1. 목적 이 지침은 정유, 석유화학 및 화학공장에서 화학물질을 취급하는 설비의 노후화로 인한 화재 등의 사고를 예방하는데 필요한 사항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2. 적용범위 이 지침은 정유, 석유화학 및 화학공..

산화에틸렌 취급설비의 안전에 관한 기술지침(P-141-2014) [내부링크]

관련 규격 및 자료 - 미국 FM Loss Prevention Data Sheets 7-92, “Ethylene Oxide”, 2007 - 미국 FM Loss Prevention Data Sheets 1-44, “Damage-limiting Construction”, 2008 - KS B 6750, “압력용기 설계 및 제조일반” - KOSHA GUIDE-D-18-2013, “안전밸브 등의 배출용량 산정 및 설치 등에 관한 기술지침” - KOSHA GUIDE-D-52-2013, “배관계통의 공정설계에 관한 기술지침” - KOSHA GUIDE-E-47-2012, “가스 폭발위험장소의 설정 및 관리에 관한 기술지침” - KOSHA GUIDE-E-48-2012 “가스 폭발위험장소에서의 전기설비 설계, 선정..

휘발성 유기화합물(VOC) 처리에 관한 기술지침(P-104-2012)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Royal society of Chemistry (영국) - 대기환경보전법 o 관련법규 - 산업안전보건법 제27조(기술상의 지침 및 작업환경의 표준) 휘발성 유기화합물(VOC) 처리에 관한 기술지침(P-104-2012) 1. 목 적 2. 용어의 정의 3. 광화학 산화물의 생성과정 4. 업종별 VOC 발생원 5. VOC가 인체 및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6. VOC 방출감소 지침 1. 목 적 대기오염물질중 고정원에서 배출되는 황화합물 (SOX), 질소화합물 (NOX) 및 휘발성유기화합물 (Volatile Organic Compounds, 이하 “VOC”라 칭함)등은 배출량이 많을 뿐만 아니라 인체와 지구환경 및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이 지대하여 전세계적으로 배출규제가 강력히 요구되고..

불활성가스 치환에 관한 기술지침(P-80-2011) [내부링크]

o 관련 규격 및 자료 - Chemical process safety : Fundamentals with applications, Daniel A. Crowl/Joseph F. Louvar - Loss prevention in the process industires, Frank P. Lees - 화학안전공학, 목연수 등 4명, 동화기술 - 국내․ 외 화학공장 작업안전표준 불활성가스 치환에 관한 기술지침(P-80-2011) 1. 목 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일반규정 5. 최소산소농도 산정 6. 진공치환 7. 압력치환 8. 스위프치환 9. 사이폰치환 1. 목 적 이 지침은 산업안전보건기준에관한규칙(이하 “안전규칙”이라 한다) 제2장(폭발․ 화재 및 위험물 누출에 의한 위험방지) 규정에 ..

연소 소각법에 의한 휘발성 유기 화합물(VOC) 처리설비의 기술지침(P-66-2012) [내부링크]

관련규격 및 자료 - NFPA Code 86 - API Publ 535, RP 556, Std 560, Publ 2028 - 설비제작업 및 엔지니어링업체 기술기준 - 미국 DuPont 기술기준 연소 소각법에 의한 휘발성 유기 화합물(VOC) 처리설비의 기술지침(P-66-2012) 1. 목적 2. 적용범위 3. 정의 4. 소각설비의 안전․ 방호조치 5. 안전운전절차 및 점검, 시험 및 유지관리 1. 목적 이 지침은 휘발성 유기화합물(이하 “VOC”라 한다.) 등의 처리설비 중 연소 소각법에 의한 처리설비의 기술 지침을 정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2. 적용범위 (1) 이 지침은 VOC 등의 화학물질을 대기압 분위기에서 소각처리하는 각종 소각설비의 설치 및 운전에 적용할 수 있다. (2) 이 지침이..

활성탄 흡착설비의 안전설치에 관한 기술지침(D-2-2012) [내부링크]

o 관련 규격 및 자료 - DIN SI5/62 - KOSHAGUIDE 「연소소각법에의한휘발성유기화합물(VOC) 처리설비의기술지침」 - KOSHA GUIDE 「휘발성 유기화합물(VOC)처리 기술지침」 활성탄 흡착설비의 안전설치에 관한 기술지침(D-2-2012) 1. 목 적 2. 적용범위 3. 정 의 4. 탄소흡착설비의 설치 시 고려사항 5. 국소과열점 검출 및 완화방안 6. 제어 및 계기 문제 7. 사용된 탄소의 처리 8. 위험성 평가 시 고려할 사항 1. 목 적 이 지침은 화학 및 석유화학 산업에서 발생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이하 “VOC”라 한다.) 등의 대기방출을 제어하기 위한 탄소 흡착법에 관한 처리 설비의 안전기술지침을 정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2. 적용범위 (1) 이 지침은 화학 및 석유화..

저장캐비닛의 가스 실린더 보관에 관한 기술지침(P-149-2016)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이근원, “화학물질 혼합위험성 결정을 위한 반응성 매트릭스 개발(Ⅱ )”, 연구원 2014-연구원-598, 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2014. - SEMI S4-92, “Safety Guideline for the Segregation/Separation of Gas Cylinders Contained in Cabinets“, SEMI, 1992. - SEMI S-0304, “Safety Guideline for the Separation of Chemical Cylinders Contained in Dispensing Cabinets“, SEMI, 2004. - KFPA, "반도체공업의 위험관리“, 2012. 저장캐비닛의 가스 실린더 보관에 관한 기술지침(P-149-20..

설비 배치에 관한 기술지침(P-134-2013) [내부링크]

o 관련 규격 및 자료 - CCPS "Guideline for Engineering Design for Process Safety ", 1993 - Frank P. Lees, "Loss Prevention in Process Industries", Butterworth & Co Ltd. 1980, N.Y, 1979 - William D. Baasel, "Preliminary Chemical Engineering Pant Design", Elsevier Pub. Co. N.Y, 1976 - ESSO “Process Safety Manual”, 1980 설비 배치에 관한 기술지침(P-134-2013) 1. 목적 2. 적용범위 3. 정의 4. 설비 배치시 고려하여야 할 사항 5. 공정지역의 배치 6. 저장지역..

화학공장의 인터록 관리에 관한 기술지침(P-133-2013) [내부링크]

o 관련 규격 및 자료 - KOSHA GUIDE P-108-2012, “안전운전절차서 작성에 관한 기술지침” - 손재근, “Heater interlock by-pass로 인한 위험분석 및 사고방지에 대한 연구”, 2003 - Roy E. Sandes, “Chemical Process Safety”, Gulf Professional Publishing, 2011 - CCPS, “Guidelines for Safe Process Operation and Maintenance”, 2010 화학공장의 인터록 관리에 관한 기술지침(P-133-2013) 1. 목적 2. 적용범위 3. 정의 4. 인터록의 신설, 수정, 삭제 및 설정값 변경 5. 인터록의 우회 및 해지 6. 인터록 보안 1. 목적 이 지침은 화학공..

화학공장 계측기의 관리 및 점검에 관한 기술지침(P-129-2013) [내부링크]

O 관련 규격 및 자료 - ISO 9001 7.6항, “모니터링 장비 및 측정장비 관리” - ISO 14001 4.5.1항, “모니터링 및 측정” - KOSHA/OHSAS 18001 4.5.1항, “성과측정 및 모니터링” - 국가표준기본법 - KOLAS-G-012 “환경평가 수행을 위한 지침” - KOLAS-G-013, “교정대상 및 주기설정을 위한 지침” - KOLAS-G-020, “측정결과의 소급성 유지를 위한 지침” - KOLAS-R-001, “국가교정기관지정제도 운영요령” 화학공장 계측기의 관리 및 점검에 관한 기술지침(P-129-2013) 1. 목적 2. 적용범위 3. 정의 4. 일반사항 5. 계측기 관리 및 점검 1. 목적 이 지침은 화학공장의 화학설비 및 부속설비에 설치되어 있는 계측기의 관..

체크리스트를 활용한 공정안전지침(P-118-2012) [내부링크]

o 관련 규격 및 자료 - Fluor Daniel, "Guidelines to safer Designs of Process Plants”, 1998 - Dow Chemical Co., "Chemical Hazard Engineering Guidelines", 1990 - P&G, "Process Safety Practice 301 ", 2001 체크리스트를 활용한 공정안전지침(P-118-2012) 1. 목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화학물질(Material/Chemical)에 관한 체크리스트 5. 반응(Reactions)에 관한 체크리스트 6. 설비 일반(Equipment general)에 관한 체크리스트 7. 배관(Piping)에 관한 체크리스트 8. 계장(Instrumentation)..

정유 및 석유화학 공장의 소방설비에 관한 기술지침(P-115-2012) [내부링크]

O 관련 규격 및 자료 - 국내 위험물 법규, 2012 - API RP 2001, Fire Protection in Refineries, 2012 - CCPS, Guidelines for Fire Protection in Chemical, Petrochemical, and Hydrocarbon Processing Facilities, 2005 - NFPA 30, Flammable and Combustible Liquid Code, 2012 - NFPA 30H, Flammable and Combustible Liquid Handbook, 2012 - FM Global Property Loss Prevention Data Sheets, 2012 - 국내·외 정유 및 석유화학 회사 소방 설계 엔지니어링 가이드..

원격차단밸브의 선정 및 설치에 관한 기술지침(P-77-2011) [내부링크]

o 관련 규격 및 자료 - HSE, "The selection of ROSOV (Remotely Operated Shut-off Valve) for the effective isolation of hazardous liquids and gases", 2004 원격차단밸브의 선정 및 설치에 관한 기술지침(P-77-2011) 1. 목적 2. 적용범위 3. 정의 4. 일반사항 5. 선정기준 6. 작동 7. 신뢰성 및 완벽성 1. 목적 이 지침은 위험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시스템에서 누출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화재 및 폭발을 방지하기 위하여 신속하게 원격 차단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설치하는 원격차단밸브의 선정 및 설치에 필요한 기술적 사항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2. 적용범위 이 지침은 위험물질을 함유하고..

화염방지기 설치 등에 관한 기술지침(P-70-2019)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한국산업규격 KS B 6845 : 화염 방지 장치의 성능 시험 방법 - 위험물안전관리법 - API RP2028, “Flame Arresters in Piping Systems” - API RP 12N, “Recommended Practice for the Operation, Maintenance and Testing of Firebox Flame Arrestors” 2nd Ed. - IEC 60079-20-1, “Material Characteristics for Gas and Vapour Classification,Test Methods and Data” 화염방지기 설치 등에 관한 기술지침(P-70-2019) 1. 목 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사용목적에 따른 화..

공기조화 및 환기설비의 안전관리 기술지침(P-63-2012) [내부링크]

o 관련 규격 및 자료 - NFPA 90A, “Standard for the Installation of Air Conditioning and Ventilating System”, 2002 Ed., 2002 공기조화 및 환기설비의 안전관리 기술지침(P-63-2012) 1. 목적 2. 적용범위 3. 정의 4. 일반 요구사항 5. HVAC 설비 6. 공조설비와 환기설비의 통합 시공 7. 설비 제어 8. 인수시험 1. 목적 이 지침은 공기조화 및 환기시스템의 화재 및 폭발방지를 위하여 안전한 설치에 관한 필요한 기술적 사항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2. 적용범위 이 지침은 건축물 및 구조물 내의 모든 공기조화 및 환기시스템에 적용한다. 3. 정의 (1) 이 지침에서 사용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

위험성평가 제도란? [내부링크]

1. 위험성평가란? 위험성평가는 사업장의 유해·위험요인을 파악하고 해당 유해·위험요인에 의한 부상 또는 질병의 발생가능성(빈도)과 중대성(강도)을 추정·결정하고 감소대책을 수립하여 실행하는 일련의 과정을 말함. 따라서 위험성평가는 사고의 미연방지가 가장 중요한 포인트이며, 체계적으로 문서화하고 지속적으로 수정·보완해 피드백(Feedback)하는 것이 필요함 2. 위험성평가의 법적 근거는? 산업안전보건법 제36조(위험성평가의 실시)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제37조(위험성평가 실시내용 및 결과의 기록·보존) 산업안전보건법 제15조(안전보건관리책임자), 제16조(관리감독자), 제17조(안전관리자), 제18조(보건관리자), 제19조(안전보건관리담당자) 및 제62조(안전보건총괄책임자) : 위험성..

암모니아 냉매설비의 안전관리 기술지침(P-60-2012) [내부링크]

o 관련 규격 및 자료 - WorkSafeBC (R-11-07), "Ammonia in refrigeration systems", 2007 - EPA (EPA 550-F-01-009), "Hazards of ammonia releases at ammonia refrigeration facilities", 2001 - CSB Case study (2008-06-I-TX), "Heat exchanger rupture and ammonia release in Houston, Texas", 2011 - OSHA, "E-Tools: Ammonia refrigeration" 암모니아 냉매설비의 안전관리 기술지침(P-60-2012) 1. 목적 2. 적용범위 3. 정의 4. 암모니아 및 설비의 위험요인 5. 암모니아 ..

공장 및 장치의 안전격리에 관한 기술지침(P-52-2012) [내부링크]

o 관련 규격 및 자료 - HSG-253, "The safe isolation of plant and equipment", 2006 공장 및 장치의 안전격리에 관한 기술지침(P-52-2012) 1. 목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격리작업의 주요 단계 5. 위험의 확인 6. 위험성 평가와 격리절차의 선정 7. 장치 준비 및 계획 8. 격리 설치 9. 격리 효과에 대한 시험과 모니터링 10. 공장 복귀 1. 목적 이 지침은 장치 및 공장을 안전하게 격리하는 방법과 유지보수나 샘플운전과 같이 정상운전이 아닌 간헐 작업 중에 위험물질의 방출로 인한 위험을 줄이는 방법 등 안전한 격리에 필요한 사항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2. 적용범위 이 지침은 정유 및 가스 산업과 화학물질 제조공정 그리..

화학설비의 소방용수 산출 및 소방펌프 유지관리에 관한 기술지침(P-43-2012) [내부링크]

o 이 지침은 다음을 참조하여 작성. - 소방방재청고시 제2007-67호 옥내소화전설비의 화재안전기준 - ICI Standard(FPG 5) : Water Supplies And Systems For Fire Fighting And Fire Protection - NFPA 20 Standard For The Installation Of Stationary Pumps For Fire Protection o 관련법규․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43조(소화설비) 화학설비의 소방용수 산출 및 소방펌프 유지관리에 관한 기술지침(P-43-2012) 1. 목 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소방용수 확보 5. 소방용수 산출 6. 소방펌프 선정 및 구성 7. 소방펌프 설치시 주의사항..

맹판 설치 및 제거에 관한 기술지침(D-56-2016)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VALERO 사, Blinding Guideline - HSE, The safe isolation of plant and equipment, 2006 - KOSHA GUIDE D-54, 화학설비의 압력시험에 관한 기술지침 o 관련법규․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57조(덮개 등의 접합부) 맹판 설치 및 제거에 관한 기술지침(D-56-2016) 1. 목 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맹판 작업준비 5. 맹판 설치작업 6. 맹판 제거작업 7. 기록 및 보관 1. 목 적 이 지침은 설비 유지보수 시 배관 등을 통해 다른 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막기 위한 맹판 설치 및 제거에 관한 기술적 사항을 정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2. 적용범위 이 지침은 ..

화학설비의 압력시험에 관한 기술지침(D-54-2014)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KS B 6750, “압력용기 - 설계 및 제조일반”, 2012 - ASME Boiler & Pressure Vessel Code Ⅷ Division 1, “RULES FOR CONSTRUCTION OF PRESSURE VESSELS”, 2007 - ASME B31.3, “Process Piping”, 2008 - ASME B16.5, “Pipe Flanges and Flanged Fittings”, 2003 화학설비의 압력시험에 관한 기술지침(D-54-2014) 1. 목 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일반사항 5. 압력시험 방법 6. 기록 관리 1. 목 적 이 지침은 화학설비 및 부속설비의 수압 및 기압 시험 절차, 안전조치 등에 필요한 사항을 정함을 그 목적으로 한..

가스폭발 예방을 위한 폭연 방출구 설치에 관한 기술지침(D-49-2012)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NFPA 68 : Explosion protection by deflagration venting(2007) - 한국화재보험협회 KFS 720 : 폭발벤팅 기준 o 관련법령,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32조(폭발 또는 화재 등의 예방) 가스폭발 예방을 위한 폭연 방출구 설치에 관한 기술지침(D-49-2012) 1. 목적 2. 적용범위 3. 정의 4. 폭연 방출구 설계에 관한 일반사항 5. 가스 혼합물 밀폐공간에 설치하는 방출구 면적 설계 6. 배관 등에 설치하는 폭연 방출구 설계 7. 폭연 방출구의 종류와 설치 1. 목적 이 지침은「산업안전보건법」 제23조(안전상의 조치) 및「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32조(폭발 또는 화재 등의 예방)에 따..

화학공장의 화재예방에 관한 기술지침(D-46-2013)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NFPA 30(Flammable and combustible liquids code), 1993 - Chemical process safety fundamentals with applications(2nd),Crowl/Louvar, 2001. Prentice Hall - Loss prevention in the process industries, Frank P. Lees. 1980.Butterworth & Co. Ltd. o 관련법령․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32조(폭발 또는 화재 등의 예방) 화학공장의 화재예방에 관한 기술지침(D-46-2013) 1. 목적 2. 적용범위 3. 정의 4. 화재 5. 화학공장에서의 주요 화재의 형태 6. 화상 7. 화재 예방..

세안설비 등의 성능 및 설치에 관한 기술지침(D-44-2016)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미국 ANSI Standard Z358.1, 1998 ; American national standard for emergency eye wash and shower equipment o 관련법규․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제130조의 2(공정안전보고서의 세부내용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451조(보호복 등의 비치 등), 제570조(세척시설 등), 제465조(긴급세척시설 등) 및 제508조(세안설비 등) - 공정안전보고서의제출․ 심사․ 확인 및 이행상태평가 등에 관한 규정(고시 제2016-40호) 제23조 및 제41조 세안설비 등의 성능 및 설치에 관한 기술지침(D-44-2016) 1. 목 적 2. 용어의 정의 3. 설치장소 4. 긴급샤워기 5...

화학설비 등의 공정설계에 관한 기술지침(D-37-2012) [내부링크]

o 관련규격 - 외국 엔지니어링사 Manual o 관련법령․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장 제4절(화학설비·압력용기 등) 화학설비 등의 공정설계에 관한 기술지침(D-37-2012) - 차 례 - 제1장 일반사항 1. 목적 2. 적용범위 3. 정의 제2장 공정용기 4. 설계 및 제작 규격 5. 설계조건 6. 공정용기의 크기 7. 공정용기의 모양 8. 설계 및 제작 규격 9. 설계조건 10. 열교환기의 형태 제4장 가열로 11. 설계조건 12. 가열로의 형태 13. 버너의 종류 14. 가열로의 효율 제5장 펌프 15. 설계조건 16. 펌프의 종류 및 선정기준 제6장 압축기 17. 설계조건 18. 예비압축기 19. 압축기의 종류 및 선정기준 제7장 배관 20. 설계 및 제작 규격 21. ..

가스 및 증기상의 화재․ 폭발 위험성이 있는 설비의 설계에 관한 기술지침(D-33-2012) [내부링크]

o 이 코드는 다음을 참조하여 작성. - 영국 ICI사의 “Design Guides for System with Potential Gas and Vapor Phase Fire and Explosion Hazards" o 관련 법규․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25조의 규정에 의거 작성 가스 및 증기상의 화재․ 폭발 위험성이 있는 설비의 설계에 관한 기술지침(D-33-2012) 차 례 1.목적 2.적용범우 3.용어의 정의 4.흐름도 사용방법 5. 연소원의 종류 6.연소매계 변수 7.설비 내에서의 연소 위험 대처 방안 8.폭발압력 방출 면적 산출 1.목적 이 지침은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이하 “안전보건규칙”이라 한다) 제225조의 규정에 의하여 가스 및 증기상물질에 의한 ..

제어실의 위치선정 및 설계에 관한 기술지침(D-32-2012) [내부링크]

o 이 코드는 다음 규정을 참조하여 작성하였음. - 영국의 Chemical Industry Association의 Guidelines - Guide for the location and design of control buildings and other occupied buildings near to hazardous process plant - Process safety guide No. 6(ICI) - Loss Prevention In the Process Industries, Frank P. Lees o 관련 법규․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55조(화학설비를 설치하는 건축물의 구조) 및 312조(변전실 등의 위치)의 규정에 의거 작성됨 제어실의 위치선정 및 설계에 관한 기..

소규모사업장에서의 화재․ 폭발사고 방지를 위한 기술지침(D-28-2012)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ICI Standard - 소방법 o 관련법규․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법 제27조의 규정에 의거 작성됨. 소규모사업장에서의 화재․ 폭발사고 방지를 위한 기술지침(D-28-2012) - 목 차 - 1. 목 적 2. 적용대상 3. 용어의 정의 4. 화재의 확산 방지 5. 폭발 예방 대책 6. 폭발 및 피해확산방지 대책 1. 목 적 이 지침은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이하 “안전보건규칙”이라 한다) 제232조(폭발 또는 화재 등의 예방), 제236조(화재 위험이 있는 작업의 장소 등), 제239조(위험물 등이 있는 장소에서 화기 등의 사용금지) 및 제240조(유류 등이 있는 배관 이나 용기의 용접 등)의 규정에 의하여 영세사업장에서 중대산업사고의 원인이 되는 화재 및 폭발..

화학설비의 안전설계 일반기준에 관한 기술지침(D-24-2012)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Guideline for Engineering Design for the Process Safety, Center for Chemical Safety of the AIChE, 1993. - OSHA PSM Guideline 화학설비의 안전설계 일반기준에 관한 기술지침(D-24-2012) 1. 목 적 2. 용어의 정의 3. 일반사항 4. 효율화 설계 5. 대 체 6. 완 화 7. 영향의 제한 8. 단순화 1. 목 적 사업장의 근원적 안전성 확보는 제어 시스템, 인터록 설비, 경보 설비 등을 설치하거나 개선하는 것보다 화학물질의 양을 줄이거나 유해 위험성이 적은 물질로 대체, 사용하는 조건을 완화하는 등 위험성이 원천적으로 감소되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이 기준은 설계단계에서 근원..

옥외 저장탱크의 포 소화설비 설계지침(D-21-2012)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국내 소방법 및 미국의 NFPA CODE o 관련법규․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43조(소화설비) 옥외저장탱크의 포 소화설비 설계지침 1. 목 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포 소화설비 5. 포 소화설비의 소화 수원의 양 및 약제량 6. 포의 종류와 선택 7. 포 소화설비의 가압송수장치 8. 배관설비 9. 포 소화약제의 혼합장치 10. 포 소화설비의 전원과 기동 11. 수원 및 가압송수펌프의 겸용 1. 목 적 이 지침은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이하 “안전보건규칙”이라 한다) 제243조(소화설비)의 규정에 의거 포 소화설비의 설계에 관한 기술적 사항을 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2. 적용범위 이 지침은 안전보건규칙 별표1(위험물질의 종류)의4..

통기설비 설치에 관한 기술지침(D-14-2018)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한국산업규격(KS B 6225) - 미국 API STD 2000 - 미국 API STD 650 - 미국 NFPA 30 - 영국 BS 2654 - 위험물안전관리법 통기설비 설치에 관한 기술지침(D-14-2018) - 목 차 - 1. 목적 2. 적용범위 3. 정의 4. 통기량 산출 5. 통기설비 설치 1. 목적 이 지침은 인화성물질 등을 저장․ 취급하는 고정식 지붕탱크 및 용기(이하 “탱크”라 한다)의 통기설비 설치 등에 필요한 사항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2. 적용범위 이 지침은 인화성 물질을또는 인화점이 60 를 초과하는 물질을 인화점 이상에서 저장․ 취급하는 대기압 탱크의 통기설비에 적용한다. 단, 운전압력이 완전 진공인 탱크와 저압 탱크까지의 탱크에도 적용할 수 ..

염소저장설비에 관한 기술지침(D-13-2012)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미국 염소협회 규격 - ILO 중대산업사고 매뉴얼 o 관련법규․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29조(독성이 있는 물질의 누출 방지), 제258조(밸브 등의 개폐방향의 표시 등), 제260조(공급 원재료의 종류 등의 표시), 제273조(계측장치 등의 설치) 및 제432조(부식의 방지조치) 내지 제435조(긴급차단장치의 설치 등) 염소저장설비에 관한 기술지침(D-13-2012) 1. 목적 이 지침은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이하 "안전보건규칙"이라 한다) 제 229조(독성이 있는 물질의 누출 방지), 제258조(밸브 등의 개폐방향의 표시 등), 제260조(공급 원재료의 종류 등의 표시), 제273조(계측장치 등의 설치) 및 제432조(부식의 방지조치) 내..

방유제 설치에 관한 기술지침(D-8-2017) [내부링크]

O 관련 규격 - NFPA 30 : Flammable and combustible liquids code(2015) 방유제 설치에 관한 기술지침(D-8-2017) - 목 차 - 1. 목적 2. 적용범위 3. 정의 4. 위험물질 저장탱크 배치 5. 방유제의 유효용량 6. 방유제와 저장탱크 사이의 거리 7. 방유제의 구조 8. 방유제 관통 배관 9. 방유제 내부의 배수처리 10. 방유제 내부의 설비 1. 목적 이 지침은 위험물질을 액체상태로 저장하는 저장탱크에서 위험물질 누출 시 외부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하는 방유제에 관한 기술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2. 적용범위 이 지침은 위험물질의 외부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하는 방유제에 대하여 적용한다. 다만, 위험물안전관리법 등 다른 법..

안전계장시스템(SIS)을 이용한 화학설비 안전성 향상에 관한 기술지침(D-69-2020) [내부링크]

o 관련 규격 및 자료 - ISA S84.01, “Application of Safety Instrumented Systems for the Process Industries”, 1996 - IEC 61508 “Functional safety of electrical/electronic/programmable electronic safety-related systems”, 2010 - IEC 61511 “Functional safety ― Safety instrumented systems for the process industry sector”, 2016 안전계장시스템(SIS)을 이용한 화학설비 안전성 향상에 관한 기술지침(D-69-2020) - 목 차 - 1. 목적 2. 적용범위 3. 정의 4. 안전..

냉동 시스템의 설치 및 취급에 관한 안전기술지침(D-6-2012) [내부링크]

o 관련 규격 및 자료 - ANSI/ASHARE Standard 15-2007, Safety Standard for Refrigeration Systems o 관련법규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32조 (폭발 또는 화재 등의 예방) 냉동 시스템의 설치 및 취급에 관한 안전기술지침(D-6-2012) - 목 차 - 1. 목적 2. 적용범위 3. 정의 4. 냉동시스템의 설계 및 구조 5. 설치 시 고려사항 6. 냉매 사용 시 고려사항 7. 안전취급 1. 목적 이 지침은 냉동 시스템을 사용하는 설비의 화재 및 폭발, 그리고 설비의 파손과 같은 사고로부터 근로자와 설비를 보호하기 위하여 냉동 시스템의 구조, 설치, 운전 등에 관한 기술적 사항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2. 적용범위 이 지침은 ..

정량적 위험성평가(CA; Consequence Anaiysis) " 피해예측 및 영향평가" 시 참고하여야 하는 KOSHA Guide [내부링크]

정량적 위험성평가(CA; Consequence Anaiysis) " 피해예측 및 영향평가" 시 참고하여야 하는 KOSHA Guide 1. 누출원 모델링에 관한 기술지침(P-92-2012) 2. 화학공장의 피해최소화 대책 수립에 관한 기술지침(P-110-2012) 3. 사고피해예측 기법에 관한 기술지침(P-102-2013) 4. 사고피해영향 평가기법(P-88-2012) 5. 최악 및 대안의 누출 시나리오 선정에 관한 기술지침(P-107-2016) * 비상조치계획 수립에 관한 기술지침(P-101-2012) * 사고시나리오에 따른 비상대응계획 작성에 관한 기술지침(P-163-2017)

KOSHA Guide(안전보건기술지침), 산업현장 안전의 지표! [내부링크]

산업현장 안전의 지표! 안전보건기술지침(KOSHA GUIDE) 안전보건기술지침(KOSHA GUIDE)이란? 법령에서 정한 최소한의 수준이 아니라, 좀 더 높은 수준의 안전보건 향상을 위해 참고할 광범위한 기술적 사항에 대해 기술하고 있으며 사업장의 자율적 안전보건 수준향상을 지원하기 위한 기술지침입니다. 안전보건기술지침(KOSHA GUIDE)의 법적근거 산업안전보건법 제1조 목적에 보면 “이 법은 산업안전·보건에 관한 기준을 확립하고 그 책임의 소재를 명확하게 하여 산업재해를 예방하고 쾌적한 작업환경을 조성함으로써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을 유지·증진함을 목적으로 한다.” 라고 명시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산업안전 보건법에서는 최저기준뿐만 아니라 최저기준을 초과한 ‘작업환경의 쾌적’을 추구하는 ..

가연성가스 및 증기혼합물의 폭발한계 산정에 관한 기술지침(D-22-2012) [내부링크]

o 관련규격 - D. A. Crowl and J. Louvar, Chemical Process Safety : Fundamentals with Applications, 2nd Editon, 2002 - Bulletin of the Korean Institute for Industrial Safety, Vol. 1, No. 1, 2001 o 관련법규․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법 제27조의 규정에 의거 작성됨. 가연성가스 및 증기혼합물의 폭발한계 산정에 관한 기술지침(D-22-2012) 1. 목 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가스 등 혼합물의 폭발하한계 산정 5. 가스 등 혼합물의 폭발상한계 산정 6. 가스 등 혼합물의 온도와 압력이 결합된 경우 폭발한계 산정 1. 목 적 이 지침은 산업안..

폭발억제장치의 설치에 관한 기술지침(D-16-2012)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NFPA 69(Standard on explosion prevention systems, 1997 edition) - Guidelines for engineering design for process safety, 1993, CCPS, AIChE - The SFPE handbook of fire protection engineering, third edition, 2002, NFPA - Fire protection handbook, seventeenth edition, 1991, NFPA o 관련법규․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43조(소화설비) 폭발억제장치의 설치에 관한 기술지침(D-16-2012) - 차 례 - 1. 목적 2. 적용범위 3. 정의..

분진폭발방지에 관한 기술지침(D-12-2012)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미국 NFPA 68, FM 및 Uniform fire code 등 o 관련법규․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32조(폭발 또는 화재 등의 예방)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36조(화재 위험이 있는 작업의 장소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39조(위험물 등이 있는 장소에서 화기 등 의 사용 금지) 분진폭발방지에 관한 기술지침(D-12-2012) 1. 목 적 2. 적용대상 분진 및 설비 3. 용어의 정의 4. 분진제거 5. 분진발생 설비의 구조 6. 금속분리 장치 7. 제진설비 8. 점화원 관리 9. 접지 등 11. 폭발 방호장치 10. 불활성가스 봉입 1. 목 적 이 지침은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이하 “안전보건규칙”이라 한다)..

액봉(液封) : Liquid Seal [내부링크]

액봉(液封) : Liquid Seal 1.정의 주위온도의 상승에 따라 냉매액이 체적팽창하여 이상고압이 발생하는 현상 2.발생원인 1) 냉동장치를 수리할 때 ,펌프다운을 하지 않고 하는 경우 2) 응축기나 수액기를 수리하기 때문에 펌프다운을 할 수 없는 경우 3) 운전휴지중 스톱밸브를 모두 닫아 놓은 경우 4) 기타 밸브조작의 잘못으로 냉매액이 충만하고 있는부분이 밀봉되어 냉매액이 빠져나갈 부분이 없는 경우 3. 현상 액봉쇄 발생 부분이 상당한 고압이 되므로 밸브 배관등의 파괴발생 4.발생 방지방법 1) 냉동장치의 운전을 정지할때는 수액기와 가까운 부분의 스톱밸브를 닫고 난 다음 액헤더 이후의 스톱밸브를 닫아서 , 액헤더에 액이 충만하지 않는 공간을 만들어 준다. 2) 액봉쇄 발생이 예상되는..

체크밸브 설치에 관한 기술지침(D-62-2018) [내부링크]

o 관련 규격 및 자료 - NP-5479, Electric Power Research Institute, “Application Guide for Check Valves in Nuclear Power Plants”, 1993 - API Std. 594, “Check Valves: Flanged, Lug, Wafer and Butt-welding”, 2004 - ANSI/AWWA C518-13, “Dual-Disc Swing-Check Valves for Waterworks Service”, 2013 - PIP PNC00001, Process Industry Practices(PIP), “Pipe Support Criteria for ASME B31.3 Metallic Piping”, 2009 - Pete..

방호구조의 설계 및 설치에 관한 기술지침(D-65-2018) [내부링크]

o 관련 규격 및 자료 - KGS FP112(2017), “고압가스 일반제조의 시설·기술·검사·감리·안전성 평가기준” - KOSHA GUIDE D-32, “제어실의 위치선정 및 설계에 관한 기술지침” - 한국콘크리트학회, “폭발하중과 방호구조물의 설계”, 2011년 23권 2호 방호구조의 설계 및 설치에 관한 기술지침(D-65-2018) -목 차 - 1.목적 2.적용범위 3,용어의 정의 4. 방호구조 설계 기준에 대한 일반 요구사항 5. 폭발하중을 받는 구조물의 설계기준 6. 방호벽 설치기준 1. 목적 이 지침은 폭발압력을 받을 수 있는 시설물의 방호구조에 관한 필요한 사항을 정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2. 적용 범위 이 지침은 사무실 등의 벽을 방호구조로 설치하는 경우와 가스폭발 위험장소 또는 분진..

(공통,업종별)통합환경관리계획서작성 가이드 라인 [내부링크]

출처 : 통합환경허가시스템 첨부파일 : 통합환경관리계획서 작성 가이드라인(공통, 업종별) 파일 다운로드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 검사 및 안전진단 수수료에 관한 규정(환경부고시 제2021-20) [내부링크]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 검사 및 안전진단 수수료에 관한 규정 [시행 2021. 1. 29.] [환경부고시 제2021-20호, 2021. 1. 29., 일부개정] 제1조(목적) 이 고시는 「화학물질 관리법」(이하 "법"이라 한다) 제54조, 같은 법 시행규칙 제59조 및 별표12에 따라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의 검사 및 안전진단 수수료를 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2조(검사 수수료 산정기준) ① 법 제24조제2항, 제3항에 따른 설치·정기 및 수시검사의 수수료는 다음 표의 계산식에 의하여 산출한다. 구 분 수수료 계산식 유해화학물질취급시설 직접노무비 + 간접노무비 + 직접경비 + 간접경비 + 일반관리비 + 이윤 ② 제1항의 계산식에서 직접노무비, 간접노무비, 직접경비, 간접경비, 일반관리비 및 이윤은 다음 표의..

유해화학물질 취급 -주요 작업절차서 - [내부링크]

출처 : 한국화학물질관리협회 첨부자료 : 유해화학물질 취급 -주요 작업절차서 -

유해화학물질 지도점검 방향 및 화관법 개정사항 [내부링크]

첨부파일 : 유해화학물질 지도점검 방향 및 화관법 개정사항 출처 : 한강유역환경청 시흥화학재난합동방재센터

유해화학물질 소량취급시설 기준해설 [내부링크]

목 차 Contents 1. 소량 취급시설 기준제도 개요 1.1. 화학물질관리법 시행규칙 1.2. 화학물질안전원 고시 1.3. 화학물질안전원 지침 2. 소량 취급시설 적용대상 판단방법 2.1. 소량의 산정 2.2. 산업단지 내 입지 기업의 소량 취급시설 적용대상 판단 2.3. 산업단지 외 입지 기업의 소량 취급시설 적용대상 판단 2.4. 연구시설의 소량 취급시설 적용대상 판단 2.5. 학교시설의 소량 취급시설 적용대상 판단 2.6. 간이 장외영향평가서 제출 시설 적용대상 판단 2.7. 단위공장별 소량 취급시설 적용대상 판단 2.8. 시설별 소량 취급시설 적용대상 판단 2.9. 분리된 공간의 소량 취급시설 적용대상 판단 2.10. 희석 설비의 소량 취급시설 적용대상 판단 3. 소량 취급시설 기준..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 설치 및 관리 기준 민원 사례 [내부링크]

[첨부]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 설치 및 관리 기준 민원 사례

화학물질안전원고시 취급시설 기준 안내서 [내부링크]

첨부자료 : 화학물질안전원고시 취급시설 기준 안내서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 설치 및 관리기준 개정(2/2) [내부링크]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 설치 및 관리기준(2/2)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 설치 및 관리기준 개정(1/2) [내부링크]

[첨부1]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 설치 및 관리기준 개정(1/2)

장외영향평가의 위험도 분석 [내부링크]

장외영향평가의 위험도 분석 대안의 사고시나리오와 사고시나리오를 대상으로 사고의 영향과 발생 빈도를 고려하여 위험도 분석은 LOPA(Layer of protection analysis; 방호계층분석기법)에 따라 아래의 산정식으로 계산함. 위험도 = 영향범위 내 주민수 × 사고 발생빈도(주요기기 고장빈도×안전성향상도) ① 영향범위 내 주민수 : 영향거리(반경)를 기준으로 하여 누출원 중심으로 원을 그려서 원 내의 주민수를 산정, 여기에서는 원의 면적과 지역평균 인구밀도의 곱으로 계산한다 ② 주요기기 고장빈도 : 대상 시나리오를 발생시킬 수 있는 각 개시사건의 빈도와 해당 건수를 곱하여 계산한다. ③ 안전성 향상도 : 수동적/능동적 완화장치(안전장치)의 설치/작동으로 인한 위험도를 감쇄를 의미하며, 완화장..

유해화학물질(사고대비물질) 영업허가 이행절차 안내 [내부링크]

유해화학물질(사고대비물질) 영업허가 이행절차 안내 기존「유해화학물질관리법」이 「화학물질관리법」으로 전면 개정('15.1.1)되어 유해화학물질 중 사고대비물질(총 69종)을 취급하는 사업장의 경우에도 유해화학물질 영업허가를 받아야 함을 알려드리니, 경과조치에 따라 2017.12.31.까지 영업허가를 이행하시기 바랍니다. 목 적 사고대비물질 유해화학물질 영업허가를 통해 화학물질 전담 관리인력을 갖추고, 취급시설을 적정하게 관리 하여 환경상의 위해를 방지하고 화학사고 신속 대응 - 2015년 이전에는 사고대비물질의 경우 유해화학물질 영업허가(기존 유독물등록) 비대상 물질이었음, 법률 개정에 따라 사고대비물질도 허가대상으로 확대됨. ※ 유해화학물질 비영업자의 경우에도 유해화학물질 취급기준 준수, 개인보호..

폐수처리공정 화재·폭발 예방 매뉴얼 [내부링크]

[첨부파일] : 폐수처리공정 화재·폭발 예방 매뉴얼

소각설비(RTO)화재폭발예방 매뉴얼 [내부링크]

첨부파일 : 소각설비(RTO) 화재·폭발 예방 매뉴얼

노·사합동 자율안전보건 점검표(제조업) [내부링크]

노·사합동 자율안전보건 점검표(제조업) 사업장명: 대 표 자: 소 재 지: 업 종: 전화번호: 생산품목: 팩스번호: 점 검 일 자 . . . 점검결과 확인 - 사업주 대표 직책 성명 (서명) - 근로자 대표 직책 성명 (서명) 공단 기술지원 신청여부 (“필요”또는“불필요”간략기재) 점검 결과 적정 여부 (“적정” 또는 “부적정” 간략기재) 대표 (인) 사업장 자율안전점검표(제조업) 구분 항 목 점검내용 점검결과 양호 불량 해당무 일반 분야 1. 정리, 정돈, 청소 ․작업장의 정리, 정돈, 청소상태는 양호한가 ? ․공구, 기구의 정리, 정돈은 잘 되어 있는가 ? ․제품, 반제품, 원료 등의 적재 및 보관방법은 적정한가 ? 2. 구조물, 설비의 이상유무 ․구조물의 균열은 ..

관리감독자 업무 매뉴얼 [내부링크]

목 차 제1장 관리감독자의 지위 제2장 관리감독자의 업무 제3장 산업안전보건법 일반 제4장 위험성평가 제도 제5장 관리감독자 관련 질의・회시 부 록 [첨부] 관리감독자 업무 매뉴얼

산업안전보건업무 수수료(고시 제2020- 31호) [내부링크]

산업안전보건업무 수수료(개정 2020. 1. 15. 고시 제2020- 31호) 1. 산업안전보건교육수수료 (단위: 원) 교육과정명 교육수수료 관리 책임자 신규 44,000원(1시간당 7,200원) 보수 44,000원(1시간당 7,200원) 안전관리자, 안전관리전문기관의 종사자 신규 산업안전일반, 제조, 건설, 기타산업 186,000원(1시간당 5,400원) 보수 산업안전일반, 제조, 건설, 기타산업 141,000원(1시간당 5,800원) 보건관리자, 보건관리전문기관의 종사자 신규 산업보건일반, 산업위생, 산업간호 186,000원(1시간당 5,400원) 산업의학 228,000원(1시간당 6,600원) 보수 산업보건일반, 산업위생, 산업간호 141,000원(1시간당 5,800원) 산업의학 171,000원..

도급사업 안전보건관리 운영 매뉴얼 [내부링크]

첨부파일 : 도급사업 안전보건관리 운영 매뉴얼

안전관리자 업무 매뉴얼 [내부링크]

지난 10년간 0.7%대에서 정체되어 있던 우리나라의 산업재해율이 최근 0.5%대까지 감소하였습니다. 이러한 성과를 이루는 데는 산업현장의 안전보건관리책임자를 비롯한 안전관리자, 보건관리자 및 관리감독자 등 안전보건관계자 여러분들의 적극적인 재해예방 활동이 크게 기여되었습니다. 실제로 많은 안전보건관계자분들이 산재예방에 필요한 안전보건 지식을 습득하기 위해 각종 전문교육을 이수하였고, 이를 현장에서 적극 실천함으로써 현장의 안전보건 기틀이 다져졌다고 할 수 있습니다. 한편 안전보건관계자분들 중에는 현장에서 안전보건직무를 수행하는 과정에 안전보건 법정업무를 어떻게 수행해야 하는지를 이해하기 쉽게 만든 매뉴얼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하기도 하였습니다. 이에 우리 공단에서는 금번에 안전보건관계자분들의 안전보건..

사고시나리오 선정 및 위험도 분석에 관한 기술지침(안전원지침 제2021-3호) [내부링크]

사고시나리오 선정 및 위험도 분석에 관한 기술지침 화학물질안전원지침 제2021-3호(2021.6.18.) 2015.1.28. 제정 2021.6.18. 개정 제1장 개요 1-1. 목적 이 지침은 「화학물질관리법」 제23조, 같은 법 시행규칙 제19조 규정에 따른 화학사고예방관리계획서 작성에 필요한 사고시나리오 선정 및 위험도 분석을 위한 세부사항을 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1-2. 적용범위 이 지침은 유해화학물질의 유출·누출 사고, 화재·폭발 사고가 사람 및 환경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고시나리오를 선정하고 유해화학물질 취급사업장의 위험도를 선정하는데 적용된다. 1-3. 정의 ① 이 지침에서 사용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 각 호와 같다. 1) “끝점(종말점)”이란 사람이나 환경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독성농..

사고 영향범위 산정에 관한 기술지침(안전원지침 제2021-2호) [내부링크]

사고 영향범위 산정에 관한 기술지침 화학물질안전원지침 제2021-2호(2021.6.18.) 2015.1.28. 제정 2021.6.18 개정 제1장 개 요 1-1. 목적 이 기술지침의 목적은 「화학물질관리법」(이하 “법”이라 한다) 제23조, 같은 법 시행규칙(“규칙”이라 한다) 제19조의2에서 제19조3까 지 규정에 따른 화학사고예방관리계획서 작성에 필요한 사고시나리오에 따른 영향범위 산정을 위한 세부 사항을 정하는 것이다. 1-2. 적용범위 이 지침은 화학물질안전원 고시“화학사고예방관리계획서 작성 등에 관한 규정”에 따른 사고시나리오의 영향범위를 산정하기 위한 세부 조건에 적용된다. 1-3. 정의 ① 이 지침에서 사용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 각 호와 같다. 1) “유해화학물질”이란 유독물질, 허가물질,..

화학사고예방관리계획서 이행점검 매뉴얼 [내부링크]

화학사고예방관리계획서 이행점검 법적 근거 화학물질관리법(법률 제17182호) 제 23조의2 화학사고예방관리계획서 이행 등 제 58조 벌칙 부칙 제3조 위해관리계획서에 관한 경과조치 화학물질관리법 시행규칙(환경부령 제911호) 제19조의3 화학사고예방관리계획서의 이행 등 별표 7 행정처분의 기준 화학물질안전원 고시 화학사고예방관리계획서 이행 등에 관한 규정 화학사고예방관리계획서 이행점검 전체 체계도 화학사고예방관리계획서 이행점검 매뉴얼 [ 목 차 ] Part 01 개요 1. 법적근거 2. 주요 용어설명 3. 이행점검 전체 체계도 Part 02 이행점검 종류 및 방법 1. 이행점검 개요 2. 서면점검 2.1 점검대상 2.2 서면점검결과 제출대상 2.3 서면점검결과 ..

화학사고예방관리계획서 작성 매뉴얼 [내부링크]

화학사고예방관리계획서 작성 매뉴얼 Part 01 화학사고예방관리계획서 제도 이해 Part 02 화학사고예방관리계획서 검토 신청 Part 03 화학사고예방관리계획서 작성 방법 3.1. 기본정보 3.2. 시설정보 3.3. 장외평가정보 3.4. 사전관리방침 3.5. 내부비상대응계획 3.6. 외부비상대응계획 화학사고예방관리계획서 작성 매뉴얼 출처 : 환경부 한국화학물질안전원

화학사고예방관리계획서 이행 등에 관한 규정(안전원고시 제2021-9호) [내부링크]

화학사고예방관리계획서 이행 등에 관한 규정 화학물질안전원고시 제2021-9호 제1장 총칙 제1조(목적) 이 규정은 「화학물질관리법」 (이하 “법”이라 한다) 제23조의2 및 같은 법 시행규칙(이하 “규칙”이라 한다) 제19조의3에 따른 화학사고예방관리계획서의 이행 및 점검, 법 제23조의3 및 규칙 제19조의4에 따른 화학사고예방관리계획서의 지역사회 고지, 법 제33조제1항 및 규칙 제37조제2항에 따른 화학사고예방관리계획서의 교육ㆍ훈련에 대한 세부기준을 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2조(정의) ① 이 규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다. 1. “총괄영향범위”란 사업장 내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별로 화재ㆍ폭발 또는 독성물질 누출사고 각각에 대하여 가장 큰 영향범위의 외곽을 연결한 구역을 말한다. 2. ..

화학사고예방관리계획서 검토 등에 관한 규정(안전원고시 제2021-8호) [내부링크]

화학사고예방관리계획서 검토 등에 관한 규정 화학물질안전원고시 제2021-8호 제1장 총칙 제1조(목적) 이 규정은 「화학물질관리법」(이하 “법”이라 한다) 제23조, 같은 법 시행규칙(이하 “규칙”이라 한다) 제19조의2에 따른 화학사고예방관리계획서의 검토 및 현장조사 등에 필요한 사항을 규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2조(정의) ① 이 규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1. “화학사고”란 시설의 교체 등 작업 시 작업자의 과실, 시설 결함ㆍ노후화, 자연재해, 운송사고 등으로 인하여 화학물질이 사람이나 환경에 유출ㆍ누출되어 발생하는 일체의 상황을 말한다. 2. “장외”란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을 설치ㆍ운영하는 사업장 부지의 경계를 벗어난 바깥을 말한다. 3. “영향범위”란 화학사고로 인해 유해화학..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 관련한 법규 등 준수내용 [내부링크]

출처 : 환경부/한국화학물질관리협회

화학사고예방관리계획서 작성지원 프로그램(KORA5.0) 설명서 [내부링크]

ㅇ 화학물질관리법 개정('21.4.1. 시행)에 따라 장외영향평가서와 위해관리계획서가 “화학사고예방관리계획서”로 통합운영 - 이에 따라 “화학사고예방관리계획서” 작성을 지원하고자 KORA ver.5(beta)를 배포 KORA ver.5 주요 적용 기능 > 1. 제출수준 판단 기능 : 유해화학물질의 상위·하위 규정수량에 따른 사업장 내 최대 보유량을 산정하여 제출대상 및 작성 수준을 자동으로 판단 2. 새롭게 개선 된 위험도 판단 기능 : 4가지 인자* 점수화를 통한 위험도(가/나/다) 판정 기능 * 사고시나리오 개수, 개시사건 고장빈도, 사고시나리오 거리, 영향범위 내 주민 수 ※ 기타 증감요인은 위험도를 최종적으로 결정하기 위해 심사자가 판단하는 사항으로 프로그램 상에는 반영되어 있지 않음 3. 별지서..

개정된 화학물질관리법에 따른 화학사고예방관리계획서 Q&A [내부링크]

개정된 화학물질관리법에 따른 화학사고예방관리계획서 Q&A 첨부파일 : 개정된 화학물질관리법에 따른 화학사고예방관리계획서 Q&A 출처 : 한국화학물질안전원

개정된 화학물질관리법에 따른 화학사고예방관리계획서 Q&A(2) [내부링크]

개정된 화학물질관리법에 따른 화학사고예방관리계획서 Q&A 1. 작성 및 제출 (규정수량 및 최대보유량 산정 포함) Q1. 개정법 시행 전에 적합 받은 장외영향평가서, 위해관리계획서가 있으면 ‘21년 4월 1일 이후에도 유해화학물질 영업허가가 가능한가요? 변경이 발생되지 않는 한 기존에 적합받은 장외영향평가서나 위해관리계획서로 유해화학물질 영업허가는 가능하며, 변경사항(시설 신·증설, 이설 및 물질 변경 등)으로 작성 수준 및 총괄영향범위 확대 등 개정규정의 제출 요건에 해당되는 경우 사업장 단위 화학사고 예방관리계획서를 제출하여 변경허가 진행 Q2. 기존의 위해관리계획서는 사고대비물질에 한하여 작성하였는데, 화학사고예방관리계획서는 사고대비물질 취급과 상관없이, 대상 물질의 상위 규정수량이상 취급 시 ..

화학사고예방관리계획서 작성 등에 관한 규정(화학물질안전원고시 제2021-7호) [내부링크]

화학사고예방관리계획서 작성 등에 관한 규정 화학물질안전원고시 제2021-7호 제1장 총칙 제1조(목적) 이 규정은 「화학물질관리법」 (이하 “법”이라 한다) 제23조, 같은 법 시행규칙(이하 “규칙”이라 한다) 제19조 규정에 따른 화학사고예방관리계획서의 작성 및 제출에 필요한 사항을 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2조(정의) ① 이 규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1. “화학사고”란 시설의 교체 등 작업 시 작업자의 과실, 시설 결함ㆍ노후화, 자연재해, 운송사고 등으로 인하여 화학물질이 사람이나 환경에 유출ㆍ누출되어 발생하는 모든 상황을 말한다. 2. “장외”란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을 설치ㆍ운영하는 사업장 부지의 경계를 벗어난 지역을 말한다. 3. “영향범위”란 화학사고로 인해 유해화학물..

화학사고예방관리계획서 위험도 판단기준 [내부링크]

#화학사고예방관리계획서#위험도판단기준#위험도분석#사고시나리오#영향범위#근로자수#사고빈도 태그수정 댓글 쓰기

자체감사 점검표 작성에 관한 기술지침(P-105-2017)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Regulations(Standards-29 CFR) Process safety management of highly hazardous chemicals 1911.119(U.S Department of Labor) - 공정안전보고서의 제출 심사 확인 및 이행상태평가 등에 관한 규정(고용노동부 고시) 자체감사 점검표 작성에 관한 기술지침(P-105-2017) 1. 목적 2. 적용범위 3. 정의 4. 정의 5. 자체감사 방법 6. 자체감사 결과보고서 작성 1. 목적 이 지침은 사업장에서 실시하는 공정안전보고서에 관한 자체감사 업무를 원활히 수행하도록 하는데 필요한 사항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2. 적용범위 이 지침은 공정안전보고서 제출 대상 사업장에 적용한다. 3. 정..

자체감사에 관한 기술지침(P-99–2012)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국제노동기구(ILO) Convention No. 174 : The Prevention of Major Industrial Accidents, 1993 - 미국 공정안전관리제도 규정 : Process safety management of highly hazardous chemicals - 29 CFR 1910.119 -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KOSHA 18001 인증업무 처리규칙 (공단 규칙 제623호) o 관련법규 - 산업안전보건법 제49조의2(공정안전보고서의 제출 등) - 산업안전보건법 시행령 제33조의6(공정안전보고서의 제출 대상) -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제130조의2(공정안전보고서의 세부내용) - 노동부 고시 제2006-27호(공정안전보고서의 제출․ 심사․ 확인 및 이..

PSM 자체감사 [내부링크]

PSM 자체감사 관련 법규 및 규정: 공정안전보고서의 제출‧심사‧확인 및 이행상태평가 등에 관한 규정(개정 2020.01.16. 고시 제2020-55호) 제38조(자체감사 계획) 규칙 제50조제1항제3호 아목의 자체감사 계획은 다음 각 호의 사항을 포함하여야 한다. 1. 목적 2. 적용범위 3. 감사계획 4. 감사팀의 구성 5. 감사 시행 6. 평가 및 시정 7. 문서화 등 51조(자체감사) 사업장에서는 공정안전관리가 규정대로 이행되고 있는지를 평가․확인하기 위하여 1년마다 자체감사가 실시되고 있는지를 다음 각 호의 기준에 따라 심사하여야 한다. 1. 자체감사 시에는 사용 중인 안전작업지침 및 절차 등 각종 기준과 절차가 현재의 공정 및 설비에 적합한지 여부 2. 자체감사팀에는 감사 대상 공정에 전문..

KGS GC104 2018(방폭전기기기의 수리, 보수, 재생, 개조 및 변경에 관한 기준) [내부링크]

KGS GC104 2018(방폭전기기기의 수리, 보수, 재생, 개조 및 변경에 관한 기준) < 목 차 >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2 기준의 효력 1.3 다른 기준의 인정 1.4 용어정의 1.5 기준의 준용 (내용없음) 1.6 경과조치 2. 공통요구사항 2.1 기본원칙 2.2 사용자에 대한 지침(Instructions for the user) 2.2.1 인증서 및 기술문서 2.2.2 기록 및 업무 지침 2.2.3 수리된 기기의 재설치 2.2.4 수리기관(Repair facilities)의 관리 2.3 수리기관에 대한 지침 2.3.1 수리 및 보수 2.3.2 재생 2.3.3 변경 및 개조(Alterations and modifications) 2.3.4 임시수리 2.3.5 회전기계 2.3...

GC103 2018 (방폭전기기기의 점검 및 유지관리에 관한 기준) [내부링크]

KGS GC103 2018 방폭전기기기의 점검 및 유지관리에 관한 기준 < 목 차 >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2 기준의 효력 1.3 다른 기준의 인정 1.4 용어정의 1.5 기준의 준용 (내용 없음) 1.6 경과조치 2. 문서화 3. 점검 및 유지관리자 자격 4. 공통기준 4.1 일반사항 4.1.1 기본기준 4.1.2 명판이 훼손된 전기기기의 점검 4.1.3 노후된 설비 내 전기기기 점검 4.2 점검등급 4.3 점검유형 5. 자체 정기점검 5.1 방폭검사원 5.2 고정형 전기기기에 대한 정기점검 방법 5.3 이동형 전기기기에 대한 정기점검 방법 6. 상시관리 6.1 개념 6.2 목적 6.3 책임 6.3.1 방폭관리감독자 6.3.2 방폭관리사항 6.4 점검빈도 6.5 기술문서 6.6 훈련 7. ..

KGS GC102 2018(방폭전기기기의 설계, 선정 및 설치에 관한 기준) [내부링크]

< 목 차 >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2 기준의 효력 1.3 다른 기준의 인정 1.4 용어정의 1.5 기준의 준용 (내용 없음) 1.6 경과조치 2. 공통기준 2.1 기본원칙 2.1.1 일반환경에서의 전기기기 설치 2.1.2 특수환경에서의 전기기기 설치 2.2 문서화 2.2.1 설치 장소에 관한 사항 2.2.2 설치기기에 관한 사항 2.2.3 설치에 관한 사항 2.3 사용전 점검 2.4 전기기기의 적합성 보증 2.4.1 안전인증을 받은 전기기기 2.4.2 안전인증을 받지 아니한 전기기기 2.4.3 재사용 전기기기 2.5 설계, 선정 및 설치자의 자격 3. 전기기기 선정 3.1 선정에 필요한 정보 3.2 위험장소 3.3 기기보호등급(EPL)과 위험장소의 관계 3.4 기기보호등급에 따른 기기 ..

e-HAC(Hazardous Area Classification) 사용자 매뉴얼 [내부링크]

목 차 1 Main 1.1 신규 생성 1.2 시작하기 2 폭발위험장소 구분 계산 2.1 단위공장/공정 선택 및 등록 2.2 폭발위험장소 대상 확인 2.3 누출률 계산 2.3.1 물질 정보 2.3.2 누출원 정보 2.3.3 누출률 직접 입력 2.4 누출특성 및 환기속도 계산 2.5 희석 등급 2.6 장소 종별 2.7 폭발위험범위 2.8 도면 2.8.1 설비배치도 파일 관리 2.8.2 축척 설정 2.8.3 누출 목록 2.8.4 폭발위험장소 형태(도식) 선택 2.9 폭발위험장소 목록 e-HAC 사용자 매뉴얼

KGS GC101 2018(가스시설의 폭발위험장소 종류 구분 및 범위 산정에 관한 기준) [내부링크]

< 목 차 >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2 기준의 효력 1.3 다른 기준의 인정 1.4 용어정의 1.5 기준의 준용 (내용 없음 1.6 경과조치 2. 폭발위험 예방의 원칙 3. 폭발위험장소 종류의 구분 3.1 일반사항 3.2 누출등급의 결정 3.2.1 누출등급구분 기본기준 3.2.2 누출등급구분 특례기준 3.3 누출 홀 크기의 결정 3.3.1 누출 홀 크기 결정 기본기준 3.3.2 누출 홀 크기 결정 특례기준 3.4 누출유량의 결정 3.4.1 누출유량결정 기본기준 3.4.2 누출유량결정 특례기준 3.5 희석등급의 결정 3.5.1 희석등급구분 기본기준 3.5.2 희석등급구분 특례기준 3.6 환기유효성의 결정 3.6.1 환기유효성구분 기본기준 3.6.2 환기유효성구분 특례기준 3.7 위험장소의 ..

폭발위험장소에 사용하는 전기설비 설계, 선정 및 설치에 관한 기술지침(E-172-2018)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IEC(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60079-14(Edition 5.0, 2013) : Explosive atmospheres - Part 14 : Electrical installations design, selection and erection o 관련법규·규칙·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311조(폭발위험장소에서 사용하는 전기기계·기구의 선정 등) - 고용노동부 고시 : 방호장치 의무안전인증 고시(제2016-54호) 폭발위험장소에 사용하는 전기설비 설계, 선정 및 설치에 관한 기술지침(E-172-2018) - 차 례 - 1. 목적 2. 적용 범위 3. 용어의 정의 4. 일반 사항 5. 설비의 선정 6. 위험한..

정기적인 공정위험성평가에 관한 기술지침(P-157-2017) [내부링크]

o 관련 규격 및 자료 - 미국화학공학회(AIChE) 화학공정안전센터(CCPS) "Revalidating Process Hazard Analyses", 2001 - 미국화학공학회(AIChE) 화학공정안전센터(CCPS) "Guideline for Chemical Process Quantitative Risk Analysis", 2nd Edition, 2000 정기적인 공정위험성평가에 관한 기술지침(P-157-2017) [목 차] 1. 목적 2. 적용범위 3. 정의 4. 정기적 평가의 일반사항 5. 정기적 평가의 수행방법 6. 정기적 평가 문서화 1. 목적 이 지침은 기존에 평가한 공정위험성평가 보고서가 일정 기간이 경과함에 따른 사업장 내부 및 외부의 변화요인 등으로 현 시점에서 유효한지를 확인하고 그에 ..

유해·위험물질 누출시의 리스크 평가지침(X-64-2013) [내부링크]

관련규격 및 자료 - KOSHA GUIDE P-101– 2012 (비상조치계획 수립지침) - KOSHA GUIDE P-110– 2012 (화학공장의 피해최소화대책 수립에 관한 기술지침) - KOSHA GUIDE X– 31– 2012 (화재 리스크 평가에 관한 기술지침) - KOSHA GUIDE X– 30– 2012 (사업장 화재 및 응급서비스에 관한 리스크 지침) -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위험물질 누출감지 기술 개발 연구, 2000. - OHSW&IM PROCEDURE Chemical Spill Management, OHSW&IM Services, 2011. - 化学物質リスクアセスメント事例集, 中央労働災害防止協会, 2010. - 労働者の有害物によるばく露評価ガイドライン, 化学物質のリスク評価検討会ばく露評価..

화학설비의 부식 위험성평가에 관한 기술지침(P-168-2020) [내부링크]

o 관련 규격 및 자료 - API RP 571, “Damage Mechanisms Affecting Fixed Equipment in the Refining Industry”, 3rd Edition, March 2020 - API RP 580, “Risk-Based Inspection”, 3rd Edition, February 2016 - API RP 581, “Risk-Based Inspection Methodology”, 3rd Edition, April 2016 - API RP 970, “Corrosion Control Documents”, First Edition, December 2017 화학설비의 부식 위험성평가에 관한 기술지침(P-168-2020) 목 차 1. 목적 2. 적용범위 3. 정의 ..

4M 리스크 평가 기법 에 관한 기술지침(X-14-2014) [내부링크]

ㅇ 관련규격 및 자료 - 독일의 위험성 평가 제도(사업장 안전보건조치법: ArbSchG), 2004 - 영국의 위험성 평가 제도(Risk assessment), 2004 - KOSHA GUIDE X-28-2014 안전보건경영시스템 이해를 위한 지침 - KOSHA GUIDE G-84-2012 기계? 기구 제조업 등의 위험성 평가 지침 ㅇ 관련법규?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법 제48조(유해위험방지계획서의 제출 등)와 동법 시행령 제3조의 2(안전보건경영체제 등의 추진) 4M 리스크 평가 기법 에 관한 기술지침(X-14-2014) [목 차] 1. 목 적 2. 적용 범위 3. 용어의 정의 4. 일반사항 5. 리스크 평가 추진절차 및 단계별 수행 방법 1. 목 적 이 지침은 『산업안전보건법』 (이하 “법”..

위험도 계산카드 사용기법에 관한 기술지침(P-103-2012)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호주의 국립안전협의회 기준 o 관련 법규 - 산업안전보건법 제27조(기술상의 지침 및 작업환경의 표준) 위험도 계산카드 사용기법에 관한 기술지침(P-103-2012) 1. 목 적 2. 위험도 산정방법 3. 위험도 판정 4. 개선비용의 타당성 검토 5. 확 인 1. 목 적 본 지침의 목적은 산업안전보건법 제 49조의 2(공정안전보고서의 제출 등), 같은 법 시행령 제 33조의 6 및 같은 법 시행규칙 제 130조의 2 규정에 의해 사업주가 수행하여야 할 공정위험성 평가시에 위험도를 산정하고 개선사항의 타당성을 쉽게 할 수 있도록 필요한 지침을 정하는데 목적이 있다. 2. 위험도 산정방법 위험도는 그림1의 위험도 계산카드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산정한다. 카드를 사용할 때에는 ..

결함수 분석 기법(P-84-2012) [내부링크]

ㅇ 관련규격 - 국제노동기구(ILO)협약 174호 중대산업사고예방 실무지침 - 미국 CCPS : Guidelines for engineering process quantitative risk analysis - 한국원자력연구소 : 원자력 발전소의 확률론적 안전성평가를 위한 계통 분석절차서 ㅇ 관련법규․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법 제49조의2 (공정안전보고서의 제출 등) - 산업안전보건법 시행령 제33조의6 (공정안전보고서의 내용) -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제130조의2 (공정안전보고서의 세부내용) - 노동부고시 "공정안전보고서의 제출·심사·확인 및 이행상태평가 등에 관한 규정" 결함수 분석 기법(P-84-2012) 1. 목 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대상항목 5. 적용시기 6. ..

사고예상질문분석(WHAT-IF)기법에 관한 기술지침(P-83-2012) [내부링크]

o 이 코드는 다음 규정을 참조하여 작성 - 국제노동기구(ILO) 협약 174호 “중대산업사고 예방제도” - 미국 산업안전보건법(OSHA) ㅇ 관련법규․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법 제49조의 2, 시행령 제33조의 6 및 동법 시행규칙 제130조에 2의 규정에 의거 작성됨. 사고예상질문분석(WHAT-IF)기법에 관한 기술지침(P-83-2012) 1. 목 적 2. 평가대상 3. 적용 대상 공정 4. 팀의 구성 5. 필요한 자료 6. 작성기준 7. 평가수행절차 8. 결과의 형태 9. 후속조치 1. 목 적 이 지침은 산업안전보건법 제 49조의 2(공정안전보고서의 제출 등), 동법 시행령 제 33조의 6 및 시행규칙 제 130조의 2 규정에 의하여 사업주가 작성 하여야 할 공정위험성평가서의 원할한 작성..

연속공정의 위험과 운전분석 (HAZOP)기법에 관한 기술지침(P-82-1012)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국제노동기구(ILO)협약 174호 중대산업사고예방 실무지침 - 미국 화학공정안전센터(CCPS) 지침 - 영국 ICI사 표준 - 미국 Flour Daniel사 표준 o 관련법령․ 고시 등 -「산업안전보건법」 제49조의2 - 같은 법 시행령 제33조의6 - 같은 법 시행규칙 제130조의2 연속공정의 위험과 운전분석 (HAZOP)기법에 관한 기술지침(P-82-1012) 1. 목적 2. 적용범위 2. 적용범위 4. 일반사항 5. 위험성평가 수행 6. 위험성평가 보고서 작성 7. 개선권고사항의 후속조치 1. 목 적 이 지침은 「산업안전보건법」 (이하 “법” 이라 한다) 제49조의2(공정안전보고서의 제출 등), 같은 법 시행령 제33조의6(공정안전보고서의 내용) 및 같은 법 시행규칙 제1..

위험성평가에서의 체크리스트(Check list) 기법에 관한 기술지침(P-81-2012)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국제노동기구(ILO)협약 174호 중대산업사고예방 실무지침 - 미국 산업안전보건법(OSHA) o 관련법령․ 고시 등 -「산업안전보건법」 제49조의2 - 같은 법 시행령 제33조의6 - 같은 법 시행규칙 제130조의2 위험성평가에서의 체크리스트(Check list) 기법에 관한 기술지침(P-81-2012) 1. 목 적 2. 적용범위 3. 정의 4. 일반사항 5. 위험성평가 수행 1. 목 적 이 지침은 「산업안전보건법」 (이하 “법” 이라 한다) 제49조의2(공정안전보고서의 제출 등), 같은 법 시행령 제33조의6(공정안전보고서의 내용) 및 시행규칙 제130조의 2(공정안전보고서의 세부내용 등)에 따라 사업주가 수행하여야 할 공정 위험성평가에 활용할 수 있는 기법 중 체크리스트기법..

[M-HAZOP]기계공장에 대한 위험과 운전분석기법(P-79-2011) [내부링크]

o 관련 규격 및 자료 - EN 292-1 : 기계류의 안전 - 기본개업, 설계일반원칙 - EN 292-2 : 기계류의 안전 - 기계안전전기술윈칙과 사양 - SA-0005-1999 : 기계의 위험성 평가 원칙에 관한 안전인증지침 [M-HAZOP]기계공장에 대한 위험과 운전분석기법(P-79-2011) 1. 목적 2. 적용범위 3. 평가절차 4. 가이드워드 및 변수 5. 이탈 및 가능한 원인 6. 기록 1. 목적 이 가이드는 기계공장의 위험요소를 평가하기 위한 위험과 운전분석기법을 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2. 적용범위 기계공장의 특성을 위험요소별로 본다면 공정에 필요한 유해․ 화학물질을 취급하는 부분에서의 화재․ 폭발․ 독성물질누출 위험과 이송․ 가공․ 조립 공정에서 의 충돌, 협착, 절단, 물림위험 등..

전기작업의 위험성평가에 관한 기술지침(E-155-2016) [내부링크]

관련규격 및 자료 - 사업장위험성평가 실시에 관한 해설지침서(2013.1.25.) - NFPA 70E(Standard for Electrical Safety in the Workplace) - HSG85 Electricity at Work : safe working practices 관련법규․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법 제41조의 2(위험성평가)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편 제3장 제3절(전기작업에 대한 위험방지) - 사업장위험성평가에 관한 지침, 고용노동부고시 전기작업의 위험성평가에 관한 기술지침(E-155-2016) - 차 례 - 1. 목 적 2. 적용 범위 3. 용어의 정의 4. 일반사항 5. 전기작업 위험성평가 6. 전기작업 안전대책 관리 1. 목 적 이 지침은 「산업..

방호계층분석(LOPA)기법에 관한 기술지침(P-113-2012) [내부링크]

방호계층분석(LOPA)기법에 관한 기술지침(P-113-2012) 1. 목적 이 지침은 「산업안전보건법」 제49조의2(공정안전보고서의 제출 등), 같은 법 시행령 제33조의7(공정안전보고서의 내용) 및 같은 법 시행규칙 제130조의2(공정안전보고서의 세부내용 등) 규정에 따라 사업주가 수행하여야 할 공정위험성평가에 활용할 수 있는 기법 중 방호계층분석(LOPA)에 관한 기술적 내용을 정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2. 적용범위 이 지침은 공정의 수명주기 동안 기본적인 설계 대안들을 검사하고 더 나은 종류의 독립방호계층(IPL)을 검토하는 것에 적용한다. 3. 정의 (1) 이 지침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다. (가) “방호계층분석기법(Layer of protection analysis, LO..

유해·위험방지계획서 관련한 산업안전보건법(법,시행령,시행규칙) [내부링크]

유해·위험방지계획서 관련한 산업안전보건법(법,시행령,시행규칙) 법 시행령 시행규칙 제42조(유해위험방지계획서의 작성ㆍ제출 등) 제43조(유해위험방지계획서 이행의 확인 등) 제42조(유해위험방지계획서 제출 대상) 제42조(제출서류 등) 제43조(유해위험방지계획서의 건설안전분야 자격 등) 제44조(계획서의 검토 등) 제45조(심사 결과의 구분) 제46조(확인) 제47조(자체심사 및 확인업체의 확인 등) 제48조(확인 결과의 조치 등) 제49조(보고 등) 유해·위험방지계획서 관련한 고용노동부 고시 : 제조업 등 유해·위험방지계획서 제출·심사·확인에 관한 고시[제2020-29호( 2020. 1.16)] 유해·위험방지계획서 관련 산업안전보건법 내용 산업안..

유해위험방지계획서 심사·확인 목록 및 체크리스트 [내부링크]

유해위험방지계획서 심사·확인 목록 및 체크리스트 [첨 부 자 료] 1-1 업종 심사․확인 목록 및 체크리스트 1-2 용해로 심사․확인 서류목록 및 체크리스트 1-3 화학설비 심사․확인 서류목록 및 체크리스트 1-4 건조설비 심사․확인 서류목록 및 체크리스트 1-5 가스집합용접장치 심사․확인 서류목록 및 체크리스트 1-6 환기장치, 밀폐설비 심사․확인 서류목록 및 체크리스트 출처 :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첨부파일

「제조업 등 유해·위험방지계획서」심사·확인제도 [내부링크]

「제조업 등 유해·위험방지계획서」 심사·확인제도 Ⅰ. 개요 근로자의 안전·보건을 확보하기 위한 제도 산업안전보건법 제42조에 의거 제조업 주요설비를 설치·이전하거나 주요구조부분을 변경하기전에 사전 안전성 심사를 통해 근원적인 안전성을 확보하여 근로자의 안전·보건유지 및 증진 사업개요 산업안전보건법 제42조에 따른 생산 공정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건설물·기계·기구 및 설비 등 일체를 설치·이전·변경하기 전에 유해·위험방지계획서를 작성·제출하고 현장확인을 통해 유해·위험요인을 제거함으로써 산재예방 및 근로자 안전보건의 유지·증진에 기여하기 위한 법적 제도 관련근거 및 과태료 산업안전보건법 제42조(유해·위험방지계획서의 작성·제출 등), 미제출시 1,000만원 이하의 과태료 사업주 의무사항..

제조업 등 유해위험방지계획서 문답집 [내부링크]

제조업 등 유해위험방지계획서 문답집 [목 차] 제1편 업종별 제출대상 제1장 일 반 1. 제출대상 업종 확인 2. 시행일 이전에 설립된 사업장의 제출 여부 3. 제출 의무자 및 임차 사업장의 경우 4. 제출 기한 5. ‘작업시작’이란 6. 5대 설비 미보유 사업장의 업종별 계획서 제출 여부 7. 공장을 먼저 짓고 나중에 설비를 설치하는 경우 8. 작성자 요건 9. 작성에 관한 컨설팅 10. 공단의 관련 교육 11. 하나의 사업장에 여러 공장이 존재하는 경우 12. 전기 공급계약을 맺지 않은 경우 전기 계약용량 의 산정 13. 사업장을 인수한 경우 14. 공정안전보고서를 제출한 사업장 15. 건설업 유해․위험방지계획서를 제출한 경우 제2장 제품생산 공정과 관련성 16. 변전 설비 17. 제품 보..

유해위험방지계획서 제출대상 13개 제조 업종의 "한국표준산업분류표" [내부링크]

유해위험방지계획서 제출대상 13개 제조 업종의 "한국표준산업분류표" [ 산업안전보건법 제42조, 동법시행령제42조, 한국표준산업분류표 10차 관련 ] ① 식료품 제조업 (10***) ②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16***) - 가구제외, ③ 고무제품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22***) ④ 비금속광물제품 제조업 (23***) ⑤ 1차 금속 제조업 (24***) ⑥ 금속가공제품 제조업 (25***) - 기계 및 가구 제외 ⑦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29***) ⑧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30***) ⑨ 가구 제조업 (32***) ⑩ 기타 제품 제조업 (33***) ⑪ 화학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의약품 제외 (20***) ⑫ 반도체 제조업 (261**) ⑬ 전자부품 제조업 (262**) 첨..

제조업 등 유해·위험방지계획서 심사·확인 제도 안내 [내부링크]

첨부파일 : 제조업 등 유해위험방지계획서 심사확인제도안내

제조업 등 유해·위험방지계획서 제출·심사·확인에 관한 고시[제2020-29호( 2020. 1.16)] [내부링크]

제조업 등 유해·위험방지계획서 제출·심사·확인에 관한 고시[제2020-29호( 2020. 1.16)] [목 차] 제1조(목적) 제2조(정의) 제3조(계획서 제출대상) 제4조(제출서류) 제5조(제출서류의 일부 면제) 제6조(계획서의 제출 면제) 제6조(계획서의 제출 면제) 제8조(제출처 등) 제9조(심사 등) 제10조(사업장 관계자의 출석) 제11조(서류의 보완 등) 제12조(심사결과 후 조치) 제13조(확인의 변경신청) 제14조(수수료) 제15조(재검토기한) 제1조(목적) 이 고시는「산업안전보건법」(이하 "법"이라 한다) 제42조제1항제1호 및 제2호, 같은 법 시행령(이하 "영"이라 한다) 제42조제1항 및 제2항, 같은 법 시행규칙(이하 "규칙"이라 한다) 제42조부터 제49조까지의 규정에 따라 유해..

유해위험방지계획서의 업종 심사․확인 목록 및 체크리스트 [내부링크]

유해위험방지계획서의 업종 심사․확인 목록 및 체크리스트 ㅇ “법”이란 “산업안전보건법”, “규칙”이란 “산업안전보건 기준에 관한 규칙”을 말한다. ㅇ “심사 및 확인 결과 ”란 기재요령 - “해당무”, “적정”, “조건부적정” 및 “부적정”으로 구분하여 기재 - “조건부적정”과 “부적정”은 설치공사 중에 개선가능 여부를 기준으로 구별하고, “조건부적정” 또는 “부적정”에 해당 하는 경우에는 그 내용을 구체적으로 기재한 별지목록(공단규칙 별지 제4호 및 제5호 서식)을 첨부한다 첨부자료 : 업종 심사,확인 목록 및 Checklist

유해·위험방지계획서 작성요령 및 예시(13개 업종) [내부링크]

유해·위험방지계획서 작성요령 및 예시(13개 업종) 유해.위험방지계획서 작성요령 1. 본 작성요령은 13개 제조업 중 어느 하나의 업종에 해당하는 사업장에서 적용한다. 2. 계획서의 제출서류 및 도면목록을 참조하여 가능한 적은 분량이 되도록 작성한다. 3. 규정서식이 있는 것은 반드시 규정서식에 맞추어 작성하고, 규정서식이 없는 것은 작성 예시를 참조하여 사업장 여건에 맞추어 작성한다. 4. 계획서 제출대상 13개 업종의 계획서 제출범위에 대상설비 5종(특수화학설비, 건조설비, 가스집합 용접장치, 용해로, 국소배기장치 등 환기장치)이 포함되어 있을 경우 업종 계획서에 해당 대상설 비를 포함하여 계획서를 제출할 수 있다. 5. 도면은 기존 설계도면을 첨부하고, 추가적인 설명이 필요한 사항은 해당 도면에..

「유해·위험방지계획서」란? [내부링크]

「유해·위험방지계획서」란? 재해발생 위험성이 높은 업종 또는 기계·기구 및 설비에 대하여 사업주가 해당 제품생산 공정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건설물·기계·기구 및 설비등 일체를 설치·이전하거나 주요 구조부분을 변경하는 경우 작업시작 전에 작성하여 사전 안전성을 심사하고 현장 확인을 실시하여 근원적인 안전성을 확보함으로서 산업재해를 예방하고 근로자 안전보건의 유지·증진에 기여하기 위한 법정 제도입니다. A. 제출자 및 제출 시기·서류·방법 누가 제출해야 하나요? 유해·위험방지계획서 제출대상 사업장의 사업주 어떻게 작성 하나요? 유해·위험방지계획서 작성 유자격자가 작성하여야 하며, "고용노동부 고시 제2020-29호" 참조 ※제조업 등 유해·위험방지계획서 제출·심사·확인에 관한 고시 [시행 2020. 1..

제조업 등 유해위험방지계획서 Q&A [내부링크]

제조업 등 유해위험방지계획서 Q&A 제1편 업종별 제출대상 1 제1장 일 반 2 1. 제출대상 업종 확인 3 2. 시행일 이전에 설립된 사업장의 제출 여부 3 3. 제출 의무자 및 임차 사업장의 경우 4 4. 제출 기한 4 5. ‘작업시작’이란 4 6. 5대 설비 미보유 사업장의 업종별 계획서 제출 여부 5 7. 공장을 먼저 짓고 나중에 설비를 설치하는 경우 5 8. 작성자 요건 6 9. 작성에 관한 컨설팅 7 10. 공단의 관련 교육 7 11. 하나의 사업장에 여러 공장이 존재하는 경우 7 12. 전기 공급계약을 맺지 않은 경우 전기 계약용량의 산정 8 13. 사업장을 인수한 경우 8 14. 공정안전보고서를 제출한 사업장 9 15. 건설업 유해․위험방지계획서를 제출한 경우 9 제2장 제품생산 공정..

고압가스안전관리기준통합고시 [내부링크]

고압가스안전관리기준통합고시 [시행 2019. 11. 15.] [산업통상자원부고시 제2019-184호, 2019. 11. 15., 일부개정.] 산업통상자원부(에너지안전과), 044-203-5279 제1장 총칙 제1-1-1조 (목적) 제1-1-2조 (적용범위) 제1-1-3조 (재검토기한) 제2장 안전성 향상 기준 제1절 안전관리규정의 작성·심사 및 확인·평가 등에 관한 기준 제2-1-1조 (적용범위) 제2-1-2조 (용어정의) 제2-1-3조 (안전관리규정의 작성기준 등) 제2-1-4조 (안전관리규정의 제출) 제2-1-5조 (안전관리규정의 심사 등) 제2-1-6조 (심사기준) 제2-1-7조 (심사결과의 조치) 제2-1-8조 (규정의 확인·평가) 제2-1-9조 (종합적안전관리규정의 확인·평가 주기) 제2-1..

종합적안전관리규정 및 안전성향상계획서심사지침 [내부링크]

2101-5 종합적안전관리규정 및 안전성향상계획서심사지침 1999. 8. 16 제정 2000. 1. 20 개정 2009. 6. 30 개정 2014.11. 14 개정 2018. 7. 30 개정 2019.12.04 개정 【목 차】 제1조【목 적】 제2조【용어의 정의】 제3조【심사대상】 제3조의1【심사원의 자격】 제3조의2【주요부분의 변경】 제4조【심사서류 및 접수】 제5조【처리기간】 제6조【서류의 보완 등】 제7조【심사기준 제8조【심사결과 판정】 제9조【심사결과 조치】 제10조【조건부적합 심사결과조치】 제11조【재심사 신청】 제12조【그 밖의 기준】 제1조【목 적】 이 지침은 고압가스안전관리법(이하"고법"이라 한다) 시행규칙 제18조, 제25조, 액화석유가스의안전및사업관리법(이하"액법"이라 한다) 시행규칙 ..

특정설비 (압력용기) 법규현황 [내부링크]

특정설비 (압력용기) 법규현황 1. 고압가스 종류 및 범위 고압가스 안전관리법 [시행 2014.08.07] [법률 제11998호, 2013.08.06., 타법개정] 제2조(적용범위) 이 법의 적용을 받는 고압가스의 종류와 범위는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전문개정 2007.12.21.] 고압가스 안전관리법 시행령[시행 2015.2.16.] [대통령령 제26104호, 2015.2.16., 일부개정] 제2조(고압가스의 종류 및 범위) 「고압가스 안전관리법」(이하 "법"이라 한다) 제2조에 따라 법의 적용을 받는 고압가스의 종류 및 범위는 다음 각 호와 같다. 다만, 별표 1에 정하는 고압가스는 제외한다. 1. 상용(常用)의 온도에서 압력(게이지압력을 말한다. 이하 같다)이 1메가파스칼 이상이 되는..

고압가스 압력용기 비대상 [내부링크]

고압가스 안전관리법 시행규칙 [별표 10] 용기 제조의 시설ㆍ기술ㆍ검사기준과 용기의 재검사기준 (제9조제1호, 제9조의2제3항, 제28조제4항제6호, 제43조제1항제1호 및 제44조제2항 관련) 1. 시설기준 가. 용기를 제조하려는 자는 이 별표의 기술기준에 따라 용기를 제조하기 위하여 필요한 제조설비를 갖출 것. 다만, 규칙 제5조제2항제3호에 따른 기술검토 결과 부품생산 전문업체의 설비를 이용하거나 그로부터 부품을 공급받더라도 품질관리에 지장이 없다고 인정된 경우에는 그 부품생산에 필요한 설비를 갖추지 않을 수 있다. 나. 용기를 제조하려는 자는 이 별표의 검사기준에 따라 용기를 검사하기 위하여 필요한 검사설비를 갖출 것 2. 기술기준 가. 용기의 재료는 그 용기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충전하..

물질안전보건자료 작성 지침(W-15-2020) [내부링크]

관련규격 및 자료 - Globally harmonized system of classification and labelling of chemicals(GHS)(Sixth revised edition, 2015) 관련법규·규칙·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법 제110조(물질안전보건자료의 작성 및 제출) -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제156조(물질안전보건자료의 작성방법 및 기재사항) - 고용노동부고시 제2020-130호(화학물질의 분류․ 표시 및 물질안전보건자료에 관한 기준) 물질안전보건자료 작성 지침(W-15-2020) 1. 목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작성 대상 5. 형식 6. 작성 원칙 7. 항목별 작성 방법 1. 목적 이 지침은 「산업안전보건법」 (이하 “법”이라 한다) 제110조(..

화학물질의 유해성․ 위험성 분류 지침(W-16-2020)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Globally harmonized system of classification and labelling of chemicals(GHS)(Sixth revised edition, 2015 o 관련법규․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법 제110조(물질안전보건자료의 작성 및 제출) -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제156조(물질안전보건자료의 작성방법 및 기재사항) - 고용노동부 고시 제2020-130호(화학물질의 분류․ 표시 및 물질안전보건자료에 관한 기준) 화학물질의 유해성․ 위험성 분류 지침(W-16-2020) < 목 차 > 1. 목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유해성․ 위험성의 분류 방법 및 절차 1. 목적 이 지침은 「산업안전보건법」 (이하 "법"이라 한다) 제1..

고압가스 중간검사 준비사항 [내부링크]

고압가스 중간검사 준비사항 1. 시공업체 면허증(종합건설면허 또는 가스 1종 면허), 등록증 사본 2. P&ID(Package별 Line Color Marking, 기존/신설구간 구분) 3. Line List(고압가스 내압시험 대상 배관 ISO Package, 기존/신설구간 구분) 4. ISO DWG(Package별 Line Color Marking, 기존/신설구간 구분) AS-Built 서류 필요함(현장과 일치) 5. 내압시험 [ 내압시험 방법 ] ① 기압시험 : 설계압력의 1.25배, 30분 레코더 1바퀴, PG설치(최상단 1개, 최하단 1개) ② 수압시험 : 설계압력의 1.5배, PG설치(최상단 1개, 최하단 1개), 레코드 불필요 ③ Line List(고압가스 내압시험 Schedule) 첨부 ..

저장능력 산정기준-고압가스 안전관리법 시행규칙 [별표 1] [내부링크]

고압가스 안전관리법 시행규칙 [별표 1] 저장능력 산정기준 (제2조제1항제6호 관련: "저장능력"이란 저장설비에 저장할 수 있는 고압가스의 양으로서 별표 1에 따라 산정된 것을 말한다.) 1. 압축가스의 저장탱크 및 용기는 다음 가목의 계산식에 따라, 액화가스의 저장탱크는 다음 나목의 계산식에 따라, 액화가스의 용기 및 차량에 고정된 탱크는 다음 다목의 계산식에 따라 산정한다. 가. Q=(10P+1)V₁ 나. W=0.9dV2 다. W = V₂ C 위의 계산식에서 Q, P, V₁, W, d, V₂ 및 C는 각각 다음의 수치를 표시한다. Q: 저장능력(단위: ) P: 35(아세틸렌가스의 경우에는 15)에서의 최고충전 압력(단위: ) V₁: 내용적(단위: ) W: 저장능력(단위: ) d: 상용온도에..

화재위험작업 확인·게시 매뉴얼 [내부링크]

화재위험작업 확인·게시 매뉴얼 [ 목 차 ] Ⅰ. 총칙 Ⅱ. 화재위험작업 시 위험요인 1. 화재위험 2. 화재위험작업에 대한 위험성평가 시 고려사항 Ⅲ. 화재위험작업 일반사항 1. 화재위험작업의 작업 확인 및 서면 게시 절차 2. 작업허가서 작성 방법 3. 작업허가서 보존 4. 작업허가서 효력 5. 화재위험작업 시 작업허가 세부사항 서식/참고 [ 서식] 화재위험작업 허가서(예시) [ 참고1 ] 도급사업 시 화재위험작업 허가절차(예시) [ 참고2 ] 화재위험작업 시 주요 재해발생 원인 및 대책 [ 참고문헌] [목 적] 본 매뉴얼은 사업장에서 용접·용단 작업을 포함한 화재위험작업의 위험요인을 제거하고 작업 전 안전을 확보하기 위하여 작업현장 안전조치 확인 및 작업 수행에 필요한 사항을..

고압가스시설 등의 검사수수료 및 교육비 기준 [내부링크]

고압가스시설 등의 검사수수료 및 교육비 기준 [시행 2019. 6. 11.] [산업통상자원부고시 제2019-92호, 2019. 6. 11., 일부개정] 산업통상자원부(에너지안전과), 044-203-5278 고압가스안전관리법(이하 "법"이라 한다) 제34조제2항의 규정에 의한 검사수수료 및 교육비 기준을 다음과 같이 정한다. 1. 검사수수료 및 교육비 등은 별표와 같다. 다만, 법제34조제2항제5호의 규정에 의하여 전문검사기관이 받는 수수료는 검사기관과 검사신청인이 협의하여 정할 수 있다. 2. 〈삭제 99.8.5〉 3. 〈삭제 12.4.19〉 4. 〈삭제 99.8.5〉 5. 수수료 및 교육비는 신청시 현금 또는 정보통신망을 이용한 전자화폐·전자결재 등의 방법으로 납부하고, 고압가스의 품질검사 수수료의 경..

종합적안전관리규정 및 세부규정 작성 요령 [내부링크]

종합적안전관리규정 및 세부규정 작성 요령 1. 종합적안전관리규정은 고압가스안전관리법시행규칙 제17조 【안전관리규정의 작성요령】에 의거하여【별표 15】제2항과 같이 좌란의 11요소로 구분하고 우란의 사항을 포함하여 작성(우란의 사항을 구별하여 작성하기 어려운 경우 구분할 필요는 없음) ** 수요자관리는 해당업체만 작성 2. 다음 사항을 참고하여 작성 1) 문서체계는 회사에서 하고 있는 체계를 이용하여 작성. (규정, 세부규정, 지침 ....) 2) 종합적안전관리규정 및 세부규정을 각장(구분)별로 가급적 ISO문서작성 방법을 가급적 준수하기 바람(적용범위, 목적, 용어의 정의, 책임과 권한 , 등) 3) 종합적안전관리규정 및 세부규정을 각장(구분)별로 문서의 제․개정 이력서를 부착하기 바라며, 제․개정 이..

안전관리규정 표준모델(액화석유가스 충전사업자용) [내부링크]

첨부파일 : 액화석유가스충전 안전관리규정 표준모델(2018)

안전관리규정 표준모델(액화석유가스 집단공급사업(배관망공급사업자용)) [내부링크]

첨부파일 : 액화석유가스집단공급사업(배관망공급사업) 안전관리규정 표준모델

안전관리규정 표준모델(용기․냉동기 및 특정설비제조 사업자용) [내부링크]

첨부파일 : 안전관리규정 표준모델(용기, 냉동기 및 특정설비제조 사업자용)

가스시설 전기방식기준(KGS GC202 2018) [내부링크]

가스시설 전기방식 기준-KGS GC202 2018- - 목 차 - 1. 일반 사항 1.1 적용범위 1.2 기준의 효력 1.3 용어정의 1.4 기준의 준용 1.5 경과조치 1.5.1 액화석유가스시설의 전기방식시설의 시공방법에 관한 경과조치 1.5.2 도시가스시설의 전기방식시설의 시공방법에 관한 경과조치 2. 시설기준 2.1 전기방식 대상 2.1.1 고압가스시설 2.1.2 액화석유가스시설 2.1.3 도시가스시설 2.2 전기방식 방법 및 시공 2.2.1 전기방식방법 2.2.2 전기방식시설 시공 2.2.3 전기방식 측정 2.3 전기방식 기준 2.3.1 고압가스시설 2.3.2 액화석유가스시설 2.3.3 도시가스시설 3. 유지관리기준 3.1 방식상태 유지 3.2 측정 및 점검 3.2.1 고압가스시설 3.2.2 액화..

허가 등의 수수료 [내부링크]

제57조(수수료 등) ① 법 제34조제1항에 따른 수수료는 별표 35와 같다. ② 제1항에 따른 수수료는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수입증지로 내야 한다. 다만, 시ㆍ도지사 또는 시장ㆍ군수ㆍ구청장은 정보통신망을 이용하여 전자화폐ㆍ전자결제 등의 방법으로 이를 내게 할 수 있다. [전문개정 2008. 7. 16.] 고압가스 안전관리법 시행규칙 [별표 35] 허가 등의 수수료(제57조제1항 관련) 대상 금액 고압가스제조(충전 포함)허가 2만 5천원 고압가스저장소설치허가 1만 5천원 고압가스판매허가 1만 5천원 용기제조등록 2만 5천원 냉동기제조등록 2만 5천원 특정설비제조등록 2만 5천원 외국용기등 제조등록ㆍ재등록 2만 5천원 고압가스 수입업자 등록 1만 5천원 고압가스 운반자 등록 1만 5천원 변경허가 1만 5..

가스누출 감지 검지장치의 설치기준 [내부링크]

가스누출 감지 검지장치의 설치기준 제 정 : 1985. 4. 13 동력자원부고시 제 85- 94호 전문개정 : 1994. 1. 7 상공자원부고시 제1993 -131호 개 정 : 1996. 6. 7 통상산업부고시 제1996 - 74호 (관 계 조 항) 고압가스안전관리법 시행규칙 제8조 별표4 제2호라목, 제3호라목.사목, 별표 제1호 다목(3)의(나) ③. 아목(8). 카목(4), 별표7 제1호 다목(8), 별표8 제1호 다목, 별표9 제1호나목(2) 및 동법시행규칙 제47조 별표29 제9호 1. 기능 가스누출 검지경보장치(이하“검지경보장치”라 한다)는 가연성가스 또는 독성가스의 누출을 검지하여 그 농도를 지시함과 동시에 경보를 울리는 것으로서 그 기능은 가스 의 종류에따라 적절하여야 하며, 다음 각..

고압가스 특정제조 시설의 "안전구역의 설정" [내부링크]

고압가스 특정제조 시설의 "안전구역의 설정" [고압가스 특정제조의 시설ㆍ 기술ㆍ 검사ㆍ 감리 ㆍ 정밀안전검진 기준] 1.9 안전구역의 설정 고압가스제조시설에서 재해가 발생할 경우 그 재해의 확대를 방지하기 위하여 가연성가스설비 또는 독성가스의 설비는 다음 기준에 따라 통로·공지 등으로 구분된 안전구역 안에 설치한다. 다만, 공정상 밀접한 관련을 가진 고압가스설비로서 2개 이상의 안전구역을 구분할 경우 그 고압가스설비의 운영에 지장을 줄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안전구역 안에 설치하지 아니할 수 있다. 2.1.9.1 안전구역 면적은 다음 방법에 따라 구한 것으로서 2만 이하로 한다. 2.1.9.1.1 하나의 안전구역 면적은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안전분구 면적의 합계로 한다. 2.1.9.1.2 2..

가스관계법령 질의해설집 [내부링크]

가스관계법령 질의해설집 Ⅰ. 고압가스 안전관리법 1. 특정제조․일반제조 2. 충전․저장․판매․특정고압가스사용 3. 용기․압력용기․저장탱크 4. 냉동기․냉동제조․특정설비(압력용기․저장탱크 5. 고법 관련 안전관리자 및 기타 Ⅱ. 액화석유가스의 안전관리 및 사업법 1. 충전․저장․판매․사용 2. 가스용품 3. 액법 관련 안전관리자 및 기타 Ⅲ. 도시가스 사업법 1. 가스도매사업 2. 일반도시가스사업 3. 도시가스사용시설 4. 도법 관련 안전관리자 및 기타 첨부자료

고압가스 기술검토서 분야별 심사표(심사 항목 및 적용 규정) [내부링크]

고압가스기술검토서 분야별 심사표(심사 항목 및 적용 규정) 1.고압가스 일반제조 2.고압가스 냉동제조 3.고압가스 충전 4.고정 압축천연가스 자동차 충전 5.이동식 압축천연가스 자동차 충전 6.고정식 아축천연가스 이동충전차량 충전 7.액화천연가스 자동차 충전 8.고압가스 판매(용기) 9.고압가스 판매(배관) 10.고압가스 저장 11.특정고압가스 사용 12.특수고압가스 사용 13.고압가스 운반차량 등록시설 14.이동식 수소자동차 충전 15.고정식 수소차동차 충전 16.고순도 암모니아 탱크 저장시설 첨부파일

용기보관실의 저장 능력 산정 계산식 [내부링크]

사업소 경계와의 거리 산정 위한 용기보관실의저장 능력 산정 계산식 o 용기보관실 바닥면적 = 용기를 보관할 수 있는 바닥을 기준으로 산정한 면적() o 잔가스용기 보관면적 = 잔가스용기를 보관하는 공간을 말하며, 용기보관실 바닥면적의 30%를 잔가스용기 보관공간으로 산정() o 작업공간 = 작업자가 작업을 하는 공간을 말하며, 용기보관실 바닥면적의 40%를 작업공간으로 산정() o 용기 1개의 바닥면적 = 20kg 용기를 기준으로 하고, 직경은 310를 적용()용기 1개의 저장능력은 20kg를 기준으로 한다. 동일한 사업소에 두개 이상의 저장설비가 있는 경우에는 그 설비별로 각각 안전거리를 유지하여야 한다

제조(처리) 및 저장능력 산정기준 [내부링크]

제조(처리) 및 저장능력 산정기준 (2101-4 고압가스특정제조시설의 중간・완성검사 처리지침) 2101-4 고압가스특정제조시설의 중간・완성검사 처리지침 1999. 3. 7 제정, 2002. 5.31 개정 2006. 2.20 개정, 2009. 2.17 개정 2012. 1. 5 개정, 2016.12.29 개정 제 1 장 총 칙 제1조【목 적】 제2조【적용범위】 제 2 장 제조(처리) 및 저장능력 산정 제3조【제조(처리) 능력 및 저장능력 산정방법】 제 3 장 중간검사 제4조【중간검사 신청 및 검사수수료】 제5조【중간검사 방법 및 판정】 제6조【중간검사 결과처리】 제 4 장 완성검사 제7조【완성검사 신청 및 검사수수료】 제8조【완성검사 방법 및 판정】 제9조【완성검사 결과처리】 제10조【행정사항】 제 5 장 ..

고압가스특정제조시설의 중간검사 방법 및 판정 [내부링크]

고압가스특정제조시설의 중간검사 방법 및 판정 (2101-4 고압가스특정제조시설의 중간・완성검사 처리지침 ) 2101-4 고압가스특정제조시설의 중간・완성검사 처리지침 1999. 3. 7 제정, 2002. 5.31 개정 2006. 2.20 개정, 2009. 2.17 개정 2012. 1. 5 개정, 2016.12.29 개정 제 1 장 총 칙 제1조【목 적】 제2조【적용범위】 제 2 장 제조(처리) 및 저장능력 산정 제3조【제조(처리) 능력 및 저장능력 산정방법】 제 3 장 중간검사 제4조【중간검사 신청 및 검사수수료】 제5조【중간검사 방법 및 판정】 제6조【중간검사 결과처리】 제 4 장 완성검사 제7조【완성검사 신청 및 검사수수료】 제8조【완성검사 방법 및 판정】 제9조【완성검사 결과처리】 제10조【행정사항】..

(고압가스)방류둑 설치기준 [내부링크]

고압가스 저장의 시설ㆍ 기술ㆍ 검사ㆍ 안전성평가 기준 2.9 피해저감설비기준 2.9.1 방류둑 설치 2.9.1 방류둑 설치 저장능력(2개 이상의 탱크가 설치된 경우에는 이들의 저장능력을 합한 것을 말한다)이 1천톤 이상인 산소, 가연성가스 또는 5톤 이상인 독성가스의 액화가스저장탱크 주위에는 액상의 가스가 누출된 경우에 그 가스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방류둑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효과가 있는 시설을 설치한다. 2.9.1.1 방류둑 기능 방류둑은 저장탱크의 액화가스가 액체상태로 누출된 경우 액체상태의 가스가 저장탱크 주위의 한정된 범위를 벗어나서 다른 곳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한다. 다만, 다음 기준에 따른 저장탱크는 방류둑을 설치한 것으로 본다. (1) 저장탱크..

물질안전보건자료(MSDS) Q&A [내부링크]

물질안전보건자료(MSDS) Q&A < 목 차 > 제1장 물질안전보건자료(MSDS) 작성·제출 제2장 물질안전보건자료(MSDS) 대체자료 기재 심사 제3장 국외제조자가 선임한 자 관련 제4장 경고표시 관련 제5장 기타 질의사항 (물질안전보건자료 제공, 게시 및 교육 등) 본 Q&A는 화학물질을 제조·수입하려는 자가 2021년 1월 16일부터 시행되는 「물질안전보건자료 작성·제출 및 대체자료 기재 심사」와 관련된 업무 수행 시발생할 수 있는 예상 질의를 중심으로 내용이 구성되어 있습니다. 제도시행 이후 관련 법 및 고시 개정 등에 따라 답변이 변동될 수 있음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본 Q&A에는 ‘물질안전보건자료 시스템’에 관한 내용이 없습니다. ‘물질안전보건자료 시스템’에 대한 내용은 홈페이지(msds..

MSDS제출 제도 안내서 [내부링크]

"물질안전보건자료 (MSDS) 의 제출" 2021. 1. 16. 부터 산업안전보건법 제110조에 따라 물질안전보건자료대상물질을 제조하거나 수입하려는 자는 고용노동부고시 제2020-130호 의해 작성된 물질안전보건자료*를 공단으로 제출하여야 합니다. ++++++++++++++++++++++++++++++++++++++++++++++++++++++++++++++++++++ 더보기 첨부자료 : "MSDS 제출제도 안내서"

산업안전보건법 질의회시집(2000.1.1~2012.12.31) [내부링크]

산업안전보건법 질의회시집(2000.1.1~2012.12.31) [ 목 차 ] 제 1 장 산업안전보건 일반 1. 법 적용 일반 ········································································································ 1 2. 산업재해발생보고 ··························································································· 26 3. 산업안전보건교육 ··························································································· 42 제2장 ..

(직업건강분야) 질의회신집 [내부링크]

(직업건강분야) 질의회신집 [ 목 차 ] Ⅰ. 산업보건일반 1. 보건관리자 선임 등 2. 도급사업시의 안전보건조치 3. 산업안전보건관리비 4. 안전·보건교육 Ⅱ. 석면조사 및 관리 Ⅲ. 물질안전보건자료의 작성・비치 Ⅳ. 작업환경측정 Ⅴ. 건강진단 Ⅵ. 유해위험방지계획서(국소배기장치) Ⅶ.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1. 관리대상유해물질, 허가대상유해물질, 분진작업 등 2. 세척 및 세안시설 3. 소음 및 방사선 4. 밀폐공간작업 5. 근골격계부담작업 6. 보호구 첨부자료 : (직업건강분야) 질의회신집

고압가스 특정제조시설 세부 검사방법 [내부링크]

고압가스 특정제조시설 세부 검사방법 (2101-4 고압가스특정제조시설의 중간,완성검사 처리지침) 2101-4 고압가스특정제조시설의 중간,완성검사 처리지침 1999. 3. 7 제정, 2002. 5.31 개정 2006. 2.20 개정, 2009. 2.17 개정 2012. 1. 5 개정, 2016.12.29 개정[별표3] 제 1 장 총 칙 제1조【목 적】 이 지침은 고압가스안전관리법(이하"법"이라 한다) 제16조 및 고압가스안전관리법 시행규칙(이하“규칙”이라 한다) 제28조, 제29조의 규정에 의한 중간·완성검사 업무의 표준화와 효율적인 플랜트의 안전관리를 확보하기 위하여 필요한 사항을 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2조【적용범위】 ① 이 지침의 적용범위는 규칙 제3조의 고압가스특정제조 허가의 대상을 말하며, 다음..

안전관리규정 표준모델 (고압가스 저장소 사업자용) [내부링크]

첨부파일 : 고압가스 저장시설 안전관리규정 표준모델

안전관리규정 표준모델 (고압가스 충전 사업자용) [내부링크]

첨부파일 : 고압가스 충전시설 안전관리규정 표준모델

안전관리규정의 작성요령(제17조 관련)-고압가스 안전관리법 시행규칙 [별표 15] [내부링크]

고압가스 안전관리법 시행규칙 [별표 15] 안전관리규정의 작성요령(제17조 관련) 1. 법 제11조제1항에 따라 작성하여야 하는 안전관리규정에는 다음 사항이 포함되어야 한다. 가. 목적 나. 안전관리자의 직무ㆍ조직 및 책임에 관한 사항 다. 사업소시설의 공사ㆍ유지에 관한 사항 라. 공급자의 의무이행에 관한 사항 마. 충전용기 및 차량에 고정된 탱크의 운반에 관한 사항 바. 종업원의 훈련에 관한 사항 사. 위해 발생 시의 소집방법ㆍ조치ㆍ훈련에 관한 사항 아. 자율검사(용기ㆍ냉동기 및 특정설비의 자체검사를 포함한다. 이하 같다)를 위한 검사장비의 보유 및 자율검사요원의 관리에 관한 사항. 이 경우 자율검사를 위한 검사장비 보유에 관한 사항은 다음 표에 따라 작성하여야 한다. 시설 사업자별 고압가스특정제조..

안전관리규정 표준모델 (고압가스 일반제조 사업자용) [내부링크]

안전관리규정 표준모델 (고압가스 일반제조 사업자용) [첨부파일] 안전관리규정 표준모델(고압가스 일반제조 사업자용)

고압가스 일반제조시설 안전관리규정 표준모델 개정(안) 신․구 조문 대비표 [내부링크]

고압가스 일반제조시설 안전관리규정 표준모델 개정(안) 신․구 조문 대비표 [첨부파일 ] 고압가스 일반제조 사업자용 안전관리규정 표준모델 개정안 신·구 대비표

KGS Code란? [내부링크]

1.KGS Code란? KGS Code 는 가스관계법령에서 정한 시설·기술·검사 등의 기술적인 사항을 상세기준으로 정하여 코드화한 것으로 가스기술 기준위원회에서 심의·의결하고 산업통상자원부에서 승인한 가스안전 분야의 기술기준입니다. 2.KGS Code의 일련번호 체계 코드번호는 아래와 같이 코드 이니셜, 분야별 기호, 종류별 번호 및 발행연도로 구성됩니다. 3.종목코드번호와 항목코드번호 종목코드번호란 각 코드에 붙이는 코드 이니셜, 분야별 기호, 종류별 번호 및 발행연도를 기호로 나타낸 것을 말합니다. 항목코드번호란 코드 내용의 순서에 따라 코드의 항목 앞에 붙이는 번호로서, 각 종목코드의 내용에서 각각의 세부항목에 붙는 코드번호를 말합니다. 종목코드번호 분류표 3. KGS Code Lis..

KGS Code 안내서 [내부링크]

^^^^^^^^^^^^^^^^^^^^^^^^^ 1.KGS Code란? KGS Code 는 가스관계법령에서 정한 시설·기술·검사 등의 기술적인 사항을 상세기준으로 정하여 코드화한 것으로 가스기술 기준위원회에서 심의·의결하고 산업통상자원부에서 승인한 가스안전 분야의 기술기준입니다. 2.KGS Code의 일련번호 체계 코드번호는 아래와 같이 코드 이니셜, 분야별 기호, 종류별 번호 및 발행연도로 구성됩니다. 3.종목코드번호와 항목코드번호 종목코드번호란 각 코드에 붙이는 코드 이니셜, 분야별 기호, 종류별 번호 및 발행연도를 기호로 나타낸 것을 말합니다. 항목코드번호란 코드 내용의 순서에 따라 코드의 항목 앞에 붙이는 번호로서, 각 종목코드의 내용에서 각각의 세부항목에 붙는 코드번호를 말합니다. ..

PSM 관련한 산업안전보건법(법,시행령,시행규칙) [내부링크]

PSM 관련한 산업안전보건법(법,시행령,시행규칙) 개정된 산업안전보건법 내 PSM 관련 법규 법 시행령 시행규칙 개정 전 O 제49조의 2(공정안전보고서의 작성·제출 등) O 시행령 제33조의6(제출대상) O 시행령 제33조의7(내용) O 시행령 제33조의8(제출) O 시행규칙 제130조의2(세부내용) O 시행규칙 제130조의3제출시기) O 시행규칙 제130조의4(심사) O 시행규칙 제130조의5(작성기준 등) O 시행규칙 제130조의6(확인) O 시행규칙 제130조의7(이행상태평가) 개정 후 O 제44조(공정안전보고서의 작성·제출) O 제45조(공정안전보고서의 심사 등) O 제46조(공정안전보고서의 이행 등) O 시행령 제43조(제출대상) O 시행령 제44조(내용..

공정안전보고서 심사·확인 [내부링크]

공정안전보고서 심사·확인 사업추진근거 공정안전관리(PSM, Process Safety Management)제도 산업안전보건법 제44조 규정 따라 석유화학공장 등 중대산업사고를 일으킬 가능성이 높은 유해·위험 설비를 보유한 사업장으로 하여금 공정안전자료, 공정위험성평가, 안전운전계획 및 비상조치계획 수립 등에 관한 사항을 기록한 공정안전보고서를 작성하게 하고 이를 이행하도록 함으로써 중대산업사고를 예방 *중대산업사고 : 대통령이 정하는 유해·위험설비로부터의 위험물질의 누출·화재·폭발 등으로 인하여 사업장내의 근로자에게 즉시 피해를 주거나 사업장 인근지역에 피해를 줄 수 있는 사고 법적근거 산업안전보건법 제44조(공정안전보고서의 작성·제출) 산업안전보건법 제45조(공정안전보고서의 심사 등) ..

[공정안전보고서] 장치 및 설비 명세 목록표 작성 요령 [내부링크]

[공정안전보고서] 장치 및 설비 명세 목록표 작성 요령 구분 작성내용 및 요령 장치번호 o P&ID와 일치하게 기입 장치명 o Column/Tower류, 반응기류, Drum/Vessel류, 열교환기류, Heater/ Furnace류, 탱크류, 원심분리기, 집진기 등의 Stationary Equipment(고정장치) - 열교환기는 동체측과 튜브측(또는 Hot side와 Cold side)을 구분하여 기입 - Jacket/Coil이 부착되는 장치 또는 Inner pipe/Outer pipe 등과 같이 서로 다른 유체가 통과하는 장치는 유체가 접촉되는 부분을 구분하여 작성(Shell/Coil, Shell/Jacket 구분) 용량 o 장치 및 설비의 직경 및 높이 등을 기재 - Tower류 : 직경()×전체길..

[공정안전보고서]동력기계 목록표 작성 요령 [내부링크]

[공정안전보고서]동력기계 목록표 작성 요령 구분 작성내용 및 요령 동력기계번호 o P&ID와 일치하게 기입 동력기계명 o 펌프류, 압축기류, Fan류, 교반기류, 전동 Shutter, Crane/ Hoist, 컨베이어, 원심기, 포장용 로봇, 주조기, 기타 Machinery류 - Rotary valve, MOV, Damper 등에 부착된 모터는 제외한다. 명세 o 펌프류 : 용량(/hr)×토출압력(MPa)×분당회전수(RPM). 왕복동형식 또는 다이아프램식은 분당회전수 대신 분당 스트로크수(SPM) 작성 o 압축기류 : 용량(/hr)×토출압력(MPa)×분당회전수(RPM). 왕복동형식 또는 다이아프램식은 분당회전수 대신 분당 스트로크수(SPM) 작성 o Fan 및 Blower 류 : 용량(/hr)×토..

[공정안전보고서]유해·위험물질 목록표 작성요령 [내부링크]

[공정안전보고서]유해·위험물질 목록표 작성요령 구분 작성내용 및 요령 1.“자료없음”과 “해당없음” 의 명확한 구분 o 자료없음 : 부득이 어느 항목에 대해 관련 정보를 얻을 수 없는 경우에 기재, 가능한 한 문헌이나 실험을 통해 확인 o 해당없음 : 적용이 불가능하거나 대상이 되지 않는 경우 기재 2. 화학물질 o 제출대상 설비에서 제조 또는 취급하는 모든 화학물질(원료, 부원료, 첨가제, 촉매, 촉매보조제, 부산물, 중간생성물, 중간제품, 완제품 등) 3. 분자식 o 구조식 또는 분자식 기입 ※ 혼합물인 경우는 성분 또는 탄소 개수 기입 4. 폭발한계 o 대기중 폭발 상・하한계 기입 5. 노출기준(TWA, ppm 또는 /) o 고용노동부장관이 고시한 「화학물질 및 물리적인자의 노출기준」에 따른 시..

공정안전(PSM)보고서의 「사업개요」 작성요령 [내부링크]

공정안전(PSM)보고서의 「사업개요」 작성요령 사업장명: 화학 주식회사 사업의 구분 설치・이전 변경 기존설비 사업자 등록번호: -- 대표자 성명: 심사대상 설비명 가스처리설비 표준산업분류(업종분류): 기타 석유정제물 재처리업(19229) 예상근무 근로자수: 20명 전기계약용량 5,000 보고서 작성자(작성 참여자 모두 기재) 작성자 자격 (공정안전보고서 작성 및 평가) 제교20170731002호 컨설팅업체(컨설팅 업체에서 작성한 경우) 업체명 : 컨설팅 사업자등록번호 : -- 주 소 : 서울 노원구 동일로 전화 : 02-123-1234 작성지원 내용: 공정안전자료, 공정위험성평가, 안전운전계획, 비상조치계획 등 사 업..

공정안전관리제도 관련 질의 및 회시 사례(2013년도 상반기) [내부링크]

공정안전관리제도 관련 질의 및 회시 사례(2013년도 상반기) 사례 1 질의 : 도시가스 취급량은 일일 사용량 기준입니까? 설계기준입니까? 공정안전보고서 제출 대상 관련 문의를 드립니다. 당사는 공정에 도시가스를 연료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공정안전보고서 제출대상 기준이 설계기준인가요? 실제 사용량기준인가요? 설계기준이라면 추후에도 연소기 추가증설이 없을시 부담 없이 사용할 수 있을 것 같은데, 만약 실제 사용량 기준이라면 매일매일 사용량을 체크하여 일사용량 5,000kg 초과여부를 검토해야하는 불편함과 부담감이 있습니다. 이에 대한 답변 부탁드립니다. 답변 : 연소설비(보일러 등)의 시간당 도시가스 연료소비량을 기준으로 합니다. 산업안전보건법 시행령 제33조의6제1항(영별표 10)의 비고 4를..

공정안전보고서 자체감사 점검표 [내부링크]

출처 : 공정안전보고서 확인 지침(지침 제260호)

설치과정 중의 공정안전보고서 확인결과표 [내부링크]

출처 : 공정안전보고서 확인 지침(지침 제260호)

공정안전보고서 확인결과표 [내부링크]

출처 : 공정안전보고서 확인 지침(지침 제260호)

공정안전보고서 확인 면제 접수에 따른 업무처리 절차 [내부링크]

공정안전보고서 확인 면제 접수에 따른 업무처리 절차 출처 : 공정안전보고서 확인 지침(지침 제260호)

공정안전보고서 확인 시 「전기사업법」에 의한 전기사업용전기설비의 사용 전 검사와 중복된 평가항목 [내부링크]

1. 공정안전보고서 확인 시 「전기사업법」에 의한 전기사업용전기설비의 사용 전 검사와 중복된 평가항목 공정안전보고서 확인표(8개 항목) 「전기사업법」 사용 전 검사 비고 Ⅰ. 공정안전자료 2. 유해·위험설비의 목록 및 명세 나. 장치 및 설비 명세 ② 사용재질, 사용두께, 비파괴검사, 후열처리계획과의 일치여부 용접후열처리 및 비파괴시험 관련항목(②의 일부) Ⅰ-10 공통-용접부검사 일부중복 라. 안전밸브 및 파열판 명세 ① 안전밸브의 노즐크기, 배출연결부위 및 설정압력의 일치 및 식별번호 부착여부 ③ 안전밸브의 방출시험 실시여부 안전밸브 관련공정(①) Ⅰ-2 기력설비(2공정, 4공정) Ⅰ-3 가스터빈설비 및 복합화력설비(2공정) Ⅰ-8 바이오에너지설비 안전밸브 관련공정(①, ③) Ⅰ-7 연료전지..

공정안전보고서 확인 지침(지침 제260호) [내부링크]

공정안전보고서 확인 지침(지침 제260호) 일부개정 2007.01.01 일부개정 2011.08.16 일부개정 2014.11.10 일부개정 2016.04.28 일부개정 2017.12.28 일부개정 2020.06.26(지침 제260호) [목 차] 제1조(목적) 제2조(적용범위) 제3조(확인반의 구성) 제4조(확인실시 일반사항) 제5조(확인실시 분야별 확인방법) 제6조(확인결과표 작성방법 등) 제7조(공정안전보고서 확인의 면제) 제8조(강평 및 확인결과 통보) 제1조(목적) 이 지침은 「공정안전보고서 심사․확인업무 처리에 관한 규칙」에 의한 공정안전보고서의 확인업무를 원활히 수행하는데 필요한 지침을 정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제2조(적용범위) 이 지침은 「산업안전보건법」(이하 “법”이라 한다) 제..

중대재해처벌법 주요내용('21.1.26 공포) [내부링크]

첨부1 : 중대재해처벌법 주요내용(2021.1.26 공포) 첨부2 : 중대재해처벌법 전문(2021.1.26) 첨부3 : 중대재해기업처벌법 등장 배경과 시사점(저자 : 안전보건정책연구실 정책제도연구부 김명준부장)

안전운전절차서 작성에 관한 기술지침(P-108-2012) [내부링크]

o 관련규격 - 국제노동기구(ILO)협약 174호 : 중대산업사고 예방제도 - 미국산업안전보건법 CFR 1910. 119 : 공정안전관리제도 - 미국화학공학회(CCPS) : 공정안전보고서 작성 o 관련법규․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법 제49조의2 (공정안전보고서의 제출 등) 안전운전절차서 작성에 관한 기술지침(P-108-2012) [목 차] 1. 목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안전운전절차서에 대한 책임 5. 안전운전절차서 작성 원칙 6. 안전운전절차서의 내용 7. 안전운전절차서의 작성절차 8. 안전운전절차서의 승인 9. 안전운전절차서의 변경 1. 목적 이 지침은 산업안전보건법(이하“법”이라 한다.) 제49조의2, 같은 법 시행령 제33조의 6, 및 같은 법 시행규칙 제130조의2에..

중대산업사고 조사에 관한 기술지침(P-106-2016) [내부링크]

관련규격 및 자료 - OECD의 중대산업사고 보고서 양식 - EU의 중대산업사고 보고서 양식(Major Accident Reporting System :MARS) - 미국 화학공학회 발행 화학사고 조사 가이드라인 관련법규․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법 제49조의 2(공정안전보고서의 제출 등) 중대산업사고 조사에 관한 기술지침(P-106-2016) 1. 목 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사고조사의 목적 5. 사고조사 과정 6. 사고조사 계획 7. 사고조사반의 구성 8. 현장조사 9. 권고사항 준비 10. 보고서 작성 11. 사고 조사보고서 처리 1. 목 적 이 지침은 중대산업사고의 예방과 관련하여 사업장에서 중대산업사고에 대한 보고서(이하 “보고서”라 한다) 작성에 필요한 사항을 정..

비상조치계획 수립에 관한 기술지침(P-101-2012) [내부링크]

o 관련 규격 및 자료 - 국제노동기구(ILO) 협약 174호 중대산업사고예방제도 - 미국산업안전보건법 OSHA 1910. 119 o 관련법규 - 산업안전보건법 제49조의2, 같은 법 시행령 제33조의6, 같은 법 시행규칙 제130조의2 비상조치계획 수립에 관한 기술지침(P-101-2012) 1. 목적 2. 비상사태의 구분 3. 비상사태 파악 및 분석 4. 유해․ 위험물질의 성상조사 5. 비상조치계획의 수립 6. 비상조치계획의 검토 7. 비상대피 계획 8. 비상사태의 발령 9. 비상 경보 체계 10. 비상사태의 종결 11. 사고조사 12. 비상조치 위원회 13. 비상통제 조직의 기능 및 책무 14. 비상통제소의 설치 15. 운전정지 절차 16. 비상 훈련의 실시 및 조정 17. 주민 홍보 계획 1..

공정사고 조사계획 및 시행에 관한 기술지침(P-100-2012)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미국 화학공학회, Guideline for incident investigation - 노동부․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공정안전관리 12대 실천과제 매뉴얼 - GI․ OSHA, Process safety management risk and risk management planning(Auditing handbook a checklist approach) o 관련법령,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법」 제49조의2(공정안전보고서의 제출 등) -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제130조의2(공정안전보고서의 세부내용 등) -「공정안전보고서 제출·심사·확인 및 이행상태평가 등에 관한 규정」 (노동부 고시 제2006-27호) 공정사고 조사계획 및 시행에 관한 기술지침(P-100-2012..

변경요소관리에 관한 기술지침(P-98-2017) [내부링크]

o 관련 규격 및 자료 - 국제노동기구(ILO) Convention No. 174, “The Prevention of major industrial accidents”, 1993 - 29 CFR 1910.119, “Process safety management of highly hazardous chemicals” 변경요소관리에 관한 기술지침(P-98-2017) 1. 목적 2. 적용범위 3. 정의 4. 변경관리 원칙 5. 변경관리 등급 6. 변경관리 수행절차 7. 변경업무의 부서별 업무구분 8. 변경발의 전 검토내용 9. 변경관리위원회 10. 변경관리시에 필요한 검토절차 11. 변경관리에 관한 자체감사 12. 변경관리에 관한 서류 보존 1. 목적 이 지침은 공정안전보고서에 포함된 내용 중 변경요소관리..

가동전 안전점검에 관한 기술지침(P-97-2012) [내부링크]

o 관련규격 - 국제노동기구(ILO) Convention No. 174 : The Prevention of major industrial accidents, 1993 - 미국 산업안전보건법(CFR) : Process safety management of highly hazardous chemicals - CFR 1910.119 o 관련 법규 - 산업안전보건법 제49조의2(공정안전보고서의 제출 등) - 산업안전보건법 시행령 제33조의7(공정안전보고서의 내용) -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제130조의2(공정안전보고서의 세부내용 등) - 노동부 고시 제2009-90호(공정안전보고서의 제출․ 심사․ 확인 및 이행상태 평가 등에 관한 규정) 가동전 안전점검에 관한 기술지침(P-97-2012) 1. 목 적 2...

공정안전에 관한 근로자 교육훈련 지침(P-96-2020) [내부링크]

o 관련 규격 및 자료 - 국제노동기구(ILO)협약 174호 중대산업사고 예방제도 - 미국 산업안전보건법(CFR) 1910.110 공정안전관리제도 공정안전에 관한 근로자 교육훈련 지침(P-96-2020) 1. 목 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교육훈련대상 5. 교육훈련의 종류 6. 교육훈련계획의 수립 7. 교육훈련의 실시 8. 교육훈련의 평가 및 사후관리 1. 목 적 이 지침은 사업주가 작성하여야 할 공정안전보고서 중 근로자 등의 교육계획(이하 “교육훈련”이라 한다)을 수립하고 그 시행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을 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2. 적용범위 이 지침은 공정안전보고서 제출대상 사업장에서 이행하여야 할 근로자 교육훈련계획을 수립하고 시행하는데 적용한다. 3. 용어의 정의 (1) 이 ..

도급업체의 안전관리계획 작성에 관한 기술지침(P-95-2016)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국제노동기구(ILO) Convention No. 174, “The prevention of Major Industrial Accidents” 1993 - 미국 공정안전관리제도 규정 : Process Safety Management of Highly Hazardous Chemical-CFR 1910.119 o 관련법규·규칙·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법 제49조의 2(공정안전보고서의 제출 등) 및 같은 법 제29 조(도급사업 시의 안전 보건조치) -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제130조의 2(공정안전보고서의 세부내용 등) - 고용노동부고시 제2016-40호 공정안전보고서의 제출 심사 확인 및 이행상태평가 등에 관한 규정) 도급업체의 안전관리계획 작성에 관한 기술지침(P-95-2016) ..

안전작업허가지침(P-94-2019) [내부링크]

o 관련규격 - 국제노동기구(ILO)협약 174호 "ILO Convention No.174" - 미국 산업안전보건법 1910.119 "Process Safety Management" 안전작업허가지침(P-94-2019) 1. 목 적 2. 적용범위 3. 정의 4. 안전작업허가에 대한 일반사항 5. 안전작업 준비 6. 안전작업허가별 세부사항 1. 목 적 이 지침은 공정안전보고서 제출대상 사업장에서 사업주가 작성하여야 할 공정안전보고서 내용 중 유해위험 설비 등에서 작업 시 사전에 안전을 확보하기 위하여 안전작업허가 작성 및 안전작업 수행에 필요한 사항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 적용범위 이 지침은 유해위험요소가 잠재되어 있는 사업장내에서 시운전 또는 운전중 점검, 정비· 보수 등의 작업을 할..

유해․ 위험설비의 점검․ 정비․ 유지관리에 관한 기술지침(P-93-2020) [내부링크]

o 관련 규격 및 자료 - CCPS의 PSM Guidelines 「Mechanical Integrity」 - KOSHA GUIDE P-94-2019 (안전작업허가지침) - KOSHA GUIDE P-98-2017 (변경요소관리에 관한 기술지침) - KOSHA GUIDE P-15-2012 (위험기반검사 기법에 의한 설비의 신뢰성 향상 기술지침) 유해․ 위험설비의 점검․ 정비․ 유지관리에 관한 기술지침(P-93-2020) 1. 목 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구성기기의 우선순위 등급 5. 기기의 점검(검사 및 시험) 6. 기기의 결함관리 7. 기기의 정비 8. 기기 및 자재의 품질관리 9. 외주업체의 관리 10. 설비의 유지관리 ************************************..

'3명 사망' 인천 남동공단 폭발 사고…업체 대표 구속 [내부링크]

허용 범위 초과한 아염소산나트륨, 무허가 저장소에 보관 '3명 사망' 인천 남동공단 화재 [연합뉴스 자료사진] https://www.yna.co.kr/view/AKR20210316048900065 '3명 사망' 인천 남동공단 폭발 사고…업체 대표 구속 | 연합뉴스 (인천=연합뉴스) 손현규 기자 = 지난해 11월 작업자 3명이 숨진 인천 남동공단 공장 폭발 사고와 관련해 허용 범위보다 많은 화학물질을 무허가... www.yna.co.kr

5년간 경기 물류창고 827건 화재… ‘스프링클러’만 유일한 대책? [내부링크]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81/0003195835?sid=102 5년간 경기 물류창고 827건 화재… ‘스프링클러’만 유일한 대책? ‘사망자 46명, 부상자 56명.’ 지난 5년 동안 경기도의 물류창고 화재로 인한 사상자가 무려 102명에 이른다. 해마다 20여명이 물류센터 화재로 숨지거나 다치는 악몽이 되풀이되고 있지만 정부의 n.news.naver.com

회분식 반응기 체크리스트 [내부링크]

회분식 반응기 체크리스트 사 업 장 작 성 자 사업장주소 작성일자 사업장주소 보유설비 연번 점 검 내 용 법규 해당 없음 적정 부적정 사항 1.1 [물질안전보건자료] 법 제114조 원료, 제품에 대한 물질안전보건자료 확보 및 교육실시 여부 1.2 [안전보건표지] 법 제37조 원료, 제품취급에 따른 경고표지 부착여부 2.1 [반응 위험성 1] 법 제37조 반응식,반응열,최대단열온도(냉각실패시 최대온도) 자료 확보여부 2.2 [반응 위험성 2] 규칙 제275조 원료,제품 등의 최대단열온도에서 이상반응 또는 분해반응 발생가능성 2.3 [반응 위험성 3] 규칙 제275조 냉각실패,원료(촉매)과투입,원료오염,교반정지 등이 발생으로 이상반응 발생가능성과 발생시 대응방안확보 여부 ..

LOTO(잠금장치, 표지판) 작업절차 바로알기 [내부링크]

< Reference Internet Site > https://m.blog.naver.com/koshablog/221913164987 [안전TAG] 생명연장 ‘LOTO’편 산업현장 안전 체크리스트를 소개하는 ‘안전 TAG’! 오늘은 산업현장에서 자주 일어나는 끼임사고로부... blog.naver.com https://visualsafety.modoo.at/?link=epra1e5r [LOTO System - 홈] 사건/사고에 대하여 물리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은? visualsafety.modoo.at

(중소규모 사업장)화재폭발 사고예방 핸드북 [내부링크]

· · · https://kosha.or.kr/kosha/data/explosion_d.do?mode=view&articleNo=405467&article.offset=0&articleLimit=10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 사업소개 | 산업안전 | 중소규모 화학공장 기술지도 | 자료실 게시판읽 작성자 : 관리자 첨부파일(1) 중소규모 사업장을 대상으로 제작한 화재폭발 사고예방을 위한 핸드북입니다. 중소규모 사업장에서 종사하고 계신 관계자분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유해화학물질 kosha.or.kr

쿠팡 화재 엿새 만에 완전진화…뼈대만 남고 모두 타(종합) [내부링크]

국내 대표 전자상거래 업체인 쿠팡의 경기도 이천 덕평물류센터에서 지난 17일 발생한 불이 엿새째인 22일 완전히 꺼졌다. 소방당국은 이날 오후 4시 12분께 잔불 정리 작업을 완료하고 완전 진화를 선언했다. 지상 4층, 지하 2층에 연면적이 축구장 15개 넓이와 맞먹는 12만7천178.58에 달하는 물류센터 건물은 모두 불에 타 뼈대만 남았다. https://blog.naver.com/sbweon/222406800887 쿠팡 화재 엿새 만에 완전진화…뼈대만 남고 모두 타(종합) 쿠팡 화재 엿새 만에 완전진화... blog.naver.com

공정안전보고서 심사·확인업무 처리에 관한 규칙(규칙 제932호) [내부링크]

공정안전보고서 심사·확인업무 처리에 관한 규칙(규칙 제932호) 제정 1996. 1.31. 규칙 제180호 개정 1996. 7.10. 규칙 제194호 개정 1998. 6. 3. 규칙 제232호 개정 1999. 5. 6. 규칙 제265호 개정 2002. 7.11. 규칙 제332호 개정 2003. 2. 7. 규칙 제345호 개정 2004. 2.25. 규칙 제372호 개정 2005. 2.16. 규칙 제396호 개정 2007. 1. 5. 규칙 제436호 개정 2008. 7.15. 규칙 제486호 개정 2009. 4. 3. 규칙 제531호 개정 2011. 9.21. 규칙 제607호 개정 2014.11.10. 규칙 제718호 개정 2017. 3.21. 규칙 제785호 개정 2017.12.28. 규칙 제808호 개정..

공정안전보고서(PSM보고서)/SMS(안전성향상계획서) 제출 대상 [내부링크]

공정안전보고서(PSM보고서) 제출 대상 산업안전보건법 시행령 제43조(공정안전보고서의 제출 대상)에서 규정하는 대상 업종 사업장 또는 동 시행령 [별표 13]에서 규정하고 있는 유해·위험물질 중 하나 이상을 규정량 이상 제조·취급·저장하는 사업장 » 다음의 유해·위험물질을 하루 동안 최대로 제조·취급 또는 저장하는 사업장 ※ 저장용기에 보관 중인 유해·위험물질을 공정에 그대로 투입하여 제조·취급하는 경우, 저장량과 제조·취급량 중 큰 값만 을 적용하여(합산금지) 산정 공정안전보고서 제출 대상 물질 51종(시행령 별표13) 번호 유해·위험물질 규정량(kg) 번호 유해·위험물질 규정량(kg) 기존 변경 기존 변경 1 인화성 가스* 5,000 5,000 27 브롬화수소 2,500 10,000 2 인화성 액..

공정안전보고서 관련 산업안전보건법 개정 전/후 비교 [내부링크]

공정안전보고서 관련 산업안전보건법 개정 전/후 비교 개정된 산업안전보건법 내 공정안전보고서 관련 법규 법 시행령 시행규칙 개정 전 O 제49조의 2(공정안전보고서의 작성·제출 등) O 시행령 제33조의6(제출대상) O 시행령 제33조의7(내용) O 시행령 제33조의8(제출) O 시행규칙 제130조의2(세부내용) O 시행규칙 제130조의3제출시기) O 시행규칙 제130조의4(심사) O 시행규칙 제130조의5(작성기준 등) O 시행규칙 제130조의6(확인) O 시행규칙 제130조의7(이행상태평가) 개정 후 O 제44조(공정안전보고서의 작성·제출) O 제45조(공정안전보고서의 심사 등) O 제46조(공정안전보고서의 이행 등) O 시행령 제43조(제출대상) O 시행령 ..

방폭이야기 [내부링크]

1) 위험지역 (Hazardous Area) : 인화성 가스 및 증기가 화재/폭발을 발생시킬 수 있는 농도로 대기 중에 존재하거나 존재할 우려가 있는 장소로서 가스의 존재 빈도, 체류시간, 환기 조건등에 의하여 ATEX 기준으로는 Zone0, 1, 2로 국내기준으로는 0종, 1종, 2종 장소로 구분됩니다. 2)비방폭 지역 (Non-hazardous Area) : 인화성 가스 및 증기가 존재할 우려가 없는 장소를 의미합니다. 3)위험분위기 (explosive atmosphere) : 대기중에 인화성 가스 및 증기가 화재/폭발을 발생시킬 수 있는 농도(통상 21%)로 공기와 혼합되어 있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EN 60079-0 규정에 의하면 온도는 -20ºC ~ 60ºC 이고, 기압범위는 0.8 ~ 1.1 ..

전기방식 비교 [내부링크]

전기방식 비교 1. 금속의 부식 가 부식의 정의 금속이 물이나 토양과 같은 전해질 속에 놓이게 되면 그 표면의 용존산소, 농도차, 온도차 등 주위 환경 조건의 차이와 금속자체에 함유된불순물, 잔존 응력, 표면 부착물 등의 금속측 원인에 의하여 그 펴면에 국부적으로 전위차가 생기게 되고 그 결과 수많은 양극부와 음극부가 형성됩니다. 이때, 양극부에서 음극부로 전류(부식전류)가 흐르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양극부의 금속이 이온 상태로 용출 되어 점차 전해질 속으로 용해 되어간다. 이러한 전기화학 반응을 일반적으로 '부식'이라고 한다. 금속부분의 부식은 아래와 같이 설명된다. - 에너지 방출 과정 (Process of energy discharge) - 산화작용(Oxidation reaction) - 전..

공정안전보고서 심사·확인 [내부링크]

공정안전보고서 심사·확인 공정안전보고서 심사 및 확인 절차 공정안전보고서 제출 시기 설치·이전 및 주요구조부분의 변경 : 착공 30일 전 공동(순차)심사 산업안전보건법에 의한 심사대상 시설 중 고압가스안전관리법을 적용받는 시설이 포함된 경우에는 한국가스안전공사에 서류를 접수하여 기술검토한 후에 한국가스안전공사가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에 서류를 이관하고,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에서 최종적으로 심사하고 그 결과를 사업주에게 통보하는 심사 방식 심사기간 : 접수 후 1개월 이내 (공사 15일, 공단 15일) 심사결과 : 공단에서 사업장에 최종 통보 확인절차는 공단 단독 심사 시와 동일 ※ 공정안전보고서 심사수수료(단위: 원) 공정안전보고서 심사 수수료 심사대상 수수료 (단위: 원) 종류 규모..

공정안전보고서 심사 수수료 [내부링크]

근거 : 공정안전보고서 제출∙심사 등에 관한 규정(고용노동부고시 제2020-55호, 2020.1.16.) 제6장 수 수 료 제59조(수수료 등) ① 보고서의 심사를 받고자 하는 자는 법 제66조제1항에 따라 공단이 지정하는 금융기관 등을 통하여 수수료를 납부하여야 한다. ② 제1항에 따른 수수료는 고용노동부장관이 따로 정하는 수수료 규정에 따른다. 심사수수료 : 산업안전보건업무 수수료(시행 2020.1.15. 고용노동부고시 제2020-31호) 심 사 대 상 수수료(원) 종 류 규 모 1.다음 각호의 사업을 행하는 사업장에서 그 보유설비를 설치・이전・변경하는 경우 가. 원유정제 처리업 나. 석유정제 분해물 재처리업 다.석유화학계기초 유기화합물 제조업 라. 질소질 비료 제조업 마. 복합비..

공정안전보고서의 제출‧심사‧확인 및 이행상태평가 등에 관한 규정 [내부링크]

공정안전보고서의 제출‧심사‧확인 및 이행상태평가 등에 관한 규정 (고용노동부 고시 제2020-55호,2020.01.16) 제정 1996.01.25. 고시 제96- 4호 개정 1998.04.16. 고시 제98-19호 개정 1998.12.18. 고시 제98-67호 개정 2006.09.29. 고시 제2006-27호 개정 2009.12.30. 고시 제2009-90호 개정 2012.01.26. 고시 제2012-11호 개정 2014.05.26. 고시 제2014-22호 개정 2014.12.24. 고시 제2014-64호 개정 2016.08.18. 고시 제2016-40호 개정 2017.06.28. 고시 제2017-34호 개정 2017.11.02. 고시 제2017-62호 개정 2020.01.16. 고시 제2020-55호 ..

공정안전관리(PSM)제도 개요 [내부링크]

1. 공정안전관리(PSM) 제도 개요 화학공장 등의 화재․폭발․누출 등 중대산업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유해․위험설비의 설치․ 이전 시 사업주로 하여금 공정안전보고서를 작성하도록 하여 심사․확인을 받고, 그 내용을 이행하는 제도 (산업안전보건법 제44조, 45조, 46조) 2. 공정안전보고서의 내용(시행령 제44조, 시행규칙 제50조) 공정안전보고서에는 ① 공정안전자료, ② 공정위험성 평가서, ③ 안전운전계획, ④ 비상조치계획 등을 포함하여야 하며, 그 중 안전운전계획에는 ①안전운전지침서, ②설비점검•검사 및 보수계획, 유지계획 및 지침서, ③안전작업허가, ④도급업체 안전관리계획, ⑤근로자 등 교육계획, ⑥가동 전 점검지침, ⑦변경요소관리계획, ⑧자체감사 및 ⑨사고조사계획 등으로 구성되어야 함 3. PSM제..

유해·위험요인 파악 단계 주의사항 [내부링크]

순회점검이나 안전보건 체크리스트를 활용하여 사업장의 유해·위험요인을 명확히 파악하는 위험성평가 2단계 유해·위험요인 파악! 위험성평가에서는 유해·위험요인을 누락 없이 찾아내는 것이 가장 중요한 작업입니다. 또 유해·위험요인별로 산업재해에 이르는 프로세스를 명확히 하는 것 또한 중요한 과제 중 하나입니다. 이러한 '유해·위험요인 파악' 단계에서 주의해야 할 사항은 무엇일까요? 과거의 재해와 아차사고 발생 정보를 파악합니다. 실제로 작업하고 있는 현장 감독자와 작업자(하청·파견근로자 포함)가 알고 있는 유해·위험요인의 영향에 대한 의견을 활용합니다. 필요에 따라 안전·보건 관련 기술사, 지도사 등 외부전문가를 참가시킵니다.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사업장 순회점검에 의한 방법을 포함하여 사용합니..

공정흐름도(PFD) 작성에 관한 기술지침(D-39-2012) [내부링크]

ㅇ 관련 법규․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법 제49조의 2(공정안전보고서의 제출 등) - 동법 시행규칙 제130조의 2(공정안전보고서의 세부내용) - 노동부고시 제2009-90호(공정안전보고서의 제출·심사·확인 및 이행상태평가 등 에 관한 규정) 공정흐름도(PFD) 작성에 관한 기술지침(D-39-2012) [목 차] 1. 목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공정흐름도에 표시되어야 할 사항 5. 도면의 작성 6. 도면관리 등 1.목적 이 지침은 산업안전보건법(이하"법"이라 한다.), 제49조의2(공정안전보고서의 제출등), 동법 시행령 제33조의6(공정안전보고서의 내용), 동법 시행규칙 제130조의2(공정안전보고서의 세부내용등) 및 노동부 고시 제2009-90호 "공정안전보고서의 제출·심사·확..

공정배관계장도(P&ID) 작성에 관한 기술지침(D-29-2012) [내부링크]

o 관련규격 - 국․ 내외 Engineering Manual - ISA S5.1(Instrument Society of America) - ISO 14617(Graphical symbols for diagrams) ㅇ 관련 법규․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법, 같은 법 시행령, 같은 법 시행규칙 - 고용노동부고시 제2012-11호(공정안전보고서의 제출․ 심사․ 확인 및 이행상태 평가 등에 관한 규정) ************************************************************************************************************** 공정배관계장도(P&ID) 작성에 관한 기술지침(D-29-2012) [목 차] 1. 목적 2. 적용범..

작업장내 차량 안전운행을 위한 기술지침(M-50-2012)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INDG-199 : Workplace transport safety o 관련 법규․ 규칙․ 고시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177조(싣거나 내리는 작업) 작업장내 차량 안전운행을 위한 기술지침(M-50-2012) [목 차] 1. 목 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차량의 후진 5. 차량 신호수(Signaller) 6. 주차 7. 차량의 연결(Coupling) 및 해제(Uncoupling) 8. 차량 전복사고의 방지 *************************************************************** 1. 목 적 이 지침은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이하 “안전보건규칙”이라 한다) 제 177조 (싣거나 내리는 작업)에 의거 작업..

[고압가스 일반제조·충전·저장시설]안전관리규정 표준모델 개정내용(요약자료) [내부링크]

고압가스 일반제조·충전·저장시설 안전관리규정 표준모델 개정내용(요약자료) 1 개정사유 ㅇ 고압가스 일반제조·충전·저장소 사업자의 안전관리 활동 강화 및 법령 개정에 따른 규정 내용의 법령 부합화를 위한 개정 추진 ※ 안전관리규정 표준모델 개정현황(‘18.5.4) ∙ 고압가스 일반제조시설 안전관리규정 표준모델 ∙ 고압가스 충전시설 안전관리규정 표준모델 ∙ 고압가스 저장시설 안전관리규정 표준모델 2 주요개정내용 ㅇ 안전관리활동 강화를 위해 안전관리규정 조항신설 및 내용보완 - 안전관리규정 작성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한 ‘용어정의’ 조항 신설 - 독성가스 누출사고시 피해범위 및 피해최소화 대책 수립관리 조항 신설 ※ 가스안전관리 기본계획 추진과제 반영 - 안전관리조직 게시 및 최신본 유지 조항 신설 - 안전..

고압가스 분야별 안전관리규정 표준 모델 [내부링크]

고압가스 안전관리법 [시행 2020. 8. 5] [법률 제16935호, 2020. 2. 4, 일부개정] 제11조(안전관리규정) ① 사업자등은 그 사업의 개시(開始)나 저장소의 사용 전에 고압가스의 제조ㆍ저장ㆍ판매의 시설 또는 용기등의 제조시설의 안전유지에 관하여 산업통상자원부령으로 정하는 사항을 포함한 안전관리규정을 정하고 이를 허가관청ㆍ신고관청 또는 등록관청에 제출하여야 한다. 이 경우 제28조에 따른 한국가스안전공사의 의견서를 첨부하여야 한다. ②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업자등은 경영방침, 조직관리, 자료ㆍ정보관리, 시설관리, 종업원 안전교육 등 전체 경영활동에서 안전을 우선으로 하고 이를 통하여 종합적으로 안전이 확보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필요한 사항을 제1항에 따른 안전관리규정에 포함시켜야 한다..

고압가스안전관리법- 법/ 시행령/ 시행규칙 3단 비교 [내부링크]

첨부파일 : 고압가스 안전관리법 (3단비교)

[2101-13] 고압가스특정제조시설 정밀안전검진 업무처리 지침 [내부링크]

[2101-13] 고압가스 특정제조시설 정밀안전검진 업무처리 지침 2003. 01.13 제정 2009. 02.17 개정 2015.12. 24 개정 2019.12. 04 개정 제1조 (목적) 이 지침은 고압가스특정제조시설 KGS FP111 4.2.3.6 규정에 따른 정밀안전검진시 적용하는 분야별 세부검진내용과 운영방법을 정하는데 목적이 있다. 제2조 (적용대상) 이 지침은 고압가스안전관리법 시행규칙 제33조1호에 따른 고압가스특정제조시설에 대하여 적용한다. [첨부자료] 2101-13] 고압가스특정제조시설 정밀안전검진 업무처리 지침

비파괴검사에 대한 업무처리지침 [내부링크]

2100-5 비파괴검사에 대한 업무처리지침 제 1 장 총 칙 제1조 【목적】 제2조 【적용범위】 제3조 【용어의 정의】 제 2 장 비파괴검사 업무처리방법 제4조 【비표 제작 및 배부】 제5조 【비표관리】 제6조 【비표 분실(페기)시 처리】 제7조 【비표 부정사용 발견시 처리】 제8조 【신청접수 및 처리】 제9조 【처리기간】 제10조 【비파괴검사 실시 및 결과에 대한 확인】 제11조 【부적합사항에 대한 조치】 제12조 【업무분담】 제 3 장 유료 방사선비파괴검사 필름판독 업무처리방법 제13조 【판독신청】 제14조 【신청서 접수 및 처리】 제15조 【처리기간】 제16조 【방사선비파괴검사 필름판독 기준】 제17조 【필름판독자 자격등】 제18조 【방사선비파괴검사 필름판독 결과】 제19조 【기록보관】 제20조 【..

가스시설 및 가스배관의 내진설계·성능확인 세부기술기준 [내부링크]

가스시설 및 가스배관의 내진설계·성능확인 세부기술기준 - 목 차 - 제 1 장 총 칙 제1-1-1조【목적】 제1-1-2조【적용대상】 제1-1-3조【용어정의】 제 2 장 가스시설 및 지상 가스배관 내진설계 세부기술기준 제1절 내진설계 일반사항 제2-1-1조【일반사항】 제2-1-2조【제출서류】 제2-1-3조【하중조합】 제2-1-4조【지반분류】 제2-1-5조【구조감쇠비】 제2-1-6조【응답수정계수】 제2절 지진해석 방법 제2-2-1조【일반사항】 제2-2-2조【해석범위】 제2-2-3조【해석모델】 제2-2-4조【해석방법】 제 3 장 매설 가스배관 내진설계 세부기술기준 제1절 내진설계 일반사항 제3-1-1조【일반사항】 제3-1-2조【제출서류】 제3-1-3조【하중 고려사항】 제3-1-4조【지반분류】 제3-1-5조..

고압가스시설관련 검사업무 처리지침 [내부링크]

고압가스시설관련 검사업무 처리지침 - 목 차 - 제 1 장 고압가스시설 검사업무 처리방법 제1절 고압가스 일반제조․충전시설 제2절 저장․사용시설 제3절 판매시설 제4절 사용시설 제5절 임시사용 처리지침 제6절 고압가스 수입업․운반차량 기술검토 및 수입신고 등 제 2 장 냉동제조시설 검사업무 처리방법 제1절 총 칙 제2절 검사방법 및 판정기준 제3절 고압가스 부속냉동제조시설 처리방법 제 3 장 자율검사업무 처리방법 제1절 총 칙 제2절 검사방법 및 판정기준 제 4 장 가연성가스시설의 위험장소 분류 및 방폭전기설비의 설정, 설치방법 제1절 총칙 제2조 검사방법 및 판정기준 제 5 장 가스시설의 내진설계 세부기술기준 제1정 총칙 제2절 가스시설의 내진설계 및 해석일반 제3절 지진에 대한 구조물의 응답해석 ..

고압가스특정제조시설의 중간・완성검사 처리지침 [내부링크]

2101-4 고압가스특정제조시설의 중간・완성검사 처리지침 1999. 3. 7 제정, 2002. 5.31 개정 2006. 2.20 개정, 2009. 2.17 개정 2012. 1. 5 개정, 2016.12.29 개정 제 1 장 총 칙 제1조【목 적】 이 지침은 고압가스안전관리법(이하"법"이라 한다) 제16조 및 고압가스안전관리법 시행규칙(이하“규칙”이라 한다) 제28조, 제29조의 규정에 의한 중간·완성검사 업무의 표준화와 효율적인 플랜트의 안전관리를 확보하기 위하여 필요한 사항을 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2조【적용범위】 ① 이 지침의 적용범위는 규칙 제3조의 고압가스특정제조 허가의 대상을 말하며, 다음 각 호에 1에 해당하는 시설의 중간·완성검사에 적용한다. 1. 석유정제업자의 석유정제시설 또는 그 부..

징기스칸의 어록 [내부링크]

징기스칸의 어록 집안이 나쁘다고 탓하지 말라. 나는 아홉 살 때 아버지를 잃고 마을에서 쫓겨났다. 가난하다고 말하지 말라. 나는 들쥐를 잡아먹으며 연명했고, 목숨을 건 전쟁이 내 직업이고 내 일이었다. 작은 나라에서 태어났다고 말하지 말라. 그림자 말고는 친구도 없고 병사로만 10만. 백성은 어린애, 노인까지 합쳐 2백만도 되지 않았다. 배운게 없다고 힘이 없다고 탓하지 말라. 나는 내 이름도 쓸 줄 몰랐으나 남의 말에 귀 기울이면서 현명해지는 법을 배웠다. 너무 막막하다고, 그래서 포기해야겠다고 말하지 말라. 나는 목에 칼을 쓰고도 탈출했고, 뺨에 화살을 맞고 죽었다 살아나기도 했다. 적은 밖에 있는 것이 아니라 내 안에 있었다. 나는 내게 거추장스러운 것은 깡그리 쓸어버렸다. 나를 극복하는 그..

제조(처리) 및 저장능력 산정기준 [내부링크]

2101-4 고압가스특정제조시설의 중간・완성검사 처리지침 1999. 3. 7 제정, 2002. 5.31 개정 2006. 2.20 개정, 2009. 2.17 개정 2012. 1. 5 개정, 2016.12.29 개정 [별표 1] 제조(처리) 및 저장능력 산정기준 고압가스 특정제조시설 제조(처리) 및 저장능력 산정기준은 다음의 각 호에 따른다. 1. 제조(처리)능력 산정방법 가. 제조(처리)능력 산정방법은 PFD(Process Flow Diagram)의 Material Balance를 기준으로 액화가스(Ton/day), 압축가스( 0, 게이지압력 0Kg/)로 환산한 처리량(N/day)을 계산한다 나. 제조(처리)능력 세부산정방법 ① 원료가 고압가스이고 최종 제조가스가 고압가스이면 원..

고압가스시설의 내진설계 대상 설비 [내부링크]

고압가스시설의 내진설계 대상설비 관련법규 : 고압가스 안전관리법, KGS-FP111-2.3.2.2 1. 저장탱크 1) 가연성가스 및 독성가스 : 저장능력 5톤 이상 또는 500 N 이상 2) 비가연성 가스 또는 비독성가스 : 저장능력 10톤 이상 또는 1000 N 이상 2. 압력용기 반응·분리·정제·증류 등을 행하는 탑류로서 동체부의 높이 5m 이상 3. 냉동설비 1) 원통형응축기 : 세로방향으로 설치한 동체의 길이가 5 m 이상 2) 수액기 : 내용적 5 이상 ^^^^^^^^^^^^^^^^^^^^^^^^^^^^^^^^^^^^^^^^^^^^^^^^^

고압가스시설 기술검토서 대상 및 관련 사항 [내부링크]

A. 고압가스시설 기술검토서 : 고압가스안전관리법 시행령 3조6항, 규칙 4조1항, 규칙7조 제출 대상 1. 안전성향상계획서 제출 대상인 경우 : 안전성향상계획서 내에 기술검토서 첨부함 2. 안전성향상계획서 제출 비대상인 경우 - 사업소의 위치변경 - 제조ㆍ저장 또는 판매하는 고압가스의 종류 또는 압력의 변경. - 저장설비의 교체설치, 저장설비의 위치 또는 능력변경 - 처리설비의 위치 또는 능력변경 - 처리능력의 변경을 수반하는 배관의 내경의 변경 - 고압가스 배관 길이가 300 m 이상 연장되는 배관 설치장소의 변경 - 가연성가스 또는 독성가스를 냉매로 사용하는 냉동설비중 압축기ㆍ응축기 ㆍ증발기 또는 수액기의 교체설치 또는 위치변경 제출시기/ 제출처 : 시공 전 / 한국가스안전공사 B. 고압..

고압가스 기술검토서 업무흐름 및 작성 [내부링크]

기술검토서 작성 및 제출(3부) : 가스안전공사 기술검토서 접수 시기 o 공사착공(기초공사) 전 : 기술검토서 처리기간을 고려하여 제출 (대략 착공 1개월 전) 법적 기준 o 고압가스 안전관리법 시행규칙 별표4, 5, 6 **************************************************************** [ 기술검토서 작성시 필요 자료 항목 ] 일반사항 o.사업의 개요 및 목적 o.처리능력 및 저장능력 o.주요시설현황 시설 및 기술기준 관련서류 o 저장능력 및 처리능력 계산서 o 압축가스(압력용기,열교환기,배관 등) 도면 및 강도계산서 o 저장설비 도면 및 강도계산서 o 충전기(내부배관포함) 도면 및 사양서(CNG 충전에 한함) o ..

고압가스 시설 분야별 적용 KGS Code [내부링크]

※ 용어 정의 1. “압축가스”란 일정한 압력에 의하여 압축되어 있는 가스를 말한다. 2. “액화가스”란 가압(加壓)ㆍ냉각 등의 방법에 의하여 액체상태로 되어 있는 것으로서 대기압에서의 끓는점이 섭씨 40도 이하 또는 상용 온도 이하인 것을 말한다. 3. “저장능력”이란 저장설비에 저장할 수 있는 고압가스의 양으로서 「고법 시행규칙」별표 1에 따라 산정된 것을 말한다. 4. “냉동능력” 산정기준 : 「고법 시행규칙」별표3과 같다. 5. “처리능력”이란 처리설비 또는 감압설비에 의하여 압축ㆍ액화나 그 밖의 방법으로 1일에 처리할 수 있는 가스의 양(온도 섭씨 0도, 게이지압력 0의 상태를 기준으로 한다. 이하 같다)을 말한다. 6. “가연성가스”란 아크릴로니트릴ㆍ아크릴알데히드ㆍ아세트알데히드ㆍ아세틸렌ㆍ암모..

유독물질, 제한물질, 금지물질 및 허가물질의 규정수량에 관한 규정 (환경부고시 제2021 - 호) [내부링크]

환경부고시 제2021 - 호 「화학물질관리법」 제23조, 같은 법 시행규칙 제19조제1항 및 제3항에 따라 「유독물질, 제한물질, 금지물질 및 허가물질의 규정수량에 관한 규정」을 다음과 같이 제정․고시합니다. 유독물질, 제한물질, 금지물질 및 허가물질의 규정수량에 관한 규정 (환경부고시 제2021 - 호) 제1조(목적) 이 고시는 「화학물질관리법 시행규칙」(이하 "규칙"이라 한다) 제19조제1항 및 제3항에 따라 유해화학물질 중 사고대비물질을 제외한 유독물질, 제한물질, 금지물질 및 허가물질의 상위 규정수량과 하위 규정수량을 규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유독물질, 제한물질, 금지물질 및 허가물질의 규정수량에 관한 규정 (환경부고시 제2021 - 호) 첨부파일 화학물질관리법 시행규칙 [별표 10] 사고대비..

"화학사고예방관리계획" 제도 [내부링크]

화학사고예방관리계획이란?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사고 시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비상대응체계를 구축·운영하도록 하는 제도 ('21.4.1. 시행) 적용 대상 및 구분 O 「화학물질관리법」 시행규칙 별표 3의2 및 환경부 고시 「유독물질, 제한물질, 금지물질 및 허가물질의 규정수량에 관한규정」에 따른 규정수량 기준 이상의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을 설치·운영하려는 자 O 1군 유해화학물질 취급 사업장 : 시행규칙 별표 3의2 및 환경부 고시의 상위 규정수량 이상 취급하는 사업장 O 2군 유해 화학물질 취급 사업장 : 시행규칙 별표 3의2 및 환경부 고시의 하위 규정수량 이상 상위 규정수량 미만 취급하는 사업장 ※ 단, 법 제23조 제1항제3호에 따라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일부 사업..

화학사고예방관리계획서 설명자료 [내부링크]

[ 화학물질관리법 개정 배경 ] [ 화학물질관리법 개정 주요내용 ] [ 업무처리절차 ] "화학사고예방관리계획서" 설명자료 Site https://nics.me.go.kr/sub.do?menuId=114 화학사고예방관리계획서 < 자료실 < 화학물질안전원 nics.me.go.kr

2020년 공정안전보고서 작성예시집 [내부링크]

산업안전보건법 제42조 (공정안전보고서의 작성·제출) 따라 사업주는 사업장에 유해하거나 위험한 설비가 있는 경우 그 설비로부터의 위험물질 누출, 화재 및 폭발 등으로 인한 사업장의 근로자나, 사업장 인근 지역에 피해를 줄 수 있는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공정안전보고서를 작성하고 고용노동부장관에게 제출하여 심사를 받아야 합니다. "2020년 공정안전보고서 작성예시집" Site https://www.kosha.or.kr/kosha/data/mediaBankMain.do?medSeq=42201&codeSeq=1110100&medForm=101&menuId=-1110100101&mode=detail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 자료마당 | 안전보건자료실 발간번호 2020-중대산업사고예방실-331 자료형태 책자 언어..

작업위험성평가(JSA)에 관한 기술지침(P-140-2020) [내부링크]

o 관련 규격 및 자료 - OSHA 3071, “Job Hazard Analysis”, 2002 - National Safety Council(NSC), “Job Safety Analysis” - Department of the Air Force, Standard No. A10, "Job Safety Analysis", 2012 - Geogi Popov, Bruce K. Lyon, Bruce Hollcroft - Risk Assessment (A Practical Guide to Assessing Operational Risks) - Wiley, 2016 - A Practical Approach to Hazard Identification (For Operations and Maintenance Work..

공정안전(PSM)보고서 심사·확인 [내부링크]

공정안전보고서 심사·확인 공정안전보고서 심사 및 확인 절차 공정안전보고서 제출 시기 설치·이전 및 주요구조부분의 변경 : 착공 30일 전 공동(순차)심사 산업안전보건법에 의한 심사대상 시설 중 고압가스안전관리법을 적용받는 시설이 포함된 경우에는 한국가스안전공사에 서류를 접수하여 기술검토한 후에 한국가스안전공사가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에 서류를 이관하고,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에서 최종적으로 심사하고 그 결과를 사업주에게 통보하는 심사 방식 심사기간 : 접수 후 1개월 이내 (공사 15일, 공단 15일) 심사결과 : 공단에서 사업장에 최종 통보 확인절차는 공단 단독 심사 시와 동일 ※ 공정안전보고서 심사수수료(단위: 원) 공정안전보고서 심사 수수료 심사대상 수수료 (단위: 원) 종류 규모..

공정안전보고서의 제출‧심사‧확인 및 이행상태평가 등에 관한 규정(고용노동부 고시 제2020-55호,2020.01.16) [내부링크]

공정안전보고서의 제출‧심사‧확인 및 이행상태평가 등에 관한 규정 (고용노동부 고시 제2020-55호,2020.01.16) 제정 1996.01.25. 고시 제96- 4호 개정 1998.04.16. 고시 제98-19호 개정 1998.12.18. 고시 제98-67호 개정 2006.09.29. 고시 제2006-27호 개정 2009.12.30. 고시 제2009-90호 개정 2012.01.26. 고시 제2012-11호 개정 2014.05.26. 고시 제2014-22호 개정 2014.12.24. 고시 제2014-64호 개정 2016.08.18. 고시 제2016-40호 개정 2017.06.28. 고시 제2017-34호 개정 2017.11.02. 고시 제2017-62호 개정 2020.01.16. 고시 제2020-55호 ..

P&ID(Piping & Instrument Diagram) 작성방법 [내부링크]

P&ID(Piping & Instrument Diagram) 작성방법 공정의 정상운전, 비상운전, 시운전 및 운전정지시에 필요한 모든 공정장치,동력기계, 배관, 공정제어 및 계기등을 표시하고 이들 상호간에 연관 관계를나타내 주며 상세설계, 건설, 변경, 유지보수 및 운전을 하는 데 기본이 되는 도면으로서 아래 사항을 상세히 표시하여야 한다. 1. 장치 및 동력기계 설치 예비기기를 포함한 모든 공정설비를 표시 o 모든 장치와 장치의 고유번호, 명칭, 용량, 전열량 및 재질 등의 기본 사양 o 모든 동력기계와 동력기계의 고유번호, 명칭, 용량 및 동력원(전동기,터빈 또는 엔진 등) 등의 기본사양 o 탑류, 반응기 및 드럼 등의 경우에는 맨홀, 트레이(Tray)의 단수, 분배기(Distributor) 등 내부..

PSM(Process Safety Management) 제도란? [내부링크]

BK S&E Consulting 안전,환경 인허가 & 컨설팅 (Tel) 010-4166-4858 https://psm-safety-environment.tistory.com "PSM"이란? 이란 무엇일까? Process Safety Management의 약자이며, 우리말로는 ‘공정안전관리’으로써 화학물질들을 체계적으로 관리하여 중대산업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말합니다. 우리나라는 공정안전관리(PSM) 대상 사업장이 공정안전보고서를 작성하고 이를 이행해야 하는 의무를 갖게 1995년 입법화하여 시행하고 있습니다. "공정안전보고서"란? 산업안전보건법 44조(입법 당시는 "제49조의2")에 따라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유해ㆍ위험설비를 보유한 사업장의 사업주가 그 설비로부터의 위험물..

공정안전(PSM)보고서 작성 내용 및 필요자료 [내부링크]

공정안전(PSM)보고서 작성 내용 및 필요자료

공정안전보고서 "세척·세안 시설 및 안전 보호장구 설치계획" 작성방법 [내부링크]

공정안전보고서 "세척·세안 시설 및 안전 보호장구 설치계획" 작성방법 (1) 작성예시 세척·세안 시설 및 안전 보호장구 설치계획 1. 안전보호장구 주) ① 개인휴대용은 제외할 수 있다. ② 점검주기는 화학물질관리법에서 주1회로 요구된다. 2. 세척세안시설 주) 위험물관리법, 화학물질관리법, 고압가스안전관리법 등에서 요구하는 물품을 포함하여 작성할 수 있다.공정안전보고서 예시 3. 비상방재물품 주) ① 위험물관리법, 화학물질관리법, 고압가스안전관리법 등에서 요구하는 물품을 포함하여 작성할 수 있다. ② 점검주기는 화학물질관리법에서 주1회로 요구된다. (2) 작성방법 심사대상 설비에서 취급?저장하는 화학물질에 근로자가 다량 노출되었을 경우에 대한 세척,세안시설 및 안전보호 장구 등의 설치?배치계획에 관하여 ..

작업장의 통로 및 계단 설치에 관한 기술지침(G-85-2015)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The European standard EN ISO 14122-1~3: 2001 Safety of machinery permanent means of access to machines  Part 1: Choice of a fixed means of access between two levels  Part..

화학공장의 피해최소화 수립에 관한 기술지침(P-110-2012) [내부링크]

화학공장의 피해최소화 수립에 관한 기술지침(P-110-2012) [목 차] 1. 목적 2. 적용범위 3. 용어의 정의 4. 시나리오 선정 5. 선정된 시나리오 구성의 구체화 6. 피해 최소화 대책수립 [첨부자료]..

가스시설의 폭발위험장소 종류 구분 및 범위 산정방법 [내부링크]

가스시설의 폭발위험장소 종류 구분 및 범위 산정방법

가스폭발위험장소의 설정에 관한 기술지침(E-180–2020) [내부링크]

o 관련규격 및 자료 - KS C IEC 60079-10-1(폭발분위기- 제10-1부 : 폭발위험장소의 구분) - NFPA 497(Recommended practice for the classification of flammable liquids, gases, or vapors and of hazardous l..